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5395B1 - 비정형적인 움직임 특성을 갖는 구형 이동 장치 - Google Patents

비정형적인 움직임 특성을 갖는 구형 이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5395B1
KR101835395B1 KR1020160112972A KR20160112972A KR101835395B1 KR 101835395 B1 KR101835395 B1 KR 101835395B1 KR 1020160112972 A KR1020160112972 A KR 1020160112972A KR 20160112972 A KR20160112972 A KR 20160112972A KR 101835395 B1 KR101835395 B1 KR 1018353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here
time
spherical
moving devic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2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수
박희만
노상균
김용주
이지용
이대건
이성호
Original Assignee
(주)고미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고미랩스 filed Critical (주)고미랩스
Priority to PCT/KR2016/009863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8043776A1/ko
Priority to KR1020160112972A priority patent/KR1018353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5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53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5/00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5/00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 B25J5/007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mounted on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3/00Controls for manipulators
    • B25J13/08Controls for manipulators by means of sensing devices, e.g. viewing or touch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2Sens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56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 B25J9/1664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otion, path, trajectory planning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구형 이동 장치는 내부 공간을 가지는 구체와, 구체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구체가 회전 운동하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며 구체의 안쪽면과 접촉되는 접촉 영역 및 안쪽면과 기 설정된 이격 거리로 접촉되지 않는 비접촉 영역이 존재하되, 접촉 영역은 회전 운동에 따라서 상기 안쪽면과 접촉되지 않을 수 있고 비접촉 영역은 회전 운동에 따라서 안쪽면과 접촉될 수 있는 구동체를 포함한다. 이때 구동체는 구체의 안쪽면에 접촉한 경우 구체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구체에 전달하는 제1 바퀴 및 제2 바퀴와, 제1 바퀴 및 제2 바퀴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 동력제공부 및 제2 동력제공부와, 제1 동력제공부 및 제2 동력제공부 각각의 회전속도, 회전방향 및 회전시간을 제어하고, 회전속도, 회전방향 및 회전시간 각각의 설정값을 1개 이상 조합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비정형적인 움직임 특성을 갖는 구형 이동 장치{SPHERICAL MOBILE APPARATUS WITH ATYPICAL MOTION CHARACTERISTICS}
본 발명은 비정형적인 움직임 특성을 갖는 구형 이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구체와 구체 내부에서 구체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체의 위치에 있어, 다양하면서 비정형적인 움직임을 나타낼 수 있는 구형 이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형 로봇이라고 불리기도 하는 구형 이동 장치는 외부의 거친 환경으로부터 밀봉 보호될 수 있게 설계할 수도 있고, 장애물에 부딪혀도 튀어 나올 수 있으며, 홀로노믹(holonomic)하게 작동할 수 있는 등 흥미롭고 독특한 특징들을 갖고 있다. 로봇 공학에서 홀로노믹 시스템이란 로봇이 움직이고자 하는 방향이 현재 로봇이 향하고 있는 방향에 영향을 받지 않는 로봇, 즉 어느 방향으로든지 즉시 움직일 수 있는 로봇을 말한다.
이러한 구형 로봇의 구동체는 구체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있으며, 구체를 회전시키기 위해서 구동체는 구동력을 전달해야 한다. 구형 로봇의 내부 구동체는 삼차원적으로 구체와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어야 하는 반면, 구체는 내부의 구동체와 어떤 방식으로든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
구형 로봇의 구동 원리는 크게 무게중심 이동(BCO, Barycenter Offset), 외피 변형(ST, Shell Transformation), 각운동량 보존(COAM, Conservation of Angular Momentum)의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
이 중에서 구형 로봇에 가장 많이 채용되고 있는 무게중심 이동이란 구형 로봇에서 필요한 운동을 생산하기 위해 로봇의 무게 중심을 이동하는 동작을 가리킨다. 구체가 평형 상태에 놓여 있다고 할 때, 구체 내부의 구동체가 움직이면 구체의 질량 분포가 변화되고, 구체는 새로 평형위치를 찾아 굴러가게 된다. 이때, 적절한 제어 방법을 사용해 로봇을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구형 이동 장치로서, 구체의 내부 공간에 원격 조종 자동차를 구동체로서 배치한 예가 있다. 이는 원격 조종 자동차의 바퀴를 제외하면 구체와 별도로 연결되지 않기 때문에 독립형(decoupling)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구동체가 움직일 때에 구체가 앞으로 나아가며, 구체의 움직임 방향을 바꾸려면 내부의 구동체가 방향을 바꾸어야 한다. 그런데, 이동 시에 진동이나 충돌로 인해 구동체가 공중에 떠있을 때에는 구동체와 구체가 비접촉 상태에 놓이기 때문에 구동체의 바퀴와 구체 사이의 정지마찰력이 사라져서 구형 이동 장치가 운동량을 잃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비접촉에 따른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구체와 구동체 사이의 결합력을 향상시킨 구형 이동 장치가 제안되었다. 이는 스프링 부하 방식을 적용하여 구동체의 볼베어링 및 바퀴가 구체와 끊임없이 접촉하도록 압축하기에 종속형(coupling)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그런데, 고속에서는 방향 제어가 어렵고, 경사길 이동에 어려움이 따르는 단점이 있었다.
즉, 위와 같은 기존의 구형 이동 장치는 구체와 이를 움직이는 구동체가 내부적으로 결합되어 있어 구동체의 움직임에 따라 구체가 전진 또는 후진하는 움직임을 나타낼 수 있을 뿐, 다양하면서도 비정형적인 움직임을 나타내기에는 한계가 존재한다.
실시예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구형 이동 장치가 직진 및 후진 운동뿐만 아니라, 다양하면서도 비정형적인 움직임을 나타낼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정형적인 움직임 특성을 갖는 구형 이동 장치는, 내부 공간을 가지는 구체와, 상기 구체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구체가 회전 운동하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며, 상기 구체의 안쪽면과 접촉되는 접촉 영역 및 상기 안쪽면과 기 설정된 이격 거리로 접촉되지 않는 비접촉 영역이 존재하되, 상기 접촉 영역은 상기 회전 운동에 따라서 상기 안쪽면과 접촉되지 않을 수 있고 상기 비접촉 영역은 상기 회전 운동에 따라서 상기 안쪽면과 접촉될 수 있는 구동체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체는 상기 구체의 안쪽면에 접촉한 경우, 상기 구체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상기 구체에 전달하는 제1 바퀴 및 제2 바퀴와, 상기 제1 바퀴 및 상기 제2 바퀴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 동력제공부 및 제2 동력제공부와, 상기 제1 동력제공부 및 상기 제2 동력제공부 각각의 회전속도, 회전방향 및 회전시간을 제어하고, 상기 회전속도, 상기 회전방향 및 상기 회전시간 각각의 설정값을 1개 이상 조합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구동체는, 상기 구동체의 프레임을 형성하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구체의 안쪽면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복수의 성곽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 운동 시에 상기 복수의 성곽부, 상기 제1 바퀴 및 상기 제2 바퀴 중 일부는 상기 구체의 안쪽면과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곽부는, 상기 구체의 안쪽면으로 연장 형성된 면에 구비된 압축 가능한 재질의 완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기 설정된 이격 거리는, 0.5mm 이상 4mm 이하일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동력제공부 및 상기 제2 동력제공부를 서로 반대의 회전방향으로 제1 시간 동안 구동시킨 후, 서로 같은 회전방향으로 제2 시간 동안 구동시키는 제어를 반복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 시간은 상기 제2 시간보다 길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동력제공부 및 상기 제2 동력제공부를 제1 회전방향으로 제1 시간 동안 제1 회전속도로 구동시킨 후, 제2 회전방향으로 제2 시간 동안 제2 회전속도로 구동시키는 제어를 반복하되, 상기 제1 회전방향과 제2 회전방향은 반대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시간은 상기 제2 시간보다 짧고, 상기 제1 속도는 상기 제2 속도의 절반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시간은 상기 제2 시간과 같고, 상기 제1 속도와 상기 제2 속도는 같을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구체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체는 구체의 안쪽면과 접촉되는 접촉 영역과 안쪽면과 기 설정된 이격 거리로 접촉되지 않는 비접촉 영역이 존재하여, 접촉 영역은 회전 운동에 따라서 안쪽면과 접촉되지 않을 수 있고 비접촉 영역은 회전 운동에 따라서 안쪽면과 접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체는 다양하고 비정형적인 움직임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구형 이동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구형 이동 장치의 구성을 기능 블럭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체의 구성을 기능 블럭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거나 이용되지 않아야 할 것이다.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포함한 설명은 다양한 응용을 갖는다는 것이 당연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임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보다 잘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도면에 표시되고 아래에 설명되는 기능 블록들은 가능한 구현의 예들일 뿐이다. 다른 구현들에서는 상세한 설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기능 블록들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기능 블록이 개별 블록들로 표시되지만, 본 발명의 기능 블록들 중 하나 이상은 동일 기능을 실행하는 다양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성들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는 표현은 개방형의 표현으로서 해당 구성요소들이 존재하는 것을 단순히 지칭할 뿐이며,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나아가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될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은 표현은 복수의 구성들을 구분하기 위한 용도로만 사용된 표현으로써, 구성들 사이의 순서나 기타 특징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구형 이동 장치(10)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구형 이동 장치(10)의 구성을 기능 블럭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구형 이동 장치(10)는 구체(100) 및 구동체(200)를 포함한다.
구체(100)는 내부 공간이 비어 있어, 내부에 구동체(200)가 위치할 수 있다. 구체(100)는 구동체(20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 운동을 한다. 이때 구체(100)는 완벽한 구형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타원형 및 계란형일 수 있으며, 또는 구체(100)의 표면에 홈을 만들거나 구체(100)의 일부가 절단된 형태를 사용하여 불규칙한 회전 운동을 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구동체(200)는 구체(100)의 안쪽면과 접촉되는 접촉 영역이 있으나, 도 1에서 확대된 부분과 같이, 안쪽면과 기 설정된 이격 거리로 접촉되지 않는 비접촉 영역이 존재하여, 접촉 영역은 회전 운동에 따라서 안쪽면과 접촉되지 않을 수 있고 비접촉 영역은 회전 운동에 따라서 안쪽면과 접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체는 다양하고 비정형적인 움직임을 나타낼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체(200)의 구성을 기능 블럭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구동체(200)는 구체(100)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구체(100)가 회전 운동하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구동체(200)는 제1 바퀴(210), 제2 바퀴(220), 제1 동력제공부(230), 제2 동력제공부(240) 및 제어부(270)를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구동체(200)는 프레임부(250) 및 복수의 성곽부(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퀴(210) 및 제2 바퀴(220)는 구체(100)의 안쪽면에 접촉한 경우, 구체(100)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구체(100)에 전달한다.
구동체(200)가 정지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중력에 의해 제1 바퀴(210) 및 제2 바퀴(220)가 모두 구체(100)의 안쪽면에 접촉한다. 또한 구동체(200)가 회전 운동 중에는 제1 바퀴(210) 또는 제2 바퀴(220) 중 일부가 구체(100)의 안쪽면과 이격될 수 있다. 즉, 회전 운동 시에 구체(100)와 구동체(200)에는 상호 접촉되는 접촉 영역과, 기 설정된 범위로 상호 이격되는 비접촉 영역이 공존한다.
이로 인하여, 제1 바퀴(210) 및 제2 바퀴(220)의 구체(100)의 안쪽면에 접촉 여부 및 제1 바퀴(210) 및 제2 바퀴(220)가 지면에 대해 위치하는 각도에 따라 구형 이동 장치(10)는 다양하고 비정형적인 회전 운동을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동체(200) 내부의 바퀴가 동일한 속도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될 경우, 구체(100)는 바퀴의 앞으로 전진하게 하면서 구동체(200)는 구체(100)에 완전하게 밀착되는 구조가 아니므로 구체(100) 내부에서 흔들리기 때문에, 구체(100)가 뒤뚱거리며 전진하는 움직임을 나타낼 수 있다.
제1 동력제공부(230) 및 제2 동력제공부(240)는 각각 제1 바퀴(210) 및 제2 바퀴(220)와 연결되며, 제1 바퀴(210) 및 상기 제2 바퀴(220)에 구동력을 제공하며, 예를 들어 제1 동력제공부(230) 및 제2 동력제공부(240)는 모터일 수 있다. 이때 제1 동력제공부(230) 및 제2 동력제공부(240)는 각각 순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회전속도를 각기 달리할 수 있다.
프레임부(250)는 구동체(200)의 구성 요소를 구비하는 프레임을 형성한다. 프레임은 플라스틱 및 금속 등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복수의 성곽부(260)는 프레임부(250)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구체(100)의 안쪽면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위치한다. 성곽부(260)는 구동체(200)의 중심을 잡는 역할을 하나, 성곽부(260)와 구체(100)의 안쪽면 사이 소정의 간격 때문에, 구체(100)의 회전 운동 시에 복수의 성곽부(260), 제1 바퀴(210) 및 제2 바퀴(220) 중 일부는 구체(100)의 안쪽면과 이격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구동체(200)는 정지 상태에서 구체(100) 내부에서 지면과 수직하게 위치할 수 있지만, 구체(100)의 회전 운동에 따라 구체(100) 내부에서 구동체(200)는 지면과의 각도가 정지 상태인 경우와 달리하며 움직일 수 있다.
이때, 성곽부(260)와 구체(100) 안쪽면 사이 기 설정된 이격 거리는 0.5mm이상 4mm이하인 경우, 구동체(200)가 구체(100) 내부에서 지면과의 각도가 변하여 구체(100)의 다양하고 비정형적인 움직임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해당 간격이 0.5mm 보다 작은 경우에는 성곽부(260)와 구체(100) 안쪽면 사이의 간격이 좁아, 구동체(200)가 구체(100)의 안쪽면과 밀착되어 구체(100)의 회전 운동은 직진 또는 후진 운동만 가능하게 된다.
또한 해당 간격이 4mm보다 큰 경우에는 구동체(200) 성곽부(260)와 구체(100) 안쪽면 사이의 간격이 넓어, 구동체(200)가 구체(100) 내부에서 움직임이는 범위가 불규칙하여 구체(100)의 회전 운동을 일정하게 제어할 수 없게 된다.
한편, 성곽부(260)는 구체(100)의 안쪽면으로 연장 형성된 면에 압축 가능한 재질의 완충부(26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성곽부(260)가 구체(100)의 안쪽면과 마주보는 면을 압축 가능한 재질의 완충부(265)를 구비하면 완충부(265)와 구체(100)의 안쪽면이 접촉하는 경우, 마찰이 줄어들어 구체(100)의 회전 운동을 부드럽게 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완충부(265)는 부직포를 포함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구동체(200)의 무게만으로 압축 가능한 다양한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제어부(270)는 제1 동력제공부(230) 및 제2 동력제공부(240) 각각의 회전속도, 회전방향 및 회전시간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270)는 회전속도, 회전방향 및 회전시간 각각의 설정값을 1개 이상 조합하여 다양한 움직임을 만들어낼 수 있고, 이러한 움직임을 1번 이상 반복하여 움직임을 연속하여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70)는, 제1 동작으로서 제1 동력제공부(230) 및 제2 동력제공부(240)를 서로 반대의 회전방향으로 제1 시간 동안 구동시킨 후, 제2 동작으로서 제1 동력제공부(230) 및 제2 동력제공부(240)를 서로 같은 회전방향으로 제2 시간 동안 구동시키는 제어를 반복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제1 동작으로 제1 동력제공부(230) 및 제2 동력제공부(240)를 서로 반대의 회전방향으로 구동시키면 구체(100)의 경도선을 기준으로 일쪽과 타쪽은 서로 다른 회전방향을 갖게되어 구체(100)가 기울어지는 움직임을 갖는다. 이에 따라 구동체(200)는 구체(100)의 안쪽면과 이격되는 영역이 있으므로 지면과의 각도를 정지 상태인 경우와 달리하며 움직일 수 있다. 제2 동작으로 구동체(200)와 지면과의 각도가 수직이 아닌 상태에서 제1 동력제공부(230) 및 제2 동력제공부(240)를 서로 같은 회전방향으로 구동시키면 구체(100)는 내부의 구동체(200)가 기울어진채로 회전 운동을 하므로 대각선의 방향을 그리며 회전운동을 한다. 이러한 제1 동작 및 제2 동작을 반복하면 구체(100)는 일정 범위 안에서 팽이와 같이 회전하는 움직임을 나타낼 수 있다. 특히, 제1 시간을 0.4초, 제2 시간을 0.05초로 설정하고 제1 동작 및 제2 동작을 반복하는 경우 구체(100)는 매우 빠른 속도로 팽이와 같이 회전하게 된다.
다른 예로 제어부(270)는, 제1 동작으로서 제1 동력제공부(230) 및 제2 동력제공부(240)를 제1 회전방향으로 제1 시간 동안 제1 회전속도로 구동시킨 후, 제2 동작으로서 제1 동력제공부(230) 및 제2 동력제공부(240)를 제2 회전방향으로 제2 시간 동안 제2 회전속도로 구동시키는 제어를 반복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 회전방향과 제2 회전방향을 반대로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1 시간은 제2 시간보다 짧고, 제1 속도는 제2 속도보다 느리게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동작 시에 구동체(200)는 구체(100) 내부에서 일 방향으로 움직이다가, 제2 동작 시 제1 속도보다 빠른 제2 속도로 일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므로, 구동체(200)는 구체(100)의 내부에서 한바퀴를 돌게되며 구체(100)는 제자리에서 회전을 하는 움직임을 나타낼 수 있다. 특히, 제1 시간을 0.2초, 제2 시간을 0.5초로 설정하고, 제1 속도를 제2 속도의 50%로 설정하여 제1 동작 및 제2 동작을 반복하는 경우, 구체(100)는 소정의 범위 안에서 제자리 회전하는 동작을 반복할 수 있다.
또한 제1 시간은 제2 시간과 같고, 제1 속도와 제2 속도는 같게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구체(100)가 일 방향으로의 움직임과 일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움직임을 번갈아 가며 반복한다. 특히 제1 속도 및 제2 속도를 0.2초로 설정하면 구체(100)가 앞뒤로 흔들듯이 움직이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고, 제1 속도 및 제2 속도를 0.02~0.06초로 설정하면 구체(100)가 진동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이렇게 상술한 실시예는 구체(100)와 구동체(200) 상호간 접촉되는 접촉 영역과, 기 설정된 이격 거리로 접촉되지 않는 비접촉 영역이 공존하여, 접촉 영역은 회전 운동에 따라서 안쪽면과 접촉되지 않을 수 있고 비접촉 영역은 회전 운동에 따라서 안쪽면과 접촉될 수 있어, 상술한 바와 같이 구체(100)의 다양하고 비정형적인 움직임을 나타낼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가 포함하는 제어부(270)는 이들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램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메모리, 및 이들 명령어를 수행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연산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특히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또는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유닛은 상기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구형 이동 장치
100: 구체
200: 구동체
210: 제1 바퀴
220: 제2 바퀴
230: 제1 동력제공부
240: 제2 동력제공부
250: 프레임부
260: 성곽부
265: 완충부
270: 제어부

Claims (9)

  1. 내부 공간을 가지는 구체와,
    상기 구체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구체가 회전 운동하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며, 상기 구체의 안쪽면과 접촉되는 접촉 영역 및 상기 안쪽면과 기 설정된 이격 거리로 접촉되지 않는 비접촉 영역이 존재하되, 상기 접촉 영역은 상기 회전 운동에 따라서 상기 안쪽면과 접촉되지 않을 수 있고 상기 비접촉 영역은 상기 회전 운동에 따라서 상기 안쪽면과 접촉될 수 있는 구동체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체는,
    상기 구체의 안쪽면에 어느 일부가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구체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상기 구체에 전달하여 상기 접촉 영역으로서 역할을 하는 제1 바퀴 및 제2 바퀴와,
    상기 제1 바퀴 및 상기 제2 바퀴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 동력제공부 및 제2 동력제공부와,
    상기 제1 동력제공부 및 상기 제2 동력제공부 각각의 회전속도, 회전방향 및 회전시간을 제어하고, 상기 회전속도, 상기 회전방향 및 상기 회전시간 각각의 설정값을 1개 이상 조합하는 제어부와,
    상기 구동체의 프레임을 형성하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구체의 안쪽면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위치하여 상기 비접촉 영역으로서 역할을 하는 복수의 성곽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체의 회전 운동 시에 상기 복수의 성곽부, 상기 제1 바퀴 및 상기 제2 바퀴 중 일부는 상기 구체의 안쪽면과 이격되는,
    비정형적인 움직임 특성을 갖는 구형 이동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곽부는,
    상기 구체의 안쪽면으로 연장 형성된 면에 구비된 압축 가능한 재질의 완충부를 포함하는,
    비정형적인 움직임 특성을 갖는 구형 이동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이격 거리의 범위는,
    0.5mm 이상 4mm 이하인,
    비정형적인 움직임 특성을 갖는 구형 이동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동력제공부 및 상기 제2 동력제공부를 서로 반대의 회전방향으로 제1 시간 동안 구동시킨 후, 서로 같은 회전방향으로 제2 시간 동안 구동시키는 제어를 반복하는,
    비정형적인 움직임 특성을 갖는 구형 이동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은 상기 제2 시간보다 긴,
    비정형적인 움직임 특성을 갖는 구형 이동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동력제공부 및 상기 제2 동력제공부를 제1 회전방향으로 제1 시간 동안 제1 회전속도로 구동시킨 후, 제2 회전방향으로 제2 시간 동안 제2 회전속도로 구동시키는 제어를 반복하되,
    상기 제1 회전방향과 제2 회전방향은 반대인,
    비정형적인 움직임 특성을 갖는 구형 이동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은 상기 제2 시간보다 짧고,
    상기 제1 회전속도는 상기 제2 회전속도의 절반인,
    비정형적인 움직임 특성을 갖는 구형 이동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시간은 상기 제2 시간과 같고,
    상기 제1 회전속도와 상기 제2 회전속도는 같은,
    비정형적인 움직임 특성을 갖는 구형 이동 장치.
KR1020160112972A 2016-09-02 2016-09-02 비정형적인 움직임 특성을 갖는 구형 이동 장치 KR1018353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6/009863 WO2018043776A1 (ko) 2016-09-02 2016-09-02 비정형적인 움직임 특성을 갖는 구형 이동 장치
KR1020160112972A KR101835395B1 (ko) 2016-09-02 2016-09-02 비정형적인 움직임 특성을 갖는 구형 이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2972A KR101835395B1 (ko) 2016-09-02 2016-09-02 비정형적인 움직임 특성을 갖는 구형 이동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5395B1 true KR101835395B1 (ko) 2018-04-19

Family

ID=61301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2972A KR101835395B1 (ko) 2016-09-02 2016-09-02 비정형적인 움직임 특성을 갖는 구형 이동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35395B1 (ko)
WO (1) WO2018043776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48439A (ja) * 2002-10-30 2004-05-27 Sony Corp 球形ロボット及び球形ロボットの制御方法
JP5017589B2 (ja) 2009-05-15 2012-09-05 防衛省技術研究本部長 手投げ型ロボット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61894B2 (ja) * 1996-03-19 2005-06-22 ソニー株式会社 球体移動装置
KR100449992B1 (ko) * 2002-01-15 2004-09-24 하영균 구형물체 주행제어 시스템
JP2003305671A (ja) * 2002-04-11 2003-10-28 Bokushi Mutsukawa 球体車輪車及び球体車輪ロボット
KR101541976B1 (ko) * 2013-01-23 2015-08-13 진장민 구형이동체 및 그 구동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48439A (ja) * 2002-10-30 2004-05-27 Sony Corp 球形ロボット及び球形ロボットの制御方法
JP5017589B2 (ja) 2009-05-15 2012-09-05 防衛省技術研究本部長 手投げ型ロボ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43776A1 (ko) 2018-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99620B2 (en) Spherical robot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7949430B2 (en) Determination of foot placement for humanoid push recovery
KR101835393B1 (ko) 구형 이동 장치 및 그 제스처 인식 방법
Akella et al. Parts feeding on a conveyor with a one joint robot
Mason Progress in nonprehensile manipulation
US20150057841A1 (en) Motion sensing remote control device
JP2019518277A (ja) 清掃ロボット及び障害物の乗越え方法
TW201315524A (zh) 自主搖頭玩具
KR101835395B1 (ko) 비정형적인 움직임 특성을 갖는 구형 이동 장치
CN107872114B (zh) 振动移动装置及其控制方法
JP2019520227A (ja) ロボットの構成要素用の可動ハードストップ
Schill et al. Quasi-direct nonprehensile catching with uncertain object states
JPWO2020036147A1 (ja) 玩具システム、筐体、別体玩具、別体玩具判定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anda et al. Design and start-up of spherical robot with internal pendulum
KR101431383B1 (ko) 다관절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다족 주행로봇
KR101704193B1 (ko) 십자형 자계위치센서 유닛을 갖는 이동 로봇의 운용시스템
Wang et al. Robust adaptive control of a wheeled mobile robot violating the pure nonholonomic constraint
KR20180013409A (ko) 구형 이동 장치 및 그 이동 방법
CN103071298A (zh) 保持平衡的自行玩具球及其控制方法和遥控装置
US10396633B2 (en) Haptic device
Snape et al. Independent navigation of multiple robots and virtual agents
CN107081763A (zh) 一种球形机器人
CN104626189A (zh) 娱乐机器人球面三自由度并联机构
Frank et al. A bioinspired 2-dof throwing robot
WO2024048285A1 (ja) 多関節ロボット、多関節ロボットの制御方法、ロボットシステム、及び、物品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