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2035B1 - 칼 - Google Paten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2035B1
KR101832035B1 KR1020150120709A KR20150120709A KR101832035B1 KR 101832035 B1 KR101832035 B1 KR 101832035B1 KR 1020150120709 A KR1020150120709 A KR 1020150120709A KR 20150120709 A KR20150120709 A KR 20150120709A KR 101832035 B1 KR101832035 B1 KR 1018320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ife
knife body
seating surface
present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0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4980A (ko
Inventor
장성진
조혁상
Original Assignee
조혁상
장성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혁상, 장성진 filed Critical 조혁상
Priority to KR1020150120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2035B1/ko
Publication of KR20170024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49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2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20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5/00Hand knives with one or more detachable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GHANDLES FOR HAND IMPLEMENTS
    • B25G3/00Attaching handles to the implements
    • B25G3/36Lap joints; Riveted, screwed, or like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00Hand knives with adjustable blade; Pocket knives
    • B26B1/10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3/00Hand knives with fixed bla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Kni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칼 몸체가 안착되는 안착면을 포함하는 결합부와, 상기 안착면에 장착되어 상기 칼 몸체에 자기력을 가하는 자석과, 상기 결합부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형성되고 사용자가 손가락을 끼울 수 있도록 형성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칼 손잡이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강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칼 몸체와 상기 칼 몸체의 일단부가 안착되는 안착면을 포함하고, 상기 안착면에는 자석이 배치되는 칼 손잡이를 포함하는 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칼{KNIFE}
본 발명은 칼 몸체를 교체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칼에 관한 것이다.
칼은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가진다. 예를 들어, 주방용 칼의 경우 요리를 하기 전 재료의 손질을 위해 사용하는데 재료마다 다른 종류의 칼이 사용된다.
칼을 보관할 때는 특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사용자가 주의 없이 칼을 보관할 경우 예측치 못한 부상을 당할 위험이 있다. 따라서, 칼을 보관하거나 휴대할 때는 안전하게 칼을 덮는 칼집이나 칼꽂이를 사용하게 된다. 하지만, 여러가지 형태의 칼을 함께 보관하거나 휴대하기 위해선 칼집이나 칼꽂이의 무게 및 부피가 커지게 되어 칼을 용이하게 보관하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칼을 자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는 손에 익은 칼 손잡이가 있는데 여러 종류의 칼이 서로 다른 손잡이를 구비하는 경우 칼을 사용하는데 불편함이 있을 수 있다.
아울러, 식육, 생선, 수육이나 족발과 같은 삶은 고기, 김밥 등 기름 성분과 육즙 수분이 있는 대상을 자를 때 칼 손잡이 미끄럼현상으로 손을 벨 위험이 있다. 종래에는 이를 해결하고자 칼 손잡이에 접착테이프를 테이핑하거나 키친타올이나 노끈등을 감아 사용하였지만 위생적인 측면에서 심각한 문제가 야기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다양한 종류의 칼을 보다 간단하게 휴대하고 사용할 수 있으며 안전과 위생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칼에 대한 연구가 진행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138649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3-0122887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칼 몸체를 보다 용이하게 교체하고 강하게 고정할 수 있는 칼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칼 몸체가 안착되는 안착면을 포함하는 결합부와, 상기 안착면에 장착되어 상기 칼 몸체에 자기력을 가하는 자석과, 상기 결합부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형성되고 사용자가 손가락을 끼울 수 있도록 형성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칼 손잡이 구조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결합부는 상기 안착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고정돌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고정돌기에 끼워져 상기 칼 몸체를 안착면으로 밀착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삽입홀을 포함하고, 삽입홀의 둘레에는 상기 고정돌기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자석은 상기 고정돌기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제1 마그넷과 제2 마그넷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마그넷과 제2 마그넷은 상기 고정돌기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이 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마그넷과 제2 마그넷은 상기 조립파트의 삽입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손잡이부는 중앙부가 외부를 향해 돌출되는 곡면을 형성하는 제1 면과, 상기 제1 면을 향해 움푹 들어가도록 형성되는 제1 및 제2 함몰부를 포함하는 제2 면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제1 함몰부와 제2 함몰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1 중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제2 함몰부와 결합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2 중공을 포함한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강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칼 몸체와 상기 칼 몸체의 일단부가 안착되는 안착면을 포함하고, 상기 안착면에는 자석이 배치되는 칼 손잡이를 포함하는 칼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칼 손잡이는 상기 안착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고정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칼 몸체의 일단부는 상기 안착면의 일측벽이 삽입되는 제1 홈과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제2 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고정돌기에 끼워져 상기 일단부를 상기 안착면에 밀착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칼의 손잡이 구조에 의하면, 칼 손잡이에 자석이 존재하며 자석은 칼 몸체의 삽입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칼 몸체를 끌어당긴다. 이를 통해 칼 몸체가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칼의 손잡이 구조에 의하면, 고정부재는 칼 손잡이에 삽입된 칼 몸체를 안착면에 밀착시킨다. 이를 통해 칼 몸체를 보다 강하게 고정하여 칼 몸체가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칼에 의하면, 칼 몸체에 형성된 두 개의 홈에 칼 손잡이의 일측벽 및 고정돌기가 삽입되어 칼 몸체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며 칼 몸체가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칼의 사시도.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칼의 분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칼 손잡이의 확대 개념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칼 손잡이의 배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의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른 칼 몸체를 나타낸 개념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칼(100)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칼(100)은 칼 몸체(200)와 칼 손잡이(300)를 포함한다.
칼 몸체(200)는 칼 손잡이(300)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칼 몸체(200)가 칼 손잡이(300)로부터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자석(330) 및 고정돌기(350)가 존재할 수 있다.
고정돌기(350)에는 고정부재(360)가 결합된다. 고정부재(360)는 칼 몸체(200)를 칼 손잡이(300)의 안착면(313)으로 밀착시킨다. 고정부재(360)에는 고정돌기(350)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돌기(350)의 외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고정부재(360)의 삽입홀에는 나사골이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고정부재(360)를 회전시켜 칼 몸체(200)의 고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칼 몸체(200)의 일단부에는 칼 손잡이(300)에 고정되는 조립파트(220)가 형성될 수 있다. 조립파트(220)는 칼 손잡이(300)의 안착면(313)에 안착된 후 자석(330) 및 고정돌기(350)에 의하여 고정된다.
칼 손잡이(300)는 사용자의 그립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경계 부분이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손가락이 걸리는 중공들(도 3 참조)의 경계 또한 사용자의 그립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칼 손잡이(300)의 몸체는 손바닥이 닿았을 때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살짝 안으로 들어간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조립파트(220)가 칼 몸체(200)의 메인파트(210)의 일부를 형성하지만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조립파트(220)가 메인파트(210)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칼(100)의 분해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에는 세가지 종류의 칼 몸체(200)가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실시예의 일부에 불과하다. 다시 말해, 칼 몸체(200)와 칼 손잡이(300)가 분리되는 모든 구조의 칼에 본 발명의 개념이 적용될 수 있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칼 몸체(200), 칼 손잡이(300), 고정부재(360), 고정돌기(350)는 서로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하다.
고정돌기(350)는 칼 손잡이(300)의 결합부(310)에 존재하는 홀에 삽입하여 결합시킬 수 있다. 고정돌기(350)가 칼 손잡이(300)에 결합되면 고정돌기(350)는 안착면(313)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이룬다.
고정돌기(350)는 헤드부(352)와 돌기부(351)로 구성될 수 있다. 헤드부(352)는 돌기부(351)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돌기부(351)가 결합부(310)의 홀에 삽입된 후 결합부(310)의 하우징에 걸리게 된다.
고정부재(360)는 고정돌기(350)의 돌기부(351)가 삽입되는 삽입홀을 구비한다. 고정부재(360)는 돌기부(351)에 끼워져 돌기부(351)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며 칼 몸체(200)에 압력을 가한다.
칼 몸체(200)는 고정돌기(350)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안착면(313)에 삽입된다. 칼 몸체(200)는 안착면(313)에 삽입된 후 고정부재(360)에 의해 단단히 고정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칼 손잡이(300)의 확대 개념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칼 손잡이(300)의 배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칼 손잡이(300)는 손잡이부(320)와 결합부(310)를 포함한다.
결합부(310)는 칼 몸체(200)가 안착되는 안착면(313)과, 안착면(313)의 양단에 형성되는 측벽들과, 안착면(313)에 장착되는 자석(330)과, 고정돌기(350)가 삽입되는 홀 등을 포함한다.
자석(330)은 고정돌기(350)를 중심으로 서로 반대 방향에 배치되는 제1 마그넷(331)과 제2 마그넷(332)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1 마그넷(331)과 제2 마그넷(332)은 고정돌기(350)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이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자석(330)은 안착면(313)에 형성되는 홈에 맞물려 결합될 수 있다.
측벽들은 칼(10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측벽(311)은 칼(100)의 외면을 형성하고 제2 측벽(312)은 칼 몸체(200)에 존재하는 홈에 삽입되어 칼 몸체(200)가 상하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한다.
손잡이부(320)는 결합부(310)의 일단에서 칼(100)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손잡이부(320)는 손가락이 삽입되는 중공 및 함몰부를 포함하며 그립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손잡이부(320)는 중앙부가 외부를 향해 돌출되는 곡면을 형성하는 제1 면(321)과, 제1 면(321)을 향해 움푹 들어가는 굴곡을 형성하는 제2 면(322)을 포함한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제2 면(322)은 두개의 함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함몰부(322a)와 제2 함몰부(322b) 사이에는 제1 중공(323)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함몰부(322b)와 결합부(310) 사이에는 제2 중공(324)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중공들과 함몰부들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걸릴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손잡이부(320)를 쥐었을 때 제1 함몰부(322a)에는 새끼손가락, 제1 중공(323)에는 약지, 제2 함몰부(322b)에는 중지, 제2 중공(324)에는 집게 손가락이 배치된다.
두개의 손가락은 중공에 삽입되고 두개의 손가락은 함몰부에 배치되어 칼(100)이 손에서 쉽게 미끄러지지 않으며 그립감 또한 향상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360)의 개념도이다.
고정부재(360)는 고정돌기(350)에 결합되며 칼 몸체(200)를 칼 손잡이(300)의 안착면(313)으로 밀착시키도록 형성된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고정부재(360)에는 고정돌기(350)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된다. 고정돌기(350)의 외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고정부재(360)의 삽입홀에는 나사골이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고정부재(360)를 회전시켜 칼 몸체(200)의 고정력을 조절할 수 있다.
고정부재(360)의 삽입홀(362) 둘레에는 고정부재(360)의 몸체(361)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363)가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삽입홀(362)의 둘레에는 고정돌기(350)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363)가 형성되어 고정돌기(350)의 결합을 가이드하고 칼 몸체(200)에 더 큰 압력을 가해 칼 몸체(200)가 칼 손잡이(300)로부터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칼 몸체(200)의 개념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칼 몸체(200)는 메인파트(210)와 조립파트(2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메인파트(210)와 조립파트(220)의 구분은 기능과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각 파트의 경계가 명확히 구분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메인파트(210)는 칼(100)날을 포함하는 칼 몸체(200)의 메인이 되는 부위이고 조립파트(220)는 대상체를 자르는 기능이 없이 칼 손잡이(300)에 결합되는 기능을 갖고 있는 부위를 말한다.
조립파트(220)에는 칼(10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홈(221)과 제2 홈(222)이 존재할 수 있다.
제1 홈(221)에는 고정돌기(350)가 삽입된다. 즉, 칼 몸체(200)는 고정돌기(350)의 길이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안착면(313)에 삽입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사용자는 고정부재(360)를 살짝 푼 상태에서 칼 몸체(200)를 칼(100) 길이 방향으로 잡아당겨 칼 몸체(200)를 분리할 수 있다.
제2 홈(222)에는 결합부(310)의 제2 측벽(312)이 삽입될 수 있다. 제2 홈(222)은 칼(10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2 홈(222)에는 칼(10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측벽(312)이 삽입되므로 칼(100)을 사용할 때 칼 몸체(200)가 상하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른 칼 손잡이(300) 구조에 의하면, 칼 손잡이(300)에 자석(330)이 존재하며 자석(330)은 칼 몸체(200)의 삽입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칼 몸체(200)를 끌어당기므로 칼 몸체(200)가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재(360)는 칼 손잡이(300)에 삽입된 칼 몸체(200)를 안착면(313)에 밀착시켜 칼 몸체(200)를 보다 강하게 고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칼(100)은 칼 몸체(200)에 형성된 두 개의 홈에 칼 손잡이(300)의 일측벽 및 고정돌기(350)가 삽입되어 칼 몸체(200)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0 : 칼 200 : 칼 몸체
210 : 메인파트 220 : 조립파트
221 : 제1 홈 222 : 제2 홈
300 : 칼 손잡이 310 : 결합부
311 : 제1 측벽 312 : 제2 측벽
313 : 안착면 320 : 손잡이부
321 : 제1 면 322 : 제2 면
322a : 제1 함몰부 322b : 제2 함몰부
323 : 제1 중공 324 : 제2 중공
330 : 자석 331 : 제1 마그넷
332 : 제2 마그넷 350 : 고정돌기
351 : 돌기부 352 : 헤드부
360 : 고정부재 361 : 고정부재 몸체
362 : 삽입홀 363 : 돌출부

Claims (13)

  1. 강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칼 몸체; 및
    상기 칼 몸체의 일단부가 안착되는 안착면을 포함하고 상기 안착면에는 자석이 배치되는 칼 손잡이를 포함하되,
    상기 칼 손잡이는 상기 안착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고정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칼 몸체의 일단부는 상기 안착면의 일측벽이 삽입되는 제1 홈과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제2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에 끼워져 상기 일단부를 상기 안착면에 밀착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150120709A 2015-08-27 2015-08-27 KR1018320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0709A KR101832035B1 (ko) 2015-08-27 2015-08-27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0709A KR101832035B1 (ko) 2015-08-27 2015-08-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4980A KR20170024980A (ko) 2017-03-08
KR101832035B1 true KR101832035B1 (ko) 2018-02-23

Family

ID=58404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0709A KR101832035B1 (ko) 2015-08-27 2015-08-27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20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71826B1 (en) * 2022-07-01 2023-02-07 Darex, Llc Knife with sliding gea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8649Y1 (ko) 1996-10-22 1999-05-01 김명자 칼 손잡이 조립구조
KR20130122887A (ko) 2012-05-01 2013-11-11 이준규 탈부착이 용이한 주방용 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4980A (ko) 2017-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22574B1 (en) Disposable lancet
KR101508880B1 (ko) 릴 시트용 가동 후드, 릴 시트 및 이를 구비하는 낚싯대
KR101832035B1 (ko)
JP2015211743A (ja)
JP5458337B2 (ja) 用具の柄
CA2512533A1 (en) The device for right grip of writing tools
KR20090118001A (ko) 젓가락
US11072063B2 (en) Malleable cookware handle
US9572333B1 (en) Trigger happy comfort grip
US1835583A (en) Nail file and sheath therefor
JP3204072U (ja) 落花生殻割器
US20120234889A1 (en) Dental floss casing
US20230404312A1 (en) Food coring device
KR101723596B1 (ko) 가위
US10492635B2 (en) Covering attachments for chopsticks
JP3182851U (ja) 釣針外し具
CN218891905U (zh) 刀具
JP7104863B1 (ja) 包丁
CN107874662A (zh) 一种安全刀具收纳座
KR102474652B1 (ko) 낚시대용 핸들
JP5095032B1 (ja) 画鋲
KR20170004137U (ko) 재단과 절단할 수 있는 가위
JPH0246845Y2 (ko)
KR200436576Y1 (ko) 손잡이부가 탄성을 갖춘 합성수지로 된 가위
CN202943611U (zh) 止滑刀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