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2911B1 - 디자인을 계산 또는 선택함으로써 안경렌즈를 제공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디자인을 계산 또는 선택함으로써 안경렌즈를 제공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2911B1
KR101832911B1 KR1020127015065A KR20127015065A KR101832911B1 KR 101832911 B1 KR101832911 B1 KR 101832911B1 KR 1020127015065 A KR1020127015065 A KR 1020127015065A KR 20127015065 A KR20127015065 A KR 20127015065A KR 101832911 B1 KR101832911 B1 KR 1018329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rer
eye
design
visual acuity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5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2698A (ko
Inventor
질다스 마랭
마르타 에르난데스
티에리 보냉
Original Assignee
에씰로아 인터내셔날(콩파니에 제네랄 도프티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씰로아 인터내셔날(콩파니에 제네랄 도프티크) filed Critical 에씰로아 인터내셔날(콩파니에 제네랄 도프티크)
Publication of KR20120102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26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29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29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24Methods of designing ophthalmic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24Methods of designing ophthalmic lenses
    • G02C7/027Methods of designing ophthalmic lenses considering wearer's parame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6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bifocal; multifocal ; progressive
    • G02C7/061Spectacle lenses with progressively varying focal power
    • G02C7/063Shape of the progressive surfa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Abstract

착용자에게 안경렌즈를 제공하기 위해
착용자의 눈(들)이 실질적으로 저위 수차가 없거나 단계 a)에 따라 보정되는 착용자의 눈의 시력값(들)(VA) 또는 착용자의 양 눈에 대한 양안 시력값(Vbino)이 시력값(들)을 측정하는 단계와,
컴퓨터 수단으로 인해 안경렌즈의 디자인을 계산하거나 단계 b)의 측정된 시력 값(들)을 기초로 잔여난시의 측정을 적용함으로써 안경렌즈 디자인 데이터에 있어 디자인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컴퓨터 수단을 통해 실행되는 방법.

Description

디자인을 계산 또는 선택함으로써 안경렌즈를 제공하는 방법{A method for providing a spectacle ophthalmic lens by calculating or selecting a design}
본 발명은 시력향상 분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자인을 계산하거나 선택함으로써 안경렌즈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안경렌즈는 가령 누진렌즈, 단초점 렌즈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안경렌즈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본원의 안경렌즈 디자인 계산방법을 향상시키기 위해 설정된 하나의 소프트웨어에 관한 것이다.
안경렌즈는 많은 다른 유형의 시력 결함들을 교정하기 위해 착용되며 폭넓게 사용된다. 이들은 근거리 시력(근시)과 원거리 시력(원시), 난시 및 주로 노화와 관련된 근거리 시력의 결함(노안)과 같은 결함들을 포함한다.
안과의사 또는 검안사들은 일상적으로 구, 원통 및 축으로 굴절오차를 교정함으로써 시력을 향상시킨다. 상기 굴절오차는 저위 수차이다.
난시는 한 점의 이미지를 2개의 수직 직선들(시상 및 접평면 초점)로 변환시킨 기하학적 수차이다. 이들 2개 직선들 간의 거리는 광학 시스템의 난시값을 나타내고, 이들의 방향은 난시축이다.
난시는 눈의 굴절오차가 자오선에 따를 때 발생한다. 이는 대개 하나 이상의 굴절면들, 가장 통상적으로는 토로이드 형태인 전방 각막에 기인한다. 난시 굴절오차는 2차 수차이다.
광학 시스템의 난시는 (이미지 및 물체가 축을 초과할 경우) 국소적으로 원환체면 및 광선의 경사 특징에 기인한다. 누진렌즈에서와 같은 복합면이 렌즈의 각 점에서 변하는 난시 수차를 발생한다. 렌즈의 난시 및 눈의 굴절오차에 해당하는 처방된 난시 간의 차이를 잔여난시(residual astigmatism)라 한다.
참조문헌 WO2009/043941은 눈의 고위 난시(HOA)를 측정하는 단계 또는 HOA 측정을 기초로 상기 안경렌즈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착용자에 안경렌즈를 제공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렌즈 이용자들의 시각적 욕구를 더 잘 충족시키고 렌즈 이용자들, 특히 누진렌즈 이용자들의 편안함을 향상시키며, 렌즈에 대한 이들의 적응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주제는 착용자에게 안경렌즈를 제공하기 위해
a) 수차가 0.25 디옵터보다 크면 착용자의 눈(눈들)의 저위(구 및/또는 원통) 수차를 보정하기 위해 착용자에게 눈 교정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단계와,
b) 착용자의 눈(들)이 실질적으로 저위 수차가 없거나 단계 a)에 따라 보정되는 착용자의 눈의 시력값(들)(VA) 또는 착용자의 양 눈에 대한 양안 시력값(VAbino)을 측정하는 단계와,
c) 컴퓨터 수단으로 인해 안경렌즈의 디자인을 계산하거나 단계 b)의 측정된 시력 값(들)을 기초로 잔여난시의 측정을 적용함으로써 안경렌즈 디자인 데이터에 있어 디자인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상기 방법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컴퓨터 수단을 통해 실행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착용자에 안경렌즈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착용자에 대한 처방 데이터를 맞추고 상기 착용자에 대한 안경렌즈 디자인이 결정된 안경렌즈를 소정의 착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측정된 시력값(들)을 기초로 잔여난시의 측정을 적용하는 단계"는 소정의 착용자에 대해 측정된 시력값(들)과 안경렌즈의 잔여난시 간에 연결을 확립하는데 적합한 규칙을 정의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상기 연결로 인해, 상기 착용자에 대한 안경렌즈 디자인이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측정된 시력값(들)을 기초로 잔여난시의 측정을 적용하는 단계"는 소정의 응시방향에 대해 잔여난시의 최대 허용가능한 레벨들이 정의되고 소정의 시력값에 대해 상기 레벨이 정의되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착용자의 눈의 시력값(들)(VA) 또는 착용자의 양 눈에 대한 양안 시력값(VAbino)을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눈(들)의 최대 시력값(들)을 측정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당업자는 착용자의 눈의 시력값(들)(VA) 또는 착용자의 양 눈에 대한 양안 시력값(VAbino)의 측정은 적어도 소정 거리에 대해 실행되는 것을 안다. 상기 거리는 가령 원거리 시력 및/또는 중거리 시력 및/또는 근거리 시력에 해당하는 거리일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틀에서, 안경렌즈의 "디자인"은 상기 착용자에 대해 결정된 구, 원통, 축 및 도수 가입도로 구성된 착용자표준 처방 파라미터에 의해 결정되지 않은 상기 렌즈의 광학시스템의 일부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디자인"이라는 말은 착용자의 ERC(Eye Rotation Centre)를 지나는 여러 응시방향들에 따라 수차 재분할로 발생된 광학적 함수에 관한 것이다. 난시 그래디언트는 난시 재분할에 대한 표시자의 예로서 간주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틀에서, 착용자의 눈은 상기 수차값이 0.25 디옵터 이하인 경우 실질적으로 저위 수차가 없다.
안경렌즈, 및 특히 누진렌즈는 잔여수차, 주로 난시가 내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 눈(들)의 시력 측정을 기초로 잔여난시의 관리를 맞춤화하고 이로써 시력/왜곡 손상을 최적화를 제공한다. 실제로, 본 발명자는 시각에 대한 잔여난시의 영향이 착용자의 시력 수준에 따르는 것을 입증할 수 있었다.
참조문헌 WO 2009/043941과 본 발명의 개시 간에 직접적이거나 간접적인 연결이 전혀 없음이 강조되어야 한다. 고위 수차(HOA)는 3차 이상의 수차에 관한 것인 반면, 시력은 모든 수차를 포함하며, 소정 착용자에 대한 시각적 신호의 신경 치료에 따른다. 따라서, 고위 수차(HOA)와 시력은 소정 착용자에 대한 2개의 별도의 시각적 성능 특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착용자에 대한 디자인의 계산 또는 선택은 착용자의 한쪽 눈 또는 양 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착용자에 대한 디자인의 계산 또는 선택은 양안 보기에 관한 것이다.
시력(VA)은 보기의 선명도와 명확함로서, 이는 눈 내에 있는 망막 초점의 선명도 및 뇌의 해석능력의 민감도에 따른다.
시력은 신뢰할 수 있게 식별될 수 있는 가장 작은 세부사항의 갭 크기(분(arc minute) 단위로 측정됨), 다시 말하면, 해상도의 최소각(MAR)이다. 10진법 시스템에서, 시력은 이 갭의 역수로 정의된다. 1.0의 값은 20/20과 같다.
시각피질은 후두엽이라고 하는 시각 자극 처리를 맡고 있는 뇌의 후부에 있는 대뇌피질의 일부이다. 시계(視界)의 중심 10°(대략 황반의 확장)는 시각피질의 적어도 60%로 표현된다. 이들 많은 신경들은 시력 처리에 직접 관여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눈은 눈 뒤쪽에서 나온 시신경에 의해 시각피질에 연결된다. 2개 시신경은 시신경교차시 눈에 함께 있으며, 각 눈으로부터 섬유의 약 절반이 반대편으로 교차되고 해당 시계를 나타내는 다른 눈으로부터의 섬유들과 결합하며, 양 눈으로부터 결합된 신경섬유들은 시삭(optic tract)을 형성한다. 이는 결국 양안 시력의 생리적 기초를 이룬다. 삭들(tracts)은 시상(thalamus)의 일부인 외측 슬상핵이라고 하는 중뇌의 중계부로 나오며, 그런 후 시방선(optic radiations)이라고 하는 신경섬유의 집합을 따라 시각피질로 나온다.
시력을 측정하는 것은 눈의 건강, 시각뇌, 또는 뇌의 경로에 접근하는 간단한 테스트이다.
실시예에 따르면, 시력(VA)은 심볼의 크기가 변함에 따라 표준 거리에서 백색 배경(시력검사표 글자) 상의 검은 심볼을 식별하는 능력의 정량적 척도이다. 이는 가장 통상적인 시각 기능의 임상 측정이다. "20/20 시력"이라는 용어에서, 분자는 사람이 한 쌍의 물체를 신뢰할 수 있게 식별할 수 있는 피트 단위의 거리를 말한다. 분모는 '평균적인' 사람이 식별할 수 있는 거리, 즉, 이격각이 1분(arc minute)인 거리이다. 등가의 미터법으로는 거리가 6미터인 6/6 시력이다. 20피트는 기본적으로 광원근법에서는 무한대이다(20피트 대 무한대에서 초점에 요구되는 광도수의 차는 불과 0.164 디옵터이다). 상기 이유로, 20/20 시력은 사람의 거리 시력에 대한 명목상 성능으로 간주될 수 있다; 20/40 시력은 원거리 시력에 대한 시력의 절반으로 간주될 수 있고, 20/10 시력은 2배의 정상 시력이 된다. 20/x수는 시력을 교정하는데 필요한 안경 처방에 직접적인 관계가 없다; 오히려, 눈 검사는 적어도 20/20 시력을 제공하는 처방을 찾고자 추구한다.
시력은 스넬렌 차트(Snellen chart)상에 보여진 문자들의 크기 또는 가령 랜돌트 고리(Landolt Cs) 또는 텀블링 E(Tumbling E)와 같은 다른 심볼들의 크기에 따라 눈관리사 또는 안과의사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측정 단위로서 피트를 이용한 (분수) 시력은 20/20에 따라 표현된다. 다른 경우, 미터를 이용해, 시력은 6/6에 따라 표현된다. 모든 의도 및 목적을 위해, 6/6 시력은 20/20과 같다.
LogMAR은 해상도의 최소 각도의 로그로 표현되는 또 다른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스케일이다. LogMAR 스케일은 종래 차트의 기하학적 시퀀스를 선형 스케일로 변환시킨다. 이는 시력 손실을 측정한다; 양의 값은 시력 손실을 나타내는 반면, 음의 값은 정상 또는 더 나은 시력을 나타낸다. 이 스케일은 "손실 라인" 또는 "이득 라인"의 종래 임상 진술에 대해 더 과학적인 등가를 제공하며, 이는 라인들 간의 모든 단계들이 같을 때만 유효하나, 대개 그렇지 않다.
시력이 차트 상의 가장 큰 시력검사표 글자 아래인 경우, 차트는 환자에 더 가까이 이동하거나 환자가 읽을 수 있을 때까지 차트에 더 가까이 이동된다. 환자가 차트를 읽을 수 있다면, 문자 크기 및 테스트 거리가 표시된다.
눈의 수차는 구, ("낮은" 수차인) 원통 및 고위 수차를 포함한 웨이브프론트 측정을 이용해 결정될 수 있다.
웨이브프론트는 제르니크 다항식을 이용해 분석될 수 있다. 이런 분석은 예컨대 눈의 웨이브프론트 수차를 설명하기 위한 미국광학회(Optical Society of America)에 의해 추천되나, 가령 테일러 시리즈 또는 스플라인들과 같은 다른 다항식들도 또한 수학적으로 웨이브프론트를 설명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제르니크 전개는 다항식 직교세트로 수차를 나타낸다. 이는 피라미드 형태로 나타내질 수 있다. 수직으로 각 행은 일반적인 형태의 수차를 나타낸다; 이들을 (래디얼) 차수라 한다. 상단을 0차라 하고, 이는 실제로 수차가 아니라 가령 스케일링을 위해 추가될 수 있는 상수이다. 제 2 행(1차 차수)은 프리즘 효과를 나타낸다. 수차의 각 표현을 항이라 한다. 프리즘 효과는 수직(Z-2항, 위 또는 아래) 및 수평(Z-3항, 안쪽 또는 바깥쪽)을 기초로 한다. 0 및 1차(Z-1~3항)는 특정 시력 결함에 또는 특정 측정조건에 연결되기 때문에, 이들은 대개 나타나지 않는다. 이것이 현재 2차로 관심 갖기 시작한다. 피라미드의 중앙에서, 디포커스(Z-4항)가 발견될 수 있다. 이는 피라미드의 축 라인에 배치된다. 이는 왜냐하면 디포커스(굴절의 구면부)가 회전 대칭(0 각 진동수)이 때문이다. 디포커스의 양 측에, (굴절에서 원통) 난시항(Z-3 또는 Z-5)이 발견될 수 있다. 이들은 왜냐하면 이들이 한 자오선에서만 작용하기 때문에 디포커스의 특수 조건이다. 결과적으로 이들은 방향(원통의 축)에 따라 사난시(oblique astigmatism)에 대해 Z-3 및 수평 난시에 대해 Z-5로 표시되어야 한다. 3차 수차는 코마(coma) 및 트레포일(trepoil)을 포함하고, 각각은 방향을 가지므로, 중간에 있는 이 행에서 Z항이 없다. 다음은 4차의 5개 항들이다. 구면수차(Z-12)는 회전 대칭이며, (방향에 따른) 다른 항들은 2차 난시 및 테트라 포일(tetra foil)이다. 광학에서 수차를 설명하기 위해, 피라미드는 더 많은 차수 및 항들로 계속된다. 대개 이들은 눈에 있지 않거나 매우 낮다. 언급된 바와 같이 14개 Z항들 내에 있더라도, 모든 항들이 눈에 대한 중요성이 같지 않다. 눈에 대해, 2차 수차들을 "저위 수차"라 하고, 굴절의 구 및 원통 값을 포함한다. 3차 이상을 "고위 수차"라 한다.
조합될 수 있는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 단계 a)의 눈 교정 디바이스는 눈(들)의 응시방향으로 한 교정렌즈 또는 복수의 교정렌즈들을 구비한다; 시험 렌즈들이 이 목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 단계 a)는 또한 눈(들)의 고위 수차를 보정하기 위해 눈 교정 디바이스를 착용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 단계 a) 및/또는 앞선 청구항의 눈 교정 디바이스는 적응식 광시력 시뮬레이터를 구비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적응식 광시력 시뮬레이터는 Company Image Eyes의 상용화된 crx1TM 기기이다;
- 눈의 시력값은 가령 스넬렌 차트 또는 베일레이-로비 차트(Bailey-Lovie chart)를 이용해 시력 차트로 측정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눈의 시력값은 가령 란돌트-고리 또는 텀블링 또는 스넬린 E를 이용해 시력검사표 글자 심볼들로 측정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시력값(VAL, VAR)이 각 좌안(L) 및 우안(R)에 대해 측정되고 디자인 파라미터(DPL 및 DPR)는 착용자의 좌안 및 우안에 대한 디자인을 계산하거나 선택하도록 각각 사용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시력값(VAL, VAR)이 각 좌안(L) 및 우안(R)에 대해 측정되고, 우세하거나 지배적인 눈이 결정되며, 상기 우세하거나 지배적인 눈의 시력값에 따라 착용자의 좌안 및 우안에 대한 디자인이 계산되거나 선택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안경렌즈는 안경누진가입렌즈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누진가입렌즈 경도 파라미터에 따라 착용자에 대한 디자인 계산 또는 선택이 수행된다.
본 발명의 틀에서, "렌즈 경도 파라미터"는 안경렌즈 주변 수차 관리를 특징하는데 적합한 파라미터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 수차 관리는 원시 및 근시 영역에서 시계(視界) 개구 및 안경렌즈 주변을 따른 수차의 변화도와 관련 있다. 비제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렌즈 경도 파라미터는 렌즈 표면상의 최대 난시 그래디언트 또는 렌즈 표면상의 최대 디옵터 도수 그래디언트 또는 이들의 조합이다.
도수 및 난시 분포를 기초로 누진렌즈 셀계가 "하드" 타입 디자인 또는 "소프트" 타입 디자인으로서 폭넓게 분류된다.
하드렌즈 디자인은 누진광학기를 렌즈 표면의 더 작은 영역에 집중시킴으로써 주변에서 원치않는 원통 도수의 그래디언트 및 전체 크기 평가를 이용해 뚜렷한 시야 영역을 확장시킨다.
소프트 렌즈 디자인은 렌즈 표면의 더 큰 영역에 걸쳐 누진 광학기를 펼침으로써, 명확한 시야 영역 좁힘을 이용해 원치않는 원통 도수의 그래디언트 및 전체 크기 평가를 줄인다.
상대적으로 느린 가입도 진행에 따른 더 긴 누진대 길이가 소프트 렌즈 디자인에 주어지는 반면, 상대적으로 빠른 가입도 진행에 따른 더 짧은 누진대 길이는 하드 렌즈 디자인에 주어진다.
최대 도수 또는 난시 그래디언트는 렌즈 디자인을 특징짓기 위한 주요 특징으로 간주될 수 있다. 상기 그래디언트는 1 디옵터의 가입을 위해 정규화되고 누진렌즈의 실제 그래디언트가 착용자에 대한 소정의 가입 값만큼 곱해진다.
비제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소프트 디자인 누진렌즈의 그래디언트 값은 도(degree) 당 0.05 디옵터 이하이며, 하드 디자인 누진렌즈의 그래디언트 값은 도(degree) 당 0.15 디옵터 이상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 시력이 더 낮을수록, 착용자에 대한 디자인은 더 부드러워지고, 이에 따라 시력이 더 높을수록 착용자에 대한 디자인은 더 단단해지게 착용자에 대한 디자인 계산 또는 선택이 수행된다;
- 디자인 파라미터(DP1)는 착용자에 대한 디자인을 계산하거나 선택하는데 이용되며,
DP1 = EHC + (1 - EHC) x DP;
여기서,
EHC는 눈-머리 계수이고,
DP는 시력값으로 인해 계산된 디자인 파라미터이며, 하드 디자인에 대해 DP=0이고, 소프트 디자인에 대해 DP=1이다.
본 발명의 틀에서, "눈-머리 계수"는 각각 착용자의 응시방향이 변할 때 착용자의 눈과 머리의 상대적인 움직임 진폭을 특징짓는데 적합한 계수이다. 눈-머리 계수는 "눈/머리" 이동 좌표 테스트로 인해 착용자에 대해 측정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EHC는 착용자의 머리의 각 편차(αT)를 착용자가 바라보는 타겟의 각 편심(E)으로 나눈 함수이다. 상기 EHC는 타겟을 볼 때 착용자의 머리만 돌린 착용자에 대해서는 1이고 타겟을 볼 때 착용자의 눈만 돌리는 착용자에 대해서는 0이다.
실시예에 따르면,
DP = 0 , (VA < VAmin인 경우);
DP = 1 , (if VA > VAmax인 경우);
DP = (VA - VAmin) / (VAmax - VAmin), (VAmin ≤ VA ≤ VAmax인 경우)
여기서, VA는 측정된 눈의 시력값이고, VAmin 및 VAmax는 각각 최소 및 최대 시력 임계치이며, LogMAR 단위로 표현된다.
이전 실시예에 대한 일예에 따르면, VAmin = -0.1 LogMAR(12/10)이고 VAmax = 0.2 LogMAR(6/10)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또한 기존 렌즈 디자인의 선택을 최적화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전체 시계에서 처방된 교정에 더 잘 맞게 하는 함수 또는 시력에 따라 착용자의 파라미터 및 모드 결합을 고려한 함수를 이용하거나 이용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하기의 연이은 단계들; 즉,
a) 상기 수차가 0.25 디옵터보다 클 경우, 착용자의 눈(눈들)의 저위 수차(구 및/또는 원통)를 보정하기 위해 착용자에 안과교정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b) 착용자의 눈(들)이 실질적으로 저위 수차가 없는 착용자 눈(들)의 시력값(들)(VA)을 측정하는 단계;
c) 컴퓨터 수단으로 인해 안경렌즈의 디자인을 계산하거나 착용자의 눈(들)의 측정된 시력 값(들)을 기초로 잔여난시의 측정을 적용하여 안경렌즈 디자인 데이터베이스에서 디자인을 선택하는 단계와 이에 따라 착용자에 대한 개인 광학시스템(OS)을 제공하는 단계;
d) 렌즈 기판을 제공하는 단계; 및
e) 단계 c)에서 계산되거나 선택된 디자인에 따라 광학시스템(OS)에 따라 안경렌즈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착용자용 안경렌즈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조방법은 착용자에 안경렌즈를 제공하는 상기 방법의 상술한 특징 및 다른 실시예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프로세서에 접속가능하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한 실행시, 프로세서가 상기 방법들의 다른 실시예들의 단계들 중 적어도 한 단계를 실행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저장된 명령어 시퀀스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하나 이상의 명령어 시퀀스를 지닌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관한 것이다.
다른 경우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하기의 논의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명세서 전체에 걸쳐 "컴퓨팅", "계산", "발생" 등과 같은 용어를 이용한 언급은 컴퓨팅 시스템의 레지스터 및/또는 메모리내에 전자와 같은 물리량으로 표현된 데이터를 컴퓨팅 시스템의 메모리, 레지스터 또는 다른 이런 정보 스토리지, 전송 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내의 물리량으로 유사하게 표현되는 다른 데이터로 곱하고/곱하거나 변환하는 컴퓨터 또는 컴퓨팅 시스템 또는 유사한 전자계산 디바이스를 말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기기는 소정 목적을 위해 특별히 구성될 수 있거나 컴퓨터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선택적으로 활성화되거나 재구성되는 범용 컴퓨터 또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런 컴퓨터 프로그램은 플로피 디스크, 광디스크, CD-ROM, 자기광학 디스크, ROMs, RAMs, EPROMs, EEPROMs, 자기 또는 광카드와 같은 임의의 타입의 디스크와 같은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매체, 또는 전자 명령을 저장하는데 적합하고 컴퓨터 시스템 버스에 결합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타입의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나타난 프로세스 및 디스플레이는 본질적으로 임의의 특정 컴퓨터 또는 다른 기기에 관련 있지 않다. 다양한 범용 시스템이 본 명세서의 교시에 따른 프로그램들로 사용될 수 있거나, 소정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더 특별한 기기를 구성하는데 편리한 것으로 입증될 수 있다. 다양한 이들 시스템의 소정 구조는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임의의 특별한 프로그래밍 언어에 대하여 기술되지 않았다.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들이 본 명세서에 기술된 본 발명의 교시를 실행하는데 이용될 수 있음이 이해된다.
구조 및 동작에 대해 모두 본 발명의 특징 및 본 발명 자체는 첨부 설명과 연계해 취해진 비제한적인 첨부도면 및 예들로부터 가장 잘 이해된다.
본 발명의 내용에 포함됨
도 1은 초기 시력값(LogMAR로 표현됨)에 따른 시력 미분 변화에 대한 실험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시력을 측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그래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a, 3b 및 도 4a, 4b는 다른 누진 초점렌즈 디자인을 위한 난시 분포를 도시한 것이다.
도 5a 및 도 5b는 안경렌즈 착용자에 대한 눈과 머리 움직임의 측정원리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은 각 착용자의 눈의 초기 시력값(VAinit)에 따른 시력 미분(varVA_cyl) 변화의 복수의 착용자들에 대한 실험 데이터를 도시한 것으로, 시력값은 LogMAR 단위로 표현된다. 값(VAinit)이 낮을 때 착용자의 시력은 높아지고, 값(VAinit)이 높을 때 착용자의 시력은 낮아지는 것이 강조되어야 한다. 시력 미분(varVA_cyl)은 가입 난시도수(가입 원주도수)의 함수로서 결과적으로 발생한 시력 변화의 기울기로서 계산되며, 해당 단위는 디옵터(Diopter) 당 LogMAR이다. 초기 시력값(VAinit)이 우선 착용자에 대해 측정된다; 그런 후 복수의 난시값들이 상기 착용자에 대해 추가되고 결과적으로 발생한 시력은 상기 난시값을 추가해 착용자에 대해 측정된다. 행해진 실험에 따라, 3개의 다른 가입 난시값, 0.25, 0.5 및 0.75 디옵터에 따라 각각 얻은 결과적으로 발생한 시력의 3회 측정의 선형 내삽으로부터 기울기가 계산된다.
시력은 도 2 설명시 개시된 방법에 따라 측정된다.
본 발명자는 상기 시력 미분(varVA_cyl)이 초기 시력값에 크게 의존하는 것을 인식했고 평균 종속 직선(101,102)이 좌표화될 수 있다.
결정 계수(R2)가 계산되며, 여기서 R은 사람 상관 파라미터이다.
직사각형들(각 직사각형은 소정 착용자에 대한 실험 결과임)과 직선(101)은 착용자의 눈이 실질적으로 저위 수차가 없는 데이터와 관련 있다. 본 실험에서, 저위 수차는 적응식 광시력 시뮬레이터로 보정하였다. 시험렌즈도 또한 같은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직선(101) 계산시 결정계수(R2)는 R2 = 0.32이다.
마름모꼴(각 마름모는 소정 착용자에 대한 실험결과임)과 직선(102)은 착용자의 눈이 실질적으로 저위 수차가 없고 또한 적응식 광시력 시뮬레이터를 이용함으로 인해 고위 수차도 실질적으로 없는 데이터와 관련 있다. 직선(102) 계산시 결정계수(R2)는 R2 = 0.44이다.
따라서, 초기 시력값이 큰, 가령 LogMAR(VAinit)이 -0.20내지 -0.05 사이로 이루어진 착용자의 눈은 매우 민감한(상당한 시력 미분계수) 한편, 초기 시력값이 낮은, 가령 LogMAR(VAinit)이 0.15내지 0.30 사이로 이루어진 착용자의 눈은 민감도가 낮다(낮은 시력 미분계수). 이 개시로 인해, 초기 시력값이 높은 착용자에 대해서는 "하드 디자인" 안경렌즈를 그리고 초기 시력값이 낮은 착용자에 대한 "소프트 디자인" 안경렌즈를 제공하는 것이 이점적일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실험 데이터를 판단하는데 사용된 시력 측정방법의 그래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방법을 "프라이부르크 시력검사(Freiburg Visual Acuity Test)"라 하며, Bach M (1996) "The “Freiburg Visual Acuity Test”- Automatic measurement of visual acuity" Optometry and Vision Science 73:49-53에 개시되어 있다. "프라이부르크 시력검사"는 시력의 자기관리 측정을 위한 자동화 절차이다. 란돌트-고리(Landolt-C)들이 8방향 중 한 방향으로 모니터상에 나타난다. 피험자는 란돌트-고리의 갭의 8개 가능한 위치들에 따라 반응 박스에 공간상으로 배열된 8개 버튼 중 하나를 누른다. 시력 임계값을 평가하기 위해, 최상의 PEST(Probability Estimation of Sensory Threshold)절차가 이용되며, 상기 절차에서 일정한 기울기를 갖는 사이코매트릭 함수가 가정된다. 정해진 시도 회수 후에 측정이 종료된다. 도 2b는 "프라이부르크 시력검사"의 개략적 설정을 도시한 것이다. 란돌트-고리(20)가 스크린(23)상에 나타나면, 피험자(21)는 고리의 갭 방향에 따라 공간적으로 배열된 8개 버튼들 중 하나를 눌러 응답한다. 버튼을 누르자마자 바로 커지는 "파이" 형태로 시각적 피드백이 있고, 빠진 조각이 란돌트 고리의 올바른 위치를 나타낸다. 그 후, 다음 시력검사표글자(optotype) 크기가 나타나며, 상기 글자의 크기는 최적화 전략에 따라 설정된다. 도 2a는 눈에 대한 시력의 평가를 좌표로 나타낸 것이다. 이 예에 따르면 24개 란돌트-고리들이 이전 단계들에 잇달아 착용자에 나타난다. 스티뮬러스(St)의 크기가 세로좌표에 나타나고, 란돌트-고리들의 표현 개수(N)가 가로좌표에 나타난다. PEST 절차에 따라 시력 임계치(202)가 결정된다. 도 2a의 예에서, 시력 임계치는 0.18 LogMAR의 시력값에 해당하는 6.6/10이다.
도 3a, 3b 및 도 4a, 4b는 착용자의 초기 시력에 따라 난시 분포가 일반적으로 렌즈 이용자의 2개 카테고리로 조절되는 누진렌즈 디자인의 2가지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a 및 도 3b는 누진 채널길이가 18㎜인 누진렌즈 디자인의 2가지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a 및 도 4b는 누진 채널길이가 14㎜인 누진렌즈 디자인의 2가지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a 및 도 4a는 초기 시력이 높은 바람직하게는 LogMAR(VAinit)가 -0.05 미만(더 바람직하게는 -0.10 미만)인 사람들에 대해 조절되는 디자인 예의 난시 분포를 도시한 것이다.
도 3b 및 도 4b는 초기 시력이 낮은 바람직하게는 LogMAR(VAinit)가 0.10 보다 큰(더 바람직하게는 0.20보다 큰) 사람들에 대해 조절되는 디자인 예의 난시 분포를 도시한 것이다.
원시(또는 FV) 영역과 근시(또는 NV) 영역에서 고도 난시가 허용되기 때문에, 도 3b 및 도 4b의 디자인은 도 3a 및 도 4a의 디자인보다 훨씬 더 소프트하고, 따라서 이에 대한 적응이 왜곡 면에서 훨씬 더 쉬워지게 된다.
도 5a 및 도 5b는 착용자 앞에 있는 제 1 타겟을 볼 때 안경렌즈 착용자(80)에 대한 눈과 머리의 움직임 측정 원리를 도시한 것이다. 착용자는 먼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타겟(R)을 보고 그런 후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깨를 움직이지 않고 테스트 타겟(T)을 보게 요구된다. 타겟들 간의 각 이동을 편심(eccentricity)이라 하고, E라고 말한다. αT는 착용자(80)에 대한 머리 이동각이고, αγ는 눈의 각이동인 한편, E = αT + αγ이다. 눈-머리 계수(EHC)는 αT와 E 간의 비율의 증가함수로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눈과 머리 이동방법의 상세 내용이 특허공개공보 WO 2008/104695(즉, 상기 참조문헌의 5 및 6 페이지)에 주어져 있으며, 본 명세서에 참조로 합체되어 있다.
그런 후 착용자에 대해 결정된 EHC는 상술한 DP2 디자인 파라미터를 계산하는데 사용된 파라미터로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착용자에 대한 안경렌즈의 디자인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안경렌즈들 중에서 선택되며, 착용자에 대한 선택된 디자인 및 처방 데이터를 결합함으로써 착용자에 대한 렌즈의 광학 시스템이 얻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착용자의 눈의 시력 측정을 기초로 잔여난시의 관리를 적용함으로써 착용자에 대해 디자인이 계산된다.
상기 디자인 계산은 당업자로부터 공지된 디자인 계산방법에 따라 실행될 수 있고, 계산 파라미터는 착용자의 눈의 시력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적합한 디자인 계산방법에 따르면, 제 1 디자인이 선택되고 그런 후 착용자의 상기 눈의 시력을 고려하기 위해 변형된다. 최적화 방법이 실행될 수 있으며, 최적화 파라미터는 착용자 눈의 시력이다.
실시예에 따르면, 최적화 파라미터는 디자인 파라미터(DP1)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착용자에 대한 안경렌즈를 제조하는 방법은 ESSILOR INTERNATIONAL(Compagnie Generale d’Optique) 출원인명으로 2008년 9월11일에 출원된 국제특허출원번호(WO 2009/044080)에 기술된 방법으로 인해 실행될 수 있으며, “gain G qui a ete calculee pour le porteur” (착용자에 대해 계산된 이득계수 G) 값은 본 발명의 디자인 파라미터(DP1)과 같다.
본 발명은 전체 발명의 개념의 제한 없이 실시예의 보조로 설명하였고, 특히 당업자에 공지된 많은 계산 및/또는 제조방법들이 본 발명에 따른 잔여난시의 측정를 적용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4)

  1. 착용자에게 안경렌즈를 제공하기 위해
    a) 수차가 0.25 디옵터보다 크면 착용자의 눈(눈들)의 (구 및 원통 중 적어도 하나의) 저위 수차를 보정하기 위해 착용자에게 눈 교정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단계와,
    b) 착용자의 눈(들)이 실질적으로 저위 수차가 없거나 단계 a)에 따라 보정되는 착용자의 눈의 시력값(들)(VA) 또는 착용자의 양 눈에 대한 양안 시력값(Vbino)을 측정하는 단계와,
    c) 컴퓨터 수단으로 인해 안경렌즈의 디자인을 계산하거나 단계 b)의 측정된 시력 값(들)을 기초로 잔여난시의 측정을 적용함으로써 안경렌즈 디자인 데이터에 있어 디자인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컴퓨터 수단을 통해 실행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단계 a)의 눈 교정 디바이스는 눈(들)의 응시방향으로 교정렌즈 또는 복수의 교정렌즈를 구비하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컴퓨터 수단을 통해 실행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단계 a)는 눈(들)의 고위 수차를 보정하기 위해 눈 교정 디바이스를 착용자에 제공하는 단계를 또한 포함하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컴퓨터 수단을 통해 실행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단계 a)의 눈 교정 디바이스는 적응식 광시력 시뮬레이터를 구비하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컴퓨터 수단을 통해 실행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좌안(L) 및 우안(R)에 대해 시력값(VAL,VAR)이 측정되고 착용자의 좌안 및 우안에 대한 디자인을 계산하거나 선택하는데 디자인 파라미터(DPL 및 DPR)가 각각 이용되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컴퓨터 수단을 통해 실행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시력값(VAL,VAR)이 각 좌안(L) 및 우안(R)에 대해 측정되고, 우세하거나 지배적인 눈이 결정되며, 상기 우세하거나 지배적인 눈의 시력값에 따라 착용자의 좌안 및 우안에 대한 디자인이 계산되거나 선택되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컴퓨터 수단을 통해 실행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안경렌즈는 안경 누진가입렌즈인 적어도 부분적으로 컴퓨터 수단을 통해 실행되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누진가입렌즈 하드렌즈 파라미터에 따라 착용자에 대한 디자인 계산 또는 선택이 수행되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컴퓨터 수단을 통해 실행되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시력이 더 낮을수록, 착용자에 대한 디자인은 더 부드러워지고, 시력이 더 높을수록 착용자에 대한 디자인은 더 단단해지게 착용자에 대한 디자인 계산 또는 선택이 수행되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컴퓨터 수단을 통해 실행되는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디자인 파라미터(DP1)는 착용자에 대한 디자인을 계산하거나 선택하는데 사용되며,
    DP1 = EHC + (1 - EHC) x DP;
    여기서,
    EHC는 눈-머리 계수이고,
    DP는 시력값으로 인해 계산된 디자인 파라미터이며, 하드 디자인에 대해 DP=0이고, 소프트 디자인에 대해 DP=1인 적어도 부분적으로 컴퓨터 수단을 통해 실행되는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DP = 0 , (VA < VAmin인 경우);
    DP = 1 , (VA > VAmax인 경우);
    DP = (VA - VAmin) / (VAmax - VAmin), (VAmin ≤ VA ≤ VAmax인 경우)
    여기서, VA는 측정된 눈의 시력값이고, VAmin 및 VAmax는 각각 최소 및 최대 시력 임계치이며, LogMAR 단위로 표현되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컴퓨터 수단을 통해 실행되는 방법.
  12. a) 저위 수차가 0.25 디옵터보다 클 경우, 착용자의 눈(눈들)의 (구 및 원통 중 적어도 하나의) 저위 수차를 보정하기 위해 착용자에 안과교정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단계와,
    b) 착용자의 눈(들)이 실질적으로 저위 수차가 없는 착용자 눈(들)의 시력값(들)(VA)을 측정하는 단계와,
    c) 컴퓨터 수단으로 인해 안경렌즈의 디자인을 계산하거나 착용자의 눈(들)의 측정된 시력 값(들)을 기초로 잔여난시의 측정을 적용하여 안경렌즈 디자인 데이터베이스에서 디자인을 선택하는 단계와 이에 따라 착용자에 대한 개인 광학시스템(OS)을 제공하는 단계와,
    d) 렌즈 기판을 제공하는 단계와,
    e) 단계 c)에서 계산되거나 선택된 디자인에 따라 광학시스템(OS)에 따라 안경렌즈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착용자용 안경렌즈 제조방법.
  13. 프로세서에 접속가능하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한 실행시, 프로세서가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저장된 명령어 시퀀스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수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매체.
  14. 삭제
KR1020127015065A 2009-11-13 2010-11-15 디자인을 계산 또는 선택함으로써 안경렌즈를 제공하는 방법 KR1018329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9306095.2 2009-11-13
EP09306095 2009-11-13
PCT/EP2010/067498 WO2011058177A1 (en) 2009-11-13 2010-11-15 A method for providing a spectacle ophthalmic lens by calculating or selecting a desig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2698A KR20120102698A (ko) 2012-09-18
KR101832911B1 true KR101832911B1 (ko) 2018-02-27

Family

ID=42060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5065A KR101832911B1 (ko) 2009-11-13 2010-11-15 디자인을 계산 또는 선택함으로써 안경렌즈를 제공하는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708485B2 (ko)
EP (1) EP2499534B1 (ko)
JP (1) JP2013511060A (ko)
KR (1) KR101832911B1 (ko)
CN (1) CN102713728A (ko)
AU (1) AU2010317911B2 (ko)
BR (1) BR112012011258B1 (ko)
CA (1) CA2779557C (ko)
WO (1) WO20110581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36024B2 (en) 2011-12-06 2016-01-12 Glasses.Com Inc. Systems and methods for obtaining a pupillary distance measurement using a mobile computing device
US9286715B2 (en) 2012-05-23 2016-03-15 Glasses.Com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djusting a virtual try-on
US9483853B2 (en) 2012-05-23 2016-11-01 Glasses.Com Inc. Systems and methods to display rendered images
US20130314401A1 (en) 2012-05-23 2013-11-28 1-800 Contact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 3-d model of a user for a virtual try-on product
AU2013206460A1 (en) * 2012-06-27 2014-01-16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Free form custom lens design manufacturing apparatus, system and business method
FR3012952B1 (fr) * 2013-11-08 2015-11-06 Essilor Int Methode de determination d'au moins un parametre de conception optique d'une lentille ophtalmique progressive
CN103654708B (zh) * 2013-11-14 2015-10-21 深圳市斯尔顿科技有限公司 一种手持视力检测装置
EP3271779A1 (en) * 2015-03-18 2018-01-24 Essilor International A method for determining an ophthalmic lens having unwanted astigmatism
US10018854B2 (en) 2016-06-22 2018-07-10 Indizen Optical Technologies of America, LLC Custom ophthalmic lens design derived from multiple data sources
EP3272274A1 (en) * 2016-07-22 2018-01-24 Essilor International Method for determining a dioptric parameter of an ophthalmic lens to be provided to a person
KR102576480B1 (ko) * 2016-07-29 2023-09-07 메디컨투어 메디컬 엔지니어링 엘티디. 사람의 시력 측정
US11134838B2 (en) * 2016-07-29 2021-10-05 Medicontur Medical Engineering Ltd. Method and system for measuring visual acuity
EP3295862B1 (en) * 2016-09-15 2019-04-03 Essilor International Online determination of a customer's prescription knowing his previous prescription and using a measurement or a model of the evolution of its values
FR3059436B1 (fr) * 2016-11-28 2019-01-25 Laure PICHEREAU-BASLE Procede et dispositif de bilan intermediaire d’une optique
EP3438606A1 (en) * 2017-08-04 2019-02-06 Essilor International Method for determining an optical system, and ophthalmic lens and ophthalmic filter determined by said method
DE102017007663B4 (de) * 2017-08-14 2022-12-29 Rodenstock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rechnen oder zum Bewerten eines Brillenglases für ein Auge eines Brillenträgers unter Berücksichtigung eines Visusmodells, entsprechendes Computerprogrammerzeugnis sowi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erstellen eines Brillenglases
EP3685387A4 (en) 2017-09-18 2021-06-16 Indizen Optical Technologies Of America, LLC EYEGLASSES DESIGN WITH VISUAL SHARPNESS PROFILE
EP3501376A1 (en) * 2017-12-22 2019-06-26 Essilor International Methods and systems for determining a refraction of at least an eye of a person
WO2019178862A1 (zh) * 2018-03-23 2019-09-26 深圳摩方材料科技有限公司 符合视网膜分辨率的镜片及其验配处方和制造方法
EP3561577A1 (en) 2018-04-23 2019-10-30 Essilor International (Compagnie Generale D'optique) Method for determining the level of acceptance of a user of a lens design
JP7406573B2 (ja) * 2020-02-06 2023-12-27 株式会社ニコン・エシロール 検査制御装置、眼鏡レンズの設計方法および眼鏡レンズの製造方法
DE102021202442A1 (de) * 2021-03-12 2022-09-15 Rodenstock Gmbh Verfahren, Vorrichtung und Computerprogrammprodukt zum Bestimmen einer Sensitivität zumindest eines Auges eines Proband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01409A1 (ja) * 2004-06-29 2006-01-05 Hoya Corporation 眼鏡レンズの製造方法
JP2007514963A (ja) * 2003-11-14 2007-06-07 オフソニック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眼鏡レンズ製造のためのシステム
WO2009043941A1 (en) * 2007-10-05 2009-04-09 Essilor International (Compagnie Generale D'optique) A method for providing a spectacle ophtalmic lens by calculating or selecting a design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05302A (en) * 1976-06-23 1978-08-08 Tate Jr George W Automatic refraction apparatus and method
US6568990B2 (en) * 2000-01-18 2003-05-27 Ncrx Optical Solutions, Inc. System and method for ophthalmic lens manufacture
JP4193992B2 (ja) 2002-08-20 2008-12-10 Hoya株式会社 光学系の性能評価方法及び光学系の設計方法
US20050052615A1 (en) * 2003-09-05 2005-03-10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nnesota Multifocal optical device design
US7425067B2 (en) * 2003-11-14 2008-09-16 Ophthonix, Inc. Ophthalmic diagnostic instrument
KR101245123B1 (ko) * 2005-10-28 2013-03-25 존슨 앤드 존슨 비젼 케어, 인코포레이티드 고차 수차 교정을 통합한 노안 교정에 유용한 안과 렌즈
FR2912820B1 (fr) 2007-02-15 2009-05-15 Essilor Int Realisation d'un element ophtalmique adapte pour les visions foveale et peripherique
FR2920888B1 (fr) 2007-09-12 2010-10-15 Essilor Int Realisation d'un verre ophtalmique destine a un porteu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14963A (ja) * 2003-11-14 2007-06-07 オフソニック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眼鏡レンズ製造のためのシステム
WO2006001409A1 (ja) * 2004-06-29 2006-01-05 Hoya Corporation 眼鏡レンズの製造方法
WO2009043941A1 (en) * 2007-10-05 2009-04-09 Essilor International (Compagnie Generale D'optique) A method for providing a spectacle ophtalmic lens by calculating or selecting a desig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708485B2 (en) 2014-04-29
BR112012011258A2 (pt) 2016-04-12
WO2011058177A1 (en) 2011-05-19
AU2010317911B2 (en) 2015-08-13
EP2499534A1 (en) 2012-09-19
CA2779557C (en) 2019-02-26
BR112012011258B1 (pt) 2020-02-04
KR20120102698A (ko) 2012-09-18
EP2499534B1 (en) 2016-10-19
AU2010317911A1 (en) 2012-05-31
CN102713728A (zh) 2012-10-03
CA2779557A1 (en) 2011-05-19
JP2013511060A (ja) 2013-03-28
US20120229758A1 (en) 2012-09-13
BR112012011258A8 (pt) 2018-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2911B1 (ko) 디자인을 계산 또는 선택함으로써 안경렌즈를 제공하는 방법
AU200827429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the necessary correction of defective vision of an eye
JP5997351B2 (ja) 眼鏡レンズの製造方法
JP5369121B2 (ja) 眼鏡レンズの評価方法、眼鏡レンズの設計方法、眼鏡レンズの製造方法、眼鏡レンズの製造システム、及び眼鏡レンズ
US10973407B2 (en) Method for determining an ophthalmic lens having unwanted astigmatism
KR101561570B1 (ko) 디자인 계산 또는 선택에 의한 안경 안과렌즈 제공방법
EP2368151B1 (en) A method for providing a spectacle ophthalmic lens by calculating or selecting a design
JP6675317B2 (ja) 装用者に、カスタマイズされた眼科用累進眼鏡レンズを提供する方法
JP6845795B2 (ja) 装用者に適合された光学レンズのレンズ設計を決定する方法
Kaur et al. Subjective Refraction Techniques
EP4020063A1 (en) Method for designing eyeglass lens, designing device, server device, terminal device, order system,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program
EP4183320A1 (en) Method for comparing two ophthalmic lenses having different optical designs
Leube et al. Prediction of progressive lens performance from neural network simulations
CN110248590B (zh) 处方确定
KR20230038492A (ko) 피검자의 시력 개선을 위한 도수 교정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안과 렌즈의 광학적 특징의 반올림 값을 결정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N117615697A (zh) 用于优化人眼屈光矫正的方法和系统
Thall et al. Perspectives on Aberrations of the Ey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