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8450B1 - 천연성분을 가미하는 수단을 구비한 컵 - Google Patents

천연성분을 가미하는 수단을 구비한 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8450B1
KR101828450B1 KR1020170036726A KR20170036726A KR101828450B1 KR 101828450 B1 KR101828450 B1 KR 101828450B1 KR 1020170036726 A KR1020170036726 A KR 1020170036726A KR 20170036726 A KR20170036726 A KR 20170036726A KR 101828450 B1 KR101828450 B1 KR 1018284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spring
lid
stirring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6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지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몽중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몽중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몽중화
Priority to KR10201700367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84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84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84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7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for mixing drinks; Hand-held shak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22Straw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7/00Flower holders or the like
    • A47G7/02Devices for supporting flower-pots or cut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47J36/04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the materials being non-metallic
    • B01F15/0050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27/82Pan-type mixers, i.e. mixers in which the stirring elements move along the bottom of a pan-shaped recepta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27/92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ith helices or scre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30Driving arrangements; Transmissions; Couplings; Brakes
    • B01F35/32Driving arrangements
    • B01F35/32005Type of drive
    • B01F35/3202Hand driven
    • B01F7/165
    • B01F7/24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컵은,
음료수를 담긴 위한 컵의 본체;
상기 컵의 본체 개구부 측에 착탈 가능하게 덮여지는 덮개;
상기 컵의 본체 내부에서 회동하는 교반익을 구비한 회전축을 갖는 교반수단;
상기 덮개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을 정역 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하게 하는 회동발생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회동발생수단은,
상기 덮개에 고정되는 중공형상의 가이드 부재;
상기 가이드 부재의 중공부 내측에서 길이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팽창과 수축이 가능하게 위치하는 스프링 또는 탄성줄;
상기 스프링의 코일링을 관통하면서 일측단에는 스프링 시트가 고정되면서 연장되어 상기 회전축에 1회 이상 감겨지고 상기 덮개의 외측으로 인출되는 당김줄;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천연성분을 가미하는 수단을 구비한 컵{A cup with means to brew some natural ingredients}
본 발명은 기본 음료에 선호하는 향을 가미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한 컵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찻잎, 식용꽃이나 건조과일 조각 등(이하 천연물질이라 칭함)에 함유된 천연성분을 기본 음료에 가미하여 차를 음용할 수 있도록 한 컵에 관한 것이다.
기호식품인 차는 일상생활에서 혼자 있을 때나 상대방과 대화를 나눌 때 등 다양한 장소에서 음용되고 있다.
차를 음용하면서 이야기를 나눌 기회를 갖게 되고 정신적 여유를 갖게 되는 등 차 문화는 문화생활 전반에 좋은 영향을 주고 있다.
현대인은 바쁜 생활속에서 휴식을 취하고 싶어 하는데, 휴식동안에 차를 음용함으로서 휴식의 효능을 높일 수 있으므로 휴식 후에 업무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등 차를 음용하는 것은 일생생활에 좋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커피, 콜라, 주스 등은 대중적 음료로서 널리 음용되고 있지만, 현대인들의 다양한 기호에 맞추어 다양한 형태의 차들이 개발되어 음용되고 있다.
차는 재료에 함유된 천연성분을 추출하여 마시는 형태로 발전되어 왔으며, 이러한 차문화는 다양한 식용 꽃이나 건조과일 등을 우려내거나 추출하여 마실 수 있도록 발전됨으로서 기호식품으로서 음용인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이 차문화가 발전되면서 현대인들은 건강을 생각하게 되었고, 그 결과 건강에 좋은 재료들을 선택하여 그것을 우려내거나 추출하여 차를 마시고 있다.
차를 음용하기 위해서는 차의 재료를 우려내는 과정이 있는데, 지금까지는 차의 재료를 컵에 담겨 있는 물이나 기타 음료에 담그어 그 재료의 성분이 향과 함께 우러 나오도록 한 후 마시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차를 우리는 방식은 단순히 차의 재료를 컵에 담그어 놓고 일정시간 기다리는 것이므로 차의 재료에 있는 성분이나 향이 완전히 우러 나오지 못하는 경향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20-2012-0003833호는 "태엽 구동형 로터를 가진 휴대용 컵"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공개실용신안의 휴대용 컵은, 사용자가 컵을 들어 올려서 컵의 하단부에 있는 조작구를 돌려서 태엽을 감는 방식이므로 사용의 불편함이 있다.
게다가 차를 우릴 때에는 차이 재료를 여러번 회전시켜야 재료의 천연성분을 많이 우려 낼 수 있는데, 상기 공개실용신안의 방식은 천연성분을 우려내는데 한계가 있다.
그리고 상기 공개실용신안의 컵은 태엽을 한방향으로만 회전하는 방식이므로 차의 재료에 있는 천연성분을 많이 우려낼 수 없다.
즉, 이러한 방식은 태엽을 탄성복원력을 이용하고 있지만, 태엽을 감은 상태에서 풀림작용이 진행되는 동안에만 교반용 로터를 회전시키는 방식이므로 만족할만한 교반효율을 기대할 수 없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20-2012-0003833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식용 천연물질로부터 천연성분을 추출시켜 적은 천연성분의 향을 충분히 가미시킬 수 있는 천연성분을 가미하는 수단을 구비한 컵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장식적 효과를 부과하여 차를 음용하는 동안에 꽃장식의 아름다운 분위기를 만들 수 있는 천연성분을 가미하는 수단을 구비한 컵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식용 천연물질로부터 천연성분을 추출시켜 적은 천연성분의 향을 충분히 가미시킬 수 있는 천연성분을 가미하는 수단을 구비한 컵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장식적 효과를 부과하여 차를 음용하는 동안에 꽃장식의 아름다운 분위기를 만들 수 있는 천연성분을 가미하는 수단을 구비한 컵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컵은,
음료수를 담긴 위한 컵의 본체;
상기 컵의 본체 개구부 측에 착탈 가능하게 덮여지는 덮개;
상기 컵의 본체 내부에서 회동하는 교반익을 구비한 회전축을 갖는 교반수단;
상기 덮개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을 정역 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하게 하는 회동발생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회동발생수단은,
상기 덮개에 고정되는 중공형상의 가이드 부재;
상기 가이드 부재의 중공부 내측에 탄성적으로 팽창과 수축이 가능하게 위치하는 스프링 또는 탄성줄;
상기 스프링의 코일링을 관통하면서 일측단에는 스프링 시트가 고정되면서 연장되어 상기 회전축에 1회 이상 감겨지고 상기 덮개의 외측으로 인출되는 당김줄;을 포함하는 천연성분을 가미하는 수단을 구비한 컵;을 포함한다.
상기 회전축은 상기 회동발생수단의 당김줄이 감겨져 연동하며 상기 컵 본체의 바닥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프링은 코일 인장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교반익의 외측에는 컵의 본체 바닥면에 고정되는 보호망이 제공되며, 상기 교반익은,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는 고정단 교반익과 이 고정단 교반익으로부터 연장되는 자유단 교반익을 포함한다.
상기 교반익은, 상기 회전축에 나선상으로 형성되거나 다수개의 반원통형상의 날개가 상기 회전축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컵의 본체 내측면에는 스트로우 사용시 천연채료가 스트로우 구멍을 차단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가 착탈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덮개에는 꽃꽂이 수단이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꽃꽂이 수단은, 꽃을 꽂기 위한 공간과, 이 공간 주위로 형성되는 열방출구들로 이루어진다.
상기 덮개에는 꽃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커버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컵의 모든 구성요소는 투명재질의 Polyethylene terephthalate 또는 Polypropylene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컵은, 스파이럴 스프링의 감김력과 풀림력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2개의 방향으로 회전축을 회전시킴으로서 회전축에 제공된 교반익을 통하여 컵 본체에 담겨진 천연물질이 갖고 있는 천연성분을 가능한 많이 우려낼 수 있으므로 차의 맛을 한층 깊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기호에 따라 컵에 꽃을 꽂아 놓을 수 있으므로 차를 음미하는 분위기를 한층 좋게 할 수 있다.
또한 차를 다 마신 후에는, 본체에 물을 담고 꽃을 꽂는 통의 밑부분을 절단하여 그곳에 꽃을 꽂게 되면 화병으로 대용할 수 있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컵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컵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컵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컵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컵을 다른 각도에서 절단한 결합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컵에 적용될 수 있는 꽃꽂이 수단의 반단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컵에 적용될 수 있는 꽃꽂이 수단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컵에 사용될 수 있는 스트로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컵에 적용될 수 있는 교반익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컵에 적용될 수 있는 교반익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 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설명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설명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는 방안들 중에서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예를 설명하는 것일 뿐, 이 실시 예가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부" 또는 "...수단"이라고 지칭하는 구성요소는 특정한 작동이나 기능을 위하여 결합되어 있는 다수개의 구성요소들의 집합체를 의미하며, "...를 포함한다."라는 의미는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 부호는 작동의 설명이 필요치 않은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생략을 하고 있다.
도 1 및 도 2를 통하여 이해할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컵은 일반적으로 액체 음료를 담을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본체(2)와, 상기 본체(2)의 상측 개구부에 착탈가능하게 덮여지는 덮개(4)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체(2)와 덮개(4)를 구비한 컵은 일반적으로 커피나 쥬스를 판매하는 테이크 아웃 컵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를 갖는다.
상기 덮개(4)는 도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2)의 개구부 가장자리에 형성된 걸림턱(6)에 결합되는 걸림홈(8)을 형성하므로서 이들 걸림턱(6)에 걸림홈(8)이 결합되는 구조이다. 상기 덮개(4)의 결합구조는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상기 덮개(4)에는 교반익(10)과 회전축(12)을 포함하는 교반수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덮개(4)는 컵의 본체(2)의 개구부 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측덮개(4a)와 이 하측덮개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상측덮개(4b)를 포함한다.
상기 하측덮개(4a)와 상측덮개(4b)의 결합도 상기 덮개(4)와 본체(2)의 결합구조인 걸림턱(5)과 걸림홈을 형성하는 것으로 실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교반수단의 교반익(10)은 상기 회전축(12)의 길이방향을 따라 부착되는 고정단 교반익(14)과, 이 고정 교반익(14)의 상하단부에 외측방향으로 굽힘되어 연장된 자유단 교반익(16)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회전축(12)은 상기 하측덮개(4a)를 관통하여 돌출하고 있는 상단부(18)와, 상기 본체(2)의 내부 바닥면에 회동가능하게 제공되는 하단부(20)를 갖는다.
상기 하단부(20)에는 걸림돌기(22)가 형성되어 상기 본체(2)의 바닥면에 형성된 홈부(24)에 회동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회전축(12)의 상단부(18)가 관통되어 있는 하측덮개(4a)에는 회동발생수단(26)이 제공되어, 상기 회전축(12)을 회동시킬 수 있도록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회동발생수단(26)은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측덮개(4a)의 걸림턱(5)의 내측으로 제공되는 가이드 부재(28)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가이드 부재(28)는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형상의 관일 수 있으며 원호상으로 상기 하측덮개(4a)의 걸림턱(5) 내측면에 밀착되어 하측덮개(4a)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회동발생수단(26)의 가이드 부재(28)의 내측 중공부는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고 있는데, 이 중공부에 길이방향으로 스프링(30)이 삽입된다.
상기 스프링(30)은 코일 스프링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부재(28)의 길이와 거의 같은 길이이거나 조금 작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인장 코일 스프링이 사용된다. 이 스프링(30)은 금속재이거나 탄성재질을 갖는 재질이면 어떤 것이든 사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부재(28)의 내측 중공부의 내경은 상기 스프링(30)의 코일링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중공부 내측에서 코일 스프링(30)이 압축되거나 원래 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30)의 코일링의 안쪽으로는 길이 방향으로 당김줄(32)이 관통하고 있는데, 이 당김줄(32)은 일측단에 스프링 시트(34)가 고정되어 상기 스프링(30)의 일측단부를 이 스프링 시트(34)가 지지하고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이 당김줄(32)의 타측단은 상기 스프링(30)의 코일링을 관통하여 상기 가이드 부재(28)의 타측단 측으로 연장되어 관통하고 있다.
상기 가이드 부재(28)를 관통하여 나온 당김줄(32)은 상기 회전축(12)에 1회 또는 그 이상 감겨지고 계속 연장하여 덮개(4)의 외측으로 인출되어 사용자가 잡아 당길 수 있는 정도의 길이를 갖는 것이 좋다.
상기 스프링(30)의 타측단부는 상기 가이드 부재(28)의 내측에서 스프링(30)이 당김줄(32)의 당김으로 스프링 시트(32)가 당겨지면서 스프링(30)이 압축될 수 있도록 가이드 부재(28)의 내측에 스톱퍼(34)가 형성된다.
상기 스톱퍼(34)는 가이드 부재(28)의 중공부 끝단부의 내경을 좁게 하여 형성하거나 별도의 부재를 사용하여 스프링(30)이 가이드 부재(28)로부터 외부로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당김줄(32)은 가이드 부재(28) 밖으로 나올 수 있지만 스프링(30)은 가이드 부재(28) 밖으로 나올 수 없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이런 구조에 의해 당김줄(32)을 당기면 스프링(30)이 가이드 부재(28) 중공부 내에서 압축되면서 스프링 시트(34)가 이동을 하게 되고, 이때 당김줄(32)이 감겨진 회전축(12)이 회전을 하게 되고, 당겼던 당김줄(32)을 놓게 되면 압축된 스프링(30)의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면서 회전축(12)은 반대 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될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프링(30)은 고탄성 재질로 만들어진 고무줄이나 그와 유사한 탄성줄이 사용되어도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회동발생수단(26)이 하측덮개(4a)에 설치되고, 이 하측덮개(4a) 위쪽으로 상측덮개(4b)가 덮여질 것이다.
상기 회전축(12)의 상단부는 하측덮개(4a)를 관통하지만 상기 상측덮개(4b)를 관통하지 않는다.
상기 하측덮개(4a)를 관통하여 설치된 회전축(12)의 주변에는 보호망(38)이 배치되며 이 보호망(38)은 컵의 본체(2) 바닥 내측면에 형성된 걸림돌기(40)에 결합되어 안정된 상태로 위치한다.
상기 보호망(38)은 격자형상으로 형성된 원통형상의 구조이며 상하부에 플랜지(42)가 형성되는데, 이 플랜지(42)가 살기 걸림돌기(40)에 결합되므로서 결합이 될 수 있다.
이 보호망(38)은 차의 재료가 교반익(10)에 감기거나 하여 원활한 작동을 방해할 수 있으므로 원활한 작동을 보장하는 차원에서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보호망(38)은 아이스 음료의 경우 음료수에 혼합된 얼음조각이 교반익(10)들의 원활한 회전을 방해할 우려를 없애줄 수 있다.
또한 하측덮개(4a)와 상측덮개(4b)에는 스트로우(S)를 삽입할 수 있는 구멍(H)을 뚫어서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음료를 먹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컵은 차를 우려내어 마시기 위한 컵이므로 실질적으로 컵에는 차의 재료가 넣어지게 될 것이다. 이 경우 스트로우의 구멍이 막힐 염려가 있으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커버(44)를 이용하여 스트로우(S)를 덮도록 하고 있다.
도 5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커버(44)는 다수개의 구멍들이 뚫려진 대략 반원형상의 구조를 갖고 있으며 결합돌기(46)가 형성됨으로서 컵의 본체(2) 내측면에 형성된 결합돌기(48)와의 결합으로 본체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측덮개(4a)에는 구멍(50)이 뚫려져 있는데, 이 구멍(50)으로 꽃꽂이 수단(52)이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꽃꽂이 수단(52)은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중앙부에 꽃을 꽂기 위한 공간(54)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꽃을 꽂기 위한 공간(54)의 주위로 열방출구(56)들이 서로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띄우면서 다수개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열방출구(56)들로 길이방향으로 따라 길게 형성되는데, 이 열방출구(56)들은 상기 공간(54)에 꽂아진 꽃이 차의 열기에 의해 신선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 열방출구(56)들은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형성되어 본체(2)에 담겨진 차로부터 전달되는 뜨거운 열기를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상기 상측덮개(4b)에는 상기 하측덮개(4a)에 뚫려진 구멍(53)과 대응하는 위치에 구멍(58)이 뚫려져 이 구멍(58)을 통하여 꽃이나 기타 장식효과를 연출할 수 있는 식물들을 꽂아 놓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 구멍(58)을 통하여 꽂아지는 꽃대는 상기 꽃꽂이 수단(52)으로 삽입되어 그곳에 위치하게 되고, 꽃 부분이나 식물의 윗부분은 상기 상측덮개(4b)의 위쪽으로 위치토록 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꽃이 꽂아지거나 식물류가 꽂아진 경우에 꽃을 보호하기 위한 수단으로 보호커버(60)를 상기 상측덮개(4b)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상측덮개(4b)의 측면에는 홈(62)이 형성되어 보호커버(60)를 끼울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 보호커버(60)도 다른 구성요소와 같이 투명한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상기 상측덮개(4b)에 고정하기 위하여 상판의 측면에 홈(62)을 형성하여 이 홈으로 보호커버의 밑부분을 삽입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 교반익은(10)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나선형으로 할수도 있고,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원통형상의 교반익(10)들이 회전축(12) 주위에 고정되는 형상으로 만들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컵은, 식품위생상 안전한 Polyethylene terephthalate 제의 투명한 구성요소들로 이루어지며, 잘 알려진 3D 프린팅 방법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모든 컵들의 구성요소는 열에 강한 성질의 Polypropylene 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본체(2)에 음료를 넣고, 이 음료속에 찻잎, 식용꽃이나 건조과일 조각 등(이하 천연물질이라 칭함)을 기호에 따라 넣은 다음, 덮개(4)를 닫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음료는 뜨거운 음료이거나 찬 음료일 수 있으나, 뜨거운 음료일수록 본 발명이 의도하는 목적을 실현하는데 효과적일 것이다.
이와 같이 천연물질이 음료속에 담긴 상태에서 덮개(4)의 외측으로 인출된 당김줄(32)을 잡아 당기게 되면 이 당김줄(32)이 상기 회동발생수단(26)의 스프링(30)을 받치고 있는 스프링 시트(34)를 당기게 되므로 스프링(30)이 압축되면서 가이드 부재(28) 내측으로 스프링 시트(3)는 이동하게 된다.
이런 작용으로 당김줄(32)이 당겨지면서 이 당김줄(32)이 감겨 있는 회전축(12)은 회전을 하게 되면서 이 회전축(12)에 고정설치된 교반익(10)이 회전을 하면서 컵에 담겨 있는 음료수를 회동시키게 되고 이러한 작용으로 천연물질에 함유되어 있는 찬연 향 등이 음료수에 우러나올 때 더 많이 그리고 더 빨리 우러 나올 수 있도록 할 것이다.
이때 스프링(30)은 압축되면서 그 압축력이 가이드 부재(28) 내측에 저장된 상태로 있게 되므로 이 상태에서 당기고 있던 당김줄(32)을 놓게 되면 축적된 탄성력에 의해 스프링 시트(34)는 밀려 나고 이때 당겨졌던 당김줄(32)은 다시 언래의 위치로 복원되면서 상기 회전축(12)은 돌고 있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결과가 될 것이다.
따라서 당김줄(32)을 당길 때나 당겼던 당김줄(32)을 놓을때 회전축(12)은 방향은 반대이지만 계속하여 회전하는 상태가 될 것이므로 차의 재료인 천연물질에 있는 천연성분은 음료수에 단순히 담그어 놓은 것이 비하여 빠르게 우러나올 것이다.
그리고 덮개(4)에 제공된 꽃꽂이 수단(52)에 꽃을 꽂아 놓으면 차를 음미하는 분위기를 한층 돋보이게 할 것이다. 꽃꽂이 수단(52)에 꽃이 꽂아지는 경우 꽃이 외부의 물리력인 힘을 받게 되면 꽃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이와 같은 우려가 있을 경우에는 상기 보호커버(60)을 상측덮개(4b)의 홈(62)에 끼워서 사용하면 될 것이다.
이때 스트로우(S)를 사용하여 차를 음미할 수도 있고, 스트로우를 사용하지 않고 직접 차를 마실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컵에 제공된 꽃꽂이 수단(52)은 차를 마실 때만 사용하는 것이 아니고, 차를 다 마신 후에는 컵의 본체에 물을 담고, 그리고 꽃꽂이 수단(52)의 아래 부분을 절단하게 되면 꽃꽂이 수단의 공간(54)으로 컵의 본체에 담겨진 물이 유입되므로 화분이나 꽃병으로 재사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2; 본체
4; 덮개
6; 걸림턱
8; 걸림홀
10; 교반익
12; 회전축
14; 고정단 교반익
16; 자유단 교반익
18; 상단부
20; 하단부
22; 걸림돌기
24; 홈부
26; 회동발생수단
28; 가이드 부재
30; 스프링
34; 스프링 시트
36; 당김줄
38; 보호망
44; 커버
52; 꽃꽂이 수단

Claims (12)

  1. 음료수를 담긴 위한 컵의 본체;
    상기 컵의 본체 개구부 측에 착탈 가능하게 덮여지는 덮개;
    상기 컵의 본체 내부에서 회동하는 교반익을 구비한 회전축을 갖는 교반수단;
    상기 덮개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을 정역 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하게 하는 회동발생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회동발생수단은,
    중공형상이며 상기 덮개의 내주면에 원호상으로 고정되는 가이드 부재;
    상기 가이드 부재의 중공부 내측에서 길이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팽창과 수축이 가능하게 위치하는 스프링 또는 탄성줄;
    상기 스프링의 코일링을 관통하면서 일측단에는 스프링 시트가 고정되고 연장되어 상기 회전축에 1회 이상 감겨지면서 스프링의 압축이 회전축의 회전에 연동하며 상기 덮개의 외측으로 인출되는 당김줄;을 포함하는 천연성분을 가미하는 수단을 구비한 컵.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상기 회동발생수단의 당김줄이 감겨져 연동하며 상기 컵 본체의 바닥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성분을 가미하는 수단을 구비한 컵.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코일 인장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성분을 가미하는 수단을 구비한 컵.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교반익의 외측에는 컵의 본체 바닥면에 고정되는 보호망이 제공되는 천연성분을 가미하는 수단을 구비한 컵.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교반익은,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는 고정단 교반익과 이 고정단 교반익으로부터 연장되는 자유단 교반익을 포함하는 천연성분을 가미하는 수단을 구비한 컵.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교반익은, 상기 회전축에 나선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성분을 가미하는 수단을 구비한 컵.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교반익은, 다수개의 반원통형상의 날개가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는 천연성분을 가미하는 수단을 구비한 컵.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컵의 본체 내측면에는 스트로우 사용시 천연채료가 스트로우 구멍을 차단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가 착탈가능하게 제공되는 천연성분을 가미하는 수단을 구비한 컵.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덮개에는 꽃꽂이 수단이 제공되는 천연성분을 가미하는 수단을 구비한 컵.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꽃꽂이 수단은, 꽃을 꽂기 위한 공간과, 이 공간 주위로 형성되는 열방출구들로 이루어지는 천연성분을 가미하는 수단을 구비한 컵.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덮개에는 꽃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커버가 설치되는 천연성분을 가미하는 수단을 구비한 컵.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컵은 투명재질의 Polyethylene terephthalate 또는 Polypropylene로 이루어지는 천연성분을 가미하는 수단을 구비한 컵.















KR1020170036726A 2017-03-23 2017-03-23 천연성분을 가미하는 수단을 구비한 컵 KR1018284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6726A KR101828450B1 (ko) 2017-03-23 2017-03-23 천연성분을 가미하는 수단을 구비한 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6726A KR101828450B1 (ko) 2017-03-23 2017-03-23 천연성분을 가미하는 수단을 구비한 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8450B1 true KR101828450B1 (ko) 2018-02-12

Family

ID=61225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6726A KR101828450B1 (ko) 2017-03-23 2017-03-23 천연성분을 가미하는 수단을 구비한 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845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16572A (ja) * 2002-06-18 2004-01-22 Yufoosu:Kk 手動食品加工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16572A (ja) * 2002-06-18 2004-01-22 Yufoosu:Kk 手動食品加工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23942B2 (en) Brewing and filtering device for coffee and tea
US20190069725A1 (en) Drink cup
US1920995A (en) Holder for ice cream cones
US10517421B2 (en) Coffee and tea brewing system and method
US20080264268A1 (en) Instant extraction cup
US20200085228A1 (en) Kettle With Removable Tea Steeper
KR200459398Y1 (ko) 드리퍼가 구비된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용기
KR101378808B1 (ko) 친환경 종이추출용기
US20060169150A1 (en) Permanent filtering pod for brewing beverages
US10000319B2 (en) Sealable drinking container with air-extracting mechanism for oxygenation suppression
KR101828449B1 (ko) 음료용 컵
EP3883396B1 (en) Assembly for accessing coconut water in coconut
EP3196134A1 (en) A sealable drinking container with air-extracting mechanism for oxygenation suppression
KR101828450B1 (ko) 천연성분을 가미하는 수단을 구비한 컵
KR101764309B1 (ko) 천연성분을 가미하는 수단을 구비한 컵
US5239774A (en) Planter system with change-configuration, pop-out imitator structure
US20070275126A1 (en) Drip and Sip containment unit to catch melted confection.
ES2928102T3 (es) Aparato de remojo y métodos para preparar una bebida
US20150023125A1 (en) Multifunctional Tea Bag Holder/Stirrer
Kummer The joy of coffee: the essential guide to buying, brewing, and enjoying
CN204931140U (zh) 一种自动冲茶器
TWI695798B (zh) 水瓶
JP2005538911A (ja) 容器
KR200485984Y1 (ko) 조절이 용이한 더치 커피 메이커
KR101499633B1 (ko) 티백 타이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