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0161B1 -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0161B1
KR101830161B1 KR1020160067195A KR20160067195A KR101830161B1 KR 101830161 B1 KR101830161 B1 KR 101830161B1 KR 1020160067195 A KR1020160067195 A KR 1020160067195A KR 20160067195 A KR20160067195 A KR 20160067195A KR 101830161 B1 KR101830161 B1 KR 1018301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contents
hologram
content
front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7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5379A (ko
Inventor
양태길
김종흠
서장원
윤선희
윤주석
한상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600671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0161B1/ko
Publication of KR201701353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53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01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01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1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optical effects
    • G09F19/18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optical effects involving the use of optical projection means, e.g. projection of images on clou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7/0103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holographic eleme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4Processes or apparatus for producing holograms
    • G03H1/0402Recording geometries or arrangements
    • G03H1/0408Total internal reflection [TIR] holograms, e.g. edge lit or substrate mode hologr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의 일측에 배치되고, 터치 패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면 디스플레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와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후면 디스플레이,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와 상기 후면 디스플레이 간의 이격 거리를 조정하는 제 1 조정 유닛,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와 상기 후면 디스플레이 사이에 위치하고, 암막 처리되어 있는 암막 공간, 컨텐츠 서버로부터 복수의 컨텐츠를 수신하는 통신 유닛 및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 및 상기 후면 디스플레이에 상기 복수의 컨텐츠를 출력시키고, 상기 제 1 조정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 및 상기 후면 디스플레이는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의 전면을 향해 상기 복수의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DIGITAL SIGNAGE}
본 발명은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콘텐츠 네트워크 등 다양한 IT 기술이 복합적으로 이루어져 정보와 광고를 전달하는 디스플레이 게시판이다.
종래의 디지털 사이니지는 한정된 옥외광고물을 제공하는데 그쳤으나, 최근에는 네트워크를 통한 원격제어가 가능한 디지털 사이니지가 등장하였고, 공공장소나 상업공간에 설치되어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한편, 종래의 디지털 사이니지는 내부 공간을 가진 박스형의 하우징으로 구성되고 있고, 하우징의 전면에 단일의 투명 디스플레이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종래의 상품 전시를 위한 디지털 사이니지는 내부 공간에 전시 상품을 배치하여 전면의 투명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전시 상품의 정보를 전달하였고, 사용자와의 상호작용도 가능하였다.
하지만, 종래의 상품 전시를 위한 디지털 사이니지는 디지털 사이니지 내부에 물리적인 전시 상품이 전시되기 때문에 전시할 수 있는 상품의 품목 및 수량에 한계가 존재한다. 또한, 전시 상품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매장주가 직접 전시 상품을 교체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5-0117620호에 의하면, 관리자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포함되는 디지털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의 분할을 정의하는 슬라이드를 제공하고, 슬라이드의 분할된 화면 별로 연결된 컨텐츠가 독립적으로 방송되도록 하고, 서버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시스템에게 컨텐츠를 포함하는 스케줄 컨텐츠 패키지를 게시할 게시 스케줄과 게시 스케줄에 해당하는 스케줄 컨텐츠 패키지를 제공하고,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스케줄에 따라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하우징의 내부를 암막 처리하고, 전면 디스플레이와 이격된 위치에 후면 디스플레이를 배치함으로써, 컨텐츠 서버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컨텐츠를 전면 디스플레이 및 후면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전면 디스플레이와 후면 디스플레이 사이에 홀로그램 장치를 배치시켜 홀로그램 컨텐츠를 출력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전면 디스플레이와 후면 디스플레이 간의 이격 거리를 조정하고, 터치 패널 및 터치 패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면 디스플레이 간의 거리 조정이 가능한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의 일측에 배치되고, 터치 패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면 디스플레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와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후면 디스플레이,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와 상기 후면 디스플레이 간의 이격 거리를 조정하는 제 1 조정 유닛,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와 상기 후면 디스플레이 사이에 위치하고, 암막 처리되어 있는 암막 공간, 컨텐츠 서버로부터 복수의 컨텐츠를 수신하는 통신 유닛 및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 및 상기 후면 디스플레이에 상기 복수의 컨텐츠를 출력시키고, 상기 제 1 조정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 및 상기 후면 디스플레이는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의 전면을 향해 상기 복수의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 1 조정 유닛은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 및 상기 하면 디스플레이 중 하나 이상을 이동시키기 위한 모터를 포함하거나,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 및 상기 하면 디스플레이 중 하나 이상을 수용하기 위한 복수의 슬릿을 포함하는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전면 디스플레이는 투명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상기 터치 패널과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 간의 거리를 조정하는 제 2 조정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제 2 조정 유닛을 더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전면 디스플레이와 상기 후면 디스플레이 사이의 암막 공간에 배치되고, 홀로그램 컨텐츠를 출력하는 홀로그램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로그램 장치는 상기 홀로그램 컨텐츠를 출력하는 하부 디스플레이 및 상기 하부 디스플레이에 출력된 홀로그램 컨텐츠를 반사시켜 상기 암막 공간에 홀로그램을 형성하는 반사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 상기 후면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 1 조정 유닛을 수용하는 제 1 공간 및 상기 통신 유닛 및 상기 제어 유닛을 수용하는 제 2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공간과 상기 제 2 공간은 분리되어 있다. 상기 하부 디스플레이는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와 상기 후면 디스플레이의 사이의 상기 제 1 공간의 하부에 수평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반사 스크린은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의 전면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홀로그램 장치는 상기 홀로그램 컨텐츠를 조사하는 홀로그램 컨텐츠 조사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조사된 홀로그램 컨텐츠를 반사시켜 상기 암막 공간에 홀로그램을 형성하는 제 1 반사 스크린 및 제 2 반사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 상기 후면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 1 조정 유닛을 수용하는 제 1 공간 및 상기 통신 유닛 및 상기 제어 유닛을 수용하는 제 2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홀로그램 컨텐츠 조사 유닛은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와 상기 후면 디스플레이의 사이의 상기 제 1 공간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공간의 하부로 상기 홀로그램 컨텐츠를 조사할 수 있다.
상기 제 1 공간과 상기 제 2 공간은 분리되어 있고, 상기 제 1 반사 스크린은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와 상기 후면 디스플레이의 사이의 상기 제 1 공간의 하부에 수평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 2 반사 스크린은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의 전면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반사 스크린은 상기 홀로그램 조사 유닛으로부터 조사된 홀로그램 컨텐츠를 상기 제 2 반사 스크린으로 반사하고, 상기 제 2 반사 스크린은 상기 반사된 홀로그램 컨텐츠를 다시 반사하여 상기 암막 공간에 홀로그램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컨텐츠는 메인 컨텐츠 및 배경 컨텐츠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메인 컨텐츠를 전면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시키고, 상기 배경 컨텐츠를 상기 후면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시킬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컨텐츠는 메인 컨텐츠, 배경 컨텐츠 및 홀로그램 컨텐츠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메인 컨텐츠를 전면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시키고, 상기 배경 컨텐츠를 상기 후면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시키고, 상기 홀로그램 컨텐츠를 상기 홀로그램 장치를 통해 출력시킬 수 있다.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는 영상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 유닛은 상기 사용자의 얼굴을 상기 컨텐츠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컨텐츠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얼굴에 기초하여 결정된 복수의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유닛은 상기 컨텐츠 서버로부터 상기 복수의 컨텐츠에 대한 스케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스케줄 정보는 상기 메인 컨텐츠에 대한 스케줄 정보 및 상기 배경 컨텐츠에 대한 스케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스케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에 상기 메인 컨텐츠를 출력시키고, 상기 후면 디스플레이에 상기 배경 컨텐츠를 출력시킬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복수의 컨텐츠에 대한 스케줄 정보에 기초하여 전면 디스플레이에 메인 컨텐츠를 출력시키고, 후면 디스플레이에 배경 컨텐츠를 출력시킴으로써, 전시할 컨텐츠의 품목 및 수량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고 광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전면 디스플레이와 후면 디스플레이 간의 이격 거리를 조정함으로써 전면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메인 컨텐츠와 후면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배경 컨텐츠 간의 원근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터치 패널 및 터치 패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면 디스플레이 간의 거리를 조정함으로써 터치 강도에 따른 사용자 인터렉션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면 디스플레이와 후면 디스플레이 사이에 배치된 홀로그램 장치를 통해 홀로그램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전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의 전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의 측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3에 도시된 제 1 조정 유닛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3에 도시된 제 1 조정 유닛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 및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의 홀로그램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의 전면 디스플레이 및 후면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홀로그램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의 홀로그램 장치를 이용한 홀로그램을 나타낸 예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구성도 또는 처리 흐름도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전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컨텐츠 전시 시스템은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100) 및 컨텐츠 서버(11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컨텐츠 전시 시스템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해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1과 다르게 구성될 수도 있다.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100)는 공공장소나 상업공간에 설치되어 광고 컨텐츠, 컨텐츠 정보 등을 전시하는 장치로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100)는 홀로그램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100)는 컨텐츠 서버(110)로부터 복수의 컨텐츠 및 복수의 컨텐츠에 대한 스케줄 정보를 수신하고, 스케줄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100)는 동시간대에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100)의 전면 디스플레이 및 후면 디스플레이 각각에 서로 다른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100)의 전면 디스플레이 및 후면 디스플레이의 출력 상태를 변경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100)는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100)를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에 따라 개별적인 맞춤형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컨텐츠 서버(110)는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100)로 복수의 컨텐츠 및 복수의 컨텐츠에 대한 스케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컨텐츠 서버(110)는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100)의 전면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는 컨텐츠와 후면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는 컨텐츠의 스케줄 정보를 달리하여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컨텐츠 서버(110)는, 예를 들어,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100)에 의해 촬영된 사용자의 얼굴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연령 및 성별을 추정하고, 추정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맞춤형 컨텐츠를 선별하여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도 1의 컨텐츠 전시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들은 네트워크(120)를 통해 연결된다. 네트워크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는, Wi-Fi, 블루투스(Bluetooth),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3G, 4G, 5G, LTE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 1의 컨텐츠 전시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의 동작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100)의 전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100)의 측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3을 참조하면,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100)는 하우징(200), 전면 디스플레이(210), 후면 디스플레이(220), 제 1 조정 유닛(230), 제 2 조정 유닛(240), 통신 유닛(250), 제어 유닛(260), 영상 카메라(29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100)는 홀로그램 장치(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200)은 전면 디스플레이(210), 후면 디스플레이(220), 제 1 조정 유닛(230) 및 제 2 조정 유닛(240)을 수용하는 제 1 공간(270)과 통신 유닛(250) 및 제어 유닛(260)을 수용하는 제 2 공간(280)으로 분리될 수 있다.
전면 디스플레이(210)는 하우징(200)의 내부의 일측에 배치되고, 터치 패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의해 사용자 인터렉션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면 디스플레이(210)는 하우징(200)의 제 1 공간(270)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전면 디스플레이(210)는 터치 패널을 통해 수신된 터치 입력 정보에 대응하는 각종 정보 및 컨텐츠 제어 메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 제어 메뉴는 예를 들면, 전면 디스플레이(210) 및 후면 디스플레이(220)을 통해 출력되는 복수의 컨텐츠를 변경하는 메뉴, 전면 디스플레이(210)에 출력되는 전시 컨텐츠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메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면 디스플레이(210)는 전면 디스플레이(210) 또는 후면 디스플레이(220)에 전시되는 전시 컨텐츠를 터치 드래그의 방향에 대응하여 이동시킬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전면 디스플레이(210)는 투명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로 구성되어 있어 후면 디스플레이(220)에서 출력되는 컨텐츠가 전면 디스플레이(210)에 투과될 수 있다.
또한, 전면 디스플레이(210)로 투명 OLED를 채용함으로써, 후면 디스플레이(220)에서 출력되는 컨텐츠가 전면 디스플레이(210)에 투과되어 홀로그램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전면 디스플레이(210)는 전면 디스플레이(210)에 출력되는 컨텐츠와 후면 디스플레이(220)에 출력되는 컨텐츠가 겹쳐진 오버레이 상태의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후면 디스플레이(220)는 하우징(200)의 내부에 배치되고, 전면 디스플레이(210)와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전면 디스플레이(210)에 배경이 되는 배경 컨텐츠(예컨대, 전시 컨텐츠 이미지, 동영상 컨텐츠 등)를 출력할 수 있다.
전면 디스플레이(210) 및 후면 디스플레이(220)는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110)의 전면을 향해 복수의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전면 디스플레이(210)와 후면 디스플레이(220) 사이에는 암막으로 처리되어 있는 암막 공간(300)이 존재하고, 전면 디스플레이(210)가 투명 OLED 디스플레이로 구성되어 있어 전면 디스플레이(210)는 해상도가 높은 메인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종래의 상품 전시를 위한 디지털 사이니지의 경우, 전면 디스플레이로서 LCD(Liquid Crystal Display)를 사용해 왔다. 종래의 디지털 사이니지의 내부에 전시된 전시 상품이 LCD를 투과해서 보여지기 위해서는 디지털 사이니지의 내부에 조명이 필수적으로 설치되어야만 했다. 하지만, 디지털 사이니지의 내부에 조명이 설치되는 경우에는 후술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램 장치를 통한 홀로그램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제 1 조정 유닛(230)은 전면 디스플레이(210)와 후면 디스플레이(220) 간의 이격 거리를 조정할 수 있다.
제 2 조정 유닛(240)는 터치 패널과 전면 디스플레이(210) 간의 거리를 조정할 수 있다.
통신 유닛(250)은 컨텐츠 서버(110)로부터 메인 컨텐츠 및 배경 컨텐츠를 포함하는 복수의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 유닛(250)은 컨텐츠 서버로부터 복수의 컨텐츠에 대한 스케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스케줄 정보는 메인 컨텐츠에 대한 스케줄 정보 및 배경 컨텐츠에 대한 스케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유닛(250)은 영상 카메라(290)에서 촬영된 사용자의 얼굴을 컨텐츠 서버(110)로 전송하고, 컨텐츠 서버(110)로부터 사용자의 얼굴에 기초하여 결정된 복수의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 유닛(250)은 사용자의 얼굴에 기초하여 추정된 사용자의 연령 및 성별에 맞는 맞춤형 컨텐츠를 컨텐츠 서버(11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제어 유닛(260)은 전면 디스플레이(210) 및 후면 디스플레이(220)에 컨텐츠 서버(110)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컨텐츠를 출력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 유닛(260)은 복수의 컨텐츠 중 메인 컨텐츠를 전면 디스플레이(210)를 통해 출력시키고, 복수의 컨텐츠 중 배경 컨텐츠 또는 전시 컨텐츠를 후면 디스플레이(220)를 통해 출력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 유닛(260)은 스케줄 정보에 기초하여 전면 디스플레이(210)에 메인 컨텐츠를 출력시키고, 후면 디스플레이(220)에 배경 컨텐츠를 출력시킬 수 있다.
제어 유닛(260)은 터치 패널을 통해 수신된 사용자의 터치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전면 디스플레이(210) 및 후면 디스플레이(220) 각각의 화면 출력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로부터 전시 컨텐츠 변경 요청이 입력된 경우, 제어 유닛(260)은 후면 디스플레이(220)에서 출력되는 전시 컨텐츠를 다른 컨텐츠로 변경하여 출력시킬 수 있다.
제어 유닛(260)은 전면 디스플레이(210) 및 후면 디스플레이(220)에 출력되는 컨텐츠의 종류에 따라 전면 디스플레이(210)와 후면 디스플레이(220) 간의 이격 거리를 조정하도록 제 1 조정 유닛(23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 유닛(260)은 전면 디스플레이(210) 및 후면 디스플레이(220)에 출력되는 컨텐츠에 대한 홀로그램 효과를 높이기 위해 전면 디스플레이(210)와 후면 디스플레이(220) 간의 이격 거리를 컨텐츠의 종류에 따라 조정하도록 제 1 조정 유닛(2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면 디스플레이(210) 및 후면 디스플레이(220)에 제 1 종류의 컨텐츠가 출력되는 경우, 제 1 조정 유닛(230)은 전면 디스플레이(210)와 후면 디스플레이(220) 간의 이격 거리를 멀리(제 1 이격 거리) 조정할 수 있다. 전면 디스플레이(210) 및 후면 디스플레이(220)에 제 2 종류의 컨텐츠가 출력되는 경우, 제 1 조정 유닛(230)은 전면 디스플레이(210)와 후면 디스플레이(220) 간의 이격 거리를 가깝게(제 2 이격 거리) 조정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두 가지의 실시예만을 예로 들었으나, 이와 다른 많은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제어 유닛(260)은 사용자 인터렉션의 향상을 위해 터치 패널과 전면 디스플레이 간의 거리를 조정하도록 하는 제 2 조정 유닛(240)을 제어할 수 있다. 터치 패널과 전면 디스플레이 간의 거리를 조정함으로써 사용자가 기존의 사용자 인터렉션보다 더욱 공간감, 입체감을 느끼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 유닛(260)도 전면 디스플레이(210) 및 후면 디스플레이(220)에 출력되는 컨텐츠에 따라 터치 패널과 전면 디스플레이 간의 거리를 조정할 수 있다.
통신 유닛(250)은 컨텐츠 서버(110)로부터 메인 컨텐츠, 배경 컨텐츠 및 홀로그램 컨텐츠를 포함하는 복수의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 유닛(260)은 통신 유닛(250)에서 수신한 메인 컨텐츠를 전면 디스플레이(210)를 통해 출력시키고, 배경 컨텐츠를 후면 디스플레이(220)를 통해 출력시키고, 홀로그램 컨텐츠를 홀로그램 장치(미도시)를 통해 출력시킬 수 있다.
홀로그램 장치(미도시)는 전면 디스플레이(210)와 후면 디스플레이(220) 사이의 암막 공간(300)에 배치되고, 컨텐츠 서버(110)로부터 수신된 홀로그램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잠시, 홀로그램 장치(미도시)에 대해 도 6a 및 6b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100)의 홀로그램 장치(미도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6b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100)의 홀로그램 장치(미도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홀로그램 장치에 의해 홀로그램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암막 처리된 암막 공간이 필수적이다. 하지만, 종래의 상품 전시를 위한 디지털 사이니지의 경우, 전면 디스플레이로서 LCD(Liquid Crystal Display)를 사용하고 있다. 종래의 디지털 사이니지의 내부에 전시된 전시 상품이 LCD를 투과해서 보여지기 위해서는 디지털 사이니지의 내부에 조명이 필수적으로 설치되어야 했다.
따라서, 종래의 디지털 사이니지는 본 발명의 홀로그램 장치를 통해 홀로그램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하지만, 본 발명의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100)는 전면 디스플레이(210)로서 투명 OLED 디스플레이를 채용하여, 제 1 공간(270)을 암막 처리(암막 공간(300))할 수 있고, 홀로그램 장치는 제 1 공간(270)의 암막 공간(300)에 홀로그램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a를 참조하면, 홀로그램 장치(미도시)는 하부 디스플레이(600) 및 반사 스크린(610)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하부 디스플레이(600)는 전면 디스플레이(210)와 후면 디스플레이(220)의 사이에 제 1 공간(270)의 하부에 수평으로 배치되며, 반사 스크린(610)은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100)의 전면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반사 스크린(610)과 하부 디스플레이(600)의 각도는 약 10 ~ 80도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하부 디스플레이(600)는 홀로그램 컨텐츠를 출력하고, 반사 스크린(610)는 하부 디스플레이(600)에 출력된 홀로그램 컨텐츠를 반사시켜 암막 공간(300)에 홀로그램(620)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홀로그램(620)이 형성되는 위치는 반사 스크린(610)의 기울기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홀로그램 장치(미도시)는 홀로그램 컨텐츠 조사 유닛(630), 제 1 반사 스크린(640) 및 제 2 반사 스크린(650)을 포함할 수 있다.
홀로그램 컨텐츠 조사 유닛(630)은 전면 디스플레이(210)와 후면 디스플레이(220)의 사이의 제 1 공간(270)의 상부에 배치되고, 제 1 반사 스크린(640)은 전면 디스플레이(210)와 후면 디스플레이(220)의 사이의 제 1 공간(270)의 하부에 수평으로 배치되고, 제 2 반사 스크린(650)은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100)의 전면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제 1 반사 스크린(640)과 제 2 반사 스크린(650)의 각도는 약 10 ~ 80도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홀로그램 컨텐츠 조사 유닛(630)은 홀로그램 컨텐츠를 조사하고, 제 1 반사 스크린(640) 및 제 2 반사 스크린(650)은 조사된 홀로그램 컨텐츠를 반사시켜 암막 공간(300)에 홀로그램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홀로그램 컨텐츠 조사 유닛(630)이 제 1 공간(270)의 하부로 홀로그램 컨텐츠를 조사하게 되면, 제 1 반사 스크린(640)은 조사된 홀로그램 컨텐츠를 제 2 반사 스크린(650)으로 반사시키고, 제 2 반사 스크린(650)은 반사된 홀로그램 컨텐츠를 다시 반사시켜 암막 공간(300)에 홀로그램(660)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홀로그램(660)이 형성되는 위치는 제 2 반사 스크린(650)의 기울기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3에 도시된 제 1 조정 유닛(23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 1 조정 유닛(230)은 전면 디스플레이(210) 및 후면 디스플레이(220) 중 하나 이상을 이동시키기 위한 모터(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조정 유닛(230)의 모터(40)는 전면 디스플레이(210) 또는 후면 디스플레이(220)의 이동을 제어하는 서브 모터(400)를 포함하고, 제어 유닛(260)에 의해 결정된 전면 디스플레이(210)와 후면 디스플레이(220) 간의 이격 거리만큼 서브 모터(400)를 통해 전면 디스플레이(210) 또는 후면 디스플레이(22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제 1 조정 유닛(230)의 모터(40)는 서브 모터(400)를 고정하기 위한 서브 모터 브라켓트(401)와 서브 모터(400)의 구동을 위한 기어 장치인 스퍼기어(403) 및 렉기어(40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기어 장치인 스퍼기어(403) 및 렉기어(402)는 전면 디스플레이(210) 또는 후면 디스플레이(220)를 움직이기 위한 회전운동을 수평으로 바꾸고, 회전의 힘을 전달하는 기어 장치일 수 있다.
제 1 조정 유닛(230)의 모터(40)는 전면 디스플레이(210) 또는 후면 디스플레이(220)의 이동을 위한 케이블 체인(404) 및 케이블 체인 가이드(405)를 포함하고, 케이블 체인(404)의 감김과 풀림의 동작으로 전면 디스플레이(210) 또는 후면 디스플레이(22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제 1 조정 유닛(230)의 모터(40)는 전면 디스플레이(210) 또는 후면 디스플레이(220)가 움직이기 위한 바퀴 역할을 수행하는 블부쉬 장치(406)를 포함하고, 서브 모터(400)의 지지대 역할을 감당하는 블록고정용 철판(407) 및 파이프(409)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3에 도시된 제 1 조정 유닛(23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 1 조정 유닛(230)은 전면 디스플레이(210) 및 후면 디스플레이(220) 중 하나 이상을 수용하기 위한 복수의 슬릿(50 내지 51)을 포함하는 지지대(5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 1 조정 유닛(230)은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100)의 관리자에 의해 전면 디스플레이(210)와 후면 디스플레이(220) 간의 이격 거리가 수동으로 조정되는 장치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100)의 전면 디스플레이(210) 및 후면 디스플레이(220)를 이용한 홀로그램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전면 디스플레이(210)는 투명 OLED 디스플레이로 구성되어 있어 고화질의 메인 컨텐츠(70 내지 72)에 대한 색상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전면 디스플레이(210)는 전면 디스플레이(210)의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후면 디스플레이(220)에서 출력되는 배경 컨텐츠(73)를 투과하여 보여줄 수 있다.
전면 디스플레이(210)에 출력되는 메인 컨텐츠(70 내지 72)와 전면 디스플레이(210)로 투과되는 후면 디스플레이(220)에 출력된 배경 컨텐츠가 전면 디스플레이(210) 상에서 오버레이될 수 있기 때문에 홀로그램 효과가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100)의 홀로그램 장치를 이용한 홀로그램을 나타낸 예시 도면이다.
도 8를 참조하면,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100)는 전면 디스플레이(210) 및 후면 디스플레이(220) 사이에 설치된 홀로그램 장치(미도시)를 통해 홀로그램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100)는 전면 디스플레이(210) 및 후면 디스플레이(220)의 컨텐츠를 출력함과 동시에 홀로그램 장치(미도시)를 통해 출력된 홀로그램 컨텐츠를 반사시켜 암막 공간(300) 상에서 홀로그램(80 내지 82)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투명 OLED를 채용한 전면 디스플레이(210) 및 후면 디스플레이(220)에 따른 홀로그램 효과와 홀로그램 장치를 통한 홀로그램 효과가 더해져 홀로그램 효과를 극대화하여 더욱 실감나는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110: 컨텐츠 서버

Claims (20)

  1.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의 일측에 배치되고, 터치 패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면 디스플레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와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후면 디스플레이;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와 상기 후면 디스플레이 간의 이격 거리를 조정하는 제 1 조정 유닛;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와 상기 후면 디스플레이 사이에 위치하고, 암막 처리되어 있는 암막 공간;
    컨텐츠 서버로부터 복수의 컨텐츠를 수신하는 통신 유닛; 및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 및 상기 후면 디스플레이에 상기 복수의 컨텐츠를 출력시키고, 상기 제 1 조정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 및 상기 후면 디스플레이는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의 전면을 향해 상기 복수의 컨텐츠를 출력하고,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는 상기 후면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는 컨텐츠가 상기 암막 공간을 거쳐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에 투과되도록 투명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로 구성되되,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는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 또는 상기 후면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는 컨텐츠의 종류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 패널과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 간의 거리를 조정하는 제 2 조정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제 2 조정 유닛을 더 제어하는 것인,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조정 유닛은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 및 상기 후면 디스플레이 중 하나 이상을 이동시키기 위한 모터를 포함하는 것인,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조정 유닛은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 및 상기 후면 디스플레이 중 하나 이상을 수용하기 위한 복수의 슬릿을 포함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인,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와 상기 후면 디스플레이 사이의 암막 공간에 배치되고, 홀로그램 컨텐츠를 출력하는 홀로그램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인,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홀로그램 장치는 상기 홀로그램 컨텐츠를 출력하는 하부 디스플레이; 및
    상기 하부 디스플레이에 출력된 홀로그램 컨텐츠를 반사시켜 상기 암막 공간에 홀로그램을 형성하는 반사 스크린
    을 포함하는 것인,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 상기 후면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 1 조정 유닛을 수용하는 제 1 공간 및 상기 통신 유닛 및 상기 제어 유닛을 수용하는 제 2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공간과 상기 제 2 공간은 분리되어 있는 것인,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디스플레이는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와 상기 후면 디스플레이의 사이의 상기 제 1 공간의 하부에 수평으로 배치되는 것인,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스크린은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의 전면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인,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홀로그램 장치는 상기 홀로그램 컨텐츠를 조사하는 홀로그램 컨텐츠 조사 유닛;
    상기 조사된 홀로그램 컨텐츠를 반사시켜 상기 암막 공간에 홀로그램을 형성하는 제 1 반사 스크린 및 제 2 반사 스크린
    을 포함하는 것인,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 상기 후면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 1 조정 유닛을 수용하는 제 1 공간 및 상기 통신 유닛 및 상기 제어 유닛을 수용하는 제 2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홀로그램 컨텐츠 조사 유닛은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와 상기 후면 디스플레이의 사이의 상기 제 1 공간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공간의 하부로 상기 홀로그램 컨텐츠를 조사하는 것인,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간과 상기 제 2 공간은 분리되어 있는 것인,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사 스크린은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와 상기 후면 디스플레이의 사이의 상기 제 1 공간의 하부에 수평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 2 반사 스크린은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의 전면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인,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사 스크린은 상기 홀로그램 컨텐츠 조사 유닛으로부터 조사된 홀로그램 컨텐츠를 상기 제 2 반사 스크린으로 반사하고,
    상기 제 2 반사 스크린은 상기 반사된 홀로그램 컨텐츠를 다시 반사하여 상기 암막 공간에 홀로그램을 형성하는 것인,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컨텐츠는 메인 컨텐츠 및 배경 컨텐츠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메인 컨텐츠를 전면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시키고, 상기 배경 컨텐츠를 상기 후면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시키는 것인,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1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컨텐츠는 메인 컨텐츠, 배경 컨텐츠 및 홀로그램 컨텐츠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메인 컨텐츠를 전면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시키고, 상기 배경 컨텐츠를 상기 후면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시키고, 상기 홀로그램 컨텐츠를 상기 홀로그램 장치를 통해 출력시키는 것인,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18.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는 영상 카메라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 유닛은 상기 사용자의 얼굴을 상기 컨텐츠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컨텐츠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얼굴에 기초하여 결정된 복수의 컨텐츠를 수신하는 것인,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유닛은 상기 컨텐츠 서버로부터 상기 복수의 컨텐츠에 대한 스케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스케줄 정보는 상기 메인 컨텐츠에 대한 스케줄 정보 및 상기 배경 컨텐츠에 대한 스케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스케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에 상기 메인 컨텐츠를 출력시키고, 상기 후면 디스플레이에 상기 배경 컨텐츠를 출력시키는 것인,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KR1020160067195A 2016-05-31 2016-05-31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KR1018301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7195A KR101830161B1 (ko) 2016-05-31 2016-05-31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7195A KR101830161B1 (ko) 2016-05-31 2016-05-31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5379A KR20170135379A (ko) 2017-12-08
KR101830161B1 true KR101830161B1 (ko) 2018-02-20

Family

ID=60920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7195A KR101830161B1 (ko) 2016-05-31 2016-05-31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01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71680A1 (ko) * 2020-09-29 2022-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1871B1 (ko) * 2019-01-31 2021-04-19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가능한 스마트 펜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40092A (ja) * 2003-02-05 2004-08-26 Pioneer Electronic Corp 表示装置
JP2004348219A (ja) * 2003-05-20 2004-12-09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コンテンツ再生装置、コンテンツ再生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2027470A (ja) * 2010-07-22 2012-02-09 Han-Seung Lee スタンド型デジタルディスプレイ装置
KR101445976B1 (ko) * 2013-07-01 2014-10-01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후면 표시부 및 전면 투명 표시부가 적층된 디스플레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40092A (ja) * 2003-02-05 2004-08-26 Pioneer Electronic Corp 表示装置
JP2004348219A (ja) * 2003-05-20 2004-12-09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コンテンツ再生装置、コンテンツ再生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2027470A (ja) * 2010-07-22 2012-02-09 Han-Seung Lee スタンド型デジタルディスプレイ装置
KR101445976B1 (ko) * 2013-07-01 2014-10-01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후면 표시부 및 전면 투명 표시부가 적층된 디스플레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71680A1 (ko) * 2020-09-29 2022-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5379A (ko) 2017-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21782B2 (ja) 陳列棚
US20180147985A1 (en) Vehicle projection system
KR101741001B1 (ko) 스마트 윈도우를 이용한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및 그의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US9635305B1 (en) Display apparatus including a transparent electronic monitor
EP1785769A1 (en) Projector/Projection type switchable display apparatus
JP3838241B2 (ja) 画像表示装置
JPH0242476A (ja) 小型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
NO340256B1 (no) Projeksjonsdisplayanordning og projeksjonsframvisningsanordning
KR101830161B1 (ko)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KR101271767B1 (ko) 투명 엘시디를 이용한 제품 광고 장치
CN113766200A (zh) 多投影器显示盒
US20210067937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50050714A (ko) 키오스크 장치
KR102090380B1 (ko) 3차원 위치 좌표 인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3차원 위치 좌표 인식 방법
KR101915221B1 (ko) 투명 미러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를 이용한 클라우드 기반의 영상 송출 시스템
KR20180014613A (ko) Pdlc를 이용한 광고판
EP3949809B1 (en) Image display device
US8733997B2 (en) Display apparatus with dual screens capable of displaying images and merchandise samples
KR100929960B1 (ko) 영상 구현 장치 및 이에 있어서 스크린 구조물
JP2008284168A (ja) 陳列棚
JP3900203B2 (ja) 画像表示装置
Yoo et al. 15 focal planes head-mounted display using led array backlight
KR101560063B1 (ko) 융합형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102397658B1 (ko) 광고용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KR101687074B1 (ko) 이중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