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5091B1 - 언어 학습을 위한 채팅 방법 및 채팅 시스템 - Google Patents

언어 학습을 위한 채팅 방법 및 채팅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5091B1
KR101835091B1 KR1020160054775A KR20160054775A KR101835091B1 KR 101835091 B1 KR101835091 B1 KR 101835091B1 KR 1020160054775 A KR1020160054775 A KR 1020160054775A KR 20160054775 A KR20160054775 A KR 20160054775A KR 101835091 B1 KR101835091 B1 KR 1018350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t
terminal
character
voic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4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4838A (ko
Inventor
나기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앰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앰버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앰버스
Priority to KR10201600547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5091B1/ko
Priority to PCT/KR2017/004675 priority patent/WO2017191995A1/ko
Publication of KR201701248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48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5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50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5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30Transportation; Communications
    • G06Q50/40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4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OR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3/00Speech synthesis; Text to speech systems
    • G10L13/08Text analysis or generation of parameters for speech synthesis out of text, e.g. grapheme to phoneme translation, prosody generation or stress or intonation determin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채팅방에 참여하는 복수의 채팅 단말 중 하나의 채팅 단말로부터 채팅 문자를 포함하는 전송요청 문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채팅 문자를 설정된 음성으로 변환할 수 있고 하나의 채팅 단말에 맵핑된 음성 소스를 결정하는 단계, 복수의 채팅 단말 중 채팅 문자를 수신할 채팅 단말에서 음성 소스의 이용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음성 소스가 채팅 문자를 수신할 채팅 단말에서 이용 가능한 경우에, 음성 소스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변환 정보 및 채팅 문자를 포함하는 전송용 문자 정보를 채팅 문자를 수신할 채팅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언어 학습을 위한 채팅 방법 및 채팅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언어 학습을 위한 채팅 방법 및 채팅 시스템{CHATTING METHOD AND CHATTING SYSTEM FOR LEARNING LANGUAGE}
본 발명은 언어 학습을 위한 채팅 방법 및 채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문자 채팅의 재미를 부여하면서 언어 학습 효과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채팅 방법 및 채팅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또한 수신된 채팅 문자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되 채팅자별로 서로 상이한 음성속성을 가지는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는, 언어 학습을 위한 채팅 방법 및 채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언어는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의 영역으로 나뉘어져 있고 외국어를 습득하고자 하는 학습자는 외국어를 일정수준 이상으로 사용할 수 있기 위해 이 네가지 영역에 대하여 많은 학습이 필요하다.
4가지 영역에서 쓰기 영역은 말하기 영역과 밀접한 관련이 있고 그에 따라 쓰기 영역에 대한 학습으로 말하기 영역에 대한 학습이 일정 수준 가능하고 그 반대로의 학습 또한 가능하다. 듣기 영역의 학습은 또한 읽기 영역의 학습과 서로 보완관계에 있다.
이와 같이, 쓰기 영역의 학습과 듣기 영역의 학습만으로 4개 영역의 외국어 학습이 일정 부분 가능하다.
한편, 온라인 시스템과 인터넷 기술의 발전으로 많은 채팅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기존 채팅 시스템은 다수의 채팅자가 채팅방에 참여하여 대화(채팅)를 나눌 수 있도록 구성된다.
기존 채팅 시스템은 문자 위주의 채팅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기존 채팅 시스템은 특정 채팅자로부터 수신된 문자를 채팅방의 다른 채팅자에게 전송하고 각 채팅자는 수신된 문자를 특정 아이콘이나 아이디에 결합하여 출력한다. 또한 기존 알려진 채팅 시스템은 음성으로 채팅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기존 채팅 시스템은 문자 간의 채팅을 또는 음성 간의 채팅을 가능하게 할 뿐이어서 외국어를 학습하기에는 한계가 존재한다.
즉, 외국어를 학습하기 위해서는 쓰기 또는 말하기 능력과 듣기 또는 읽기 능력이 동시에 학습되도록 할 필요가 있고 기존 채팅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문자들을 음성으로 변환하여 음성 채팅이 가능하다면 여러 영역의 능력을 균등히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채팅 시스템에서 채팅자별로 구별가능한 음성으로 채팅자의 문자를 음성 출력할 수 있다면 채팅자간의 혼동 및 부자연스러움 등이 방지되고 채팅의 재미를 한층더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기존 알려진 채팅 시스템에 문자를 전송한 채팅자간 서로 구별되는 음성 채팅을 추가하여 재미 및 외국어 학습이 가능토록 하는, 언어 학습을 위한 채팅 방법 및 채팅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채팅 시스템의 문자를 음성으로 자동 변환하고 변환된 음성을 각 채팅자에게 출력하여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다양한 영역의 외국어 학습이 가능토록 하는, 언어 학습을 위한 채팅 방법 및 채팅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채팅 시스템의 문자를 음성으로 자동 변환하고 변환된 음성을 각 채팅자에게 출력하여 문자 채팅과 연관된 음성 채팅이 가능토록 하고 문자 채팅에 재미를 제공할 수 있는, 언어 학습을 위한 채팅 방법 및 채팅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 채팅자의 변환될 음성을 서로 구별되도록 하여 각 채팅자를 음성으로 서로 구별가능하고 다양한 음성으로 외국어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언어 학습을 위한 채팅 방법 및 채팅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 채팅자별로 사용 가능한 음성 소스를 고려하여 각 채팅자별로 변환될 수 있는 음성을 개별적으로 제공하고 음성 소스의 직접적인 공유 없이도 지정된 음성이 다른 채팅자가 들을 수 있도록 하는, 언어 학습을 위한 채팅 방법 및 채팅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언어 학습을 위한 채팅 방법은 채팅방에 참여하는 복수의 채팅 단말 중 하나의 채팅 단말로부터 채팅 문자를 포함하는 전송요청 문자 정보를 채팅 서버가 수신하는 단계, 채팅 문자를 설정된 음성으로 변환할 수 있고 하나의 채팅 단말에 맵핑된 음성 소스를 채팅 서버가 결정하는 단계, 복수의 채팅 단말 중 채팅 문자를 수신할 채팅 단말에서 음성 소스의 이용가능 여부를 채팅 서버가 결정하는 단계 및 음성 소스가 채팅 문자를 수신할 채팅 단말에서 이용 가능한 경우에, 음성 소스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변환 정보 및 채팅 문자를 포함하는 전송용 문자 정보를 채팅 문자를 수신할 채팅 단말로 채팅 서버가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언어 학습을 위한 채팅 시스템은 채팅 문자를 송수신하는 채팅 서버를 포함하고, 채팅 서버는 채팅 단말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 유닛 및 통신 유닛을 통해 채팅방에 참여하는 복수의 채팅 단말 중 하나의 채팅 단말로부터 채팅 문자를 포함하는 전송요청 문자 정보를 수신하고 채팅 문자를 수신할 채팅 단말로 채팅 문자를 포함하는 전송용 문자 정보의 전송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제어 유닛은, 채팅 문자를 설정된 음성으로 변환할 수 있고 하나의 채팅 단말에 맵핑된 음성 소스를 결정하고, 채팅 문자를 수신할 채팅 단말에서 결정된 음성 소스의 이용가능 여부를 결정하며, 음성 소스가 채팅 문자를 수신할 채팅 단말에서 이용 가능한 경우에, 제어 유닛은 음성 소스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변환 정보 및 채팅 문자를 포함하는 전송용 문자 정보를 채팅 문자를 수신할 채팅 단말로 통신 유닛을 통해 전송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언어 학습을 위한 채팅 방법 및 채팅 시스템은 채팅 시스템의 문자를 음성으로 자동 변환하고 변환된 음성을 각 채팅자에게 출력하여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다양한 영역의 외국어 학습이 가능토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언어 학습을 위한 채팅 방법 및 채팅 시스템은 채팅 시스템의 문자를 음성으로 자동 변환하고 변환된 음성을 각 채팅자에게 출력하여 문자 채팅과 연관된 음성 채팅이 가능토록 하고 문자 채팅에 재미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언어 학습을 위한 채팅 방법 및 채팅 시스템은 각 채팅자의 변환될 음성을 서로 구별되도록 하여 각 채팅자의 식별이 용이하고 다양한 음성으로 외국어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언어 학습을 위한 채팅 방법 및 채팅 시스템은 각 채팅자별로 사용 가능한 음성 소스를 고려하여 각 채팅자별로 변환될 수 있는 음성을 개별적으로 제공하고 음성 소스의 직접적인 공유 없이도 지정된 음성이 다른 채팅자가 들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언어 학습을 위해 구성된 예시적인 채팅 시스템의 시스템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채팅 서버의 예시적인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채팅 단말의 예시적인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문자 채팅 이전에 공통되는 음성 소스를 이용하여 각 채팅자별로 구별되는 음성을 설정하기 위한 예시적인 설정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설정하에서 채팅 문자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언어 학습이 가능토록 하는 문자 채팅의 예시적인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문자 채팅 이전에 각 채팅자별 이용 가능한 음성 소스를 이용하여 구별되는 음성을 설정하기 위한 예시적인 설정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설정하에서 채팅 문자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언어 학습이 가능토록 하는 문자 채팅의 예시적인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더욱 명확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언어 학습을 위해 구성된 예시적인 채팅 시스템의 시스템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따르면 언어 학습을 위한 채팅 시스템은 채팅 서버(100), 하나 이상의 채팅 단말(200)과 통신 네트워크(300)를 포함한다. 채팅 단말(200)은 통신 네트워크(300)를 통해서 채팅 서버(100)와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채팅 시스템은 특정 언어 학습을 위해 채팅을 이용하도록 구성되는 데, 예를 들어 본 채팅 시스템은 영어나 중국어나 일본어 등의 언어 학습을 위해서 이용 가능하다.
도 1의 각 기기들을 살펴보면, 채팅 서버(100)는 채팅방을 개설하고 채팅방의 채팅자 사이의 채팅 문자를 관리하고 송수신할 수 있는 서버이다. 채팅 서버(100)는 채팅 단말(200)의 프로그램과 연동하여 채팅 문자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채팅 문자를 채팅방의 다른 채팅자에게 송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채팅 서버(100)는 서로 송수신되는 채팅 문자를 각 채팅 단말(200)에 의해 음성으로 변환하여 변환된 음성을 각 채팅자가 들을 수 있도록 지원한다.
채팅 서버(100)는 특정 채팅자의 채팅 문자를 채팅 단말(200)로 전송한다. 그리고 실시 형태에 따라 특정 음성으로 변환할 수 있는 변환 정보를 더 포함하여 전송하거나 채팅 문자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를 더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각 채팅 단말(200)은 각 채팅자의 변환 정보나 음성 데이터를 이용하여 수신된 채팅 문자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그에 따라 각 채팅 단말(200)은 각자의 특화된 음성으로 수신된 문자의 음성 듣기가 가능하고 그 과정에서 듣기 영역과 관련 영역의 외국어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채팅 서버(100)에서 이루어지는 각종 제어와 흐름은 도 2, 도 4 내지 도 7을 통해서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채팅 단말(200)은 채팅 서버(100)에 연결되어 채팅방의 다른 채팅 단말(200)과 문자 채팅을 할 수 있는 단말이다. 채팅 단말(200)은 채팅 서버(100)를 통해서 다른 채팅 단말(200)들과 채팅 문자를 서로 송수신할 수 있다.
채팅 단말(200)은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전용 단말이거나 스마트폰이거나 태블릿 PC이거나 노트북, 개인용 컴퓨터 등일 수 있다.
채팅 단말(200)은 입력 인터페이스로써 채팅 문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고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채팅 문자를 포함하고 채팅방의 다른 채팅 단말(200)로 전송을 요청하는 전송요청 문자 정보를 채팅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채팅 단말(200)은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채팅 서버(100)로부터 채팅방의 다른 채팅 단말(200)로부터의 전송용 문자 정보를 수신하고 전송을 요청한 채팅 단말(200)에 맵핑되어 있는 변환 정보나 음성 데이터를 이용하여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하거나 음성 데이터에 따른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각각의 채팅 단말(200)은 서로 다른 음성(서로 다른 변환 정보)에 맵핑되어 서로 다른 음성이 각 채팅 단말(200)에 의해서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 채팅자(의 채팅 단말(200))가 전송한 채팅 문자로부터 변환된 음성과 B 채팅자(의 채팅 단말(200))가 전송한 채팅 문자로부터 변환된 음성은 서로 다르도록 구성된다.
채팅 단말(200)의 구성과 각종 제어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 7을 통해서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통신 네트워크(300)는 하나 이상의 채팅 단말(200) 및 채팅 서버(100) 사이에 위치하여 각 장치나 기기 간의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 네트워크(300)는 유선, 무선 또는 유선과 무선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통신 네트워크(300)는 인터넷망으로 구성되거나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네트워크(300)는 이동통신사업자에 의해서 제공되는 이동통신망을 그 구성요소로서 포함할 수도 있다.
도 2는 채팅 서버(100)의 예시적인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따르면, 채팅 서버(100)는 통신 유닛(101), 저장 유닛(103), 연결 유닛(105) 및 제어 유닛(107)을 포함한다. 도 2는 바람직하게는 기능 블록도를 나타내며 대응하는 하드웨어 블록을 각 기능 블록들은 구비한다. 도 2의 채팅 서버(100)는 다양한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팅 서버(100)는 하나 이상의 PC, 워크스테이션 및/또는 메인 프레임 등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되지 않은 다른 블록들이 설계 변형에 따라 이 블록도에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도 2를 통해서 채팅 서버(100)를 살펴보면, 통신 유닛(101)은 하나 이상의 채팅 단말(200)과 데이터(예를 들어 채팅 문자)를 송수신한다. 통신 유닛(101)은 유선 랜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통신 네트워크(300)에 연결되어 채팅 단말(200)의 채팅 프로그램으로부터 각종 요청을 수신하고 요청에 따른 응답이나 처리 결과를 통신 네트워크(30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유닛(101)은 제어 유닛(107)의 제어에 따라 특정 데이터를 통신 네트워크(300)로 전송할 수 있다.
통신 네트워크(300)를 통해서 송신되거나 수신되는 각종 정보는 약속된 포맷에 따라 구성된다. 예를 들어 채팅 단말(200)의 채팅 프로그램은 수신된 통신 패킷으로부터 약속된 포맷으로 구성된 정보를 구성하고 이로부터 각종 처리를 수행할 수 있고 제어 유닛(107) 또한 채팅 단말(200)의 통신 패킷으로부터 약속된 포맷의 정보를 구성하고 이후의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저장 유닛(103)은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고 채팅 서버(100)에서 이용될 수 있는 각종 서버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저장 유닛(103)은 채팅을 할 수 있는 사용자들에 관련된 사용자 정보와 현재 개설되어 있는 채팅방에 관련된 채팅방 정보 등을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저장 유닛(103)에 저장되는 각종 정보들을 데이터베이스의 예를 통해 살펴보면, 저장 유닛(103)은 복수의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는 사용자 테이블을 저장한다.
사용자 테이블은 복수의 사용자 엔트리로 구성되고 각 사용자 엔트리는 복수의 필드 데이터로 해당 사용자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 엔트리는 로그인에 필요한 사용자 ID, 패스워드를 포함하고 해당 사용자의 채팅 단말(200)의 식별자를 더 포함한다. 채팅 단말(200)의 식별자는 채팅 단말(200)의 맥(MAC) 주소이거나 IP 주소이거나 휴대전화번호일 수 있다. 채팅 단말(200)의 식별자는 채팅 서버(100)와 통신 채널 설정시에 구성되는 통신채널 식별자일 수 있다. 통신채널 식별자는 통신채널의 설정시마다 달라질 수 있다.
사용자 테이블의 엔트리는 그 외 각 사용자(채팅자)의 채팅 이력이나 관심있는 외국어에 대한 정보를 더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 엔트리는 채팅 단말(200)에서 이용 가능한 음성 소스에 대한 식별자(ID)를 더 포함한다. 음성 소스 ID는 채팅 단말(200)의 사용자가 구매하였거나 이용 가능한 음성 소스를 본 시스템 내에서 식별할 수 있다.
각 사용자(채팅 단말(200))가 이용 가능한 음성 소스는 다양한 유형으로 존재할 수 있다. 한 유형의 음성 소스는 채팅 단말(200)의 저장부(215)에 저장되어 있고 해당 사용자가 구매하여 영구적으로 사용이 허락된 음성 소스이다. 다른 유형의 음성 소스는 채팅 단말(200)의 저장부(215)에 저장되어 있으나 임시로 사용이 허락된 음성 소스이다. 이러한 임시 사용권이 허락된 음성 소스는 채팅 단말(200)의 제어부(205)와 연동하여 토큰이 채팅 단말(200)로 제공된 경우에만 사용(재생) 가능하다. 또 다른 유형의 음성 소스는 채팅 서버(100)의 저장 유닛(103)에 저장되어 있는 음성 소스이다. 채팅 서버에 저장된 음성 소스는 임의의 또는 지정된 채팅 단말(200)을 위해서 이용 가능하다. 사용자 엔트리의 음성 소스는 각 유형이 서로 구별되도록 설정되고 예를 들어 음성 소스(의 식별자)에 대응하는 타입 데이터로 구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 엔트리는 채팅 단말(200)을 위해(사용자를 위해) 이용 가능한 하나 이상의 음성 소스를 저장한다.
또한, 저장 유닛(103)은 현재 또는 과거에 개설된 채팅방에 관한 복수의 채팅방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는 채팅방 테이블을 저장한다.
채팅방 테이블은 복수의 채팅방 엔트리로 구성되고 각 채팅방 엔트리는 채팅방 ID, 채팅방에 참여하고 있는 채팅자 식별자를 포함하고 채팅방에서 이루어진 각종 채팅 문자 이력을 포함한다. 채팅방 엔트리는 채팅자(또는 '사용자'라고도 한다)에 맵핑된 변환 정보를 리스트 형태로 저장한다. 채팅자 식별자는 사용자 엔트리의 사용자 ID를 나타내거나 해당 사용자가 특정 채팅방에 입장시에 입력한 임시 ID이거나 채팅 단말(200)의 식별자일 수 있다.
채팅방 엔트리의 맵핑 리스트는 채팅자 식별자와 맵핑된 변환 정보를 각 채팅자별로 저장한다. 채팅방 내의 한 채팅 단말(200)에 맵핑되어 있는 변환 정보와 다른 채팅 단말(200)에 맵핑되어 있는 변환 정보는 서로 다르게 되도록 구성한다. 이 변환 정보를 이용하여 채팅 문자가 음성으로 변환되고 변환된 각 채팅자의 음성은 서로 상이하며, 각 채팅자가 통신 네트워크(300)로 전송한 채팅 문자가 음성으로 변환시, 나머지 채팅 단말(200)은 동일한 변환 정보를 이용하여 동일한 음성으로 출력되게 할 수 있다.
변환 정보는 특정 음성 소스를 이용하여 수신된 채팅 문자를 음성으로 변환 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로서 음성 소스의 식별자(ID)를 포함한다. 음성 소스는 여러 종류가 있을 수 있고 각 음성 소스는 서로 다른 음성 색깔을 가질 수 있다. 음성 소스는 특정 외국어의 음원 사전을 구성할 수 있고 연기자, 성우, 아나운서, 가상 인간 등의 음성 색깔을 가질 수 있다. 음성 소스를 이용하여 채팅 문자를 특정 연기자 등의 음성 색깔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변환 정보의 각각의 채팅 단말(200)에 맵핑된 음성 소스는 채팅 단말(200)의 저장부(215)에 저장되어 영구 사용권이나 임시 사용권이 허락된 음성 소스이거나 채팅 서버(100)의 저장 유닛(103)에 저장되어 해당 채팅 단말(200)에 접속 권한이 허락된 음성 소스일 수 있다.
또한, 변환 정보는 음성 소스에 대응하는 음성을 다른 음성 색깔의 음성으로 변조하기 위한 변조 데이터를 더 포함하거나, 음성 소스를 이용한 음성에 추가될 배경 음원을 나타내는 배경음원 데이터를 더 포함하거나, 채팅 문자의 이전 또는 이후에 추가될 관용 문자를 나타내는 관용문자 데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변조 데이터는 예를 들어 음성 소스로부터의 음성에 적용될 주파수 성분 변화를 나타내거나, 톤(tone)이나 피치(pitch) 등의 변경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한다. 배경음원 데이터는 채팅 문자의 음성에 배경 음원(예를 들어 바닷가 소리, 새소리, 잡음, 노래 소리)으로 제공될 음원을 포함하거나 이를 식별한다. 관용문자 데이터는 송수신되는 채팅 문자의 이전이나 이후에 추가될 채팅 문자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하며, 관용문자 데이터는 말버릇(예를 들어 "You know", "Hum"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경음원 데이터는 오디오 샘플 데이터로 구성될 수 있으며, 관용문자 데이터는 문자(Text)로 구성되거나 오디오 샘플 데이터로 구성될 수 있다.
채팅방의 각 채팅자별 변환 정보는 서로 다르도록 구성되며 각 채팅자별 변환 정보는 채팅 단말(200)로 전송되어 채팅방의 각 채팅 단말(200)들은 각 채팅자별 변환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채팅자의 채팅 문자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연결 유닛(105)은 채팅 서버(100) 내의 블록 간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연결 유닛(105)은 근거리 네트워크, 병렬 버스, 시리얼 버스 등을 이용하여 구성된다.
제어 유닛(107)은 하나 이상의 실행 유닛을 구비하여 저장 유닛(103)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로딩하고 실행 유닛을 통해서 프로그램의 명령어 코드를 실행하여 다른 블록들을 제어한다.
제어 유닛(107)은 채팅방을 구성하고 채팅방 내의 채팅 단말(200)로부터의 채팅 문자를 다른 채팅 단말(200)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제어 유닛(107)은 특정 채팅 단말(200)의 채팅 문자가 음성으로 변환되어 채팅 단말(200)에서 출력되도록 한다. 그 과정에서 각 채팅 단말(200)별 변환 정보가 이용된다. 각 채팅 단말(200)에 맵핑되어 있는 변환 정보는 채팅 단말(200)로 전송될 수 있고 각 채팅 단말(200)은 채팅 문자를 전송한 채팅 단말(200)에 대응하는 변환 정보를 이용하여 전송한 채팅 문자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제어 유닛(107)에서 이루어지는 주요 제어를 예를 들어 살펴보면, 제어 유닛(107)은 채팅방을 구성하고 채팅방으로의 입장에 따라 채팅방에서 공통으로 또는 개별적으로 이용 가능한 음성 소스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제어 유닛(107)은 채팅방에 입장한 하나 이상의 채팅 단말(200) 각각에 대응하는 사용자 엔트리를 저장 유닛(103)으로부터 추출하고 각 사용자 엔트리의 음성 소스 식별자를 추출하여 공통되는 음성 소스를 결정하거나 각각의 채팅 단말(200)에서 이용 가능한 음성 소스를 결정한다.
음성 소스의 결정 이후에, 제어 유닛(107)은 하나 이상의 음성 소스를 이용한 복수의(또는 하나 이상의) 변환 정보를 생성한다. 복수의 변환 정보의 개수는 적어도 채팅방에 참여하고 있는 채팅 단말(200)의 개수(채팅자의 인원수)보다는 더 크다.
생성되는 각각의 변환 정보는 음성 소스의 식별자를 포함하며, 실시 형태에 따라 변조 데이터, 배경음원 데이터 또는 관용문자 데이터를 더 포함한다.
제어 유닛(107)은 복수의 변환 정보(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통신 유닛(101)을 통해 채팅방의 채팅 단말(200)(들)로 출력한다. 출력되는 변환 정보를 표시하고 나타내기 위해 제어 유닛(107)은 채팅 단말(200)에 표시될 수 있는 아이콘들과 나아가 음성 샘플을 복수의 변환 정보를 나타내기 위해서 또는 복수의 변환 정보와 함께 채팅 단말(200)로 출력할 수 있다. 음성 샘플은 대응하는 변환 정보의 특성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며, 아이콘은 각 유형의 음성 특징을 나타내는 이미지일 수 있다.
이후, 제어 유닛(107)은 채팅 단말(200) 각각으로부터 복수의 변환 정보 중 하나의 선택을 통신 유닛(101)을 통해서 수신하고 각 채팅 단말(200)과 각각의 채팅 단말(200)이 선택한 변환 정보를 맵핑시켜 저장 유닛(103)에 저장한다. 여기서 각각의 채팅 단말(200)에 맵핑되는 변환 정보는 다른 채팅 단말(200)에 맵핑되는 변환 정보와는 서로 상이하다.
예를 들어, 제어 유닛(107)은 채팅방 테이블의 채팅방 엔트리에 맵핑 리스트를 생성하고 채팅자 식별자(사용자 ID 및/또는 채팅 단말(200)의 식별자 등)와 맵핑된 변환 정보를 각 채팅자별로 저장한다.
채팅 단말(200)과 변환 정보의 맵핑 이후에, 제어 유닛(107)은 맵핑 리스트를 채팅방의 모든 채팅 단말(200)들로 사전 전송하는 실시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또는 채팅 문자를 전송한 채팅 단말(200)의 변환 정보가 채팅 문자와 함께 실시간으로 다른 채팅 단말(200)로 전송되는 실시 형태로 구현할 수도 있다.
변환 정보가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실시 형태를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맵핑 과정 이후에, 제어 유닛(107)은 채팅방의 여러 채팅 단말(200) 중에서 특정 하나의 채팅 단말(200)로부터 채팅 문자를 나타내고 채팅방 내의 다른 채팅 단말(200)로의 전송을 요청하는 전송요청 문자 정보를 설정된 통신 채널을 경유하여 통신 유닛(101)으로부터 수신한다. 전송요청 문자 정보는 채팅 문자를 나타내는 문자열을 포함하거나 채팅 문자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전송요청 문자 정보의 수신에 따라, 제어 유닛(107)은 요청한 채팅자의 식별자를 전송요청 문자 정보 등으로부터 결정하고 이 특정 채팅 단말(200)에 맵핑된 변환 정보를 또한 결정한다. 음성 데이터가 전송요청 문자 정보에 포함된 경우, 제어 유닛(107)은 음성 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음성 데이터를 채팅 문자로 변환한다.
그리고 제어 유닛(107)은 음성 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인식된 채팅 문자를 다른 채팅 단말로 전송하지 전, 전송 요청한 채팅 단말로 먼저 보내어 확인받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ove를 rub로 잘못 발음하는 것과 같이 발음상의 문제가 있거나 음성 인식 과정상의 오류 등으로 인해서 변환된 채팅 문자가 원하는 결과와는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채팅 단말로 하여금 채팅 서버(100)로부터 수신된 채팅 문자를 수정토록 하거나 다시 발음하여 음성 데이터를 전송토록 해서 올바른 채팅 문자로 인식될 때까지 반복할 수도 있다.
제어 유닛(107)은 결정된 변환 정보 및 전송요청 문자 정보의 채팅 문자를 포함하는 전송용 문자 정보를 생성하고 이 전송용 문자 정보를 채팅방 내의 채팅 단말(200)들로 통신 유닛(101)을 통해 전송한다. 전송용 문자 정보가 전달되는 채팅 단말(200)은 채팅방 내의 모든 채팅 단말(200)들이거나 전송요청 문자 정보를 출력한 채팅 단말(200)을 제외한 나머지 채팅 단말(200)들 일 수 있다.
만일, 채팅 문자를 수신할 채팅 단말(200)이 변환 정보의 음성 소스를 저장부(215)에서 이용 불가능한 경우, 제어 유닛(107)은 결정된 변환 정보를 이용하여 채팅 문자를 음성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음성 데이터를 변환 정보 대신 해당 채팅 단말(200)의 전송용 문자 정보에 포함하여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맵핑 리스트가 채팅 단말(200)들로 사전 전송되는 실시 형태를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맵핑 과정 이후에, 제어 유닛(107)은 채팅방의 여러 채팅 단말(200) 중에서 특정 하나의 채팅 단말(200)로부터 채팅 문자를 포함하고(또는 나타내고) 채팅방 내의 다른 채팅 단말(200)로의 전송을 요청하는 전송요청 문자 정보를 설정된 통신 채널을 경유하여 통신 유닛(101)으로부터 수신한다.
전송요청 문자 정보의 수신에 따라 전송요청 문자 정보로부터 채팅자를 나타내는 식별자를 결정하고 채팅 문자를 제어 유닛(107)이 추출한다. 채팅자의 식별자는 예를 들어 사용자 ID를 나타내거나 채팅방 입장시에 채팅자를 구별하기 위해서 입력된 임시 ID 등일 수 있다. 채팅자의 식별자는 그 외 채팅 단말(200)의 식별자이거나 채팅 단말(200)의 식별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유닛(107)은 채팅자의 식별자 및 채팅 문자를 포함하는 전송용 문자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전송용 문자 정보를 채팅방 내의 채팅 단말(200)로 통신 유닛(101)을 통해서 전송한다. 전송용 문자 정보가 전달되는 채팅 단말(200)은 채팅방 내의 모든 채팅 단말(200)들이거나 전송요청 문자 정보를 출력한 채팅 단말(200)을 제외한 나머지 채팅 단말(200)들 일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각각의 채팅자는 공통적으로 또는 개별적으로 활용가능한 음성 소스를 이용하여 외국어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적은 데이터량으로 채팅자별로 음성 특징이 서로 다른 음성 채팅이 가능하다.
도 3은 채팅 단말(200)의 예시적인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따르면 채팅 단말(200)은 문자 인식부(201), 통신부(203), 제어부(205), 화면 표시부(207), 저장부(215), 문자 음성 변환부(209), 음성 출력부(211), 외부 음성기기 연결부(213)를 포함한다. 도 3의 블록도는 바람직하게는 기능 블록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설계 변형에 따라 특정 블록이 생략될 수도 있다. 또는 도 3에 도시되지 않은 다른 블록이 이 채팅 단말(200)에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도 3을 통해서 채팅 단말(200)을 하드웨어와 연관하여 살펴보면, 문자 인식부(201)는 채팅방에 송출될 채팅 문자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문자 인식부(201)는 키보드, 마우스, 터치 패널, 전자펜, 마이크 등을 구비하여 입력 신호에서 채팅방에서 출력될 채팅 문자를 인식하고 인식된 문자를 제어부(205)로 출력하거나 채팅 문자 인식에 이용될 데이터(예를 들어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자 인식부(201)는 키보드나 터치 패널 등을 이용하여 선택된 문자 신호를 수신하거나 마이크를 통해서 입력된 음성 신호를 하나 이상의 문자로 변환(예를 들어 음성-문자 변환기)하거나 전자펜을 통해서 입력된 터치 신호로부터 문자로 변환(예를 들어 이미지-문자 변환기)하고 인식된 문자를 제어부(205)로 출력할 수 있다. 문자 인식부(201)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음성 신호를 나타내는 문자 변환 없이 제어부(205)로 출력할 수도 있다.
통신부(203)는 채팅 서버(1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통신부(203)는 유선 랜 또는 무선 랜이나 이동 통신망에 인터페이스 하기 위한 통신 칩셋 등을 구비하여 채팅 서버(100)로부터의 전송용 문자 정보를 나타내는 통신 패킷을 수신하고 이를 제어부(205)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03)는 제어부(205)로부터의 전송요청 문자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채팅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저장부(215)는 비휘발성 메모리 및/또는 하드디스크 등과 같은 대용량 저장 매체를 포함하여 각종 데이터와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예를 들어 저장부(215)는 음성 변환에 이용될 하나 이상의 음성 소스를 저장하고 제어부(205)나 문자 음성 변환부(209) 등에서 이용될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한다. 제어부(205)나 문자 음성 변환부(209) 등은 채팅 단말(200)에 구성되고 프로그램 코드를 수행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실행 유닛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205)는 저장부(215)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채팅 단말(200)의 블록들을 제어한다. 제어부(205)는 통신부(203)를 통해 통신 패킷을 수신하고 수신된 통신 패킷에서 전송용 문자 정보를 추출하고 전송용 문자 정보의 채팅 문자를 화면 표시부(207)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5)는 전송용 문자 정보의 채팅 문자와 전송용 문자 정보를 보낸 채팅자에 대응하는 변환 정보를 결정하여 채팅 문자와 변환 정보를 문자 음성 변환부(209)로 전달할 수 있다. 전송용 문자 정보는 채팅 문자를 포함하고 변환 정보나 음성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전송용 문자 정보는 저장부(215)에 채팅 문자를 전송한 채팅자를 위한 음성 소스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 변환 정보를 포함하고 음성 소스가 없는 경우에 채팅 서버(100)에 의해서 변환된 음성 데이터를 바람직하게 포함한다.
또한, 제어부(205)는 문자 인식부(201)를 통해 인식된 문자를 수신하고 이를 화면 표시부(207)를 통해서 출력하고 이후 채팅 단말(200)의 채팅자의 입력(예를 들어 전송 입력)에 따라 인식된 문자를 채팅 문자로 구성하고 채팅 문자를 포함하는 전송요청 문자 정보를 생성하여 통신부(203)를 통해 채팅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문자 인식 과정에서 제어부(205)는 인식된 문자를 화면 표시부(207)를 통해서 출력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채팅자는 전송될 채팅 문자를 변경할 수 있다. 특히, 마이크를 이용하는 경우에 음성 인식을 통해서 인식된 문자의 정확도 여부의 확인으로 발음 교정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는, 제어부(205)는 변환된 채팅 문자 대신에 마이크 등을 통해서 수신된 음성 신호의 음성 데이터를 포함하는 전송요청 문자 정보를 생성하여 통신부(203)를 통해 채팅 서버(1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채팅 단말(200)은 채팅 문자를 나타낼 수 있는 전송요청 문자 정보를 채팅 서버(100)로 전송한다.
문자 음성 변환부(209)는 제어부(205)에 연결되어 제어부(205)로부터의 채팅 문자를 음성으로 변환한다. 수신되는 채팅 문자는 예를 들어 채팅 서버(100)로부터 수신되는 전송용 문자 정보에 포함된 문자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문자 음성 변환부(209)는 프로그램 형태의 TTSE(Text-To-Speech Engine)을 구비하여 채팅 문자를 대응하는 음성으로 변환하는 데, 문자 음성 변환부(209)는 채팅 문자에 대응하는 변환 정보의 음성 소스 식별자로써 저장부(215)에 저장되어 음성 변환에 이용될 음성 소스를 선택하며, 선택된 음성 소스를 이용하여 채팅 문자를 음성(기본 음성)으로 변환한다.
또한 채팅자의 숫자에 비하여 이용가능한 음성 소스의 개수가 부족하여 변조 등을 이용하는 경우, 문자 음성 변환부(209)는 수신된 변환 정보에 포함된 변조 데이터, 배경음원 데이터 또는 관용문자 데이터를 기본 음성에 적용하여 변조하거나 배경음을 추가 또는 믹싱하거나 관용문자에 해당하는 음성을 추가한다. 이와 같이 문자 음성 변환부(209)는 저장부(215)에 저장되어 있는 음성 소스와 채팅 문자를 전송한 채팅 단말(200)에 대응하는 변환 정보를 이용하여 수신된 채팅 문자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에 따라 음성 소스가 부족하더라도 변조 데이터, 배경음원 데이터나 관용문자 데이터의 적용으로 각 채팅자별로 구별되는 음색이나 특성을 가지는 음성을 채팅방 내에서 가질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문자 음성 변환부(209)는 채팅 문자를 송출한 채팅 단말(200)에 맵핑되어 있는 변환 정보를 활용하여 채팅 문자를 각 채팅 단말(200)별로 상이한 음성으로 변환하여 음성 출력부(211)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205)로부터 미리 변환된 음성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에 문자 음성 변환부(209)는 채팅 문자의 음성 변환을 생략하고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음성 출력부(211)와 외부 음성기기 연결부(213)으로 출력(바이패스)한다.
화면 표시부(207)는 LCD, LED 디스플레이를 구비하여 제어부(205)로부터의 이미지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화면 표시부(207)는 채팅방에서 이루어지는 각종 채팅 문자를 나타내는 이미지를 제어부(205)로부터 수신하여 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화면 표시부(207)는 문자 인식부(201)를 통해서 인식된 하나 이상의 문자를 출력할 수 있다.
음성 출력부(211)는 문자 음성 변환부(209)에 연결되어 변환된 음성을 출력한다. 음성 출력부(211)는 오디오 코덱, 스피커 등을 구비하여 변환된 음성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외부 음성기기 연결부(213)는 채팅 단말(200) 외부의 음성기기에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외부 음성기기 연결부(213)는 블루투스 인터페이스를 위한 통신 칩셋을 구비하여 블루투스 기능을 구비한 스피커와 연결되어 변환된 음성을 블루투스 스피커로 출력한다.
도 4는 문자 채팅 이전에 공통되는 음성 소스를 이용하여 각 채팅자별로 구별되는 음성을 설정하기 위한 예시적인 설정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3을 통해서 이미 살펴본 내용은 간단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여기서 채팅 단말(200)에서 이루어지는 처리와 데이터 송수신은 제어부(205)에 의한 제어로 이루어지고 채팅 서버(100)에서 이루어지는 처리와 데이터 송수신은 제어 유닛(107)에 의한 제어로 바람직하게 이루어진다.
도 4에서는 두 개의 채팅 단말(200)이 채팅방을 개설하거나 입장하여 채팅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세 개 이상의 채팅 단말(200)에 의해서 채팅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먼저, 각각의 채팅 단말(200)(채팅 단말 1 및 채팅 단말 2)은 채팅 서버(100)에 사용자 ID를 이용하여 로그인하고 그 과정에서 채팅 단말(200)과 채팅 서버(100)간의 연결을 설정(① 참조)한다.
연결 설정 과정에서 채팅 서버(100)는 각 채팅 단말(200)이 구비하고 있는 음원 소소들의 식별자를 인식하거나 수신하고 이를 사용자 엔트리의 음원 소스 ID로 저장하고 사용자 엔트리의 채팅 단말(200)의 식별자를 결정하고 저장할 수 있다.
각각의 채팅 단말(200)들은 로그인에 후속하여 현재 개설중인 채팅방을 서핑하거나 임의의 채팅방을 개설할 수 있다. 개설하고자 하는 채팅 단말(200)은 채팅방 개설 요청을 채팅 서버(100)로 전송(② 참조)한다. 채팅방 개설 요청은 각종 조건을 요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팅방 개설 요청은 연령대, 성별, 지역, 관심 분야 등의 참여 조건을 포함하거나 지정된 특정 채팅자의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채팅방 개설 요청에 따라, 채팅 서버(100)는 채팅방 ID를 부여하고 개설 요청한 채팅 단말(200)이 참여하는 채팅방을 개설(③ 참조)한다. 개설된 채팅방에 대한 정보나 이미지는 임의의 채팅 단말(200), 조건에 부합하는 채팅 단말(200)이나 지정된 채팅 단말(200)로 채팅 서버(100)에 의해서 전송될 수 있다.
특정 임의의 채팅 단말(200)은 개설된 채팅방의 채팅 참여를 요청(④ 참조)할 수 있다.
여러 채팅 단말(200)로부터의 채팅 참여 요청을 수신한 채팅 서버(100)는 채팅방의 지정된 대기시간(예를 들어 5분, 10분 등)을 경과한 후에, 참여할 모든 채팅 단말(200)에서 구비되어 이용 가능한 공통의 음성 소스를 결정(⑤ 참조)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채팅 단말(200)이 'A'와 'B' 음성 소스를 가지고 다른 채팅 단말(200)이 'B' 음성 소스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 서로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B'를 이용 가능한 음성 소스로 결정하여 두 채팅자 중 하나에 할당하며, 나머지 채팅자에 대해서는 'B'를 이용한 기본 음성에 변조 등을 수행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만일 두 개의 음성 소스를 서로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경우에 두 개의 음성 소스를 이용 가능한 음성 소스로 결정하고 두 채팅자에 할당할 수 있다.
이후 채팅 서버(100)는 이용 가능한 음성 소스로부터 음성을 생성하기 위한 복수의 변환 정보를 생성(⑥)한다.
예를 들어, 채팅 서버(100)는 이용 가능한 음성 소스에 톤이나 피치 등의 변조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각각의 변조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배경 음원을 추가하기 위한 배경음원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관용문자를 추가하도록 하는 관용문자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각각의 변환 정보는 음원 소스의 식별자를 포함하며, 실시 형태에 따라 음성 소스가 부족한 경우 특정 변조 데이터, 특정 배경음원 데이터 및/또는 특정 관용문자 데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채팅 단말(200)에 구비되는 음원 소스가 하나인 경우, 음원 소스의 식별자(ID)는 생략될 수도 있다.
채팅 서버(100)는 적어도 현재 참여 예상중인 채팅 단말(200)의 인원수보다는 많은 개수의 변환 정보들을 생성한다.
채팅 서버(100)는 생성된 복수의 변환 정보(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채팅방에 참여하는 채팅 단말(200)들로 출력(⑦ 참조)한다.
출력되는 복수의 변환 정보는 다른 정보들과 같이 전송된다. 예를 들어 복수의 변환 정보 각각은 서로 다른 특정 이미지 아이콘과 음성 샘플에 맵핑되어 같이 전송된다.
채팅 단말(200)은 수신된 복수의 변환 정보를 같이 맵핑되어 전송된 이미지 아이콘 등을 이용하여 표시하고 특정 변환 정보에 대한 사용자 선택을 수신(⑧ 참조)한다. 예를 들어 채팅 단말(200)은 각 변환 정보에 대응하는 음성 샘플을 음성 출력부(211)를 통해서 출력할 수 있고 그에 따른 채팅자의 선택을 키보드, 마우스, 터치 패널, 버튼 등을 통해서 수신할 수 있다.
각각의 채팅 단말(200)은 선택된 변환 정보를 나타내는 선택 정보를 채팅 서버(100)로 전송한다. 그에 따라 채팅 서버(100)는 여러 채팅 단말(200) 각각으로부터 복수의 변환 정보 중에서 선택된 변환 정보의 선택을 수신(⑨ 참조)한다.
채팅 서버(100)는 각각의 채팅 단말(200)이 선택한 변환 정보를 각 채팅 단말(200)에 맵핑시켜 저장(⑩ 참조)한다. 예를 들어 채팅 서버(100)는 채팅방 엔트리에 맵핑 리스트를 생성하고 맵핑 리스트에 각 채팅자별로 채팅자 식별자와 선택된 변환 정보를 맵핑시킨다.
맵핑 과정 이후에, 채팅 서버(100)는 채팅 시작을 요청(⑪ 참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팅 서버(100)는 신규의 채팅방이 개설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상태정보를 생성하여 각 채팅 단말(200)로 전송하고 각 채팅 단말(200)은 이 상태정보의 수신에 따라 화면 표시부(207)에 신규 채팅방의 이미지를 표시하고 각 채팅자별 채팅 문자를 출력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설정하에서 채팅 문자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언어 학습이 가능토록 하는 문자 채팅의 예시적인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의 흐름은 도 4의 설정 과정이 완료된 후에 시작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4를 통해서 이미 살펴본 내용은 간단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여기서 채팅 단말(200)에서 이루어지는 처리와 데이터 송수신은 제어부(205)에 의한 제어로 이루어지고 채팅 서버(100)에서 이루어지는 처리와 데이터 송수신은 제어 유닛(107)에 의한 제어로 바람직하게 이루어진다. 도 5에서는 두 개의 채팅 단말(200) 사이에 채팅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이해를 위한 것이고 3개 이상의 채팅 단말(200) 사이에서의 채팅 흐름도 동일하게 구성된다.
도 5의 (a)는 변환 정보와 채팅자 간의 맵핑 관계가 적어도 문자 채팅 전에 미리 전송되는 경우의 문자 채팅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의 (b)는 변환 정보가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문자 채팅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의 (a)를 살펴보면, 채팅 서버(100)는 적어도 채팅 문자의 전달에 앞서 맵핑 정보를 채팅방의 모든 채팅 단말(200)들로 전송(① 참조)한다. 맵핑 정보는 도 4의 과정 ⑩에 의해서 생성된 맵핑 관계를 나타낸다. 이 맵핑 관계는 채팅방에 참여하고 있는 각 채팅 단말(200)과 각 채팅 단말(200)의 선택에 따라 맵핑되어 있는 변환 정보의 대응 관계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맵핑 정보는 채팅자의 식별자(사용자 ID, 채팅방에서 이용되는 임의의 ID, 및 채팅 단말(200)의 식별자 중 하나 이상의 식별자)에 대응하는 변환 정보를 포함한다. 변환 정보는 음성 소스의 식별자를 포함하고 나아가 변조 등에 이용될 데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맵핑 정보의 수신에 따라 각 채팅 단말(200)은 저장부(215)에 현재 채팅방에 참여중인 각 채팅 단말(200)의 변환 정보를 채팅자의 식별자에 맵핑시켜 임시 저장(② 참조)한다.
그리고 문자 인식부(201)를 통해서 문자를 인식하고 채팅 문자의 전송 요청을 채팅자로부터 수신한 채팅 단말(200)은 전송요청 문자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전송요청 문자 정보를 설정된 통신 채널을 통해 채팅 서버(100)로 전송하고 채팅 서버(100)는 이를 수신(③ 참조)한다.
전송요청 문자 정보는 채팅 문자를 나타내고 예를 들어 문자열을 포함하거나 음성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전송요청 문자 정보의 수신에 따라, 채팅 서버(100)는 전송용 문자 정보를 생성(④ 참조)한다. 전송용 문자 정보는 전송요청 문자 정보를 출력한 채팅자의 식별자를 포함하고 전송요청 문자 정보로부터 추출되거나 변환된 채팅 문자를 포함한다.
전송요청 문자 정보가 음성 데이터를 포함하는 경우에, 채팅 서버(100)는 음성 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이 음성 데이터를 문자로 변환하고 변환된 문자를 채팅 문자로 인식한다.
채팅 서버(100)는 음성 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인식된 채팅 문자를 다른 채팅 단말로 전송하지 전, 전송 요청한 채팅 단말로 먼저 보내어 확인받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ove를 rub로 잘못 발음하는 것과 같이 발음상의 문제가 있거나 음성 인식 과정상의 오류 등으로 인해서 변환된 채팅 문자가 원하는 결과와는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채팅 단말은 채팅 서버(100)로부터 수신된 채팅 문자를 수정하거나 다시 발음해서 올바른 채팅 문자로 인식될 때까지 반복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음성 인식 알고리즘에 의한 채팅 문자의 생성이 채팅 서버가 아닌 채팅 단말에서 수행되는 경우에도 이러한 확인 및 수정 과정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채팅 서버(100)는 생성된 전송용 문자 정보를 채팅방에 참여중인 채팅 단말(200)들로 전송(⑤ 참조)한다. 예를 들어 채팅 서버(100)는 채팅방의 모든 채팅 단말(200)로 전송용 문자 정보를 전송하거나 채팅방의 모든 채팅 단말(200)들 중 전송요청 문자 정보를 출력한 채팅 단말(200)을 제외한 나머지 채팅 단말(200)로 전송용 문자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전송용 문자 정보를 수신한 각각의 채팅 단말(200)은 전송용 문자 정보로부터 채팅 문자를 추출하고 채팅 문자를 전송한 채팅자의 식별자를 추출한다. 채팅자의 식별자는 예를 들어 사용자 ID나 채팅방에서 이용되는 ID이거나 채팅 단말(200)의 식별자일 수 있다. 채팅 단말(200)은 또한 저장부(215)에 미리 저장된 변환 정보들로부터 채팅 단말(200)을 사용하는 채팅자의 식별자에 맵핑되어 있는 변환 정보를 결정한다.
변환 정보가 결정됨에 따라 채팅 단말(200)의 문자 음성 변환부(209)는 변환 정보에 포함된 음성 소스의 식별자에 대응하는 음성 소스를 이용하여 채팅 문자를 음성(기본 음성)으로 변환하며, 실시 형태에 따라서는 변환 정보에 변조 데이터, 배경음원 데이터나 관용문자 데이터 등이 추가로 포함되어 있는 경우 이를 이용하여 기본 음성으로부터 변조 등을 더 수행한 후 음성 출력부(211)를 통해서 출력(⑥ 참조)한다.
채팅방의 다른 채팅 단말(200)들 또한 동일한 제어 흐름을 통해서 채팅 문자를 전송할 수 있고 각 채팅 단말(200)은 채팅 문자를 전송한 채팅 단말(200)의 음성 특색에 따라 구별되는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읽기나 쓰기(채팅 문자)에 따른 외국어 학습뿐 아니라 듣기에 따른 외국어 학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의 (b)를 살펴보면(이미 도 5의 (a)를 통해서도 상세히 살펴보았으므로 여기서는 더욱 간단하게 살펴본다), 도 4의 설정 과정 이후에 채팅 서버(100)는 맵핑 정보를 참여중인 채팅 단말(200)로 미리 전송하지는 않는다.
특정 채팅 단말(200)로부터 전송요청 문자 정보를 수신(① 참조)하면, 채팅 서버(100)는 수신된 전송요청 문자 정보에서 채팅 문자를 전송한 채팅자의 식별자를 결정하고 채팅자의 식별자에 맵핑된 변환 정보를 채팅방 엔트리의 맵핑 리스트를 이용하여 결정한다. 예를 들어 전송요청 문자 정보를 전송한 통신 채널로부터 채팅자(채팅 단말(200))의 식별자를 결정하거나 전송요청 문자 정보에 포함된 채팅자의 식별자를 추출하고 채팅자의 식별자에 대응하는 변환 정보를 채팅방 엔트리의 맵핑 리스트에서 추출한다.
채팅 서버(100)는 추출되거나 변환된 채팅 문자, 채팅자의 식별자 및 결정된 변환 정보를 포함하는 전송용 문자 정보를 생성(② 참조)한다.
이후, 채팅 서버(100)는 생성된 전송용 문자 정보를 채팅방에 참여중인 채팅 단말(200)로 전송(③ 참조)한다. 모든 채팅 단말(200)이 이 전송용 문자 정보를 수신하거나 채팅 문자를 전송한 채팅 단말(200)을 제외한 나머지 채팅 단말(200)이 이 전송용 문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각각의 채팅 단말(200)은 전송용 문자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전송용 문자 정보에서 채팅 문자와 채팅자의 식별자를 추출하여 해당 채팅자에 의해서 채팅 문자가 발송되었음을 화면 표시부(207)를 통해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채팅 단말(200)은 전송용 문자 정보에서 변환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변환 정보에 의해 특정 음원 소스를 선택하고 특정 음원 소스를 이용하여 채팅 문자에 해당하는 음성(기본 음성)을 생성한다. 실시 형태에 따라 음성 소스가 부족한 경우에는 변환 정보에 포함된 변조 데이터 등에 따라 기본 음성을 변조하는 등의 과정을 더 수행한 후 음성 출력부(211)를 통해 출력(④ 참조)한다.
채팅방의 다른 채팅 단말(200)들 또한 동일한 제어 흐름을 통해서 채팅 문자를 전송할 수 있고 각 채팅 단말(200)은 채팅 문자를 전송한 채팅 단말(200)의 음성 특색에 따라 구별되는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도 6은 문자 채팅 이전에 각 채팅자별 이용 가능한 음성 소스를 이용하여 구별되는 음성을 설정하기 위한 예시적인 설정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설정 흐름은 채팅자들이 공통으로 이용 가능한 음성(원) 소스를 이용하여 선택된 음성을 맵핑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반면, 도 6은 각 채팅자별로 이용 가능한 음성 소스가 각 채팅자별로 맵핑되어 다른 채팅자에게 출력될 수 있도록 하는 설정 흐름이다. 즉, 도 6은 채팅자가 영구 구매하였거나 채팅방에서의 이용을 위해 구매한 음성 소스가 해당 채팅자를 위해서 이용되어 채팅방의 다른 채팅자에게 출력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설정 흐름이다.
여기서, 도 4와 공통되는 내용은 간단하게 살펴보도록 하고 차이가 나는 내용을 위주로 하여 좀 더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채팅 단말(200)에서 이루어지는 처리와 데이터 송수신은 제어부(205)에 의한 제어로 이루어지고 채팅 서버(100)에서 이루어지는 처리와 데이터 송수신은 제어 유닛(107)에 의한 제어로 바람직하게 이루어진다.
먼저, 각각의 채팅 단말(200)(채팅 단말 1 및 채팅 단말 N)은 채팅 서버(100)에 사용자 ID를 이용하여 로그인하고 그 과정에서 채팅 단말(200)과 채팅 서버(100)간의 연결을 설정한다.
연결 설정 과정에서 또는 후속하여 채팅 서버(100)는 각 채팅 단말(200)에서 채팅방에서 이용 가능한 하나 이상의 음성 소스를 각 채팅 단말(200)별로 결정(① 참조)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사용자 ID를 이용한 로그인에 따라 로그인한 사용자의 채팅 단말(200)에 대응하는 사용자 엔트리를 채팅 서버(100)가 결정하고 사용자 엔트리 내의 하나 이상의 음성 소스(음성 소스의 식별자)를 결정한다. 채팅 단말(200)에서 이용 가능한 하나 이상의 음성 소스는 사용자의 채팅 단말(200)에 저장되어 있고 영구 사용권이 허락된 음성 소스이거나(고) 임시 사용권이 허락된 음성 소스이거나(고) 채팅 서버(100)에 저장되어 사용자에게 접속 권한이 허락된 음성 소스일 수 있다. 각각의 이용 가능한 음성 소스는 음성 소스의 식별자와 타입 데이터로 구별 가능하고 사용자의 로그인에 따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된다.
음성 소스의 결정 과정에서 또는 결정 이전에, 채팅 서버(100)는 저장 유닛(103)의 사용자 엔트리 등을 이용하여 각 채팅 단말(200)별로 각 채팅 단말(200)에 저장되어 임시 사용권이 허락된 음성 소스를 결정하고 임시 사용권이 허락된 음성 소스의 임시 사용을 위한 토큰을 채팅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토큰의 전송으로 채팅 단말(200)은 해당 음성 소스를 채팅 과정에서 이용 가능하고 채팅 서버(100)는 이 음성 소스에 기초한 음성을 채팅자를 위한 음성으로 활용할 수 있다.
토큰 전송 과정에서 또는 로그인 과정에서, 채팅 서버(100)는 임시 사용권이 허락된 음성 소스에 대한 과금이나 과금 상태, 채팅 서버(100)에 저장되어 있는 음성 소스의 사용에 따른 과금이나 과금 상태 등을 채팅 단말(200)로 출력할 수 있다.
각각의 채팅 단말(200)들은 로그인에 후속하여 임의의 채팅방을 개설할 수 있고 채팅방을 개설하고자 하는 채팅 단말(200)은 채팅방 개설 요청을 채팅 서버(100)로 전송(② 참조)한다.
채팅방 개설 요청에 따라, 채팅 서버(100)는 채팅방 ID를 부여하고 채팅방을 개설(③ 참조)한다.
특정 임의의 채팅 단말(200)은 개설된 채팅방의 채팅 참여를 요청(④ 참조)할 수 있다.
여기서, 음성 소스의 결정 과정은 미리 결정(① 참조)되거나 채팅방 참여 이후(예를 들어 ④ 이후)에 이루어질 수 있다.
여러 채팅 단말(200)(200)로부터의 채팅 참여 요청을 수신한 채팅 서버(100)는 채팅방의 지정된 대기시간(예를 들어 5분, 10분 등)을 경과한 후에, 각 채팅 단말(200)이 이용 가능한 음성 소스로부터 채팅 음성을 생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변환 정보를 생성(⑤ 참조)한다.
예를 들어, 채팅 서버(100)는 각 채팅 단말(200)별 이용 가능한 하나 이상의 음성 소스를 나타내거나 해당 음성 소스로부터 변조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변환 정보를 생성한다. 변환 정보는 음성 소스의 식별자를 포함하고 음성 소스에 톤이나 피치 등의 변조를 위한 변조 데이터, 배경 음원을 추가하기 위한 배경음원 데이터 및/또는 관용문자를 추가하도록 하는 관용문자 데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용 가능한 음성 소스는 채팅 단말(200)에 저장되어 있고 영구 사용권이나 임시 사용권이 허락된 음성 소스이거나 채팅 서버(100)에 저장되어 접속 권한이 허락된 음성 소스일 수 있다.
각 채팅 단말(200)에서 이용 가능한 음원 소스에 따라 각 채팅 단말(200)별로 생성되는 하나 이상의 변환 정보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채팅방에 참여하는 여러 채팅 단말(200)이 공통의 음성 소스를 이용 가능한 경우에, 공통의 음성 소스를 이용하는 특정 변환 정보는 여러 채팅 단말(200)을 위해 생성될 수 있다.
채팅 서버(100)는 각 채팅 단말(200)을 위해서 생성된 하나 이상의 변환 정보를 각 채팅 단말(200)로 통신 네트워크(300)를 통해 출력(⑥ 참조)한다.
출력되는 하나 이상의 변환 정보는 다른 정보들과 같이 전송되고 예를 들어 각각의 변환 정보는 서로 다른 특정 이미지 아이콘, 음성 샘플 및/또는 다른 채팅자와 공동이용 가능 플래그와 함께 맵핑되어 같이 전송된다. 특정 하나의 변환 정보가 여러 채팅 단말(200)과 공통으로 이용 가능한 경우에 공동으로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공동이용 가능 플래그가 설정되어 채팅 단말(200)로 출력된다.
채팅 단말(200)은 수신된 하나 이상의 변환 정보를 같이 맵핑되어 전송된 이미지 아이콘, 음성 샘플, 공동이용 가능 플래그 등을 이용하여 표시하고 특정 변환 정보에 대한 사용자 선택을 수신(⑦ 참조)한다.
각각의 채팅 단말(200)은 선택된 변환 정보를 나타내는 선택 정보를 채팅 서버(100)로 전송하고 그에 따라 채팅 서버(100)는 채팅 단말(200) 각각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변환 정보 중에서 선택된 변환 정보의 선택을 수신(⑧ 참조)한다.
채팅 서버(100)는 채팅 단말(200)이 선택한 변환 정보를 채팅 단말(200)에 맵핑시켜 저장(⑨ 참조)한다. 예를 들어 채팅 서버(100)는 채팅방 엔트리에 생성된 맵핑 리스트에 채팅자별로 채팅자 식별자와 선택된 변환 정보를 맵핑시킨다.
변환 정보의 선택 수신 이후에(또는 맵핑 과정 이후에), 채팅 서버(100)는 공동이용 가능 플래그 등을 활용하여 선택된 변환 정보가 여러 채팅자가 공통으로 선택할 수 있는 변환 정보인지를 결정한다. 만일 공통으로 선택가능한 변환 정보가 먼저 선택된 경우에, 이 변환 정보가 출력된 채팅 단말(200)(들)을 채팅 서버(100)가 결정하고 해당 채팅 단말(200)을 위해 생성된 하나 이상의 변환 정보에서 선택된 변환 정보가 선택불가능하도록(생략되도록) 각 채팅 단말(200)을 위한 하나 이상의 변환 정보를 변경(⑩ 참조)한다.
각 채팅 단말(200)을 위해 변경된 하나 이상의 변환 정보는 채팅 서버(100)에 의해 다시 채팅 단말(200)로 출력(⑪ 참조)될 수 있고 각 채팅 단말(200)은 변경된 변환 정보에서 특정 하나의 변환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채팅 서버(100)는 각 채팅 단말(200)이 이용 가능한 여러 음성 소스 중에서 특정 음성 소스 또는 특정 음성 소스로부터 변조 등이 된 음성 소스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각 채팅 단말(200)은 특정 음성에 맵핑되어 문자 채팅시에 해당 음성을 이용하여 음성 채팅이 가능하다.
이후, 채팅 서버(100)는 채팅 시작을 요청(⑫ 참조)할 수 있다.
도 7은 도 6의 설정하에서 채팅 문자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언어 학습이 가능토록 하는 문자 채팅의 예시적인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채팅 서버(100)와 연결된 3대의 채팅 단말(200)에서 채팅이 이루어지는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각 채팅 단말(200)에서 이용 가능한 음성 소스를 각 채팅 단말(200)에 맵핑하여 해당 음성 소스가 다른 채팅 단말(200)에 구비되었는지에 상관없이 다른 채팅 단말(200)에서 출력될 수 있도록 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채팅 단말(200)에서 이루어지는 처리와 데이터 송수신은 제어부(205)에 의한 제어로 이루어지고 채팅 서버(100)에서 이루어지는 처리와 데이터 송수신은 제어 유닛(107)에 의한 제어로 바람직하게 이루어진다.
도 7의 예는 도 6에 후속하여 이루어지는 예로서, 채팅 단말(200) 1의 저장부(215)에는 다른 채팅 단말(200)( 2, 3)에 매칭될 음성 소스를 모두 저장하고 있고, 채팅 단말(200) 2는 채팅 단말(200) 1에 매칭될 음성 소스를 저장하고 있으나 채팅 단말(200) 3에 매칭될 음성 소스가 없고 채팅 단말(200) 3의 저장부(215)는 음성 소스를 저장하고 있지 않고 채팅 서버(100)에서 접속 권한을 제공한 음성 소스를 자신에게 매칭하고 이러한 정보를 변환 정보로서 이용하는 예를 도시한다.
도 6의 과정을 통해서, 채팅 단말(200) 1은 채팅 단말(200) 1에서 이용 가능한 음성 소스를 선택할 수 있다. 이 음성 소스는 예를 들어 영구 사용권이 허락된 음성 소스일 수 있다. 채팅 단말(200) 2는 채팅 단말(200) 2에서 이용 가능한 음성 소스를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토큰에 의해서 구동되는 임시 사용권이 허락된 음성 소스를 선택할 수 있다. 채팅 단말(200) 3은 채팅 서버(100)에 접속 권한이 허락된 음성 소스를 선택할 수 있다.
채팅 시작 이후에, 각각의 채팅 단말(200)들은 채팅 문자를 서로 송수신할 수 있는 데, 예를 들어 채팅 단말(200) 1은 문자 인식부(201)나 마이크 등을 통해 전송요청 문자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전송요청 문자 정보를 채팅 서버(100)로 전송하고 채팅 서버(100)는 이를 통신 유닛(101)을 통해 수신(① 참조)한다.
전송요청 문자 정보는 채팅 문자를 포함하거나 음성 데이터를 포함한다. 만일 음성 데이터를 포함하는 경우 채팅 서버(100)는 음성 데이터를 채팅 단말(200) 1이 전송한 채팅 문자로 변환한다.
전송요청 문자 정보의 수신에 따라, 채팅 서버(100)는 전송요청 문자 정보를 출력한 채팅 단말(200)(채팅 단말 1)에 맵핑된 음성 소스를 결정(② 참조)한다. 구체적으로 채팅 서버(100)는 전송요청 문자 정보를 전송한 채팅 단말(200)의 채팅자 식별자를 결정하고 채팅방 엔트리의 맵핑 리스트에서 이 채팅자 식별자에 맵핑된 변환 정보로부터 음성 소스 식별자를 추출하여 맵핑된 음성 소스를 결정할 수 있다.
채팅 문자를 나타내는 전송요청 문자 정보를 전송한 채팅 단말(200)의 음성 소스가 결정됨에 따라, 이후 채팅 서버(100)는 이 음성 소스가 채팅방 내의 채팅 단말(200)들 중 채팅 문자를 전송한 채팅 단말(200)과는 다른 채팅 단말(200)에서 이용 가능한지를 결정(③ 참조)한다.
음성 소스의 채팅 단말(200)에서의 이용 가능 여부에 따라 각 채팅 단말(200)을 위한 전송용 문자 정보를 채팅 서버(100)가 생성(④ 참조)한다.
구체적으로, 채팅방 엔트리의 채팅자 식별자 각각에 대응하는 사용자 엔트리를 채팅 서버(100)가 결정하고 각 사용자 엔트리에서 이용 가능한 음성 소스와 유형에 기초하여 만일 결정된 음성 소스가 채팅 문자를 수신할 채팅 단말(200)에 존재하는 경우에, 이 채팅 단말(200)을 위한 전송용 문자 정보를 채팅 서버(100)가 생성한다. 이 전송용 문자 정보는 맵핑된 변환 정보와 채팅 문자를 적어도 포함한다.
만일, 채팅 문자를 수신할 채팅 단말(200)에서 결정된 음성 소스가 이용 불가능한 경우에, 채팅 서버(100)는 채팅 문자를 전송한 채팅자에 맵핑되어 있는 변환 정보를 이용하여 맵핑된 음성 소스로 수신되거나 변환된 채팅 문자를 음성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음성 데이터와 채팅 문자를 포함하는 전송용 문자 정보를 생성한다. 이 전송용 문자 정보는 변환된 음성 데이터와 채팅 문자를 적어도 포함한다.
채팅 서버(100)는 각 채팅 단말(200)을 위해서 생성된 전송용 문자 정보를 각 채팅 단말(200)로 전송(⑤ 참조)한다.
예를 들어, 채팅 단말(200) 1의 음성 소스를 가진 채팅 단말(200) 2는 채팅 단말(200) 1에 맵핑된 변환 정보와 채팅 문자를 포함하는 전송용 문자 정보를 수신하고 채팅 단말(200) 1의 음성 소스를 가지지 못한 채팅 단말(200) 3은 채팅 단말(200) 1에 맵핑된 음성 소스에 기초하여 변환된 음성 데이터와 전송용 문자 정보를 수신한다.
전송용 문자 정보의 수신에 따라, 각 채팅 단말(200)은 수신된 전송용 문자 정보를 이용하여 채팅 문자를 각 채팅자에 할당된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⑥ 참조)한다.
예를 들어 채팅 단말(200) 2는 전송용 문자 정보에 포함된 변환 정보를 이용하여 저장부(215)에 저장된 음성 소스를 식별하고 식별된 음성 소스를 이용하여 채팅 문자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음성 출력부(211)나 외부 음성기기 연결부(213)를 통해서 출력한다.
채팅 단말(200) 3은 전송용 문자 정보에 포함된 음성 데이터를 음성 출력부(211)나 외부 음성기기 연결부(213)를 통해 출력한다.
다른 채팅 단말(200)들 또한 전송요청 문자 정보를 생성하여 채팅방 내의 다른 채팅 단말(200)들로 채팅 문자를 전송하고 각 채팅 단말(200)에 할당된 음성으로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팅 단말(200) 2는 채팅 문자를 나타내는 음성 데이터를 포함하는 전송요청 문자 정보를 채팅 서버(100)로 전송하고 채팅 서버(100)는 채팅 단말(200) 2에 맵핑된 음성 소스를 결정하고 채팅 단말(200) 1과 채팅 단말(200) 3에서 채팅 단말(200) 2를 위한 음성 소스가 이용 가능한지를 결정한다. 또한, 채팅 서버는 음성 데이터를 채팅 문자로 변환한다.
채팅 단말(200) 1에서는 채팅 단말(200) 2의 음성 소스가 이용 가능하기에 채팅 서버(100)는 맵핑된 음성 소스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변환 정보와 채팅 문자를 포함하는 전송용 문자 정보를 생성하여 채팅 단말(200) 1로 전송한다.
채팅 단말(200) 3에서는 채팅 단말(200) 2의 음성 소스가 이용 불가능하기에, 채팅 서버(100)는 저장 유닛(103)에 저장되어 있고 채팅 단말(200) 2에 맵핑된 음성 소스를 이용하여 채팅 문자를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고 변환된 음성 데이터와 채팅 문자를 포함하는 전송용 문자 정보를 생성하여 채팅 단말(200) 3으로 전송한다.
이와 같은 흐름을 통해서, 각 채팅자가 선택할 음성이 다른 채팅자의 이용 가능 여부에 상관없이 출력되어 각 채팅자의 특성에 맞는 문자 채팅과 그 변환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0 : 채팅 서버
101 : 통신 유닛 103 : 저장 유닛
105 : 연결 유닛 107 : 제어 유닛
200 : 채팅 단말
201 : 문자 인식부 203 : 통신부
205 : 제어부 207 : 화면 표시부
209 : 문자 음성 변환부 211 : 음성 출력부
213 : 외부 음성기기 연결부 215 : 저장부
300 : 통신 네트워크

Claims (14)

  1. 언어 학습을 위한 채팅 방법으로서,
    채팅방에 참여하는 복수의 채팅 단말 중 하나의 채팅 단말로부터 채팅 문자를 나타내는 전송요청 문자 정보를 채팅 서버가 수신하는 단계;
    상기 채팅 문자를 설정된 음성으로 변환하거나 상기 하나의 채팅 단말에 맵핑된 음성 소스를 상기 채팅 서버가 결정하는 단계;
    복수의 채팅 단말 중 상기 채팅 문자를 수신할 채팅 단말에서 상기 음성 소스의 이용가능 여부를 상기 채팅 서버가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음성 소스가 상기 채팅 문자를 수신할 채팅 단말에서 이용 가능한 경우에, 상기 음성 소스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변환 정보 및 상기 채팅 문자를 포함하는 전송용 문자 정보를 상기 채팅 문자를 수신할 채팅 단말로 상기 채팅 서버가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채팅방에 참여하는 복수의 채팅 단말에서 각 채팅 단말은 채팅자로부터 채팅 문자를 입력받으며 다른 채팅 단말에서는 상기 입력받은 채팅 문자로부터 변환된 음성으로 출력됨으로써 상기한 언어 학습이 수행되며,
    상기 채팅방에 참여하는 복수의 채팅 단말별로 서로 다른 음성이 맵핑되고 이에 따라 서로 다른 상기 변환 정보가 맵핑되어, 서로 다른 채팅 단말로부터 입력된 채팅 문자에 대해서는 서로 다른 음성으로 변환되는,
    채팅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소스가 상기 채팅 문자를 수신할 채팅 단말에서 이용 불가능한 경우에, 상기 채팅 서버가 상기 하나의 채팅 단말에 맵핑된 음성 소스를 이용하여 상기 채팅 문자를 음성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음성을 나타낼 수 있는 음성 데이터를 상기 채팅 문자와 함께 상기 채팅 문자를 수신할 채팅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채팅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전송요청 문자 정보의 수신 이전에, 채팅방에 참여하는 채팅 단말 각각에서 이용 가능한 하나 이상의 음성 소스를 각 채팅 단말별로 상기 채팅 서버가 결정하는 단계;
    각 채팅 단말별로 이용 가능한 음성 소스를 이용하여 채팅 문자를 음성으로 변환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변환 정보를 각 채팅 단말별로 상기 채팅 서버가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채팅 서버가 각 채팅 단말별 하나 이상의 변환 정보를 각각의 채팅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용 가능한 하나 이상의 음성 소스는 채팅 단말에 저장되어 있고 영구 사용권이나 임시 사용권이 허락된 음성 소스이거나 채팅 서버에 저장되어 접속 권한이 허락된 음성 소스인,
    채팅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각 채팅 단말별 하나 이상의 변환 정보의 전송 이후에, 상기 채팅 서버가 채팅 단말 각각으로 출력된 하나 이상의 변환 정보 중 하나의 변환 정보의 선택을 채팅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선택된 변환 정보와 하나의 변환 정보의 선택을 전송한 채팅 단말을 상기 채팅 서버가 맵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채팅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음성 소스의 결정 이전에, 채팅 단말의 로그인에 따라 채팅 단말에서 이용 가능한 음성 소스로서 임시 사용권이 허락된 음성 소스를 상기 채팅 서버가 결정하는 단계; 및
    임시 사용권이 허락된 음성 소스의 임시 사용을 위한 토큰을 채팅 단말로 상기 채팅 서버가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채팅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복수의 채팅 단말 중 변환 정보의 선택을 전송한 채팅 단말과 상이한 채팅 단말에 대해 생성된 하나 이상의 변환 정보를 상기 변환 정보의 선택에 따라 상기 채팅 서버가 변경하는 단계; 및 변경된 하나 이상의 변환 정보를 상기 상이한 채팅 단말로 상기 채팅 서버가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채팅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요청 문자 정보의 수신 이후에, 채팅 서버가 상기 전송요청 문자 정보에 포함된 음성 데이터를 상기 하나의 채팅 단말로부터 전송된 채팅 문자로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채팅 방법.
  8. 언어 학습을 위한 채팅 시스템으로서,
    채팅 문자를 송수신하는 채팅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채팅 서버는
    채팅 단말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 유닛 및
    상기 통신 유닛을 통해 채팅방에 참여하는 복수의 채팅 단말 중 하나의 채팅 단말로부터 채팅 문자를 나타내는 전송요청 문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채팅 문자를 수신할 채팅 단말로 상기 채팅 문자를 포함하는 전송용 문자 정보의 전송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채팅 문자를 설정된 음성으로 변환하거나 상기 하나의 채팅 단말에 맵핑된 음성 소스를 결정하고, 상기 채팅 문자를 수신할 채팅 단말에서 결정된 상기 음성 소스의 이용가능 여부를 결정하며,
    상기 음성 소스가 상기 채팅 문자를 수신할 채팅 단말에서 이용 가능한 경우에,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음성 소스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변환 정보 및 상기 채팅 문자를 포함하는 전송용 문자 정보를 상기 채팅 문자를 수신할 채팅 단말로 상기 통신 유닛을 통해 전송하며,
    상기 채팅방에 참여하는 복수의 채팅 단말에서 각 채팅 단말은 채팅자로부터 채팅 문자를 입력받으며 다른 채팅 단말에서는 상기 입력받은 채팅 문자로부터 변환된 음성으로 출력됨으로써 상기한 언어 학습이 수행되며,
    상기 채팅방에 참여하는 복수의 채팅 단말별로 서로 다른 음성이 맵핑되고 이에 따라 서로 다른 상기 변환 정보가 맵핑되어, 서로 다른 채팅 단말로부터 입력된 채팅 문자에 대해서는 서로 다른 음성으로 변환되는,
    채팅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소스가 상기 채팅 문자를 수신할 채팅 단말에서 이용 불가능한 경우에,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하나의 채팅 단말에 맵핑된 음성 소스를 이용하여 상기 채팅 문자를 음성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음성을 나타낼 수 있는 음성 데이터 및 상기 채팅 문자를 포함하는 전송용 문자 정보를 상기 채팅 문자를 수신할 채팅 단말로 상기 통신 유닛을 통해 전송하는,
    채팅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전송요청 문자 정보의 수신 이전에, 상기 제어 유닛은 채팅방에 참여하는 채팅 단말 각각에서 이용 가능한 하나 이상의 음성 소스를 각 채팅 단말별로 결정하고, 각 채팅 단말별로 이용 가능한 음성 소스를 이용하여 채팅 문자를 음성으로 변환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변환 정보를 각 채팅 단말별로 생성하고, 각 채팅 단말별 하나 이상의 변환 정보를 각각의 채팅 단말로 상기 통신 유닛을 통해 전송하며,
    상기 이용 가능한 하나 이상의 음성 소스는 채팅 단말에 저장되어 있고 영구 사용권이나 임시 사용권이 허락된 음성 소스이거나 채팅 서버에 저장되어 접속 권한이 허락된 음성 소스인,
    채팅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음성 소스의 결정 이전에, 상기 제어 유닛은 채팅 단말의 로그인에 따라 채팅 단말에서 이용 가능한 음성 소스로서 임시 사용권이 허락된 음성 소스를 결정하고, 임시 사용권이 허락된 음성 소스의 임시 사용을 위한 토큰을 채팅 단말로 전송하는,
    채팅 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각 채팅 단말별 하나 이상의 변환 정보의 전송 이후에, 상기 제어 유닛은 채팅 단말 각각으로 전송된 하나 이상의 변환 정보 중 하나의 변환 정보의 선택을 채팅 단말로부터 통신 유닛을 통해 수신하고, 선택된 변환 정보와 하나의 변환 정보의 선택을 전송한 채팅 단말을 맵핑하고, 복수의 채팅 단말 중 변환 정보의 선택을 전송한 채팅 단말과 상이한 채팅 단말에 대해서 생성된 하나 이상의 변환 정보를 상기 변환 정보의 선택에 따라 변경하고 변경된 하나 이상의 변환 정보를 상기 상이한 채팅 단말로 상기 통신 유닛을 통해 전송하는,
    채팅 시스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채팅 시스템은 상기 채팅 서버에 연결되어 채팅 문자를 송수신하는 복수의 채팅 단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채팅 단말은 채팅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하나 이상의 음성 소스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전송용 문자 정보에 대응하는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음성 출력부는 상기 전송용 문자 정보에 포함된 음성 데이터에 대응하는 음성을 출력하거나 상기 저장부의 음성 소스로부터 변환된 음성을 출력하는,
    채팅 시스템.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요청 문자 정보의 수신 이후에,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전송요청 문자 정보에 포함된 음성 데이터를 상기 하나의 채팅 단말로부터 전송된 채팅 문자로 변환하는,
    채팅 시스템.
KR1020160054775A 2016-05-03 2016-05-03 언어 학습을 위한 채팅 방법 및 채팅 시스템 KR1018350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4775A KR101835091B1 (ko) 2016-05-03 2016-05-03 언어 학습을 위한 채팅 방법 및 채팅 시스템
PCT/KR2017/004675 WO2017191995A1 (ko) 2016-05-03 2017-05-02 언어 학습을 위한 채팅 방법 및 채팅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4775A KR101835091B1 (ko) 2016-05-03 2016-05-03 언어 학습을 위한 채팅 방법 및 채팅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4838A KR20170124838A (ko) 2017-11-13
KR101835091B1 true KR101835091B1 (ko) 2018-04-19

Family

ID=60202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4775A KR101835091B1 (ko) 2016-05-03 2016-05-03 언어 학습을 위한 채팅 방법 및 채팅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35091B1 (ko)
WO (1) WO20171919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7033B1 (ko) * 2020-07-27 2022-07-28 박성우 인공지능을 이용한 에듀테크 학습 관리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8438A (ko) * 2000-10-10 2002-04-17 김철권 음성과 문자 데이터를 통합한 채팅 서비스 방법 및 그기록 매체
KR20020074273A (ko) * 2001-03-19 2002-09-30 이토스템 주식회사 언어번역기를 이용한 일대일 문자 및 화상 채팅 장치
KR20020003833A (ko) * 2001-08-22 2002-01-15 백종관 음성아바타를 이용한 이메일 또는 채팅 시스템에서음향효과가 가미된 음성메일 또는 음성채팅 방법
KR20120107306A (ko) * 2011-03-21 2012-10-02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의 문자 음성 변환 기능 제공을 위한 기록 매체
KR20150090357A (ko) * 2014-01-28 2015-08-06 엠플레어 주식회사 실시간 다국어 번역 서비스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4838A (ko) 2017-11-13
WO2017191995A1 (ko) 2017-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41017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TWI533198B (zh) 於虛擬區域及實體空間之間通訊的技術
JP2022505374A (ja) オンライン文書共有方法、装置、電子機器及び記憶媒体
US20170288942A1 (en) Portal for Provisioning Autonomous Software Agents
US9992243B2 (en) Video conference application for detecting conference presenters by search parameters of facial or voice features, dynamically or manually configuring presentation templates based on the search parameters and altering the templates to a slideshow
US20170289070A1 (en) Making a Dialogue Available To an Autonomous Software Agent
US20170288943A1 (en) Supplying Context Data to a Servicing Entity
KR102085383B1 (ko) 그룹 채팅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 및 이의 운용 방법
US20170289069A1 (en) Selecting an Autonomous Software Agent
JP2011066917A (ja) 通話を伴うプッシュ型情報通信システム
Jimenez et al. Alexa-based voice assistant for smart home applications
KR20170018577A (ko) 통신 세션상의 참가자들 중 일부를 위한 가상의 통신 세션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CN111063348A (zh) 一种信息处理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KR101835091B1 (ko) 언어 학습을 위한 채팅 방법 및 채팅 시스템
KR101672300B1 (ko) 언어 학습을 위한 채팅 방법 및 채팅 시스템
US20220013030A1 (en) Extended service-providing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rtificial intelligence prediction results for extended education contents through api access interface server
CN109412931B (zh) 利用即时通讯方式进行知识问答的方法、装置和终端设备
KR102461836B1 (ko) 챗봇 연결 장치 및 방법
US20210065573A1 (en) Answer validation and education within artificial intelligence (ai) systems
CN108881281A (zh) 一种故事机的播放方法、装置、系统、设备及存储介质
KR20010106080A (ko) 쌍방향 사이버 세미나 구현 장치 및 방법
WO2022166479A1 (zh) 语音控制系统、方法、装置、设备以及介质、程序产品
US20220180870A1 (en) Method for controlling external device based on voice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101780464B1 (ko) 언어 학습을 위한 채팅 방법, 채팅 서버 및 채팅 시스템
CN111880758B (zh) 一种远程控制方法及服务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