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6131B1 - 건축물의 발수공법 및 이에 이용되는 백화제거제 - Google Patents

건축물의 발수공법 및 이에 이용되는 백화제거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6131B1
KR101836131B1 KR1020170073041A KR20170073041A KR101836131B1 KR 101836131 B1 KR101836131 B1 KR 101836131B1 KR 1020170073041 A KR1020170073041 A KR 1020170073041A KR 20170073041 A KR20170073041 A KR 20170073041A KR 101836131 B1 KR101836131 B1 KR 1018361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agent
whitening
building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3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상진
Original Assignee
황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상진 filed Critical 황상진
Priority to KR10201700730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61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6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61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96Repairing or restoring faca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2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23/02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D1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6Antifouling paints; Underwater paints
    • C09D5/1681Antifouling coatings characterised by surface structure, e.g. for roughness effect giving superhydrophobic coatings or Lotus effec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20Diluents or solv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rchitectur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발수공법 및 이에 이용되는 백화제거제에 관한 것으로, 건축물의 미관 손상 및 중성화 촉진요인인 백화 현상을 소지 면에 영향을 주지 않고 제거할 수 있으며, 원래의 소지상태로 회복하여 원색유지 효과와 얼룩방지, 변색방지, 통기성, 내구성 등이 개선된 장점을 가진다.

Description

건축물의 발수공법 및 이에 이용되는 백화제거제{WATER-REPELLENT PROCESS OF BUILDING AND WHITENING-REMOVAL AGENTS USED THE SAME}
본 발명은 건축물의 발수공법 및 이에 이용되는 백화제거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건축물의 미관 손상 및 중성화 촉진요인인 백화 현상을 소지면에 영향을 주지 않고 제거할 수 있으며, 원래의 소지상태로 회복하여 원색유지 효과와 얼룩방지, 변색방지, 통기성, 내구성 등이 개선된 건축물의 발수공법 및 이에 이용되는 백화제거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기질 소재로 분류되는 벽돌이나 적벽돌, 콘크리트 재료를 주성분으로 하는 건축물은 초기에는 강알카리성이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외부의 산성비, 오염된 대기, 탄산가스, 아황산가스, 염해 등의 부식 환경에 노출되어 중성화(탄산화)가 되는데, 이것이 점토벽돌 및 콘크리트 건축물의 염화 원인이 되어, 결국 건축물의 수명을 단축하게 되고 미관도 불량하게 만든다.
또한 (적)벽돌을 조적하여 외벽을 시공한 경우, 부식 환경에 일정기간 노출되면 중성화(탄산화)가 서서히 진행되어, 적(벽돌) 표면에 석회질이 밖으로 베어 나와 허옇게 노출되어 물에 불용성인 탄산칼슘의 단단한 흰색물질로 변하거나 오염되는 현상이 나타나는데, 이를 백화 현상이라고 한다. 이러한 백화 현상이 발생한 벽면은 미관이 불량하고 중성화 촉진 요인으로 작용하여 건축물 자체의 내구성 또한 크게 저하 시킨다.
이를 방지하고 원래의 소지상태로 회복시키기 위하여, 소지 면에 손상을 주지 않고 백화 현상을 제거할 수 있고, 환경오염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부식성 물질의 침투를 차단하거나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타입의 친환경 백화 제거제와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방수 공법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기존 기술들은 (적)벽돌로 시공한 건축물의 백화 현상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으로, 주로 용제 세척(Solvent cleaning), 수공구 세척(Hand tool cleaning), 산 세척, 유성 코팅제 등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용제 세척 방법은 유기용제를 사용하므로 인체에 유해하고, 화재 위험성도 있으며 제거 효과도 불충분하다.
또한, 수공구 세척방법은 소지 면에 손상을 주거나 기공속의 잔유물을 제거하는 데는 한계가 있으며, 산 세척 방법은 무기산 용액을 사용하므로 독성이 강하고 인체에 유해하며 환경오염에 악영향을 줄 수 있고 석재물(화강석, 인조대리석, 타일 등)에는 부식성으로 사용이 곤란하다. 유성 코팅재는 원래의 소지 상태로 회복이 곤란하며 인체에 유해하고 화재 위험성 등을 야기 할 수 있는 문제점이 많으므로 바람직 하지 않다.
또한, 건축물의 열화는 어느 한 가지 원인에 의하지 않고, 다양한 원인이 복합적으로 관련되어 진행되는 것임을 고려해 볼 때, 그 원인에 대하여 총체적으로 분석하고 대처할 수 있는 재료 및 공법의 개발이 시급하다고 하겠다.
본 발명에서는 (적)벽돌로 조적된 건축물 외벽에 생성된 누수와 백화 현상을 제거하는 방법에 따라 그 성능과 미관이 크게 좌우되므로, 초기 공정 재료인 친환경 백화 제거제를 사용하여 백화 현상을 소지에 손상을 주지 않고 효율적으로 제거하여 원래의 소지 상태로 회복시켜 미관을 향상할 수 있고, 무독성이며 친환경적이므로 인체에 무해하고, 석재류(화강석, 인조 대리석, 타일 등)에도 부식이나 손상을 주지 않고 사용이 가능한 건축물의 발수공법 및 이에 이용되는 백화제거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현예는 건축물 표면에 발생된 백화 현상 부분에 백화제거제를 이용해서 백화를 제거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건축물의 발수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백화제거제는 물, 비이온성 폴리에틸렌옥사이드계 화합물, 에틸렌옥사이드/프로필렌 옥사이드 코폴리머, 진용매, 조용매 및 첨가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백화제거제는 물 46~75중량%, 비이온성 폴리에틸렌옥사이드계 화합물 4~8중량%, 에틸렌옥사이드/프로필렌 옥사이드 코폴리머 2~4중량%, 진용매 12~28중량%, 조용매 6~14중량% 및 첨가제 0.5~2.5중량%의 함량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비이온성 폴리에틸렌옥사이드계 화합물은 비중(25℃)이 1.01~1.11g/㎤이고, 에틸렌 옥사이드(EO) 몰수가 4~12이고, HLB((Hydrophile-Lipophile Balance) 값이 10.6~13.8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에틸렌옥사이드/프로필렌 옥사이드 코폴리머는 비중(25℃)이 1.02~1.12g/㎤이고, 흐림점(Cloud point)이 20~5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진용매는 아세톤, 부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셀로솔브아세테이트, 부틸셀로솔브 및 에틸셀로솔브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용매는 이소부틸알코올, 에틸알코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및 메틸알코올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첨가제는 분산제, 소포제, 증점제 및 방부제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 구현예는 물, 비이온성 폴리에틸렌옥사이드계 화합물, 에틸렌옥사이드/프로필렌 옥사이드 코폴리머, 진용매, 조용매 및 첨가제를 포함하는 건축물의 발수공법에 이용되는 백화제거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백화제거제는 물 46~75중량%, 비이온성 폴리에틸렌옥사이드계 화합물 4~8중량%, 에틸렌옥사이드/프로필렌 옥사이드 코폴리머 2~4중량%, 진용매 12~28중량%, 조용매 6~14중량% 및 첨가제 0.5~2.5중량%의 함량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비이온성 폴리에틸렌옥사이드계 화합물은 비중(25℃)이 1.01~1.11g/㎤이고, 에틸렌 옥사이드(EO) 몰수가 4~12이고, HLB((Hydrophile-Lipophile Balance) 값이 10.6~13.8이고, 점도가 150~250cP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에틸렌옥사이드/프로필렌 옥사이드 코폴리머는 비중(25℃)이 1.02~1.12g/㎤이고, 흐림점(Cloud point)이 20~5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진용매는 아세톤, 부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셀로솔브아세테이트, 부틸셀로솔브 및 에틸셀로솔브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용매는 이소부틸알코올, 에틸알코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및 메틸알코올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첨가제는 분산제, 소포제, 증점제 및 방부제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백화제거제는 빠른 침투력과 세척력, 용해력으로 백화현상 부위에 깊숙이 침투시켜 소지면에 손상을 주지 않고 백화 현상을 제거하여 원래의 소지 상태로 회복 시킬 수 있으며 미관 효과도 얻을 수 있고, 결과적으로 내구성도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발수공법 및 이에 이용되는 백화제거제는 석재류(화강석, 인조대리석, 타일 등)를 포함하는 대부분의 건축물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인체에도 무해하고 환경오염에도 영향을 주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발수공법을 공정별로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다른 식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화학적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명명법은 본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건축물'이라 함은 적벽돌, 점토벽돌, 콘크리트, 석재류(화강석, 인조대리석, 타일 등)등의 관련된 건축물, 건축 구조물, 주택 건축물, 슬레이트, 기와지붕, 교량, 보드 블록, 시멘트 몰탈 등의 건축물로 이루어진 건축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건축물 표면에 발생된 백화 현상 부분에 백화제거제를 이용해서 백화를 제거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건축물의 발수공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백화제거제는 물, 침투 세척제로서 비이온성 폴리에틸렌옥사이드계 화합물, 습윤 세척제로서 에틸렌옥사이드/프로필렌 옥사이드 코폴리머, 진용매, 조용매 및 첨가제를 특정 함량으로 포함함으로써, 건축물의 빠른 침투력과 세척작용으로 백화 및 오염물에 대한 용해 및 분해 능력도 우수하여 소지면에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 원래의 소지 상태 및 원색으로 회복시킬 수 있다.
종래의 무기산을 주제로 한 독성이 강한 산성 제품의 백화제거제와는 달리, 본 발명에 따른 백화제거제는 수용성의 친환경 제품으로서, 백화 제거에 적용 후 쉽게 자기 분해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성 도모와 환경오염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또한 무기질계 소재인 시멘트, 몰탈, 적벽돌, 점토 벽돌, 석재류(화강암, 인조대리석, 타일 등)등의 건축물에도 부식 등의 손상을 주지 않고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침투 세척제인 비이온성 폴리에틸렌옥사이드계 화합물은 시공시 건축물의 백화 현상 부위에 깊숙이 침투시켜 침투 및 세척 작용으로 백화 현상을 제거하는 역할로, 25℃의 비중이 1.01~1.11 g/㎤이고, 에틸렌 옥사이드(EO) 몰수가 4~12이며, HLB값이 10.6~13.8이고, 25℃에서의 점도가 150~250cP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비이온성 폴리에틸렌옥사이드계 화합물로는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Polyoxyethylene Oleylether), 폴리옥시에틸렌세틸에테르(Polyoxyethylene Cetylether), 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릴에테르(Polyoxyethylene Stearylether), 폴리옥시에틸렌트리데실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캐스터오일 유도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비이온성 폴리에틸렌옥사이드계 화합물은 상술한 범위의 물성을 가지는 경우 백화제거제의 다른 성분들과의 상용성과 보존성이 좋아 작업성이 용이하고, 침투성이 우수하며 백화 현상 내부로의 빠른 침투 세척성이 양호해서 백화 현상의 제거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원래의 소지상태로 회복시킬 수도 있다.
상기 비이온성 폴리에틸렌옥사이드계 화합물은 친환경 백화제거제 총 중량에 대하여, 4~8중량%의 함량으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함량이 4중량% 미만인 경우, 그 효과가 미미하고, 8중량%를 초과하면 경우 침투반응이 늦어지고 세척력도 지연되는 단점이 있다.
상기 에틸렌옥사이드/프로필렌 옥사이드 코폴리머는 습윤 세척제로서 상술한 침투 세척제와 결합함으로써 상호 시너지 효과로 건축물의 백화 현상 부위에 깊숙이 침투되어 습윤 및 세척 작용으로 백화 현상을 제거하는 역할이 증대되며, 25℃의 비중이 1.02~1.12g/㎤이고, 흐림점(Cloud point)이 20~55℃인 물성을 가지는 비이온성 에틸렌옥사이드/프로필렌옥사이드 코폴리머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틸렌옥사이드/프로필렌옥사이드 코폴리머는 에틸렌옥사이드로부터 유래된 반복단위 및 프로필렌옥사이드로부터 유래된 반복단위가 블록구조를 가지는 코폴리머 또는 에틸렌옥사이드로부터 유래된 반복단위 및 프로필렌옥사이드로부터 유래된 반복단위가 랜덤구조로 이루어진 코폴리머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에틸렌옥사이드/프로필렌옥사이드 코폴리머는 상기 범위의 물성을 가지는 경우 백화제거제의 다른 성분들과의 상용성과 보존성이 좋아 작업성이 용이하고 상기 침투 세척제와 상호 시너지 효과로 습윤성이 증대되어 백화 현상 내부로의 빠른 습윤 세척성이 좋아 백화 현상의 제거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원래의 소지 상태로도 회복시킬 수 있다.
상기 습윤 세척제인 상기 에틸렌옥사이드/프로필렌옥사이드 코폴리머는 친환경 백화 제거제 총 중량에 대하여 2~4중량%의 함량으로 포함한다. 상기 함량이 2중량% 미만인 경우, 그 효과가 미미하고, 4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습윤 반응이 늦어지고 세척력도 지연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진용매와 조용매는 수성과 유성의 재료를 모두 용해시킬 수 있는 양성 용매제 역할로, 본 발명의 친환경 백화제거제에 포함됨으로써 빠른 용해력과 침투력, 습윤력에 보강 촉진 효과를 나타낸다.
상기 진용매로는 바람직하게는 아세톤, 부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셀로솔브아세테이트, 부틸셀로솔브, 에틸셀로솔브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 일 수 있으며, 친환경 백화 제거제 총 중량에 대하여 12~28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이 빠른 용해력과 침투력, 습윤력 증대를 증진시키고, 작업성을 개선하여 백화 현상을 용이하게 제거한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조용매는 진용매와 결합함으로서 상호 시너지 효과로 빠르고 강한 용해력을 보강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상기 조용매로는 바람직하게는 이소부틸알코올, 에틸알코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및 메틸알코올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친환경 백화 제거제 총 중량에 대하여, 6~14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이 용해력과 침투력, 습윤력을 증진시키고, 작업성을 개선하여 백화 현상을 용이하게 제거한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물은 침투 세척제, 습윤 세척제, 진용매, 조용매, 첨가제 등의 원료를 혼합 및 희석시키는 것으로, 친환경 백화 제거제 총 중량에 대하여 46~75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이 친환경 백화 제거제의 점도, 저장안정성, 상태 조절을 용이하게 하고, 균일한 도포막을 형성한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첨가제는 친환경 백화제거제의 특성을 크게 저하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첨가될 수 있으며. 당 업계에서 소포제, 증점제, 냉동 안정제, 방균제, 침강 방지제, 분산제, 전착제 등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성분을 의미하고, 건축물의 용도나 도포 방법 등에 따라 상기 성분들 중 1종 이상을 선택하여 용이하게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전착제는 도포 작업시, 백화제거제가 백화 현상 부분에 잘 부착되도록 하여 백화 제거 기능이 충분히 발휘되도록 도와주는 접착 보조기능 역할로, 25℃에서의 비중이 1.02~1.12g/㎤이고, 에틸렌 옥사이드(EO) 몰수가 5~15이며, HLB 값이 10~15이고, 점도가 200~300cP인 비이온성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고, 작업성과 가격 측면에서 비이온성 폴리에틸렌옥사이드계 화합물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비이온성 폴리에틸렌옥사이드계 화합물로는 폴리옥시에틸렌노닐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옥틸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트리스티레네이티드 페닐에테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전착제는 상기 범위의 물성을 가지므로 나머지 물질과의 상용성과 보존성이 좋아 작업성이 용이하고, 백화현상 면에서 내부로의 침투 부착성이 좋아 백화 제거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친환경 백화 제거제의 점도, 상태조절, 저장 안정성 및 도포 형성 측면에서 친환경 백화 제거제 총 중량에 대하여, 0.5~2.5중량%로 포함하나, 상기 첨가제의 종류에 따라 그 사용량은 각각 다르기 때문에, 본 실시예의 첨가제 각각의 사용량은 본 발명을 제한하는 요소가 아니다.
상기 소포제는 도포막 내의 기포 발생 등 도포 작업성을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 기포가 과잉으로 형성될 경우 물성의 저하를 가져올 수 있다. 소포제의 일 예로는 소포력을 극대화하는 측면에서 실록산계, 실리콘계 등의 소포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포 작업시 습(wet)도포량을 균일하게 형성하는 측면에서 증점제를 포함할 수 있는데, 저장 안정성을 유지하고 상태조절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수용성 증점제인 것이 유리하고, 증점제의 일 예로는 변성 규산염 점토계, 수용성 아크릴계 등의 증점제 일 수 있다.
상술한 친환경 백화제거제는 물과 침투세척제, 습윤세척제를 먼저 혼합하여 백화세척 기능을 갖는 혼합물을 제조한 후, 진용매, 조용매, 첨가제를 혼합하여 백화용해 기능을 갖는 혼합물을 제조하고, 상기 백화세척 기능을 갖는 혼합물과 백화용해 기능을 갖는 혼합물을 일정한 비율로 혼합하여 균일한 액상이 되도록 혼합 및 교반하는 방법을 제조될 수 있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용기에 물을 투입하고, 저속교반하면서 침투세척제와 습윤세척제를 순서대로 소량씩 투입한 후, 균일 액상이 되도록 십여분 정도 중속교반하여 백화세척 기능을 갖는 혼합물을 제조한다. 한편, 다른 용기에 용매제인 아세톤과 이소부틸알코올을 순서대로 투입하여 십여분 정도 저속교반 후, 전착제를 소량씩 첨가하여 저속교반하고, 이어서 증점제를 첨가하여 20 여분 정도 중속교반하여 점성상태를 확인한 후, 소포제를 소량씩 첨가한 다음에 십여분 정도 저속교반하여 기포를 소포시키면서 백화용해 기능을 갖는 혼합물을 제조한다. 상기 제조된 백화세척 기능을 갖는 혼합물에 상기 백화용해 기능을 갖는 혼합물을 소량씩 첨가하여 균일 액상이 되도록 20여분 정도로 저속교반하는 방법으로 상술한 친환경 백화제거제를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방법으로 친환경 백화제거제를 제조하는 경우 세척작용과 용해작용이 상호 시너지 효과로 상승하여 배화제거 기능이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발수공법은 상술한 친환경 백화제거제를 이용하여 백화를 제거하는 공정을 포함하는데, 상기 백화를 제거하는 공정은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방법으로 상술한 친화경 백화제거제를 도포하여 백화를 제거하는 공정을 실시할 수 있다.
상기 백화를 제거하는 공정을 실시한 후, 상기 백화가 제거된 건축물의 균열 부위에 단면 복구용 바탕 조정재로 보수하는 조정공정; 및 상기 바탕 조정재가 도포된 건축물에 침투성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프라이머 도포공정; 및 상기 침투성 프라이머가 도포된 건축물에 탄성 발수 코팅재로 마감 처리하는 마감 처리공정을 포함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백화 제거제를 이용한 건축물의 발수 공법은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건축물 표면에 생성된 백화 현상 부위에 본 발명의 친환경 백화 제거제를 이용해서 백화를 제거하는 소지 전처리 작업을 실시하고, 상기 전 처리된 건축물의 균열부위에 단면 복구용 바탕 조정재로 보수하는 바탕 조정 작업을 실시한 후, 바탕 조정재가 도포된 건축물에 침투성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작업을 한 다음, 침투성 프라이머가 도포된 건축물에 고기능성의 탄성 발수 코팅재로 마감 처리하는 작업을 실시하는 친환경 백화 제거제를 이용한 건축물의 발수 공법으로서 건축물의 백화현상 부위에 높은 세척력과 용해력을 갖는 친환경 백화 제거제를 이용하여 백화 현상을 손상 없이 깨끗이 제거하여 원래의 소지 상태로 회복시켜 백화 방지와 원색의 미관을 향상시키고, 침투성 프라이머로 표면 강도와 접착성을 증가시키며, 균열 저항성이 우수한 마감 코팅재로 우수한 방수성, 내후성, 내구성 및 얼룩 방지와 원색을 유지하여 미장 효과와 중성화 방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상술한 발수 공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소지 전처리 공정은 건축물 표면의 소지 처리 상태에 따라서 성능이 크게 좌우되므로, 도 1의 공정 개념도와 같이 염해, 중성화(탄산화), 화학적 부식 등의 열화 현상에 의해 건축물 표면에 발생하는 물에 불용성인 백화 및 오염물을 제거하는 단계로, 본 발명의 친환경 백화 제거제를 이용하여 백화 현상을 제거하는 소지 전처리 공정을 실시한다.
상기 바탕 조정공정은 소지 전처리 공정을 수행한 후, 표면의 균열부위나 훼손 부위 및 요철 부위는 충전 보수재를 사용하여 충전 보수 작업을 한 후, 건조시킨 다음 바탕 표면을 평활하게 조정한다.
이때 사용하는 충전 보수재 및 보수방법으로는 균열부위에는 좌대를 설치하고 전용 주입기를 사용하여 에폭시 수지를 주입하는 그라우팅 방법(BCP 그라우팅 공법)으로 하고, 훼손 부위에는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를 사용하여 단면 복구 방법(BCP 단면 복구 공법)으로 하고, 요철 부위에는 그라인더 등을 사용하여 표면을 조정한다. 바람직하기로는 종전에 사용했던 충전 보수재와 보수방법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공법을 사용하여 바탕면을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침투성 프라이머 도포공정은 열화 현상으로 중성화된 건축물 표면에 깊숙이 침투시킴으로서 건축물의 접착 강도를 높여주고 알칼리도를 회복시켜 주는 단계로, 로울러나 도료 작업용 붓 스프레이 건 등을 사용사여 전술된 본 발명에 따른 침투성 프라이머를 도포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침투성 프라이머로서 물, 양성용매, 커플링제, 수용성 우레탄 수지 및 첨가제를 특정 함량으로 포함함으로써, 침투성과 반응성이 우수하여 콘크리트 표면에 뛰어난 침투성을 발휘하고, 표면 강도를 강화시켜 주는 한편 유기 용제에 의한 유해성과 화재의 위험성을 제거하여 안전성과 작업성을 향상 시켜주는 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pH 8.5~11의 알카리성이므로 pH 12인 알카리성 콘크리트 표면에 화학적으로 안정성을 부여함은 물론 콘크리트 표면과 친화력이 극대화 되어, 콘크리트 표면과 강력한 부착력을 발휘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마감처리 단계는 로울러나 도료 작업용 붓, 에어리스 스프레이 등을 사용하여 고기능성의 탈성발수 코팅재를 침투성 프라이머가 도료된 표면에 도포하되, 구석진 곳이나 모서리 부분을 붓으로 먼저 도포한 다음에, 넓은 면은 로울러나 스프레이를 이용하여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기능성의 탄성발수 코팅재로는 기존의 수용성 도료보다 물성 및 신축성, 발수성, 내후성 등에서 우수한 성능을 가지도록 고탄성 아크릴 공중합체 및 수용성 우레탄 수지, 발수제, 첨가제 등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고탄성 아크릴 공중합체 수지는 고형분 49~51중량%, 점도(25℃) 2000~4000 CPS, pH 7~8, 유리전이온도(Tg) -25℃인 수지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수용성 지방족 우레탄 수지로는 고형분 34~36 중량%, 점도(25℃) 150~350 CPS, pH 8~9, 비중(25℃) 1.10~1.15인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발수제는 수용성 타입으로 블록, 석재, 콘트리트, 몰탈 등의 다양한 건축자재로 이루어진 건축물에 깊숙이 침투되어 높은 발수력을 장기간 부여할 수 있습니다. 고기능성 발수제로서 표면의 코팅재가 아닌 폴리 실록산계 혼합물로서 통기성, 침투성, 내알카리성, 내구성 등이 우수하여 건축물의 외벽 누수, 백화 및 노화방지로 건축물의 수명을 연장 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발수제는 실란과 실록산을 함유한 폴리 실록산계 에멀젼으로서 pH4~6, 비중(25℃) 0.98~1.03g/cc, 색상 우유색 액체, 유효성분 40~42중량%의 발수제가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예로 본 발명에 따른 고기능성의 탄성 발수재는 물 45~60중량%, 고탄성 아크릴 공중합체 20~30중량%, 수용성 지방족 우레탄 수지 5~15중량%, 발수제 5~15중량% 및 첨가제 2~10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발수성, 신축성, 내곰팡이성 및 내후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여기서, 물은 코팅재의 점도, 상태조절을 용이하게 하고, 균일한 도막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60중량% 초과 함유시 코팅재의 기능 상실을 야기할 수 있고, 건축물 내, 외벽의 습기 방지와 방수성을 부여 하기 위한 발수제는 범위 초과 사용 시 건조성 지연과 통기성을 저하 시킬 수 있다.
또한 코팅재에 신축성을 부여하기 위한 수용성 고탄성 아크릴 공중합체의 경우 30중량% 초과 함유시 도막의 성능이 저하될 수 있고, 부착성을 부여하기 위한 수용성 우레탄 수지는 15중량% 초과 함유시 도막의 강도가 약해질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코팅재의 점도, 상태조절, 저장 안정성 및 도막 형성 측면에서 코팅재 총 중량에 대하여 2~10중량%로 포함하나, 상기 첨가제의 종류에 따라 그 사용량은 각각 다르기 때문에 본 실시예의 첨가제 각각의 사용량은 본 발명을 제한하는 요소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첨가제는 코팅재의 특성을 크게 저하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첨가될 수 있으며, 당 업계에서 분산제, 소포제, 증점제, 방부제 등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성분을 의미하고, 건축물의 용도나 도포방법 등에 따라 상기 성분들 중 1종 이상을 선택하여 용이하게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각 원료의 분산 효과를 부여하기 위한 분산제의 경우, 범위 초과 함유 시 분산성 증진 효과가 나타나지 않으며, 분산제의 일 예로는 분산성을 극대화하는 측면에서 카르본산 암모늄계, 변성 실록산계 등의 분산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소포제는 도막내의 기포 발생 등 도포 작업성을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 기포가 과잉으로 형성될 경우 물성의 저하를 가져올 수 있다. 소포제의 일 예로는 소포력을 극대화하는 측면에서 실록산계, 실리콘계 등의 소포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포 작업 시, 즉 습도막을 균일하게 형성하는 측면에서 증점제를 포함할 수 있는데, 저장 안정성을 유지하고 상태 조절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수용성인 증점제 인 것이 유리하고, 증점제의 일 예로는 변성 규산염 점토계, 수용성 아크릴계 등의 증점제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부제는 용기 내에서의 저장 안정성을 장기간 유지하고 부패 등의 변질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균일한 물성을 유지하는 측면에서 BIT계, MIT계 등의 방부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고기능성의 탄성 발수 코팅재는 방수성, 내후성, 내구성이 우수하며, 특히 신축성이 뛰어나 건축물 내, 외부의 수축 팽창에 의한 미세한 균열을 막아 주므로 건축물의 표면을 보호하고, 외부로부터 물, 이산화탄소, 염해 등의 유해성 물질이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여 백화 현상 방지, 얼룩 현상 방지 및 원색의 미관 효과를 부여한다.
상기 고기능성의 발수 코팅재는 침투성 프라이머 위에 통상 2회 코팅을 실시한다. 코팅은 1회 실시 후 6시간 경과 후 표면이 마를 때 2회 코팅을 실시한다.
또한, 상기 발수 코팅재는 입지 조건 등에 따라서, 투명 타입(소지면의 원색을 원할 경우)뿐만 아니라 유색 타입(다양한 색상을 원할 경우)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백화 제거제를 이용한 건축물의 발수공법은 건축물의 외벽 누수와 백화 현상을 친환경 백화 제거제로 제거하여 원래의 소지 상태로 회복시키고, 높은 침투력을 갖는 침투성 프라이머를 침투시킴으로서, 건축물의 알카리도를 회복시키고, 고형물의 결정 밀도가 떨어진 공극을 채워 표면강화와 부착강도, 미세균열 충전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백화 제거제를 이용한 건축물의 발수공법은 균열 저항성이 우수한 고기능성의 탄성 발수 코팅재로 건축물 내, 외부의 수축 팽창에 의한 미세한 균열을 막아 주므로, 건축물의 표면을 보호하고, 외부로부터 수분, 염분 등의 유해성 물질의 침투로 인한 동해, 염해, 백화현상, 곰팡이 이끼 등을 미연에 방지하고 방수성, 내후성, 원색의 미관 효과와 내구성 등의 증진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물, 비이온성 폴리에틸렌옥사이드계 화합물, 에틸렌옥사이드/프로필렌 옥사이드 코폴리머, 진용매, 조용매 및 첨가제를 포함하는 건축물의 발수공법에 이용되는 백화제거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백화제거제는 상술한 건축물의 발수공법에서 기재된 백화제거제에 대한 내용과 동일하다.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백화 제거제는 석재류(화강석, 인조대리석, 타일 등)를 포함하는 모든 건축자재에도 손상을 주지 않고 원래의 소지 상태로 회복시킬 수 있는 다목적 백화 제거제로서의 역할을 하며, 투명 액상의 pH 7.5~8.5인 알카리성 상태가 되어 표준 상태 및 습윤 상태의 건축물 외벽에 생성된 백화 현상 부위에 뛰어난 세척력과 용해력을 발휘하여, 백화 현상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무독성이며 친환경적이므로 인체에 무해하고, 작업성과 안전성이 우수하며 백화 방지와 원색의 미관을 향상시켜주는 효과가 탁월하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 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내지 20 및 비교예 1 내지 2: 친환경 백화 제거제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20 및 비교예 1 내지 2의 친환경 백화 제거제의 세부적인 성분 및 함량은 하기 표 1과 같이 제조하였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 16의 친환경 백화 제거제를 제조하기 위하여, 용기[1]에 물을 투입하고 저속교반(500rpm)하면서 세척제 2종을 순서대로 소량씩 투입한 후 약 10분정도 중속교반(900rpm)하여 성분 [1]을 생성하고, 다음으로 용기[2]에 용매제인 아세톤과 이소 부틸 알코올을 순서대로 소량씩 각각 투입하여 균일한 액상이 되도록 약 10분간 저속교반하면서 전착제를 소량씩 첨가한 후 약 5분정도 저속교반하고, 이어서 증점제를 첨가하여 약 20분간 중속교반하여 점성상태를 확인한 후, 소포제를 소량씩 첨가한 다음, 10분간 저속교반하여 기포를 소포 시키면서 성분 [2]를 생성한 다음, 성분 [1]을 저속교반하면서 성분 [2]를 소량씩 첨가하고 균일한 액상이 되도록 20분간 저속교반하여 '친환경 백화 제거제'를 제조하였다.
또한, 비교예 1 내지 2의 '기존 백화 제거제'를 제조하기 위하여 용기에 물과 전착제를 투입한 후 약 5분 정도 저속교반 하면서, 진한 염산을 소량씩 투입하고 균일한 액상이 되도록 약 10분간 저속교반하여 투명상태를 확인하고 '기존 백화 제거제'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
실시예 비교예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1 2
60 67 53 74 46 60 66.5 53.5 73 47 60 68 52 76 44 60 67.5 52.5 75 45 89 90
침투세적제 9 7 11 5 13 6 5 7 4 8 9 7 11 5 13 6 5 7 4 8 - -
습윤세척제 - - - - - 3 2.5 3.5 2 4 - - - - - 3 2.5 3.5 2 4 - -
아세톤 30 25 35 20 40 30 25 35 20 40 20 16 24 12 28 20 16 24 12 28 - -
이소 부틸 알코올 - - - - - - - - - - 10 8 12 6 14 10 8 12 6 14 - -
전착제 0.6 0.6 0.6 0.6 0.6 0.6 0.6 0.6 0.6 0.6 0.6 0.6 0.6 0.6 0.6 0.6 0.6 0.6 0.6 0.6 1 -
증점제 0.3 0.3 0.3 0.3 0.3 0.3 0.3 0.3 0.3 0.3 0.3 0.3 0.3 0.3 0.3 0.3 0.3 0.3 0.3 0.3 - -
소포제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 -
염산 - - - - - - - - - - - - - - - - - - - - 10 10
소계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 주석
- 침투 세척제인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 에테르: 비중(25℃) 1.06g/㎤, HLB 12.5, EO 몰수 7, 점도(20℃) 235cp
- 습윤 세척제인 에틸렌옥사이드/프로필렌옥사이드 코폴리머: 비중(25℃) 1.07g/㎤, Cloud point 27~30℃, 담황색액상
- 전착제: 폴리옥시페닐에테르, EO 몰수 9, HLB 13.2
- 증점제: 변성 규산염 점토계(Bentone LT, ELEMENTIS 사)
- 소포제: 폴리실록산계(BYK-028, BYK사)
상기 제조된 실시예 1 내지 20의 친환경 백화 제거제는 투명한 액상으로, 비중(25℃)은 0.96±0.02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제조된 비교예 1 내지 2의 기존 백화 제거제는 투명한 액상으로 비중(25℃)은 1.01±0.02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여기에서, 상기 투입순서가 변경될 경우에는 화학 반응에 의해 저장 안정성이 불안정하거나, 물성이 변화될 수 있음에 따라 전술된 과정에 따라 백화 제거제를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조성비를 달리하여 상기 실시예 16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예 1 내지 15 및 실시예 17 내지 20과, 비교예 1 내지 2에 따른 백화제거제를 제조하였다.
< 백화제거제의 물성평가 측정>
상기 실시예 1 내지 20 및 비교예 1 내지 2에 따라 얻어진 백화제거제에 대하여 비중, H2O 희석 안정성, 도포 작업성, 겉모양, 부식성, 흡수성, 냄새, 백화 세척성 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구체적인 측정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비중(kg/ℓ) 측정: KSM 5000의 시험 방법 2131에 따라 수행하였다.
(2) H2O 희석 안정성 측정: 얻어진 백화 제거제 조성물을 희석제인 물과 5:1 부피비로 희석하여 KSM5000의 시험 방법 2311에 따라 희석 안정성을 평가하였는바, 희석 하였을 때 침전, 음결, 분리현상이 없어야 하며, 매우 우수한 경우를 '◎', 양호한 경우를 '○', 보통의 경우를 '△', 나쁜 경우를 'X'로 평가 하였다.
(3) 도포 작업성 측정: KSM5000의 시험방법 2421에 따라 평가하였는바, 붓으로 도포하는데 좋아야 하며 평활하고 퍼짐성이 좋아야 한다. 매우 우수한 경우를 '◎', 양호한 경우를 '○', 보통의 경우를 '△', 나쁜 경우를 'X'로 평가 하였다.
(4) 도막외관(겉모양): 육안 관찰 방법으로 조사한다. 도포 작업성 측정 방법에 따라, 도포, 건조한 후 육안으로 관찰하여 표면에 주름, 처짐, 균열, 변색, 부식 등의 현상이 나타났는지의 유무를 확인한다.
매우 우수한 경우를 '◎', 양호한 경우를 '○', 보통의 경우를 '△', 나쁜 경우를 'X'로 평가 하였다.
(5) 흡수성 시험: KSM 5000이 시험방법 2221에 따라 수행하였다. 시료를 부피 0.24L, 안지름 5.5cm인 용기에 가득 채우고 거름종이[KSM 7602(거름종이) 정성 분석용 2종]의 중심에 액면 중앙 위에 놓이게 얹고, 21~31℃에서 1분 동안 방치한다. 이때 액이 거름종이에 가장 멀리 번져나간 거리를 측정한다.
(6) 냄새 시험: 용기의 뚜껑을 여는 즉시 냄새를 확인한다. 또한, 시료 속에 정량용 거름종이를 담근 후 통풍이 없는 대기(온도 23±1℃, 상대습도 50±4%)중에 거름종이를 걸러두어 건조 도중 시료에서 휘발하는 휘발분이 규정된 정상적인 냄새인지를 완전히 건조될 때까지 일정시간 간격으로 검사한다. 이때 냄새등급으로는 다음과 같이 구분하여 측정한다.
Figure 112017055496089-pat00001
(7) 백화 세척성: KSM 5060의 시험방법 3351(에멀젼 페인트류의 세척성 시험방법)에 준하여 백화현상에 대한 세척성(제거성) 시험을 한다. 시험편은 400㎜×200㎜×300㎜ 크기의 시멘트 모르타르 시험판을 중성화 촉진 시험기에 넣어 시험편을 강제 탄화시켜서 백화현상이 생성된 시험판을 시험한다.
시험방법은 세척성 시험기에 시험판을 올려놓고 흔들리지 않게 고정시킨 후, 시험판 위에 솔(브러쉬)을 올려놓고, 전동기를 가동시켜 솔이 시험판 중앙에서 왕복운동을 하도록 하되, 1 왕복을 1 주기로 하여 1분당 45±5주기로 움직이게 한다. 솔이 시험판 위를 왕복하는 통로에 백화제거제 시료를 약 1분 동안에 12방울이 떨어지도록 하여 시험판을 완전히 젖도록 한다.
판정방법은 10주기로 한 것을 기준으로 하여 백화현상이 제거된 상태와 표면상태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하여 측정한다.
Figure 112017055496089-pat00002
구분 비중 도포 작업성 희석 안정성 겉모양 흡수성 냄새(독성) 백화세척성
실시예1 0.99 4 2
실시예2 1.01 3 2
실시예3 0.98 4 2
실시예4 1.01 3 3
실시예5 0.97 4 2
실시예6 0.99 3 2
실시예7 1.01 3 3
실시예8 0.98 3 2
실시예9 1.01 3 2
실시예10 0.97 4 3
실시예11 0.99 3 2
실시예12 1.01 3 2
실시예13 0.98 3 2
실시예14 1.01 3 2
실시예15 0.97 4 2
실시예16 0.99 3 1
실시예17 1.01 3 1
실시예18 0.98 3 1
실시예19 1.01 3 2
실시예20 0.97 3 2
비교예1 0.98 × 6 4
비교예2 0.98 × 6 4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6에 따른 백화제거제는 실시예 1 내지 15의 백화제거제 보다 도포작업성, 희석 안정성, 겉모양, 흡수성, 냄새, 백화 세척성 시험에서 우수하고, 실시예 17 내지 20 보다 양호하며, 또한 비교예 1 내지 2 보다 겉모양, 냄새 시험에서 탁월하고, 도포작업성, 희석 안정성, 흡수성, 백화 세척성에서 우수함을 알 수 있는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백화제거제가 건축물의 미관 손상 및 중성화 촉진요인인 백화 현상을 소지면에 영향을 주지 않고 제거할 수 있으며, 원래의 소지상태로 회복하여 원색유지 효과와 얼룩방지, 변색방지, 통기성, 내구성 등이 개선됨을 확인할 수 있다.
< 실시예 21>
먼저, 본 발명의 침투성 프라이머는 하기 표 3에 기재된 성분과 함량으로 제조하고,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침투성 프라이머를 제조하기 위하여, 용기에 물을 먼저 투입하고 저속교반(약 500rpm)하면서, 분산제를 투입 소량씩 투입하여 5분 정도 혼합한다. 이를 저속교반 하면서 양성용제와 커플링제을 소량씩 순서대로 투입한 후, 균일액상이 되도록 약 20분정도 중속교반(900rpm)하여 투명상태를 확인하고, 이어서, 증점제를 첨가하여 약 20분간 중속교반하여 점성상태를 하였다. 이를 저속교반하면서 수용성 우레탄 수지를 첨가한 후 20분 정도 소포제를 소량씩 첨가한 다음, 10분정도 저속교반하여 기포를 소포시키면서 침투성 프라이머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침투성 프라이머는 연한 유백색으로, 비중(25℃)은 1.01±0.5이고 점도는 25℃에서 Ford cup No. 4의 측정기기로 측정된 수치가 12±2sec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성분 함량 (중량 %) 비고
H2O 57
분산제 1.5 카르본산 암모늄계(SN-Dispersant 5029, 산노프크 사)
양성용매 6 이소 프로필 알코올
커플링제 15 에폭시 실란계(SB2003M GPTMS, KCC 사)
수용성 아크릴 증점제 3.5 DA-2028, 대원 포리머 사, 고형분 27~29%, Anion, pH 2~4
수용성 우레탄 수지 16.5 EMULTHANE UE-2861, 합동 포리머 사, 고형분 33~35%, 점도 100~300cps, pH 8~8.5
방부제 0.2 BIT계(1,2-Benzisothiazolin-3-one(SUNBIO BT95, 씨지아이㈜)
소포제 0.3 변성 실리콘계, SN-Defoamer 399(산노프코 사)
소계 100
여기에서, 상기 투입순서가 변경될 경우에는, 화학 반응에 의해 저장 안정성 및 물성이 불안정하거나, 겔화 될 수 있음에 따라 전술된 과정에 따라 침투성 프라이머를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실험예 2: 친환경 백화 제거제 조성물 및 침투성 프라이머 적용 도막의 물성 평가 측정>
친환경 백화 제거제(실시예 1, 실시예 6, 실시예 11, 실시예 16 및 비교예 1, 비교예 2)와 침투성 프라이머가 적용된 실험예 2를 평가한다.
시험판은 시멘트, 표준모래, 물을 1:3:0.5의 비율로 배합한 모르타르를 각각의 시험에 맞는 치수에 맞는 형틀을 사용하여 성형시켜 온도 20±2℃, 상대습도 90% 이상의 상태에서 약 48시간 양생시킨 후 탈형하여 5일동안 20±2℃의 물 속에서 양생하고, 상대습도 65±2%, 온도 20±2℃에서 7일 이상 양생하여, 150번 연마지를 사용하여 모르타르를 다져 넣을 때의 밑면을 연마하고 청소하여 각각의 시험에 사용할 수 있도록 다수개 제작하였다.
이렇게 제작된 시험판을 중성화 촉진 시험기에 넣어 강제 탄산화 시켜서 백화현상이 생성된 시험판으로 시험한다.
미리 제조된 친환경 백화제거제를 사용하여 시험판에 생성된 백화현상을 같은 조건으로 제거하고 온도 20±5℃에서 8시간 건조시킨 후에 침투성 프라이머를 시험판 위에 붓도장으로 젖은 도막 두께가 20±5㎛ 되도록 균일하게 도포하여 온도 20±5℃에서 5일간 건조 시킨 후에 소지상태, 도막외관, 부착성 등의 물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구체적인 측정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소지 상태: 도막외관(겉모양)측정방법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2) 부착성(테이프 테스트) 측정: ASTM D3359 Method B-cross cut type test방법에 의거 평가하며 도막박리가 전혀 없는 경우는 5등급으로 하여, 4등급, 3등급, 2등급, 1등급 및 65%이상이 박리 상태인 경우 '0등급'으로 평가 하였다.
시험 항목 품질 기준 측정 결과 관련 시험 규격
소지상태
(원색 보지)
소지상태의 원색이 보지되고, 변색이나 변형 및 부식 등이 없이 양호할 것 기준시편
(미처리)
X 육안 관찰
실시예 1
실시예 6
실시예 11
실시예 16
비교예 1 X(부식)
비교예 2 X(부식)
부착성 도막 박리가 없이 양호할 것
(도막 박리가 전혀 없는 경우는 5등급, 도막박리가 65%이상인 경우는 0등급)
기준시편
(미처리)
0 ASTM D3359 Method B
실시예 1 2
실시예 6 3
실시예 11 2
실시예 16 5
비교예 1 3
비교예 2 3
상기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소지상태(원색 보지상태) 시험에서는 실시예 16은 기준시편 및 비교예 1, 2에 비해 매우 우수한 상태를 타나내고, 실시예 1, 6 및 11에 비해 양호한 상태임을 알 수 있다. 또한, 부착성 시험에서는 실시예 16은 기준 시편에 비해 매우 우수한 부착강도를 나타내고, 실시예 1, 6, 11 및 비교예 1, 2에 비해 양호한 부착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 실시예 22>
다음으로 본 발명의 발수 코팅재는 하기 표 5에 기재된 성분과 함량으로 제조하고,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발수 코팅재를 제조하기 위하여 용기에 물을 먼저 투입하고, 저속교반하면서, 분산제와 방부제를 순서대로 투입 후 5분동안 혼합하고, 저속교반 하면서 증점제를 소량씩 투입한 다음, 20분동안 중속교반(900rpm)하여 점성 상태를 확인하였다. 이어서, 저속교반하면서 발수제를 투입하고 20분간 중속교반한 후, 여기에 수용성 아크릴 수지를 혼합한 후에 수용성 우레탄 수지를 순서대로 투입하고 30분간 중속교반하여 균일액상으로 제조한 다음, 이를 저속교반하면서 소포제를 소량씩 첨가하여 약 20분간 저속교반 하면서 기포를 소포시키고 탄성발수 코팅재를 제조하였다.
이때, 제조된 발수 코팅재의 색상은 투명액상이고, 비중(25℃)은 1.02±0.04이고, 점도(Ford cup No.4, 25℃)는 25±2sec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성분 함량 (중량 %) 비고
H2O 50.7
분산제(카르본산 암모늄계) 0.3 SN-Dispersant 5029(산노프코)
방부재(BIT계) (1,2-Benzisothiazolin-3-one(SUNBIO BT95, 씨지아이㈜) 0.2 BIT Series
증점제(수용성 아크릴 증점제) (DA-2028, 대원 포리머 사) 4.5 Alkali-swellable 증점제,
고형분 27~29%, pH2~4, 음이온계
발수제(Siloxane계)(IE-6683, 다우코닝 사) 9 Silane/Siloxane 에멀젼, pH4±0.6 밀도 1.01g/cc, 색상 우유색, 유효성분 40%
수용성 아크릴 공중합체(고탄성 ACRYLIC EMULSION, DA-4950, 대원포리머 사) 27 고탄성 아크릴 에멀젼,
고형분 50±1(%), 점도(CPS, 25˚C) 2000~4000, PH 7~8, Tg(˚C)-25
수용성 지방족 우레탄 수지(EMULTHANE UE-2861, 합동 포리머사) 8 고형분 33~35%,
점도 100~300CPS, pH8~8.5, 비중 1.11~1.17
소포제(변성 실리콘계) 0.3 SN-Defoamer 399(산노프코)
소계 100(%)
여기에서, 상기 투입순서가 변경될 경우에는 화학 반응에 의해 저장 안정성 및 물성이 불안정하거나 겔화 될 수 있음에 따라 전술된 과정에 다라 발수 코팅재를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실험예 3: 탄성 발수 코팅재 조성물의 물성 평가 측정>
상기 탄성 발수 코팅재 조성물에 대하여 비중, 점도, 용기 내에서의 상태 도포 작업성, 도막외관, 발수성, 신율(신장율)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구체적인 측정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발수성 측정: KSM 7057의 시험방법에 따라 수행하였다.
물이 완전히 굴러 덜어진 경우는 발수도 10, 물이 흐른 자국이 연속적이고 넓게 나타난 경우는 발수도 0이며 8단계로 측정 평가
(2) 신율(신장율): KS F 3211의 시험방법에 따라 수행하였다.
시험 항목 품질 기준 측정 결과 관련시험 규격
비중 (25˚C) 1.02±0.05 1.03 KSM5000-2131
점도
(포드컵 No.4, 25˚C)
25±2 sec. 26 KSM5000-2123
용기 내에서의 상태 균일한 상태로 쉽게 혼합할 수 있어야 하며 불순물 덩어리가 없고 부패가 없어야 한다. 이상없음 KSM5000-2011
도포 작업성 붓칠 하는데 좋아야 하며, 평활하고 퍼짐성이 좋아야한다. 이상없음 KSM5000-2421
도막 외관 도막은 붓자국이 심하지 않고, 균일한 색을 나타내야 한다. 이상없음 육안 관찰
발수성 자체 품질 관리 기준: 발수도 9이상 R10 KSM 7057
신율(신장율) (%) 자체 품질 관리 기준: 100(%) 300 KSF 3211
상기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탄성 발수 코팅재의 조성물이 용기 내에서의 상태, 도포작업성, 도막외관, 발수성, 신율(신장율)시험에서 우수함을 알 수 있는바, 본 발명에 다른 탄성 발수 코팅재 조성물이 발수성과 신축성이 뛰어나 건축물 내, 외부의 수축팽창에 의한 미세균열을 막아주므로 건축물의 표면을 보호하고, 외부로부터 수분, 염분 등의 침투로 인한 백화 현상을 방지하고, 원색의 미관 효과와 내구성 등의 증진효과를 얻을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 실험예 4: 친환경 백화 제거제 조성물과 하도재 상도재 적용 도막의 물성 평가 측정>
다음으로, 본 발명의 친환경 백화 제거제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발수 공법으로서, 친환경 백화 제거제 조성물과 침투성 프라이머 및 발수 코팅재가 모두 적용된 실험예 4를 평가한다.
미리 제조된 본 발명의 친환경 백화제거제를 사용하여 상기와 같이 제작한 시험판에 생성된 백화현상을 제거하고 온도 20±5℃에서 8시간 건조한 후에, 하도재인 침투성 프라이머를 시험판 위에 붓도장으로 젖은 도막 두께가 20±5㎛ 되도록 균일하게 도포하여 온도 20±5℃에서 8시간 건조한 후에, 상도재인 발수 코팅재를 상기 도포된 침투성 프라이머의 표면에 붓도장으로 젖은 도막두께가 25±5㎛되도록 2회 도포하여 온도 20±5℃에서 5일간 건조시킨 후에, 본 발명의 친환경 백화제거제와 침투성 프라이머 및 발수 코팅재가 적용된 시험판을 다수개씩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작된 시험판에 대하여 도막외관, 부착시험, 저온·고온 반복시험, 내알카리성 시험, 내수성 시험, 신율(신장율), 발수성시험, 촉진 내후성 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다음 표 7에 나타내었다.
시험 항목 품질 기준 측정 결과 관련 시험 규격
건조 도막 상태
(도막 외관)
도막은 붓자국이 심하지 않고 투명하며 주름, 핀홀, 균열 등이 없을 이상 없음 KSM 6010(1종)
부착 시험 도막 박리가 전혀 없으며 양호 할 것
(5등급은 박리가 전혀 없는 경우)
이상 없음
(5등급)
ASTM D3359-B
Cross cut tape test
저온·고온 반복시험 균열, 벗겨짐이 없을 것 이상 없음 KSM 6030(6종)
내알카리성 시험 수산화 칼슘 포화 용액에 48시간 침지시 갈라짐, 부풀음 등이 없을 것 이상 없음 6010
내수성 시험 물에 24시간 침지시 갈라짐, 부풀음 등이 없을 것 이상 없음 KSM 5322
신율(신장율, %) 자체 품질관리 기준: 100(%) 300 KSF 3211
발수성 시험 자체 품질관리 기준: R9 이상 이상 없음
(발수도 R10)
KSM 7057
촉진 내후성 시험 300시간 촉진 내후성 시험에서 초킹이 없어야하고, 백색의 황변도 차는 0.1을 넘지 않아야 한다. 이상 없음 KSM 6010
상기 표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험예 4의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백화제거제로 처리된 표면에 하도재와 상도재가 적용된 2중 구조의 최종 도막 물성을 측정한 결과 건조 도막 상태, 부착시험, 저온·고온 반복시험, 내알라키성 시험, 내수성 시험, 발수성 시험, 촉진 내후성 시험 등의 물리 화학적 성능 시험에서 모두 이상이 없으며,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Claims (15)

  1. 건축물 표면에 발생된 백화 현상 부분에 백화제거제를 처리하여 백화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축물의 발수공법으로서,
    상기 백화제거제는 물 60 중량%; 침투세척제로서 비중(25℃)이 1.06g/㎤이고, HLB((Hydrophile-Lipophile Balance) 값이 12.5이며, 에틸렌옥사이드(EO) 몰수가 7이고, 점도(20℃)가 235cp인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 에테르 6 중량%; 습윤세척제로서 비중(25℃)이 1.07g/㎤이고, 흐림점(Cloud point)이 27~30℃인 에틸렌옥사이드/프로필렌 옥사이드 코폴리머 3 중량%; 아세톤 20 중량%; 이소부틸알코올 10 중량%; 전착제로서 에틸렌옥사이드(EO) 몰수가 9 이고, HLB((Hydrophile-Lipophile Balance) 값이 13.2인 폴리옥시페닐에테르 0.6 중량%; 증점제로서 변성 규산염 점토계 0.3 중량%; 및 소포제로서 폴리실록산계 0.1 중량%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발수공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물 60 중량%; 침투세척제로서 비중(25℃)이 1.06g/㎤이고, HLB((Hydrophile-Lipophile Balance) 값이 12.5이며, 에틸렌옥사이드(EO) 몰수가 7이고, 점도(20℃)가 235cp인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 에테르 6 중량%; 습윤세척제로서 비중(25℃)이 1.07g/㎤이고, 흐림점(Cloud point)이 27~30℃인 에틸렌옥사이드/프로필렌 옥사이드 코폴리머 3 중량%; 아세톤 20 중량%; 이소부틸알코올 10 중량%; 전착제로서 에틸렌옥사이드(EO) 몰수가 9 이고, HLB((Hydrophile-Lipophile Balance) 값이 13.2인 폴리옥시페닐에테르 0.6 중량%; 증점제로서 변성 규산염 점토계 0.3 중량%; 및 소포제로서 폴리실록산계 0.1 중량% 으로 이루어진, 건축물의 발수공법에 이용되는 백화제거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70073041A 2017-06-12 2017-06-12 건축물의 발수공법 및 이에 이용되는 백화제거제 KR1018361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3041A KR101836131B1 (ko) 2017-06-12 2017-06-12 건축물의 발수공법 및 이에 이용되는 백화제거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3041A KR101836131B1 (ko) 2017-06-12 2017-06-12 건축물의 발수공법 및 이에 이용되는 백화제거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6131B1 true KR101836131B1 (ko) 2018-03-08

Family

ID=61725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3041A KR101836131B1 (ko) 2017-06-12 2017-06-12 건축물의 발수공법 및 이에 이용되는 백화제거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613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1628A (ko) * 2018-07-24 2020-02-04 (주)피스코 석재 코팅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00012052A (ko) * 2018-07-25 2020-02-05 (주)피스코 석재 코팅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1628A (ko) * 2018-07-24 2020-02-04 (주)피스코 석재 코팅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149981B1 (ko) * 2018-07-24 2020-09-01 (주)피스코 석재 코팅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00012052A (ko) * 2018-07-25 2020-02-05 (주)피스코 석재 코팅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157090B1 (ko) * 2018-07-25 2020-09-18 (주)피스코 석재 코팅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01682B2 (en) Liquid viscous product based on an organofunctional silane system for producing weathering-stabile protective coatings for preventing surface soiling
EP1193302B1 (de) Farbe, Lack, Schadstoffe, Bioorganismen, Öl, Wasser und/oder Schmutz abweisende Beschichtung
KR101042282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제 조성물
ES2842113T3 (es) Gel para eliminar grafitis y procedimiento para eliminar grafitis utilizando este gel
KR101867864B1 (ko) 기능성이 개선된 콘크리트 슬래브 마감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슬래브 마감 시공 방법
KR101402284B1 (ko)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한 중성화 및 항균 염해 방지와 성능개선을 위한 보호 코팅 공법
CN101565584B (zh) 一种水性环氧地坪涂料及其制备方法和施工方法
KR100608243B1 (ko) 환경친화성의 수성 에폭시수지-세라믹과 수성실리콘아크릴수지 도료 또는 수성 폴리우레탄수지 도료를이용한 콘크리트구조물의 열화방지공법
KR101062734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 방식 기능을 가지고 있는 침투형 보호코팅제 및 그 시공방법
KR102305325B1 (ko) 탄성과 방수성, 콘크리트 탄산화 저감 성능을 갖는 콘크리트 외벽용 도료 조성물
US9834744B2 (en) Use of an oxidising alkaline gel to remove a biofilm on a surface of a solid substrate
KR101836131B1 (ko) 건축물의 발수공법 및 이에 이용되는 백화제거제
EP2152816B1 (en) Paint remover
US6982242B2 (en) Aqueous detergent composition and method of use
KR101062478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시공방법
KR101482976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알칼리 회복용 침투성 프라이머 및 이를 이용한 단면복구공법
KR101669093B1 (ko) 콘크리트 중성화 방지용 세라믹 코팅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DE19611690C2 (de) Beschichtungsmittel zum Aufbringen eines Schutzüberzugs bzw. einer Imprägnierung sowohl auf glatte als auch auf poröse und saugende Untergründ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KR100993924B1 (ko) 불연재를 이용한 친환경 바닥마감재 시공방법
US4507424A (en) Compositions useful for restoring grout
KR101143875B1 (ko) 콘크리트 씰러
AU2010203777A1 (en) Asphalt prime coat
KR101168722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중성화 및 열화 방지 공법
KR101318679B1 (ko) 친환경 수성 침투식 교면 방수제 및 이를 이용한 교면 방수공법
KR100973984B1 (ko) 실리콘계 침투성 흡수방지제와 실리콘변성아크릴계투명도료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의 복합표면처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