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7524B1 - A smartphone keyboard devices to provide efficient input and a method for input the same - Google Patents

A smartphone keyboard devices to provide efficient input and a method for input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7524B1
KR101427524B1 KR1020130055146A KR20130055146A KR101427524B1 KR 101427524 B1 KR101427524 B1 KR 101427524B1 KR 1020130055146 A KR1020130055146 A KR 1020130055146A KR 20130055146 A KR20130055146 A KR 20130055146A KR 101427524 B1 KR101427524 B1 KR 1014275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onant
key input
input member
vowel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514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종혁
염태규
정영식
박지수
Original Assignee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551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752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7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752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6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election techniques to select from displayed i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phone keyboard device to provide an efficient input and an input method using the same and, more specifically, to a smartphone keyboard device to provide an efficient input and an input method using the same, which can input Korean alphabets by dividing consonants and vowels and inputting a consonant or a vowel using a touch or a drag mode after inputting a consonant or a vowel when a user inputs the Korean alphabets on an Android smartphone. The smartphone keyboard device to provide an efficient input includes: a consonant key input member consisting of an array of one or more consonants; a vowel key input member consisting of an array of one or more vowels; and a control configured to convert a current key input member into the consonant key input member or the vowel key input member and to output the converted member, wherein the control unit outputs a consonant, converts a current key input member into the vowel key input member, outputs the vowel key input member when any consonant of the consonant key input member is inputted by a touch, the control unit outputs a vowel, converts a current key input member into the consonant key input member, and outputs the consonant key input member when any vowel of the vowel key input member is inputted by a touch.

Description

효율적인 입력을 제공하는 스마트폰 키보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력 방법{A smartphone keyboard devices to provide efficient input and a method for input the sam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phone keyboard device and a method of inputting the same,

본 발명은 효율적인 입력을 제공하는 스마트폰 키보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에서의 한글 입력을 자음과 모음으로 구분하여 자음 또는 모음 입력 후 따라 터치 또는 드래그 방식을 사용하여 자음 또는 모음을 입력함으로써 한글을 입력할 수 있는 효율적인 입력을 제공하는 스마트폰 키보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phone keyboard device for providing efficient input and an input method using the smartphone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phone keyboard device and an input method using the smartphone keyboard device and the method of inputting consonants or vowel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phone keyboard device and an input method using the same.

일반적으로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에서 사용되는 키보드는 글자를 입력하기 위해 다양한 입력방법 제공하고 있으나, 이러한 입력방법들은 한 글자를 입력하는데 여러 회의 터치를 요구하고 각기 다른 조합법을 사용하고 있어 한글 입력의 효율성을 감소시키고 사용자들이 입력방법을 익혀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Generally, the keyboard used in the Android smartphone provides various input methods for inputting letters, but these input methods require a plurality of touches to input one letter and use different combination methods to reduce the efficiency of inputting Hangul And there is an inconvenience that users have to learn the input method.

특히, 종래기술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064836호에서는 터치식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인 터치식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형태의 디스플레이부(100)를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경우에 화면에 표시되는 키패드 창(120)의 키를 입력하기 위한 터치를 수행하면 터치가 유지되고 있는 동안 연관된 자음 또는 모음의 키 자판을 키패드 창(120)에 추가로 화면에 표시하고, 해당 표시된 자음 또는 모음의 키 자판으로 드래그 앤 드롭을 수행하면 터치가 수행된 키와 추가로 표시된 자음 또는 모음 중 드래그 앤 드롭이 이루어진 위치의 자음 또는 모음이 함께 문자 표시창(130)에 표시되는 방법을 제공하고 있다.In particular,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064836 discloses a touch-type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ventional touch-type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As shown in FIG. 1, when a Korean character is input using the touch-type display unit 100, when a touch for inputting a key of the keypad window 120 displayed on the screen is performed, When the key board of the associated consonant or vowel is additionally displayed on the keypad window 120 and drag and drop is performed to the key board of the corresponding consonant or vowel, the touch-performed key and the dragged consonant or vowel And a consonant or a vowel at the position where the drop is made are displayed together in the character display window 130. [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라 한글을 입력하는 경우, 다양한 자음과 모음의 입력에 따라 연관된 자음 또는 모음의 배열을 키패드 창(120)에 오버랩하여 출력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키 배열을 인식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related art, when Hangul is input, an arrangement of consonants or vowels associated with various consonants and vowels is overlapped on the keypad window 120, and therefore,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recognize the key arrangement.

또한, 해당 키패드 창(120)에 터치된 자음 또는 문자와 연관된 자음 또는 모음을 별도로 오버랩하여 출력함으로써, 오버랩하여 출력하는 자음 또는 모음의 배열이 디스플레이되는 시간이 발생함으로 문자입력이 신속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a consonant or vowel associated with the touched consonant or a touched character is separately overlapped on the corresponding keypad window 120, thereby outputting an overlapping consonant or an arrangement of vowels to be displayed. There is a problem.

도 2는 종래기술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글 입력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천지인 키 입력 방법의 경우에는 화면에 표시되는 7개의 자음을 제외하고는 다른 자음을 입력하기 위해 2번의 터치가 필요하고, 쌍자음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3번의 터치가 필요하다. 모음의 경우는 획수에 비례하여 터치수가 증가한다. ‘ㅏ’와 같은 경우는 2번의 터치가 필요하지만 ‘ㅞ’와 같은 경우는 하나의 모음 입력을 위해 5번의 터치가 필요하다. 이렇게 하나의 자음이나 모음을 입력하기 위해 많은 수의 터치수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한글 입력을 위해 상당히 많은 시간을 소비해야 한다. 그리고 자음이나 모음은 모두 조합해서 입력해야 하기 때문에 처음 사용자가 키보드를 익히는 데에도 상당한 시간이 소모된다.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Korean inpu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a), in the case of the key input method of the conventional method, two touches are required to input different consonants except for the seven consonants displayed on the screen, Three touches are required. In the case of vowel, the number of touch increases in proportion to the stroke number. 'A' requires two touches, but 'ㅞ' requires five touches to input one vowel. This requires a large number of touches to input a consonant or a vowel, so the user must spend a considerable amount of time for Hangul input. And because consonants or vowels must be entered in combination, it takes a considerable amount of time for the first user to learn the keyboard.

또한,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네오스타일 키 입력 방법의 경우에는 화면에 표시되는 8개의 자음을 제외하고 다른 자음을 입력하기 위해 2번의 터치가 필요하고, 모음의 경우 앞에 나와있는 모음을 제외하고 2번의 터치가 필요하다. 즉, ‘ㅙ’나 ‘ㅞ’같이 복잡한 모음의 경우는 세 번의 터치가 필요한 불편함이 있으며, ‘국가’나 ‘닫다’와 같이 이전 글자의 종성이 ‘ㄱ’ ‘ㄷ’ ‘ㅂ’ ‘ㅅ’ ‘ㅈ’이고 쓰려는 글자의 초성이 앞의 종성과 일치하면 다음 글자의 입력을 위해 스페이스와 백스페이스 버튼을 입력해 주어야 한다. 천지인보다 버튼 수가 많아 입력 수는 줄었지만 여전히 많은 편이고 조합법이 필요하여 처음 사용자는 조합을 위해 어느 정도 익힐 필요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As shown in FIG. 2B, in the conventional neo-style key input method, two touches are required to input another consonant except for the eight consonants displayed on the screen, Two touches are required except for the vowel listed above. In other words, complex vowels such as' ㅙ 'and' ㅞ 'have three discomforts that need to be touched three times, and the former letters' a', 'c', ' '' I 'and the leading character of the character to be written matches the preceding character, you have to enter the space and backspace button to enter the next character. Although the number of buttons is smaller than the number of buttons, the number of inputs is reduced, but there are still many problems and a combination method is required.

또한, 도 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딩굴 키 입력 방법의 경우에는 화면에 표시되는 8개의 자음을 제외하고 나머지 자음은 모두 드래그 한번으로 입력이 가능하며 모음의 경우 ‘ㅢ’ ‘ㅣ’ ‘ㅡ’를 제외하고는 모두 드래그 한번으로 입력이 가능하다. 그러나, 화면에 표시되는 11개의 자음과 모음을 제외하고는 나머지 27개의 자음과 모음이 드래그 입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많은 드래그 입력수를 보이는데 이는 입력 속도도 저하시키고 많은 입력시 쉽게 지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 (c), in the conventional method of inputting the keying key, all the consonants except for the eight consonants displayed on the screen can be input by dragging once. In the case of a vowel, Except for 'ㅣ' and 'ㅡ', you can input all at once. However, except for the 11 consonants and vowels displayed on the screen, the remaining 27 consonants and vowels require a drag input, which results in a large number of drag inputs.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자음으로 이루어진 자음 키 배열과 모음으로 이루어진 모음 키 배열을 이용하여 한글 입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스마트폰 키보드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related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martphone keyboard device for performing Hangul input using a consonant key arrangement composed of consonants and a collection key arrangement composed of vowels .

또한, 본 발명은 자음 키 배열 또는 모음 키 배열을 이용하여 한글 입력을 수행할 때, 각각의 자음 또는 모음을 터치를 통해 입력하면, 각각 입력된 자음 키 배열 또는 모음 키 배열과 상반된 모음 키 배열 또는 자음 키 배열이 출력되도록 하여, 신속한 한글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스마트폰 키보드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다른 목적이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Hangul input is performed using a consonant key arrangement or a collection key arrangement, if each consonant or vowel is input through a touch, the arrangement of the consonant keys or the vowel arrangement,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martphone keyboard device capable of promptly inputting Hangul characters by outputting a consonant key arrangement.

또한, 본 발명은 자음 키 배열 또는 모음 키 배열을 이용하여 한글 입력을 수행할 때, 각각의 자음 또는 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터치 동작과 드래그 동작이 연속적으로 수행되는 경우, 각각 입력된 자음 키 배열 또는 모음 키 배열이 변환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자음 키 배열 또는 모음 키 배열이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종성을 위한 자음 입력 이후에 초성을 위한 자음 입력이 수행되더라도 키 배열이 변환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스마트폰 키보드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또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Korean character input is performed using the consonant key arrangement or the vowel key arrangement, when the touch operation and the drag operation for inputting each consonant or vowel are continuously performed, There is provided a smartphone keyboard device for preventing a key arrangement from being converted even if consonant input for consonant is performed after a consonant input for consonant is performed by causing the consonant key array or the vowel key array to be maintained continuously without converting the collection key arrangement There is another purpose.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통해 한글 입력을 수행할 때, 자음과 자음 또는 모음과 모음이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경우에는 첫 번째 자음 또는 모음 입력을 위한 터치를 유지한 채, 해당 키를 터치한 상태에서 드래그 입력이 수신되며, 해당 자음 키 배열 또는 모음 키 배열이 상반된 키 배열로 변환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스마트폰 키보드 입력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또 다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performing Hangul input through a smart phone, when a consonant, a consonant or a vowel and a vowel are consecutively generated, the first key is touched while maintaining the touch for consonant or vowel input A keyboard input method of a smartphone for receiving a drag input from a keyboard, and for preventing a corresponding consonant key arrangement or a collection key arrangement from being converted into a contrary key arrangement.

본 발명의 목적은 한글 입력을 위한 터치식 키보드 장치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자음의 배열로 이루어진 자음 키 입력부재와 하나 이상의 모음의 배열로 이루어진 모음 키 입력부재 및 상기 자음 키 입력부재와 상기 모음 키 입력부재를 각각 전환하여 출력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음 키 입력부재 중 어느 하나의 자음이 터치 입력되면 상기 자음을 출력하고 상기 모음 키 입력부재를 전환 출력하며, 상기 모음 키 입력부재 중 어느 하나의 모음이 터치 입력되면 상기 모음을 출력하고 상기 자음 키 입력부재를 전환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율적인 입력을 제공하는 스마트폰 키보드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ouch type keyboard device for inputting Hangul characters, comprising: a vowel key input member formed of an arrangement of consonant key input members and at least one vowel composed of one or more consonants, Wherein the control unit outputs the consonant when the consonant key of any one of the consonant key input members is touched and outputs the vowel key input member in a switched manner, And when the user inputs any one of the vowels, the vowel is output and the consonant key input member is switched and outpu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터치식 키보드 장치를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에 있어서, 자음 키 입력부재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자음 배열 중 어느 하나의 자음이 터치 입력되는 제1 단계와 제어부는 상기 제1 단계의 상기 터치 입력 이후에, 상기 자음 키 입력부재를 모음 키 입력부재로 전환 출력하는 제2 단계와 상기 모음 키 입력부재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모음 배열 중 어느 하나의 모음이 터치 입력되는 제3 단계 및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단계의 상기 터치 입력 이후, 상기 모음 키 입력부재를 상기 자음 키 입력부재로 전환 출력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효율적인 입력을 제공하는 스마트폰 키보드 장치를 이용한 입력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Korean input method using a touch-type keyboard device, which comprises a first step in which any one consonant among at least one consonant arrangement in the consonant key input member is touched, A second step of switching the consonant key input member to a vowel key input member after the touch input and a third step of touch inputting one of the vowel arrangement arranged on the vowel key input member, And a fourth step of switching and outputting the vowel key input member to the consonant key input member after the touch input in the third step is performed by an input method using a smartphone keyboard device that provides efficient input .

따라서, 본 발명의 효율적인 입력을 제공하는 스마트폰 키보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력 방법은 스마트폰 키보드 장치를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경우, 자음으로 이루어진 자음 키 배열과 모음으로 이루어진 모음 키 배열을 제공함으로써, 신속하고 정확한 한글 입력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Accordingly, the smartphone keyboard device and the input method using the smartphone keyboard device, which provide efficient inpu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 consonant key arrangement composed of consonants and a collection key arrangement composed of vowels, There is an effect that fast and accurate Hangul input can be done.

또한, 본 발명은 자음 키 배열 또는 모음 키 배열을 이용하여 한글 입력을 수행할 때, 각각의 자음 또는 모음을 터치를 통해 입력하면, 각각 입력된 자음 키 배열 또는 모음 키 배열과 상반된 모음 키 배열 또는 자음 키 배열이 출력되도록 하여, 별도의 키 배열 변환 버튼이 입력되지 않아도 자음 키 배열과 모음 키 배열을 신속하게 변환하여 한글을 입력할 수 있는 다른 효과가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Hangul input is performed using a consonant key arrangement or a collection key arrangement, if each consonant or vowel is input through a touch, the arrangement of the consonant keys or the vowel arrangement, The consonant key arrangement is outputted so that the consonant key arrangement and the vowel arrangement can be quickly converted without inputting a separate key arrangement conversion button.

또한, 본 발명은 자음 키 배열 또는 모음 키 배열을 이용하여 한글 입력을 수행할 때, 각각의 자음 또는 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터치 동작과 드래그 동작이 연속적으로 수행되는 경우, 각각 입력된 자음 키 배열 또는 모음 키 배열이 변환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자음 키 배열 또는 모음 키 배열이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종성을 위한 자음 입력 이후에 초성을 위한 자음 입력이 수행되더라도 키 배열이 변환되지 않고 자음과 자음 또는 모음과 모음을 연속적으로 입력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In addition, when the Korean character input is performed using the consonant key arrangement or the vowel key arrangement, when the touch operation and the drag operation for inputting each consonant or vowel are continuously performed, The consonant key arrangement or the vowel key arrangement is continuously maintained without converting the vowel key arrangement, so that even if consonant input for consonant is performed after consonant input for consonant, the key arrangement is not converted and consonant, consonant or vowel and vowel are consecutively There is another effect that can be entered as.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통해 한글 입력을 수행할 때, 자음과 자음 또는 모음과 모음이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경우에는 첫 번째 자음 또는 모음 입력을 위한 터치를 유지한 채, 해당 키를 터치한 상태에서 드래그 입력이 수신되며, 해당 자음 키 배열 또는 모음 키 배열이 상반된 키 배열로 변환되지 않도록 하여 효율적으로 스마트폰 키보드 입력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performing Hangul input through a smart phone, when a consonant, a consonant or a vowel and a vowel are consecutively generated, the first key is touched while maintaining the touch for consonant or vowel input The keyboard input method of the smartphone can be efficiently provided by preventing the dragging input from being received and the corresponding consonant key arrangement or vowel key arrangement being not converted into the opposing key arrangement.

또한, 본 발명은 자음 키 배열과 모음 키 배열로 이루어진 키보드를 이용한 한글 입력이 터치와 드래그를 통해 자음과 자음, 모음과 모음, 자음과 모음 또는 모음과 자음을 신속하게 입력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키 배열이 자동으로 변환되거나, 드래그 입력을 통해 변환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quickly input consonants, consonants, vowels, vowels, consonants and vowels or vowels and consonants through touch and dragging using a keyboard composed of a consonant key arrangement and a vowel key arrangement. There is another effect that can prevent key arrays from being automatically converted or converted through dragging input.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한글 입력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구성도,
도 2는 종래기술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글 입력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키패드 전환 동작을 나타내기 위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키패드가 적용된 단말기 화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음 키 입력부재 및 모음 키 입력부재를 나타내기 위한 키패드 구성도,
도 6은 종래기술의 키패드를 이용한 한글 입력의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키패드를 이용한 한글 입력의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예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ventional Korean input method,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Korean inpu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keypad switch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erminal screen to which a keyp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keypad for representing a consonant key input member and a vowel key input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Korean input using a conventional keypad,
7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Hangul input using the keypad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may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best describe its invention It should be constru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키패드 전환 동작을 나타내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 등의 단말기에 구비되는 키보드 장치는 터치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키보드 장치의 키패드는 자음 키 입력부재(110), 모음 키 입력부재(120) 및 각각의 입력부재를 전환 출력하기 위한 제어부(미도시)가 구비된다.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keypad switch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 a keyboard device provided in a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is touch-configured. The keypad of the keyboard device includes a consonant key input member 110, a vowel key input member 120, And a control unit (not shown) for switching output of the member.

다양한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 중에서 한글 입력은 자음과 모음의 조합으로 입력되며, 초성과 종성 또는 초성, 중성 및 종성으로 이루어져 입력될 수 있다. 이때, 초성과 종성으로 이루어진 글자에서 자음은 초성에 위치하며, 초성, 중성 및 종성으로 이루어진 글자에서 자음은 초성 및 종성에 위치한다.Among the methods of inputting various characters, Hangeul input is inputted as a combination of consonants and vowels, and can be inputted with the beginning, the end or the beginning, the neutral, and the last. At this time, the consonant is located in the beginning of the letter consisting of the beginning and the end, and the consonant is located in the beginning and the end of the letter composed of the beginning, the neutral and the longitudinal.

따라서, 제어부는 출력되는 자음 키 입력부재(110)를 통해 하나 이상의 자음 버튼이 터치되는 동작을 인식하여 해당 터치된 자음을 입력하고, 출력된 자음 키 입력부재(110)를 모음 키 입력부재(120)로 전환 출력한다.Accordingly, the controller recognizes the operation of touching one or more consonant buttons through the consonant key input member 110 to input the corresponding consonant tones, and outputs the consonant key input member 110 to the vowel key input member 120 ).

즉, 제어부는 자음 키 입력부재(110)를 통해 자음이 터치 입력되면, 터치된 해당 자음을 문자 창에 디스플레이하고, 키패드 화면에는 기존에 출력된 자음 키 입력부재(110)를 삭제하고 모음을 입력받기 위한 모음 키 입력부재(120)를 출력한다. 이후, 모음 키 입력부재(120)를 통해 어느 하나의 모음이 터치 입력되면, 터치된 해당 모음을 문자 창에 자음과 결합하여 디스플레이하고, 키패드 화면에는 기존에 출력된 모음 키 입력부재(120)를 삭제하고 다시 자음을 입력받기 위한 자음 키 입력부재(110)를 출력한다.That is, when a consonant is touched through the consonant key input member 110, the control unit displays the touched corresponding consonant on the character window, deletes the consonant key input member 110 that has been output on the keypad screen, And outputs the vowel key input member 120 for receiving the vowel key. Thereafter, when one of the vowels is touched through the vowel key input member 120, the corresponding vowel touched is displayed in association with the consonant in the text window, and the vowel key input member 120 And outputs a consonant key input member 110 for receiving a consonant again.

초성과 종성으로 이루어진 '가', '나', '다' 등의 글자는 초성과 종성을 입력하면, 다시 다음 글자의 초성을 입력해야 하기 때문에 자음 또는 모음을 입력하는 터치 동작과 함께 자음 키 입력부재(110)는 모음 키 입력부재(120)로 변환되거나 모음 키 입력부재(120)는 자음 키 입력부재(110)로 변환된다.If you enter a beginning and a end of a letter such as 'a', 'b', or 'd', which consists of a beginning and a end, you must input the beginning of the next letter. The member 110 is converted into the vowel key input member 120 or the vowel key input member 120 is converted into the consonant key input member 110. [

그러나, 초성, 중성 및 종성으로 이루어진 글자인 '각', '낙', '닥' 등의 글자는 자음 키 입력부재(110)를 통해 초성의 'ㄱ'을 터치 입력하고, 화면 전환된 모음 키 입력부재(120)를 통해 'ㅏ'를 터치 입력하고, 화면 전환된 자음 키 입력부재(110)를 통해 'ㄱ'을 입력할 수 있으나, 종성의 'ㄱ'을 터치 입력하는 경우에는 모음 키 입력부재(120)가 화면 전환된다.However, letters such as 'angel', 'kyung', and 'duck', which are composed of initial, neutral, and consonant, are input by touching 'a' of the beginning through the consonant key input member 110, The user can input 'a' through the input member 120 and input 'a' through the screen-converted consonant key input member 110. However, when touching 'a' The member 120 is switched over.

따라서, 다음으로 이어지는 글자의 자음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종성의 자음을 터치 입력한 자음 키 입력부재(110)가 모음 키 입력부재(120)로 전환되지 않고 유지되어야 하기 때문에 자음과 자음을 연속적으로 입력하는 경우 즉, 종성과 다음 글자의 초성이 자음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종성의 자음을 터치 입력할 때, 터치 동작과 드래그 동작을 연속적으로 수행하여 자음 키 입력부재(110)가 모음 키 입력부재(120)로 전환되지 않고 유지될 수 있다.Therefore, in order to input the consonant of the next character, the consonant key input member 110 to which the consonant is touched is to be held without being switched to the vowel key input member 120, so consonants and consonants are continuously input The touch operation and the drag operation are continuously performed so that the consonant key input member 110 is moved to the vowel key input member 120 Can be maintained without being switched.

예를 들어, '안녕'이라는 단어를 입력할 때, 첫 글자의 초성인 'ㅇ'은 터치 입력, 중성인 'ㅏ'를 터치 입력, 종성인 'ㄴ'을 터치한 상태에서 드래그를 수행하면, 자음 키 입력부재(110)가 모음 키 입력부재(120)로 전환되지 않기 때문에 두 번째 글자으 초성인 'ㄴ'을 자음 키 입력부재(110)를 통해 터치 입력하고, 중성인 'ㅕ'을 터치 입력, 종성인 'ㅇ'을 터치 입력하여 글자를 완성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inputting the word 'hi', the first character 'o' of the first character is touched by touch input, the neutral 'a' is touched, and the 'b' Since the consonant key input member 110 is not switched to the vowel key input member 120, the second letter 't' is touched through the consonant key input member 110 and the neutral tau is touched The input and the ending 'o' can be touched to complete the letter.

즉, 터치 입력은 제어부가 터치된 버튼의 자음 또는 모음을 입력할 수 있으며, 입력 이후에는 자음 키 입력부재(110) 또는 모음 키 입력부재(120)를 상호 전환하어 출력하며, 터치 및 드래그 입력은 제어부가 화면 터치된 위치의 자음 또는 모음을 입력할 수 있으며, 이후에 진행되는 드래그 입력을 통해 자음 키 입력부재(110)가 모음 키 입력부재(120)로 전환되지 않도록 한다.That is, the touch input can input a consonant or a vowel of a touched button. After the input, the consonant key input member 110 or the vowel key input member 120 are switched and output, and the touch and drag input The control unit can input a consonant or a vowel at a position where the screen is touched and prevent the consonant key input member 110 from being switched to the vowel key input member 120 through a drag input that follows.

한편, 종성에 이중자음(복자음)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첫 글자의 종성에 자음이 두 번 입력되고, 다음 글자의 초성에 자음이 입력되기 때문에 종성의 자음을 입력하는 경우, 각각 자음의 입력을 터치 및 드래그 입력을 통해 수행하며, 두 번째 글자의 초성을 입력 이후에는 모음을 입력해야 하기 때문에 두 번째 초성의 입력에서는 터치 입력을 수행함으로써 자음 키 입력부재(110)를 모음 키 입력부재(120)로 전환 출력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even if double consonants occur in the consonant, consonants are input twice to the first consonant and consonants are input in the first consonant of the next consonant. Therefore, when consonant consonants are input, Since the second character input is performed through the dragging input and the vowel is input after the second character is input, the consonant key input member 110 is input to the vowel key input member 120 So that the output is switched.

이때, 터치 및 드래그 입력을 출력되는 자음 키 입력부재(110) 중 어느 하나의 자음을 선택하기 위해 손가락 등을 화면에 접촉하는 동작과 접촉된 상태에서 드래그하는 동작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만약, 자음을 선택하기 위해 손가락 등이 화면에 접촉된 상태가 아닌 접촉된 이후 드래그 동작이 수행되지 않고 화면에서 떨어지는 경우에는 해당 자음이 입력되고, 자음 키 입력부재(110)가 모음 키 입력부재(120)로 전환된다.In this case, to select one of the consonant key input members 110 to which the touch and drag input is outputted, it means that the operation of touching the finger or the like to the screen and the operation of dragging in a state of being in contact with the finger are continuously performed. If the dragging operation is not performed after touching the finger or the like to select the consonant but touching the screen, the consonant key input member 110 enters the vowel key input member 120).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모음 키 입력부재(120)에 구비된 모음 버튼 중에서 'ㅒ'와 'ㅖ' 버튼이 구비되지 않고 있으나, 'ㅒ'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ㅐ'의 버튼을 터치 및 드래그 동작을 통해 입력할 수 있으며, 'ㅖ'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ㅔ'의 버튼을 터치 및 드래그 동작으로 통해 입력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mong the vowel buttons provided in the vowel key input member 120, 'ㅒ' and 'ㅖ' buttons are not provided, but in order to input 'ㅒ' And a drag operation. In order to input 'ㅖ', a 'ㅔ' button can be input through a touch and a drag operation.

즉, 모음 키 입력부재(120)에서 터치와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더라도 자음 키 입력부재(120)로 전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ㅐ' 또는 'ㅔ' 중 어느 하나를 터치와 드래그 입력을 수행하며, 'ㅒ' 또는 'ㅔ'가 입력되고 모음 키 입력부재(120)가 자음 키 입력부재(110)로 전환된다.That is, although the touch and drag operations are input in the vowel key input member 120, it is preferable that the vowel key input member 120 is switched to the consonant key input member 120. However, touch and drag input are performed for any one of 'ㅐ' 'ㅒ' or 'ㅔ' is inputted and the vowel key input member 120 is switched to the consonant key input member 110.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키패드가 적용된 단말기 화면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 등의 단말기에 출력되는 키보드 장치는 키패드(110, 120)와 문자 출력창(130)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터치 방법으로 입력되는 키패드(110, 120)는 각각 자음 키 입력부재(110)와 모음 키 입력부재(120)로 구성되어, 화면에 각각 출력될 수 있다.4 is a view illustrating a terminal screen to which a keyp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4, a keyboard device output to a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includes keypads 110 and 120 and a character output window 130. Keypads 110 and 120 input by a touch method include consonants A key input member 110 and a vowel key input member 120, and can be output to the screen, respectively.

즉, 자음 키 입력부재(110)와 모음 키 입력부재(120)는 한 화면에 출력되지 않고, 제어부가 자음 키 입력부재(110) 또는 모음 키 입력부재(120)를 통한 터치 입력을 인식하여 토글(toggle) 방식으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the consonant key input member 110 and the vowel key input member 120 are not output on one screen, and the controller recognizes the touch input through the consonant key input member 110 or the vowel key input member 120, it is preferable to control to output in a toggle manner.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음 키 입력부재 및 모음 키 입력부재를 나타내기 위한 키패드 구성도이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음 키 입력부재(110)는 4행 6열로 이루어져 있으며, 제1 행에 'ㅂ', 'ㅈ', 'ㄷ', 'ㄱ', 'ㅅ', 'ㅆ' 순서의 자음이 출력되며, 제2 행에 'ㅁ', 'ㄴ', 'ㅇ', 'ㄹ', 'ㅎ', 'ㅃ' 순서의 자음이 출력되며, 제3 행에 'ㅋ', 'ㅌ', 'ㅊ', 'ㅍ', 'ㄲ', 'ㄸ' 순서의 자음이 출력되며, 제4 행에 '자/모', 'ㅉ' 순서의 자음이 출력된다.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keypad for representing a consonant key input member and a vowel key input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A, the consonant key input member 110 is composed of 4 rows and 6 columns, and the consonant key input member 110 includes' ',' ',' ',' ',' Consonants in the order of 'ㅆ', 'ㅆ' are output and consonants in the order of 'ㅁ', 'ㄴ', '' ',' '', ' Consonants in the order of 'ㅋ', 'ㅌ', '' ',' '', 'ㄲ' and 'ㄸ' are output.

이때, 제4 행의 '자/모'는 자음 키 입력부재(110)와 모음 키 입력부재(120)를 전환 출력하기 위한 버튼이며, 글자 입력에 필요한 'Enter', 'Space', 'Del' 또는 'Back Space'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버튼이 구비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haracter / mother' in the fourth row is a button for switching output of the consonant key input member 110 and the vowel key input member 120. The 'Enter', 'Space', and 'Del' Or 'Back Space' may be provided.

한편,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음 키 입력부재(110)는 4행 6열로 이루어져 있으며, 제1 행에 'ㅚ', 'ㅛ', 'ㅕ', 'ㅑ', 'ㅐ', 'ㅔ' 순서의 모음이 출력되며, 제2 행에 'ㅙ', 'ㅘ', 'ㅗ', 'ㅓ', 'ㅏ', 'ㅣ' 순서의 모음이 출력되며, 제3 행에 'ㅝ', 'ㅞ', 'ㅟ', 'ㅠ', 'ㅜ', 'ㅡ' 순서의 모음이 출력되며, 제4 행에 '자/모', 'ㅢ' 순서의 모음이 출력된다.5 (b), the vowel key input member 110 is composed of four rows and six columns. In the first row, 'vowel', 'vowel', 'vowel', ' ㅐ ',' ㅔ ',' ㅓ ',' '', 'ㅣ' are displayed on the second line, and the third row A collection of sequences of 'ㅝ', 'ㅞ', 'ㅟ', 'ㅠ', 'ㅜ', and 'ㅡ' is output and on the fourth line a collection of ' .

이때, 제4 행의 '자/모'는 모음 키 입력부재(120)와 자음 키 입력부재(110)를 전환 출력하기 위한 버튼이며, 글자 입력에 필요한 'Enter', 'Space', 'Del' 또는 'Back Space'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버튼이 구비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haracter / mother' of the fourth row is a button for switching output of the vowel key input member 120 and the consonant key input member 110. The 'Enter', 'Space', and 'Del' Or 'Back Space' may be provided.

더욱이, 모음 키 입력부재(120)에는 'ㅒ'와 'ㅖ' 버튼이 구비되지 않고 있으나, 'ㅒ'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ㅐ'의 버튼을 터치 및 드래그 동작을 통해 입력할 수 있으며, 'ㅖ'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ㅔ'의 버튼을 터치 및 드래그 동작으로 통해 입력할 수 있다.Further, the vowel key input member 120 is not provided with the 'ㅒ' and 'ㅖ' buttons, but the 'ㅐ' button can be input through the touch and drag operation in order to input 'ㅒ' 'Can be input by touching and dragging the button of' ㅔ '.

도 6은 종래기술의 키패드를 이용한 한글 입력의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예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키패드를 이용한 한글 입력의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인 천지인 키보드 장치를 사용하여 '광고'라는 단어를 입력하는 경우, (a)부터 (i)까지의 9단계의 입력을 통해 '광고'의 단어를 입력하게 된다.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Korean input using a conventional keypad, and FIG. 7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Korean input using a keypad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6, when the word 'advertisement' is input by using the conventional Korean keyboard device, words of 'advertisement' are inputted through the input of nine steps from (a) to (i) .

즉, 다수의 자음과 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복수의 버튼들 중에서 하나의 버튼으로는 하나 이상의 자음을 입력할 수 있으며, 모음은 'ㅣ', '·' 및 'ㅡ'를 사용하여 입력하게 된다. 이에 따라, (a)에서와 같이 초성인 'ㄱ'을 입력하고, 중성인 'ㅘ'를 입력하기 위해 (b) 내지 (e)에서와 같이 '·'를 입력하고 다음으로 'ㅡ', 'l' 및 '·'를 순차적으로 입력함으로써 'ㅘ'를 입력하고, 다음으로 종성인 'ㅇ'을 입력하게 된다. That is, one or more consonants can be input as one button among a plurality of buttons for inputting a plurality of consonants and vowels, and vowels are input using '?', '·', And '?'. In order to input 'ㅘ', which is a middle adult, input '·' as in (b) to (e) and then input '·' quot ;, " l ", and " · ", respectively.

마지막으로 다음 글자인 '고'는 (g) 내지 (i)의 순서와 같이, 초성인 'ㄱ'을 입력하고, 종성인 'ㅗ'를 입력하기 위해 '·' 및 'ㅡ'를 순차적으로 입력한다.Finally, the next letter 'Goseu' is entered in order of '·' and 'ㅡ' in order to input 'ㅗ', which is a super adult, as in the order of (g) do.

그러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와 같은 한글 입력은 (a)부터 (e)까지의 5단계의 입력을 통해 '광고'의 단어를 입력할 수 있다.However, as shown in FIG. 7, the Hangul input as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input words of 'advertisement' through the input of five steps from (a) to (e).

즉, 키패드 상에 자음과 모음이 토글 방식으로 출력되는 것을 이용하여, 자음 키 입력부재를 통해 초성인 'ㄱ'을 터치 입력하고, 이후에 전환 출력되는 모음 키 입력부재를 통해 중성인 'ㅘ'를 터치 입력하고, 다음으로 종성인 'ㅇ'를 터치 입력한다. 이때, 다음 글자인 '고'의 초성이 자음으로 시작되기 때문에 이전 글자의 종성인 'ㅇ'의 자음을 터치 입력할 때, 터치를 유지한 상태에서 드래그의 입력을 수행하면, 자음 키 입력부재가 모음 키 입력부재로 전환 출력되지 않고, 자음 키 입력부재로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다음으로 입력되어야 하는 '고'의 초성인 'ㄱ'을 터치 입력하고, 이후에 자음 키 입력부재가 모음 키 입력부재로 전환 출력됨에 따라 두 번째 글자의 종성인 'ㅗ'를 터치 입력함으로써, '광고'의 단어를 완성할 수 있다.That is, by using the fact that the consonant and the vowel are outputted in a toggle manner on the keypad, the user inputs 'A' as a super adult through the consonant key input member, and then, through the vowel key input member, Quot; o " is touched. In this case, since the initial character of the next character 'high' starts with a consonant, when a consonant of 'ㅇ', which is a consonant of the previous character, is input by touching and dragging is performed while holding the touch, Since it can be maintained as a consonant key input member without being switched to a vowel key input member, a 'gauge " of a' high 'to be inputted next is touched, , The word 'ad' can be completed by touching 'ㅗ', which is the last character of the second letter.

따라서, 본 발명은 자음과 모음으로 이루어진 각각의 자음 키 입력부재와 모음 키 입력부재가 터치 입력으로 인해 토글 방식으로 전환되거나, 터치 드래그 입력으로 인해 자음 키 입력부재가 전환되지 않고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편리하게 한글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consonant key input member and the vowel key input member composed of a consonant and a vowel can be switched in a toggle manner due to a touch input, or the consonant key input member can be held without switching due to a touch drag input It is possible to conveniently perform Hangul input.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taken by way of limitation,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ll be possible.

110 : 자음 키 입력부재 120 : 모음 키 입력부재
130 : 문자 출력창
110: Consonant key input member 120: Vowel key input member
130: Text output window

Claims (13)

한글 입력을 위한 터치식 키보드 장치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자음의 배열로 이루어진 자음 키 입력부재;
하나 이상의 모음의 배열로 이루어진 모음 키 입력부재; 및
상기 자음 키 입력부재와 상기 모음 키 입력부재를 각각 전환하여 출력하기 위한 제어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음 키 입력부재 중 어느 하나의 자음이 터치 입력되면 상기 자음을 출력하고 상기 모음 키 입력부재를 전환 출력하며, 상기 모음 키 입력부재 중 어느 하나의 모음이 터치 입력되면 상기 모음을 출력하고 상기 자음 키 입력부재를 전환 출력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음 키 입력부재에 구비된 자음 중 어느 하나의 자음이 터치된 상태에서 드래그 입력이 수행되는 경우, 상기 자음 키 입력부재를 상기 모음 키 입력부재로 전환 출력하지 않고 상기 자음 키 입력부재의 출력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율적인 입력을 제공하는 스마트폰 키보드 장치.
A touch-type keyboard device for inputting Hangul characters,
A consonant key input member composed of an arrangement of one or more consonants;
A vowel key input member comprising an array of one or more vowels; And
A controller for switching and outputting the consonant key input member and the vowel key input member, respectively,
Wherein when one of the consonant key input members is touched, the control unit outputs the consonant and switches and outputs the vowel key input member, and when any one of the vowel key input members touches the touch The controller outputs the consonant key input member when the consonant key input member is in a touched state and when the drag input is performed in a state in which any consonant among the consonants included in the consonant key input member is touched, Wherein the output of the consonant key input member is maintained without outputting the member to the vowel key input memb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음 키 입력부재는
제1 행에 'ㅂ', 'ㅈ', 'ㄷ', 'ㄱ', 'ㅅ', 'ㅆ',
제2 행에 'ㅁ', 'ㄴ', 'ㅇ', 'ㄹ', 'ㅎ', 'ㅃ',
제3 행에 'ㅋ', 'ㅌ', 'ㅊ', 'ㅍ', 'ㄲ', 'ㄸ', 및
제4 행에 '자/모', 'ㅉ'
의 버튼 배열되며, 상기 배열은 변경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율적인 입력을 제공하는 스마트폰 키보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sonant key input member
In the first row, 'ㅂ', 'ㅈ', 'ㄷ', 'a', 'ㅅ', 'ㅆ'
On the second line, 'ㅁ', 'ㄴ', ''',''','ㅎ','ㅃ'
On the third line, 'ㅋ', 'ㅌ', ''',''','ㄲ','ㄸ'
On the fourth line, 'A / M', 'A'
And the arrangement is changeable. ≪ RTI ID = 0.0 > [0002] < / RTI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음 키 입력부재는
제1 행에 'ㅚ', 'ㅛ', 'ㅕ', 'ㅑ', 'ㅐ', 'ㅔ',
제2 행에 'ㅙ', 'ㅘ', 'ㅗ', 'ㅓ', 'ㅏ', 'ㅣ',
제3 행에 'ㅝ', 'ㅞ', 'ㅟ', 'ㅠ', 'ㅜ', 'ㅡ', 및
제4 행에 '자/모', 'ㅢ'
의 버튼이 배열되며, 상기 배열은 변경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율적인 입력을 제공하는 스마트폰 키보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vowel key input member
In the first line, 'ㅚ', 'ㅛ', 'ㅕ', 'ㅑ', 'ㅐ', 'ㅔ'
In the second row, 'ㅙ', 'ㅘ', 'ㅗ', 'ㅓ', 'a', 'ㅣ'
On the third line, 'ㅝ', 'ㅞ', 'ㅟ', 'ㅠ', 'ㅜ', 'ㅡ', and
On the fourth line, 'A / M', 'A'
And the arrangement is changeable. The smartphone keyboard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음 키 입력부재에 구비된 상기 'ㅐ' 버튼이 터치된 상태에서 드래그 입력이 수행되는 경우, 'ㅒ' 입력을 수행하고, 상기 'ㅔ' 버튼이 터치된 상태에서 드래그 입력이 수행되는 경우, 'ㅖ' 입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율적인 입력을 제공하는 스마트폰 키보드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control unit performs 'ㅒ' input when a drag input is performed while the 'ㅐ' button provided on the vowel key input member is touched, and performs a drag input when the 'ㅔ' button is touched ≪ RTI ID = 0.0 > 1, < / RTI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ㅒ' 입력의 수행 또는 상기 'ㅖ' 입력의 수행을 완료한 이후에는 상기 모음 키 입력부재를 상기 자음 키 입력부재로 전환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율적인 입력을 제공하는 스마트폰 키보드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control unit switches the vowel key input member to the consonant key input member after completing the input or performing the input. Device.
터치식 키보드 장치를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에 있어서,
자음 키 입력부재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자음 배열 중 어느 하나의 자음이 터치 입력되는 제1 단계;
제어부는 상기 제1 단계의 상기 터치 입력 이후에, 상기 자음 키 입력부재를 모음 키 입력부재로 전환 출력하는 제2 단계;
상기 모음 키 입력부재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모음 배열 중 어느 하나의 모음이 터치 입력되는 제3 단계; 및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단계의 상기 터치 입력 이후, 상기 모음 키 입력부재를 상기 자음 키 입력부재로 전환 출력하는 제4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단계에서 상기 자음의 터치가 유지되면서 드래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자음 키 입력부재의 출력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율적인 입력을 제공하는 스마트폰 키보드 장치를 이용한 입력 방법.
In a Korean input method using a touch-type keyboard device,
A first step in which any one consonant among at least one consonant arrangement arranged in the consonant key input member is touched;
A second step of switching the consonant key input member to a vowel key input member after the touch input of the first step;
A third step in which any one of the vowel arrangements included in the vowel key input member is touched; And
The control unit may switch the vowel key input member to the consonant key input member after the touch input in the third step,
Wherein the control unit maintains the output of the consonant key input member when a drag is input while the touch of the consonant is maintained in the first step,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 내지 제4 단계는 반복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율적인 입력을 제공하는 스마트폰 키보드 장치를 이용한 입력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first step to the fourth step are repeatedly performed.
삭제delete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모음 키 입력부재에 구비된 'ㅐ' 버튼을 터치한 상태에서 드래그 입력이 수행되는 경우, 'ㅒ' 입력을 수행하고, 'ㅔ' 버튼을 터치한 상태에서 드래그 입력이 수행되는 경우, 'ㅖ' 입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율적인 입력을 제공하는 스마트폰 키보드 장치를 이용한 입력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When the drag input is performed while the 'ㅐ' button provided on the vowel key input member is touched in the third step, the controller performs the 'ㅒ' input, and when the 'ㅔ' button is touched, Wherein the input is performed when the input is performed.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ㅒ' 입력의 수행 또는 상기 'ㅖ' 입력의 수행을 완료한 이후에 상기 모음 키 입력부재를 상기 자음 키 입력부재로 전환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율적인 입력을 제공하는 스마트폰 키보드 장치를 이용한 입력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control unit switches the vowel key input member to the consonant key input member after completing the input or performing the input. Input method using device.
KR1020130055146A 2013-05-15 2013-05-15 A smartphone keyboard devices to provide efficient input and a method for input the same KR10142752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5146A KR101427524B1 (en) 2013-05-15 2013-05-15 A smartphone keyboard devices to provide efficient input and a method for input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5146A KR101427524B1 (en) 2013-05-15 2013-05-15 A smartphone keyboard devices to provide efficient input and a method for input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7524B1 true KR101427524B1 (en) 2014-08-07

Family

ID=51749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5146A KR101427524B1 (en) 2013-05-15 2013-05-15 A smartphone keyboard devices to provide efficient input and a method for input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7524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0124B1 (en) 2005-11-11 2006-11-27 삼성전자주식회사 Soft keypad display apparatus of portable device and method
KR20100101993A (en) * 2009-03-10 2010-09-20 정운영 Method for inputting korean on touch pannel of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20110080682A (en) * 2010-01-06 2011-07-13 은익수 Method of inputting korean characters for a touch scree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0124B1 (en) 2005-11-11 2006-11-27 삼성전자주식회사 Soft keypad display apparatus of portable device and method
KR20100101993A (en) * 2009-03-10 2010-09-20 정운영 Method for inputting korean on touch pannel of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20110080682A (en) * 2010-01-06 2011-07-13 은익수 Method of inputting korean characters for a touch scre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94756A (en) Character input apparatus
KR101126734B1 (en) Alphabet input method and apparatus
CN106201003B (en) Virtual keyboard based on touch screen equipment and input method thereof
KR101427524B1 (en) A smartphone keyboard devices to provide efficient input and a method for input the same
KR101653906B1 (en) Device method to input Korean Character using swipe with touch screen
CN103677303A (en) Virtual keyboard layout design and letter input scheme of smart phone touch screen
KR101249329B1 (en) Keyboard with descendants and typing method thereof
KR100918082B1 (en) Character input apparatus using alphabetical order and frequency in use
KR101454896B1 (en) Korean characters input apparatus using touch pannel and method of the same
KR101071812B1 (en) Japanese touch screen keypad array for mobile device
KR10105393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key input implemented on mobile device
KR101483170B1 (en) Mobile Terminal comprising Simple English Keypad
KR102202524B1 (en) Characters input method and characters input system
KR101194119B1 (en) Character display and input method having character display pannel
KR101499904B1 (en) A touch screen input system and method for the visually impaired
KR101127868B1 (en) The Korean alphabet letter arrangement structure
KR20210139093A (en) Korean input method using the center function key on the touch screen
KR101087852B1 (en) Key pad sett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having key pad setting program
KR101423449B1 (en) The Keypad To Input Letters Or Symbols draging A Letter Button And Button In A Mobile Device
KR101550141B1 (en) Hangeul characters using the touch screen input method
KR101024848B1 (en) Method for inputting hangul and communication terminal for the same
TW201428550A (en) Chinese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screen software keyboard and software keyboard thereof
KR20130038427A (en) Touch screen hangeul keyboard
KR101105210B1 (en) Thai language touch screen keypad array for mobile device
KR20200025661A (en) Hangul virtual keyboard which is easy to input coined wor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