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8538B1 - 육아를 위한 장치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육아를 위한 장치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8538B1
KR101838538B1 KR1020160011543A KR20160011543A KR101838538B1 KR 101838538 B1 KR101838538 B1 KR 101838538B1 KR 1020160011543 A KR1020160011543 A KR 1020160011543A KR 20160011543 A KR20160011543 A KR 20160011543A KR 101838538 B1 KR101838538 B1 KR 1018385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information
time
data
e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1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1214A (ko
Inventor
이창하
김지형
옥기윤
송재영
허수진
이민영
Original Assignee
(주)비투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비투코리아 filed Critical (주)비투코리아
Priority to KR1020160011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8538B1/ko
Priority to PCT/KR2016/001059 priority patent/WO2017131269A1/ko
Publication of KR201700912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12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8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85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 예는 육아 관리 데이터 기록을 이용하여 예측된 시간에 예측된 작동을 장치가 수행하도록 하는 장치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육아를 위한 장치제어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인 각각의 이벤트에 각각 맵핑(mapping)되는 하나 이상의 버튼을 구비하고, 버튼의 조작으로 입력된 정보를 전기신호로 변화시키는 버튼부, 버튼부와 결합하고, 버튼부의 전기신호를 받아 송출하는 송신부, 송신부로부터 출력된 전기신호를 수신하고 통신신호를 생성하여 외부네트워크로 송출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중계모듈, 외부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된 통신신호를 처리 및 저장하여 데이터화하고, 데이터에 의한 데이터신호를 생성하여 외부네트워크로 송출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중앙서버부, 중앙서버부로부터 이벤트에 대한 정보와 이벤트와 관련된 소정의 정보를 저장 및 축적하는 데이터서버부, 외부네트워크 및 중계모듈을 통해 순차적으로 전달된 데이터신호를 수신하고 처리하여 제어목표장치로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제어부 및 제어목표장치의 제어 상태를 화면 표시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스마트기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육아를 위한 장치제어 시스템{A control system for child care}
본 발명은 육아를 위한 장치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육아 관리 데이터 기록을 이용하여 예측된 시간에 예측된 작동을 장치가 수행하도록 하는 장치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육아와 관련된 정보를 데이터화하고 이를 이용하여, 영유아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고 해당 정보를 기반으로 육아 방법을 개선하는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들은 다양한 장치들이 연동되어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추세이다.
그리고, 상기의 기술들에 의한 영유아에 대한 정보와 장치들의 연동은, 단순히 특정 시간에 특정 작동이 일어나는 것이 아닌, 영유아에 대한 정보 데이터를 저장하고 처리하여 예측된 시간에 예측된 작동이 일어나는 것이 효율적일 것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125088호(발명의 명칭: 육아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이하 종래기술1이라 한다.)에서는, 복수의 대화정보들을 저장하는 DB, 클라이언트로부터 영유아의 성장정보가 포함된 상황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 수신된 상기 상황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대화정보들 중 상기 상황정보에 상응하는 특정 대화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제어부, 및 추출된 상기 특정 대화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로 전송하기 위한 전송부를 포함하는 육아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1은, 영유아와의 대화에서 특정 정보를 추출하여 성장 정보를 수집하는 것으로, 단어 선택 등의 오류로 수집된 성장 정보가 불명확할 수 있다는 제1문제점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종래기술1은, 영유아의 성장 정보를 데이터화하여 저장한 후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기능만을 수행하므로, 다양한 장치들과 연동되는 장치제어 시스템을 구현할 수 없어, 유아 관리에 효율적이지 않다는 제2문제점을 갖는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는, 적어도 하나인 각각의 이벤트에 각각 맵핑(mapping)되는 하나 이상의 버튼을 구비하고, 상기 버튼의 조작으로 입력된 정보를 전기신호로 변화시키는 버튼부; 상기 버튼부와 결합하고, 상기 버튼부의 전기신호를 받아 송출하는 송신부; 상기 송신부로부터 출력된 전기신호를 수신하고 통신신호를 생성하여 외부네트워크로 송출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중계모듈; 상기 외부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된 상기 통신신호를 처리 및 저장하여 데이터화하고, 상기 데이터에 의한 데이터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외부네트워크로 송출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중앙서버부; 상기 중앙서버부로부터 상기 이벤트에 대한 정보와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소정의 정보를 저장 및 축적하는 데이터서버부; 상기 외부네트워크 및 상기 중계모듈을 통해 순차적으로 전달된 상기 데이터신호를 수신하고 처리하여 제어목표장치로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목표장치의 제어 상태를 화면 표시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스마트기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이벤트의 발생으로 상기 버튼이 조작되는 경우, 상기 이벤트에 대한 정보가 상기 스마트기기의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에 기록되고, 상기 데이터서버부는, 소정의 알고리즘을 통해 도출된 제어정보를 상기 중앙서버부로 전달하여,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어정보에 의해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를 위한 장치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는 영유아의 영양섭취, 수면, 또는 배변이고, 상기 제어목표장치는 초인종 또는 전화로서, 상기 이벤트 발생 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목표장치의 소리 크기가 감소되도록 상기 제어목표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는 영유아의 영양섭취 또는 수면이고, 상기 제어목표장치는 냉난방장치 또는 습도조절장치로서, 상기 이벤트 발생 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목표장치가 작동하도록 상기 제어목표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는 영유아의 영양섭취 또는 수면이고, 상기 제어목표장치는 조명장치로서, 상기 이벤트 발생 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목표장치의 켜짐, 꺼짐 또는 밝기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는 영유아의 영양섭취, 수면, 또는 배변이고, 상기 제어목표장치는 환기장치로서, 상기 이벤트 발생 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목표장치를 작동시켜 환기가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기기에서 생성되는 사용자조작정보 및 상기 제어정보를 전달받는 경우, 상기 사용자조작정보에 의해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중계모듈과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기능, 상기 데이터를 그래프화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기능, 상기 데이터를 이용한 이벤트 및 정보 알람 기능, 필수정보 입력 및 저장기능, 및 상기 중계모듈로 상기 필수정보를 송신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기기는 스마트폰, 태블릿PC, 스마트글래스, 스마트와치 또는 스마트밴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중계모듈은, 모뎀 또는 스마트기기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조작장치를 이용하여 영유아에 대한 성장 정보를 입력하게 하므로, 성장 정보를 명확하게 수집할 수 있고, 조작을 위한 구성이 단순하다는 제1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영유아의 성장 정보를 데이터화하여 저장 및 표시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장치들과 연동되는 장치제어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어, 유아 관리에 효율적이라는 제2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은, 조작장치와 다른 전자기기의 쌍방향 데이터 연결이 용이하여, 조작장치 사용자와 다른 전자기기 사용자가 정보 교류를 통해 육아를 수행할 수 있다는 제3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육아를 위한 장치제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버튼부의 모식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기기에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것에 대한 모식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리 관련 제어목표장치에 대한 장치제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난방 및 습도조절 관련 제어목표장치에 대한 장치제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명 관련 제어목표장치에 대한 장치제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환기 관련 제어목표장치에 대한 장치제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육아를 위한 장치제어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버튼부(10)의 모식도이며, 도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기기(90)에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것에 대한 모식도이다.
도1, 도2 및 도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육아를 위한 장치제어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인 각각의 이벤트에 각각 맵핑(mapping)되는 하나 이상의 버튼을 구비하고, 버튼의 조작으로 입력된 정보를 전기신호로 변화시키는 버튼부(10); 버튼부(10)와 결합하고, 버튼부(10)의 전기신호를 받아 송출하는 송신부(20); 송신부(20)로부터 출력된 전기신호를 수신하고 통신신호를 생성하여 외부네트워크(40)로 송출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중계모듈(30); 외부네트워크(40)를 통해 수신된 통신신호를 처리 및 저장하여 데이터화하고, 데이터에 의한 데이터신호를 생성하여 외부네트워크(40)로 송출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중앙서버부(50); 중앙서버부(50)로부터 이벤트에 대한 정보와 이벤트와 관련된 소정의 정보를 저장 및 축적하는 데이터서버부(60); 외부네트워크(40) 및 중계모듈(30)을 통해 순차적으로 전달된 데이터신호를 수신하고 처리하여 제어목표장치(80)로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제어부(70); 및 제어목표장치(80)의 제어 상태를 화면 표시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스마트기기(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이벤트의 발생으로 버튼이 조작되는 경우, 이벤트에 대한 정보가 스마트기기(90)의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에 기록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서버부(60)는, 소정의 알고리즘을 통해 도출된 제어정보를 중앙서버부(50)로 전달하여, 제어부(70)가 제어정보에 의해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70)는, 스마트기기(90)에서 생성되는 사용자조작정보 및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사용자조작정보에 의해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조작정보는, 사용자가 제어목표장치(80)에 작동 명령을 전달하기 위해 스마트기기(90)를 조작하여 생성시키는 정보일 수 있다.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육아를 위한 장치제어 시스템은 육아에 대한 데이터를 처리하여 제어목표장치(80)가 소정의 시간에 소정의 작동을 하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나, 경우에 따라 강제적으로 제어목표장치(80)를 제어할 필요가 있는 경우, 사용자조작정보가 제어목표장치(80)에 전달되어 사용자조작정보에 의한 작동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도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버튼부(10)는 터치패드 형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버튼부(10)가 터치패드 형식인 경우, 버튼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형식일 수 있다.
또한, 버튼부(10)는 버튼을 물리적으로 누르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버튼과 동일한 면에 디스플레이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버튼부(10)에 물리적으로 누르는 방식의 버튼만 구비될 수도 있다.
버튼부(10)는, 작동 또는 정지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의 표시장치는 LED장치나 전구일 수 있다.
버튼부(10)는 냉장고, 방문 등에 부착이 가능하도록 소형 크기로 제조될 수 있다. 이 때, 소형 크기는 가로 또는 세로 각각이 10센티미터(cm) 이상 30센티미터(cm) 이하인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버튼부(10)는, 이벤트와 맵핑된 버튼 외에, 수량이나 시간 등의 수치 입력을 위해 번호입력버튼을 별도로 구비하여, 이벤트와 맵핑된 버튼과 동시에 이용할 수 있다.
이벤트란, 육아와 관련된 행동으로서, 수유나 분유 섭취와 같이 영양과 관련된 행동, 배변활동과 관련된 행동 또는 수면활동과 관련된 행동일 수 있다.
수유나 분유 섭취와 같이 영양과 관련된 버튼으로, 좌우 수유 여부, 수유량, 분유량, 분유 종류, 영양 섭취 시간을 입력할 수 있다.
배변활동과 관련된 버튼으로, 정상 대변인지 여부(묽기, 변비 여부, 색, 배설 시간), 소변량, 소변 상태, 기저귀 교체시간을 입력할 수 있다.
수면활동과 관련된 버튼으로, 취침 시작 또는 종료 시간, 취침 장소를 입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이벤트가 상기된 행동을 의미한다고 설명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육아와 관련된 모든 행동이 그 대상이 될 수 있다.
송신부(20)는, 버튼부(10)에 내장되거나 외부에 결합되는 방식일 수 있다.
외부네트워크(40)는 일반적인 인터넷(internet) 통신망일 수 있다.
중앙서버부(50)는, 복수 개의 버튼부(10)에 의해 생성된 정보를 체계적으로 정리 및 처리하여 데이터를 생성하고, 각각의 버튼부(10)와 연결되는 각각의 스마트기기(90)에 전자데이터로 기록되도록 외부네트워크(40)를 통해 스마트기기(90)로 데이터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송신부(20)만으로는 출력이 약하여 스마트기기(90)와 연결이 불안정할 수 있으므로, 중계모듈(30)를 통해 원거리에서도 송신부(20)와 스마트기기(90)의 연결이 안정적이게 할 수 있다.
송신부(20)와 중계모듈(30) 간 통신방식은 유선통신방식 또는 무선통신방식이 가능할 수 있다.
유선통신방식으로는 이더넷(ethernet), USB, 전력선통신(Power Line Commnunication), 전화선통신(Telephone Line Communication), RS232, RS422 또는 RS485 중 어느 하나가 이용될 수 있다.
무선통신방식으로는 블루투스(BlueTooth), BLE, IEEE 1394, IrDA(적외선통신), 무선랜(Wi-Fi), Zigbee, UWB 또는 HomeRf 중 어느 하나가 이용될 수 있다.
스마트기기(90)는 스마트폰, 태블릿PC, 스마트글래스, 스마트와치 또는 스마트밴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스마트기기(90)가 상기와 같은 전자기기라고 설명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또는 PDA와 같은 기존의 전자기기도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중계모듈(30)은, 모뎀 또는 스마트기기(9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스마트기기(90)가 중계모듈(30)로부터 정보를 전달 받는다고 설명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스마트기기(90)는 외부네트워크(40) 또는 중앙서버부(50)와 상호 정보 교환이 가능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은, 중계모듈(30)과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기능, 데이터를 그래프화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기능, 데이터를 이용한 이벤트 및 정보 알람 기능, 필수정보 입력 및 저장기능 및 중계모듈(30)로 필수정보를 송신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를 그래프화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에 의해, 수유나 분유 섭취와 같이 영양과 관련된 수치, 배변활동과 관련된 수치 및 수면활동과 관련된 수치를 시각화하여 육아 정보관리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데이터를 이용한 이벤트 및 정보 알람 기능에 의해, 특정 시기에 필요한 특정 이벤트 또는 특정 정보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의 알람은, 팝업의 형태로 수행될 수 있다.
필수정보 입력 및 저장기능에 의해, 중계모듈(30)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정리하거나 삭제할 수 있고, 중계모듈(30)로부터 수신된 정보와 연결된 응용정보를 수동으로 사용자가 입력하고 관리할 수도 있다.
어플리케이션은, 첫돌까지 필요한 예방 접종과 같은 필수 정보를 제공하고, 이에 대한 알람을 제공하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육아와 관련된 사진이나 자료 업데이트, 간단한 일기 작성을 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인 육아를 위한 장치제어 시스템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리 관련 제어목표장치(80)에 대한 장치제어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난방 및 습도조절 관련 제어목표장치(80)에 대한 장치제어 시스템의 구성도이며, 도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명 관련 제어목표장치(80)에 대한 장치제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그리고, 도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환기 관련 제어목표장치(80)에 대한 장치제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소리 관련 제어목표장치(80)에 대한 장치제어 시스템에서, 이벤트는 영유아의 영양섭취, 수면, 또는 배변이고, 제어목표장치(80)는 초인종 또는 전화로서, 이벤트 발생 시 제어부(70)는 제어목표장치(80)의 소리 크기가 감소되도록 제어목표장치(80)를 제어할 수 있다.
첫째, 상기와 같은 이벤트 발생 시, 맵핑(mapping)된 버튼을 조작할 수 있다.
여기서, 각각 맵핑(mapping)된 버튼은, 각각의 이벤트를 표시하는데 적합하도록 각각 다른 색 또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버튼부(10)는 이동성이 용이하므로, 사용자는 이벤트 발생 시, 이벤트 발생 장소에 버튼부(10)를 위치시키고, 이벤트와 관련된 행동 후 즉시 버튼을 조작할 수 있다.
수유나 분유 섭취와 같이 영양과 관련된 이벤트, 배변활동과 관련된 이벤트 또는 수면활동과 관련된 이벤트 발생 시, 사용자는 이벤트와 맵핑된 버튼과 번호입력버튼을 이용하여 육아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유나 분유 섭취와 같이 영양과 관련된 이벤트 발생 시, 이벤트와 맵핑된 버튼을 눌러 섭취시간, 수유 또는 분유 여부가 입력되고, 섭취량을 번호입력버튼을 이용하여 입력할 수 있다.
둘째, 이벤트에 대한 정보가 데이터로 변환되고, 데이터에 의해 제어목표장치(80)가 제어될 수 있다.
이 때, 이벤트에 대한 정보는, 전기신호로 버튼부(10)로부터 송신부(20)로 송신되고, 그 다음 전기신호로 송신부(20)로부터 중계모듈(30)로 송신된 후, 통신신호로 송신부(20)로부터 외부네트워크(40) 및 중앙서버부(50)로 순차적으로 송신될 수 있다. 그 다음에, 통신신호가 처리되어 중앙서버부(50)에서 데이터화될 수 있다.
데이터서버부(60)는, 중앙서버부(50)로부터 데이터를 전달 받고, 해당 데이터를 소정의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도출되는 제어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정보는, 제어목표장치(80)가 자동으로 제어되도록 제어부(70)에 제공되는 정보이며, 단순히 특정의 시간에 특정의 작동을 제어목표장치(80)가 수행하도록 하는 것뿐만 아니라, 축적된 데이트를 기반으로 예측된 시간에 예측된 작동을 제어목표장치(80)가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면의 경우, 유아가 소정의 시간에 주로 수면을 하는 것으로 데이터가 축적되면, 해당 수면 시간 이전에 초인종, 전화기 같은 소리발생장치의 소리 크기가 감소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제어시간은 실시간으로 지속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아의 수면 패턴이 변화하더라도 제어시간이 예측적으로 변화하여 소리발생장치가 변화된 수면패턴에 적합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셋째, 데이터가 처리되어 어플리케이션에 기록될 수 있다.
중앙서버부(50)에서 데이터화된 이벤트에 대한 정보는, 다시 외부네트워크(40) 및 중계모듈(30)을 순차적으로 거친 후 스마트기기(90)로 전달되어 어플리케이션에 기록될 수 있다. 또한, 상기된 제어시간의 변화와 이에 대한 제어목표장치(80)의 작동 패턴도 기록될 수 있다.
넷째 단계에서, 어플리케이션의 기록정보 또는 응용정보가 스마트기기(90)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기록정보는, 이벤트에 대한 정보가 문자화와 수치화되어 기록되는 기본 정보일 수 있다.
응용정보는, 기록정보를 이용하여 표시될 수 있는 정보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그래프 또는 챠트일 수 있다.
상기의 실시 예에서는, 제어목표장치(80)가 초인종 또는 전화라고 설명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소리를 내는 장치는 모두 포함될 수 있다.
도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냉난방 및 습도조절 관련 제어목표장치(80)에 대한 장치제어 시스템에서, 이벤트는 영유아의 영양섭취 또는 수면이고, 제어목표장치(80)는 냉난방장치 또는 습도조절장치로서, 이벤트 발생 시 제어부(70)는 제어목표장치(80)가 작동하도록 제어목표장치(80)를 제어할 수 있다.
첫째 단계는, 상기된 소리 관련 제어목표장치(80)에 대한 장치제어 시스템의 사항과 동일할 수 있다.
둘째, 이벤트에 대한 정보가 데이터로 변환되고, 데이터에 의해 제어목표장치(80)가 제어될 수 있다.
이 때, 이벤트에 대한 정보는, 전기신호로 버튼부(10)로부터 송신부(20)로 송신되고, 그 다음 전기신호로 송신부(20)로부터 중계모듈(30)로 송신된 후, 통신신호로 송신부(20)로부터 외부네트워크(40) 및 중앙서버부(50)로 순차적으로 송신될 수 있다. 그 다음에, 통신신호가 처리되어 중앙서버부(50)에서 데이터화될 수 있다.
데이터서버부(60)는, 중앙서버부(50)로부터 데이터를 전달 받고, 해당 데이터를 소정의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도출되는 제어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정보는, 제어목표장치(80)가 자동으로 제어되도록 제어부(70)에 제공되는 정보이며, 단순히 특정의 시간에 특정의 작동을 제어목표장치(80)가 수행하도록 하는 것뿐만 아니라, 축적된 데이트를 기반으로 예측된 시간에 예측된 작동을 제어목표장치(80)가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영양섭취의 경우, 유아가 소정의 시간에 주로 영양섭취를 하는 것으로 데이터가 축적되면, 해당 영양섭취 시간에 냉난방장치 또는 습도조절장치가 냉난방 또는 습도조절을 수행하게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제어시간은 실시간으로 지속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아의 영양섭취 패턴이 변화하더라도 제어시간이 예측적으로 변화하여 냉난방장치 또는 습도조절장치가 변화된 영양섭취 패턴에 적합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셋째 단계 및 넷째 단계는, 상기된 소리 관련 제어목표장치(80)에 대한 장치제어 시스템의 사항과 동일할 수 있다.
여기서, 난방장치는 보일러, 히터, 전기매트, 에어컨일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습도조절장치는 가습기, 제습기, 공기청정기일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조명 관련 제어목표장치(80)에 대한 장치제어 시스템에서, 이벤트는 영유아의 영양섭취 또는 수면이고, 제어목표장치(80)는 조명장치로서, 이벤트 발생 시 제어부(70)는 제어목표장치(80)의 켜짐, 꺼짐 또는 밝기를 제어할 수 있다.
첫째 단계는, 상기된 소리 관련 제어목표장치(80)에 대한 장치제어 시스템의 사항과 동일할 수 있다.
둘째, 이벤트에 대한 정보가 데이터로 변환되고, 데이터에 의해 제어목표장치(80)가 제어될 수 있다.
이 때, 이벤트에 대한 정보는, 전기신호로 버튼부(10)로부터 송신부(20)로 송신되고, 그 다음 전기신호로 송신부(20)로부터 중계모듈(30)로 송신된 후, 통신신호로 송신부(20)로부터 외부네트워크(40) 및 중앙서버부(50)로 순차적으로 송신될 수 있다. 그 다음에, 통신신호가 처리되어 중앙서버부(50)에서 데이터화될 수 있다.
데이터서버부(60)는, 중앙서버부(50)로부터 데이터를 전달 받고, 해당 데이터를 소정의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도출되는 제어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정보는, 제어목표장치(80)가 자동으로 제어되도록 제어부(70)에 제공되는 정보이며, 단순히 특정의 시간에 특정의 작동을 제어목표장치(80)가 수행하도록 하는 것뿐만 아니라, 축적된 데이트를 기반으로 예측된 시간에 예측된 작동을 제어목표장치(80)가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면의 경우, 유아가 소정의 시간에 주로 수면을 하는 것으로 데이터가 축적되면, 해당 수면 시간에 조명장치의 켜짐, 꺼짐 또는 밝기 제어가 수행되게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제어시간은 실시간으로 지속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아의 수면 패턴이 변화하더라도 제어시간이 예측적으로 변화하여 조명장치가 변화된 수면패턴에 적합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셋째 단계 및 넷째 단계는, 상기된 소리 관련 제어목표장치(80)에 대한 장치제어 시스템의 사항과 동일할 수 있다.
여기서, 조명장치는 형광등, 백열등, LED등일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환기 관련 제어목표장치(80)에 대한 장치제어 시스템에서, 이벤트는 영유아의 영양섭취, 수면, 또는 배변이고, 제어목표장치(80)는 환기장치로서, 이벤트 발생 시 제어부(70)는 제어목표장치(80)를 작동시켜 환기가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첫째 단계는, 상기된 소리 관련 제어목표장치(80)에 대한 장치제어 시스템의 사항과 동일할 수 있다.
둘째, 이벤트에 대한 정보가 데이터로 변환되고, 데이터에 의해 제어목표장치(80)가 제어될 수 있다.
이 때, 이벤트에 대한 정보는, 전기신호로 버튼부(10)로부터 송신부(20)로 송신되고, 그 다음 전기신호로 송신부(20)로부터 중계모듈(30)로 송신된 후, 통신신호로 송신부(20)로부터 외부네트워크(40) 및 중앙서버부(50)로 순차적으로 송신될 수 있다. 그 다음에, 통신신호가 처리되어 중앙서버부(50)에서 데이터화될 수 있다.
데이터서버부(60)는, 중앙서버부(50)로부터 데이터를 전달 받고, 해당 데이터를 소정의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도출되는 제어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정보는, 제어목표장치(80)가 자동으로 제어되도록 제어부(70)에 제공되는 정보이며, 단순히 특정의 시간에 특정의 작동을 제어목표장치(80)가 수행하도록 하는 것뿐만 아니라, 축적된 데이트를 기반으로 예측된 시간에 예측된 작동을 제어목표장치(80)가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면의 경우, 유아가 소정의 시간에 주로 수면을 하는 것으로 데이터가 축적되면, 해당 수면 시간에 환기장치의 작동 제어가 수행되게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제어시간은 실시간으로 지속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아의 수면 패턴이 변화하더라도 제어시간이 예측적으로 변화하여 환기장치가 변화된 수면패턴에 적합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셋째 단계 및 넷째 단계는, 상기된 소리 관련 제어목표장치(80)에 대한 장치제어 시스템의 사항과 동일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70)는 환기되는 공기 유량을 제어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버튼부
20 : 송신부
30 : 중계모듈
40 : 외부네트워크
50 : 중앙서버부
60 : 데이터서버부
70 : 제어부
80 : 제어목표장치
90 : 스마트기기

Claims (9)

  1. 영양섭취, 배변활동 또는 수면활동과 관련된 행동으로써 육아와 관련된 행동인 하나 이상의 이벤트에 각각 맵핑(mapping)되는 하나 이상의 버튼을 구비하고, 상기 버튼의 조작으로 입력된 정보를 전기신호로 변화시키며, 좌우 수유 여부, 수유량, 분유량, 분유 종류 또는 영양 섭취 시간을 입력하도록 하는 영양섭취 관련 버튼과, 정상 대변 여부, 소변량, 소변 상태 또는 기저귀 교체시간을 입력하도록 하는 배변활동 관련 버튼, 및 취침 시간 또는 취침 장소를 입력하도록 하는 수면활동 관련 버튼, 그리고, 수량 또는 시간의 수치를 입력하도록 하는 번호입력버튼을 구비하는 버튼부;
    상기 버튼부와 결합하고, 상기 버튼부의 전기신호를 받아 송출하는 송신부;
    상기 송신부로부터 출력된 전기신호를 수신하고 통신신호를 생성하여 외부네트워크로 송출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중계모듈;
    상기 외부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된 상기 통신신호를 처리 및 저장하여 데이터화하고, 상기 데이터에 의한 데이터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외부네트워크로 송출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중앙서버부;
    상기 중앙서버부로부터 상기 이벤트에 대한 정보와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소정의 정보를 저장 및 축적하고, 축적된 상기 데이터를 기반으로 예측된 시간에 예측된 작동을 제어목표장치가 수행하도록 소정의 알고리즘을 통해 도출된 제어정보를 상기 중앙서버부로 전달하여, 제어부가 상기 제어정보에 의해 제어신호를 생성하도록 하는 데이터서버부;
    제어목표장치의 제어 상태를 화면 표시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스마트기기; 및
    상기 외부네트워크 및 상기 중계모듈을 통해 순차적으로 전달된 상기 데이터신호를 수신하고 처리하여 제어목표장치가 소정의 시간에 소정의 작동을 하도록 제어목표장치로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벤트의 발생으로 상기 버튼이 조작되는 경우, 상기 이벤트에 대한 정보가 상기 스마트기기의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에 기록되고,
    제어목표장치가 제어되는 시간인 제어시간은 실시간에 지속적으로 변화되고, 상기 이벤트의 패턴이 변화하더라도 상기 제어시간이 변화하여 제어목표장치가 변화된 상기 이벤트의 패턴에 적합하게 작동하고, 상기 제어시간의 변화와 제어목표장치의 작동 패턴이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기록되며,
    유아가 소정의 시간에 영양섭취 또는 수면을 하는 것으로 상기 데이터서버부에 상기 데이터가 축적되는 경우, 상기 유아의 수면 시간에, 제어목표장치 중 조명장치, 환기장치, 냉난방장치 및 습도조절장치의 작동 제어에 대한 상기 제어정보가 제어부에 제공되어, 제어목표장치가 제어되는 시간인 제어시간이 실시간으로 변화하고, 상기 유아의 영양섭취 또는 수면 패턴이 변화하더라고 상기 제어시간이 예측적으로 변화하여, 상기 유아의 변화된 영양섭취 또는 수면 패턴에 따라 상기 조명장치, 상기 환기장치, 상기 냉난방장치 및 상기 습도조절장치에 대한 상기 제어시간이 변화하며, 상기 조명장치, 상기 환기장치, 상기 냉난방장치 및 상기 습도조절장치가 예측된 시간에 예측된 작동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를 위한 장치제어 시스템.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는 영유아의 영양섭취, 수면, 또는 배변이고, 상기 제어목표장치는 초인종 또는 전화로서, 상기 이벤트 발생 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목표장치의 소리 크기가 감소되도록 상기 제어목표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를 위한 장치제어 시스템.
  3. 삭제
  4.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는 영유아의 영양섭취 또는 수면이고, 상기 제어목표장치는 조명장치로서, 상기 이벤트 발생 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목표장치의 켜짐, 꺼짐 또는 밝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를 위한 장치제어 시스템.
  5. 삭제
  6.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기기에서 생성되는 사용자조작정보 및 상기 제어정보를 전달받는 경우, 상기 사용자조작정보에 의해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를 위한 장치제어 시스템.
  7.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중계모듈과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기능,
    상기 데이터를 그래프화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기능,
    상기 데이터를 이용한 이벤트 및 정보 알람 기능,
    필수정보 입력 및 저장기능, 및
    상기 중계모듈로 상기 필수정보를 송신하는 기능,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를 위한 장치제어 시스템.
  8.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기기는 스마트폰, 태블릿PC, 스마트글래스, 스마트와치 또는 스마트밴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를 위한 장치제어 시스템.
  9.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중계모듈은, 모뎀 또는 스마트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를 위한 장치제어 시스템.
KR1020160011543A 2016-01-29 2016-01-29 육아를 위한 장치제어 시스템 KR1018385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1543A KR101838538B1 (ko) 2016-01-29 2016-01-29 육아를 위한 장치제어 시스템
PCT/KR2016/001059 WO2017131269A1 (ko) 2016-01-29 2016-02-01 육아 정보관리, 육아 패턴분석 및 육아를 위한 장치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1543A KR101838538B1 (ko) 2016-01-29 2016-01-29 육아를 위한 장치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1214A KR20170091214A (ko) 2017-08-09
KR101838538B1 true KR101838538B1 (ko) 2018-04-27

Family

ID=59652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1543A KR101838538B1 (ko) 2016-01-29 2016-01-29 육아를 위한 장치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85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0932B1 (ko) * 2020-08-25 2021-07-23 김기정 임신, 출산, 육아 정보 제공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0422A (ja) 2001-07-11 2003-01-31 Uni Charm Corp 情報処理システム、育児支援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記録媒体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0422A (ja) 2001-07-11 2003-01-31 Uni Charm Corp 情報処理システム、育児支援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記録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1214A (ko) 2017-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23695B2 (ja) 電子機器、電子機器システム、及び機器制御方法
US11231193B2 (en) Device control system
JP5710570B2 (ja) 操作支援装置、操作支援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CN107526298A (zh) 智能家居服务机器人
CN103918243A (zh) 占用驱动的病房环境控制
CN105580750A (zh) 互动式宠物照护系统
CN107290970A (zh) 一种基于智能音响的智能家居控制系统
US10921763B1 (en) Baby monitoring using a home monitoring system
CN208044324U (zh) 家居环境智能控制系统
CN204759188U (zh) 一种智能家居睡眠系统
CN104748312A (zh) 空调器的控制方法及系统
KR101838538B1 (ko) 육아를 위한 장치제어 시스템
KR101801384B1 (ko) 육아 정보관리 및 육아 패턴분석 시스템
CN108873725A (zh) 一种智能家居系统
US20180130316A1 (en) Event Tracker System And Method
KR102208475B1 (ko) 사물인터넷 기기 및 인공지능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산후조리원 육아돌봄 알림시스템
JP7220389B2 (ja) 行動管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行動管理システム
KR101708776B1 (ko) 모바일 기반 공동 육아 서비스 시스템
CN108133303A (zh) 智能婴幼儿照护系统
CN114002955B (zh) 一种基于物联网平台的智慧养老系统的搭建方法
KR20160100651A (ko) IoT 기반 아기 요람 장치
US20180108224A1 (en) Event tracker system and method
WO2018127043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for data collection, and related charging station and system
CN212009323U (zh) 一种多功能床头面板
CN204314652U (zh) 远程智能实验室设备控制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