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9599B1 - 이차전지용 전극물질의 구조 분석방법 및 그를 위한 도포 지그장치 - Google Patents

이차전지용 전극물질의 구조 분석방법 및 그를 위한 도포 지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9599B1
KR101829599B1 KR1020160110853A KR20160110853A KR101829599B1 KR 101829599 B1 KR101829599 B1 KR 101829599B1 KR 1020160110853 A KR1020160110853 A KR 1020160110853A KR 20160110853 A KR20160110853 A KR 20160110853A KR 101829599 B1 KR101829599 B1 KR 1018295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ig
electrode material
jig body
secondary battery
applic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0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순
Original Assignee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원자력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110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95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9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95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2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using diffraction of the radiation by the materials, e.g. for investigating crystal structure; by using scattering of the radiation by the materials, e.g. for investigating non-crystalline materials; by using reflection of the radiation by the materials
    • G01N23/207Diffractometry using detectors, e.g. using a probe in a central position and one or more displaceable detectors in circumferential posi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02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 H01M4/0404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by coating on electrode coll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483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for non-aqueous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포체의 표면에 전극물질을 도포한 후 X-선을 조사하여 충전 또는 방전 시 전극물질의 구조변화를 관찰하는 이차전지용 전극물질의 구조 분석방법에 관한 것으로, 다수개의 관통홀이 메쉬 형태로 형성된 도포체를 사용함으로써 XRD에서 산란세기를 향상시쿄 전극물질의 격자구조 변화를 더욱 뚜렷하게 관찰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이차전지용 전극물질의 구조 분석방법 및 그를 위한 도포 지그장치{ METHOD FOR ANALYSISING PATTERN OF ELECTRODE MATERIAL FOR SECONDARY BATTERY CELL AND COATING JIG DEVICE THEREFOR }
본 발명은 이차전지용 전극물질의 구조 분석방법 및 그를 위한 도포 지그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포체의 표면에 전극물질을 도포한 후 X-선을 조사하여 충전 또는 방전 시 전극물질의 구조변화를 관찰하는 이차전지용 전극물질의 구조 분석방법 및 그를 위한 도포 지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리튬이차전지는 전지 내에서 리튬 이온의 삽입 및 탈리에 의하여 충전과 방전이 이루어지는 이차 전지의 일종으로, 에너지 밀도가 높고, 기전력이 크며, 고용량을 발휘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휴대전화, 노트북 등의 전원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최근 리튬이차전지 시장에서는 신규 전극물질 개발이 가장 큰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리튬 이차 전지의 양극에 포함되는 양극 활물질(positive active-material)은 주로 LiCoO2, LiMnO2와 같은 리튬을 함유하고 있는 전이금속 산화물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신규 전극물질 개발을 위해서는 전극물질 내 구조 변화와 전기화학 특성의 분석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리튬이차전지에 사용되는 전극물질 개발에 있어 충전/방전 시 실시간으로 구조 변화를 관찰하는 이차전지 전용 in situ XRD(X-선 회절 분석법)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많은 대학교, 연구소, 회사에서는 이러한 이차전지 전용 인 시투(in situ) XRD 분석을 통해 신규 전극재료 개발에 집중하고 있는 상황이다.
일반적인 포일 위 전극물질 도포법은 면 내 높낮이 차이가 거의 없는 정반 또는 고르게 연마된 금속판에 포일을 부착시키고 블레이드 타입의 도포기구를 이용하여 포일 위에 점도성을 가지는 전극물질 슬러리를 고르게 도포한 후 건조한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알루미늄이나 구리로 된 포일을 도포체로 사용하고, 도포체의 일 면에 전극물질을 도포하고 X-선을 조사하여 결정구조를 관찰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방식에서는 전극물질이 도포되어 있는 알루미늄 또는 구리 포일을 투과할 때 잃어버리는 에너지가 커서 산란세기(intensity)가 줄어들어 제대로 된 구조 분석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즉 도 5에서 최상단의 그래프(a)는 기존의 알루미늄 포일 중 전극물질이 도포된 면에 X-선을 조사한 경우의 회절 패턴을 나타내고, 최하단의 그래프(c)는 전극물질이 도포된 면의 반대편 면에 X-선을 조사한 경우의 회절 패턴을 나타낸 것이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593860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이차전지용 전극물질의 구조 분석방법 및 그를 위한 도포 지그장치가 가지는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XRD에서 산란세기를 향상시킴으로써 전극물질의 격자구조 변화를 더욱 뚜렷하게 관찰할 수 있는 이차전지용 전극물질의 구조 분석방법 및 그를 위한 도포 지그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이차전지용 전극물질의 구조 분석방법은, 도포체의 표면에 전극물질을 도포한 후 X-선을 조사하여 충전 또는 방전 시 전극물질의 구조변화를 관찰하는 이차전지용 전극물질의 구조 분석방법으로서, 상기 도포체는 다수개의 관통홀이 메쉬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포체의 저면을 물체로부터 이격시키고 상기 도포체를 긴장시켜 지지한 상태로 전극물질을 도포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포체는 상기 관통홀의 직경이 0.30~0.40mm이고, 상기 관통홀의 개구율이 15~20%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전극물질의 구조 분석방법에 있어서, 상기 도포체는 알루미늄 또는 구리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전극물질의 구조 분석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차전지는 리튬이차전지 및 소듐이차전지이고, 상기 전극물질은 LiCoO2, LiMn2O4, LiNi0 . 5Mn1 . 5O4, LiFePO4, LiMnPO4, LiCoPO4, Li(Fe,Mn,Co)PO4, Li(Ni,Mn,Co)O2, Li(Ni, Co, Al)O2, Li metal, 흑연(Graphite), Li4TiO12, TiO2, 활성탄(Activated carbon), 연질 카본(Soft carbon), 경질 카본(hard carbon), 그래핀(graphene), 환원 산화흑연(reduced graphite oxide), Si, Na x CoO2, Na x MnO2, Na x (Fe,Mn)O2, Na x (Fe,Mn,Co,Ni)O2, Na3V2(PO4)3, NaFePO4, Na4Fe3(P2O7)(PO4)2, Na4Mn3(P2O7)(PO4)2, Na4Co3(P2O7)(PO4)2, Na4(Fe,Mn,Co)3(P2O7)(PO4)2, Na3V2(PO4)3F3, Na3V2O2(PO4)2F, Na7V4(P2O7)4(PO4), Na metal, 전이금속 산화물(MO2, M3O4, M2O3, MO4, M = 전이금속)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도포체의 표면에 전극물질을 도포하기 위해 도포체를 지지하는 이차전지용 전극물질 도포 지그장치는, 상기 도포체의 일단을 지지하는 제1지그, 상기 도포체가 긴장되도록 상기 제1지그에 대하여 위치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도포체의 타단을 지지하여 상기 도포체의 저면이 물체로부터 이격되게 지지하는 제2지그, 상기 제2지그를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전극물질 도포 지그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지그는 상기 도포체의 일단이 올려지는 제1지그체, 상기 제1지그체 위에 올려진 도포체를 지지하는 제1고정부재, 및 상기 제1고정부재를 제1지그체에 나사결합시켜 고정시키는 제1고정피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전극물질 도포 지그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지그는 상기 도포체의 타단이 올려지는 제2지그체, 상기 제2지그체 위에 올려진 도포체를 지지하는 제2고정부재, 및 상기 제2고정부재를 제2지그체에 나사결합시켜 고정시키는 제2고정피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전극물질 도포 지그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제2지그체를 슬라이드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부재, 상기 제2지그체에 고정결합되는 너트부재, 상기 너트부재에 스크류결합되어 상기 제2지그체를 이동시키는 이송스크류, 및 상기 이송스크류를 회전시키는 회전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전극물질 도포 지그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지그체를 상기 가이드부재에 대하여 고정시키는 잠금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용 전극물질의 구조 분석방법 및 그를 위한 도포 지그장치에 의하면, XRD에서 산란세기를 향상시킴으로써 충전/방전 시 전극물질의 격자구조 변화를 더욱 뚜렷하게 관찰할 수 있고, 보다 개선된 XRD 데이터를 통해 실험 분석이 용이해져 많은 이차전지 종사자들의 연구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전극물질의 구조 분석방법에 사용되는 도포체를 나타낸 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전극물질 도포 지그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이차전지용 전극물질 도포 지그장치에 도포체가 지지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도포체에 도포하는 장면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도포체를 사용한 실험결과를 종래와 비교해 나타낸 그래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도포체에 이차전지용 전극물질이 도포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전극물질의 구조 분석방법은 다수개의 관통홀(2)이 메쉬 형태로 형성된 도포체(1)를 사용한다.
상기 도포체(1)는 관통홀(2)의 직경(R)이 0.35mm이고, 도포체(1)의 면적에 대한 관통홀(2)들의 개구율이 17%이다. 여기서, 상기 관통홀(2)의 직경은 0.20~0.50mm, 바람직하게는 0.30~0.40mm이고, 상기 관통홀(2)의 개구율은 15~30%, 바람직하게는 15~20%인 것이 바람직하다. 관통홀(2)의 직경(R)이 0.20mm보다 작은 경우 산란세기가 크게 개선되지 않고, 0.50mm보다 큰 경우 전극물질 슬러리(3)가 관통홀(2)로 침투하여 도포체(1)의 저면으로 유입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될 뿐만 아니라, 관통홀(2)에서 도포층의 처짐이 발생하게 되고 그로 인해 평탄하고 균일하게 도포되지 않게 된다. 또한 관통홀(2)의 개구율이 15%보다 작은 경우에도 산란세기가 크게 개선되지 않으며, 30%보다 큰 경우에는 전극물질 슬러리(3)를 지지하는 부분이 지나치게 작아져 관통홀(2)에서 도포층의 처짐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도포체(1)는 알루미늄 또는 구리 재질의 포일(foil)로 형성된다. 이차전지가 리튬이차전지인 경우, 양극의 전극물질은 LiCoO2, LiMn2O4, LiFePO4, Li(Ni,Mn,Co)O2 등이 사용되고, 음극의 전극물질은 흑연(Graphite), Li4TiO12, 활성탄(Activated carbon) 등이 사용된다. 전극물질은 도포를 위해 불소화 폴리비닐리덴(Polyvinylidene fluoride, PVdF),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Carboxymethyl cellulose, CMC) 등의 바인더와 함께 전극물질 슬러리로 제조되어 도포체에 도포된다.
이와 같이 전극물질과 바인더로 제조된 전극물질 슬러리를 도포체(1)의 일측 표면에 도포하고 건조시킨 후 X-선을 조사하여 충전 또는 방전 시 전극물질의 구조변화를 관찰하게 된다.
상기 도포체(1)는 박판(foil) 형태로 형성되어 쉽게 구겨지거나 처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전극물질 슬러리가 균일한 두께로 도포되기 위해서는 도포 공정 시 상기 도포체(1)를 팽팽하게 긴장시킨 상태에서 도포해야 한다. 또한, 상기 도포체(1)를 물체 위에 올려 놓은 상태에서 상부면에 도포하게 되면 관통홀(2)로 전극물질 슬러리가 침투되고 점성에 의한 표면장력에 의해 아래쪽의 물체와 도포체(1)의 저면 사이로 스며들게 되나, 정작 관통홀(2)의 입구에는 전극물질 슬러리가 도포되지 않아 관통홀(2) 부분에서 도포층에 구멍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도포층에 구멍이 발생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해 도포체(1)의 저면을 바닥으로부터 이격시켜 공중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도포작업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도포 지그장치가 사용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이차전지용 전극물질 도포 지그장치는, 베이스부재(10)와, 상기 도포체(1)의 일단을 지지하는 제1지그, 상기 제1지그에 대하여 위치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도포체(1)의 타단을 지지하는 제2지그, 상기 제2지그를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제1지그는 상기 도포체(1)의 일단이 올려지는 제1지그체(21), 상기 제1지그체(21) 위에 올려진 도포체(1)를 지지하는 제1고정부재(22), 및 상기 제1고정부재(22)를 제1지그체(21)에 나사결합시켜 고정시키는 제1고정피스(23)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1지그체(21)는 베이스부재(10)에 고정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1고정피스(23)는 상기 제1고정부재(22)를 관통하여 상기 제1지그체(21)의 상부면에 나사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1고정부재(22)는 상기 제1지그체(21)의 상부면에 올려져 상기 제1고정피스(23)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도포체(1)를 상기 제1고정부재(22)와 상기 제1지그체(21)의 상부면 사이에 삽입한 후 상기 제1고정피스(23)를 조임으로써 상기 제1고정부재(22)가 도포체(1)를 고정지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고정부재(22)와 제1고정피스(23)는 상기 제1지그체(21)의 상부면에 복수개가 구비되어 도포체(1)의 일단 테두리 여러 곳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 제2지그는 상기 도포체의 타단이 올려지는 제2지그체(31)와, 상기 제2지그체(31) 위에 올려진 도포체(1)를 지지하는 제2고정부재(33), 및 상기 제2고정부재(33)를 제2지그체(31)에 나사결합시켜 고정시키는 제2고정피스(34)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2고정부재(33)와 제2고정피스(34)는 상기 제2지그체(31)의 상부면에 구비되어 도포체(1)의 타단을 고정지지하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고정부재(22)와 제1고정피스(23)에 의해 상기 제1지그체(21)에 도포체(1)의 일단이 지지되고 상기 제2고정부재(33)와 제2고정피스(34)에 의해 상기 제2지그체(31)의 상부면에 도포체(1)의 타단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2지그체(31)가 상기 제1지그에 대하여 위치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도포체(1)를 팽팽하게 긴장시키게 된다. 상기 제2지그체(31)는 이동수단에 의해 이동하게 된다.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제2지그체(31)를 슬라이드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부재(41), 상기 제2지그체(31)에 고정결합되는 너트부재(42), 상기 너트부재(42)에 스크류결합되어 상기 제2지그체(31)를 이동시키는 이송스크류(43), 및 상기 이송스크류(43)를 회전시키는 회전기구(44)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41)는 일단이 상기 제1지그체(21)에 고정결합되고 타단이 가이드 결합부재(11)에 고정결합된다. 가이드 결합부재(11)는 상기 제1지그체(21)의 반대편으로 상기 베이스부재(10)에 고정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1지그체(21)와 가이드 결합부재(11)는 상기 베이스부재(10)의 양단에 소정간격을 두고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부재(41)의 양단을 지지한다.
상기 제2지그체(31)에 1쌍의 슬라이더(32)가 고정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더(32)가 상기 가이드부재(41)에 슬라이드이동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제2지그체(31)의 위치가 제1지그체(21)에 대하여 가변된다.
상기 제2지그체(31)의 일측에는 잠금기구(45)가 스크류결합되어 상기 제2지그체(31)를 상기 가이드부재(41)에 고정시킨다. 즉 상기 잠금기구(45)는 나사식으로 제2지그체(31)를 관통하여 스크류결합되고 그 단부가 상기 가이드부재(41)를 가압지지함으로써 가이드부재(41)에 대하여 제2지그체(31)의 위치를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제2지그체(31)의 이동에 의해 도포체(1)가 팽팽하게 긴장되면 상기 잠금기구(45)를 조여 제2지그체(31)를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도포체(1)가 팽팽하게 긴장된 상태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포기구(100)로 도포체(1)의 상부면에 전극물질 슬러리를 도포하게 된다.
도포기구(100)는 상기 제1지그체(21)와 제2지그체(31)에 양단이 얹혀져 슬라이드이동할 수 있게 되고, 도포날(101)을 구비하여 전극물질 슬러리를 일정한 두께로 도포할 수 있게 된다.
도포날(101)은 두께조절기구(102)에 의해 높낮이가 조절된다. 두께조절기구(102)는 나사식으로 회전하면서 도포체(1)에 대해 도포날(101)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포날(101)과 도포체(1) 사이의 간극은 전극물질 슬러리의 도포두께가 된다. 즉 도포체(1)의 상부면 일단에 전극물질 슬러리를 도포날(101)을 따라 공급한 후, 도포기구(100)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도포날(101)이 함께 이동하면서 도포날(101)과 도포체(1) 사이의 간격만큼 전극물질 슬러리(3)를 도포하게 된다. 두께조절기구(102)로 도포날(101)의 높이를 조절하게 되면 전극물질 슬러리의 도포두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지그체(31)를 가변시켜 도포체(1)가 팽팽하게 긴장된 상태에서 전극물질 슬러리(3)를 도포함으로써 두께가 일정하게 도포된다.
상기 도포체(1)는 상기 제1지그체(21)와 제2지그체(31)의 상부면에 양단이 지지됨으로써 상기 제1지그체(21)와 제2지그체(31)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은 아래쪽의 베이스부재(10)나 다른 물체로부터 이격된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포체(1)가 공중에 위치한 상태로 도포하게 되면 관통홀(2)의 입구쪽에도 전극물질 슬러리(3)가 도포되면서 관통홀(2) 부분에 구멍이 발생하지 않고 도포층이 균일하게 형성된다.
상기 너트부재(42)는 상기 제2지그체(31)의 저면에 고정결합되고 상기 이송스크류(43)의 외주면에 스크류결합되어 있다. 상기 이송스크류(43)의 단부에 손잡이를 가진 회전기구(44)가 구비되어 작업자가 이송스크류(43)를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작업자가 회전기구(44)의 손잡이를 잡고 돌리면 이송스크류(43)가 회전하면서 너트부재(42)를 이동시키게 되고, 그에 따라 제2지그체(31)가 이송스크류(43)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도포체(1)의 상부면에 도포된 전극물질 슬러리(3)가 건조되면 X-선을 조사하여 회절실험을 하게 된다.
도 5(b)는 본 발명에 의한 도포장치와 도포체(1)를 사용하여 전극물질의 격자구조 변화를 관찰한 것이다. (a)는 메쉬 형태가 아닌 기존의 포일 중 전극물질이 도포된 면에 X-선을 조사한 경우의 회절 패턴을 나타내고, (c)는 기존의 포일에서 전극물질이 도포된 면의 반대편 면에 X-선을 조사한 경우의 회절 패턴을 나타낸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도포체에 도포된 전극물질의 산란세기(b)가 기존의 산란세기(a)보다 크게 나타났으며 이는 X-선이 본 발명에 의한 메쉬 타입 도포체(1)를 투과할 때 산란세기가 크게 감소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와 같이 메쉬 타입 도포체(1)를 사용하게 되면 산란세기를 향상시킴으로써 인 시투(in situ) XRD에 의한 충전/방전 시의 격자구조를 더욱 뚜렷하게 관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 : 베이스부재 11 : 가이드 결합부재
21 : 제1지그체 22 : 제1고정부재
23 : 제1고정피스 31 : 제2지그체
32 : 슬라이더 33 : 제2고정부재
34 : 제2고정피스 41 : 가이드부재
42 : 너트부재 43 : 이송스크류
44 : 회전기구 45 : 잠금기구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충전 또는 방전 시 전극물질의 결정구조를 관찰하기 위해 X-선 회절 분석법을 이용하는 경우 일정 이상의 산란세기가 나타나도록 다수개의 관통홀이 메쉬 형태로 형성된 도포체의 표면에 전극물질을 도포하되, 전극물질 도포 시 도포층에 구멍이 발생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해 도포체의 관통홀에 전극물질이 유입되지 않고 일정 두께를 가지도록 도포체를 공중에 위치시켜 지지하는 이차전지용 전극물질 도포 지그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포체의 일단을 지지하는 제1지그;
    상기 도포체가 긴장되도록 상기 제1지그에 대하여 위치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도포체의 타단을 지지하여 상기 도포체의 저면이 물체로부터 이격되게 지지하는 제2지그; 및
    상기 제2지그를 이동시키는 이동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제1지그는,
    상기 도포체의 일단이 올려지는 제1지그체(21); 상기 제1지그체(21) 위에 올려진 도포체를 지지하는 제1고정부재(22); 및 상기 제1고정부재(22)를 제1지그체에 나사결합시켜 고정시키는 제1고정피스(23)를 포함하며,
    상기 제2지그는,
    상기 도포체의 타단이 올려지는 제2지그체(31); 상기 제2지그체(31) 위에 올려진 도포체를 지지하는 제2고정부재(32); 및 상기 제2고정부재(32)를 제2지그체(31)에 나사결합시켜 고정시키는 제2고정피스(33);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수단은,
    일단이 상기 제1지그체(21)에 고정결합되고, 상기 제1지그체(21)의 반대편으로 베이스부재(10)에 고정결합되는 가이드 결합부재(11)에 타단이 고정결합되며, 상기 제2지그체(31)를 슬라이드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부재(41); 상기 제2지그체(31)에 고정결합되는 너트부재(42); 상기 너트부재(42)에 스크류결합되어 상기 제2지그체(31)를 이동시키는 이송스크류(43); 상기 이송스크류(43)를 회전시키는 회전기구(44); 및 상기 제2지그체(31)를 상기 가이드부재(41)에 대하여 고정시키는 잠금기구(4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전극물질 도포 지그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체는,
    상기 관통홀의 직경이 0.30~0.4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전극물질 도포 지그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체는,
    상기 관통홀의 개구율이 15~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전극물질 도포 지그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체는,
    알루미늄 또는 구리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전극물질 도포 지그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차전지는 리튬이차전지 또는 소듐이차전지이고,
    상기 전극물질은 LiCoO2, LiMn2O4, LiNi0.5Mn1.5O4, LiFePO4, LiMnPO4, LiCoPO4, Li(Fe,Mn,Co)PO4, Li(Ni,Mn,Co)O2, Li(Ni, Co, Al)O2, Li metal, 흑연(Graphite), Li4TiO12, TiO2, 활성탄(Activated carbon), 연질 카본(Soft carbon), 경질 카본(hard carbon), 그래핀(graphene), 환원 산화흑연(reduced graphite oxide), Si, Na x CoO2, Na x MnO2, Na x (Fe,Mn)O2, Na x (Fe,Mn,Co,Ni)O2, Na3V2(PO4)3, NaFePO4, Na4Fe3(P2O7)(PO4)2, Na4Mn3(P2O7)(PO4)2, Na4Co3(P2O7)(PO4)2, Na4(Fe,Mn,Co)3(P2O7)(PO4)2, Na3V2(PO4)3F3, Na3V2O2(PO4)2F, Na7V4(P2O7)4(PO4), Na metal, 전이금속 산화물(MO2, M3O4, M2O3, MO4, M = 전이금속)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전극물질 도포 지그장치.
KR1020160110853A 2016-08-30 2016-08-30 이차전지용 전극물질의 구조 분석방법 및 그를 위한 도포 지그장치 KR1018295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0853A KR101829599B1 (ko) 2016-08-30 2016-08-30 이차전지용 전극물질의 구조 분석방법 및 그를 위한 도포 지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0853A KR101829599B1 (ko) 2016-08-30 2016-08-30 이차전지용 전극물질의 구조 분석방법 및 그를 위한 도포 지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9599B1 true KR101829599B1 (ko) 2018-02-19

Family

ID=61387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0853A KR101829599B1 (ko) 2016-08-30 2016-08-30 이차전지용 전극물질의 구조 분석방법 및 그를 위한 도포 지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959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36114A (zh) * 2021-02-04 2021-06-25 浙江大学 一种纳米片花状氟氧磷酸钒钠电极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EP3940376A4 (en) * 2019-05-15 2022-06-15 Lg Chem, Ltd. PLATE DEVICE FOR MEASUREMENT BY X-RAY DIFFRACTION OF A BATTER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40376A4 (en) * 2019-05-15 2022-06-15 Lg Chem, Ltd. PLATE DEVICE FOR MEASUREMENT BY X-RAY DIFFRACTION OF A BATTERY
CN113036114A (zh) * 2021-02-04 2021-06-25 浙江大学 一种纳米片花状氟氧磷酸钒钠电极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aselrieder et al. Measuring the coating adhesion strength of electrodes for lithium-ion batteries
Abraham et al. Surface changes on LiNi0. 8Co0. 2O2 particles during testing of high-power lithium-ion cells
Levi et al. Frumkin intercalation isotherm—a tool for the description of lithium insertion into host materials: a review
Fey et al. Enhanced electrochemical performance and thermal stability of La2O3-coated LiCoO2
He et al. Synthesis and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graphene-modified LiCo 1/3 Ni 1/3 Mn 1/3 O 2 cathodes for lithium ion batteries
SandI et al. New carbon electrodes for secondary lithium batteries
Li et al. Effect of electrochemical dissolution and deposition order on lithium dendrite formation: a top view investigation
JP5961912B2 (ja) 電極密度及び電極空隙率の測定方法
Nomura et al. Visualization of lithium transfer resistance in secondary particle cathodes of bulk-type solid-state batteries
CN109786811B (zh) 全固体电池的制造方法、全固体电池和浆液
Shao In situ microscopic studies on the structural and chemical behaviors of lithium-ion battery materials
CN109923697A (zh) 用于锂离子电池的阳极浆料
Groult et al. Surface-fluorinated graphite anode materials for Li-ion batteries
KR101829599B1 (ko) 이차전지용 전극물질의 구조 분석방법 및 그를 위한 도포 지그장치
Zhao et al. Large-scale synthesis of Ag–Si core–shell nanowall arrays as high-performance anode materials of Li-ion batteries
Ge et al. Ag quantum dots promoted Li 4 Ti 5 O 12/TiO 2 nanosheets with ultrahigh reversible capacity and super rate performance for power lithium-ion batteries
JP2015153658A (ja) 非水電解質二次電池および該電池用の負極
Takahara et al. Quantification of lithium in LIB electrodes with glow discharge optical emission spectroscopy (GD-OES)
CN204159501U (zh) 往复式浆料涂膜装置
Im et al. The effect of mild activation on the electrochemical performance of pitch-coated graphite for the lithium-ion battery anode material
JP2009193906A (ja) 電池用電極板の耐熱層の塗布重量測定方法、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Arise et al. Functional role of aramid coated separator for dendrite suppression in lithium-ion batteries
Matsumura et al. Electrochemical performances for preferred oriented PLD thin-film electrodes of LiNi0. 8Co0. 2O2, LiFePO4 and LiMn2O4
EP3893293B1 (en) High loading electrodes
Mateti et al. In situ prepared V 2 O 5/graphene hybrid as a superior cathode material for lithium-ion batter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