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8402B1 - 경쟁 제어 메커니즘 - Google Patents

경쟁 제어 메커니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8402B1
KR101828402B1 KR1020167001910A KR20167001910A KR101828402B1 KR 101828402 B1 KR101828402 B1 KR 101828402B1 KR 1020167001910 A KR1020167001910 A KR 1020167001910A KR 20167001910 A KR20167001910 A KR 20167001910A KR 101828402 B1 KR101828402 B1 KR 1018284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ay time
txop
adjusting
utilization
utilization 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1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0522A (ko
Inventor
마르텐 멘조 웬팅크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600305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05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8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84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33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 H04W74/0841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with collision treatment
    • H04W74/085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with collision treatment collision avoid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액세스 포인트와 다수의 무선 스테이션들 간의 향상된 네트워크 이용률을 위한 방법들, 시스템들 및 디바이스들이 설명된다. 스테이션(STA)은 송신 기회(TXOP) 뒤에 TXOP의 이용률을 결정할 수 있다. 결정을 기초로, STA는 후속 송신에 대한 지연 시간을 조정할 수 있다. 지연 시간의 조정은 과소 이용 TXOP 이후의 TXOP들에 대해 초기 경쟁 윈도우(CW)를 증가시키는 것, 백오프 값을 증가시키는 것, 그리고/또는 백오프들의 수를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증가된 지연 시간은 결국, 이러한 상황들에서 평균적으로 증가된 백오프 시간들이 될 수 있다. 지연 시간은 TXOP를 더 충분히 이용하는 특정 개수의 TXOP들에 이어 최소 지연 시간으로 감소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설정될 수 있는 TXOP 한계 대비 TXOP에 사용되는 시간의 양을 기초로 TXOP의 이용률이 결정될 수 있다.

Description

경쟁 제어 메커니즘{CONTENTION CONTROL MECHANISM}
[0001] 본 특허출원은 Wentink에 의해 "Contention Control Mechanism"이라는 명칭으로 2014년 5월 30일자 출원된 미국 특허출원 제14/292,006호, Wentink에 의해 "Contention Control Mechanism"이라는 명칭으로 2013년 7월 9일자 출원된 미국 가특허출원 제61/844,261호, 그리고 Wentink에 의해 "Contention Control Mechanism"이라는 명칭으로 2013년 7월 10일자 출원된 미국 가특허출원 제61/844,834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 출원들 각각은 본 출원의 양수인에게 양도되었다.
[0002]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은 음성, 비디오, 패킷 데이터, 메시징, 브로드캐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들을 제공하도록 폭넓게 전개된다. 이러한 무선 네트워크들은 이용 가능한 네트워크 자원들을 공유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들을 지원할 수 있는 다중 액세스 네트워크들일 수 있다.
[0003]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다수의 무선 스테이션들에 대한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들과 같은 다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스테이션(STA: station)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양방향으로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에서, STA는 다운링크 및 업링크를 통해 연관된 AP와 통신할 수 있다. 다운링크(또는 순방향 링크)는 AP로부터 STA로의 통신 링크를 의미하고, 업링크(또는 역방향 링크)는 STA로부터 AP로의 통신 링크를 의미한다.
[0004] WLAN들에서는, 다수의 STA들이 특정 AP와 통신하는 경우들이 존재할 수 있다. 무선 매체에 대한 액세스는 매체 액세스 제어(MAC: medium access control)를 통해 제어될 수 있는데, 이는 서로 다른 STA들이 강화된 분산 채널 액세스(EDCA: enhanced distributed channel access) 규칙들에 따라 무선 채널에 액세스하게 할 수 있다. EDCA 규칙들에는 STA가 백오프 없이 매체에 계속해서 액세스하도록 허용되는 시간의 듀레이션인 송신 기회(TXOP: transmit opportunity) 한계가 포함된다. 일부 전개들에서, 무선 네트워크는 무선 채널을 사용하여 송신되는 데이터의 액세스 등급(AC: access class)에 따라 4개의 서로 다른 액세스 우선순위들을 가질 수 있는데, 이들 각각은 서로 다른 TXOP 한계를 가질 수 있다.
[0005] 무선 네트워크의 이용률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특정 AC의 데이터에 대한 서비스 품질(QoS: quality of service) 기준들을 여전히 유지하면서, 무선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 서로 다른 STA들이 송신할 데이터를 각각 더 적게 포함하는 상대적으로 더 많은 TXOP들보다는 송신할 데이터를 각각 더 많이 포함하는 상대적으로 더 적은 TXOP들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0006] 액세스 포인트(AP)와 스테이션(STA) 간의 정보의 효율적인 송신들을 통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향상된 네트워크 이용률을 위한 다양한 방법들, 시스템들, 디바이스들 및 장치들이 설명된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 내의 STA는 송신 기회(TXOP)에 이어 TXOP의 이용률을 결정할 수 있다. 결정을 기초로, STA는 후속 송신에 대한 지연 시간을 조정할 수 있다. 지연 시간의 조정은 과소 이용 TXOP 이후의 TXOP들에 대해 초기 경쟁 윈도우(CW: contention window) 크기를 증가시키는 것, 백오프 값을 증가시키는 것, 그리고/또는 백오프들의 수를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초기 CW의 증가는 결국, 평균적으로 백오프 시간들의 증가가 될 수 있으며, 이는 후속 TXOP에서 송신되는 데이터의 양의 증가로 이어지며 이로써 네트워크 이용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지연 시간은 TXOP를 더 충분히 이용하는 특정 개수의 TXOP들에 이어 최소 지연 시간으로 감소될 수 있다. AP에 의해 설정될 수 있는 TXOP 한계 대비 TXOP에 사용되는 시간의 양을 기초로 TXOP의 이용률이 결정될 수 있다.
[0007] 본 개시의 한 양상에 따르면,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의 데이터의 송신 동안 송신 기회(TXOP)의 이용률을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이용률을 기초로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의 후속 송신에 대한 지연 시간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지연 시간을 조정하는 단계는 예를 들어, 상기 이용률이 미리 결정된 이용률 미만인 경우, 초기 CW 값을 증가시키는 단계, 백오프 값을 증가시키는 단계, 및/또는 백오프들의 수를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조정하는 단계는 또한, 상기 이용률이 미리 결정된 이용률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지연 시간을 감소시키는 단계, 또는 상기 이용률이 미리 결정된 이용률을 초과하고 미리 결정된 수의 이전 TXOP들의 이용률이 각각 상기 미리 결정된 이용률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지연 시간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0008] 일부 예들에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송신 기회(TXOP) 동안 데이터가 송신되는 시간 듀레이션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시간 듀레이션이 미리 결정된 시간 듀레이션보다 더 짧은 경우 상기 지연 시간을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지연 시간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예들에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TXOP의 최대 듀레이션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TXOP 동안 데이터가 송신되는 시간 듀레이션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시간 듀레이션과 상기 최대 듀레이션의 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일부 예들에서, 상기 지연 시간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비가 미리 결정된 비 미만인 경우 상기 지연 시간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 상기 지연 시간을 조정하는 단계는, 조정되지 않은 지연 시간을 사용하여 누적된 데이터의 양 대비 상기 후속 송신 이전의 추가 데이터의 누적을 감안하도록 상기 지연 시간을 조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TXOP의 이용률에 따라 상기 지연 시간을 스케일링하는 단계 중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0009] 일부 예들에서, 상기 지연 시간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이용률이 미리 결정된 이용률 미만인 경우 상기 지연 시간을 제 1 양만큼 증가시키는 단계, 및 후속 TXOP의 이용률이 상기 미리 결정된 이용률 미만인 경우 상기 지연 시간을 제 2 양만큼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예들에서, 상기 방법은 또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의 데이터의 후속 송신 동안 후속 TXOP의 제 2 이용률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이용률 및 제 2 이용률에 응답하여 상기 지연 시간을 재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지연 시간을 재조정하는 단계는 예를 들어, 상기 제 2 이용률이 미리 결정된 이용률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지연 시간을 최소 값으로 재설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 2 이용률이 미리 결정된 이용률 미만인 경우 상기 지연 시간을 더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0010] 본 개시의 다른 양상은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이 장치는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의 데이터의 송신 동안 송신 기회(TXOP)의 이용률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 및 결정된 이용률을 기초로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의 후속 송신에 대한 지연 시간을 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CW 값을 조정하기 위한 수단은 예를 들어, 상기 이용률이 미리 결정된 이용률 미만인 경우 CW 값을 증가시키거나, 백오프 값을 증가시키거나, 또는 백오프들의 수를 증가시키기 위한 수단 중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조정하기 위한 수단은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이용률이 미리 결정된 이용률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지연 시간을 감소시키기 위한 수단, 상기 이용률이 미리 결정된 이용률을 초과하고 미리 결정된 수의 이전 TXOP들의 이용률이 각각 상기 미리 결정된 이용률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지연 시간을 감소시키기 위한 수단, 상기 TXOP의 이용률에 따라 상기 지연 시간을 스케일링하기 위한 수단, 또는 상기 이용률이 미리 결정된 이용률 미만인 경우 상기 지연 시간을 제 1 양만큼 증가시키고, 후속 TXOP의 이용률이 상기 미리 결정된 이용률 미만인 경우 상기 지연 시간을 제 2 양만큼 증가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0011] 일부 예들에서, 상기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송신 기회(TXOP) 동안 데이터가 송신되는 시간 듀레이션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예들 중 일부에서, 상기 지연 시간을 조정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시간 듀레이션이 미리 결정된 시간 듀레이션보다 더 짧은 경우 상기 지연 시간을 증가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예들에서, 상기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TXOP의 최대 듀레이션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 상기 TXOP 동안 데이터가 송신되는 시간 듀레이션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시간 듀레이션과 상기 최대 듀레이션의 비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예들 중 일부에서, 상기 지연 시간을 조정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비가 미리 결정된 비 미만인 경우 상기 지연 시간을 증가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0012] 일부 예들에서, 상기 장치는 또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의 데이터의 후속 송신 동안 후속 TXOP의 제 2 이용률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이용률 및 제 2 이용률에 응답하여 상기 지연 시간을 재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지연 시간을 재조정하기 위한 수단은 예를 들어, 상기 제 2 이용률이 미리 결정된 이용률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지연 시간을 최소 값으로 재설정하기 위한 수단, 또는 상기 제 2 이용률이 미리 결정된 이용률 미만인 경우 상기 지연 시간을 더 증가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0013] 다른 양상에서,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이 장치는 일반적으로,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무선 통신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 및 송신 기회(TXOP) 동안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기를 포함한다. 이 장치는 또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의 데이터의 송신 동안 송신 기회(TXOP)의 이용률을 결정하고, 결정된 이용률을 기초로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의 후속 송신에 대한 지연 시간을 조정하도록 구성된 지연 시간 관리기를 포함한다.
[0014] 특정 예들에서, 상기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과 관련하여 앞서 설명한 기능의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양상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0015] 다른 양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의 데이터의 송신 동안 송신 기회(TXOP)의 이용률을 결정하게 하고 결정된 이용률을 기초로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의 후속 송신에 대한 지연 시간을 조정하게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가 제공된다.
[0016] 특정 예들에서,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프로그램 코드는 추가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과 관련하여 앞서 설명한 기능의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양상들을 수행하게 할 수도 있다.
[0017] 여기서는 다음의 상세한 설명이 더 잘 이해될 수 있도록 본 개시에 따른 예들의 특징들 및 기술적 이점들의 개요를 상당히 광범위하게 서술하였다. 추가 특징들 및 이점들이 아래에 설명될 것이다. 개시되는 개념 및 특정 예들은 본 개시의 동일한 목적들을 실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들을 수정 또는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서 쉽게 활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대등한 구성들은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연관된 이점들과 함께, 본 명세서에 개시된 개념들의 구조 및 동작 방법 모두에 대해 그러한 개념들의 특성이라고 여겨지는 특징들은 첨부 도면들과 관련하여 고려될 때 다음 설명으로부터 더 잘 이해될 것이다. 도면들 각각은 청구항들의 한정들의 정의로서가 아니라 예시 및 설명만을 목적으로 제공된다.
[0018] 다음 도면들을 참조로 본 개시의 특성 및 이점들의 추가적인 이해가 실현될 수 있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유사한 컴포넌트들 또는 피처들은 동일한 참조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동일한 타입의 다양한 컴포넌트들은 참조 레벨 다음에 대시 기호 및 유사한 컴포넌트들 사이를 구별하는 제 2 라벨에 의해 구별될 수 있다. 명세서에서 제 1 참조 부호만 사용된다면, 설명은 제 2 참조 부호와 관계없이 동일한 제 1 참조 부호를 갖는 유사한 컴포넌트들 중 임의의 한 컴포넌트에 적용 가능하다.
[0019] 도 1은 다양한 예들에 따라 향상된 네트워크 이용률을 지원하는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WLAN)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을 보여준다.
[0020] 도 2는 다양한 예들에 따라 액세스 포인트(AP)와 스테이션(STA) 간의 프레임 교환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을 보여준다.
[0021] 도 3은 다양한 예들에 따라 AP와 STA 간의 데이터 송신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을 보여준다.
[0022] 도 4는 다양한 예들에 따른 무선 채널 액세스를 위한 경쟁 윈도우(CW)의 조정과 관련된 동작들의 일례의 흐름도이다.
[0023] 도 5는 다양한 예들에 따른 무선 채널 액세스를 위한 CW의 조정과 관련된 동작들의 일례의 다른 흐름도이다.
[0024] 도 6은 다양한 예들에 따른 무선 채널 액세스를 위한 CW의 조정과 관련된 동작들의 일례의 다른 흐름도이다.
[0025] 도 7은 다양한 예들에 따라 CW를 조정하기 위한 아키텍처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를 보여준다.
[0026] 도 8은 다양한 예들에 따른 STA 아키텍처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를 보여준다.
[0027] 도 9는 다양한 예들에 따른 AP 아키텍처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를 보여준다.
[0028] 도 10은 다양한 예들에 따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지연 시간 조정을 위한 방법의 일례의 흐름도이다.
[0029] 도 11은 다양한 예들에 따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지연 시간 조정을 위한 다른 방법의 일례의 흐름도이다.
[0030] 도 12는 다양한 예들에 따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지연 시간 조정을 위한 또 다른 방법의 일례의 흐름도이다.
[0031] 도 13은 다양한 예들에 따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지연 시간의 동적 제어를 위한 방법의 일례의 흐름도이다.
[0032] 설명되는 예들은 액세스 포인트(AP)와 스테이션(STA) 간의 정보의 효율적인 송신들을 통해 네트워크 이용률 및 전력 보존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무선 채널에 액세스하기 위한 방법들, 시스템들, 디바이스들 및 장치들에 관련된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 내의 STA는 송신 기회(TXOP)에 이어 TXOP의 이용률을 결정할 수 있다. 어떤 경우들에는, AP에 의해 설정될 수 있는 TXOP 한계 대비 TXOP에 사용되는 시간의 양을 기초로 이용률이 결정될 수 있다. 결정을 기초로, STA는 후속 송신에 대한 지연 시간을 조정할 수 있다. 지연 시간의 조정은 과소 이용되는 TXOP 또는 충분히 이용되는 TXOP 이후의 TXOP들에 대해 초기 경쟁 윈도우(CW) 크기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것, 백오프 값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것, 그리고/또는 백오프들의 수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과소 이용 TXOP의 경우, 초기 CW 크기를 증가시킴으로써 지연 시간이 증가될 수 있다. 이는 결국, 평균적으로 백오프 시간들의 증가가 될 수 있으며, 이는 후속 TXOP에서 송신될 데이터의 양의 증가로 이어짐으로써 네트워크 이용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충분히 이용되는 TXOP의 경우, 어떤 경우들에는 TXOP를 더 충분히 이용하는 특정 개수의 TXOP들에 이어 초기 지연 시간이 최소 지연 시간으로 감소될 수도 있다.
[0033] 본 명세서에서 제시되는 채널 액세스 기술들은 단순성을 위해 일반적으로 WLAN들과 관련하여 설명된다. WLAN(또는 Wi-Fi 네트워크)은 다양한 IEEE 802.11 표준들(예를 들어, 802.11a/g, 802.11n, 802.11ac, 802.11ah 등)에서 기술되는 프로토콜들을 기반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의미할 수 있다. 그러나 동일한 또는 비슷한 기술들은 셀룰러 무선 시스템들, 피어 투 피어 무선 통신들, 애드 혹 네트워크들, 위성 통신 시스템들 및 다른 시스템들과 같은 다양한 다른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 사용될 수 있다. "시스템"과 "네트워크"라는 용어들은 흔히 상호 교환 가능하게 사용된다.
[0034] 따라서 다음 설명은 예들을 제공하며, 청구항들에 제시된 범위, 적용 가능성 또는 구성의 한정이 아니다.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논의되는 엘리먼트들의 기능 및 배치에 변경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양한 예들은 다양한 프로시저들 또는 컴포넌트들을 적절히 생략, 치환 또는 추가할 수 있다. 예컨대, 설명되는 방법들은 설명되는 것과 다른 순서로 수행될 수도 있고, 다양한 단계들이 추가, 생략 또는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특정 예들에 관하여 설명되는 특징들은 다른 예들로 결합될 수도 있다.
[0035]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양상들에 따라 향상된 네트워크 이용률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무선 통신 네트워크(100), 예컨대 WLAN 또는 Wi-Fi 네트워크가 도시된다. WLAN 네트워크(100)는 AP(105) 및 다수의 연관된 STA들(115)을 포함한다. 이 예에서는, STA_1, STA_2, STA_3, STA_4, STA_5, STA_6 그리고 STA_7로서 식별되는 7개의 STA들(115)이 도시된다. 그러나 도시된 수는 단지 예시 목적이므로 WLAN 네트워크(100)는 도 1에 도시된 것들보다 더 많은 또는 더 적은 STA들(115)을 가질 수도 있다. AP(105) 및 연관된 STA들(115)은 기본 서비스 세트(BSS: basic service set)를 나타낼 수 있다. BSS 내의 다양한 STA들(115)은 AP(105)를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WLAN 네트워크(100)의 기본 서비스 영역(BSA: basic service area)을 나타낼 수도 있는 AP(105)의 커버리지 영역(120)이 또한 도시된다. 도 1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WLAN(100)과 연관된 BSS는 일반적으로 다수의 AP들이 확장된 서비스 세트에 접속되게 하는 유선 또는 무선 분산 시스템(DS: distribution system)에 접속된다.
[0036] AP(105)는 송신들(130)을 사용하여 STA들(115) 각각과 양방향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송신들(130)은 AP(105)로부터 STA(115)로 전송되는 다운링크 송신들(예를 들어, 비컨 프레임들)뿐만 아니라 STA(115)로부터 AP(105)로 전송되는 데이터 프레임들의 업링크 송신들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업링크 송신들은 송신 기회(TXOP)로 지칭된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100)에서 무선 매체를 통한 서로 다른 STA들(115)에 의한 동시 송신들은 송신들 간에 충돌들을 야기할 수도 있으며, 이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100)의 효율을 저하시킬 수도 있다. STA들(115) 간의 충돌들은 아래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STA들(115)이 백오프 기간 이후에 통신을 재송신하려고 시도하는 결과를 야기하는 경쟁 메커니즘들에 따라 해결될 수 있다. 백오프에 의해 분리되는 많은 짧은 TXOP들을 전송하는 STA(115)는 트래픽을 더 길지만 더 적은 TXOP들로 그룹화하는 STA(115)보다 훨씬 더 높은 경쟁 활동성을 가질 것이다. 다양한 예들에서, 후자는 아래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과소 이용 TXOP 이후의 후속 송신을 시작하기 전에 지연 시간을 조정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들에 따라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지연 시간 조정은 더 적은 경쟁 및 그에 따라 더 적은 충돌들을 야기할 수 있는 상대적으로 더 적은 TXOP들을 야기할 수 있다. 이는 향상된 네트워크 효율뿐 아니라, STA들(115)과 AP(105) 모두에서의 감소된 전력 소모도 야기할 수 있다.
[0037] 이제 도 2를 참조하면, STA(115-a)와 AP(105-a) 간의 송신들의 일례(200)가 설명된다. STA(115-a) 및 AP(105-a)는 도 1의 STA들(115) 및 AP(105)의 예들일 수도 있다. 도시된 예에서, STA(115-a)는 블록(205)에 표시된 바와 같이 TXOP를 완료했다고 추정된다. 성공적으로 수신된 송신에 응답하여, AP(105-a)는 STA(115-a)에 확인 응답(210)을 송신할 수 있다. 일례에 따르면, 성공적으로 수신된 각각의 프레임에 대해, AP(105-a)는 짧은 프레임 간 간격(SIFS: short interframe space) 이후에 확인 응답(ACK: acknowledgement)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는데, SIFS는 DIFS보다 더 짧고, 따라서 다른 스테이션들이 매체에 대한 액세스를 얻으려고 시도하는 결과를 야기하지 않는다. 다른 스테이션들은 DIFS 유휴 시간 이후에 백오프 프로세스를 재개한다. ACK 프레임이 없을 때, STA는 어느 경우든 STA(115-a)가 다른 랜덤 백오프 이후에 데이터를 재송신할 수 있으면 송신이 성공적이지 않았다고 결정할 수 있다.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또는 그렇지 않게 송신되었다고 결정한 후, STA(115-a)는 블록(215)에 표시된 바와 같이, 경쟁 윈도우(CW) 크기 및 CW 크기를 기초로 한 백오프 카운터를 설정할 수 있다. 백오프 카운터는 [0,CW] 간격에 걸친 균일 분포로부터 도출된 임의의 정수로서 결정될 수 있다. 다양한 예들에 따라, CW 크기는 아래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주어진 액세스 등급(AC)에 대해 요구되는 서비스 품질(QoS)을 유지하면서 네트워크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서로 다른 기술들에 따라 계산될 수 있다. 백오프 프로세스 동안 채널이 사용중이 된다면, 백오프 카운터가 중단될 수도 있다. 채널이 다시 유휴 상태가 되고, 추가 분산 조정 기능(DCF: distributed coordination function) 프레임 간 간격(DIFS: DCF interframe space) 시간 간격 동안 유휴 상태를 유지하면, 중단된 백오프 카운터 값으로 백오프 프로세스가 재개된다.
[0038] 백오프 카운터의 만료 이후, STA(115-a)는 도 2의 예에 따라, 전송 요청(RTS: request to send)(220)을 AP(105-a)에 송신할 수 있다. 다른 STA와의 충돌이 없는 경우, 이러한 예의 AP(105-a)는 전송 가능(CTS: clear to send) 표시(225)를 STA(115-a)에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RTS/CTS 송신들은 일부 예들에서는 프레임 충돌들을 감소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지만, 다른 예들은 RTS/CTS 통신들을 구현하지 않을 수도 있다. STA(115-a)는 다음에 230에 표시된 바와 같이, AP(105-a)에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TXOP 한계, 또는 STA(115-a)의 버퍼 내의 모든 데이터의 송신에 이어, TXOP는 블록(235)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완료된 것으로 추정되며, 다음에 프로세스가 반복된다.
[0039] 일부 예들에서, CW는 성공적인 TXOP 이후에 최소 CW 크기(CWmin)로 설정(또는 재설정)될 수 있으며, 여기서 Cwmin은 TXOP가 얻어진 AC에 대한 최소 CW이다. 성공적인 TXOP 이후에 사용되는 CW는 초기 CW로 지칭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예들에서는, 하나 또는 다수의 메커니즘들을 사용함으로써 네트워크의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TXOP의 완료에서부터 후속 TXOP의 시작까지의 지연 시간이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속 송신들에 대한 초기 CW를 조정함으로써, 후속 송신들에 대한 백오프 값을 직접 조정함으로써, 그리고/또는 후속 TXOP를 시작하기 전에 백오프들의 수를 조정함으로써 지연 시간이 조정될 수도 있다. 성공하지 못한 송신의 경우, 강화된 분산 채널 액세스(EDCA) 규칙들마다 CW를 증가시킴으로써 지연 시간이 증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성공하지 못한 송신 시도에 이어, CWmax의 상한을 갖고 2*(CW + 1) - 1로 업데이트된 새로운 CW 값을 사용하여 다른 백오프가 수행된다. CWmin 및 Cwmax는 특정 AC 및 서로 다른 AC들의 QoS 요건들에 따라 AP(105-a)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다. 새로운 CW 값 및 선택된 백오프 시간은 채널에 액세스하려고 시도하는 다수의 STA들이 존재하는 경우에 충돌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0040] 이제 도 3을 참조하면, 다양한 예들에 따라 STA(115-b)와 AP(105-b) 간의, 예컨대 도 1 또는 도 2의 STA(115)와 AP(105) 간의 송신들의 일례(300)가 설명된다. 이 예에서, STA(115-b)와 AP(105-b)는 앞서 논의한 RTS/CTS 기술들을 구현할 수 있으며, RTS 송신에서 충돌이 발생하여, 새로운 CW가 설정되고 새로운 백오프 카운터가 설정되는 결과를 야기할 수도 있다. RTS/CTS 기술들을 이용하지 않는 다른 예들에서, STA(115-b)는 바로 TXOP를 시작할 수도 있고, 제 1 프레임에 이어 AP(105-b)로부터의 ACK가 없으면, STA(115-b)는 충돌이 발생했다고 결정할 수도 있다. 도 3의 예에서, AP(105-b)는 STA(115-b)에 CTS(305)를 전송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SIFS(310) 이후에, STA는 TXOP(315)를 시작하여 AP(105-b)에 의해 설정된 TXOP 한계까지의 듀레이션 동안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STA(115-b)가 할당된 TXOP 듀레이션 동안 송신하기에 충분한 데이터를 자신의 버퍼에 갖지 않는 경우에, TXOP 한계에 도달하기 전에 TXOP가 끝날 수도 있다. 그러나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러한 더 짧은 송신들은 네트워크 효율을 저하시킬 수도 있다. TXOP(315)에 이어, 백오프 기간이 결정될 수 있다. 백오프 기간은 다양한 예들에 따라 다수의 방식들로 결정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 따르면, 백오프 값은 TXOP 직후에 설정될 수도 있고, 백오프 값은 TXOP(315)의 이용률을 기초로 더 긴 또는 더 짧은 시간 지연들을 제공하도록 조정될 수도 있다. 다른 예들에서는, 후속 TXOP의 초기화 이전에 다수의 백오프 기간들이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백오프들의 수는 TXOP(315)의 이용률을 기초로 조정된다. 추가 예들에서, TXOP(315)의 이용률을 기초로 초기 CW 크기가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STA(115-b)가 TXOP 한계의 미리 결정된 임계치 동안 데이터를 송신하지 않았다면, 초기 CW 크기가 증가됨으로써, 후속 TXOP 이전에 백오프 기간을 잠재적으로 증가시킬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공된 예들 중 다수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후속 TXOP들에 대한 지연 시간의 조정에 관련되지만, 이러한 예들에서 설명된 개념들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쉽게 인식되는 바와 같이,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후속 TXOP들 이전에 지연 시간을 조정하기 위한 다른 기술들에 적용된다.
[0041] 계속 도 3을 참조하면, STA(115-b)는 백오프 카운터의 만료 이후 RTS(325)를 송신하고 AP(105-b)로부터의 CTS(335)를 위해 SIFS(330) 기간을 대기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예에서는 다른 STA로부터의 RTS와의 충돌이 발생했기 때문에, STA(115-b)는 CTS(335)를 수신하지 않는다. 그 결과, STA(115-b)는 초기 CW 크기를 기초로 한 새로운 CW 크기로부터의 새로운 백오프 기간(340)을 설정한다. 백오프 기간(340)의 만료 이후, STA(115-b)는 다른 RTS(345)를 송신한다. 또, STA(115-b)는 AP(105-b)로부터의 CTS(355)를 위해 SIFS(350) 기간 동안 대기한다. STA(115-b)가 AP(105-b)로부터 CTS(355)를 수신한다면, STA(115-b)는 TXOP(365)를 시작하기 전에 다른 SIFS 기간(360) 동안 대기한다. 다수의 충돌들이 발생하는 경우에, CW는 예를 들어, 송신되고 있는 데이터의 AC를 기초로 AP에 의해 설정될 수 있는 Cwmax의 값까지 여러 배 증가될 수도 있다.
[0042] 이제 도 4를 참조하면, 다양한 예들에 따라 STA에서 초기 CW 크기를 조정하기 위한 방법(400)의 흐름도가 논의된다. 도 4에 도시된 예시적인 방법에서는, TXOP의 실제 이용률을 기초로 초기 CW를 스케일링함으로써 새로운 CW가 얻어질 수 있다. 특히, 개시되는 방법은 TXOP가 실제로 실현되는 TXOP에 비해 너무 긴(즉, 실현되는 TXOP가 너무 짧은) 경우일 수도 있는, TXOP가 과소 이용되는 경우 또는 실현되는 TXOP 듀레이션이 미리 설정된 특정 임계치를 초과하는(즉, 실현되는 TXOP가 너무 긴) 경우일 수도 있는, TXOP가 충분히 이용되는 경우에 초기 CW를 스케일링하는 것을 제공한다. 방법(400)은 예를 들어, 도 1 - 도 3의 STA(115), 또는 아래 논의되는 도 7 - 도 8의 디바이스들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방법은 블록(405)에서, STA가 RTS 프레임을 송신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블록(410)에서, STA는 CTS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STA가 CTS가 수신되지 않는다고 결정한다면, STA는 블록(415)에 표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충돌 회피 기술들에 따라 CW를 CWmax의 한계까지 증가시킨다. STA는 다음에 블록(420)에 표시된 바와 같이, CW를 기초로 설정된 백오프 카운터가 만료하길 기다리고, 블록(405)에 도시된 동작을 실행하도록 진행한다. 다른 한편으로, STA가 CTS가 수신된다고 결정한다면, STA는 블록(425)에 표시된 바와 같이, TXOP 동안 AP에 데이터를 송신하기 시작한다. 블록(430)에서, STA는 TXOP의 이용률을 결정한다. 일부 예들에서는, 블록(425)에서 송신되는 데이터의 듀레이션(즉, 실현되는 TXOP) 대비 TXOP 한계 듀레이션을 기초로 TXOP 이용률이 결정될 수도 있다. 다른 예들에서는, TXOP 듀레이션 동안 송신될 수 있는 이론상 최대 데이터의 양 대비 TXOP 동안 송신되는 데이터의 양을 기초로 TXOP 이용률이 결정될 수도 있다.
[0043] 블록(435)에서, STA는 TXOP 이용률이 미리 설정된 임계치보다 더 큰지 여부를 결정한다. 일부 예들에서, 미리 설정된 임계치는 송신되고 있는 데이터의 AC 및/또는 현재 네트워크 상태들을 기초로 AP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다. 미리 설정된 임계치는 일부 예들에 따르면, TXOP 한계의 80%로 설정될 수도 있다. TXOP 이용률이 임계치 미만이어서, TXOP가 과소 이용되고 있음을 나타낸다면, STA는 블록(440)에 표시된 바와 같이, CWmin 및 결정된 TXOP 이용률을 기초로 초기 CW를 조정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조정된 초기 CW는 다음 공식에 따라 실제 TXOP 이용률로 스케일링된 CWmin 값을 설정할 수도 있다:
Figure 112016007342490-pct00001
따라서 조정된 초기 CW는 더 큰 CW가 될 것이며, 이는 평균적으로 더 긴 백오프를 야기할 것이며, 이로써 다음 TXOP 전에 더 많은 데이터 트래픽이 누적되게 할 것이다. 이는 결국 후속 TXOP가 더 길어지게 하고 이로써 네트워크 이용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STA는 CW의 조정에 이어 블록(420)에 표시된 동작을 실행하도록 진행할 수 있다.
[0044] 블록(445)에서, TXOP 이용률이 임계치보다 더 크다면, STA는 마지막 X개의 TXOP들 동안 TXOP 이용률이 미리 설정된 임계치보다 더 컸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례에 따르면, X는 10으로 설정될 수도 있지만, X 값은 임의의 다른 값으로 설정될 수도 있고 또는 현재 네트워크 상태들을 기초로 AP에 의해 적응적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마지막 X개의 TXOP들이 임계치보다 더 크지 않았던 경우에는, 블록(450)에 표시된 바와 같이, 초기 CW가 조정된 초기 CW로 유지될 수 있다. 임계치를 초과하는 TXOP의 경우에는 CW 크기의 감소에 해당하는 CW의 조정에 이어, STA는 블록(420)에 표시된 동작을 실행하도록 진행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마지막 X개의 TXOP들이 TXOP 임계치보다 더 컸다고 결정된다면, 초기 CW는 블록(455)에 표시된 바와 같이, 송신되고 있는 데이터의 특정 AC에 대응하는 CWmin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STA가 짧은 버스트들의 데이터를 송신하고 있는(즉, 실현되는 TXOP가 너무 짧은) 경우에는 초기 CW를 증가시키도록 히스테리시스가 구현되는 한편, STA가 전체 TXOP들을 송신하고 있는(즉, 실현되는 TXOP 듀레이션이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거나 그와 같은) 경우에는 CW가 다시 CWmin으로 설정될 수 있다.
[0045] 이제 도 5를 참조하면, STA에서 초기 CW 크기를 조정하기 위한 다른 방법(500)의 흐름도가 도시된다. CW는 초기 CW로서의 역할을 할 수도 있는데, 이는 그 CW가 프레임의 초기 송신(즉, 프레임의 재송신이 아님)에 사용됨을 의미한다. 도 5의 예시적인 방법에 따르면, TXOP가 과소 이용되는 경우에 CW는 미리 결정된 더 큰 초기 CW로 조정될 수 있다. 방법(500)은 예를 들어, 도 1 - 도 3의 STA들(115), 또는 아래 논의되는 도 7 - 도 8의 디바이스들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방법은 블록(505)에서, STA가 RTS 프레임을 송신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블록(510)에서, STA는 CTS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STA가 CTS가 수신되지 않는다고 결정한다면, STA는 블록(515)에 표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충돌 회피 기술들에 따라 CW를 CWmax의 한계까지 증가시킨다. STA는 다음에 블록(520)에 표시된 바와 같이, CW를 기초로 설정된 백오프 카운터가 만료하길 기다리고, 블록(505)에 표시된 동작을 실행하도록 진행한다. STA가 CTS를 수신한다면, STA는 블록(525)에 표시된 바와 같이, TXOP 동안 데이터를 AP에 송신한다. 블록(530)에서, STA는 TXOP의 이용률을 결정한다. 앞서 논의한 바와 같이, 일부 예들에 따르면 블록(525)에서 송신되는 데이터의 듀레이션 대비 TXOP 한계 듀레이션을 기초로 TXOP 이용률이 결정될 수도 있다. 다른 예들에서, TXOP 듀레이션 동안 송신될 수 있는 이론상 최대 데이터의 양 대비 TXOP 동안 송신되는 데이터의 양을 기초로 TXOP 이용률이 결정될 수도 있다.
[0046] 블록(535)에서, STA는 이용률이 미리 설정된 임계치보다 더 큰지 여부를 결정한다. 일부 예들에서, 미리 설정된 임계치는 AC 및/또는 현재 네트워크 상태들을 기초로 AP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임계치는 앞서 논의한 것과 비슷하게 TXOP 한계의 80%로 설정될 수도 있다. TXOP 이용률이 임계치 미만이라면, STA는 블록(540)에 표시된 바와 같이, 조정된 CW를 2*(CWmin + 1) - 1로 설정함으로써 초기 CW를 조정하여, TXOP가 충분히 길지 않을 때, 조정된 초기 CW를 더 크게 할 수도 있다. 이는 평균적으로 더 긴 백오프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는 결국 다음 TXOP 전에 더 많은 데이터 트래픽이 누적되게 하여 후속 TXOP를 더 길게 하고, 따라서 향상된 네트워크 이용률을 야기할 것이다. 초기 CW를 조정한 후, STA는 다음에 블록(520)에 명시된 동작을 실행하도록 진행할 수 있다.
[0047] 블록(535)에서 TXOP 이용률이 미리 설정된 임계치보다 더 크다고 결정된다면, STA는 블록(545)에 표시된 바와 같이, 마지막 X개의 TXOP들 동안 TXOP가 임계치를 초과했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진행할 수 있다. 앞서 논의한 바와 같이, X는 10으로 설정될 수도 있지만, X 값은 임의의 다른 값으로 설정될 수도 있고 또는 현재 네트워크 상태들을 기초로 AP에 의해 적응적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마지막 X개의 TXOP들이 임계치보다 더 크지 않았다면, 블록(550)에 표시된 바와 같이, 초기 CW가 조정된 초기 CW로 유지될 수 있고, 블록(520)에서 동작들이 계속된다. 마지막 X개의 TXOP들이 TXOP 임계치보다 더 컸다면, 초기 CW는 블록(555)에 표시된 바와 같이, 송신되고 있는 데이터의 특정 AC에 대해 CWmin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 STA가 짧은 버스트들의 데이터를 송신하고 있고, STA가 전체 TXOP들을 송신하고 있을 때 초기 CW가 다시 CWmin으로 설정되게 하는 경우에는 초기 CW를 증가시키도록 히스테리시스가 구현된다.
[0048] 또 추가 예들에서, CW는 다수의 과소 이용 TXOP들에 따라 초기 CW 크기를 증가시키도록 하나의 단계보다 많은 단계에서 조정될 수 있으며, 또한 더 충분히 이용되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TXOP들에 따라 초기 CW 크기를 감소시키도록 하나의 단계보다 많은 단계에서 조정될 수도 있다. 도 6은 두 단계들을 사용하여 초기 CW 크기를 증가시키는 일례의 방법(600)을 나타낸다. 방법(600)은 예를 들어, 도 1 - 도 3의 STA들(115), 또는 아래 논의되는 도 7 - 도 8의 디바이스들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방법은 블록(605)에서, STA가 RTS 프레임을 송신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블록(610)에서, STA는 CTS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CTS가 수신되지 않는다면, STA는 블록(615)에 표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충돌 회피 기술들에 따라 CW를 CWmax의 한계까지 증가시킬 수 있다. STA는 다음에 블록(620)에 표시된 바와 같이, CW를 기초로 설정된 백오프 카운터가 만료하길 기다릴 수 있으며, 블록(605)에 표시된 동작을 실행하도록 진행할 수 있다. STA가 CTS를 수신하는 경우에, STA는 블록(625)에 표시된 바와 같이, TXOP 동안 데이터를 AP에 송신하도록 진행할 수 있다. TXOP에 이어, STA는 블록(630)에 표시된 바와 같이, TXOP의 이용률을 결정할 수 있다. 앞서 논의한 바와 같이 일부 예들에서는, 블록(625)에서 송신되는 데이터의 듀레이션 대비 TXOP 한계 듀레이션을 기초로 TXOP 이용률이 결정될 수도 있다. 다른 예들에서는, TXOP 듀레이션 동안 송신될 수 있는 이론상 최대 데이터의 양 대비 TXOP 동안 송신되는 데이터의 양을 기초로 TXOP 이용률이 결정될 수도 있다.
[0049] 블록(635)에서, STA는 이용률이 미리 설정된 임계치 미만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일부 예들에서, 미리 설정된 임계치는 AC 및/또는 현재 네트워크 상태들을 기초로 AP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미리 설정된 임계치는 앞서 논의한 것과 비슷하게 TXOP 한계의 80%로 설정될 수도 있다. TXOP 이용률이 임계치이거나 그 이상이라면, STA는 블록(640)에 표시된 바와 같이, 마지막 X개의 TXOP들 동안 TXOP들이 임계치보다 더 컸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X는 10으로 설정될 수도 있지만, X 값은 임의의 다른 값으로 설정될 수도 있고 또는 현재 네트워크 상태들을 기초로 AP에 의해 적응적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마지막 X개의 TXOP들이 임계치보다 더 크지 않았다면, 블록(645)에 표시된 바와 같이, 초기 CW가 조정된 초기 CW로 유지될 수 있고, 블록(620)에서 동작들이 계속될 수 있다. 마지막 X개의 TXOP들이 TXOP 임계치보다 더 크다면, 초기 CW는 블록(650)에 표시된 바와 같이, 송신되고 있는 데이터의 특정 AC에 대해 CWmin으로 설정될 수 있다.
[0050] STA가 블록(635)에서 TXOP 이용률이 임계치 미만이었다고 결정하는 경우, STA는 다음에 블록(655)에 표시된 바와 같이, TXOP가 TXOP 이용률이 임계치 미만인 첫 번째 TXOP인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진행할 수 있다. TXOP가 TXOP 이용률이 임계치 미만인 첫 번째 TXOP라면, STA는 블록(660)에 표시된 바와 같이, 조정된 초기 CW가 2*(CWmin + 1) - 1에 따라 결정되도록 초기 CW를 조정할 수도 있고, 블록(620)에서 동작들이 계속될 수 있다. TXOP가 TXOP 이용률이 임계치 미만인 첫 번째 TXOP가 아니라면, STA는 블록(665)에 표시된 바와 같이, 조정된 초기 CW가 4*(CWmin + 1) - 1에 따라 결정되도록 초기 CW를 추가 조정할 수 있으며, 블록(620)에서 동작들이 계속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초기 CW는 두 단계들로 조정될 수 있는데, 이는 STA의 특정 트래픽을 기초로 한 더 큰 경쟁 윈도우들을 야기할 것이며, 이는 평균적으로 더 긴 백오프를 야기하고, 이로써 다음 TXOP 전에 더 많은 데이터 트래픽이 누적되게 할 것이다.
[0051] 이제 도 7을 참조하면, 블록도는 앞서 논의한 다양한 예들로 개시된 바와 같이 시간을 지연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는 디바이스(700)를 나타낸다. 디바이스(700)는 도 1 - 도 2, 또는 아래 설명될 도 8 - 도 9를 참조로 설명되는 AP들(105) 또는 STA들(115)의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양상들의 일례일 수도 있다. 디바이스(700) 또는 그 일부분들은 또한 프로세서일 수도 있다. 디바이스(700)는 수신기 모듈(710), 지연 시간 모듈(715) 및/또는 송신기 모듈(720)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컴포넌트들 각각은 서로 통신할 수도 있다. 수신기 모듈(710), 지연 시간 모듈(715) 및/또는 송신기 모듈(720)을 통해 디바이스(700)는 도 2 - 도 6을 참조로 앞서 논의한 것과 비슷하게, 더 높은 이용률을 갖는 TXOP들을 송신하기 위해 이전 TXOP 이용률을 기초로 결정된 타이밍에 따라 TXOP들을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0052] 도 8을 참조하면, 다양한 예들에 따라 TXOP 이용률을 기초로 한 지연 시간 조정을 위해 구성된 STA(115-c)를 나타내는 도면(800)이 도시된다. STA(115-c)는 다양한 다른 구성들을 가질 수도 있고 개인용 컴퓨터(예를 들어, 랩톱 컴퓨터, 넷북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등), 셀룰러 전화, PDA,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DVR: digital video recorder), 인터넷 어플라이언스, 게임 콘솔, e-리더들 등에 포함되거나 이들의 일부일 수도 있다. STA(115-c)는 모바일 동작을 가능하게 하도록 소형 배터리와 같은 (도시되지 않은) 내부 전원을 가질 수도 있다. STA(115-c)는 STA들(115)의 일례일 수도 있고 도 1 - 도 6의 다양한 동작들을 구현할 수도 있다.
[0053] STA(115-c)는 프로세서 모듈(805), 메모리 모듈(810), 트랜시버 모듈(825), 안테나들(830) 및 지연 시간 관리 모듈(820)을 포함할 수 있다. 지연 시간 관리 모듈(820)은 도 7의 지연 시간 모듈(715)의 일례일 수도 있다. 이러한 컴포넌트들 각각은 예를 들어,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버스들을 통해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서로 통신할 수도 있다.
[0054] 메모리 모듈(810)은 RAM 및 ROM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모듈(810)은 실행될 때 프로세서 모듈(805)로 하여금, 지연 시간 조정들을 위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된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컴퓨터 실행 가능 소프트웨어(SW: software) 코드(815)를 저장할 수도 있다. 대안으로, 소프트웨어 코드(815)는 프로세서 모듈(805)에 의해 직접 실행 가능한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컴파일링 및 실행될 때) 컴퓨터로 하여금 본 명세서에 설명한 기능들을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0055] 프로세서 모듈(805)은 지능형 하드웨어 디바이스, 예를 들어 CPU, 마이크로컨트롤러, ASI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 모듈(805)은 트랜시버 모듈(825)을 통해 수신된 그리고/또는 안테나들(830)을 통한 송신을 위해 트랜시버 모듈(825)로 전송될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프로세서 모듈(805)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TXOP 이용률 및 TXOP 이용률을 기초로 한 지연 시간 조정에 대한 다양한 양상들을, 단독으로 또는 지연 시간 관리 모듈(820)과 관련하여 다룰 수도 있다.
[0056] 트랜시버 모듈(825)은 도 1 - 도 2의 AP들(105)과 양방향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트랜시버 모듈(825)은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송신기 모듈들 및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개별 수신기 모듈들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트랜시버 모듈(825)은 패킷들을 변조하여 변조된 패킷들을 송신을 위해 안테나들(830)에 제공하도록, 그리고 안테나들(830)로부터 수신된 패킷들을 복조하도록 구성된 모뎀을 포함할 수 있다. STA(115-c)는 단일 안테나를 포함할 수도 있지만, STA(115-c)가 다수의 안테나들(830)을 포함할 수도 있는 예들이 있을 수도 있다.
[0057] STA(115-c)의 컴포넌트들은 도 2 - 도 7에 관해 앞서 논의한 양상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간결성을 위해 여기서 그러한 양상들은 반복되지 않을 수도 있다. 더욱이, STA(115-c)의 컴포넌트들은 도 9 - 도 13에 관해 아래 논의되는 양상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간결성을 위해 여기서 그러한 양상들은 또한 반복되지 않을 수도 있다.
[0058] 도 9를 참조하면, 다양한 예들에 따라 지연 시간 관리를 위해 구성된 AP(105-c)를 나타내는 도면(900)이 도시된다. 일부 예들에서, AP(105-c)는 도 1 - 도 2의 AP들(105)의 일례일 수도 있다. AP(105-c)는 프로세서 모듈(910), 메모리 모듈(920), 트랜시버 모듈(930), 안테나들(940) 및 지연 시간 제어 모듈(945)을 포함할 수도 있다. 지연 시간 제어 모듈(945)은 도 7의 지연 시간 모듈(715)의 일례일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AP(105-c)는 또한 AP 통신 모듈(980)과 네트워크 통신 모듈(985) 중 하나 또는 둘 다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컴포넌트들 각각은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버스들(915)을 통해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서로 통신할 수도 있다.
[0059] 메모리 모듈(920)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andom access memory) 및 판독 전용 메모리(ROM: read-only memory)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모듈(920)은 또한, 실행될 때 프로세서 모듈(910)로 하여금, AP에 의한 지연 시간 관리(예를 들어, TXOP 한계들, 액세스 등급별 과소 이용 TXOP들에 따른 지연 시간 조정 등)를 위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된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컴퓨터 실행 가능 소프트웨어(SW) 코드(925)를 저장할 수도 있다. 대안으로, 소프트웨어 코드(925)는 프로세서 모듈(910)에 의해 직접 실행 가능한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컴파일링 및 실행될 때, 컴퓨터로 하여금 본 명세서에 설명한 기능들을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0060] 프로세서 모듈(910)은 지능형 하드웨어 디바이스, 예를 들어 중앙 처리 유닛(CPU: central processing unit), 마이크로컨트롤러, 주문형 집적 회로(ASIC: 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 모듈(910)은 트랜시버 모듈(930), AP 통신 모듈(980) 및/또는 네트워크 통신 모듈(985)을 통해 수신된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프로세서 모듈(910)은 또한 안테나들(940)을 통한 송신을 위해 트랜시버 모듈(930)로, AP 통신 모듈(980)로, 그리고/또는 네트워크 통신 모듈(985)로 전송될 정보를 처리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 모듈(910)은 앞서 논의한 바와 같은 지연 시간 관리 및 조정과 관련된 다양한 양상들을, 단독으로 또는 지연 시간 제어 모듈(945)과 관련하여 다룰 수도 있다.
[0061] 트랜시버 모듈(930)은 패킷들을 변조하여 변조된 패킷들을 송신을 위해 안테나들(940)에 제공하도록, 그리고 안테나들(940)로부터 수신된 패킷들을 복조하도록 구성된 모뎀을 포함할 수 있다. 트랜시버 모듈(930)은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송신기 모듈들 및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개별 수신기 모듈들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트랜시버 모듈(930)은 안테나들(940)을 통해 예를 들어, 도 1 또는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STA들(115)과 양방향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AP(105-c)는 일반적으로 다수의 안테나들(940)(예를 들어, 안테나 어레이)을 포함할 수도 있다. AP(105-c)는 네트워크 통신 모듈(985)을 통해 코어 네트워크(905)와 통신할 수도 있다. AP(105-c)는 AP 통신 모듈(980)을 사용하여 AP(105-i) 및 AP(105-j)와 같은 다른 AP들과 통신할 수도 있다.
[0062] 도 9의 아키텍처에 따르면, AP(105-c)는 통신 관리 모듈(9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관리 모듈(950)은 예를 들어, 도 1의 WLAN 네트워크(100)에 예시된 바와 같이 STA들 및/또는 다른 디바이스들과의 통신들을 관리할 수 있다. 통신 관리 모듈(950)은 버스 또는 버스들(915)을 통해 AP(105-c)의 다른 컴포넌트들 중 일부 또는 전부와 통신할 수도 있다. 대안으로, 통신 관리 모듈(950)의 기능은 트랜시버 모듈(930)의 컴포넌트로서,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으로서, 그리고/또는 프로세서 모듈(910)의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제어기 엘리먼트들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0063] AP(105-c)의 컴포넌트들은 도 2 - 도 8에 관해 앞서 논의한 양상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간결성을 위해 여기서 그러한 양상들은 반복되지 않을 수도 있다. 더욱이, AP(105-c)의 컴포넌트들은 도 10 - 도 13에 관해 아래 논의되는 양상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간결성을 위해 여기서 그러한 양상들은 또한 반복되지 않을 수도 있다.
[0064] 다음에 도 10을 참조하면, 다양한 예들에 따라 TXOP 이용률을 기초로 한 지연 시간 조정을 위한 방법(1000)에 대한 흐름도가 설명된다. 방법(1000)은 예를 들어, 도 1 - 도 2 또는 도 8의 STA들(115); 또는 도 7의 디바이스(700)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방법은 블록(1005)에서, STA가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의 데이터의 송신 동안 송신 기회(TXOP)의 이용률을 결정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블록(1010)에서, STA는 결정에 응답하여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의 후속 송신에 대한 지연 시간을 조정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앞서 설명한 것과 비슷하게, STA는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시스템의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TXOP 이용률을 기초로 CW, 백오프 시간, 및/또는 백오프들의 수를 조정할 수 있다.
[0065] 다음에 도 11을 참조하면, 다양한 예들에 따라 지연 시간 조정을 위한 방법(1100)에 대한 흐름도가 설명된다. 방법(1100)은 예를 들어, 도 1 - 도 2 또는 도 8의 STA들(115); 또는 도 7의 디바이스(700)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방법은 블록(1105)에서, STA가 송신 기회(TXOP)의 최대 듀레이션을 결정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STA는 다음에 블록(1110)에 따라, 송신 기회(TXOP) 동안 데이터가 송신되는 시간 듀레이션을 결정할 수 있다. 블록(1115)에서, STA는 시간 듀레이션과 최대 듀레이션의 비를 결정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블록(1120)에서, STA는 비를 기초로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의 후속 송신에 대한 지연 시간을 조정할 수 있다. 앞서 논의한 것과 같은 일부 예들에 따르면, 이전 TXOP의 이용비에 따라 CW를 스케일링함으로써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후속 TXOP들에 대한 CW를 조정하는 것에 의해 지연 시간이 조정될 수 있다. 앞서 논의한 것과 같은 다른 예들에서, STA는 이전 TXOP가 과소 이용되었을 때 다음 TXOP를 시작하기 전에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추가 백오프들을 수행할 것이 요구될 수도 있다. 위에서 또한 논의한 추가 예들에서, STA는 이전 TXOP가 과소 이용되었을 때 다음 TXOP를 시작하기 전에 평균 백오프 값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더 충분히 이용되는 특정 개수의 TXOP들에 이어, 지연 시간은 더 낮은 값으로 감소될 수 있다.
[0066] 다음에 도 12를 참조하면, 다양한 예들에 따라 TXOP 이용률을 기초로 한 지연 시간 조정을 위한 방법(1200)에 대한 흐름도가 설명된다. 방법(1200)은 예를 들어, 도 1 - 도 2 또는 도 8의 STA들(115); 또는 도 7의 디바이스(700)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방법은 블록(1205)에서, STA가 데이터의 송신 동안 송신 기회(TXOP)의 이용률을 결정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블록(1210)에서, STA는 이용률이 미리 결정된 이용률 미만인 경우 지연 시간 값을 제 1 양만큼 증가시킬 수 있다. 블록(1215)에서, STA는 후속 TXOP의 이용률이 미리 결정된 이용률 미만인 경우 지연 시간 값을 제 2 양만큼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 방법은 TXOP 이용률을 기초로 2개의(또는 더 많은) 단계들에서 지연 시간이 조정될 수 있는 것을 제공한다. 더 충분히 이용되는 특정 개수의 TXOP들에 이어, 지연 시간은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단계들에서 더 낮은 또는 최소 값으로 감소될 수도 있다.
[0067] 다음에 도 13을 참조하면, 다양한 예들에 따라 TXOP 이용률을 기초로 한 지연 시간 관리를 위한 방법(1300)에 대한 흐름도가 설명된다. 방법(1300)은 예를 들어, 도 1 - 도 2 또는 도 9의 AP들(105); 또는 예를 들어, 도 7의 디바이스(700)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블록(1305)에서, AP는 서로 다른 AC들에 대해 AP에 액세스하는 STA들의 수를 결정할 수 있다. 블록(1310)에서, AP는 각각의 AC에 따라 과소 이용 TXOP들을 갖는 STA들에 대해 무선 채널에 대한 STA 액세스에 대한 초기 지연 시간을, 예컨대 초기 CW 값의 설정을 통해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P는 현재 트래픽 상태들이 AP의 총 용량보다 상당히 적다고 결정할 수 있고, 초기 CW들을 상대적으로 낮은 값으로 또는 단순히 CWmin으로 설정할 수 있다. 다른 경우들에, AP는 현재 트래픽 상태들이 AP의 최대 용량에 가까워지고 있다고 결정할 수 있고, 과소 이용 TXOP들을 최소화하고 STA들 간의 경쟁을 최소화하여 그로 인해 무선 매체의 이용률을 향상시키려는 시도를 하기 위해 그에 따라 초기 CW들을 더 높은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블록(1315)에서, AP는 트래픽 상태들 및/또는 AP에 액세스하는 STA들의 수들의 변화를 기초로 초기 지연 시간을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트래픽 상태들이 상당한 양의 이용 가능 용량을 갖는 AP에서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이용 가능 용량으로 변경된다면, AP는 과소 이용 TXOP들을 감소시키기 위해 과소 이용 TXOP들에 이어지는 STA들에 대한 지연 시간을 조정할 수 있다.
[0068] 첨부 도면들과 관련하여 위에 제시된 상세한 설명은 예시적인 예들을 설명하며,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 있거나 구현될 수 있는 예들만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이 설명에서 사용될 때 "예시적인"이라는 용어는 "다른 예들에 비해 유리"하거나 "선호"되는 것이 아니라, "예시, 실례 또는 예증으로서의 역할"을 의미한다. 상세한 설명은 설명된 기술들의 이해를 제공할 목적으로 특정 세부사항들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들은 이러한 특정 세부사항들 없이 실시될 수도 있다. 어떤 경우들에는, 설명된 예들의 개념들을 불명료하게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잘 알려진 구조들 및 디바이스들은 블록도 형태로 도시된다.
[0069] 정보 및 신호들은 다양한 다른 기술들 및 기법들 중 임의의 것을 이용하여 표현될 수 있다고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설명 전반에 걸쳐 참조될 수 있는 데이터, 명령들, 커맨드들, 정보, 신호들, 비트들, 심벌들 및 칩들은 전압들, 전류들, 전자기파들, 자기 필드들 또는 자기 입자들, 광 필드들 또는 광 입자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으로 표현될 수 있다.
[0070] 본 명세서에서의 개시와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블록들과 모듈들은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digital signal processor), 주문형 집적 회로(ASIC), 필드 프로그래밍 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가능한 로직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이들의 임의의 결합으로 구현되거나 이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도 있지만, 대안으로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컨트롤러 또는 상태 머신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결합, 예를 들어 DSP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결합, 다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결합된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임의의 다른 이러한 구성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0071]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능들은 하드웨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된다면, 이 기능들은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명령들 또는 코드로서 저장되거나 이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다른 예들 및 구현들이 본 개시 및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의 본질로 인해, 위에서 설명된 기능들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펌웨어, 하드와이어링, 또는 이들 중 임의의 결합들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기능들을 구현하는 특징들은 또한 기능들의 부분들이 서로 다른 물리적 위치들에서 구현되도록 분산되는 것을 비롯하여, 물리적으로 다양한 위치들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청구항들을 포함하여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 중 적어도 하나"로 서문이 쓰여진 항목들의 리스트에 사용된 "또는"은 예를 들어,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의 리스트가 A 또는 B 또는 C 또는 AB 또는 AC 또는 BC 또는 ABC(즉, A와 B와 C)를 의미하도록 택일적인 리스트를 나타낸다.
[0072]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컴퓨터 프로그램의 전달을 용이하게 하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하는 통신 매체와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저장 매체는 범용 또는 특수 목적용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임의의 이용 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한정이 아닌 예시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이나 다른 광 디스크 저장소, 자기 디스크 저장소 또는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 또는 명령들이나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원하는 프로그램 코드 수단을 전달 또는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범용 또는 특수 목적용 컴퓨터나 범용 또는 특수 목적용 프로세서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접속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로 적절히 지칭된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가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꼬임 쌍선, 디지털 가입자 회선(DSL: digital subscriber line),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을 이용하여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원격 소스로부터 전송된다면,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꼬임 쌍선, 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이 매체의 정의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것과 같은 디스크(disk 및 disc)는 콤팩트 디스크(CD: compact disc), 레이저 디스크(laser disc), 광 디스크(optical disc),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digital versatile disc), 플로피 디스크(floppy disk) 및 블루레이 디스크(blu-ray disc)를 포함하며, 여기서 디스크(disk)들은 보통 데이터를 자기적으로 재생하는 한편, 디스크(disc)들은 데이터를 레이저들에 의해 광학적으로 재생한다. 상기의 것들의 결합들이 또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0073] 본 개시의 상기의 설명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개시를 이용하거나 실시할 수 있게 하도록 제공된다. 본 개시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이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 쉽게 명백할 것이며, 본 명세서에 정의된 일반 원리들은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변형들에 적용될 수 있다. 본 개시 전반에서 "예" 또는 "예시적인"이라는 용어는 예 또는 사례를 나타내며, 언급된 예에 대한 어떠한 선호를 의미하거나 요구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개시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예시들 및 설계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명세서에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에 부합하는 가장 넓은 범위에 따르는 것이다.

Claims (30)

  1.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으로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의 데이터의 송신 동안 송신 기회(TXOP: transmit opportunity)의 이용률(utilization)을 결정하는 단계;
    결정된 이용률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의 후속 송신에 대한 지연 시간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지연 시간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이용률이 제 1 미리 결정된 이용률 미만인 경우 상기 지연 시간을 증가시키는 단계, 및
    상기 이용률이 제 2 미리 결정된 이용률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지연 시간을 감소시키는 단계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의 단계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지연 시간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후속 송신에 대한 초기 경쟁 윈도우(CW: contention window) 값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 시간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후속 송신에 대한 백오프 값, 또는 상기 후속 송신을 시작하기 전의 백오프들의 수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파라미터를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 시간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이용률이 상기 제 2 미리 결정된 이용률을 초과하고 그리고 미리 결정된 수의 이전 TXOP들의 이용률이 각각 상기 제 2 미리 결정된 이용률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지연 시간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TXOP 동안 데이터가 송신되는 시간 듀레이션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지연 시간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시간 듀레이션이 미리 결정된 시간 듀레이션보다 더 짧은 경우 상기 지연 시간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TXOP의 최대 듀레이션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TXOP 동안 데이터가 송신되는 시간 듀레이션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시간 듀레이션과 상기 최대 듀레이션의 비(ratio)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 시간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비가 미리 결정된 비 미만인 경우 상기 지연 시간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 시간을 조정하는 단계는,
    조정되지 않은 지연 시간을 사용하여 누적된 데이터의 양 대비 상기 후속 송신 이전의 추가 데이터의 누적을 감안하도록 상기 지연 시간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 시간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TXOP의 이용률에 따라 상기 지연 시간을 스케일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 시간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이용률이 상기 제 1 미리 결정된 이용률 미만인 경우 상기 지연 시간을 제 1 양만큼 증가시키는 단계; 및
    후속 TXOP의 이용률이 상기 제 1 미리 결정된 이용률 미만인 경우 상기 지연 시간을 제 2 양만큼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의 후속 송신 동안 후속 TXOP의 제 2 이용률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이용률 및 상기 제 2 이용률에 응답하여 상기 지연 시간을 재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 시간을 재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이용률이 제 3 미리 결정된 이용률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지연 시간을 최소 값으로 재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 시간을 재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이용률이 제 4 미리 결정된 이용률 미만인 경우 상기 지연 시간을 더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13.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로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의 데이터의 송신 동안 송신 기회(TXOP)의 이용률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
    결정된 이용률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의 후속 송신에 대한 지연 시간을 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지연 시간을 조정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이용률이 제 1 미리 결정된 이용률 미만인 경우 상기 지연 시간을 증가시키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이용률이 제 2 미리 결정된 이용률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지연 시간을 감소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의 수단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지연 시간을 조정하는 것은 상기 후속 송신에 대한 초기 경쟁 윈도우(CW: contention window) 값을 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 시간을 조정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후속 송신에 대한 백오프 값, 또는 상기 후속 송신을 시작하기 전의 백오프들의 수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파라미터를 조정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 시간을 조정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이용률이 상기 제 2 미리 결정된 이용률을 초과하고 그리고 미리 결정된 수의 이전 TXOP들의 이용률이 각각 상기 제 2 미리 결정된 이용률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지연 시간을 감소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TXOP 동안 데이터가 송신되는 시간 듀레이션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지연 시간을 조정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시간 듀레이션이 미리 결정된 시간 듀레이션보다 더 짧은 경우 상기 지연 시간을 증가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TXOP의 최대 듀레이션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
    상기 TXOP 동안 데이터가 송신되는 시간 듀레이션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시간 듀레이션과 상기 최대 듀레이션의 비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 시간을 조정하기 위한 수단은,
    조정되지 않은 지연 시간을 사용하여 누적된 데이터의 양 대비 상기 후속 송신 이전의 추가 데이터의 누적을 감안하도록 상기 지연 시간을 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19.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 시간을 조정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TXOP의 이용률에 따라 상기 지연 시간을 스케일링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20.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 시간을 조정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이용률이 상기 제 1 미리 결정된 이용률 미만인 경우 상기 지연 시간을 제 1 양만큼 증가시키기 위한 수단; 및
    후속 TXOP의 이용률이 상기 제 1 미리 결정된 이용률 미만인 경우 상기 지연 시간을 제 2 양만큼 증가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21.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의 후속 송신 동안 후속 TXOP의 제 2 이용률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이용률 및 상기 제 2 이용률에 응답하여 상기 지연 시간을 재조정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 시간을 재조정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제 2 이용률이 제 3 미리 결정된 이용률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지연 시간을 최소 값으로 재설정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제 2 이용률이 제 4 미리 결정된 이용률 미만인 경우 상기 지연 시간을 더 증가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23.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송신 기회(TXOP) 동안 액세스 포인트에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의 데이터의 송신 동안 상기 TXOP의 이용률을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결정에 응답하여 후속 송신에 대한 지연 시간 값을 조정하도록 구성된 지연 시간 관리기를 포함하고, 상기 지연 시간을 조정하는 것은:
    상기 이용률이 제 1 미리 결정된 이용률 미만인 경우 상기 지연 시간을 증가시키는 것, 및
    상기 이용률이 제 2 미리 결정된 이용률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지연 시간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의 하나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지연 시간을 조정하는 것은 상기 후속 송신에 대한 초기 경쟁 윈도우(CW: contention window) 값을 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 시간을 조정하는 것은,
    상기 후속 송신에 대한 백오프 값, 또는 상기 후속 송신을 시작하기 전의 백오프들의 수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파라미터를 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5.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상에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프로그램 코드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의 데이터의 송신 동안 송신 기회(TXOP)의 이용률을 결정하게 하고;
    결정된 이용률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의 후속 송신에 대한 지연 시간을 조정하게 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지연 시간을 조정하게 하는 코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이용률이 제 1 미리 결정된 이용률 미만인 경우 상기 지연 시간을 증가시키게 하는 코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이용률이 제 2 미리 결정된 이용률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지연 시간을 감소시키게 하는 코드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의 코드를 더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지연 시간을 조정하는 것은 상기 후속 송신에 대한 초기 경쟁 윈도우(CW: contention window) 값을 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프로그램 코드는 추가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후속 송신에 대한 백오프 값, 또는 상기 후속 송신을 시작하기 전의 백오프들의 수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파라미터를 조정하게 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KR1020167001910A 2013-07-09 2014-07-03 경쟁 제어 메커니즘 KR1018284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844261P 2013-07-09 2013-07-09
US61/844,261 2013-07-09
US201361844834P 2013-07-10 2013-07-10
US61/844,834 2013-07-10
US14/292,006 2014-05-30
US14/292,006 US9750057B2 (en) 2013-07-09 2014-05-30 Contention control mechanism
PCT/US2014/045379 WO2015006158A1 (en) 2013-07-09 2014-07-03 Contention control mechanis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0522A KR20160030522A (ko) 2016-03-18
KR101828402B1 true KR101828402B1 (ko) 2018-02-12

Family

ID=52277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1910A KR101828402B1 (ko) 2013-07-09 2014-07-03 경쟁 제어 메커니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750057B2 (ko)
EP (1) EP3020244A1 (ko)
JP (1) JP2016528793A (ko)
KR (1) KR101828402B1 (ko)
CN (1) CN105359614A (ko)
WO (1) WO20150061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46568B2 (ja) * 2013-09-02 2017-06-1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US10116360B2 (en) 2015-04-23 2018-10-30 Newracom,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uplink multi-user transmission in a high efficiency wireless LAN
US9807764B2 (en) * 2015-07-10 2017-10-31 Qualcomm Incorporated Compensation for excess transmission opportunity time
DK3335502T3 (da) * 2015-08-14 2020-08-17 Ericsson Telefon Ab L M Kanaladgangskonfiguration
WO2017074025A1 (ko) * 2015-10-26 2017-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
US10517142B2 (en) * 2015-12-11 2019-12-24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frame in wireless LA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CN108476525B (zh) * 2015-12-24 2022-04-26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用于非授权带中的信道访问的方法、装置、和系统
EP3338476A1 (en) * 2016-10-28 2018-06-27 Aruba Networks, Inc. Access point contention window alteration
US11374867B2 (en) * 2019-06-03 2022-06-28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Dynamic tuning of contention windows in computer network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70902A1 (en) 2005-06-21 2007-03-29 Toshiba America Research, Inc. An admission control for contention-based access to a wireless communication medium
US20070214379A1 (en) 2006-03-03 2007-09-13 Qualcomm Incorporated Transmission control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US20080025342A1 (en) 2005-11-15 2008-01-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transmission opportunity in communication system
WO2011053775A1 (en) 2009-10-30 2011-05-05 Qualcomm Incorporated Deterministic backoff with dynamic adaptation
US20120051342A1 (en) 2010-08-04 2012-03-01 Yong Liu Wireless Communications with Primary and Secondary Access Categorie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22836B2 (ja) * 2005-03-31 2009-09-02 株式会社東芝 無線通信システム
JP2006345453A (ja) * 2005-06-10 2006-12-21 Canon Inc 無線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とそのプログラム
WO2008010387A1 (fr) * 2006-07-21 2008-01-24 Panasonic Corporation dispositif de communication EXÉCUTANT une commande de contention
JP4750644B2 (ja) * 2006-08-09 2011-08-17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無線システム、無線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CN101414942A (zh) * 2007-10-15 2009-04-22 株式会社Ntt都科摩 一种最小竞争窗口的调整方法及装置
JP5060618B2 (ja) * 2008-07-29 2012-10-3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制御方法
US20120182886A1 (en) * 2011-01-14 2012-07-19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Medium Access
US8743808B2 (en) * 2011-10-10 2014-06-03 Qualcomm Atheros, Inc. Collision reduction in a CSMA/CA system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70902A1 (en) 2005-06-21 2007-03-29 Toshiba America Research, Inc. An admission control for contention-based access to a wireless communication medium
US20080025342A1 (en) 2005-11-15 2008-01-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transmission opportunity in communication system
US20070214379A1 (en) 2006-03-03 2007-09-13 Qualcomm Incorporated Transmission control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WO2011053775A1 (en) 2009-10-30 2011-05-05 Qualcomm Incorporated Deterministic backoff with dynamic adaptation
US20120051342A1 (en) 2010-08-04 2012-03-01 Yong Liu Wireless Communications with Primary and Secondary Access Categori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528793A (ja) 2016-09-15
CN105359614A (zh) 2016-02-24
KR20160030522A (ko) 2016-03-18
WO2015006158A1 (en) 2015-01-15
US9750057B2 (en) 2017-08-29
US20150016437A1 (en) 2015-01-15
EP3020244A1 (en) 2016-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8402B1 (ko) 경쟁 제어 메커니즘
US11382067B2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for simultaneous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using same
US7586932B2 (en) Contention window adjustment methods capable of load-adaptive backoff in a network and machine-readable storage medium therefor
US10917914B2 (en) Media access control for license-assisted access
KR20160008601A (ko) PS-Poll에 대한 액세스 포인트 응답
US9635687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frame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ystem and apparatus for the same
JP6513691B2 (ja) 過剰送信機会時間のための補償手順
US20170041961A1 (en) Adjustment of medium access parameters based at least in part on reverse link delay
WO2018034985A1 (en) Techniques for communication management using multiple network allocation vectors
US20160323881A1 (en) Techniques for using alternate channels for acknowledgement messages
KR20170137763A (ko) 무선 네트워크들에서 충돌들을 감소시키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WO2016072908A1 (en) Dynamic listen before talk in license-assisted access
US9807764B2 (en) Compensation for excess transmission opportunity time
US10009929B1 (en) Contention-based random access
US20060034208A1 (en) Modified backoff mechanism for wireless networks
US10128999B2 (en) Efficient protection of basic service set traffic
US10212734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sender device, and receiver device
KR101582763B1 (ko) 무선 랜 시스템의 매체접근제어방법
KR101088398B1 (ko) 백오프 방법 및 통신 장치
KR102216010B1 (ko) Asr 기반의 무선 데이터 송신 방법 및 장치
KR101546198B1 (ko) 무선 네트워크에서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