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7421B1 - 양파 검출 가능한 누설 전류 감지 장치, 누전 차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누설 전류 감지 방법 - Google Patents

양파 검출 가능한 누설 전류 감지 장치, 누전 차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누설 전류 감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7421B1
KR101837421B1 KR1020160068892A KR20160068892A KR101837421B1 KR 101837421 B1 KR101837421 B1 KR 101837421B1 KR 1020160068892 A KR1020160068892 A KR 1020160068892A KR 20160068892 A KR20160068892 A KR 20160068892A KR 101837421 B1 KR101837421 B1 KR 1018374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leakage current
leakage
positive
current s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88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6843A (ko
Inventor
서문수
Original Assignee
(주)두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두원 filed Critical (주)두원
Priority to KR10201600688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7421B1/ko
Publication of KR201701368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68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7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74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1R31/025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5/00Details of measuring arrangements of the types provided for in groups G01R17/00 - G01R29/00, G01R33/00 - G01R33/26 or G01R35/00
    • G01R15/005Circuits for altering the indicating characteristic, e.g. making it non-linea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5/00Details of measuring arrangements of the types provided for in groups G01R17/00 - G01R29/00, G01R33/00 - G01R33/26 or G01R35/00
    • G01R15/14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 G01R15/18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using inductive devices, e.g. transform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33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 G01R19/16538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in AC or DC supplies
    • G01R19/16547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in AC or DC supplies voltage or current in AC suppl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6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 G01R19/16571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comparing AC or DC current with one threshold, e.g. load current, over-current, surge current or fault curr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6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 G01R19/1659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to indicate that the value is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window)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electric quantities not covered by groups G01R19/00 - G01R27/00
    • G01R29/0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pulses, e.g. deviation from pulse flatness, rise time or dur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3/00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 H01H83/02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operated by earth fault curr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 Testing Of Short-Circuits, Discontinuities, Leakage,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파 검출 가능한 누설 전류 감지 장치, 누전 차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누설 전류 감지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의 누전 차단기에서 사용하는 누설 전류 감지 회로가 입력되는 교류의 누전 검출 신호 중에서 음의 파형 또는 양의 파형만을 검출하였던 것과는 달리, 입력되는 교류의 누전 검출 신호 중에서 양의 신호는 그대로 양의 신호로 추출하며 음의 신호는 양의 신호로 반전한 후 추출하여 추출된 신호를 병합하고 병합한 신호를 증폭하며 증폭한 신호를 기준 레벨과 비교하여 트립 신호의 출력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누설 전류 시작점의 위상이 어느 위치인가에 무관하게 일정하고 빠른 차단 시간을 얻을 수 있는 양파 검출 가능한 누설 전류 감지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하여 누설 전류 감지 장치에 입력된 신호를 더욱 정확하고 신속하게 분석 및 판단함으로써 오동작 방지 기능이 우수하며 동작 전압의 범위가 넓은 누전 차단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양파 검출 가능한 누설 전류 감지 장치, 누전 차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누설 전류 감지 방법 {Leakage Current Detecting Apparatus for detecting Plus Signal and Minus Signal, Leakage Breaker, and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양파 검출 가능한 누설 전류 감지 장치, 누전 차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누설 전류 감지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의 누전 차단기에서 사용하는 누설 전류 감지 회로가 입력되는 교류의 누전 검출 신호 중에서 음의 파형 또는 양의 파형만을 검출하였던 것과는 달리, 입력되는 교류의 누전 검출 신호 중에서 양의 신호는 그대로 양의 신호로 추출하며 음의 신호는 양의 신호로 반전한 후 추출하고 추출된 2개의 신호를 병합하고 병합된 신호를 증폭하며 증폭된 신호를 기준 레벨과 비교하여 트립 신호의 출력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누설 전류 시작점의 위상이 어느 위치인가에 무관하게 일정하고 빠른 차단 시간을 얻을 수 있는 양파 검출 가능한 누설 전류 감지 장치와, 이를 이용하여 누설 전류 감지 장치에 입력된 신호를 더욱 정확하고 신속하게 분석 및 판단함으로써 오동작 방지 기능이 우수하며 종래의 오동작 방지 기술보다 동작 전압의 범위가 넓은 누전 차단 장치, 그리고 누설 전류 감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누전 차단기에서 사용하는 누설 전류 감지 회로는 교류의 누전 검출 신호가 입력되면 그 중에서 음의 파형만, 또는 양의 파형만을 검출하여 어느 한쪽의 파형만을 누설 전류 감지에 이용하여 왔다.
이러한 종래의 누설 전류 감지 회로에 의하면, 현재 검출하고 있는 파형의 반대 파형을 검출하지 못하였는데, 예를 들어서 현재 양의 파형을 검출 중이라면 음의 신호에서 발생하는 파형을 검출할 수 없었으므로 누설 전류가 발생하였을 때 누전 차단을 위한 동작시간에 있어서 상당한 오차가 발생하며 차단 시간이 상대적으로 느리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누설 전류 감지 회로에서는, 만약 입력되는 교류의 누전 검출 신호 중 양의 파형만을 이용하는 회로라면 좌측의 그래프에서와 같이 음의 파형은 검출하지 못하며, 출력 파형은 우측과 같은 모습이 된다.
종래의 누설 전류 감지 회로에서 회로 내부의 노이즈 제거회로의 C 값을 조정하는 방법 등을 통해서 누전 차단을 위한 동작시간을 수 ms 정도는 앞당길 수 있으나,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도 양의 파형 또는 음의 파형 중 어느 하나인 반 파장만을 이용하는 누설 전류 감지 회로의 특성상 양쪽의 파형을 모두 이용하는 경우보다는 상용주파수에 대한 1/2T(주기) 내외의 시간 차가 발생하는 문제점은 여전하다.
또한, 종래의 누설 전류 감지 회로를 이용해서 오동작 방지 누전 차단 장치를 구현한 경우 오동작 방지 기능을 위해서는 여러 개의 신호를 입력받아 판단하는 과정이 필요하므로 1번째 신호와 2번째 신호 사이에는 상용주파수에 대한 1T(주기) 내외의 시간 차이가 존재하여 동작 시간상의 여유가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종래의 누설 전류 감지 회로를 이용해서 누전 차단 장치를 구현한 다음 오동작 방지 기능을 제공하고자 하는 경우 온도 특성 변화 및 릴레이를 사용함에 있어 릴레이의 동작 전류 등으로 인해서 동작 범위가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누전 차단 장치와 관련한 종래 기술의 하나로서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90872호 '대기전력 자동차단형 꽂음 접속식 누전차단기'는 대기전력의 사용까지 고려한 누전 차단 장치를 제공하고 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은 여전히 갖고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종래의 누전 차단기에서 사용하는 누설 전류 감지 회로가 입력되는 교류의 누전 검출 신호 중에서 음의 파형 또는 양의 파형만을 검출하였던 것과는 달리, 입력되는 교류의 누전 검출 신호 중에서 양의 신호는 그대로 양의 신호로 추출하며 음의 신호는 양의 신호로 반전한 후 추출하여 추출된 2개의 신호를 증폭하고 증폭된 신호를 기준 레벨과 비교하여 트립 신호의 출력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누설 전류 시작점의 위상이 어느 위치인가에 무관하게 일정하고 빠른 차단 시간을 얻을 수 있는 양파 검출 가능한 누설 전류 감지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상기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술한 바와 같은 양파 검출 가능한 누설 전류 감지 장치를 이용하여 누설 전류 감지 장치에 입력된 신호를 더욱 정확하고 신속하게 분석 및 판단함으로써 오동작 방지 기능이 우수하며 동작 전압의 범위가 넓은 누전 차단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양파 검출 가능한 누설 전류 감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별도의 영상변류기를 이용하여 부하 기기의 누설 전류를 검출하며 교류의 누전 검출 신호를 입력받는 신호입력수단; 입력받은 교류의 누전 검출 신호로부터 음의 파형 및 양의 파형을 별도로 분리하여 양의 신호는 그대로 양의 신호로 추출하며, 음의 신호는 양의 신호로 반전시켜 추출하는 양파추출수단; 추출된 신호의 노이즈 성분을 제거하는 노이즈제거수단; 노이즈가 제거된 신호를 양의 신호만으로 구성되는 1개의 신호로 병합하는 병합수단; 병합된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수단; 증폭된 신호를 기설정된 기준 레벨과 비교함으로써 누설 전류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비교수단; 누설 전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트립 신호를 별도의 차단 수단으로 출력하는 신호출력수단; 및 작동 전원을 공급하는 직류전원공급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양파 검출 가능한 누설 전류 감지 장치를 이용한 누전 차단 장치에 관한 것으로, 부하 기기의 교류의 누전 검출 신호를 누설전류감지장치로 입력하는 영상변류기; 입력받은 교류의 누전 검출 신호를 이용하여 누설 전류를 감지하며 트립 신호를 차단수단으로 입력하는 누설전류감지장치; 상기 누설전류감지장치로부터 트립 신호를 입력받아 부하 기기의 전류를 차단하는 차단수단; 및 상기 영상변류기, 상기 누설전류감지장치 및 상기 차단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누설전류감지장치는, 상기 영상변류기를 이용하여 부하 기기의 누설 전류를 검출하며 교류의 누전 검출 신호를 입력받는 신호입력수단; 입력받은 교류의 누전 검출 신호로부터 음의 파형 및 양의 파형을 별도로 분리하여 양의 신호는 그대로 양의 신호로 추출하며, 음의 신호는 양의 신호로 반전시켜 추출하는 양파추출수단; 추출된 신호의 노이즈 성분을 제거하는 노이즈제거수단; 노이즈가 제거된 신호를 양의 신호만으로 구성되는 1개의 신호로 병합하는 병합수단; 병합된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수단; 증폭된 신호를 기설정된 기준 레벨과 비교함으로써 누설 전류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비교수단; 누설 전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트립 신호를 상기 차단수단으로 출력하는 신호출력수단; 및 작동 전원을 공급하는 직류전원공급수단;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누설전류감지장치로부터 판단기초정보를 수신하는 수신수단; 및 수신한 판단기초정보를 분석하여 트립 신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분석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판단기초정보는, 부하 기기의 교류의 누전 검출 신호, 양의 신호 또는 음의 신호만으로 구성되는 병합 신호, 기준 레벨, 및 트립 신호 중 어느 하나 또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누설 전류 감지 장치를 이용한 누전 차단 방법에 관한 것으로, (A) 누전 차단 장치의 영상변류기가, 부하 기기의 교류의 누전 검출 신호를 누설전류감지장치로 입력하는 단계; (B) 상기 누전 차단 장치의 누설전류감지장치가, 입력받은 교류의 누전 검출 신호로부터 음의 파형 및 양의 파형을 별도로 분리하여 양의 신호는 그대로 양의 신호로 추출하며, 음의 신호는 양의 신호로 반전시켜 추출하는 단계; (C) 상기 누전 차단 장치의 누설전류감지장치가, 추출된 신호의 노이즈 성분을 제거하는 단계; (D) 상기 누전 차단 장치의 누설전류감지장치가, 노이즈가 제거된 신호를, 양의 신호만으로 구성되는 1개의 신호로 병합하는 단계; (E) 상기 누전 차단 장치의 누설전류감지장치가, 병합된 신호를 증폭하는 단계; (F) 상기 누전 차단 장치의 누설전류감지장치가, 증폭된 신호를 기설정된 기준 레벨과 비교함으로써 누설 전류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G) 상기 누전 차단 장치의 누설전류감지장치가, 누설 전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트립 신호를 제어수단으로 출력하는 단계; 및 (H) 상기 누전 차단 장치의 제어수단이, 트립 신호를 입력받아 트립 신호의 발생 적절 여부를 분석하며 트립 신호의 발생이 적절하였다고 판단된 경우 트립 신호를 차단수단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누전 차단기에서 사용하는 누설 전류 감지 회로가 입력되는 교류의 누전 검출 신호 중에서 음의 파형 또는 양의 파형만을 검출하였던 것과는 달리, 입력되는 교류의 누전 검출 신호 중에서 양의 신호는 그대로 양의 신호로 추출하며 음의 신호는 양의 신호로 반전한 후 추출하여 추출된 2개의 신호를 증폭하고 증폭된 신호를 기준 레벨과 비교하여 트립 신호의 출력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누설 전류 시작점의 위상이 어느 위치인가에 무관하게 일정하고 빠른 차단 시간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 같은 양파 검출 가능한 누설 전류 감지 장치를 이용하여 누설 전류 감지 장치에 입력된 신호를 더욱 정확하고 신속하게 분석 및 판단함으로써 오동작 방지 기능이 우수하며 동작 전압의 범위가 넓은 누전 차단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 누설 전류 감지 회로에서의 출력 파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누설 전류 감지 장치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누설 전류 감지 장치에서의 출력 파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누설 전류 감지 장치를 이용한 누전 차단 장치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양파 검출 가능한 누설 전류 감지 장치를 이용한 누전 차단 장치에 관한 일부 간략 회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양파 검출 가능한 누설 전류 감지 장치를 이용한 누전 차단 방법에 관한 전체 흐름도.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양파 검출 가능한 누설 전류 감지 장치에 관해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누설 전류 감지 장치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누설 전류 감지 장치에서의 출력 파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누설 전류 감지 장치는, 신호입력수단(10), 양파추출수단(20), 노이즈제거수단(30), 병합수단(40), 증폭수단(50), 비교수단(60), 신호출력수단(70) 및 직류전원공급수단(미 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신호입력수단(10)은 별도의 영상변류기로부터 부하 기기의 교류의 누전 검출 신호를 입력받는다.
다음으로, 양파추출수단(20)은 입력받은 교류의 누전 검출 신호로부터 음의 파형 및 양의 파형을 별도로 분리하여 양의 신호는 그대로 양의 신호로 추출하며, 음의 신호는 양의 신호로 반전시켜 추출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있어, 양의 신호는 그대로 양의 신호로 추출하고 음의 신호는 양의 신호로 반전하는 것으로 구성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양의 신호를 반전하는 것도 무방하며, 양의 신호 또는 음의 신호만으로 구성되는 1개의 신호를 이용하면 충분하다.
다음으로, 노이즈제거수단(30)은 추출된 신호의 노이즈 성분을 제거한다.
다음으로, 병합수단(40)은 추출된 2개의 신호를 양의 신호만으로 구성되는 1개의 신호로 병합한다. 이때 병합회로를 이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증폭수단(50)은 병합된 신호를 증폭한다. 이때 차동증폭회로를 이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비교수단(60)은 증폭된 신호를 기설정된 기준 레벨과 비교함으로써 누설 전류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며, 증폭된 신호가 기설정된 기준 레벨보다 높은 값인 경우 누설 전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다음으로, 신호출력수단(70)은 누설 전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트립 신호를 별도의 제어수단으로 출력하거나, 차단 수단으로 출력한다.
그리고 직류전원공급수단은 기준 레벨의 정확성을 담보하며 안정된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누전차단기에서는 전압 변동에 따라서 기준 레벨의 변동이 생길 수 있는데, 그렇게 되면 누전차단기의 감도 등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직류전원공급수단의 안정된 전원 공급에 의해 그러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양파 검출 가능한 누설 전류 감지 장치를 이용한 누전 차단 장치에 관해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누설 전류 감지 장치를 이용한 누전 차단 장치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양파 검출 가능한 누설 전류 감지 장치를 이용한 누전 차단 장치는, 영상변류기(100), 누설전류감지장치(200), 차단수단(300) 및 제어수단(4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영상변류기(100)는 부하 기기의 교류의 누전 검출 신호를 누설전류감지장치(200)로 입력한다.
누설전류감지장치(200)는 신호입력수단(10), 양파추출수단(20), 노이즈제거수단(30), 병합수단(40), 증폭수단(50), 비교수단(60), 신호출력수단(70) 및 직류전원공급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상술한바 있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차단수단(300)은 누설전류감지장치(200)로부터 트립 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부하 기기의 전류를 차단하며 트립 코일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수단(400)은, 영상변류기(100), 누설전류감지장치(200), 차단수단(300)의 작동을 제어하며, 특히 누설전류감지장치(200)의 오동작 방지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수단(400)은, 마이크로컨트롤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수신수단(410), 분석수단(420) 및 데이터베이스(43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수단(410)은, 누설전류감지장치(200)로부터 판단기초정보를 수신하며, 판단기초정보의 종류로는 부하 기기의 교류 신호, 양의 신호만으로 구성되는 병합 신호 또는 증폭 신호, 기준 레벨, 트립 신호 등을 들 수 있다.
분석수단(420)은 수신한 판단기초정보를 비교대상정보와 비교함으로써 트립 신호의 발생 여부가 적절하였는지를 분석하여 오동작 여부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별도의 관리자단말기로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분석수단(420)은 판단기초정보인 부하 기기의 교류 신호, 양의 신호만으로 구성되는 병합 신호 또는 증폭 신호, 기준 레벨, 트립 신호 등을, 데이터베이스(430)에 저장되어 있는 비교대상정보인 부하 기기의 교류 신호, 양의 신호만으로 구성되는 병합 신호, 기준 레벨, 트립 신호 등과 비교함으로써, 양자 간의 항목별 차이 값 또는 전체 차이 값이 기설정된 허용 한도 범위 이내이면, 트립 신호의 발생이 적절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분석수단(420)은 수신한 판단기초정보와 비교대상정보와의 비교를 통해 트립 신호의 발생이 적절하였는지를 판단하는 기능 대신 또는 이에 부가하여, 판단기초정보를 이용해서 트립 신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용되는 정보는 누설전류감지장치(20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의 길이와 신호와 신호 사이의 시간, 설정된 시간 내에서의 입력 신호의 개수 등일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430)는 판단기초정보 및 비교대상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판단기초정보 또는 비교대상정보의 항목은 부하 기기의 교류 신호, 양의 신호만으로 구성되는 병합 신호, 기준 레벨, 트립 신호 등일 수 있고, 판단기초정보는 누설전류감지장치(200)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으며, 비교대상정보는 별도의 관리자단말기로부터 입력받은 것이거나 누설전류감지장치(200)로부터의 입력에 의해 갱신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 제어수단(400)은 마이크로컨트롤러로 구성되며 종래의 누전차단기에서는 제공되지 않았던 오동작 방지를 위한 분석 기능 또는 트립 신호 발생 여부 판단 기능 등을 제공하는데, 본 발명에 따른 누전 차단 장치 중 영상변류기(100), 차단수단(300) 등은 종래의 누전차단기에서 사용되었던 구성요소와 대응될 수 있을 것이나, 누설전류감지장치(200)와 제어수단(400)은 종래에는 제공되지 않았던 특유의 기능을 구현하므로, 본 발명에 따른 누전 차단 장치가 곧 통상적인 누전차단기인 것으로 이해할 수는 없다.
특히, 제어수단(400)은 누설전류감지장치(200)의 신호출력수단(70)으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분석함으로써 누설 전류로 판단될 경우 트립 신호를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수단(400)은 누설전류감지장치(200)의 신호출력수단(700)으로부터 신호를 입력받고, 이를 분석하는데, 첫 번째, 두 번째, 세 번째 신호를 입력받고, 각 신호의 폭(시간)을 측정하며, 각 신호의 라이징 에지 사이의 시간을 측정하고, 선행 신호의 폴링 에지와 다음 신호의 라이징 에지 사이의 시간을 측정하며, 이러한 전체 과정을 통해 측정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오차 범위 이내이면 누설 전류로 인식하여 트립 신호를 발생시키고, 오차 범위를 벗어나면 누설 전류가 아니라고 판단하여 트립 신호를 발생시키지 않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양파 검출 가능한 누설 전류 감지 장치를 이용한 누전 차단 장치의 회로 구성에 관해, 일부 간략 회로도인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양파 검출 가능한 누설 전류 감지 장치를 이용한 누전 차단 장치에 관한 일부 간략 회로도이다.
도 5에서, 영상변류기(100), 과전류 입력 시 검출 회로를 보호하기 위한 회로(A), 양파추출수단(20), 비교수단(60)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양파 검출 가능한 누설 전류 감지 장치를 이용한 누전 차단 방법에 관해,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양파 검출 가능한 누설 전류 감지 장치를 이용한 누전 차단 방법에 관한 전체 흐름도이다.
먼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누전 차단 장치의 영상변류기(100)가, 부하 기기의 교류의 누전 검출 신호를 누설전류감지장치(200)로 입력한다(S10).
다음으로, 누전 차단 장치의 누설전류감지장치(200)가, 입력받은 교류의 누전 검출 신호로부터 음의 파형 및 양의 파형을 별도로 분리하여 양의 신호는 그대로 양의 신호로 추출하며, 음의 신호는 양의 신호로 반전시켜 추출한다(S20).
다음으로, 누전 차단 장치의 누설전류감지장치(200)가, 추출된 신호의 노이즈 성분을 제거한다(S30).
다음으로, 누전 차단 장치의 누설전류감지장치(200)가, 노이즈가 제거된 신호를 양의 신호만으로 구성되는 1개의 신호로 병합한다(S40).
다음으로, 누전 차단 장치의 누설전류감지장치(200)가, 병합된 신호를 증폭한다(S50).
다음으로, 누전 차단 장치의 누설전류감지장치(200)가, 증폭된 신호를 기설정된 기준 레벨과 비교함으로써 누설 전류의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S60).
다음으로, 누전 차단 장치의 누설전류감지장치(200)가, 누설 전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트립 신호를 제어수단(400)으로 출력한다(S70).
마지막으로, 누전 차단 장치의 제어수단(400)이, 트립 신호를 입력받아 트립 신호의 발생 적절 여부를 분석하며 트립 신호의 발생이 적절하였다고 판단된 경우 트립 신호를 차단수단(300)으로 출력한다(S80).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하여야 할 것이다.
10 : 신호입력수단
20 : 양파추출수단
30 : 노이즈제거수단
40 : 병합수단
50 : 증폭수단
60 : 비교수단
70 : 신호출력수단
100 : 영상변류기
200 : 누설전류감지장치
300 : 차단수단
400 : 제어수단
410 : 수신수단
420 : 분석수단
430 : 데이터베이스

Claims (5)

  1. 삭제
  2. 양파 검출 가능한 누설 전류 감지 장치를 이용한 누전 차단 장치에 있어,
    부하 기기의 교류의 누전 검출 신호를 누설전류감지장치(200)로 입력하는 영상변류기(100);
    입력받은 교류의 누전 검출 신호를 이용하여 누설 전류를 감지하며 트립 신호를 차단수단(300)으로 입력하는 누설전류감지장치(200);
    상기 누설전류감지장치(200)로부터 트립 신호를 입력받아 부하 기기의 전류를 차단하는 차단수단(300); 및
    상기 영상변류기(100), 상기 누설전류감지장치(200) 및 상기 차단수단(3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400);을 포함하되,
    상기 누설전류감지장치(200)는,
    상기 영상변류기(100)를 이용하여 부하 기기의 누설 전류를 검출하며 교류의 누전 검출 신호를 입력받는 신호입력수단(10);
    입력받은 교류의 누전 검출 신호로부터 음의 파형 및 양의 파형을 별도로 분리하여 양의 신호는 그대로 양의 신호로 추출하며, 음의 신호는 양의 신호로 반전시켜 추출하는 양파추출수단(20);
    추출된 신호의 노이즈 성분을 제거하는 노이즈제거수단(30);
    노이즈가 제거된 신호를 양의 신호만으로 구성되는 1개의 신호로 병합하는 병합수단(40);
    병합된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수단(50);
    증폭된 신호를 기설정된 기준 레벨과 비교함으로써 누설 전류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비교수단(60);
    누설 전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트립 신호를 상기 차단수단(300)으로 출력하는 신호출력수단(70); 및
    작동 전원을 공급하는 직류전원공급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어수단(400)은,
    상기 누설전류감지장치(200)로부터 판단기초정보를 수신하는 수신수단(410); 및
    수신한 판단기초정보를 분석하여 트립 신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분석수단(4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판단기초정보는, 부하 기기의 교류의 누전 검출 신호, 양의 신호 또는 음의 신호만으로 구성되는 병합 신호, 기준 레벨, 및 트립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분석수단(420)은, 트립 신호의 발생 여부 판단을 위해, 상기 신호출력수단(70)으로부터 출력되는 트립 신호를 입력받아, 입력된 신호의 폭을 측정하며, 입력된 신호의 라이징 에지 사이의 시간을 측정하고, 입력된 선행 신호의 폴링 에지와 다음 신호의 라이징 에지 사이의 시간을 측정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파 검출 가능한 누설 전류 감지 장치를 이용한 누전 차단 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60068892A 2016-06-02 2016-06-02 양파 검출 가능한 누설 전류 감지 장치, 누전 차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누설 전류 감지 방법 KR1018374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8892A KR101837421B1 (ko) 2016-06-02 2016-06-02 양파 검출 가능한 누설 전류 감지 장치, 누전 차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누설 전류 감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8892A KR101837421B1 (ko) 2016-06-02 2016-06-02 양파 검출 가능한 누설 전류 감지 장치, 누전 차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누설 전류 감지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6843A KR20170136843A (ko) 2017-12-12
KR101837421B1 true KR101837421B1 (ko) 2018-03-12

Family

ID=60944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8892A KR101837421B1 (ko) 2016-06-02 2016-06-02 양파 검출 가능한 누설 전류 감지 장치, 누전 차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누설 전류 감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74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5826B1 (ko) * 2020-02-26 2020-08-19 동아전기공업 주식회사 누설전류 감지감도 조절식 zc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6843A (ko) 2017-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93181A2 (en) Arc detector
CN109239459B (zh) 用于抗干扰绝缘监测的方法、电路装置和绝缘监测设备
EP3224954B1 (en) A method for estimating an electrical operating time of a circuit breaker
KR101625618B1 (ko) 아크검출장치, 아크검출방법 및 전력시스템
US9190828B2 (en) Detecting circuit for circuit breaker
US11283256B2 (en) Power interruption method and device based on phase measurement and arc detection of power level
US10742018B2 (en) Earth leakage circuit breaker
US11435411B2 (en) Time domain distance protection based on polarity comparison for power transmission lines
KR101837421B1 (ko) 양파 검출 가능한 누설 전류 감지 장치, 누전 차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누설 전류 감지 방법
KR101322656B1 (ko) 고조파 기여도 평가 시스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매체
JP2019507344A (ja) 地絡故障を判断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関連する方法
WO2018227466A1 (en) Method for detecting fault in power transmission line and protection system using the same
KR101555841B1 (ko) 아크검출장치, 아크검출방법 및 전력시스템
KR20170109939A (ko) 누전 차단기의 누전 검출 회로
JP7072982B2 (ja) 放電事故検出構造
US11011335B2 (en) In or relating to circuit interruption devices
JP6148292B2 (ja) 地絡方向継電装置と地絡方向継電装置システム
JP5888078B2 (ja) 磁気計測装置
RU199233U1 (ru) Устройство защиты при дуговом пробое
CN218783576U (zh) 电弧故障保护装置
US11977129B2 (en) Arc fault detector utilizing a broadband spectrum
KR101331999B1 (ko) 전력변환용 접지계전기
KR101379813B1 (ko) 직류 누전 차단기
JP2014160011A (ja) 瞬時電圧低下検出装置及び瞬時電圧低下検出方法
CN110676804A (zh) 检测电路与使用其的开关模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