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2422B1 - 단말 모드 변경 시스템, 단말 및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단말 모드 변경 시스템, 단말 및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2422B1
KR101832422B1 KR1020140182196A KR20140182196A KR101832422B1 KR 101832422 B1 KR101832422 B1 KR 101832422B1 KR 1020140182196 A KR1020140182196 A KR 1020140182196A KR 20140182196 A KR20140182196 A KR 20140182196A KR 101832422 B1 KR101832422 B1 KR 1018324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vehicle
vehicle information
mod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2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3644A (ko
Inventor
김일명
정현희
조형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401821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2422B1/ko
Publication of KR20160073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36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24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24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7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occupant comfort, e.g. for automatic adjustment of appliances according to personal settings, e.g. seats, mirrors, steering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OBD 단말을 이용하여 차량 모드를 변경하는 단말은 차량에 탑재된 OBD 단말에 접속하는 접속부, 상기 OBD 단말로부터 차량 정보를 수집하는 수집부, 상기 차량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탑승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상기 단말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에 탑승 신호를 제공하는 신호부 및 상기 탑승 신호에 기초해 상기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의 모드를 변경하는 변환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단말 모드 변경 시스템, 단말 및 컴퓨터 프로그램{SYSTEM, DEVICE AND COMPUTER PROGRAM FOR CHANGING DEVICE MODE}
본 발명은 단말 모드를 변경하는 시스템, 단말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OBD(On-Board Diagnostics) 장치는 차량의 계측과 제어를 위한 전자적인 진단 시스템으로서 자동차에 부착된 센서들로부터 ECU(Electronic control unit)로 전달된 자동차의 주요 계통에 대한 정보나 고장 등의 정보를 자동차의 콘솔이나 외부장치에서 볼 수 있도록 한다. OBD는 자체에 WiFi, 블루투스 등의 무선통신 기능을 포함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별도의 외부 기기 예컨대, 스마트 단말, 디스플레이 장치 등과 연결되어 사용되고 있다.
한편, 스마트 폰 등의 휴대 단말 또는 휴대 단말에 설치된 각종 애플리케이션들은 차량 운행 중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양한 차량 모드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차량 모드는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 후 직접 단말의 모드를 변경해야 한다는 점에서 이용한 불편함이 있었으며,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단말이 사용자의 탑승을 인지해 자동으로 단말의 모드를 변경하는 기술들이 개시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 2006-0108803호는 차량 승차시 이동통신단말기의 모드를 자동으로 변경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는 차량 탑승 시 자동으로 수행될 기능을 사전에 설정해 놓고, 이 후, 이동통신단말기를 소지한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하면 이동통신단말기는 내장된 근거리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이동통신단말기가 차량에 승차하였는지 판단하고, 이동통신단말기가 차량에 승차하였다고 판단된 경우, 승차시 기능자동수행 모드가 활성화되어 있는지 판단하고, 기능자동수행 모드가 활성화되어 있으면 상기 설정된 기능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OBD 단말로부터 수신한 차량 정보를 이용해 차량의 탑승여부를 정확히 인지하고, 단말의 모드를 자동으로 변경할 수 있는 단말 모드 변경 시스템, 단말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고자 한다. OBD 단말로부터 수신한 차량 정보를 이용해 차량의 탑승 시점, 주행 시작 및 주행 종료를 인지하고, 이에 기초해 단말의 모드를 자동으로 변경할 수 있는 단말 모드 변경 시스템, 단말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고자 한다. OBD 단말로부터 수신한 차량 정보를 단말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제공함으로써 애플리케이션의 차량 기능을 확장할 수 있는 단말 모드 변경 시스템, 단말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OBD 단말을 이용하여 차량 모드를 변경하는 단말에 있어서, 차량에 탑재된 OBD 단말에 접속하는 접속부, 상기 OBD 단말로부터 차량 정보를 수집하는 수집부, 상기 차량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탑승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상기 단말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에 탑승 신호를 제공하는 신호부 및 상기 탑승 신호에 기초해 상기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의 모드를 변경하는 변환부를 포함하는, 단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단말과 결합되어 단말의 모드를 변경하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단말이, 차량에 탑재된 OBD 단말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OBD 단말로부터 차량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차량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탑승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단말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에 탑승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탑승 신호에 기초해 상기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의 모드를 변경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단말의 모드 변경을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단말 및 차량에 탑재된 OBD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단말이, 상기 OBD 단말에 접속하여 상기 OBD 단말로부터 차량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차량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탑승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단말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에 탑승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탑승 신호에 기초해 상기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의 모드를 변경하는 것인,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OBD 단말로부터 수신한 차량 정보를 이용해 차량의 탑승여부를 정확히 인지하고, 단말의 모드를 자동으로 변경할 수 있는 단말 모드 변경 시스템, 단말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OBD 단말로부터 수신한 차량 정보를 이용해 차량의 탑승 시점, 주행 시작 및 주행 종료를 인지하고, 이에 기초해 단말의 모드를 자동으로 변경할 수 있는 단말 모드 변경 시스템, 단말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OBD 단말로부터 수신한 차량 정보를 단말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제공함으로써 애플리케이션의 차량 기능을 확장할 수 있는 단말 모드 변경 시스템, 단말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모드 변경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성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모드 변경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증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모드 변경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단말 모드 변경 시스템(1)은 단말(100) 및 차랑에 탑재된 OBD 단말(2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단말(100) 및 OBD 단말(200)은 단말 모드 변경 시스템(1)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는 구성요소들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의 단말 모드 변경 시스템(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를 통해 연결된다. 네트워크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는, Wi-Fi, 블루투스(Bluetooth),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3G, 4G, LTE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하에서는, 단말 모드 변경 시스템(1)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단말(100)은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3G, 4G 단말, 스마트폰(smart phone)과 같은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단말(100)은 차량에 탑재된 OBD 단말(200)에 접속하고, OBD 단말(200)로부터 차량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차량 정보는 엔진의 온/오프, 기어비, 엔진 부하율, 주행 속도, RPM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단말(100)은 OBD 단말(200)로부터 수집한 차량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차량 탑승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단말(100)은 차량 엔진의 온/오프 정보를 기초로 차량의 엔진이 온 상태인 경우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는, 단말(100)은 RPM(Revolution Per Minute)의 생성 순간을 기준으로 사용자의 탑승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술한 방법들은 사용자의 차량 탑승 여부를 판단하는 예시적인 방법들로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탑승 여부를 판단 방법을 특정 방법으로 제한하지 않으며, OBD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하나 이상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탑승 여부를 판단하는 다양한 방법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100)은 OBD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차량 정보를 기초로 차량의 주행 시작 및 주행 종료 시점을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단말(100)은 차량의 기어비(D, R, 1단, 2단), 엔진 부하율의 변화, 주행 속도의 변화, RPM의 변화 등의 정보를 이용해 차량의 주행 시작 및 주행 종료 시점을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단말(100)은 차량의 주행 속도가 증가하거나, RPM이 증가 시 차량의 주행 시작을 판단할 수 있으며, 차량의 엔진이 오프 시 차량의 주행 종료를 판단할 수 있다.
단말(100)은 OBD 단말(200)로부터 다양한 차량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기초로 차량의 탑승 및 주행 상태를 판단함으로써, 사용자의 차량 탑승뿐 아니라, 주행 시작/종료 시점 등을 포함한 다양한 상황들을 판단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차량 탑승 및 주행 시작/종료 시점을 보다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단말(100)은 사용자의 차량 탑승을 판단한 경우, 단말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으로 사용자의 차량 탑승을 알리는 탑승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으로 탑승 신호를 제공 시 애플리케이션 목록과 차량의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키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탑승 신호와 함께 제공되거나, 탑승 신호에 포함되어 제공되는 인증키는 지정된 애플리케이션과 등록된 차량에서만 모드 변경을 수행하도록 한다. 인증키에 대해서는 도 4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단말(100)은 차량의 주행 시작 또는 주행 종료를 판단한 경우, 단말(1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주행 신호 또는 주행 종료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단말(100)은 탑승 신호, 주행 신호 또는 주행 종료 신호에 따라 단말(1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단말(100)은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하였거나, 차량의 주행이 시작되었음을 판단한 경우, 단말의 통화 모드를 핸즈프리 모드로 변경하거나, 단말의 유저인터페이스(UI)를 보다 간단한 차량 전용 유저인터페이스로 변경하는 등의 모드 변경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 또는 단말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모드 변경의 종류는 본 발명에 있어서 특정 종류로 제한하지 않는다.
단말(100)은 OBD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차량 정보를 단말(1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전달할 수 있다. 단말(100)은 상기 차량 정보를 기초로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을 확장할 수 있다. 예컨대, 네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에 OBD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차량의 연비 및 남은 연료량을 제공함으로써 네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이 연료 부족 시점 전에 가장 저렴한 주유소를 안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네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은 (목적지까지의 남은 거리)- (남은 연료 평균 연비)를 계산하여 남은 연료로 목적지까지 도달할 수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근처에 가장 값싼 주유소로 안내하는 기능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OBD 단말(200)로부터 차량의 고장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이를 네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에 제공함으로써, 차량의 고장 시 가까운 정비소를 안내하는 기능 등을 제공할 수도 있다.
OBD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차량 정보 애플리케이션에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차량 맞춤형 기능들을 추가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예에서 평균 연비는 자동차 회사에서 공시한 값이 아닌 OBD 단말을 통해 수집된 차량데이터를 바탕으로 계산한 값(차량의 운행상태와 엔진에 분사되고 있는 연료량을 기초로 계산된 실제값)을 이용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차량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OBD 단말(200)은 차량에 탑재되고, 단말(100)과 접속하여, 단말(100)로 차량의 상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말(100)은 접속부(110), 수집부(120), 판단부(130), 신호부(140), 변환부(150), 정보 전달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단말의 예시적인 구성 요소를 나타내며 구성 요소는 추가 및 생략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단말(100)의 각 구성요소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접속부(110)는 차량에 탑재된 OBD 단말에 접속할 수 있다. 접속부는 블루투스, WiFi 또는 유선 연결 등을 통해 OBD 단말과 접속할 수 있다.
수집부(120)는 OBD 단말로부터 차량 정보를 수신하여, 수집할 수 있다. 차량 정보는 엔진의 온/오프, 기어비, 엔진 부하율, 주행 속도, RPM, 고장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판단부(130)는 수집부(120)에서 수집한 차량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탑승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판단부(130)는 차량 엔진의 온/오프 상태를 기초로 사용자의 탑승을 판단할 수 있다. 판단부(130)는 수집부(120)에서 수집한 차량 정보를 기초로 차량의 주행 시작 또는 주행 종료 시점을 추가로 판단할 수 있다. 판단부(130)는 상술한 사용자 탐승/주행 시작/ 주행 종료 상황뿐 아니라, 수집부(120)에서 수짐한 차량 정보를 기초로 다양한 차량 및 사용자의 상황을 판단할 수 있다.
신호부(140)는 판단부(130)에서 사용자의 탑승이 판단된 경우, 단말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에 사용자의 탑승 사실을 알리는 탑승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신호부(140)는 판단부(130)에서 차량의 운행 시작/ 운행 종료가 판단된 경우, 운행 신호/ 운행 종료 신호를 단말(1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제공할 수 있다.
신호부(140)는 탑승 신호와 함께 애플리케이션에 인증 키를 제공할 수 있다. 인증키는 지정된 애플리케이션의 리스트 및 차량의 VIN(vehicle identification number)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변환부(150)는 신호부(140)로부터 탑승 신호에 기초해 애플리케이션의 모드를 차량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변환부(150)는 신호부(140)로부터 수신하는 운행 신호/ 운행 종료 신호를 기초해서 차량 모드를 변경할 수도 있다. 변환부(150)는 단말(100)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의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통화, 네비게이션, 음악 재생 등과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의 모드를 차량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변환부(150)는 정보 전달부(160)에서 수신한 차량 정보를 이용해 단말(1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을 확장할 수 있다.
정보 전달부(160)는 수집부(120)에서 수집한 차량 정보를 단말(1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제공할 수 있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모드 변경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에에 따른 단말에서의 단말 모드 변경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단말 모드 변경 시스템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단말 모드 변경 시스템에 관하여 이미 기술된 내용은 도 3에 도시된 단말 모드 변경 방법에도 적용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S300에서 단말은 차량에 탑재된 OBD 단말과 접속한다. 단계 S320에서 단말은 OBD 단말로부터 수신한 차량 정보를 수집한다. 단계 S340에서 단말은 수집한 차량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360에서 단말은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하였다고 판단하면, 단말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으로 탑승 신호를 제공한다. 단계 S380에서 단말은 탑승 신호가 제공되면 애플리케이션의 모드를 차량 모드로 변경한다.
단계 S300 내지 S360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증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인증키는 지정된 애플리케이션의 목록과 차량의 정보를 이용해 생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면 부호 420을 참조하면, 인증키는 애플리케이션의 유형 및 애플리케이션의 이름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목록(White list)과 차량의 VIN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인증키는 별도의 클라우드 서버 등을 통해 차량의 VIN을 인증하여 생성될 수 있다. 차량의 VIN을 인증함으로써 등록된 차량에 탑승한 경우에만 단말의 모드를 변경하도록 할 수 있다. 등록된 차량에 탑승한 경우에만 단말의 모드를 변경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의 차량에 탑승한 경우와 타인의 차량에 탑승한 경우를 구분하고, 운전자로서 자신의 차량에 탑승한 경우에만 단말의 모드를 변경하도록 할 수 있다.
생성된 인증키는 탑승 신호와 함께 단말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제공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은 인증 확인 모듈을 구비하고, 수신한 인증키를 확인하여 애플리케이션의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도면 부호 440을 참조하면, 애플리케이션은 인증키를 확인하고 모드를 변경함으로써 지정된 애플리케이션에 대해서만 모드 변경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 모드 변경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또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단말
200: OBD 단말

Claims (18)

  1. OBD 단말을 이용하여 차량 모드를 변경하는 단말에 있어서,
    차량에 탑재된 OBD 단말에 접속하는 접속부;
    상기 OBD 단말로부터 차량 정보를 수집하는 수집부;
    상기 차량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탑승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상기 단말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에 탑승 신호를 제공하는 신호부; 및
    상기 탑승 신호에 기초해 상기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의 모드를 변경하는 변환부
    를 포함하는, 단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차량 정보를 기초로 상기 차량의 주행 여부를 추가로 판단하고,
    상기 신호부는 상기 단말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에 주행 신호를 추가로 전송하고,
    상기 변환부는 상기 주행 신호에 기초해 상기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의 모드를 추가로 변경하는 것인, 단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정보는, 엔진의 온/오프, 기어비, 엔진 부하율, 주행 속도, RPM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단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 신호는 지정된 애플리케이션의 목록 및 등록된 차량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단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부는, 단말의 UI, 통화 모드, 음악 재생 방법 중 하나 이상을 변경하는 것인, 단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OBD 단말로부터 상기 차량의 차량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하는 정보 전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변환부는, 상기 차량 정보를 기초로 상기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을 확장하는 것인, 단말.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은, 상기 차량 정보에 기초한 주요소 안내 또는 정비소 안내를 포함하는 것인, 단말.
  8. 단말과 결합되어 단말의 모드를 변경하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단말이,
    차량에 탑재된 OBD 단말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OBD 단말로부터 차량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차량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탑승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단말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에 탑승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탑승 신호에 기초해 상기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의 모드를 변경하는 단계
    를 수행하도록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정보는 엔진의 온/오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엔진이 온 상태인 경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차량에 탑승하였다고 판단하는 것인, 컴퓨터 프로그램.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상기 차량 정보를 기초로 상기 차량의 주행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단말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에 주행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주행 신호에 기초해 상기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의 모드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수행하도록 하는 것인, 컴퓨터 프로그램.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정보는 기어비, 엔진 부하율, 주행 속도, RPM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컴퓨터 프로그램.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상기 차량 정보를 기초로 상기 차량의 주행 종료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단말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에 주행 종료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주행 종료 신호에 기초해 상기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의 모드를 변경하는 단계;
    를 더 수행하도록 하는 것인, 컴퓨터 프로그램.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정보는 엔진의 온/오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엔진이 오프 상태인 경우, 상기 차량의 주행이 종료되었다고 판단하는 것인, 컴퓨터 프로그램.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 신호는 지정된 애플리케이션의 목록 및 등록된 차량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컴퓨터 프로그램.
  15.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를 변경하는 단계는, 단말의 UI 변경, 통화 모드 변경, 음악 재생 방법 변경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컴퓨터 프로그램.
  16.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상기 OBD 단말로부터 상기 차량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에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 정보를 기초로 상기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을 확장하는 단계
    를 더 수행하도록 하는 것인, 컴퓨터 프로그램.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은 상기 차량 정보에 기초한 주유소 안내 또는 정비소 안내를 포함하는 것인, 컴퓨터 프로그램.
  18. 단말의 모드 변경을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단말; 및
    차량에 탑재된 OBD 단말
    을 포함하고,
    상기 단말이,
    상기 OBD 단말에 접속하여 상기 OBD 단말로부터 차량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차량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탑승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단말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에 탑승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탑승 신호에 기초해 상기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의 모드를 변경하는 것인, 시스템.
KR1020140182196A 2014-12-17 2014-12-17 단말 모드 변경 시스템, 단말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18324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2196A KR101832422B1 (ko) 2014-12-17 2014-12-17 단말 모드 변경 시스템, 단말 및 컴퓨터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2196A KR101832422B1 (ko) 2014-12-17 2014-12-17 단말 모드 변경 시스템, 단말 및 컴퓨터 프로그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3644A KR20160073644A (ko) 2016-06-27
KR101832422B1 true KR101832422B1 (ko) 2018-02-26

Family

ID=56344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2196A KR101832422B1 (ko) 2014-12-17 2014-12-17 단말 모드 변경 시스템, 단말 및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24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66818B2 (ja) * 2017-09-27 2021-04-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端末、車両制御システム、及び車両制御方法
KR101987647B1 (ko) * 2018-01-02 2019-06-11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용 엔포테인먼트 모바일 장치 및 그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9481B1 (ko) 2013-09-16 2014-11-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차량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9481B1 (ko) 2013-09-16 2014-11-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차량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3644A (ko) 2016-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29584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eparing vehicle for remote reflash event
US9894526B2 (en) Mobile applications using vehicle telematics data
US9086285B2 (en) Automatic detection of parking level in multi-level structure
US8433471B2 (en) Pre-filling vehicle data check
US1094830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oute planning incorporating charging needs
US9478134B2 (en) Method of determining an attribute of a parking structure
JP4825698B2 (ja) 通信プログラムおよび携帯端末装置
US2006027124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mote vehicle management
US11074539B2 (en) Vehicle usage assessment of drivers in a car sharing service
US20140067152A1 (en) Providing vehicle operating information using a wireless device
US20130288659A1 (en) Avoiding battery depletion of a mobile device
CN102546936A (zh) 用于调整一项或多项移动应用程序操作的计算机执行方法
US9241249B2 (en)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notification at an automotive head unit that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s outside a vehicle
US20110015998A1 (en) Use of vehicle data to interact with Internet online presence and status
US20130281023A1 (en) Enabling features and display reminders on a mobile phone
US9743247B2 (en) Position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positio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US2022003038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proximity based component information provision
CN105094796B (zh) 用于调度车辆启动的方法和设备
CN103411602A (zh) 车辆行驶轨迹分享系统
CN105306522A (zh) 用于车辆数据监控的方法和设备
RU2722243C2 (ru) Процессор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и способ отслеживания и предоставления отчета об использовании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и ассоциированной стоимости топлива
CN104683429A (zh) 使用社交网络服务共享位置信息的装置和方法
CN107146439A (zh) 限行提示方法、限行提示系统和车载终端
KR101832422B1 (ko) 단말 모드 변경 시스템, 단말 및 컴퓨터 프로그램
EP2590103A1 (en) Control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