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9300B1 - 감염성 폐기물 수거박스 - Google Patents

감염성 폐기물 수거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9300B1
KR101829300B1 KR1020160107936A KR20160107936A KR101829300B1 KR 101829300 B1 KR101829300 B1 KR 101829300B1 KR 1020160107936 A KR1020160107936 A KR 1020160107936A KR 20160107936 A KR20160107936 A KR 20160107936A KR 101829300 B1 KR101829300 B1 KR 1018293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waste
box body
wastes
lid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7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헌
Original Assignee
(주)대하디아이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하디아이피 filed Critical (주)대하디아이피
Priority to KR10201601079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93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9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93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3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having bodies formed by folding and interconnecting two or more blanks each blank forming a body part, whereby each body part comprises at least one outside face of the box, carton or tr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79Joints, seams, leakproof joints or corners, special connections between pan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10Waste collection, transportation, transfer or storage, e.g.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lectric or hybrid propul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료용 혹은 실험실과 같은 곳에서 발생되는 폐기물을 수거하되 수거된 폐기물과 같이 폐기되는 감염성 폐기물 수거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폐기물을 안정적으로 수거할 수 있고, 나아가 수거된 폐기물을 운반하는 과정에서 무단으로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안전성이 크게 향상된 감염성 폐기물 수거박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뚜껑에 형성된 덮개판을 열고 닫음으로써 폐기물을 안정적으로 수거할 수 있고, 나아가 박스본체에 형성된 돌출부의 절곡부가 절곡 작동에 의해 뚜껑본체를 구속하게 됨에 따라 박스본체로부터 뚜껑이 무단으로 분리되지 않아 수거된 폐기물을 운반하는 과정에서 폐기물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안전성이 크게 향상된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감염성 폐기물 수거박스{sanitary box for infectious wastes}
본 발명은 의료용 혹은 실험실과 같은 곳에서 발생되는 폐기물을 수거하되 수거된 폐기물과 같이 폐기되는 감염성 폐기물 수거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폐기물을 안정적으로 수거할 수 있고, 나아가 수거된 폐기물을 운반하는 과정에서 무단으로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안전성이 크게 향상된 감염성 폐기물 수거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감염성 폐기물이란 통상 병원 혹은 이와 유사한 환경을 가지는 각종 실험실과 같은 곳에 각종 세균에 감염되어 있는 폐기물을 말하는 것으로, 이러한 감염성 폐기물은 세균 감염의 우려가 높고 부패와 악취발생 등 여러 제반 문제점들을 수반함에 따라 처리 시에 많은 주위를 요하게 되는 바, 통상 폐기물을 저장하는 수거박스까지 같이 소각처리가 요구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 폐기물을 수거하는 수거박스의 경우 일회용으로써 소각처리가 용이한 종이재질로 형성되는데, 이러한 수거박스는 종래에도 제안되어 있으며, 대표적으로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378940호(2005.03.17 공고)의 감염성 폐기물 수거박스이다.
이 공보를 참조로 하면, 외부박스, 내부박스 및 비닐봉지로 구성되어서 견고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으나 제조단가 상승을 야기하는 단점이 있고, 특히 폐기물을 운반하는 과정에서 제1,2덮개부는 단순히 끼움 결합되어 있어 부주의하게 되면 무단으로 열려 내부에 저장된 수거물이 외부로 누출되는 경우가 발생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폐기물을 안정적으로 수거할 수 있고, 나아가 수거된 폐기물을 운반하는 과정에서 무단으로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안전성이 크게 향상된 감염성 폐기물 수거박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는 상부로 개방되어 폐기물을 저장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전후측 상면에는 상향 돌출된 돌출부가 구비된 박스본체; 및 상기 박스본체의 상면을 커버하기 위해 구비되고 중앙에는 폐기물을 투입할 수 있는 투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투입구를 개폐시킬 수 있는 덮개판이 마련되고 전후측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결합공이 형성된 뚜껑본체와, 상기 뚜껑본체의 좌우측면에서 연장 형성되어 절곡 작동에 의해 좌우측벽을 각각 형성하는 좌/우측면부재와, 상기 좌/우측면부재의 전후측에서 연장 형성되어 절곡 작동에 의해 전후측벽을 각각 형성하는 전/후면부재와, 상기 뚜껑본체의 전후측에서 연장 형성되어 절곡 작동에 의해 상기 전/후면부재를 내외부에서 감싸는 내/외벽부로 이루어지는 전/후면지지부재와, 상기 전/후면지지부재 중 어느 하나의 지지부재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뚜껑본체의 하면에 밀착됨으로써 투입구를 밀폐하도록 하는 덮개부로 이루어지는 뚜껑;을 포함하여, 상기 뚜껑본체에 형성된 투입구를 통해 폐기물이 상기 박스본체의 수용공간으로 수거 저장되고, 폐기물 처리 시에는 상기 덮개부가 상기 뚜껑본체 하면에서 밀착되도록 하여 상기 투입구를 폐쇄함으로써 수거된 폐기물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박스본체에 형성된 돌출부는 상단 일부에 형성된 절단선에 의해 형성된 절곡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절곡부를 젖힘으로써 결합된 뚜껑의 상면을 구속하도록 하여 상기 뚜껑이 상기 박스본체로부터 무단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바람직하게 상기 좌/우측면부재의 전후측에는 체결공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덮개부의 양측 전후방에는 체결돌기가 각각 형성되어서, 상기 덮개부가 상기 뚜껑본체의 하면에 밀착될 때 상기 체결돌기가 상기 체결공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덮개부가 무단으로 열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뚜껑에 형성된 덮개판을 열고 닫음으로써 폐기물을 안정적으로 수거할 수 있고, 나아가 박스본체에 형성된 돌출부의 절곡부가 절곡 작동에 의해 뚜껑본체를 구속하게 됨에 따라 박스본체로부터 뚜껑이 무단으로 분리되지 않아 수거된 폐기물을 운반하는 과정에서 폐기물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안전성이 크게 향상된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감염성 폐기물 수거박스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뚜껑을 보인 전개도이.
도 3의 "가" 내지 "다"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뚜껑의 조립 과정을 보인 개략적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뚜껑의 조립된 상태를 보인 A-A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감염성 폐기물 수거박스의 조립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6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폐기물을 수거하는 과정을 보인 수거박스의 종단면도이고, "나"는 뚜껑의 사용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수거된 폐기물을 폐기하기 위한 상태를 보인 수거박스의 종단면도.
도 8의 "가"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뚜껑을 보인 전개도이고, "나"는 제2실시예에 따른 뚜껑의 조립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감염성 폐기물 수거박스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일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감염성 폐기물 수거박스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뚜껑을 보인 전개도이며, 도 3의 "가" 내지 "다"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뚜껑의 조립 과정을 보인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뚜껑의 조립된 상태를 보인 A-A선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감염성 폐기물 수거박스의 조립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감염성 폐기물 수거박스(10)는 크게 박스본체(100) 및 뚜껑(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박스본체(100) 및 뚜껑(200)은 저장된 폐기물과 함께 폐기처리 되어 소각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종이재질로 형성됨을 인지해야 된다.
먼저, 상기 박스본체(100)는 전체적으로 사각통 형상으로 형성되되, 내부는 상부로 개방되어 폐기물을 저장하는 수용공간(110)이 형성되고, 전후측 상면에는 상향 돌출된 돌출부(120)가 구비된다.
이때, 일부 확대도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120)는 상측에서 수평 방향으로 일부 형성된 절단선(122)에 의해서 좌우 방향으로 절곡 가능하게 구성된 절곡부(12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절곡부(124)는 돌출부(120)에서 절단선(122)에 의해 형성되어 좌우 절곡은 가능하지만 상기 돌출부(120)로부터 분리되지는 않도록 형성된다.
이 절곡부(124)는 하기에서 다시 설명하겠지만 상기 뚜껑(200)을 장착한 상태에서 어느 일측으로 젖히게 되면 상기 뚜껑(200)이 박스본체(100)로부터 무단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폐기물 운반 과정에서 무단으로 뚜껑(200)이 열려 폐기물이 외부로 누출되는 현상을 방지하고자 제안된 것이다. 이러한 상기 절단선(122)은 수평 방향은 물론이고 수직 방향으로도 형성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다음으로, 상기 뚜껑(200)은 상기 박스본체(100)의 상측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수용공간(110)을 커버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뚜껑본체(210), 좌/우측면부재(220,230), 전/후면부재(240,250), 전/후면지지부재(260,270) 및 덮개부(2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뚜껑본체(210)는 상기 박스본체(100)의 상면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의 사각판 형상을 가져 상기 박스본체(100)의 상면 전체를 커버하기 위해 구비되고, 중앙에는 폐기물을 투입할 수 있는 투입구(212)가 형성되며, 상기 투입구(212)를 개폐시킬 수 있는 덮개판(214)이 마련되고, 전후측에는 상기 박스본체(100)의 돌출부(120)가 삽입되는 결합공(216)이 형성된다. 상기 덮개판(214)은 일부가 뚜껑본체(210)에 부착되어 있어 쉽게 개폐 작동시킬 수 있고, 일측에는 손잡이홈(215)이 형성되어 있어 덮개판(214)의 동작을 원활히 진행시킬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좌측면부재(220)는 상기 뚜껑본체(210)의 좌측면에서 연장 형성되어 하향 절곡 작동에 의해 좌측벽을 형성하고, 상기 우측면부재(230)는 상기 뚜껑본체(210)의 우측면에서 연장 형성되어 하향 절곡 작동에 의해 우측벽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전면부재(240)는 상기 좌/우측면부재(220,230)의 전측에서 각각 연장 형성되어 절곡 작동에 의해 전측벽을 형성하고, 후면부재(250)는 상기 좌/우측면부재의 후측에서 각각 연장되어 절곡 작동에 의해 후측벽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전면지지부재(260)는 상기 뚜껑본체(210)의 전측에서 연장 형성되어 절곡 작동에 의해 상기 전면부재(240)를 내외부에서 감싸는 내/외벽부(262,264)로 이루어진다. 상기 후면지지부재(270)은 상기 뚜껑본체(210)의 후측에서 연장 형성되어 절곡 작동에 의해 상기 후면부재(250)를 내외부에서 감싸는 내/외벽부(272,274)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전/후면지지부재(260,270)는 상기 전/후면부재(240,250)를 포함한 좌/우측면부재(220,230)를 견고하게 형성하기 위해 구비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덮개부(280)는 상기 전/후면지지부재(260,270) 중 어느 하나의 지지부재, 바람직하게는 전면지지부재(260)에서 연장 형성되어 절곡 작동에 의해 상기 뚜껑본체(210)의 하면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뚜껑본체(210)에 형성된 투입구(212)를 밀폐하도록 하여 상기 박스본체(100)에 수거된 폐기물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평소에는 그 끝부분이 하향되도록 절곡된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투입구(212)가 개방되도록 하고, 폐기물이 가득 차 더 이상 수거가 불가능할 때에는 뚜껑본체(210)의 하면에 밀착되도록 펼쳐져 투입구(212)를 폐쇄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1실시예에 따른 뚜껑(200)은 도 3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조립될 수 있다.
즉, 도 3의 "가"를 참조로 하면, 좌/우측면부재(220,230)의 전후측에서 각각 연장 형성된 전/후면부재(240,250)를 내측 방향으로 절곡함과 동시에 좌/우측면부재(220,230)를 하향 절곡하여 각 면의 벽을 이루도록 하고, "나"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후면지지부재(260,270)를 하향 절곡하였다가 다시 상향 절곡함으로써 상기 전/후면부재(240,250)를 내외에서 각각 감싸는 내벽부(262,272) 및 외벽부(264,274)를 형성하도록 한 다음, "다"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덮개부(280)는 뚜껑본체(210) 내부에 위치되지 않도록 하향 절곡하여 뚜껑본체(210)에 형성된 투입구를 막지 않도록 하여 조립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뚜껑(200)은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은 조립된 상태를 가진다. 즉, 전면부재(240)는 전면지지부재(260)의 내/외벽부(262,264) 사이에 위치되고, 후면부재(250)는 후면지지부재(270)의 내/외벽부(272,274) 사이에 위치됨으로써 견고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상기 전면지지부재(260)로부터 연장된 덮개부(280)는 뚜껑본체(210) 내부에서 다시 하향 절곡됨으로써 뚜껑본체(210)에 형성된 투입구(212)를 폐쇄하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박스본체(100) 및 뚜껑(200)은 도 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결합된다. 즉, 박스본체(100)의 상측에서 뚜껑(200)이 하향 결합되어 상부를 커버하게 되는데, 상기 박스본체(100)에 형성된 돌출부(120)가 뚜껑본체(210)에 형성된 결합공(216)으로 돌출됨으로써 안정적으로 결합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뚜껑본체(210)에 형성된 덮개부(280)는 박스본체(100)의 외측으로 위치하고 있어 투입구(212) 및 수용공간(110)을 폐쇄하지 않게 되어 뚜껑본체(210)에 형성된 투입구(212)를 통해서 폐기물을 수용공간(110)으로 저장시킬 수 있음은 너무나 자명하다.
이제, 하기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수거박스(10)의 사용 상태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폐기물을 수거하는 과정을 보인 수거박스의 종단면도이고, "나"는 뚜껑의 사용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수거된 폐기물을 폐기하기 위한 상태를 보인 수거박스의 종단면도이다.
먼저, 도 6의 "가"를 참조로 하면, 뚜껑본체(210)에 구비된 덮개판(214)을 열어 개방된 투입구(212)로 폐기물을 투입하여 박스본체(100)의 수용공간(110)에 저장하게 되는데, 폐기물에 함유된 수분의 외부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박스본체(100)의 수용공간(110)에 비닐봉투(112)를 구비하여 폐기물을 저장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수거된 폐기물이 가득 차게 되면 사용자는 박스본체(100)로부터 뚜껑(200)을 분리하여 "나"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덮개부(28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뚜껑본체(210) 하면에 밀착시켜 투입구(212)를 폐쇄하게 된다.
그런 다음, 도 7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투입구(212)가 폐쇄된 뚜껑(200)을 다시 박스본체(100)의 상측에 장착하여 저장된 폐기물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이때 상기 덮개부(280)는 뚜껑본체(210) 하면에서 밀착된 채 박스본체(100) 상면에 안치되면서 상기 투입구(212)를 폐쇄하기 때문에 어느 방향으로도 쉽게 밀리지 않아 박스본체(100)에 저장된 폐기물이 투입구(212)를 통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만약, 상기 덮개부(280)가 뚜껑본체(210) 하면에서 투입구(212)를 폐쇄하지 않고 상측에서 폐쇄하게 되면 운반과정에서 부주의로 인해 덮개부(280)가 열리는 경우도 발생될 수 있어 상기 덮개부(280)는 뚜껑본체(210) 하면에서 투입구(212)를 폐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투입구(212)만 폐쇄된 상태에서 수거박스(10)를 운반하게 되면 운반 과정에서 뚜껑(200)이 박스본체(1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우려가 있고, 이런 경우가 발생되면 폐기물이 외부로 누출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도 7의 일부 확대도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뚜껑본체(210)의 결합공(216)을 관통하고 있는 박스본체(100)의 돌출부(120)에 형성된 절곡부(124)를 어느 일측으로 젖혀 뚜껑본체(210)를 구속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뚜껑(200)은 박스본체(100)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게 되므로 수거박스를 운반하는 과정이 한결 편리하게 될 것이고, 폐기물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정성이 크게 향상되는 것이다.
도 8의 "가"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뚜껑을 보인 전개도이고, "나"는 제2실시예에 따른 뚜껑의 조립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로 하기에 앞서, 제2실시예 일지라도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별도의 상술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뚜껑(200')은 제1실시예와 전체적으로 동일하나 "가"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덮개부(280)의 양 측 전후로 체결돌기(282)가 각각 형성되고, 뚜껑본체(210)에서 연장 형성된 좌/우측면부재(220,230)의 내측 전후로 체결공(222,232)이 각각 형성된 것이 차이점이다. 이렇게 되면 "나"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덮개부(280)를 회전시켜 뚜껑본체(210) 하면에 밀착시켜 투입구(212)를 폐쇄하는 동작에서 상기 체결돌기(282)가 체결공(222,232)으로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덮개부(280)의 밀폐력을 향상시키게 된 것이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개설하였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구성하는 부가적인 특징과 장점들이 이하에서 상술될 것이다. 개시된 본 발명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발명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서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개시된 발명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서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한 그와 같은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한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하다.
10 : 감염성 폐기물 수거박스 100 : 박스본체
110 : 수용공간 120 : 돌출부
122 : 절단선 124 : 절곡부
200 : 뚜껑 210 : 뚜껑본체
212 : 투입구 214 : 덮개판
215 : 손잡이홈 216 : 결합공
220 : 좌측면부재 222 : 체결공
230 : 우측면부재 232 : 체결공
240 : 전면부재 250 : 후면부재
260 : 전면지지부재 262 : 내벽부
264 : 외벽부 270 : 후면지지부재
272 : 내벽부 274 : 외벽부
280 : 덮개부 282 : 체결돌기

Claims (3)

  1. 내부는 상부로 개방되어 폐기물을 저장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전후측 상면에는 상향 돌출된 돌출부가 구비된 박스본체; 및
    상기 박스본체의 상면을 커버하기 위해 구비되고 중앙에는 폐기물을 투입할 수 있는 투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투입구를 개폐시킬 수 있는 덮개판이 마련되고 전후측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결합공이 형성된 뚜껑본체와, 상기 뚜껑본체의 좌우측면에서 연장 형성되어 절곡 작동에 의해 좌우측벽을 각각 형성하는 좌/우측면부재와, 상기 좌/우측면부재의 전후측에서 연장 형성되어 절곡 작동에 의해 전후측벽을 각각 형성하는 전/후면부재와, 상기 뚜껑본체의 전후측에서 연장 형성되어 절곡 작동에 의해 상기 전/후면부재를 내외부에서 감싸는 내/외벽부로 이루어지는 전/후면지지부재와, 상기 전/후면지지부재 중 어느 하나의 지지부재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뚜껑본체의 하면에 밀착됨으로써 투입구를 밀폐하도록 하는 덮개부로 이루어지는 뚜껑;을 포함하여,
    상기 뚜껑본체에 형성된 투입구를 통해 폐기물이 상기 박스본체의 수용공간으로 수거 저장되고, 폐기물 처리 시에는 상기 덮개부가 상기 뚜껑본체 하면에서 밀착되도록 하여 상기 투입구를 폐쇄함으로써 수거된 폐기물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박스본체에 형성된 돌출부는 상단 일부에 형성된 절단선에 의해 형성된 절곡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절곡부를 젖힘으로써 결합된 뚜껑의 상면을 구속하도록 하여 상기 뚜껑이 상기 박스본체로부터 무단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염성 폐기물 수거박스.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면부재의 전후측에는 체결공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덮개부의 양측 전후방에는 체결돌기가 각각 형성되어서,
    상기 덮개부가 상기 뚜껑본체의 하면에 밀착될 때 상기 체결돌기가 상기 체결공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덮개부가 무단으로 열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염성 폐기물 수거박스.
KR1020160107936A 2016-08-24 2016-08-24 감염성 폐기물 수거박스 KR1018293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7936A KR101829300B1 (ko) 2016-08-24 2016-08-24 감염성 폐기물 수거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7936A KR101829300B1 (ko) 2016-08-24 2016-08-24 감염성 폐기물 수거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9300B1 true KR101829300B1 (ko) 2018-02-19

Family

ID=61387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7936A KR101829300B1 (ko) 2016-08-24 2016-08-24 감염성 폐기물 수거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93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3061B1 (ko) 2021-07-08 2021-11-05 전광숙 성능을 개선시킨 의료 폐기물 박스 개폐용 덮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9187Y1 (ko) 2002-09-30 2002-12-31 한국지함공업(협) 감염성 폐기물용 위생상자
KR200307004Y1 (ko) * 2002-12-10 2003-03-11 (주)아그로-텍 개방형 포장박스의 커버구조
KR200378940Y1 (ko) 2004-12-24 2005-03-17 정병호 감염성 폐기물 수거박스
KR100753639B1 (ko) 2006-04-24 2007-08-29 이봉재 잠금여부가 확인되는 포장박스
KR101034650B1 (ko) * 2009-09-02 2011-05-16 (주)페이퍼팩 정리용 상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9187Y1 (ko) 2002-09-30 2002-12-31 한국지함공업(협) 감염성 폐기물용 위생상자
KR200307004Y1 (ko) * 2002-12-10 2003-03-11 (주)아그로-텍 개방형 포장박스의 커버구조
KR200378940Y1 (ko) 2004-12-24 2005-03-17 정병호 감염성 폐기물 수거박스
KR100753639B1 (ko) 2006-04-24 2007-08-29 이봉재 잠금여부가 확인되는 포장박스
KR101034650B1 (ko) * 2009-09-02 2011-05-16 (주)페이퍼팩 정리용 상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3061B1 (ko) 2021-07-08 2021-11-05 전광숙 성능을 개선시킨 의료 폐기물 박스 개폐용 덮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63975B2 (en) Waste container
KR100690036B1 (ko) 의료용 감염성 폐기물 수거용기
CN107207155A (zh) 用于收纳多种柔性袋组件的容器
JP2015164878A (ja) 鋭利物廃棄容器を新製品収納容器と一体化した輸送容器
HK1073095A1 (en) Sealed container having double lids
KR101829300B1 (ko) 감염성 폐기물 수거박스
JP2008539876A (ja) 医療器具の取出しおよび収集システム
KR200386644Y1 (ko) 감염성 폐기물 밀폐형 용기
KR101413676B1 (ko) 쓰레기 수납 상자
KR200384588Y1 (ko) 감염성 폐기물 전용 용기
KR101170254B1 (ko) 음식물 쓰레기 봉투 개폐 지지장치
KR200482373Y1 (ko) 1회용 의료 폐기물 수거용기 덮개
KR20140005340U (ko) 비닐봉지 마개장치
KR200409692Y1 (ko) 의료용 폐기물 함
KR200388751Y1 (ko) 감염성 폐기물 전용용기
JPH07237682A (ja) コンタクトレンズ用コンテナ
KR200362209Y1 (ko) 의료용 폐기물 수거용기
RU2648459C1 (ru) Универсальный контейнер для медицинских отходов
KR200385375Y1 (ko) 폐기물용 밀폐용기의 보조뚜껑 개폐구조
JP2009274807A (ja) 廃棄物収容容器
KR200482869Y1 (ko) 물티슈 용기용 캡
JPS6110510Y2 (ko)
CN212557768U (zh) 一种医院用密闭式医疗垃圾临时收集装置
KR20050029185A (ko) 폐기물용 밀폐용기의 보조뚜껑 개폐구조
KR200488547Y1 (ko) 쓰레기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