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4519B1 - 응축수 감압 장치 - Google Patents

응축수 감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4519B1
KR101834519B1 KR1020160028377A KR20160028377A KR101834519B1 KR 101834519 B1 KR101834519 B1 KR 101834519B1 KR 1020160028377 A KR1020160028377 A KR 1020160028377A KR 20160028377 A KR20160028377 A KR 20160028377A KR 101834519 B1 KR101834519 B1 KR 1018345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ressure
discharge pipe
horn
condensed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8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5310A (ko
Inventor
구본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60028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4519B1/ko
Publication of KR20170105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53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45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45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TSTEAM TRAPS OR LIKE APPARATUS FOR DRAINING-OFF LIQUIDS FROM ENCLOSURES PREDOMINANTLY CONTAINING GASES OR VAPOURS
    • F16T1/00Steam traps or like apparatus for draining-off liquids from enclosures predominantly containing gases or vapours, e.g. gas lines, steam lines, containers
    • F16T1/38Component parts; 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47/00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 F16K47/02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for preventing water-hammer or noise
    • F16K47/023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for preventing water-hammer or noise for preventing water-hammer, e.g. damping of the valve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4Devices damping pulsations or vibrations in fluids
    • F16L55/045Devices damping pulsations or vibrations in fluids specially adapted to prevent or minimise the effects of water hamm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oat Valves (AREA)

Abstract

응축수 감압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스 배관에 설치되고, 응축수가 유입 및 배출되는 수봉변(water seal valve), 상기 수봉변의 내부에 탄력 작동토록 설치되는 누름판, 상기 수봉변의 내측면 및 상기 누름판의 하부에 설치되는 감지센서, 상기 수봉변에 연결되고 상기 수봉변 내부의 압력을 배출하는 압력 배출관, 및 상기 감지센서와 연결되어 상기 압력 배출관을 열어주도록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응축수 감압 장치{DEVICE FOR DECOMPRESSING STEAM CONDENSATE}
본 발명은 응축수 감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봉변 실 포트(Seal Pot) 형상을 갖춘 응축수 오토 트랩(Auto Trap) 방출압 감압장치를 설치하여, 응축수의 오토 트랩(Auto Trap) 이상시 비산을 방지하고, 배관내 해머링(Hammering) 현상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응축수 감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봉변(water seal valve)은 가스 배관 내 가스 흐름을 밀봉수의 수두압으로 완전하게 차단하는 장치이다.
상기 수봉변이 사용되는 가스배관으로는 일반적으로 제철소에서 부생되는 고로가스, 전로가스, 및 코크스 가스 등이 이송되는 가스배관이며, 이러한 가스들은 인화성이 매우 높으며 또한, 유독성이 크기 때문에 수봉변의 밀봉 작업시 가스 유출이 일어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종래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튜브(Tube)(1)의 양측면에 설치된 플랜지(1-1)와 플레이트(Plate)(13,14)를 Bolt(15)로 채결하여 고정하고, 튜브(1)의 외부에는 고압의 응축수가 유입되는 응축수 유입구(12)와 압력을 배출하기 위한 압력 배출구(16)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튜브(1)의 하부에는 튜브(1) 내부의 응축수를 배출하기 위한 응축수 배출구(9)와 압력 없는 물이 흘러서 드레인 되는 드레인(drain) 배출구(10)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응축수 유입구(12)로 유입되어 상기 튜브(1)의 내부로 들어온 고압의 응축수는 임펠러(IMPELLER)(4)를 회전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방출압 감압장치, 즉 튜브의 하부에 드레인 배출구를 구성하여 응축수를 비산 없이 조용히 흘러 나오도록 구성하고 있으나, 상기 튜브 내의 응축수의 오토 트랩(Auto Trap) 이상(고장)시 상기 튜브 내부로 들어온 고압의 응축수에 의한 압력을 감압할 수 있는 별도의 감압 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으므로 배관내 해머링(Hammering) 현상을 방지하지 못해, 배관 손상을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수봉변 실 포트(Seal Pot) 형상을 갖춘 응축수 오토 트랩(Auto Trap) 방출압 감압장치를 설치하여, 응축수의 오토 트랩(Auto Trap) 이상(고장)시 비산을 방지하고, 배관내 해머링(Hammering) 현상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응축수 감압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가스 배관에 설치되고, 응축수가 유입 및 배출되는 수봉변(water seal valve),
상기 수봉변의 내부에 탄력 작동토록 설치되는 누름판,
상기 수봉변의 내측면 및 상기 누름판의 하부에 설치되는 감지센서,
상기 수봉변에 연결되고 상기 수봉변 내부의 압력을 배출하는 압력 배출관, 및
상기 감지센서와 연결되어 상기 압력 배출관을 열어주도록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응축수 감압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수봉변에 연결되어 상기 수봉변 내에 응축수를 유입하기 위한 응축수 유입관과, 상기 수봉변에 연결되어 상기 수봉변 내의 응축수를 상기 수봉변 외부로 유출하기 위한 응축수 유출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누름판의 하부에는 탄성부재가 설치되어 상기 누름판이 탄력 작동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수봉변의 상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개구부에는 캡이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의 하단부에는 고정판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판은 상기 수봉변의 바닥부에 고정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압력 배출관에는 이의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압력 배출관 개폐 제어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압력 배출관 개폐 제어밸브는 상기 컨트롤러와 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수봉변은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수봉변의 내경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거나, 원추형으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응축수 유출관에 수직으로 연통되고, 검출봉이 담겨있는 검출관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검출관의 내부 하단부에는 하부 레벨 검출부재 또는 하부 레벨 검출센서가 설치되는
상기 검출관의 내부 상단부에는 상부 레벨 검출부재 또는 상부 레벨 검출센서가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르면, 수봉변 실 포트(Seal Pot) 형상을 갖춘 응축수 오토 트랩(Auto Trap) 방출압 감압장치를 설치하여, 응축수의 오토 트랩(Auto Trap) 이상시 비산을 방지하고, 배관내 해머링(Hammering) 현상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응축수 감압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일부 상세도이다.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응축수 배출 장치를 나타낸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구현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구현예는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가능한 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구현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응축수 방출압 감압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며, 도 2는 도 1의 일부 상세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응축수 방출압 감압 장치는, 가스 배관에 설치되어 가스 흐름을 차단하고, 응축수가 유입 및 배출되는 수봉변(water seal valve)(100),
상기 수봉변(100)에 설치되어 오토 트랩 고장시 상기 수봉변(100) 내 응축수의 유입에 의한 압력이 설정 압력 이상으로 될 경우 자동으로 상기 수봉변(100) 내의 압력을 감압하기 위한 감압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봉변(100)에 연결되어 상기 수봉변(100) 내에 고압의 응축수를 유입하기 위한 응축수 유입관(110), 및
상기 수봉변(100)에 연결되어 상기 수봉변(100) 내의 응축수를 상기 수봉변(100) 외부로 유출하기 위한 응축수 유출관(1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응축수 유입관(110)에는 이의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응축수 유입관 개폐 제어 밸브가(111)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응축수 유출관(120)에는 이의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응축수 유출관 개폐 제어 밸브가(121)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봉변(100)에는 상기 수봉변(100) 내의 응축수를 드레인하기 위한 드레인 배관(130)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드레인 배관(130)에는 이의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드레인 배관 개폐 제어 밸브가(131)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수봉변(100)은 그 내부에 응축수를 담을 수 있는 원통형 또는 사각통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봉변(100)의 상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개구부를 덮어주기 위한 캡(30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감압부(200)는 상기 수봉변(100)의 내부에 탄력 작동토록 설치되어 상기 수봉변(100) 내로 공급되는 응축수의 자중과 압력에 의하여 하방으로 눌러주기 위한 누름판(210),
상기 수봉변(100)의 내측면 및 상기 누름판(210)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누름판(210)이 일정한 길이만큼 눌러짐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230),
상기 수봉변(100)에 연결되고 상기 수봉변(100) 내부의 압력을 배출하는 압력 배출관(240), 및
상기 감지센서(230)와 연결되고, 상기 감지센서(230)가 상기 누름판(210)이 일정한 길이만큼 눌러짐을 감지하게 되면 상기 압력 배출관(240)을 열어주도록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2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누름판(210)의 하부에는 상기 누름판(210)의 누름에 따라 수축되고 상기 누름판(210)의 누름이 해제되면 원래 상태로 복귀하는 탄성부재(220)가 설치되어 상기 누름판(210)이 탄력 작동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220)의 하단부에는 상기 탄성부재(220)를 고정시켜 주기 위한 고정판(260)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판(260)은 상기 수봉변(100)의 바닥부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부재(220)는 상기 누름판(210)과 상기 고정판(260) 사이에 지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압력 배출관(240)에는 이의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압력 배출관 개폐 제어밸브(241)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압력 배출관 개폐 제어밸브(241)는 상기 컨트롤러(250)와 연결되어 상기 컨트롤러(250)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압력 배출관(240)은 상기 수봉변(100) 내의 압력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수봉변(100) 내에 유입되는 최고 수위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220)는 수축 또는 팽창시 상기 수봉변의 내벽에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수봉변(100)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 또는 크기를 가지거나,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원추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응축수 유출관(120)에 수직으로 연통되고, 상기 응축수 유출관으로 유출되는 응축수의 레벨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봉(410)이 담겨있는 검출관(4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검출관(400)은 상기 검출봉(410)이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검출봉(410)도 상기 검출관(400) 내를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검출관(400)은 외부에서 용이하게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출관(400)의 내부 하단부에는 상기 검출관(400)의 하부 레벨을 검출하기 위한 하부 레벨 검출부재(420) 또는 하부 레벨 검출센서(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검출관(400)의 내부 상단부에는 상기 검출관(400)의 상부 레벨을 검출하기 위한 상부 레벨 검출부재(430) 또는 상부 레벨 검출센서(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하부 레벨 검출센서와 상기 상부 레벨 검출센서는 상기 컨트롤러와 연결되고, 상기 컨트롤러가 응축수 유입관 개폐 제어 밸브(111) 또는 응축수 유출관 개폐 제어 밸브(121)를 제어하여 상기 수봉변(100) 내의 응축수의 레벨을 조절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응축수 감압 장치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수봉변(100)은 가스배관의 밀봉 작업시 상기 드레인 배관 개폐 제어밸브(131)에 의하여 상기 드레인 배관(130)을 닫고, 상기 응축수 유입관 개폐 제어 밸브(111)에 의하여 상기 응축수 유입관(110)을 열어, 상기 수봉변(100) 내부에 응축수를 가스의 압력보다 큰 수두압이 형성될 때까지 유입시킴으로써 이송 가스의 흐름을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이 때, 상기 수봉변(100) 내에 응축수가 유입되면, 상기 응축수는 상기 응축수 유출관(120)과 연통된 상기 검출관(400) 내로 유입되고, 상기 검출관 내에 유입되는 응축수의 수위에 따라 검출봉이 상기 검출관(400) 내부를 따라 상승하게 되고, 상기 검출봉(410)의 위치에 따라 검출관(400) 내의 응축수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봉변(100) 내의 응축수의 오토 트랩(trap) 이상(고장)시 상기 수봉변(100) 내의 압력이 설정 압력 이상으로 될 경우, 상기 수봉변(100) 내부의 응축수의 자중과 응축수의 압력에 의하여 상기 감압부(200)의 누름판(210)이 그 하방으로 눌러지게 된다.
상기 누름판(210)이 하방으로 눌러짐에 따라 상기 탄성부재(220)가 수축되며, 상기 누름판(210)이 일정한 길이만큼 하방으로 눌러지게 되면, 상기 감지센서(230)가 상기 누름판(210)과 접촉하여 이를 감지하게 되고, 상기 감지센서(230)의 감지 정보는 상기 컨트롤러(250)에 전송되고, 상기 컨트롤러(250)는 상기 압력 배출관 개폐 제어밸브(241)를 제어하여 압력 배출관(240)을 열어 상기 수봉변(100) 내의 압력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압력 배출관(240)을 통하여 상기 수봉변(100) 내의 압력이 배출되어 상기 수봉변(100) 내의 압력이 설정 압력 이하로 되면, 상기 컨트롤러(250)는 상기 압력 배출관 개폐 제어밸브(241)를 제어하여 압력 배출관(240)를 닫아준다.
이 때, 상기 감압부(200)의 누름판(210)에 가해지는 응축수의 압력이 해제됨에 따라 상기 누름판(210)은 고정판(260)에 고정된 상기 탄성부재(22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되는 것이다.
100: 수봉변 110: 응축수 유입관
120: 응축수 유출관 130: 드레인 배관
200: 감압부 210: 누름판
220: 탄성부재 230: 감지센서
240: 압력 배출관 ` 250: 컨트롤러
300: 캡 400: 검출관
410: 검출봉

Claims (10)

  1. 가스 배관에 설치되고, 응축수가 유입 및 배출되는 수봉변(water seal valve),
    상기 수봉변의 내부에 탄력 작동토록 설치되는 누름판,
    상기 수봉변의 내측면 및 상기 누름판의 하부에 설치되는 감지센서,
    상기 수봉변에 연결되고 상기 수봉변 내부의 압력을 배출하는 압력 배출관, 및
    상기 감지센서와 연결되어 상기 압력 배출관을 열어주도록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
    를 포함하고,
    상기 누름판의 하부에는 탄성부재가 설치되어 상기 누름판이 탄력 작동되고,
    상기 탄성부재의 하단부에는 고정판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판은 상기 수봉변의 바닥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수봉변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누름판과 상기 고정판 사이에 지지 결합되는 것인 응축수 감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봉변에 연결되어 상기 수봉변 내에 응축수를 유입하기 위한 응축수 유입관과, 상기 수봉변에 연결되어 상기 수봉변 내의 응축수를 상기 수봉변 외부로 유출하기 위한 응축수 유출관을 더 포함하는 것인 응축수 감압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봉변의 상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개구부에는 캡이 설치되는 것인 응축수 감압 장치.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배출관에는 이의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압력 배출관 개폐 제어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압력 배출관 개폐 제어밸브는 상기 컨트롤러와 연결되는 것인 응축수 감압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봉변은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인 응축수 감압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수봉변의 내경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거나, 원추형으로 형성되는 것인 응축수 감압 장치.
  8. 제2항, 제3항, 및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유출관에 수직으로 연통되고, 검출봉이 담겨있는 검출관을 포함하는 것인 응축수 감압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관의 내부 하단부에는 하부 레벨 검출부재 또는 하부 레벨 검출센서가 설치되는 것인 응축수 감압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관의 내부 상단부에는 상부 레벨 검출부재 또는 상부 레벨 검출센서가 설치되는 것인 응축수 감압 장치.
KR1020160028377A 2016-03-09 2016-03-09 응축수 감압 장치 KR1018345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8377A KR101834519B1 (ko) 2016-03-09 2016-03-09 응축수 감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8377A KR101834519B1 (ko) 2016-03-09 2016-03-09 응축수 감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5310A KR20170105310A (ko) 2017-09-19
KR101834519B1 true KR101834519B1 (ko) 2018-03-05

Family

ID=60033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8377A KR101834519B1 (ko) 2016-03-09 2016-03-09 응축수 감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45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56773B (zh) * 2019-04-25 2024-06-14 中国建材国际工程集团有限公司 一种气体燃料窑炉用换向水封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1017Y1 (ko) * 1999-12-22 2000-05-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코크스 건식소화설비 보일러의 탈기기 급수탱크수봉장치
KR101056147B1 (ko) * 2011-03-07 2011-08-11 (주)에스엠테크 송수관의 부압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1017Y1 (ko) * 1999-12-22 2000-05-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코크스 건식소화설비 보일러의 탈기기 급수탱크수봉장치
KR101056147B1 (ko) * 2011-03-07 2011-08-11 (주)에스엠테크 송수관의 부압 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5310A (ko) 2017-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12104018A (ru) Вентиляционный клапан (варианты)
KR101834519B1 (ko) 응축수 감압 장치
EP2392849B1 (en) Drain treatment system
MXPA05000264A (es) Valvula de ventilacion.
RU2659705C2 (ru) Клапан текучей среды
KR20170066956A (ko) 기체측정겸용 배출장치
KR101157464B1 (ko) 급속공기밸브
KR101363994B1 (ko) 저압 가스 안전변 시스템
JP2007232030A (ja) フロート式ドレントラップ
JP2010031920A (ja) 弁類の作動状態検出装置
JP2003268755A (ja) 自動給水装置
JP2007247789A (ja) フロート式ドレントラップ
KR101774986B1 (ko) 유체 역류 방지 장치
JP2007218330A (ja) フロート式スチームトラップ
JP6529337B2 (ja) 弁装置及び貯湯式給湯装置
KR102637433B1 (ko) 누수 감지형 그랜드 패킹 누름 구조
JP5269730B2 (ja) 熱応動式スチームトラップ
KR200453655Y1 (ko) 진공 방지 기능이 구비된 스팀 안전 압력변
KR101254535B1 (ko) 가스밸브용 가스누출차단장치
JP5220528B2 (ja) 下向バケット型スチームトラップ
KR100944149B1 (ko) 밸브 어셈블리 및 밸브 어셈블리 작동방법
CN209138581U (zh) 一种高压加氢反应釜防冲击排料系统
KR200452273Y1 (ko) 고압밸브의 안전장치
EP2115362B1 (en) Expansion tank provided with a float
JP5235938B2 (ja) 精油または石油化学工程のカラム用機械的圧力低減装置およびそ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