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3358B1 - 광고관리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광고관리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3358B1
KR101833358B1 KR1020160183078A KR20160183078A KR101833358B1 KR 101833358 B1 KR101833358 B1 KR 101833358B1 KR 1020160183078 A KR1020160183078 A KR 1020160183078A KR 20160183078 A KR20160183078 A KR 20160183078A KR 101833358 B1 KR101833358 B1 KR 1018333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vertisement
specific advertisement
time
providing time
specif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3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은희
배영규
정진식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830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33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3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33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42Determining effectiveness of advertisements
    • G06Q30/0244Optimiz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42Determining effectiveness of advertisements
    • G06Q30/0246Traffi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4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upon schedul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고주가 선정한 특정광고제공시간 동안 모든 방송카테고리에서 특정광고컨텐츠가 동시에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기존과 다른 새로운 시간대 독점형 광고 서비스를 제공되도록 하는 광고관리시스템 및 방법을 제안한다.

Description

광고관리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DVERTISEMENT}
본 발명은 광고제공관리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광고주가 선정한 특정광고제공시간 동안 모든 방송카테고리에서 특정광고컨텐츠가 동시에 제공되도록 하는 새로운 광고제공관리 방안에 관한 것이다.
최근, 광대역 미디어 보급이 확산되고 통신 속도가 향상됨에 따라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을 기반으로 한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서비스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대한 이용이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제공 시스템에서는, VOD(Video On Demand) 컨텐츠를 제공하는 VOD 방송 서비스, 일반 지상파 방송 센터로부터 제공되는 실시간 방송 서비스, 게임 서비스, 노래방 서비스, 날씨 서비스, 운세 서비스, 홈쇼핑 서비스, 광고 서비스 등과 같은 다양한 분야의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광고 서비스의 경우, 광고주가 VOD 드라마, 예능, 영화 등 원하는 방송카테고리를 선택하고 해당 카테고리 내에서 광고가 랜덤 노출되는 방식으로 운영되어 왔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제공 시스템에서의 VOD 광고송출방식은, 지상파 등과 같은 기존 방송광고 시간대 편성에 익숙한 광고주가 이용하기에 용이하지 않았으며, 언제, 어느 시점에 광고가 송출되는지 등을 일일이 확인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또한,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광고 서비스만으로는 광고를 시청하는 시청자를 확보하기 어려운 점에서 실시간 방송 이외의 새로운 광고제공관리 방안을 찾아야만 하는 현실에 직면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광고주가 선정한 특정광고제공시간 동안 모든 방송카테고리에서 특정광고컨텐츠가 동시에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기존과는 다른 시간대 독점형 광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광고제공관리 방안이 실현되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광고관리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방송카테고리 별로 해당 방송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제공시간 중 특정광고제공시간이 도래하면, 상기 방송카테고리에서 동일한 광고주로부터 제공되는 특정광고컨텐츠가 동시에 제공될 수 있도록 상기 방송카테고리 별 상기 서비스제공시간에 상기 특정광고제공시간을 편성하는 광고관리장치; 및 상기 서비스제공시간에 상기 특정광고제공시간이 편성되어 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방송카테고리 별 해당 방송서비스를 수신하는 수신단말로 상기 특정광고컨텐츠를 동시에 제공하는 광고제공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고관리장치는, 상기 광고주와의 계약에 따라 결정된 상기 특정광고제공시간 및 상기 특정광고컨텐츠를 확인하는 정보확인부; 및 상기 특정광고제공시간의 식별코드와 상기 특정광고컨텐츠의 식별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상기 서비스제공시간에 상기 특정광고제공시간을 편성하여 특정광고편성정보를 생성하는 특정광고편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특정광고제공시간의 식별코드는, 상기 특정광고제공시간의 시작시점부터 종료시점까지에 해당하는 독점유지시간 및 상기 특정광고제공시간의 편성유무관련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송카테고리는, 실시간 방송을 제공하는 제1 방송카테고리 및 VOD 방송을 제공하는 제2 방송카테고리를 포함하며, 상기 특정광고편성부는, 상기 제2 방송카테고리 중 일부 카테고리의 해당 서비스제공시간에는 상기 특정광고제공시간의 편성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특정광고편성부는, 상기 특정광고제공시간이 상기 제1 방송카테고리의 시청률이 가장 높은 시간인 경우, 상기 시청률과 관련도가 높은 순서대로 상기 특정광고컨텐츠의 노출순서를 결정하고, 상기 상기 노출순서에 따라 기 결정된 노출빈도율 기반으로 상기 특정광고편성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고제공장치는, 상기 특정광고편성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서비스제공시간에 상기 특정광고제공시간이 편성되어 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편성판단부; 상기 서비스제공시간에 상기 특정광고제공시간이 편성되어 있는 경우, 상기 특정광고제공시간이 도래하면, 상기 독점유지시간 동안 상기 방송카테고리 별 해당 방송서비스를 수신하는 상기 수신단말로 상기 특정광고컨텐츠가 동시에 제공되도록 제어하는 독점광고송출부; 및 상기 서비스제공시간에 상기 특정광고제공시간이 편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서비스제공시간에 대응하는 프로그램편성정보에 기초하여 일반광고컨텐츠가 상기 수신단말로 제공되도록 제어하는 일반광고송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광고관리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방송카테고리 별로 해당 방송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제공시간 중 특정광고제공시간이 도래하면, 상기 방송카테고리에서 동일한 광고주로부터 제공되는 특정광고컨텐츠가 동시에 제공될 수 있도록 상기 방송카테고리 별 상기 서비스제공시간에 상기 특정광고제공시간을 편성하는 광고관리단계; 및 상기 서비스제공시간에 상기 특정광고제공시간이 편성되어 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방송카테고리 별 해당 방송서비스를 수신하는 수신단말로 상기 특정광고컨텐츠를 동시에 제공하는 광고제공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고관리단계는, 상기 광고주와의 계약에 따라 결정된 상기 특정광고제공시간 및 상기 특정광고컨텐츠를 확인하는 정보확인단계; 및 상기 특정광고제공시간의 식별코드와 상기 특정광고컨텐츠의 식별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상기 서비스제공시간에 상기 특정광고제공시간을 편성하여 특정광고편성정보를 생성하는 특정광고편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특정광고제공시간의 식별코드는, 상기 특정광고제공시간의 시작시점부터 종료시점까지에 해당하는 독점유지시간 및 상기 특정광고제공시간의 편성유무관련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송카테고리는, 실시간 방송을 제공하는 제1 방송카테고리 및 VOD 방송을 제공하는 제2 방송카테고리를 포함하며, 상기 특정광고편성단계는, 상기 제2 방송카테고리 중 일부 카테고리의 해당 서비스제공시간에는 상기 특정광고제공시간의 편성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특정광고편성단계는, 상기 특정광고제공시간이 상기 제1 방송카테고리의 시청률이 가장 높은 시간인 경우, 상기 시청률과 관련도가 높은 순서대로 상기 특정광고컨텐츠의 노출순서를 결정하고, 상기 노출순서에 따라 기 결정된 노출빈도율 기반으로 상기 특정광고편성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고제공단계는, 상기 특정광고편성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서비스제공시간에 상기 특정광고제공시간이 편성되어 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편성판단단계; 상기 서비스제공시간에 상기 특정광고제공시간이 편성되어 있는 경우, 상기 특정광고제공시간이 도래하면, 상기 독점유지시간 동안 상기 방송카테고리 별 해당 방송서비스를 수신하는 상기 수신단말로 상기 특정광고컨텐츠가 동시에 제공되도록 제어하는 독점광고송출단계; 및 상기 서비스제공시간에 상기 특정광고제공시간이 편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서비스제공시간에 대응하는 프로그램편성정보에 기초하여 일반광고컨텐츠가 상기 수신단말로 제공되도록 제어하는 일반광고송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의 광고관리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광고주가 선정한 특정광고제공시간 동안 모든 방송카테고리에서 특정광고컨텐츠가 동시에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기존과는 다른 새로운 시간대 독점형 광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관리시스템이 적용될 통신 환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관리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관리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특정광고제공시간이 편성된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제공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광고관리시스템의 서비스 제공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됨을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사상은 첨부된 도면 외에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에 까지도 확장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광고관리시스템이 적용될 통신 환경을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될 통신 환경은, 광고관리시스템(100), 방송수신장치(Set-Top Box, 이하 STB)(200), 사용자단말(300), OTT(Over The TOP)단말(300') 및 광고주단말(400)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광고관리시스템(100)은,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을 기반으로 한 멀티미디어 서비스(multimedia service) 중 광고 서비스를 통해 제공되는 광고컨텐츠의 노출을 관리하는 장치로서, 특히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서비스 즉, 광고주가 선정한 특정광고제공시간 동안 모든 방송카테고리에서 특정광고컨텐츠가 동시에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결과적으로는 특정광고제공시간 동안 모든 방송카테고리 상에서 동일한 광고가 독점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이하, 시간대 독점형 광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러한, 광고관리시스템(100)은, 범용 인터넷 망 또는 IPTV 망 등을 통해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일 수 있으며, 방송수신장치(STB)(200)와 연동하여 시간대 독점형 광고 서비스를 사용자단말(300)로 제공하거나, 또는 OTT단말(300')과 직접적으로 연동하여 시간대 독점형 광고 서비스를 제공한다.
방송수신장치(STB)(200)는, 광고관리시스템(100)과 사용자단말(300) 사이에서 서비스 제공을 위한 중계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데, 이러한 방송수신장치(STB)(200)에 의해 광고관리시스템(100)로부터 제공되는 방송서비스와 관련되는 방송컨텐츠, 또는 광고컨텐츠가 사용자단말(300) 상에서 표시될 수 있게 된다.
즉, 방송수신장치(STB)(200)는, 시간대 독점형 광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광고관리시스템(100)으로부터 특정광고컨텐츠에 대한 동시 송출이 요청되는 경우, 특정광고제공시간의 시작시점부터 종료시점까지에 해당하는 독점유지시간 동안 모든 방송카테고리에서 특정광고컨텐츠가 독점적으로 방송될 수 있도록 모든 방송카테고리의 채널로 특정광고컨텐츠를 송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방송수신장치(STB)(200)는, 광고관리시스템(100)으로부터 시간대 독점형 광고 서비스가 아닌 일반적인 방송서비스에 대한 송출이 요청되는 경우에는, 광고관리시스템(100)으로부터 수신되는 프로그램편성정보를 기반으로 방송카테고리 별 해당 채널을 통해 방송서비스와 관련되는 방송컨텐츠, 또는 일반광고컨텐츠를 송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사용자단말(300)은,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단말일 수 있으며, 방송수신장치(STB)(200)를 통해 방송서비스와 관련되는 방송컨텐츠, 또는 광고컨텐츠를 수신하여 표시한다.
이러한 사용자단말(300)은, 상대방과의 통화를 시도(발신)하거나 또는 상대방으로부터 시도되는 통화를 수신(착신)하는 등 기본적인 통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디바이스로서, 유선 단말일 수도 있고 무선 단말일 수도 있다.
물론, 사용자단말(300)은, 기본적인 통화 서비스 외에도, 메시지(예: SMS, MMS 등)를 발/착신하는 등의 메시지 서비스와, 데이터 다운로드 및 정보 검색 등의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위 사용자단말(300)로는 예컨대, 스마트 폰, 태블릿 PC, 및 PDA 등이 해당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닌 IPTV 방송서비스를 수신할 수 있는 장치는 모두 포함될 수 있다.
OTT단말(300')은, OTT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바이스로서, 광고관리시스템(100)과 연동하여 방송컨텐츠, 또는 광고컨텐츠를 수신하여 표시한다.
여기서, OTT 서비스는, 방송과 영화, BJ 제작물 등을 실시간/비실시간으로 방송망(전파)이나 IPTV망이 아닌 범용 인터넷 망을 통해 다양한 단말기(PC, 스마트폰, 스마트TV, 태블릿 PC, 게임콘솔, 스틱형 단말기, 셋톱박스 등)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이다.
이에, OTT단말(300')의 경우, 방송수신장치(STB)(200)가 아닌 광고관리시스템(100)와 직접적으로 연동하여 OTT 서비스를 통해 제공되는 방송컨텐츠, 또는 광고컨텐츠를 송출하여 표시하는 모든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관리시스템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고관리시스템(100)은, 적어도 하나의 방송카테고리 별로 해당 방송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제공시간 중 특정광고제공시간이 도래하면, 방송카테고리에서 동일한 광고주로부터 제공되는 특정광고컨텐츠가 동시에 제공될 수 있도록, 방송카테고리 별 서비스제공시간에 특정광고제공시간을 편성하는 광고관리장치(110), 및 서비스제공시간에 특정광고제공시간이 편성되어 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 결과에 기초하여 방송카테고리 별 해당 방송서비스를 수신하는 수신단말로 특정광고컨텐츠를 동시에 제공하는 광고제공장치(12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고관리시스템(100)은, 적어도 하나의 방송카테고리 별 해당 채널을 통해 제공되는 모든 광고와 관련된 정보(예: 광고컨텐츠, 편성정보, 타겟팅정보 등)를 저장하는 광고데이터베이스(130)를 더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즉, 이러한 광고데이터베이스(130)에는, 광고관리장치(110)로부터 시간대 독점형 광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특정광고제공시간에 편성된 특정광고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비롯하여, 특정광고제공시간 이외의 나머지 시간에 편성된 일반광고컨텐츠와 관련된 정보 등이 저장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고관리시스템(100)은, 시간대 독점형 광고 서비스를 이용하려는 광고주와 체결된 광고계약을 관리하며, 광고주가 선정한 특정광고제공시간 및 특정광고컨텐츠를 광고주단말(400)로부터 수신하여 배포하는 등과 같은 시간대 독점형 광고 서비스 운영을 위한 전반적인 관리툴(TOOL)의 역할을 수행하는 관리설정장치(140)를 더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고관리시스템(100)은, 관리설정장치(140)를 통해 배포 요청되는 광고컨텐츠의 소재파일을 저장하며, 광고관리장치(110)의 프로그램편성에 따라 광고컨텐츠의 소재파일을 특정광고컨텐츠 또는 일반광고컨텐츠로 구분하여 배포하는 컨텐츠서버(150)를 더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상의 광고관리장치(110), 광고제공장치(120), 광고데이터베이스(130), 관리설정장치(140) 및 컨텐츠서버(150)를 포함하는 광고관리시스템(100)의 구성 전체 내지는 적어도 일부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 또는 하드웨어 모듈 형태로 구현되거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하드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관리시스템(100)은, 광고주가 선정한 특정광고제공시간 동안 모든 방송카테고리에서 특정광고컨텐츠가 동시에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기존과는 다른 시간대 독점형 광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광고제공관리 방안을 실현하게 되는 데, 이하에서는 이를 위한 광고관리시스템(100) 내 각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광고관리장치(110)는, 방송카테고리 별 서비스제공시간에 특정광고제공시간을 편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광고관리장치(110)는, 관리설정장치(140)로부터 시간대 독점형 광고 서비스를 이용하려는 광고주와의 광고계약 체결이 확인되는 경우, 광고주가 선정한 특정광고제공시간 및 특정광고컨텐츠를 확인한 결과를 기반으로 특정광고제공시간을 서비스제공시간에 편성한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광고관리장치(1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확인부(111) 및 특정광고편성부(112)를 포함한다.
정보확인부(111)는, 광고주와의 계약에 따라 결정된 특정광고제공시간 및 특정광고컨텐츠를 확인한다.
즉, 정보확인부(111)는, 관리설정장치(140)로부터 광고계약 체결이 되었음을 알리기 위한 특정광고계약 알림메시지가 수신되면, 특정광고계약 알림메시지로부터 광고주가 선정한 광고시간인 특정광고제공시간과, 특정광고제공시간에 제공되어야 하는 특정광고컨텐츠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특정광고제공시간에는 광고주가 선정한 해당 광고시간을 구분할 수 있도록 식별코드가 할당되어 있으며, 특정광고컨텐츠에는 광고주가 선정한 해당 광고컨텐츠를 구분할 수 있도록 식별번호가 할당되게 된다.
이때, 특정광고제공시간의 식별코드에는, 특정광고제공시간의 시작시점부터 종료시점까지에 해당하는 독점유지시간 및 특정광고제공시간이 편성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편성유무관련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게 된다.
이에, 정보확인부(111)는, 특정광고제공시간의 식별코드와 특정광고컨텐츠의 식별번호를 매칭하여 광고정보확인결과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정보확인부(111)는, 방송카테고리 별 서비스제공시간에 특정광고제공시간이 편성될 수 있도록 광고정보확인결과를 특정광고편성부(112)로 전달한다.
특정광고편성부(112)는, 광고정보확인결과를 기반으로 특정광고제공시간을 편성하여 특정광고편성정보를 생성한다.
즉, 특정광고편성부(112)는, 정보확인부(111)로부터 광고정보확인결과가 수신되면, 광고정보확인결과로부터 특정광고제공시간의 식별코드와 특정광고컨텐츠의 식별번호를 검출한다.
이후, 특정광고편성부(112)는, 특정광고제공시간의 식별코드와 특정광고컨텐츠의 식별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방송카테고리 별 서비스제공시간에 특정광고제공시간을 편성하여 특정광고편성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방송카테고리에는, 실시간 방송을 제공하는 제1 방송카테고리(예: 지상파, 홈쇼핑 등) 및 VOD 방송을 제공하는 제2 방송카테고리(예: 영화, 애니, 기타 등)가 포함된다.
이러한 방송카테고리 중 제2 방송카테고리(예: 영화, 애니, 기타 등)의 일부 카테고리(예: 키즈 등)의 경우, 특정광고편성부(112)는, 특정광고제공시간의 편성을 제한하여 광고가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이처럼 일부 카테고리(예: 키즈 등)에 대한 편성을 제한하는 것은, 일부 카테고리(예: 키즈 등)의 방송특성을 기반으로 운영자가 설정한 방침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므로, 방침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제한여부가 달라질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4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특정광고제공시간이 편성된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대 독점형 광고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은 서비스제공시간(PM 7시 이전, PM 7시 5분 이후)(T11, T12)에는, 방송카테고리 별 해당 방송서비스와 관련되는 방송컨텐츠, 또는 일반광고컨텐츠가 제공되도록 프로그램편성정보가 생성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방송카테고리 중 제1 방송카테고리(예: 지상파, 홈쇼핑 등)를 살펴보면, 시간대 독점형 광고 서비스가 편성되지 않는 서비스제공시간(T11, T12) 중 서비스제공시간(T11a, T12a)에는 일반광고컨텐츠(광고1, 광고2...)가 편성되게 되며, 서비스제공시간(T11b, T12b)에는 해당 방송서비스와 관련되는 방송컨텐츠가 편성되게 된다.
동일하게, 다른 제2 방송카테고리(예: 영화, 애니, 기타 등) 역시 서비스제공시간(T11a, T12a)에는 일반광고컨텐츠(광고1, 광고2...)가 편성되게 되며, 서비스제공시간(T11b, T12b)에는 해당 방송서비스와 관련되는 방송컨텐츠가 편성되게 된다.
이와 달리, 시간대 독점형 광고 서비스가 제공되는 서비스제공시간(PM 7시~7시 5분)인 특정광고제공시간(T2)에는, 모든 방송카테고리인 제1 방송카테고리(예: 지상파, 홈쇼핑 등) 및 제2 방송카테고리(예: 영화, 애니, 기타 등)에서 특정광고컨텐츠가 독점적으로 제공되도록 편성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특정광고제공시간(T2)이 도래하게 되면, 특정광고제공시간(T2)인 시작시점(TS)부터 종료시점(TE)까지에 해당하는 독점유지시간 동안 모든 제1 및 제2 방송카테고리에서 특정광고컨텐츠가 독점적으로 방송되도록 특정광고편성정보가 생성되게 된다.
이에, 특정광고제공시간(T2) 동안에는 제1 및 제2 방송카테고리 상에서 특정광고컨텐츠만이 동일하게 방송되어 광고 띠를 형성하게 됨에 따라 특정광고컨텐츠에 대한 시간대 독점형 광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전술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특정광고편성부(112)는, 시간대 독점형 광고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하는 경우에는, 광고제공시간의 식별코드와 특정광고컨텐츠의 식별번호를 기반으로 방송카테고리 중 일부 방송카테고리(예: 키즈 등)를 제외한 나머지 방송카테고리(예: 지상파, 영화, 기타 등)에서 특정광고컨텐츠가 독점적으로 제공되도록 특정광고편성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한편, 특정광고편성부(112)는, 특정광고제공시간이 제1 방송카테고리(예: 지상파, 홈쇼핑 등)의 시청률이 가장 높은 시간인 경우, 시청률과 관련도가 높은 순서대로 특정광고컨텐츠의 노출순서를 결정하고, 노출순서에 대응하여 기 결정된 노출빈도율을 기반으로 특정광고편성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광고주가 홈쇼핑의 사업자이며, 홈쇼핑의 시청률이 가장 높아 매출이 급상승하는 시간(예: PM 10시~ 11시)을 특정광고제공시간으로 결정하고, 시청률과 관련도가 높은 특정광고컨텐츠의 순서가 광고1, 광고 3, 광고1인 경우, 특정광고편성부(112)는, 시청률과 관련도가 높은 순서대로 특정광고컨텐츠의 노출순서를 결정한 후, 노출순서에 따라 기 결정된 노출빈도율 기반으로 광고1, 광고3, 광고 2에 대한 특정광고편성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이때, 노출빈도율은, 노출순서가 높은 순서에 따라 미리 결정될 수 있으며, 특정광고제공시간, 특정광고컨텐츠의 개수, 광고시간 등을 파라미터로 하여 산출되게 된다.
즉, 특정광고편성부(112)는, 특정광고제공시간 동안 노출되는 특정광고컨텐츠의 개수와, 해당 광고1,2,3의 광고시간을 확인하여 전체노출가능횟수(예: 6회)를 산출하고, 전체노출가능횟수(예: 6회)에 따라 기 결정된 노출빈도율(3:2:1)을 기반으로 광고1, 광고3, 광고 2에 대한 특정광고편성정보를 생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전술에 따라 방송카테고리 별 서비스제공시간에 특정광고제공시간의 편성이 완료되면, 광고관리장치(110)는, 특정광고편성정보를 기반으로 편성결과알림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를 광고제공장치(120)로 전달한다.
광고제공장치(120)는, 서비스제공시간에 특정광고제공시간이 편성되어 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 결과를 기반으로 사용자단말(300) 또는 OTT단말(300'), 즉 수신단말로 특정광고컨텐츠가 동시에 제공되도록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광고제공장치(120)는, 광고관리장치(110)로부터 편성결과알림메시지가 수신되면, 편성결과알림메시지에 특정광고편성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즉, 광고제공장치(120)는, 편성결과알림메시지에 특정광고편성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방송카테고리 별 서비스제공시간에 특정광고제공시간이 편성되지 않은 것이므로, 일반적인 방송서비스를 통해 방송카테고리 별 방송컨텐츠, 또는 일반광고컨텐츠가 제공되어야 함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광고제공장치(120)는, 편성결과알림메시지에 특정광고편성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방송카테고리 별 서비스제공시간에 특정광고제공시간이 편성되어 있는 것이므로, 시간대 독점형 광고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함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는, 특정광고편성정보로부터 앞서 언급한 특정광고제공시간의 식별코드에 포함되어 있는 편성유무관련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광고제공장치(120)는, 특정광고편성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만을 확인하게 된다면 특정광고제공시간이 편성되어 있는 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광고제공장치(1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성판단부(121), 독점광고송출부(122) 및 일반광고송출부(123)를 포함한다.
편성판단부(121)는, 광고관리장치(110)로부터 편성결과알림메시지가 수신되면, 편성결과알림메시지에 특정광고편성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 결과를 기반으로 일반적인 방송서비스 또는 시간대 독점형 광고 서비스를 수행해야 함을 알린다.
즉, 편성판단부(121)는, 편성결과알림메시지에 특정광고편성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시간대 독점형 광고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함을 알리기 위해 제1 판단결과를 생성하고, 이를 독점광고송출부(122)로 알리게 된다.
한편, 편성판단부(121)는, 편성결과알림메시지에 특정광고편성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일반적인 방송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함을 알리기 위해 제2 판단결과를 생성하고, 이를 일반광고송출부(123)로 알리게 된다.
독점광고송출부(122)는, 방송수신장치(STB)(200) 또는 OTT단말(300')과 연동하여 시간대 독점형 광고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독점광고송출부(122)는, 편성판단부(121)로부터 제1 판단결과가 수신되면, 서비스제공시간에 특정광고제공시간이 편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후, 독점광고송출부(122)는, 방송카테고리 별 서비스제공시간을 모니터링한 결과 특정광고제공시간이 도래하게 되면, 특정광고제공시간의 시작시점부터 종료시점까지에 해당하는 독점유지시간 동안 모든 방송카테고리의 채널을 통해 특정광고컨텐츠를 동시에 제공할 것을 방송수신장치(STB)(200) 또는 OTT단말(300')로 요청한다.
이에, 방송수신장치(STB)(200) 또는 OTT단말(300')은, 시간대 독점형 광고 서비스의 제공을 위해 독점유지시간 동안 모든 방송카테고리에서 특정광고컨텐츠가 독점적으로 방송되도록 모든 방송카테고리의 채널로 특정광고컨텐츠를 송출하게 된다.
일반광고송출부(123)는, 방송수신장치(STB)(200) 또는 OTT단말(300')과 연동하여 일반적인 방송서비스가 제공되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일반광고송출부(123)는, 편성판단부(121)로부터 제2 판단결과가 수신되면, 서비스제공시간에 특정광고제공시간이 편성되어 있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일반광고송출부(123)는, 서비스제공시간에 대응하는 프로그램편성정보에 기초하여 방송카테고리 별 해당 채널을 통해 방송서비스와 관련되는 방송컨텐츠, 또는 일반광고컨텐츠를 제공할 것을 방송수신장치(STB)(200) 또는 OTT단말(300')로 요청한다.
이에, 방송수신장치(STB)(200) 또는 OTT단말(300')은, 일반적인 방송서비스의 제공을 위해 프로그램편성정보를 기반으로 방송카테고리 별 해당 채널을 통해 방송컨텐츠, 또는 일반광고컨텐츠를 송출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관리시스템의 서비스 제공 흐름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의 도 1 내지 도 5에서 언급한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광고관리장치(110)는, 시간대 독점형 광고 서비스를 이용하려는 광고주와의 광고계약 체결이 확인되는 경우, 광고주단말(400)로부터 광고주가 선정한 광고시간인 특정광고제공시간과, 특정광고제공시간에 제공되어야 하는 특정광고컨텐츠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S100, S101).
여기서, 특정광고제공시간에는 광고주가 선정한 해당 광고시간을 구분할 수 있도록 식별코드가 할당되어 있으며, 특정광고컨텐츠에는 광고주가 선정한 해당 광고컨텐츠를 구분할 수 있도록 식별번호가 할당되게 된다.
이때, 특정광고제공시간의 식별코드는, 특정광고제공시간의 시작시점부터 종료시점까지에 해당하는 독점유지시간 및 특정광고제공시간이 편성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편성유무관련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게 된다.
이후, 광고관리장치(110)는, 특정광고제공시간의 식별코드와 특정광고컨텐츠의 식별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방송카테고리 별 서비스제공시간에 특정광고제공시간을 편성하여 특정광고편성정보를 생성한다(S102).
여기서, 방송카테고리에는, 실시간 방송을 제공하는 제1 방송카테고리(예: 지상파, 홈쇼핑 등) 및 VOD 방송을 제공하는 제2 방송카테고리(예: 영화, 애니, 기타 등)가 포함된다.
이러한 방송카테고리 중 제2 방송카테고리(예: 영화, 애니, 기타 등)의 일부 카테고리(예: 키즈 등)의 경우, 광고관리장치(110)는, 특정광고제공시간의 편성을 제한하여 광고가 노출되지 않도록 편성을 제어할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4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특정광고제공시간이 편성된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대 독점형 광고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은 서비스제공시간(PM 7시 이전, PM 7시 5분 이후)(T11, T12)에는, 방송카테고리 별 해당 방송서비스와 관련되는 방송컨텐츠, 또는 일반광고컨텐츠가 제공되도록 프로그램편성정보가 생성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방송카테고리 중 제1 방송카테고리(예: 지상파, 홈쇼핑 등)를 살펴보면, 시간대 독점형 광고 서비스가 편성되지 않는 서비스제공시간(T11, T12) 중 서비스제공시간(T11a, T12a)에는 일반광고컨텐츠(광고1, 광고2...)가 편성되게 되며, 서비스제공시간(T11b, T12b)에는 해당 방송서비스와 관련되는 방송컨텐츠가 편성되게 된다.
동일하게, 다른 제2 방송카테고리(예: 영화, 애니, 기타 등) 역시 서비스제공시간(T11a, T12a)에는 일반광고컨텐츠(광고1, 광고2...)가 편성되게 되며, 서비스제공시간(T11b, T12b)에는 해당 방송서비스와 관련되는 방송컨텐츠가 편성되게 된다.
이와 달리, 시간대 독점형 광고 서비스가 제공되는 서비스제공시간(PM 7시~7시 5분)인 특정광고제공시간(T2)에는, 모든 방송카테고리인 제1 방송카테고리(예: 지상파, 홈쇼핑 등) 및 제2 방송카테고리(예: 영화, 애니, 기타 등)에서 특정광고컨텐츠가 독점적으로 제공되도록 편성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특정광고제공시간(T2)이 도래하게 되면, 특정광고제공시간(T2)인 시작시점(TS)부터 종료시점(TE)까지에 해당하는 독점유지시간 동안 모든 제1 및 제2 방송카테고리에서 특정광고컨텐츠가 독점적으로 방송되도록 특정광고편성정보가 생성되게 된다.
이에, 특정광고제공시간(T2) 동안에는 제1 및 제2 방송카테고리 상에서 특정광고컨텐츠만이 동일하게 방송되어 광고 띠를 형성하게 됨에 따라 특정광고컨텐츠에 대한 시간대 독점형 광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전술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광고관리장치(110)는, 시간대 독점형 광고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하는 경우에는, 광고제공시간의 식별코드와 특정광고컨텐츠의 식별번호를 기반으로 방송카테고리 중 일부 방송카테고리(예: 키즈 등)를 제외한 나머지 방송카테고리(예: 지상파, 영화, 기타 등)에서 특정광고컨텐츠가 독점적으로 제공되도록 특정광고편성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한편, 광고관리장치(110)는, 특정광고제공시간이 제1 방송카테고리(예: 지상파, 홈쇼핑 등)의 시청률이 가장 높은 시간인 경우, 시청률과 관련도가 높은 순서대로 특정광고컨텐츠의 노출순서를 결정하고, 노출순서에 대응하여 기 결정된 노출빈도율을 기반으로 특정광고편성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광고주가 홈쇼핑의 사업자이며, 홈쇼핑의 시청률이 가장 높아 매출이 급상승하는 시간(예: PM 10시~ 11시)을 특정광고제공시간으로 결정하고, 시청률과 관련도가 높은 특정광고컨텐츠의 순서가 광고1, 광고 3, 광고1인 경우, 특정광고편성부(112)는, 시청률과 관련도가 높은 순서대로 특정광고컨텐츠의 노출순서를 결정한 후, 노출순서에 따라 기 결정된 노출빈도율 기반으로 광고1, 광고3, 광고 2에 대한 특정광고편성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이때, 노출빈도는, 노출순서가 높은 순서에 따라 미리 결정되는 노출빈도율일 수 있으며, 특정광고제공시간, 특정광고컨텐츠의 개수, 광고시간 등을 파라미터로 하여 산출될 수 있다.
즉, 광고관리장치(110)는, 특정광고제공시간 동안 노출되는 특정광고컨텐츠의 개수와, 해당 광고1,2,3의 광고시간을 확인하여 전체노출가능횟수(예: 6회)를 산출하고, 전체노출가능횟수(예: 6회)에 따라 기 결정된 노출빈도율(3:2:1)을 기반으로 광고1, 광고3, 광고 2에 대한 특정광고편성정보를 생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전술에 따라 방송카테고리 별 서비스제공시간에 특정광고제공시간의 편성이 완료되면, 광고관리장치(110)는, 특정광고편성정보를 기반으로 편성결과알림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를 광고제공장치(120)로 전달한다(S103).
광고제공장치(120)는, 광고관리장치(110)로부터 편성결과알림메시지가 수신되면, 편성결과알림메시지에 특정광고편성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04).
즉, 광고제공장치(120)는, 편성결과알림메시지에 특정광고편성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서비스제공시간에 특정광고제공시간이 편성되지 않은 것이므로, 일반적인 방송서비스를 통해 방송카테고리 별 방송컨텐츠, 또는 일반광고컨텐츠가 제공되어야 함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광고제공장치(120)는, 편성결과알림메시지에 특정광고편성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서비스제공시간에 특정광고제공시간이 편성되어 있는 것이므로, 시간대 독점형 광고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함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는, 특정광고편성정보로부터 앞서 언급한 특정광고제공시간의 식별코드에 포함되어 있는 편성유무관련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광고제공장치(120)는, 특정광고편성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만을 확인하게 된다면 특정광고제공시간이 편성되어 있는 지의 여부를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광고제공장치(120)는, 편성결과알림메시지에 특정광고편성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 결과를 기반으로 일반적인 방송서비스 또는 시간대 독점형 광고 서비스가 수행되도록 제어한다(S105).
S105 단계의 판단결과, 편성결과알림메시지에 특정광고편성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광고제공장치(120)는, 서비스제공시간에 특정광고제공시간이 편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후, 광고제공장치(120)는, 방송카테고리 별 서비스제공시간을 모니터링한 결과 특정광고제공시간이 도래하게 되면(S106), 특정광고제공시간의 시작시점부터 종료시점까지에 해당하는 독점유지시간 동안 모든 방송카테고리의 채널을 통해 특정광고컨텐츠를 동시에 제공할 것을 방송수신장치(STB)(200) 또는 OTT단말(300')로 요청한다(S107, S107').
이에, 방송수신장치(STB)(200) 또는 OTT단말(300')은, 시간대 독점형 광고 서비스의 제공을 위해 독점유지시간 동안 모든 방송카테고리에서 특정광고컨텐츠가 독점적으로 방송되도록 모든 방송카테고리의 채널로 특정광고컨텐츠를 송출하게 된다(S108, S108').
한편, S105 단계의 판단결과, 편성결과알림메시지에 특정광고편성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광고제공장치(120)는, 서비스제공시간에 대응하는 프로그램편성정보에 기초하여 방송카테고리 별 해당 채널을 통해 방송서비스와 관련되는 방송컨텐츠, 또는 일반광고컨텐츠를 제공할 것을 방송수신장치(STB)(200) 또는 OTT단말(300')로 요청한다(S109, S109').
이에, 방송수신장치(STB)(200) 또는 OTT단말(300')은, 일반적인 방송서비스의 제공을 위해 프로그램편성정보를 기반으로 방송카테고리 별 해당 채널을 통해 방송컨텐츠, 또는 일반광고컨텐츠를 송출하게 된다(S110, S110').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광고주가 선정한 특정광고제공시간 동안 모든 방송카테고리에서 특정광고컨텐츠가 동시에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기존과는 다른 시간대 독점형 광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광고제공관리 방안을 실현할 수 있는 효과가 성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광고관리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광고주가 선정한 특정광고제공시간 동안 모든 방송카테고리에서 특정광고컨텐츠가 동시에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기존과는 다른 시간대 독점형 광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광고제공관리 방안을 실현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광고관리시스템
110: 광고관리장치 120: 광고제공장치
130: 광고데이터베이스 140: 관리설정장치
150: 컨텐츠서버
200: 방송수신장치(STB)
300: 사용자단말 310': OTT(Over The TOP)단말
400: 광고주단말

Claims (12)

  1. 적어도 하나의 방송카테고리 별로 해당 방송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제공시간 중 특정광고제공시간이 도래하면, 상기 방송카테고리에서 동일한 광고주로부터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고에 해당하는 특정광고컨텐츠가 동시에 제공될 수 있도록 상기 방송카테고리 별 상기 서비스제공시간에 상기 특정광고제공시간을 편성하는 광고관리장치; 및
    상기 서비스제공시간에 상기 특정광고제공시간이 편성되어 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방송카테고리 별 해당 방송서비스를 수신하는 수신단말로 상기 특정광고컨텐츠를 동시에 제공하는 광고제공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광고관리장치는,
    상기 특정광고제공시간 동안 노출되는 상기 특정광고컨텐츠의 개수와 광고시간을 기반으로 전체노출가능횟수를 산출하고, 상기 전체노출가능횟수에 따라 기 결정된 노출빈도율을 기반으로 상기 특정광고제공시간을 편성하여 해당 광고에 대한 특정광고편성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관리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관리장치는,
    상기 광고주와의 계약에 따라 결정된 상기 특정광고제공시간 및 상기 특정광고컨텐츠를 확인하는 정보확인부; 및
    상기 특정광고제공시간의 식별코드와 상기 특정광고컨텐츠의 식별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상기 서비스제공시간에 상기 특정광고제공시간을 편성하여 상기 특정광고편성정보를 생성하는 특정광고편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관리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광고제공시간의 식별코드는,
    상기 특정광고제공시간의 시작시점부터 종료시점까지에 해당하는 독점유지시간 및 상기 특정광고제공시간의 편성유무관련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관리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카테고리는, 실시간 방송을 제공하는 제1 방송카테고리 및 VOD 방송을 제공하는 제2 방송카테고리를 포함하며,
    상기 특정광고편성부는,
    상기 제2 방송카테고리 중 일부 카테고리의 해당 서비스제공시간에는 상기 특정광고제공시간의 편성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관리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광고편성부는,
    상기 특정광고제공시간이 상기 제1 방송카테고리의 시청률이 가장 높은 시간인 경우, 상기 시청률과 관련도가 높은 순서대로 상기 특정광고컨텐츠의 노출순서를 결정하고, 상기 노출순서에 따라 기 결정된 노출빈도율 기반으로 상기 특정광고편성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관리시스템.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제공장치는,
    상기 특정광고편성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서비스제공시간에 상기 특정광고제공시간이 편성되어 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편성판단부;
    상기 서비스제공시간에 상기 특정광고제공시간이 편성되어 있는 경우, 상기 특정광고제공시간이 도래하면, 상기 독점유지시간 동안 상기 방송카테고리 별 해당 방송서비스를 수신하는 상기 수신단말로 상기 특정광고컨텐츠가 동시에 제공되도록 제어하는 독점광고송출부; 및
    상기 서비스제공시간에 상기 특정광고제공시간이 편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서비스제공시간에 대응하는 프로그램편성정보에 기초하여 일반광고컨텐츠가 상기 수신단말로 제공되도록 제어하는 일반광고송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관리시스템.
  7. 적어도 하나의 방송카테고리 별로 해당 방송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제공시간 중 특정광고제공시간이 도래하면, 상기 방송카테고리에서 동일한 광고주로부터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고에 해당하는 특정광고컨텐츠가 동시에 제공될 수 있도록 상기 방송카테고리 별 상기 서비스제공시간에 상기 특정광고제공시간을 편성하는 광고관리단계; 및
    상기 서비스제공시간에 상기 특정광고제공시간이 편성되어 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방송카테고리 별 해당 방송서비스를 수신하는 수신단말로 상기 특정광고컨텐츠를 동시에 제공하는 광고제공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광고관리단계는,
    상기 특정광고제공시간 동안 노출되는 상기 특정광고컨텐츠의 개수와 광고시간을 기반으로 전체노출가능횟수를 산출하고, 상기 전체노출가능횟수에 따라 기 결정된 노출빈도율을 기반으로 상기 특정광고제공시간을 편성하여 해당 광고에 대한 특정광고편성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관리시스템의 동작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관리단계는,
    상기 광고주와의 계약에 따라 결정된 상기 특정광고제공시간 및 상기 특정광고컨텐츠를 확인하는 정보확인단계; 및
    상기 특정광고제공시간의 식별코드와 상기 특정광고컨텐츠의 식별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상기 서비스제공시간에 상기 특정광고제공시간을 편성하여 상기 특정광고편성정보를 생성하는 특정광고편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관리시스템의 동작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광고제공시간의 식별코드는,
    상기 특정광고제공시간의 시작시점부터 종료시점까지에 해당하는 독점유지시간 및 상기 특정광고제공시간의 편성유무관련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관리시스템의 동작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카테고리는, 실시간 방송을 제공하는 제1 방송카테고리 및 VOD 방송을 제공하는 제2 방송카테고리를 포함하며,
    상기 특정광고편성단계는,
    상기 제2 방송카테고리 중 일부 카테고리의 해당 서비스제공시간에는 상기 특정광고제공시간의 편성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관리시스템의 동작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광고편성단계는,
    상기 특정광고제공시간이 상기 제1 방송카테고리의 시청률이 가장 높은 시간인 경우, 상기 시청률과 관련도가 높은 순서대로 상기 특정광고컨텐츠의 노출순서를 결정하고, 상기 노출순서에 따라 기 결정된 노출빈도율 기반으로 상기 특정광고편성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관리시스템의 동작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제공단계는,
    상기 특정광고편성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서비스제공시간에 상기 특정광고제공시간이 편성되어 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편성판단단계;
    상기 서비스제공시간에 상기 특정광고제공시간이 편성되어 있는 경우, 상기 특정광고제공시간이 도래하면, 상기 독점유지시간 동안 상기 방송카테고리 별 해당 방송서비스를 수신하는 상기 수신단말로 상기 특정광고컨텐츠가 동시에 제공되도록 제어하는 독점광고송출단계; 및
    상기 서비스제공시간에 상기 특정광고제공시간이 편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서비스제공시간에 대응하는 프로그램편성정보에 기초하여 일반광고컨텐츠가 상기 수신단말로 제공되도록 제어하는 일반광고송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관리시스템의 동작 방법.
KR1020160183078A 2016-12-29 2016-12-29 광고관리시스템 및 방법 KR1018333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3078A KR101833358B1 (ko) 2016-12-29 2016-12-29 광고관리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3078A KR101833358B1 (ko) 2016-12-29 2016-12-29 광고관리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3358B1 true KR101833358B1 (ko) 2018-02-28

Family

ID=61401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3078A KR101833358B1 (ko) 2016-12-29 2016-12-29 광고관리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3358B1 (ko)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인터넷 자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58488C (en) Digital ad insertion for video-on-demand
US8893179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providing and presenting customized channel information
US20040205829A1 (e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a virtual media channel
US8595851B2 (en) Message delivery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US20080244657A1 (en) Method and system of retrieving prior broadcasted programming at a user device from a service provider
US20060041921A1 (e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a virtual media channel
US8341660B2 (en) Program promotion feedback
CN104113767A (zh) 用于媒体内容分发的接收者特定列表
US8776113B2 (en) Data boundary manager for addressable advertising
JP2012039498A (ja) コンテンツ視聴傾向分析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407852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program guide data from a content provider to a user device through a partner service provider based upon user attributes
KR100920365B1 (ko) 연동형 광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연동형 광고의제공방법
US8745654B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digital rights for content
KR101833358B1 (ko) 광고관리시스템 및 방법
US8621646B2 (en) Method and system for authenticating a user receiving device into a primary service provider system to communicate with a partner service provider
CN101247540A (zh) 交互信道业务与广播信道业务结合的方法及装置
KR101724237B1 (ko) 홈쇼핑 데이터방송에서 배송현황을 제공하는 방법
US20110078732A1 (en) Method and system for causing a promoted program to be captured
JP5540050B2 (ja) コントロールテーブルの作成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090165088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content list and content clips to a user network device through an intermediate web provider
US8806198B1 (en) Method and system for authenticating a request
JP2009123228A (ja) 広告サーバ、広告データ配信方法、制御情報の作成装置、制御情報の作成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広告システム
KR20190068837A (ko) 사용자의 채널 진입에 따라 방송 콘텐츠의 교체가 가능한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40147906A (ko) 콘텐츠 다운로드 장치 및 방법
KR102201974B1 (ko) 셋탑박스장치 및 셋탑박스장치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