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0612B1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0612B1
KR101830612B1 KR1020110119724A KR20110119724A KR101830612B1 KR 101830612 B1 KR101830612 B1 KR 101830612B1 KR 1020110119724 A KR1020110119724 A KR 1020110119724A KR 20110119724 A KR20110119724 A KR 20110119724A KR 101830612 B1 KR101830612 B1 KR 1018306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light emitting
substrate
stripe
black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972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53976A (en
Inventor
김우찬
배효대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19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0612B1/en
Publication of KR20130053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397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0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061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10K50/865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comprising light absorbing layers, e.g. light-blocking 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8Arrangements for polarized light e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광에 대한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파장별 투과율을 조절하여 유기 발광층의 빛 발생에 대한 전체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 예로, 제 1 면과 상기 제 1 면과 반대되는 제 2 면을 포함하며, 발광 영역과 비발광 영역을 가지는 기판; 상기 기판의 제 1 면 중 비발광 영역에 형성되는 박막 트랜지스터;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상에 형성되는 제 1 전극층; 상기 제 1 전극층 상에 형성되는 유기 발광층; 상기 유기 발광층 상에 형성되는 제 2 전극층; 상기 기판의 제 2 면 상에 형성되며, 투명 기재와 상기 투명 기재의 내부에 형성된 블랙 패턴을 포함하는 광차단층; 및 상기 광차단층 상에 형성되는 편광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가 개시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display device capable of improving the visibility of external light and reducing the total power consumption of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by controlling the transmittance according to wavelengths.
A substrate including a first surface and a second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the substrate having a light emitting region and a non-light emitting region; A thin film transistor formed in a non-emission region of the first surface of the substrate; A first electrode layer formed on the thin film transistor;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 layer; A second electrode layer formed 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A light blocking layer formed on the second surface of the substrate, the light blocking layer including a transparent substrate and a black pattern formed inside the transparent substrate; And a polarizing layer formed on the light blocking layer.

Description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ganic light-

본 발명은 외광에 대한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빛의 파장별 투과율을 조절하여 유기 발광층의 빛 발생에 대한 전체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display device capable of improving the visibility of external light and reducing the total power consumption of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by controlling the transmittance of each wavelength of light.

최근 정보화 시대에 발맞추어 디스플레이(display) 분야 또한 급속도로 발전해 왔고, 이에 부응해서 박형화, 경량화, 저소비전력화 장점을 지닌 평판 표시 장치(flat panel display device : FPD)로서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LCD), 플라즈마 표시 장치(plasma display panel device : PDP), 전기 발광 표시 장치(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 ELD), 전계 방출 표시 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 FED) 등이 소개되어 기존의 브라운관(cathode ray tube : CRT)을 빠르게 대체하며 각광받고 있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In recent years, the display field has rapidly developed in line with the information age. In response to this trend, a flat panel display device (FPD) having a thinness, light weight, A plasma display panel (PDP), an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ELD), and a 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FED) : CRT).

이 중,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양극과 음극을 통해 주입된 전공과 전자가 유기막에서 재결합하여 여기자(excition)를 형성하고 형성된 여기자로부터의 에너지에 의해 특정한 파장의 빛이 발생하는 현상을 이용한 자체 발광형 표시 소자이다. 이러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백 라이트 유닛과 같은 추가적인 면광원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넓은 시야각과 빠른 응답속도와 얇은 두께를 가지는 이점을 가진다.Among them,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has a structure in which electrons and electrons injected through the anode and the cathode are recombined in the organic layer to form an excitation, and self-emission using a phenomenon in which light of a specific wavelength is generated by energy from the excitons formed Type display element. Such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does not require an additional surface light source such as a backlight unit, has an advantage of having a wide viewing angle, a fast response speed and a thin thickness.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일 예로 기판과, 기판의 일면에 차례로 형성된 양극층, 유기 발광층 및 음극층를 포함한다. 여기서, 양극층은 투명 전극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음극층은 반사 전극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includes, for example, a substrate, and a cathode layer,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and a cathode layer sequentially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Here, the anode layer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electrode, and the cathode layer may be formed of a reflective electrode.

이와 같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반사 전극을 포함하기 때문에, 외광이 입사되는 경우 외광을 반사시켜 외광에 대한 시인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외광의 반사를 줄이는 편광층을 더 형성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가 개발되었다. 그런데, 상기 편광층은 유기 발광층으로부터 발생되는 빛의 투과를 감소시켜 유기 발광층의 빛 발생에 대한 전체 소비 전력을 증가시키는 문제가 있다. Since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includes the reflective electrode, there is a problem that when external light is incident, external light is reflected to lower the visibility of external light. Accordingly,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that further forms a polarizing layer for reducing reflection of external light has been developed. However, the polarizing layer has a problem of decreasing the transmission of light genera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thereby increasing the total power consumption for light generation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본 발명의 목적은 외광에 대한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빛의 파장별 투과율을 조절하여 유기 발광층의 빛 발생에 대한 전체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capable of improving visibility to external light and reducing the total power consumption of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by controlling the transmittance of each wavelength of light.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제 1 면과 상기 제 1 면과 반대되는 제 2 면을 포함하며, 발광 영역과 비발광 영역을 가지는 기판; 상기 기판의 제 1 면 중 비발광 영역에 형성되는 박막 트랜지스터;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상에 형성되는 제 1 전극층; 상기 제 1 전극층 상에 형성되는 유기 발광층; 상기 유기 발광층 상에 형성되는 제 2 전극층; 상기 기판의 제 2 면 상에 형성되며, 투명 기재와 상기 투명 기재의 내부에 형성된 블랙 패턴을 포함하는 광차단층; 및 상기 광차단층 상에 형성되는 편광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OLED display including: a substrate having a first surface and a second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the display having a light emitting region and a non-emitting region; A thin film transistor formed in a non-emission region of the first surface of the substrate; A first electrode layer formed on the thin film transistor;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 layer; A second electrode layer formed 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A light blocking layer formed on the second surface of the substrate, the light blocking layer including a transparent substrate and a black pattern formed inside the transparent substrate; And a polarizing layer formed on the light blocking layer.

상기 블랙 패턴은 상기 발광 영역에 복수의 제 1 스트라이프 라인으로 형성되는 제 1 블랙 패턴과, 상기 비발광 영역에 박막 트랜지스터와 대응되도록 하나의 제 2 스트라이프 라인으로 형성되는 제 2 블랙 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스트라이프 라인의 폭이 상기 제 1 스트라이프 라인의 폭 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스트라이프 라인의 폭이 상기 제 1 스트라이프 라인의 폭 보다 2 배 이상 클 수 있다.The black pattern includes a first black pattern formed of a plurality of first stripe lines in the emission region and a second black pattern formed of one second stripe line to correspond to the thin film transistor in the non-emission region, The width of the second stripe line may be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first stripe line. For example, the width of the second stripe line may be greater than twice the width of the first stripe line.

상기 블랙 패턴은 상기 발광 영역에 복수의 제 1 스트라이프 라인으로 형성되는 제 1 블랙 패턴과, 상기 비발광 영역에 박막 트랜지스터와 대응되도록 복수의 제 2 스트라이프 라인으로 형성되는 제 2 블랙 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스트라이프 라인의 폭이 상기 제 1 스트라이프 라인의 폭과 같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2 스트라이프 라인들의 개수가 상기 제 1 스트라이프 라인들의 개수 보다 더 많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스트라이프 라인들의 개수가 상기 제 1 스트라이프 라인들의 개수 보다 2 배 이상 더 많을 수 있다.Wherein the black pattern includes a first black pattern formed of a plurality of first stripe lines in the light emitting region and a second black pattern formed of a plurality of second stripe lines to correspond to the thin film transistor in the non- The width of the second stripe line may be equal to the width of the first stripe line. Here, the number of the second stripe lines may be greater than the number of the first stripe lines. For example, the number of the second stripe lines may be more than twice as many as the number of the first stripe lines.

상기 제 1 스트라이프 라인들의 높이가 상기 제 1 스트라이프 라인들의 피치 보다 클 수 있다.The height of the first stripe lines may be greater than the pitch of the first stripe lines.

상기 편광층은 선형 편광판(linear polarizer)과, 상기 선형 편광판과 상기 광차단층 사이에 형성되는 리타더(retarder)를 포함하며, 상기 투명 수지는 광등방성 수지일 수 있다. The polarizing layer includes a linear polarizer and a retarder formed between the linear polarizer and the light blocking layer, and the transparent resin may be an optically isotropic resin.

상기 선형 편광판은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에 염료를 염착시킨 후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을 연신시켜 형성되는 염료계 선형 편광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linear polarizer may be formed of a dye-based linear polarizer formed by dying a dye on a polyvinyl alcohol film and stretching the polyvinyl alcohol film.

상기 편광층은 400~500nm 파장의 투과율을 500~650nm 파장의 투과율보다 높이는 염료를 이용하여 형성된 염료 필터일 수 있다. The polarizing layer may be a dye filter formed by using a dye having a transmittance of 400 to 500 nm and a transmittance higher than a transmittance of 500 to 650 nm.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제 1 면과 상기 제 1 면과 반대되는 제 2 면을 포함하며, 발광 영역과 비발광 영역을 가지는 기판; 상기 기판의 제 1 면 중 비발광 영역에 형성되는 박막 트랜지스터;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상에 형성되는 제 1 전극층; 상기 제 1 전극층 상에 형성되는 유기 발광층; 상기 유기 발광층 상에 형성되는 제 2 전극층; 상기 기판의 제 2 면 상에 형성되는 편광층; 및 상기 편광층 상에 형성되며, 투명 기재와 상기 투명 기재의 내부에 형성된 블랙 패턴을 포함하는 광차단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OLED display comprising: a substrate having a first surface and a second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the display having a light emitting region and a non-emitting region; A thin film transistor formed in a non-emission region of the first surface of the substrate; A first electrode layer formed on the thin film transistor;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 layer; A second electrode layer formed 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A polarizing layer formed on a second surface of the substrate; And a light blocking layer formed on the polarizing layer and including a transparent substrate and a black pattern formed inside the transparent substrate.

상기 블랙 패턴은 상기 발광 영역에 복수의 제 1 스트라이프 라인으로 형성되는 제 1 블랙 패턴과, 상기 비발광 영역에 박막 트랜지스터와 대응되도록 하나의 제 2 스트라이프 라인으로 형성되는 제 2 블랙 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스트라이프 라인의 폭이 상기 제 1 스트라이프 라인의 폭 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스트라이프 라인의 폭이 상기 제 1 스트라이프 라인의 폭 보다 2 배 이상 클 수 있다.The black pattern includes a first black pattern formed of a plurality of first stripe lines in the emission region and a second black pattern formed of one second stripe line to correspond to the thin film transistor in the non-emission region, The width of the second stripe line may be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first stripe line. For example, the width of the second stripe line may be greater than twice the width of the first stripe line.

상기 블랙 패턴은 상기 발광 영역에 복수의 제 1 스트라이프 라인으로 형성되는 제 1 블랙 패턴과, 상기 비발광 영역에 박막 트랜지스터와 대응되도록 복수의 제 2 스트라이프 라인으로 형성되는 제 2 블랙 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스트라이프 라인의 폭이 상기 제 1 스트라이프 라인의 폭과 같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2 스트라이프 라인들의 개수가 상기 제 1 스트라이프 라인들의 개수 보다 더 많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스트라이프 라인들의 개수가 상기 제 1 스트라이프 라인들의 개수 보다 2 배 이상 더 많을 수 있다.Wherein the black pattern includes a first black pattern formed of a plurality of first stripe lines in the light emitting region and a second black pattern formed of a plurality of second stripe lines to correspond to the thin film transistor in the non- The width of the second stripe line may be equal to the width of the first stripe line. Here, the number of the second stripe lines may be greater than the number of the first stripe lines. For example, the number of the second stripe lines may be more than twice as many as the number of the first stripe lines.

상기 제 1 스트라이프 라인들의 높이가 상기 제 1 스트라이프 라인들의 피치 보다 클 수 있다.The height of the first stripe lines may be greater than the pitch of the first stripe lines.

상기 편광층은 광차단층과 접하는 선형 편광판(linear polarizer)과, 상기 기판의 제 2 면과 상기 선형 편광판 사이에 형성되는 리타더(retarder)를 포함할 수 있다.The polarizing layer may include a linear polarizer in contact with the light blocking layer, and a retarder formed between the second surface of the substrate and the linear polarizer.

상기 선형 편광판은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에 염료를 염착시킨 후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을 연신시켜 형성되는 염료계 선형 편광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linear polarizer may be formed of a dye-based linear polarizer formed by dying a dye on a polyvinyl alcohol film and stretching the polyvinyl alcohol film.

상기 편광층은 400~500nm 파장의 투과율을 500~650nm 파장의 투과율보다 높이는 염료를 이용하여 형성된 염료 필터일 수 있다.The polarizing layer may be a dye filter formed by using a dye having a transmittance of 400 to 500 nm and a transmittance higher than a transmittance of 500 to 650 nm.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투명 수지와 블랙 패턴을 포함하는 광차단층을 구비함으로써, 광차단층을 통해 외광의 일부를 흡수하여 외부로 외광이 반사되는 반사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ght blocking layer including a transparent resin and a black pattern, thereby absorbing a part of the external light through the light blocking layer and reducing the reflectance of the external light.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외광에 대한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refore,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visibility of external ligh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염료계 선형 편광판으로 구성되는 선형 편광판과 리타더를 포함하는 편광층을 구비함으로써, 염료계 선형 편광판으로 구성되는 선형 편광판을 통해 유기 발광층으로부터 발생되는 빛의 파장별 투과율을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near polarization plate composed of a dye-based linear polarization plate and a polarizing layer including a retarder, so that the linear polarization plate composed of a dye- The transmittance of each wavelength of light can be controlled.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빛의 파장별 투과율을 조절하여 유기 발광층의 빛 발생에 대한 전체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Therefore,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total power consumption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by controlling the transmittance of each wavelength of ligh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OLED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OLED displa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OLED displa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OLED displa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OLED displa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OLED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는 기판(110), 제 1 전극층(120), 뱅크층(130), 유기 발광층(140), 제 2 전극층(150), 광차단층(160) 및 편광층(170)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는 기판(110)과 제 1 전극층(120) 사이에 형성된 버퍼층(111)과 박막 트랜지스터(Tr)를 포함한다.1, an OLED display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bstrate 110, a first electrode layer 120, a bank layer 130,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40, 150, a light blocking layer 160, and a polarization layer 170.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uffer layer 111 and a thin film transistor Tr formed between the substrate 110 and the first electrode layer 120.

본 발명에서는, 상기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가 유기 발광층(140)에서 발생되는 빛이 기판(110) 방향으로 출사되어 영상을 표시하는 바텀 발광형(bottom emission)으로 구현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100 is implemented as a bottom emission type in which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40 is emitted toward the substrate 110 to display an image. .

상기 기판(110)은 제 1 면(110a)과 제 1 면(110a)의 반대면인 제 2 면(110b)을 포함하며, 발광 영역(EA)과 비발광 영역(NEA)을 포함한다. 상기 기판(110)은 유기 발광층(140)에서 발생되는 빛이 투과할 수 있도록 투명한 유리 기판이나 투명 수지로 형성된다. 상기 투명 수지로는 예를 들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프로필렌아디페이트(PPA), 폴리이소시아네이트(PI) 등이 사용될 수 있다. The substrate 110 includes a first surface 110a and a second surface 110b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110a and includes a light emitting region EA and a non-light emitting region NEA. The substrate 110 is formed of a transparent glass substrate or a transparent resin so that light generated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40 can be transmitted. As the transparent resin, for example, polymethylmethacrylate (PMMA),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polyethylene naphthalate (PEN), polypropylene adipate (PPA), polyisocyanate (PI) .

상기 버퍼층(111)은 기판(110)의 제 1 면(110a) 전면에 형성되어, 기판(110)에서 발생하는 수분 또는 불순물의 확산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버퍼층(111)은 SiOx 또는 SiNx로 형성될 수 있다. The buffer layer 111 is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first surface 110a of the substrate 110 to prevent diffusion of moisture or impurities generated in the substrate 110. [ The buffer layer 111 may be formed of SiOx or SiNx.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Tr)는 반도체층(112), 게이트 절연막(113), 게이트 전극(114), 층간 절연막(115), 소스 전극(116), 드레인 전극(117) 및 보호층(118)을 포함한다. 이러한 박막 트랜지스터(Tr)는 구동 회로부(미도시)로부터 전달받은 구동 신호에 따라 유기 발광층(140)을 구동시킨다. The thin film transistor Tr includes a semiconductor layer 112, a gate insulating film 113, a gate electrode 114, an interlayer insulating film 115, a source electrode 116, a drain electrode 117 and a protective layer 118 do. The thin film transistor Tr drives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40 according to a driving signal received from a driving circuit unit (not shown).

상기 반도체층(112)은 기판(110)의 비발광 영역(NEA)에 배치되도록 버퍼층(111) 상에 형성되며, 박막 트랜지스터(Tr)의 채널 역할을 한다. 상기 반도체층(112)은 비정질 실리콘과 같은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The semiconductor layer 112 is formed on the buffer layer 111 so as to be disposed in the non-emission region NEA of the substrate 110 and functions as a channel of the thin film transistor Tr. The semiconductor layer 112 may be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amorphous silicon.

상기 게이트 절연막(113)은 반도체층(112)을 덮도록 버퍼층(111) 전면에 형성되어, 반도체층(112) 상부에 위치하는 게이트 전극(114)을 다른 구성으로부터 절연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게이트 절연막(113)은 SiOx 또는 SiNx로 형성될 수 있다. The gate insulating layer 113 is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buffer layer 111 so as to cover the semiconductor layer 112 and insulates the gate electrode 114 located on the semiconductor layer 112 from other structures. The gate insulating layer 113 may be formed of SiOx or SiNx.

상기 게이트 전극(114)은 게이트 절연막(113) 상에 반도체층(112)과 대응되게 형성된다. 상기 게이트 전극(114)은 도전성을 갖는 금속으로 형성되며, 예를 들어 Al, Cu, Mo, Nd, Ti, Pt, Ag, Nb, Cr, W 및 Ta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The gate electrode 114 is formed on the gate insulating layer 113 to correspond to the semiconductor layer 112. The gate electrode 114 is formed of a conductive metal and may be formed of at least one of Al, Cu, Mo, Nd, Ti, Pt, Ag, Nb, Cr, W and Ta.

상기 층간 절연막(115)은 게이트 전극(114)을 덮도록 게이트 절연막(113) 상에 형성된다. 상기 층간 절연막(115)은 게이트 전극(114)과 소스 전극(116) 및 드레인 전극(117) 간 절연이 이루어지게 한다. 상기 층간 절연막(115)은 SiOx 또는 SiNx로 형성될 수 있다. The interlayer insulating film 115 is formed on the gate insulating film 113 so as to cover the gate electrode 114. The interlayer insulating layer 115 insulates the gate electrode 114 from the source electrode 116 and the drain electrode 117. The interlayer insulating layer 115 may be formed of SiOx or SiNx.

상기 소스 전극(116) 및 드레인 전극(117)은 층간 절연막(115) 상에서 층간 절연막(115) 중 게이트 전극(114)을 기준으로 양측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반도체층(112)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소스 전극(116) 및 드레인 전극(117)은 도전성을 가지는 금속, 예를 들어 Al, Cu, Mo, Nd, Ti, Pt, Ag, Nb, Cr, W 및 Ta 중 선택된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The source electrode 116 and the drain electrode 117 are formed to penetrate the interlayer insulating layer 115 on both sides of the gate electrode 114 of the interlayer insulating layer 115 and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miconductor layer 112 . The source electrode 116 and the drain electrode 117 may be formed of a conductive metal such as Al, Cu, Mo, Nd, Ti, Pt, Ag, Nb, Cr, W and Ta.

상기 보호층(118)은 소스 전극(116) 및 드레인 전극(117)을 덮도록 층간 절연막(115) 상에 형성되어, 소스 전극(116) 및 드레인 전극(115)을 다른 구성으로부터 절연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보호층(118)은 SiOx 또는 SiNx와 같은 무기 절연 물질이나, 폴리이미드(PI), 벤조사이클로부틴(BCB) 아크릴레이트와 같은 유기 절연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The protective layer 118 is formed on the interlayer insulating film 115 so as to cover the source electrode 116 and the drain electrode 117 and serves to insulate the source electrode 116 and the drain electrode 115 from other structures do. The passivation layer 118 may be formed of an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 such as SiOx or SiNx or an organic insulating material such as polyimide (PI), benzocyclobutene (BCB) acrylate, or the like.

상기 제 1 전극층(120)은 기판(110)의 발광 영역(EA)에서 보호층(118) 상에 형성되며, 보호막(118) 중 드레인 전극(117)과 대응되는 영역을 관통하여 드레인 전극(117)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연장된다. 상기 제 1 전극층(120)은 정공(Hole)을 공급하는 양극으로서 작용할 수 있으며, 유기 발광층(140)에서 발생된 빛이 투과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 1 전극층(120)은 투명한 전극 물질, 예를 들어 ITO(Indium Tin Oxide)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electrode layer 120 is formed on the passivation layer 118 in the emission region EA of the substrate 110 and extends through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drain electrode 117 of the passivation layer 118, As shown in Fig. The first electrode layer 120 may serve as an anode for supplying a hole and may transmit light genera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40. The first electrode layer 120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electrode material, for example, indium tin oxide (ITO).

상기 뱅크층(130) 제 1 전극층(120)의 가장 자리를 덮도록 기판(110)의 비발광 영역(NEA)에서 보호층(18) 상에 형성된다. 상기 뱅크층(130)은 기판(110)에서 적색 서브 화소, 녹색 서브 화소 및 청색 서브 화소를 정의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뱅크층(130)은 절연성 재료, 예를 들어 폴리이미드, 감광성 수지, 산화 실리콘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bank layer 130 is formed on the protection layer 18 in the non-emission region NEA of the substrate 110 so as to cover the edge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120. [ The bank layer 130 defines a red sub-pixel, a green sub-pixel, and a blue sub-pixel in the substrate 110. The bank layer 130 may be formed of an insulating material, for example, polyimide, photosensitive resin, silicon oxide, or the like.

상기 유기 발광층(140)은 제 1 전극층(120)과 뱅크층(130) 상에 형성되며, 제 1 전극층(120)으로부터 공급되는 정공과 제 2 전극층(15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자의 재결합(Recombination)에 의해 빛을 발생시킨다. 이를 위해, 상기 유기 발광층(140)은 제 1 전극층(120)에 차례로 접하는 정공 주입층(미도시)과 정공 수송층(미도시)을 포함하며, 제 2 전극층(150)에 차례로 접하는 전자 주입층(미도시)과 전자 수송층(미도시)을 포함하고, 정공 수송층과 전자 수송층 사이에 개재되어 정공과 전자가 실질적으로 재결합되어 빛을 발생하는 유기층(미도시)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유기층은 적색 유기층, 녹색 유기층 및 청색 유기층 중 어느 하나일 수 다.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40 is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 layer 120 and the bank layer 130.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40 is formed by recombination of holes supplied from the first electrode layer 120 and electrons supplied from the second electrode layer 150, Thereby generating light.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40 includes an electron injecting layer (not shown) sequentially in contact with the second electrode layer 150 and includes a hole injecting layer (not shown) and a hole transporting layer (not shown) sequentially contacting the first electrode layer 120. And an organic layer (not shown) including an electron transport layer (not shown) and interposed between the hole transport layer and the electron transport layer to substantially recombine holes and electrons to generate light. Here, the organic layer may be any one of a red organic layer, a green organic layer, and a blue organic layer.

상기 제 2 전극층(150)은 유기 발광층(140) 상에 형성된다. 상기 제 2 전극층(150)은 전자(Electron)를 공급하는 음극으로서 작용할 수 있으며, 유기 발광층(140)에서 발생된 빛이 반사되어 기판(110) 방향으로 출사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 2 전극층(150)은 전자를 원할하게 공급하기 위해 일함수가 낮은 금속, 예를 들어 알루미늄, 은, 네오듐-알루미늄 합금, 금-알루미늄 합금, 마그네슘-은합금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전층극(120)과 제 2 전극층(150)은 극성을 달리할 수 있다. 이 경우,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전자 주입층 및 전자 수송층의 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 The second electrode layer 150 is formed 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40. The second electrode layer 150 may function as a cathode for supplying electrons and may reflect light genera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40 to be emitted toward the substrate 110. The second electrode layer 150 may be formed of any one selected from a metal having a low work function, for example, aluminum, silver, neodymium-aluminum alloy, gold-aluminum alloy, and magnesium- have. The first electrode layer 120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150 may have different polarities. In this case, the positions of the hole injecting layer, the hole transporting layer, the electron injecting layer and the electron transporting layer may be changed.

상기 광차단층(160)은 기판(110)의 제 2 면(110b)에 형성되며, 투명 기재(161)와 투명 기재(161)의 내부에 형성된 블랙 패턴(162)을 포함한다. 이러한 광차단층(160)은 편광판(170)을 통과하는 외광의 일부를 흡수하여 외광이 외부로 반사되는 반사율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The light blocking layer 160 is formed on the second surface 110b of the substrate 110 and includes a transparent substrate 161 and a black pattern 162 formed inside the transparent substrate 161. [ The light blocking layer 160 absorbs a part of the external light passing through the polarizing plate 170, thereby reducing the reflectance of the external light.

상기 투명 기재(161)는 기판(110)의 발광 영역(EA)과 비발광 영역(NEA)에 걸쳐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투명 기재(161)는 광 등방성 수지 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에스테르술폰(Polyeesthersupphon), 시클로 올레핀 폴리머(Cyclo Olefin Polymer)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광 등방성 수지는 투명 기재(161)를 입사하기 전 상태의 빛과 투명 기재(161)를 입사한 후 상태의 빛 간에 위상차가 없도록 하는 수지이다. 여기서, 투명 기재(161)가 광 비등방성 수지로 형성되면, 투명 기재(161)를 입사하기 전 상태의 외광과 투명 기재(161)를 통과한 외광 간에 위상차가 생긴다. 그럼, 투명 기재(161)를 통과한 후 제 2 전극(150)에 의해 반사되어 다시 투명 기재(161)를 통과한 외광이 편광층(170)의 선형 편광판(172)의 흡수축과 수직하지 않는 방향을 가질 수 있어 외부로 반사될 수 있다. 이 경우, 외광에 대한 시인성이 저하된다.The transparent substrate 161 is formed over the light emitting region EA and the non-light emitting region NEA of the substrate 110. Here, the transparent substrate 161 may be formed of an optically isotropic resin, for example, a polycarbonate, a polyester sulphone, a cycloolefin polymer, or the like. The optically isotropic resin is a resin that prevents phase difference between light in a state before the transparent substrate 161 is incident and light in a state after the transparent substrate 161 is incident. Here, when the transparent substrate 161 is formed of optically isotropic resin, a phase difference occurs between the external light before the transparent substrate 161 is incident and the external light that has passed through the transparent substrate 161. When the external light having passed through the transparent substrate 161 and then reflected by the second electrode 150 and then passing through the transparent substrate 161 is not perpendicular to the absorption axis of the linear polarizer 172 of the polarizing layer 170 Direction and can be reflected to the outside. In this case, visibility to external light is reduced.

상기 블랙 패턴(162)은 블랙 잉크, 블랙 염료, 블랙 안료 중 선택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블랙 패턴(162)은 편광판(170)을 통과하는 외광의 일부를 실질적으로 흡수하여 외광의 반사율을 감소시킨다. 상기 블랙 패턴(162)은 유기 발광층(140)에서 기판(110)을 지나 외부로 출사되는 빛의 투과를 최대한 방해하지 않으면서 외광이 박막 트랜지스터(Tr) 부분으로 입사되어 박막 트랜지스터(Tr)의 전기적 특성을 저하시키지 않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블랙 패턴(162)은 기판(110)의 발광 영역(EA)에 복수의 제 1 스트라이프 라인(st11)으로 형성되는 제 1 블랙 패턴(162a)과, 기판의 비발광 영역(NEA)에 박막 트랜지스터(Tr)와 대응되는 하나의 제 2 스트라이프 라인(st12)으로 형성되는 제 2 블랙 패턴(162b)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 2 스트라이프 라인(st12)의 폭은 제 2 스트라이프 라인(st1)이 폭 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스트라이프 라인(st2)의 폭이 제 2 스트라이프 라인(st1)이 폭 보다 2배 이상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제 1 스트라이프 라인(st1)의 높이(H)가 복수의 제 1 스트라이프 라인(st1)의 피치(P)보다 클 수 있다. 이는 그림자 효과를 발생시켜 제 1 블랙 패턴(162a)의 형상이 육안으로 관찰되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The black pattern 162 may be formed of a material selected from black ink, black dye, and black pigment. The black pattern 162 substantially absorbs part of the external light passing through the polarizing plate 170, thereby reducing the reflectance of the external light. The black pattern 162 may be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external light is incident on the thin film transistor Tr portion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40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transmission of light emitted through the substrate 110 to the outside as much as possible, So as not to deteriorate the characteristics. The black pattern 162 includes a first black pattern 162a formed of a plurality of first stripe lines st11 in the emission region EA of the substrate 110, And a second black pattern 162b formed of one second stripe line st12 corresponding to the thin film transistor Tr. Here, the width of the second stripe line st12 may be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second stripe line st1. For example, the width of the second stripe line st2 may be greater than twice the width of the second stripe line st1. The height H of the plurality of first stripe lines st1 may be greater than the pitch P of the plurality of first stripe lines st1. This is to prevent the shape of the first black pattern 162a from being observed with the naked eye by generating a shadow effect.

상기 편광층(170)은 광차단층(160) 상에 형성되어,유기 발광층(140)으로부터 발생된 빛을 소정 투과율로 통과시키며 외광을 흡수하여 외광이 외부로 반사되는 반사율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편광층(170)은 구체적으로 선형 편광판(linear polarizer)(172)과, 선형 편광판(172)과 광 차단층(160) 사이에 형성되는 리타더(retarder)(174)를 포함한다. The polarizing layer 170 is formed on the light blocking layer 160 to transmit light genera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40 at a predetermined transmittance and to absorb external light to reduce the reflectance of external light. The polarizing layer 170 includes a linear polarizer 172 and a retarder 174 formed between the linear polarizer 172 and the light blocking layer 160 .

상기 선형 편광판(172)은 수직 방향의 투과축을 가지며, 이에 따라 외광 중 수직 방향의 광을 통과시킨다. 상기 선형 편광판(172)은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PVA) 필름에 요오드를 염착시킨 후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을 연신시켜 형성되는 요오드계 선형 편광판이거나,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에 염료를 염착시킨 후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을 연신시켜 형성되는 염료계 선형 편광판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선형 편광판(172)이 염료계 선형 편광판으로 형성되는 경우, 유기 발광층(140)으로부터 발생되는 빛의 파장별 투과율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염료계 선형 편광판으로 형성된 선형 편광판(172)은 400~500nm 파장대인 청색 광의 투과율을 500~650nm 파장대인 적색 광 및 녹색 광의 투과율을 높인다. 이와 같이, 염료계 선형 편광판으로 형성된 선형 편광판(172)은 높은 소비 전력을 발생시키는 청색 광의 투과율을 높여, 유기 발광층(140)의 빛 발생에 대한 전체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The linearly polarizing plate 172 has a transmission axis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reby allowing l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pass through the external light. The linear polarizer 172 may be an iodine linear polarizer formed by dying iodine in a polyvinyl alcohol (PVA) film and then stretching the polyvinyl alcohol film, or may be formed by dyes dyes in a polyvinyl alcohol film, Based linear polarizer formed by stretching an alcohol film. Here, when the linear polarizer 172 is formed of a dye-based linear polarizer, the transmittance of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40 may be controlled by wavelength. For example, the linear polarizer 172 formed of a dye-based linear polarizer increases the transmittance of blue light having a wavelength band of 400 to 500 nm and the transmittance of red light and green light having a wavelength band of 500 to 650 nm. As described above, the linear polarizer 172 formed of the dye-based linear polarizer can increase the transmittance of blue light for generating high power consumption and reduce the total power consumption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40 for generating light.

상기 리타더(174)는 선형 편광판(172)의 중심축과 45°의 각을 이루며, 선형 편광판(172)을 통과한 외광의 위상을 λ/4(λ는 파장)만큼 지연시키면서 원형 편광 상태로 변화시킨다. 여기서, 상기 원형 편광 상태의 외광의 일부는 광차단층(160)의 블랙 패턴(162)에 흡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원형 편광 상태의 외광의 다른 일부는 투명 수지(161)를 통과하고 제 2 전극층(150)에 의해 반사되며 다시 리타더(174)를 통과하여 선형 편광 상태로 변형된다. 이때, 상기 리타더(174)를 다시 통과한 외광은 리타더(174)를 통과하지 않았던 외광과 수직을 이룬다. 이렇게 상기 리타더(174)를 다시 통과한 선형 편광 상태의 외광은 선형 편광판(172)에 입사된 후 소멸된다. 그 이유는, 선형 편광 상태의 외광과 선형 편광판(172)의 투과축이 수직을 이루므로, 선형 편광 상태의 외광이 전부 편광되었기 때문이다. The retarder 174 has an angle of 4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linear polarizer 172. The retarder 174 is in a circular polarization state while retarding the phase of external light having passed through the linear polarizer 172 by? / 4 Change. Here, a part of the external light in the circularly polarized state can be absorbed by the black pattern 162 of the light blocking layer 160. Another part of the external light in the circularly polarized state passes through the transparent resin 161, is reflected by the second electrode layer 150, passes through the retarder 174, and is transformed into a linearly polarized state. At this time, the external light having passed through the retarder 174 is perpendicular to the external light that has not passed through the retarder 174. The linearly polarized external light having passed through the retarder 174 is incident on the linear polarizer 172 and then extinguished. The reason is that the external light in the linearly polarized state and the transmission axis of the linearly polarized light plate 172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nd thus the external light in the linearly polarized state is entirely polarized.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는 투명 수지(161)와 블랙 패턴(162)을 포함하는 광차단층(160)을 구비함으로써, 광차단층(160)을 통해 외광의 일부를 흡수하여 외부로 외광이 반사되는 반사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는 외광에 대한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light blocking layer 160 including the transparent resin 161 and the black pattern 162,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reflectance at which the external light is reflected to the outside. Accordingly,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visibility of external light.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는 염료계 선형 편광판으로 구성되는 선형 편광판(172)과 리타더(174)를 포함하는 편광층(170)을 구비함으로써, 염료계 선형 편광판으로 구성되는 선형 편광판(172)을 통해 유기 발광층(140)으로부터 발생되는 빛의 파장별 투과율을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는 높은 소비 전력을 발생시키는 청색 광의 투과율을 높여 유기 발광층(140)의 빛 발생에 대한 전체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The OLED display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polarizing layer 170 including the linear polarizer 172 and the retarder 174 formed of a dye-based linear polarizer, The transmittance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40 can be controlled by the linear polarizer 172 composed of the linear polarizer. Accordingly,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the transmittance of blue light for generating high power consumption, thereby reducing the total power consumption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40 for generating light.

다음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n OLED displa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2는 본 발명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OLED displa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200)는 도 1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와 비교하여 광차단층(260)의 구성만 다를 뿐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및 동일한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200)에서는 광차단층(260)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The OLED display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same configuration and the same function as the OLED display 100 of FIG. Accordingly, only the light blocking layer 260 will be described in the OLED display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광차단층(260)은 투명 수지(161)와, 제 1 블랙 패턴(162a)과 제 2 블랙 패턴(262b)으로 구성된 블랙 패턴(262)을 포함한다. 이러한 광차단층(260)은 도 1의 광차단층(160)과 유사하다. 2, the light blocking layer 260 includes a transparent resin 161 and a black pattern 262 formed of a first black pattern 162a and a second black pattern 262b. This light blocking layer 260 is similar to the light blocking layer 160 of FIG.

다만, 상기 제 2 블랙 패턴(262b)은 도 1의 제 2 블랙 패턴(162a)과 달리 복수의 제 2 스트라이프 라인(st22)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2 스트라이프 라인(st22)의 폭은 제 2 스트라이프 라인(st11)과 폭과 같을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제 2 스트라이프 라인(st22)의 개수가 복수의 제 1 스트라이프 라인(st11)의 개수보다 많게 설정된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제 2 스트라이프 라인(st22)의 개수는 복수의 제 1 스트라이프 라인(st11)의 개수보다 2배 이상 많게 설정된다. Unlike the second black pattern 162a of FIG. 1, the second black pattern 262b is formed of a plurality of second stripe lines st22. Here, the width of the second stripe line st22 may be equal to the width of the second stripe line st11.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second stripe lines st22 is set to be larger than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first stripe lines st11. For example,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second stripe lines st22 is set to be more than twice as many as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first stripe lines st11.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200)는 투명 수지(161)와 블랙 패턴(262)을 포함하는 광차단층(260)을 구비함으로써, 광차단층(260)을 통해 외광의 일부를 흡수하여 외부로 외광이 반사되는 반사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200)는 외광에 대한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light blocking layer 260 including the transparent resin 161 and the black pattern 262,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reflectance at which the external light is reflected to the outside. Accordingly, the OLED display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visibility of external light.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200)는 염료계 선형 편광판으로 구성되는 선형 편광판(172)과 리타더(174)를 포함하는 편광층(170)을 구비함으로써, 염료계 선형 편광판으로 구성되는 선형 편광판(172)을 통해 유기 발광층(140)으로부터 발생되는 빛의 파장별 투과율을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200)는 높은 소비 전력을 발생시키는 청색 광의 투과율을 높여 유기 발광층(140)의 빛 발생에 대한 전체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The OLED display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linear polarizer 172 and the retarder 174 formed of a dye-based linear polarizer, The transmittance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40 can be controlled by the linear polarizer 172 composed of the linear polarizer. Accordingly,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the transmittance of blue light for generating high power consumption, thereby reducing the total power consumption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40 for generating light.

다음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n OLED displa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3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OLED displa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300)는 도 1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와 비교하여 편광층(360)과 광차단층(370)의 배치에 대해서만 다를 뿐,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동일한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300)에서는 편광층(360)과 광차단층(370)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The OLED display 3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the OLED display 100 of FIG. 1 only in the arrangement of the polarizing layer 360 and the light blocking layer 370, And plays the same role. Accordingly, only the polarizing layer 360 and the light blocking layer 370 will be described in the OLED display 3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편광층(360)은 기판(110)의 제 2 면(110b) 상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편광층(360)은 광차단층(370)과 접하는 선형 편광판(362)과, 선형 편광판(362)과 기판(110)의 제 2 면(110b) 사이에 형성되는 리타더(364)를 포함한다. 상기 선형 편광판(362) 및 리타더(364)는 도 1의 선형 편광판(372) 및 리타더(374)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Referring to FIG. 3, the polarizing layer 360 is formed on the second surface 110b of the substrate 110. FIG. Specifically, the polarizing layer 360 includes a linear polarizer 362 in contact with the light blocking layer 370, a retarder 364 formed between the linear polarizer 362 and the second surface 110b of the substrate 110, . The linear polarizer 362 and the retarder 364 are configured in the same manner as the linear polarizer 372 and the retarder 374 of FIG.

상기 광차단층(370)은 편광층(360) 상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광차단층(370)은 편광층(360)의 선형 편광판(362)에 접하는 투명 수지(371)와, 투명 수지(371)의 내부에 형성되는 블랙 패턴(372)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블랙 패턴(372)은 제 1 블랙 패턴(372a)과 제 2 블랙 패턴(372b)을 포함하며 도 1의 블랙 패턴(162)과 동일하게 구성되나, 투명 수지(371)는 도 1의 투명 수지(161)와 달리 광 등방성 수지로 형성될 필요가 없다. 이는 편광층(360)이 기판(110)의 제 2 면(110b) 상에 직접 배치되기 때문이다. 즉, 투명 기재(361)를 통과한 후 제 2 전극(150)에 의해 반사되고 다시 투명 기재(361)를 통과한 외광이 편광층(360)의 선형 편광판(362)의 투과축과 수직한 방향을 가진 상태로 편광층(360)에서 미리 소멸되기 때문이다. 여기서, 투명 기재(361)를 통과한 후 제 2 전극(150)에 의해 반사되고 다시 투명 기재(361)를 통과한 외광은 외부에서 외광이 유기 발광 장치(300)로 처음 입사될 때 광차단층(370)에서 흡수되지 않은 외광이다.The light blocking layer 370 is formed on the polarizing layer 360. Specifically, the light blocking layer 370 includes a transparent resin 371 contacting the linear polarizer 362 of the polarizing layer 360 and a black pattern 372 formed inside the transparent resin 371. The black pattern 372 includes a first black pattern 372a and a second black pattern 372b and is constructed in the same manner as the black pattern 162 in FIG. Unlike the transparent resin 161, it is not necessary to be formed of an optically isotropic resin. This is because the polarizing layer 360 is disposed directly on the second surface 110b of the substrate 110. [ That is, after passing through the transparent substrate 361, the external light that has been reflected by the second electrode 150 and passed through the transparent substrate 361 is polariz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ransmission axis of the linear polarizer 362 of the polarizing layer 360 In the polarizing layer 360 in a state where the polarizing layer 360 is formed. The external light having passed through the transparent substrate 361 and then reflected by the second electrode 150 and then passing through the transparent substrate 361 is reflected by the light blocking layer 361 when external light is first incident 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300. [ 370).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300)는 투명 수지(371)와 블랙 패턴(372)을 포함하는 광차단층(370)을 구비함으로써, 광차단층(370)을 통해 외광의 일부를 흡수하여 외부로 외광이 반사되는 반사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300)는 외광에 대한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3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light blocking layer 370 including the transparent resin 371 and the black pattern 372,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reflectance at which a part of the external light is absorbed and the external light is reflected to the outside. Accordingly, the OLED display 3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visibility of external light.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300)는 염료계 선형 편광판으로 구성되는 선형 편광판(362)과 리타더(364)를 포함하는 편광층(360)을 구비함으로써, 염료계 선형 편광판으로 구성되는 선형 편광판(362)을 통해 유기 발광층(140)으로부터 발생되는 빛의 파장별 투과율을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300)는 높은 소비 전력을 발생시키는 청색 광의 투과율을 높여 유기 발광층(140)의 빛 발생에 대한 전체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The OLED display 3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linear polarization plate 362 made of a dye-based linearly polarizing plate and the polarizing layer 360 including the retarder 364, The transmittance of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40 can be controlled by the wavelength of the light through the linearly polarizing plate 362 formed of a linear polarizing plate. Accordingly,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3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the transmittance of blue light for generating high power consumption, thereby reducing the total power consumption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40 for generating light.

한편, 도시되진 않았지만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다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300)에서 블랙 패턴(370)의 제 2 블랙 패턴(372b)이 하나의 스트라이프 라인(st12)으로 형성되었으나, 도 2의 제 2 블랙 패턴(262b)과 같이 복수의 스트라이프 라인(st22)으로 형성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the second black pattern 372b of the black pattern 370 is formed as one stripe line st12 in another OLED display 3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stripe lines st22 as the second black pattern 262b.

다음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n OLED displa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OLED displa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400)는 도 1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와 비교하여 광차단층(460)과 편광층(470)만 다를 뿐,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동일한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400)에서는 광차단층(460)과 편광층(470)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The OLED display 4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the OLED display 100 of FIG. 1 only in that the light blocking layer 460 and the polarizing layer 470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t plays a role. Accordingly, only the light blocking layer 460 and the polarizing layer 470 will be described in the OLED display 4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광차단층(460)은 투명 수지(461)와 제 1 블랙 패턴(162a)과 제 2 블랙 패턴(162b)을 가지는 블랙 패턴(162)을 포함하며, 도 1의 광차단층(160)과 유사하다. 다만, 상기 광차단층(460)의 투명 수지(461)가 도 1의 투명 수지(161)와 달리 광학 등방성 수지일 필요는 없다. 이는 편광층(470)이 도 1의 편광판(170)과 같이 빛을 편광시키는 구성으로 구성되지 않기 때문이다.4, the light blocking layer 460 includes a transparent resin 461, a black pattern 162 having a first black pattern 162a and a second black pattern 162b, (160). However, the transparent resin 461 of the light blocking layer 460 is not necessarily an optically isotropic resin, unlike the transparent resin 161 of FIG. This is because the polarizing layer 470 is not configured to polarize light like the polarizing plate 170 in Fig.

상기 편광층(470)은 도 1의 편광층(170)과 달리 염료 필터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염료 필터는 외광을 차단하면서 400~500nm 파장대인 청색 광의 투과율을 500~650nm 파장대인 적색 광 및 녹색 광의 투과율보다 높이는 염료를 이용하여 형성된 필터이다.Unlike the polarizing layer 170 of FIG. 1, the polarizing layer 470 is composed of a dye filter. Here, the dye filter is a filter formed by using a dye which shields the external light while increasing the transmittance of blue light having a wavelength band of 400 to 500 nm to the transmittance of red light and green light having a wavelength band of 500 to 650 nm.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400)는 투명 수지(461)와 블랙 패턴(162)을 포함하는 광차단층(460)을 구비함으로써, 광차단층(460)을 통해 외광의 일부를 흡수하여 외부로 외광이 반사되는 반사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400)는 외광에 대한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4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light blocking layer 460 including the transparent resin 461 and the black pattern 162,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reflectance at which a part of the external light is absorbed and the external light is reflected to the outside. Accordingly, the OLED display 4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visibility of external light.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400)는 염료 필터로 형성되는 편광층(470)을 구비함으로써, 편광층(470)을 통해 유기 발광층(140)으로부터 발생되는 빛의 파장별 투과율을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400)는 높은 소비 전력을 발생시키는 청색 광의 투과율을 높여 유기 발광층(140)의 빛 발생에 대한 전체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4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larizing layer 470 formed of a dye filter so that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40 through the polarizing layer 470 The transmittance of each wavelength can be controlled. Accordingly,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4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the transmittance of blue light for generating high power consumption, thereby reducing the total power consumption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40 for generating light.

한편, 도시되진 않았지만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다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400)에서 블랙 패턴(162)의 제 2 블랙 패턴(162b)이 하나의 스트라이프 라인(st12)으로 형성되었으나, 도 2의 제 2 블랙 패턴(262b)과 같이 복수의 스트라이프 라인(st22)으로 형성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the second black pattern 162b of the black pattern 162 is formed as one stripe line st12 in another OLED display 4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stripe lines st22 as the second black pattern 262b.

다음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n OLED displa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OLED displa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500)는 도 4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400)와 비교하여 편광층(560)과 광차단층(570)의 배치에 대해서만 다를 뿐,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동일한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500)에서는 편광층(560)과 광차단층(570)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The OLED display 5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the OLED display 400 of FIG. 4 only in the arrangement of the polarizing layer 560 and the light blocking layer 570, And plays the same role. Accordingly, only the polarizing layer 560 and the light blocking layer 570 will be described in the OLED display 5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편광층(560)은 기판(110)의 제 2 면(110b) 상에 형성되며, 도 4의 편광층(470)과 배치만 다르며 동일하게 구성된다. 5, the polarizing layer 560 is formed on the second surface 110b of the substrate 110 and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at of the polarizing layer 470 of FIG. 4 only.

상기 광차단층(570)은 편광층(560) 상에 형성되며, 도 4의 광차단층(460)과 배치만 다르며 동일하게 구성된다. 즉, 상기 광차단층(570)은 투명 수지(461)와, 제 1 블랙 패턴(162a)과 제 2 블랙 패턴(162b)을 가지는 블랙 패턴(462)을 포함한다. The light blocking layer 570 is formed on the polarizing layer 560 and is different from the light blocking layer 460 of FIG. That is, the light blocking layer 570 includes a transparent resin 461 and a black pattern 462 having a first black pattern 162a and a second black pattern 162b.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500)는 투명 수지(461)와 블랙 패턴(162)을 포함하는 광차단층(570)을 구비함으로써, 광차단층(570)을 통해 외광의 일부를 흡수하여 외부로 외광이 반사되는 반사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500)는 외광에 대한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5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light blocking layer 570 including the transparent resin 461 and the black pattern 162,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reflectance at which a part of the external light is absorbed and the external light is reflected to the outside. Accordingly, the OLED display 5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visibility of external light.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500)는 염료 필터로 형성되는 편광층(560)을 구비함으로써, 편광층(560)을 통해 유기 발광층(140)으로부터 발생되는 빛의 파장별 투과율을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500)는 높은 소비 전력을 발생시키는 청색 광의 투과율을 높여 유기 발광층(140)의 빛 발생에 대한 전체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The OLED display 5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larizing layer 560 formed of a dye filter so that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40 through the polarizing layer 560 The transmittance of each wavelength can be controlled. Accordingly,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5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the transmittance of blue light for generating high power consumption, thereby reducing the total power consumption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40 for generating light.

한편, 도시되진 않았지만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다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500)에서 블랙 패턴(162)의 제 2 블랙 패턴(162b)이 하나의 스트라이프 라인(st12)으로 형성되었으나, 도 2의 제 2 블랙 패턴(262b)과 같이 복수의 스트라이프 라인(st22)으로 형성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the second black pattern 162b of the black pattern 162 is formed as one stripe line st12 in another OLED display 5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stripe lines st22 as the second black pattern 262b.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taken by way of limitation and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may be made therein It will be possible.

100, 200, 300, 400, 500: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10: 기판
120: 제 1 전극층 130: 뱅크층
140: 유기 발광층 150: 제 2 전극층
160, 260, 370, 460, 570: 광 차단층
161, 371, 461: 투명 기재 162, 262, 372: 블랙 패턴
170, 360, 470, 560: 편광층 172, 362: 선형 편광판
174, 364: 리타더
100, 200, 300, 400, 500: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110: substrate
120: first electrode layer 130: bank layer
140: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50: second electrode layer
160, 260, 370, 460, 570:
161, 371, 461: Transparent substrate 162, 262, 372: Black pattern
170, 360, 470, 560: polarizing layer 172, 362: linear polarizer
174, 364: retarder

Claims (20)

제 1 면과 상기 제 1 면과 반대되는 제 2 면을 포함하며, 발광 영역과 비발광 영역을 가지는 기판;
상기 기판의 제 1 면 중 비발광 영역에 위치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상에 위치하는 제 1 전극층;
상기 제 1 전극층 상에 위치하는 유기 발광층;
상기 유기 발광층 상에 위치하는 제 2 전극층;
상기 기판의 제 2 면 상에 위치하며, 투명 기재와 상기 투명 기재의 내부에 형성된 블랙 패턴을 포함하는 광차단층; 및
상기 광차단층 상에 위치하는 편광층을 포함하고,
상기 블랙 패턴은 상기 발광 영역에 복수의 제 1 스트라이프 라인으로 구비되는 제 1 블랙 패턴과, 상기 비발광 영역에 박막 트랜지스터와 대응되도록 하나의 제 2 스트라이프 라인으로 구비되는 제 2 블랙 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스트라이프 라인의 폭이 상기 제 1 스트라이프 라인의 폭 보다 큰 유기 발광 표시 장치.
A substrate having a first surface and a second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the substrate having a light emitting region and a non-emitting region;
A thin film transistor located in a non-emission region of a first surface of the substrate;
A first electrode layer located on the thin film transistor;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disposed on the first electrode layer;
A second electrode layer disposed 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A light blocking layer disposed on the second surface of the substrate and including a transparent substrate and a black pattern formed inside the transparent substrate; And
And a polarizing layer positioned on the light blocking layer,
Wherein the black pattern includes a first black pattern provided in the light emitting region as a plurality of first stripe lines and a second black pattern provided in the non-emitting region as one second stripe line to correspond to the thin film transistor,
Wherein a width of the second stripe line is larger than a width of the first stripe lin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스트라이프 라인의 폭이 상기 제 1 스트라이프 라인의 폭 보다 2 배 이상 큰 유기 발광 표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width of the second stripe line is at least two times larger than a width of the first stripe line.
제 1 면과 상기 제 1 면과 반대되는 제 2 면을 포함하며, 발광 영역과 비발광 영역을 가지는 기판;
상기 기판의 제 1 면 중 비발광 영역에 위치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상에 위치하는 제 1 전극층;
상기 제 1 전극층 상에 위치하는 유기 발광층;
상기 유기 발광층 상에 위치하는 제 2 전극층;
상기 기판의 제 2 면 상에 위치하며, 투명 기재와 상기 투명 기재의 내부에 형성된 블랙 패턴을 포함하는 광차단층; 및
상기 광차단층 상에 위치하는 편광층을 포함하고,
상기 블랙 패턴은 상기 발광 영역에 복수의 제 1 스트라이프 라인으로 구비되는 제 1 블랙 패턴과, 상기 비발광 영역에 박막 트랜지스터와 대응되도록 복수의 제 2 스트라이프 라인으로 구비되는 제 2 블랙 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스트라이프 라인의 폭이 상기 제 1 스트라이프 라인의 폭과 같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
A substrate having a first surface and a second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the substrate having a light emitting region and a non-emitting region;
A thin film transistor located in a non-emission region of a first surface of the substrate;
A first electrode layer located on the thin film transistor;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disposed on the first electrode layer;
A second electrode layer disposed 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A light blocking layer disposed on the second surface of the substrate and including a transparent substrate and a black pattern formed inside the transparent substrate; And
And a polarizing layer positioned on the light blocking layer,
Wherein the black pattern includes a first black pattern formed as a plurality of first stripe lines in the light emitting region and a second black pattern provided as a plurality of second stripe lines to correspond to the thin film transistor in the non-
And the width of the second stripe line is equal to the width of the first stripe lin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스트라이프 라인들의 개수가 상기 제 1 스트라이프 라인들의 개수 보다 더 많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number of the second stripe lines is larger than the number of the first stripe lines.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스트라이프 라인들의 개수가 상기 제 1 스트라이프 라인들의 개수 보다 2 배 이상 더 많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number of the second stripe lines is two or more times larger than the number of the first stripe lines.
제 1 항 또는 제 4 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트라이프 라인들의 높이가 상기 제 1 스트라이프 라인들의 피치 보다 큰 유기 발광 표시 장치.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a height of the first stripe lines is larger than a pitch of the first stripe lines.
제 1 항 또는 제 4 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편광층은 선형 편광판(linear polarizer)과, 상기 선형 편광판과 상기 광차단층 사이에 위치하는 리타더(retarder)를 포함하며,
상기 투명 수지는 광등방성 수지인 유기 발광 표시 장치.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polarizing layer comprises a linear polarizer and a retarder positioned between the linear polarizer and the light blocking layer,
Wherein the transparent resin is an optically isotropic resin.
제 1 항 또는 제 4 항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편광층은 선형 편광판(linear polarizer)과, 상기 선형 편광판과 상기 광차단층 사이에 위치하는 리타더(retarder)를 포함하며,
상기 투명 수지는 광등방성 수지이고,
상기 선형 편광판은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에 염료를 염착시킨 후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을 연신시켜 형성되는 염료계 선형 편광판인 유기 발광 표시 장치.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polarizing layer comprises a linear polarizer and a retarder positioned between the linear polarizer and the light blocking layer,
The transparent resin is an optically isotropic resin,
Wherein the linear polarizer is a dye-based linear polarizer formed by dying a dye on a polyvinyl alcohol film and then stretching a polyvinyl alcohol film.
제 1 항 또는 제 4 항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편광층은 400~500nm 파장의 투과율을 500~650nm 파장의 투과율보다 높이는 염료를 이용하여 형성된 염료 필터인 유기 발광 표시 장치.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polarizing layer is a dye filter formed using a dye having a transmittance of 400 to 500 nm and a transmittance higher than a transmittance of 500 to 650 nm.
제 1 면과 상기 제 1 면과 반대되는 제 2 면을 포함하며, 발광 영역과 비발광 영역을 가지는 기판;
상기 기판의 제 1 면 중 비발광 영역에 위치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상에 위치하는 제 1 전극층;
상기 제 1 전극층 상에 위치하는 유기 발광층;
상기 유기 발광층 상에 위치하는 제 2 전극층;
상기 기판의 제 2 면 상에 위치하는 편광층; 및
상기 편광층 상에 위치하며, 투명 기재와 상기 투명 기재의 내부에 구비된 블랙 패턴을 포함하는 광차단층을 포함하고,
상기 블랙 패턴은 상기 발광 영역에 복수의 제 1 스트라이프 라인으로 구비되는 제 1 블랙 패턴과, 상기 비발광 영역에 박막 트랜지스터와 대응되도록 하나의 제 2 스트라이프 라인으로 구비되는 제 2 블랙 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스트라이프 라인의 폭이 상기 제 1 스트라이프 라인의 폭 보다 큰 유기 발광 표시 장치.
A substrate having a first surface and a second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the substrate having a light emitting region and a non-emitting region;
A thin film transistor located in a non-emission region of a first surface of the substrate;
A first electrode layer located on the thin film transistor;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disposed on the first electrode layer;
A second electrode layer disposed 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A polarizing layer positioned on a second side of the substrate; And
And a light blocking layer disposed on the polarizing layer and including a transparent substrate and a black pattern provided inside the transparent substrate,
Wherein the black pattern includes a first black pattern provided in the light emitting region as a plurality of first stripe lines and a second black pattern provided in the non-emitting region as one second stripe line to correspond to the thin film transistor,
Wherein a width of the second stripe line is larger than a width of the first stripe line.
삭제delete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스트라이프 라인의 폭이 상기 제 1 스트라이프 라인의 폭 보다 2 배 이상 큰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a width of the second stripe line is at least two times larger than a width of the first stripe line.
제 1 면과 상기 제 1 면과 반대되는 제 2 면을 포함하며, 발광 영역과 비발광 영역을 가지는 기판;
상기 기판의 제 1 면 중 비발광 영역에 위치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상에 위치하는 제 1 전극층;
상기 제 1 전극층 상에 위치하는 유기 발광층;
상기 유기 발광층 상에 위치하는 제 2 전극층;
상기 기판의 제 2 면 상에 위치하는 편광층; 및
상기 편광층 상에 위치하며, 투명 기재와 상기 투명 기재의 내부에 구비된 블랙 패턴을 포함하는 광차단층을 포함하고,
상기 블랙 패턴은 상기 발광 영역에 복수의 제 1 스트라이프 라인으로 구비되는 제 1 블랙 패턴과, 상기 비발광 영역에 박막 트랜지스터와 대응되도록 복수의 제 2 스트라이프 라인으로 구비되는 제 2 블랙 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스트라이프 라인의 폭이 상기 제 1 스트라이프 라인의 폭과 같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
A substrate having a first surface and a second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the substrate having a light emitting region and a non-emitting region;
A thin film transistor located in a non-emission region of a first surface of the substrate;
A first electrode layer located on the thin film transistor;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disposed on the first electrode layer;
A second electrode layer disposed 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A polarizing layer positioned on a second side of the substrate; And
And a light blocking layer disposed on the polarizing layer and including a transparent substrate and a black pattern provided inside the transparent substrate,
Wherein the black pattern includes a first black pattern formed as a plurality of first stripe lines in the light emitting region and a second black pattern provided as a plurality of second stripe lines to correspond to the thin film transistor in the non-
And the width of the second stripe line is equal to the width of the first stripe line.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스트라이프 라인들의 개수가 상기 제 1 스트라이프 라인들의 개수 보다 더 많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number of the second stripe lines is larger than the number of the first stripe lines.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스트라이프 라인들의 개수가 상기 제 1 스트라이프 라인들의 개수 보다 2 배 이상 더 많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number of the second stripe lines is two or more times larger than the number of the first stripe lines.
제 11 항 또는 제 14 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트라이프 라인들의 높이가 상기 제 1 스트라이프 라인들의 피치 보다 큰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1 to 14,
Wherein a height of the first stripe lines is larger than a pitch of the first stripe lines.
제 11 항 또는 제 14 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편광층은 광차단층과 접하는 선형 편광판(linear polarizer)과, 상기 기판의 제 2 면과 상기 선형 편광판 사이에 위치하는 리타더(retarder)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1 to 14,
Wherein the polarizing layer comprises a linear polarizer in contact with the light blocking layer, and a retarder positioned between the second surface of the substrate and the linear polarizer.
제 11항 또는 제 14 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편광층은 광차단층과 접하는 선형 편광판(linear polarizer)과, 상기 기판의 제 2 면과 상기 선형 편광판 사이에 위치하는 리타더(retarder)를 포함하고,
상기 선형 편광판은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에 염료를 염착시킨 후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을 연신시켜 형성되는 염료계 선형 편광판인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1 to 14,
Wherein the polarizing layer comprises a linear polarizer in contact with the light blocking layer, and a retarder positioned between the second surface of the substrate and the linear polarizer,
Wherein the linear polarizer is a dye-based linear polarizer formed by dying a dye on a polyvinyl alcohol film and then stretching a polyvinyl alcohol film.
제 11 항 또는 제 14 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편광층은 400~500nm 파장의 투과율을 500~650nm 파장의 투과율보다 높이는 염료를 이용하여 형성된 염료 필터인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1 to 14,
Wherein the polarizing layer is a dye filter formed using a dye having a transmittance of 400 to 500 nm and a transmittance higher than a transmittance of 500 to 650 nm.
KR1020110119724A 2011-11-16 2011-11-16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10183061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9724A KR101830612B1 (en) 2011-11-16 2011-11-16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9724A KR101830612B1 (en) 2011-11-16 2011-11-16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3976A KR20130053976A (en) 2013-05-24
KR101830612B1 true KR101830612B1 (en) 2018-02-22

Family

ID=48663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9724A KR101830612B1 (en) 2011-11-16 2011-11-16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061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11947B2 (en) 2020-01-15 2023-07-2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having a transparent mask that includes a transparent oxid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0786B1 (en) * 2014-09-22 2022-02-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04993A (en) * 2005-06-21 2007-01-11 Seiko Epson Corp Organic el device, its manufacturing method, and electronic apparatu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04993A (en) * 2005-06-21 2007-01-11 Seiko Epson Corp Organic el device, its manufacturing method, and electronic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11947B2 (en) 2020-01-15 2023-07-2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having a transparent mask that includes a transparent oxi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3976A (en) 2013-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53236B2 (en) Polarizer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100714016B1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US7990051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TWI468793B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101861737B1 (en) Optical unit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WO2005045949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with polarizer
KR20170064164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KR20120130473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and stereoscopic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2079557B1 (en) Polarizer plate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including the same
KR101830612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100714015B1 (en) Organic luminescence display device
KR101830613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CN101589648B (e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KR101888438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KR100759669B1 (en) Dyes polarization film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102111502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KR101837503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KR102461527B1 (en) Both-Sides Emission Typ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KR101754229B1 (en) Optical Wave-Guiding Film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450191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display
KR102459893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KR102360786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KR102520566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display
JP5029596B2 (en) Organic EL devices, electronic devices
KR20170071019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display pa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