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4029B1 - 뇌파를 이용한 전자기기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뇌파를 이용한 전자기기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4029B1
KR101664029B1 KR1020150016041A KR20150016041A KR101664029B1 KR 101664029 B1 KR101664029 B1 KR 101664029B1 KR 1020150016041 A KR1020150016041 A KR 1020150016041A KR 20150016041 A KR20150016041 A KR 20150016041A KR 101664029 B1 KR101664029 B1 KR 1016640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eeg
pairing
signal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6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5257A (ko
Inventor
송지성
박수조
조유진
최송이
이성진
박태원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송지성
박수조
조유진
최송이
이성진
박태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송지성, 박수조, 조유진, 최송이, 이성진, 박태원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160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4029B1/ko
Publication of KR201600952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52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4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40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5Input arrangements based on nervous system activity detection, e.g. brain waves [EEG] detection, electromyograms [EMG] detection, electrodermal response det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1
    • G06F2203/011Emotion or mood input determined on the basis of sensed human body parameters such as pulse, heart rate or beat, temperature of skin, facial expressions, iris, voice pitch, brain activity patter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euro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eur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뇌파를 이용하여 전자기기를 구동할 수 있는 전자기기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뇌파를 이용한 전자 기기 구동 방법은 사용자의 뇌파를 수신하는 뇌파 수신 단계, 수신된 뇌파로부터 주파수에 따른 뇌파를 분류하여 추출하는 뇌파 분석 단계, 추출된 뇌파의 변화가 페어링 패턴과 일치하는 것을 판단하여 페어링 신호를 발생시키는 페어링 판단 단계, 갭 신호를 생성하는 센서에서 전달된 신호에 따라 뇌파를 분할하는 갭 판단 단계, 상기 추출된 뇌파의 변화가 구동 패턴과 일치하는 것을 판단하는 구동패턴 판단 판단 단계, 및 상기 구동패턴 판단 단계에서 수신된 뇌파가 저장된 구동패턴과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전자기기를 구동하는 신호를 생성하는 구동신호 생성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뇌파를 이용한 전자기기 구동 방법{CONTROL MEHTHOD FOR ELECTRONIC EQUIPMENT USING BRAIN WAVE}
본 발명은 전자기기 구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뇌파를 이용한 전자기기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뇌파란, 인간의 의식 또는 무의식 상태를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반영하는 생체신호를 말하며, 인간의 두피에 모든 영역에서 측정되고 수십 마이크로 볼트의 전위차로 주로 30Hz 이하의 주파수를 지닌 파장을 말한다.
이러한 뇌파는 주파수 대역별로 델타(delta)파, 세타(theta)파, 알파(alpha)파, 베타(beta)파, 감마(gamma)파로 분류된다. 델타(delta)파는 4Hz 이하의 주파수를 가진 뇌파로서 정상적인 수면상태에서 전형적으로 나타나며, 세타파는 4∼8Hz 정도의 주파수를 가진 뇌파로서 정신적으로 상태가 불안하거나 주위가 산만할 때 주로 나타나며 학습장애가 있는 청소년에게 종종 나타난다.
알파파는 8∼12Hz 정도의 주파수를 가진 뇌파로서 대체로 정신적인 상태가 안정적이며 눈을 감고 편안한 심리적 상태를 취하고 있을 때 뚜렷하게 나타난다. 또한 알파파는 주변의 상황에서 분리될 정도로 고도의 집중이 이루어진 경우 또는 명상으로 인하여 심리적인 안정이 이루어진 경우에도 발생한다. 감마파는 30~50Hz의 주파수를 갖는 뇌파를 말하며 흥분 상태에서 나타난다.
베타파는 12∼30Hz 정도의 주파수를 가진 뇌파를 지칭하며, 약간의 긴장상태나 일정 이상의 주의를 기울일 때 주로 나타난다. 베타파는 운동이나 학습, 또는 업무를 수행일 때 뇌 전체에서 광범위하게 나타난다. 베타파는 12∼15Hz의 주파수를 갖는 SMR파, 15∼18Hz의 주파수를 갖는 중간 베타파, 20Hz 이상의 주파수를 갖는 고 베타파로 구분된다. 베타파는 불안, 긴장 등의 스트레스를 받을 경우 더욱 강하게 나타나므로 스트레스파라고도 한다.
주의를 기울인 상태에서는 SMR파가 나타나며, 집중, 정상적인 활동을 할 때에는 좌측 뇌에서 15∼18Hz의 주파수를 갖는 중간 베타파가 나타나고 긴장과 불안이 계속될 때에는 20Hz 이상의 고베타파가 나타난다.
본 발명은 뇌파를 이용하여 전자기기를 구동할 수 있는 전자기기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뇌파를 이용한 전자 기기 구동 방법은 사용자의 뇌파를 수신하는 뇌파 수신 단계, 수신된 뇌파로부터 주파수에 따른 뇌파를 분류하여 추출하는 뇌파 분석 단계, 추출된 뇌파의 변화가 페어링 패턴과 일치하는 것을 판단하여 페어링 신호를 발생시키는 페어링 판단 단계, 갭 신호를 생성하는 센서에서 전달된 신호에 따라 뇌파를 분할하는 갭 판단 단계, 상기 추출된 뇌파의 변화가 구동 패턴과 일치하는 것을 판단하는 구동패턴 판단 판단 단계, 및 상기 구동패턴 판단 단계에서 수신된 뇌파가 저장된 구동패턴과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전자기기를 구동하는 신호를 생성하는 구동신호 생성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페어링 판단 단계는 페어링 패턴의 발생 여부를 검색하는 페어링 패턴 검색 단계와 페어링 패턴이 발생하였을 때 페어링 신호를 생성하여 전자기기로 전송하는 페어링신호 생성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페어링 판단 단계는 소리 또는 LED 램프를 이용하여 페어링이 실행 중임을 알리는 페어링 표시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패턴 판단 단계는 좌 두정엽에서 알파파의 세기가 증가하고 좌/우 전두엽에서 알파파의 세기가 낮아지는 패턴이 기 설정된 시간 내에 2회 이상 반복되는 경우 패턴이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구동패턴 판단 단계는 SMR파와 중간 베타파의 증가가 기 설정된 기간 내에 2회 반복되는 경우 패턴이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구동패턴 판단 단계는 수신된 뇌파가 기 저장된 1차패턴과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 1차패턴 판단 단계와 수신된 뇌파가 기 저장된 2차패턴과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 2차패턴 판단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1차패턴 판단 단계는 수신된 뇌파가 1차 패턴과 일치하면 패턴이 일치함을 표시하는 제1일치신호 생성 단계와 수신된 뇌파가 1차 패턴과 불일치할 때 불일치함을 표시하는 제1오류신호 생성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2차패턴 판단 단계는 상기 1차패턴 판단 단계에서 패턴이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만 2차패턴을 판단하며, 수신된 뇌파가 2차 패턴과 일치하면 패턴이 일치함을 표시하는 제2일치신호 생성 단계와 수신된 뇌파가 2차 패턴과 불일치할 때 불일치함을 표시하는 제2오류신호 생성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기기 구동 방법은 10초 이상 배경뇌파만 연속적으로 검출될 때 페어링을 종료하는 페어링 종료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뇌파의 변화에 따라 전자기기를 구동할 수 있다. 또한 센서를 이용하여 갭을 형성하고 갭의 형성에 따라 뇌파의 패턴을 구분하므로 보다 명확하게 뇌파의 패턴들을 구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 구동 장치기 적용된 거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뇌파를 이용한 전자기기 구동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뇌파를 이용한 전자기기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뇌파를 이용한 전자기기 구동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뇌파를 이용한 전자기기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 구동 장치기 적용된 거실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뇌파를 이용한 전자기기 구동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제1 실시예에 따른 뇌파를 이용한 전자기기 구동 장치(100)는 뇌파 수신부(110), 뇌파 분석부(120), 패턴 비교부(130), 및 갭 생성부(140)를 포함한다.
본 제1 실시예에 따른 뇌파를 이용한 전자기기 구동 장치(100)는 거실이나 안방 등에서 사용자(10)가 쇼파에 앉아서 뇌파 측정기가 구비된 모자(20)를 사용하여 뇌파만을 이용하여 TV(30), 전등, 오디오 등을 온(ON) 또는 오프(OFF) 시킬 수 있는 장치이다.
뇌파 수신부(110)는 다수의 전극을 사용자의 두피에 부착하여, 상기 전극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뇌파를 수신한다. 예를 들면, 다수의 전극 중 그라운드 전극이 사용자의 두피 중앙에 배치되고, 그 양측으로 우뇌용 전극과 좌뇌용 전극이 동일한 개수로 사용자의 두피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뇌파를 수신한다. 이 때, 뇌파 수신부(110)는 사용자(10)의 전두엽 영역에 대한 뇌파 또는 전두엽을 제외한 영역에 대한 뇌파 등을 선택하여 수신한다. 뇌파 수신부(110)는 헤어 밴드, 안경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모자(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뇌파 수신부(110)는 스마트폰과 데이터 케이블로 연결된 전극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뇌파 분석부(120)는 수신된 뇌파로부터 수신된 뇌파로부터 주파수에 따른 뇌파의 종류를 분류하여 추출하는데, 수신된 뇌파로부터 알파파, 베타파, 세타파, 델타파, 및 감마파를 추출한다. 뇌파 분석부(120)는 증폭 모듈(121)과 필터 모듈(123), AD 변환 모듈(125)을 포함한다.
증폭 모듈(121)은 내부에 증폭기를 구비하고, 증폭기를 통해 뇌파 수신부(110)에서 수신한 수십 μV~ 수십 mV의 뇌파를 3 ~ 5V로 증폭시켜, 수신된 뇌파 분석을 용이하게 하도록 한다.
필터 모듈(123)은 다수의 아날로그 필터를 구비하여 증폭모듈(121)에서 증폭된 뇌파에 포함된 각종 노이즈를 필터링한다. 이 때, 필터는 고대역통과필터(high pass filter), 대역통과필터(band pass filter), 대역저지필터(band stop filter), 저역통과필터(low pass filter)로 구성된다. 이러한 고대역통과필터는 DC전압, 호흡, 몸 움직임, 눈 깜빡임 등에 의한 노이즈를 1차적으로 제거하고, 대역통과필터는 측정하고자 하는 주파수 대역범위를 갖는 뇌파를 필터링한다. 대역저지필터는 50Hz 또는 60Hz의 전원공급에 따른 노이즈를 제거하고, 저역통과필터는 뇌파를 대역제한 시켜 왜곡현상을 방지하고, 뇌파 복원 시 발생하는 왜곡현상을 방지한다. AD변환모듈(124)은 필터모듈(123)을 통해 추출한 아날로그 상태의 뇌파를 디지털화한다.
갭 생성부(140)는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갭 신호를 생성하는 센서(40)로 이루어지는데, 갭 생성부(140)는 터치 센서 또는 동작감지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갭 생성부(140)가 터치 센서로 이루어지면 사용자가 터치 센서를 터치할 때 갭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갭 생성부(140)가 동작감지 센서로 이루어지면 사용자가 눈을 깜빡일 때 갭 신호를 생성한다.
패턴 비교부(130)는 수신된 뇌파에서 뇌파의 변화 패턴을 인식하고 저장된 패턴과 비교하여 일치하는 패턴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패턴 비교부(130)는 패턴 저장 모듈(131)과 페어링 판단 모듈(133), 갭 판단 모듈(134), 구동패턴 판단 모듈(135), 및 구동신호 생성 모듈(139)을 포함한다.
패턴 저장 모듈(131)은 기 설정된 뇌파 변화 패턴을 저장하는데 패턴 저장 모듈에는 전자기기와의 연결을 위한 페어링 패턴(pairing pattern)과 전자기기의 구동을 위한 구동 패턴이 저장된다. 뇌파 변화 패턴은 알파파의 변화 패턴, SMR파의 변화 패턴, 중간 베타파의 변화 패턴, 고 베타파의 변화 패턴, 세타파의 변화 패턴, 감마파의 변화 패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서, 1부터 10까지 머리속으로 숫자를 세는 경우와, 머리 속으로 애국가를 부르는 경우에는 서로 다른 뇌파가 발생하는데 이러한 뇌파의 변화 패턴이 패턴 저장 모듈(131)에 저장된다. 또한 눈을 감을 때 변화하는 뇌파의 패턴이나 문자나 그림을 인식할 때 변화하는 뇌파의 패턴이 패턴 저장 모듈에 저장된다. 패턴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동일 한 패턴이 적어도 2회 이상 반복되는 것으로 설정되며, 시간은 1초, 에서 1분까지 다양한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페어링 판단 모듈(133)은 추출된 뇌파의 변화가 페어링 패턴과 일치하는 것을 판단하여 페어링 신호를 발생시키며, 페어링패턴 검색 유닛, 페어링신호 생성 유닛, 및 페어링 표시 유닛을 포함한다. 페어링패턴 검색 유닛은 패턴 저장 모듈(131)에 페어링 패턴으로 저장된 뇌파 패턴과 일치하는 뇌파의 발생 여부를 검색하는데, 페어링 패턴은 한곳을 집중적으로 주시하는 동작 시에 발생하는 뇌파 패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가 TV, 조명 등을 계속 주시할 때 뇌파의 변화가 발생하는데 페어링패턴 검색 유닛은 이러한 뇌파의 변화를 탐지한다. 한곳을 집중하여 주시하면 SMR파와 중간 베타파의 세기가 증가하고 세타파의 세기가 감소하는데, 이러한 뇌파의 변화가 나타나면 페어링패턴 검색 유닛은 패어링 패턴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페어링신호 생성 유닛은 페어링 신호를 전자기기로 전송하여 전자기기가 구동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도록 대기 상태로 전환한다. 페어링 표시 유닛은 소리 또는 LED 램프를 이용하여 페어링이 실행 중임을 알린다. 이에 사용자는 자신의 의도에 따라 기기가 구동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뇌파의 발생을 위한 생각이나 동작을 취할 수 있다.
갭 판단 모듈(134)은 갭 생성부(140)로부터 갭 신호가 수신될 때 뇌파의 변화를 분할하여 하나의 패턴을 형성하는 단위로 지정하며, 갭에 뇌파 패턴이 구분된다. 이에 따라 갭 판단 모듈(134)에 의하여 분할된 뇌파가 하나의 패턴으로 인식될 수 있다. 갭은 서로 다른 뇌파 패턴 사이에 위치할 수 있으며, 동일한 뇌파 패턴 사이에도 위치할 수 있다.
구동패턴 판단 모듈(135)은 패턴저장 모듈(131)에 저장된 구동 패턴과 수신된 뇌파의 변화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구동패턴 판단 모듈(135)은 알파파의 활성도 변화를 판단 함에 있어, 좌 두정엽에서 알파파의 세기가 증가하고 좌/우 전두엽에서 알파파의 세기가 낮아지는 패턴이 기 설정된 시간 내에 2회 이상 반복되는 경우 패턴이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문자를 읽거나 문자를 머리속으로 생각하는 경우, 좌 두정엽의 활성이 높아지고 좌/우 전두엽의 활성이 매우 낮아지는데 이러한 알파파의 증감 패턴이 패턴 저장 모듈(131)에 저장되고, 구동패턴 판단 모듈(135)은 이러한 패턴의 일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구동패턴 판단 모듈(135)은 SMR파와 중간 베타파의 증가가 기 설정된 기간 내에 2회 이상 반복되는 경우 패턴이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가 그림 또는 문자를 인식하는 경우에는 SMR파와 중간 베타파가 증가하는데 구동패턴 판단 모듈(135)은 이러한 패턴의 일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동신호 생성 모듈(139)은 구동패턴 판단 모듈(135)에서 긍정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전자기기를 온(ON) 상태로 전환하는 구동 신호를 발생시킨다. 구동신호 생성 모듈(139)은 적외선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블루투스, 와이파이 등의 무선 통신으로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페어링 종료부(150)는 10초 이상 배경뇌파만 연속적으로 검출될 때 페어링을 종료한다. 배경뇌파는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평균적으로 나타나는 뇌파를 의미하며, 사용자가 전자기기를 구동시킨 후에 더 이상 전자기기를 구동시키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페어링 종료부(150)에서 페어링 상태를 종료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뇌파를 이용한 전자기기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제1 실시예에 따른 뇌파를 이용한 전자기기 구동 방법은 뇌파 수신 단계(S101), 뇌파 분석 단계(S102), 페어링 판단 단계(S103), 갭 판단 단계(S104), 구동패턴 판단 단계(S105), 구동신호 생성 단계(S106), 및 페어링 종료 단계(S107)를 포함한다.
뇌파 수신 단계(S101)는 뇌파수신부(110)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다수의 전극을 사용자의 두피에 부착하여, 전극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뇌파를 수신한다. 예를 들면, 다수의 전극 중 그라운드 전극이 사용자의 두피 중앙에 배치되고, 그 양측으로 우뇌용 전극과 좌뇌용 전극이 동일한 개수로 사용자의 두피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뇌파를 수신한다.
뇌파수신부(110)는 밴드 형태, 안경 형태, 모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뇌파 수신부(110)는 스마트폰과 데이터 케이블로 연결된 전극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뇌파 분석 단계(S102)는 수신된 뇌파로부터 수신된 뇌파로부터 주파수에 따른 뇌파의 종류를 분류하여 추출하는데, 수신된 뇌파로부터 알파파, 베타파, 세타파, 델타파, 및 감마파를 추출한다. 뇌파 분석 단계(S102)는 증폭 단계와 필터링 단계와 AD 변환 단계를 포함한다.
증폭 단계는 증폭 모듈(121)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증폭기를 이용하여 뇌파 수신부(110)에서 수신한 수십 μV~ 수십 mV의 뇌파를 3 ~ 5V로 증폭시킨다.
필터링 단계는 필터 모듈(123)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다수의 아날로그 필터를 이용하여 증폭된 뇌파에 포함된 각종 노이즈를 필터링한다. 이 때, 필터는 고대역통과필터(high pass filter), 대역통과필터(band pass filter), 대역저지필터(band stop filter), 저역통과필터(low pass filter)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필터링 단계는 고대역통과필터를 이용하여 DC전압, 호흡, 몸 움직임, 눈 깜빡임 등에 의한 노이즈를 1차적으로 제거하는 고대역 필터링 단계와 대역통과필터를 이용하여 측정하고자 하는 주파수 대역범위를 갖는 뇌파를 필터링하는 밴드 패스 필터링 단계를 포함한다.
필터링 단계는 대역저지필터를 이용하여 50Hz 또는 60Hz의 전원공급에 따른 노이즈를 제거하는 대역저지 필터링 단계와 저역통과필터를 이용하여 뇌파를 대역제한 시켜 왜곡현상을 방지하고, 뇌파 복원 시 발생하는 왜곡현상을 방지하는 저역통과 필터링 단계를 더 포함한다. AD 변환 단계는 AD 변환 모듈(125)을 이용하여 아날로그 상태의 뇌파를 디지털화 한다.
페어링 판단 단계(S103)는 페어링 판단 모듈(133)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페어링패턴 검색 단계, 페어링 신호 생성 단계, 및 페어링 표시 단계를 포함한다.
페어링패턴 검색 단계는 페어링패턴의 발생 여부를 검색하는데, 패턴 저장 모듈(131)에 페어링패턴으로 저장된 뇌파 패턴과 일치하는 뇌파의 발생 여부를 검색한다.
페어링 패턴은 한곳을 집중적으로 주시하는 동작 시에 발생하는 뇌파 패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사용자가 TV, 조명 등을 계속 주시할 때 뇌파의 변화가 발생하는데 페어링패턴 검색 단계는 이러한 뇌파의 변화를 탐지한다. 한곳을 집중하여 주시하면 SMR파와 중간 베타파의 세기가 증가하고 세타파의 세기가 감소하는데, 이러한 뇌파의 변화가 나타나면 페어링패턴 검색 단계는 패어링 패턴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페어링 신호 생성 단계는 페어링 신호를 전자기기로 전송하여 전자기기가 구동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도록 대기 상태로 전환한다. 페어링 표시 단계는 소리 또는 LED 램프를 이용하여 페어링이 실행 중임을 알린다.
갭 판단 단계(S104)는 갭 생성부로부터 갭 신호가 수신될 때 뇌파의 변화를 분할하여 하나의 패턴을 형성하는 단위로 지정한다. 이에 따라 갭 판단 단계(S14)에 의하여 패턴의 반복을 판단하기 위한 단위가 설정된다.
구동패턴 판단 단계(S105)는 구동패턴 판단 모듈(135)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패턴저장 모듈(131)에 저장된 구동 패턴과 수신된 뇌파의 변화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구동패턴 판단 단계(S105)는 알파파의 활성도 변화를 판단 함에 있어, 좌 두정엽에서 알파파의 세기가 증가하고 좌/우 전두엽에서 알파파의 세기가 낮아지는 패턴이 기 설정된 시간 내에 2회 이상 반복되는 경우 패턴이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문자를 읽거나 문자를 머리속으로 생각하는 경우, 좌 두정엽의 활성이 높아지고 좌/우 전두엽의 활성이 매우 낮아지는데 이러한 알파파의 증감 패턴이 패턴 저장 모듈(131)에 저장되고, 구동패턴 판단 단계(S105)는 이러한 패턴의 일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동패턴 판단 단계(S105)는 SMR파와 중간 베타파의 증가가 기 설정된 기간 내에 2회 이상 반복되는 경우 패턴이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가 그림 또는 문자를 인식하는 경우에는 SMR파와 중간 베타파가 증가하는데 구동패턴 판단 단계(S105)는 이러한 패턴의 일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동신호 생성 단계(S106)는 구동패턴 판단 단계(S105)에서 긍정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전자기기를 온(ON) 상태로 전환하는 구동 신호를 발생시킨다. 구동신호 생성 단계(S206)는 적외선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블루투스, 와이파이 등의 무선 통신으로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페어링 종료 단계(S107)는 10초 이상 배경뇌파만 연속적으로 검출될 때 페어링을 종료한다. 배경뇌파는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특정한 패턴 없이 평균적으로 나타나는 뇌파를 의미하며, SMR파와 중간 베타파의 세기가 기 설정된 범위로 낮아지고 알파파와 세타파의 세기가 기 설정된 범위로 높아지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뇌파들의 세기는 개인적인 성향에 따라 상이할 수 있으므로 수신된 뇌파를 바탕으로 배경뇌파의 범위를 설정한다. 사용자가 전자기기를 구동시킨 후에 더 이상 전자기기를 구동시키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페어링 종료 단계(S107)에서 페어링 상태를 종료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뇌파를 이용한 전자기기 구동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제2 실시예에 따른 뇌파를 이용한 전자기기 구동 장치(200)는 뇌파 수신부(210), 뇌파 분석부(220), 패턴 비교부(230), 및 갭 생성부(240)를 포함한다.
본 제1 실시예에 따른 뇌파를 이용한 전자기기 구동 장치(200)는 거실이나 안방 등에서 사용자(10)가 쇼파에 앉아서 뇌파 측정기가 구비된 모자(20)를 사용하여 뇌파만을 이용하여 TV(30), 전등, 오디오 등을 온(ON) 또는 오프(OFF) 시킬 수 있는 장치이다.
뇌파 수신부(210)는 다수의 전극을 사용자의 두피에 부착하여, 상기 전극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뇌파를 수신한다. 예를 들면, 다수의 전극 중 그라운드 전극이 사용자의 두피 중앙에 배치되고, 그 양측으로 우뇌용 전극과 좌뇌용 전극이 동일한 개수로 사용자의 두피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뇌파를 수신한다. 이 때, 뇌파 수신부(210)는 사용자(10)의 전두엽 영역에 대한 뇌파 또는 전두엽을 제외한 영역에 대한 뇌파 등을 선택하여 수신한다. 뇌파 수신부(210)는 헤어 밴드, 안경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모자(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뇌파 수신부(210)는 스마트폰과 데이터 케이블로 연결된 전극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뇌파 분석부(220)는 수신된 뇌파로부터 수신된 뇌파로부터 주파수에 따른 뇌파의 종류를 분류하여 추출하는데, 수신된 뇌파로부터 알파파, 베타파, 세타파, 델타파, 및 감마파를 추출한다. 뇌파 분석부(220)는 증폭 모듈(221)과 필터 모듈(223), AD 변환 모듈(225)을 포함한다.
증폭 모듈(221)은 내부에 증폭기를 구비하고, 증폭기를 통해 뇌파 수신부(210)에서 수신한 수십 μV~ 수십 mV의 뇌파를 3 ~ 5V로 증폭시켜, 수신된 뇌파 분석을 용이하게 하도록 한다.
필터 모듈(223)은 다수의 아날로그 필터를 구비하여 증폭모듈(221)에서 증폭된 뇌파에 포함된 각종 노이즈를 필터링한다. 이 때, 필터는 고대역통과필터(high pass filter), 대역통과필터(band pass filter), 대역저지필터(band stop filter), 저역통과필터(low pass filter)로 구성된다. 이러한 고대역통과필터는 DC전압, 호흡, 몸 움직임, 눈 깜빡임 등에 의한 노이즈를 1차적으로 제거하고, 대역통과필터는 측정하고자 하는 주파수 대역범위를 갖는 뇌파를 필터링한다. 대역저지필터는 50Hz 또는 60Hz의 전원공급에 따른 노이즈를 제거하고, 저역통과필터는 뇌파를 대역제한 시켜 왜곡현상을 방지하고, 뇌파 복원 시 발생하는 왜곡현상을 방지한다. AD변환모듈(224)은 필터모듈(223)을 통해 추출한 아날로그 상태의 뇌파를 디지털화한다.
갭 생성부(240)는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갭 신호를 생성하는 센서(40)로 이루어지는데, 갭 생성부(240)는 터치 센서 또는 동작감지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갭 생성부(240)가 터치 센서로 이루어지면 사용자가 터치 센서를 터치할 때 갭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갭 생성부(240)가 동작감지 센서로 이루어지면 사용자가 눈을 깜빡일 때 갭 신호를 생성한다.
패턴 비교부(230)는 수신된 뇌파에서 뇌파의 변화 패턴을 인식하고 저장된 패턴과 비교하여 일치하는 패턴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패턴 비교부(230)는 패턴 저장 모듈(231)과 페어링 판단 모듈(233), 갭 판단 모듈(234), 1차패턴 판단 모듈(235), 및 2차패턴 판단 모듈(237), 및 구동신호 생성 모듈(239)을 포함한다.
패턴 저장 모듈(231)은 기 설정된 뇌파 변화 패턴을 저장하는데 패턴 저장 모듈에는 전자기기와의 연결을 위한 페어링 패턴(pairing pattern)과 전자기기의 구동을 위한 구동 패턴이 저장된다. 뇌파 변화 패턴은 알파파의 변화 패턴, SMR파의 변화 패턴, 중간 베타파의 변화 패턴, 고 베타파의 변화 패턴, 세타파의 변화 패턴, 감마파의 변화 패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서, 1부터 10까지 머리속으로 숫자를 세는 경우와, 머리 속으로 애국가를 부르는 경우에는 서로 다른 뇌파가 발생하는데 이러한 뇌파의 변화 패턴이 패턴 저장 모듈(231)에 저장된다. 또한 눈을 감을 때 변화하는 뇌파의 패턴이나 문자나 그림을 인식할 때 변화하는 뇌파의 패턴이 패턴 저장 모듈에 저장된다. 패턴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동일 한 패턴이 적어도 2회 이상 반복되는 것으로 설정되며, 시간은 1초, 에서 1분까지 다양한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페어링 판단 모듈(233)은 추출된 뇌파의 변화가 페어링 패턴과 일치하는 것을 판단하여 페어링 신호를 발생시키며, 페어링패턴 검색 유닛(233a), 페어링신호 생성 유닛(233b), 및 페어링 표시 유닛(233c)을 포함한다. 페어링패턴 검색 유닛(233a)은 패턴 저장 모듈(231)에 페어링 패턴으로 저장된 뇌파 패턴과 일치하는 뇌파의 발생 여부를 검색하는데, 페어링 패턴은 한곳을 집중적으로 주시하는 동작 시에 발생하는 뇌파 패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가 TV, 조명 등을 계속 주시할 때 뇌파의 변화가 발생하는데 페어링패턴 검색 유닛은 이러한 뇌파의 변화를 탐지한다. 한곳을 집중하여 주시하면 SMR파와 중간 베타파의 세기가 증가하고 세타파의 세기가 감소하는데, 이러한 뇌파의 변화가 나타나면 페어링패턴 검색 유닛은 패어링 패턴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페어링신호 생성 유닛(233b)은 페어링 신호를 전자기기로 전송하여 전자기기가 구동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도록 대기 상태로 전환한다. 페어링 표시 유닛(233c)은 소리 또는 LED 램프를 이용하여 페어링이 실행 중임을 알린다. 이에 사용자는 자신의 의도에 따라 기기가 구동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뇌파의 발생을 위한 생각이나 동작을 취할 수 있다.
갭 판단 모듈(234)은 갭 생성부(240)로부터 갭 신호가 수신될 때 뇌파의 변화를 분할하여 하나의 패턴을 형성하는 단위로 지정한다. 이에 따라 갭 판단 모듈(234)에 의하여 1차 패턴과 2차 패턴을 구분할 수 있다.
1차패턴 판단 모듈(235)은 패턴저장 모듈(231)에 저장된 1차패턴과 수신된 뇌파의 변화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1차패턴 판단 모듈(235)은 수신된 뇌파가 1차 패턴과 일치하면 패턴이 일치함을 표시하는 제1일치신호 생성 유닛(235a)과 수신된 뇌파가 1차 패턴과 불일치할 때 불일치함을 표시하는 제1오류신호 생성 유닛(235b)을 포함한다.
사용자는 제1일치신호 생성 유닛(235a)에서 일치 신호가 생성된 경우, 2차패턴을 생성하는 행위를 할 수 있으며 제1오류신호 생성 유닛(235b)에서 오류신호가 생성된 경우, 다시 한번 1차패턴을 생성하는 행위를 하여 다시 판단 받을 수 있다.
2차패턴 판단 모듈(237)은 1차패턴 판단 모듈(235)에서 패턴이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만 2차패턴을 판단하며, 패턴저장 모듈(231)에 저장된 2차패턴과 수신된 뇌파의 변화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2차패턴 판단 모듈(237)은 수신된 뇌파가 2차 패턴과 일치하면 패턴이 일치함을 표시하는 제2일치신호 생성 유닛(237a)과 수신된 뇌파가 2차 패턴과 불일치할 때 불일치함을 표시하는 제2오류신호 생성 유닛(237b)을 포함한다.
사용자는 제2일치신호 생성 유닛(237a)에서 일치 신호가 생성된 경우, 정상적으로 뇌파가 생성되어 인증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제2오류신호 생성 유닛(237b)에서 오류신호가 생성된 경우, 다시 한번 2차패턴을 생성하는 행위를 하여 다시 판단 받을 수 있다.
구동신호 생성 모듈(239)은 구동패턴 판단 모듈(235)에서 긍정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전자기기를 온(ON) 상태로 전환하는 구동 신호를 발생시킨다. 구동신호 생성 모듈(239)은 적외선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블루투스, 와이파이 등의 무선 통신으로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페어링 종료부(250)는 10초 이상 배경뇌파만 연속적으로 검출될 때 페어링을 종료한다. 배경뇌파는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평균적으로 나타나는 뇌파를 의미하며, 사용자가 전자기기를 구동시킨 후에 더 이상 전자기기를 구동시키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페어링 종료부(250)에서 페어링 상태를 종료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뇌파를 이용한 전자기기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제2 실시예에 따른 뇌파를 이용한 전자기기 구동 방법은 뇌파 수신 단계(S201), 뇌파 분석 단계(S202), 페어링 판단 단계(S203), 갭 판단 단계(S204), 1차패턴 판단 단계(S205), 2차패턴 판단 단계(S206), 구동신호 생성 단계(S207), 및 페어링 종료 단계(S208)를 포함한다.
뇌파 수신 단계(S201)는 뇌파수신부(210)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다수의 전극을 사용자의 두피에 부착하여, 전극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뇌파를 수신한다. 예를 들면, 다수의 전극 중 그라운드 전극이 사용자의 두피 중앙에 배치되고, 그 양측으로 우뇌용 전극과 좌뇌용 전극이 동일한 개수로 사용자의 두피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뇌파를 수신한다.
뇌파수신부(210)는 밴드 형태, 안경 형태, 모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뇌파 수신부(210)는 스마트폰과 데이터 케이블로 연결된 전극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뇌파 분석 단계(S202)는 수신된 뇌파로부터 수신된 뇌파로부터 주파수에 따른 뇌파의 종류를 분류하여 추출하는데, 수신된 뇌파로부터 알파파, 베타파, 세타파, 델타파, 및 감마파를 추출한다. 뇌파 분석 단계(S202)는 증폭 단계와 필터링 단계와 AD 변환 단계를 포함한다.
증폭 단계는 증폭 모듈(221)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증폭기를 이용하여 뇌파 수신부(210)에서 수신한 수십 μV~ 수십 mV의 뇌파를 3 ~ 5V로 증폭시킨다.
필터링 단계는 필터 모듈(223)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다수의 아날로그 필터를 이용하여 증폭된 뇌파에 포함된 각종 노이즈를 필터링한다. 이 때, 필터는 고대역통과필터(high pass filter), 대역통과필터(band pass filter), 대역저지필터(band stop filter), 저역통과필터(low pass filter)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필터링 단계는 고대역통과필터를 이용하여 DC전압, 호흡, 몸 움직임, 눈 깜빡임 등에 의한 노이즈를 1차적으로 제거하는 고대역 필터링 단계와 대역통과필터를 이용하여 측정하고자 하는 주파수 대역범위를 갖는 뇌파를 필터링하는 밴드 패스 필터링 단계를 포함한다.
필터링 단계는 대역저지필터를 이용하여 50Hz 또는 60Hz의 전원공급에 따른 노이즈를 제거하는 대역저지 필터링 단계와 저역통과필터를 이용하여 뇌파를 대역제한 시켜 왜곡현상을 방지하고, 뇌파 복원 시 발생하는 왜곡현상을 방지하는 저역통과 필터링 단계를 더 포함한다. AD 변환 단계는 AD 변환 모듈(225)을 이용하여 아날로그 상태의 뇌파를 디지털화 한다.
페어링 판단 단계(S203)는 페어링 판단 모듈(233)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페어링패턴 검색 단계, 페어링 신호 생성 단계, 및 페어링 표시 단계를 포함한다.
페어링패턴 검색 단계는 페어링패턴의 발생 여부를 검색하는데, 패턴 저장 모듈(231)에 페어링패턴으로 저장된 뇌파 패턴과 일치하는 뇌파의 발생 여부를 검색한다.
페어링 패턴은 한곳을 집중적으로 주시하는 동작 시에 발생하는 뇌파 패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사용자가 TV, 조명 등을 계속 주시할 때 뇌파의 변화가 발생하는데 페어링패턴 검색 단계는 이러한 뇌파의 변화를 탐지한다. 한곳을 집중하여 주시하면 SMR파와 중간 베타파의 세기가 증가하고 세타파의 세기가 감소하는데, 이러한 뇌파의 변화가 나타나면 페어링패턴 검색 단계는 패어링 패턴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페어링 신호 생성 단계는 페어링 신호를 전자기기로 전송하여 전자기기가 구동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도록 대기 상태로 전환한다. 페어링 표시 단계는 소리 또는 LED 램프를 이용하여 페어링이 실행 중임을 알린다.
갭 판단 단계(S204)는 갭 생성부로부터 갭 신호가 수신될 때 뇌파의 변화를 분할하여 하나의 패턴을 형성하는 단위로 지정한다. 이에 따라 갭 판단 단계(S204)에 의하여 1패턴과 2차패턴을 구분하기 위한 단위로 뇌파가 분할된다.
1차패턴 판단 단계(S25)는 1차패턴 판단 모듈(235)을 이용하여 패턴저장 모듈(231)에 저장된 1차패턴과 수신된 뇌파의 변화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1차패턴 판단 단계(S205)는 수신된 뇌파가 1차 패턴과 일치하면 패턴이 일치함을 표시하는 제1일치신호 생성 단계와 수신된 뇌파가 1차 패턴과 불일치할 때 불일치함을 표시하는 제1오류신호 생성 단계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제1일치신호 생성 단계에서 일치 신호가 생성된 경우, 2차패턴을 생성하는 행위를 할 수 있으며 제1오류신호 생성 단계에서 오류신호가 생성된 경우, 다시 한번 1차패턴을 생성하는 행위를 하여 다시 판단 받을 수 있다.
2차패턴 판단 단계(S206)는 2차패턴 판단 모듈(237)을 이용하여 1차패턴 판단 단계(S205)에서 패턴이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만 2차패턴을 판단하며, 패턴저장 모듈(231)에 저장된 2차패턴과 수신된 뇌파의 변화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2차패턴 판단 단계(S206)는 수신된 뇌파가 2차 패턴과 일치하면 패턴이 일치함을 표시하는 제2일치신호 생성 단계와 수신된 뇌파가 2차 패턴과 불일치할 때 불일치함을 표시하는 제2오류신호 생성 단계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제2일치신호 생성 단계에서 일치 신호가 생성된 경우, 정상적으로 뇌파가 생성되어 인증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제2오류신호 생성 단계에서 오류신호가 생성된 경우, 다시 한번 2차패턴을 생성하는 행위를 하여 다시 판단 받을 수 있다.
구동신호 생성 단계(S206)는 2차패턴 판단 단계(S206)에서 긍정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전자기기를 온(ON) 상태로 전환하는 구동 신호를 발생시킨다. 구동신호 생성 단계(S206)는 적외선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블루투스, 와이파이 등의 무선 통신으로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페어링 종료 단계(S207)는 10초 이상 배경뇌파만 연속적으로 검출될 때 페어링을 종료한다. 배경뇌파는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특정한 패턴 없이 평균적으로 나타나는 뇌파를 의미하며, SMR파와 중간 베타파의 세기가 기 설정된 범위로 낮아지고 알파파와 세타파의 세기가 기 설정된 범위로 높아지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뇌파들의 세기는 개인적인 성향에 따라 상이할 수 있으므로 수신된 뇌파를 바탕으로 배경뇌파의 범위를 설정한다. 사용자가 전자기기를 구동시킨 후에 더 이상 전자기기를 구동시키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페어링 종료 단계(S207)에서 페어링 상태를 종료한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200: 전자기기 구동 장치
110, 210: 뇌파 수신부
120, 220: 뇌파 분석부
121, 221: 증폭 모듈
123, 223: 필터 모듈
125, 223: AD 변환 모듈
130, 230: 패턴 비교부
131, 231: 패턴 저장 모듈
133, 233: 패어링 판단 모듈
134, 234: 갭 판단 모듈
135: 구동패턴 판단 모듈
139, 239: 구동신호 생성 모듈
140, 240: 갭 생성부
150, 250: 페어링 종료부

Claims (9)

  1. 사용자의 뇌파를 수신하는 뇌파 수신 단계;
    수신된 뇌파로부터 주파수에 따른 뇌파를 분류하여 추출하는 뇌파 분석 단계;
    추출된 뇌파의 변화가 페어링 패턴과 일치하는 것을 판단하여 페어링 신호를 발생시키는 페어링 판단 단계;
    갭 신호를 생성하는 센서에서 전달된 신호에 따라 뇌파를 분할하는 갭 판단 단계;
    상기 추출된 뇌파의 변화가 구동 패턴과 일치하는 것을 판단하는 구동패턴 판단 판단 단계; 및
    상기 구동패턴 판단 단계에서 수신된 뇌파가 저장된 구동패턴과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전자기기를 구동하는 신호를 생성하는 구동신호 생성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갭 판단 단계는 사용자가 터치 센서를 터치할 때 갭 신호를 생성하거나, 사용자가 눈을 깜빡일 때 갭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파를 이용한 전자 기기 구동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페어링 판단 단계는 페어링 패턴의 발생 여부를 검색하는 페어링 패턴 검색 단계와 페어링 패턴이 발생하였을 때 페어링 신호를 생성하여 전자기기로 전송하는 페어링신호 생성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파를 이용한 전자 기기 구동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페어링 판단 단계는 소리 또는 LED 램프를 이용하여 페어링이 실행 중임을 알리는 페어링 표시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파를 이용한 전자 기기 구동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패턴 판단 단계는 좌 두정엽에서 알파파의 세기가 증가하고 좌/우 전두엽에서 알파파의 세기가 낮아지는 패턴이 기 설정된 시간 내에 2회 이상 반복되는 경우 패턴이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파를 이용한 전자기기 구동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패턴 판단 단계는 SMR파와 중간 베타파의 증가가 기 설정된 기간 내에 2회 반복되는 경우 패턴이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파를 이용한 전자기기 구동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패턴 판단 단계는 수신된 뇌파가 기 저장된 1차패턴과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 1차패턴 판단 단계와 수신된 뇌파가 기 저장된 2차패턴과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 2차패턴 판단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파를 이용한 전자기기 구동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1차패턴 판단 단계는 수신된 뇌파가 1차 패턴과 일치하면 패턴이 일치함을 표시하는 제1일치신호 생성 단계와 수신된 뇌파가 1차 패턴과 불일치할 때 불일치함을 표시하는 제1오류신호 생성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파를 이용한 전자기기 구동 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2차패턴 판단 단계는 상기 1차패턴 판단 단계에서 패턴이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만 2차패턴을 판단하며, 수신된 뇌파가 2차 패턴과 일치하면 패턴이 일치함을 표시하는 제2일치신호 생성 단계와 수신된 뇌파가 2차 패턴과 불일치할 때 불일치함을 표시하는 제2오류신호 생성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파를 이용한 전자기기 구동 방법.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 구동 방법은 10초 이상 배경뇌파만 연속적으로 검출될 때 페어링을 종료하는 페어링 종료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파를 이용한 전자기기 구동 방법.
KR1020150016041A 2015-02-02 2015-02-02 뇌파를 이용한 전자기기 구동 방법 KR1016640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6041A KR101664029B1 (ko) 2015-02-02 2015-02-02 뇌파를 이용한 전자기기 구동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6041A KR101664029B1 (ko) 2015-02-02 2015-02-02 뇌파를 이용한 전자기기 구동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5257A KR20160095257A (ko) 2016-08-11
KR101664029B1 true KR101664029B1 (ko) 2016-10-13

Family

ID=56713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6041A KR101664029B1 (ko) 2015-02-02 2015-02-02 뇌파를 이용한 전자기기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40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13874B (zh) * 2019-01-08 2021-02-26 北京京东尚科信息技术有限公司 用于控制智能设备的方法、装置和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7661B1 (ko) * 2010-06-10 2011-10-27 (주)네오믹스 뇌파 및 촬상장치를 이용한 전자기기 원격제어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7374B1 (ko) * 2001-02-10 2003-09-13 학교법인 포항공과대학교 뇌파를 이용한 가전기기 원격제어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7661B1 (ko) * 2010-06-10 2011-10-27 (주)네오믹스 뇌파 및 촬상장치를 이용한 전자기기 원격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5257A (ko) 2016-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37624A (ko) 뇌파 신호를 이용한 전자 기기 제어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KR101831757B1 (ko) 뇌파를 이용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및 뇌파를 이용한 스마트폰 페어링 장치
KR20170096274A (ko) 뇌파를 이용한 감정 전송 시스템
KR101664029B1 (ko) 뇌파를 이용한 전자기기 구동 방법
KR101664218B1 (ko) 뇌파를 이용한 전자기기 구동 장치
KR101939121B1 (ko) 뇌파를 이용한 tv 구동 방법
KR101769475B1 (ko) 패턴 생성부를 이용한 전자기기 구동 방법
KR101884450B1 (ko) 뇌파를 이용한 전자기기 구동 장치
KR101727175B1 (ko) 뇌파를 이용한 스마트폰 페어링 방법
KR101612037B1 (ko) 뇌파를 이용한 전자기기 구동 장치
KR101842707B1 (ko) 뇌파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의 구동 방법
KR101664086B1 (ko) 뇌파를 이용한 전자기기 구동 방법
KR101664015B1 (ko) 뇌파를 이용한 전자기기 구동 방법
KR101664023B1 (ko) 뇌파를 이용한 전자기기 구동 장치
KR101664027B1 (ko) 구동 패턴 및 뇌파를 이용한 전자기기 구동 방법
KR20160095267A (ko) 뇌파를 이용한 전자기기 구동 장치
KR101727150B1 (ko) 긍정 또는 부정의 뇌파를 이용한 전자기기 구동 방법
KR101727158B1 (ko) 긍정 또는 부정의 뇌파를 이용한 전자기기 구동 장치
KR20170096276A (ko) 뇌파를 이용한 학습환경 제어 방법
KR20160095275A (ko) 패턴 생성부를 이용한 전자기기 구동 장치
KR20170096278A (ko) 뇌파를 이용한 학습환경 제어 시스템
KR101681985B1 (ko) 뇌파를 이용한 요람의 자동 제어 방법
KR20160095265A (ko) 뇌파를 이용한 조명 제어 장치
KR20160095261A (ko) 뇌파를 이용한 조명 제어 방법
KR20160095243A (ko) 뇌파를 이용한 상태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