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6852B1 - 이미지 기반의 웹/앱 서비스 사용자 체감 성능 측정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미지 기반의 웹/앱 서비스 사용자 체감 성능 측정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36852B1 KR101836852B1 KR1020170088355A KR20170088355A KR101836852B1 KR 101836852 B1 KR101836852 B1 KR 101836852B1 KR 1020170088355 A KR1020170088355 A KR 1020170088355A KR 20170088355 A KR20170088355 A KR 20170088355A KR 101836852 B1 KR101836852 B1 KR 10183685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mage
- frame buffer
- user terminal
- reference image
- performanc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2
- 238000009877 render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0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0691 measurement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2795 verif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1953 sensory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2800 visualiz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6
- 230000036961 part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8447 percep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2860 compet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807 s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088 si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4000299461 Theobroma cacao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764 Theobroma cacao ssp. cacao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767 Theobroma cacao ssp. sphaerocarp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046 cacaotero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20 organ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4—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computer activity, e.g. of down time, of input/output operation ; 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user activity, e.g. usability assessment
- G06F11/3409—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computer activity, e.g. of down time, of input/output operation ; 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user activity, e.g. usability assessment for performance assessmen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bugging And Monito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미지 기반의 웹/앱 서비스 사용자 체감 성능 측정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로딩하고자 하는 페이지 중 사용자 단말기의 스크린에 렌더링된 최초 페이지의 이미지와 기 설정된 기준 이미지가 동일한 때 사용자 단말기에 렌더링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렌더링의 완료 속도를 산출하여 사용자가 실제 보고 있는 스크린 영역 기준으로의 체감 성능을 측정하고 상기 최초 페이지에 대한 이미지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의 프레임버퍼로부터 직접 획득하여, 상기 기준 이미지와 비교함에 의해 로딩되는 페이지에 포함되는 콘텐츠의 종류에 관계없이 정확하고 신속하게 비교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미지 기반의 웹/앱 서비스 사용자 체감 성능 측정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로딩하고자 하는 페이지 중 사용자 단말기의 스크린에 렌더링된 최초 페이지의 이미지와 기 설정된 기준 이미지가 동일한 때 사용자 단말기에 렌더링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렌더링의 완료 속도를 산출하여 사용자가 실제 보고 있는 스크린 영역 기준으로의 체감 성능을 측정하고 상기 최초 페이지에 대한 이미지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의 프레임버퍼로부터 직접 획득하여, 상기 기준 이미지와 비교함에 의해 로딩되는 페이지에 포함되는 콘텐츠의 종류에 관계없이 정확하고 신속하게 비교할 수 있는 것이다.
기존에는 웹/앱 서비스 성능은 서비스 제공자 관점에서 실제 사용자 대신 인프라 내의 관리 서버상에서 다양한 시뮬레이션, 에뮬레이션 방법을 이용해서 관리되어 왔다. 오늘날 웹/앱 서비스 인프라 환경이 클라우드, CDN(Content Delivery Network), 제3자 컨텐츠 사용 등으로 최종 사용자까지의 서비스 전달 경로가 더욱 복잡해 지면서 기존의 시뮬레이션, 에뮬레이션 방식의 성능관리는 실제 사용자 체감성능과 많은 괴리를 초래하고 있다.
웹/앱 서비스의 사용자 체감성능은 사용자가 실제 웹/앱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인식하는 응답성능으로 사용자 단말에 웹/앱 서비스 화면이 얼마나 빨리 디스플레이 되는지를 나타내는 렌더링 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다.
도11에는 사용자가 웹을 통해 특정 사이트를 접속해서 실제 화면이 모두 디스플레이되는 과정을 짧은 시간단위로 분석한 예이다. 최초 빈화면에서 1,000ms 지난 무렵에야 비로소 화면에 처음으로 디스플레이되기 시작하는데 이를 렌더링 시작 시간이라 하고, 1,600ms에 모든 화면이 디스플레이 완료되는데 이를 렌더링 완료시간이라 한다. 최초 화면이 나타나기까지의 렌더링 시작시간이 길어지면 사용자는 서비스의 이상을 의심하여 도중에 이탈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모든 화면이 디스플레이 되기까지의 렌더링 완료시간이 길어지면 사용자는 끝까지 기다리지 못하고 이탈하게 된다. 통상 오늘날 온라인서비스의 경우 사용자가 인내하는 렌더링 완료시간은 2초 이내이다.
종래에 이러한 렌더링 시간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웹에 대해서는 웹기술 표준화기구인 W3C(World Wide Web Consortium)에서 “Navigation Timing” 규격(https://www.w3.org/TR/navigation-timing)을 규정하여 웹브라우저에서 컨텐츠에 대한 로딩(Loading)을 완료하면 로딩완료 이벤트를 발생하고, 이를 응용프로그램에서 수집하여 측정하는 방법이 있었다.
상술한 종래의 W3C Navigation Timing 규격에 의한 측정 방식은 해당 규격을 지원하는 웹브라우저를 사용하는 웹서비스에만 국한되며, 스마트폰의 대중화와 함께 급격히 사용량이 늘어 웹서비스의 사용량을 넘어서고 있는 앱서비스에는 적용이 불가하여 앱서비스에 대한 사용자 체감성능 측정 방법이 필요하다. 더욱이 웹서비스의 경우에도, 사용자 단말의 스크린 사이즈 보다 웹페이지 사이즈가 더 큰 경우에, 웹브라우저는 전체 페이지가 로딩되고 난 이후에 로딩완료라고 이벤트를 발생하는 반면, 사용자는 사실상 그 보다 더 전에 실제 보고 있는 화면이 모두 채워짐으로써 로딩이 완료되었다고 인식하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체감하는 성능과 차이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즉, 종래의 W3C 규격의 측정 방식은 웹페이지 전체 로딩 시간에 대한 측정이나, 오늘날 대부분의 웹페이지는 사용자 스크린 길이 보다 길게 구성되므로 사용자가 실제 보고 있는 스크린 영역 기준으로의 체감 성능 측정 방법이 필요하다.
또한, 종래 기술로서 한국 등록 특허 제10-0803889호에서는 서비스 제공 서버로 소망하는 서비스를 요청하고, 그에 상응하는 서비스가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되는 시간을 측정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종래 기술은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출력되는 문자열과 미리 결정되어 저장된 문자열을 비교하여 요청한 서비스가 성공적으로 제공되었는지 여부를 측정한다.
그런데, 상술한 종래 기술의 경우 문자열을 이용하여 비교하는 관계로 최근 널리 사용되고 있는 페이지 상의 이미지는 비교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로딩하고자 하는 페이지 중 사용자 단말기의 스크린에 렌더링된 최초 페이지의 이미지 즉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에 첫번째 보여지는 이미지와 기 설정된 기준 이미지가 동일한 때 사용자 단말기에 렌더링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렌더링의 완료 속도를 산출하여 사용자가 실제 보고 있는 스크린 영역 기준으로의 체감 성능을 측정하고 상기 최초 페이지에 대한 이미지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의 프레임버퍼로부터 직접 획득하여, 상기 기준 이미지와 비교함에 의해 로딩되는 페이지에 포함되는 콘텐츠의 종류에 관계없이 정확하고 신속하게 비교할 수 있는 이미지 기반의 웹/앱 서비스 사용자 체감 성능 측정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았으나 아래 수단들 또는 실시예상의 구체적인 구성에 따른 다른 목적 들은 그 기재로부터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로딩하고자 하는 페이지 중 사용자 단말기의 스크린에 렌더링된 최초 페이지의 이미지 즉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에서 보여지는 이미지와 기 설정된 기준 이미지가 동일한 때 사용자 단말기에 렌더링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렌더링의 완료 속도를 산출하여 웹/앱 서비스의 성능을 측정하며, 상기 최초 페이지에 대한 이미지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의 프레임버퍼로부터 직접 획득하여, 상기 기준 이미지와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기반의 웹/앱 서비스 사용자 체감 성능 측정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상기 기준 이미지는 상기 최초 페이지의 이미지 전체로 설정하거나, 상기 최초 페이지의 이미지 중 일부 영역으로 설정한다.
상기에서, 상기 측정 방법은 프레임버퍼의 값을 읽은 후 초기값으로 설정하는 제110단계(S110)와, 프레임버퍼 값을 읽는 제120단계(S120)와, 상기 제110단계(S110)에 의해 확보된 프레임버퍼 값과 제120단계(S120)에 의해 확보된 프레임버퍼 값을 비교하여 사용자 단말기의 스크린에 변화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130단계(S130)와, 상기 제130단계(S130)에서 스크린의 변화가 있는 경우 시작 시점으로 설정하는 제140단계(S140)와, 상기 프레임버퍼 값 전체를 읽는 제150단계(S150)와, 상기 제150단계(S150)에 의해 확보된 프레임버퍼 값이 기준 이미지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160단계(S160)와, 상기 제160단계(S160)에서, 프레임버퍼 값이 기준 이미지와 동일한 경우 사용자 단말기의 스크린에 렌더링이 완료된 것으로 보아 종료 시점으로 설정한 후 상기 시작 시점과 종료 시점의 시간 차이를 산출하여 웹/앱 서비스의 성능을 측정하는 제170단계(S170)와, 상기 제130단계(S130)에서 스크린의 변화가 없는 경우 설정 시간이 경과하였는지를 판단하여 설정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20단계(S120)를 다시 수행하고, 설정시간이 경과한 경우 종료하는 제180단계(S180)와, 상기 제160단계(S160)에서, 프레임버퍼 값이 기준 이미지와 동일하지 않은 경우 설정 시간이 경과하였는지를 판단하여 설정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50단계(S150)를 다시 수행하고, 상기 설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 종료하는 제190단계(S190)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상기 제190단계(S190)에서 제150단계(S150)를 다시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제160단계(S160)에 의해 불일치하는 이미지에 해당하는 프레임버퍼 값만을 상기 제150단계(S150)에 의해 읽은 후, 제160단계(S160)를 다시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은 측정 대상이 되는 웹/앱 서비스 제공 서버(200)와 사용자 단말기(T)와 관리 서버(300)로 이루어지고,
상기 웹/앱 서비스 제공 서버(200)와 사용자 단말기(T) 그리고 관리 서버(300)는 상호 유무선 인터넷으로 연결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T)에는 에이전트(100)가 탑재되며, 상기 에이전트(100)는 상술된 본 발명의 성능 측정 방법에 의해 웹/앱 서비스 제공 서버(200)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의 성능을 측정하며, 상기 제170단계(S170)에서, 시작 시점과 종료 시점의 시간 차이를 산출하여 웹/앱 서비스 서버의 성능을 측정한 후, 상기 관리 서버(300)에 보고하고, 종료하며, 상기 제180단계(S180)에서, 스크린의 변화가 없으며 설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 상기 관리 서버(300)에 보고 하고 종료하며, 상기 제190단계(S190)에서, 프레임버퍼 값이 기준 이미지와 동일하지 않고 설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 상기 관리 서버(300)에 보고하고 종료하는 이미지 기반의 웹/앱 서비스 사용자 체감 성능 측정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상기 에이전트(100)는 상기 관리 서버(300)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110)와, 상기 관리 서버(300)에서 내려 받은 측정리스트 및 기준이미지를 관리하는 측정리스트 관리부(120)와, 상기 측정리스트 및 기준 이미지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 베이스(170)와, 본 발명의 성능 측정 방법을 구동하는 어플리케이션 구동부(130)와, 상기 성능 측정 방법을 위한 렌더링 시간 측정을 위해 사용자 단말기의 프레임버퍼를 읽는 프레임버퍼 취득부(140)와, 기준 이미지와 취득한 프레임버퍼 이미지를 비교하는 이미지 검증부(150)와, 측정리스트 상의 서비스에 대한 측정 시간을 관리하는 스케쥴러(160)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상기 관리 서버(300)는 다수 개의 사용자 단말기를 등록하고 관리하는 단말기 관리부(320)와, 측정 대상 서비스 서버 및 기준 이미지를 등록하는 서비스 및 이미지 등록부(330)와, 상기 서비스 서버 및 기준 이미지를 저장하는 제1데이터 베이스(370)와, 상기 에이전트로부터 측정 결과를 수집하는 측정 결과 수집부(340)와, 상기 측정 결과가 저장되는 제2데이터 베이스(380)와, 상기 측정 결과에 대한 분석 및 통계를 행하는 분석통계부(350)와, 상기 분석 및 통계 결과를 시각화하여 운영자에게 제공하는 시각화부(360)와, 상기 에이전트(100)와의 통신을 담당하는 통신부(31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해 사용자가 실제 보고 있는 스크린 영역 기준으로의 체감 성능을 측정할 수 있고, 로딩되는 페이지에 포함되는 콘텐츠의 종류에 관계없이 정확하고 신속하게 비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을 통해 클라우드, CDN 이용 등으로 더욱 복잡해지고 있는 웹/앱 서비스에 대한 실제 사용자 체감성능의 측정 및 관리가 가능하고 웹/앱 서비스 공급사는 24시간 상시로 서비스의 사용자 체감성능을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실제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함으로써, 경쟁 서비스에 대한 비교 모니터링까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웹/앱 서비스 공급사는 실제 사용자 관점에서의 서비스 성능 및 장애를 관리가 가능해져서 오늘날 0.1초를 다투는 치열한 온라인서비스 경쟁환경에서 기업의 매출 및 고객 보호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기반의 웹/앱 서비스 사용자 체감 성능 측정 방법 및 시스템으로서 최초 페이지에 렌더링된 이미지와 기준 이미지가 동일하면 렌더링이 완료된 것으로 보는 것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기반의 웹/앱 서비스 사용자 체감 성능 측정 방법 및 시스템으로서 렌더링이 완료된 이미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기반의 웹/앱 서비스 사용자 체감 성능 측정 방법 및 시스템으로서 기준 이미지가 전체 화면인 경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기반의 웹/앱 서비스 사용자 체감 성능 측정 방법 및 시스템으로서 기준 이미지가 화면의 일부인 경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기반의 웹/앱 서비스 사용자 체감 성능 측정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기반의 웹/앱 서비스 사용자 체감 성능 측정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기반의 웹/앱 서비스 사용자 체감 성능 측정 시스템의 에이전트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기반의 웹/앱 서비스 사용자 체감 성능 측정 시스템의 관리 서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기반의 웹/앱 서비스 사용자 체감 성능 측정 시스템의 에이전트에 의해 측정 대상이 되는 리스트와 스케줄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1은 종래 기술에 의해 렌더링이 되는 것을 시간 순서대로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기반의 웹/앱 서비스 사용자 체감 성능 측정 방법 및 시스템으로서 렌더링이 완료된 이미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기반의 웹/앱 서비스 사용자 체감 성능 측정 방법 및 시스템으로서 기준 이미지가 전체 화면인 경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기반의 웹/앱 서비스 사용자 체감 성능 측정 방법 및 시스템으로서 기준 이미지가 화면의 일부인 경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기반의 웹/앱 서비스 사용자 체감 성능 측정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기반의 웹/앱 서비스 사용자 체감 성능 측정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기반의 웹/앱 서비스 사용자 체감 성능 측정 시스템의 에이전트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기반의 웹/앱 서비스 사용자 체감 성능 측정 시스템의 관리 서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기반의 웹/앱 서비스 사용자 체감 성능 측정 시스템의 에이전트에 의해 측정 대상이 되는 리스트와 스케줄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1은 종래 기술에 의해 렌더링이 되는 것을 시간 순서대로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체감 성능 측정 방법은 로딩하고자 하는 페이지 중 사용자 단말기의 스크린에 렌더링된 최초 페이지의 이미지와 기 설정된 기준 이미지가 동일한 때 사용자 단말기에 렌더링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한다. 이때, 상기 렌더링이 시작되는 속도 및 완료되는 속도를 산출하여 웹/앱 서비스의 성능을 측정한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제 컨텐츠 영역(A2)은 사용자 단말기의 스크린 사이즈(A1)보다 크다. 이러한 경우 종래에는 사용자 단말의 스크린 사이즈 보다 웹페이지 사이즈가 더 큰 경우에, 웹브라우저는 전체 페이지가 로딩되고 난 이후에 로딩완료라고 이벤트를 발생하는 반면, 사용자는 사실상 그 보다 더 전에 실제 보고 있는 화면이 모두 채워짐으로써 로딩이 완료되었다고 인식하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체감하는 성능과 차이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한 것으로서 상술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의 스크린에 렌더링된 최초 페이지의 이미지와 기 설정된 기준 이미지가 동일한 때 사용자 단말기에 렌더링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여 사용자가 체감하는 성능을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최초페이지의 이미지란, 사용자가 해당 웹사이트에 접속했을 때 사용자 단말기의 스크린 사이즈(A1)에서 처음으로 보여지는 이미지로서 이는 실제컨텐츠 영역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상기 웹 서비스 성능이고 하는 것은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웹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PC와 같은 사용자 단말기로 정보가 전달되는 속도를 말하는 것이고 앱 서비스 성능이라고 하는 것은 앱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스마트 디바이스와 같은 사용자 단말기로 정보가 전달되는 속도를 말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웹 서비스와 앱 서비스 모두에 적용가능하며, 이러한 측면에서 웹/앱 서비스의 성능을 측정한다고 표현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로딩하고자 하는 페이지 중 사용자 단말기의 스크린에 렌더링된 최초 페이지의 이미지와 기 설정된 기준 이미지가 동일한 때 사용자 단말기에 렌더링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렌더링의 완료 속도를 산출하여 웹/앱 서비스의 성능을 측정하며, 상기 최초 페이지에 대한 이미지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의 프레임버퍼로부터 직접 획득하여, 상기 기준 이미지와 비교한다.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의 스크린에 나타나는 이미지는 소정의 정보(예를 들어 RGB값)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정보는 상기 스크린에 일대일 대응되는 프레임버퍼(일종의 메모리)에 저장된다.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에 구비된 프레임버퍼로부터 스크린에 나타나는 이미지의 정보값을 직접 취득하여 기준 이미지와 비교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해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기준 이미지와 비교하여 성능 측정을 할 수 있다.
상기 기준 이미지는 상기 최초 페이지의 이미지 전체로 설정하거나, 상기 최초 페이지의 이미지 중 일부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의 스크린에 나타는 최초 페이지가 도 2에 나타난 이미지라고 할 때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기준 이미지는 상기 최초 페이지와 동일한 전체 이미지일 수 있다.
또한, 도 4 및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기준 이미지는 전체 이미지가 아닌 이미지의 일부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방향으로서 일정 높이를 가지는 부분 이미지로 기준 이미지를 설정할 수 있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방향으로서 일정 폭을 가지는 부분 이미지로 기준 이미지를 설정할 수 있다. 물론 수직 방향과 수평 방향을 모두 가지는 십자 모양 또는 T자 모양의 부분 이미지를 기준 이미지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최초페이지 이미지의 수평폭이 W이고 수직높이가 H 라 할 경우 이에 대응되는 부분이미지의 수직높이가 h1이고 수평폭w1 라 하면, h1<H 이 경우는 w1 = W 인 경우와 h1=H 이고 w1<W 인 두가지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이유는 부분이미지의 수평폭 또는 수직높이 중의 하나는 최초페이지의 이미지와 수평폭 또는 수직높이 중의 하나와 동일해야만 이를 통해 최초페이지 이미지의 렌더링이 완성된 것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만약 부분이미지의 수평폭과 수직높이가 최초페이지의 이미지와 수평폭과 수직높이보다 모두 작다면 최초페이지 이미지와 부분이미지가 동일하다 하더라고 최초페이지 이미지의 렌더링이 완성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또한 경우에 따라 상기 부분이미지는 십자가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때에도 부분이미지의 수평폭과 수직높이가 최초페이지의 이미지와 수평폭과 수직높이와 동일하거나, 수평폭 또는 수직높이중에 하나가 작을 수 있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우선, 프레임버퍼의 값을 읽은 후 초기값으로 설정하는 제110단계(S110)와, 프레임버퍼 값을 읽는 제120단계(S120)를 수행한다. 이후, 상기 제110단계(S110)에 의해 확보된 프레임버퍼 값과 제120단계(S120)에 의해 확보된 프레임버퍼 값을 비교하여 사용자 단말기의 스크린에 변화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130단계(S130)를 수행한다.
즉, 사용자 단말기의 스크린에 변화가 없으면 제110단계(S110)에 의해 확보된 프레임버퍼 값과 제120단계(S120)에 의해 확보된 프레임버퍼 값이 동일하고, 상기 스크린의 변화가 있는 경우 제110단계(S110)에 의해 확보된 프레임버퍼 값과 제120단계(S120)에 의해 확보된 프레임버퍼 값이 상이하므로 이러한 방법에 의해 스크린의 변화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제130단계(S130)에서 스크린의 변화가 있는 경우 시작 시점으로 설정하는 제140단계(S140)를 수행한다. 즉, 상기 스크린의 변화가 있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에서 웹/앱 서비스 서버측으로 정보를 요청하여 소정의 정보가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되어 스크린에 렌더링이 시작하는 것이므로 상술된 바와 같이 시작 시점으로 설정한다.
이후, 상기 프레임버퍼 값 전체를 읽는 제150단계(S150)를 수행한다.
상기 제150단계(S150)에 의해 확보된 프레임버퍼 값이 기준 이미지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160단계(S160)를 수행한다. 상기 제160단계(S160)는 픽셀 레벨의 이미지 정보값(예를 들어 RGB값)을 상호 비교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60단계(S160)에서, 프레임버퍼 값이 기준 이미지와 동일한 경우 사용자 단말기의 스크린에 렌더링이 완료된 것으로 보아 종료 시점으로 설정한 후 상기 시작 시점과 종료 시점의 시간 차이를 산출하여 웹/앱 서비스의 성능을 측정하는 제170단계(S170)를 수행한다. 즉, 사용자 단말기의 스크린에 렌더링되는 최초 페이지와 기준 이미지가 동일한 시점이 렌더링이 완료된 것으로 보아서 종료 시점으로 설정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130단계(S130)에서 스크린의 변화가 없는 경우 설정 시간이 경과하였는지를 판단하는 제180단계(S180)를 수행한다. 상기 제180단계(S180)에서 소정의 설정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 렌더링 중이라고 판단하여 프레임버퍼 값을 취득하는 제120단계(S120)를 다시 수행한다. 만일 상기 설정시간이 경과한 경우에는 웹/앱 서비스 서버에 문제가 있거나 혹은 네트워크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더 이상 진행하지않고 종료한다.
한편, 상기 제160단계(S160)에서, 프레임버퍼 값이 기준 이미지와 동일하지 않은 경우 설정 시간이 경과하였는지를 판단하는 제190단계(S190)를 수행한다. 상기 제190단계(S190)에서 설정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 렌더링이 완료되지 않은 것으로 보아 상기 제150단계(S150)를 다시 수행한다. 만일 상기 설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 /앱 서비스 서버에 문제가 있거나 혹은 네트워크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더 이상 진행하지않고 종료한다.
한편, 상기 제190단계(S190)에서 제150단계(S150)를 다시 수행하는 경우 즉, 렌더링이 완료되지 않아 프레임버퍼 값을 다시 취득해야 하는 경우 상기 제160단계(S160)에 의해 불일치하는 이미지에 해당하는 프레임버퍼 값만을 상기 제150단계(S150)에 의해 취득한다. 이는 일치하는 이미지에 해당하는 프레임버퍼 값을 다시 취득하는 경우 시간이 소요되므로 상술된 바와 같이 불일치하는 이미지에 해당하는 프레임버퍼 값만을 취득하여 소요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160단계(S160)를 다시 수행하여 기준 이미지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하,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사용자 체감 성능 측정 방법을 이용하는 사용자 체감 성능 측정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측정 시스템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 대상이 되는 웹/앱 서비스 제공 서버(200)와 사용자 단말기(T)와 관리 서버(30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웹/앱 서비스 제공 서버(200)와 사용자 단말기(T) 그리고 관리 서버(300)는 상호 유무선 인터넷으로 연결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T)는 상술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PC(T1) 또는 스마트 디바이스(T2)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T)에는 에이전트(100)가 탑재된다. 상기 에이전트(100)는 상술한 본 발명의 사용자 체감 성능 측정 방법을 수행하여 웹/앱 서비스 제공 서버(200)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의 성능을 측정한다.
즉, 도 6에 도시된 제170단계(S170)에서 시작 시점과 종료 시점을 산출하여 웹/앱 서비스 서버의 사용자 체감 성능으로 상기 관리 서버(300)에 보고하고, 종료한다.
또한, 상기 제180단계(S180)에서, 스크린의 변화가 없으며 설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웹/앱 서비스 제공 서버(200)에 문제가 있거나 혹은 네트워크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관리 서버(300)에 보고 하고 종료한다.
또한, 상기 제190단계(S190)에서, 프레임버퍼 값이 기준 이미지와 동일하지 않고 설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도 유사하게 상기 관리 서버(300)에 보고하고 종료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에이전트(100)가 웹/앱 서비스 서버의 성능을 측정하며, 상기 에이전트(100)는 도 8 및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리 서버(300)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110)와, 상기 관리 서버(300)에서 내려 받은 측정리스트 및 기준이미지를 관리하는 측정리스트 관리부(12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측정리스트 및 기준 이미지는 데이터 베이스(170)에 의해 저장된다. 한편, 상술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성능 측정 방법은 어플리케이션 구동부(130)에 의해 구동된다. 또한, 성능 측정 방법을 위한 렌더링 시간 측정을 위해 사용자 단말기의 프레임버퍼를 읽는 프레임버퍼 취득부(140)가 구비된다. 또한, 기준 이미지와 취득한 프레임버퍼 이미지를 비교하는 이미지 검증부(150) 및 측정리스트 상의 서비스에 대한 측정 시간을 관리하는 스케쥴러(160)를 포함한다. 즉, 상기 프레임 버퍼 취득부(140)에 의해 사용자 단말기에 렌더링 되는 이미지의 정보(예를 들어 RGB값)을 취득한다. 이후, 상기 이미지 검증부(150)에 의해 기준 이미지와 상기 취득한 이미지 정보(즉, 사용자 단말기에 렌더링되는 최초 페이지 이미지)를 비교하여 동일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상기 측정 리스트는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카오톡과 라인의 서비스를 리스트로 할 수 있고 스케줄러(160)에 의한 측정 시간은 매10분으로 할 수 있다.또한, 소정의 기준 이미지 또한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첫페이지의 이미지를 기준 이미지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관리 서버(3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사용자 단말기를 등록하고 관리하는 단말기 관리부(320)와, 측정 대상 서비스 서버 및 기준 이미지를 등록하는 서비스 및 이미지 등록부(330)와, 상기 서비스 서버 및 기준 이미지를 저장하는 제1데이터 베이스(37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에이전트(100)로부터의 측정 결과는 측정 결과 수집부(340)에 의해 수집된다. 한편, 상기 수집된 측정 결과는 제2데이터 베이스(380)에 저장되고, 상기 측정 결과에 대한 분석 및 통계는 분석통계부(350)에 의해 저장된다. 또한, 상기 분석 및 통계 결과는 시각화부(300)에 의해 시각화되어 운영자(400,도 7참조)에게 제공된다. 또한, 상기 에이전트(100)와의 통신은 통신부(310)에 의한다.
이상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상기 상세한 설명에서 기술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에이전트 110 : 통신부
120 : 측정리스트 관리부 130 : 어플리케이션 구동부
140 : 프레임버퍼 취득부 150 : 이미지 검증부
160 : 스케쥴러 200 : 웹/앱 서비스 제공 서버
300 : 관리 서버 310 : 통신부
320 : 단말기 관리부 330 : 서비스 및 이미지 등록부
340 : 측정 결과 수집부 350 : 분석 통계부
360 : 시각화부 370 : 제1데이터 베이스'
380 : 제2데이터 베이스
120 : 측정리스트 관리부 130 : 어플리케이션 구동부
140 : 프레임버퍼 취득부 150 : 이미지 검증부
160 : 스케쥴러 200 : 웹/앱 서비스 제공 서버
300 : 관리 서버 310 : 통신부
320 : 단말기 관리부 330 : 서비스 및 이미지 등록부
340 : 측정 결과 수집부 350 : 분석 통계부
360 : 시각화부 370 : 제1데이터 베이스'
380 : 제2데이터 베이스
Claims (7)
- 로딩하고자 하는 페이지 중 사용자 단말기의 스크린에 렌더링된 최초 페이지의 이미지와 기 설정된 기준 이미지가 동일한 때 사용자 단말기에 렌더링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렌더링의 완료 속도를 산출하여 웹/앱 서비스의 성능을 측정하며,
상기 최초 페이지에 대한 이미지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와 일대일 대응되는 프레임버퍼로부터 직접 획득하여, 상기 기준 이미지와 비교하되
프레임버퍼의 값을 읽은 후 초기값으로 설정하는 제110단계(S110)와,
프레임버퍼 값을 읽는 제120단계(S120)와,
상기 제110단계(S110)에 의해 확보된 프레임버퍼 값과 제120단계(S120)에 의해 확보된 프레임버퍼 값을 비교하여 사용자 단말기의 스크린에 변화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130단계(S130)와,
상기 제130단계(S130)에서 스크린의 변화가 있는 경우 시작 시점으로 설정하는 제140단계(S140)와,
상기 프레임버퍼 값 전체를 읽는 제150단계(S150)와,
상기 제150단계(S150)에 의해 확보된 프레임버퍼 값이 기준 이미지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160단계(S160)와,
상기 제160단계(S160)에서, 프레임버퍼 값이 기준 이미지와 동일한 경우 사용자 단말기의 스크린에 렌더링이 완료된 것으로 보아 종료 시점으로 설정한 후 상기 시작 시점과 종료 시점의 시간 차이를 산출하여 웹/앱 서비스의 성능을 측정하는 제170단계(S170)와,
상기 제130단계(S130)에서 스크린의 변화가 없는 경우 설정 시간이 경과하였는지를 판단하여 설정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20단계(S120)를 다시 수행하고, 설정시간이 경과한 경우 종료하는 제180단계(S180)와,
상기 제160단계(S160)에서, 프레임버퍼 값이 기준 이미지와 동일하지 않은 경우 설정 시간이 경과하였는지를 판단하여 설정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50단계(S150)를 다시 수행하고, 상기 설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 종료하는 제190단계(S1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기반의 웹/앱 서비스 사용자 체감 성능 측정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이미지는 상기 최초 페이지의 이미지 전체로 설정하거나,
상기 최초 페이지의 이미지 중 일부 영역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기반의 웹/앱 서비스 사용자 체감 성능 측정 방법.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90단계(S190)에서 제150단계(S150)를 다시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제160단계(S160)에 의해 불일치하는 이미지에 해당하는 프레임버퍼 값만을 상기 제150단계(S150)에 의해 읽은 후,
제160단계(S160)를 다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기반의 웹/앱 서비스 사용자 체감 성능 측정 방법. - 측정 대상이 되는 웹/앱 서비스 제공 서버(200)와 사용자 단말기(T)와 관리 서버(300)로 이루어지고,
상기 웹/앱 서비스 제공 서버(200)와 사용자 단말기(T) 그리고 관리 서버(300)는 상호 유무선 인터넷으로 연결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T)에는 에이전트(100)가 탑재되며, 상기 에이전트(100)는 상기 제1항의 사용자 체감 성능 측정방법에 의해 웹/앱 서비스 제공 서버(200)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의 성능을 측정하며,
상기 제170단계(S170)에서, 시작 시점과 종료 시점의 시간 차이를 산출하여 웹/앱 서비스 서버의 성능을 측정한 후, 상기 관리 서버(300)에 보고하고, 종료하며,
상기 제180단계(S180)에서, 스크린의 변화가 없으며 설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 상기 관리 서버(300)에 보고 하고 종료하며,
상기 제190단계(S190)에서, 프레임버퍼 값이 기준 이미지와 동일하지 않고 설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 상기 관리 서버(300)에 보고하고 종료하는 이미지 기반의 웹/앱 서비스 사용자 체감 성능 측정 시스템.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에이전트(100)는 상기 관리 서버(300)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110)와,
상기 관리 서버(300)에서 내려 받은 측정리스트 및 기준이미지를 관리하는 측정리스트 관리부(120)와,
상기 측정리스트 및 기준 이미지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 베이스(170)와,
상기 사용자 체감 성능 측정방법을 구동하는 어플리케이션 구동부(130)와,
상기 사용자 체감 성능 측정 방법을 위한 렌더링 시간 측정을 위해 사용자 단말기의 프레임버퍼를 읽는 프레임버퍼 취득부(140)와,
기준 이미지와 취득한 프레임버퍼 이미지를 비교하는 이미지 검증부(150)와,
측정리스트 상의 서비스에 대한 측정 시간을 관리하는 스케쥴러(1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기반의 웹/앱 서비스 사용자 체감 성능 측정 시스템.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300)는 다수 개의 사용자 단말기를 등록하고 관리하는 단말기 관리부(320)와,
측정 대상 서비스 서버 및 기준 이미지를 등록하는 서비스 및 이미지 등록부(330)와,
상기 서비스 서버 및 기준 이미지를 저장하는 제1데이터 베이스(370)와,
상기 에이전트로부터 측정 결과를 수집하는 측정 결과 수집부(340)와,
상기 측정 결과가 저장되는 제2데이터 베이스(380)와,
상기 측정 결과에 대한 분석 및 통계를 행하는 분석통계부(350)와,
상기 분석 및 통계 결과를 시각화하여 운영자에게 제공하는 시각화부(360)와,
상기 에이전트(100)와의 통신을 담당하는 통신부(3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기반의 웹/앱 서비스 사용자 체감 성능 측정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88355A KR101836852B1 (ko) | 2017-07-12 | 2017-07-12 | 이미지 기반의 웹/앱 서비스 사용자 체감 성능 측정 방법 및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88355A KR101836852B1 (ko) | 2017-07-12 | 2017-07-12 | 이미지 기반의 웹/앱 서비스 사용자 체감 성능 측정 방법 및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36852B1 true KR101836852B1 (ko) | 2018-03-09 |
Family
ID=61727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88355A KR101836852B1 (ko) | 2017-07-12 | 2017-07-12 | 이미지 기반의 웹/앱 서비스 사용자 체감 성능 측정 방법 및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36852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70731A (ko) * | 2021-11-15 | 2023-05-23 |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 사용자의 서비스 체감 성능 평가 방법 및 시스템 |
CN116485493A (zh) * | 2023-04-10 | 2023-07-25 | 北京城市网邻信息技术有限公司 | 房源信息处理和展示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
-
2017
- 2017-07-12 KR KR1020170088355A patent/KR101836852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70731A (ko) * | 2021-11-15 | 2023-05-23 |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 사용자의 서비스 체감 성능 평가 방법 및 시스템 |
KR102676784B1 (ko) * | 2021-11-15 | 2024-06-20 | 라인 야후 가부시키가이샤 | 사용자의 서비스 체감 성능 평가 방법 및 시스템 |
CN116485493A (zh) * | 2023-04-10 | 2023-07-25 | 北京城市网邻信息技术有限公司 | 房源信息处理和展示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AU2017204187B2 (en) | Advertisements in view | |
CA3020707C (en) |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 user quality-of-experience measurement of streaming video | |
US10079737B2 (en) |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comparable visual maps for browsing activity analysis | |
US10157402B2 (en) | Advertisements in view | |
US20140136686A1 (en) | Dynamic resolution regulating system and dynamic resolution regulating method | |
CN103533016A (zh) | 一种宽带网络测速及智能分析系统 | |
JP2015018565A (ja) | コンテンツレンダリング制御システム及び方法 | |
CN109271600B (zh) | 一种性能数据的监测方法、系统和装置 | |
CN105210051A (zh) | 估计内容项的可见性 | |
KR101836852B1 (ko) | 이미지 기반의 웹/앱 서비스 사용자 체감 성능 측정 방법 및 시스템 | |
CN104601770A (zh) | 一种终端及其流畅性评测方法 | |
CN110209978B (zh) | 一种数据处理方法和相关装置 | |
US8620997B2 (en) | Client apparatus, computer system, computer readable program storage medium and display method, each for detecting change of display contents in status bar area to display the change | |
CN111013131B (zh) | 延迟数据获取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 |
CN105677678B (zh) | 网页的首屏位置确定、网页信息显示方法和系统 | |
CN108021998B (zh) | 网络问卷的答题时长预测方法及装置 | |
CN110889057B (zh) | 业务数据可视化方法和业务对象可视化装置 | |
CN111597102A (zh) | 一种页面性能的测试方法、终端及存储介质 | |
CN106470129B (zh) | 实现网页首屏时延测量的方法、系统、服务器和终端 | |
CN104978181B (zh) | 一种页面显示方法、终端和装置 | |
CN108170592B (zh) | 一种虚拟现实软件性能的远程测试方法及终端 | |
CN113986603B (zh) | 页面加载异常原因的确定方法、装置及存储介质 | |
CN108921400A (zh) | 房产信息的统计方法、服务器及存储介质 | |
CN111131369B (zh) | App使用情况的传输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 |
US20180279164A1 (en) | Conges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terminal device, congestion situation evaluation system, congestion situation evaluat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conges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progra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