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7972B1 - 예비하전 기능을 가진 일체형 여과 집진장치 - Google Patents

예비하전 기능을 가진 일체형 여과 집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7972B1
KR101837972B1 KR1020160085802A KR20160085802A KR101837972B1 KR 101837972 B1 KR101837972 B1 KR 101837972B1 KR 1020160085802 A KR1020160085802 A KR 1020160085802A KR 20160085802 A KR20160085802 A KR 20160085802A KR 101837972 B1 KR101837972 B1 KR 1018379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discharge electrode
filter
hopper
dust col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5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5563A (ko
Inventor
노영현
Original Assignee
삼주환경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주환경산업(주) filed Critical 삼주환경산업(주)
Priority to KR1020160085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7972B1/ko
Publication of KR201800055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55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7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79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2Transportable units, e.g. for cleaning room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2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using electrostatic forces to remove particles, e.g. electret fil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예비하전 기능을 가진 일체형 여과 집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비하전 기능을 가진 일체형 여과 집진장치로서, 하부로 분진 배출구를 형성하고, 일 측면으로 산업체에서 발생되는 함진 가스가 유입되는 인입 덕트를 형성하는 호퍼; 상기 호퍼의 내부에 예비하전을 인가하기 위한 방전극이 형성된 방전극 프레임이 배치 구성되고, 상기 호퍼를 관통하여 상기 방전극 프레임과 각각 연결되는 2개의 방전극 연결선과, 상기 2개의 방전극 연결선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상기 방전극에서 함진 가스에 전압을 인가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전압 발생기를 포함하는 하전 시스템; 상기 하전 시스템이 내부에 설치되는 상기 호퍼의 상부로 지지 구조물을 매개로 연결 설치되며, 여과 집진을 위한 복수의 여과포가 구비되는 여과 집진기; 및 상기 여과 집진기의 상부와 연통되며, 상기 여과 집진기의 복수의 여과포의 표면여과 방식을 통해 정화된 청정한 가스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기 덕트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예비하전 기능을 가진 일체형 여과 집진장치에 따르면, 포집 분진의 배출 역할을 하는 호퍼의 내부에 예비하전 기능을 갖춘 방전극을 포함하는 하전 시스템이 설치되고, 하전 시스템이 설치된 호퍼의 상부로 복수의 여과포가 배치되는 여과 집진기를 배치 구성함으로써, 예비하전 기능과 여과 집진의 복합 기능이 구현됨은 물론, 예비하전을 위한 하전 시스템이 별도의 개별 장치로 설치되지 않음에 따라 설치 공간의 제약이 해소되고,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여과 집진시설의 개보수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하전 시스템의 예비하전 기능을 통해 여과 집진기 내부로 유입되는 분진의 하전 정전기력을 가해 배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분진의 정전기력을 이용하여 미세분진의 조밀한 입자를 응집하여 여과포에 가해지는 미세분진으로 부하를 획기적으로 줄여주고, 이를 통한 고가의 필터 수명 증대와 여과포에 고착된 분진 클리닝 작업 시 탈리된 분진 재비산과 재부착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예비하전 기능을 가진 일체형 여과 집진장치{A INTEGRAL FILTERED DUST COLLECTOR DEVICE WITH THE PRE-CHARGED FUNCTION}
본 발명은 예비하전 기능을 가진 일체형 여과 집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전 시스템을 별도의 개별 장치로 설치하지 않고 포집 분진의 배출 역할을 하는 호퍼에 예비하전 기능을 갖춘 방전극이 배치되는 구조를 갖는 예비하전 기능을 가진 일체형 여과 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의 발달에 따라 불가피하게 생성이 되며, 환경오염의 주종을 이루고 인체에 가장 유해한 미세먼지 입자, 발암물질인 다이옥신, 중금속 물질 등은 산업체의 유류 및 화석연료 보일러, 자동차, 제철/제강공정, 시멘트 제조공정, 폐기물 소각공정 및 유해물질 처리공정 등의 각종 연소, 생산 및 제조공정에서 광범위하게 발생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산업공정에서 발생되는 분진처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여과 집진장치에 설치되는 일반적인 여과포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진처리 시스템은, 국내외 산업공정에서 발생되는 분진을 처리하는 집진설비로서, 오염발생원에서 발생되는 분진을 포집후드를 통해 포집을 실시하고, 이어 인입 덕트를 이용하여 분진이 포함된 함진 가스를 여과 집진시스템에 공급하여 여과포를 이용하여 청정 가스를 배기 덕트를 통해 배기송풍기에서 스택으로 배출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이러한 일반적인 발생분진 집진시스템은 여과포에 많은 분진 부하를 발생하게 되어 여과포의 사용압력을 상승시키게 되며, 잦은 탈진 작업으로 인해 많은 압축공기가 소모되고 여과포의 수명을 단축하고 있어 운전비의 상승을 가져오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여과시스템 전단에 사이클론을 설치하여 여과시스템으로 공급되어지는 분진의 일부를 처리하여 분진의 부하량을 줄이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는 사이클론의 제작, 건설비용의 상승을 가져오고, 많은 설비부지의 확보가 필수적이다. 또한, 사이클론의 특성상 미세한 입자를 가지고 있는 분진의 처리가 곤란하여 여과포의 눈막힘 현상을 방지하고 여과시스템의 미세먼지 제거 효율의 성능을 기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한편, 여과시스템에 사용되는 필터는 2,000CMM 기준으로 필터사이즈 Φ156×4000L의 필터가 약 1052개 정도 소요가 되고, 필터의 가격은 사용재질에 따라 다르나 수 천 만원이 소요되기도 한다. 먼지부하의 증대는 필터의 수명을 단축시키며, 잦은 탈진 작업으로 인해 필터의 손상을 가져와 유지관리비의 상승의 원인이 되며, 대다수의 중소기업에서는 이 필터 가격을 포함한 유지관리비의 상승으로 인해 많은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는 실정이다. 여과 집진장치는 다수의 필터인 여과포를 설치하여 필터의 표면 또는 심층 여과방식을 이용한 시스템으로, 필연적으로 필터의 표면에 분진이 고착되는데 이를 필터의 눈막힘 현상이라 하고, 이를 클리닝하기 위해 고압의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탈진 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필터의 클리닝을 위해 고압의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필터 표면의 분진을 탈리시키는 방식이 주로 이용되고 있지만, 여과 집진장치에 유동 흐름이 발생되어 탈리된 분진이 필터로 재비산, 재부착 되는 악순환이 지속적으로 발생되고 있어 효율 높은 탈진 작업은 기대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즉, 일단 필터의 눈막힘 현상이 발생되면 즉시 필터를 교환하여야 하는데 이렇게 되지 못할 경우 필터의 운전차압이 증가하게 되어 이를 통한 동력의 손실로 운전비의 상승을 가져오게 되고, 높은 여과필터의 가격과 교체 인원투입으로 인해 필터 교환 시 높은 유지관리비용이 소요 되고,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한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17520호, 등록특허공보 제10-0453930호가 선행기술 문헌으로 개시되고 있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포집 분진의 배출 역할을 하는 호퍼의 내부에 예비하전 기능을 갖춘 방전극을 포함하는 하전 시스템이 설치되고, 하전 시스템이 설치된 호퍼의 상부로 복수의 여과포가 배치되는 여과 집진기를 배치 구성함으로써, 예비하전 기능과 여과 집진의 복합 기능이 구현됨은 물론, 예비하전을 위한 하전 시스템이 별도의 개별 장치로 설치되지 않음에 따라 설치 공간의 제약이 해소되고,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여과 집진시설의 개보수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예비하전 기능을 가진 일체형 여과 집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전 시스템의 예비하전 기능을 통해 여과 집진기 내부로 유입되는 분진의 하전 정전기력을 가해 배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분진의 정전기력을 이용하여 미세분진의 조밀한 입자를 응집하여 여과포에 가해지는 미세분진으로 부하를 획기적으로 줄여주고, 이를 통한 고가의 필터 수명 증대와 여과포에 고착된 분진 클리닝 작업 시 탈리된 분진 재비산과 재부착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예비하전 기능을 가진 일체형 여과 집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예비하전 기능을 가진 일체형 여과 집진장치는,
예비하전 기능을 가진 일체형 여과 집진장치로서,
하부로 분진 배출구를 형성하고, 일 측면으로 산업체에서 발생되는 함진 가스가 유입되는 인입 덕트를 형성하는 호퍼;
상기 호퍼의 내부에 예비하전을 인가하기 위한 방전극이 형성된 방전극 프레임이 배치 구성되고, 상기 호퍼를 관통하여 상기 방전극 프레임과 각각 연결되는 2개의 방전극 연결선과, 상기 2개의 방전극 연결선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상기 방전극에서 함진 가스에 전압을 인가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전압 발생기를 포함하는 하전 시스템;
상기 하전 시스템이 내부에 설치되는 상기 호퍼의 상부로 지지 구조물을 매개로 연결 설치되며, 여과 집진을 위한 복수의 여과포가 구비되는 여과 집진기; 및
상기 여과 집진기의 상부와 연통되며, 상기 여과 집진기의 복수의 여과포의 표면여과 방식을 통해 정화된 청정한 가스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기 덕트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일체형 여과 집진장치는,
상기 호퍼 내에 설치되는 상기 하전 시스템의 방전극에 집적되는 분진을 탈거시키기 위해 주기적으로 기계적 추타를 실시하는 래핑 시스템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래핑 시스템은,
상기 호퍼를 관통하여 상기 방전극 프레임과 연결되는 앰빌과, 상기 앰빌에 연결되어 기계적 추타를 수행하는 래핑 햄머와, 상기 래핑 햄머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기어드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일체형 여과 집진장치는,
상기 여과 집진기에 구비되는 상기 여과포의 필터 눈막힘 현상이 방지될 수 있도록 고압의 압축 공기를 분사하여 필터를 클리닝 해주는 탈진 시스템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탈진 시스템은,
상기 여과 집진기를 관통하여 상기 여과포의 상부에 배치되며, 하부에 노즐들이 형성되는 복수의 분배관과, 상기 여과 집진기의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분배관과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분배관으로 고압의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메인관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전 시스템은,
상기 방전극이 형성된 방전극 프레임을 구성하되, 상기 방전극 프레임은 사각 형상으로 테두리 내부에 복수의 수평 프레임이 형성되고, 상기 방전극 프레임의 테두리와 수평 프레임들에 각각 형성되는 복수의 방전극은 테두리 부분이 짧고 중심에 배치되는 수평 프레임으로 갈수록 길이가 길어지는 구조를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전 시스템은,
상기 호퍼의 상호 대향하는 면에 서로 엇갈리는 형태로 2개의 방전극 연결선이 관통하여 배치되고, 상기 2개의 방전극 연결선에는 애자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여과 집진기는,
상기 여과포가 배치된 상측을 통해 내부 점검 및 부품 교체를 위해 개폐가 가능한 덮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예비하전 기능을 가진 일체형 여과 집진장치에 따르면, 포집 분진의 배출 역할을 하는 호퍼의 내부에 예비하전 기능을 갖춘 방전극을 포함하는 하전 시스템이 설치되고, 하전 시스템이 설치된 호퍼의 상부로 복수의 여과포가 배치되는 여과 집진기를 배치 구성함으로써, 예비하전 기능과 여과 집진의 복합 기능이 구현됨은 물론, 예비하전을 위한 하전 시스템이 별도의 개별 장치로 설치되지 않음에 따라 설치 공간의 제약이 해소되고,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여과 집진시설의 개보수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하전 시스템의 예비하전 기능을 통해 여과 집진기 내부로 유입되는 분진의 하전 정전기력을 가해 배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분진의 정전기력을 이용하여 미세분진의 조밀한 입자를 응집하여 여과포에 가해지는 미세분진으로 부하를 획기적으로 줄여주고, 이를 통한 고가의 필터 수명 증대와 여과포에 고착된 분진 클리닝 작업 시 탈리된 분진 재비산과 재부착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산업공정에서 발생되는 분진처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여과 집진장치에 설치되는 일반적인 여과포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예비하전 기능을 가진 일체형 여과 집진장치의 전체 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예비하전 기능을 가진 일체형 여과 집진장치의 평면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예비하전 기능을 가진 일체형 여과 집진장치의 측면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예비하전 기능을 가진 일체형 여과 집진장치의 호퍼에 하전 시스템이 설치된 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예비하전 기능을 가진 일체형 여과 집진장치의 호퍼에 하전 시스템이 설치된 측면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예비하전 기능을 가진 일체형 여과 집진장치의 하전 시스템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예비하전 기능을 가진 일체형 여과 집진장치의 전체 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예비하전 기능을 가진 일체형 여과 집진장치의 평면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예비하전 기능을 가진 일체형 여과 집진장치의 측면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예비하전 기능을 가진 일체형 여과 집진장치의 호퍼에 하전 시스템이 설치된 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예비하전 기능을 가진 일체형 여과 집진장치의 호퍼에 하전 시스템이 설치된 측면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예비하전 기능을 가진 일체형 여과 집진장치의 하전 시스템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8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예비하전 기능을 가진 일체형 여과 집진장치(100)는, 호퍼(110), 하전 시스템(120), 여과 집진기(130), 및 배기 덕트(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래핑 시스템(150), 및 탈진 시스템(16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호퍼(110)는, 하부로 분진 배출구(111)를 형성하고, 일 측면으로 산업체에서 발생되는 함진 가스가 유입되는 인입 덕트(112)를 형성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호퍼(110)는 여과 집진장치에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구성이며, 본 발명에서는 호퍼의 내부에 개보수를 통해 후술하게 될 하전 시스템(120)이 설치 구성될 수 있음에 특징이 있다. 또한, 기존 설비의 개보수 이외에도 신규 설치의 구성으로도 가능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하전 시스템(120)은, 호퍼(110)의 내부에 예비하전을 인가하기 위한 방전극(121)이 형성된 방전극 프레임(122)이 배치 구성되고, 호퍼(110)를 관통하여 방전극 프레임(122)과 각각 연결되는 2개의 방전극 연결선(123)과, 2개의 방전극 연결선(123)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방전극(121)에서 함진 가스에 전압을 인가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전압 발생기(124)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하전 시스템(120)은 방전극(121)이 형성된 방전극 프레임(122)을 구성하되, 방전극 프레임(122)은 사각 형상으로 테두리 내부에 복수의 수평 프레임이 형성되고, 방전극 프레임(122)의 테두리와 수평 프레임들에 각각 형성되는 복수의 방전극(121)은 테두리 부분이 짧고 중심에 배치되는 수평 프레임으로 갈수록 길이가 길어지는 구조를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하전 시스템(120)은 호퍼(110)의 상호 대향하는 면에 서로 엇갈리는 형태로 2개의 방전극 연결선(123)이 관통하여 배치되고, 2개의 방전극 연결선(123)에는 애자(123a)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즉, 하전 시스템(120)에서 정전기력을 이용한 전기집진기의 원리를 통해 함진 가스는 정전기력을 발생하게 된다. 또한, 하전 시스템(120)은 고전압 발생기(124)에서 교류 전기를 직류 전기로 변환하여 고압의 직류 전류를 발생시키고, 방전극 프레임(122)과 연결된 방전극(121)에서 함진 가스에 전압을 인가하게 된다. 여기서, 하전된 함진 가스는 인력의 작용으로 인해 조밀한 입자의 분진이 응집되는 효과를 발휘하게 되는데, 이를 통해 후술하게 될 여과포(131)에 가해지는 분진의 부하량을 획기적으로 줄여줄 수 있게 된다.
여과 집진기(130)는, 하전 시스템(120)이 내부에 설치되는 호퍼(10)의 상부로 지지 구조물(101)을 매개로 연결 설치되며, 여과 집진을 위한 복수의 여과포(131)가 구비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여과 집진기(130)는 여과포(131)가 배치된 상측을 통해 내부 점검 및 부품 교체를 위해 개폐가 가능한 덮개부(132)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배기 덕트(140)는, 여과 집진기(130)의 상부와 연통되며, 여과 집진기(130)의 복수의 여과포(131)의 표면여과 방식을 통해 정화된 청정한 가스를 배출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여기서, 배기 덕트(140)는 여과 집진기(130)의 상부와 연통한 상태로 측면을 따라 하부로 길게 형성되는 구조로 구성되며, 청정한 가스는 배기 덕트(140)를 통해 송풍기(미도시)로 공급된다.
래핑 시스템(150)은, 호퍼(110) 내에 설치되는 하전 시스템(120)의 방전극(121)에 집적되는 분진을 탈거시키기 위해 주기적으로 기계적 추타를 실시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래핑 시스템(150)은 호퍼(110)를 관통하여 방전극 프레임(122)과 연결되는 앰빌(151)과, 앰빌(151)에 연결되어 기계적 추타를 수행하는 래핑 햄머(152)와, 래핑 햄머(152)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기어드 모터(153)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탈진 시스템(160)은, 여과 집진기(130)에 구비되는 여과포(131)의 필터 눈막힘 현상이 방지될 수 있도록 고압의 압축 공기를 분사하여 필터를 클리닝 해주는 탈진 장치의 구성이다. 이러한 탈진 시스템(160)은 여과 집진기(130)를 관통하여 여과포(131)의 상부에 배치되며, 하부에 노즐들이 형성되는 복수의 분배관(161)과, 여과 집진기(130)의 외부에 배치되어 복수의 분배관(161)과 연결되며, 복수의 분배관(161)으로 고압의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메인관(162)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예비하전 기능을 가진 일체형 여과 집진장치는, 포집 분진의 배출 역할을 하는 호퍼의 내부에 예비하전 기능을 갖춘 방전극을 포함하는 하전 시스템이 설치되고, 하전 시스템이 설치된 호퍼의 상부로 복수의 여과포가 배치되는 여과 집진기를 배치 구성함으로써, 예비하전 기능과 여과 집진의 복합 기능이 구현됨은 물론, 예비하전을 위한 하전 시스템이 별도의 개별 장치로 설치되지 않음에 따라 설치 공간의 제약이 해소되고,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여과 집진시설의 개보수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하전 시스템의 예비하전 기능을 통해 여과 집진기 내부로 유입되는 분진의 하전 정전기력을 가해 배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분진의 정전기력을 이용하여 미세분진의 조밀한 입자를 응집하여 여과포에 가해지는 미세분진으로 부하를 획기적으로 줄여주고, 이를 통한 고가의 필터 수명 증대와 여과포에 고착된 분진 클리닝 작업 시 탈리된 분진 재비산과 재부착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하전 시스템이 호퍼 내부에 설치되므로, 별도의 설치 장소 또는 장치가 필요하지 않아 기존 여과 집진기의 개보수에 용이한 구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여과 집진장치
101: 지지 구조물 110: 호퍼
111: 분진 배출구 112: 인입 덕트
120: 하전 시스템 121: 방전극
122: 방전극 프레임 123: 방전극 연결선
123a: 애자 124: 고전압 발생기
130: 여과 집진기 131: 여과포
132: 덮개부 140: 배기덕트
150: 래핑 시스템 151: 앰빌
152: 래핑 햄머 153: 기어드 모터
160: 탈진 시스템 161: 분배관
162: 메인관

Claims (8)

  1. 예비하전 기능을 가진 일체형 여과 집진장치(100)로서,
    하부로 분진 배출구(111)를 형성하고, 일 측면으로 산업체에서 발생되는 함진 가스가 유입되는 인입 덕트(112)를 형성하는 호퍼(110);
    상기 호퍼(110)의 내부에 예비하전을 인가하기 위한 방전극(121)이 형성된 방전극 프레임(122)이 배치 구성되고, 상기 호퍼(110)를 관통하여 상기 방전극 프레임(122)과 각각 연결되는 2개의 방전극 연결선(123)과, 상기 2개의 방전극 연결선(123)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상기 방전극(121)에서 함진 가스에 전압을 인가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전압 발생기(124)를 포함하는 하전 시스템(120);
    상기 하전 시스템(120)이 내부에 설치되는 상기 호퍼(110)의 상부로 지지 구조물(101)을 매개로 연결 설치되며, 여과 집진을 위한 복수의 여과포(131)가 구비되는 여과 집진기(130); 및
    상기 여과 집진기(130)의 상부와 연통되며, 상기 여과 집진기(130)의 복수의 여과포(131)의 표면여과 방식을 통해 정화된 청정한 가스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기 덕트(140)를 포함하되,
    상기 하전 시스템(120)은,
    상기 방전극(121)이 형성된 방전극 프레임(122)을 구성하되, 상기 방전극 프레임(122)은 사각 형상으로 테두리 내부에 복수의 수평 프레임이 형성되고, 상기 방전극 프레임(122)의 테두리와 수평 프레임들에 각각 형성되는 복수의 방전극(121)은 테두리 부분이 짧고 중심에 배치되는 수평 프레임으로 갈수록 길이가 길어지는 구조를 갖도록 구성되고,
    상기 하전 시스템(120)은,
    상기 호퍼(110)의 상호 대향하는 면에 서로 엇갈리는 형태로 2개의 방전극 연결선(123)이 관통하여 배치되고, 상기 2개의 방전극 연결선(123)에는 애자(123a)가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비하전 기능을 가진 일체형 여과 집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여과 집진장치(100)는,
    상기 호퍼(110) 내에 설치되는 상기 하전 시스템(120)의 방전극(121)에 집적되는 분진을 탈거시키기 위해 주기적으로 기계적 추타를 실시하는 래핑 시스템(15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비하전 기능을 가진 일체형 여과 집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래핑 시스템(150)은,
    상기 호퍼(110)를 관통하여 상기 방전극 프레임(122)과 연결되는 앰빌(151)과, 상기 앰빌(151)에 연결되어 기계적 추타를 수행하는 래핑 햄머(152)와, 상기 래핑 햄머(152)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기어드 모터(153)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비하전 기능을 가진 일체형 여과 집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여과 집진장치(100)는,
    상기 여과 집진기(130)에 구비되는 상기 여과포(131)의 필터 눈막힘 현상이 방지될 수 있도록 고압의 압축 공기를 분사하여 필터를 클리닝 해주는 탈진 시스템(16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비하전 기능을 가진 일체형 여과 집진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탈진 시스템(160)은,
    상기 여과 집진기(130)를 관통하여 상기 여과포(131)의 상부에 배치되며, 하부에 노즐들이 형성되는 복수의 분배관(161)과, 상기 여과 집진기(130)의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분배관(161)과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분배관(161)으로 고압의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메인관(162)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비하전 기능을 가진 일체형 여과 집진장치.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 집진기(130)는,
    상기 여과포(131)가 배치된 상측을 통해 내부 점검 및 부품 교체를 위해 개폐가 가능한 덮개부(132)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비하전 기능을 가진 일체형 여과 집진장치.
KR1020160085802A 2016-07-06 2016-07-06 예비하전 기능을 가진 일체형 여과 집진장치 KR1018379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5802A KR101837972B1 (ko) 2016-07-06 2016-07-06 예비하전 기능을 가진 일체형 여과 집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5802A KR101837972B1 (ko) 2016-07-06 2016-07-06 예비하전 기능을 가진 일체형 여과 집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5563A KR20180005563A (ko) 2018-01-16
KR101837972B1 true KR101837972B1 (ko) 2018-03-13

Family

ID=61066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5802A KR101837972B1 (ko) 2016-07-06 2016-07-06 예비하전 기능을 가진 일체형 여과 집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79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80389B (zh) * 2018-04-23 2019-07-05 界首市盈丰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高压静电除尘装置
KR102148770B1 (ko) * 2020-02-24 2020-08-27 정선호 필터와 원형집진판이 동일한 챔버에 구성되는 일체형 집진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2338A (ja) * 1999-08-26 2001-03-13 Mitsubishi Heavy Ind Ltd 集塵装置及び集塵装置のクリーニング方法
KR200339075Y1 (ko) 2003-05-23 2004-01-16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전기 집진기의 추타 장치
KR101154603B1 (ko) 2003-11-17 2012-06-08 앱솔루트 이콜로지 코포레이션 공기중 산화 미립자 감소 및 제거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2338A (ja) * 1999-08-26 2001-03-13 Mitsubishi Heavy Ind Ltd 集塵装置及び集塵装置のクリーニング方法
KR200339075Y1 (ko) 2003-05-23 2004-01-16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전기 집진기의 추타 장치
KR101154603B1 (ko) 2003-11-17 2012-06-08 앱솔루트 이콜로지 코포레이션 공기중 산화 미립자 감소 및 제거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5563A (ko) 2018-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0240B1 (ko) 양방향 집진 시스템
CN106140467B (zh) 用于同时减少有害气体和颗粒的车辆空气净化装置
US20090056551A1 (en) Electrostatic Precipitator
WO2011152357A1 (ja) 集塵装置の運転方法及び集塵装置
KR101320293B1 (ko) 집진장치
JP4687595B2 (ja) 電気集塵装置
KR102017653B1 (ko) 습식 및 건식 혼합 전기집진기
KR102148770B1 (ko) 필터와 원형집진판이 동일한 챔버에 구성되는 일체형 집진기
KR101837972B1 (ko) 예비하전 기능을 가진 일체형 여과 집진장치
KR100308333B1 (ko) 마찰 정전기 집진장치
KR101623015B1 (ko) 재사용 효율이 높은 필터 시스템
JP3958020B2 (ja) 電気集塵器
PH12014000396B1 (en) Composite dust collector
KR101436381B1 (ko) 세정이 가능한 전기 집진장치
KR102219778B1 (ko) 자동세척형 전기집진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정화기
JP2007021380A (ja) 粒子充填層集塵装置
KR101310818B1 (ko) 오일미스트 포집장치
KR200479702Y1 (ko) 지속 운전이 가능한 전기 집진장치
KR20010055607A (ko) 일체형 먼지하전 여과집진장치
JP2004141826A (ja) 電気集塵器
CN102021694B (zh) 纺织车间电晕反清洗除绒装置及其方法
CN105665143B (zh) 静电刷除尘器
CA1249529A (en) Apparatus for the removal of particulates from industrial gases
KR101648117B1 (ko) 복합형 집진 장치
KR101846281B1 (ko) 탈취집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