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2236B1 - 조립식 가구 - Google Patents

조립식 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2236B1
KR101832236B1 KR1020160094492A KR20160094492A KR101832236B1 KR 101832236 B1 KR101832236 B1 KR 101832236B1 KR 1020160094492 A KR1020160094492 A KR 1020160094492A KR 20160094492 A KR20160094492 A KR 20160094492A KR 101832236 B1 KR101832236 B1 KR 1018322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groove
protrusion
coupling
f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4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1938A (ko
Inventor
박종률
안원
유진광
김지열
Original Assignee
박종률
안원
유진광
김지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률, 안원, 유진광, 김지열 filed Critical 박종률
Priority to KR1020160094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2236B1/ko
Publication of KR201800119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19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2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22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47B13/021Fastening devices of the feet or le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02Dismountable chairs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별도의 결합 부재 없이 사용자가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며, 가구 조립시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커스터마이징(customizing)할 수 있는 조립식 가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중이 지지체로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고, 하중을 분산시켜 사용자에게 안락함과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는 조립식 가구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높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부 측면에 돌출된 결합돌기(110)와 상면에 돌출된 끼움돌기(120)를 포함하는 지지체(100); 일면에 관통되어 복수 개의 관통홈(210)과 상기 끼움돌기(120)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홈(210)과 연통되는 가이드홈(220)을 포함하여 상기 지지체(100)를 통해 지지되는 제1 조립체(200); 및 상기 가이드홈(220)에 대응되는 위치에 끼움홈(310)이 형성되며, 상기 끼움홈(310) 내측에 상기 끼움돌기(120)가 결합되어 상기 지지체(100)의 상면에 고정되는 제2 조립체(300);를 포함하되, 상기 결합돌기(110)는 내측이 수평방향으로 함몰된 결합홈(111);과, 상기 결합홈(111)을 통해 제1 결합돌기(112)와 제2 결합돌기(113)으로 나뉘어지되, 상기 관통홈(210)으로 인입되어 상기 결합홈(111) 내측으로 상기 제1 조립체(200)가 끼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1 조립체(200)는 상기 가이드홈(220)으로 상기 끼움돌기(120)가 관통하여 상기 지지체(100)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립식 가구 {ASSEMBLED FURNITURE}
본 발명은 별도의 결합 부재 없이 사용자가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며, 가구 조립시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커스터마이징(customizing)할 수 있는 조립식 가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중이 지지체로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고, 하중을 분산시켜 사용자에게 안락함과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는 조립식 가구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높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부 측면에 돌출된 결합돌기(110)와 상면에 돌출된 끼움돌기(120)를 포함하는 지지체(100); 일면에 관통되어 복수 개의 관통홈(210)과 상기 끼움돌기(120)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홈(210)과 연통되는 가이드홈(220)을 포함하여 상기 지지체(100)를 통해 지지되는 제1 조립체(200); 및 상기 가이드홈(220)에 대응되는 위치에 끼움홈(310)이 형성되며, 상기 끼움홈(310) 내측에 상기 끼움돌기(120)가 결합되어 상기 지지체(100)의 상면에 고정되는 제2 조립체(300);를 포함하되, 상기 결합돌기(110)는 내측이 수평방향으로 함몰된 결합홈(111);과, 상기 결합홈(111)을 통해 제1 결합돌기(112)와 제2 결합돌기(113)으로 나뉘어지되, 상기 관통홈(210)으로 인입되어 상기 결합홈(111) 내측으로 상기 제1 조립체(200)가 끼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1 조립체(200)는 상기 가이드홈(220)으로 상기 끼움돌기(120)가 관통하여 상기 지지체(100)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에 구비되는 의자, 책상, 서랍장과 같은 가구(家具)는 목재나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며, 규정된 사이즈에 맞춰 재료를 가공한 뒤 조립되어 유통되고 있다.
그러나 이미 조립이 완료된 가구는 차지하는 면적이 크기 때문에 운반 및 배송과정에서 불편함이 존재하며, 많은 양의 가구들을 운송 수단에 적재하는 것 또한 곤란하기 때문에 물류비용 상승을 초래할 수 있다.
특히, 최근 다양한 디자인으로 제작된 가구들이 급증하고 있어 형상에 따라 각별한 개별포장이 되지 않을 경우 운송 중 가구가 파손될 우려가 존재한다.
따라서, 각각의 조립체 형태로 유통되어 설치현장에서 직접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는 넉다운 형태의 가구들이 판매되고 있다.
넉다운(Knocked-Down) 가구는 완전한 분해와 조립이 가능한 가구로, 다수개의 구조체가 패키지 형식으로 판매되고, 이를 구매한 사용자가 직접 조립하여 사용하는 가구 형태이다.
특히, 근래에 들어 1인 가구(家口)가 증가하고 있어 혼자서도 조립이 간편하고, 협소한 공간에도 적용될 수 있도록 사용자가 원하는 크기로의 조립이 가능한 조립식 가구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종래의 가구가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가구 구조체에 관한 선행기술로, 등록특허공보 제10-0683494호에서는 넉다운 가구에 대해 기재하고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밑면의 가로방향으로 다수개의 가이드홈이 형성된 상판과, 하단에서 내측으로 체결홈이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된 첨판과, 상단에 상기 상판의 가이드홈에 슬라이딩되면서 체결되는 슬라이딩부재가 형성되고, 상부에서 하측으로 상기 첨판의 체결홈과 교차결합되는 고정홈이 형성된 지지판과, 첨판의 체결홈에 지지판의 고정홈을 상호 교차하여 결합시킨 후 상기 지지판의 측면에서 상판을 슬라이딩시켜 가이드홈에 슬라이딩부재가 결합되도록 한 상태에서 가이드홈 끝단에 결합되어 상판과 첨판 및 지지판의 결합을 고정시키는 은장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넉다운 가구를 제공"할 수 있음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가이드홈 및 체결홈을 따라 슬라이딩부재가 결합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조립할 수 없고, 상판의 하면에 지지판이 직접적으로 결합되기 때문에 상판에 가해지는 하중이 직접적으로 지지판으로 전달된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단순히 설계된 형태의 가구를 얻기 때문에 자신에게 필요한 형상 및 크기의 가구를 얻을 수 없고, 상판의 상면중에서 지지판과 결합된 부분으로 하중이 집중되기 때문에 지지판으로 지지되지 않는 부분은 불안정하여 사용자가 안락함과 안정감을 느끼기 어렵다.
또한, 상기 선행기술에서 사용되는 은장이나 기존의 조립식 가구는 나사, 너트와 같이 별도의 결합 부재가 필요하기 때문에 조립 과정이 복잡하며, 운송 중 결합 부재가 분실될 우려가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683494호 (2007.02.20.)
위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결합 부재 없이 사용자가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며, 가구 조립시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커스터마이징(customizing)할 수 있는 조립식 가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중이 지지체로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고, 하중을 분산시켜 사용자에게 안락함과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는 조립식 가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위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가구는,
높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부 측면에 돌출된 결합돌기(110)와 상면에 돌출된 끼움돌기(120)를 포함하는 지지체(100); 일면에 관통되어 복수 개의 관통홈(210)과 상기 끼움돌기(120)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홈(210)과 연통되는 가이드홈(220)을 포함하여 상기 지지체(100)를 통해 지지되는 제1 조립체(200); 및 상기 가이드홈(220)에 대응되는 위치에 끼움홈(310)이 형성되며, 상기 끼움홈(310) 내측에 상기 끼움돌기(120)가 결합되어 상기 지지체(100)의 상면에 고정되는 제2 조립체(300);를 포함하되, 상기 결합돌기(110)는 내측이 수평방향으로 함몰된 결합홈(111);과, 상기 결합홈(111)을 통해 제1 결합돌기(112)와 제2 결합돌기(113)으로 나뉘어지되, 상기 관통홈(210)으로 인입되어 상기 결합홈(111) 내측으로 상기 제1 조립체(200)가 끼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1 조립체(200)는 상기 가이드홈(220)으로 상기 끼움돌기(120)가 관통하여 상기 지지체(100)와 결합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가구는, 별도의 결합 부재 없이 사용자가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며, 가구 조립시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커스터마이징(customizing)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중이 지지체로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고, 하중을 분산시켜 사용자에게 안락함과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조립체가 설치되는 높낮이를 조절함으로써 제1 및 2 조립체 사이에 수납공간을 형성함으로써, 별도의 수납부재없이도 사용자가 필요한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가구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체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조립체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4 및 4a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조립체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가구의 조립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6 및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가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8 및 9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가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종래의 넉다운 가구를 나타낸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은 별도의 결합 부재 없이 사용자가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며, 가구 조립시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커스터마이징(customizing)할 수 있는 조립식 가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중이 지지체로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고, 하중을 분산시켜 사용자에게 안락함과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는 조립식 가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조립식 가구의 실시예 및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 중 도 1 내지 4를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가구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체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조립체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며, 도 4 및 4a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조립체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1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가구는 지지체(100), 제1 조립체(200) 및 제2 조립체(30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체(100)는 지면으로부터 제1 및 2 조립체(200, 300)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수직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지지체(100)는 결합돌기(110)와 끼움돌기(120)를 포함하고 있다.
결합돌기(110)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지지체(100)의 상부 측면으로 돌출된 것으로, 수평방향으로 결합돌기(110) 내측으로 함몰된 결합홈(111)을 가지며, 상기 결합홈(111)을 통해 나뉘어진 결합돌기(110)는 상부에는 제1 결합돌기(112) 및 하부에는 제2 결합돌기(113)로 나뉘어질 수 있다.
결합홈(111)은 후술될 제1 조립체(200)와 수평방향으로 끼움 결합되며, 끼움돌기(120)는 제1 조립체(200)의 가이드홈(220)을 관통하여 제2 조립체(300)의 끼움홈(310)으로 끼움결합 될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지지체(100)는 제1 및 2 조립체(200, 300)를 지지할 수 있다.
제1 조립체(200)는 측면을 따라 형성된 관통홈(210)과 상기 관통홈(210)과 연통되는 가이드홈(220)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관통홈(210) 및 가이드홈(220)은 제1 조립체(200)를 관통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관통홈(210)은 지지체(100)가 관통홈(210) 내부로 인입되는 곳으로, 결합홈(111)이 제1 조립체(200)의 내부 측면을 결합할 수 있다.
가이드홈(220)은 관통홈(210)과 연통되어, 결합홈(111)이 관통홈(210)의 내측면을 따라 제1 조립체(200)와 결합될 때 끼움돌기(120)는 가이드홈(220)을 관통하여 결합됨으로써 제1 결합돌기(112)는 제1 조립체(200)의 상면에 위치하고, 제2 결합돌기(113)는 제1 조립체(200)의 하부를 받쳐줌으로써 제1 조립체(200)는 지지체(100)에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지지체(100)가 제1 조립체(200)의 각 모서리와 중앙을 지지하여 하중이 지지체로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고, 하중을 분산시켜 사용자에게 안락함과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관통홈(210) 및 가이드홈(220)을 통해 지지체(100)와 제1 조립체(200)가 결합되는 방법은 첨부된 도 5를 통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제2 조립체(300)는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제1 조립체(200)의 가이드홈(220)에 대응되는 위치에 끼움홈(310)이 형성되어 있어 가이드홈(220)을 관통한 끼움돌기(120)가 끼움홈(310)에 끼움결합 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끼움홈(310)은 제2 조립체(300)를 관통할 수 있고, 상면에 끼움돌기(120)가 노출되지 않도록 내측으로 함몰되어 함몰된 면에 끼움돌기(120)가 끼움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 조립체(300)의 측면에는 별도의 이용홈(300a)이 형성되어 책이나 연필과 같은 사용자가 필요한 용구가 이용홈(300a) 내부로 인입되어 제1 조립체(200)의 상면에 보관될 수 있다(도 4a 참조).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가구의 조립예를 도 5를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가구의 조립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때, 설명을 돕기 위해 끼움돌기(120)는 해칭으로 별도 표시하였음을 미리 밝힌다.
제1 조립체(200)를 관통하는 관통홈(210)으로 지지체(100)의 상부가 인입된다. 이때, 지지체(100)의 상부에 위치한 제1 결합돌기(111)와 끼움돌기(120)가 관통홈(210) 내부를 관통한다(도 5의 a 참조).
관통홈(210) 내부로 인입된 지지체(100)는 제1 조립체(200)의 내부 중앙 방향으로 회전하여 결합홈(111)이 제1 조립체(200)와 끼움결합되고, 가이드홈(220)으로 끼움돌기(120)가 인입되어 돌출된다(도 5의 b 참조).
이때 지지체(100)와 결합된 제1 조립체(200)의 상면을 살펴보면 제1 결합돌기(112)가 노출된다.
이와 같이 지지체(100)와 결합된 제1 조립체(200)의 상면에 제2 조립체가 안착되는데, 이때 제2 조립체(300) 하부에 형성된 끼움홈(310)으로 끼움돌기(120)가 끼움결합된다(도 5의 c 참조).
즉, 제2 조립체(300)의 하부는 지지체(100)의 제1 결합돌기(112)의 상면 위에 안착되며, 끼움홈(310)을 통해 지지체(100)가 제2 조립체(30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조립구조를 통해 제2 조립체(300)의 상면에 부담되는 하중이 제1 결합돌기(112)로 분산되어 사용자가 안락함과 안정감을 느낄 수 있다.
즉, 기존의 조립식 가구들은 상판과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끼움 방식의 결합으로 되어있기 때문에 상판 및 상판에 부담되는 하중이 지지부재로 직접 전달되며, 지지부재와 결합된 부분이 아닌 상판의 중앙부분에는 응력이 발생되어 사용자가 안정감을 느끼지 못할 우려가 있었다.
또한, 지지체(100)의 제1 결합돌기(112)로 전달되는 하중은 제1 결합돌기(112)의 하부와 결합되는 제1 조립체(200)로 하중이 분산되어 전달됨으로써 견고하고, 안정감이 향상된 조립식 가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존의 조립식 가구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방향으로 제2 조립체(300)의 하중이 분산될 수 있어 사용자가 안락함과 안정감을 느낄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의자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이는 첨부된 도면 중 도 6 및 7을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6 및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가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의 a와 같이 제1 조립체(200)는 끼움홀(230)을 형성하고, 제2 조립체(300)는 가이드라인(320)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조립체(200)와 제2 조립체(300) 사이에는 사용자의 등을 받칠 수 있는 제3 조립체(400)가 인입되어 결합된다(도 6의 b 참조).
제3 조립체(400)의 하부는 제1 및 2 조립체(200, 300) 사이에 인입되며, 가이드라인(320)을 따라 제3 조립체(400)가 인입될 수 있고, 말단에 하부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고정돌기(410)는 제1 조립체(200)의 끼움홀(230)에 끼움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3 조립체(400)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며, 연장된 부분에서 측면을 관통하는 결합홀(420)이 형성된다.
이러한 결합홀(420)은 도 6의 c와 같이 등받이부재(500)와 결합되며, 등받이부재(500)의 양 말단에 형성된 결합턱(510)이 제3 조립체(400)의 결합홀(420)에 끼움결합되어 도 7과 같은 의자 형상으로 조립할 수 있다.
이때, 지지체(100)는 제1 및 2 조립체(200, 300)와 결합되며, 결합 방법은 앞서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함을 밝힌다.
이와 같이 하나의 상판이 아닌 제1 및 2 조립체(200, 300)를 통하여 제2 조립체(300)로 전달되는 하중을 지지체(100) 및 제1 조립체(200)로 전달할 수 있는데, 제1 조립체(200)의 높이를 조절하여 제1 및 2 조립체(200, 300) 사이에 별도의 수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 8 및 9를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8 및 9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가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8과 같이 제2 결합돌기(113)는 지지체(100)와 분리될 수 있으며, 제1 결합돌기(112)가 돌출된 측면에는 걸림홈(13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결합돌기(113)는 지지체(100)와 결합되는 측면의 하부방향으로 돌출된 걸림턱(113a)이 형성되며, 걸림턱(113a)은 걸림홈(130) 내부로 인입되도록 한다.
걸림홈(130)은 제1 결합돌기(112)가 형성된 면에 형성되며, 돌출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이때, 걸림홈(130)은 제2 결합돌기(113)의 측면과 대응되는 현상으로 함몰되며 일정한 간격으로 걸림홈(130)보다 너비다 넓게 함몰된 인입홈(131)이 추가로 형성된다(도 9의 a).
상기 걸림홈(130) 내측으로 인입된 제2 결합돌기(113)의 상면에 제1 조립체(200)가 직접적으로 안착될 경우 제1 조립체(200)의 하중으로 인해 제2 결합돌기(113)와 제1 조립체(200)가 지지체(100)로부터 분리될 수 있기 때문에 제2 결합돌기(113)를 지지체(100)와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부재(114)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재(114)는 지지체(100)의 인입홈(131)으로 인입되며, 걸림홈(130) 내측으로 제2 결합돌기(113)를 사용자는 본인이 원하는 위치에 맞춰 인입한다(도 9의 b 참조).
제2 결합돌기(113)가 인입된 걸림홈(130) 위치에 맞춰 인입홈(131)에 고정부재(114)를 인입하여 제2 결합돌기(113)를 고정할 수 있다.
즉, 제2 결합돌기(113) 상면에 제1 조립체(200)가 안착되면, 제1 조립체(200)의 하중으로 인해 제2 결합돌기(113)가 앞으로 쏠려 지지체(100)에서 분리될 수 있는데 고정부재(114)가 걸림턱(113a)의 이동을 방지하여 제2 결합돌기(113)를 지지체(100)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인입홈(131)은 고정부재(114)의 측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함몰되거나, 고정부재(114)의 측면보다 작은 형상으로 함몰되어 고정부재(114)가 인입홈(131)으로 끼워맞춤 또는 억지 끼워맞춤 될 수 있도록 하여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2 결합돌기(113)의 높이를 조절하여 사용자는 제1 조립체(200)의 상면에 필요한 물건 등을 올려놓을 수 있어 별도의 수납부재 없이도 수납공간을 형성할 수도 있다.
도 10은 종래의 넉다운 가구를 나타낸 것이다.
한편, 상기에도 도 1 내지 9를 이용하여 서술한 것은, 본 발명의 주요 사항만을 서술한 것으로,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가 가능한 만큼, 본 발명이 도 1 내지 9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100: 지지체 110: 결합돌기
111: 결합홈 112: 제1 결합돌기
113: 제2 결합돌기 113a: 걸림턱
114: 고정부재 120: 끼움돌기
130: 걸림홈 131: 인입홈
200: 제1 조립체 210: 관통홈
220: 가이드홈 230: 끼움홀
300: 제2 조립체 300a: 조립부재
310: 끼움홈 320: 가이드라인
400: 제3 조립체 410: 고정돌기
420: 결합홀 500: 등받이부재
510: 결합턱

Claims (2)

  1. 높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부 측면에 돌출된 결합돌기(110)와 상면에 돌출된 끼움돌기(120)를 포함하는 지지체(100);
    일면에 관통되어 복수 개의 관통홈(210)과 상기 끼움돌기(120)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홈(210)과 연통되는 가이드홈(220)을 포함하여 상기 지지체(100)를 통해 지지되는 제1 조립체(200); 및
    상기 가이드홈(220)에 대응되는 위치에 끼움홈(310)이 형성되며,
    상기 끼움홈(310) 내측에 상기 끼움돌기(120)가 결합되어 상기 지지체(100)의 상면에 고정되는 제2 조립체(300)를 포함하되,
    상기 결합돌기(110)는,
    내측이 수평방향으로 함몰된 결합홈(111) 및 상기 결합홈(111)을 통해 제1 결합돌기(112)와 나뉘어지는 제2 결합돌기(113)를 포함하며, 상기 관통홈(210)으로 인입되어 상기 결합홈(111) 내측으로 상기 제1 조립체(200)가 끼움결합되고,
    상기 지지체(100)는,
    상기 제1 결합돌기(112)가 돌출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함몰된 걸림홈(130)이 형성되며,
    상기 제2 결합돌기(113)는 상기 지지체(100)에서 분리될 수 있되,
    상기 제2 결합돌기(113)는 상기 걸림홈(130) 내측으로 인입되고,
    상기 걸림홈(130)으로 고정부재(114)가 인입되어 상기 제2 결합돌기(113)가 상기 걸림홈(130) 내부에 고정되며,
    상기 제1 조립체(200)는,
    상기 가이드홈(220)으로 상기 끼움돌기(120)가 관통하여 상기 지지체(100)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구.
  2. 삭제
KR1020160094492A 2016-07-26 2016-07-26 조립식 가구 KR1018322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4492A KR101832236B1 (ko) 2016-07-26 2016-07-26 조립식 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4492A KR101832236B1 (ko) 2016-07-26 2016-07-26 조립식 가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1938A KR20180011938A (ko) 2018-02-05
KR101832236B1 true KR101832236B1 (ko) 2018-02-27

Family

ID=61224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4492A KR101832236B1 (ko) 2016-07-26 2016-07-26 조립식 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22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3655B1 (ko) * 2018-11-25 2021-07-30 박승규 조립식 가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0158Y1 (ko) * 1999-12-04 2000-04-15 유문수 가구용 다리결합구
JP3192190B2 (ja) * 1992-01-14 2001-07-23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2190B2 (ja) * 1992-01-14 2001-07-23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KR200180158Y1 (ko) * 1999-12-04 2000-04-15 유문수 가구용 다리결합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1938A (ko) 2018-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19962B2 (en) Design and assembly technique for ready to assemble furniture
USD853742S1 (en) Stool
KR101453493B1 (ko) 조립식 책상
US10709254B2 (en) Bedding/seating product with locked corners
US9408469B1 (en) Ball chair
EP1166626A1 (en) Modular cage
EP2981191B1 (en) Chair with a frame with tubular elements
US20160213176A1 (en) Sleeping pillow
JP2013533072A (ja) 座席家具の品物
KR101832236B1 (ko) 조립식 가구
US10646047B2 (en) Adjustable bed frame structure
KR200473792Y1 (ko) 무볼트 조립식 앵글 구조
KR101300631B1 (ko) 테이블
KR20220012527A (ko) 낚시 좌대용 프레임
KR20150001746U (ko) 의자 다리프레임의 지지구조
US10827842B1 (en) Seat module
KR101730721B1 (ko) 접이식 가구의 프레임 결합구조
KR101378815B1 (ko) 수납 구조물
KR20130053719A (ko) 다기능 의자
KR200475666Y1 (ko) 조립식 의자
JP2021045278A (ja) 什器ユニットおよび什器システム
KR102317582B1 (ko) 가구 조립용 브라켓
JP6582346B2 (ja) 上板付き什器における支持体と上板との連結構造及び上板付き什器システム
CN219940124U (zh) 一种可调整头枕高度的椅子
KR200478179Y1 (ko) 의자용 헤드레스트 절첩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