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9014B1 - A basketball post mounted ceiling - Google Patents

A basketball post mounted ceil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9014B1
KR101829014B1 KR1020160131945A KR20160131945A KR101829014B1 KR 101829014 B1 KR101829014 B1 KR 101829014B1 KR 1020160131945 A KR1020160131945 A KR 1020160131945A KR 20160131945 A KR20160131945 A KR 20160131945A KR 101829014 B1 KR101829014 B1 KR 1018290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box mold
mold
molds
horizontal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194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오병철
Original Assignee
오성체육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성체육산업(주) filed Critical 오성체육산업(주)
Priority to KR10201601319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901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90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901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3/00Targets or goals for ball games
    • A63B63/08Targets or goals for ball games with substantially horizontal opening for ball, e.g. for basketball
    • A63B63/083Targets or goals for ball games with substantially horizontal opening for ball, e.g. for basketball for basketbal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71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ketbal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0/00Space saving
    • A63B2210/50Size reducing arrangements for stowing or transport
    • A63B2210/56Size reducing arrangements for stowing or transport electrically folded and erect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3/00Specific ball sports not provided for in A63B2102/00 - A63B2102/38
    • A63B2243/0037Basketbal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eiling-type post-mounted basketball stand. More specifically, a post, which is installed in a folding and unfolding type by stacking up with a box mold square-framed by horizontal and vertical frames, and a basketball stand, having a ring and a back board on the post, are installed on the ceiling. In addition, a fall prevention device is installed to prevent fall and rapid drop, has a winding drum installed at both sides of a reversible motor for retraction, and is tightly attached to the ceiling by being elevated to be folded and stacked in multistagedly depending on whether to use the basketball stan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secure safety during an elevation operation.

Description

천장형 조하식 농구대{A basketball post mounted ceiling}A basketball post mounted ceiling}

본 발명은 수평 및 수직프레임의 결합에 의해 크기가 사각 틀 형상으로 이루어진 박스몰드로 포개서 절첩 및 펼치는 방식으로 설치되는 포스트와, 상기 포스트에 백보드와 링으로 구성된 농구대를 천장에 설치한 다음 농구대의 사용 여부에 따라 다단으로 펼쳐졌다 다시 복원되도록 승강 작동하여 천장 부근에 밀착되는 것은 물론 정역구동모터의 양측에 권취 드럼이 설치되어 견인하고, 급하강 및 필요 이상으로 추락됨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장치를 함께 형성하여 승하강 작동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천장형 조하식 농구대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st which is installed by folding and unfolding with a box mold having a rectangular frame shape by the combination of horizontal and vertical frames, a hoop comprising a backboard and a ring on the post, Depending on whether or not it is folded up, it is lifted and lowered to be restored again, so that it is closely attached to the ceiling, and a winding drum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forward and reverse driving motor to form a safety device for preventing falling To a ceiling type descending hoop so that safety can be ensured in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operations.

일반적으로 농구대는 네트가 부설된 링을 백보드에 장착하고, 상기 백보드를 지지대로 고정하여 상기 링이 지면에서 일정 높이로 유지되도록 구성된다.Generally, the hoop base is constructed such that a ring having a net attached thereto is mounted on a back board, and the back board is fixed to a support base so that the ring is kept at a predetermined height on the ground.

이러한 농구대는 대부분 보드판과 골망을 지지하도록 한 일정 높이와 길이의 지지대를 형성하고, 지지대 하부에 롤러를 형성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Most of these hoops form a support plate of a certain height and length for supporting the board board and the net, and a roller is formed under the support plate so that the hoist can be moved.

특히, 농구 경기는 실내에서 이루어지는 게임으로, 실내에 일정 간격을 유지하여 양측에 농구대를 설치하고 있다.Especially, the basketball game is a game which is performed indoors.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농구대를 사용할 경우에나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도, 실내에 일정 부분 공간을 점유하고 있기 때문에, 실내 공간을 적절하게 활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However, even when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hoisting table is used or no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ndoor space can not be utilized properly because it occupies a certain space in the room.

또한, 실내의 벽면이나 좁은 실내에서의 농구대를 설치하고 공간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한 연구와 개발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었다.In addi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have been urgently required in order to install a basketball hoop in an indoor wall or a narrow indoor space, and utilize the space.

또한, 실내 체육관의 경우 농구장으로 활용될 뿐만 아니라 배구와 같은 다른 구기종목의 운동을 위한 장소로 겸용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다른 구기종목을 진행할 때, 농구대를 별도로 보관할 수 있는 장소가 제공되지 못하여 체육관의 일측에 방치하게 된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indoor gymnasium, it is generally used not only as a basketball field but also as a place for exercise of other ball games such as volleyball. In other ball games, there is not provided a place where a basketball club can be stored separately It is left at one side of the gym.

즉, 상기와 같은 종래의 농구대는 불필요하게 실내 공간을 점유하게 되어 체육관의 실내공간 사용 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That is, the above conventional hoist block occupies an unnecessary space, which has a problem of lowering the indoor space utilization efficiency of the gymnasium.

이러한 경우 불필요하게 실내 공간을 점유하게 됨은 당연하고, 이에 의해 체육관의 실내공간을 사용할 수 있는 효율이 저하됨은 당연한 현실이다.In this case, it is natural that occupation of the indoor space is unnecessarily unnecessary. As a result, the efficiency of using the indoor space of the gymnasium is reduced.

상기 위한 수단으로 농구대를 천장에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제안되어있다.As a means for this, a method has been proposed in which the hoist frame is fixed to the ceiling for use.

즉, 천장에 길게 포스트를 고정하고, 이 포스트에 백보드와 링을 설치하여서 된 천장 고정용 농구대를 제공하되, 상기 포스트를 절첩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That is, it is generally used that a post is fixed on a ceiling, a backboard and a ring are provided on the post, and a hoist for hanging the ceiling is provided, but the post is foldable.

상기한 천장 고정용 농구대의 경우, 모터와 권취 드럼에 권취된 로프를 이용하여 포스트를 절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농구장의 실내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을 제공한다.In the case of the above-described ceiling fixing hoop, the post is folded by using the rope wound around the motor and the winding drum, thereby providing an advantage that the indoor space of the basketball court can be efficiently used.

또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선등록된 특허등록번호 제1545464호"천장 조하식 농구대" 사각 테두리 형상의 사이즈가 다르게 형성되어 상하로 배치된 복수개의 박스프레임; 상기 복수개의 박스프레임중 최하단의 박스프레임의 전단에 위치한 한 쌍의 수직바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구비된 상측브래킷 및 하측브래킷에 설치된 백보드; 및 상기 복수개의 박스프레임의 내측에 구비되어 복수개의 박스프레임을 순차적으로 승강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하측 박스프레임의 상측전단횡바는 상측 박스프레임의 상측전단횡바의 직하방에 위치되고, 상기 박스프레임들은 구동수단에 의해 상승하여 최상단의 박스프레임 내부로 모두 수납될 때 상기 백보드가 최상단 박스프레임의 전방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조하식 농구대가 선등록된 바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plurality of box frames, each of which is formed in a different size in the shape of a quadrangular frame,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545464 entitled "Ceiling- A backboard installed on an upper bracket and a lower bracket respectively provided on upper and lower sides of a pair of vertical bars located at the front ends of the box frames at the bottom of the plurality of box frames; And driving means provided inside the plurality of box frames to sequentially raise and lower a plurality of box frames, wherein an upper front transverse bar of the lower box frame is positioned directly below an upper front transverse bar of the upper box frame, Wherein the box frames are raised by the driving means and are all housed in the uppermost box frame, the backboard is positioned in front of the uppermost box frame.

그러나 상기한 천장 조하식 농구대는 구동수단 일측에 권취 드럼이 설치된 상태에서 박스프레임이 승강 작동할 때 전체적으로 좌우 수평을 유지한 상태에서만 승하강작동을 해야 하며 예기치 못한 주변사정에 의하여 한쪽으로 기울어질 경우 무게중심의 쏠림현상으로 인해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when the box frame is raised and lowered in a state in which the winding drum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driving means, the above-mentioned ceiling descending type hoop unit should be raised and lowered only in a state where it is horizontally left and right. When it is tilted to one side due to unexpected circumstance There is a problem that a safety accident may occur due to the deviation of the center of gravity.

또한, 크기가 다른 박스프레임을 서로 포개거나 펼치는 과정에서 박스프레임을 연결하는 장치는 로프와 수직 가이드 봉과 가이드 편으로만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추락사고 등에 대한 안전사고 대비에 미흡한 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overlapping or expanding box frames of different sizes, the apparatus connecting the box frame remains connected to the rope and the vertical guide rods and the guide pieces, which is insufficient to prepare for a safety accident such as a falling accident.

그리고 상기한 선등록된 발명은 박스프레임의 수직바에는 상측프레임의 각 수직가이드봉이 끼워지는 수직관통홀이 형성된 가이드편이 측방으로 돌출되게 설치하영야 하는 등의 구성이 복잡성은 물론 제조원가 상승의 비경제성이 있으며, 설치작업이 번거롭고 유지관리 및 보수 등에 어려움을 내재하고 있었다.In the above-mentioned line-registered invention, the vertical bars of the box frame are provided with the guide pieces formed with the vertical through-holes through which the vertical guide rods of the upper frame are inserted, so as to protrude laterally. And the installation work is troublesome, and maintenance and maintenance are difficult.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545464호 "천장 조하식 농구대"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545464 "Ceiling Mounted Hoop Hoop"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천장에 설치되어 크기가 다른 박스몰드를 포개서 절첩하거나 펼쳐서 설치되는 포스트와, 상기 포스트에 백보드와 링이 결합된 농구대를 천장에 설치한 상태에서 농구대를 사용하거나 또한 사용한 후 구동수단에 의해 틀 형상의 박스가 승하강 작동할 때 한쪽으로 편향되게 기울어지지 않고 항시 수평상태를 유지한 채 안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 급하강 및 추락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안전장치가 설치되게 한 것이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hoist comprising a post installed on a ceiling to fold or unfold a box mold having a different size, a hoist coupled to the hoist and a hoist mounted on a ceiling, When the box-shaped box is raised or lowered by the driving means, the box-shaped box is not tilted so as to be deflected to one side, but can be stably operated while maintaining the horizontal state at all times. Device is installed.

상기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본 발명은 천장형 조하식 농구대에 있어서, 천장에 부착되는 한 쌍의 고정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고정프레임 저면에는 사각형상으로 배열된 상부 수평프레임과, 상기 상부 수평프레임의 각 모서리에는 하부방향으로 세워진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 사이에는 하부 수평프레임이 연결되어 사각형상의 틀로 이루어진 박스몰드로 구성하고, 상기 박스몰드의 수직프레임의 내주면에는 길이방향으로 가이드 레일 각각 형성되고, 상기 수직프레임 내주면 반대방향에 위치한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으로 가이드 바가 각각 부착되어 크기를 달리하는 다수개의 박스몰드를 마련한 다음, 상기 고정프레임의 저면에는 박스몰드중 크기가 제일 큰 제 1 박스몰드의 상부가 부착되고, 상기 제 1 박스몰드의 내부로 삽입되어 제 1 박스몰드의 가이드 레일에 가이드 바가 삽입되어 슬라이딩 작동으로 포개지고 펼쳐지는 제 2 박스와, 상기 제 2 박스몰드의 내부로 삽입되어 제 2 박스몰드의 가이드 레일에 가이드 바가 삽입되어 슬라이딩 작동으로 포개지고 펼쳐지는 제 3 박스몰드와, 상기 제 3 박스몰드의 내부로 삽입되어 제 3 박스몰드의 가이드 레일에 가이드 바가 삽입되어 슬라이딩 작동으로 포개지고 펼쳐지는 제 4 박스몰드와, 상기 제 4 박스몰드의 내부로 삽입되어 제 3 박스몰드의 가이드 레일에 가이드 바가 삽입되어 슬라이딩 작동으로 포개지고 펼쳐지는 제 4 박스몰드로 이루어진 포스트로 구성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eiling-type descent hoop hoist comprising a pair of fixed frames attached to a ceiling, an upper horizontal frame arranged in a rectangular shape on the bottom surfaces of the pair of fixed frames, And a lower horizontal frame is connected between the vertical frames to form a box mold having a rectangular frame. The guide rails ar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vertical frame of the box mol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plurality of box molds having different sizes are attach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loc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vertical frame, And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first box mold, A second box which is inserted into the second box mold and inserted into the guide rail of the second box mold so as to be superimposed and opened by the sliding operation, A third box mold, a fourth box mold which is inserted into the third box mold and inserted into the guide rail of the third box mold so as to be folded and unfolded by the sliding operation, And a post made of a fourth box mold in which a guide bar is inserted into a guide rail of the third box mold and is superposed and spread by a sliding operation.

또한, 상기 제 4 박스몰드의 전면에 부착되는 백보드와, 상기 제 1 박스몰드의 상부에 정역구동모터가 설치되고, 상기 정역구동모터의 구동축과 연결되어 좌우 양단에 각각 위치하는 한 쌍의 권취 드럼과, 제 5 박스몰드의 하부 수평프레임에는 한 쌍의 롤러가 설치되어 케이블를 감으면 제 1 박스몰드 내부로 제 2, 3, 4, 5 박스몰드 순으로 상승하여 포개지고, 케이블를 풀면 제 2, 3, 4, 5 박스몰드가 하강하여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조하식 농구대를 제공한다. The first box mold may include a backboard attach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fourth box mold and a pair of winding drums connected to the drive shaft of the forward and reverse drive motors, And a pair of rollers are installed on the lower horizontal frame of the fifth box mold. When the cable is wound, the first, second, third, fourth, and fifth box molds are stacked in the first box mold, , 4, 5 box molds are lowered and unfolde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천장형 조하식 농구대는 천장에 크기가 다른 박스몰드가 순차적으로 포개져 접혀진 다음 농구대를 하강시켜 사용시에는 박스몰드가 일렬로 펼쳐지는 포스트로 구성하되, 상기 박스몰드를 승하강 작동시 양쪽에 권취 드럼이 설치되어 한쪽으로 편향되게 기울어지지 않고 수평을 유지한 채 안정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eiling-type descending hoop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a box mold having a size different from that of the ceiling is sequentially folded and folded down, and a hoop that descends the hoop while the box mold is used, There is an effect that the winding drum is installed on both sides in the descending operation so that the drum can be stably moved while being kept horizontal without being tilted to one side.

또한, 본 발명은 박스몰드의 승하강 작동시 하단의 박스몰드가 필요 이상으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추락방지장치를 함께 구비하였고, 상기 추락방지장치는 정역구동모터와 서로 연동하여 함께 작동함으로 인해 상기한 박스몰드의 추락 및 급강하 됨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어 보다 안전하게 천장조하식 농구대를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all preventive device for preventing the box mold at the lower end from falling more than necessary when the box mold is moved up and down, and the fall preventive device operates together with the forward and reverse drive motors The fall and dive of the box mold can be more reliably prevented, and the ceiling-descending hoop can be used more safely.

삭제delete

도 1은 본 발명 천장형 조하식 농구대를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천장형 조하식 농구대를 도시해 보인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천장형 조하식 농구대를 접은 상태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천장형 조하식 농구대를 도시해 보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 천장형 조하식 농구대에서 스토퍼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천장형 조하식 농구대에서 가이드 레일과 가이드 바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eiling type descending hoop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eiling type descending hoop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eiling type descending hoop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lded. FIG.
4 is a side view showing a ceiling type descending hoop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opper in a ceiling type descending hoop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uide rail and a guide bar in a ceiling type descending hoop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와 같은 목적 및 효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s and effects,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 천장형 조하식 농구대를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천장형 조하식 농구대를 도시해 보인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천장형 조하식 농구대를 접은 상태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천장형 조하식 농구대를 도시해 보인 측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eiling-type descending hoop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eiling-type descending hoop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Fig. 4 is a side view showing a ceiling type descending hoop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발명 천장형 조하식 농구대는 실내 체육관의 천장에 설치하여 농구대를 사용할 때에는 하부방향으로 포개진 포스트가 하강하여 길이가 늘어나고, 다 사용 후에는 상부방향으로 상승하여 포개져 포스트의 길이가 짧아지는 구조로 이루어진다.In the case of the hoist type ho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hoist is installed on the ceiling of the indoor gymnasium, the hoisted post is lowered to increase its length, and after it is used up, .

또한, 천장형 조하식 농구대의 포스트가 승강 작동시 좌우 방향으로 수평을 유지한 채 승강작동하고, 승강 작동시 추락 및 급강하를 방지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Further, the post of the ceiling-mounted descending hoop is formed to have a structure of moving up and down while maintaining the horizontal in the left-right direction during the elevating operation, and preventing falling and diving in the elevating operation.

본 발명은 실내 체육관의 천장에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프레임(2)이 구비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pair of fixed frames (2) fixed to a ceiling of an indoor gymnasium.

상기 한 쌍의 고정프레임(2) 저면에 부착되어 사각형상으로 배열된 상부 수평프레임(3)과, 상기 상부 수평프레임(3)의 각 모서리에는 하부방향으로 세워진 수직프레임(5)과, 상기 수직프레임(5) 사이에는 하부 수평프레임(4)이 연결되어 크기를 달리한 제 1, 2, 3, 4, 5 박스몰드(6, 6a, 6b, 6c, 6d)를 형성한다.An upper horizontal frame 3 attached to a bottom surface of the pair of fixed frames 2 and arranged in a rectangular shape; a vertical frame 5 erected in a lower direction at each corner of the upper horizontal frame 3; A lower horizontal frame 4 is connected between the frames 5 to form first, second, third, fourth and fifth box molds 6, 6a, 6b, 6c and 6d having different sizes.

상기 박스몰드(6, 6a, 6b, 6c, 6d)의 수직프레임(5)의 내주면에는 길이방향으로 가이드 레일(7)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수직프레임(5) 내주면 반대방향에 위치한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으로 가이드 바(8)가 형성된다.Guide rails 7 ar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vertical frame 5 of the box molds 6, 6a, 6b, 6c and 6d, an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located opposite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vertical frame 5, The guide bar 8 is formed.

따라서 고정프레임(2)의 저면에는 크기가 제일 큰 제 1 박스몰드(6)의 상부가 고정되고, 상기 제 1 박스몰드(6)의 내부로 삽입되어 제 1 박스몰드(6)의 가이드 레일(7)에 가이드 바(8)가 삽입되어 슬라이딩 작동에 의해 포개지고 펼쳐지는 제 2 박스몰드(6a)와, 상기 제 2 박스몰드(6a)의 내부로 삽입되어 제 2 박스몰드(6a)의 가이드 레일(7)에 가이드 바(8)가 삽입되어 슬라이딩 작동으로 포개지고 펼쳐지는 제 3 박스몰드(6b)와, 상기 제 3 박스몰드(6b)의 내부로 삽입되어 제 3 박스몰드(6b)의 가이드 레일(7)에 가이드 바(8)가 삽입되어 슬라이딩 작동으로 포개지고 펼쳐지는 제 4 박스몰드(6c)와, 상기 제 4 박스몰드(6c)의 내부로 삽입되어 제 4 박스몰드(6c)의 가이드 레일(7)에 가이드 바(8)가 삽입되어 슬라이딩 작동으로 포개지고 펼쳐지는 제 5 박스몰드(6d)가 결합된 포스트(9)로 구성된다.The upper part of the first box mold 6 having the largest size is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fixed frame 2 and inserted into the first box mold 6 to be guided by the guide rail of the first box mold 6 A second box mold 6a which is inserted into the second box mold 6a and which is folded and unfolded by a sliding operation with a guide bar 8 inserted into the second box mold 6, A third box mold 6b which is inserted into the rail 7 and overlaps and expands by the sliding operation of the guide bar 8 and a third box mold 6b inserted into the third box mold 6b, A fourth box mold 6c which is inserted into the guide rail 7 and is folded and unfolded by the sliding operation of the guide bar 8 and a fourth box mold 6c inserted into the fourth box mold 6c, The guide bar 8 is inserted into the guide rail 7 of the first box mold 6d, (9).

또한, 제 2, 3, 4, 5 박스몰드 (6a, 6b, 6c, 6d)의 수직프레임(5)에는 스토퍼(10)가 각각 설치되어 사방에서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The vertical frames 5 of the second, third, fourth and fifth box molds 6a, 6b, 6c and 6d are provided with stoppers 10 for stable support in all directions.

상기 제 5 박스몰드(6d)의 전면에는 백보드(11)가 부착되고, 백보드(11)에는 농구링이 설치되어 있다.A backboard 11 is attach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fifth box mold 6d and a basketball ring is installed on the backboard 11.

또한, 제 1 박스몰드(6) 상부 중앙에는 정역구동모터(12)가 설치되고, 상기 정역구동모터(12)의 구동축과 연결되어 구동하도록 좌우 양단에는 한 쌍의 권취 드럼(13, 13')이 설치된다. A pair of winding drums 13 and 13 'are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box molds 6 and 7 so as to be driven and connected to the drive shaft of the forward and reverse drive motors 12, Respectively.

상기 한 쌍의 권취 드럼(13, 13')에는 케이블(14)이 각각 권취된 상태에서 제 5 박스몰드(6d)의 하부 수평프레임(4)에는 한 쌍의 롤러(17)가 설치되어 권취 드럼(13, 13')에서 케이블(14)를 감으면 제 1 박스몰드 내부로 제 2, 3, 4, 5 박스몰드(6a, 6b, 6c, 6d) 순으로 상승하여 서로가 끼워진 상태로 몰입되고, 케이블(14)를 풀어주면 제 2, 3, 4, 5 박스몰드(6a, 6b, 6c, 6d)가 서서히 하강하면서 펼쳐지는 구조이다.A pair of rollers 17 are provided on the lower horizontal frame 4 of the fifth box mold 6d in the state where the cables 14 are wound around the pair of winding drums 13 and 13 ' The first, second, third, fourth and fifth box molds 6a, 6b, 6c and 6d ascend in the order of the first and second box molds 13 and 13 ' The second, third, fourth and fifth box molds 6a, 6b, 6c and 6d gradually descend and unfold when the cable 14 is loosened.

그리고 추락방지장치(15)는 제 1 박스몰드(6)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추락방지장치(15)에서 권취되는 안전벨트(16)는 제 5 박스몰드(6d)와 결속되어 있어 제 5 박스몰드(6d)를 단속하여 필요 이상으로 하강하여 추락됨을 방지한다.The fall prevention device 15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first box mold 6 and the seat belt 16 wound on the fall prevention device 15 is engaged with the fifth box mold 6d, The box mold 6d is interrupted to prevent the box mold 6d from falling down more than necessary.

또한, 상기 추락방지장치(15)는 정역구동모터(12)와 체인으로 연결되어 연동작용하는 구동축(15a)이 형성되었으며 이에 상기 안전벨트(16)가 설치되었다.The fall prevention device 15 includes a drive shaft 15a connected to the forward and reverse drive motors 12 in a chain and interlocked with the forward and backward drive motors 12,

따라서 상기 추락방지장치(15)는 제 2, 3, 4, 5 박스몰드(6a, 6b, 6c, 6d)가 일정한 속도이상으로 급하강하여 추락하는 안전사고가 발생할 경우 안전벨트(16)가 이를 견인하여 주기 때문에 보다 안전성 있게 안심하고 천장형 조하식 농구대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in the event of a safety accident in which the second, third, fourth, and fifth box molds 6a, 6b, 6c, 6d drop down at a predetermined speed or more and collapse, This makes it possible to use a ceiling type hoisting hoop with more safety and safety.

도 5는 본 발명 천장형 조하식 농구대에서 스토퍼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opper in a ceiling type descending hoop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본 발명 하강 단속용 스토퍼(10)는 수직프레임(5)에 부착된 고정 브라켓(18)과, 상기 고정 브라켓(18)의 끝단에 형성된 높이 조절공(19)과, 상기 높이 조절공(19)에 조절볼트(20)가 조임 체결되어 하강시 하부에 위치한 제2, 3, 4 박스몰드(6a, 6b, 6c)의 하부 수평프레임(4) 상부에 안착되는 구조이다.The stopper for descending and break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xing bracket 18 attached to a vertical frame 5, a height adjusting hole 19 formed at an end of the fixing bracket 18, The control bolt 20 is fastened to the lower horizontal frame 4 of the second, third, and fourth box molds 6a, 6b, and 6c positioned at the lower portion thereof when the control bolt 20 is lowered.

또한, 상기 조절볼트(20)는 높이 조절공(19)에서 조임 및 풀림 작업에 의해 높이를 조절하여 하강시 제2, 3, 4, 5 박스몰드(6a, 6b, 6c, 6d)에 설치된 스토퍼(10)의 조절볼트(20)는 단계적으로 하부에 위치한 박스몰드의 하부 수평프레임(4)에 안착된다.The adjustment bolt 20 is adjustable in height by a tightening and loosening operation in a height adjusting hole 19 so that the stop bolt 20 is fixed to the second, third, fourth and fifth box molds 6a, 6b, 6c, The adjustment bolt 20 of the frame 10 is seated stepwise on the lower horizontal frame 4 of the box mold located at the lower part.

제 2 박스몰드(6a)의 스토퍼(10)는 제 3 박스몰드(6b)의 하부 수평프레임(4)에 안착되고, 제 3 박스몰드(6b)의 스토퍼(10)는 제 4 박스몰드(6c)의 하부 수평프레임(4)에 안착되며, 제 4 박스몰드(6c)의 스토퍼(10)는 제 5 박스몰드(6d)의 하부 수평프레임(4)에 안착되는 방식으로 순차적으로 펼쳐진다.The stopper 10 of the second box mold 6a is seated on the lower horizontal frame 4 of the third box mold 6b and the stopper 10 of the third box mold 6b is seated on the fourth box mold 6c And the stopper 10 of the fourth box mold 6c is sequentially laid in such a manner that the stopper 10 of the fourth box mold 6c is seated on the lower horizontal frame 4 of the fifth box mold 6d.

상기 스토퍼(10)는 4군데에 각각 설치되어 하강작용시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주게 된다.The stoppers 10 are installed at four locations, respectively, so that the stoppers 10 are more stably supported when the stoppers 10 are lowered.

본 발명에 대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실내 체육관에 설치된 천장형 조하식 농구대(1)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별도로 구비된 제어부에서 정역구동모터(12)를 작동시키면 좌우 양측에 위치한 한 쌍의 권취 드럼(13, 13')이 서로 연동하면서 권취된 케이블(14)을 풀어 주면, 추락방지장치(15)도 정역구동모터(12)와 함께 작동하면서 구동축(15a)에 권취된 안전벨트(16)가 케이블(14)과 동일하게 풀리면서 제 2, 3, 4, 5 박스몰드(6a, 6b, 6c, 6d)의 하중에 의해 천천히 하강하면 제 2 박스몰드(6a)의 스토퍼(10)는 제 1 박스몰드(6)의 하부 수평프레임(4)에 안착되어 더 이상 하강하지 않도록 작용하게 되며, 제 3, 4, 5 박스몰드(6b, 6c, 6d)만 하강하면서 제 2 박스몰드(6a)와 동일한 방식으로 펼쳐져 농구대(1)의 포스트(9)를 형성한다. In order to use the ceiling type descent type hoop 1 installed in an indoor gymnasium, when a forward and reverse driving motor 12 is operated in a separately provided control unit, a pair of winding drums 13 The fall prevention device 15 also operates together with the forward and reverse drive motors 12 so that the seat belt 16 wound on the drive shaft 15a is wound around the cable The stopper 10 of the second box mold 6a is moved downward by the load of the second, third, fourth and fifth box molds 6a, 6b, 6c and 6d, The second box mold 6a is placed in the lower horizontal frame 4 of the second box mold 6 so that it does not descend anymore and only the third, fourth and fifth box molds 6b, 6c and 6d descend, So as to form the post 9 of the hoop 1.

그리고 상기 농구대(1)를 다 사용한 후에는 정역구동모터(12)의 구동에 따라 추락방지장치(15)가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케이블(14) 및 안전벨트(16)를 권취하면 다시 승강작용을 하면서 포개진 상태로 접혀지게 되어 실내운동장의 공간활용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것이다.After the use of the hoist frame 1, when the fall prevention device 15 is rotated in the reverse direction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forward / reverse drive motor 12 to wind the cable 14 and the seat belt 16,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space utilization of the indoor playground.

1: 농구대 2: 고정프레임
3: 상부 수평프레임 4: 하부 수평프레임
5: 수직프레임
6, 6a, 6b, 6c, 6d: 제 1, 2, 3, 4, 5 박스몰드
7: 가이드 레일 8: 가이드 바
9: 포스트 10: 스토퍼
11: 백보드 12: 정역구동모터
13, 13′: 권취 드럼 14: 케이블
15: 추락방지장치 15a: 구동축
16: 안전벨트
17: 롤러 18: 고정 브라켓
19: 높이 조절공 20: 조절볼트
1: Hoop frame 2: Fixed frame
3: upper horizontal frame 4: lower horizontal frame
5: Vertical frame
6, 6a, 6b, 6c, 6d: first, second, third, fourth and fifth box molds
7: guide rail 8: guide bar
9: Post 10: Stopper
11: Backboard 12: Forward and reverse drive motors
13, 13 ': winding drum 14: cable
15: Fall prevention device 15a:
16: Seat belt
17: roller 18: fixed bracket
19: height adjustment ball 20: adjustment bolt

Claims (4)

천장형 조하식 농구대에 있어서,
천장에 부착되는 한 쌍의 고정프레임(2); 과
사각형상으로 배열된 상부 수평프레임(3)과, 상기 상부 수평프레임(3)의 각 모서리에는 하부방향으로 세워진 수직프레임(5)과, 상기 수직프레임(5) 사이에는 하부 수평프레임(4)이 연결되어 박스형상으로 형성된 상태에서 수직프레임(5)의 내주면에는 길이방향으로 가이드 레일(7)이 각각 부착되고, 상기 수직프레임(5) 외주면에는 가이드 레일에 삽입되도록 가이드 바(8)가 각각 부착된 상태에서 크기를 달리한 다수개의 제 1, 2, 3, 4, 5 박스몰드(6, 6a, 6b, 6c, 6d)를 마련한 다음 상기 고정프레임(2)의 저면에는 제 1, 2, 3, 4, 5 박스몰드(6, 6a, 6b, 6c, 6d)중 크기가 제일 큰 제 1 박스몰드(6)의 상부 수평프레임이 부착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박스몰드(6)의 내부로 제 2 박스몰드(6a)가 삽입되어 제 1 박스몰드(6)의 가이드 레일(7)에 제 2 박스몰드(6a)의 가이드 바(8)가 삽입되어 슬라이딩 작동에 의해 포개지고 펼쳐지는 제 2 박스몰드(6a)와,
상기 제 2 박스몰드(6a)의 내부로 제 3 박스몰드(6b)가 삽입되어 제 2 박스몰드(6a)의 가이드 레일(7)에 제 3 박스몰드(6b)의 가이드 바(8)가 삽입되어 슬라이딩 작동으로 포개지고 펼쳐지는 제 3 박스몰드(6b)와,
상기 제 3 박스몰드(6b)의 내부로 제 4 박스몰드(6c)가 삽입되어 제 3 박스몰드(6b)의 가이드 레일(7)에 제 4 박스몰드(6c)의 가이드 바(8)가 삽입되어 슬라이딩 작동으로 포개지고 펼쳐지는 제 4 박스몰드(6c)와,
상기 제 4 박스몰드(6c)의 내부로 제 5 박스몰드(6d)가 삽입되어 제 4 박스몰드(6c)의 가이드 레일(7)에 제 5 박스몰드(6d)의 가이드 바(8)가 삽입되어 슬라이딩 작동으로 포개지고 펼쳐지는 제 5 박스몰드(6d)로 이루어진 포스트(9); 와
상기 제 2, 3, 4, 5 박스몰드 (6a, 6b, 6c, 6d)의 수직프레임(5)에 각각 설치되어 하강시 제 2 박스몰드(6a)는 제 1 박스몰드(6)의 하부 수평프레임(4)에 간섭되어 더 이상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고, 제 3 박스몰드(6b)는 제 2 박스몰드(6a)의 하부 수평프레임(4)에 간섭되어 더이상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며, 제 4 박스몰드(6c)는 제 3 박스몰드(6b)의 하부 수평프레임(4)에 간섭되어 더 이상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고, 제 5 박스몰드(6d)는 제 4 박스몰드(6c)의 하부 수평프레임(4)에 간섭되어 더 이상 하강을 방지하는 스토퍼(10); 와
상기 제 5 박스몰드(6d)의 전면에 설치된 백보드(11); 와
상기 제 1 박스몰드(6) 상부에 설치된 정역구동모터(12)와, 상기 정역구동모터(12)의 구동축과 연결되어 좌우 양단에 각각 위치한 한 쌍의 권취 드럼(13, 13')과, 제 5 박스몰드(6d)의 하부 수평프레임(4)에는 한 쌍의 롤러(17)가 설치되어 권취 드럼(13, 13')에 케이블(14)이 권취된 상태에서 케이블(14)을 감으면 제 5 박스몰드(6d)가 상승하여 제 4 박스몰드(6c) 내부로 삽입되고, 제 4, 5 박스몰드(6c, 6d)는 상승하여 제 3 박스몰드(6b)로 내부로 삽입되고, 제 3, 4, 5 박스몰드(6b, 6c, 6d)는 상승하여 제 2 박스몰드(6a) 내부로 삽입되고, 제 2, 3, 4, 5 박스몰드(6a, 6b, 6c, 6d)는 제 1 박스몰드(6) 내부로 삽입하여 포개지고, 케이블(14)를 풀면 제 2, 3, 4, 5 박스몰드(6a, 6b, 6c, 6d)가 하강하여 펼쳐지며,
상기 제 1 박스몰드(6)의 상부에 구비된 추락방지장치(15)와, 상기 추락방지장치(15)의 구동축(15a)에 권취되는 안전벨트(16)는 제 5 박스몰드(6d)에 결속되어 제 5 박스몰드(6d)가 필요 이상 하강하여 추락하는 것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조하식 농구대.
In a ceiling type hoisting hoist,
A pair of fixed frames (2) attached to the ceiling; and
A vertical frame 5 erected in a downward direction at each corner of the upper horizontal frame 3 and a lower horizontal frame 4 interposed between the vertical frames 5, A guide rail 7 is attached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vertical frame 5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guide bar 8 is attach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vertical frame 5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guide rail 2, 3, 4, and 5 box molds 6, 6a, 6b, 6c, and 6d having different sizes are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xed frame 2, The upper horizontal frame of the first box mold 6 having the largest size among the first, fourth and fifth box molds 6, 6a, 6b, 6c and 6d is attached and fixed, The second box mold 6a is inserted into the guide rail 7 of the first box mold 6 so that the guide bar 8 of the second box mold 6a A second box mold 6a which is inserted and folded and unfolded by the sliding operation,
The third box mold 6b is inserted into the second box mold 6a and the guide bar 8 of the third box mold 6b is inserted into the guide rail 7 of the second box mold 6a A third box mold 6b which is folded and unfolded by a sliding operation,
The fourth box mold 6c is inserted into the third box mold 6b and the guide bar 8 of the fourth box mold 6c is inserted into the guide rail 7 of the third box mold 6b A fourth box mold 6c which is folded and unfolded by a sliding operation,
The fifth box mold 6d is inserted into the fourth box mold 6c and the guide bar 8 of the fifth box mold 6d is inserted into the guide rail 7 of the fourth box mold 6c A post 9 consisting of a fifth box mold 6d which is folded and unfolded by a sliding operation; Wow
The second box mold 6a is installed on the vertical frame 5 of the second, third, fourth and fifth box molds 6a, 6b, 6c and 6d, The third box mold 6b prevents interference with the lower horizontal frame 4 of the second box mold 6a so that the third box mold 6b is prevented from descending further, The mold 6c is prevented from further falling down due to interference with the lower horizontal frame 4 of the third box mold 6b while the fifth box mold 6d prevents the lower horizontal frame 4 A stopper (10) interfering with the stopper (4) to prevent further descent; Wow
A backboard 11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fth box mold 6d; Wow
A pair of winding drums (13, 13 ') connected to the driving shaft of the forward and reverse driving motor (12) and located at both ends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irst box mold (6) When the pair of rollers 17 are provided on the lower horizontal frame 4 of the five-box mold 6d and the cable 14 is wound while the cable 14 is wound around the winding drums 13 and 13 ' The fifth box mold 6d is lifted and inserted into the fourth box mold 6c and the fourth and fifth box molds 6c and 6d are raised and inserted into the third box mold 6b, The second, third, fourth and fifth box molds 6a, 6b, 6c, and 6d are inserted into the second box mold 6a while the fourth, fifth and fifth box molds 6b, 6c, The second, third, fourth and fifth box molds 6a, 6b, 6c and 6d are lowered and unfolded when the cable 14 is loosened,
A fall prevention device 15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first box mold 6 and a seat belt 16 wound on a drive shaft 15a of the fall prevention device 15 are mounted on a fifth box mold 6d So that the fifth box mold (6d) is prevented from falling down more than necessary, thereby preventing the fall of the fifth box mold (6d).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락방지장치(15)는 정역구동모터(12)와 연동하여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조하식 농구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all prevention device (15)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the forward and reverse drive motors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10)는 수직프레임(5)에 부착된 고정 브라켓(18)과, 상기 고정 브라켓(18)의 끝단에 형성된 높이 조절공(19)과, 상기 높이 조절공(19)에 조절볼트(20)가 조임 체결되어 하강시 하부에 위치한 제 2, 3, 4, 5 박스몰드(6a, 6b, 6c, 6d)의 하부 수평프레임(4) 상부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조하식 농구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opper 10 includes a fixing bracket 18 attached to the vertical frame 5, a height adjusting hole 19 formed at an end of the fixing bracket 18, 20, 20) are tightened and are seated on the lower horizontal frame (4) of the second, third, fourth and fifth box molds (6a, 6b, 6c, 6d) .
KR1020160131945A 2016-10-12 2016-10-12 A basketball post mounted ceiling KR10182901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1945A KR101829014B1 (en) 2016-10-12 2016-10-12 A basketball post mounted ceil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1945A KR101829014B1 (en) 2016-10-12 2016-10-12 A basketball post mounted ceil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9014B1 true KR101829014B1 (en) 2018-02-13

Family

ID=61231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1945A KR101829014B1 (en) 2016-10-12 2016-10-12 A basketball post mounted ceil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9014B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1326B1 (en) 2018-10-22 2018-11-22 박숙향 Ceiling-mounted hoop hoist
KR102014029B1 (en) * 2018-08-24 2019-08-23 노정훈 A basketball post mounted ceiling
KR102112360B1 (en) * 2019-12-11 2020-05-18 동화체육주식회사 Basketball post mounted ceiling
KR102214261B1 (en) * 2020-07-29 2021-02-10 현대체육산업(주) Ceiling mounted basketball backstop
KR102464767B1 (en) * 2022-05-17 2022-11-09 현대체육산업(주) Ceiling Mounted Basketball Hoop
KR102476551B1 (en) * 2022-06-10 2022-12-13 현대체육산업(주) A ceiling retractable basketball pos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15614A1 (en) 2005-07-18 2007-01-18 Gared Holdings, Llc Adjustable height basketball goal
KR100912392B1 (en) 2009-03-18 2009-08-19 노정훈 Fixed in the ceiling of a basketball power control device
KR101131020B1 (en) * 2009-12-29 2012-03-29 김종열 Ceiling up-down type Basketball post
KR101545464B1 (en) * 2015-02-27 2015-08-19 한재수 A basketball post mounted ceili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15614A1 (en) 2005-07-18 2007-01-18 Gared Holdings, Llc Adjustable height basketball goal
KR100912392B1 (en) 2009-03-18 2009-08-19 노정훈 Fixed in the ceiling of a basketball power control device
KR101131020B1 (en) * 2009-12-29 2012-03-29 김종열 Ceiling up-down type Basketball post
KR101545464B1 (en) * 2015-02-27 2015-08-19 한재수 A basketball post mounted ceiling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4029B1 (en) * 2018-08-24 2019-08-23 노정훈 A basketball post mounted ceiling
KR101921326B1 (en) 2018-10-22 2018-11-22 박숙향 Ceiling-mounted hoop hoist
KR102112360B1 (en) * 2019-12-11 2020-05-18 동화체육주식회사 Basketball post mounted ceiling
KR102214261B1 (en) * 2020-07-29 2021-02-10 현대체육산업(주) Ceiling mounted basketball backstop
KR102464767B1 (en) * 2022-05-17 2022-11-09 현대체육산업(주) Ceiling Mounted Basketball Hoop
KR102476551B1 (en) * 2022-06-10 2022-12-13 현대체육산업(주) A ceiling retractable basketball pos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9014B1 (en) A basketball post mounted ceiling
JP6883343B2 (en) Anti-scattering curing system and anti-scattering curing method
US10335706B2 (en) Combined lifting barn fencing equipment
US2957582A (en) Grid structures
KR101478964B1 (en) Ladder of gang form
KR102560658B1 (en) Work boarding device
KR20150127559A (en) The Folding Suspended Scaffoldings
JP6378550B2 (en) Scaffolding equipment
CN112366588B (en) Live-line operation crossing device for power transmission line
CN210260956U (en) Handcart transfer device for handcart type high-voltage cabinet
CN109205502B (en) Climbing material table
US2705363A (en) Method for erecting a sectional mast
KR101048036B1 (en) Electric hoist
CN109160449B (en) Climbing material table with gantry crane
JP2021031234A (en) Panel standing tool and panel standing method using the panel standing tool
KR102553833B1 (en) A free lifting type net easy to going up
JP4108076B2 (en) Construction method and dismantling method of scaffold for high-rise building
KR101800622B1 (en) Multi-type lifting scaffold
JP2008214062A (en) Lifting device and structural material mounting method
JP6761770B2 (en) Lifting device
KR20170054916A (en) A folding safty gondola with horizontal control function
KR20210041782A (en) Vertically movable worktable that automatically supported on the ground
JP359850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spending a suspended body such as an indoor net
CN213571997U (en) Water conservancy cofferdam construction equipment
KR102250101B1 (en) Folding movable worktab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