KR101838624B1 - 지반의 침하량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 Google Patents

지반의 침하량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8624B1
KR101838624B1 KR1020160109210A KR20160109210A KR101838624B1 KR 101838624 B1 KR101838624 B1 KR 101838624B1 KR 1020160109210 A KR1020160109210 A KR 1020160109210A KR 20160109210 A KR20160109210 A KR 20160109210A KR 101838624 B1 KR101838624 B1 KR 1018386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suring
pressure
ground
settlement amoun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9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3606A (ko
Inventor
이근호
이근영
Original Assignee
이근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근호 filed Critical 이근호
Priority to KR10201601092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8624B1/ko
Publication of KR20180023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36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86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86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3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mechanical strain gau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2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angles or taper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7/00Measuring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chanical or fluid pressure-sensitive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반(1)에 좌우방향을 따라 매설된 파이프(10) 내에 봉형 구조로 설치되어, 일정 지점의 침하량을 측정하는 지반의 침하량 측정장치(100)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파이프(10)의 내면과 이격되도록 설치된 일측 지지부(110); 상기 일측지지부의 타측에 결합함과 아울러, 당해 지점의 각도변화를 측정하는 각도센서(121)가 장착된 각도측정부(120); 상기 각도측정부(120)의 타측에 결합함과 아울러, 상기 지반(1)의 상부에 설치된 저류조(20)의 액체가 유입되는 유입튜브(21)와 연결되어 당해 지점의 액체 압력을 측정하도록 압력센서(131)가 장착되고, 상기 압력센서(131)와 연통하는 액체 유입구(132) 및 액체 유출구(133)가 형성된 압력측정부(130); 상기 압력측정부(130)의 타측에 결합함과 아울러, 상기 파이프(10)의 내면과 이격되도록 설치된 타측지지부(140);를 포함하는 지반의 침하량 측정장치(100)를 제시함으로써, 좌우방향을 따라 안정적인 지반의 침하량 측정이 가능하고, 기준점을 설정하기 어려운 경우에도 측정이 가능하도록 한다.

Description

지반의 침하량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MEASURING APPARATUS FOR GROUND SETTLEMENT AND MEAS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건설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지반의 침하량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반의 침하(특히 부등침하)는 그 상부구조물에 대하여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므로, 지속적으로 측정되고 관리되어야 한다.
종래에는 상하방향(수직방향)을 따라 파이프를 설치하고, 그 내부에 프루브를 설치하는 방식의 침하량 측정장치를 주로 사용하여 왔는데, 이는 특정 지점의 침하 여부만을 알 수 있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또한 상하방향(수직방향) 측정장치의 경우에는, 파이프의 하단을 암반층에 매설함으로써 기준점으로 삼을 수 있지만, 고속철도의 레일 하부 지반과 같이, 자갈도상(3)의 하부 지반(1)에 좌우방향(수평방향)을 따라 파이프(10) 및 침하량 측정장치를 설치하고 침하량을 측정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파이프의 양단이 모두 노출되므로, 기준점을 설정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도 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좌우방향을 따라 안정적인 지반의 침하량 측정이 가능하고, 기준점을 설정하기 어려운 경우에도 측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지반의 침하량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지반(1)에 좌우방향을 따라 매설된 파이프(10) 내에 봉형 구조로 설치되어, 일정 지점의 침하량을 측정하는 지반의 침하량 측정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10)의 내면과 이격되도록 설치된 일측 지지부(110); 상기 일측지지부의 타측에 결합함과 아울러, 당해 지점의 각도변화를 측정하는 각도센서(121)가 장착된 각도측정부(120); 상기 각도측정부(120)의 타측에 결합함과 아울러, 상기 지반(1)의 상부에 설치된 저류조(20)의 액체가 유입되는 유입튜브(21)와 연결되어 당해 지점의 액체 압력을 측정하도록 압력센서(131)가 장착되고, 상기 압력센서(131)와 연통하는 액체 유입구(132) 및 액체 유출구(133)가 형성된 압력측정부(130); 상기 압력측정부(130)의 타측에 결합함과 아울러, 상기 파이프(10)의 내면과 이격되도록 설치된 타측지지부(140);를 포함하는 지반의 침하량 측정장치(100)를 제시한다.
상기 일측 지지부(110)는, 몸통부(111); 상기 몸통부(111)에 설치된 회전축(112); 상기 몸통부(111)의 상하로 연장되도록, 상기 회전축(112)에 설치된 연장부재(113); 상기 연장부재(113)의 상하단에 각각 설치된 바퀴(114);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도측정부(120)의 타측에는, 상기 유입튜브(21)의 단부가 삽입되는 타측삽입홈(122)이 형성되고, 상기 압력측정부(130)의 일측에는, 상기 유입튜브(21)가 결합하도록 상기 타측삽입홈(122)을 향하여 개방된 상기 액체 유입구(132)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타측지지부(140)의 일측에는, 타 측정장치(100)의 압력측정부(130)에 연결되는 연장튜브(22)의 단부가 삽입되는 일측삽입홈(143)이 형성되고, 상기 압력측정부(130)의 타측에는, 상기 연장튜브(22)가 결합하도록 상기 일측삽입홈(143)을 향하여 개방된 상기 액체 유출구(133)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측정장치(100) 복수를 이용한 측정방법으로서, 측정대상이 되는 지반(1)의 좌우방향을 따라 관통하도록 상기 파이프(10)를 매설하는 단계; 상기 지반(1)의 상부에 저류조(20)를 설치하고, 상기 저류조(20)에 상기 유입튜브(21)를 연결하는 단계; 복수의 상기 측정장치(100) 중 최초의 측정장치(100a)의 액체 유입구(132)에 상기 유입튜브(21)를 연결하고, 상기 최초의 측정장치(100a)의 액체 유출구(133)에 연장튜브(22)를 연결하는 단계; 복수의 상기 측정장치(100) 중 최후의 측정장치(100c)의 액체 유입구(132)에 상기 연장튜브(22)를 연결하고, 상기 최후의 측정장치(100c)의 액체 유출구(133)를 폐쇄하는 단계; 상기 파이프(10) 내부에 복수의 상기 측정장치(100)를 열지어 설치하는 단계; 복수의 상기 측정장치(100) 각각에 대하여, 상기 일측지지부의 회전축(112)과 상기 압력측정부(130) 사이의 거리와, 상기 각도측정부(120)에 의해 측정된 각도변화량의 사인값을 곱하여, 상기 일측지지부의 회전축(112)과 상기 압력측정부(130) 사이 영역의 상대침하량을 계산하는 단계; 복수의 상기 측정장치(100) 각각에 대하여, 상기 압력측정부(130)의 압력변화량으로부터 절대침하량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절대침하량 및 상대침하량으로부터, 복수의 상기 측정장치(100)가 설치된 지점 이외의 지점의 추정침하량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의 침하량 측정방법을 제시한다.
본 발명은 상기 측정장치(100) 복수를 이용한 측정방법으로서, 측정대상이 되는 지반(1)의 좌우방향을 따라 상기 파이프(10)를 매설하고, 상기 파이프(10)의 타단이 상기 지반(1)에 매설된 기준점(2)이 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지반(1)의 상부에 저류조(20)를 설치하고, 상기 저류조(20)에 상기 유입튜브(21)를 연결하는 단계; 복수의 상기 측정장치(100) 중 최초의 측정장치(100a)의 액체 유입구(132)에 상기 유입튜브(21)를 연결하고, 상기 최초의 측정장치(100a)의 액체 유출구(133)에 연장튜브(22)를 연결하는 단계; 복수의 상기 측정장치(100) 중 최후의 측정장치(100c)의 액체 유입구(132)에 상기 연장튜브(22)를 연결하고, 상기 최후의 측정장치(100c)의 액체 유출구(133)를 폐쇄하는 단계; 상기 파이프(10) 내부에 복수의 상기 측정장치(100)를 열지어 설치하는 단계; 복수의 상기 측정장치(100) 각각에 대하여, 상기 일측지지부의 회전축(112)과 상기 압력측정부(130) 사이의 거리와, 상기 각도측정부(120)에 의해 측정된 각도변화량의 사인값을 곱하여, 상기 일측지지부의 회전축(112)과 상기 압력측정부(130) 사이 영역의 상대침하량을 계산하는 단계; 복수의 상기 측정장치(100) 각각에 대하여, 상기 압력측정부(130)의 압력변화량으로부터 절대침하량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기준점(2)을 기준으로, 복수의 상기 측정장치(100)에 의해 얻어진 상기 상대침하량의 누적에 의해, 복수의 상기 측정장치(100)가 설치된 지점의 누적침하량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누적침하량과, 복수의 상기 측정장치(100)에 의해 얻어진 절대침하량을 상호 비교하여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의 침하량 측정방법을 제시한다.
본 발명은 좌우방향을 따라 안정적인 지반의 침하량 측정이 가능하고, 기준점을 설정하기 어려운 경우에도 측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지반의 침하량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에 관한 개념도.
도 2 이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2는 측정장치의 단면도.
도 3은 일측 지지부의 단면도.
도 4는 압력측정부의 단면도.
도 5는 상대침하량 계산방법의 개념도.
도 6은 측정방법의 제1 실시예의 공정도.
도 7은 측정방법의 제2 실시예의 공정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지반(1)에 좌우방향을 따라 매설된 파이프(10) 내에 봉형 구조로 설치되어, 일정 지점의 침하량을 측정하는 지반의 침하량 측정장치(100)에 관한 것이다.
이는 파이프(10)의 내면과 이격되도록 설치된 일측 지지부(110); 일측지지부의 타측에 결합함과 아울러, 당해 지점의 각도변화를 측정하는 각도센서(121)가 장착된 각도측정부(120); 각도측정부(120)의 타측에 결합함과 아울러, 지반(1)의 상부에 설치된 저류조(20)의 액체가 유입되는 유입튜브(21)와 연결되어 당해 지점의 액체 압력을 측정하도록 압력센서(131)가 장착되고, 압력센서(131)와 연통하는 액체 유입구(132) 및 액체 유출구(133)가 형성된 압력측정부(130); 압력측정부(130)의 타측에 결합함과 아울러, 파이프(10)의 내면과 이격되도록 설치된 타측지지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각도측정부(120)는 당해 측정장치(100)의 각도변화를 측정하여, 당해 지점의 지반의 상대침하량을 측정한다.
압력측정부(130)는 저류조(20)와 튜브(21)에 의해 연결된 압력센서(131)에 의해 측정된 압력변화량으로부터 절대침하량을 측정한다.
이러한 측정장치(100) 복수를 이용한 측정방법은 다음과 같은 공정에 의해 이루어진다(도 6).
측정대상이 되는 지반(1)의 좌우방향을 따라 관통하도록 파이프(10)를 매설하고, 지반(1)의 상부에 저류조(20)를 설치하고, 저류조(20)에 유입튜브(21)를 연결한다.
복수의 측정장치(100) 중 최초의 측정장치(100a)의 액체 유입구(132)에 유입튜브(21)를 연결하고, 최초의 측정장치(100a)의 액체 유출구(133)에 연장튜브(22)를 연결한다.
그 연장튜브(22)를 인접하여 설치되는 다음 측정장치(100b)의 액체 유입구(132)에 연결하고, 그 측정장치(100b)의 액체 유출구(133)에는 또 다른 연장튜브(22)를 연결하는 방식으로, 연달아 복수의 측정장치(100)와 복수의 연장튜브(22)를 연결한다.
복수의 측정장치(100) 중 최후의 측정장치(100c)의 액체 유입구(132)에 마지막 연장튜브(22)를 연결하고, 최후의 측정장치(100c)의 액체 유출구(133)를 폐쇄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저류조(20)와 복수의 측정장치(100)의 압력센서(131)가 유입튜브(21) 및 복수의 연장튜브(22)에 의해 연결되고, 각 압력센서(131)는 그 지점의 압력변화로부터 절대침하량을 측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튜브(21,22)에 의해 상호 연결된 복수의 측정장치(100)를 파이프(10) 내부에 열지어 설치한다.
복수의 측정장치(100) 각각에 대하여, 일측지지부의 회전축(112)과 압력측정부(130) 사이의 거리(L')와, 각도측정부(120)에 의해 측정된 각도변화량(θ)의 사인값을 곱하여, 일측지지부의 회전축(112)과 상기 압력측정부(130) 사이 영역의 상대침하량(△L')을 계산한다.
△L' = L' sinθ
L' : 일측 회전축(112)과 압력센서(131) 사이의 거리
θ : 각도변화량
△L' : 일측 회전축(112) 설치지점을 기준으로, 압력센서(131) 설치지점의 상대침하(융기)량
복수의 측정장치(100) 각각에 대하여, 압력측정부(130)의 압력변화량으로부터 절대침하량을 계산한다.
상기 절대침하량 및 상대침하량으로부터, 복수의 측정장치(100)가 설치된 지점 이외의 지점(복수의 측정장치(100) 사이의 영역)의 추정침하량을 계산한다.
압력측정부(130)의 압력변화량으로부터 얻어지는 측정값은 절대침하량이라는 장점이 있으나, 측정지점의 침하 또는 융기 여부를 알 수 없다는 점, 고가의 장치이므로 긴 측정구간에 걸쳐 다수의 장치를 조밀하게 설치하기 어렵다는 점, 너무 많은 수의 장치를 설치하는 경우 오차의 누적으로 인하여 정밀도가 떨어진다는 점 등의 단점이 있다.
반면에, 각도측정부(120)에 의해 측정된 각도변화량(θ)으로부터 얻어지는 침하량은 상대침하량이라는 단점이 있으나, 측정지점의 침하 또는 융기 여부를 알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측정방법은 위 2가지 측정방식의 장점을 취합하고, 단점을 상호 보완한 것으로서, 각도측정부(120)와 압력측정부(130)를 구비한 복수의 측정장치(100)를 다소 간격을 두고 설치하고, 압력측정부(130)에 의해 특정지점의 절대침하량을 측정함과 아울러, 각도측정부(120)에 의해 당해 특정지점의 침하 또는 융기 여부를 파악함으로써, 복수의 측정장치(100)가 설치된 지점 이외의 지점(복수의 측정장치(100) 사이의 영역)의 추정침하량을 계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파이프의 양단이 노출되어 기준점을 설정하기 어려운 경우에도 침하량의 측정이 가능하다는 점, 종래에 비해 더욱 신뢰할 수 있는 침하량의 측정값을 얻도록 한다는 점 등의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측정장치(100)는 파이프의 일단이 대상지반에 매설되어 기준점을 설정할 수 있는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의 위 측정장치(100) 복수를 이용한 측정방법은 다음과 같은 공정에 의해 이루어진다(도 7).
측정대상이 되는 지반(1)의 좌우방향을 따라 파이프(10)를 매설하고, 파이프(10)의 타단이 상기 지반(1)에 매설된 기준점(2)이 되도록 하며, 지반(1)의 상부에 저류조(20)를 설치하고, 저류조(20)에 유입튜브(21)를 연결한다.
복수의 측정장치(100)를 유입튜브(21) 및 연장튜브(22)에 의해 연결하고, 이들을 파이프(10) 내부에 열지어 설치하는 공정은 위 실시예와 동일하다.
이후, 복수의 측정장치(100) 각각에 대하여, 일측지지부의 회전축(112)과 압력측정부(130) 사이의 거리(L')와, 각도측정부(120)에 의해 측정된 각도변화량(θ)의 사인값을 곱하여, 일측지지부의 회전축(112)과 상기 압력측정부(130) 사이 영역의 상대침하량(△L')을 계산한다.
△L' = L' sinθ
L' : 일측 회전축(112)과 압력센서(131) 사이의 거리
θ : 각도변화량
△L' : 일측 회전축(112) 설치지점을 기준으로, 압력센서(131) 설치지점의 상대침하(융기)량
복수의 측정장치(100) 각각에 대하여, 압력측정부(130)의 압력변화량으로부터 절대침하량을 계산한다.
기준점(2)을 기준으로, 복수의 측정장치(100)에 의해 얻어진 상대침하량의 누적에 의해, 복수의 측정장치(100)가 설치된 지점의 누적침하량을 계산한다.
위 누적침하량과, 복수의 측정장치(100)에 의해 얻어진 절대침하량을 상호 비교하여 보정한다.
즉, 대상지반의 침하와 함께 기준점(2) 자체도 침하를 일으킬 수 있는데, 이 경우는 이 기준점(2)을 기준으로 측정한 값을 신뢰할 수 없으므로, 압력측정부(130)에 의한 절대침하량에 의해 기준점(2)의 침하 여부를 확인하고 보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종래에 비해 더욱 신뢰할 수 있는 침하량의 측정값을 얻도록 한다는 점 등의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침하량 측정장치(100)의 구체적 구조에 관한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각도측정부(120)에 의해 측정되는 상대침하량은 측정장치(100)에서 특정지점 사이의 거리 및 측정장치(100)의 기울기(각도)의 연산에 의해 얻어지는 것이므로, 위 거리가 클수록 측정값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즉, 도 2의 측정장치(100)를 전제로 할 때, 일측 회전축(112)과 타측 회전축(142) 사이의 거리(L)를 기준으로 하여 상대침하량을 측정하는 것이 신뢰도 측면에서 가장 유리하다.
△L = L sinθ
L : 일측 회전축(112)과 타측 회전축(142) 사이의 거리
θ : 각도변화량
△L : 일측 회전축(112) 설치지점을 기준으로, 타측 회전축(142) 설치지점의 상대침하(융기)량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침하량 측정장치(100)의 경우에는, 각도측정부(120)에 의해 측정되는 상대침하량과, 압력측정부(130)에 의해 측정된 절대침하량을 상호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동일한 지점의 침하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일측 회전축(112)과 압력센서(131) 사이의 거리(L')를 기준으로 하여 상대침하량을 측정한다.
△L' = L' sinθ
L' : 일측 회전축(112)과 압력센서(131) 사이의 거리
θ : 각도변화량
△L' : 일측 회전축(112) 설치지점을 기준으로, 압력센서(131) 설치지점의 상대침하(융기)량
본 발명에 의한 침하량 측정장치(100)는 위와 같은 한계를 전제로 하여 구성된 것으로서, 일측 지지부(110), 각도측정부(120), 압력측정부(130), 타측지지부(140)를 구비하되, 이들의 순서를 일측 지지부(110), 각도측정부(120), 압력측정부(130), 타측지지부(140)로 구성하여, 일측 회전축(112)과 압력센서(131) 사이의 거리가 최대한 커지도록 함으로써, 측정값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다는 효과가 있다.
일측 지지부(110)는, 몸통부(111); 몸통부(111)에 설치된 회전축(112); 몸통부(111)의 상하로 연장되도록, 회전축(112)에 설치된 연장부재(113); 연장부재(113)의 상하단에 각각 설치된 바퀴(114);를 포함하는 구성을 취한다.
이는 파이프(10) 내부의 이동을 용이하게 함과 아울러, 대상지반의 침하에 따른 측정장치(100)의 회전구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는 효과가 있다.
파이프(10) 내부에는 일측 지지부(110), 각도측정부(120), 압력측정부(130), 타측지지부(140)와 함께, 유입튜브(21) 및 연장튜브(22)가 삽입되어야 하는데, 이들은 가능한 한 좁은 직경의 파이프(10) 내에도 안정적으로 삽입되는 구조를 취하는 것이 유리하다.
넓은 직경의 파이프(10)가 필요한 경우라면, 파이프(10)의 삽입을 위한 지반의 천공 홀의 직경도 커져야 하므로, 시공비용이 증대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하여, 각도측정부(120)의 타측에는, 유입튜브(21)의 단부가 삽입되는 타측삽입홈(122)이 형성되고, 압력측정부(130)의 일측에는, 유입튜브(21)가 결합하도록 타측삽입홈(122)을 향하여 개방된 액체 유입구(132)가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는 유입튜브(21)의 단부가 타측삽입홈(122)에 삽입된 상태로 액체 유입구(132)에 결합하도록 하므로, 측정장치(100)의 직경을 최소화함에 기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타측지지부(140)의 일측에는, 타 측정장치(100)의 압력측정부(130)에 연결되는 연장튜브(22)의 단부가 삽입되는 일측삽입홈(143)이 형성되고, 압력측정부(130)의 타측에는, 연장튜브(22)가 결합하도록 일측삽입홈(143)을 향하여 개방된 액체 유출구(133)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 지반 10 : 파이프
20 : 저류조 21 : 유입튜브
22 : 연장튜브 100 : 침하량 측정장치
110 : 일측 지지부 111 : 몸통부
112 : 회전축 113 : 연장부재
114 : 바퀴 120 : 각도측정부
121 : 각도센서 122 : 타측삽입홈
130 : 압력측정부 131 : 압력센서
132 : 액체 유입구 133 : 액체 유출구
140 : 타측지지부 143 : 일측삽입홈

Claims (6)

  1. 삭제
  2. 지반(1)에 좌우방향을 따라 매설된 파이프(10) 내에 봉형 구조로 설치되어, 일정 지점의 침하량을 측정하는 지반의 침하량 측정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10)의 내면과 이격되도록 설치된 일측 지지부(110);
    상기 일측지지부의 타측에 결합함과 아울러, 당해 지점의 각도변화를 측정하는 각도센서(121)가 장착된 각도측정부(120);
    상기 각도측정부(120)의 타측에 결합함과 아울러, 상기 지반(1)의 상부에 설치된 저류조(20)의 액체가 유입되는 유입튜브(21)와 연결되어 당해 지점의 액체 압력을 측정하도록 압력센서(131)가 장착되고, 상기 압력센서(131)와 연통하는 액체 유입구(132) 및 액체 유출구(133)가 형성된 압력측정부(130);
    상기 압력측정부(130)의 타측에 결합함과 아울러, 상기 파이프(10)의 내면과 이격되도록 설치된 타측지지부(140);를 포함하고,
    상기 일측 지지부(110)는,
    몸통부(111);
    상기 몸통부(111)에 설치된 회전축(112);
    상기 몸통부(111)의 상하로 연장되도록, 상기 회전축(112)에 설치된 연장부재(113);
    상기 연장부재(113)의 상하단에 각각 설치된 바퀴(1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의 침하량 측정장치(100).
  3. 지반(1)에 좌우방향을 따라 매설된 파이프(10) 내에 봉형 구조로 설치되어, 일정 지점의 침하량을 측정하는 지반의 침하량 측정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10)의 내면과 이격되도록 설치된 일측 지지부(110);
    상기 일측지지부의 타측에 결합함과 아울러, 당해 지점의 각도변화를 측정하는 각도센서(121)가 장착된 각도측정부(120);
    상기 각도측정부(120)의 타측에 결합함과 아울러, 상기 지반(1)의 상부에 설치된 저류조(20)의 액체가 유입되는 유입튜브(21)와 연결되어 당해 지점의 액체 압력을 측정하도록 압력센서(131)가 장착되고, 상기 압력센서(131)와 연통하는 액체 유입구(132) 및 액체 유출구(133)가 형성된 압력측정부(130);
    상기 압력측정부(130)의 타측에 결합함과 아울러, 상기 파이프(10)의 내면과 이격되도록 설치된 타측지지부(140);를 포함하고,
    상기 각도측정부(120)의 타측에는, 상기 유입튜브(21)의 단부가 삽입되는 타측삽입홈(122)이 형성되고,
    상기 압력측정부(130)의 일측에는, 상기 유입튜브(21)가 결합하도록 상기 타측삽입홈(122)을 향하여 개방된 상기 액체 유입구(13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의 침하량 측정장치(100).
  4. 지반(1)에 좌우방향을 따라 매설된 파이프(10) 내에 봉형 구조로 설치되어, 일정 지점의 침하량을 측정하는 지반의 침하량 측정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10)의 내면과 이격되도록 설치된 일측 지지부(110);
    상기 일측지지부의 타측에 결합함과 아울러, 당해 지점의 각도변화를 측정하는 각도센서(121)가 장착된 각도측정부(120);
    상기 각도측정부(120)의 타측에 결합함과 아울러, 상기 지반(1)의 상부에 설치된 저류조(20)의 액체가 유입되는 유입튜브(21)와 연결되어 당해 지점의 액체 압력을 측정하도록 압력센서(131)가 장착되고, 상기 압력센서(131)와 연통하는 액체 유입구(132) 및 액체 유출구(133)가 형성된 압력측정부(130);
    상기 압력측정부(130)의 타측에 결합함과 아울러, 상기 파이프(10)의 내면과 이격되도록 설치된 타측지지부(140);를 포함하고,
    상기 타측지지부(140)의 일측에는, 타 측정장치(100)의 압력측정부(130)에 연결되는 연장튜브(22)의 단부가 삽입되는 일측삽입홈(143)이 형성되고,
    상기 압력측정부(130)의 타측에는, 상기 연장튜브(22)가 결합하도록 상기 일측삽입홈(143)을 향하여 개방된 상기 액체 유출구(13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의 침하량 측정장치(100).
  5. 지반(1)에 좌우방향을 따라 매설된 파이프(10) 내에 봉형 구조로 설치되어, 일정 지점의 침하량을 측정하는 지반의 침하량 측정장치(100) 복수를 이용한 측정방법으로서,
    상기 측정장치(100)는,
    상기 파이프(10)의 내면과 이격되도록 설치된 일측 지지부(110);
    상기 일측지지부의 타측에 결합함과 아울러, 당해 지점의 각도변화를 측정하는 각도센서(121)가 장착된 각도측정부(120);
    상기 각도측정부(120)의 타측에 결합함과 아울러, 상기 지반(1)의 상부에 설치된 저류조(20)의 액체가 유입되는 유입튜브(21)와 연결되어 당해 지점의 액체 압력을 측정하도록 압력센서(131)가 장착되고, 상기 압력센서(131)와 연통하는 액체 유입구(132) 및 액체 유출구(133)가 형성된 압력측정부(130);
    상기 압력측정부(130)의 타측에 결합함과 아울러, 상기 파이프(10)의 내면과 이격되도록 설치된 타측지지부(140);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방법은,
    측정대상이 되는 지반(1)의 좌우방향을 따라 관통하도록 상기 파이프(10)를 매설하는 단계;
    상기 지반(1)의 상부에 저류조(20)를 설치하고, 상기 저류조(20)에 상기 유입튜브(21)를 연결하는 단계;
    복수의 상기 측정장치(100) 중 최초의 측정장치(100a)의 액체 유입구(132)에 상기 유입튜브(21)를 연결하고, 상기 최초의 측정장치(100a)의 액체 유출구(133)에 연장튜브(22)를 연결하는 단계;
    복수의 상기 측정장치(100) 중 최후의 측정장치(100c)의 액체 유입구(132)에 상기 연장튜브(22)를 연결하고, 상기 최후의 측정장치(100c)의 액체 유출구(133)를 폐쇄하는 단계;
    상기 파이프(10) 내부에 복수의 상기 측정장치(100)를 열지어 설치하는 단계;
    복수의 상기 측정장치(100) 각각에 대하여, 상기 일측지지부의 회전축(112)과 상기 압력측정부(130) 사이의 거리와, 상기 각도측정부(120)에 의해 측정된 각도변화량의 사인값을 곱하여, 상기 일측지지부의 회전축(112)과 상기 압력측정부(130) 사이 영역의 상대침하량을 계산하는 단계;
    복수의 상기 측정장치(100) 각각에 대하여, 상기 압력측정부(130)의 압력변화량으로부터 절대침하량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절대침하량 및 상대침하량으로부터, 복수의 상기 측정장치(100)가 설치된 지점 이외의 지점의 추정침하량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의 침하량 측정방법.
  6. 지반(1)에 좌우방향을 따라 매설된 파이프(10) 내에 봉형 구조로 설치되어, 일정 지점의 침하량을 측정하는 지반의 침하량 측정장치(100) 복수를 이용한 측정방법으로서,
    상기 측정장치(100)는,
    상기 파이프(10)의 내면과 이격되도록 설치된 일측 지지부(110);
    상기 일측지지부의 타측에 결합함과 아울러, 당해 지점의 각도변화를 측정하는 각도센서(121)가 장착된 각도측정부(120);
    상기 각도측정부(120)의 타측에 결합함과 아울러, 상기 지반(1)의 상부에 설치된 저류조(20)의 액체가 유입되는 유입튜브(21)와 연결되어 당해 지점의 액체 압력을 측정하도록 압력센서(131)가 장착되고, 상기 압력센서(131)와 연통하는 액체 유입구(132) 및 액체 유출구(133)가 형성된 압력측정부(130);
    상기 압력측정부(130)의 타측에 결합함과 아울러, 상기 파이프(10)의 내면과 이격되도록 설치된 타측지지부(140);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방법은,
    측정대상이 되는 지반(1)의 좌우방향을 따라 상기 파이프(10)를 매설하고, 상기 파이프(10)의 타단이 상기 지반(1)에 매설된 기준점(2)이 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지반(1)의 상부에 저류조(20)를 설치하고, 상기 저류조(20)에 상기 유입튜브(21)를 연결하는 단계;
    복수의 상기 측정장치(100) 중 최초의 측정장치(100a)의 액체 유입구(132)에 상기 유입튜브(21)를 연결하고, 상기 최초의 측정장치(100a)의 액체 유출구(133)에 연장튜브(22)를 연결하는 단계;
    복수의 상기 측정장치(100) 중 최후의 측정장치(100c)의 액체 유입구(132)에 상기 연장튜브(22)를 연결하고, 상기 최후의 측정장치(100c)의 액체 유출구(133)를 폐쇄하는 단계;
    상기 파이프(10) 내부에 복수의 상기 측정장치(100)를 열지어 설치하는 단계;
    복수의 상기 측정장치(100) 각각에 대하여, 상기 일측지지부의 회전축(112)과 상기 압력측정부(130) 사이의 거리와, 상기 각도측정부(120)에 의해 측정된 각도변화량의 사인값을 곱하여, 상기 일측지지부의 회전축(112)과 상기 압력측정부(130) 사이 영역의 상대침하량을 계산하는 단계;
    복수의 상기 측정장치(100) 각각에 대하여, 상기 압력측정부(130)의 압력변화량으로부터 절대침하량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기준점(2)을 기준으로, 복수의 상기 측정장치(100)에 의해 얻어진 상기 상대침하량의 누적에 의해, 복수의 상기 측정장치(100)가 설치된 지점의 누적침하량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누적침하량과, 복수의 상기 측정장치(100)에 의해 얻어진 절대침하량을 상호 비교하여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의 침하량 측정방법.
KR1020160109210A 2016-08-26 2016-08-26 지반의 침하량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KR1018386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9210A KR101838624B1 (ko) 2016-08-26 2016-08-26 지반의 침하량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9210A KR101838624B1 (ko) 2016-08-26 2016-08-26 지반의 침하량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3606A KR20180023606A (ko) 2018-03-07
KR101838624B1 true KR101838624B1 (ko) 2018-03-14

Family

ID=61660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9210A KR101838624B1 (ko) 2016-08-26 2016-08-26 지반의 침하량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86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2802A (ko) * 2019-07-26 2021-02-0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드릴쉽의 머드 밀도 측정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90187A (ja) * 2000-09-19 2002-03-27 Kajima Corp 沈下測定システムおよび沈下測定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90187A (ja) * 2000-09-19 2002-03-27 Kajima Corp 沈下測定システムおよび沈下測定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2802A (ko) * 2019-07-26 2021-02-0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드릴쉽의 머드 밀도 측정 장치
KR102573047B1 (ko) 2019-07-26 2023-08-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드릴쉽의 머드 밀도 측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3606A (ko) 2018-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15131B2 (en) Method of determining surface level, and a soil moisture sensor
CN106908028A (zh) 管廊沉降检测系统及检测方法
CN109737923A (zh) 一种风力发电机塔筒垂直度检测方法
JP2011231568A (ja) 間隙水圧測定装置、それを用いた軟弱地盤の改良工法、地下埋設物が埋設される地盤の動態把握方法、及び盛土構造物が造成される地盤の動態把握方法
CN102288157A (zh) 一种地基深层沉降监测方法
KR101838624B1 (ko) 지반의 침하량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CN115218860B (zh) 一种基于Mems加速度传感器的道路形变预测方法
CN102269578A (zh) 空间结构竖向变形测量装置
US20220252441A1 (en) Flow Meter for Sewage Conduit
CN108195441A (zh) 径流小区土壤水分及出流监测系统及方法
CN107120532B (zh) 基于快速正交搜索算法的管道连接器检测方法
CN205482771U (zh) 一种tdr原理的尾矿库干滩长度测量传感器
US20150345108A1 (en) Method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a cutting device in the ground using a mobile carriage
JP4660805B2 (ja) 光ファイバセンサを用いた変位測定方法
CN105841596B (zh) Tdr原理的尾矿库干滩长度测量传感器及其测量方法
KR101436045B1 (ko) 차량의 주행정보를 이용한 도로경사 측정방법
KR101833543B1 (ko) 저탄소에 부합하는 비만관 하수 유량 측정 장치
CN104596475A (zh) 地层沉降监测系统及方法
CN105241421A (zh) 一种管桩倾斜度测量方法
CN201803708U (zh) 空间结构竖向变形测量装置
CN106323233A (zh) 沉降杯监测系统及其测量方法
JP5842071B1 (ja) 下水管路の流水検出装置および検出方法
KR102151530B1 (ko) 강관파일 수직도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강관파일 수직도 측정방법
CN103499367B (zh) 串阻式河沟两岸浸润范围测试方法
CN110793481A (zh) 传感器受初始安装倾角影响的数据自动校正系统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