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0978B1 - 이동 단말기에서 메모리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에서 메모리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0978B1
KR101830978B1 KR1020110066172A KR20110066172A KR101830978B1 KR 101830978 B1 KR101830978 B1 KR 101830978B1 KR 1020110066172 A KR1020110066172 A KR 1020110066172A KR 20110066172 A KR20110066172 A KR 20110066172A KR 101830978 B1 KR101830978 B1 KR 1018309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execution
applications
mobile terminal
gps coordin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6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4862A (ko
Inventor
박홍준
정한빛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66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0978B1/ko
Publication of KR201300048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48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09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09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15Monitoring of peripheral devices
    • G06F1/3225Monitoring of peripheral devices of memory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93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by switching to a less power-consuming processor, e.g. sub-CPU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50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 G06F9/5094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where the allocation takes into account power or heat criteri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서 메모리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주기적으로 지피에스(GPS) 신호를 수신하여 GPS 좌표를 생성하며, 어플리케이션 실행 패턴을 기반으로 상기 GPS 좌표에 대응되는 메모리부 단에서 동작 중인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횟수를 확인하고, 상기 실행 횟수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종료 여부를 결정하며, 상기 결정 결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강제로 종료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패턴은 GPS 좌표별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들의 실행 횟수들이 데이터 베이스화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에서 메모리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A MEMORY IN A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 단말기에서 메모리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이동 단말기의 기능이 진보함에 따라 단순한 무선 통신 수단을 넘어 카메라 기능,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과 같이 무선 통신 외적인 기능들이 이동 단말기에 부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기능은 이동 단말기의 표시창 개선과 고속 통신의 실현에 의해 점차 활용 범위를 넓혀가고 있으며, 결국, 이동 단말기가 궁극적인 휴대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휴대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으로 사용되기 위해, 이동 단말기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그런데, 이동 단말기에서 한정된 메모리를 이용하여 여러 개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메모리 단에서 동작 중인 어플리케이션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속도가 점점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메모리 단에서 동작 중인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어플리케이션을 계속 동작시킴으로써 배터리를 소모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럼으로써,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메모리 또는 배터리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메모리 단에서 동작 중인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사용자의 실행 빈도가 낮은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에 따라 메모리 단에서 동작 중인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사용자의 실행 빈도가 낮은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장치는, 이동 단말기에서 메모리를 관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주기적으로 지피에스(GPS) 신호를 수신하여 GPS 좌표를 생성하는 GPS 수신부와, GPS 좌표별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들의 실행 횟수들이 데이터 베이스화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패턴을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패턴을 기반으로 상기 GPS 좌표에 대응되는 메모리부 단에서 동작 중인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횟수를 확인하고, 상기 실행 횟수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종료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 결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강제로 종료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이동 단말기에서 메모리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주기적으로 지피에스(GPS) 신호를 수신하여 GPS 좌표를 생성하며, 어플리케이션 실행 패턴을 기반으로 상기 GPS 좌표에 대응되는 메모리부 단에서 동작 중인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횟수를 확인하고, 상기 실행 횟수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종료 여부를 결정하며, 상기 결정 결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강제로 종료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패턴은 GPS 좌표별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들의 실행 횟수들이 데이터 베이스화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메모리 단에서 동작 중인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사용자의 실행 빈도가 낮은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함으로써, 메모리 또는 배터리의 효율성을 높이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에 따라 메모리 단에서 동작 중인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사용자의 실행 빈도가 낮은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함으로써, 메모리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메모리를 관리하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패턴을 업데이트하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는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서 메모리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주기적으로 지피에스(GPS) 신호를 수신하여 GPS 좌표를 생성하며, 어플리케이션 실행 패턴을 기반으로 상기 GPS 좌표에 대응되는 메모리부 단에서 동작 중인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횟수를 확인하고, 상기 실행 횟수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종료 여부를 결정하며, 상기 결정 결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강제로 종료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패턴은 GPS 좌표별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들의 실행 횟수들이 데이터 베이스화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는 제어부(101)와 키 입력부(103)와 지피에스(Global Positioning System, 이하 'GPS'라 한다) 수신부(105)와 메모리부(107)와 표시부(109)와 데이터 처리부(111)와 오디오 처리부(113)와 무선 송수신부(115)를 포함한다.
각 구성요소를 살펴보면, 무선 송수신부(115)는 이동 단말기의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무선 송수신부(115)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무선 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무선 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데이터 처리부(111)는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데이터 처리부(111)는 모뎀(MODEM) 및 코덱(CODEC)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코덱은 패킷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오디오 처리부(113)는 데이터 처리부(111)에서 출력되는 수신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재생하거나 마이크로부터 발생되는 송신 오디오 신호를 데이터 처리부(111)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키 입력부(103)는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 키들을 구비하며, 표시부(109)는 영상 신호를 화면으로 표시하며, 제어부(101)로부터 출력 요청되는 데이터를 표시한다. 그리고 GPS 수신부(105)는 다수의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되는 GPS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GPS 신호를 이용하여 GPS 좌표를 발생한 후, 제어부(101)로 출력한다.
그리고 메모리부(107)는 프로그램 메모리와 데이터 메모리를 포함한다. 여기서, 프로그램 메모리는 이동 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부팅(booting) 및 운영 시스템(Operating System, 이하 'OS'라 한다)를 저장하고, 데이터 메모리는 이동 단말기 동작 중에 발생되는 각종 데이터들을 저장한다.
특히, 메모리부(107)는 이동 단말기의 위치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실행 패턴을 저장한다. 여기서, 어플리케이션 실행 패턴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별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의 실행 횟수들을 나타낸 것으로, 표 1과 같은 형식으로 데이터 베이스화 될 수 있다.
GPS 좌표 어플리케이션 A 어플리케이션 B 어플리케이션 C
M, N 20 2 5
X, Y 4 1 10
여기서, (M, N)과 (X, Y)는 GPS 좌표를 나타내며, 어플리케이션 A, B와 C는 이동 단말기 내에서 실행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말한다. 표 1과 같은 어플리케이션 실행 패턴을 기반으로, 이동 단말기는 (M, N)의 GPS 좌표에서 어플리케이션 A가 20회, 어플리케이션 B가 2회, 어플리케이션 C가 5회 실행되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는 (X, Y)의 GPS 좌표에서 어플리케이션 A가 4회, 어플리케이션 B가 1회, 어플리케이션 C가 10회 실행되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메모리부(107)는 제어부(101)의 제어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실행 패턴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모리부(107)는 제어부(101)의 제어에 따라 (M, N)의 GPS 좌표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 A의 실행 횟수를 20회에서 21회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01)는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제어부(101)는 이동 단말기의 위치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패턴을 데이터 베이스화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제어부(101)는 사용자에 의해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요청되면, 요청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이동 단말기의 현재 위치에 대응되는 좌표를 확인한다. 이때, 제어부(101)는 GPS 수신부(105)로부터 GPS 좌표를 수신함으로써, 현재 위치에 대응되는 좌표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01)는 확인된 좌표에 대응되게 실행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횟수를 업데이트한다. 예를 들면, 메모리부(107)가 표 1과 같이 테이블화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패턴을 저장하고 있다면, 제어부(101)는 실행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GPS 좌표별 실행 횟수 중에서 확인된 좌표에 대응되는 실행 횟수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M, N)의 GPS 좌표에서 어플리케이션 A가 실행된 경우, 제어부(101)는 표 1에 기재된 (M, N)의 GPS 좌표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 A의 실행 횟수 20회를 21회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01)는 이동 단말기의 현재 위치에 대응되는 좌표를 주기적으로 확인한다. 이때, 제어부(101)는 GPS 수신부(105)로부터 GPS 좌표를 수신함으로써, 현재 위치에 대응되는 좌표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01)는 메모리부(107)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패턴을 기반으로 현재 메모리부(107) 단에서 동작 중인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실행 횟수가 낮은 어플리케이션을 강제로 종료한다.
이때, 제어부(101)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방안으로 어플리케이션을 강제로 종료할 수 있다.
첫 번째 방안은 다음과 같은 동작으로 수행된다.
제어부(101)는 확인된 GPS 좌표에 대응되는 메모리부(107) 단에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실행 횟수들을 확인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제어부(101)는 메모리부(107)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패턴을 검색하고, 검색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패턴을 이용하여 메모리부(107) 단에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들 각각이 확인된 GPS 좌표에서 실행된 실행 횟수를 확인한다. 이때, 어플리케이션 실행 패턴은 표 1과 같은 형식으로 나타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모리부(107) 단에서 동작 중인 어플리케이션이 어플리케이션 A와 B이고, GPS 좌표가 (X, Y)인 경우, 제어부(101)는 어플리케이션 A와 B의 GPS 좌표별 실행 횟수들 중에서 (X, Y)의 GPS 좌표에 대응되는 실행 횟수 4회와 1회를 확인한다.
그리고 제어부(101)는 확인된 어플리케이션들의 실행 횟수들 각각과 미리 지정된 제1 기준치를 비교한다. 만약에, 어플리케이션들의 실행 횟수들이 모두 제1기준치 이상이면, 제어부(101)는 어플리케이션 종료 동작을 끝낸다. 이와 달리, 어플리케이션들의 실행 횟수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제1 기준치 미만이면, 제어부(101)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강제로 종료한 후, 어플리케이션 종료 과정을 끝낸다. 즉, 제어부(101)는 메모리부(107) 단에서 동작 중인 어플리케이션들 중에서 실행 횟수가 제1 기준치 미만인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강제로 종료한다.
예를 들면, 제1 기준치가 2회이며, GPS 좌표가 (X, Y)이고 메모리부(107) 단에서 동작 중인 어플리케이션이 어플리케이션 A와 B이고, (X, Y)의 GPS 좌표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 A의 실행 횟수가 4회이고 어플리케이션 B의 실행 횟수가 1회인 경우, 제어부(101)는 어플리케이션 A의 실행 횟수가 제1 기준치보다 크므로, 어플리케이션 A의 동작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01)는 어플리케이션 B의 실행 횟수가 제1 기준치 미만이므로, 어플리케이션 B의 동작을 강제 종료할 수 있다.
그리고 두 번째 방안은 다음과 같은 동작으로 수행된다.
제어부(101)는 확인된 GPS 좌표에 대응되는 메모리부(107) 단에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실행 횟수들을 확인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제어부(101)는 메모리부(107)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패턴을 검색하고, 검색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패턴을 이용하여 메모리부(107) 단에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들 각각이 확인된 GPS 좌표에서 실행된 실행 횟수를 확인한다. 이때, 어플리케이션 실행 패턴은 표 1과 같은 형식으로 나타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모리부(107) 단에서 동작 중인 어플리케이션이 어플리케이션 A와 B이고, GPS 좌표가 (M, N)인 경우, 제어부(101)는 어플리케이션 A와 B의 GPS 좌표별 실행 횟수들 중에서 (M, N)의 GPS 좌표에 대응되는 실행 횟수 20회와 2회를 확인한다.
그리고 제어부(101)는 GPS 좌표에서의 어플리케이션들의 실행 횟수들 중에서 가장 큰 값을 가지는 최대 실행 횟수를 어플케이션들의 실행 횟수들 각각으로 나눔으로써 어플리케이션들의 사용 비율들을 결정한다. 그리고 제어부(101)는 결정된 어플리케이션들의 사용 비율들 각각과 미리 지정된 제2 기준치를 비교한다. 만약에, 어플리케이션들의 실행 횟수들이 모두 제2 기준치 이상이면, 제어부(101)는 어플리케이션의 종료 과정을 끝낸다. 이와 달리, 어플리케이션들의 사용 비율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제2 기준치 미만이면, 제어부(101)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강제 종료한 후, 어플리케이션 종료 과정을 끝낸다. 즉, 제어부(101)는 메모리부(107) 단에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들 중에서 사용 비율이 제2 기준치 미만인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강제 종료한다.
예를 들면, 제2 기준치가 0.2이며, GPS 좌표가 (X, Y)이고, 메모리부(107) 단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이 어플리케이션 A와 B이고, (X, Y)의 GPS 좌표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 A의 실행 횟수가 20회이고 어플리케이션 B의 실행 횟수가 2회인 경우, 제어부(101)는 어플리케이션 A와 B 중에서 최대 실행 횟수는 20회이므로, 최대 실행 횟수인 20회를 어플리케이션 A와 B의 실행 횟수들로 나눔으로써 어플리케이션 A의 사용 비율인 1과 어플리케이션 B의 사용 비율 0.1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01)는 어플리케이션 A의 사용 비율이 제2 기준치보다 크므로, 어플리케이션 A의 동작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01)는 어플리케이션 B의 사용 비율이 제2 기준치 미만이므로, 어플리케이션 B의 동작을 강제 종료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01)는 현재 위치를 벗어났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만약에, 현재 위치를 벗어났다면, 제어부(101)는 종료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전 상태로 복원한다. 즉, 제어부(101)는 메모리부(107) 단에서 종료된 어플리케이션을 다시 동작시킨다. 이와 달리, 현재 위치를 벗어나지 않았다면, 제어부(101)는 현재 위치를 벗어났는지 여부를 계속 확인한다.
이때, 제어부(101)는 주기적으로 GPS 수신부(105)로부터 GPS 좌표를 수신하고, 수신된 GPS 좌표와 203 단계에서 수신된 GPS 좌표를 비교한다. 그리고 비교 결과, GPS 좌표들이 서로 다르면, 제어부(101)는 현재 위치를 벗어난 것으로 결정할 수 있고, GPS 좌표들이 서로 동일하면, 현재 위치를 벗어나지 못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메모리를 관리하는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201 단계에서, 이동 단말기의 제어부(101)는 이동 단말기의 위치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패턴을 데이터 베이스화한 후, 203 단계로 진행한다. 도 3에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패턴을 데이터 베이스화하는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추후에, 도 3을 참조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패턴을 데이터 베이스화하는 과정을 설명하겠다.
그리고 203 단계에서, 제어부(101)는 이동 단말기의 현재 위치에 대응되는 좌표를 주기적으로 확인한 후, 205 단계로 진행한다. 이때, 제어부(101)는 GPS 수신부(105)로부터 GPS 좌표를 수신함으로써, 현재 위치에 대응되는 좌표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205 단계에서, 제어부(101)는 메모리부(107)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패턴을 기반으로 현재 메모리부(107) 단에서 동작 중인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실행 횟수가 낮은 어플리케이션을 강제로 종료한 후, 207 단계로 진행한다. 도 4와 도 5에는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는 흐름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추후에, 도 4와 5를 참조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는 과정을 설명하겠다.
그리고 207 단계에서, 제어부(101)는 이동 단말기가 현재 위치를 벗어났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만약에, 현재 위치를 벗어났다면, 제어부(101)는 209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207 단계를 계속 진행한다. 이때, 제어부(101)는 주기적으로 GPS 수신부(105)로부터 GPS 좌표를 수신하고, 수신된 GPS 좌표와 203 단계에서 수신된 GPS 좌표를 비교한다. 그리고 비교 결과, GPS 좌표들이 서로 다르면, 제어부(101)는 이동 단말기가 현재 위치를 벗어난 것으로 결정할 수 있고, GPS 좌표들이 서로 동일하면, 이동 단말기가 현재 위치를 벗어나지 못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209 단계에서, 제어부(101)는 205 단계에서 종료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전 상태로 복원한 후, 203 단계로 진행한다. 즉, 제어부(101)는 메모리부(107) 단에서 종료된 어플리케이션을 다시 동작시킨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패턴을 업데이트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301 단계에서, 제어부(101)는 사용자에 의해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요청되면, 요청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후, 303 단계로 진행한다. 그리고 303 단계에서, 제어부(101)는 이동 단말기의 현재 위치에 대응되는 좌표를 확인한 후, 305 단계로 진행한다. 이때, 제어부(101)는 GPS 수신부(105)로부터 GPS 좌표를 수신함으로써, 현재 위치에 대응되는 좌표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305 단계에서, 제어부(101)는 확인된 좌표에 대응되게 실행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횟수를 업데이트한다. 예를 들면, 메모리부(107)가 표 1과 같이 테이블화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패턴을 저장하고 있다면, 제어부(101)는 실행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GPS 좌표별 실행 횟수 중에서 확인된 좌표에 대응되는 실행 횟수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M, N)의 GPS 좌표에서 어플리케이션 A가 실행된 경우, 제어부(101)는 표 1에 기재된 (M, N)의 GPS 좌표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 A의 실행 횟수 20회를 21회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301 단계 내지 305 단계를 진행함으로써, 제어부(101)는 특정 위치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횟수를 업데이트함으로써 어플리케이션 실행 패턴을 데이터 베이스화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401 단계에서, 제어부(101)는 GPS 좌표에 대응되는 메모리부(107) 단에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실행 횟수들을 확인한 후, 403 단계로 진행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제어부(101)는 메모리부(107)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패턴을 검색하고, 검색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패턴을 이용하여 메모리부(107) 단에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들 각각이 GPS 좌표에서 실행된 실행 횟수를 확인한다. 이때, 어플리케이션 실행 패턴은 표 1과 같은 형식으로 나타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모리부(107) 단에서 동작 중인 어플리케이션이 어플리케이션 A와 B이고, GPS 좌표가 (X, Y)인 경우, 제어부(101)는 어플리케이션 A와 B의 GPS 좌표별 실행 횟수들 중에서 (X, Y)의 GPS 좌표에 대응되는 실행 횟수 4회와 1회를 확인한다.
그리고 403 단계에서, 제어부(101)는 GPS 좌표에서의 어플리케이션들의 실행 횟수들 각각과 미리 지정된 제1 기준치를 비교한다. 만약에, 어플리케이션들의 실행 횟수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제1 기준치 미만이면, 제어부(101)는 405 단계로 진행한다. 이와 달리, 어플리케이션들의 실행 횟수들이 모두 제1 기준치 이상이면, 제어부(101)는 어플리케이션 종료 과정을 끝낸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01)는 상기 실행 횟수들이 모두 제1 기준치 이상이면, 해당 어플리케이션들을 종료하지 않을 수 있다.
만약에, 405 단계로 진행하면, 제어부(101)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강제로 종료한 후, 어플리케이션 종료 과정을 끝낸다. 즉, 제어부(101)는 메모리부(107) 단에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들 중에서 실행 횟수가 제1 기준치 미만인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강제 종료한다. 예를 들면, 제1 기준치가 2회이며, GPS 좌표가 (M, N)이고 메모리부(107) 단에서 동작 중인 어플리케이션이 어플리케이션 A와 B이고, (M, N)의 GPS 좌표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 A의 실행 횟수가 4회이고 어플리케이션 B의 실행 횟수가 1회인 경우, 제어부(101)는 어플리케이션 A의 실행 횟수가 제1 기준치보다 크므로, 어플리케이션 A의 동작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01)는 어플리케이션 B의 실행 횟수가 제1 기준치 미만이므로, 어플리케이션 B의 동작을 강제 종료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501 단계에서, 제어부(101)는 203 단계에서 확인된 GPS 좌표에 대응되는 메모리부(107) 단에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실행 횟수들을 확인한 후, 503 단계로 진행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제어부(101)는 메모리부(107)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패턴을 검색하고, 검색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패턴을 이용하여 메모리부(107) 단에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들 각각이 GPS 좌표에서 실행된 실행 횟수를 확인한다. 이때, 어플리케이션 실행 패턴은 표 1과 같은 형식으로 나타날 수 있다.
그리고 503 단계에서, 제어부(101)는 GPS 좌표에서의 어플리케이션들의 실행 횟수들 중에서 가장 큰 값을 가지는 최대 실행 횟수를 어플케이션들의 실행 횟수들 각각으로 나눔으로써 어플리케이션들의 사용 비율들을 결정한다. 그리고 제어부(101)는 결정된 어플리케이션들의 사용 비율들 각각과 미리 지정된 제2 기준치를 비교한다. 만약에, 어플리케이션들의 사용 비율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제2 기준치 미만이면, 제어부(101)는 505 단계로 진행한다. 이와 달리, 어플리케이션들의 사용 비율들이 모두 제2 기준치 이상이면, 제어부(101)는 어플리케이션의 종료 과정을 끝낸다. 이때, 제어부(101)는 상기 사용 비율들이 제2 기준치 이상인 어플리케이션들을 종료하지 않을 수 있다.
만약에, 505 단계로 진행하면, 제어부(101)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강제 종료한 후, 어플리케이션 종료 과정을 끝낸다. 즉, 제어부(101)는 메모리부(107) 단에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들 중에서 사용 비율이 제2 기준치 미만인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강제 종료한다.
예를 들면, 제2 기준치가 0.2이며, GPS 좌표가 (X, Y)이고, 메모리부(107) 단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이 어플리케이션 A와 B이고, (X, Y)의 GPS 좌표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 A의 실행 횟수가 20회이고 어플리케이션 B의 실행 횟수가 2회인 경우, 제어부(101)는 어플리케이션 A와 B 중에서 최대 실행 횟수는 20회이므로, 최대 실행 횟수인 20회를 어플리케이션 A와 B의 실행 횟수들로 나눔으로써 어플리케이션 A의 사용 비율인 1과 어플리케이션 B의 사용 비율 0.1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01)는 어플리케이션 A의 사용 비율이 제2 기준치보다 크므로, 어플리케이션 A의 동작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01)는 어플리케이션 B의 사용 비율이 제2 기준치 미만이므로, 어플리케이션 B의 동작을 강제 종료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이동 단말기와 같은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특허 범위는 상기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균등 범위에도 미침은 자명할 것이다.
101: 제어부 103: 키 입력부
105: 지피에스부 107: 메모리부
109: 표시부 111: 데이터 처리부
113: 오디오 처리부 115: 무선 송수신부

Claims (12)

  1.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이동 단말기의 현재 GPS 좌표를 생성하는 GPS 수신부;
    GPS 좌표별로 어플리케이션들 각각의 실행 횟수들이 저장된 메모리부;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들 각각의 실행 횟수들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기 현재 GPS 좌표에 대한 상기 어플리케이션들 각각의 실행 비율들을 판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들 중 그 실행 비율이 미리 지정된 기준치 미만인 어플리케이션을 종료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현재 GPS 좌표를 이탈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현재 GPS 좌표를 이탈한 경우, 상기 종료된 어플리케이션을 재동작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행 횟수와 제1 기준치를 비교한 결과, 상기 실행 횟수가 상기 제1 기준치 미만인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들 각각의 실행 비율들은, 상기 어플리케이션들 각각의 상기 실행 횟수들 중 최대 실행 횟수를, 상기 실행 횟수들로 나눔으로써 결정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행 비율들이 상기 기준치 이상인 어플리케이션을 종료시키지 않음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들 각각이 실행된 시점의 GPS 좌표를 이용하여 상기 GPS 좌표별 상기 어플리케이션들 각각의 상기 실행 횟수들을 업데이트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이동 단말기에서 메모리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이동 단말기의 현재 GPS 좌표를 생성하는 단계;
    어플리케이션들 각각의 실행 횟수들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기 현재 GPS 좌표에 대한 상기 어플리케이션들 각각의 실행 비율들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들 중 그 실행 비율이 미리 지정된 기준치 미만인 어플리케이션을 종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GPS 좌표별로 어플리케이션들 각각의 실행 횟수들이 상기 이동 단말기의 메모리에 저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현재 GPS 좌표를 이탈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현재 GPS 좌표를 이탈한 경우, 상기 종료된 어플리케이션을 재동작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삭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 횟수와 제1 기준치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실행 횟수가 상기 제1 기준치 미만인 어플리케이션을 종료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 비율은, 상기 어플리케이션들 각각의 실행 횟수들 중 최대 실행 횟수를, 상기 실행 횟수들로 나눔으로써 결정되고,
    상기 실행 비율들이 상기 기준치 이상인 어플리케이션은 종료되지 않음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들 각각이 실행된 시점의 GPS 좌표를 이용하여 상기 GPS 좌표별 상기 어플리케이션들 각각의 상기 실행 횟수들을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10066172A 2011-07-04 2011-07-04 이동 단말기에서 메모리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8309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6172A KR101830978B1 (ko) 2011-07-04 2011-07-04 이동 단말기에서 메모리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6172A KR101830978B1 (ko) 2011-07-04 2011-07-04 이동 단말기에서 메모리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4862A KR20130004862A (ko) 2013-01-14
KR101830978B1 true KR101830978B1 (ko) 2018-02-22

Family

ID=47836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6172A KR101830978B1 (ko) 2011-07-04 2011-07-04 이동 단말기에서 메모리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09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24119B2 (en) 2014-07-01 2016-12-20 Naver Corporation Method, system and recording medium for optimizing of mobile device
KR101611548B1 (ko) * 2014-07-01 2016-04-14 네이버 주식회사 모바일 기기의 상태에 따른 최적화 방법과 시스템 및 기록 매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5892A (ja) * 2001-06-29 2003-01-17 Casio Comput Co Ltd 情報端末装置及びアプリケーション管理プログラム
JP2006163888A (ja) * 2004-12-08 2006-06-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アプリケーション管理装置
US20080207165A1 (en) 2007-02-26 2008-08-28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Limiting use of electronic equipment features based on location...
US20110072292A1 (en) 2009-09-22 2011-03-24 Microsoft Corporation Power management of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5892A (ja) * 2001-06-29 2003-01-17 Casio Comput Co Ltd 情報端末装置及びアプリケーション管理プログラム
JP2006163888A (ja) * 2004-12-08 2006-06-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アプリケーション管理装置
US20080207165A1 (en) 2007-02-26 2008-08-28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Limiting use of electronic equipment features based on location...
US20110072292A1 (en) 2009-09-22 2011-03-24 Microsoft Corporation Power management of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4862A (ko) 2013-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10356B2 (en) Voice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KR100690854B1 (ko) 멀티태스킹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멀티태스킹처리방법
WO2018121148A1 (zh) 一种通信资源选择方法,手持智能终端及接入设备
US8036193B2 (en) Advance notification of transmit opportunities on a shared-communications channel
WO2015058656A1 (zh) 直播控制方法,及主播设备
CN103677727A (zh) 移动终端和音频控制方法
KR101829566B1 (ko) 절전 상태 동안 무선 통신의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101830978B1 (ko) 이동 단말기에서 메모리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2005140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communication service of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relay function
KR20070000921A (ko) 무선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동시 통역 시스템
CN110704012A (zh) 一种音频数据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和介质
CN109413756B (zh) 一种随机接入方法及装置
WO2017193268A1 (zh) 上行数据传输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US795733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data service in portable terminal
CN110972320B (zh) 接收方法、发送方法、终端及网络侧设备
WO2018228409A1 (zh) 控制信息的传输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WO2019076289A1 (zh) 降低电子设备的功耗的方法以及电子设备
CN113225816B (zh) 物理上行控制信道传输方法、装置、设备及介质
JP6417747B2 (ja) 無線通信装置
US901529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ping interval in a portable terminal
CN111479319B (zh) 一种通信方法以及装置
CN109739641B (zh) 一种自适应cpu调频加速方法及装置、移动终端及存储介质
CN109391374B (zh) 一种数据传输方法、数据检测方法及装置
CN113498080A (zh) 控制信道检测方法、装置、终端、基站及存储介质
WO2021227855A1 (zh) 一种数据处理方法及相关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