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5468B1 - 보행기의 운행상태 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보행기의 운행상태 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5468B1
KR101835468B1 KR1020160002844A KR20160002844A KR101835468B1 KR 101835468 B1 KR101835468 B1 KR 101835468B1 KR 1020160002844 A KR1020160002844 A KR 1020160002844A KR 20160002844 A KR20160002844 A KR 20160002844A KR 101835468 B1 KR101835468 B1 KR 1018354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nit
sensing
walker
determi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2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3417A (ko
Inventor
김택우
Original Assignee
김택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택우 filed Critical 김택우
Priority to KR10201600028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5468B1/ko
Publication of KR20170083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34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5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54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1/00Kinds or type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1/02Esca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1/00Kinds or type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1/10Moving walk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5/00Control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5/003Methods or algorithm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5/00Control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5/006Monitoring for maintenance or repai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50/00Energy efficient technologies in elevators,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e.g. energy saving or recuperation technologi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rket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보행기의 운행상태 관리시스템은 보행기의 운행 상태를 감지하여 운행 상태 감지정보를 생성하는 운행상태 감지장치; 및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운행상태 감지장치와 통신하여 상기 운행상태 감지정보를 수신하는 관리서버; 를 포함하며, 상기 운행상태 감지장치는, 상기 보행기 내 다수개로 연결된 이동블럭을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의 작동상태를 감지하는 전원감지부; 상기 이동블럭의 시간에 따른 이동거리를 감지하는 속도감지부; 상기 이동블럭의 주행방향을 감지하는 방향감지부; 및 상기 전원감지부, 속도감지부 및 방향감지부로부터 감지된 상기 감지정보를 기반으로 보행기의 정상작동유무를 판단하는 상태판단부; 상기 전원감지부, 속도감지부 및 방향감지부에서 추출한 감지정보 및 상기 상태판단부에서 추출한 판단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에 송신하는 알림부;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보행기의 운행상태 관리시스템{Walking Device Operation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보행기의 운행상태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행기란, 일정한 통로에 승객을 수송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이동블럭을 연속적으로 설치하여 평행하거나 경사지게 움직이는 계단형 구조로 승객을 이동시킨다. 이하, 보행기라 함은 컨베이어 벨트 구조의 움직이는 기계장치이며, 수직이동 기능을 가지는 에스컬레이터 및 수평이동 기능을 가지는 무빙워크 등이 있다.
보행기는 종적 및 횡적 교통수단으로써, 지하철, 백화점, 오피스텔, 공항 등에서 승객을 연속적으로 운송하는 장치이다. 또한, 보행기는 유동인구가 많은 곳에 설치되며, 일정한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승객들을 운송한다.
그러나, 보행기 내에 승객들이 많거나 한쪽 방향으로 하중이 집중된다면, 발판 체인이 끊어지거나, 비정상적으로 늘어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주행 중에 다수의 승객들이 핸드레일을 파지하고 있지 않다면, 갑자기 정지되거나 역주행 되었을 경우, 승객들이 연쇄적으로 넘어지면서 인명사고로 이어질 수 있었다.
따라서, 보행기의 운행상태를 모니터링하여 문제발생 시 승객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보행기에 센서, 접점 및 스위치를 설치하여 불안전한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문제 발생 시, 보행기를 제어하기 위해 마련된 종래기술에 대한 선행 문헌에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보 제 특2003-0021265호의 “에스컬레이터용 전자 안전 시스템”(이하, ‘종래기술’이라고 함)이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을 비롯한 기존의 보행기의 안전 시스템은 보행기의 운행상태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즉각적인 문제 파악과 이를 바로잡기 위한 신속한 대처 및 효율적인 관리가 수행되지 못하며, 보행기의 운행상태에 관한 정보가 주기적으로 수집 및 기록을 통해 관리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경우, 보행기의 운행상태에 문제가 발생하여 점검자를 현장으로 출동시킴에 있어서 단순히 해당 점검자를 관리자가 임의로 배정시키거나 할당되어진 점검자가 스케줄에 맞추어 점검을 위한 출동을 수행함에 따라 효율적이고 신속한 문제 해결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본 발명은 보행기에 이상 발생시, 실시간으로 문제요인을 파악하고, 수리를 위한 출동을 효율적이고 즉각적으로 관리 및 제어할 수 있는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보행기의 현재 작동상태를 주기적으로 관리자가 파악할 수 있는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보행기의 운행상태 관리 시스템은, 보행기의 운행 상태를 감지하여 운행 상태 감지정보를 생성하는 운행상태 감지장치; 및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운행상태 감지장치와 통신하여 상기 운행상태 감지정보를 수신하는 관리서버; 를 포함하며, 상기 운행상태 감지장치는, 상기 보행기 내 다수개로 연결된 이동블럭을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의 작동상태를 감지하는 전원감지부; 상기 이동블럭의 시간에 따른 이동거리를 감지하는 속도감지부; 상기 이동블럭의 주행방향을 감지하는 방향감지부; 및 상기 전원감지부, 속도감지부 및 방향감지부로부터 감지된 상기 감지정보를 기반으로 보행기의 정상작동유무를 판단하는 상태판단부; 상기 전원감지부, 속도감지부 및 방향감지부에서 추출한 감지정보 및 상기 상태판단부에서 추출한 판단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에 송신하는 알림부; 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상태판단부는, 상기 전원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구동부의 작동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구동부의 미작동이 판단되면 이를 알리기 위한 판단정보를 생성하는 판단부분; 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상태판단부는, 상기 보행자의 이동블럭 정상운행 속도 범위에 관한 기준정보를 저장하는 제1 저장부분; 및 상기 보행자의 이동블럭 정상운행 방향 범위에 관한 기준정보를 저장하는 제2 저장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판단부분은 상기 속도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속도가 상기 제1 저장부분에 저장된 이동블럭의 정상운행 속도 범위를 벗어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벗어남이 판단되면 이를 알리기 위한 판단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판단부분은 상기 방향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이동방향이 상기 제2 저장부분에 저장된 이동블럭의 정상운행 방향과 상이한지 판단하여, 상이함이 판단되면 이를 알리기 위한 판단정보를 생성한다.
이어서 상기 운행상태 감지장치는, 상기 보행기가 설치된 위치에 대한 위치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운행상태 감지장치는 상기 판단부분을 통해 판단정보가 생성되면, 감지정보, 판단정보 및 위치 식별정보를 상기 알림부를 통해 실시간으로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운행상태 감지장치는 상기 판단부분을 통해 판단정보가 생성되지 않으면, 감지정보 및 위치 식별정보를 상기 알림부를 통해 기 설정된 주기에 따라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한다.
상기 관리서버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운행상태 감지장치로부터 감지정보, 판단정보 및 위치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감지정보, 판단정보 및 위치 식별정보의 이력을 저장하는 이력저장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관리서버는, 기 등록된 다수의 관리자 단말기 각각에 단말기 위치정보를 요청하고, 단말기 위치정보의 요청을 수신한 다수의 관리자 단말기 각각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수집부;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된 위치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수집부를 통해 수집된 위치정보 중 위치 식별정보가 나타내는 보행기의 위치와 가장 인접한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관리자 단말기를 선별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부로부터 선별된 관리자 단말기에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감지정보, 판단정보 및 위치 식별정보와 함께 출동 알림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출동 알림부; 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이력저장부는 상기 출동 알림부를 통해 출동알림정보 생성내역을 저장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행기의 운행상태 관리시스템의 효과는 하기와 같다.
첫째, 운행상태 감지장치를 통해 실시간으로 보행기의 운행상태를 나타내는 각종 정보가 관리서버 및 관리자 단말기에 제공됨으로써, 운행상태에 이상이 발생되면 즉각적이고 효율적인 대응이 이루어질 수 있다.
둘째, 운행상태 감지장치를 통해 주기적으로 보행기의 현재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각종정보가 관리서버에 제공됨으로써, 관리자가 방문하여 점검하지 않아도 현재 보행기의 운행상태 파악이 가능하여 불필요한 인력이 소모될 필요가 없다.
셋째, 보행기의 운행상태에 문제가 발생할 시, 관리서버를 통해 수신되는 다양한 정보 중 위치식별정보가 나타내는 보행기의 위치를 기반으로 신속하고 효율적인 대처가 가능하다.
넷째, 이력저장부를 통해 보행기의 점검받은 이력 및 출동이력이 기록되고 저장됨으로써, 점검이력 및 출동이력을 기반으로 보행기를 정확히 점검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보행기의 운행상태 관리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보행기의 운행상태 관리시스템 상 운행상태 감지장치를 통해 감지 대상이 되는 보행기의 운행상태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이를 관리하는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보행기의 운행상태 관리시스템 상 운행상태 감지장치를 통해 감지 대상이 되는 보행기의 운행상태에 이상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이를 관리하는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된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1. 보행기의 운행상태 관리시스템의 구성요소에 관한 설명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보행기의 운행상태 관리시스템은 운행상태 감지장치(200), 관리서버(300) 및 관리자 단말기(400)를 포함한다.
운행상태 감지장치(200)는 보행기(100)에 연결되어 보행기(100)의 운행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이에 관한 운행상태 감지정보를 생성하는 구성으로써, 이를 위해 전원감지부(210), 속도감지부(220), 방향감지부(230), 상태판단부(240), 알림부(250) 및 저장부(26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전원감지부(210)는 보행기(100) 내에 위치하여 외부로부터 전기적 신호가 인가되면 다수개로 연결된 이동블럭(100B)을 일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100M)의 작동상태를 감지하는 구성이다. 즉, 전원감지부(210)는 구동부(100M)의 전원이 인가되는지 확인하여 이동블럭(100B)이 정상적으로 움직이는지 확인한다. 따라서, 전원감지부(210)를 통해 획득되는 감지정보는 구동부(100M)의 전원 인가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또한, 속도감지부(220)는 보행기(100) 내에 위치하여 이동블럭(100B)이 이동되는 속도를 감지하는 구성으로써, 이를 통해 획득되는 감지정보는 이동블럭(100B)의 속도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그리고, 방향감지부(230)는 이동블럭(100B)이 이동되는 주행방향을 감지하는 구성으로써, 이를 통해 획득되는 감지정보는 이동블럭(100B)의 방향성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그리고, 상태판단부(240)는 전원감지부(210), 속도감지부(220) 및 방향감지부(230)로부터 감지된 감지정보를 기반으로 보행기(100)의 정상작동 유무를 판단하며, 이를 위해 판단부분(241), 제1 저장부분(242) 및 제2 저장부분(243)을 포함한다.
우선, 제1 저장부분(242)은 보행기(100)의 설치된 이동블럭(100B)의 정상운행 속도 범위에 관한 기준정보가 저장되는 구성으로써, 이에 저장된 기준정보는 관리자에 의해 기 설정된 이동블럭(100B)의 정상 운행 속도범위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또한, 제2 저장부분(243)은 보행기(100)의 설치된 이동블럭(100B)의 정상운행 방향에 관한 기준정보가 저장되는 구성으로써, 이에 저장된 기준정보는 관리자에 의해 기 설정된 이동블럭(100B)의 정상적 일 방향성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그리고, 판단부분(241)은 전원감지부(210)를 통해 감지된 정보를 기반으로 구동부(100M)의 작동여부를 판단하여 구동부(100M)의 미작동이 판단되면 이를 알리기 위한 판단정보가 생성된다.
또한, 판단부분(241)은 속도감지부(220)를 통해 감지된 속도가 제1 저장부분(242)에 저장된 이동블럭(100B)의 정상운행 속도 범위를 벗어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벗어남이 판단되면 이를 알리기 위한 판단정보가 생성된다.
그리고, 판단부분(241)은 방향 감지부(230)를 통해 감지된 이동방향이 제2 저장부분(243)에 저장된 이동블럭(100B)의 정상운행 방향과 상이한지 판단하여, 상이함이 판단되면 이를 알리기 위한 판단정보가 생성된다.
즉, 판단정보는 이동블럭(100B)이 정상운행 속도로 이동되고 있지 않거나, 이동블럭(100B)이 일 방향으로 이동되고 있지 않거나, 혹은 구동부(100M)의 전원이 미 작동이 된다면 판단정보가 생성된다.
그리고, 알림부(250)는 전원감지부(210), 속도감지부(220) 및 방향감지부(230)에서 추출한 감지정보 및 상태판단부(240)에서 추출한 판단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후술할 관리서버(300)에 송신한다.
마지막으로 저장부(260)는 보행기(100)가 설치된 위치에 대한 위치 식별정보가 저장되는 구성으로써, 위치 식별정보라 함은 보행기(100)의 위치를 관리자에 의해 설정된 위치정보이며, 해당 보행기(100)의 위치정보를 통해 다른 보행기(100) 간의 식별에 이용되는 정보를 의미한다.
즉, 운행상태 감지장치(200)는 판단부분(241)을 통해 판단정보가 생성되면, 감지정보, 판단정보 및 위치 식별정보를 알림부(250)를 통해 실시간으로 관리서버(300)에 전송하고, 운행상태 감지장치(200)는 판단부분(241)을 통해 판단정보가 생성되지 않으면, 감지정보 및 위치식별정보를 알림부(250)를 통해 기 설정된 주기에 따라 관리서버(300)에 전송한다.
관리서버(300)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운행상태 감지장치(200)와 통신하여 감지정보, 판단정보 및 위치 식별정보가 수신된다. 또한, 관리서버(300)는 관리자 단말기(400)로 출동알림정보를 송신하며, 감지내역, 판단내역 및 출동내역을 저장하는 구성으로써, 이를 위해 수신부(310), 수집부(320), 판단부, 출동알림부(250) 및 이력저장부(260)를 포함한다.
여기서, 수신부(310)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운행상태 감지장치(200)로부터 감지정보, 판단정보 및 위치 식별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수집부(320)는 기 등록된 다수의 관리자 단말기(400) 각각에 단말기 위치정보를 요청하고, 단말기 위치정보의 요청을 수신한 다수의 관리자 단말기(400) 각각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집한다.
또한, 판단부(330)는 수신부(310)에서 수신된 위치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수집부(320)를 통해 수집된 위치정보 중 위치 식별정보가 나타내는 보행기(100)의 위치와 가장 인접한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관리자 단말기(400)를 선별한다.
그리고, 출동알림부(250)는 판단부(330)로부터 선별된 관리자 단말기(400)에 수신부(310)를 통해 수신된 감지정보, 판단정보 및 위치 식별정보와 함께 출동 알림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한다.
마지막으로 이력 저장부(260)는 수신부(310)를 통해 수신된 감지정보, 판단정보 및 위치 식별정보의 이력을 저장하며, 출동알림부(250)를 통해 출동알림정보 생성내역을 저장한다.
2. 보행기의 운행상태 관리시스템의 관리 형태에 관한 설명.
보행기(100)의 운행상태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본 발명의 운행상태 관리시스템을 통한 관리 형태에 대해 도2의 블럭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운행상태 감지장치(200)는 보행기(100)의 운행상태에 대한 실시간 감지 및 감지된 정보를 기반으로 한 운행상태의 이상 유무 판단을 통해 관리서버(300)에 보행기(100)의 운행상태에 이상이 발생하였음을 즉각적으로 알리고, 관리서버(300)는 보행기(100)의 수리를 위한 출동을 수행할 관리자 단말기(400)를 해당 보행기(100)로부터의 거리에 기안하여 효율적으로 선출하여 출동을 명령함으로써 신속하고 능률적인 관리과정이 이루어진다.
이와 관련하여 아래에서는 보행기의 운행상태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본 발명의 보행기 운행상태 관리시스템을 이루는 구성요소 간의 동작 형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감지부(210)는 보행기(100)의 운행상태 중 보행기(100)를 동작시키는 구동부(100M)의 전원 인가여부를 감지하고, 속도감지부(220) 및 방향감지부(230)는 보행기(100)의 운행 중 보행기(100) 내 이동블럭(100B)의 이동속도 및 방향을 감지하여 감지정보를 생성한다.
이후, 상태판단부(240)는 감지정보를 수신하고, 제1 저장부분(242) 및 제2 저장부분(243)에 저장된 기준정보와 수신된 감지정보를 비교하여 보행기(100)의 정상운행상태를 판단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태판단부(240)는 판단부분(241)을 통해 전원감지부(210)로부터 수신된 감지정보를 분석하여 구동부(100M)의 전원 인가여부를 판단하고, 제1 저장부분(242)에 저장된 기준정보와 속도 감지부로부터 수신된 감지정보를 비교하여 속도의 정상유무를 판단하며, 제2 저장부분(243)에 저장된 기준정보와 방향감지부(230)로부터 수신된 감지정보를 비교하여 방향의 정상유무를 판단한다.
이를 통해, 구동부(100M)의 전원 인가상태, 이동블럭(100B)의 이동속도 또는 이동방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이상이 발생됨이 판단되면 판단부분(241)은 판단정보를 생성한다.
다음으로, 알림부(250)는 상태판단부(240)로부터 감지정보 및 판단정보를 획득하고, 저장부(260)로부터 위치식별정보를 획득하며, 감지정보, 판단정보 및 위치식별정보를 관리서버(300)에게 전송한다.
이와 같이, 알림부(250)로부터 전송된 감지정보, 판단정보 및 위치 식별정보들은 관리서버 내 수신부(310)가 전송 받는다.
또한, 수신부(310)를 통해 감지정보, 판단정보 및 위치 식별정보가 수신되고 나면, 수집부(32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관리자 단말기(400)에게 위치정보를 요청하고, 그에 따른 각각의 관리자 단말기(400)들은 자신의 위치정보를 회신한다.
그 후, 판단부(330)는 수신부(310)를 통해 수신된 보행기(100)의 위치 식별정보와 수집부(320)를 통해 수집된 관리자 단말기(400)의 위치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문제가 발생된 해당 보행기(100)와 가장 인접한 관리자 단말기(400`)를 선별한다.
이후, 출동알림부(340)는 판단부(330)를 통해 선별된 해당 관리자 단말기(400`)에게 출동 알림정보를 송신하며, 출동알림정보를 수신받은 선별된 해당 관리자 단말기(400`)는 문제가 발생된 해당 보행기(100)를 점검하러 출동하게 된다.
또한, 이력저장부(350)에 수신부(310)를 통해 수신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지정보, 판단정보 및 위치식별정보의 이력이 저장되며, 해당 보행기(100)에 대한 출동 알림정보를 생성하여 출동알림부를 통해 출동을 알린 내역 또한 저장된다.
한편, 보행기(100)의 운행상태가 정상적인 경우, 본 발명의 보행기(100) 운행상태 관리시스템을 통한 관리 형태에 대해 도3의 블럭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운행상태 감지장치(200)는 보행기(100)의 운행상태를 기 설정된 주기에 따라 감지된 정보를 기반으로 관리서버(300)에게 보행기(100)의 정상작동 운행상태를 알리고, 관리서버(300)는 다수의 관리자 단말기(400)와 통신 과정이 이루어진다.
이와 관련하여 아래에서는 보행기(100)의 운행상태가 정상적인 경우 본 발명의 보행기(100) 운행상태 관리시스템을 이루는 구성요소 간의 동작 형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감지부(210)는 보행기(100)의 운행상태 중 보행기(100)를 동작시키는 구동부(100M)의 전원 인가여부를 감지하고, 속도감지부(220) 및 방향감지부(230)는 보행기(100)의 운행 중 보행기(100) 내 이동블럭(100B)의 이동속도 및 방향을 감지하여 감지정보를 생성한다.
이후, 상태판단부(240)는 감지정보를 수신하고, 상태판단부(240) 내 판단부분(241)은 제1 저장부분(242) 및 제2 저장부분(243)에 저장된 기준정보와 수신된 감지정보를 비교하여 보행기(100)의 정상운행 상태를 판단한다.
판단결과, 판단부분(241)을 통해 보행기(100)가 정상 운행되고 있음이 판단되면 판단정보는 생성되지 않으며, 출동알림부(34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태판단부(240)로부터 감지정보를 획득하고, 이력저장부(350)로부터 위치 식별정보를 획득하여, 감지정보 및 위치 식별정보를 관리서버(300)에게 전송한다.
이와 같이, 출동알림부(340)로부터 전송된 감지정보 및 위치 식별정보들은 관리서버 내 수신부(310)가 전송받는다.
이후, 수신부(310)에 감지정보 및 위치식별정보가 수신되고, 수신된 위치 식별정보에 따른 다수의 보행기(100)의 감지정보는 이력저장부(350)에 저장되며, 관리서버(3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리자 단말기(400)와 주기적으로 통신한다.
결국, 본 발명은 보행기를 감시할 수 있는 운행 관리 시스템이 구비되어 운행상태 감지장치를 통해 실시간 및 주기적으로 보행기의 운행상태를 나타내는 각종 정보가 관리서버 및 관리자 단말기에 제공됨으로써, 운행상태에 이상이 발생되면 효율적인 대응이 가능하고, 보행기의 운행상태에 문제가 발생될 시, 위치 식별정보가 나타내는 보행기의 위치를 기반으로 즉각적인 대처가 가능하며, 보행기의 점검받은 이력 및 출동이력이 기록되어 점검이력 및 출동이력을 기반으로 보행기를 정확히 검사할 수 있는 관리시스템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호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보행기
100M: 구동부
100B: 이동블럭
200: 운행상태 감지장치
210: 전원감지부
220: 속도감지부
230: 방향감지부
240: 상태판단부
241: 판단부분
242: 제1 저장부분
243: 제2 저장부분
250: 알림부
260: 저장부
300: 관리서버
310: 수신부
320: 수집부
330: 판단부
340: 출동알림부
350: 이력저장부
400: 관리자 단말기

Claims (8)

  1. 보행기의 운행상태 관리시스템으로서,
    보행기의 운행 상태를 감지하여 운행 상태 감지정보를 생성하는 운행상태 감지장치; 및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운행상태 감지장치와 통신하여 상기 운행상태 감지정보를 수신하는 관리서버; 를 포함하며,
    상기 운행상태 감지장치는,
    상기 보행기 내 다수개로 연결된 이동블럭을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의 작동상태를 감지하는 전원감지부;
    상기 이동블럭의 시간에 따른 이동거리를 감지하는 속도감지부;
    상기 이동블럭의 주행방향을 감지하는 방향감지부;
    상기 전원감지부, 속도감지부 및 방향감지부로부터 감지된 감지정보를 기반으로 보행기의 정상작동유무를 판단하는 상태판단부; 및
    상기 전원감지부, 속도감지부 및 방향감지부에서 추출한 감지정보 및 상기 상태판단부에서 추출한 판단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에 송신하는 알림부; 를 포함하고,
    상기 상태판단부는,
    상기 전원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구동부의 작동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구동부의 미작동이 판단되면 이를 알리기 위한 판단정보를 생성하는 판단부분;
    상기 보행기의 이동블럭 정상운행 속도 범위에 관한 기준정보를 저장하는 제1 저장부분; 및
    상기 보행기의 이동블럭 정상운행 방향 범위에 관한 기준정보를 저장하는 제2 저장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판단부분은 상기 속도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속도가 상기 제1 저장부분에 저장된 이동블럭의 정상운행 속도 범위를 벗어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벗어남이 판단되면 이를 알리기 위한 판단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판단부분은 상기 방향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이동방향이 상기 제2 저장부분에 저장된 이동블럭의 정상운행 방향과 상이한지 판단하여, 상이함이 판단되면 이를 알리기 위한 판단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운행상태 감지장치는 상기 보행기가 설치된 위치에 대한 위치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운행상태 감지장치는 상기 판단부분을 통해 판단정보가 생성되면, 감지정보, 판단정보 및 위치 식별정보를 상기 알림부를 통해 실시간으로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운행상태 감지장치는 상기 판단부분을 통해 판단정보가 생성되지 않으면, 감지정보 및 위치 식별정보를 상기 알림부를 통해 기 설정된 주기에 따라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관리서버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운행상태 감지장치로부터 감지정보, 판단정보 및 위치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감지정보, 판단정보 및 위치 식별정보의 이력을 저장하는 이력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기 등록된 다수의 관리자 단말기 각각에 단말기 위치정보를 요청하고, 단말기 위치정보의 요청을 수신한 다수의 관리자 단말기 각각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수집부;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된 위치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수집부를 통해 수집된 위치정보 중 위치 식별정보가 나타내는 보행기의 위치와 가장 인접한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관리자 단말기를 선별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부로부터 선별된 관리자 단말기에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감지정보, 판단정보 및 위치 식별정보와 함께 출동 알림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출동 알림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기의 운행상태 관리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력저장부는 상기 출동 알림부를 통해 출동알림정보 생성내역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기의 운행상태 관리시스템.
KR1020160002844A 2016-01-08 2016-01-08 보행기의 운행상태 관리시스템 KR1018354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2844A KR101835468B1 (ko) 2016-01-08 2016-01-08 보행기의 운행상태 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2844A KR101835468B1 (ko) 2016-01-08 2016-01-08 보행기의 운행상태 관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3417A KR20170083417A (ko) 2017-07-18
KR101835468B1 true KR101835468B1 (ko) 2018-03-08

Family

ID=59442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2844A KR101835468B1 (ko) 2016-01-08 2016-01-08 보행기의 운행상태 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54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4121B1 (ko) * 2022-10-17 2023-02-27 박기주 Qr코드를 이용한 위치기반의 태양광 발전시스템 운영유지보수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2163A (ja) * 2000-04-17 2001-10-31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昇降機の運転情報提供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2163A (ja) * 2000-04-17 2001-10-31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昇降機の運転情報提供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4121B1 (ko) * 2022-10-17 2023-02-27 박기주 Qr코드를 이용한 위치기반의 태양광 발전시스템 운영유지보수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3417A (ko) 2017-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24821B2 (en) Monitoring usage or status of cart retrievers
CN109979218B (zh) 自主移动体以及信息收集系统
CN103632561B (zh) 智能公交车站牌
CN103632560B (zh) 智能公交车站牌
KR101940633B1 (ko) 철도차량 객실 실시간 감시 시스템
CN109502439A (zh) 受限进入区域安全系统
EP3275825A1 (en) Temperature monitoring system, passenger conveyor and temperature monitoring method thereof
KR20150112049A (ko)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전기자동차 긴급구난 시스템
CN104053621A (zh) 用于监视运输系统的运行状态的方法和装置
KR101835468B1 (ko) 보행기의 운행상태 관리시스템
JP2020023254A (ja) 鉄道車両の車両情報通信システム
KR20160138820A (ko) 차량 접안 확인 시스템 및 방법
JP6504941B2 (ja) 列車運行管理システム、及び、列車運行管理方法
KR101989378B1 (ko) 궤도회로 안전 점검장치를 이용한 점검 방법
US10562552B2 (en) System for railway monitoring
US20220246024A1 (en) System and methods to provide emergency support using lighting infrastructure
CN114701934A (zh) 电梯的安防控制方法、装置、系统以及云平台、存储介质
CN115489329A (zh) 供电管理装置及异常判定方法
KR20150057165A (ko) 이동 수단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JP2019012391A (ja) 車両誘導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11256026A (ja) 乗客コンベアの監視システム
KR102124633B1 (ko) 철도 선로 작업자를 위한 안전 경보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안전 경보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20023255A (ja) 鉄道車両の異常走行検知装置
JP2003246576A (ja) 動く歩道装置制御システム、及び動く歩道装置
KR101017605B1 (ko) 자계센서 및 영상센서를 이용한 온라인 전기자동차용 급전도로의 이상상태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