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7506B1 - 템플릿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치과용 평탄화 드릴 - Google Patents

템플릿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치과용 평탄화 드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7506B1
KR101837506B1 KR1020160117258A KR20160117258A KR101837506B1 KR 101837506 B1 KR101837506 B1 KR 101837506B1 KR 1020160117258 A KR1020160117258 A KR 1020160117258A KR 20160117258 A KR20160117258 A KR 20160117258A KR 101837506 B1 KR101837506 B1 KR 1018375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cutting edge
auxiliary
cutting edges
dri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7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시영
문종훈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172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75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75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75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61C3/02Tooth drilling or cutting instruments; Instruments acting like a sandblast mach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082Positioning or guiding, e.g. of drills
    • A61C1/084Positioning or guiding, e.g. of drills of implan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 A61C8/00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for selecting the right implanting element, e.g. templa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드릴링 위치를 안내하기 위하여 환자의 구강 내에 설치되는 템플릿(1)과 함께 사용할 수 있는 동시에, 환자의 구강 내에서 임플란트의 식립 위치에 대한 평탄화 시술을 위해 사용하는 치과용 평탄화 드릴이 개시된다.
치과용 평탄화 드릴은, 구동장치에 연결될 수 있도록 몸체(10)의 일단에 형성되어 있는 연결부(20)와; 상기 몸체의 타단에 형성되며, 드릴링을 위한 절삭날을 가지는 절삭부(30)와; 상기 몸체와 상기 절삭부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템플릿에 형성되어 있는 안내구멍(1a)의 내경 치수에 대응하는 치수의 외경을 가지는 안내부(11)를 포함한다.
상기 절삭부(30)의 외경은 상기 안내구멍(1a)의 내경보다 작고, 상기 안내부(11)의 외경은 상기 절삭부(30)의 외경보다 크며, 상기 안내부(11)와 상기 절삭부(30) 사이에는, 상기 절삭부로부터 상기 안내부를 향하여 점차 직경이 증가하는 직경확대부(15)가 형성된다.

Description

템플릿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치과용 평탄화 드릴 {FLATTENING DRILL FOR DENTAL SURGERY FOR USING WITH TEMPLATE}
본 발명은, 환자의 구강 내에서 사용하는 치과용 평탄화 드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상적인 드릴링을 위해 환자의 구강 내에 설치되는 템플릿과 함께 사용할 수 있는 동시에, 환자의 구강 내에서 임플란트의 식립 위치에 대한 평탄화 시술을 위해 사용하는 치과용 평탄화 드릴에 관한 것이다.
임플란트란 상실된 인체 조직을 회복시켜 주는 대치물을 의미하는데, 치과에서는 일반적으로 상실된 치아의 치근(뿌리)을 대신할 수 있도록 자연치근이 빠져나간 치조골에 픽스츄어(Fixture)를 매식하여 유착시킨 후 인공치아(즉, 보철물)를 고정시켜 치아의 원래 기능을 회복하도록 하는 대치물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치과용 임플란트는 인공치아와 픽스츄어와의 결합방법에 따라서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는데, 어떠한 결합방법을 이용하더라도 픽스츄어를 치조골에 매식하는 과정을 거쳐야만 한다.
임플란트, 즉 픽스츄어를 치조골 내에 식립하기 위해서는 치과용 드릴에 의한 드릴링 시술이 이루어져야 하는데, 임플란트를 정확하게 시술하기 위해서는 픽스츄어의 식립방향에 맞춰 드릴링이 이루어져야 한다. 특히 픽스츄어와 지대주가 일체로 형성된 일체형 임플란트는, 식립 방향이 잘못되거나, 식립 방향과 인공치아의 방향이 다를 경우, 지대주의 방향을 바꿀 수는 없기 때문에, 식립된 임플란트를 제거한 후 다시 식립하거나 지대주를 삭제하는 번거로운 작업을 실시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상적인 드릴링을 위해 치과용 드릴의 드릴링 방향을 안내하는 형틀, 즉 템플릿을 활용하는 방법이 제시되어 있다. 그런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템플릿(1)을 활용하더라도 치조골(9)의 형상에 따라 드릴링시 치과용 드릴(3)의 튐이나 미끄러짐이 발생하여 드릴링 방향이 어긋날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드릴링이 실시될 위치의 치조골이 울퉁불퉁하거나 경사진 경우에 임플란트의 정확한 식립을 위해 드릴의 방향을 안내하는 템플릿을 활용하여 시술을 실시하더라도 계획된 방향으로 드릴링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치과용 드릴을 이용한 드릴링 시술을 실시하기 전에 치조골의 표면을 평탄화시키는 치과용 평탄화 드릴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드릴링 위치를 안내하기 위하여 환자의 구강 내에 설치되는 템플릿과 함께 사용할 수 있는 동시에, 환자의 구강 내에서 임플란트의 식립 위치에 대한 평탄화 시술을 위해 사용하는 치과용 평탄화 드릴로서, 구동장치에 연결될 수 있도록 몸체의 일단에 형성되어 있는 연결부와; 상기 몸체의 타단에 형성되며, 드릴링을 위한 절삭날을 가지는 절삭부와; 상기 몸체와 상기 절삭부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템플릿에 형성되어 있는 안내구멍의 내경 치수에 대응하는 치수의 외경을 가지는 안내부; 를 포함하는 치과용 평탄화 드릴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절삭부의 외경은 상기 안내구멍의 내경보다 작고, 상기 안내부의 외경은 상기 절삭부의 외경보다 크며, 상기 안내부와 상기 절삭부 사이에는, 상기 절삭부로부터 상기 안내부를 향하여 점차 직경이 증가하는 직경확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와 상기 안내부 사이에는 상기 안내부의 외경보다 큰 치수의 외경을 가지도록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단턱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삭부는 방사상으로 퍼져나간 형태로 배열되는 다수의 절삭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삭날들 사이에는 절삭된 골 칩이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칩 포켓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칩 포켓부를 따라 상기 절삭부의 외측 가장자리까지 이동한 골 칩이 계속해서 드릴 진행방향의 반대쪽으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칩 배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삭날은 서로 각도 간격을 가지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주 절삭날과, 상기 주 절삭날들 사이에 배치되는 보조 절삭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 절삭날에서 드릴의 회전방향 쪽으로 인접한 상기 칩 포켓부는 상기 보조 절삭날에서 드릴의 회전방향 쪽으로 인접한 상기 칩 포켓부보다 깊게 형성될 수 있다.
치조골에 대하여 평평한 형상의 피절삭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절삭부는, 상기 칩 포켓부가 형성된 부분에서 선단 중심부분이 볼록하게 곡선을 이루면서 솟아오른 형상을 가지거나 평평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칩 배출부가 형성된 부분에서 상기 몸체의 중심축선과 평행한 직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각각의 절삭날에 있어서 상기 칩 포켓부와 상기 칩 배출부 사이의 모서리는 라운드 처리될 수 있다.
절삭이 진행되어 절삭부가 골 내로 삽입됨에 따라 절삭에 참여하는 절삭날의 개수가 증가할 수 있도록, 상기 보조 절삭날은 복수개가 형성되며 복수의 상기 보조 절삭날들 중 적어도 일부의 보조 절삭날은 서로 상이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절삭날은, 상기 절삭부의 기부로부터 중심점까지 뻗어있는 주 절삭날과, 상기 주 절삭날과 동일한 길이를 가져 상기 절삭부의 중심점까지 뻗어있는 제1 보조 절삭날과, 상기 제1 보조 절삭날보다 길이가 짧아 상기 절삭부의 중심점까지 뻗지 못하는 제2 및 제3 보조 절삭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보조 절삭날은 상기 제1 보조 절삭날보다 길이가 짧고 상기 제2 보조 절삭날보다 길이가 길 수 있다.
상기 보조 절삭날은 복수개가 형성되며 복수의 상기 보조 절삭날들 중 적어도 일부의 보조 절삭날은 드릴의 회전방향으로 인접한 다른 절삭날을 향하여 연장할 수 있다.
상기 절삭부에는 상기 절삭부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하나 이상의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는, 상기 주 절삭날들이 교차하는 상기 절삭부의 중심에 형성된 중심돌기와, 상기 중심돌기의 주위에 형성되는 주변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치과용 드릴과 템플릿을 이용한 드릴링 시술을 실시하기 전에 치조골의 표면을 평탄화시키는 치과용 평탄화 드릴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치과용 평탄화 드릴에 의하면, 드릴링이 실시될 위치의 치조골이 울퉁불퉁하거나 경사진 경우에 해당 위치에 대하여 평탄화 시술을 실시함으로써, 치과용 드릴에 의한 안정적인 드릴링 시술이 가능하게 되고, 임플란트의 정확한 식립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치과용 드릴과 템플릿을 사용한 시술시 치과용 드릴의 드릴링 방향이 어긋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평탄화 드릴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평탄화 드릴의 절삭부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평탄화 드릴의 절삭부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평탄화 드릴의 절삭부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평탄화 드릴과 템플릿을 활용한 드릴링 시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평탄화 드릴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평탄화 드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치과용 평탄화 드릴은, 핸드용 드라이버나 덴탈용 시술 엔진 등의 구동장치에 연결될 수 있도록 대략 원통형의 몸체(10) 일단(즉, 도 2에서 볼 때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연결부(20)와, 이 몸체(10)의 타단(즉, 도 2에서 볼 때 하단)에 형성되며 드릴링을 위한 절삭 날을 가지는 절삭부(30)를 포함한다.
절삭부(30)는 절삭할 골 표면에 대한 드릴의 어프로치시 반드시 골 표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접근하지 않더라도 절삭이 가능한 형상을 가지며, 그에 따라 치조골의 표면이 경사지거나 울퉁불퉁한 위치에서도 정확한 방향으로 드릴링 시술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삭부(30)는 곡선 구간과 직선 구간이 혼합된 외형을 가질 수 있다. 절삭부(30)는, 예를 들어, 선단 중심부분이 볼록하게 솟아오르는 동시에, 모서리가 둥글게 라운드 처리된 스퀘어 라운드(square round)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치과용 평탄화 드릴에 따르면, 몸체(10)와 절삭부(30) 사이에는, 템플릿(1)(도 6 참조)에 형성되어 있는 안내구멍(1a)(도 6 참조)의 내경 치수에 대응하는 치수의 외경을 가지는 안내부(11)가 형성될 수 있다. 절삭부(30)가 안내구멍(1a)을 통과할 수 있도록 절삭부(30)의 외경은 안내구멍(1a)의 내경보다 작게 만들어질 수 있고, 안내구멍(1a)의 내경 치수에 대응하는 치수를 갖는 안내부(11)의 외경은 절삭부(30)의 외경보다 크다.
안내부(11)의 외경과 템플릿(1)에 형성된 안내구멍(1a)의 내경이 서로 대응하는 치수를 갖는다는 것은, 치과용 평탄화 드릴의 회전시 안내구멍(1a)의 내부에서 안내부(11)가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안내부(11)의 외경이 템플릿(1)에 형성된 안내구멍(1a)의 내경과 동일하거나 미세하게 작은 치수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몸체(10)와 안내부(11) 사이에는 안내부(11)의 외경보다 큰 치수의 외경을 가지도록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단턱부(13)가 형성될 수 있다. 단턱부(13)의 외경은 안내구멍(1a)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단턱부(13)가 안내구멍(1a) 주변의 템플릿(1) 표면에 맞닿음으로써 절삭깊이가 제한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치과용 평탄화 드릴이 치조골을 필요이상 깊게 절삭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안내부(11)와 절삭부(30) 사이에는,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절삭부(30)로부터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안내부(11)를 향하여 점차 직경이 증가하는 직경확대부(15)가 형성되어 있다. 절삭부(30)로부터 안내부(11)까지 직경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므로, 안내구멍(1a)에 드릴을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고, 삽입과 동시에 드릴의 중심이 맞춰질 수 있게 된다.
절삭부(30)에는 다수의 절삭날이 형성되어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절삭날들은 중심점(C)으로부터 방사상으로 퍼져나간 형태를 갖는다.
절삭날은, 서로 각도 간격을 가지면서 이격되는 복수의 주 절삭날(31)과, 이들 주 절삭날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보조 절삭날(33)을 포함할 수 있다. 주 절삭날(31)은 절삭부(30)의 반구형 표면으로부터 가장 높이 돌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드릴의 절삭부(30)에 의해 골 절삭을 개시할 때 가장 먼저 절삭이 개시되는 날이며, 드릴링 작업이 진행되는 동안 골 절삭이 주로 이루어지는 날이다. 보조 절삭날(33)은 주 절삭날의 절삭이 이루어진 이후 추가적으로 절삭에 참여하는 날이며, 드릴링 작업이 진행되는 동안 골 절삭에 보조적으로 참여하는 날이다.
주 절삭날(31)들은 서로 일정한 각도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도 있고 서로 상이한 각도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보조 절삭날(33)의 경우에도, 서로 일정한 혹은 상이한 각도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절삭날들 사이에는 절삭된 골 칩이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칩 포켓부(37)가 형성되어 있다. 칩 포켓부(37)를 따라 외측 가장자리까지 이동한 골 칩은, 칩 배출부(38)를 통하여 계속해서 드릴 진행방향의 반대쪽, 즉 연결부(20) 쪽으로 빠져나갈 수 있다.
주 절삭날(31)에서 리딩(leading)방향, 즉 드릴의 회전방향(도 3에서 볼 때 반시계방향) 쪽으로 인접한 칩 포켓부는 보조 절삭날(33)에서 리딩방향 쪽으로 인접한 칩 포켓부보다 깊게 형성되며, 그에 따라 주 절삭날(31)에 의해 절삭된 본 칩이 보조 절삭날(33)에 의해 절삭된 본 칩보다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고, 주 절삭날(31)에 의한 절삭력이 보조 절삭날(33)에 의한 절삭력보다 양호한 특성을 갖는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치과용 평탄화 드릴의 절삭부(30)는, 대략 120도 간격으로 뻗어있는 3개의 주 절삭날(31)과, 이들 주 절삭날(31) 사이에서 역시 동일한 각도 간격으로 형성되는 15개의 보조 절삭날(33)을 포함한다. 하나의 주 절삭날(31)과 다른 하나의 주 절삭날(31) 사이에는 5개의 보조 절삭날(33)이 형성된다. 이들 6개의 절삭날, 즉 하나의 주 절삭날(31)과 5개의 보조 절삭날(33)은 하나의 그룹을 이루며, 도 3의 실시형태에서는 절삭부(30)가 총 3개 그룹의 절삭날들로 이루어진다. 주 절삭날과 보조 절삭날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상기된 실시형태로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주 절삭날(31)은 절삭부(30)의 기부, 즉 절삭부의 몸체(10)쪽 끝 부분으로부터 절삭부의 중심점(C)까지 뻗어있다.
보조 절삭날들은 모두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 있지만,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절삭이 진행되어 절삭부(30)가 골 내로 삽입됨에 따라 절삭에 참여하는 절삭날의 개수가 증가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의 보조 절삭날들은 서로 상이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즉, 보조 절삭날은, 주 절삭날(31)과 동일한 길이를 가져 절삭부(30)의 중심까지 뻗어있는 제1 보조 절삭날(33a)과, 이 제1 보조 절삭날(33a)보다 길이가 짧아 절삭부(30)의 중심까지 뻗지 못하는 제2 보조 절삭날(33b)과, 이들 제1 보조 절삭날(33a)의 길이보다 짧고 제2 보조 절삭날(33b)의 길이보다 긴 제3 보조 절삭날(33c)을 포함한다. 제2 보조 절삭날(33b)과 제3 보조 절삭날(33c)의 말단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시계방향, 즉 드릴의 회전방향으로 인접한 다른 절삭날 쪽으로 구부러져, 이 다른 절삭날과 교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치과용 평탄화 드릴은, 절삭부(30)의 중심점(C)에는 중심돌기(34)가 형성되고, 이 중심돌기(34)의 주위에는 미세한 주변돌기(35)가 형성된 형상을 가지도록 제작될 수 있다.
중심점(C)은 절삭부(30)를 평면에서 볼 때 절삭부의 중심에 형성되는 점인 동시에, 주 절삭날(31)들이 함께 교차하는 점(즉, 주 절삭날(31)들이 집중되는 점)이다. 중심점(C)의 중심돌기(34)는 절삭부(30)의 표면으로부터 가장 높이 돌출되어 본 발명의 치과용 평탄화 드릴을 골 표면에 수직으로 접근시켰을 때 절삭이 가장 먼저 개시되는 지점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중심돌기(34) 주변의 주변돌기(35)는, 제3 보조 절삭날(33c)의 선단부분에서 주 절삭날(31)을 향하여 연장되는 연장부(33c1)가 주 절삭날(31)과 만나는 지점에 형성된다. 3개의 그룹의 절삭날들을 갖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모두 3개의 주변돌기가 형성된다.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치과용 평탄화 드릴이 치조골에 대하여 주변에 비해 평평한 형상의 피절삭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정면에서 볼 때 절삭부(30)는 대략 다음과 같은 형상을 갖는다. 즉, 칩 포켓부(37)가 형성된 부분에서 절삭부는 선단 중심부분이 볼록하게 곡선을 이루면서 솟아오른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칩 배출부(38)가 형성된 부분에서 절삭부는 대략 몸체(10)의 중심축선과 평행한 직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각각의 절삭날에 있어서 칩 포켓부(37)와 칩 배출부(38) 사이의 모서리는 둥글게 라운드 처리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칩 포켓부(37)가 형성된 부분에서 선단 중심부분의 최대 높이(H)와 절삭부(30)의 직경(D)의 비는, 예를 들어, 높이(H)가 1일 때 직경(D)이 2 이상의 값을 가지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높이(H)가 1일 때 직경(D)이 2 미만의 값을 가지면, 정면에서 볼 때 절삭부(30)의 형태가 대체적으로 타원형상을 이루기 때문에 피절삭면이 평평하게 형성되기 어렵다. 또한, 절삭부(30)는 높이(H)가 0인 형상을 가지도록 만들어질 수도 있다. 하지만 높이(H)가 음수(-), 즉 절삭부의 선단 중심부분이 오목하게 만들어지는 것은 피절삭면에 원추형 돌기가 형성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도 3과 같이 절삭부(30)를 평면에서 볼 때 중심돌기(34)를 중심으로 하면서 주변돌기(35)들을 모두 지나는 가상의 원을 생각할 수 있는데, 이 가상의 원의 지름은 절삭부(30)의 지름에 비해 대략 0.5 내지 0.001의 값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절삭부(30)가 중심돌기를 가지도록 제작될 경우, 중심돌기(34)의 돌출량은 드릴에 의한 드릴링 작업시 자리를 확실하게 잡아 미끄러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 상악동 골의 천공시 내부의 점막이 손상되지 않을 수 있는 정도로 결정될 필요가 있으며, 도 5와 같이 절삭부(30)를 정면에서 볼 때 절삭부(30)의 전체 높이의 20% 내지 0.01%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주 절삭날(31)로부터 시계방향으로 하나의 제3 보조 절삭날(33c), 3개의 제1 보조 절삭날(33a), 그리고 하나의 제2 보조 절삭날(33b)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형태만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절삭날들의 배치는 적절히 변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술한 바와 같이 모든 절삭날들이 절삭부(30)의 중심점(C)까지 연장되지 않고 있으므로, 최초 절삭이 개시되는 시점에 모든 절삭날이 절삭에 참여하지 않고, 절삭 작업이 이루어짐에 따라 점차적으로 절삭에 참여하는 절삭날의 개수가 증가하게 된다. 즉, 도면에 도시된 실시형태에 따르면, 최초로 3개의 주 절삭날(31)들이 절삭을 개시하고, 그 직후 3개의 제1 보조 절삭날(33a)들이 절삭에 참여하고, 절삭이 이루어짐에 따라 제3 보조 절삭날(33c)과 제2 보조 절삭날(33b)이 순차적으로 절삭에 참여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절삭부(30)의 표면에 절삭날을 형성한 후, 이 절삭날(주 절삭날 및 보조 절삭날)을 추가적으로 연삭함으로써 절삭날의 에지(edge) 부분을 더욱 날카롭게 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절삭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절삭력이 향상되면, 저속에서 고속까지 절삭속도에 유연성을 부여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특히, 저속 회전시에는 본 칩의 채취 등이 용이하고, 고속 회전시에는 시술 시간의 단축 효과를 거둘 수 있어 시술자로 하여금 시술 편의성을 부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절삭날, 즉 주 절삭날과 보조 절삭날에 대하여 연삭(혹은 연마) 가공이 이루어진다는 표현은, 일반적으로 드릴의 절삭날을 형성하기 위해 활용되는 기계적인 절삭 가공 이후에 연삭 가공이 추가적으로 실시될 수도 있고, 연삭 가공만으로 절삭날을 형성하는 동시에 연삭이 이루어지도록 연삭 가공이 실시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절삭날들의 사이에 형성되는 칩 포켓(chip pocket)부(37)에는 절삭된 본 칩(bone chip)이 충전될 수 있으며, 본 칩이 절삭날들 사이의 칩 포켓부(37)를 메움에 따라 절삭부(30)의 말단 표면이 매끄러운 형상을 가지게 되어 절삭날이 상악동 막에 접촉되더라도 상악동 막을 손상시키지 않을 수 있다. 즉, 절삭날의 개수가 많고 칩 포켓부에 대한 본 칩이 충전된 상태가 양호할수록 절삭부가 점막에 접촉할 때 점막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치과용 평탄화 드릴에 의하면 절삭부(30)의 절삭날 개수가 많고 본 칩의 충전상태가 양호하므로 점막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연마를 통해 절삭날을 날카롭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6에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평탄화 드릴과 템플릿을 활용한 드릴링 시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치과용 드릴(3)에 의해 픽스츄어를 식립하기 위한 구멍을 천공할 때, 시술부위의 표면이 비스듬하거나 울퉁불퉁한 경우에는, 먼저, 본 발명에 다른 치과용 평탄화 드릴(5)을 사용하여 시술부위의 표면을 평평하게 가공한다. 계획된 위치의 표면이 평평하게 가공될 수 있으므로, 평탄화 가공 이후에 수행되는 치과용 드릴(3)에 의한 드릴링이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드릴을,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 의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 템플릿 1a: 안내구멍
3: 치과용 드릴 5: 치과용 평탄화 드릴
9: 치조골 10: 몸체
11: 안내부 13: 단턱부
15: 직경확대부 20: 연결부
30: 절삭부 31: 주 절삭날
33: 보조 절삭날 33a: 제1 보조 절삭날
33b: 제2 보조 절삭날 33c: 제3 보조 절삭날
34: 중심돌기 35: 주변돌기
37: 칩 포켓부 38: 칩 배출부

Claims (14)

  1. 드릴링 위치를 안내하기 위하여 환자의 구강 내에 설치되는 템플릿과 함께 사용할 수 있는 동시에, 환자의 구강 내에서 임플란트의 식립 위치에 대한 평탄화 시술을 위해 사용하는 치과용 평탄화 드릴로서,
    구동장치에 연결될 수 있도록 몸체의 일단에 형성되어 있는 연결부와;
    상기 몸체의 타단에 형성되며, 드릴링을 위한 절삭날을 가지는 절삭부와;
    상기 몸체와 상기 절삭부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템플릿에 형성되어 있는 안내구멍의 내경 치수에 대응하는 치수의 외경을 가지는 안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절삭부의 외경은 상기 안내구멍의 내경보다 작고, 상기 안내부의 외경은 상기 절삭부의 외경보다 크며,
    상기 몸체와 상기 안내부 사이에는 상기 안내부의 외경보다 큰 치수의 외경을 가지도록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단턱부가 형성되며,
    상기 절삭부는 방사상으로 퍼져나간 형태로 배열되는 다수의 절삭날을 포함하며,
    상기 절삭날들 사이에는 절삭된 골 칩이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칩 포켓부가 형성되며, 상기 칩 포켓부를 따라 상기 절삭부의 외측 가장자리까지 이동한 골 칩이 계속해서 드릴 진행방향의 반대쪽으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칩 배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절삭날은, 서로 각도 간격을 가지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주 절삭날과, 상기 주 절삭날들 사이에 배치되는 보조 절삭날을 포함하며, 상기 주 절삭날에서 드릴의 회전방향 쪽으로 인접한 상기 칩 포켓부는 상기 보조 절삭날에서 드릴의 회전방향 쪽으로 인접한 상기 칩 포켓부보다 깊게 형성되며,
    치조골에 대하여 평평한 형상의 피절삭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절삭부는, 상기 칩 포켓부가 형성된 부분에서 선단 중심부분이 볼록하게 곡선을 이루면서 솟아오른 형상을 가지거나 평평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칩 배출부가 형성된 부분에서 상기 몸체의 중심축선과 평행한 직선 형상을 가지는, 치과용 평탄화 드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치과용 평탄화 드릴의 상기 안내부와 상기 절삭부 사이에는, 상기 절삭부로부터 상기 안내부를 향하여 점차 직경이 증가하는 직경확대부가 형성되는, 치과용 평탄화 드릴.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각각의 절삭날에 있어서 상기 칩 포켓부와 상기 칩 배출부 사이의 모서리는 라운드 처리되는, 치과용 평탄화 드릴.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삭날은, 서로 각도 간격을 가지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주 절삭날과, 상기 주 절삭날들 사이에 배치되는 보조 절삭날을 포함하며,
    절삭이 진행되어 절삭부가 골 내로 삽입됨에 따라 절삭에 참여하는 절삭날의 개수가 증가할 수 있도록, 상기 보조 절삭날은 복수개가 형성되며 복수의 상기 보조 절삭날들 중 적어도 일부의 보조 절삭날은 서로 상이한 길이를 가지는, 치과용 평탄화 드릴.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삭날은, 상기 절삭부의 기부로부터 중심점까지 뻗어있는 주 절삭날과, 상기 주 절삭날과 동일한 길이를 가져 상기 절삭부의 중심점까지 뻗어있는 제1 보조 절삭날과, 상기 제1 보조 절삭날보다 길이가 짧아 상기 절삭부의 중심점까지 뻗지 못하는 제2 및 제3 보조 절삭날을 포함하는, 치과용 평탄화 드릴.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3 보조 절삭날은 상기 제1 보조 절삭날보다 길이가 짧고 상기 제2 보조 절삭날보다 길이가 긴, 치과용 평탄화 드릴.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삭날은, 서로 각도 간격을 가지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주 절삭날과, 상기 주 절삭날들 사이에 배치되는 보조 절삭날을 포함하며,
    상기 보조 절삭날은 복수개가 형성되며 복수의 상기 보조 절삭날들 중 적어도 일부의 보조 절삭날은 드릴의 회전방향으로 인접한 다른 절삭날을 향하여 연장하는, 치과용 평탄화 드릴.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삭부에는 상기 절삭부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하나 이상의 돌기가 형성되는, 치과용 평탄화 드릴.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절삭부의 중심에 형성된 중심돌기와, 상기 중심돌기의 주위에 형성되는 주변돌기를 포함하는, 치과용 평탄화 드릴.
KR1020160117258A 2016-09-12 2016-09-12 템플릿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치과용 평탄화 드릴 KR1018375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7258A KR101837506B1 (ko) 2016-09-12 2016-09-12 템플릿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치과용 평탄화 드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7258A KR101837506B1 (ko) 2016-09-12 2016-09-12 템플릿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치과용 평탄화 드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7506B1 true KR101837506B1 (ko) 2018-03-12

Family

ID=61728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7258A KR101837506B1 (ko) 2016-09-12 2016-09-12 템플릿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치과용 평탄화 드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75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9769A (ko) * 2021-01-07 2022-07-14 주식회사 비앤메디 오스테오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3365B1 (ko) * 2002-02-28 2010-06-14 머티어리얼리스 덴탈 엔.브이. 치과용 이식물 배치 장치
KR101122600B1 (ko) * 2011-02-17 2012-03-16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과용 드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3365B1 (ko) * 2002-02-28 2010-06-14 머티어리얼리스 덴탈 엔.브이. 치과용 이식물 배치 장치
KR101122600B1 (ko) * 2011-02-17 2012-03-16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과용 드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9769A (ko) * 2021-01-07 2022-07-14 주식회사 비앤메디 오스테오톰
KR102638264B1 (ko) 2021-01-07 2024-02-20 주식회사 비앤메디 오스테오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62963B2 (ja) 歯科インプラントを埋入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手順
US6267594B1 (en) Medical or dental-medical instrument for material-removing working of body tissue and tool for such an instrument
JP4485037B2 (ja) 歯科用ダイヤモンドバー
KR102174426B1 (ko) 치과 임플란트용 드릴
BR122020017757B1 (pt) Âncora de implante de osso e implante de osso
US9782235B2 (en) Implant surgical guide apparatus
JP2017506122A (ja) 歯科インプラント
KR101837506B1 (ko) 템플릿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치과용 평탄화 드릴
US20090162812A1 (en) Dental composite shaping burs
KR101516949B1 (ko) 본 플레이트닝 드릴장치
KR200467202Y1 (ko) 크레스탈 커터와 파일럿 커터 일체형 임플란트시술용 드릴
US10779860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ntal implant surgery
KR101234296B1 (ko)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JP6187862B2 (ja) 歯科インプラントのドリリングシステム
JP6707734B2 (ja) インプラント用骨平面形成具
KR101298248B1 (ko) 치조골 삭제를 위한 인공치아 시술용 드릴
TWI541009B (zh) 植牙固定物
KR101566457B1 (ko) 어버트먼트 제거 드릴 및 이를 구비하는 어버트먼트 제거 장치
CA3103782C (en) Surgical guide for zygomatic bone implants
KR102027336B1 (ko) 본 플레이트닝 드릴장치
KR101122600B1 (ko) 치과용 드릴
KR102308497B1 (ko) 치과 임플란트용 드릴
KR102085108B1 (ko) 다양한 각의 연마가 가능한 치과용 그루브 버
CN103519912B (zh) 牙种植用平面定位钻
JP7121558B2 (ja) 中心窩形成用バ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