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3254B1 - 생체 신호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생체 신호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3254B1
KR101833254B1 KR1020130071019A KR20130071019A KR101833254B1 KR 101833254 B1 KR101833254 B1 KR 101833254B1 KR 1020130071019 A KR1020130071019 A KR 1020130071019A KR 20130071019 A KR20130071019 A KR 20130071019A KR 101833254 B1 KR101833254 B1 KR 1018332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o
signal
unit
noise
signal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1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7545A (ko
Inventor
이보름
박찬기
Original Assignee
광주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주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광주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30071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3254B1/ko
Publication of KR20140147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75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32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32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61B5/02416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using photoplethysmograph signals, e.g. generated by infrared radiation
    • A61B5/02427Details of sens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61B5/02444Details of sens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03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for noise prevention, reduction or remov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25Details of analog processing, e.g. isolation amplifier, gain or sensitivity adjustment, filtering, baseline or drift compen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19Inertial sensors, e.g. accelerometers, gyroscopes, tilt switches

Abstract

본 발명은 피검 대상으로부터 획득된 생체 신호에 포함된 노이즈를 제거하여 원하는 생체 신호만을 선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신호 처리 장치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센서부로부터 입력된 생체 신호를 처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로부터 상기 생체 신호를 입력받는 생체 신호 입력부; 상기 생체 신호 입력부로부터 전달된 상기 생체 신호의 기본 주파수를 추정하는 주파수 추정부; 상기 생체 신호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상기 생체 신호와 상기 주파수 추정부에서 추정된 상기 기본 주파수를 입력받아 상기 생체 신호에 포함된 잡음을 추출하는 잡음 추출부; 및 상기 생체 신호 입력부로부터 전달받은 생체 신호에서 상기 잡음 추출부에서 추출된 잡음을 제거하는 잡음 제거부를 포함하는 생체 신호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생체 신호 처리 장치 {DEVICE FOR PROCESSING BIO-SIGNAL}
본 발명은 생체 신호 처리 장치에 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피검 대상으로부터 획득된 생체 신호에 포함된 노이즈를 제거하여 원하는 생체 신호만을 선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신호 처리 장치에 대한 것이다.
심장과 주요 동맥에 발생하는 심혈관계 질환은 국내 주요 사망원인 중에 하나이다. 이러한 심혈관계 질환에 대한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는 것 중의 하나가 광혈류량 신호(Photoplethysmography (PPG) signal)이다.
일례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79006호는 PPG 신호를 비롯한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개시한다.
PPG 신호는 간단한 방법으로 측정이 가능하며, 일상 생활에서의 건강 상태를 모니터링하는데 유용하다. 그러나 PPG 신호는 동작 잡음(motion artifact)에 매우 민감하다. 동작 잡음이 포함된 PPG 신호는 정확한 진단 정보를 제공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심장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심전도(Electrocardiogram : ECG) 센서의 경우에도 동작 잡음이 포함된다면 정확한 검사 결과를 얻을 수 없게 된다.
PPG 신호와 같은 생체 신호에 포함된 동작 잡음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적응 잡음 제거기(Adaptive Noise Canceler)는 동작 잡음을 제거하기 위하여 동작에 해당하는 가속도 센서값을 레퍼런스(reference) 신호로 이용한다. 그러나 적응 잡음 제거기는 레퍼런스 신호를 추가로 요구할 뿐만 아니라 노이즈 제거에 이론적 한계가 존재한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PPG 신호나 ECG 신호와 같은 생체 신호에 포함된 동작 잡음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가능한 생체 신호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센서부로부터 입력된 생체 신호를 처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로부터 상기 생체 신호를 입력받는 생체 신호 입력부; 상기 생체 신호 입력부로부터 전달된 상기 생체 신호의 기본 주파수를 추정하는 주파수 추정부; 상기 생체 신호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상기 생체 신호와 상기 주파수 추정부에서 추정된 상기 기본 주파수를 입력받아 상기 생체 신호에 포함된 잡음을 추출하는 잡음 추출부; 및 상기 생체 신호 입력부로부터 전달받은 생체 신호에서 상기 잡음 추출부에서 추출된 잡음을 제거하는 잡음 제거부를 포함하는 생체 신호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잡음 추출부는, 일련의 적응적 IIR 노치 필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응적 IIR 노치 필터는, 상기 생체 신호 입력부로부터 전달된 상기 생체 신호로부터 상기 기본 주파수와 상기 기본 주파수의 하모닉 성분을 순차적으로 제거하도록 복수가 구비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적응적 IIR 노치 필터는, IIR 노치 필터의 주파수 전달함수에 대한 z-도메인 상의 제로와 폴의 위치가 산출되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는 PPG 센서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생체 신호 입력부로 입력되는 생체 신호는, 상기 센서부와 함께 구비된 가속도 센서로부터 입력된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1차 잡음 제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한 방법으로 측정된 생체 신호에 포함된 동작 잡음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생체 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은 기존의 적응 잡음 제거기와는 달리 레퍼런스 신호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생체 신호 장치를 기존의 ANC 기술과 병합하는 경우 생체 신호에 포함된 잡음을 보다 정밀하게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처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일반적인 IIR 노치 필터의 폴-제로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처리 장치의 적응적 IIR 노치 필터를 구성하기 위한 최적 IIR 노치 필터에서 제로와 최적 폴의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일반적인 IIR 노치 필터의 주파수 응답(a)과, 최적 IIR 노치 필터의 주파수 응답(b)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처리 장치의 적용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처리 장치의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처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처리 장치(10)는 센서부(1)로부터 생체 신호를 입력받는 생체 신호 입력부(12), 생체 신호의 기본 주파수를 추정하는 주파수 추정부(14), 잡음 추출부(16), 및 생체 신호 입력부(12)에 입력된 생체 신호에서 잡음을 제거하는 잡음 제거부(18), 및 생체 신호 출력부(20)를 포함한다.
센서부(1)는 PPG(광혈류량) 신호, ECG(심전도) 신호나, PCG(Phonocardiogram : 심음도) 신호와 같은 생체 신호를 센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1에서는 센서부(1)의 일례로서 PPG 센서를 도시하였다.
생체 신호 입력부(12)는 센서부(1)로부터 잡음이 포함된 생체 신호를 입력받는다. 생체 신호 입력부(12)로 입력되는 신호에는 실제 생체 신호에 동작 잡음이 포함된 상태이다.
생체 신호 입력부(12)에 입력된 생체신호는 잡음 제거부(18), 주파수 추정부(14), 및 잡음 추출부(16)로 전달된다.
심혈관과 관련된 생체 신호는 심장 박동에 따른 준주기적(quasi-periodic) 특성을 갖는다. "준주기적"이라 함은 불규칙적인 주기성을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 준주기적 신호(quasi-periodic signal)은 수학식 1과 같이 통상적으로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13055112091-pat00001
수학식 1에서, x(n)은 준주기적 신호이고, Am은 진폭, f0는 기본 주파수, φm은 위상, v(n)은 부가적인 백색 가우스 잡음이다.
수학식 1을 참조하면, 입력된 신호(본 발명의 경우, 동작 잡음이 포함된 신호)에서 기본 주파수 성분(f0)과 하모닉 주파수 성분(mf0)을 추출하면, 실제 준주기적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주파수 추정부(14)는 생체 신호의 기본 주파수를 추정한다.
생체 신호의 기본 주파수를 예측하는 방법으로는, 재귀적인(recursive) 형태의 알고리즘으로, 직접 주파수 추정(direct frequency estimator), 적응 격자 노치 필터(adaptive lattice notch filter), 및 개량 피사렌코 하모닉 디콤포지션(Reformed Pisarenko harmonic decomposition)과 같은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 적응 격자 노치 필터는 격자 IIR 노치 필터(lattice IIR notch filter)와 최소자승법(least square)을 결합한 구조이다.
도 1에서, 주파수 추정부(14)에서 추정된 기본 주파수(ω0)는 잡음 추출부(16)로 전달된다.
잡음 추출부(16)는 일련의 적응적 IIR 노치 필터(16-1, 16-2, …, 16-n)로 구성될 수 있다. 주파수 추정부(14)에서 추정된 기본 주파수(ω0)는 일련의 적응적 IIR 노치 필터(16-1, 16-2, …, 16-n)로 입력된다.
제 1 적응적 IIR 노치 필터(16-1)에는 생체 신호 입력부(12)로부터 전달된 생체 신호가 입력되고 주파수 ω0 의 신호가 제거된다.
제 2 적응적 IIR 노치 필터(16-2)에는 제 1 적응적 IIR 노치 필터(16-2)를 통과한 생체 신호가 입력되고 주파수 2ω0 의 신호가 제거된다.
제 n 적응적 IIR 노치 필터(16-n)에서는 주파수 nω0 의 신호가 제거된다.
일련의 적응적 IIR 노치 필터(16-1, 16-2, …, 16-n)를 통과한 신호는, 이상적인 경우, 생체 신호 입력부(12)로부터 생체 신호에 포함된 순수한 잡음에 해당한다.
잡음 제거부(18)는 생체 신호 입력부(12)로부터 전달된 생체 신호에서, 잡음 추출부(16)에서 추출된 잡음을 제거한다.
잡음 제거부(18)에서 잡음이 제거된 생체 신호는 생체 신호 출력부(20)를 통해 출력된다.
위에서 언급된 적응적 IIR 노치 필터(16-1, 16-2, …, 16-n)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일반적 IIR 노치 필터 구조의 가변 빗살 필터>
일반적인 2차 IIR 노치 필터(2nd order IIR notch filter)의 조합으로 구성된 가변 빗살 필터(tunable comb filter)는 수학식 2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13055112091-pat00002
이 구조에서, 각각의 IIR 노치 필터의 폴-제로 쌍(pole-zero pair)은 z-도메인에서 ±mθ와 각을 갖는다. '제로'는 단위 원(unit circle) 상에 위치하고, '폴'은 단위 원의 내부에 위치한다.
도 2는 일반적인 IIR 노치 필터의 폴-제로를 표시한 것으로서, ○으로 표시된 것이 제로이고, ×로 표시된 것이 폴이다. 대역폭(bandwidth)은 폴과 제로 간의 거리에 의해 조정될 수 있으므로, z-도메인의 중심으로부터 폴까지의 거리(r)는 대역폭에 따라 선택된다.
<최적 IIR 노치 필터 구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처리 장치의 적응적 IIR 노치 필터를 구성하기 위한 최적 IIR 노치 필터에서 제로와 최적 폴의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서 (a)는 제로의 위치, (b)는 폴의 위치, (c)는 최종 위치를 나타낸다.
2차 IIR 노치 필터의 주파수 전달 함수는 수학식 3과 같다.
Figure 112013055112091-pat00003
수학식 3에서,
Figure 112013055112091-pat00004
이고, fs는 샘플링 주파수이다.
먼저, '제로'는 z-도메인의 단위 원 위에 할당되어야 하므로, 수학식 4와 같이 할당한다.
Figure 112013055112091-pat00005
둘째, '폴'은 '제로'로부터 일정 거리(d)만큼 떨어져서 위치한다. IIR 노치 필터의 주파수 응답의 모양은 폴-제로 거리(d)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셋째, "f1 = f0 × n", "f2 = f0 ÷ n" 이라 하면, 도 3의 (b)와 같은 폴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최적 파라미터 θ는 수학식 5의 해로부터 얻을 수 있다.
Figure 112013055112091-pat00006
최종적으로, 폴의 위치는 수학식 6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13055112091-pat00007
도 4는 일반적인 IIR 노치 필터의 주파수 응답(a)과, 최적 IIR 노치 필터의 주파수 응답(b)을 나타낸 것이다. 도 5에서, 각각의 경우 샘플링 주파수는 128 Hz이고, 컷오프 주파수는 1.5이며, d=0.1이다.
도 4를 참조하면, (b)의 경우 (a)에 비해 더욱 정확한 주파수 응답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처리 장치의 적용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적용 결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PPG 센서를 왼쪽 손가락과 오른쪽 손가락 각각에 착용시키고, 어느 하나의 PPG 센서는 손가락을 고정한 상태에서 참조 신호를 취득하고, 다른 하나의 PPG 센서는 손가락을 흔들어 동작 잡음을 포함시킨 상태에서 신호를 취득하였다.
도 5의 (a)는 동작 잡음을 배제시킨 참조 PPG 신호이고, (b)는 동작 잡음이 포함된 PPG 신호이며, (c)는 일반적인 IIR 노치 필터를 적용하여 처리한 PPG 신호이고, (d)는 최적 IIR 노치 필터를 적용하여 처리한 PPG 신호이다. 도 6에서 시작 시간은 50s이고 종료 시간은 60s로 표시되었다.
전체 시간에서의 (c)의 PPG 신호와 (a)의 PPG 신호의 상호 상관(cross-correlations)은 0.4088임에 대하여, (d)의 PPG 신호와 (a)의 PPG 신호의 상호 상관(cross-correlations)은 0.8373으로 나타났다. 다만, 4초 이후부터 종료시까지의 (c)의 PPG 신호와 (a)의 PPG 신호의 상호 상관(cross-correlations)은 0.8227임에 대하여, (d)의 PPG 신호와 (a)의 PPG 신호의 상호 상관(cross-correlations)은 0.8618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적응적 IIR 노치 필터를 적용한 결과는 실제 PPG 신호와 더욱 근접하여 보다 정확한 생체 신호의 잡음 제거 결과를 제시함을 알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처리 장치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처리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생체 신호 처리 장치(10)의 구성에 센서부(1)와 함께 구비된 가속도 센서(102)와 적응적 필터(104) 및 1차 잡음 제거부(106)를 추가로 포함한다.
가속도 센서(102)는 센서부(1)와 일체로 구비되거나, 센서부(1)의 근접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적응적 필터(104)와 1차 잡음 제거부(106)는 소위 "Adaptive Noise Canceler(ANC)"라고 불리우며, H. Simon의 "Adaptive filter theory"(Prentice Hall, 2003), B. Widrow emddml "Adaptive noise cancelling : principles and applications,"(Proc. IEEE, vol. 63, no. 12, pp.1692-1716, 1975) 등을 통해 공지된 구성으로서 추가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센서부(1)에 의해 센싱된 생체 신호는 1차적으로 적응적 필터(104)에서 추출된 잡음 신호가 1차 잡음 제거부(106)를 통해 제거된 후, 생체 신호 입력부(12)로 전달된다. 이후의 처리 절차는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한 과정과 동일하다.
도 6의 경우 1차적으로 가속도 센서(102)에서 센싱된 가속도를 이용하여 생체 신호에 포함된 잡음을 제거한 후, 잡음 제거부(18)를 통해 2차적으로 잡음을 제거하게 되는바, 생체 신호에 포함된 잡음 제거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100 : 생체 신호 처리 장치
12 : 생체 신호 입력부
14 : 주파수 추정부
16 : 잡음 추출부
18 : 잡음 제거부
20 : 생체 신호 출력부
102 : 가속도 센서
104 : 적응적 필터
106 : 1차 잡음 제거부

Claims (6)

  1. 센서부로부터 입력된 생체 신호를 처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로부터 상기 생체 신호를 입력받는 생체 신호 입력부;
    상기 생체 신호 입력부로부터 전달된 상기 생체 신호의 기본 주파수를 추정하는 주파수 추정부;
    상기 생체 신호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상기 생체 신호와 상기 주파수 추정부에서 추정된 상기 기본 주파수를 입력받아 상기 생체 신호에 포함된 잡음을 추출하는 잡음 추출부; 및
    상기 생체 신호 입력부로부터 전달받은 생체 신호에서 상기 잡음 추출부에서 추출된 잡음을 제거하는 잡음 제거부를 포함하고,
    상기 잡음 추출부는, 일련의 적응적 IIR 노치 필터로 구성되고,
    상기 적응적 IIR 노치 필터는, 상기 생체 신호 입력부로부터 전달된 상기 생체 신호로부터 상기 기본 주파수와 상기 기본 주파수의 하모닉 성분을 순차적으로 제거하도록 복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신호 처리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응적 IIR 노치 필터는, IIR 노치 필터의 주파수 전달함수에 대한 z-도메인 상의 제로와 폴의 위치가 산출되어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신호 처리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PPG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신호 처리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신호 입력부로 입력되는 생체 신호는, 상기 센서부와 함께 구비된 가속도 센서로부터 입력된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1차 잡음 제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신호 처리 장치.
KR1020130071019A 2013-06-20 2013-06-20 생체 신호 처리 장치 KR1018332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1019A KR101833254B1 (ko) 2013-06-20 2013-06-20 생체 신호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1019A KR101833254B1 (ko) 2013-06-20 2013-06-20 생체 신호 처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7545A KR20140147545A (ko) 2014-12-30
KR101833254B1 true KR101833254B1 (ko) 2018-02-28

Family

ID=52676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1019A KR101833254B1 (ko) 2013-06-20 2013-06-20 생체 신호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32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1268B1 (ko) 2015-12-09 2022-10-06 삼성전자주식회사 신호 처리 방법, 신호 필터링 장치 및 신호 처리 장치
KR101721648B1 (ko) * 2016-01-25 2017-03-30 전자부품연구원 전원 잡음 주파수 제거 장치 및 방법
KR102141644B1 (ko) * 2017-11-30 2020-08-06 전자부품연구원 생체신호 획득 장치, 차량 및 그 제어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9571B1 (ko) * 2000-04-11 2003-04-08 김동준 디지털 뇌파를 이용한 뇌기능 감시장치 및 이 뇌기능감시장치에 있어 디지털 뇌파의 디스플레이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9571B1 (ko) * 2000-04-11 2003-04-08 김동준 디지털 뇌파를 이용한 뇌기능 감시장치 및 이 뇌기능감시장치에 있어 디지털 뇌파의 디스플레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7545A (ko) 2014-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880351B (zh) 减少光体积描记(ppg)信号中运动诱发的伪影
EP2954840B1 (en) Method for the estimation of the heart-rate and corresponding system
Cyrill et al. Adaptive comb filters for quasiperiodic physiologic signals
Kohler et al. QRS detection using zero crossing counts
Wood et al. Low variance adaptive filter for cancelling motion artifact in wearable photoplethysmogram sensor signals
US10213163B2 (en) Low-distortion ECG denoising
Zhang Heart rate monitoring from wrist-type photoplethysmographic (PPG) signals during intensive physical exercise
EP297836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cg motion artifact removal
CN106798552B (zh) 具有状态序列优化的心率估计设备
Arunkumar et al. Heart rate estimation from photoplethysmography signal for wearable health monitoring devices
KR101833254B1 (ko) 생체 신호 처리 장치
Rahman et al. Baseline wandering removal from ECG signal by wandering path finding algorithm
KR100866547B1 (ko) 심전도 잡음 제거 수단을 구비한 뇌전도 검사 장치 및 방법
Xie et al. Combining adaptive filter and phase vocoder for heart rate monitoring using photoplethysmography during physical exercise
Torres et al. Heal-T: an efficient PPG-based heart-rate and IBI estimation method during physical exercise
Aiboud et al. Review of ECG signal de-noising techniques
Arunkumar et al. Improved heart rate estimation from photoplethysmography during physical exercise using combination of NLMS and RLS adaptive filters
CN111904406A (zh) 一种生理信号运动伪迹抑制装置与方法
JP6167849B2 (ja) 脈波検出装置、脈波検出方法及び脈波検出プログラム
Jiang Two-pronged motion artifact reduction for wearable photoplethysmographic biosensors
Zhang et al. Frequency-response masking based filter bank for QRS dection in wearable biomedical devices
OJO et al. Removal of Baseline Wander Noise from Electrocardiogram (ECG) using Fifth-order Spline Interpolation.
Askari et al. Application of neural networks for heart rate monitoring
Rezaei et al. Comparison of two low-power signal processing algorithms for optical heart rate monitoring
CN101147671A (zh) 一种信号处理方法及生理监护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