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0067B1 - 사용자의 과몰입을 방지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콘텐츠 제공장치 - Google Patents

사용자의 과몰입을 방지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콘텐츠 제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0067B1
KR101830067B1 KR1020160042128A KR20160042128A KR101830067B1 KR 101830067 B1 KR101830067 B1 KR 101830067B1 KR 1020160042128 A KR1020160042128 A KR 1020160042128A KR 20160042128 A KR20160042128 A KR 20160042128A KR 101830067 B1 KR101830067 B1 KR 1018300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immersion
user
mission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2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5200A (ko
Inventor
배한얼
Original Assignee
(주)이미지스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미지스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이미지스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1600421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0067B1/ko
Publication of KR20170115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52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00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00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68Evaluating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77Devices for viewing the surface of the body, e.g. camera, magnifying l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1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61B5/0402
    • A61B5/0476
    • A61B5/0488
    • A61B5/0496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18Heart-related electrical modalities, e.g. electrocardiography [EC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69Electroencephalography [EE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89Electromyography [EM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98Electrooculography [EOG], e.g. detecting nystagmus; Electroretinography [ER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05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sou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rdiolog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Psychiatry (AREA)
  • Psych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Phys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실행시키고 상기 디스플레이에 콘텐츠 영상을 표시하는 콘텐츠실행수단; 몰입도검출수단의 검출신호를 이용하여 과몰입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콘텐츠실행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과몰입방지수단을 포함하는 콘텐츠 제공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생체신호 등을 이용하여 과몰입 상태인지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으며, 판단결과에 따라 동작미션을 제공하거나 설정시간 동안 콘텐츠 재생을 중단시키거나 게임난이도를 조정함으로써 사용자가 과몰입 상태를 벗어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건전한 콘텐츠 사용을 유도할 수 있고, 게임 과몰입 또는 중독으로 인한 개인적, 사회적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용자의 과몰입을 방지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콘텐츠 제공장치{Method of preventing over-absorption of user and contents providing device for the same}
본 발명은 전자기기의 사용자가 게임 등의 콘텐츠에 과도하게 몰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의 생체신호 등을 이용하여 과몰입 여부를 판단하고 과몰입 상태에서 벗어나도록 적절한 해법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이나 컴퓨터를 이용하여 게임을 즐기는 사람이 증가하면서 게임 과몰입 또는 게임 중독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자기조절 능력이 약한 청소년이 게임에 지나치게 몰입하면 건강을 해치는 것은 물론이고 가상세계와 현실세계를 혼동하여 극단적인 행동을 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게임사용을 적절히 제어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필요에 따라 최근에는 사용자가 게임에 지나치게 몰입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여러 방법 들이 소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은 사용자가 스스로 게임시간을 설정하고 게임시간이 설정시간을 초과하지 않으면 소정의 보너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소개하고 있고, 특허문헌 2는 게임의 진행상태를 분석하여 과몰입 상태로 판단되면 실행 중인 게임에 해결방안을 적용하는 방법을 소개하고 있다.
그런데 특허문헌 1은 단순히 사용시간을 기준으로 하므로 사용자가 과도하게 몰입한 상태인지 아니면 여유 있게 게임을 즐기는 상태인지를 판단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서는 게임의 진행상태를 분석하여 과몰입 여부를 판단하는데, 게임 수행능력은 사용자의 소질이나 숙련도에 따라 편차가 크기 때문에 단순히 게임의 진행상태만으로 사용자가 과도하게 몰입한 상태인지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한편 이러한 과몰입 문제는 스마트폰, 컴퓨터 등의 사용자에게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가상현실(VR)기기 또는 증강현실(AR)기기의 사용자에게도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들 기기의 사용자에 대해서도 과도한 몰입을 방지할 수 있는 적절한 조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등록특허 제10-0964639호(2010.06.22 공고) 등록특허 제10-1159124호(2012.08.07 공고)
본 발명은 이러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서, 게임기, 가상현실 기기 등의 사용자가 과몰입 상태인지 여부를 보다 정확하게 판단하고, 과몰입 상태에서 벗어날 수 있는 적절한 해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양상은,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실행시키고 상기 디스플레이에 콘텐츠 영상을 표시하는 콘텐츠실행수단; 몰입도검출수단의 검출신호를 이용하여 과몰입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콘텐츠실행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과몰입방지수단을 포함하는 콘텐츠 제공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콘텐츠 제공장치의 상기 몰입도검출수단은, 근전도센서, 뇌전도센서, 심전도센서, 안전도센서, 체온센서, 혈압센서, 맥박센서, 안구관찰용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콘텐츠 제공장치는 사용자의 동작을 검출하는 동작검출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과몰입방지수단은 상기 동작검출수단의 검출신호를 이용하여 동작미션의 수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동작검출수단은 사용자를 촬영하는 동작검출카메라, 사용자의 눈을 촬영하는 안구관찰카메라, 모션센서, 근전도센서, 안전도 센서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콘텐츠 제공장치 사용자의 과몰입을 방지하는 방법에 있어서, 콘텐츠를 실행시키고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 몰입도검출수단의 검출신호를 이용하여 과몰입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과몰입 상태로 판단되면 설정시간 동안 상기 콘텐츠의 실행을 중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텐츠 사용자의 과몰입 방지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은, 콘텐츠 제공장치 사용자의 과몰입을 방지하는 방법에 있어서, 콘텐츠를 실행시키고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 몰입도검출수단의 검출신호를 이용하여 과몰입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과몰입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콘텐츠의 실행을 중지시키고, 동작미션을 제공하는 단계; 동작검출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동작미션의 수행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동작미션을 완수한 경우에 중지된 콘텐츠를 계속 실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텐츠 사용자의 과몰입 방지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과몰입 방지 방법에서 상기 동작미션을 제공하는 단계에서는, 디스플레이 또는 스피커를 통해 동작명령을 출력하거나, 디스플레이에 눈 또는 신체의 동작순서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과몰입 방지 방법에서 상기 동작미션의 수행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는, 동작검출센서의 검출신호 또는 안구관찰용 카메라의 검출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과몰입 방지 방법에서 상기 동작미션을 완수한 경우에 중지된 콘텐츠를 계속 실행시키는 단계에서는, 상기 몰입도검출수단의 검출신호를 이용하여 과몰입 여부를 다시 판단하고, 과몰입 상태가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에 한하여 중지된 콘텐츠를 계속 실행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은, 콘텐츠 제공장치 사용자의 과몰입을 방지하는 방법에 있어서, 게임콘텐츠를 실행시키고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 몰입도검출수단의 검출신호를 이용하여 과몰입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과몰입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게임콘텐츠의 난이도를 하향 조정하는 단계; 하향 조정된 난이도를 적용하여 상기 게임콘텐츠를 실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텐츠 사용자의 과몰입 방지 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게임콘텐츠의 난이도를 하향 조정하는 단계에서는, 게임 레벨을 낮추거나, 게임오브젝트의 이동속도를 줄이거나, 타겟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생체신호 등을 이용하여 과몰입 상태인지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으며, 판단결과에 따라 동작미션을 제공하거나 설정시간 동안 콘텐츠 재생을 중단시키거나 게임난이도를 조정함으로써 사용자가 과몰입 상태를 벗어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건전한 콘텐츠 사용을 유도할 수 있고, 게임 과몰입 또는 중독으로 인한 개인적, 사회적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장치의 사용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장치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장치의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장치의 변형 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장치의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과몰입 방지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과몰입 방지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8은 동작미션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동작미션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과몰입 방지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11 및 도 12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장치의 다양한 변형예를 나타낸 블록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 하나의 구성요소(element)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 결합, 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는,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요소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 또는 직접 결합되는 경우는 중간에 다른 요소가 개재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하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구비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몰입 방지 기술은 게임 등의 콘텐츠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장치(이하, '콘텐츠 제공장치'라 한다)에 적용될 수 있으며, 콘텐츠 제공장치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장치(100)의 사용상태를 예시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헤드 마운트 타입의 가상현실(VR) 기기를 착용한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장치(100)는 도 2의 구성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10), 몰입도검출수단(120), 입력수단(130), 콘텐츠실행수단(140), 과몰입방지수단(150), 저장수단(160) 등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110)는 콘텐츠실행수단(140)에 의해 실행되는 콘텐츠 영상, 또는 과몰입방지수단(150)에 의해 실행되는 동작미션 영상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장치이며, 콘텐츠 제공장치(100)의 유형에 따라 디스플레이(110)의 구체적인 종류나 크기는 달라질 수 있다.
몰입도검출수단(120)은 사용자가 과몰입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생체신호 등을 검출하는 수단이다. 몰입도검출수단(120)은 예를 들어 사용자의 근전도(EMG), 뇌전도(EEG), 심전도(ECG), 안전도(EOG), 체온, 혈압, 맥박 등을 검출하는 센서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안구움직임을 관찰하는 카메라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의 동공 크기를 관찰하는 카메라를 포함할 수도 있다.
콘텐츠 제공장치(100)가 도 1과 같은 가상현실 기기인 경우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의 눈 주위를 둘러싸는 테두리(102) 부분에 다양한 센서를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양쪽 눈 가장자리가 접촉하는 부분에 안전도센서(121)와 맥박센서(123) 설치하고, 이마와 접촉하는 부분에 뇌전도센서(127)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테두리(1021)의 내측에 사용자의 눈동자 움직임 또는 동공크기를 관찰할 수 있는 카메라(125)를 설치할 수도 있다. 다만 도 3에 나타낸 센서의 종류와 배치는 예시적인 것이므로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입력수단(130)은 콘텐츠실행수단(140)에 대한 실행명령 또는 제어명령을 입력하거나, 과몰입방지수단(150)에 대한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수단이다.
입력수단(130)의 종류는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사용자가 손으로 조작하는 마우스, 키보드, 터치패드, 터치스크린, 키패드, 버튼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력수단(130)은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소정의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음성인식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입력수단(130)은 사용자의 동작을 검출하여 소정의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모션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가상현실 기기에서는 모션센서가 사용자의 머리 움직임에 따라 소정의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콘텐츠실행수단(140) 또는 과몰입방지수단(150)은 모션센서에 검출된 동작신호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110)에 표시되는 영상을 갱신하거나, 영상에 표시된 객체를 선택 또는 이동시킬 수 있다.
콘텐츠실행수단(140)은 입력수단(130)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명령에 의해 또는 미리 설정된 바에 따라 게임영상, 가상현실영상, 동영상, 이미지 등의 콘텐츠를 실행시키고, 실행된 콘텐츠를 디스플레이(110)를 통해 표시한다. 이때 스피커를 통해 음성을 출력할 수도 있다.
과몰입방지수단(150)은 몰입도검출수단(120)에서 검출된 신호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과몰입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과몰입 상태로 판단되면 소정의 동작미션을 요구하거나, 게임난이도를 조정하는 등의 방법으로 사용자가 과몰입 상태에서 벗어나도록 유도하는 수단이다.
구체적으로는 콘텐츠실행수단(140)에 의해 실행되는 콘텐츠가 디스플레이(110)에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과몰입 상태로 판단되면, 과몰입방지수단(150)은 상기 콘텐츠의 실행을 설정시간 동안 중지시킬 수 있다. 또한 과몰입 상태로 판단되면, 콘텐츠 실행을 중지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110)에 동작미션 영상을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소정의 동작을 요구하고 사용자가 동작미션을 완료하면 중지되었던 콘텐츠를 계속 실행시킬 수 있다. 또한 게임콘텐츠의 사용자가 과몰입 상태로 판단되면, 실행중인 게임의 난이도를 조정할 수도 있다.
저장수단(160)은 콘텐츠 제공장치(100)의 제어프로그램은 물론이고, 콘텐츠실행수단(140)에 의해 실행될 콘텐츠, 과몰입방지수단(150)에 의해 실행될 동작미션 등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한편 도 1에는 입력수단(130)이 콘텐츠 제공장치(100)에 장착된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입력수단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콘텐츠 제공장치(100a)와 별도로 제작되어 사용자가 손에 쥐거나 착용한 상태로 사용하는 입력장치(180)로 대체될 수도 있다.
상기 입력장치(180)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동작신호를 생성하는 모션센서(182)와, 모션센서(182)에서 생성된 동작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해 콘텐츠 제공장치(100a)의 통신수단(170)으로 전송하는 통신수단(184)을 포함할 수 있다. 모션센서(182)는 3축 가속도센서(accelerometer), 3축 각속도센서(gyroscope), 지자계 센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입력장치(180)가 반드시 모션센서(182)를 이용하여 동작신호를 생성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일 예로서, 사용자의 팔목, 팔뚝 등에 장착된 근전도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손의 움직임에 따라 동작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는 후술하는 도 10 및 도 11 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입력수단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콘텐츠 제공장치(100a)와 별도로 설치된 카메라를 포함하는 입력장치(190)로 대체될 수도 있다.
상기 입력장치(190)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촬영하여 동작신호를 생성하는 동작검출카메라(192)와, 동작검출카메라(192)에서 생성된 동작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해 콘텐츠 제공장치(100a)의 통신수단(170)으로 전송하는 통신수단(194)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장치(100)는 스피커, 마이크, 햅틱액츄에이터 등을 포함할 수도 있고, 상기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응급상황에 대비하여 미리 저장된 긴급연락처(보호자, 긴급구조센터 등)로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콜(call)을 연결하는 긴급통화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 1 실시예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과몰입 방지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콘텐츠 제공장치(100)의 콘텐츠실행수단(140)은 사용자의 조작 또는 동작에 의한 입력신호에 따라 또는 설정된 바에 따라 콘텐츠를 실행하고, 실행되는 콘텐츠를 디스플레이(110)에 표시한다. 실행되는 콘텐츠는 게임콘텐츠일 수도 있고, 가상현실 영상일 수도 있고, 기타 동영상 또는 이미지 일수도 있다. (ST11)
콘텐츠실행수단(140)이 콘텐츠를 실행시키면, 몰입도검출수단(120)은 사용자의 생체신호(근전도(EMG), 뇌전도(EEG), 심전도(ECG), 안전도(EOG), 체온, 혈압, 맥박 등), 눈동자 움직임, 동공 크기 등을 검출한다. (ST12)
그리고 과몰입방지수단(150)은 몰입도검출수단(120)에서 검출된 생체신호 또는 눈동자 정보를 설정기준과 대비하여 과몰입 여부를 판단한다.
일 예로서, 과몰입방지수단(150)은 근전도, 뇌전도, 심전도, 또는 안전도 신호의 세기가 허용치를 벗어나거나, 근전도, 뇌전도, 심전도, 또는 안전도 신호의 패턴이 특정한 패턴을 나타내는 경우에 과몰입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사용자의 체온, 혈압, 또는 맥박이 허용치를 벗어나면 과몰입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사용자의 눈동자가 한 곳을 응시하는 시간이 허용치보다 길거나, 눈을 깜박이는 회수가 허용치보다 작으면 과몰입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동공이 확장된 시간이 허용치보다 길면 과몰입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과몰입방지수단(150)은 과몰입 상태로 판단된 경우에, 검출된 생체신호 또는 눈동자 정보를 다른 설정기준과 대비하여 사용자가 긴급구조가 필요한 응급상태인지 여부를 추가로 확인할 수도 있다. (ST13)
위 단계에서 과몰입 상태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과몰입방지수단(150)은 몰입도검출수단(120)의 검출신호를 설정기준과 계속 대비한다. 만일 과몰입 상태로 판단되면 과몰입방지수단(150)은 콘텐츠실행수단(140)을 제어하여 콘텐츠의 실행을 중지하고 사용자가 시각, 청각, 또는 촉각을 통해 인지할 수 있는 경보를 발생한다. 즉, 예를 들어 '사용자의 현재 생체신호가 허용치를 벗어났습니다. 안전을 위하여 1분간 중지합니다'라는 멘트를 디스플레이(110)에 표시하거나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햅틱피드백을 제공할 수도 있다. (ST14)
이어서 과몰입방지수단(150)은 설정시간의 경과여부를 판단하고, 설정시간이 경과하였으면 콘텐츠실행수단(140)을 제어하여 중지되었던 콘텐츠를 계속 실행시킨다. 이때 설정시간이 경과한 경우에 콘텐츠를 즉시 실행시키지 않고, 몰입도검출수단(120)의 검출신호를 설정기준과 다시 대비하여 과몰입 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만 콘텐츠 실행을 재개할 수도 있다. (ST15, ST16)
한편 위 ST14단계에서, 과몰입방지수단(150)이 사용자가 응급상태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는 저장된 긴급연락처로 긴급메시지 또는 콜을 전송할 수도 있다.
제 2 실시예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과몰입 방지방법을 설명한다. 제1 실시예는 과몰입 상태로 판단될 경우에 콘텐츠 실행을 설정시간 동안 중단시키기만 하는데 반하여, 제2 실시예에서는 콘텐츠가 실행 중지된 동안 사용자에게 소정의 동작미션을 수행하도록 요구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먼저 제1 실시예의 ST11 내지 ST13단계와 마찬가지로, 콘텐츠실행수단(140)이 콘텐츠를 실행하여 디스플레이(110)에 표시하면 몰입도검출수단(120)이 사용자의 생체신호 또는 눈동자 정보를 검출하고, 과몰입방지수단(150)은 검출된 생체신호 또는 눈동자 정보를 설정기준과 대비하여 과몰입 여부를 판단한다. (ST21 내지 ST23)
위 단계에서, 과몰입 상태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과몰입방지수단(150)은 콘텐츠를 계속 실행시키면서 몰입도검출수단(120)의 검출신호를 설정기준과 계속 대비한다. 만일 과몰입 상태로 판단되면 과몰입방지수단(150)은 콘텐츠실행수단(140)을 제어하여 콘텐츠의 실행을 중지하고 사용자에게 미리 설정된 동작미션을 제공한다. 과몰입 상태로 판단되면 콘텐츠 실행을 중지하기 전에 시각, 청각 및/또는 촉각에 의한 경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동작미션은 실행중인 콘텐츠에 과도하게 몰입된 사용자의 관심을 다른 쪽으로 돌려서 흥분과 스트레스를 해소시키고, 경직된 신체를 부드럽게 이완시키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으로서 그 종류는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동작미션은 디스플레이(110)를 통해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도 있고, 스피커를 통해 음성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일 예로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숫자로 표시된 타겟을 디스플레이(110)에 순차적으로 표시하고 사용자가 표시된 타겟을 순차적으로 쳐다보도록 함으로써 자연스럽게 눈운동을 유도하고 이를 통해 과몰입으로 인한 긴장을 해소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사용자의 미션수행 여부는 도 3의 카메라(125)를 통해 눈동자의 움직임 정보를 검출하여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안전도센서(121)의 검출신호를 이용하여 미션수행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서, '눈을 10회 깜박이세요', '눈을 10초간 감으세요' 등과 같은 문구를 디스플레이(110)에 표시하거나 음성으로 출력하여 눈의 긴장을 해소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사용자의 미션수행 여부는 예를 들어 도 2의 카메라(125)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안전도센서(121)의 검출신호를 이용하여 미션수행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디스플레이(110)에 간단한 체조동작을 나타내고 표시된 동작을 따라 하도록 요구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목을 위로 드세요', '목을 아래/좌측/우측으로 숙이세요', '양팔을 돌리세요' 등과 같은 문구를 디스플레이(110)에 표시하거나 음성으로 출력하여 특정 동작을 하도록 유도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해당 동작을 정확하게 따라 하는지 여부는 사용자가 휴대 또는 착용한 모션센서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도 9에 예시한 바와 같이, 콘텐츠제공장치(100a)가 가위 바위 보 게임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소정 회수 이상 승리한 경우에만 동작미션을 수행한 것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도 9의 디스플레이에는 과몰입방지수단(150)이 선택한 손 모습(가위)과 사용자의 손 모습(바위)이 나타나 있는데, 사용자의 손 모습은 동작검출카메라(도 5의 192)를 통해 인식할 수도 있고, 사용자가 착용한 근전도센서를 통해 인식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동작미션이 다수 준비된 경우에, 과몰입방지수단(140)은 다수의 동작미션 중에서 임의의 미션을 선택하여 제공하거나 설정된 순서대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과몰입방지수단(140)은 사용자의 과몰입 정도에 따라 동작미션을 차등화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과몰입 상태에서는 간단한 동작미션을 제공하고, 위험수준의 과몰입 상태로 판단되면 충분한 긴장해소를 위하여 동작미션의 개수를 늘리거나 더 복잡한 동작으로 이루어진 미션을 제공할 수도 있다. (ST24)
과몰입방지수단(150)은 동작미션을 제공한 후에, 콘텐츠 제공장치(100)에 장착된 모션센서 또는 근전도센서, 입력장치(180)에 장착된 모션센서 또는 근전도센서, 입력장치(190)에 포함된 동작검출카메라(192), 콘텐츠 제공장치(100)에 장착된 카메라 등에서 검출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동작미션을 완수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ST25)
위 단계에서 사용자가 동작미션을 완수하지 않았거나 수행 정도가 설정기준을 만족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과몰입방지수단(150)은 동작미션의 완수를 대기한다.
사용자가 동작미션을 완수하였다고 판단되면, 즉시 중지된 콘텐츠를 재생시킬 수도 있고,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과몰입방지수단(150)이 몰입도검출수단(120)의 검출신호를 이용하여 과몰입 여부를 다시 한번 판단할 수도 있다. (ST26)
위 단계에서 아직도 과몰입 상태에서 벗어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동일 또는 다른 종류의 동작미션을 제공하고, 과몰입 상태에서 벗어났다고 판단되면 중지되었던 콘텐츠의 실행을 재개한다. (ST27)
한편 과몰입방지수단(150)은 사용자가 동작미션을 완수하였다고 판단한 경우에 소정의 보너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보너스의 종류는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게임콘텐츠의 아이템 또는 게임머니일 수도 있고, 사용자의 레벨상승 또는 점수제공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 3 실시예
이하에서는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과몰입 방지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 따른 과몰입 방지 방법은 실행되는 콘텐츠가 게임콘텐츠인 경우에 과몰입 해소를 위하여 동작미션을 부여하는 대신 게임 난이도를 조정하는 점에서 제2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먼저 제2 실시예의 ST21 내지 ST23단계와 마찬가지로, 콘텐츠실행수단(140)이 게임콘텐츠를 실행하여 디스플레이(110)에 표시할 때 몰입도검출수단(120)이 사용자의 생체신호 또는 눈동자 정보를 검출하고, 과몰입방지수단(150)은 검출된 생체신호 또는 눈동자 정보를 설정기준과 대비하여 과몰입 여부를 판단한다. (ST31 내지 ST33)
위 단계에서, 과몰입 상태로 판단되면 과몰입방지수단(150)은 콘텐츠실행수단(140)을 제어하여 게임콘텐츠의 난이도를 조정한다. 게임 난이도의 조정 방법은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게임레벨을 낮추거나, 타겟의 속도 또는 크기를 조절하는 등의 방법으로 난이도를 하향 조정할 수 있다.
한편 과몰입방지수단(150)은 몰입도검출수단(120)에서 검출된 생체신호 등을 이용하여 난이도 조정을 차등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과몰입 상태에서는 게임 난이도를 한 단계만 낮추고, 위험수준의 과몰입 상태로 판단되면 게임 난이도를 여러 단계 한꺼번에 낮출 수도 있다. (ST34)
이어서 콘텐츠실행수단(140)은 조정된 난이도를 적용하여 게임 콘텐츠를 실행한다. 난이도 조정 후에도 몰입도검출수단(120)은 사용자의 생체신호 또는 눈동자 움직임을 지속적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검출하고 과몰입방지수단(150)을 이를 이용하여 난이도 조정 여부를 계속 판단한다. (ST35)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 및 도 4에는 몰입도검출수단(120)이 콘텐츠 제공장치(100,100a)에 구비된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서,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몰입도검출수단(200)을 별도로 준비하여 사용자의 신체에 장착할 수도 있다. 즉, 근전도센서, 심전도센서, 뇌전도센서, 안전도센서, 체온센서, 혈압센서, 맥박센서 등은 각각의 신호를 검출하는데 적합한 위치가 각각 다르기 때문에 각각의 센서와 통신수단을 모듈화한 몰입도검출수단(200)을 별도로 준비하여 사용자의 신체에 장착하면, 과몰입 방지수단(150)은 몰입도검출수단(200)으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이용하면 과몰입 여부를 보다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가 휴대 또는 착용하는 입력장치(180)에 몰입도검출수단(186)을 장착할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가 동작미션을 수행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동작검출수단에는 동작미션의 종류에 따라 모션센서, 동작검출카메라, 또는 근전도센서가 사용될 수도 있고, 안구관찰용 카메라 또는 안전도센서가 사용될 수도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구체적인 적용에 있어서 다양하게 변형 또는 수정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변형 또는 수정된 실시예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포함한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100: 콘텐츠 제공장치 110: 디스플레이
120: 몰입도검출수단 121: 안전도센서
123: 맥박센서 125: 카메라
127: 뇌전도센서 130: 입력수단
140: 콘텐츠실행수단 150: 과몰입방지수단
160: 저장수단 170: 통신수단
180,190: 입력장치 182: 모션센서
184: 통신수단 192: 동작검출카메라

Claims (11)

  1.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실행시키고 상기 디스플레이에 콘텐츠 영상을 표시하는 콘텐츠실행수단;
    사용자의 동작을 검출하는 동작검출수단;
    몰입도검출수단의 검출신호를 이용하여 과몰입 여부를 판단하고, 과몰입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콘텐츠실행수단을 제어하여 콘텐츠 실행을 중지시키고 동작미션을 제공하며, 상기 동작검출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동작미션의 수행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동작미션을 완수한 것으로 판단되면 중지된 콘텐츠를 계속 실행시키는 과몰입방지수단;
    을 포함하는 콘텐츠 제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몰입도검출수단은, 근전도센서, 뇌전도센서, 심전도센서, 안전도센서, 체온센서, 혈압센서, 맥박센서, 안구관찰용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과몰입방지수단은, 과몰입 여부를 판단할 때 과몰입 정도를 차등화하여 판단하고, 동작미션을 제공할 때는 과몰입 정도에 따라 차등화된 동작미션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검출수단은, 사용자의 신체를 촬영하는 동작검출카메라, 사용자의 눈을 촬영하는 안구관찰카메라, 모션센서, 근전도센서, 안전도 센서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장치
  5. 삭제
  6. 콘텐츠 제공장치 사용자의 과몰입을 방지하는 방법에 있어서,
    콘텐츠를 실행시키고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
    몰입도검출수단의 검출신호를 이용하여 과몰입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과몰입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콘텐츠의 실행을 중지시키고, 동작미션을 제공하는 단계;
    동작검출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동작미션의 수행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동작미션을 완수한 경우에 중지된 콘텐츠를 계속 실행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콘텐츠 사용자의 과몰입 방지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미션을 제공하는 단계에서는, 디스플레이 또는 스피커를 통해 동작명령을 출력하거나, 디스플레이에 눈 또는 신체의 동작순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사용자의 과몰입 방지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미션의 수행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는, 모션센서, 근전도센서, 또는 안전도센서의 검출신호를 이용하거나, 동작검출카메라 또는 안구관찰용 카메라의 검출정보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사용자의 과몰입 방지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미션을 완수한 경우에 중지된 콘텐츠를 계속 실행시키는 단계에서는,
    상기 몰입도검출수단의 검출신호를 이용하여 과몰입 여부를 다시 판단하고, 과몰입 상태가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에 한하여 중지된 콘텐츠를 계속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사용자의 과몰입 방지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과몰입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는 과몰입 정도를 차등화하여 판단하고, 동작미션을 제공하는 단계에서는 과몰입 정도에 따라 차등화된 동작미션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사용자의 과몰입 방지 방법
  11. 삭제
KR1020160042128A 2016-04-06 2016-04-06 사용자의 과몰입을 방지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콘텐츠 제공장치 KR1018300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2128A KR101830067B1 (ko) 2016-04-06 2016-04-06 사용자의 과몰입을 방지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콘텐츠 제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2128A KR101830067B1 (ko) 2016-04-06 2016-04-06 사용자의 과몰입을 방지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콘텐츠 제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5200A KR20170115200A (ko) 2017-10-17
KR101830067B1 true KR101830067B1 (ko) 2018-02-21

Family

ID=60297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2128A KR101830067B1 (ko) 2016-04-06 2016-04-06 사용자의 과몰입을 방지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콘텐츠 제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00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3850B1 (ko) * 2018-08-08 2019-04-01 넷마블 주식회사 게임에 대한 과몰입 방지 장치 및 방법
KR102314385B1 (ko) 2019-08-08 2021-10-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540301B1 (ko) * 2020-12-08 2023-06-07 주식회사 한국보안인증 스마트 기기를 연동하여 인터넷 중독을 진단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540302B1 (ko) * 2020-12-29 2023-06-07 주식회사 한국보안인증 스마트 기기 연동을 이용한 사이버 폭력 및 인터넷 중독 기반의 심리 피해 교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9124B1 (ko) * 2011-11-01 2012-08-07 방준호 게임 사용자의 과몰입 방지방법
KR101498593B1 (ko) * 2013-08-26 2015-03-04 허진만 게임 또는 인터넷 중독 평가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9124B1 (ko) * 2011-11-01 2012-08-07 방준호 게임 사용자의 과몰입 방지방법
KR101498593B1 (ko) * 2013-08-26 2015-03-04 허진만 게임 또는 인터넷 중독 평가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5200A (ko) 2017-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0067B1 (ko) 사용자의 과몰입을 방지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콘텐츠 제공장치
US1122471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irtual-reality-based mindfulness therapy
JP2022140621A (ja) 外部条件に基づくウェアラブルディスプレイデバイスの自動制御
JP6942120B2 (ja) 支援技術を制御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CN110022835B (zh) 康复支援系统、康复支援方法及存储介质
CN109166612B (zh) 一种基于眼动及脑电信息的大型游戏场景康复系统及方法
JP2004527815A (ja) 感知電気生理学的データに基づく活動開始方法及びシステム
JP2024012497A (ja) コミュニケーション方法及びシステム
US20210389587A1 (en) Head-mount display and head-mount display system
JP7141680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102386359B1 (ko) 동작 상상에 따른 뇌파를 이용하는 로봇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JP6765654B2 (ja) リハビリテーション装置、及び制御方法
KR102277359B1 (ko) 가상 현실 트레이닝 관련 추가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Novak Biomechatronic applications of brain-computer interfaces
KR102142535B1 (ko) 거울신경세포의 활성화를 극대화하는 기능성 전기 자극과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기술을 결합한 게임 방식의 재활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WO2017085963A1 (ja) 情報処理装置、及び映像表示装置
CN113223718A (zh) 一站式情绪宣泄系统
CN113393745B (zh) 一种糖尿病并发症体验系统及方法
WO2022070415A1 (ja)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装置
JPWO2019207728A1 (ja) 画像提示装置、画像提示方法、記録媒体及びプログラム
JP6853807B2 (ja) 覚醒維持装置、制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11493994B2 (en) Input device using bioelectric potential
KR102277358B1 (ko) 가상 현실 트레이닝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888498B1 (ko)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를 게임영상에 직접 적용한 게임 방식의 재활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845211B2 (ja) 意識レベル検出装置及びゲーム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