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4767B1 -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 전원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 전원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4767B1
KR101834767B1 KR1020160159882A KR20160159882A KR101834767B1 KR 101834767 B1 KR101834767 B1 KR 101834767B1 KR 1020160159882 A KR1020160159882 A KR 1020160159882A KR 20160159882 A KR20160159882 A KR 20160159882A KR 101834767 B1 KR101834767 B1 KR 1018347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implant
packaging container
alignmen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9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철
김진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오
Priority to KR1020160159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47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47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47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7Means for sterile storage or manipulation of dental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2Protective casings, e.g. boxes for instruments;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2204/00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치아 임플란트용 픽스츄어의 표면개질을 위해 내부에 구비되는 표면개질수단으로의 전원공급단자가 일측단부에 구비되며, 하부 외면프로파일이 일방향 정렬단면구조로 구비된 임플란트용 포장용기; 및 상기 임플란트용 포장용기의 일측단부가 형합되어 삽입되도록 함몰 형성되되 하면부에 상기 전원공급단자와 선택적으로 접속되도록 전원을 인가받는 전원공급부와 연결된 전원공급라인이 구비된 정렬도킹홈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 전원공급본체를 포함하는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 전원공급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 전원공급장치{apparatus for supplying power of package for dental implant}
본 발명은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임플란트용 포장용기가 자동정렬되어 안정적으로 전원이 공급됨에 따라 안정성 및 사용편의성이 개선된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임플란트란 인체조직이 상실되었을 때 이를 회복시켜 주는 대치물의 의미한다. 여기서, 치과에서의 상기 임플란트는 상실된 치아의 치근을 대체할 수 있도록 인체에 거부 반응이 적은 티타늄(titanium) 등의 픽스츄어(인공 치근), 치조골에 식립된 인공 치근에 결합되어 저작면을 형성하는 크라운 등을 의미하며, 상기 임플란트를 이용하여 치아의 원래 기능을 회복하는 시술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픽스츄어는 식립시 이물질이나 세균 등에 의한 오염으로 치조골 등의 구강 내부 조직이 감염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항균 처리된 후 밀봉 포장되어 보관된다.
또한, 현재 대부분의 픽스츄어는 RBM, SLA 등의 공정을 통해 친수성 표면을 갖도록 처리된다. 이때, 상기 픽스츄어의 표면은 공정 후 공기 중에 노출되면 시간의 지남에 따라 산화층이 증가하고 탄화수소 화합물과 같은 오염원에 의해 표면에너지가 안정화되어 소수성으로 변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인은 상기 픽스츄어의 표면이 개질되도록 등록특허 제1675506호, 제1675508호와 같은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를 개시된 바 있다.
여기서, 상술한 등록특허에 개시된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표면개질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픽스츄어를 조사함으로써 표면이 개질된다. 그리고, 상기 표면개질수단에 전원을 공급받기 위하여 상기 임플란트 포장용기의 하단부에 외부로 노출된 단자부가 연결되는 외부 전력원이 구비된다.
그러나, 상기 외부 전력원이 별도의 거치대로 구비되지 않고 전선으로 연결되는 경우, 상기 임플란트 포장용기의 작동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려우며, 외부충격 등에 의해 수용된 픽스츄어의 위치가 이탈되어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일부 거치대가 구비되더라도 단면형상이 전체적으로 원형 등의 대칭 형상으로 구비됨에 따라 상기 단자부와 상기 외부 전력원의 정확한 결합상태를 확인하지 못하여 접지상태가 저하된다. 이로 인해, 전원공급이 불량하거나 합선 내지 단선의 위험성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상기 임플란트 포장용기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구비되어 작은 충격에도 쉽게 쓰러지기 쉬우며, 개별 포장되어 각각 제공됨에 따라 보관이 불편하고 분실의 우려가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675506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임플란트용 포장용기가 자동정렬되어 안정적으로 전원이 공급됨에 따라 안정성 및 사용편의성이 개선된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 전원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치아 임플란트용 픽스츄어의 표면개질을 위해 내부에 구비되는 표면개질수단으로의 전원공급단자가 일측단부에 구비되며, 하부 외면프로파일이 일방향 정렬단면구조로 구비된 임플란트용 포장용기; 및 상기 임플란트용 포장용기의 일측단부가 형합되어 삽입되도록 함몰 형성되되 하면부에 상기 전원공급단자와 선택적으로 접속되도록 전원을 인가받는 전원공급부와 연결된 전원공급라인이 구비된 정렬도킹홈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 전원공급본체를 포함하는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 전원공급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임플란트용 포장용기 외면의 일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오목하거나 볼록하게 형성된 비연속정렬부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정렬도킹홈부의 하면부 및 상기 임플란트용 포장용기의 하면부 중 일측에는 복수개의 자석이 구비되며, 타측에는 상기 자석에 가고정되는 자성체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임플란트용 포장용기의 하부측 측면부에는 상기 표면개질수단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출하는 통풍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정렬도킹홈부의 내측면부에는 상기 통풍슬릿과 연통되어 상기 발생된 열이 상기 전원공급본체의 내부로 배출되는 연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전원공급본체에는 상기 연통홀에서 배출된 열이 방출되도록 외부와 연통된 열방출홀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전원공급단자와 상기 전원공급라인의 접속 여부를 검출하고 접속시점으로부터 경과된 시간을 산출 및 기설정된 시간과 비교하여 상기 전원공급라인으로의 전원공급을 선택적으로 단속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원공급라인으로의 전원공급상태를 표시하도록 선택적으로 발광되는 점등부가 상기 정렬도킹홈부와 인접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상기 임플란트용 포장용기 외면의 일측에는 상기 비연속정렬부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정렬도킹홈부에 삽입하기만 하면 자동정렬되어 복수개의 전원공급단자와 복수개의 전원공급라인이 정확하게 접속되므로 사용편의성 및 안정성이 더욱 개선될 수 있다.
둘째, 상기 정렬도킹홈부의 하면부에는 자석이 구비되고 상기 임플란트용 포장용기의 하면부에는 자성체가 구비됨에 따라 외력에 의한 충격의 발생에도 자성에 의해 상기 전원공급단자 및 상기 전원공급라인 간의 가고정 접속상태가 유지될 수 있으므로 전원공급에 대한 안정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셋째, 상기 임플란트용 포장용기는 상기 정렬도킹홈부에 삽입된 상태에서도상기 표면개질수단에서 발생되는 열이 상기 정렬도킹홈부에 형성된 연통홀과, 상기 하우징부의 외면에 형성된 열방출홀을 통해 외부로 방출되어 상기 표면개질수단의 내구성이 향상되므로 성능 저하가 방지되고 사용수명이 연장될 수 있다.
넷째, 상기 제어부는 기설정된 시간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라인으로의 전원공급을 선택적으로 단속하고 상기 전원공급라인의 전원공급상태가 상기 점등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므로 표면 개질이 완료된 상기 임플란트용 포장용기가 쉽게 파악하여 분리할 수 있으므로 불필요한 전력 낭비가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 전원공급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 전원공급장치의 임플란트용 포장용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 전원공급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 전원공급장치의 임플란트용 포장용기가 정렬도킹홈부에 삽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 전원공급장치의 임플란트용 포장용기를 나타낸 저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 전원공급장치의 정렬도킹홈부를 나타낸 평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 전원공급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 전원공급장치를 나타낸 정면도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 전원공급장치(300)는 임플란트용 포장용기(100) 및 전원공급본체(20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 전원공급장치(300)는 치아 임플란트용 픽스츄어(f)가 내부에 수납되되 상기 픽스츄어(f)의 표면개질을 위한 표면개질수단이 구비된 상기 임플란트용 포장용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상기 픽스츄어(f)는 먼저 1차 표면 개질 및 살균처리되어 상기 임플란트용 포장용기(100)에 수용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픽스츄어(f)는 산화알루미늄 내지 산화티타늄, 인산칼슘 등의 생체 친화성 매질이 분사되어 표면에 거칠기를 형성하는 RBM(resorbable blasting media) 표면 처리될 수 있다. 또한, RBM 표면 처리 후 산성 용액 등을 이용한 화학적인 에칭을 수행하는 SLA(sandblasted, large-grit, acid-etched) 표면 처리 등을 통해 1차 표면 개질 처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임플란트용 포장용기(100)는 상기 전원공급본체(200)에 체결됨에 따라 상기 표면개질수단 측으로 전원을 인가하여 2차적인 표면 개질이 수행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 전원공급장치의 임플란트용 포장용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임플란트용 포장용기(100)는 베이스바디부(30), 부싱부(60) 및 표면개질수단(50)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바디부(30)의 내부에는 1차 표면 개질 및 살균 처리된 치아 임플란트용 픽스츄어(f)가 수용되도록 관통된 수납공(31)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납공(31)의 내주 상단부에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단차지게 확장 개구되는 지지단턱(33)이 상기 수납공(31)의 상단 테두리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단턱(33)에는 상기 부싱부(60)가 삽입되며, 상기 수납공(31) 및 상기 지지단턱(33)에 삽입시 상기 픽스츄어(f)가 고정된다.
이때, 상기 부싱부(60)는 원호형으로 분할된 복수의 분할몸체부(60a,60b)로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임플란트용 포장용기(100)는 하부바디부(40)를 더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하부바디부(40)의 상면부 및 상기 베이스바디부(30)의 하면부에 상호 끼움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바디부(40)는 상기 베이스바디부(30)의 하단부에 착탈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바디부(40)의 내부에는 상기 표면개질수단(50)이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바디부(40)의 상면부에는 상기 수납공(31)이 연통되는 광원홀(4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픽스츄어(f)는 상기 광원홀(42)을 통해 상기 표면개질수단(50)에 의해 2차 표면 개질 및 살균 처리된다.
여기서, 상기 표면개질수단(50)에는 LED 소자가 구비되어 상기 광원홀(42)을 통해 150nm~400nm 파장의 자외선을 방출한다. 이때, 산소 분자는 상기 자외선에 의해 산소 분자의 결합 에너지를 초과하는 에너지 충격을 통해 외각 전자가 여기되어 반응성 발생기인 오존으로 전환된다.
상세히, 상기 픽스츄어(f)의 표면은 1차 표면 개질 처리를 통해 -OH의 작용기를 갖는 고에너지 상태의 친수성 표면으로 전환된다. 이때, 형성된 -0H의 작용기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탄소와 결합되어 안정화되고, 상기 픽스츄어(f)의 표면이 저에너지 상태의 소수성 표면으로 전환된다.
이때, 상기 자외선을 통해 발생된 오존은 상기 픽스츄어(f)의 표면에 침착된 탄소 원자가 분리되도록 상호 결합되며, 상기 픽스츄어(f)의 표면이 고에너지 상태의 친수성으로 재전환된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표면개질수단(50)은 코로나방전핀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코로나방전핀은 승압컨버터가 구비되어 출력되는 2차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쐐기형 일단에서 코로나 방전이 발생된다.
여기서, 코로나 방전은 대전된 물체에서 표면전하밀도가 증가되는 부분 주변의 전위차에 의해 이온화되며 발생되는 전기적 방전을 의미한다. 즉, 코로나방전핀의 일단과 인접한 영역 내의 중성 산소 분자가 전기장에 의해 이온화되고, 산소 이온이 중성 산소 분자와 결합하여 반응성 발생기인 오존이 발생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바디부(40)의 하면부에는 상기 표면개질수단(50)의 하부에 구비되어 전원이 공급되는 복수개의 전원공급단자(53)의 대응되는 부분을 따라 단자홀(81)이 형성된 단자커버(8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자커버(40)가 상기 하부바디부(40)의 하면부를 커버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표면개질수단(50)이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전원공급단자(53)는 상기 단자홀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외부 전력원에 접속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단자(53)는 상기 하부바디부(40)의 측벽부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될 수도 있으며, 상기 표면개질수단(50)의 구조에 대응하여 다양한 방향으로 외부에 노출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임플란트용 포장용기(100)는 실링커버부(70)와 케이싱(20)을 더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실링커버부(70)는 상기 수납공(31)의 상단부를 선택적으로 밀폐하도록 상기 베이스바디부(30)의 상단부에 착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바디부(30) 및 상기 하부바디부(40)는 하면부에 상기 전원공급단자(53)에 대응되는 단자노출공(24)이 형성된 상기 케이싱(20)에 수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케이싱(20)은 케이스바디부(20b)와, 케이스커버(20a)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베이스바디부(30)는 상기 하부바디부(40)와 결합된 상태로 상기 케이스바디부(20b)의 내부에 수납된 후, 상기 케이스바디부(20b) 및 상기 케이스커버(20a)가 상호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바디부(20b) 및 상기 하부바디부(40)의 하부측 측면부에는 상기 표면개질수단(50)과 연통되어 외부로 열이 배출되는 통풍슬릿(21,41)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 전원공급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 전원공급장치의 임플란트용 포장용기가 정렬도킹홈부에 삽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 전원공급장치의 임플란트용 포장용기를 나타낸 저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 전원공급장치의 정렬도킹홈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전원공급본체(200)는 하우징부(130), 정렬도킹홈부(110) 그리고 전원공급부(12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부(130)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몸체부로 구비되되, 이의 상측을 커버하도록 구비되는 경사면부(131)가 경사지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경사면부(131)는 상기 하우징부(130)의 상면부를 사용자가 육안상으로 확인하기 용이하도록 후측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경사면부(131)는 상기 하우징부(130)와 일체화되어 구비될 수도 있으나, 제조편의성을 위해 별도로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부(130) 내부에 구성부품의 설치된 후 상기 하우징부(130)의 상면부에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경사면부(131)의 단부에는 하측으로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라운드면(131a)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경사면부(131)와 상기 라운드면(131a)은 연속적인 프로파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부(130)는 상단모서리가 라운드지게 형성됨에 따라 미관이 개선될 수 있으며, 사용자와 충돌시 외상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부(130)는 절연성과 내열성을 갖되 각 구성부품이 일정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도록 소정의 강성을 갖는 소재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경사면부(131)에는 상기 임플란트용 포장용기(100)의 일측단부가 형합되어 삽입되도록 상기 정렬도킹홈부(110)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임플란트용 포장용기(100)의 일측단부라 함은 상기 전원공급단자(53)가 노출되는 상기 임플란트용 포장용기(100) 어느 일측의 단부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정렬도킹홈부(110)는 상기 경사면부(131)로부터 함몰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임플란트용 포장용기(100)의 일측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도킹공간(110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정렬도킹홈부(110)의 상부가 개구되어 상기 임플란트용 포장용기(100)가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정렬도킹홈부(110)는 상기 임플란트용 포장용기(100)의 외면 프로파일에 대응되는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임플란트용 포장용기(100)가 삽입되도록 상기 하우징부(130)의 상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정렬도킹홈부(110)는 상기 경사면부(131)로부터 직교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임플란트용 포장용기(100)는 상기 경사면부(131)로부터 수직하게 삽입될 수 있으며, 입구방향이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하기 용이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되면서도 삽입 방향에 대한 간섭이 최소화되므로 사용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프레임의 하부에는 보강프레임(135a)이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보강프레임(135a)에는 상기 정렬도킹홈부(110)가 관통되되 외측 테두리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상호 밀착됨에 따라 상기 표면개질수단(50)에서 발생하는 열 또는 충격에 의한 변형으로부터 외면 프로파일이 유지되도록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정렬도킹홈부(110)의 변형이 최소화되므로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정렬도킹홈부(110)는 별도로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부(130)의 내부에 장착될 수도 있으며, 상기 경사면부(131)에 상기 정렬도킹홈부(110)와 연통되는 도킹홀이 형성되어 상기 임플란트용 포장용기(100)가 삽입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정렬도킹홈부(110)의 하면부에는 상기 전원공급단자(53)와 선택적으로 접속되도록 전원공급라인(121)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전원공급라인(121)은 상기 하우징부(130)의 내부에 구비되어 외부의 전원을 인가받는 상기 전원공급부(12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전원공급부(120)로부터 상기 각 정렬도킹홈부(110)의 하면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라인(121)은 상기 전원공급단자(53)의 수량에 대응하여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원공급라인(121)은 전기기용 절연전선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기기용 절연전선은 내부 도체선의 개수에 따라 단심, 2심, 3심 및 4심 등으로 분류되며 사용전력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라인(121)의 위치를 고정하는 라인고정프레임(137)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세히, 상기 전원공급라인(121)은 상기 라인고정프레임(137)을 관통하되, 상기 전원공급라인(121)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실링부가 상기 관통된 전원공급라인(121)의 외주 일측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라인(121)은 상기 라인고정프레임(137)에 일측이 고정됨에 따라 외력에 의한 위치 이탈이 최소화되므로 상기 전원공급단자(53)와의 접지불량이 방지되어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원공급라인(121)의 일단에는 상기 전원공급단자(53)와 접지되는 접속부(121a)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접속부(121a)는 상기 정렬도킹홈부(110)의 하면부에 형성된 공급홀(111)을 통해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접속부(121a)는 상기 전원공급단자(53)의 종류에 대응하여 전원공급이 될 수 있도록 핀 단자, USB 단자 및 휴대폰 충전 단자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전원공급라인(121)은 상기 공급홀(111)이 상기 하우징부(130)의 내부와 연통되어 상기 하우징부(130)의 내부로부터 상기 공급홀(111)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정렬도킹홈부(110)의 내부에 노출된다. 즉, 상기 전원공급라인(121)은 상기 정렬도킹홈부(110)의 하면부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다.
여기서, 상기 접속부(121a)는 상기 전원공급단자(53)와 안정적으로 접지되어 전원이 공급되도록 상기 임플란트용 포장용기(100)가 상기 정렬도킹홈부(110)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전원공급단자(53)의 위치에 대응하여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임플란트용 포장용기(100)는 상기 정렬도킹홈부(110)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단자(53) 및 상기 접속부(121a)가 안정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표면개질수단(50)에 전원이 공급되어 상기 픽스츄어(f)가 2차 표면 개질 및 살균 처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임플란트용 포장용기(100) 외면의 일측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연속정렬부(100a)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비연속정렬부(100a)는 상기 상기 임플란트용 포장용기(100) 외면에 오목하게 함몰되거나 볼록하게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임플란트용 포장용기(100)는 상기 비연속정렬부(100a)가 형성됨에 따라 일측이 오목하거나 볼록한 일방향 정렬단면구조로 구비된다. 여기서, 일방향 정렬단면구조는 상기 임플란트용 포장용기(100)가 상기 정렬도킹홈부(110)에 형합되어 삽입될 때 기설정된 방향으로만 수용될 수 있도록 삽입위치를 가이드 할 수 있도록 상호 대향되는 단면구조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임플란트용 포장용기(100)는 원형단면으로부터 상기 비연속정렬부(100a)가 돌출됨에 따라 실질적으로 물방울형 단면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정렬도킹홈부(110)에는 상기 임플란트용 포장용기(100)의 삽입시 일방향에 대한 삽입위치가 가이드되도록 상기 비연속정렬부(100a)에 대응되는 상기 정렬가이드홈부(110b)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임플란트용 포장용기(100)는 상기 비연속정렬부(100a)가 상기 정렬가이드홈부(110b)에 매칭되도록 배치되어야 상기 정렬도킹홈부(110)에 삽입될 수 있다. 즉, 상기 임플란트용 포장용기(100) 및 상기 정렬도킹홈부(110)는 상호 대응되는 프로파일로 형성되되, 일측에 상기 비연속정렬부(100a) 및 상기 정렬가이드홈부(110b)가 형성되므로 일방향에 대한 정렬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임플란트용 포장용기(100)의 외면은 상기 비연속정렬부(100a)에 의해 일측이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거나 내측으로 함몰되므로 전후방향이 비대칭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상기 임플란트용 포장용기(100)의 삽입시 전후방향에 대한 확인없이도 상기 정렬도킹홈부(110)의 단면 프로파일에 대응되도록 상기 임플란트용 포장용기(100)를 삽입할 수 있다. 즉, 상기 임플란트용 포장용기(100)의 외면에 형성된 상기 비연속정렬부(100a)와 상기 정렬도킹홈부(110)에 형성된 상기 정렬가이드홈부(110b)가 상호 매칭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삽입되기만 하면 자동으로 일방향에 대하여 정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임플란트용 포장용기(100)는 일방향에 대하여 자동으로 정렬되어 삽입되므로 상기 도킹공간(110a) 내부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뿐만 아니라 상기 전원공급단자(53) 및 상기 접속부(121a)가 안정적으로 접속되어 전원공급에 대한 안정성 및 사용편의성이 현저하게 개선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임플란트용 포장용기(100)가 상기 정렬도킹홈부(110)에 삽입되는 경우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비연속정렬부(100a)가 상기 정렬가이드홈부(110b)에 의해 걸림되어 원주방향으로의 회전이 구속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단자(53) 및 상기 접속부(121a)가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임플란트용 포장용기(100)의 회전에 의한 상기 전원공급라인(121)의 위치이탈 및 단선 등이 방지되므로 안전성이 더욱 개선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비연속정렬부(100a)가 볼록하게 돌출된 형상을 예로써 도시하였으나, 상기 비연속정렬부(100a)가 오목하게 함몰된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임플란트용 포장용기(100)의 단면이 다각형상으로 구비된 경우에도 일측이 돌출 또는 함몰되어 일방향 정렬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연속정렬부(100a)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다각형상은 사각형상, 오각형상, 육각형상 등의 다각형으로 구비되거나 타원형 단면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한편,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정렬도킹홈부(110)의 하면부 및 상기 임플란트용 포장용기(100)의 하면부 중 일측에는 복수개의 자석(112)이 구비되며, 타측에는 상기 자석(112)에 가고정되는 자성체(27)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자성체(27)는 상기 자석(112)에 의한 자기적 인력에 의해 상기 임플란트용 포장용기(100)의 하면부와 상기 정렬도킹홈부(110)의 하면부가 선택적으로 밀착되도록 철, 니켈 등의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자성체(27)는 상기 자석(112)의 극성에 반대되는 극성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호 밀착되도록 자석으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자성에 반응하는 구리, 알루미늄 등의 도체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세히, 상기 복수개의 자석(112)은 상기 임플란트용 포장용기(100) 하면부 전면에 자기적 인력이 제공되도록 상기 자성체(27)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자석(112)은 상기 자성체(27)의 외면에 대응되어 원주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자석(112)은 상기 정렬도킹홈부(110)의 하면부 외면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며, 소정의 온도에도 안정된 접착물질 등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삽입홈에 상기 자석(112)이 삽입된 후 별도의 삽입부재가 억지 끼움되어 상기 자석(112)이 고정될 수도 있으며, 상기 정렬도킹홈부(110) 하면부 상측에 상기 자석(112)이 고정될 수도 있다. 즉, 상기 도킹공간(110a) 방향으로 자성에 의한 자기적 인력을 제공할 수 있는 구조라면 다양한 형태로 상기 자석(112)이 상기 정렬도킹홈부(110)의 하면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에 속한다.
또한, 상기 자성체(27)는 상기 케이스바디부(20b)의 하면부에 구비된다. 이때, 상기 자성체(27)는 링 형상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자성체(27)가 링 형상으로 구비됨에 따라 상기 자성체(27) 내부의 홀은 상기 단자노출공(24)과 연통되어 상기 전원공급단자(53) 및 상기 접속부(121a)가 원활하게 접속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자석(112)이 상기 자성체(27)의 외면에 대응하여 배치되므로 상기 케이스바디부(20b)의 하면부에 자기적 인력이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자성체(27)는 상기 케이스바디부(20b) 하면부에 단차지게 형성된 단차홈부(27a)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성체(27)가 고정되도록 상기 단차홈부(27a)의 외측테두리를 따라 고정돌기(27b)가 돌설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자성체(27)는 별도의 접착물질 없이도 상기 단차홈부(27a)에 삽입되어도 상기 고정돌기(27b)에 의해 하측이 지지되어 상기 케이스바디부(20b) 하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임플란트용 포장용기(100)의 하면부와 상기 정렬도킹홈부(110)의 하면부는 자성에 의한 자기적 인력에 의해 선택적으로 밀착됨에 따라 상기 임플란트용 포장용기(100)는 상기 정렬도킹홈부(110)에 가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하우징부(130)는 외력에 의한 충격이 발생되어도 자성에 의해 밀착됨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단자(53) 및 상기 접속부(121a)의 가고정 접속상태가 유지될 수 있으므로 전원공급에 대한 안정성이 더욱 개선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임플란트용 포장용기(100)의 삽입시, 자성에 의한 인력이 발생시 사용자는 안정적으로 삽입된 상태를 인지하기 용이하므로 장착감이 향상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정렬도킹홈부(110)의 하면부에 복수개의 상기 자석(112)이 구비되고, 상기 임플란트용 포장용기(100)의 하면부에 상기 자성체(27)가 구비되는 것을 예로써 도시 및 설명하였으나, 상기 정렬도킹홈부(110)의 하면부에 상기 자성체(27)가 구비되고, 상기 임플란트용 포장용기(100)의 하면부에 복수개의 상기 자석(112)이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정렬도킹홈부(110)의 내측면부에는 연통홀(113)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연통홀(113)은 상기 정렬도킹홈부(110)의 내측면부를 따라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통홀(113)은 상기 임플란트용 포장용기(100)가 상기 정렬도킹홈부(110)의 내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통풍슬릿(21,41)의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연통홀(113)은 상기 통풍슬릿(21,41)과 연통됨에 따라 상기 표면개질수단(50)에서 발생되는 열이 상기 연통홀(113)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통홀(113)은 상기 정렬도킹홈부(110)가 상기 하우징부(130)의 내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므로 상기 통풍슬릿(21,41) 및 상기 전원공급본체(200)의 내부, 즉 상기 하우징부(130) 내부와 연통된다. 이때, 상기 발생된 열은 상기 연통홀(113)을 통해 상기 하우징부(130)의 내부로 배출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부(130)의 내부에는 상기 발생된 열이 축열되는 축열공간(139)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축열공간(139)에 축열된 열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전원공급본체(200)에는 열방출홀(130b)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열방출홀(130b)은 상기 하우징부(130)의 후면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축열공간(139) 및 외부와 연통되므로 상기 축열된 열이 상기 열방출홀(130b)을 통해 자연대류에 의해 외부로 방출된다. 여기서, 도면에 표시된 'h'는 내부에서 발생된 열이 방출되는 방향을 나타낸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표면개질수단(50)에서 발생되는 열은 상기 임플란트용 포장용기(100)가 상기 정렬도킹홈부(110)에 삽입된 상태에서도 안정적으로 외부에 방출되어 상기 표면개질수단(50)의 내구성이 향상되므로 성능 저하가 방지되고 사용수명이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축열된 열이 외부로 용이하게 방출되도록 상기 하우징부(130)의 내부에는 냉각부(138)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세히, 상기 냉각부(138)는 상기 하우징부(130)의 내부에 장착되되 상기 열방출홀(130b)에 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각부(138)는 상기 전원공급부(120)로부터 전원을 인가 받는 통풍팬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통풍팬에 의해 상기 축열공간(139)의 공기 흐름이 상기 열방출홀(130b) 방향으로 유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통풍팬은 상기 정렬도킹홈부(110)의 개수에 대응하여 복수개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후술하게 되는 제어부에 의해 상기 임플란트용 포장용기(100)에 전원이 공급되는 상기 정렬도킹홈부(110) 측의 상기 통풍팬만 개별적으로 작동하도록 제어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다수의 상기 임플란트용 포장용기(100)에 전원이 공급되어 발생되는 열이 증가하더라도 상기 통풍팬에 의해 원활하게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냉각부(138)는 수냉식 쿨러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냉각부(138)에는 유체탱크, 펌프, 냉각팬 및 방열기 등을 포함하는 공지된 냉각장치로 구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냉각부(138)는 상기 각 정렬도킹홈부(110)의 테두리에 인접하여 실질적으로 테두리를 감싸듯이 연장된 순환가이드라인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순환가이드라인의 입구관 및 출구관은 상기 유체탱크의 입구 및 출구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유체탱크에 저장된 냉각유체가 상기 순환가이드라인을 통해 순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각부(138)는 냉각 사이클에 의해 상기 유체탱크에 저장되는 상기 냉각유체를 냉각할 수 있다. 여기서, 순환되는 상기 냉각유체의 냉기가 상기 각 정렬도킹홈부(110) 측에 전달되어 상기 발생된 열이 냉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원공급본체(200)에는 상기 전원공급라인(121)으로의 전원공급상태를 표시하도록 선택적으로 발광되는 점등부(15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점등부(150)는 상기 삽입된 임플란트용 포장용기(100)와 동시에 가시적으로 확인되도록 상기 정렬도킹홈부(110)에 인접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점등부(150)에는 복수개의 광원(L)이 구비되어 상기 정렬도킹홈부(110)의 상면테두리를 따라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점등부(150)는 후술하게 되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점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점등부(150)의 점등상태만 확인해도 상기 임플란트용 포장용기(100)의 작동상태가 인지되므로 사용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부(120)에는 제어부(미도시)가 더 포함되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전원공급단자(53)와 상기 전원공급라인(121)의 접속 여부를 검출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전원공급단자(53)와 상기 전원공급라인(121)이 접속되는 시점으로부터 경과되는 시간을 산출하게 되며 기설정된 시간과 비교한다.
여기서, 기설정된 시간은 상기 픽스츄어(f)의 2차 표면 개질이 완료되는 조사시간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며, 사용자가 상기 기설정된 시간을 설정하도록 상기 하우징부(130)의 외면에는 시간설정부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시간설정부는 사용자가 시간을 입력할 수 있도록 기계식 버튼 내지 디지털 버튼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간설정부는 상기 제어부와 신호연결되며 사용자가 설정하는 시간에 대응하여 상기 제어부에 기설정된 시간이 입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경과된 시간이 상기 기설정된 시간에 미만인 경우,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점등부(150)에 상기 전원공급라인(121)으로의 전원공급상태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기설정된 시간 대비 경과된 시간을 기준으로 계산되는 진행률에 따라 시계방향 내지 반시계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상기 광원(L)이 점등되도록 제어한다.
예컨대, 상기 광원(L)이 24개가 구비되고, 10개의 상기 광원(L)이 점등된다면, 사용자는 10시간이 경과된 것으로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과된 시간이 상기 기설정된 시간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전원공급라인(121)의 전원공급을 단속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기설정된 시간에 도달한 상태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점등부(150)가 점멸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전원공급단자(53)와 상기 전원공급라인(121)이 분리되면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단속된 상기 전원공급라인(121)의 전원공급이 재개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점등부(150)의 점등상태만으로도 상기 기설정된 시간에 대한 경과된 시간 내지 남은 시간에 대해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점등부(150)의 점멸시, 표면 개질의 완료 상태를 쉽게 인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수의 상기 임플란트용 포장용기(100)에 대한 개별적인 관리가 용이하여 사용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으며, 상기 점등부(150)의 확인만으로도 표면 개질이 완료된 상기 임플란트용 포장용기(100)를 파악하여 분리할 수 있으므로 불필요한 전력 낭비가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원공급본체(200)에는 본체커버부(1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본체커버부(140)는 상기 하우징부(130)의 상면부를 커버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부(130)와 힌지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부(130)의 상면부를 선택적으로 커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본체커버부(140)는 상기 하우징부(130)로부터 별도로 분리되어 구비될 수도 있으며, 슬라이딩 개폐되도록 상기 하우징부(130)에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본체커버부(140)는 투명 내지 반투명의 투영성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하우징부(130)의 상면부를 커버한 상태에서도 내부가 투영되므로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본체커버부(140)가 상기 하우징부(130)의 상면부를 커버하게 되므로 내부를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심미감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0 : 임플란트용 포장용기 100a : 비연속정렬부
110 : 정렬도킹홈부 112 : 자석
113 : 연통홀 120 : 전원공급부
121 : 전원공급라인 130 : 하우징부
130b : 열방출홀 200 : 전원공급본체
300 :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 전원공급장치

Claims (5)

  1. 치아 임플란트용 픽스츄어의 표면개질을 위해 내부에 구비되는 표면개질수단으로의 전원공급단자가 일측단부에 구비되며, 하부 외면프로파일이 일방향 정렬단면구조로 구비된 임플란트용 포장용기; 및
    상기 임플란트용 포장용기의 일측단부가 형합되어 삽입되도록 함몰 형성되되 하면부에 상기 전원공급단자와 선택적으로 접속되도록 전원을 인가받는 전원공급부와 연결된 전원공급라인이 구비된 정렬도킹홈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 전원공급본체를 포함하는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 전원공급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용 포장용기 외면의 일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오목하거나 볼록하게 형성된 비연속정렬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 전원공급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도킹홈부의 하면부 및 상기 임플란트용 포장용기의 하면부 중 일측에는 복수개의 자석이 구비되며, 타측에는 상기 자석에 가고정되는 자성체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 전원공급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용 포장용기의 하부측 측면부에는 상기 표면개질수단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출하는 통풍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정렬도킹홈부의 내측면부에는 상기 통풍슬릿과 연통되어 상기 발생된 열이 상기 전원공급본체의 내부로 배출되는 연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전원공급본체에는 상기 연통홀에서 배출된 열이 방출되도록 외부와 연통된 열방출홀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 전원공급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전원공급단자와 상기 전원공급라인의 접속 여부를 검출하고 접속시점으로부터 경과된 시간을 산출 및 기설정된 시간과 비교하여 상기 전원공급라인으로의 전원공급을 선택적으로 단속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원공급라인으로의 전원공급상태를 표시하도록 선택적으로 발광되는 점등부가 상기 정렬도킹홈부와 인접하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 전원공급장치.
KR1020160159882A 2016-11-29 2016-11-29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 전원공급장치 KR1018347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9882A KR101834767B1 (ko) 2016-11-29 2016-11-29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 전원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9882A KR101834767B1 (ko) 2016-11-29 2016-11-29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 전원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4767B1 true KR101834767B1 (ko) 2018-03-06

Family

ID=61727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9882A KR101834767B1 (ko) 2016-11-29 2016-11-29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 전원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47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3194A (ko) * 2018-12-28 2020-07-08 (주)디엑스엠 임플란트용 자외선 살균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2993B1 (ko) 2011-03-29 2012-01-05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치과용 임플란트의 표면 처리 장치
KR101445819B1 (ko) 2013-05-14 2014-09-29 박규화 치과용 임플란트의 표면노화 회복을 위한 자외선 조사 시스템
KR101675506B1 (ko) 2015-10-19 2016-11-11 주식회사 디오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
KR101675508B1 (ko) 2015-10-19 2016-11-11 주식회사 디오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2993B1 (ko) 2011-03-29 2012-01-05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치과용 임플란트의 표면 처리 장치
KR101445819B1 (ko) 2013-05-14 2014-09-29 박규화 치과용 임플란트의 표면노화 회복을 위한 자외선 조사 시스템
KR101675506B1 (ko) 2015-10-19 2016-11-11 주식회사 디오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
KR101675508B1 (ko) 2015-10-19 2016-11-11 주식회사 디오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3194A (ko) * 2018-12-28 2020-07-08 (주)디엑스엠 임플란트용 자외선 살균장치
KR102404234B1 (ko) 2018-12-28 2022-06-02 (주)디엑스엠 임플란트용 자외선 살균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36978B2 (en) Portable disinfection device
KR101516185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표면처리용 자외선 조사장치
US9636198B2 (en) Dental whitening system
KR100977985B1 (ko) 비염치료용 다파장 레이저 조사기
KR101252767B1 (ko) 플라즈마를 이용한 임플란트 유닛의 표면처리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임플란트 유닛 및 임플란트 유닛의 플라즈마 표면처리장치
KR101445819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표면노화 회복을 위한 자외선 조사 시스템
MXPA06006754A (es) Luz de curado dental recargable.
KR101797158B1 (ko)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
KR101675508B1 (ko)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
KR101834767B1 (ko)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 전원공급장치
KR20110132688A (ko) 이동식 치주질환 광치료장치
KR101675506B1 (ko)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
US9955860B2 (en) Illuminated dental prop
KR101850505B1 (ko) 치아 임플란트용 보관장치
JP5507890B2 (ja) 排水口用蓋体
KR101688935B1 (ko)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
US20060261285A1 (en) Toothbrush sterilizer
KR102590340B1 (ko) 임플란트의 표면처리용 자외선 조사장치
KR101769780B1 (ko)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
TWM515341U (zh) 筷子收納盒
US20220409346A1 (en) Implant packaging bottle
CN212996239U (zh) 马桶紫外杀菌消毒装置
KR100940602B1 (ko) 치공구용 회전 스탠드
KR101961638B1 (ko) 마이크 소독장치
KR20190088762A (ko) 치아 임플란트의 표면처리용 자외선 조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