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1757B1 - 뇌파를 이용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및 뇌파를 이용한 스마트폰 페어링 장치 - Google Patents

뇌파를 이용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및 뇌파를 이용한 스마트폰 페어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1757B1
KR101831757B1 KR1020150122603A KR20150122603A KR101831757B1 KR 101831757 B1 KR101831757 B1 KR 101831757B1 KR 1020150122603 A KR1020150122603 A KR 1020150122603A KR 20150122603 A KR20150122603 A KR 20150122603A KR 101831757 B1 KR101831757 B1 KR 1018317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eg
pattern
time range
smartphone
comm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2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6880A (ko
Inventor
송지성
박수조
지영현
안정기
최용준
송상호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송지성
박수조
지영현
안정기
최용준
송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송지성, 박수조, 지영현, 안정기, 최용준, 송상호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226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1757B1/ko
Publication of KR20170026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68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17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17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5Input arrangements based on nervous system activity detection, e.g. brain waves [EEG] detection, electromyograms [EMG] detection, electrodermal response detection
    • H04M1/7252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euro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eur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다 용이하게 스마트폰과 뇌파를 페어링하여 뇌파를 이용하여 스마트폰을 구동할 수 있는 뇌파를 이용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및 스마트폰 페어링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뇌파를 이용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은 수신된 뇌파로부터 주파수에 따른 뇌파를 분류하여 추출하는 뇌파 분석 모듈과 뇌파의 변화를 인식하여 기 저장된 뇌파 규칙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규칙 판단 모듈, 뇌파와 스마트폰의 연동을 실행하는 페어링 실행 모듈, 및 뇌파 신호 변화에 따라 스마트폰을 구동하는 명령을 실행하는 스마트폰 구동 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뇌파를 이용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및 뇌파를 이용한 스마트폰 페어링 장치{SMART PHONE APPLICATION AND SMART PHONE PAIRING APPARATUS USING USING BRAIN WAVE}
본 발명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및 스마트폰 페어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뇌파를 이용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및 스마트폰 페어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뇌파란, 인간의 의식 또는 무의식 상태를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반영하는 생체신호를 말하며, 인간의 두피에 모든 영역에서 측정되고 수십 마이크로 볼트의 전위차로 주로 30Hz 이하의 주파수를 지닌 파장을 말한다.
이러한 뇌파는 주파수 대역별로 델타(delta)파, 세타(theta)파, 알파(alpha)파, 베타(beta)파, 감마(gamma)파로 분류된다. 델타(delta)파는 4Hz 이하의 주파수를 가진 뇌파로서 정상적인 수면상태에서 전형적으로 나타나며, 세타파는 4∼8Hz 정도의 주파수를 가진 뇌파로서 정신적으로 상태가 불안하거나 주위가 산만할 때 주로 나타나며 학습장애가 있는 청소년에게 종종 나타난다.
알파파는 8∼12Hz 정도의 주파수를 가진 뇌파로서 대체로 정신적인 상태가 안정적이며 눈을 감고 편안한 심리적 상태를 취하고 있을 때 뚜렷하게 나타난다. 또한 알파파는 주변의 상황에서 분리될 정도로 고도의 집중이 이루어진 경우 또는 명상으로 인하여 심리적인 안정이 이루어진 경우에도 발생한다. 감마파는 30~50Hz의 주파수를 갖는 뇌파를 말하며 흥분 상태에서 나타난다.
베타파는 12∼30Hz 정도의 주파수를 가진 뇌파를 지칭하며, 약간의 긴장상태나 일정 이상의 주의를 기울일 때 주로 나타난다. 베타파는 운동이나 학습, 또는 업무를 수행일 때 뇌 전체에서 광범위하게 나타난다. 베타파는 12∼15Hz의 주파수를 갖는 SMR파, 15∼18Hz의 주파수를 갖는 중간 베타파, 20Hz 이상의 주파수를 갖는 고 베타파로 구분된다. 베타파는 불안, 긴장 등의 스트레스를 받을 경우 더욱 강하게 나타나므로 스트레스파라고도 한다.
주의를 기울인 상태에서는 SMR파가 나타나며, 집중, 정상적인 활동을 할 때에는 좌측 뇌에서 15∼18Hz의 주파수를 갖는 중간 베타파가 나타나고 긴장과 불안이 계속될 때에는 20Hz 이상의 고베타파가 나타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용이하게 스마트폰과 뇌파를 페어링하여 뇌파를 이용하여 스마트폰을 구동할 수 있는 뇌파를 이용한 스마트폰 페어링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뇌파를 이용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은 수신된 뇌파로부터 주파수에 따른 뇌파를 분류하여 추출하는 뇌파 분석 모듈과 뇌파의 변화를 인식하여 기 저장된 뇌파 규칙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규칙 판단 모듈, 뇌파와 스마트폰의 연동을 실행하는 페어링 실행 모듈, 및 뇌파 신호 변화에 따라 스마트폰을 구동하는 명령을 실행하는 스마트폰 구동 모듈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스마트폰 구동 모듈은 스마트폰에 입력되는 명령 신호를 시간대별로 저장하는 명령 저장부와 명령을 실행하는 뇌파가 입력될 때, 기 설정된 시간 범위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는 뇌파 패턴과 입력된 뇌파 신호를 비교하는 습관 명령 판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명령 저장부는 명령 신호와 해당 명령 신호를 실행하는 뇌파 패턴을 함께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습관 명령 판단부는 제1 시간범위, 제2 시간범위 및 제3 시간범위에 저장된 뇌파 패턴과 입력된 뇌파 신호를 순차적으로 비교하고 상기 제1 시간범위는 상기 제2 시간범위보다 더 작고, 상기 제3 시간범위는 상기 제2 시간범위보다 더 크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습관 명령 판단부는 상기 제1 시간범위 내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는 뇌파 패턴과 입력된 뇌파 신호를 비교하고, 상기 입력된 뇌파 패턴과 상기 제1 시간범위 내에 저장된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는 뇌파 패턴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시간범위 내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는 뇌파 패턴과 입력된 뇌파 신호를 비교하며, 상기 입력된 뇌파 패턴과 상기 제2 시간범위 내에 저장된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는 뇌파 패턴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3 시간범위 내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는 뇌파 패턴과 입력된 뇌파 신호를 비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뇌파를 이용한 스마트폰 페어링 장치는 사용자에 부착되어 뇌파를 수신하는 뇌파 수신부, 수신된 뇌파를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뇌파 전송부, 및 수신된 뇌파로부터 주파수에 따른 뇌파를 분류하여 추출하는 뇌파 분석 모듈과 뇌파의 변화를 인식하여 기 저장된 뇌파 규칙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규칙 판단 모듈과 뇌파와 스마트폰의 연동을 실행하는 페어링 실행 모듈과 뇌파 신호 변화에 따라 스마트폰을 구동하는 명령을 실행하는 스마트폰 구동 모듈을 포함하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은 수신된 뇌파 신호의 세기를 표시하는 페어링 강도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규칙 판단 모듈은 지정된 제1 뇌파 패턴과 수신된 뇌파를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제1 패턴 판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규칙 판단 모듈은 지정된 제2 뇌파 패턴과 수신된 뇌파를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제2 패턴 판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규칙 판단 모듈은 지정된 제3 뇌파 패턴과 수신된 뇌파를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제3 패턴 판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뇌파 패턴은 알파파가 증가는 단계, 알파파가 감소하고 베타파가 증가하는 단계, 베타파가 감소하고 알파파가 증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뇌파 패턴은 델파가 증가하는 단계와 델타파가 감소하고 베타파가 증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뇌파 패턴은 눈의 움직임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뇌파의 변화로 이루어질 수 잇다.
또한, 상기 제1 뇌파 패턴은 입의 움직임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뇌파의 변화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뇌파 패턴은 손의 움직임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뇌파의 변화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폰 구동 모듈은 스마트폰에 입력되는 명령 신호를 시간대별로 저장하는 명령 저장부와 명령을 실행하는 뇌파가 입력될 때, 기 설정된 시간 범위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는 뇌파 패턴과 입력된 뇌파 신호를 비교하는 습관 명령 판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명령 저장부는 명령 신호와 해당 명령 신호를 실행하는 뇌파 패턴을 함께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습관 명령 판단부는 제1 시간범위, 제2 시간범위 및 제3 시간범위에 저장된 뇌파 패턴과 입력된 뇌파 신호를 순차적으로 비교하고 상기 제1 시간범위는 상기 제2 시간범위보다 더 작고, 상기 제3 시간범위는 상기 제2 시간범위보다 더 크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습관 명령 판단부는 상기 제1 시간범위 내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는 뇌파 패턴과 입력된 뇌파 신호를 비교하고, 상기 입력된 뇌파 패턴과 상기 제1 시간범위 내에 저장된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는 뇌파 패턴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시간범위 내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는 뇌파 패턴과 입력된 뇌파 신호를 비교하며, 상기 입력된 뇌파 패턴과 상기 제2 시간범위 내에 저장된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는 뇌파 패턴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3 시간범위 내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는 뇌파 패턴과 입력된 뇌파 신호를 비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시간범위는 30분이며, 상기 제2 시간범위는 1시간이며, 상기 제3 시간범위는 3시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보다 용이하게 뇌파와 스마트폰을 페어링할 수 있다. 또한 시간에 따라 습관적으로 실행하는 구동 명령과 뇌파 패턴을 비교하여 신속하게 뇌파를 이용하여 스마트폰을 구동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뇌파를 이용한 스마트폰 페어링 장치를 도시한 개력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뇌파를 이용한 스마트폰 페어링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페어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어링 강도 표시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뇌파 패턴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 구동 장치기 적용된 거실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뇌파를 이용한 전자기기 구동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제1 실시예에 따른 뇌파를 이용한 스마트폰 페어링 장치(100)는 뇌파 수신부(110), 뇌파 전송부(120),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130)을 포함한다. 또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130)은 뇌파 분석 모듈(131), 페어링 강도 표시부(133), 규칙 판단 모듈(132), 페어링 실행 모듈(134), 스마트폰 구동 모듈(135)을 포함한다.
뇌파 수신부(110)는 사용자에 부착되어 뇌파를 수신하는 장치로 이루어진다. 뇌파 수신부(110)는 다수의 전극을 사용자(10)의 두피에 부착하여, 상기 전극을 통해 상기 사용자(10)의 뇌파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뇌파 수신부(110)는 자외선, 적외선 등을 이용하여 간접으로 뇌파를 측정할 수 있다. 뇌파 수신부(110)는 헤드폰(20), 헤어 밴드, 안경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모자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뇌파 수신부(110)는 스마트폰과 데이터 케이블로 연결된 전극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뇌파 전송부(120)는 유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뇌파를 스마트폰(30)으로 전송한다.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130)은 수신된 뇌파를 분석하고 스마트폰(30)과 페어링을 실행하며, 페어링 상태에서 뇌파를 수신하여 스마트폰(30)을 구동한다.
뇌파 분석 모듈(131)은 수신된 뇌파로부터 주파수에 따른 뇌파를 분류하여 추출한다. 수신된 뇌파로부터 알파파, 베타파, 세타파, 델타파, 및 감마파를 추출한다. 뇌파 분석 모듈(131)은 증폭부(131a)과 필터부(131b), AD 변환부(131c)를 포함한다.
증폭부(131a)은 내부에 증폭기를 구비하고, 증폭기를 통해 뇌파 수신부(110)에서 수신한 수십 μV~ 수십 mV의 뇌파를 3 ~ 5V로 증폭시켜, 수신된 뇌파 분석을 용이하게 하도록 한다.
필터부(131b)은 다수의 아날로그 필터를 구비하여 증폭부(131a)에서 증폭된 뇌파에 포함된 각종 노이즈를 필터링한다. 이 때, 필터는 고대역통과필터(high pass filter), 대역통과필터(band pass filter), 대역저지필터(band stop filter), 저역통과필터(low pass filter)로 구성된다. 이러한 고대역통과필터는 DC전압, 호흡, 몸 움직임, 눈 깜빡임 등에 의한 노이즈를 1차적으로 제거하고, 대역통과필터는 측정하고자 하는 주파수 대역범위를 갖는 뇌파를 필터링한다. 대역저지필터는 50Hz 또는 60Hz의 전원공급에 따른 노이즈를 제거하고, 저역통과필터는 뇌파를 대역제한 시켜 왜곡현상을 방지하고, 뇌파 복원 시 발생하는 왜곡현상을 방지한다. AD 변환부(131c)은 필터부(131b)를 통해 추출한 아날로그 상태의 뇌파를 디지털화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어링 강도 표시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페어링 강도 표시부(133)는 수신된 뇌파 신호의 세기를 표시한다. 페어링 강도 표시부(133)는 사람의 머리 따른 형상을 나타내는 그림 상에 뇌파의 세기에 따라 색상이 채워지도록 페어링 강도를 표시한다.
도 5는 뇌파 패턴들을 나타낸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규칙 판단 모듈(132)은 기 저장된 뇌파 규칙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규칙 판단 모듈(132)은 지정된 제1 뇌파 패턴과 수신된 뇌파를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제1 패턴 판단부(132a), 제2 뇌파 패턴과 수신된 뇌파를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제2 패턴 판단부(132b), 제3 뇌파 패턴과 수신된 뇌파를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제3 패턴 판단부(132c)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뇌파 패턴은 알파파가 증가는 단계, 알파파가 감소하고 베타파가 증가하는 단계, 베타파가 감소하고 알파파가 증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뇌파 패턴은 알파파가 증가하다가 알파파가 감소하고 베타파가 증가하며, 이어서 베타파가 감소하고 알파파가 증가하는 패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뇌파 패턴은 델파가 증가하는 단계와 델타파가 감소하고 베타파가 증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3 뇌파 패턴은 눈의 움직임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뇌파의 변화이다. 눈의 움직이거나 찡그릴 때는 독특한 형태의 뇌파 변화가 나타나는데, 제3 패턴 판단부(132c)는 이러한 변화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제1 뇌파 패턴은 입의 움직임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뇌파의 변화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2 뇌파 패턴은 손의 움직임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뇌파의 변화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규칙 판단 모듈(132)은 제1 뇌파 패턴이 일치하는 경우, 제2 뇌파 패턴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고, 제2 뇌파 패턴이 일치하는 경우, 제3 뇌파 패턴이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페어링 실행 모듈(134)은 뇌파 패턴들이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뇌파와 스마트폰(30)의 연동을 실행하여 뇌파에 의한 구동 명령을 받아들일 준비를 한다.
스마트폰 구동 모듈(135)은 뇌파 신호 변화에 따라 스마트폰을 구동하는 명령을 실행한다. 스마트폰 구동 모듈(135)은 명령 저장부(135a)와 습관 명령 판단부(135b)를 포함한다.
명령 저장부(135a)는 스마트폰(30)에 입력되는 명령 신호를 시간대별로 저장하되, 명령 신호와 해당 명령 신호를 실행하는 뇌파 패턴을 함께 저장한다. 명령 신호를 실행하는 뇌파 패턴은 사용자가 해당 명령을 수행하고자 할 때 발생하는 뇌파 패턴일 수 있으며, 의도적으로 발생시키는 뇌파 패턴일 수 있다.
습관 명령 판단부(135b)는 제1 시간범위, 제2 시간범위 및 제3 시간범위에 저장된 뇌파 패턴과 입력된 뇌파 신호를 순차적으로 비교한다. 여기서 제1 시간범위는 제2 시간범위보다 더 작고, 제3 시간범위는 제2 시간범위보다 더 크다, 제1 시간범위는 30분일 수 있으며, 제2 시간범위는 1시간일 수 있으며, 제3 시간범위는 2시간일 수 있다.
습관 명령 판단부(135b)는 제1 시간범위 내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는 뇌파 패턴과 입력된 뇌파 신호를 비교하고, 입력된 뇌파 패턴과 제1 시간범위 내에 저장된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는 뇌파 패턴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제2 시간범위 내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는 뇌파 패턴과 입력된 뇌파 신호를 비교하며, 입력된 뇌파 패턴과 제2 시간범위 내에 저장된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는 뇌파 패턴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제3 시간범위 내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는 뇌파 패턴과 입력된 뇌파 신호를 비교한다.
뇌파를 이용하여 스마트폰(30)을 구동할 때, 뇌파 패턴이 저장된 명령만을 실행할 수 있다. 그러나 저장된 뇌파 패턴이 많은 경우에는 정확하게 일치하는 뇌파 패턴을 검색하여 실행하는 것은 시간이 오래 걸릴 뿐만 아니라 정확하게 일치하는 뇌파를 검색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그러나 사용자들은 특정한 시간에 특정한 명령을 실행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24시간 동안 사용자가 실행하는 명령을 저장하여, 입력된 뇌파 패턴과 동 시간에 자주 실행되는 명령의 뇌파 패턴을 먼저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한다. 이에 의하면 보다 신속하게 구동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페어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페어링 방법은 뇌파 수신 단계(S101), 뇌파 전송 단계(S102), 뇌파 분석 단계(S103), 규칙 판단 단계(S104), 페어링 실행 단계(S105), 페어링 강도 표시 단계(S106), 습관 명령 판단 단계(S107), 및 명령 구동 단계(S108)를 포함한다.
뇌파 수신 단계(S101)는 뇌파 센서를 갖는 뇌파 수신부(11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뇌파를 수신한다. 뇌파 전송 단계(S102)는 유무선 통신 방식으로 수신된 뇌파를 스마트폰으로 전송한다.
뇌파 분석 단계(S103)는 수신된 뇌파로부터 주파수에 따른 뇌파를 분류하여 추출한다. 뇌파 분석 단계(S103)는 수신된 뇌파를 증폭하고 필터링하여 수신된 뇌파로부터 알파파, 베타파, 세타파, 델타파, 및 감마파를 추출한다.
규칙 판단 단계(S104)는 지정된 제1 뇌파 패턴과 수신된 뇌파를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제1 패턴 판단 단계와 지정된 제2 뇌파 패턴과 수신된 뇌파를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제2 패턴 판단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규칙 판단 단계는 지정된 제3 뇌파 패턴과 수신된 뇌파를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제3 패턴 판단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1 패턴 판단 단계는 입의 움직임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뇌파의 존재 유무를 판단할 수 있으며, 제2 패턴 판단 단계는 손의 움직임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뇌파의 존재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3 패턴 판단 단계는 눈의 움직임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뇌파의 존재 유무를 판단한다.
페어링 실행 단계(S105)는 뇌파 패턴들이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뇌파와 스마트폰(30)의 연동을 실행하여 뇌파에 의한 구동 명령을 받아들일 준비를 한다.
페어링 강도 표시 단계(S106)는 수신된 뇌파 신호의 세기를 표시한다. 페어링 강도 표시 단계(S106)는 사람의 머리 따른 형상을 나타내는 그림 상에 뇌파의 세기에 따라 색상이 채워지도록 페어링 강도를 표시한다.
습관 명령 판단 단계(S107)는 제1 시간범위, 제2 시간범위 및 제3 시간범위에 저장된 뇌파 패턴과 입력된 뇌파 신호를 비교한다. 여기서 제1 시간범위는 제2 시간범위보다 더 작고, 제3 시간범위는 상기 제2 시간범위보다 더 크다. 또한, 제1 시간범위는 30분이며, 제2 시간범위는 1시간이며, 제3 시간범위는 3시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습관 명령 판단 단계(S107)는 제1 시간범위 내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는 뇌파 패턴과 입력된 뇌파 신호를 비교하고, 입력된 뇌파 패턴과 상기 제1 시간범위 내에 저장된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는 뇌파 패턴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제2 시간범위 내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는 뇌파 패턴과 입력된 뇌파 신호를 비교하며, 입력된 뇌파 패턴과 상기 제2 시간범위 내에 저장된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는 뇌파 패턴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제3 시간범위 내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는 뇌파 패턴과 입력된 뇌파 신호를 비교한다.
명령 구동 단계(S108)는 상기한 시간범위에 저장된 명령 신호의 뇌파 패턴과 일치하는 뇌파 신호가 입력된 경우, 뇌파 신호 변화에 따라 스마트폰을 구동하는 명령을 실행한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스마트폰 페어링 장치
110: 뇌파 수신부
120: 뇌파 전송부
130: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131: 뇌파 분석 모듈
131a: 증폭부
131b: 필터부
131c: AD 변환부
132: 규칙 판단 모듈
132a: 제1 패턴 판단부
132b: 제2 패턴 판단부
132c: 제3 패턴 판단부
133: 강도 표시부
134: 페어링 실행 모듈
135: 스마트폰 구동 모듈
135a: 명령 저장부
135b: 습관 명령 판단부
20: 헤드폰
30: 스마트폰

Claims (2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사용자에 부착되어 뇌파를 수신하는 뇌파 수신부;
    수신된 뇌파를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뇌파 전송부; 및
    수신된 뇌파로부터 주파수에 따른 뇌파를 분류하여 추출하는 뇌파 분석 모듈과 뇌파의 변화를 인식하여 기 저장된 뇌파 규칙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규칙 판단 모듈과 뇌파와 스마트폰의 연동을 실행하는 페어링 실행 모듈과 뇌파 신호 변화에 따라 스마트폰을 구동하는 명령을 실행하는 스마트폰 구동 모듈을 포함하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은 수신된 뇌파 신호의 세기를 표시하는 페어링 강도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파를 이용한 스마트폰 페어링 장치.
  7. 삭제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규칙 판단 모듈은 지정된 제1 뇌파 패턴과 수신된 뇌파를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제1 패턴 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파를 이용한 스마트폰 페어링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규칙 판단 모듈은 지정된 제2 뇌파 패턴과 수신된 뇌파를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제2 패턴 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파를 이용한 스마트폰 페어링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규칙 판단 모듈은 지정된 제3 뇌파 패턴과 수신된 뇌파를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제3 패턴 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파를 이용한 스마트폰 페어링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뇌파 패턴은 알파파가 증가는 단계, 알파파가 감소하고 베타파가 증가하는 단계, 베타파가 감소하고 알파파가 증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파를 이용한 스마트폰 페어링 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뇌파 패턴은 델파가 증가하는 단계와 델타파가 감소하고 베타파가 증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파를 이용한 스마트폰 페어링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뇌파 패턴은 눈의 움직임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뇌파의 변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파를 이용한 스마트폰 페어링 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뇌파 패턴은 입의 움직임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뇌파의 변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파를 이용한 스마트폰 페어링 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뇌파 패턴은 손의 움직임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뇌파의 변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파를 이용한 스마트폰 페어링 장치.
  16.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 구동 모듈은 스마트폰에 입력되는 명령 신호를 시간대별로 저장하는 명령 저장부와 명령을 실행하는 뇌파가 입력될 때, 기 설정된 시간 범위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는 뇌파 패턴과 입력된 뇌파 신호를 비교하는 습관 명령 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파를 이용한 스마트폰 페어링 장치.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 저장부는 명령 신호와 해당 명령 신호를 실행하는 뇌파 패턴을 함께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파를 이용한 스마트폰 페어링 장치.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습관 명령 판단부는 제1 시간범위, 제2 시간범위 및 제3 시간범위에 저장된 뇌파 패턴과 입력된 뇌파 신호를 순차적으로 비교하고 상기 제1 시간범위는 상기 제2 시간범위보다 더 작고, 상기 제3 시간범위는 상기 제2 시간범위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파를 이용한 스마트폰 페어링 장치.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습관 명령 판단부는 상기 제1 시간범위 내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는 뇌파 패턴과 입력된 뇌파 신호를 비교하고, 상기 입력된 뇌파 패턴과 상기 제1 시간범위 내에 저장된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는 뇌파 패턴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시간범위 내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는 뇌파 패턴과 입력된 뇌파 신호를 비교하며, 상기 입력된 뇌파 패턴과 상기 제2 시간범위 내에 저장된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는 뇌파 패턴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3 시간범위 내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는 뇌파 패턴과 입력된 뇌파 신호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파를 이용한 스마트폰 페어링 장치.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범위는 30분이며, 상기 제2 시간범위는 1시간이며, 상기 제3 시간범위는 3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파를 이용한 스마트폰 페어링 장치.
KR1020150122603A 2015-08-31 2015-08-31 뇌파를 이용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및 뇌파를 이용한 스마트폰 페어링 장치 KR1018317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2603A KR101831757B1 (ko) 2015-08-31 2015-08-31 뇌파를 이용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및 뇌파를 이용한 스마트폰 페어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2603A KR101831757B1 (ko) 2015-08-31 2015-08-31 뇌파를 이용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및 뇌파를 이용한 스마트폰 페어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6880A KR20170026880A (ko) 2017-03-09
KR101831757B1 true KR101831757B1 (ko) 2018-02-27

Family

ID=58402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2603A KR101831757B1 (ko) 2015-08-31 2015-08-31 뇌파를 이용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및 뇌파를 이용한 스마트폰 페어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175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8900A (ko) 2019-05-07 2020-11-17 엠브레인웍스 주식회사 학습 집중도 개선 및 디지털 디톡스를 위한 뉴로 피드백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128901A (ko) 2019-05-07 2020-11-17 엠브레인웍스 주식회사 디지털 디톡스를 위한 뉴로 피드백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128906A (ko) 2019-05-07 2020-11-17 엠브레인웍스 주식회사 학습 집중도 개선을 위한 뉴로 피드백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8900A (ko) 2019-05-07 2020-11-17 엠브레인웍스 주식회사 학습 집중도 개선 및 디지털 디톡스를 위한 뉴로 피드백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128901A (ko) 2019-05-07 2020-11-17 엠브레인웍스 주식회사 디지털 디톡스를 위한 뉴로 피드백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128906A (ko) 2019-05-07 2020-11-17 엠브레인웍스 주식회사 학습 집중도 개선을 위한 뉴로 피드백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6880A (ko) 2017-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1757B1 (ko) 뇌파를 이용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및 뇌파를 이용한 스마트폰 페어링 장치
KR101727175B1 (ko) 뇌파를 이용한 스마트폰 페어링 방법
CN115316957A (zh) 基于多参数指标的围术期麻醉深度监测系统
KR20180037624A (ko) 뇌파 신호를 이용한 전자 기기 제어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KR101769475B1 (ko) 패턴 생성부를 이용한 전자기기 구동 방법
KR20170096285A (ko) 뇌파를 이용한 tv 구동 방법
KR101842707B1 (ko) 뇌파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의 구동 방법
KR101884450B1 (ko) 뇌파를 이용한 전자기기 구동 장치
KR101769473B1 (ko) 뇌파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KR101664029B1 (ko) 뇌파를 이용한 전자기기 구동 방법
KR101664218B1 (ko) 뇌파를 이용한 전자기기 구동 장치
KR101612037B1 (ko) 뇌파를 이용한 전자기기 구동 장치
KR101681985B1 (ko) 뇌파를 이용한 요람의 자동 제어 방법
KR101664086B1 (ko) 뇌파를 이용한 전자기기 구동 방법
KR20160095267A (ko) 뇌파를 이용한 전자기기 구동 장치
KR101664027B1 (ko) 구동 패턴 및 뇌파를 이용한 전자기기 구동 방법
KR101769481B1 (ko) 뇌파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의 구동 방법
KR101727150B1 (ko) 긍정 또는 부정의 뇌파를 이용한 전자기기 구동 방법
KR101727158B1 (ko) 긍정 또는 부정의 뇌파를 이용한 전자기기 구동 장치
KR20160095243A (ko) 뇌파를 이용한 상태 표시 장치
KR101664015B1 (ko) 뇌파를 이용한 전자기기 구동 방법
KR20160095246A (ko) 뇌파를 이용한 요람
KR101664023B1 (ko) 뇌파를 이용한 전자기기 구동 장치
KR20160095275A (ko) 패턴 생성부를 이용한 전자기기 구동 장치
KR20160095268A (ko) 뇌파를 이용한 it 디바이스 구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