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4027B1 - 구동 패턴 및 뇌파를 이용한 전자기기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구동 패턴 및 뇌파를 이용한 전자기기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4027B1
KR101664027B1 KR1020150016025A KR20150016025A KR101664027B1 KR 101664027 B1 KR101664027 B1 KR 101664027B1 KR 1020150016025 A KR1020150016025 A KR 1020150016025A KR 20150016025 A KR20150016025 A KR 20150016025A KR 101664027 B1 KR101664027 B1 KR 1016640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eg
wave
pattern
driving
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6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5256A (ko
Inventor
송지성
박수조
김은환
이승학
김규식
이재성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송지성
박수조
김은환
이승학
김규식
이재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송지성, 박수조, 김은환, 이승학, 김규식, 이재성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16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4027B1/ko
Publication of KR201600952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52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4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40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5Input arrangements based on nervous system activity detection, e.g. brain waves [EEG] detection, electromyograms [EMG] detection, electrodermal respons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euro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eur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뇌파를 이용하여 전자기기를 구동할 수 있는 전자기기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구동패턴 및 뇌파를 이용한 전자기기 구동 방법은 사용자의 뇌파를 수신하는 뇌파 수신 단계, 수신된 뇌파로부터 주파수에 따른 뇌파를 분류하여 추출하는 뇌파 분석 단계, 추출된 뇌파의 변화가 페어링 패턴과 일치하는 것을 판단하여 페어링 신호를 발생시키는 페어링 판단 단계, 상기 추출된 뇌파의 변화가 구동 패턴과 일치하는 것을 판단하는 구동패턴 판단 판단 단계, 그림과 문자를 교차 제시하는 교차 표시 단계, 및 그림을 제시할 때의 뇌파의 변화와 문자를 제시할 때의 뇌파의 변화를 판단하는 뇌파 변화 판단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구동 패턴 및 뇌파를 이용한 전자기기 구동 방법{CONTROL METHOD FOR ELECTRONIC EQUIPMENT USING BRAIN WAVE AND ACTIVATION PATTERN}
본 발명은 전자기기 구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동패턴 및 뇌파를 이용한 전자기기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뇌파란, 인간의 의식 또는 무의식 상태를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반영하는 생체신호를 말하며, 인간의 두피에 모든 영역에서 측정되고 수십 마이크로 볼트의 전위차로 주로 30Hz 이하의 주파수를 지닌 파장을 말한다.
이러한 뇌파는 주파수 대역별로 델타(delta)파, 세타(theta)파, 알파(alpha)파, 베타(beta)파, 감마(gamma)파로 분류된다. 델타(delta)파는 4Hz 이하의 주파수를 가진 뇌파로서 정상적인 수면상태에서 전형적으로 나타나며, 세타파는 4∼8Hz 정도의 주파수를 가진 뇌파로서 정신적으로 상태가 불안하거나 주위가 산만할 때 주로 나타나며 학습장애가 있는 청소년에게 종종 나타난다.
알파파는 8∼12Hz 정도의 주파수를 가진 뇌파로서 대체로 정신적인 상태가 안정적이며 눈을 감고 편안한 심리적 상태를 취하고 있을 때 뚜렷하게 나타난다. 또한 알파파는 주변의 상황에서 분리될 정도로 고도의 집중이 이루어진 경우 또는 명상으로 인하여 심리적인 안정이 이루어진 경우에도 발생한다. 감마파는 30~50Hz의 주파수를 갖는 뇌파를 말하며 흥분 상태에서 나타난다.
베타파는 12∼30Hz 정도의 주파수를 가진 뇌파를 지칭하며, 약간의 긴장상태나 일정 이상의 주의를 기울일 때 주로 나타난다. 베타파는 운동이나 학습, 또는 업무를 수행일 때 뇌 전체에서 광범위하게 나타난다. 베타파는 12∼15Hz의 주파수를 갖는 SMR파, 15∼18Hz의 주파수를 갖는 중간 베타파, 20Hz 이상의 주파수를 갖는 고 베타파로 구분된다. 베타파는 불안, 긴장 등의 스트레스를 받을 경우 더욱 강하게 나타나므로 스트레스파라고도 한다.
주의를 기울인 상태에서는 SMR파가 나타나며, 집중, 정상적인 활동을 할 때에는 좌측 뇌에서 15∼18Hz의 주파수를 갖는 중간 베타파가 나타나고 긴장과 불안이 계속될 때에는 20Hz 이상의 고베타파가 나타난다.
본 발명은 구동패턴 및 뇌파를 이용하여 전자기기를 구동할 수 있는 전자기기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구동패턴 및 뇌파를 이용한 전자기기 구동 방법은 사용자의 뇌파를 수신하는 뇌파 수신 단계, 수신된 뇌파로부터 주파수에 따른 뇌파를 분류하여 추출하는 뇌파 분석 단계, 추출된 뇌파의 변화가 페어링 패턴과 일치하는 것을 판단하여 페어링 신호를 발생시키는 페어링 판단 단계, 상기 추출된 뇌파의 변화가 구동 패턴과 일치하는 것을 판단하는 구동패턴 판단 판단 단계, 그림과 문자를 교차 제시하는 교차 표시 단계, 및 그림을 제시할 때의 뇌파의 변화와 문자를 제시할 때의 뇌파의 변화를 판단하는 뇌파 변화 판단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페어링 판단 단계는 페어링 패턴의 발생 여부를 검색하는 페어링 패턴 검색 단계와 페어링 패턴이 발생하였을 때 페어링 신호를 생성하여 전자기기로 전송하는 페어링신호 생성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페어링 판단 단계는 소리 또는 LED 램프를 이용하여 페어링이 실행 중임을 알리는 페어링 표시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판단 단계는 알파파의 증가와 감소가 기절 설정된 기간 내에 2회 반복되는 경우 패턴이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판단 단계는 SMR파와 중간 베타파의 증가가 기 설정된 기간 내에 2회 반복되는 경우 패턴이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판단 단계는 문제를 제시하는 문제 제시 단계와 문제를 읽을 때 나타나는 뇌파의 변화와 문제에 대한 해답을 구할 때 나타나는 뇌파의 변화를 판단하는 사고패턴 판단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고패턴 판단 단계는 문제를 읽을 때 좌두정엽에서 알파파의 세기가 높아지고 문제에 대한 해답을 구할 때 우두정엽에서 알파파의 세기가 높아질 때 구동 의사가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교차 표시 단계는 그림을 제시하는 그림 표시 단계와 문자를 표시하는 문자 표시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뇌파 변화 판단 단계는 그림을 제시할 때 세타파의 세기가 낮아지고 SMR파와 중간 베타파의 세기가 높아질 때 구동 의사가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뇌파 변화 판단 단계는 그림에서 글자로 변경하여 제시할 때, 그림을 제시하는 경우에 비하여 세타파의 세기가 높아지고 중간 베타파의 세기가 낮아지는 것을 구동 의사가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뇌파 변화 판단 단계는 그림을 제시할 때 우측 반구에서 알파파 세기가 감소하고 좌측 반구에서는 알파파의 변화가 없으며, 글자를 제시할 때 좌측 반구에서 알파파의 세기가 감소하고, 우측 반구에 알파파의 변화가 없는 것을 구동 의사가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뇌파의 변화에 따라 전자기기를 구동할 수 있다. 또한 그림의 인식과 문자의 인식에 따라 변화하는 뇌파를 판단하여 사용자의 의사를 보다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 구동 장치기 적용된 거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뇌파를 이용한 전자기기 구동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구동패턴 및 뇌파를 이용한 전자기기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뇌파를 이용한 전자기기 구동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구동패턴 및 뇌파를 이용한 전자기기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 구동 장치기 적용된 거실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뇌파를 이용한 전자기기 구동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제1 실시예에 따른 뇌파를 이용한 전자기기 구동 장치(100)는 뇌파 수신부(110), 뇌파 분석부(120), 패턴 비교부(130), 및 구동 확인부(140)를 포함한다.
본 제1 실시예에 따른 뇌파를 이용한 전자기기 구동 장치(100)는 거실이나 안방 등에서 사용자(10)가 쇼파에 앉아서 뇌파 측정기가 구비된 모자(20)를 사용하여 뇌파만을 이용하여 TV(30), 전등, 오디오 등을 온(ON) 또는 오프(OFF) 시킬 수 있는 장치이다.
뇌파 수신부(110)는 다수의 전극을 사용자의 두피에 부착하여, 상기 전극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뇌파를 수신한다. 예를 들면, 다수의 전극 중 그라운드 전극이 사용자의 두피 중앙에 배치되고, 그 양측으로 우뇌용 전극과 좌뇌용 전극이 동일한 개수로 사용자의 두피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뇌파를 수신한다. 이 때, 뇌파 수신부(110)는 사용자(10)의 전두엽 영역에 대한 뇌파 또는 전두엽을 제외한 영역에 대한 뇌파 등을 선택하여 수신한다. 뇌파 수신부(110)는 밴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모자(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뇌파 수신부(110)는 스마트폰과 데이터 케이블로 연결된 전극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뇌파 분석부(120)는 수신된 뇌파로부터 수신된 뇌파로부터 주파수에 따른 뇌파의 종류를 분류하여 추출하는데, 수신된 뇌파로부터 알파파, 베타파, 세타파, 델타파, 및 감마파를 추출한다. 뇌파 분석부(120)는 증폭 모듈(121)과 필터 모듈(123), AD 변환 모듈(125)을 포함한다.
증폭 모듈(121)은 내부에 증폭기를 구비하고, 증폭기를 통해 뇌파 수신부(110)에서 수신한 수십 μV~ 수십 mV의 뇌파를 3 ~ 5V로 증폭시켜, 수신된 뇌파 분석을 용이하게 하도록 한다.
필터 모듈(123)은 다수의 아날로그 필터를 구비하여 증폭모듈(121)에서 증폭된 뇌파에 포함된 각종 노이즈를 필터링한다. 이 때, 필터는 고대역통과필터(high pass filter), 대역통과필터(band pass filter), 대역저지필터(band stop filter), 저역통과필터(low pass filter)로 구성된다. 이러한 고대역통과필터는 DC전압, 호흡, 몸 움직임, 눈 깜빡임 등에 의한 노이즈를 1차적으로 제거하고, 대역통과필터는 측정하고자 하는 주파수 대역범위를 갖는 뇌파를 필터링한다. 대역저지필터는 50Hz 또는 60Hz의 전원공급에 따른 노이즈를 제거하고, 저역통과필터는 뇌파를 대역제한 시켜 왜곡현상을 방지하고, 뇌파 복원 시 발생하는 왜곡현상을 방지한다. AD변환모듈(124)은 필터모듈(123)을 통해 추출한 아날로그 상태의 뇌파를 디지털화한다.
패턴 비교부(130)는 뇌파 신호 중에서 알파파, 베타파, 세타파, 및 감마파의 증감을 비교하고, 추출된 뇌파의 변화를 기 저장된 패턴과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한다. 패턴 비교부(130)는 패턴 저장 모듈(131)과 페어링 판단 모듈(133), 및 구동 판단 모듈(135)을 포함한다.
패턴 저장 모듈(131)은 기 설정된 뇌파 변화 패턴을 저장하는데 패턴 저장 모듈에는 전자기기와의 연결을 위한 페어링 패턴(pairing pattern)과 전자기기의 구동을 위한 구동 패턴이 저장된다. 뇌파 변화 패턴은 알파파의 변화 패턴, SMR파의 변화 패턴, 중간 베타파의 변화 패턴, 고 베타파의 변화 패턴, 세타파의 변화 패턴, 감마파의 변화 패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서, 1부터 10까지 머리속으로 숫자를 세는 경우와, 머리 속으로 애국가를 부르는 경우에는 서로 다른 뇌파가 발생하는데 이러한 뇌파의 변화 패턴이 패턴 저장 모듈(131)에 저장된다. 또한 눈을 감을 때 변화하는 뇌파의 패턴이나 문자나 그림을 인식할 때 변화하는 뇌파의 패턴이 패턴 저장 모듈에 저장된다. 패턴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동일 한 패턴이 적어도 2회 이상 반복되는 것으로 설정되며, 시간은 1초, 에서 1분까지 다양한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페어링 판단 모듈(133)은 페어링패턴 검색 유닛, 페어링신호 생성 유닛, 및 페어링 표시 유닛을 포함한다. 페어링패턴 검색 유닛은 패턴 저장 모듈(131)에 페어링 패턴으로 저장된 뇌파 패턴과 일치하는 뇌파의 발생 여부를 검색하는데, 페어링 패턴은 한곳을 집중적으로 주시하는 동작 시에 발생하는 뇌파 패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사용자가 TV, 조명 등을 계속 주시할 때 뇌파의 변화가 발생하는데 페어링패턴 검색 유닛은 이러한 뇌파의 변화를 탐지한다. 한곳을 집중하여 주시하면 SMR파와 중간 베타파의 세기가 증가하고 세타파의 세기가 감소하는데, 이러한 뇌파의 변화가 나타나면 페어링패턴 검색 유닛은 패어링 패턴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페어링신호 생성 유닛은 페어링 신호를 전자기기로 전송하여 전자기기가 구동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도록 대기 상태로 전환한다. 페어링 표시 유닛은 소리 또는 LED 램프를 이용하여 페어링이 실행 중임을 알린다. 이에 사용자는 자신의 의도에 따라 기기가 구동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뇌파의 발생을 위한 생각이나 동작을 취할 수 있다.
구동 판단 모듈(135)은 패턴저장 모듈(131)에 저장된 구동 패턴과 수신된 뇌파의 변화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구동 판단 모듈(135)은 알파파의 증가와 감소가 기절 설정된 기간 내에 2회 이상 반복되는 경우 패턴이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사용자가 3초 간격으로 눈을 감고 뜨는 동작을 반복할 경우, 폐안 시에는 알파파가 증가하고 폐안 시에는 알파파가 감소하는데, 이러한 알파파의 증감 패턴이 패턴 저장 모듈(131)에 저장되고, 구동 판단 모듈(135)은 이러한 패턴의 일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구동 판단 모듈(135)은 SMR파와 중간 베타파의 증가가 기 설정된 기간 내에 2회 이상 반복되는 경우 패턴이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구동 확인부(140)는 패턴 비교부(130)에서 패턴이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최종적으로 구동 의사가 있는지를 확인하는데, 그림과 문자를 교차 제시하여 뇌파 변화를 판단한다. 그림 표시 모듈(141), 문자 표시 모듈(142), 뇌파변화 인식 모듈(143), 구동신호 생성 모듈(145)을 포함한다.
그림 표시 모듈(141)은 TV 또는 기타 표시패널에 그림을 표시한다. 그림은 화면에 표시될 수도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TV 프레임에 LED 램프(31) 형태로 표시될 수도 있다. 그림은 도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인물화, 수채화, 유화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문자 표시 모듈(142)은 TV 또는 기타 표시패널에 그림을 표시한다. 그림은 화면에 표시될 수도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TV 프레임에 LED 램프(32) 형태로 표시될 수도 있다. 문자는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한 단어 또는 문장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뇌파변화 인식 모듈(143)은 그림을 제시할 때의 뇌파의 변화와 문자를 제시할 때의 뇌파의 변화를 판단한다. 뇌파변화 인식 모듈(143)은 그림을 제시할 때 세타파의 세기가 낮아지고 SMR파와 중간 베타파의 세기가 높아지는 것을 구동 의사가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뇌파변화 인식 모듈(143)은 그림에서 문자로 변경하여 제시할 때, 그림을 제시하는 경우에 비하여 세타파의 세기가 높아지고 중간 베타파의 세기가 낮아지는 것을 구동 의사가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뇌파변화 인식 모듈(143)은 그림을 제시할 때 우측 반구에서 알파파 세기가 감소하고 좌측 반구에서는 알파파의 변화가 없으며, 글자를 제시할 때 좌측 반구에서 알파파의 세기가 감소하고, 우측 반구에 알파파의 변화가 없는 것을 구동 의사가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사람이 그림과 문자를 인식할 때 각기 다른 뇌파 패턴을 보이는데, 그림과 문자를 인식하는 경우 모두 배경 뇌파에 비하여 세타파의 세기가 감소하며 그림을 인식하는 경우에는 배경 뇌파에 비하여 SMR파와 중간 베타파의 세기가 유의미하게 증간한다. SMR파와 중간 베타파의 세기는 전압의 세기로 측정될 수 있다. 또한 사람이 문자를 인식하는 경우에 그림을 제시하는 경우에 비하여 세타파의 세기가 높아지고 중간 베타파의 세기가 유의미하게 낮아진다.
또한 놔파의 종류가 아닌 알파파의 변화를 영역별로 나누어 판단하면 언어적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에는 좌측 반구에서 알파파의 세기가 감소하고, 우측 반구에 알파파의 변화가 없으며, 그림을 보는 등의 공간적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에는 우측 반구에서 알파파 세기가 감소하고 좌측 반구에서는 알파파의 변화가 없다.
구동신호 생성 모듈(145)은 수신된 뇌파가 그림과 문자의 제시에 따라 변하는 뇌파와 일치하는 경우 전자기기를 구동하는 신호를 생성한다. 구동신호 생성 모듈(145)은 적외선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블루투스, 와이파이 등의 무선 통신으로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패턴 비교부에서 구동 패턴과 일치하는 패턴이 수신된 것으로 판단되면 문자와 그림을 제시하여 사용자의 뇌파 변화를 다시 한번 확인한다. 뇌파가 잘못 판단된 경우에는 사용자가 전자 기기를 주시하고 있지 않으므로 그림과 문자의 변화에 따른 뇌파 변화가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사용자가 구동 의사를 가진 경우에는 전자기기를 주시하고 있으므로 그림과 문자의 변화를 인식하여 뇌파의 변화가 발생하고 이에 따라 전자 기기가 구동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구동패턴 및 뇌파를 이용한 전자기기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제1 실시예에 따른 구동패턴 및 뇌파를 이용한 전자기기 구동 방법은 뇌파 수신 단계(S101), 뇌파 분석 단계(S102), 페어링 판단 단계(S103), 구동 판단 단계(S104), 교차 표시 단계(S105), 뇌파변화 판단 단계(S106), 및 구동신호 생성 단계(S107)를 포함한다.
뇌파 수신 단계(S101)는 뇌파수신부(110)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다수의 전극을 사용자의 두피에 부착하여, 전극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뇌파를 수신한다. 예를 들면, 다수의 전극 중 그라운드 전극이 사용자의 두피 중앙에 배치되고, 그 양측으로 우뇌용 전극과 좌뇌용 전극이 동일한 개수로 사용자의 두피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뇌파를 수신한. 이 때, 뇌파 수신 단계(S101)는 사용자의 전두엽영역에 대한 뇌파 또는 전두엽을 제외한 영역에 대한 뇌파 등을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다.
뇌파수신부(110)는 밴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모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뇌파 수신부(110)는 스마트폰과 데이터 케이블로 연결된 전극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뇌파 분석 단계(S102)는 수신된 뇌파로부터 수신된 뇌파로부터 주파수에 따른 뇌파의 종류를 분류하여 추출하는데, 수신된 뇌파로부터 알파파, 베타파, 세타파, 델타파, 및 감마파를 추출한다. 뇌파 분석 단계(S102)는 증폭 단계와 필터링 단계와 AD 변환 단계를 포함한다.
증폭 단계는 증폭 모듈(121)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증폭기를 이용하여 뇌파 수신부(110)에서 수신한 수십 μV~ 수십 mV의 뇌파를 3 ~ 5V로 증폭시킨다.
필터링 단계는 필터 모듈(123)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다수의 아날로그 필터를 이용하여 증폭된 뇌파에 포함된 각종 노이즈를 필터링한다. 이 때, 필터는 고대역통과필터(high pass filter), 대역통과필터(band pass filter), 대역저지필터(band stop filter), 저역통과필터(low pass filter)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필터링 단계는 고대역통과필터를 이용하여 DC전압, 호흡, 몸 움직임, 눈 깜빡임 등에 의한 노이즈를 1차적으로 제거하는 고대역 필터링 단계와 대역통과필터를 이용하여 측정하고자 하는 주파수 대역범위를 갖는 뇌파를 필터링하는 밴드 패스 필터링 단계를 포함한다.
필터링 단계는 대역저지필터를 이용하여 50Hz 또는 60Hz의 전원공급에 따른 노이즈를 제거하는 대역저지 필터링 단계와 저역통과필터를 이용하여 뇌파를 대역제한 시켜 왜곡현상을 방지하고, 뇌파 복원 시 발생하는 왜곡현상을 방지하는 저역통과 필터링 단계를 더 포함한다. AD 변환 단계는 AD 변환 모듈(125)을 이용하여 아날로그 상태의 뇌파를 디지털화 한다.
페어링 판단 단계(S103)는 페어링 판단 모듈(133)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페어링 패턴 검색 단계, 페어링 신호 생성 단계, 및 페어링 표시 단계를 포함한다.
페어링 패턴 검색 단계는 페어링패턴의 발생 여부를 검색하는데, 패턴 저장 모듈(131)에 페어링패턴으로 저장된 뇌파 패턴과 일치하는 뇌파의 발생 여부를 검색한다. 페어링 패턴은 한곳을 집중적으로 주시하는 동작 시에 발생하는 뇌파 패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사용자가 TV를 계속 주시할 때 뇌파의 변화가 발생하는데 페어링 패턴 검색 단계는 이러한 뇌파의 변화를 탐지한다.
페어링 신호 생성 단계는 페어링 신호를 전자기기로 전송하여 전자기기가 구동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도록 대기 상태로 전환한다. 페어링 표시 단계는 소리 또는 LED 램프를 이용하여 페어링이 실행 중임을 알린다.
구동 판단 단계(S104)는 구동 판단 모듈(135)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패턴저장 모듈(131)에 저장된 구동 패턴과 수신된 뇌파의 변화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구동 판단 단계(S104)는 알파파의 증가와 감소가 기절 설정된 기간 내에 2회 이상 반복되는 경우 패턴이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사용자가 3초 간격으로 눈을 감고 뜨는 동작을 반복할 경우, 폐안 시에는 알파파가 증가하고 폐안 시에는 알파파가 감소하는데, 이러한 알파파의 증감 패턴이 패턴 저장 모듈(131)에 저장되고, 구동 판단 단계(S104)는 이러한 패턴의 일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구동 판단 단계(S104)는 SMR파와 중간 베타파의 증가가 기 설정된 기간 내에 2회 이상 반복되는 경우 패턴이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가 그림 또는 문자를 인식하는 경우에는 SMR파와 중간 베타파가 증가하는데 구동 판단 단계(S104)는 이러한 패턴의 일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교차 표시 단계(S105)는 구동 판단 단계에서 패턴이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최종적으로 구동 의사가 있는지를 확인하는데, 그림과 문자를 교차 제시한다. 교차 표시 단계(S105)는 그림 표시 단계와 문자 표시 단계를 포함한다.
그림 표시 단계는 그림 표시 모듈(141)에 의하여 수행되며 TV 또는 기타 표시패널에 그림을 표시한다. 그림은 화면에 표시될 수도 있으며 같이 TV 프레임에 LED 램프 형태로 표시될 수도 있다. 그림은 도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인물화, 수채화, 유화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문자 표시 단계는 문자 표시 모듈(142)에 의하여 수행되며 TV 또는 기타 표시패널에 그림을 표시한다. 그림은 화면에 표시될 수도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TV 프레임에 LED 램프 형태로 표시될 수도 있다. 문자는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한 단어 또는 문장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뇌파변화 판단 단계(S106)는 뇌파변화 인식 모듈(143)을 이용하여 그림을 제시할 때의 뇌파의 변화와 문자를 제시할 때의 뇌파의 변화를 판단한다. 뇌파변화 판단 단계(S106)는 그림을 제시할 때 세타파의 세기가 낮아지고 SMR파와 중간 베타파의 세기가 높아지는 것을 구동 의사가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디. 또한, 뇌파변화 판단 단계(S106)는 그림에서 문자로 변경하여 제시할 때, 그림을 제시하는 경우에 비하여 세타파의 세기가 높아지고 중간 베타파의 세기가 낮아지는 것을 구동 의사가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뇌파변화 판단 단계(S106)는 그림을 제시할 때 우측 반구에서 알파파 세기가 감소하고 좌측 반구에서는 알파파의 변화가 없으며, 글자를 제시할 때 좌측 반구에서 알파파의 세기가 감소하고, 우측 반구에 알파파의 변화가 없는 것을 구동 의사가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구동신호 생성 단계(S107)는 수신된 뇌파가 그림과 문자의 제시에 따라 변하는 뇌파와 일치하는 경우 전자기기를 구동하는 신호를 생성한다. 구동신호 생성 모듈(145)은 적외선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블루투스, 와이파이 등의 무선 통신으로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뇌파를 이용한 전자기기 구동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제1 실시예에 따른 뇌파를 이용한 전자기기 구동 장치(200)는 뇌파 수신부(210), 뇌파 분석부(220), 패턴 비교부(230), 및 구동 확인부(240)를 포함한다.
본 제1 실시예에 따른 뇌파를 이용한 전자기기 구동 장치(200)는 거실이나 안방 등에서 사용자(20)가 쇼파에 앉아서 뇌파 측정기가 구비된 모자(20)를 사용하여 뇌파만을 이용하여 TV(30), 전등, 오디오 등을 온(ON) 또는 오프(OFF) 시킬 수 있는 장치이다.
뇌파 수신부(210)는 다수의 전극을 사용자의 두피에 부착하여, 상기 전극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뇌파를 수신한다. 예를 들면, 다수의 전극 중 그라운드 전극이 사용자의 두피 중앙에 배치되고, 그 양측으로 우뇌용 전극과 좌뇌용 전극이 동일한 개수로 사용자의 두피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뇌파를 수신한다. 이 때, 뇌파 수신부(210)는 사용자(20)의 전두엽 영역에 대한 뇌파 또는 전두엽을 제외한 영역에 대한 뇌파 등을 선택하여 수신한다. 뇌파 수신부(210)는 밴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모자(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뇌파 수신부(210)는 스마트폰과 데이터 케이블로 연결된 전극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뇌파 분석부(220)는 수신된 뇌파로부터 수신된 뇌파로부터 주파수에 따른 뇌파의 종류를 분류하여 추출하는데, 수신된 뇌파로부터 알파파, 베타파, 세타파, 델타파, 및 감마파를 추출한다. 뇌파 분석부(220)는 증폭 모듈(221)과 필터 모듈(223), AD 변환 모듈(225)을 포함한다.
증폭 모듈(221)은 내부에 증폭기를 구비하고, 증폭기를 통해 뇌파 수신부(210)에서 수신한 수십 μV~ 수십 mV의 뇌파를 3 ~ 5V로 증폭시켜, 수신된 뇌파 분석을 용이하게 하도록 한다.
필터 모듈(223)은 다수의 아날로그 필터를 구비하여 증폭모듈(221)에서 증폭된 뇌파에 포함된 각종 노이즈를 필터링한다. 이 때, 필터는 고대역통과필터(high pass filter), 대역통과필터(band pass filter), 대역저지필터(band stop filter), 저역통과필터(low pass filter)로 구성된다. 이러한 고대역통과필터는 DC전압, 호흡, 몸 움직임, 눈 깜빡임 등에 의한 노이즈를 1차적으로 제거하고, 대역통과필터는 측정하고자 하는 주파수 대역범위를 갖는 뇌파를 필터링한다. 대역저지필터는 50Hz 또는 60Hz의 전원공급에 따른 노이즈를 제거하고, 저역통과필터는 뇌파를 대역제한 시켜 왜곡현상을 방지하고, 뇌파 복원 시 발생하는 왜곡현상을 방지한다. AD변환모듈(224)은 필터모듈(223)을 통해 추출한 아날로그 상태의 뇌파를 디지털화한다.
패턴 비교부(230)는 뇌파 신호 중에서 알파파, 베타파, 세타파, 및 감마파의 증감을 비교하고, 추출된 뇌파의 변화를 기 저장된 패턴과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한다. 패턴 비교부(230)는 패턴 저장 모듈(231)과 페어링 판단 모듈(233), 및 구동 판단 모듈(235)을 포함한다.
패턴 저장 모듈(231)은 기 설정된 뇌파 변화 패턴을 저장하는데 패턴 저장 모듈에는 전자기기와의 연결을 위한 페어링 패턴(pairing pattern)과 전자기기의 구동을 위한 구동 패턴이 저장된다. 뇌파 변화 패턴은 알파파의 변화 패턴, SMR파의 변화 패턴, 중간 베타파의 변화 패턴, 고 베타파의 변화 패턴, 세타파의 변화 패턴, 감마파의 변화 패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서, 1부터 10까지 머리속으로 숫자를 세는 경우와, 머리 속으로 애국가를 부르는 경우에는 서로 다른 뇌파가 발생하는데 이러한 뇌파의 변화 패턴이 패턴 저장 모듈(231)에 저장된다. 또한 눈을 감을 때 변화하는 뇌파의 패턴이나 문자나 그림을 인식할 때 변화하는 뇌파의 패턴이 패턴 저장 모듈에 저장된다. 패턴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동일 한 패턴이 적어도 2회 이상 반복되는 것으로 설정되며, 시간은 1초, 에서 1분까지 다양한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페어링 판단 모듈(233)은 페어링패턴 검색 유닛, 페어링신호 생성 유닛, 및 페어링 표시 유닛을 포함한다. 페어링패턴 검색 유닛은 패턴 저장 모듈(231)에 페어링 패턴으로 저장된 뇌파 패턴과 일치하는 뇌파의 발생 여부를 검색하는데, 페어링 패턴은 한곳을 집중적으로 주시하는 동작 시에 발생하는 뇌파 패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사용자가 TV를 계속 주시할 때 뇌파의 변화가 발생하는데 페어링패턴 검색 유닛은 이러한 뇌파의 변화를 탐지한다.
페어링신호 생성 유닛은 페어링 신호를 전자기기로 전송하여 전자기기가 구동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도록 대기 상태로 전환한다. 페어링 표시 유닛은 소리 또는 LED 램프를 이용하여 페어링이 실행 중임을 알린다. 이에 사용자는 자신의 의도에 따라 기기가 구동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뇌파의 발생을 위한 생각이나 동작을 취할 수 있다.
구동 판단 모듈(235)은 패턴저장 모듈(231)에 저장된 구동 패턴과 수신된 뇌파의 변화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구동 판단 모듈(235)은 문제를 제시하는 문제 제시 유닛(235a)과 사고패턴 판단 유닛(235b)을 포함한다. 문제 제시 유닛(235a)은 간단한 곱셈 등의 수학 계산식을 음성 또는 문자로 표시할 수 있다. 문자는 별도의 표시 패널에 표시할 수 있으며 TV화면에 표시할 수도 있다. 사고패턴 판단 유닛(235b)은 문제를 읽을 때 나타나는 뇌파의 변화와 문제에 대한 해답을 구할 때 나타나는 뇌파의 변화를 판단한다.
사고패턴 판단 유닛(235b)은 문제를 읽을 때 좌두정엽에서 알파파의 세기가 높아지고 문제에 대한 해답을 구할 때 우두정엽에서 알파파의 세기가 높아지는 것을 구동 의사가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문제를 읽으며 속으로 인지하는 동안 알파파의 활성도는 좌두정엽에서 알파파의 세기가 높아지고 좌전두엽과 우전두엽에서 알파파의 세기가 낮아진다. 또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사고하는 동안 우두정엽에서 알파파의 세기가 높아지고 좌전두엽과 우전두엽, 좌측두엽과 우측두엽의 세기가 낮아진다.
이러한 패턴 변화가 발생하면 사고패턴 판단 유닛(235b)은 사용자가 전자 기기의 구동 의사를 갖고 문제를 인식하고 사고하고 있는 것이므로 전자기기의 구동 의사가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구동 확인부(240)는 패턴 비교부(230)에서 패턴이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최종적으로 구동 의사가 있는지를 확인하는데, 그림과 문자를 교차 제시하여 뇌파 변화를 판단한다. 그림 표시 모듈(241), 문자 표시 모듈(242), 뇌파변화 인식 모듈(243), 구동신호 생성 모듈(245)을 포함한다.
그림 표시 모듈(241)은 TV 또는 기타 표시패널에 그림을 표시한다. 그림은 화면에 표시될 수도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TV 프레임에 LED 램프(31) 형태로 표시될 수도 있다. 그림은 도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인물화, 수채화, 유화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문자 표시 모듈(242)은 TV 또는 기타 표시패널에 그림을 표시한다. 그림은 화면에 표시될 수도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TV 프레임에 LED 램프(32) 형태로 표시될 수도 있다. 문자는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한 단어 또는 문장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뇌파변화 인식 모듈(243)은 그림을 제시할 때의 뇌파의 변화와 문자를 제시할 때의 뇌파의 변화를 판단한다. 뇌파변화 인식 모듈(243)은 그림을 제시할 때 세타파의 세기가 낮아지고 SMR파와 중간 베타파의 세기가 높아지는 것을 구동 의사가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뇌파변화 인식 모듈(243)은 그림에서 문자로 변경하여 제시할 때, 그림을 제시하는 경우에 비하여 세타파의 세기가 높아지고 중간 베타파의 세기가 낮아지는 것을 구동 의사가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뇌파변화 인식 모듈(243)은 그림을 제시할 때 우측 반구에서 알파파 세기가 감소하고 좌측 반구에서는 알파파의 변화가 없으며, 글자를 제시할 때 좌측 반구에서 알파파의 세기가 감소하고, 우측 반구에 알파파의 변화가 없는 것을 구동 의사가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사람이 그림과 문자를 인식할 때 각기 다른 뇌파 패턴을 보이는데, 그림과 문자를 인식하는 경우 모두 배경 뇌파에 비하여 세타파의 세기가 감소하며 그림을 인식하는 경우에는 배경 뇌파에 비하여 SMR파와 중간 베타파의 세기가 유의미하게 증간한다. SMR파와 중간 베타파의 세기는 전압의 세기로 측정될 수 있다. 또한 사람이 문자를 인식하는 경우에 그림을 제시하는 경우에 비하여 세타파의 세기가 높아지고 중간 베타파의 세기가 유의미하게 낮아진다.
또한 놔파의 종류가 아닌 알파파의 변화를 영역별로 나누어 판단하면 언어적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에는 좌측 반구에서 알파파의 세기가 감소하고, 우측 반구에 알파파의 변화가 없으며, 그림을 보는 등의 공간적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에는 우측 반구에서 알파파 세기가 감소하고 좌측 반구에서는 알파파의 변화가 없다.
구동신호 생성 모듈(245)은 수신된 뇌파가 그림과 문자의 제시에 따라 변하는 뇌파와 일치하는 경우 전자기기를 구동하는 신호를 생성한다. 구동신호 생성 모듈(245)은 적외선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블루투스, 와이파이 등의 무선 통신으로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패턴 비교부에서 구동 패턴과 일치하는 패턴이 수신된 것으로 판단되면 문자와 그림을 제시하여 사용자의 뇌파 변화를 다시 한번 확인한다. 뇌파가 잘못 판단된 경우에는 사용자가 전자 기기를 주시하고 있지 않으므로 그림과 문자의 변화에 따른 뇌파 변화가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사용자가 구동 의사를 가진 경우에는 전자기기를 주시하고 있으므로 그림과 문자의 변화를 인식하여 뇌파의 변화가 발생하고 이에 따라 전자 기기가 구동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구동패턴 및 뇌파를 이용한 전자기기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제2 실시예에 따른 구동패턴 및 뇌파를 이용한 전자기기 구동 방법은 뇌파 수신 단계(S201), 뇌파 분석 단계(S202), 페어링 판단 단계(S203), 구동 판단 단계(S204), 교차 표시 단계(S205), 뇌파변화 판단 단계(S206), 및 구동신호 생성 단계(S207)를 포함한다.
뇌파 수신 단계(S201)는 뇌파수신부(210)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다수의 전극을 사용자의 두피에 부착하여, 전극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뇌파를 수신한다. 예를 들면, 다수의 전극 중 그라운드 전극이 사용자의 두피 중앙에 배치되고, 그 양측으로 우뇌용 전극과 좌뇌용 전극이 동일한 개수로 사용자의 두피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뇌파를 수신한. 이 때, 뇌파 수신 단계(S201)는 사용자의 전두엽영역에 대한 뇌파 또는 전두엽을 제외한 영역에 대한 뇌파 등을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다.
뇌파수신부(210)는 밴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모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뇌파 수신부(210)는 스마트폰과 데이터 케이블로 연결된 전극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뇌파 분석 단계(S202)는 수신된 뇌파로부터 수신된 뇌파로부터 주파수에 따른 뇌파의 종류를 분류하여 추출하는데, 수신된 뇌파로부터 알파파, 베타파, 세타파, 델타파, 및 감마파를 추출한다. 뇌파 분석 단계(S202)는 증폭 단계와 필터링 단계와 AD 변환 단계를 포함한다.
증폭 단계는 증폭 모듈(221)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증폭기를 이용하여 뇌파 수신부(210)에서 수신한 수십 μV~ 수십 mV의 뇌파를 3 ~ 5V로 증폭시킨다.
필터링 단계는 필터 모듈(223)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다수의 아날로그 필터를 이용하여 증폭된 뇌파에 포함된 각종 노이즈를 필터링한다. 이 때, 필터는 고대역통과필터(high pass filter), 대역통과필터(band pass filter), 대역저지필터(band stop filter), 저역통과필터(low pass filter)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필터링 단계는 고대역통과필터를 이용하여 DC전압, 호흡, 몸 움직임, 눈 깜빡임 등에 의한 노이즈를 1차적으로 제거하는 고대역 필터링 단계와 대역통과필터를 이용하여 측정하고자 하는 주파수 대역범위를 갖는 뇌파를 필터링하는 밴드 패스 필터링 단계를 포함한다.
필터링 단계는 대역저지필터를 이용하여 50Hz 또는 60Hz의 전원공급에 따른 노이즈를 제거하는 대역저지 필터링 단계와 저역통과필터를 이용하여 뇌파를 대역제한 시켜 왜곡현상을 방지하고, 뇌파 복원 시 발생하는 왜곡현상을 방지하는 저역통과 필터링 단계를 더 포함한다. AD 변환 단계는 AD 변환 모듈(225)을 이용하여 아날로그 상태의 뇌파를 디지털화 한다.
페어링 판단 단계(S203)는 페어링 판단 모듈(233)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페어링 패턴 검색 단계, 페어링 신호 생성 단계, 및 페어링 표시 단계를 포함한다.
페어링 패턴 검색 단계는 페어링패턴의 발생 여부를 검색하는데, 패턴 저장 모듈(231)에 페어링패턴으로 저장된 뇌파 패턴과 일치하는 뇌파의 발생 여부를 검색한다. 페어링 패턴은 한곳을 집중적으로 주시하는 동작 시에 발생하는 뇌파 패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사용자가 TV를 계속 주시할 때 뇌파의 변화가 발생하는데 페어링 패턴 검색 단계는 이러한 뇌파의 변화를 탐지한다.
페어링 신호 생성 단계는 페어링 신호를 전자기기로 전송하여 전자기기가 구동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도록 대기 상태로 전환한다. 페어링 표시 단계는 소리 또는 LED 램프를 이용하여 페어링이 실행 중임을 알린다.
구동 판단 단계(S204)는 구동 판단 모듈(235)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패턴저장 모듈(231)에 저장된 구동 패턴과 수신된 뇌파의 변화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구동 판단 단계(S204)는 패턴저장 모듈(231)에 저장된 구동 패턴과 수신된 뇌파의 변화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구동 판단 단계(S204)는 문제를 제시하는 문제 제시 단계(S204-1)과 사고패턴 판단 단계(S204-2)를 포함한다. 문제 제시 단계(S204-1)은 간단한 곱셈 등의 수학 계산식을 음성 또는 문자로 표시할 수 있다. 문자는 별도의 표시 패널에 표시할 수 있으며 TV화면에 표시할 수도 있다. 사고패턴 판단 단계(S204-2)는 문제를 읽을 때 나타나는 뇌파의 변화와 문제에 대한 해답을 구할 때 나타나는 뇌파의 변화를 판단한다.
사고패턴 판단 단계(S204-1)은 문제를 읽을 때 좌두정엽에서 알파파의 세기가 높아지고 문제에 대한 해답을 구할 때 우두정엽에서 알파파의 세기가 높아지는 것을 구동 의사가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문제를 읽으며 속으로 인지하는 동안 알파파의 활성도는 좌두정엽에서 알파파의 세기가 높아지고 좌전두엽과 우전두엽에서 알파파의 세기가 낮아진다. 또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사고하는 동안 우두정엽에서 알파파의 세기가 높아지고 좌전두엽과 우전두엽, 좌측두엽과 우측두엽의 세기가 낮아진다.
사고패턴 판단 단계(S204-2)는 이러한 패턴 변화가 발생하면 사용자가 전자 기기의 구동 의사를 갖고 문제를 인식하고 사고하고 있는 것이므로 전자기기의 구동 의사가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교차 표시 단계(S205)는 구동 판단 단계에서 패턴이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최종적으로 구동 의사가 있는지를 확인하는데, 그림과 문자를 교차 제시한다. 교차 표시 단계(S205)는 그림 표시 단계와 문자 표시 단계를 포함한다.
그림 표시 단계는 그림 표시 모듈(241)에 의하여 수행되며 TV 또는 기타 표시패널에 그림을 표시한다. 그림은 화면에 표시될 수도 있으며 같이 TV 프레임에 LED 램프 형태로 표시될 수도 있다. 그림은 도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인물화, 수채화, 유화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문자 표시 단계는 문자 표시 모듈(242)에 의하여 수행되며 TV 또는 기타 표시패널에 그림을 표시한다. 그림은 화면에 표시될 수도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TV 프레임에 LED 램프 형태로 표시될 수도 있다. 문자는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한 단어 또는 문장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뇌파변화 판단 단계(S206)는 뇌파변화 인식 모듈(243)을 이용하여 그림을 제시할 때의 뇌파의 변화와 문자를 제시할 때의 뇌파의 변화를 판단한다. 뇌파변화 판단 단계(S206)는 그림을 제시할 때 세타파의 세기가 낮아지고 SMR파와 중간 베타파의 세기가 높아지는 것을 구동 의사가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디. 또한, 뇌파변화 판단 단계(S206)는 그림에서 문자로 변경하여 제시할 때, 그림을 제시하는 경우에 비하여 세타파의 세기가 높아지고 중간 베타파의 세기가 낮아지는 것을 구동 의사가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뇌파변화 판단 단계(S206)는 그림을 제시할 때 우측 반구에서 알파파 세기가 감소하고 좌측 반구에서는 알파파의 변화가 없으며, 글자를 제시할 때 좌측 반구에서 알파파의 세기가 감소하고, 우측 반구에 알파파의 변화가 없는 것을 구동 의사가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구동신호 생성 단계(S207)는 수신된 뇌파가 그림과 문자의 제시에 따라 변하는 뇌파와 일치하는 경우 전자기기를 구동하는 신호를 생성한다. 구동신호 생성 모듈(245)은 적외선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블루투스, 와이파이 등의 무선 통신으로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200: 전자기기 구동 장치
110, 210: 뇌파 수신부
120, 220: 뇌파 분석부
121, 221: 증폭 모듈
123, 223: 필터 모듈
125, 223: AD 변환 모듈
130, 230: 패턴 비교부
131, 231: 패턴 저장 모듈
133, 233: 패어링 판단 모듈
135, 235: 구동 판단 모듈
235a: 문제 제시 유닛
235b: 사고패턴 판단 유닛
140, 240: 구동 확인부
141, 241: 그림 표시 모듈
142, 242: 문자 표시 모듈
143, 243: 뇌파변화 판단 모듈
145, 245: 구동신호 생성 모듈

Claims (11)

  1. 사용자의 뇌파를 수신하는 뇌파 수신 단계;
    수신된 뇌파로부터 주파수에 따른 뇌파를 분류하여 추출하는 뇌파 분석 단계;
    추출된 뇌파의 변화가 페어링 패턴과 일치하는 것을 판단하여 페어링 신호를 발생시키는 페어링 판단 단계;
    상기 추출된 뇌파의 변화가 구동 패턴과 일치하는 것을 판단하는 구동 패턴 판단 단계;
    그림과 문자를 교차 제시하는 교차 표시 단계; 및
    그림을 제시할 때의 뇌파의 변화와 문자를 제시할 때의 뇌파의 변화를 판단하는 뇌파 변화 판단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패턴 및 뇌파를 이용한 전자기기 구동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페어링 판단 단계는 페어링 패턴의 발생 여부를 검색하는 페어링 패턴 검색 단계와 페어링 패턴이 발생하였을 때 페어링 신호를 생성하여 전자기기로 전송하는 페어링신호 생성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패턴 및 뇌파를 이용한 전자기기 구동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페어링 판단 단계는 소리 또는 LED 램프를 이용하여 페어링이 실행 중임을 알리는 페어링 표시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패턴 및 뇌파를 이용한 전자기기 구동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패턴 판단 단계는 알파파의 증가와 감소가 기절 설정된 기간 내에 2회 반복되는 경우 패턴이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패턴 및 뇌파를 이용한 전자기기 구동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패턴 판단 단계는 SMR파와 중간 베타파의 증가가 기 설정된 기간 내에 2회 반복되는 경우 패턴이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패턴 및 뇌파를 이용한 전자기기 구동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패턴 판단 단계는 문제를 제시하는 문제 제시 단계와 문제를 읽을 때 나타나는 뇌파의 변화와 문제에 대한 해답을 구할 때 나타나는 뇌파의 변화를 판단하는 사고패턴 판단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패턴 및 뇌파를 이용한 전자기기 구동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사고패턴 판단 단계는 문제를 읽을 때 좌두정엽에서 알파파의 세기가 높아지고 문제에 대한 해답을 구할 때 우두정엽에서 알파파의 세기가 높아질 때 구동 의사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패턴 및 뇌파를 이용한 전자기기 구동 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교차 표시 단계는 그림을 제시하는 그림 표시 단계와 문자를 표시하는 문자 표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패턴 및 뇌파를 이용한 전자기기 구동 방법.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뇌파 변화 판단 단계는 그림을 제시할 때 세타파의 세기가 낮아지고 SMR파와 중간 베타파의 세기가 높아질 때 구동 의사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패턴 및 뇌파를 이용한 전자기기 구동 방법.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뇌파 변화 판단 단계는 그림에서 글자로 변경하여 제시할 때, 그림을 제시하는 경우에 비하여 세타파의 세기가 높아지고 중간 베타파의 세기가 낮아지는 것을 구동 의사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패턴 및 뇌파를 이용한 전자기기 구동 방법.
  11.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뇌파 변화 판단 단계는 그림을 제시할 때 우측 반구에서 알파파 세기가 감소하고 좌측 반구에서는 알파파의 변화가 없으며, 글자를 제시할 때 좌측 반구에서 알파파의 세기가 감소하고, 우측 반구에 알파파의 변화가 없는 것을 구동 의사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패턴 및 뇌파를 이용한 전자기기 구동 방법.
KR1020150016025A 2015-02-02 2015-02-02 구동 패턴 및 뇌파를 이용한 전자기기 구동 방법 KR1016640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6025A KR101664027B1 (ko) 2015-02-02 2015-02-02 구동 패턴 및 뇌파를 이용한 전자기기 구동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6025A KR101664027B1 (ko) 2015-02-02 2015-02-02 구동 패턴 및 뇌파를 이용한 전자기기 구동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5256A KR20160095256A (ko) 2016-08-11
KR101664027B1 true KR101664027B1 (ko) 2016-10-13

Family

ID=56713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6025A KR101664027B1 (ko) 2015-02-02 2015-02-02 구동 패턴 및 뇌파를 이용한 전자기기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402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3863B1 (ko) 2011-06-29 2013-08-16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안정상태 시각유발전위를 이용한 qwerty 타입의 문자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 및 문자 입력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7374B1 (ko) * 2001-02-10 2003-09-13 학교법인 포항공과대학교 뇌파를 이용한 가전기기 원격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740881B1 (ko) * 2005-07-26 2007-07-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동일 이벤트에 대한 뇌파 데이터 동기화 장치 및 그 방법과그를 이용한 뇌파 분석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3863B1 (ko) 2011-06-29 2013-08-16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안정상태 시각유발전위를 이용한 qwerty 타입의 문자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 및 문자 입력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5256A (ko) 2016-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9121B1 (ko) 뇌파를 이용한 tv 구동 방법
KR20170096274A (ko) 뇌파를 이용한 감정 전송 시스템
KR101831757B1 (ko) 뇌파를 이용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및 뇌파를 이용한 스마트폰 페어링 장치
KR101612037B1 (ko) 뇌파를 이용한 전자기기 구동 장치
KR101769475B1 (ko) 패턴 생성부를 이용한 전자기기 구동 방법
KR101664027B1 (ko) 구동 패턴 및 뇌파를 이용한 전자기기 구동 방법
KR101727175B1 (ko) 뇌파를 이용한 스마트폰 페어링 방법
KR101664029B1 (ko) 뇌파를 이용한 전자기기 구동 방법
KR101884450B1 (ko) 뇌파를 이용한 전자기기 구동 장치
KR101664218B1 (ko) 뇌파를 이용한 전자기기 구동 장치
KR101842707B1 (ko) 뇌파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의 구동 방법
KR20170096276A (ko) 뇌파를 이용한 학습환경 제어 방법
KR101727150B1 (ko) 긍정 또는 부정의 뇌파를 이용한 전자기기 구동 방법
KR101727158B1 (ko) 긍정 또는 부정의 뇌파를 이용한 전자기기 구동 장치
KR20160095652A (ko) 뇌파를 이용한 it 디바이스 구동 방법
KR20160095267A (ko) 뇌파를 이용한 전자기기 구동 장치
KR20160095275A (ko) 패턴 생성부를 이용한 전자기기 구동 장치
KR20170096270A (ko) 뇌파를 이용한 에어컨 구동 장치
KR101664086B1 (ko) 뇌파를 이용한 전자기기 구동 방법
KR20160095268A (ko) 뇌파를 이용한 it 디바이스 구동 방법
KR20170096290A (ko) 뇌파를 이용한 환기 시스템의 구동 방법
KR20160095265A (ko) 뇌파를 이용한 조명 제어 장치
KR20160095272A (ko) 뇌파를 이용한 it 디바이스 구동 장치
KR20160095261A (ko) 뇌파를 이용한 조명 제어 방법
KR20160095243A (ko) 뇌파를 이용한 상태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