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8784B1 - System for inputting korean alphabet, and portable korean alphabet keyboard - Google Patents

System for inputting korean alphabet, and portable korean alphabet keyboar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8784B1
KR101828784B1 KR1020170015765A KR20170015765A KR101828784B1 KR 101828784 B1 KR101828784 B1 KR 101828784B1 KR 1020170015765 A KR1020170015765 A KR 1020170015765A KR 20170015765 A KR20170015765 A KR 20170015765A KR 101828784 B1 KR101828784 B1 KR 1018287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wel
keys
key
consonant
row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576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828784B9 (en
KR20170018280A (en
Inventor
홍우표
Original Assignee
홍우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715723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828784(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홍우표 filed Critical 홍우표
Publication of KR20170018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828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8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8784B1/en
Publication of KR101828784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8784B9/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정된 12개(3X4)의 키를 중심으로 주위에 배열하는 필수 비자모 키를 활용하여 적은 수의 키 만으로 많은 수의 키를 지닌 키패드의 효과를 기하고, 더욱이 자음의 복수타나 모음의 산만한 배열 또는 모음의 자소까지 일일이 만들어 쓰는 비효율 등과 불편을 일소한다. 또한, 본 발명의 초성(자음)과 중성(모음)을 각기 독립된 구성으로 서로는 입력 시 동시타하여도 음절 문자(초, 중, 종성을 한 묶음으로 하는 글자 형태)로서 입력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오타를 절감하고 PC 수준의 입력 속도를 달성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utilizes a keypad having a large number of keys with a small number of keys by utilizing the essential non-magnetic key arranged around the limited 12 (3X4) keys, It eliminates the inconvenience and inconvenience of making a distracting array or a collection of vowels.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input of the syllable characters (a character form of a bundle of chunks, chunks, and suffixes) even when they are simultaneously input at the time of input, And achieve PC-level input speeds.

Description

한글 입력 시스템 및 휴대용 한글 자판{SYSTEM FOR INPUTTING KOREAN ALPHABET, AND PORTABLE KOREAN ALPHABET KEYBOARD}{SYSTEM FOR INPUTTING KOREAN ALPHABET, AND PORTABLE KOREAN ALPHABET KEYBOARD}

본 발명은 41개의 한글 자모의 음소 및 자소와 근원적 구조를 계통적으로 분류, 정리 및 체계화한 뒤, 이를 다시 단순화하여 기존의 한글 입력 기기에서 정신적/ 신체적 피로를 가중시키던 모든 요소/요인을 일소함으로써 원천적으로 오타 유발 요인을 제거하면서, 동시에 문자 입력 속도의 고속화를 기한 한글 자판의 배열 및 입력 방법과, 이를 이용한 한글 자판 입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classifies, rearranges, and organizes phonemes, phonemes, and root structures of 41 Hangul characters, and then simplifies them again, thereby eliminating all elements / factors that increase mental / physical fatigue in the conventional Hangul input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arranging and inputting a keyboard, and a method for inputting a keyboard using the same.

키보드는 문자, 숫자, 기호 등이 표시된 다수개의 키(key)들이 배열된 것으로서 이들 키를 타자하여 PC 또는 모바일단말기(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에 문자, 숫자, 기호 등의 입력을 이루는 장치를 말한다. 키보드가 PC에서는 물리적인 장치로서 제공되지만,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와 같은 모바일 단말기에서는 물리적인 장치로 제공되지 않고 프로그램을 통하여 디스플레이(display)로 제공되고 있다.A keyboard is a keyboard in which a plurality of keys are displayed in which letters, numbers, symbols and the like are displayed. These keys are used to input characters, numbers, symbols, and the like to a PC or a mobile terminal (mobile phone, smart phone, tablet PC, Device. Although a keyboard is provided as a physical device in a PC, it is not provided as a physical device in a mobile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or a tablet PC, but is provided as a display through a program.

일반적으로 PC 등과 같은 경우는 모니터를 보면서 타자를 하게 되고, 오타가 많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모바일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키패드의 경우, 키를 보면서 타자를 하는 경우가 많고, 오타가 많이 나는 문제가 있으며, 이러한 오타를 수정하게 되면 타자를 더욱 느리게 한다. 더구나,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키패드를 사용하는 경우에, 입력 속도는 상당히 느리며, 오타가 많으며, 다시 오타를 수정하는 과정에서 입력 속도가 더 저하될 수 밖에 없다.Generally, in the case of a PC or the like, the user is typed while watching the monitor, and a lot of typos do not occur. However, in the case of a keypad provided in a mobile terminal, typing is often performed while watching a key,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re is a lot of typos, and when the typos are corrected, the typing becomes slower. Moreover, when using a commonly used keypad, the input speed is very slow, there are a lot of typos, and the input speed is further degraded in correcting the typos again.

따라서, PC 등과 같이 출력되는 글을 보면서 타자를 이룰 수 있으며, 또한 안정된 자세로 타자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be able to form a batter while watching a printed output such as a PC, and to be able to achieve a batter in a stable posture.

관련되어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특허 제0398668호로 한글 자모 배열과 입력 방법을 공개하였다. 상기 특허는 본 출원인이 창출한 아래 8 가지의 한글 자판의 배열을 위한 기본적인 원리들을 설명하고, 이들 원리를 바탕으로 발명된 최적의 키 배열을 공개하고 있다.The present applicant has disclosed Korean alphabet array and input method in Korean Patent No. 0398668. The above patent discloses the basic principles for the arrangement of the following eight Korean keyboards created by the present applicant, and discloses an optimal key arrangement invented based on these principles.

(1) "ㅗ, ㅏ, ㅡ, ㅜ, ㅓ, ㅣ"의 배열 원리(1) Principle of arrangement of "ㅗ, a, ㅡ, ㅜ, ㅓ, ㅣ"

(2) 같은 소리계(동음계)(2) Same sound system (same sound system)

(3) 동시타(3) Simultaneous riding

(4) 코드 조합 방식(4) Code combination method

(5) 틈새키(5) Niche key

(6) 해지 시기 입력 방식(6) Termination timing input method

(7) 코드 변환 법칙(7) Code conversion law

(8) 코드 불환 법칙(8) Code False Rule

상기 특허 발명은 키(key)의 숫자를 획기적으로 줄이고, 또한 초성과 중성을 각각 타자하지 않고 동시에 타자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이에 따라 안정적으로 오타 없이 빠른 타자가 가능하게 하고 있다.The patent invention dramatically reduces the number of keys and makes it possible to simultaneously and without tying each other. Thus, it is possible to stably write typing without typing.

다만 위 특허에 따를 경우 아래와 같은 몇 가지 개선 사항이 발견되었다However, following the above patent, several improvements were found as follows

첫째, "ㅛ, ㅑ, ㅠ, ㅕ"를 출력하기 위해서는 각각 "ㄴ+ㅗ", "ㄹ+ㅏ", "ㅅ+ㅜ", "ㅇ+ㅓ"를 타자하여야 하는 것이며, 여기서 + 는 동시타를 의미한다. 즉 "ㄴ + ㅗ"는 'ㄴ'과 'ㅗ'를 어느 하나를 누른 상태에서 다른 하나를 누르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노'와 같은 경우는 'ㄴ'과 'ㅗ'를 각각 독립적으로 타이핑해야 하고 동시타로 입력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특히, 초성과 중성을 동시에 타자해도 무방하도록 한 취지가 일부 미완성이었다.First, in order to output "ㅛ, ㅑ, ㅠ, ㅕ", you have to type "+ + ㅗ", "+ +", "+ + ㅜ", "+ + ㅓ" . In other words, "b + ㅗ" refers to pressing one of "b" and "ㅗ" while pressing one of the other. For example, in the case of 'no', there is a problem in that both 'ㄴ' and 'ㅗ' must be typed independently and not entered at the same time. Particularly, .

둘째, 'ㄱ', 'ㄴ', 'ㄷ', 'ㄹ'과 'ㅜ', 'ㅓ', 'ㅣ'의 거리가 멀어 동시타가 인체공학적으로 불편한 점이 있다.Second, the distances between 'a', 'b', 'c', 'd' and 'ㅜ', 'ㅓ', and 'ㅣ' are far from each other.

셋째, 딴이와 관련되어 각각 별도로'ㅣ'를 타이핑했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ㅙ' 의 경우 'ㅗ'와 'ㅏ' 와 'ㅣ'를 타이핑하여야 하는 것으로서, 별도로 'ㅣ'를 타이핑하여야 하는데, 이를 좀 더 간편화할 수 있다면, 그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특히, 한글에서 딴이가 붙는 중모음이 9개가 있으며, 딴이가 붙는 중모음의 빈도수가 상당히 높음에도 불구하고, 'ㅣ' 키를 찾아 일일이 누르는 것은 상당히 불편하다.Third, there was a problem that we had to type 'ㅣ' separately for each other. For example, in the case of 'ㅙ', 'ㅗ', 'a' and 'び' should be typed. If you can type 'ㅣ' separately, it would be preferable if it can be simplified. Especially, there are 9 middle chords in Hangul, and it is quite inconvenient to find the 'ㅣ' key and press it one by one even though the frequency of chord sound is very high.

본 발명은 이들 사항에 대하여 개선을 이루어 오타 없이 빠른 타자로 한글의 입력을 가능하게 하는데, 본 발명은 주로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 PC와 같은 모바일 단말기에서 유용할 것이지만 이에 한정할 것은 아니며, 이의 한글의 정확하고 빠른 입력이 필요한 모든 전자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on these points to enable input of Hangul into a quick typewriter without any typing.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useful mainly in a mobile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tablet, and a PC,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t can be applied to all electronic devices that require accurate and fast input of Hangul.

본 발명의 목적은 안정적으로 오타가 없이 빠른 타자가 가능하게 하는 전자 기기의 한글입력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Hangul characters of an electronic device which enables stable typing without typing.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자음 키들, 복수 개의 모음 키들 및 적어도 하나의 비자모 키를 포함하는 키 입력부; 및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하여 수신된 사용자의 입력을 처리하는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모음 키들은 미리 설정된 개수의 기본 모음 키를 포함하며, 상기 처리부는 상기 기본 모음 키에 대한 연속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기본 모음 키에 대응하는 모음에 'ㅣ'를 추가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자판 입력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key entry system comprising: a key input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consonant keys, a plurality of vowel keys, and at least one non-magnetic key; And a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input of a user received through the key input unit, wherein the plurality of vowel keys includes a predetermined number of basic vowel keys, and the processing unit receives a continuous input for the basic vowel key Quot ;, and "? &Quot; is added to the vowel corresponding to the basic vowel key.

본 발명은 (a) 상호 간에 인접하는 복수 개의 행 또는 상호 간에 인접하는 복수 개의 열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자음 키와, 상기 복수개의 자음 키가 배치되는 행 또는 열과 평행한 행 또는 열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모음 키와, 상기 복수개의 모음 키가 배치된 행 또는 열과 평행하고 인접하는 행 또는 열에 배치되는 비자모 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판 배열을 포함하는 키 입력부와; (b) 상기 키 입력부에서 타자되는 키의 신호를 받아 문자를 편집하는 것으로 (b1) 상기 자음 키와 상기 모음 키가 동시타되면, 상기 자음 키의 자음을 초성으로 그리고 상기 모음 키의 모음을 중성으로 조합하여 편집하는 수단; (b2) 상기 비자모 키와 상기 비자모 키와 인접한 상기 모음 키가 동시타되면: 해당 모음 키의 모음의 재출자로 편집하는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처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한글입력장치를 제공한다.(A) a plurality of consonant keys arranged in a plurality of adjacent rows or mutually adjacent columns, and a plurality of consonant keys arranged in rows or columns parallel to the rows or columns in which the plurality of consonant keys are arranged A key input unit including a keyboard and an alphanumeric key disposed in a row or a column adjacent to the row or column in which the plurality of vowel keys are arranged; (b) receiving a signal of a key typed in the key input unit to edit a character; (b1) when the consonant key and the vowel key are simultaneously displayed, the consonant of the consonant key is initialized, Means for editing in combination; (b2) means for editing the non-demo key and the non-demo key when the adjoining vowel key is simultaneously displayed: the rewriter of the vowel collection of the corresponding vowel key. Device.

본 발명은 자음 키들에 대하여 모음과 동시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초성과 중성의 조합으로 편집되어 문자를 이룰 수 있도록 하고, 비자모 키에 대하여 인접한 모음 키와 동시타하여 재출자로 편집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인체공학적으로 동시타가 불편하였던 'ㅜ'와 'ㅓ'의 키에 대하여 비자모 키를 활용하여 쉽게 동시타가 가능하게 하여 키의 숫자를 줄이면서 편리한 동시타가 가능하게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lows a consonant key to be edited in combination with a vowel and a neutral so that a character can be edited, a non-vowel key can be edited as a rewriter by simultaneously touching an adjacent vowel key, In addition, ergonomically, 'ㅜ' and 'ㅓ' keys, which were inconvenient to use simultaneously, can be easily accessed by using a non-key key, thereby reducing the number of keys and enabling convenient simultaneous acces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한글입력장치가 적용된 휴대폰(100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 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판 배열을 가지는 키 입력부(10)가 독립하여 탈부착식 자판(800)으로 제공되는 경우를 보인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판 배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판 배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판 배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4 내지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자판 배열이 적용되는 폴더 폰의 예를 나타낸 것이며, 도 8은 도 3과 다른 실시예로서 탈부착식 자판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obile phone 1000 to which a Hangul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Hangul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shows a case where the key input unit 10 having a keyboard layou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as a removable keyboard 800 as an independent unit.
4 is a view showing a keyboard layou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keyboard layou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and 6B are views showing a keyboard layou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shows an example of a folder phone to which the keyboard layout shown in Figs. 4 to 6A and 6B is applied, and Fig. 8 shows an example of a removable keyboard, which is different from Fig.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or limited by the embodiments. 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shown in the drawings denote the same members.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Also, terminologies used herein are terms used to properly represen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user, intent of the operator, or custom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herefore, th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한글입력장치가 적용된 휴대폰(1000)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obile phone 1000 to which a Hangul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1을 참조하면, 휴대폰(1000)은 복수의 키들을 포함하는 키 입력부(10)를 가지며, 키 입력부(10)에 포함된 복수의 키들은 복수의 행들과 복수의 열들에 배치된다. 제1 열과 제2 열에는 복수 개의 자음 키들이 배치되며, 제1 열에는 ㄱ, ㄷ, ㅂ, ㅈ 가 배치되고, 제2 열에는 ㄴ, ㄹ, ㅅ, ㅇ가 배치된다.Referring to FIG. 1, a mobile phone 1000 has a key input unit 10 including a plurality of keys, and a plurality of keys included in the key input unit 10 are disposed in a plurality of rows and a plurality of columns. A plurality of consonant keys are arranged in the first and second columns, and a, c, f, and c are arranged in the first column, and b, d, g, and o are arranged in the second column.

제1 열 및 제2 열과 평행한 열들인 제3 열 또는 제4 열에는 모음 키들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열과 인접한 제3 열에는 ㅗ, ㅏ, ㅜ, ㅓ가 배치될 수 있다.Vowel keys may be disposed in the third or fourth column, which are parallel to the first and second columns. For example, in the third column adjacent to the second column,?,?,?, And? Can be arranged.

본 발명은 특정한 자음 및 모음을 명시적으로 나타내지 않으나, 모음을 타이핑하는 데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비자모 키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아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자모 키를 이용하여 인접한 모음 키와 동시타되어 동시타된 모음 키의 재출자로 편집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물론, 비자모 키는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비자모 키를 제3 열과 인접하면서도 제3 열과 평한 열인 제4 열에 배치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plicitly indicate particular consonants and vowels, but may include a non-magnetic key that may affect typing vowels. In particular, as described below,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unction of editing a vowel key concurrently with an adjacent vowel key using a non-magnetic key key, as a rewriter of the vowel key concurrently. Of course, the non-magnetic key may be located at various positions, bu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on-magnetic key may be disposed in the fourth row adjacent to the third row and in a column spaced from the third row.

여기서 재출자는 반모음 ㅣ와 ㅗ, ㅏ, ㅜ, ㅓ를 합한 이중 모음을 의미하며, ㅛ, ㅑ, ㅠ, ㅕ를 말한다. 재출자의 반대말은 초출자로서, ㅗ, ㅏ, ㅜ, ㅓ를 의미 한다.Here, the reverberant is a double vowel, which is a combination of ν, ν, τ, and ν, and refers to ㅛ, ㅑ, ㅠ,.. The opposite of the former is the superpower, which means ㅗ, a, ㅜ, ㅓ.

동시타는 전술한 본 출원인의 대한민국 특허 제0398668호에 공개된 것으로서, 반드시 두 개의 키들이 시간적으로 동시에 눌리는 것을 요구하는 것은 아니며, 어느 하나의 키가 눌린 상태에서 다른 키가 동시에 눌리는 것을 말한다.The simultaneous riding is disclosed in the above-mentioned Korean Patent No. 0398668, which does not necessarily require that two keys be simultaneously pressed in time, and means that another key is simultaneously pressed in a state in which one key is press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 열에 ㅗ, ㅏ, ㅜ, ㅓ의 초출자가 배치되고, 상기 제3 열과 평행하고 인접한 열인 제4 열에 비자모 키가 배치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5 행에도 다른 비자모 키가 배치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superimposers of ㅗ,,, ㅜ, ㅓ are arranged in the third column, and the non-magnetic key is arranged in the fourth column which is parallel to and adjacent to the third column. In addition, it can be confirmed that another non-magnetic key is arranged in the fifth row.

보다 구체적으로, 제4 열에는 쉽표 키(,), 마침표 키(.)와 검색 키, 그리고 이동 또는 띄어쓰기 키와 같은 여러 비자모 키들이 배치되어 있으며, 이들 비자모 키는 각각 인접한 제3 열의 ㅗ, ㅏ, ㅜ, ㅓ와 동시타되는 경우에, 전술한 바와 같이 재출자인 ㅛ, ㅑ, ㅠ, ㅕ로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열의 ㅗ와 인접한 제4 열의 쉽표 키가 동시타되는 경우에, ㅛ가 출력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in the fourth column, various non-alphanumeric keys such as an easy key (,), a period key (.) And a search key, and a move or a space key are arranged, , A, t, and ㅓ, it can be output as rewriter, ㅛ, ㅑ, ㅠ, ㅕ, a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in the case where the eighth key of the third column and the eighth key of the fourth column adjacent to the key are simultaneously displayed, a key may be output.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 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Hangul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자판 배열을 가지는 키 입력부(10)가 제공되고, 제어부(110), 문자편집부(120), 화면출력부(130) 및 메모리(140)가 제공된다. 여기서, 제어부(110), 문자편집부(120) 및 화면출력부(130)는 처리부로서 통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a key input unit 10 having the keyboard layout described above is provided, and a control unit 110, a character editing unit 120, a screen output unit 130, and a memory 140 are provided. Here, the control unit 110, the character editing unit 120, and the screen output unit 130 may be integrated as a processing unit.

문자편집부(12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키 입력부(10)를 통해 타자되는 키의 신호를 받아 설정된 규칙을 따라 편집한다. 화면출력부(130)는 휴대폰(1000)의 디스플레이창(display window)으로서 문자편집부(120)에 의하여 편집되어 이루어진 문자 등을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출력하는 LCD 등으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 장치이다.The character editing unit 120 receives a signal of a key to be typed through the key input unit 1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10, and edits the key according to the set rule. The screen output unit 130 is a display device composed of an LCD or the like that outputs characters and the like edited by the character editing unit 120 as a display window of the mobile phone 100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10. [

메모리(140)에는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등록되어 있으며, 제어부(110)는 메모리(140)에 등록된 프로그램을 처리하여 한글의 입력과 출력을 처리하게 된다. 상기 문자편집부(120)는 실질적으로 휴대폰(1000)에 탑재된 프로그램의 형태로 존재하는 것으로서, 제어부(110)에 통합적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위 블록도는 기능적으로 분류한 것이다.A program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is registered in the memory 140. The control unit 110 processes the program registered in the memory 140 and processes input and output of Hangul. The character editing unit 120 is substantially present in the form of a program installed in the mobile phone 1000, and may be integrally installed in the control unit 110, and the above block diagrams are functionally classifi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라 문자편집부(120)가 문자 편집을 이루는 과정을 설명하는데, 본 발명의 특징을 중심으로 설명하며 이외 문자들의 조합과 출력 등 일반적인 사항은 공지기술에 따른다.Hereinafter, a process of performing character editing by the character editing unit 12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문자편집부(120)는 상기 자음 키와 상기 모음 키가 동시타되면, 즉 어느 하나가 눌린 상태에서 다른 하나가 눌리면, 그 자음 키의 자음을 초성으로 그리고 그 모음 키의 모음을 중성으로 조합하여 편집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는 반드시 자음 키와 모음 키를 동시타해야 하는 것은 아니고, 그의 편의를 위하여 자음 키와 모음 키를 동시타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자음 키와 모음 키를 순차적으로 입력함으로써 자음을 초성으로, 그리고, 모음을 중성으로 조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nsonant key and the vowel key are simultaneously displayed, that is, when one of the consonant keys and the vowel key is depressed and another one is depressed, the character editing unit 120 reads the consonant key of the consonant key, The vowels can be combined and edited in a neutral way. He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consecutively consonant keys and vowel keys, but can simultaneously access consonant keys and vowel keys for his convenience. That is, the user can sequentially input consonant keys and vowel keys to combine consonants into vowels and vowels with neutral vowels.

예를 들어, 도 1의 키 입력부(10)를 참고하면, 제1열의 ㄱ과 제3열의 ㅗ를 동시타하면 이들을 조합하여 '고'로 편집하여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하여 '고'가 화면 출력부(130)에 출력된다. 이후 'ㅇ'을 타자하면 '공' 이 출력될 것이다.For example, referring to the key input unit 10 of FIG. 1, if the keys in the first column and the third column are simultaneously pressed, they are combined to be 'high', and 'high'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110 And is output to the screen output unit 130. If you type 'o', 'ball' will be displayed.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문자편집부(120)는 상기 제3 열의 모음 키와 평행하고 또한 제3열의 모음 키와 인접하여 제4열에 배치된 비자모 키가 동시타 되면, 해당 모음 키의 모음의 재출자로 편집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haracter editing unit 120 displays a vowel key parallel to the vowel key of the third column and adjacent to the vowel key of the third column and the vowel key disposed in the fourth column simultaneously, Edit it as a rewriter.

예를 들어, 제3열의 'ㅗ'의 키를 제4 열의 쉼표 키와 동시타하면, 'ㅛ'로 편집하고, 제3열의 'ㅏ'의 키를 제4열의 마침표 키와 동시타하면, 'ㅑ'로 편집하며, 제3 열의 'ㅜ'의 키를 제4 열의 검색용 키와 동시타하면, 'ㅠ'로 편집하고, 제3열의 'ㅓ'의 키를 제4 열의 이동 또는 띄어 쓰기용 키와 동시타하면, 'ㅕ'로 편집한다.For example, if the key of 'ㅗ' in the third column is concatenated with the comma key of the fourth column, 'ㅛ' is edited, and when the key of 'a' in the third column is concatenated with the period key of the fourth column, ㅑ 'in the third column, and' ㅓ 'in the third column by moving the key of' '' in the third column to ' If you get in sync with the key, edit it with 'ㅕ'.

이에 따라, 예를 들어, 제2열의 'ㄱ'의 키(key)를 타자하고, 제3열의 'ㅗ'키와 제4열의 쉼표 키(,)를 동시타하면, '교'로 문자편집부(120)에서 편집되어 화면출력부(130)에 출력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초성과 중성을 동시에 타자하여 그 조합이 출력될 때, 종래에는 2열의 자음 키(ㄴ, ㄹ, ㅅ, ㅇ)와 3열의 모음 키(ㅗ, ㅏ, ㅜ, ㅓ)들 사이에서 인접한 것을 동시타하여도 이들 초성과 중성이 조합되지 못하고 재출자로 편집되어, 제2 열의 자음 키들에 대해서는 초성과 중성을 동시타로 조합하여 편집하지 못하였는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여 제2 열의 자음들에 대하여 제3 열의 모음들과 동시타를 통하여 초성과 중성의 조합으로 출력될 수 있게 되었다.Accordingly, for example, if the key of 'a' in the second column is typed, and the 'ㅗ' key in the third column and the comma key (,) in the fourth column are simultaneously displayed, 120 and output to the screen output unit 130. [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mbin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letters is output and the combination is outputted, conventionally, two consonant keys (b, d, g, o) and three vowel keys (ㅗ, The first and second consecutive consonant keys can not be combined and edited at the same time. In order to overcome this problem, the second column, that is, The consonants can be output in a combination of initial and neutral through simultaneous riding with the vowels in the third column.

특별히, 이 경우, 제4 열의 비자모 키에 대하여 3열의 모음 키와 동시타하여 그 모음의 재출자로 편집되는데, 인접한 3열과 4열에 대하여 동시타를 하도록 함으로써 쉽게 재출자를 출력할 수 있게 하고 있고, 또한, 본래 독립적으로는 부호 또는 기호 등을 출력하는 비자모 키들에 대하여 모음 키와의 동시타로 재출자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하여 전체로서 키의 수를 줄이고 타자의 효율성을 높이고 있다.Specifically, in this case, the non-magnetic key of the fourth row is edited as a rewriter of the vowel in a simultaneous manner with the vowel key of the third row. In this case, the reentrant can be easily output by having the third row and the fourth row adjacent to each other,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output a re-issuer of a simultaneous tar to the vowel key independently of the original non-demo keys outputting codes or symbols, thereby reducing the number of keys as a whole and improving the efficiency of the typing.

본 발명에 따를 경우, 또한, 상기 문자편집부(120)는 상기 비자모 키 중에서 상기 복수개의 모음 키 중 'ㅗ', 'ㅏ'의 모음 키와 인접한 키가 각각 상기 자음 키와 동시타되면, 상기 동시타되는 자음 키의 자음을 초성으로 그리고 각각 'ㅜ', 'ㅓ'의 모음의 중성으로 조합하여 문자편집을 이룬다. 이 때, 'ㅗ', 'ㅏ'의 모음 키는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으로 인접할 수 있으며, 'ㅜ', 'ㅓ'의 모음 키 역시도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으로 인접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vowel keys of 'v' and 'a' among the plurality of vowel keys in the non-demo key are simultaneously touched with the consonant key, Consonant consonants of the concurrent consonant key are combined with the vowels of 'ㅜ' and 'ㅓ', respectively. In this case, the vowel keys of 'ㅗ' and 'a' may be adjacen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r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vowel keys of 'ㅜ' and 'ㅓ' may also be adjacen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r the vertical direction.

예를 들어, 1열의 'ㄱ'과 4열의 쉼표(,)를 동시타하는 신호를 받은 문자편집부(120)는 이들 신호를 받아 '구'로서 편집하여 화면출력부(130)에 '구'를 출력하게 된다.For example, the character editing unit 120 receiving the signals simultaneously receiving the 'A' of the first column and the comma (,) of the fourth column receives these signals, edits them as 'sphere', and outputs 'sphere' to the screen output unit 130 .

또한, 제2열의 'ㅅ'과 4열의 마침표(.)를 동시타하는 신호를 받은 문자편집부(120)는 이들 신호를 받아 '서'로서 조합하여 편집하여 화면출력부(130)에 '서'를 출력하게 된다.In addition, the character editing unit 120 receiving the signals simultaneously receiving the 'g' of the second column and the period (.) Of the fourth column receives these signals, combines them as 'w', edits them, .

이와 같이, 이미 제3 열의 모음 키에서 제3행과 제4행에서 각각'ㅜ'와 'ㅓ'가 제공됨에도, 제4열의 비자모 키 중 제1행과 제2행의 것을 동시타하면, 'ㅜ'와 'ㅓ'가 중성으로서 조합을 이루게 하는 것은, 자음과 제3행과 제4행의 'ㅜ'와 'ㅓ' 키를 동시타하기 불편한 점을 고려한 것이다. 이에 따라, 자음을 초성으로 하고 'ㅜ'와 'ㅓ'를 중성으로 하는 문자의 타자가 효율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Thus, even if 't' and 't' are provided in the third row and the fourth row in the vowel key of the third row, if the first row and the second row of the fourth column are simultaneously accessed, The combination of 'ㅜ' and 'ㅓ' as neutrality considers consonants and the inconvenience of simultaneously typing 'ㅜ' and 'ㅓ' keys in the third and fourth lines. Thus, the typing of the letters having the consonant as the initial character and having the 'ㅜ' and 'ㅓ' as neutral can be efficiently performed.

본 발명에 따를 경우, 또한, 상기 문자편집부(120)는 상기 제4열의 복수개의 비자모 키에서 상기 복수개의 모음 키 중 모음 'ㅜ'키와 인접한 것은 상기 자음 키와 동시타되면, 상기 동시타되는 자음 키의 자음을 초성으로 그리고 모음 'ㅣ'를 중성으로 조합하여 편집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racter editing unit 120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vowel keys in the fourth column, which are adjacent to the vowel 't' key among the plurality of vowel keys, The consonant key of the consonant key is edited by combining with the initial and the vowel 'ㅣ' in neutral.

이에 따라, 모음 'ㅣ'의 키를 별도로 두지 않고 자음 키와 비자모 키의 동시타를 통하여 'ㅣ'를 중성으로 하는 문자의 출력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비자모 키는 자음 키 및 모음 키 이외의 키들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통화 버튼, 메시지 버튼, 띄어쓰기 버튼 등 모든 다른 기능 버튼들을 의미한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output a character having a neutral character of 'I' through simultaneous reading of the consonant key and the non-character key without separately setting the key of the vowel 'I'. Here, the non-demo key refers to keys other than the consonant key and the vowel key, and means all other function buttons such as a call button, a message button, and a space button.

도 1을 참고로, 예를 들어, 'ㅈ' 과 제4열의 비자모 키인 검색 키(제4 열 3행의 키)를 동시타하면 '지'로 편집되어 화면출력부(130)에 출력되고 이후 'ㄴ'의 키를 타자하면 '진'으로 편집되어 화면출력부(130)에 출력되는 것이다.Referring to FIG. 1, for example, if the user inputs a search key (key of the fourth row and the third row) which is a non-magnetic key of the fourth column and the fourth column, When the user presses the key 'b', the key is edited to 'Jin' and output to the screen output unit 130.

한편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복수개의 모음 키 중에서 최하단의 'ㅓ'의 키에 대하여 그 하부의 비자모 키와 동시타하여 그 신호가 문자편집부(120)로 전달되면 문자편집부(120)는 이를 모음 'ㅣ'로 편집한다.Meanwh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key of 'ㅓ' in the lowermost stage among the plurality of vowel keys is simultaneously sent to the lower-level nonmoving key, and th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haracter editing unit 120, Edit with collection 'ㅣ'.

본 발명에 따를 경우, 또한 상기 문자편집부(120)는 상기 복수개의 모음 키에서 어느 두 개의 모음 키가 동시타되면 이들 두 개의 모음 키가 조합된 중모음으로 편집을 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wo vowel keys are simultaneously displayed on the plurality of vowel keys, the character editing unit 120 edits the two vowel keys in a combined manner.

예를 들어, 제3열1행의 'ㅗ'와 제3열2행의 'ㅏ'가 동시타되면 'ㅘ'로 편집한다. 이에 따라, 'ㄱ'의 키와 'ㅗ' 와 'ㅏ'가 동시타되면, '과'로 편집되어 상기 화면출력부(130)에 출력된다.For example, if 'ㅗ' in the third column, line 1 and 'a' in the third column, line 2 are simultaneously displayed, edit it as 'ㅘ'. Accordingly, when the key of 'a' and the key of 'ㅗ' and 'a' are simultaneously displayed, it is edited as 'and' and outputted to the screen output unit 130.

나아가서,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문자편집부(120)는 각각의 모음 키가 반복하여 타자되면 해당 모음에 딴이가 결합된 모음으로 편집한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racter editing unit 120 edits each vowel key into a vowel in which the vowel is combined when the vowel key is repeatedly typed.

'딴이'란 다른 모음에 붙어서 중모음을 구성하는 한글자모 'ㅣ'를 이르는 말인데, 예를 들어, ㅗ, ㅏ, ㅜ, ㅓ의 키를 각각 반복 타자하면 이 신호를 받은 문자편집부는 각각에 대하여 ㅚ, ㅐ, ㅟ, ㅔ로 편집한다. 따라서 'ㄱ'을 타자하고 'ㅜ'를 반복 타자하면, '귀'가 화면출력부(130)에 출력된다.For example, if you repeat the keys of ㅗ,,, ㅜ, ㅓ, each of the character editing units receiving this signal, Edit with ㅚ, ㅐ, ㅟ,.. Therefore, if you type 'a' and type 't' repeatedly, 'ears' are output to the screen output unit 130.

본 발명에 따를 경우, 더욱 나아가서, 상기 문자편집부(120)는 상기 복수개의 모음 키에서 어느 두 개의 모음 키의 동시타가 반복되면 상기 두 개의 모음 키가 조합된 모음에 딴이가 결합된 모음으로 편집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more, when the character editing unit 120 repeats simultaneous reading of two vowel keys in the plurality of vowel keys, the vowel editing unit 120 edits the vowel combined with the vowel combinations of the two vowel keys do.

예를 들어, 전술한 'ㅗ'와 'ㅏ'의 동시타가 반복되면, 이 신호를 받은 문자편집부(120)는 이를 'ㅙ'로 편집을 하게 되며, 이에 따라서, 'ㅇ'을 타자하고 이후 'ㅗ'와 'ㅏ'의 동시타를 반복하면, '왜'로 편집되어 화면 출력부(130)에 출력된다. 즉, 4개의 초출자 모음 키가 반복해서 눌리면, 해당 초출자 모음에 딴이를 첨가한다. 여기서, 초출자는 훈민정음에서 ㅗ, ㅏ, ㅜ, ㅓ를 의미한다.For example, if the above-mentioned simultaneous repetition of 'ㅗ' and 'a' is repeated, the character editing unit 120 receiving the signal repeats the editing of the ㅙ, and accordingly, Quot ;, and " a " are repeated, " why " is edited and output to the screen output unit 130. In other words, if the four subcollections vowel keys are pressed repeatedly, add the other one to the corresponding sublevel vowel. Here, the supporter means ㅗ, a, ㅜ, 에서 in Hunminjeonggeum.

또한,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문자편집부(120)는 상기 복수개의 모음 키에서 어느 두 개의 모음 키가 동시타되고, 이후 상기 동시타된 두 개의 모음 키 중 어느 하나가 타자되면, 상기 동시타된 두 개의 모음 키의 모음의 조합에 딴이가 결합된 모음으로 편집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wo vowel keys are simultaneously displayed in the plurality of vowel keys and one of the two vowel keys simultaneously typed, Edits to a combination of two vowel key combinations with a combination of the two.

예를 들어, 전술한 'ㅗ'와 'ㅏ'의 동시타 후 이 중 어느 하나 즉 'ㅗ' 또는 'ㅏ' 의 키를 타자하면, 이 신호를 받은 문자편집부(120)는 이를 'ㅙ'로 편집을 하게 되며, 이에 따라서, 'ㅇ'를 타자하고 이후 'ㅗ'와 'ㅏ'의 동시타 후 'ㅗ' 또는 'ㅏ' 의 키를 타자하면, '왜'로 편집되어 화면출력부(130)에 출력된다.For example, when one of the above-described 'ㅗ' and 'a' is simultaneously displayed and the key of either 'ㅗ' or 'a' is typed, the character editing unit 120 receiving the signal outputs 'ㅙ' If the user presses the key 'ㅗ' or 'a' after typing '' 'and' ㅗ 'at the same time,' Why 'is edited and displayed on the screen output unit 130 .

한편, 본 발명에 따를 경우, 비자모 키 중에서 쉼표(,)를 반복하여 2번 타자하면 그 앞의 편집된 글자와 연결되어 '~니다.'를 출력하도록 상기 문자편집부(120)는 편집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racter editing unit 120 outputs the 'edited character' to the edited character preceding the non-character key by repetitively typing a comma (,) twice, .

예를 들어, '노래합'까지가 편집되고 이후 쉼표키를 2번 타자하면 "노래합니다."가 출력되는 것이다.For example, if you edit up to 'Song Sum' and type the comma key twice then "Songs" will be printed.

또한, 본 발명에 따를 경우, 비자모 키 중에서 마침표(.)를 반복하여 2번 타자하면 그 앞의 편집된 글자와 연결되어 "~ 습니다."를 출력하도록 상기 문자편집부(120)는 편집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racter editing unit 120 outputs a character string " to ", which is associated with the edited character preceding the non-character key by repetition of the period (. .

예를 들어, "밥을 먹"까지가 편집되고 이후 마침표키를 2번 타자하면 "밥을 먹습니다."가 출력되는 것이다.For example, if you edit "until you eat rice" and hit the period key twice, you will get "eat rice."

또한, 본 발명에 따를 경우, 휴대폰이나 스마트폰의 측면 또는 후면에 키를 추가하고, 이를 제3 열의 모음 키와 동시타하여 재출자로 그 모음 키가 재출자로 편집되도록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측면 또는 후면 키는 받침을 입력하는 데에 활용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key may be added to the side or rear surface of a mobile phone or a smart phone, and the key may be edited in the third row by the re-issuer in the re-issuer. In addition, the side or back key may be used to input the pedestal.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판 배열을 가지는 키 입력부(10)가 독립하여 탈부착식 자판(800)으로 제공되는 경우를 보인다. 이와 같은 탈부착식의 자판(800)을 스마트폰과 같은 전자기기에 입력단자를 통하여 탈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 장치는 전술한 PC, 모바일 단말기 등에 일체로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FIG. 3 shows a case where the key input unit 10 having a keyboard layou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as a removable keyboard 800 as an independent unit. The removable keyboard 800 may be detachably attached to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through an input terminal. The Hangul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tegrally coupled to the PC, the mobile terminal, and the lik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제공되는 자음 키들 모두에 대하여 모음과 동시타를 통하여 초성과 중성의 조합으로 편집되어 문자를 이를 수 있도록 하고, 비자모 키에 대하여 인접한 모음 키와 동시타하여 재출자로 편집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인체 공학적으로 동시타가 불편하였던 'ㅜ'와 'ㅓ'의 키에 대하여 비자모 키를 활용하여 쉽게 동시타가 가능하게 하여 키의 숫자를 줄이면서 편리한 동시타가 가능하게 하고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dited as a reeducator by simultaneously touching a vowel key adjacent to a non-demo key, edited in a combination of initiality and neutrality, And '' 'and' ㅓ 'keys, which are inconvenient in ergonomics, can be easily accessed by using a non-key key, thereby enabling convenient simultaneous access while reducing the number of keys.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동시타와 더불어 반복 타자로 딴이의 추가가 쉽도록 하고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easy to add another person with a repetitive hit in addition to the simultaneous touch.

이러한 본 발명은 인지와 중지의 두 개의 손가락으로 타자를 이루게 하는 것으로서 한 손은 모바일 단말기를 잡고서 다른 손의 인지와 중지를 활용하여 타자를 쉽고 효율적으로 이루게 하여, 출력되는 글자를 보면서 타자를 안정적으로 이룰 수 있게 하며, 그에 따라 안정적으로 오타 없이 빠른 타자가 가능하게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system for making a batter with two fingers of recognition and a stop, in which one hand grasps the mobile terminal and utilizes recognition and stop of the other hand to easily and efficiently form a batter, So that a fast typing without a typing can be made stably.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판 배열을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a keyboard layou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자판은 1열에는 4개의 열들과 5개의 행들을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자판 배열을 이용한 예시적인 문자 입력 방법은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 4, the keyboard includes four columns and five rows in one column. An exemplary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the keyboard layout shown in FIG. 4 is as follows.

(1) 된소리 입력(1) Enter the ringtone

제1 열에는 ㄱ, ㄷ, ㅂ, ㅈ가 제2 열에는 ㄴ, ㄹ, ㅅ, ㅇ의 자음 키가 배치된다. 이 때, 사용자는 'ㄱ'과 'ㄷ'을 동시타함으로써 'ㄲ'를 입력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ㄷ'와 'ㅂ', 'ㅂ'와 'ㅈ', 'ㅈ'와 'ㅎ/ㅇ'을 동시타함으로써 'ㄸ', 'ㅃ', 'ㅉ'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ㅅ'과 'ㅇ'을 동시타함으로써 'ㅆ'을 입력할 수 있다.In the first column, a, c, f, i are placed in the second column, and the consonant keys of b, d, g, At this time, the user can input 'ㄲ' by simultaneously touching 'a' and 'c'. Similarly, 'ㄸ', 'ㅃ', and 'ㅉ' can be entered by simultaneously touching 'c' and 'f', 'f' and 'y', 'i' and 'he / Also, you can enter 'ㅆ' by simultaneously typing 'ㅅ' and 'ㅇ'.

결론으로, 사용자는 ㄱ, ㄷ, ㅂ, ㅈ, ㅅ 각각의 인접한 하위 키를 ㄱ, ㄷ, ㅂ, ㅈ, ㅅ와 동시타함으로써 'ㄲ', 'ㄸ', 'ㅃ', 'ㅉ', 'ㅆ'를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인접한 하위 키라는 것의 의미는 가로 방향으로 인접한 하위 키 또는 세로 방향으로 인접한 하위 키를 의미한다.As a conclusion, the user can search for 'ㄲ', 'ㄸ', 'ㅃ', 'ㅉ', '' ', and' '' by simultaneously touching the a, c, ㅆ 'can be entered. Here, the meaning of the adjacent sub-key means a sub-key adjacen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r a sub-key adjac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2) 거센소리 입력(2) Entering a strong sound

사용자는 ㄱ, ㄷ, ㅂ, ㅈ와 좌 또는 우로(상 또는 하로) 인접한 키를 ㄱ, ㄷ, ㅂ, ㅈ와 함께 동시타함으로써 'ㅋ', 'ㅌ', 'ㅍ', 'ㅊ'을 입력할 수 있다.The user inputs' ㅋ ',' ㅌ ',' '', 'ㅊ' by simultaneously touching the keys a, c, f, i and left or right (up or down) with a, c, can do.

(3) ㅎ, ㅁ의 입력(3) Well, the input of Klitschko

사용자는 'ㄴ'과 'ㄹ'를 동시타하여 'ㅎ'을 입력할 수 있으며, 'ㄹ'과 'ㅅ'을 동시타하여 'ㅁ'을 입력할 수 있다.The user can input 'ㅎ' by typing 'ㄴ' and '동시' simultaneously, and input 'ㅁ' by simultaneously typing '' 'and' ㅅ '.

(4) 재출자(ㅛ, ㅑ, ㅠ, ㅕ)의 입력(4) Input of re-investors (ㅛ, ㅑ, ㅠ, ㅕ)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ㅗ, ㅏ, ㅜ, ㅓ의 모음 키와 함께 제4 열의 비자모 키를 동시타함으로써 ㅛ, ㅑ, ㅠ, ㅕ를 입력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ㅗ와 그 인접한 비자모 키를 입력함으로써 ㅛ를 입력할 수 있고, ㅏ와 그 인접한 비자모 키를 입력함으로써 ㅑ를 입력할 수 있으며, ㅜ와 그 인접한 비자모 키를 입력함으로써 ㅠ를 입력할 수 있고, ㅓ와 그 인접한 비자모 키를 입력함으로써 ㅕ를 입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인체공학적으로 동시타가 불편하였던 'ㅜ'와 'ㅓ'의 키에 대하여 비자모 키를 활용하여 쉽게 동시타가 가능함으로써, 재출자의 입력을 보다 편리하게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user can enter ㅛ, ㅑ, ㅠ, ㅕ by simultaneously pressing the ㅗ,,, ㅜ, 모음 vowel keys together with the 4th column's numeric key. In other words, the user can input ㅛ by inputting ㅗ and its adjacent non-symbol key, input ㅑ by inputting a and its adjacent non-symbol key, and inputting ㅜ and its adjacent non-symbol key. You can enter ㅕ by typing ㅓ and its adjacent non-numeric key.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easier to input reentry by allowing the user to easily access the keys of 'ㅜ' and 'ㅓ', which are inconveniently ergonomically, utilizing the non-magnetic key.

(5) 'ㅡ', 'ㅣ'의 입력(5) Input of 'ㅡ', 'ㅣ'

사용자는 'ㅏ'와 'ㅓ'를 동시타함으로써 'ㅡ'를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ㅓ'와 비자모 키인 삭제 키가 동시타되면, 'ㅣ'가 입력된다. 여기서, 'ㅏ'와 'ㅓ'는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으로 인접할 수 있다.The user can input 'ㅡ' by simultaneously typing 'a' and '.'. Then, if 'ㅓ' and the delete key of non-demo key are simultaneously displayed, 'ㅣ' is input. Here, 'a' and 'b' may be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r the vertical direction.

(6) 'ㅜ', 'ㅓ', 'ㅣ'의 입력(6) Input of 'ㅜ', 'ㅓ', 'ㅣ'

특정 초성과 4열의 쉼표 키가 동시타되면, 특정 초성과 'ㅜ'가 조합 된다. 예를 들어, 1열의 'ㄱ'과 4열의 쉼표(,)를 동시타하는 신호를 받은 문자편집부(120)는 이들 신호를 받아 '구'로서 편집하여 화면출력부(130)에 '구'를 출력하게 된다.When a certain prefix and a comma key of 4 are simultaneously read, a specific prefix and a combination of 'ㅜ' are combined. For example, the character editing unit 120 receiving the signals simultaneously receiving the 'A' of the first column and the comma (,) of the fourth column receives these signals, edits them as 'sphere', and outputs 'sphere' to the screen output unit 130 .

또한, 특정 초성과 4열의 마침표 키가 동시타되면, 특정 초성과 'ㅓ'가 조합된다. 예를 들어, 제2열의 'ㅅ'과 4열의 마침표(.)를 동시타하는 신호를 받은 문자편집부(120)는 이들 신호를 받아 '서'로서 조합하여 편집하여 화면출력부(130)에 '서'를 출력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a specific chess and a four-column period key are simultaneously touched, the specific chess and 'ㅓ' are combined. For example, the character editing unit 120 receiving the signals simultaneously receiving the 'g' of the second column and the period (.) Of the fourth column receives these signals, combines them as 'w', edits them, Quot ;, respectively.

또한, 초성과 4열 3행의 키와 동시타되거나, 초성과 메시지 버튼이 동시타되는 경우에, 초성과 중성으로서의 'ㅣ'가 조합된 채로 출력된다.In addition, when the key is pressed simultaneously with the key of the first row and the fourth row of the third row, or when the key and the message button are displayed at the same time, '?'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판 배열을 나타낸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a keyboard layou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자판은 1열에는 4개의 열들과 5개의 행들을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자판 배열을 이용한 예시적인 문자 입력 방법은 다음과 같다. 도 5에 도시된 자판 배열은 도 4와 유사하며, 그 차이점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 5, the keyboard includes four columns and five rows in one column. An exemplary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the keyboard layout shown in FIG. 4 is as follows. The keyboard layout shown in FIG. 5 is similar to FIG. 4, and the difference will be described below.

(1) 재출자 'ㅛ', 'ㅠ', 'ㅑ', 'ㅕ'의 입력(1) input of re-investors 'ㅛ', 'ㅠ', 'ㅑ', 'ㅕ'

사용자는 'ㅗ'와 메시지 버튼, 'ㅜ'와 메시지 버튼을 동시타함으로써 'ㅛ'와 'ㅠ'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ㅏ'와 쉼표 버튼을 동시타하면, 'ㅑ'가 입력되고, 'ㅓ'와 마침표가 동시타되면, 'ㅕ'가 입력된다.The user can enter 'ㅛ' and 'ㅠ' by simultaneously pressing 'ㅗ', message button, 'ㅜ' and message button. Also, if you press the 'a' and comma buttons at the same time, 'ㅑ' is entered, and if 'ㅓ' and a period are simultaneously displayed, 'ㅕ' is entered.

(2) 'ㅡ'와 'ㅣ'의 입력(2) Input of 'ㅡ' and 'ㅣ'

또한, 'ㅡ'는 'ㅗ'와 'ㅜ'가 동시타됨으로써 입력되며, 'ㅣ'는 'ㅏ'와 'ㅓ' 또는 초성과 메시지 버튼이 동시타됨으로써 입력된다.In addition, 'ㅡ' is input by 'ㅗ' and 'ㅜ' simultaneously. 'ㅣ' is input by 'a' and 'ㅓ'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판 배열을 나타낸 도면이다.6A and 6B are views showing a keyboard layou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및 도 5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면, 'ㅎ/ㅇ'과 'ㅅ/ㅂ' 이 상대적으로 상단에 배치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ㅗ'와 메시지 버튼, 'ㅜ'와 메시지 버튼을 동시타함으로써 'ㅛ'와 'ㅠ'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ㅗ'와 'ㅜ'를 동시타하면, 'ㅡ'가 입력된다. 또한, 'ㅣ'는 'ㅏ'와 'ㅓ' 또는 초성과 메시지 버튼이 동시타됨으로써 입력된다.4 and 5, 'he / o' and 's / b' are relatively arranged at the top. Then, the user can input 'ㅛ' and 'ㅠ' by simultaneously pressing 'ㅗ', message button, 'ㅜ' and message button. Also, if 'ㅗ' and 'ㅜ' are entered simultaneously, 'ㅡ' is entered. In addition, 'ㅣ' is input by 'a' and 'ㅓ', or the concatenation and message buttons are simultaneously displayed.

그리고, 'ㅏ'와 쉼표 버튼이 동시타되면, 'ㅑ'가 입력되고, 'ㅓ'와 마침표가 동시타되면, 'ㅕ'가 입력된다.If 'a' and 'comma' are simultaneously displayed, 'ㅑ' is entered. If 'ㅓ' and a period are simultaneously displayed, 'ㅕ' is entered.

도 7은 도 4 내지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자판 배열이 적용되는 폴더 폰의 예를 나타낸 것이며, 도 8은 도 3과 다른 실시예로서 탈부착식 자판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FIG. 7 shows an example of a folder phone to which the keyboard layout shown in FIGS. 4 to 6A and 6B is applied, and FIG. 8 shows an example of a removable keyboar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which is different from FIG.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apparatus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as a hardware component, a software component, and /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components and software components.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컨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For example, the apparatus and component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within a computer system, such as, for example, a processor, controller, arithmetic logic unit (ALU), digital signal processor, microcomputer, field programmable array (FPA) A programmable logic unit (PLU), a microprocessor, or any other device capable of executing and responding to instructions. The processing device may execute an operating system (OS) and one or more software applications running on the operating system. The processing device may also access, store, manipulate, process, and generate data in response to execution of the software. For ease of understanding, the processing apparatus may be described as being used singly,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the processing apparatus may have a plurality of processing elements and / As shown in FIG. For example, the processing apparatus may comprise a plurality of processors or one processor and one controller. Other processing configurations are also possible, such as a parallel processor.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The software may include a computer program, code, instructions, or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foregoing, and may be configured to configure the processing device to operate as desired or to process it collectively or collectively Device can be commanded. The software and / or data may be in the form of any type of machine, component, physical device, virtual equipment, computer storage media, or device , Or may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embodied in a transmitted signal wave. The software may be distributed over a networked computer system and stored or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The software and data may be stored on one or mor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a.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rogram command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to be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embodiments or may be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magnetic media such as floppy disks;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machine language code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as well as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embodiments, and vice versa.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For exampl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ques described may b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than the described methods, and / or that components of the described systems, structures, devices, circuits, Lt; / RTI > or equivalents, even if it is replaced or replaced.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to the claims are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Claims (6)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 처리하는 처리부를 포함하는 한글 입력 시스템에 있어서,
오직 8개의 자음 키(ㄱ, ㄴ, ㄷ, ㄹ, ㅂ, ㅅ, ㅈ, ㅇ);
상기 8개의 자음 키에 인접하여 우측에 배치되는 오직 4개의 모음 키(ㅗ, ㅏ, ㅜ, ㅓ 초출자 4개); 및
상기 4개의 모음 키에 인접하여 그 위 또는 아래에 배치되는 여러 개의 비자모 키;를 포함하고,
상기 8개의 자음 키와 상기 4개의 모음 키 및 상기 여러 개의 비자모 키는 4열 6행의 자판 배열을 이루고, 상기 4개의 모음 키는 양성모음(ㅗ, ㅏ)과 음성모음(ㅜ, ㅓ) 두 개의 묶음으로 각각 나누어 가로 2행 또는 세로 2열로 배치하며,
상기 처리부는,
상기 8개의 자음 키와 상기 4개의 모음 키 및 상기 비자모 키만으로도, 글자를 이루는 초성(자음)과 중성(모음)을 한번의 동시타로 하나의 완성된 글자를 입력 가능토록 하며,
상기 4개의 모음 키(초출자 ㅗ, ㅏ, ㅜ, ㅓ)는 그 위 또는 아래에 배치되는 상기 비자모 키와 한 손가락으로 한번에 동시타하여, 각 모음의 재출자(ㅛ, ㅑ, ㅠ, ㅕ)를 입력 가능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 시스템.
A Hangul input system including a processing unit for receiving and processing input from a user,
Only 8 consonant keys (a, b, c, d, f, g, i, o);
Only four vowel keys (4, 2, 4, and 4) disposed on the right side adjacent to the eight consonant keys; And
And a plurality of non-demo keys disposed adjacent to and above or below the four vowel keys,
The eight consonant keys, the four vowel keys, and the plurality of non-vowel keys form a keyboard layout of four rows and six columns, and the four vowel keys are a positive vowel (vowel) and a vowel vowel (vowel) Two rows are arranged in two rows and two rows are arranged in two rows,
Wherein,
(Consonant) and neutrality (vowel) constituting a character can be input into a single complete character at one time by using only the eight consonant keys, the four vowel keys, and the non-
The four vowel keys (superordinate ㅗ, a, ㅜ, ㅓ) are simultaneously fired at the same time with the above-mentioned non-ambassador key placed above or below them, ) To be input,
Hangul input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성모음 ㅗ키와 상기 음성모음 ㅜ키를 동시타하거나
상기 양성모음 ㅏ키와 상기 음성모음 ㅓ키를 동시타하면
상기 처리부가 모음 ㅡ 또는 모음 ㅣ(기본 모음 ㅣ)로 입력 가능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ositive vowel key and the vowel vowel key are simultaneously ridden
When the positive vowel key and the negative vowel key are simultaneously pressed
Wherein the processing unit is capable of inputting a vowel or a vowel (basic vowel)
Hangul input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4개의 각 모음(초출자 ㅗ, ㅏ, ㅜ, ㅓ)을 연속타하여 상기 각 모음에 모음 ㅣ(딴이)를 추가 입력케 하는 것으로서,
딴이가 붙는 한글 중모음 총 9개를 오직 상기 4개의 모음 키만으로 입력 가능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4) each of the four vowels (supporter ㅗ, a, ㅜ, ㅓ) is successively inputted to each of the vowels,
And a total of nine Hangul chil- dren sounds to which the other is attached can be inputted only by the four vowel keys.
Hangul input system.
삭제delete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 처리하는 처리부를 포함하는 한글 입력 시스템에 있어서,
오직 8개의 자음 키(ㄱ, ㄴ, ㄷ, ㄹ, ㅂ, ㅅ, ㅈ, ㅇ);
상기 8개의 자음 키에 인접하여 우측에 일렬로 배치되는 오직 4개의 모음 키(ㅗ, ㅏ, ㅜ, ㅓ 초출자 4개); 및
상기 4개의 모음 키에 인접하여 우측에 배치되는 여러 개의 비자모 키;를 포함하고,
상기 8개의 자음 키와 상기 4개의 모음 키 및 상기 여러 개의 비자모 키는 4열 6행의 자판 배열을 이루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4개의 모음 키를 상기 비자모 키와 한 손가락으로 한번에 동시타하여 각 모음의 재출자(ㅛ, ㅑ, ㅠ, ㅕ)를 입력 가능토록 하며,
상기 8개의 자음 키와 상기 4개의 모음 키 및 상기 비자모 키만으로도, 글자를 이루는 초성(자음)과 중성(모음)을 한번의 동시타로 하나의 완성된 글자를 입력 가능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 시스템.
A Hangul input system including a processing unit for receiving and processing input from a user,
Only 8 consonant keys (a, b, c, d, f, g, i, o);
Four vowel keys (four, two, three, four, five) arranged in a line on the right side adjacent to the eight consonant keys; And
And a plurality of non-demo keys disposed on the right side adjacent to the four vowel keys,
The eight consonant keys, the four vowel keys, and the plurality of non-magnetic keys constitute a keyboard layout of four rows and six rows,
Wherein,
The four vowel keys are simultaneously touched with the non-vowel key with one finger to allow re-entry of each vowel (ㅛ, ㅑ, ㅠ, ㅕ)
(Consonants) and neutrals (vowels) constituting a character are entered in a single simultaneous manner by using only the eight consonant keys, the four vowel keys, and the non-ambiguous key.
Hangul input system.
제 1 항 내지 제 3 항,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의 한글 입력 시스템을 적용하여 기존의 휴대전화기에 탈부착이 가능토록 한,
휴대용 한글 자판.
A Hangul input system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the Hangul input system is detachably attached to an existing mobile phone,
Portable Korean keyboard.
KR1020170015765A 2015-04-06 2017-02-03 System for inputting korean alphabet, and portable korean alphabet keyboard KR101828784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48300 2015-04-06
KR1020150048300 2015-04-06
KR1020150115812A KR101705713B1 (en) 2015-04-06 2015-08-18 Apparatus and keypad inputting korean alphabet, hangeul for electronic equiment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5812A Division KR101705713B1 (en) 2015-04-06 2015-08-18 Apparatus and keypad inputting korean alphabet, hangeul for electronic equiments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8280A KR20170018280A (en) 2017-02-16
KR101828784B1 true KR101828784B1 (en) 2018-02-13
KR101828784B9 KR101828784B9 (en) 2022-02-21

Family

ID=5715723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5812A KR101705713B1 (en) 2015-04-06 2015-08-18 Apparatus and keypad inputting korean alphabet, hangeul for electronic equiments
KR1020170015765A KR101828784B1 (en) 2015-04-06 2017-02-03 System for inputting korean alphabet, and portable korean alphabet keyboard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5812A KR101705713B1 (en) 2015-04-06 2015-08-18 Apparatus and keypad inputting korean alphabet, hangeul for electronic equimen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170571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7012B1 (en) 2021-05-14 2023-04-28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3-layer hangeul inputting system for easy fingerin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8668B1 (en) * 2001-03-28 2003-09-19 홍우표 consonant and vowel arrangement of Korean Letters & input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0157B1 (en) * 2007-09-11 2010-03-31 박찬용 Key Pad for text input
KR20140123406A (en) * 2013-04-13 2014-10-22 김규리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hangu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8668B1 (en) * 2001-03-28 2003-09-19 홍우표 consonant and vowel arrangement of Korean Letters & input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8784B9 (en) 2022-02-21
KR20170018280A (en) 2017-02-16
KR101705713B1 (en) 2017-02-13
KR20160119673A (en) 2016-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14615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using a directional pad
KR101828784B1 (en) System for inputting korean alphabet, and portable korean alphabet keyboard
KR20140115060A (en) Method for inputting text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ame
KR101808774B1 (en) Virtual keyboard strucutre for mobile device, method of inputting character using virtual keyboard for mobile device,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a containing program for executing the same
KR101216840B1 (en) Keyboard layout and input system for japanese
KR20220005417A (en) hangeul simple easy keyboard system
KR101653906B1 (en) Device method to input Korean Character using swipe with touch screen
JPS60169923A (en) Five-point type keyboard
KR100659379B1 (en) Keyboard for the Mobile Terminal and Array Method Thereof
KR100609287B1 (en) Plus Keypad
KR101454896B1 (en) Korean characters input apparatus using touch pannel and method of the same
KR101954910B1 (en) Method,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inputting english characters
KR101927972B1 (en) Apparatus for inputting korean alphabet of electric device and method thereof
KR20190066161A (en) 16key Hangul Sswipee Pad
JP4029561B2 (en) Portable character input device
KR100577675B1 (en) Hangul Hanson PlusKey Pad
KR101850674B1 (en) Keypad and Method for Inputting English Using Touch-screen on Terminal
KR20140093151A (en) Vowel Center Cluster Swipe Pad
KR20100122133A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japanese gana input with touch screen
KR100451191B1 (en) Arrangement of hangle inputting key for key-pad of mobile phone
KR10157713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xt input based on 3D spatial gesture
KR20060059586A (en) Crossdial keypad
KR101427524B1 (en) A smartphone keyboard devices to provide efficient input and a method for input the same
KR20060025256A (en) Device for input a character and method thereof
KR20120117711A (en) Digraph heal pad and nairo kinship keypad for text inpu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5000046;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200528

Effective date: 20210203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05000063;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210625

Effective date: 20220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