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8608B1 - 멀티 재생 동기화장치 및 그 장치의 동작 방법,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멀티 재생 동기화장치 및 그 장치의 동작 방법,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8608B1
KR101838608B1 KR1020160110651A KR20160110651A KR101838608B1 KR 101838608 B1 KR101838608 B1 KR 101838608B1 KR 1020160110651 A KR1020160110651 A KR 1020160110651A KR 20160110651 A KR20160110651 A KR 20160110651A KR 101838608 B1 KR101838608 B1 KR 1018386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production
content
beacon
playback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0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4442A (ko
Inventor
김진영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106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8608B1/ko
Publication of KR20180024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44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86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86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42Synchronization processes, e.g. processing of PCR [Program Clock 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02Content synchronisation processes, e.g. decoder synchron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02Content synchronisation processes, e.g. decoder synchronisation
    • H04N21/4307Synchronising the rendering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r additional data on devices, e.g. synchronisation of audio on a mobile phone with the video output on the TV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02Content synchronisation processes, e.g. decoder synchronisation
    • H04N21/4307Synchronising the rendering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r additional data on devices, e.g. synchronisation of audio on a mobile phone with the video output on the TV screen
    • H04N21/43076Synchronising the rendering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r additional data on devices, e.g. synchronisation of audio on a mobile phone with the video output on the TV screen of the same content streams on multiple devices, e.g. when family members are watching the same movie on differ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러 장치에서 동시에 컨텐츠를 재생하는 멀티 재생에 있어서, 장치 간 정교한 재생 동기화를 가능하게 하면서 재생 품질 저하 및 설치환경 제약으로부터 자유롭고 저비용 및 확장성을 보장할 수 있는 향상된 동기화 방식을 실현하는, 멀티 재생 동기화장치 및 그 동작 방법과,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을 제안한다.

Description

멀티 재생 동기화장치 및 그 장치의 동작 방법,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MULTI PLAY SYNCHRONIZ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ONTENTS PLAY PROGRAM}
본 발명은, 여러 장치에서 동시에 컨텐츠를 재생하는 멀티 재생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멀티 재생에 있어서 장치 간 정교한 재생 동기화를 가능하게 하면서 재생 품질 저하 및 설치환경 제약으로부터 자유롭고 저비용 및 확장성을 보장할 수 있는 향상된 동기화 방식을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여러 디스플레이에 컨텐츠를 동시에 출력하여 재생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컨텐츠 재생 시에는, 여러 개의 디스플레이에서 동시에 동일 컨텐츠를 출력하는 만큼 컨텐츠의 동기화가 매우 중요하다.
기존에, 멀티 디스플레이 컨텐츠 재생(이하, 멀티 재생) 시 컨텐츠의 동기화를 위한 방식은, 크게 다음의 세가지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먼저, 하드웨어 방식의 경우, 단일 장비(주로 PC)에 여러 개의 디스플레이(모니터)를 연결하여, 단일 장비(주로 PC)의 제어 하에 동일 컨텐츠 재생 및 동기화가 수행되는 방식이다.
이러한 하드웨어 방식에서는, 컨텐츠의 동기화 성능이 우수한 장점이 있는 반면, 단일 장비에 연결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개수가 제한되기 한계 및 제한된 디스플레이 개수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고비용의 하드웨어 변경이 요구되는 단점을 갖는다.
다음, chain 구조 방식의 경우, 디스플레이 간에 연결된 버스 결선방식 기술을 기반으로, 사전에 설정된 디스플레이 간에 컨텐츠 및 동기 신호를 전달하여 여러 개의 디스플레이가 동일 컨텐츠를 분배 재생 및 동기화하는 방식이다.
헌데, chain 구조 방식에서는, 디스플레이 간의 유선연결을 요구하기 때문에, 거리와 설치환경 및 활용분야에 제약이 있고, 컨텐츠를 분배/재생함으로 인해 해상도가 디스플레이 개수 만큼 떨어지는 재생 품질의 한계를 갖는다.
다음, 소프트웨어 방식의 경우, 디스플레이의 개수 만큼 각각의 재생장치(player)가 존재하는 경우 주로 사용되며, 기준이 되는 외부시스템 및 재생장치들 간에, 또는 마스터 재생장치와 여러 슬레이브 재생장치 간에, 상호 정의한 프로토콜 기반의 동기화를 지속적으로 수행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방식에서는, 재생장치 간 네트워크 연결만 보장된다면 이론적으로 무한히 많은 개수의 디스플레이로 확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소프트웨어 방식에서는, 기본적으로 네트워크 지연에 따른 동기화 오차가 존재하고, 또한 재생장치 내부적으로도 어플리케이션 레벨의 네트워크 전송 요청과 실제 physical 레벨에서의 실행(출력, 송신 등) 사이에 시간 오차(이하, 장치 내부적 지연)가 존재하기 때문에, 정교한 재생 동기화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더불어, 재생장치 간 네트워크 연결을 보장해야만 하는 설치환경 제약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멀티 디스플레이 컨텐츠 재생(멀티 재생)에 있어서, 장치 간 정교한 재생 동기화를 가능하게 하면서도, 기존의 동기화 방식들 대비 재생 품질 저하 및 설치환경 제약으로부터 자유로우면서 저비용 및 확장성을 보장할 수 있는 향상된 동기화 방식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여러 장치에서 동시에 컨텐츠를 재생하는 멀티 재생에 있어서, 재생 품질 저하 및 설치환경 제약으로부터 자유로우면서 저비용 및 확장성도 보장하되, 장치 간 정교한 재생 동기화를 가능하게 하는 동기화 방식을 실현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멀티 재생 동기화장치는, 다수의 재생장치로 구성된 멀티재생그룹의 마스터 재생장치로 제공되는 특정 컨텐츠에 사운드 비컨을 출력하게 하는 특정 정보를 삽입하여, 상기 마스터재생장치가 상기 특정 컨텐츠 재생 시 사운드 비컨을 출력하도록 하는 마스터제어부; 및 상기 마스터 재생장치로 제공한 특정 컨텐츠에 상기 특정 정보가 삽입된 시점을 나타내는 비컨시점정보를 상기 멀티재생그룹의 슬레이브 재생장치로 제공하여, 상기 슬레이브 재생장치가 상기 비컨시점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운드 비컨을 수신하여 상기 마스터 재생장치와의 재생 동기화에 이용하도록 하는 슬레이브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스터제어부는, 상기 특정 컨텐츠에 상기 특정 정보를 인코딩시켜 삽입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스터제어부는, 상기 특정 컨텐츠에 상기 특정 정보 삽입 시 상기 멀티재생그룹을 식별하는 특정 식별자를 추가하여, 상기 멀티재생그룹 내 슬레이브 재생장치에서만 상기 마스터재생장치가 출력하는 사운드 비컨을 이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운드 비컨은, 비가청 주파수대역을 갖는 사운드 형태의 비컨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멀티재생그룹에서 마스터 재생장치와 슬레이브 재생장치를 구분하는 장치구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은, 멀티재생그룹의 컨텐츠 재생스케줄에 따라, 컨텐츠를 재생하는 재생단계; 및 재생 중인 컨텐츠에 삽입되어 있는 특정 정보에 따른 사운드 비컨을 출력하여, 상기 멀티재생그룹의 슬레이브가 상기 사운드 비컨을 수신하여 마스터와의 재생 동기화에 이용할 수 있게 하는 비컨출력단계를 실행시키도록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비컨출력단계는, 상기 사운드 비컨을 정해진 횟수만큼 출력하되, 상기 사운드 비컨을 출력하는 횟수 및 출력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멀티재생그룹에서 재생하는 컨텐츠와 관련된 동기화 요구레벨에 따라서 상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른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은, 멀티재생그룹의 마스터로 제공된 특정 컨텐츠에 사운드 비컨을 출력하게 하는 특정 정보가 삽입된 시점을 나타내는 비컨시점정보를 획득하는 정보획득단계; 상기 비컨시점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특정 컨텐츠를 재생하는 마스터에서 출력되는 사운드 비컨을 수신하는 사운드비컨수신단계; 및 상기 사운드 비컨을 이용하여, 상기 마스터와의 재생 동기화를 수행하는 동기화단계를 실행시키도록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운드비컨수신단계는, 상기 멀티재생그룹의 컨텐츠 재생스케줄 및 상기 비컨시점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마스터가 상기 특정 컨텐츠를 재생하는 중 출력하는 사운드 비컨이 수신될 것으로 예상되는 수신예상시점을 계산하고, 상기 수신예상시점을 기준으로 일정 시간 이전부터 사운드 비컨 수신을 대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동기화단계는, 상기 사운드 비컨을 수신한 수신시점 및 상기 수신예상시점에 기초하여, 상기 마스터와의 시간 차를 확인하고, 상기 마스터와의 시간 차를 로컬 시간에 반영하여, 상기 마스터와의 재생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운드비컨수신단계는, 상기 사운드 비컨을 정해진 횟수만큼 수신하되, 상기 사운드 비컨을 수신하는 횟수 및 수신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멀티재생그룹에서 재생하는 컨텐츠와 관련된 동기화 요구레벨에 따라서 상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4 관점에 따른 멀티 재생 동기화장치의 동작 방법은, 다수의 재생장치로 구성된 멀티재생그룹의 마스터 재생장치로 제공되는 특정 컨텐츠에 사운드 비컨을 출력하게 하는 특정 정보를 삽입하여, 상기 마스터재생장치가 상기 특정 컨텐츠 재생 시 사운드 비컨을 출력하도록 하는 마스터제어단계; 상기 마스터재생장치로 제공한 특정 컨텐츠에 상기 특정 정보가 삽입된 시점을 나타내는 비컨시점정보를 상기 멀티재생그룹의 슬레이브 재생장치로 제공하여, 상기 슬레이브 재생장치가 상기 비컨시점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운드 비컨을 수신하여 상기 마스터 재생장치와의 재생 동기화에 이용하도록 하는 슬레이브제어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여러 장치에서 동시에 컨텐츠를 재생하는 멀티 재생에 있어서, 재생 품질 저하 및 설치환경 제약으로부터 자유로우면서 저비용 및 확장성도 보장하되, 장치 간 정교한 재생 동기화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멀티 재생 시스템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 재생 동기화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 재생 동기화장치의 동작 방법이 동작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의 실행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멀티 재생 시스템을 보여주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멀티 재생 시스템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장치(이하, 재생장치)와, 멀티 재생 동기화장치(100)를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의 멀티 재생 시스템에서 재생하는 컨텐츠는, 영상 컨텐츠일 수도 있고, 음성 컨텐츠일 수도 있고, 영성 및 음성을 모두 포함한 AV(Audio/Video) 컨텐츠일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장치 즉 재생장치1,2,...N은, 영상재생장치일 수도 있고, 음성재생장치일 수도 있고, AV재생장치일 수도 있다.
이에,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멀티 재생 시스템은, 컨텐츠를 영상 컨텐츠라고 가정하는 경우, 동시에 동일한 컨텐츠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미도시)의 개수(N) 만큼 구비된 각각의 재생장치1,2,...N을 하나의 멀티재생그룹으로 구성하고 있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멀티 재생 시스템에서, 본 발명의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재생장치1,2,...N 각각은, 멀티 재생 동기화장치(100)와는 네트워크 연결을 유지해야 하며, 멀티재생그룹 내 다른 재생장치와는 네트워크 연결을 유지할 필요가 없다.
한편, 도 1에서는, 멀티 재생 동기화장치(100) 및 하나의 멀티재생그룹(재생장치1,2,...N)을 도시하였지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가장 단순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일 뿐이다. 즉, 본 발명의 멀티 재생 시스템은, 멀티 재생 동기화장치(100) 및 다수의 멀티재생그룹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멀티 재생 동기화장치(100) 및 하나의 멀티재생그룹(재생장치1,2,...N)을 기준으로 설명하겠다.
이러한 시스템 구조에서, 본 발명의 멀티 재생 동기화장치(100)는, 멀티재생그룹으로 구성된 재생장치1,2,...N에서, 마스터와 슬레이브를 구분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재생장치3을 마스터 재생장치로, 나머지 재생장치1,2,4,...N을 슬레이브 재생장치로 가정하겠다.
그리고, 멀티 재생 동기화장치(100)는, 멀티재생그룹의 재생장치1,2,...N으로, 동시에 재생하고자 하는 컨텐츠 및 컨텐츠 재생스케줄을 제공한다.
이렇게 되면, 하나의 멀티재생그룹에 속하는 재생장치1,2,...N 각각에서 실행되는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은, 자신에게 제공된 컨텐츠 및 컨텐츠 재생스케줄을 재생장치 내 저장소(미도시)에 저장할 것이다.
이때, 멀티 재생 동기화장치(100)는, 마스터 재생장치3으로 제공하는 특정 컨텐츠에, 사운드 비컨을 삽입하여 제공한다.
아울러, 멀티 재생 동기화장치(100)는, 마스터 재생장치3으로 제공한 특정 컨텐츠에 사운드 비컨이 삽입된 시점을 나타내는 비컨시점정보를, 슬레이브 재생장치1,2,4,...N로 제공한다.
이때, 멀티 재생 동기화장치(100)는, 컨텐츠 및 컨텐츠 재생스케줄을 제공할 때 비컨시점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도 있고, 컨텐츠 및 컨텐츠 재생스케줄을 제공하는 것과는 별개로 별도의 시점에 나타내는 비컨시점정보를 슬레이브 재생장치1,2,4,...N로 제공할 수도 있다.
이에, 재생장치1,2,...N 각각에서 실행되는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은, 컨텐츠 재생스케줄에 따라서 기 저장하고 있는 컨텐츠를 재생함으로써, 하나의 멀티재생그룹에서 동시에 동일한 컨텐츠를 N개의 디스플레이(미도시)에 출력할 것이다.
이처럼, 멀티재생그룹에서 컨텐츠 재생스케줄에 따라 동시에 동일한 컨텐츠를 재생하는 과정 중, 마스터 재생장치3는 특정 컨텐츠 재생할 때 특정 컨텐츠에 삽입되어 있는 사운드 비컨을 출력할 것이다.
아울러, 멀티재생그룹에서 컨텐츠 재생스케줄에 따라 동시에 동일한 컨텐츠를 재생하는 과정 중, 슬레이브 재생장치1,2,4,...N 각각은 기 제공된 비컨시점정보를 기반으로 사운드 비컨을 수신하고 사운드 비컨을 이용하여 마스터 재생장치3와의 재생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멀티 재생 시스템에 포함된 각 장치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먼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 재생 동기화장치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재생 동기화장치(100)는, 다수의 재생장치로 구성된 멀티재생그룹에서, 마스터 재생장치와 슬레이브 재생장치를 구분하는 장치구분부(110)와, 상기 마스터 재생장치로 제공되는 특정 컨텐츠에 사운드 비컨을 출력하게 하는 특정 정보를 삽입하여, 상기 마스터재생장치가 상기 특정 컨텐츠 재생 시 사운드 비컨을 출력하도록 하는 마스터제어부(120)와, 상기 마스터 재생장치로 제공한 특정 컨텐츠에 상기 특정 정보가 삽입된 시점을 나타내는 비컨시점정보를 상기 슬레이브 재생장치로 제공하여, 상기 슬레이브 재생장치가 상기 비컨시점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운드 비컨을 수신하여 상기 마스터 재생장치와의 재생 동기화에 이용하도록 하는 슬레이브제어부(13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재생장치1,2,...N으로 구성된 멀티재생그룹을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장치구분부(110)는, 재생장치1,2,...N으로 구성된 멀티재생그룹에서, 마스터 재생장치와 슬레이브 재생장치를 구분한다.
이때, 장치구분부(110)가 마스터 재생장치와 슬레이브 재생장치를 구분하는 방식에는 제약이 없으나, 멀티재생그룹 내에서는 항상 1개의 재생장치(컨텐츠 재생 프로그램) 만이 마스터가 될 수 있다.
이에, 멀티재생그룹에서 1개의 재생장치(컨텐츠 재생 프로그램)가 마스터로 구분되면 나머지 재생장치들(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이 슬레이브로 구분될 것이다.
이러한 마스터/슬레이브 재생장치 구분은, 멀티재생그룹이 구성된 후 최초에 1회만 수행되고, 이후에는 멀티재생그룹에 변경 또는 재생장치 교체 등이 발생하는 경우 재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재생장치3을 마스터 재생장치로, 나머지 재생장치1,2,4,...N을 슬레이브 재생장치로 가정하겠다.
마스터제어부(120)는, 마스터 재생장치3으로 제공되는 특정 컨텐츠에 사운드 비컨을 출력하게 하는 특정 정보를 삽입하여, 마스터 재생장치3이 특정 컨텐츠 재생 시 사운드 비컨을 출력하도록 한다.
이때, 특정 정보는, 출력 대상인 사운드 비컨 자체일 수도 있고, 마스터 재생장치3로 하여금 사운드 비컨을 생성하여 출력하도록 하는 명령정보(+재생시점)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특정 컨텐츠에 특정 정보로서 출력 대상인 사운드 비컨 자체를 삽입하는 실시예를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멀티 재생 동기화장치(100)는, 재생장치1,2,...N 각각과 유지되고 있는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서, 멀티재생그룹에서 동시에 재생하고자 하는 컨텐츠 및 컨텐츠 재생스케줄을 재생장치1,2,...N 각각에 제공한다.
이렇게 되면, 멀티재생그룹에 속하는 재생장치1,2,...N 각각에서 실행되는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은, 자신에게 제공된 컨텐츠 및 컨텐츠 재생스케줄을 재생장치 내 저장소(미도시)에 저장할 것이다.
이때, 마스터제어부(120)는, 멀티재생그룹에서 마스터로 구분된 마스터 재생장치3으로 제공되는 특정 컨텐츠에 특정 정보 즉 사운드 비컨을 삽입하여 제공한다.
여기서, 사운드 비컨을 삽입시키는 특정 컨텐츠는, 멀티재생그룹에서 동시에 재생하고자 하는 컨텐츠 중에서, 시간길이를 가지는 컨텐츠(대표적으로 영상 컨텐츠)로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마스터제어부(120)는, 특정 컨텐츠에 특정 정보 즉 사운드 비컨을 인코딩시키는 방식으로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마스터제어부(120)는, 멀티재생그룹에서 동시에 재생하고자 하는 컨텐츠 중에서 사운드 비컨을 삽입할 특정 컨텐츠(예: 영상 컨텐츠)를 정하고, 멀티 재생 동기화장치(100)에서 컨텐츠 및 컨텐츠 재생스케줄을 재생장치1,2,...N 각각에 제공할 때 마스터 재생장치3으로 제공되는 특정 컨텐츠(예: 영상 컨텐츠)에는 사운드 비컨을 인코딩시키는 방식으로 삽입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마스터 재생장치3에서 실행되는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은, 컨텐츠 재생스케줄에 따라 컨텐츠를 재생할 것이고, 이러한 재생 과정 중에 특정 컨텐츠(예: 영상 컨텐츠)를 재생할 때 특정 컨텐츠(예: 영상 컨텐츠)에 삽입되어 있는 사운드 비컨을 출력할 것이다.
여기서, 마스터제어부(120)가 마스터 재생장치3으로 제공되는 특정 컨텐츠(예: 영상 컨텐츠)에 사운드 비컨을 인코딩시켜 삽입하는 방식은, 다음의 3가지 방식이 존재할 수 있다.
특정 컨텐츠 내 하나의 재생시점에 사운드 비컨을 인코딩시키는 방식1, 특정 컨텐츠 내 다수의 재생시점(M개의 재생시점)에 사운드 비컨을 인코딩시키는 방식2, 특정 컨텐츠 내 하나의 재생시점에 사운드 비컨을 인코딩시키되 횟수 및 출력주기 정보를 추가로 제공하는 방식3이다.
방식1의 경우라면, 마스터 재생장치3에서 실행되는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은, 컨텐츠 재생스케줄에 따라 컨텐츠를 재생할 것이고, 이러한 재생 과정 중에 특정 컨텐츠(예: 영상 컨텐츠) 재생 시 사운드 비컨이 인코딩/삽입되어 있는 하나의 재생시점에서 사운드 비컨을 1회 출력할 것이다.
방식2의 경우라면, 마스터 재생장치3에서 실행되는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은, 컨텐츠 재생스케줄에 따라 컨텐츠를 재생할 것이고, 이러한 재생 과정 중에 특정 컨텐츠(예: 영상 컨텐츠) 재생 시 사운드 비컨이 인코딩/삽입되어 있는 매 재생시점에서 사운드 비컨을 출력하여, 총 M번의 사운드 비컨을 출력할 것이다.
방식3의 경우라면, 마스터 재생장치3에서 실행되는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은, 컨텐츠 재생스케줄에 따라 컨텐츠를 재생할 것이고, 이러한 재생 과정 중에 특정 컨텐츠(예: 영상 컨텐츠) 재생 시 사운드 비컨이 인코딩/삽입되어 있는 하나의 재생시점을 기준으로 횟수 및 출력주기 정보(예: 5회/10초)에 따른 출력주기(10초) 마다 정해진 횟수(5회) 만큼 사운드 비컨을 출력할 것이다.
여기서, 방식3의 경우, 마스터제어부(120)는, 멀티재생그룹(재생장치1,2,...N)에서 재생하는 컨텐츠와 관련된 동기화 요구레벨에 따라서, 횟수 및 출력주기 정보를 상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마스터 재생장치3에서 실행되는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은, 특정 컨텐츠(예: 영상 컨텐츠) 재생 시 횟수 및 출력주기 정보에 따른 출력주기 마다 정해진 횟수 만큼 사운드 비컨을 출력하되, 사운드 비컨을 출력하는 횟수 및 출력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멀티재생그룹(재생장치1,2,...N)에서 재생하는 컨텐츠와 관련된 동기화 요구레벨에 따라서 상이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마스터제어부(120)는, 특정 컨텐츠(예: 영상 컨텐츠)에 사운드 비컨 삽입 시 멀티재생그룹을 식별하는 특정 식별자를 추가하여, 멀티재생그룹 내 슬레이브 재생장치1,2,4,...N에서만 마스터 재생장치3이 출력하는 사운드 비컨을 이용할 수 있게 한다.
이때, 특정 식별자는, 멀티재생그룹의 ID일 수도 있고, 또는 마스터 재생장치3의 장치ID일 수도 있고, 마스터 재생장치3에서 실행되는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의 프로그램ID일 수도 있다.
이렇게 되면, 마스터 재생장치3에서 실행되는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은, 컨텐츠 재생스케줄에 따라 컨텐츠를 재생할 것이고, 이러한 재생 과정 중에 특정 컨텐츠(예: 영상 컨텐츠) 재생 시 사운드 비컨(+특정 식별자)을 출력할 것이다.
여기서, 마스터 재생장치3이 출력하는 사운드 비컨은, 비가청 주파수대역을 갖는 사운드 형태의 비컨이다.
즉, 사운드 비컨은, WPAN/WLAN의 무선통신 기반의 비컨 신호가 아닌, 비가청 주파수대역의 소리를 통해 전달되는 사운드 형태의 비컨 신호를 의미한다.
사람의 가청 주파수대역은 약 20~20kHz 이지만 스피커나 마이크의 동작 주파수대역은 20kHz 이상의 주파수대역에서 재생 및 수신 가능하므로, 20 kHz이상의 비가청 주파수대역에 사운드 형태의 비컨 신호를 발생할 경우, 사람은 인지하지 못하나 스피커/마이크 등의 사운드출력모듈/사운드출력모듈에서는 인지가 가능한 비컨 신호를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슬레이브제어부(130)는, 마스터 재생장치3으로 제공한 특정 컨텐츠에 특정 정보 즉 사운드 비컨이 삽입된 시점을 나타내는 비컨시점정보를 슬레이브 재생장치1,2,4,...N 로 제공하여, 슬레이브 재생장치1,2,4,...N이 비컨시점정보를 기반으로 사운드 비컨을 수신하여 마스터 재생장치3과의 재생 동기화에 이용하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비컨시점정보는, 사운드 비컨을 삽입한 특정 컨텐츠의 컨텐츠ID와, 특정 컨텐츠 내 사운드 비컨이 삽입된 재생시점(예: 00:00:10:00)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이때, 비컨시점정보는, 특정 컨텐츠 내 하나의 재생시점에 사운드 비컨이 삽입된 전술의 방식1의 경우라면 하나의 재생시점으로 표현될 것이고, 특정 컨텐츠 내 다수의 재생시점(M개의 재생시점)에 사운드 비컨이 삽입된 전술의 방식2의 경우라면 다수(M개)의 재생시점으로 표현될 것이다.
한편, 비컨시점정보는, 특정 컨텐츠 내 하나의 재생시점에 사운드 비컨이 삽입되고 횟수 및 출력주기 정보가 추가되는 전술의 방식3의 경우라면, 컨텐츠ID와 재생시점(예: 00:00:10:00) 뿐 아니라 횟수 및 출력주기 정보로 표현될 것이다.
그리고, 슬레이브제어부(130)는, 멀티재생그룹에서 동시에 재생하고자 하는 컨텐츠 및 컨텐츠 재생스케줄을 제공할 때 비컨시점정보를 슬레이브 재생장치1,2,4,...N로 함께 제공할 수도 있고, 별도의 시점에 비컨시점정보를 슬레이브 재생장치1,2,4,...N로 제공할 수도 있다.
이렇게 되면, 슬레이브 재생장치1,2,4,...N 각각에서 실행되는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은, 컨텐츠 재생스케줄에 따라 컨텐츠를 재생할 것이고, 이러한 재생 과정 중에 특정 컨텐츠(예: 영상 컨텐츠) 재생 시 비컨시점정보를 기반으로 사운드 비컨을 수신하고 사운드 비컨을 이용하여 마스터 재생장치3과의 재생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 및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장치(재생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본 발명의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재생장치는, 중앙의 서버 즉 멀티 재생 동기화장치(100)의 제어 하에 컨텐츠를 재생할 수도 있고, 중앙의 서버 제어 없이 자체적으로 컨텐츠츠 재생하는 Standalone으로 동작할 수도 있다.
먼저, 도 3을 참조하여 마스터로 구분된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 및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장치(예: 재생장치3)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200)은, 컨텐츠(예: 영상, 음성, AV 등)을 재생할 수 있는 장치 즉 재생장치3에서 실행된다.
이에, 재생장치3은, 컨텐츠를 재생 및 출력하기 위한 하드웨어 구성인 재생부(30)를 포함한다. 재생부(30)에는, 디스플레이모듈과 사운드출력모듈(예: 스피커)이 포함될 수 있다.
아울러, 재생장치3은, 멀티 재생 동기화장치(100)와의 네트워크 연결을 유지하기 위한 하드웨어 구성인 통신부(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200)은, 다수의 재생장치로 구성된 멀티재생그룹에서, 마스터로 구분되는 구분결과를 인지하는 인지기능(210)과, 상기 멀티재생그룹의 컨텐츠 재생스케줄에 따라, 컨텐츠를 재생하는 재생기능(220)과, 재생 중인 컨텐츠에 삽입되어 있는 특정 정보에 따른 사운드 비컨을 출력하여, 상기 멀티재생그룹의 슬레이브가 상기 사운드 비컨을 수신하여 마스터와의 재생 동기화에 이용할 수 있게 하는 비컨출력기능(230)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재생장치1,2,...N으로 구성된 멀티재생그룹을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기본적으로,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200)은, 재생장치3의 통신부(40)를 통해서, 멀티재생그룹에서 동시에 재생하고자 하는 컨텐츠 및 컨텐츠 재생스케줄을 수신한다.
인지기능(210)은, 다수의 재생장치로 구성된 멀티재생그룹에서, 마스터로 구분되는 구분결과를 인지한다.
이때, 인지기능(210)은, 멀티 재생 동기화장치(100)에 의해 마스터로 구분되는 구분결과를 인지할 수 있다.
한편, 인지기능(210)은,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200)이 실행되는 장치 즉 재생장치3의 설치 시 수동 입력에 의해 마스터로 구분되는 구분결과를 인지할 수도 있다.
한편,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200)이 Standalone으로 동작하는 경우, 인지기능(210)은 멀티재생그룹에 속하는 다른 재생장치1,2,4...N 내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들과 공유하는 구분 방식에 따라서 자체적으로 자신을 마스터로 구분하고 이로써 구분결과를 인지할 수도 있다.
이 경우라면, 다른 재생장치1,2,4...N 내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들 각각은, Standalone으로 동작하여, 자체적으로 자신을 슬레이브로 구분할 것이다.
재생기능(220)은, 멀티재생그룹의 컨텐츠 재생스케줄에 따라, 컨텐츠를 재생한다.
구체적으로, 재생기능(220)은, 통신부(40)를 통해 네트워크 연결된 멀티 재생 동기화장치(100)로부터, 멀티재생그룹에서 동시에 재생하고자 하는 컨텐츠 및 컨텐츠 재생스케줄을 제공받아 수신한다.
이에, 재생기능(220)은, 자신에게 제공된 컨텐츠 및 컨텐츠 재생스케줄을 재생장치3 내 저장소(미도시)에 저장할 것이다.
그리고, 재생기능(220)은, 재생부(30, 특히 디스플레이모듈)과 연동하여, 컨텐츠 재생스케줄에 따라 기 저장하고 있는 컨텐츠를 재생할 것이다.
이에, 재생장치1,2,...N 각각에서 실행되는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은, 컨텐츠 재생스케줄에 따라서 기 저장하고 있는 컨텐츠를 재생함으로써, 하나의 멀티재생그룹에서 동시에 동일한 컨텐츠를 N개의 디스플레이(미도시)에 출력할 것이다.
비컨출력기능(230)은, 재생 중인 컨텐츠에 삽입되어 있는 특정 정보에 따른 사운드 비컨을 출력하여, 멀티재생그룹의 슬레이브(재생장치1,2,4...N)가 사운드 비컨을 수신하여 마스터(재생장치3)와의 재생 동기화에 이용할 수 있게 한다.
이때, 특정 정보는, 출력 대상인 사운드 비컨 자체일 수도 있고,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200)으로 하여금 사운드 비컨을 생성하여 출력하도록 하는 명령정보(+재생시점)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특정 정보로서 출력 대상인 사운드 비컨 자체가 삽입되는 실시예를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전술과 같이, 멀티 재생 동기화장치(100)가 컨텐츠 및 컨텐츠 재생스케줄을 재생장치1,2,...N 각각에 제공할 때, 마스터 재생장치3으로 제공되는 특정 컨텐츠(예: 영상 컨텐츠)에 특정 정보 즉 사운드 비컨을 인코딩시키는 방식으로 삽입하여 제공하였다고 가정한다.
이렇게 되면, 재생기능(220)에서는 컨텐츠 재생스케줄에 따라 컨텐츠를 재생할 것이다.
비컨출력기능(230)은, 재생기능(220)에 의한 컨텐츠 재생 과정 중 특정 컨텐츠(예: 영상 컨텐츠)를 재생할 때, 특정 컨텐츠(예: 영상 컨텐츠)에 삽입되어 있는 사운드 비컨을 출력할 것이다.
이때, 비컨출력기능(230)은, 재생부(30) 내 사운드출력모듈(예: 스피커)과 연동하여, 사운드 비컨을 출력한다.
비컨출력기능(230)이 사운드 비컨을 출력하는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사운드 비컨이 특정 컨텐츠(예: 영상 컨텐츠) 내 하나의 재생시점에 인코딩/삽입된 방식1이라면, 비컨출력기능(230)은, 특정 컨텐츠(예: 영상 컨텐츠) 재생 시 사운드 비컨이 인코딩/삽입되어 있는 하나의 재생시점에서 사운드 비컨을 1회 출력할 것이다.
한편, 사운드 비컨이 특정 컨텐츠(예: 영상 컨텐츠) 내 다수의 재생시점(M개의 재생시점)에 인코딩/삽입된 방식2라면, 비컨출력기능(230)은, 특정 컨텐츠(예: 영상 컨텐츠) 재생 시 사운드 비컨이 인코딩/삽입되어 있는 매 재생시점에서 사운드 비컨을 출력하여, 총 M번의 사운드 비컨을 출력할 것이다.
한편, 사운드 비컨이 특정 컨텐츠(예: 영상 컨텐츠) 내 하나의 재생시점에 인코딩/삽입되고 횟수 및 출력주기 정보가 추가 제공되는 방식3이라면, 비컨출력기능(230)은, 특정 컨텐츠(예: 영상 컨텐츠) 재생 시 사운드 비컨이 인코딩/삽입되어 있는 하나의 재생시점을 기준으로 횟수 및 출력주기 정보(예: 5회/10초)에 따른 출력주기(10초) 마다 정해진 횟수(5회) 만큼 사운드 비컨을 출력할 것이다.
이때, 비컨출력기능(230)은, 사운드 비컨을 정해진 횟수만큼 출력하되, 사운드 비컨을 출력하는 횟수 및 출력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멀티재생그룹에서 재생하는 컨텐츠와 관련된 동기화 요구레벨에 따라서 상이하게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멀티 재생 동기화장치(100)이 제공하는 횟수 및 출력주기 정보는, 멀티재생그룹에서 재생하는 컨텐츠와 관련된 동기화 요구레벨에 따라 횟수 및 출력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상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멀티재생그룹에서 재생하는 컨텐츠가 고해상도의 영상 컨텐츠일 수록, 또는 컨텐츠의 카테고리가 영상 전달 의도의 카테고리인 경우, 또는 컨텐츠의 제작의도가 근거리 감상용인 경우, 멀티재생그룹의 N개 디스플레이 간에 요구되는 재생 동기화의 정밀도(요구레벨)가 높아진다.
반대로, 멀티재생그룹에서 재생하는 컨텐츠가 저해상도의 영상 컨텐츠일 수록, 또는 컨텐츠의 카테고리가 전시 의도의 카테고리인 경우, 또는 컨텐츠의 제작의도가 원거리 감상용인 경우, 멀티재생그룹의 N개 디스플레이 간에 요구되는 재생 동기화의 정밀도(요구레벨)가 상대적으로 낮아진다.
이에, 멀티재생그룹에서 재생하는 컨텐츠, 보다 구체적으로 컨텐츠의 해상도, 컨텐츠 카테고리, 컨텐츠 제작의도 등에 따라 동기화 요구레벨을 다양하게 하고, 다양한 동기화 요구레벨에 따라 횟수 및 출력주기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한 횟수 및 출력주기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재생 동기화의 요구레벨이 높을수록, 횟수를 늘리고 출력주기를 줄이는 방향으로 횟수 및 출력주기 정보를 상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비컨출력기능(230)은, 특정 컨텐츠(예: 영상 컨텐츠) 재생 시 사운드 비컨이 인코딩/삽입되어 있는 하나의 재생시점을 기준으로, 재생 동기화의 요구레벨이 높을수록 횟수를 늘리고 출력주기를 줄이는 방향으로 상이하게 설정된 횟수 및 출력주기 정보에 따라 사운드 비컨을 출력함으로써, 사운드 비컨을 출력하는 횟수 및 출력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멀티재생그룹에서 재생하는 컨텐츠와 관련된 동기화 요구레벨에 따라서 상이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재생 동기화의 정밀도(요구레벨)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컨텐츠 외에도 멀티재생그룹의 N개 디스플레이가 설치된 설치환경, 하드웨어적 제약 등 다양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다양한 요소들과 관련된 동기화 요구레벨에 따라서 사운드 비컨을 출력하는 횟수 및 출력주기를 상이하게 조정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때, 비컨출력기능(230)은, 앞서 멀티 재생 동기화장치(100)로부터 특정 컨텐츠(예: 영상 컨텐츠)에 사운드 비컨 삽입 시 멀티재생그룹을 식별하는 특정 식별자가 추가된 경우라면, 특정 컨텐츠(예: 영상 컨텐츠) 재생 시 사운드 비컨과 함께 특정 식별자(멀티재생그룹의 ID, 재생장치3의 장치ID, 재생장치3에서 실행되는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의 프로그램ID)를 출력할 것이다.
다음, 도 4를 참조하여 슬레이브로 구분된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 및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장치(예: 재생장치1)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300)은, 컨텐츠(예: 영상, 음성, AV 등)을 재생할 수 있는 장치 즉 재생장치1에서 실행된다.
이에, 재생장치1은, 컨텐츠를 재생 및 출력하기 위한 하드웨어 구성인 재생부(10)와 사운드수신부(20, 사운드수신모듈)를 포함한다.
재생부(10)에는, 디스플레이모듈과 사운드출력모듈(예: 스피커)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운드수신부(20)에는, 사운드수신모듈(예: 마이크)가 포함될 수 있다.
아울러, 재생장치1은, 멀티 재생 동기화장치(100)와의 네트워크 연결을 유지하기 위한 하드웨어 구성인 통신부(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300)은, 다수의 재생장치로 구성된 멀티재생그룹에서, 슬레이브로 구분되는 구분결과를 인지하는 인지기능(310)과, 상기 멀티재생그룹의 컨텐츠 재생스케줄에 따라, 컨텐츠를 재생하는 재생기능(320)과, 상기 멀티재생그룹의 마스터로 제공된 특정 컨텐츠에 사운드 비컨을 출력하게 하는 특정 정보가 삽입된 시점을 나타내는 비컨시점정보를 획득하는 정보획득기능(330)과, 상기 비컨시점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특정 컨텐츠를 재생하는 마스터에서 출력되는 사운드 비컨을 수신하는 사운드비컨수신기능(340)과, 상기 사운드 비컨을 이용하여, 상기 마스터와의 재생 동기화를 수행하는 동기화기능(350)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재생장치1,2,...N으로 구성된 멀티재생그룹을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기본적으로,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300)은, 재생장치1의 통신부(40)를 통해서, 멀티재생그룹에서 동시에 재생하고자 하는 컨텐츠 및 컨텐츠 재생스케줄을 수신한다.
인지기능(310)은, 다수의 재생장치로 구성된 멀티재생그룹에서, 슬레이브로 구분되는 구분결과를 인지한다.
이때, 인지기능(310)은, 멀티 재생 동기화장치(100)에 의해 슬레이브로 구분되는 구분결과를 인지할 수 있다.
한편, 인지기능(210)은,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300)이 실행되는 장치 즉 재생장치1의 설치 시 수동 입력에 의해 슬레이브로 구분되는 구분결과를 인지할 수도 있다.
한편,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300)이 Standalone으로 동작하는 경우, 인지기능(310)은, 멀티재생그룹에 속하는 다른 재생장치1,2,4...N 내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들과 공유하는 구분 방식에 따라서 자체적으로 자신을 슬레이브로 구분하고 이로써 구분결과를 인지할 수도 있다.
재생기능(320)은, 멀티재생그룹의 컨텐츠 재생스케줄에 따라, 컨텐츠를 재생한다.
구체적으로, 재생기능(320)은, 통신부(40)를 통해 네트워크 연결된 멀티 재생 동기화장치(100)로부터, 멀티재생그룹에서 동시에 재생하고자 하는 컨텐츠 및 컨텐츠 재생스케줄을 제공받아 수신한다.
이에, 재생기능(320)은, 자신에게 제공된 컨텐츠 및 컨텐츠 재생스케줄을 재생장치1 내 저장소(미도시)에 저장할 것이다.
그리고, 재생기능(320)은, 재생부(30, 특히 디스플레이모듈)과 연동하여, 컨텐츠 재생스케줄에 따라 기 저장하고 있는 컨텐츠를 재생할 것이다.
이에, 재생장치1,2,...N 각각에서 실행되는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은, 컨텐츠 재생스케줄에 따라서 기 저장하고 있는 컨텐츠를 재생함으로써, 하나의 멀티재생그룹에서 동시에 동일한 컨텐츠를 N개의 디스플레이(미도시)에 출력할 것이다.
정보획득기능(330)은, 멀티재생그룹의 마스터로 제공된 특정 컨텐츠(예: 영상 컨텐츠)에 특정 정보가 삽입된 시점을 나타내는 비컨시점정보를 획득한다.
이때, 특정 정보는, 출력 대상인 사운드 비컨 자체일 수도 있고,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200)으로 하여금 사운드 비컨을 생성하여 출력하도록 하는 명령정보(+재생시점)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특정 정보로서 출력 대상인 사운드 비컨 자체가 삽입되는 실시예를 언급하고, 멀티재생그룹의 마스터는 재생장치3의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인 것으로 가정하겠다.
즉, 정보획득기능(330)은, 멀티 재생 동기화장치(100)로부터 마스터 재생장치3으로 제공된 특정 컨텐츠(예: 영상 컨텐츠)에 특정 정보 즉 사운드 비컨이 삽입된 시점을 나타내는 비컨시점정보를 수신받아 획득할 수 있다.
이때, 비컨시점정보는, 사운드 비컨을 삽입한 특정 컨텐츠의 컨텐츠ID와, 특정 컨텐츠 내 사운드 비컨이 삽입된 재생시점(예: 00:00:10:00)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이때, 비컨시점정보는, 특정 컨텐츠 내 하나의 재생시점에 사운드 비컨이 삽입된 전술의 방식1의 경우라면 하나의 재생시점으로 표현될 것이고, 특정 컨텐츠 내 다수의 재생시점(M개의 재생시점)에 사운드 비컨이 삽입된 전술의 방식2의 경우라면 다수(M개)의 재생시점으로 표현될 것이다.
한편, 비컨시점정보는, 특정 컨텐츠 내 하나의 재생시점에 사운드 비컨이 삽입되고 횟수 및 출력주기 정보가 추가되는 전술의 방식3의 경우라면, 컨텐츠ID와 재생시점(예: 00:00:10:00) 뿐 아니라 횟수 및 출력주기 정보로 표현될 것이다.
사운드비컨수신기능(340)은, 앞서 획득한 비컨시점정보를 기반으로, 특정 컨텐츠(예: 영상 컨텐츠)를 재생하는 마스터 재생장치3에서 출력되는 사운드 비컨을 수신한다.
사운드비컨수신기능(340)이 비컨시점정보를 기반으로 사운드 비컨을 수신하는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방식1에 따라 하나의 재생시점으로 표현된 비컨시점정보를 수신한 경우, 사운드비컨수신기능(340)은, 비컨시점정보를 기반으로, 특정 컨텐츠(예: 영상 컨텐츠) 재생 시 하나의 재생시점에서 사운드 비컨을 1회 수신할 것이다.
한편, 방식2에 따라 다수(M개)의 재생시점으로 표현된 비컨시점정보를 수신한 경우, 사운드비컨수신기능(340)은, 비컨시점정보를 기반으로, 특정 컨텐츠(예: 영상 컨텐츠) 재생 시 매 재생시점에서 사운드 비컨을 수신하여, 총 M번의 사운드 비컨을 수신할 것이다.
한편, 방식3에 따라 하나의 재생시점과 횟수 및 출력주기 정보로 표현된 비컨시점정보를 수신한 경우, 사운드비컨수신기능(340)은, 비컨시점정보를 기반으로, 특정 컨텐츠(예: 영상 컨텐츠) 재생 시 하나의 재생시점을 기준으로 횟수 및 출력주기 정보(예: 5회/10초)에 따른 출력주기(10초) 마다 정해진 횟수(5회) 만큼 사운드 비컨을 수신할 것이다.
이때, 사운드비컨수신기능(340)은, 사운드 비컨을 정해진 횟수만큼 수신하되, 사운드 비컨을 수신하는 횟수 및 출력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멀티재생그룹에서 재생하는 컨텐츠와 관련된 동기화 요구레벨에 따라서 상이하게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멀티 재생 동기화장치(100)이 제공하는 횟수 및 출력주기 정보는, 멀티재생그룹에서 재생하는 컨텐츠와 관련된 동기화 요구레벨에 따라 횟수 및 출력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상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멀티재생그룹에서 재생하는 컨텐츠가 고해상도의 영상 컨텐츠일 수록, 또는 컨텐츠의 카테고리가 영상 전달 의도의 카테고리인 경우, 또는 컨텐츠의 제작의도가 근거리 감상용인 경우, 멀티재생그룹의 N개 디스플레이 간에 요구되는 재생 동기화의 정밀도(요구레벨)가 높아진다.
반대로, 멀티재생그룹에서 재생하는 컨텐츠가 저해상도의 영상 컨텐츠일 수록, 또는 컨텐츠의 카테고리가 전시 의도의 카테고리인 경우, 또는 컨텐츠의 제작의도가 원거리 감상용인 경우, 멀티재생그룹의 N개 디스플레이 간에 요구되는 재생 동기화의 정밀도(요구레벨)가 상대적으로 낮아진다.
이에, 멀티재생그룹에서 재생하는 컨텐츠, 보다 구체적으로 컨텐츠의 해상도, 컨텐츠 카테고리, 컨텐츠 제작의도 등에 따라 동기화 요구레벨을 다양하게 하고, 다양한 동기화 요구레벨에 따라 횟수 및 출력주기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한 횟수 및 출력주기 정보를 정의할 수 있다.
이때, 재생 동기화의 요구레벨이 높을수록, 횟수를 늘리고 출력주기를 줄이는 방향으로 횟수 및 출력주기 정보를 상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이에, 사운드비컨수신기능(340)은, 특정 컨텐츠(예: 영상 컨텐츠) 재생 시 하나의 재생시점을 기준으로, 재생 동기화의 요구레벨이 높을수록 횟수를 늘리고 출력주기를 줄이는 방향으로 상이하게 설정된 횟수 및 출력주기 정보에 따라 사운드 비컨을 수신함으로써, 사운드 비컨을 수신하는 횟수 및 출력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멀티재생그룹에서 재생하는 컨텐츠와 관련된 동기화 요구레벨에 따라서 상이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재생 동기화의 정밀도(요구레벨)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컨텐츠 외에도 멀티재생그룹의 N개 디스플레이가 설치된 설치환경, 하드웨어적 제약 등 다양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다양한 요소들과 관련된 동기화 요구레벨에 따라서 사운드 비컨을 수신하는 횟수 및 출력주기를 상이하게 조정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사운드비컨수신기능(340)은, 전술의 방식1,2,3과 무관하게, 마스터 재생장치3과의 시간 오차를 감안하여, 사운드 비컨 수신에 실패하지 않도록 하는 수신 대기 방식을 채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사운드비컨수신기능(340)은, 멀티재생그룹의 컨텐츠 재생스케줄 및 비컨시점정보에 기초하여, 마스터 재생장치3이 특정 컨텐츠를 재생하는 중 출력하는 사운드 비컨이 수신될 것으로 예상되는 수신예상시점을 계산하고, 상기 수신예상시점을 기준으로 일정 시간 이전부터 사운드 비컨 수신을 대기할 수 있다.
한번의 사운드 비컨 수신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사운드비컨수신기능(340)은, 멀티재생그룹의 컨텐츠 재생스케줄 및 비컨시점정보에 기초하면, 사운드 비컨이 삽입되어 있는 특정 컨텐츠(컨텐츠ID)를 알 수 있고, 이 특정 컨텐츠가 언제 재생되는지 알 수 있으며, 이 컨텐츠(예: 영상 컨텐츠)의 어느 재생시점(예: 00:00:10:00) 사운드 비컨이 출력되지 알 수 있기 때문에, 마스터 재생장치3이 특정 컨텐츠를 재생하는 중 출력하는 사운드 비컨이 수신될 것으로 예상되는 수신예상시점을 계산할 수 있다.
사운드비컨수신기능(340)은, 수신예상시점을 계산하면, 수신예상시점을 기준으로 일정 시간(a) 이전부터 사운드 비컨 수신을 대기할 수 있다.
물론, 사운드비컨수신기능(340)은, 수신예상시점을 기준으로 일정 시간(a) 이전부터 사운드 비컨 수신을 대기할 뿐 아니라, 수신예상시점을 기준으로 일정 시간(a) 이후까지 사운드 비컨 수신 대기를 유지할 수도 있다.
이때, 사운드비컨수신기능(340)은, 수신예상시점을 기준으로 일정 시간(a) 이전부터 사운드수신부(20, 마이크)와 연동하여, 사운드 비컨 수신을 대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운드비컨수신기능(340)은, 방식1의 경우 1회 사운드 비컨 수신 시, 방식2 및 3의 경우 매 사운드 비컨 수신 시마다, 전술과 같이 수신예상시점을 기준으로 일정 시간 이전부터(및 이후까지) 사운드 비컨 수신을 대기할 수 있다.
한편, 사운드비컨수신기능(340)은, 사운드수신부(20, 마이크)와 연동하여 수신되는 사운드 비컨 중에서, 자신이 속해있는 멀티재생그룹을 식별하는 특정 식별자(멀티재생그룹의 ID, 마스터 재생장치3의 장치ID, 마스터 재생장치3에서 실행되는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의 프로그램ID)와 매칭되지 않는 사운드 비컨은 후술할 재생 동기화에 이용하지 않고 무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되면, 멀티재생그룹 내 슬레이브 재생장치1,2,4,...N에서만 마스터 재생장치3이 출력하는 사운드 비컨을 재생 동기화에 이용할 수 있게 한다.
동기화기능(350)은, 사운드비컨수신기능(340)이 수신한 사운드 비컨을 이용하여, 마스터 재생장치3 보다 정확하게는 마스터 재생장치3에서 실행되는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과의 재생 동기화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동기화기능(350)은, 사운드 비컨을 수신한 수신시점 및 금번 사운드 비컨 수신을 위해 사운드비컨수신기능(340)이 계산한 수신예상시점에 기초하여, 마스터 재생장치3(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와의 시간 차를 확인한다.
동기화기능(350)은, 마스터 재생장치3(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와의 시간 차를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30)의 로컬 시간에 반영하여, 마스터 재생장치3(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와의 재생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동기화기능(350)은, 방식1의 경우 1회 사운드 비컨 수신에 기반한 1회의 재생 동기화를 수행할 것이고, 방식2의 경우 다수(M번)의 사운드 비컨 수신 시마다 재생 동기화를 수행할 것이다.
그리고, 동기화기능(350)은, 방식3의 경우 동기화 요구레벨에 따른 횟수 및 수신주기에 기반하여, 동기화 요구레벨에 따라서 상이하게 조정되는 횟수 및 수신주기의 사운드 비컨 수신 시마다 재생 동기화를 수행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재생장치1,2,...N 각각에서 실행되는 본 발명의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은, 동시에 컨텐츠를 재생하는 멀티 재생 시, 마스터 및 슬레이브 간에 사운드 비컨을 이용하여 재생 동기화를 수행하는, 새로운 동기화 방식을 실현하고 있다.
한편, 전술의 도 1에서는 멀티 재생 동기화장치(100)가 포함된 멀티 재생 시스템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해당한다.
즉, 멀티 재생 동기화장치(100) 없이 본 발명의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재생장치)이 Standalone으로 동작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은, 동시에 컨텐츠를 재생하는 멀티 재생 시, 마스터 및 슬레이브 간에 사운드 비컨을 이용하여 재생 동기화를 수행하는 본 발명의 새로운 동기화 방식을 실현할 수 있다.
전술한 것처럼,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동기화 방식은, 마스터 및 슬레이브 간 재생 동기화를 수행하는 기본적인 형태가 기존 소프트웨어 방식과 같기 때문에, 기존의 하드웨어/chain 구조 방식이 갖는 단점(재생 품질 저하, 고비용 및 확장성 한계 등)로부터 자유로우면서 기존 소프트웨어 방식이 갖는 장점들을 취할 수 있다.
그러면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동기화 방식은, 마스터 및 슬레이브 간에 어떠한 네트워크 연결 없이도 사운드 비컨을 이용하여 재생 동기화를 수행하기 때문에, 기존 소프트웨어 방식이 갖는 단점, 즉 네트워크 연결을 보장해야만 하는 설치환경 제약 및 네트워크 지연에 따른 동기화 오차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동기화 방식은, 사운드 비컨을 이용하기 때문에, 재생장치 내 스피커/마이크 하드웨어 특성 상 선점 및 이용하고 있는 다른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만 없다면, 본 발명의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이 독립적으로 스피커와 연동하여 사운드 비컨을 실시간으로 출력(재생)하고 마이크와 연동하여 사운드 비컨을 실시간으로 수신할 수 있기 때문에, 기본의 소프트웨어 방식이 갖는 어플리케이션 레벨의 네트워크 전송 요청/실제 physical 레벨에서의 실행(출력, 송신 등) 사이의 시간 오차로 인한 장치 내부적 지연이 개선되는 효과까지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멀티 재생 동기화장치 및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은, 멀티 디스플레이 컨텐츠 재생(멀티 재생)에 있어서, 마스터 및 슬레이브 간에 사운드 비컨을 이용하여 재생 동기화를 수행하는 새로운 동기화 방식을 실현/제안함으로써, 재생 품질 저하 및 설치환경 제약으로부터 자유로우면서 저비용 및 확장성도 보장하되, 네트워크 지연 및 장치 내부적 지연에 따른 오차를 개선하여 장치 간 정교한 재생 동기화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한편, 본 발명이 제안하는 동기화 방식(기술)의 경우, 여러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재생장치)에서 동시에 컨텐츠를 재생하는 멀티 재생 시스템에서, 마스터로 하여금 특정 컨텐츠 재생 시 사운드 비컨을 출력하게 하는 방식, 및 슬레이브로 하여금 마스터가 출력하는 사운드 비컨을 수신 및 동기화에 이용하도록 하는 방식은, 전술한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외의 다양한 방식으로도 마스터 및 슬레이브 간에 사운드 비컨을 이용하여 재생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면 모두 적용 가능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 재생 동기화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겠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도 1을 참조하여 다수의 재생장치1,2,...N으로 구성된 멀티재생그룹을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재생 동기화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재생장치1,2,...N으로 구성된 멀티재생그룹에서, 마스터 재생장치와 슬레이브 재생장치를 구분한다(S100).
이때, 마스터 재생장치와 슬레이브 재생장치를 구분하는 방식에는 제약이 없으나, 멀티재생그룹 내에서는 항상 1개의 재생장치(컨텐츠 재생 프로그램) 만이 마스터가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재생장치3을 마스터 재생장치로, 나머지 재생장치1,2,4,...N을 슬레이브 재생장치로 가정하겠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재생 동기화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재생장치1,2,...N 각각과 유지되고 있는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서, 멀티재생그룹에서 동시에 재생하고자 하는 컨텐츠 및 컨텐츠 재생스케줄을 재생장치1,2,...N 각각에 제공한다(S110).
이렇게 되면, 멀티재생그룹에 속하는 재생장치1,2,...N 각각에서 실행되는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은, 자신에게 제공된 컨텐츠 및 컨텐츠 재생스케줄을 재생장치 내 저장소(미도시)에 저장할 것이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재생 동기화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마스터 재생장치3으로 제공되는 특정 컨텐츠에 사운드 비컨을 삽입하여 제공한다(S120).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재생 동기화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특정 컨텐츠에 사운드 비컨을 인코딩시키는 방식으로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사운드 비컨을 삽입시키는 특정 컨텐츠는, 멀티재생그룹에서 동시에 재생하고자 하는 컨텐츠 중에서, 시간길이를 가지는 콘텐츠(대표적으로 영상 컨텐츠)로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재생 동기화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멀티재생그룹에서 동시에 재생하고자 하는 컨텐츠 중에서 사운드 비컨을 삽입할 특정 컨텐츠(예: 영상 컨텐츠)를 정하고, 컨텐츠 및 컨텐츠 재생스케줄을 재생장치1,2,...N 각각에 제공할 때(S110) 마스터 재생장치3으로 제공되는 특정 컨텐츠(예: 영상 컨텐츠)에는 사운드 비컨을 인코딩시키는 방식으로 삽입하여 제공할 수 있다(S120).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재생 동기화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특정 컨텐츠(예: 영상 컨텐츠)에 사운드 비컨 삽입 시 멀티재생그룹을 식별하는 특정 식별자를 추가하여, 멀티재생그룹 내 슬레이브 재생장치1,2,4,...N에서만 마스터 재생장치3이 출력하는 사운드 비컨을 이용할 수 있게 한다.
이때, 특정 식별자는, 멀티재생그룹의 ID일 수도 있고, 또는 마스터 재생장치3의 장치ID일 수도 있고, 마스터 재생장치3에서 실행되는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의 프로그램ID일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재생 동기화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마스터 재생장치3으로 제공한 특정 컨텐츠에 사운드 비컨이 삽입된 시점을 나타내는 비컨시점정보를 슬레이브 재생장치1,2,4,...N 로 제공한다(S130).
보다 구체적으로, 비컨시점정보는, 사운드 비컨을 삽입한 특정 컨텐츠의 컨텐츠ID와, 특정 컨텐츠 내 사운드 비컨이 삽입된 재생시점(예: 00:00:10:00)으로 표현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재생 동기화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멀티재생그룹에서 동시에 재생하고자 하는 컨텐츠 및 컨텐츠 재생스케줄을 제공할 때(S110) 비컨시점정보를 슬레이브 재생장치1,2,4,...N로 함께 제공할 수도 있다(S130).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재생 동기화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S110단계와는 별개로, 별도의 시점에 비컨시점정보를 슬레이브 재생장치1,2,4,...N로 제공할 수도 있다(S130).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의 실행 과정을 설명하겠다.
본 발명의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은, 자신이 실행되는 재생장치 내 통신부(40)를 통해 네트워크 연결된 멀티 재생 동기화장치(100)로부터, 멀티재생그룹에서 동시에 재생하고자 하는 컨텐츠 및 컨텐츠 재생스케줄을 제공받아 수신한다(S200).
이러한 S200단계는, 본 발명의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이 마스터이든 슬레이브이든 동일할 것이다.
본 발명의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은, 자신이 멀티재생그룹에서 마스터로 구분된 경우라면(S210 Yes), 도 6의 S220단계 이후의 과정으로 실행한다.
즉, 본 발명의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은, 자신이 실행되는 재생장치 내 재생부(30, 특히 디스플레이모듈)과 연동하여, 컨텐츠 재생스케줄에 따라 기 저장하고 있는 컨텐츠를 재생할 것이다(S220).
이에, 재생장치1,2,...N 각각에서 실행되는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은, 컨텐츠 재생스케줄에 따라서 기 저장하고 있는 컨텐츠를 재생함으로써, 하나의 멀티재생그룹에서 동시에 동일한 컨텐츠를 N개의 디스플레이(미도시)에 출력할 것이다.
본 발명의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은, S220단계의 컨텐츠 재생 과정 중 특정 컨텐츠(예: 영상 컨텐츠)를 재생할 때, 특정 컨텐츠(예: 영상 컨텐츠)에 삽입되어 있으면(S230 Yes), 삽입되어 있는 사운드 비컨을 출력할 것이다(S240).
즉, 본 발명의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은, 자신이 실행되는 재생장치 내 재생부(30) 특히 사운드출력모듈(예: 스피커)과 연동하여, 사운드 비컨을 출력한다(S240).
사운드 비컨을 출력하는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사운드 비컨이 특정 컨텐츠(예: 영상 컨텐츠) 내 하나의 재생시점에 인코딩/삽입된 방식1이라면, 본 발명의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은, 특정 컨텐츠(예: 영상 컨텐츠) 재생 시 사운드 비컨이 인코딩/삽입되어 있는 하나의 재생시점에서 사운드 비컨을 1회 출력할 것이다.
한편, 사운드 비컨이 특정 컨텐츠(예: 영상 컨텐츠) 내 다수의 재생시점(M개의 재생시점)에 인코딩/삽입된 방식2라면, 본 발명의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은, 특정 컨텐츠(예: 영상 컨텐츠) 재생 시 사운드 비컨이 인코딩/삽입되어 있는 매 재생시점에서 사운드 비컨을 출력하여, 총 M번의 사운드 비컨을 출력할 것이다.
한편, 사운드 비컨이 특정 컨텐츠(예: 영상 컨텐츠) 내 하나의 재생시점에 인코딩/삽입되고 횟수 및 출력주기 정보가 추가 제공되는 방식3이라면, 본 발명의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은, 특정 컨텐츠(예: 영상 컨텐츠) 재생 시 사운드 비컨이 인코딩/삽입되어 있는 하나의 재생시점을 기준으로 횟수 및 출력주기 정보(예: 5회/10초)에 따른 출력주기(10초) 마다 정해진 횟수(5회) 만큼 사운드 비컨을 출력할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의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은, 사운드 비컨을 정해진 횟수만큼 출력하되, 사운드 비컨을 출력하는 횟수 및 출력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멀티재생그룹에서 재생하는 컨텐츠와 관련된 동기화 요구레벨에 따라서 상이하게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멀티 재생 동기화장치(100)이 제공하는 횟수 및 출력주기 정보는, 멀티재생그룹에서 재생하는 컨텐츠와 관련된 동기화 요구레벨에 따라 횟수 및 출력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상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멀티재생그룹에서 재생하는 컨텐츠, 보다 구체적으로 컨텐츠의 해상도, 컨텐츠 카테고리, 컨텐츠 제작의도 등에 따라 동기화 요구레벨을 다양하게 하고, 다양한 동기화 요구레벨에 따라 횟수 및 출력주기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한 횟수 및 출력주기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재생 동기화의 요구레벨이 높을수록, 횟수를 늘리고 출력주기를 줄이는 방향으로 횟수 및 출력주기 정보를 상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은, 특정 컨텐츠(예: 영상 컨텐츠) 재생 시 사운드 비컨이 인코딩/삽입되어 있는 하나의 재생시점을 기준으로, 재생 동기화의 요구레벨이 높을수록 횟수를 늘리고 출력주기를 줄이는 방향으로 상이하게 설정된 횟수 및 출력주기 정보에 따라 사운드 비컨을 출력함으로써, 사운드 비컨을 출력하는 횟수 및 출력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멀티재생그룹에서 재생하는 컨텐츠와 관련된 동기화 요구레벨에 따라서 상이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은, 컨텐츠 재생스케줄에 따른 재생이 완료될 때까지(S250 Yes), 컨텐츠 재생스케줄에 따른 재생 및 이후 단계 수행을 반복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은, 자신이 멀티재생그룹에서 슬레이브로 구분된 경우라면(S210 No), 도 6의 S300단계 이후의 과정으로 실행한다.
즉, 본 발명의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은, 멀티재생그룹의 마스터로 제공된 특정 컨텐츠(예: 영상 컨텐츠)에 사운드 비컨이 삽입된 시점을 나타내는 비컨시점정보를 획득한다(S300).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멀티재생그룹의 마스터는 재생장치3의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인 것으로 가정하겠다.
즉, 본 발명의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은, 멀티 재생 동기화장치(100)로부터 마스터 재생장치3으로 제공된 특정 컨텐츠(예: 영상 컨텐츠)에 사운드 비컨이 삽입된 시점을 나타내는 비컨시점정보를 수신받아 획득할 수 있다.
이때, 비컨시점정보는, 사운드 비컨을 삽입한 특정 컨텐츠의 컨텐츠ID와, 특정 컨텐츠 내 사운드 비컨이 삽입된 재생시점(예: 00:00:10:00)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이때, 비컨시점정보는, 특정 컨텐츠 내 하나의 재생시점에 사운드 비컨이 삽입된 전술의 방식1의 경우라면 하나의 재생시점으로 표현될 것이고, 특정 컨텐츠 내 다수의 재생시점(M개의 재생시점)에 사운드 비컨이 삽입된 전술의 방식2의 경우라면 다수(M개)의 재생시점으로 표현될 것이다.
한편, 비컨시점정보는, 특정 컨텐츠 내 하나의 재생시점에 사운드 비컨이 삽입되고 횟수 및 출력주기 정보가 추가되는 전술의 방식3의 경우라면, 컨텐츠ID와 재생시점(예: 00:00:10:00) 뿐 아니라 횟수 및 출력주기 정보로 표현될 것이다.
본 발명의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은, S310단계에서 획득한 비컨시점정보를 기반으로, 특정 컨텐츠(예: 영상 컨텐츠)를 재생하는 마스터 재생장치3에서 출력되는 사운드 비컨을 수신한다.
비컨시점정보를 기반으로, 사운드 비컨을 수신하는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의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은, S310단계에서 획득한 비컨시점정보를 이용하여 마스터 재생장치3이 특정 컨텐츠를 재생하는 중 출력하는 사운드 비컨이 수신될 것으로 예상되는 수신예상시점을 계산한다(S310).
예를 들어, 방식1에 따라 하나의 재생시점으로 표현된 비컨시점정보를 수신한 경우, 본 발명의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은, 비컨시점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컨텐츠(예: 영상 컨텐츠) 재생 시 하나의 재생시점을 기준으로 하나(1회)의 수신예상시점을 계산할 것이다.
한편, 방식2에 따라 다수(M개)의 재생시점으로 표현된 비컨시점정보를 수신한 경우, 본 발명의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은, 비컨시점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컨텐츠(예: 영상 컨텐츠) 재생 시 다수(M개)의 재생시점을 기준으로 다수(M개)의 수신예상시점을 계산할 것이다.
한편, 방식3에 따라 하나의 재생시점과 횟수 및 출력주기 정보로 표현된 비컨시점정보를 수신한 경우, 본 발명의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은, 비컨시점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컨텐츠(예: 영상 컨텐츠) 재생 시 하나의 재생시점을 기준으로 하나(1회)의 수신예상시점을 계산하고 계산한 수신예상시점 및 횟수 및 출력주기 정보(예: 5회/10초)에 따라 출력주기(10초) 마다 정해진 횟수(5회) 만큼의 수신예상시점을 계산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은, 자신이 실행되는 재생장치 내 재생부(30, 특히 디스플레이모듈)과 연동하여, 컨텐츠 재생스케줄에 따라 기 저장하고 있는 컨텐츠를 재생할 것이다(S320).
이에, 재생장치1,2,...N 각각에서 실행되는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은, 컨텐츠 재생스케줄에 따라서 기 저장하고 있는 컨텐츠를 재생함으로써, 하나의 멀티재생그룹에서 동시에 동일한 컨텐츠를 N개의 디스플레이(미도시)에 출력할 것이다.
본 발명의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은, S320단계의 컨텐츠 재생 과정 중에, 앞서 S310단계에서 계산한 수신예상시점이 다가오면 수신예상시점을 기준으로 일정 시간(a) 이전부터 사운드 비컨 수신을 대기할 수 있다(S330).
즉, 본 발명의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은, 수신예상시점을 기준으로 일정 시간(a) 이전부터 사운드수신부(20, 마이크)와 연동하여, 사운드 비컨 수신을 대기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은, 수신예상시점을 기준으로 일정 시간(a) 이전부터 사운드 비컨 수신을 대기할 뿐 아니라, 수신예상시점을 기준으로 일정 시간(a) 이후까지 사운드 비컨 수신 대기를 유지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은, 방식1의 경우 1회 사운드 비컨 수신 시, 방식2 및 3의 경우 매 사운드 비컨 수신 시마다, 전술과 같이 수신예상시점을 기준으로 일정 시간 이전부터(및 이후까지) 사운드 비컨 수신을 대기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은, 마스터 재생장치3과의 시간 오차가 있더라도, 사운드 비컨 수신에 실패하지 않고 수신할 수 있다(S340).
이때, 본 발명의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은, S340단계에서 수신되는 사운드 비컨 중에서, 자신이 속해있는 멀티재생그룹을 식별하는 특정 식별자(멀티재생그룹의 ID, 마스터 재생장치3의 장치ID, 마스터 재생장치3에서 실행되는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의 프로그램ID)와 매칭되는지 판단하는 유효성 검사를 거쳐, 유효하지 않는 사운드 비컨은 후술할 재생 동기화에 이용하지 않고 무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은, 수신한 사운드 비컨을 이용하여, 마스터 재생장치3, 보다 정확하게는 마스터 재생장치3에서 실행되는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과의 재생 동기화를 수행한다(S350).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은, 사운드 비컨을 수신한 수신시점 및 금번 사운드 비컨 수신을 위해 계산된 수신예상시점에 기초하여, 마스터 재생장치3(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와의 시간 차를 확인한다.
본 발명의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은, 마스터 재생장치3(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와의 시간 차를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30)의 로컬 시간에 반영하여, 마스터 재생장치3(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와의 재생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은, 방식1의 경우 1회 사운드 비컨 수신에 기반한 1회의 재생 동기화를 수행할 것이고, 방식2의 경우 다수(M번)의 사운드 비컨 수신 시마다 재생 동기화를 수행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은, 방식3의 경우 동기화 요구레벨에 따른 횟수 및 수신주기에 기반하여, 동기화 요구레벨에 따라서 상이하게 조정되는 횟수 및 수신주기의 사운드 비컨 수신 시마다 재생 동기화를 수행할 것이다.
본 발명의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은, 컨텐츠 재생스케줄에 따른 재생이 완료될 때까지(S360 Yes), 컨텐츠 재생스케줄에 따른 재생 및 이후 단계 수행을 반복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멀티 디스플레이 컨텐츠 재생(멀티 재생)에 있어서, 마스터 및 슬레이브 간에 사운드 비컨을 이용하여 재생 동기화를 수행하는 새로운 동기화 방식을 실현/제안함으로써, 재생 품질 저하 및 설치환경 제약으로부터 자유로우면서 저비용 및 확장성도 보장하되, 장치 간 정교한 재생 동기화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의 멀티 재생 동기화장치의 동작 방법 및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재생 동기화장치 및 그 동작 방법과,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에 따르면, 멀티 재생에 있어서, 재생 품질 저하 및 설치환경 제약으로부터 자유로우면서 저비용 및 확장성도 보장하되, 장치 간 정교한 재생 동기화를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 멀티 재생 동기화장치
110 : 장치구분부 120 : 마스터제어부
130 : 슬레이브제어부

Claims (12)

  1. 다수의 재생장치로 구성된 멀티재생그룹에서, 마스터 재생장치로 제공되는 특정 컨텐츠에 사운드 비컨을 출력하게 하는 특정 정보를 삽입하여, 상기 마스터재생장치가 상기 특정 컨텐츠 재생 시 사운드 비컨을 출력하도록 하는 마스터제어부; 및
    상기 마스터 재생장치로 제공한 특정 컨텐츠에 상기 특정 정보가 삽입된 시점을 나타내는 비컨시점정보를 상기 멀티재생그룹의 슬레이브 재생장치로 제공하여, 상기 슬레이브 재생장치가 상기 비컨시점정보를 기반으로 계산한 수신예상시점에서 사운드 비컨 수신을 대기 및 상기 사운드 비컨을 수신하여 상기 마스터 재생장치와의 재생 동기화에 이용하도록 하는 슬레이브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재생 동기화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제어부는,
    상기 특정 컨텐츠에 상기 특정 정보를 인코딩시켜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재생 동기화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제어부는,
    상기 특정 컨텐츠에 상기 특정 정보 삽입 시 상기 멀티재생그룹을 식별하는 특정 식별자를 추가하여, 상기 멀티재생그룹 내 슬레이브 재생장치에서만 상기 마스터재생장치가 출력하는 사운드 비컨을 이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재생 동기화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비컨은,
    비가청 주파수대역을 갖는 사운드 형태의 비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재생 동기화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재생그룹에서 마스터 재생장치와 슬레이브 재생장치를 구분하는 장치구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재생 동기화장치.
  6. 멀티재생그룹의 컨텐츠 재생스케줄에 따라, 컨텐츠를 재생하는 재생단계; 및
    재생 중인 컨텐츠에 삽입되어 있는 특정 정보에 따른 사운드 비컨을 출력하여, 상기 멀티재생그룹의 슬레이브가 상기 사운드 비컨을 수신하여 마스터와의 재생 동기화에 이용할 수 있게 하는 비컨출력단계를 실행시키도록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되며;
    상기 비컨출력단계는,
    상기 사운드 비컨을 정해진 횟수만큼 출력하되,
    상기 사운드 비컨을 출력하는 횟수 및 출력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멀티재생그룹에서 재생하는 컨텐츠와 관련된 동기화 요구레벨에 따라서 상이하게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
  7. 삭제
  8. 멀티재생그룹의 마스터로 제공된 특정 컨텐츠에 사운드 비컨을 출력하게 하는 특정 정보가 삽입된 시점을 나타내는 비컨시점정보를 획득하는 정보획득단계;
    상기 비컨시점정보를 기반으로 계산한 수신예상시점에서 사운드 비컨 수신을 대기하여, 상기 특정 컨텐츠를 재생하는 마스터에서 출력되는 사운드 비컨을 수신하는 사운드비컨수신단계; 및
    상기 사운드 비컨을 이용하여, 상기 마스터와의 재생 동기화를 수행하는 동기화단계를 실행시키도록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비컨수신단계는,
    상기 멀티재생그룹의 컨텐츠 재생스케줄 및 상기 비컨시점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마스터가 상기 특정 컨텐츠를 재생하는 중 출력하는 사운드 비컨이 수신될 것으로 예상되는 수신예상시점을 계산하고,
    상기 수신예상시점을 기준으로 일정 시간 이전부터 사운드 비컨 수신을 대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단계는,
    상기 사운드 비컨을 수신한 수신시점 및 상기 수신예상시점에 기초하여, 상기 마스터와의 시간 차를 확인하고,
    상기 마스터와의 시간 차를 로컬 시간에 반영하여, 상기 마스터와의 재생 동기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비컨수신단계는,
    상기 사운드 비컨을 정해진 횟수만큼 수신하되,
    상기 사운드 비컨을 수신하는 횟수 및 수신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멀티재생그룹에서 재생하는 컨텐츠와 관련된 동기화 요구레벨에 따라서 상이하게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
  12. 다수의 재생장치로 구성된 멀티재생그룹의 마스터 재생장치로 제공되는 특정 컨텐츠에 사운드 비컨을 출력하게 하는 특정 정보를 삽입하여, 상기 마스터재생장치가 상기 특정 컨텐츠 재생 시 사운드 비컨을 출력하도록 하는 마스터제어단계;
    상기 마스터재생장치로 제공한 특정 컨텐츠에 상기 특정 정보가 삽입된 시점을 나타내는 비컨시점정보를 상기 멀티재생그룹의 슬레이브 재생장치로 제공하여, 상기 슬레이브 재생장치가 상기 비컨시점정보를 기반으로 계산한 수신예상시점에서 사운드 비컨 수신을 대기 및 상기 사운드 비컨을 수신하여 상기 마스터 재생장치와의 재생 동기화에 이용하도록 하는 슬레이브제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재생 동기화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160110651A 2016-08-30 2016-08-30 멀티 재생 동기화장치 및 그 장치의 동작 방법,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 KR1018386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0651A KR101838608B1 (ko) 2016-08-30 2016-08-30 멀티 재생 동기화장치 및 그 장치의 동작 방법,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0651A KR101838608B1 (ko) 2016-08-30 2016-08-30 멀티 재생 동기화장치 및 그 장치의 동작 방법,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4442A KR20180024442A (ko) 2018-03-08
KR101838608B1 true KR101838608B1 (ko) 2018-03-14

Family

ID=61660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0651A KR101838608B1 (ko) 2016-08-30 2016-08-30 멀티 재생 동기화장치 및 그 장치의 동작 방법,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860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508474A (ja) 2008-07-28 2012-04-05 ハリス コーポレイション 信号同期のための改善された方法、システムおよび装置
KR101500968B1 (ko) 2014-03-07 2015-03-12 큐보스 주식회사 공간 및 위치 감응형 영상 송출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508474A (ja) 2008-07-28 2012-04-05 ハリス コーポレイション 信号同期のための改善された方法、システムおよび装置
KR101500968B1 (ko) 2014-03-07 2015-03-12 큐보스 주식회사 공간 및 위치 감응형 영상 송출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4442A (ko) 2018-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3415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ynchronizing media rendering
RU2564681C2 (ru) Способы и системы синхронизации и переключения для системы адаптивного звука
US9798515B1 (en) Clock synchronization for audio playback devices
EP2752023B1 (en) Method to match input and output timestamps in a video encoder and advertisement inserter
JP6662063B2 (ja) 収録データ処理方法
KR20170009650A (ko) 오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JP2004208308A (ja) オーディオフレームおよび/またはビデオフレームの再生を同期化する方法と装置、ビデオドライバ回路、デコーダボックス
JP2007288405A (ja) 映像音声出力システム、映像音声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210078985A (ko) 복수의 커넥티드 장치 간 디지털 콘텐츠의 재생 동기화를 맞추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KR101600891B1 (ko) 복수의 단말기에 출력되는 비디오 및 오디오를 동기화시키는 동기화시스템 및 방법
KR101838608B1 (ko) 멀티 재생 동기화장치 및 그 장치의 동작 방법,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
EP3203468B1 (en) Acoustic system, communication device, and program
JPWO2005101843A1 (ja) コンテンツ生成装置及び方法
KR20160000577A (ko) 음원 재생 동기화 시스템, 음원 재생 동기화 방법 및 음원 재생 시스템
KR101946471B1 (ko) 비디오와 오디오를 동기화 하는 장치 및 방법
JP6506493B2 (ja) 仮想現実視聴システム、再生同期方法および仮想現実視聴用プログラム
TWI587697B (zh) 多媒體同步系統與方法
JP5397495B2 (ja) データ配信システムおよび中継装置
JP6604443B2 (ja) コンテンツ再生機器、コンテンツ再生システム、及びコンテンツ再生機器の制御方法
CN106211308B (zh) 多媒体同步系统与方法
CN105323653A (zh) 一种播放片段视频的方法及设备
JP5672411B1 (ja) 受信装置、およびデータ処理方法
TWI777529B (zh) 影像舞台表演系統及影像舞台表演之提供方法
KR102001550B1 (ko) 멀티룸 스피커 시스템 및 그의 데이터 동기화 방법
KR102171479B1 (ko) 디지털 오디오 공동 재생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