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7763A - 무선 네트워크들에서 충돌들을 감소시키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네트워크들에서 충돌들을 감소시키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7763A
KR20170137763A KR1020177029613A KR20177029613A KR20170137763A KR 20170137763 A KR20170137763 A KR 20170137763A KR 1020177029613 A KR1020177029613 A KR 1020177029613A KR 20177029613 A KR20177029613 A KR 20177029613A KR 20170137763 A KR20170137763 A KR 201701377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rate
phy data
fragment
transmit power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9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찬 베르마
올루푼미로라 오모라데 아와니이-오테리
비자야라크쉬미 라자순다람 라빈드란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701377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77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using a pre-established activity schedule, e.g. traffic indication fr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6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transmission rate or quality of service QoS [Quality of Service]
    • H04W52/267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transmission rate or quality of service QoS [Quality of Service] taking into account the information r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where the power saving management affects multipl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73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the resource being transmission pow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carrier sensing, e.g.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
    • H04W74/0816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carrier sensing, e.g.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 with collision avoid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4Separate analysis of uplink or downlink
    • H04W52/146Uplink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4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during retransmission after error or non-acknowledg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일 예에서, 시스템 및 방법은, 송신 파라미터들의 제 1 세트로, 송신기로부터 제 1 타입의 정보를 송신하는 것 ―송신 파라미터들의 제 1 세트는 제 1 PHY 데이터 레이트 및 제 1 송신 전력을 포함함―, 송신 파라미터들의 제 2 세트로 제 2 타입의 정보를 송신하는 것 ―송신 파라미터들의 제 2 세트는 제 2 PHY 데이터 레이트 및 제 2 송신 전력을 포함함―, 및 송신될 정보의 타입의 함수로써 송신 파라미터들의 제 1 세트와 송신 파라미터들의 제 2 세트 사이에서 스위칭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 1 PHY 데이터 레이트 및 제 1 송신 전력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는 제 2 PHY 데이터 레이트 및 제 2 송신 전력과 각각 상이하다.

Description

무선 네트워크들에서 충돌들을 감소시키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0001] 본 출원은, 2015년 4월 16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번호 제 62/148,704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위 가출원은 이로써 인용에 의해 그 전체가 통합된다.
[0002] 본 개시내용은 무선 네트워크들에서 충돌들을 감소시키기 위한 기술들에 관한 것이다.
[0003] Wi-Fi는, 전자 디바이스들이 데이터를 교환하도록 허용하는 무선 라디오 기술이다. IEEE 802.11 규격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이, Wi-Fi는 "말하기 전에 청취(listen before talk)" 원리에 따라 동작하는 정중한 프로토콜이다. 802.11 표준들 중 하나를 구현하는 스테이션(STA)은 CSMA/CA(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Avoidance)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다른 송신들을 감지하며, 채널이 "유휴(idle)"인 것으로서 감지될 때까지, 송신하는 것을 백 오프한다. CSMA/CA 및 802.11 DCF(Distributed Coordination Function)의 규칙들에 따라, 송신하기를 원하는 STA는 DIFS(DCF Interframe Space)에 의해 정의된 시간 기간 동안 채널을 먼저 청취해야 한다. 채널이 DIFS 시간 기간의 지속기간 동안 "유휴"인 것으로서 감지되면, STA는, 어떤 다른 스테이션도 송신하고 있지 않으며 이 STA가 송신을 시작할 수 있다고 가정한다. 그러나, 채널이 "비지(busy)"인 것으로서 감지되면, STA는 백오프하며, 다시 송신하려고 노력하기 전에 랜덤 백-오프 인터벌 동안 기다려야 한다. 부가하여, 각각의 송신 후에, STA는, 다시 송신하기 전에, 랜덤 백 오프 기간 동안 기다려야 한다.
[0004] 다른 스테이션이 송신하고 있다는 것을 검출하는 것에 대한 문제는, Wi-Fi 스테이션들이 동시에 송신 및 수신할 수 없다는 점이다. 이는 STA가, 충돌이 발생하고 있거나 또는 발생했다고 결정하는 것을 어렵게 만든다. 보상하기 위해, 802.11 STA들은, STA에 의해 전송된 송신이 오류 없이 발생했다는 것을 표시하는 ACK(acknowledgement) 프레임들에 의존한다. STA가 주어진 타임아웃 기간 내에 ACK 프레임을 수신하지 않았다면, 이 STA는, 송신이 어떤 이유로 실패했으며, 이 실패가 충돌에 기인했을 수 있다는 것을 안다. 그러므로, STA는, ACK를 기다리는 동안 타임 아웃되자마자, 다시 송신을 시도하기 전에, 랜덤 백-오프 인터벌 동안 백오프한다.
[0005] 다른 스테이션이 송신하고 있다는 것을 검출하는 것에 대한 다른 문제는, 이 스테이션의 라디오 범위 내에 Wi-Fi 스테이션이 있지 않을 수 있으며, 이것이 충돌을 유발한다는 점이다. 예컨대, 스테이션(STA) A는, STA B가 AP(access point)에 송신하고 있는 것과 동시에, 동일한 AP에 송신하려고 준비하고 있을 수 있다. STA A가 AP를 들을 수 있지만, STA B를 들을 수 없을 때, STA B는 "숨겨진 노드"로 간주된다. RTS/CTS(Request to Send/Clear to Send) 프레임 교환은, STA B가 RTS 프레임을 송신하고 AP가 응답으로 CTS 프레임을 송신하는 것을 기다리게 함으로써, "숨겨진 노드" 문제를 다룬다. STA A가 STA B로부터 RTS를 들을 수 없더라도, 이 STA A는 AP에 의해 응답으로 전송되는 CTS 프레임을 들을 수 있어야 한다. 각각의 CTS 프레임은, STA B가 송신하는 동안 송신을 미루기 위해 다른 스테이션들에 의해 사용되는 시간 값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 접근법은 거의 사용되지 않는데, 그 이유는 이 접근법이 데이터 송신의 오버헤드를 증가시키기 때문이다.
[0006] 일부 예들에서, 본 개시내용은 무선 네트워크들에서 충돌들을 감소시키기 위한 기술들을 설명한다.
[0007] 일 예에서, 방법은, 송신 파라미터들의 제 1 세트로, 송신기로부터 제 1 타입의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송신 파라미터들의 제 1 세트는 제 1 PHY 데이터 레이트 및 제 1 송신 전력을 포함함―, 송신 파라미터들의 제 2 세트로 제 2 타입의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송신 파라미터들의 제 2 세트는 제 2 PHY 데이터 레이트 및 제 2 송신 전력을 포함함―, 및 송신될 정보의 타입의 함수로써 송신 파라미터들의 제 1 세트와 송신 파라미터들의 제 2 세트 사이에서 스위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1 PHY 데이터 레이트 및 제 1 송신 전력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는 제 2 PHY 데이터 레이트 및 제 2 송신 전력과 각각 상이하다.
[0008] 다른 예에서, 무선 스테이션은 수신기, 송신기, 메모리, 및 이 메모리에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이 프로세서는, 메모리로부터 리트리빙된 데이터를, 제 1 데이터 프레임(리드 부분) 및 제 2 데이터 프레임(트레일링 부분)을 포함하는 둘 또는 그 초과의 데이터 프레임들로 파티셔닝하고 ―제 1 데이터 프레임은 제 2 데이터 프레임보다 더 작음―; 제 1 PHY 데이터 레이트 및 제 1 송신 전력으로, 송신기로부터 제 1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하며; 그리고 제 2 PHY 데이터 레이트 및 제 2 송신 전력으로, 송신기로부터 제 2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함으로써 동작한다. 제 1 PHY 데이터 레이트 및 제 1 송신 전력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는 제 2 PHY 데이터 레이트 및 제 2 송신 전력과 각각 상이하다.
[0009] 다른 예에서, 무선 네트워크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제 1 무선 스테이션들, 및 제 2 무선 스테이션을 포함한다. 각각의 제 1 무선 스테이션은 수신기 및 송신기를 포함한다. 제 2 무선 스테이션은 수신기, 송신기, 메모리 및 이 메모리, 수신기 및 송신기에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메모리로부터 리트리빙된 데이터를, 제 1 데이터 프레임 및 제 2 데이터 프레임을 포함하는 둘 또는 그 초과의 데이터 프레임들로 파티셔닝하고 ―제 1 데이터 프레임은 제 2 데이터 프레임보다 더 작음―; 제 1 PHY 데이터 레이트 및 제 1 송신 전력으로, 송신기로부터 제 1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하며; 그리고 제 2 PHY 데이터 레이트 및 제 2 송신 전력으로, 송신기로부터 제 2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하도록 동작한다. 제 1 PHY 데이터 레이트 및 제 1 송신 전력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는 제 2 PHY 데이터 레이트 및 제 2 송신 전력과 각각 상이하다.
[0010] 또 다른 예에서,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실행될 때,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들로 하여금, 제 1 PHY 데이터 레이트 및 제 1 송신 전력으로, 송신기로부터 제 1 송신을 송신하게 하며; 그리고 제 2 PHY 데이터 레이트 및 제 2 송신 전력으로, 송신기로부터 후속 송신들을 송신하게 하는 명령들을 저장한다. 제 1 PHY 데이터 레이트 및 제 1 송신 전력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는 제 2 PHY 데이터 레이트 및 제 2 송신 전력과 각각 상이하다.
[0011]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예들의 세부사항들은 첨부된 도면들 및 아래의 설명에서 제시된다. 다른 특징들, 목적들, 및 장점들은 설명 및 도면들로부터, 그리고 청구항들로부터 명백할 것이다.
[0012]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기술들에 따른 예시적 무선 네트워크의 개념적 다이어그램이다.
[0013]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기술들에 따른 예시적 무선 네트워크의 다른 개념적 다이어그램이다.
[0014]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기술들에 따른 예시적 무선 스테이션의 개념적 다이어그램이다.
[0015] 도 4는 본 개시내용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기술들에 따른, 데이터 송신의 오버헤드를 감소시키기 위한 예시적 접근법들을 열거하는 표이다.
[0016]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기술들에 따른 예시적 데이터 송신이다.
[0017] 도 6은 본 개시내용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기술들에 따른 다른 예시적 데이터 송신이다.
[0018] 도 7은 본 개시내용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기술들에 따른 다른 예시적 데이터 송신이다.
[0019] 도 8은 본 개시내용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예들에 따른, 숨겨진 노드들에 대한 송신 파라미터들을 조정할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기술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0020] 도 9는 본 개시내용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예들에 따른, 송신 파라미터들을 조정하기 위한 기술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0021] 숨겨진 노드 문제는 802.11에서 전형적인 문제이다. 위에서 주목된 바와 같이, RTS/CTS 프레임 교환은, 숨겨진 노드 문제를 감소시키기 위해(그러나, 각각의 데이터 프레임에 대한 제어 프레임 교환의 증가된 오버헤드란 고비용으로) 802.11 규격에서 제안되는 하나의 방법이다. 802.11 규격의 2012 개정안은 http://standards.ieee.org/getieee802/download/802.11-2012.pdf에서 제시된다. 이 규격은 물리(PHY) 계층들을 정의하는 조항들, 이를테면 DSSS(Direct Sequence Spread Spectrum) PHY(오리지널 802.11 규격에서 정의됨),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PHY(802.11a 보정안에서 정의됨), HR/DSSS(High Rate Direct Sequence Spread Spectrum) PHY(802.11b 보정안에서 정의됨) 및 HT(High Throughput) PHY(802.11n 보정안에서 정의됨)를 포함한다. 대표적 802.11 표준들은 802.11-1997, 802.11a, 802.11b, 802.11ab, 802.11c, 802.11d, 802.11e, 802.11f, 802.11g, 802.11h, 802.11j, 802.11n, 및 802.11ac를 포함한다. 다음의 논의를 위해서, 802.11 표준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 내에서 동작하도록 형성된 디바이스들은 802.11 표준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를 충족시키거나 또는 그와 일치한다.
[0022] 숨겨진 노드들의 문제는, 스테이션들(STA들)이 802.11 규격에 의해 허용되는 최대 송신 전력 이외의 송신 전력을 사용하면 증폭된다. 전력을 절약하기 위한 특징들이 802.11 규격에 추가되었다. 이들 특징들은, 예컨대 Wi-Fi 무선 라디오 기술을 사용하는 배터리 동력식 휴대용 디바이스들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그러한 "녹색 송신" 특징들은, 802.11 규격에 의해 허용되는 최대 송신 전력 대신에, 특정 레이트에 적절한 송신 전력을 사용함으로써 전력을 아낀다. 그러나, 이들 녹색 송신 특징들은 "숨겨진 노드들" 문제의 원인이 되는데, 그 이유는 이들 녹색 송신 특징들이 STA들 A 및 B의 범위를 추가로 제한할 수 있기 때문이다.
[0023] 본 개시내용은, 무선 네트워크들에서 오버헤드를 감소시키면서 동시에 녹색 기술 Wi-Fi 스테이션들의 유효 범위를 증가시키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설명한다. 일 예시적 접근법에서, 각각의 스테이션의 범위를 증가시키기 위해, 무선 네트워크의 스테이션들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들은 송신 전력, 물리 계층(PHY) 데이터 레이트 및/또는 프레임 또는 프래그먼트 길이 면에서 조작된다. 본 개시내용에서 논의된 접근법들의 하나의 장점은, 일부 예들에서,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숨겨진 노드들의 개수의 감소, 및 숨겨진 노드들에 기인하여 요구되는 재송신들의 감소이다. 이는 스루풋을 개선시키며, 스테이션들 및 무선 네트워크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킨다.
[0024] 일 예시적 접근법에서, 전력 송신 제어를 수행하는 STA는, 범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제어 프레임들의 PHY 데이터 레이트를 감소시킨다. 802.11a, b, 및 g는 다수의 비트 레이트들(예컨대, 1Mbps, 6Mbps, 54Mbps 등)을 가지며, 송신기들은 데이터를 전송할 때 이들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802.11b 하의 송신기에 대한 PHY 데이터 레이트는 1, 2, 5.5 또는 11 Mbps로 세팅될 수 있다. 그 다음, 예컨대 802.11b에서, 후속 데이터 프레임들에 대해 5.5 또는 11 Mbps로 되돌아가기 전에, 제어 프레임, 관리 프레임, 또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데이터 프레임들의 범위를 연장시키기 위해 1 Mbps 또는 2 Mbps와 같은 데이터 레이트가 선택될 것이다.
[0025] 일 예시적 접근법에서, STA(10A)는 지속기간 필드 !=0일 때 더 높은(어쩌면, 최대) 송신 전력으로 제어 프레임들을 송신할 수 있거나, 또는 더 낮은(어쩌면, 최저) PHY 데이터 레이트로 제어 프레임을 송신할 수 있거나, 또는 둘 모두일 수 있다. IEEE 802.11 규격은 제어 프레임들에 대한 레이트 선택에 관한 가이던스(guidance)를 갖는다.
[0026] 일 예시적 접근법에서, STA(10A)는 더 높은(어쩌면, 최대) 송신 전력으로 관리 프레임들을 송신할 수 있거나, 또는 더 낮은(어쩌면, 최저) PHY 데이터 레이트로 제어 프레임을 송신할 수 있거나, 또는 둘 모두일 수 있다.
[0027] 일 예시적 접근법에서, STA(10A)는, 데이터 송신이 지속기간 필드 !=0을 가지며 이 데이터 송신이 하나보다 많은 데이터 프레임의 송신을 위한 지속기간을 포함하면, 더 높은(어쩌면, 최대) 송신 전력으로 송신의 제 1 부분(예컨대, 데이터 프레임들의 시퀀스로부터 제 1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할 수 있거나, 또는 더 낮은(어쩌면, 최저) PHY 데이터 레이트로 제어 프레임을 송신할 수 있거나, 또는 둘 모두일 수 있다. STA(10A)가 더 낮은 PHY 데이터로 데이터 송신의 제 1 부분을 송신하면, STA(10A)는 또한, 송신의 제 1 부분(예컨대, 제 1 데이터 프레임)의 길이를, 스루풋에 대한 영향을 감소시키는 특정 사이즈로 감소시킬 수 있다.
[0028] 일부 예시적 접근법들에서, STA는, 이 STA가 데이터 레이트를 감소시키는 것과 동시에, 제어 프레임들에 대한 정상 송신 전력 레벨로부터 송신 전력을 증가시킨다. 예컨대, 일부 802.11b PC 카드들은 6개의 선택가능한 송신 전력 레벨들인 1, 5, 20, 30, 50 및 100 mW를 제공한다. 이 PC 카드에 대한 일 예시적 접근법에서, 후속 데이터 프레임들에 대해 더 낮은 송신 전력으로 되돌아가기 전에, 제어 프레임, 관리 프레임, 또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데이터 프레임들의 범위를 연장시키기 위해 송신 전력이 100 mW으로 세팅될 수 있다. 일부 PC 카드들에서, 디폴트 송신 전력은 20 dBm 또는 100 mW이지만, 그 전력이 다른 5개의 레벨들 중 하나로 감소될 수 있다. 일부 예시적 접근법들에서, 적합한 더 낮은 전력인 송신 전력은, 중간 경로 손실 및 페이딩에도 불구하고 패킷의 정확한 수신을 여전히 달성하는 최소 전력 레벨을 결정함으로써, 사례별로 결정된다.
[0029] 예시적 접근법에서, STA(10A)는, 송신 파라미터들의 제 1 세트로, 송신기로부터 제 1 타입의 정보를 송신하고, 송신 파라미터들의 제 2 세트로 제 2 타입의 정보를 송신하며, 송신될 정보의 타입의 함수로써 송신 파라미터들의 제 1 세트와 송신 파라미터들의 제 2 세트 사이에서 스위칭한다. 송신 파라미터들의 제 1 세트가 제 1 PHY 데이터 레이트 및 제 1 송신 전력을 포함하는 반면에, 송신 파라미터들의 제 2 세트는 제 2 PHY 데이터 레이트 및 제 2 송신 전력을 포함한다. 제 1 PHY 데이터 레이트 및 제 1 송신 전력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는 제 2 PHY 데이터 레이트 및 제 2 송신 전력과 각각 상이하다. 일 예시적 접근법에서, 제 1 타입의 정보는 제어 프레임들 또는 관리 프레임들, 또는 둘 모두를 포함한다. 그러한 일 접근법에서, 제 2 타입의 정보는 송신될 데이터를 포함한다.
[0030] 다른 예시적 접근법에서, 제 1 타입의 정보는 제어 프레임들, 관리 프레임들, 및 데이터 송신의 리드 부분을 포함한다. 제 2 타입의 정보는 송신될 데이터의 트레일링 부분을 포함한다. 그러한 일 접근법에서, 제 2 타입의 정보는 녹색 레벨들의 송신 전력으로 송신된다.
[0031] 일부 예시적 실시예들에서, 13 dBm(20 mW)의 송신 전력이 정상 데이터 트래픽에 사용되는 반면에, 17 dBm(50 mW)의 송신 전력이 제어 프레임들, 관리 프레임들, 및 제 1 데이터 프레임에 사용된다. 일부 관할 구역들에서, 송신 전력에 대한 제한치가 있다. 그러한 일부 관할 구역들에서, 제어 프레임들, 관리 프레임들, 및 제 1 데이터 프레임에 대한 송신 전력은 관할 구역 최대치로 세팅된다. 필요한 대로, 다른 전력 레벨들이 선택될 수 있다.
[0032] 일 예시적 접근법에서, STA는 데이터 패킷의 제 1 프래그먼트를 단축시키면서 제 1 프래그먼트의 PHY 데이터 레이트를 감소시킨다. 그러한 일부 접근법들에서, STA는 또한, 다음의 프래그먼트들에 대한 송신 전력을 떨어뜨리기 전에, 제 1 프래그먼트에 대한 송신 전력을 증가시킨다.
[0033] 또 다른 예시적 접근법에서, 암시적 또는 명시적 블록 ACK(acknowledgment)를 갖는 송신 기회(Transmit Opportunity)(TXOP)를 통한 데이터 송신들의 경우, (오버헤드에 대한 영향을 감소시키면서 범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STA는 제 1 데이터 프레임을 단축시키면서, 제 1 데이터 프레임의 PHY 데이터 레이트를 가능한 최저 데이터 레이트로 감소시킨다. 그러한 일부 예시적 접근법들에서, STA는 제 1 데이터 프레임의 송신 동안 전력도 증가시킨다. 그러한 일부 예시적 접근법들에서, 명시적 블록 ACK 경우에, STA는 범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PHY 데이터 레이트를 가능한 최저 데이터 레이트로 감소시킨다. 그러한 일부 예시적 접근법들에서, STA는 전력도 증가시킨다. 일 예시적 접근법에서, 제 1 송신의 범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제 1 송신과 연관된 제 1 PHY 데이터 레이트 및 제 1 송신 전력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는 제 2 송신과 연관된 제 2 PHY 데이터 레이트 및 제 2 송신 전력과 각각 상이하다.
[0034] 또 다른 예시적 접근법에서, A-MPDU(aggregated MAC(Media Access Control) Protocol Data Unit)의 경우, (오버헤드에 대한 영향을 감소시키면서 범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STA는 제 1 A-MPDU 서브프레임을 최소치로 단축시키면서, 제 1 A-MPDU 서브프레임의 PHY 데이터 레이트를 가능한 최저 데이터 레이트로 감소시킨다. 그러한 접근법들의 일부 예들에서, STA는 제 1 A-MPDU 서브프레임의 송신 동안 전력도 증가시킨다. 그러한 다른 예시적 접근법들에서, STA는 명시적 블록 ACK 프레임에 대한 송신도 증가시킨다.
[0035] 예시적 무선 네트워크(2)가 도 1에서 도시된다. 도 1의 예시적 무선 네트워크(2)는 802.11 무선 LAN의 기본 빌딩 블록인 BSS(base service set)의 예이다. 각각의 BSS는, 각각의 BSS의 연관된 스테이션들 전부와 함께 단일 액세스 포인트를 포함한다.
[0036] 도 1의 예시적 무선 네트워크에서, 복수의 스테이션들(10)이 BSS에서 Wi-Fi 연결들(12A, 12B, 12C)(집합적으로, 연결들(12))을 통해 액세스 포인트(8)에 연결된다. 스테이션(10A)이 예컨대 Wi-Fi 연결(12A)을 통해 액세스 포인트(8)에 연결되는 반면에, 스테이션(10B)은 Wi-Fi 연결(12B)을 통해 액세스 포인트(8)에 연결되며, 스테이션(10C)은 Wi-Fi 연결(12C)을 통해 액세스 포인트(8)에 연결된다. Wi-Fi 연결(12)은 802.11 표준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를 통해 구현된다.
[0037] 다른 예시적 무선 네트워크(2)가 도 2에서 도시된다. 도 2의 예시적 무선 네트워크(2)는, 어떤 제어 액세스 포인트(8)도 없다는 점에서, IBSS(independent base service set)의 예이다.
[0038] 도 2의 예시적 무선 네트워크에서, 복수의 스테이션들(10)이 Wi-Fi 연결들(12)을 통해 연결된다. 스테이션(10A)이 예컨대 Wi-Fi 연결(12A)을 통해 스테이션(10D)에 연결되는 반면에, 스테이션(10B)은 Wi-Fi 연결(12B)을 통해 스테이션(10D)에 연결되며, 스테이션(10C)은 Wi-Fi 연결(12C)을 통해 스테이션(10D)에 연결된다. Wi-Fi 연결(12)은 802.11 표준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를 통해 구현된다.
[0039] 802.11 규격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이, STA들(10A-10D)(집합적으로, STA들(10))은 NAV(Network Allocation Vector)를 유지한다. Wi-Fi 프레임의 MAC 헤더에 존재하는 지속기간 필드에 따라 STA(10)에 의해 세팅되는 NAV는 현재 송신의 지속기간을 특정한다. 무선 매체를 청취하는 STA들(10)은 MAC 헤더로부터 지속기간 필드를 판독하며, 무선 매체에 엑세스하기 전에 STA가 얼마나 오랫동안 기다려야 하는지를 표시하도록 이 STA들(10)의 NAV를 세팅한다. 그러므로, STA들(10)은 송신 동안 매체가 비지인지를 결정하기 위해 이 매체를 반복적으로 감지할 필요가 없다. 대신에, STA들(10)은 절전 모드에 들어가며, 다시 매체를 감지하기 전에, NAV가 제로로 카운트다운되는 것을 기다릴 수 있다.
[0040] 동작 시, 2개의 STA들(10A 및 10C)은, 이 STA들(10A 및 10C)이 서로를 들을 수 없다면, 서로 숨겨진다. 이는, RSS(Received Signal Strength)가 개개의 STA의 수신 감도보다 더 낮고, 따라서 PHY-CCA.indicate(IDLE)가 트리거링될 때 발생할 수 있다. 스테이션의 NAV가 제로와 동일하고, 그리고 CCA.indicate(IDLE)가 트리거링되면, STA(10)는 송신할 수 있다.
[0041] 일 예시적 접근법에서, PHY 레이트(R)로 송신되는 패킷을 정확하게 디코딩하기 위하여, STA(10)에 대한 RSS는 R에 대한
Figure pct00001
을 초과해야 하며, 여기서
Figure pct00002
수신 감도이다.
[0042]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일 예시적 스테이션(10)에서, 스테이션(10)은 송신기(20), 수신기(22), 메모리(24) 및 이 메모리(24)에 연결된 프로세서(26)를 포함한다. 일 예시적 접근법에서, 프로세서(26)는, 메모리로부터 리트리빙된 데이터를, 제 1 데이터 프레임 및 제 2 데이터 프레임을 포함하는 둘 또는 그 초과의 데이터 프레임들로 파티셔닝하고, 송신기(20)를 통해 제 1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하며, 제 1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한 후에, 송신기(20)로부터 제 2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하도록 동작한다. 일부 예시적 접근법들에서, 각각의 스테이션의 범위를 증가시키기 위해, 스테이션(10)으로부터 송신기(20)를 통해 송신되는 신호들은 송신 전력, PHY 데이터 레이트, 및 프레임 또는 프래그먼트 길이 면에서 조작된다. 그러한 일 예시적 접근법에서, 제 1 데이터 프레임은 제 2 데이터 프레임과 비교할 때 더 높은 송신 전력, 더 낮은 PHY 데이터 레이트, 또는 이 둘 모두의 상태로 송신된다.
[0043] 도 3의 예시적 스테이션(10)에서, 프로세서(26)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들와 같은 프로세서들, 범용 마이크로프로세서들,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들, FPGA(field programmable logic array)들, 또는 다른 등가의 집적된 또는 이산의 로직 회로소자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0044] 일 예에서, STA(10)는, 정상 PHY 데이터 레이트보다 더 낮은 PHY 데이터 레이트로, 송신기(20)로부터 제 1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한다. 예컨대, 802.11b 시스템에서의 정상 PHY 레이트는 11 Mbps일 수 있지만, 제 1 데이터 프레임은 1 Mbps 또는 2 Mbps로 송신될 수 있다. 예컨대 제 1 데이터 프레임 뒤에 송신되는 후속 데이터 프레임들은 STA(10)의 송신기(20)에 의해 정상 PHY 데이터 레이트로 송신된다. 그러한 일부 예들에서, 제 1 데이터 프레임은 또한, 다른 데이터 프레임들보다 더 높은 송신 전력으로 STA(10)의 송신기(20)에 의해 송신되며, 그러한 일부 예들에서, 제 1 데이터 프레임의 사이즈는, 더 느린 PHY 데이터 레이트에서 송신의 오버헤드를 감소시키기 위해 더 작게 만들어진다. 다양한 접근법들에 대해 최대 송신 전력 및 최소 데이터 프레임 사이즈는 802.11 규격에서 정의되며, 이들의 설명들은 본원에서 인용에 의해 통합된다.
[0045] 일 예시적 접근법에서, 프로세서(26)는, 메모리로부터 리트리빙된 데이터를, 제 1 데이터 프레임 및 제 2 데이터 프레임을 포함하는 둘 또는 그 초과의 데이터 프레임들로 파티셔닝하고 ―제 1 데이터 프레임은 제 2 데이터 프레임보다 더 작음―, 송신기를 통해 제 1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하며 ―송신하는 것은, 제 1 데이터 프레임에 대한 PHY 데이터 레이트 및 송신 전력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를 선택하는 것을 포함함―, 제 1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한 후에, 송신기로부터 제 2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하도록 동작하며, 제 2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하는 것은, 제 2 데이터 프레임에 대한 PHY 데이터 레이트 및 송신 전력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를 선택하는 것을 포함한다.
[0046] 일 예시적 접근법에서, 무선 네트워크(2)의 STA들(10)은, 전력을 아끼기 위하여, 특정 채널에 대해, 통상적인 송신 전력에 비해 감소된 송신 전력으로 송신한다. 그러나, STA들이, 예컨대 동일한 목적지 노드에 송신하는 미지의 노드와의 충돌을 통해 숨겨진 노드 문제를 검출하면, 이 STA들은, 숨겨진 노드들에 도달하려고 시도하기 위해, 후속 프레임들의 송신 전력을 증가시킴으로써 또는 후속 프레임들의 PHY 데이터 레이트를 감소시킴으로써 응답한다. STA가 이 STA의 향상된 송신을 통해 숨겨진 노드와 성공적으로 통신하면, 이 노드는 더 이상 숨겨진 상태가 아니다. 이 접근법은, 숨겨진 노드들을 처리할 때 RTS/CTS의 사용을 위한 요건을 제거한다.
[0047] 제어 프레임들은 스테이션 간의 데이터 프레임들의 교환을 가능하게 한다. 일부 공통 802.11 제어 프레임들은 다음을 포함한다:
ACK(Acknowledgement) 프레임: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한 후에, 수신 스테이션(STA)은 어떤 오류들도 발견되지 않으면 ACK 프레임을 전송 스테이션에 전송할 것이다. 전송 스테이션이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 내에 ACK 프레임을 수신하지 않으면, 전송 스테이션은 프레임을 재전송할 것이다.
RTS(Request to Send) 프레임: RTS 및 CTS 프레임들은 숨겨진 스테이션들을 갖는 액세스 포인트들에 대한 선택적인 충돌 감소 방식을 제공한다. 스테이션은, 데이터 프레임들을 전송하기 전에 요구되는 양방향 핸드쉐이크의 제 1 단계로서 RTS 프레임을 전송한다.
CTS(Clear to Send) 프레임: 스테이션은 RTS 프레임에 CTS 프레임으로 응답한다. 이는, 요청 스테이션이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는 것에 대한 클리어런스를 제공한다. CTS는, 요청 스테이션이 송신하는 동안 모든 다른 스테이션들이 송신을 미뤄야 하는 시간 값을 포함함으로써, 충돌 제어 관리를 제공한다.
[0048] 위에서 주목된 바와 같이, 숨겨진 노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과거에는 RTS/CTS 메커니즘이 사용되었다. 본 개시내용은, 각각의 스테이션(10)의 범위를 선택적으로 증가시킴으로써, 대부분의 경우들에서 RTS/CTS의 사용을 방지한다. 일부 예시적 접근법들에서, 특정 송신들의 송신 전력들을 증가시킴으로써, 범위가 증가된다. 다른 예시적 접근법들에서, 송신 신호들의 PHY 레이트를 느리게 함으로써, 범위가 증가된다. 그리고, 그러한 일부의 감소된 PHY 레이트 접근법들에서, 특정된 송신들에서 전송되는 데이터의 양이 감소되어(즉, 감소된 세그먼트 길이), 그 송신들에 대한 PHY 레이트의 감소의 오버헤드가 감소된다.
[0049] 위에서 주목된 바와 같이, 증가된 송신 전력으로 송신의 제 1 세그먼트를 송신함으로써, 송신의 제 1 세그먼트의 PHY 레이트를 감소시킴으로써, 또는 송신 전력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송신의 그 제 1 세그먼트의 PHY 레이트도 감소시킴으로써, 오버헤드가 감소될 수 있다. 송신의 제 1 세그먼트의 길이를 최소화함으로써, 더 낮은 PHY 레이트의 오버헤드가 감소될 수 있다. 데이터 송신의 오버헤드를 감소시키기 위한 예시적 접근법들이 도 4에서 도시되며, 도 5-도 7의 다이어그램들에서 예시된다.
[0050] 데이터 송신의 예가 도 5에서 도시된다. 도 5의 예에서, 소스 스테이션(이를테면, 도 1의 STA A)은, 임의의 숨겨진 노드들에 도달하려는 시도로, 증가된 송신 전력으로 또는 감소된 PHY 데이터 레이트로 또는 이 둘 모두의 상태로, 데이터(40)의 제 1 프래그먼트를 송신한다. 일부 예시적 접근법들에서, 증가된 송신 전력은 미리 정의된 값일 수 있거나, 증가된 송신 전력은 숨겨진 노드의 위치(알려져 있다면)에 기반하여 계산될 수 있거나, 또는 증가된 송신 전력은 단순히, 이용가능한 최고 송신 전력일 수 있다. 도 4의 경우(3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일 예시적 접근법에서, STA A는 STA A의 범위를 연장시키기 위해 최고 송신 전력 및 더 낮은 PHY 데이터 레이트 둘 모두를 사용하지만, 데이터 송신이 그 길이가 둘 또는 그 초과의 프래그먼트들일 때에만 사용한다. 동시에, STA A가 PHY 데이터 레이트를 낮출 때, 이 STA A는 또한, 가능하다면 제 1 프래그먼트의 길이를 감소시킨다.
[0051] 일 예시적 접근법에서, 액세스 포인트(8)는 이 액세스 포인트(8)의 BSS 내의 스테이션들 각각에 매핑되며, 각각의 스테이션(10)에, BSS 내의 다른 스테이션들(10) 각각에 대한 경로-손실을 송신한다. 그러한 일 예시적 접근법에서, 각각의 스테이션(10)은 BSS 내의 다른 스테이션들(10)에 도달하는데 필요한 송신 전력을 계산한다. 다른 예시적 접근법에서, 계산은 액세스 포인트(8)에 의해 수행되며, 각각의 스테이션(10)에 배포된다. 일부 예시적 접근법들에서, STA A는 단지, 그렇게 하도록 특정하게 구성되면, 또는 숨겨진 노드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을 STA A가 인식하면, 숨겨진 노드들에 도달하려고 노력하는 단계를 취한다. 이는, 예컨대, STA A가 STA로부터의 응답을 들을 수 있지만 이 응답을 초래했던 STA B로부터의 오리지널 메시지를 들을 수 없을 때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AP가 STA B를 들을 수 없으면, STA B는 "숨겨진 노드"로 간주된다.
[0052] 도 5에서 도시된 예에서, 데이터(40)의 제 1 프래그먼트의 송신 뒤에, 목적지 스테이션(10)으로부터의 ACK(42)의 수신이 이어진다. 일 예시적 접근법에서, 소스 스테이션이 하나보다 많은 프래그먼트를 송신하고 있다는 것을 목적지 스테이션이 안다면, (예컨대, 송신 전력을 증가시킴으로써, PHY 데이터 레이트를 감소시킴으로써, 또는 둘 모두에 의해) 증가된 범위를 갖는 목적지 스테이션(10)에 의해 ACK가 전송된다. 그러한 일부 예들에서, 목적지 스테이션은, 소스 스테이션으로부터 숨겨진 스테이션들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을 목적지 스테이션이 인식하거나 또는 추측하는 경우에만, 더 높은 송신 전력 또는 감소된 PHY 데이터 레이트 또는 이 둘 모두의 상태로 목적지 스테이션에 의한 ACK의 송신이 발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0053] 도 4의 경우(3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일 접근법에서, 제 1 데이터 프래그먼트(40) 및 ACK(42) 둘 모두는 최고 송신 전력 레벨로, 그리고 더 낮은 PHY 데이터 레이트로 송신된다. 후속 데이터 송신들(44) 및 ACK들(46)은, 이 상황에 대해 송신 전력 및 PHY 데이터 레이트에 대한 통상적인 파라미터들을 이용하여 송신된다.
[0054] 도 4에서 도시된 예시적 접근법에서는, 경우(31)에서, 더 낮은 PHY 데이터 레이트가 제 1 데이터 프래그먼트에 사용될 때, 더 느린 데이터 레이트의 스루풋에 대한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단축된 패킷 길이도 사용된다. 최고 송신 전력을 사용하는 것은 신호가 가장 강하게(loudest) 송신되는 것을 보장하며; 더 낮은 PHY 데이터 레이트는 신호가 더 멀리 가는 것을 보장하며; 더 짧은 패킷 길이는 스루풋에 대한 영향이 최소화되는 것을 보장한다.
[0055] 무선 네트워크(2)의 다른 스테이션들은 소스 스테이션(10)으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와 함께 NAV(48)를 수신하거나, 목적지로부터 ACK와 함께 송신되는 NAV(50)를 수신하거나, 또는 NAV(48) 및 NAV(50) 둘 모두를 수신하며,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 예에서, 소스 스테이션에 의한 데이터 및 목적지 스테이션에 의한 ACK들의 후속 송신들은, 통상적인 송신 파라미터들로 발생한다.
[0056] 도 5에서 도시된 예에서, DIFS(DCF Interframe Space)(52)는 각각의 STA에 대한 백-오프 시간을 설정하는 지속기간을 포함한다. 일부 예시적 접근법들에서, STA들은 이 STA들의 송신을 DIFS 지속기간 동안 지연시킨다. 경쟁 윈도우(54)는, 둘 또는 그 초과의 STA들이 송신 동안 충돌할 수 있는 시간 기간을 도시한다. SIFS(51) 및 DIFS(52)는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SIFS(51)는, 무선 인터페이스가 수신 프레임을 프로세싱하고 응답 프레임으로 응답하는데 요구되는, 마이크로세컨드 단위의 시간량이다.
[0057] 일 예시적 접근법에서, 소스 스테이션(10)이 제 1 데이터 프래그먼트(40)에 대해 가능한 최고의 허용가능 송신 전력을 사용하는 반면에, 목적지 스테이션(10)은 ACK(42)에 대해 가능한 최고의 허용가능 송신 전력을 사용한다. 그러한 일부 예시적 접근법들에서, 각각에 대해, 더 낮은 PHY 데이터 레이트도 사용된다. 더 낮은 PHY 데이터 레이트도 사용되면, 데이터 프래그먼트(40)의 데이터 프레임 길이도 감소된다.
[0058] 최고 허용 전력 레벨 또는 가장 느린 허용가능 데이터 레이트로 바로 이동시키는 것이 항상 필요한 것은 아니다. 일부 예시적 접근법들에서, 송신 전력은, 데이터 송신에 사용되는 전력 레벨보다는 더 높지만 디바이스에 의해, 규격에 의해 또는 규제에 의해 허용되는 최고 전력 레벨보다는 더 낮도록 선택된다. 그러한 일부 접근법들에서, 추측되는 숨겨진 노드가 발견될 때까지, 송신 전력은 필요한 대로 조금씩 증가된다. 유사하게, 데이터 송신에 사용되는 데이터 레이트와, 규격에 의해 또는 규제에 의해 디바이스에 이용가능한 최저 데이터 레이트 사이의 데이터 레이트로 이동되거나, 또는 필요한 대로 조금씩 감소될 수 있다.
[0059] 일 예시적 접근법에서, 각각의 스테이션(STA) 송신기는 802.11 표준에 부합하는 복수의 송신 전력들로 송신할 수 있다. 그러한 일 예시적 접근법에서, 제 1 송신 전력은 복수의 송신 전력들 중 최고 송신 전력이다.
[0060] 일 예시적 접근법에서, 각각의 스테이션(STA) 송신기는 802.11 표준에 부합하는 복수의 PHY 데이터 레이트들로 송신할 수 있다. 그러한 일 예시적 접근법에서, 제 1 PHY 데이터 레이트는 복수의 이용가능한 PHY 데이터 레이트들 중 가장 느린 PHY 데이터 레이트이다.
[0061] 그 결과는, 소스 스테이션(10) 및 목적지 스테이션(10)의 초기 송신들이 강하거나(즉, 송신 전력이 높음) 또는 길거나(즉, 더 느린 데이터 레이트) 또는 둘 모두이며, 일부 경우들에서, 감소된 PHY 데이터 레이트의 오버헤드를 감소시키기 위해 감소된 세그먼트 길이를 갖는 것이다.
[0062] 도 4의 경우(3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STA A에 의해 송신되는 프래그먼트들의 개수가 1개를 초과하면, STA A는 증가된 송신 전력, 더 낮은 PHY 데이터 레이트, 또는 이 둘 모두의 상태로만 송신한다. 그렇지 않으면, 그 802.11 접근법에 대한 통상적인 전력 및 PHY 데이터 레이트가 사용된다.
[0063] 또한, 도 4의 경우(3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예시적 접근법들에서, 지속기간 필드가 제로를 초과하면, STA A는 증가된 송신 전력, 더 낮은 PHY 데이터 레이트, 또는 이 둘 모두의 상태로만 ACK를 송신한다. 그렇지 않으면, ACK를 송신하기 위해 STA A에 의해 디폴트 전력 및 PHY 데이터 레이트가 사용된다. 일 예에서, 비-QoS(non-Quality-of-Service) STA들에 의해 전송되는 ACK 프레임들의 경우, 바로 이전의 개별적으로 어드레싱된 데이터 또는 관리 프레임의 프레임 제어 필드에서 추가 프래그먼트 비트가 0과 동일했다면, 지속기간 값은 0으로 세팅된다. 비-QoS STA들에 의해 전송되는 다른 ACK 프레임들에서, 지속기간 값은, 바로 이전의 데이터, 관리, PS-Poll, BlockAckReq, 또는 BlockAck 프레임의 지속기간/ID 필드로부터 획득된 값에서 ACK 프레임을 송신하는데 요구되는 마이크로세컨드 단위의 시간 및 그것의 SIFS(Short Inter-Frame Space) 인터벌을 뺀 값이다. 계산되는 지속기간이 몇 분의 일 마이크로세컨드를 포함하면, 값은 다음으로 더 큰 정수로 반올림된다. 일 예시적 접근법에서, SIFS는, 무선 인터페이스가 수신 프레임을 프로세싱하고 응답 프레임으로 응답하는데 요구되는, 마이크로세컨드 단위의 시간량이다.
[0064] 일 예시적 접근법에서, 소스 스테이션은, 송신될 데이터가 복수의 프래그먼트들을 포함한다는 것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파라미터를 갖는 프레임 제어 필드를 검사한다. 프레임 제어 필드를 검사 시, 파라미터가, 전송될 데이터가 복수의 프래그먼트들을 포함한다는 것을 표시하면, 소스 스테이션은 복수의 프래그먼트들로부터 제 1 프래그먼트를 선택하며, 송신 파라미터들의 제 1 세트를 사용하여 제 1 프래그먼트를 송신한다. 그 다음, 소스 스테이션은 송신 파라미터들의 제 1 세트에 있는 송신 파라미터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를 수정하여 송신 파라미터들의 수정된 세트를 형성하며, 송신 파라미터들의 수정된 세트를 사용하여 복수의 프래그먼트들 중 제 2 프래그먼트를 송신한다.
[0065] 일 예시적 접근법에서, 수정된 송신 파라미터들 중 하나는 제 2 PHY 데이터 레이트이며, 제 2 PHY 데이터 레이트는 제 1 PHY 데이터 레이트보다 더 높다. 일 예시적 접근법에서, 제 1 프래그먼트의 세그먼트 길이는 제 2 프래그먼트의 세그먼트 길이보다 더 짧다. 일 예시적 접근법에서, 수정된 송신 파라미터들 중 하나는 제 2 송신 전력이며, 제 2 송신 전력은 제 1 송신 전력보다 더 낮다.
[0066] 도 5의 예는 또한, 송신 기회(Transmit Opportunity)(TXOP) 기간들 동안 데이터 프레임들의 송신에 적용된다. STA가 규칙적인 데이터 프레임들을 송신하고 있으면, 패킷의 제 1 데이터 프레임은 증가된 송신 전력 또는 감소된 PHY 데이터 레이트 또는 이 둘 모두의 상태로 전송된다. 도 4의 경우(33)에서 도시된 예에서, 스테이션(10)은 최고 송신 전력으로, 그리고 더 낮은 PHY 데이터 레이트 및 감소된 패킷 길이로 이 둘 모두의 상태로 제 1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한다. 후속 패킷들은 통상적인 송신 전력 및 PHY 데이터 레이트로 STA(10)에 의해 송신된다.
[0067] 도 4의 경우(33) 및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일 예시적 접근법에서, STA A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데이터 패킷들의 송신을 위해서 STA A의 범위를 연장시키기 위해, 최고 송신 전력 및 더 낮은 PHY 데이터 레이트 둘 모두를 사용한다. 동시에, 그러한 일부 예시적 접근법들에서, STA A가 PHY 데이터 레이트를 낮출 때, 이 STA A는 또한, 가능하다면 제 1 데이터 패킷의 길이를 감소시킨다. 그러한 일 예시적 접근법에서, 제 1 데이터 패킷은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규격에 의해 정의된 최소 길이로 세팅되며, 디바이스에 의해, 규격에 의해 또는 규제에 의해 허용되는 최저 데이터 레이트로 송신된다. 후속 데이터 패킷들은 통상적인 프래그먼트 길이, 송신 전력 및 PHY 데이터 레이트로 STA(10)에 의해 송신된다.
[0068] 도 4의 경우(3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예시적 접근법들에서, 제 1 데이터 프레임에 대한 응답으로 목적지 STA에 의해 전송되는 ACK는 또한, 지속기간 필드가 제로를 초과할 때, 증가된 송신 전력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일 접근법에서, 제 1 데이터 프레임 및 ACK는 디바이스에 의해, 규격에 의해 또는 규제에 의해 허용되는 최고 송신 전력 레벨로 송신된다. 일 접근법에서, 제 1 데이터 프레임 및 제 1 ACK 둘 모두는 가능한 최저 PHY 데이터 레이트로 송신되며, 둘 모두는 후속 송신들에 대해 통상적인 세팅들로 되돌아간다. 또한, 도 4의 경우(3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지속기간 필드가 제로를 초과하면, STA A는 증가된 송신 전력, 더 낮은 PHY 데이터 레이트, 또는 이 둘 모두의 상태로만 ACK를 송신한다. 그렇지 않으면, STA A는 통상적인 송신 전력 및 PHY 데이터 레이트로 되돌아간다.
[0069] 일부 예시적 접근법들에서, 감소된 PHY 데이터 레이트가 사용될 때, STA A는 송신되는 제 1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 전에 최소 프레임 사이즈로 감소시킨다. 다른 예시적 접근법들에서, 감소된 PHY 데이터 레이트로 송신할 때, STA A는, 디폴트 프레임 사이즈보다는 더 작지만 디바이스에 의해, 규격에 의해 또는 규제에 의해 정의되는 최소 프레임 사이즈보다는 더 큰 프레임 사이즈로 제 1 데이터 프레임을 감소시킨다.
[0070] 일 예시적 접근법에서, 소스 스테이션(10)이 제 1 데이터 프레임(40)에 대해 가능한 최고 송신 전력을 사용하는 반면에, 목적지 스테이션(10)은 ACK(42)에 대해 가능한 최고 송신 전력을 사용한다. 그러한 일부 예시적 접근법들에서, 각각에 대해, 더 낮은 PHY 데이터 레이트도 사용된다. 일부 예들에서, 더 낮은 데이터 레이트가 사용되면, 더 낮은 데이터 레이트로 송신되는 데이터 프레임들(40)의 데이터 프레임 길이도 감소된다.
[0071] 본 개시내용에 따른 데이터 송신의 다른 예가 도 6에서 도시된다. 도 6의 예에서, 소스 스테이션(10)은 블록 확인응답(블록 ACK 또는 BACK) 하에서 다수의 데이터 프레임들을 전송하고 있다. 도 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데이터 프레임들(60, 62 및 64)은 소스 스테이션(10)에 의해 송신되며, 목적지 스테이션(10)에 의해 수신된다. (블록 확인응답 요청(블록 ACK REQ(66))의 목적지 스테이션(10)에 의한 수신 후에) 전체 TXOP가 블록 ACK(68)를 통해 단일 프레임으로 확인응답되도록 허용하기 위해, 블록 확인응답이 사용된다.
[0072] 다시 한번, 소스 스테이션(10)은, 숨겨진 노드에 도달하려는 시도로, 증가된 송신 전력으로 또는 감소된 PHY 레이트로 또는 이 둘 모두의 상태로, 제 1 데이터 프레임(60)을 송신한다. 증가된 송신 전력은 미리 정의된 값일 수 있거나, 또는 증가된 송신 전력은 숨겨진 노드의 위치(알려져 있다면)에 기반하여 계산될 수 있거나, 또는 증가된 송신 전력은 단순히, 이용가능한 최고 송신 전력일 수 있다. 일 예시적 접근법에서, 액세스 포인트(8)는 이 액세스 포인트(8)의 BSS 내의 스테이션들 각각에 매핑되며, BSS 내의 다른 스테이션들(10)에 대한 경로-손실을 표현하는 값을 각각의 스테이션(10)에 송신한다. 그러한 일 예시적 접근법에서, 각각의 스테이션(10)은 BSS 내의 다른 스테이션들(10)에 도달하는데 필요한 송신 전력을 계산한다. 다른 예시적 접근법에서, 계산은 액세스 포인트(8)에 의해 수행되며, 각각의 스테이션(10)에 배포된다.
[0073] 도 6에서 도시된 예에서, 제 1 데이터 프레임(60)의 송신에는, 위의 도 5의 예에서와 같이 ACK의 수신이 바로 뒤에 이어지지 않는다. 대신에, TXOP의 끝에서 블록 ACK REQ가 송신되며, 목적지는 적절할 때 블록 ACK로 응답한다. 일 예시적 접근법에서, 데이터(60)가 도 4의 경우(3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로와 동일하지 않은 지속기간 필드로 전송되었다면, 블록 ACK(68)는 더 높은 송신 전력 또는 감소된 PHY 데이터 레이트, 또는 이 둘 모두의 상태로 전송된다.
[0074] 일부 예들에서, 소스 스테이션으로부터 숨겨진 스테이션들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을 목적지 스테이션이 인식하거나 또는 추측하는 경우에만, 더 높은 송신 전력 또는 감소된 PHY 데이터 레이트 또는 이 둘 모두의 상태로 목적지 스테이션에 의한 블록 ACK의 송신이 발생한다. 그러나, 도 4의 경우(3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일 접근법에서, 제 1 데이터 프레임(60) 및 제 1 블록 ACK(68) 둘 모두는 최고 송신 전력 레벨로, 그리고 더 낮은 데이터 레이트, 즉 정상 데이터 레이트보다 더 낮은 데이터 레이트로 송신된다. 다른 접근법에서, 제 1 데이터 프레임(60) 및 블록 ACK(68) 둘 모두는 최고 송신 전력 또는 가능한 최저 PHY 데이터 레이트 중 하나로 송신된다. 그러한 일 접근법에서, SIFS(51) 및 DIFS(52)는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0075] 무선 네트워크(2)의 다른 스테이션들은 소스 스테이션(10)으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와 함께 NAV(70)를 수신하거나, 또는 블록 ACK REQ(66)와 함께 송신되는 NAV(72)를 수신하며,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하는 것을 방지한다. 일부 예들에서, 소스 스테이션에 의한 데이터 프레임들의 후속 송신들은 정상 송신 파라미터들로 발생한다.
[0076] 일 예시적 접근법에서, 도 4의 경우(3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소스 스테이션(10)이 제 1 데이터 프레임(60) 및 블록 ACK REQ(66)에 대해 가능한 최고 송신 전력을 사용하는 반면에, 목적지 스테이션(10)은 블록 ACK(68)에 대해, 그러나 헤더의 지속기간 필드가 제로가 아닐 때에만, 가능한 최고 송신 전력을 사용한다. 도 4의 경우(3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그러한 일부 예시적 접근법들에서, 제 1 데이터 프레임, 예컨대 데이터 프레임(60) 및 블록 ACK, 예컨대 BACK(68) 둘 모두에 대해, 더 낮은 PHY 데이터 레이트도 사용된다. 이 예에서, 데이터 프레임(60)의 데이터 프레임 길이도 감소될 수 있다.
[0077] 그 결과는, 소스 스테이션(10) 및 목적지 스테이션(10)의 초기 송신들이 강하거나 또는 길거나 또는 둘 모두이며, 일부 경우들에서, 감소된 PHY 데이터 레이트의 오버헤드를 감소시키기 위해 감소된 세그먼트 길이를 갖는 것이다.
[0078] 암시적 블록 확인응답을 갖는 A-MPDU의 예가 도 7에서 도시된다. 동일한 예가 암시적 블록 확인응답을 갖는 TXOP에 적용된다. 도 7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A-MPDU 서브프레임들(80 및 84)은 각각 블록 ACK(82 및 86)로 확인응답된다. SIFS(51) 및 DIFS(52)는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0079] 소스 스테이션(10)은, 숨겨진 노드에 도달하려는 시도로, 증가된 송신 전력으로 또는 감소된 PHY 레이트로 또는 이 둘 모두의 상태로, 서브프레임(80)을 송신한다. 증가된 송신 전력은 미리 정의된 값일 수 있거나, 또는 증가된 송신 전력은 숨겨진 노드의 위치(알려져 있다면)에 기반하여 계산될 수 있거나, 또는 증가된 송신 전력은 단순히, 이용가능한 최고 송신 전력일 수 있다.
[0080] 도 8에서 도시된 예에서, 서브프레임(80)의 송신 뒤에, 목적지 스테이션에 의한 블록 ACK(82)의 송신이 이어진다. 일 예시적 접근법에서, 서브프레임(80)이 제로와 동일하지 않은 지속기간 필드로 전송되었다면, 블록 ACK(82)는 증가된 범위(즉, 더 높은 송신 전력, 더 낮은 데이터 레이트, 또는 둘 모두)로 전송된다.
[0081] 일부 예들에서, 목적지 스테이션은, 소스 스테이션으로부터 숨겨진 스테이션들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을 목적지 스테이션이 인식하거나 또는 추측하는 경우에만, 더 높은 송신 전력 또는 감소된 PHY 데이터 레이트 또는 이 둘 모두의 상태로 목적지 스테이션에 의한 블록 ACK의 송신이 발생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일 접근법에서, 제 1 서브프레임(80) 및 제 1 블록 ACK(82) 둘 모두는, 최고 송신 전력 레벨로, 각각 소스 스테이션 및 목적지 스테이션에 의해 송신된다. 다른 접근법에서, 제 1 서브프레임(80) 및 제 1 블록 ACK(82) 둘 모두는, 가능한 최저 PHY 데이터 레이트로, 각각 소스 스테이션 및 목적지 스테이션에 의해 송신된다.
[0082] 무선 네트워크(2)의 다른 스테이션들은 소스 스테이션(10)으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와 함께 NAV(A-MPDU)(88)를 수신하거나, 또는 블록 ACK(82)와 함께 송신되는 NAV(A-MPDU)(90)를 수신하며,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하는 것을 방지한다. 일부 예들에서, 소스 스테이션에 의한 서브프레임들 및 목적지 스테이션에 의한 블록 ACK들의 후속 송신들은, 데이터 송신에 대한 정상 송신 파라미터들로 발생한다.
[0083] 도 4의 경우(3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일 예시적 접근법에서, 소스 스테이션(10)이 서브프레임(80)에 대해 가능한 최고 송신 전력을 사용하는 반면에, 목적지 스테이션(10)은 블록 ACK(82)에 대해 가능한 최고 송신 전력을 사용한다. 도 4의 경우(3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그러한 일부 예시적 접근법들에서, 각각에 대해, 더 낮은 PHY 데이터 레이트도 사용된다. 더 낮은 PHY 데이터 레이트도 사용되면, 서브프레임(80)의 데이터 프레임 길이도 감소된다.
[0084] 도 4의 경우(3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접근법이 암시적 블록 ACK를 갖는 TXOP에 사용될 수 있다. 동작은 도 7에 대해 논의된 A-MPDU 경우와 유사하다.
[0085] 도 4의 경우(3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일 예시적 접근법에서, 소스 스테이션(10)이 제 1 데이터 패킷에 대해 가능한 최고 송신 전력을 사용하는 반면에, 목적지 스테이션(10)은, 지속기간 필드가 제로와 동일하지 않을 때, 대응하는 블록 ACK에 대해 가능한 최고 송신 전력을 사용한다. 도 4의 경우(3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그러한 일부 예시적 접근법들에서, 각각에 대해, 더 낮은 PHY 데이터 레이트도 사용된다. 더 낮은 PHY 데이터 레이트도 사용되면, 제 1 데이터 프레임의 데이터 프레임 길이도 감소된다.
[0086] 위의 논의는, 선택된 송신들의 송신 전력을 증가시킴으로써 또는 선택된 송신들에 대한 데이터 송신 레이트를 감소시킴으로써, 숨겨진 노드들을 처리하기 위한 RTS/CTS 메커니즘의 사용이 감소되거나 또는 방지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데이터 송신 레이트를 감소시키는 경우에, 감소된 데이터 송신의 증가된 오버헤드는, 감소된 데이터 레이트로 송신되고 있는 데이터 프래그먼트들, 데이터 프레임들 또는 A-MPDU 서브프레임들의 길이를 제한함으로써 감소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0087] 선택된 802.11 송신들의 송신 파라미터들을 수정할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흐름도가 도 8에서 도시된다. 도 8의 예에서, 스테이션(10)은 가능한 숨겨진 노드들이 있는지를 결정한다(100). 이는, 예컨대, STA A가 STA로부터의 응답을 들을 수 있지만 이 응답을 초래했던 STA B로부터의 오리지널 메시지를 들을 수 없을 때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AP가 STA B를 들을 수 없으면, STA B는 "숨겨진 노드"로 간주된다. STA B가 숨겨진 노드이면, STA B로의 선택된 송신들에 대해, 스테이션(10)은 송신 전력을 증가시키거나 또는 PHY 데이터 레이트를 감소시키거나, 또는 둘 모두를 수행한다(102).
[0088] 위에서 주목된 바와 같이, 숨겨진 노드들의 문제는, 스테이션들(STA들)이 802.11 규격에 의해 허용되는 최대 송신 전력 이외의 송신 전력을 사용하면 증폭된다. 전력을 절약하기 위한 특징들이 802.11 규격에 추가되었다. 이들 특징들은, 예컨대 Wi-Fi 무선 라디오 기술을 사용하는 배터리 동력식 휴대용 디바이스들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그러한 "녹색 송신" 특징들은, 802.11 규격에 의해 허용되는 최대 송신 전력 대신에, 특정 데이터 레이트에 적절한 송신 전력을 사용함으로써 전력을 아낀다. 그러나, 이들 녹색 송신 특징들은 "숨겨진 노드들" 문제의 원인이 되는데, 그 이유는 이들 녹색 송신 특징들이 STA들 A 및 B의 범위를 추가로 제한할 수 있기 때문이다.
[0089] 이 문제에 대한 일 예시적 접근법은, 숨겨진 노드들을 검출하려고 노력하지 않는 것이다. 대신에, 각각의 스테이션은, 녹색 송신 표준들을 충족시키는데 필요한 송신 파라미터들로 되돌아가기 전에, 더 높은 송신 전력, 더 낮은 PHY 데이터 레이트 또는 이 둘 모두의 상태로 송신의 초기 세그먼트들을 송신한다. 그러한 일 접근법이 도 9에서 도시된다. 도 9는 본 개시내용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예들에 따른, 송신 파라미터들을 조정하기 위한 기술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9의 예시적 접근법에서, 송신의 제 1 부분에 대해, 더 높은 송신 전력, 더 낮은 PHY 데이터 레이트, 또는 둘 모두가 사용된다(200). 그러한 일 예시적 접근법에서, 각각의 확인응답은 또한, 더 높은 송신 전력, 더 낮은 PHY 데이터 레이트 또는 이 둘 모두의 상태로 송신된다.
[0090] 도 4의 경우(31)에서 도시된 예에서, STA A는 STA A의 범위를 연장시키기 위해 최고 송신 전력 및 더 낮은 PHY 데이터 레이트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를 사용하지만, 데이터 송신이 그 길이가 둘 또는 그 초과의 프래그먼트들일 때에만 사용한다. 동시에, STA A가 PHY 데이터 레이트를 낮출 때, 이 STA A는 또한, 가능하다면 제 1 프래그먼트의 길이를 감소시킨다. 후속 프래그먼트들은, 녹색 송신 파라미터들을 사용하여 전송된다(202). 새로운 송신이 검출될 때(204), 스테이션(10)은 더 높은 송신 전력, 더 낮은 PHY 데이터 레이트 또는 이 둘 모두의 상태로 복귀한다(200).
[0091] 도 4의 경우(32)에서 도시된 예에서, STA A에 의해 송신되는 프래그먼트들의 개수가 1개를 초과하면, STA A는 증가된 송신 전력, 더 낮은 PHY 데이터 레이트, 또는 이 둘 모두의 상태로만 송신한다. 그렇지 않으면, 그 802.11 접근법에 대한 통상적인 녹색 전력 및 PHY 데이터 레이트가 사용된다.
[0092] 도 4의 경우(33)에서 도시된 예에서, 송신의 제 1 세그먼트에 대해, 스테이션(10)은 증가된 송신 전력, 더 낮은 PHY 데이터 레이트 또는 이 둘 모두의 상태로 제 1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한다. 그러한 일부 접근법들에서, STA A는 패킷 길이도 감소시킨다. 그 제 1 송신 내의 후속 패킷들은, 새로운 송신이 전송되어야 하는지를 알기 위한 체크(204)가 이루어지기 전에, 녹색 송신 전력 및 PHY 데이터 레이트로 STA(10)에 의해 송신된다(202). 일부 예시적 접근법들에서, 목적지 스테이션은 증가된 송신 전력, 더 낮은 PHY 데이터 레이트, 또는 이 둘 모두의 상태로 각각의 ACK도 송신한다. 다시, 소스 스테이션은 더 낮은 데이터 레이트에 기인하는 오버헤드를 감소시키기 위해 제 1 패킷의 길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
[0093] 도 4의 경우(34)에서 도시된 예에서, 송신의 제 1 세그먼트에 대해, 스테이션(10)은 증가된 송신 전력, 더 낮은 PHY 데이터 레이트 또는 이 둘 모두의 상태로 제 1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한다. 그러한 일부 접근법들에서, STA A는 패킷 길이도 감소시킨다.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후속 데이터 프레임들은, 새로운 송신이 전송되어야 하는지를 알기 위한 체크(204)가 이루어지기 전에, 녹색 송신 전력 및 PHY 데이터 레이트로 STA(10)에 의해 송신된다(202). 일부 예시적 접근법들에서, 목적지 스테이션은 증가된 송신 전력, 더 낮은 PHY 데이터 레이트, 또는 이 둘 모두의 상태로 각각의 블록 ACK도 송신한다. 다시, 소스 스테이션은 더 낮은 데이터 레이트에 기인하는 오버헤드를 감소시키기 위해 제 1 패킷의 길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
[0094] 도 4의 경우(3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일 예시적 접근법에서, 소스 스테이션(10)이 제 1 데이터 패킷에 대해 더 높은 송신 전력(예컨대, 녹색 송신 전력 레벨보다 더 높음)을 사용하는 반면에, 목적지 스테이션(10)은, 지속기간 필드가 제로와 동일하지 않을 때, 대응하는 블록 ACK에 대해 더 높은 송신 전력을 사용한다. 도 4의 경우(3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그러한 일부 예시적 접근법들에서, 각각의 송신에 대해, 더 낮은 PHY 데이터 레이트도 사용된다. 더 낮은 PHY 데이터 레이트도 사용되면, 제 1 데이터 프레임의 데이터 프레임 길이도 감소될 수 있다. 후속 데이터 프레임들은 녹색 송신 파라미터들로 송신된다.
[0095] 도 4의 경우(3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일 예시적 접근법에서, 소스 스테이션(10)이 서브프레임(80)에 대해 더 높은 송신 전력, 더 낮은 PHY 데이터 레이트 또는 둘 모두를 사용하는 반면에, 목적지 스테이션(10)은 블록 ACK(82)에 대해 더 높은 송신 전력, 더 낮은 PHY 데이터 레이트 또는 둘 모두를 사용한다. 도 4의 경우(3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그러한 일부 예시적 접근법들에서, 더 낮은 PHY 데이터 레이트가 사용되면, 서브프레임(80)의 데이터 프레임 길이도 감소될 수 있다. 후속 서브프레임들, 이를테면 서브프레임(84)은 녹색 송신 파라미터들로 송신된다.
[0096] 본 개시내용은, 무선 네트워크들에서 오버헤드를 감소시키면서 동시에 녹색 기술 Wi-Fi 스테이션들의 유효 범위를 증가시키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설명한다. 일 예시적 접근법에서, 각각의 스테이션의 범위를 증가시키기 위해, 무선 네트워크의 스테이션들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들은 송신 전력, 물리 계층(PHY) 데이터 레이트 및/또는 프레임 또는 프래그먼트 길이 면에서 조작된다. 본 개시내용에서 논의된 접근법들의 하나의 장점은, 일부 예들에서,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숨겨진 노드들의 개수의 감소, 및 숨겨진 노드들에 기인하여 요구되는 재송신들의 감소이다. 이는 스루풋을 개선시키며, 그리고/또는 스테이션들 및 무선 네트워크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0097] 선택된 802.11 송신들의 송신 파라미터들을 수정할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흐름도가 도 8에서 도시된다. 도 8의 예에서, 스테이션(10)은 가능한 숨겨진 노드들이 있는지를 결정한다(100). 이는, 예컨대, STA A가 STA로부터의 응답을 들을 수 있지만 이 응답을 초래했던 STA B로부터의 오리지널 메시지를 들을 수 없을 때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AP가 STA B를 들을 수 없으면, STA B는 "숨겨진 노드"로 간주된다. STA B가 숨겨진 노드이면, STA B로의 선택된 송신들에 대해, 스테이션(10)은 송신 전력을 증가시키거나 또는 PHY 데이터 레이트를 감소시키거나, 또는 둘 모두를 수행한다(102).
[0098] 예에 따라, 본원에서 설명된 기술들 중 임의의 기술의 특정 동작들 또는 이벤트들이 상이한 시퀀스로 수행될 수 있거나, 추가, 병합, 또는 모두 함께 배제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되어야 한다(예컨대, 모든 설명된 동작들 또는 이벤트들이 기술들의 실현에 필요한 것은 아니다). 게다가, 특정 예들에서, 동작들 또는 이벤트들은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것이 아니라, 예컨대 멀티-스레드 프로세싱, 인터럽트 프로세싱,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들을 통해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0099]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예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면, 기능들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명령들 또는 코드로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상에 저장되거나 또는 이를 통해 송신되며, 하드웨어-기반 프로세싱 유닛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데이터 저장 매체와 같은 유형의 매체에 대응하는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또는 예컨대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한 장소로부터 다른 장소로의 컴퓨터 프로그램의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하는 통신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일반적으로, (1) 비-일시적인 유형의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또는 (2) 신호 또는 반송파와 같은 통신 매체에 대응할 수 있다. 데이터 저장 매체는, 본 개시내용에서 설명된 기술들의 구현을 위한 명령들, 코드 및/또는 데이터 구조들을 리트리빙하기 위해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컴퓨터들 또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들이 액세스할 수 있는 임의의 이용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0100] 제한이 아닌 예로서, 그러한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스토리지, 자기 디스크 스토리지, 또는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 플래시 메모리, 또는 원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명령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저장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컴퓨터가 액세스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연결이 적절하게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로 불린다. 예컨대, 명령들이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원격 소스로부터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연선, DSL(digital subscriber line),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을 사용하여 송신되면,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연선, 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이 매체의 정의에 포함된다. 그러나,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및 데이터 저장 매체가 연결들, 반송파들, 신호들, 또는 다른 일시적 매체를 포함하는 것이 아니라, 대신에 비-일시적인 유형의 저장 매체에 관한 것임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디스크(disk) 및 디스크(disc)는 콤팩트 디스크(CD;compact disc), 레이저 디스크(disc), 광학 디스크(disc),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digital versatile disc), 플로피 디스크(disk) 및 블루-레이 디스크(disc)를 포함하며, 여기서 디스크(disk)들은 대개 자기적으로 데이터를 재생하는 반면에 디스크(disc)들은 레이저들을 이용하여 광학적으로 데이터를 재생한다. 이들의 결합들이 또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0101] 명령들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들(20), 이를테면, 하나 또는 그 초과의 DSP(digital signal processor)들, 범용 마이크로프로세서들,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들, FPGA(field programmable logic array)들, 또는 다른 등가의 집적된 또는 이산의 로직 회로소자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그에 따라서, 본원에서 사용된 "프로세서"란 용어는, 전술된 구조 또는 본원에서 설명된 기술들의 구현에 적절한 임의의 다른 구조 중 임의의 구조를 지칭할 수 있다. 부가하여, 일부 양상들에서, 본원에서 설명된 기능성은, 인코딩 및 디코딩을 위해 구성된 전용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모듈들 내에 제공되거나, 또는 결합된 코덱에 통합될 수 있다. 또한, 기술들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회로들 또는 로직 엘리먼트들로 완전히 구현될 수 있다.
[0102] 본 개시내용의 기술들은 무선 핸드세트, IC(integrated circuit) 또는 IC들의 세트(예컨대, 칩 세트)를 비롯하여 매우 다양한 디바이스들 또는 장치들에서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에서, 다양한 컴포넌트들, 모듈들, 또는 유닛들은, 개시된 기술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디바이스들의 기능적 양상들을 강조하기 위해 설명되지만, 반드시 상이한 하드웨어 유닛들에 의한 구현을 요구하는 것은 아니다. 그보다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다양한 유닛들은, 적절한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와 함께, 위에서 설명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들을 비롯하여 상호작용적인 하드웨어 유닛들의 집합에 의해 제공되거나 또는 코덱 하드웨어 유닛에 결합될 수 있다.
[0103] 다양한 예들이 설명되었다. 이들 및 다른 예들은 다음의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 있다.

Claims (20)

  1.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방법으로서,
    송신 파라미터들의 제 1 세트로, 송신기로부터 제 1 타입의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송신 파라미터들의 제 1 세트는 제 1 PHY 데이터 레이트 및 제 1 송신 전력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타입의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송신될 데이터가 복수의 프래그먼트(fragment)들을 포함한다는 것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파라미터를 갖는 프레임 제어 필드를 검사하는 단계, 및
    상기 파라미터가, 전송될 데이터가 복수의 프래그먼트들을 포함한다는 것을 표시하면, 상기 복수의 프래그먼트들로부터 제 1 프래그먼트를 선택하며, 상기 제 1 PHY 데이터 레이트 및 상기 제 1 송신 전력으로 상기 제 1 프래그먼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함―;
    송신 파라미터들의 제 2 세트로, 상기 송신기로부터 제 2 타입의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송신 파라미터들의 제 2 세트는 제 2 PHY 데이터 레이트 및 제 2 송신 전력을 포함하며, 상기 송신기로부터 상기 제 2 타입의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PHY 데이터 레이트 및 상기 제 2 송신 전력으로 제 2 프래그먼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함―; 및
    송신될 정보의 타입의 함수로써, 상기 송신 파라미터들의 제 1 세트와 상기 송신 파라미터들의 제 2 세트 사이에서 스위칭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PHY 데이터 레이트는 상기 제 1 PHY 데이터 레이트보다 더 높으며,
    상기 제 1 프래그먼트의 세그먼트 길이는 상기 제 2 프래그먼트의 세그먼트 길이보다 더 짧으며, 그리고
    상기 제 1 송신 전력은 상기 제 2 송신 전력보다 더 높은,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802.11 표준에 부합하는 복수의 PHY 데이터 레이트들로 송신하며, 상기 제 1 PHY 데이터 레이트는 상기 송신기에 이용가능한 상기 복수의 PHY 데이터 레이트들 중 가장 느린 PHY 데이터 레이트인,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802.11 표준에 부합하는 복수의 송신 전력들로 송신하며, 상기 제 1 송신 전력은 상기 송신기에 이용가능한 상기 복수의 송신 전력들 중 최고 송신 전력인,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타입의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PHY 데이터 레이트 및 상기 제 2 송신 전력으로 복수의 제 2 프래그먼트들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프래그먼트의 세그먼트 길이는 상기 제 2 프래그먼트들 각각의 세그먼트 길이보다 더 짧은,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송신 전력 및 상기 제 2 송신 전력은 802.11 표준에 부합하는 송신 전력들인,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PHY 데이터 레이트 및 상기 제 2 PHY 데이터 레이트는 802.11 표준에 부합하는 PHY 데이터 레이트들인,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프래그먼트들로부터 제 1 프래그먼트를 선택하는 것은 상기 제 1 프래그먼트의 송신의 오버헤드를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데이터를 파티셔닝하는 것을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송신 전력 및 상기 제 2 송신 전력은 802.11 표준에 부합하는 송신 전력들인,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PHY 데이터 레이트 및 상기 제 2 PHY 데이터 레이트는 802.11 표준에 부합하는 PHY 데이터 레이트들인,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방법.
  10. 무선 스테이션으로서,
    수신기;
    송신기;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 상기 수신기 및 상기 송신기에 연결된 프로세서
    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로부터 리트리빙된 데이터를, 제 1 프래그먼트 및 제 2 프래그먼트를 포함하는 복수의 프래그먼트들로 파티셔닝하고;
    제 1 PHY 데이터 레이트 및 제 1 송신 전력으로, 상기 송신기로부터 상기 제 1 프래그먼트를 송신하며; 그리고
    제 2 PHY 데이터 레이트 및 제 2 송신 전력으로, 상기 송신기로부터 상기 제 2 프래그먼트를 송신하도록
    동작하며,
    상기 제 2 PHY 데이터 레이트는 상기 제 1 PHY 데이터 레이트보다 더 높으며,
    상기 제 1 프래그먼트의 세그먼트 길이는 상기 제 2 프래그먼트의 세그먼트 길이보다 더 짧으며, 그리고
    상기 제 1 송신 전력은 상기 제 2 송신 전력보다 더 높은,
    무선 스테이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PHY 데이터 레이트 및 상기 제 2 PHY 데이터 레이트는 802.11 표준에 부합하는 데이터 레이트들인,
    무선 스테이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송신 전력 및 상기 제 2 송신 전력은 802.11 표준에 부합하는 송신 전력들인,
    무선 스테이션.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프래그먼트들은 복수의 제 2 프래그먼트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프래그먼트 각각은 제 1 프래그먼트의 세그먼트 길이보다 더 긴 세그먼트 길이를 갖는,
    무선 스테이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PHY 데이터 레이트 및 상기 제 2 송신 전력으로 상기 제 2 프래그먼트들 각각을 송신하도록 추가로 동작하는,
    무선 스테이션.
  15. 무선 네트워크로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제 1 무선 스테이션들 ―각각의 제 1 무선 스테이션은 수신기 및 송신기를 포함함―; 및
    제 2 무선 스테이션
    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무선 스테이션은,
    수신기,
    송신기,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 상기 수신기 및 상기 송신기에 연결된 프로세서
    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로부터 리트리빙된 데이터를, 제 1 프래그먼트 및 제 2 프래그먼트를 포함하는 복수의 프래그먼트들로 파티셔닝하고;
    제 1 PHY 데이터 레이트 및 제 1 송신 전력으로, 상기 송신기로부터 상기 제 1 프래그먼트를 송신하며; 그리고
    제 2 PHY 데이터 레이트 및 제 2 송신 전력으로, 상기 송신기로부터 상기 제 2 프래그먼트를 송신하도록
    동작하며,
    상기 제 2 PHY 데이터 레이트는 상기 제 1 PHY 데이터 레이트보다 더 높으며,
    상기 제 1 프래그먼트의 세그먼트 길이는 상기 제 2 프래그먼트의 세그먼트 길이보다 더 짧으며, 그리고
    상기 제 1 송신 전력은 상기 제 2 송신 전력보다 더 높은,
    무선 네트워크.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송신 전력 및 상기 제 2 송신 전력은 802.11 표준에 부합하는 송신 전력들인,
    무선 네트워크.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PHY 데이터 레이트 및 상기 제 2 PHY 데이터 레이트는 802.11 표준에 부합하는 PHY 데이터 레이트들인,
    무선 네트워크.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프래그먼트들은 복수의 제 2 프래그먼트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프래그먼트 각각은 제 1 프래그먼트의 세그먼트 길이보다 더 긴 세그먼트 길이를 갖는,
    무선 네트워크.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PHY 데이터 레이트 및 상기 제 2 송신 전력으로 상기 제 2 프래그먼트들 각각을 송신하도록 추가로 동작하는,
    무선 네트워크.
  20. 명령들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명령들은, 실행될 때,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들로 하여금,
    송신 파라미터들의 제 1 세트로, 송신기로부터 제 1 타입의 정보를 송신하게 하고 ―상기 송신 파라미터들의 제 1 세트는 제 1 PHY 데이터 레이트 및 제 1 송신 전력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타입의 정보를 송신하는 것은,
    송신될 데이터가 복수의 프래그먼트들을 포함한다는 것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파라미터를 갖는 프레임 제어 필드를 검사하는 것, 및
    상기 파라미터가, 전송될 데이터가 복수의 프래그먼트들을 포함한다는 것을 표시하면, 상기 복수의 프래그먼트들로부터 제 1 프래그먼트를 선택하며, 상기 제 1 PHY 데이터 레이트 및 상기 제 1 송신 전력으로 상기 제 1 프래그먼트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함―;
    송신 파라미터들의 제 2 세트로, 상기 송신기로부터 제 2 타입의 정보를 송신하게 하며 ―상기 송신 파라미터들의 제 2 세트는 제 2 PHY 데이터 레이트 및 제 2 송신 전력을 포함하며, 상기 송신기로부터 상기 제 2 타입의 정보를 송신하는 것은 상기 제 2 PHY 데이터 레이트 및 상기 제 2 송신 전력으로 제 2 프래그먼트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함―; 그리고
    송신될 정보의 타입의 함수로써, 상기 송신 파라미터들의 제 1 세트와 상기 송신 파라미터들의 제 2 세트 사이에서 스위칭하게 하고,
    상기 제 2 PHY 데이터 레이트는 상기 제 1 PHY 데이터 레이트보다 더 높으며,
    상기 제 1 프래그먼트의 세그먼트 길이는 상기 제 2 프래그먼트의 세그먼트 길이보다 더 짧으며, 그리고
    상기 제 1 송신 전력은 상기 제 2 송신 전력보다 더 높은,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KR1020177029613A 2015-04-16 2016-04-08 무선 네트워크들에서 충돌들을 감소시키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17013776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148704P 2015-04-16 2015-04-16
US62/148,704 2015-04-16
US14/857,556 2015-09-17
US14/857,556 US9872298B2 (en) 2015-04-16 2015-09-17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collisions in wireless networks
PCT/US2016/026793 WO2016168086A1 (en) 2015-04-16 2016-04-08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collisions in wireless network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7763A true KR20170137763A (ko) 2017-12-13

Family

ID=55806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9613A KR20170137763A (ko) 2015-04-16 2016-04-08 무선 네트워크들에서 충돌들을 감소시키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872298B2 (ko)
EP (1) EP3284292A1 (ko)
JP (1) JP2018515020A (ko)
KR (1) KR20170137763A (ko)
CN (1) CN107534903A (ko)
AU (1) AU2016247782A1 (ko)
BR (1) BR112017022014A2 (ko)
TW (1) TWI629912B (ko)
WO (1) WO20161680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43842A1 (ja) * 2015-03-11 2016-09-15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および通信方法
JP6619802B2 (ja) * 2015-04-27 2019-12-11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送信方法、送信制御方法、及び、通信装置
WO2017113293A1 (zh) * 2015-12-31 2017-07-06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设备以及降低通信设备功耗的方法、装置
CN107920358B (zh) * 2016-10-11 2021-01-26 富士通株式会社 节点诊断装置以及系统
JP6097983B1 (ja) * 2016-11-30 2017-03-22 サイレックス・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CN109905327B (zh) * 2017-12-11 2021-05-07 网宿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无线网络数据传输方法、发送端及接收端
CN110972325B (zh) * 2018-09-28 2022-04-01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方法、设备及装置
US11817958B2 (en) * 2019-09-05 2023-11-14 Apple Inc. MAC-based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WO2023004702A1 (zh) * 2021-07-29 2023-02-02 华为技术有限公司 传输速率确定方法及通信装置
US20230108796A1 (en) * 2021-10-05 2023-04-06 Mediatek Inc.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ing higher physical layer data rate for channel state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associate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CN117407572B (zh) * 2023-12-15 2024-03-15 国网浙江省电力有限公司绍兴供电公司 用于配网应急一体化指挥的故障信息处理方法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70929B1 (en) 2000-01-14 2009-08-04 Symbol Technologies, Inc. 802.11 networks using dynamic power control for RF transmission
US7257094B2 (en) * 2001-01-16 2007-08-14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Jointly controlling transmission rate and power in a communications system
US20020172186A1 (en) 2001-04-09 2002-11-21 Peter Larsson Instantaneous joint transmit power control and link adaptation for RTS/CTS based channel access
US6735445B2 (en) * 2002-08-26 2004-05-11 Symbol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medium access control in a wireless network
WO2006012211A2 (en) 2004-06-24 2006-02-02 Meshnetworks, Inc. A system and method for adaptive rate selection for wireless networks
US7945210B2 (en) * 2004-12-20 2011-05-17 Nxp B.V. Method and arrangement for reducing the mutual interference of network subscribers in radio networks
KR20080016943A (ko) 2005-06-08 2008-02-22 아바야 테크놀러지 코퍼레이션 무선 근거리 통신망들에서 노출된 노드 문제들 회피
US8744511B2 (en) 2009-09-04 2014-06-03 Qualcomm Incorporated Output power control for advanced WLAN and bluetooth-amp systems
US8456989B1 (en) * 2010-06-30 2013-06-04 Sprint Spectrum L.P. Method and system for using supplemental channels for a communication session
JP6023056B2 (ja) * 2010-09-13 2016-11-09 マーベル ワールド トレード リミテッド アクセスポイントコントローラ、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8879445B2 (en) 2011-10-26 2014-11-04 Qualcomm Incorporated Mitigating impact of power imbalance on remote data rate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534903A (zh) 2018-01-02
WO2016168086A1 (en) 2016-10-20
US20160309480A1 (en) 2016-10-20
TWI629912B (zh) 2018-07-11
JP2018515020A (ja) 2018-06-07
AU2016247782A1 (en) 2017-09-28
BR112017022014A2 (pt) 2018-07-03
US9872298B2 (en) 2018-01-16
EP3284292A1 (en) 2018-02-21
TW201640943A (zh) 2016-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72298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collisions in wireless networks
US9628243B2 (en) Communication method with indications in the PHY header
US11785562B2 (en) Multi-link operation with triggered alignment of frames
US980779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channel
US874379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separate contention window allowing allocations for pending uplink SDMA transmission opportunities
US7948911B2 (en) Implicit signaling for link adaptation
US20160330788A1 (en) Mobile radio communication device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 mobile radio communication device
US978162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nd decoding short control frames in wireless communications
US10560295B2 (en) Slotted OFDMA based random access
KR100713378B1 (ko)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숨은 스테이션 검출 방법
US20080159205A1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US10980057B2 (en) Slotted OFDMA based channel access
US1158938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collision detection in data transmission
US8554153B2 (en) Transmit power control in a random access scheme
US20240089785A1 (en) Method and device for receiving downlink traffic in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multiple links
CN116368914A (zh) 对移动软接入点多链路设备的二级链路接入
JP2017512413A (ja) 拡張フレーム間スペースを回避すること
KR101546198B1 (ko) 무선 네트워크에서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