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7708B1 -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7708B1
KR101827708B1 KR1020100079698A KR20100079698A KR101827708B1 KR 101827708 B1 KR101827708 B1 KR 101827708B1 KR 1020100079698 A KR1020100079698 A KR 1020100079698A KR 20100079698 A KR20100079698 A KR 20100079698A KR 101827708 B1 KR101827708 B1 KR 1018277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reflector
opening
lower plate
ligh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9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7169A (ko
Inventor
공경일
미카엘 캐스텔리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796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7708B1/ko
Publication of KR20120017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71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7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77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008Reflectors for light sources providing for indirect ligh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7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 F21V29/74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with fins or blades
    • F21V29/77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with fins or blades with essentially identical diverging planar fins or blades, e.g. with fan-like or star-like cross-s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4Optical design
    • F21V7/041Optical design with conical or pyramidal surf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3/00Elongate light sources, e.g. fluorescent tubes
    • F21Y2103/30Elongate light sources, e.g. fluorescent tubes curved
    • F21Y2103/33Elongate light sources, e.g. fluorescent tubes curved annul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명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LED를 사용한 간접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는, 기판과 상기 기판의 일 면에 배치된 LED를 포함하는 광원부; 속이 빈 원통형이고, 상부 개구와 하부 개구를 가지며, 상기 광원부의 기판의 다른 일 면이 접하는 내부 곡면을 포함하는 방열체; 상기 방열체의 상부 개구에 배치되고, 상기 방열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광원부의 LED에서 방출되는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체를 갖는 상판; 및 상기 방열체의 하부 개구에 배치되고, 상기 반사체에서 반사된 광들이 통과하는 광 출사개구를 가지며, 상기 상판이 설치된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갖는 내면을 포함하는 하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명 장치{LIGH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조명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LED를 사용한 간접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LED(light emitting diode)는 전기 에너지를 빛 에너지로 변환하는 에너지 소자로서, 백열전구에 비해 변환 효율이 높고 소비전력이 적으며 수명이 길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장점이 널리 알려짐에 따라, 현재 LED를 이용한 조명 장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관심을 반영하여 조명 분야의 기업들에서는 LED를 사용한 조명 장치들을 출시하고 있다.
LED를 사용하는 조명 장치는 크게 직접 조명 장치와 간접 조명 장치로 나눌 수 있다. 직접 조명 장치는 LED에서 방출된 빛의 경로가 변경되지 않고 출사되는 조명 장치를 의미하고, 간접 조명 장치는 LED에서 방출된 빛의 경로가 반사 수단 등을 통해 변경되어 출사되는 장치를 의미한다. 간접 조명 장치는 직접 조명 장치에 비해, LED에서 방출되는 강한 빛을 어느 정도 감쇠시켜주어 사용자의 눈을 보호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LED를 이용한 간접 조명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LED의 광학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조명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는, 기판과 상기 기판의 일 면에 장착된 LED를 갖는 광원부; 속이 빈 원통형으로서 상부 개구와 하부 개구를 가지며, 내부 곡면에 상기 광원부의 기판의 다른 일 면이 접하는 방열체; 상기 방열체의 상부 개구를 막고, 상기 방열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광원부의 LED에서 방출되는 광을 상기 하부 개구로 반사시키는 반사체를 갖는 상판; 및 상기 방열체의 하부 개구에 설치되며, 상기 반사체에서 반사된 광들이 통과하는 광 출사개구를 가지며, 내면에 상기 상판이 설치된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갖는 플랫한 하판;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하판의 경사면은 상기 하판의 광 출사개구를 둘러싸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하판의 경사면은 복수이고, 상기 복수의 경사면들은 입사되는 광을 상기 반사체의 소정 위치로 반사시키기 위해 서로 다른 경사각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반사체는 원뿔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원뿔형 반사체의 원뿔면은 내부 방향으로 만곡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는, 기판과 상기 기판의 일 면에 장착된 LED를 갖는 광원부; 속이 빈 원통형으로서 상부 개구와 하부 개구를 가지며, 내부 곡면에 상기 광원부의 기판의 다른 일 면이 접하는 방열체; 상기 방열체의 상부 개구를 막고, 상기 방열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광원부의 LED에서 방출되는 광을 상기 하부 개구로 반사시키는 반사체를 갖는 상판; 및 상기 방열체의 하부 개구에 설치되며, 상기 반사체에서 반사된 광들이 통과하는 광 출사개구를 가지며, 내면에 상기 광원부의 LED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상기 반사체로 반사시키는 하판;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하판의 내면은 빛 반사 물질로 도포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반사체는 원뿔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원뿔형 반사체의 원뿔면은 내부 방향으로 만곡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장치를 사용하면, LED의 광학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의 단면 사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조명 장치에서, 하판의 다른 실시 형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면에서 각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명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는 상판(110), 복수의 광원부(120)들, 광학체(130), 방열체(140), 하판(150) 및 커버(1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판(110)은 방열체(140)의 상부 개구를 덮도록 설치되어 방열체(140) 내부에서 발생된 광이 밖으로 빠져나가지 못하게 한다. 상판(110)은 외면(111)과 내면(113)으로 구성된다. 상판(110)의 외면(111)은 일반적인 플랫(flat)한 형상을 갖는다.
상판(110)의 내면(113)은 복수의 광원부(120)들로부터 입사된 광을 광 출사경로(도 2에서의 아래 방향)으로 반사하기 위한 반사체를 포함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내면(113)의 구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뿔형 반사체’로 구성된다. 여기서, 이하 본 명세서 상에서 ‘원뿔형’이란 기하하적으로 완벽한 원뿔뿐만 아니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뿔면이 원뿔의 안쪽 방향으로 활처럼 굽은 만곡된 형태를 포함한다. 뿐만 아니라 원뿔면이 원뿔의 바깥쪽 방향으로 만곡된 형태도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판(110)의 외면(111)이 방열체(140)의 상부 개구를 덮으면, 원뿔형 반사체를 갖는 내면(113)은 방열체(140)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어 위치할 수 있다.
광원부(120)은 LED(121)와 상기 LED(121)가 장착된 기판(123)을 포함한다. 여기서, 광원부(120)는 LED(121)가 장착되지 않은 기판(123)의 일 면과 접하는 방열판(12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방열판(125)의 일 면은 기판(123)의 다른 일 면과 접하고, 다른 일 면은 방열체(140)의 내면과 접한다. 따라서, 방열판(125)은 LED(121)로부터의 열을 일부 방열함과 나머지 열을 방열체(14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방열판(125)은 방열체(140)의 내부 곡면에 장착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좀 더 구체적으로, 방열판(125)은 방열체(140)의 안착홈(143)에 끼워져 방열체(140)의 내면에 장착될 수 있다.
복수의 광원부(120)들은 방열체(140)의 내부 곡면에 장착된다. 따라서 복수의 광원부(120)들의 배열은 방열체(140)의 내부 곡면 형상에 따른다. 도면에서, 방열체(140)는 속이 빈 원통형이므로, 복수의 광원부(120)들은 원형으로 배열되며, 원통형 방열체(140)의 내부 중심으로 빛을 방출할 수 있다.
광학체(130)는 방열체(140) 내의 복수의 광원부(120)들과 상판(110)의 내면(113)의 원뿔형 반사체 사이에 배치되어 복수의 광원부(120)들로부터 방출된 청색광을 백색광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이 경우 광학체(13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형광체를 포함하는 PLF(Photo Luminescent Film)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PLF는 입사되는 광의 연색 지수(Color Rendering Index, CRI)를 높여 백색광으로 변화시키는 필름을 말한다. 여기서, PLF로서의 광학체(130)는 입사되는 광을 확산시키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한편, 광학체(130)는 방열체(140) 내의 복수의 광원부(120)들과 상판(110)의 내면(113)의 원뿔형 반사체 사이에 배치되어 복수의 광원부(120)들로부터 방출된 백색광을 확산시킬 수 있다. 이 경우 광학체(130)는 일반적인 확산판인 것이 바람직하다.
PLF 또는 확산판으로서의 광학체(130)는 방열체(140)의 형상에 따라 상부 개구와 하부 개구를 갖는 원통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광학체(130)의 하부 개구를 정의하는 밑단이 하판(150)의 고정홈(151)에 수용될 수 있다. 광학체(130)가 하판(150)의 고정홈(151)에 끼워지면, 광학체(130)는 방열체(140)의 내부에 견고하게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방열체(140)는 상부 개구와 하부 개구를 갖는 속이 빈 원통형이다. 이러한 원통형 방열체(140)는 외면과 내면으로 구성된다.
방열체(140)의 외면은 복수의 방열핀(141)들과 연결된다. 복수의 방열핀(141)들 각각은 방열체(140)의 외면으로부터 바깥쪽 방향으로 연장된다.
방열체(140)의 내면, 즉 내부 곡면에는 복수의 광원부(120)들이 장착된다. 이를 위해, 방열체(140)의 내면은 복수의 광원부(120)들이 각각 장착되기 위한 안착홈(143)을 갖는다.
방열체(140)의 안착홈(143)의 바닥면은 광원부(120)의 방열판(125)의 다른 일 면과 면 접촉하기 위해, 플랫(Flat)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착홈(143)의 바닥면이 플랫하면, 방열판(125)과 완벽하게 면 접촉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방열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방열체(140)의 상부 개구는 상판(110)에 의해 밀폐된다. 방열체(140)의 하부 개구는 하판(150)에 의해 막히지만, 하판(150)의 광 출사개구(153)에 의해 밀폐되지는 않는다.
방열체(140), 상판(110) 및 하판(150)에 의한 내부 공간에는 상판(110)의 내면(113)의 원뿔형 반사체와 광학체(130)가 설치된다.
하판(15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안전판으로서의 기능을 담당한다. 이러한 하판(150)은 광 출사경로 상에 설치되는데, 구체적으로 하판(150)은 방열체(140)의 하부 개구에 설치되며, 플랫(flat)한 판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하판(150)은 광학체(130)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홈(151)을 가지며, 상판(110)의 내면(113)의 원뿔형 반사체에서 반사된 광이 통과하기 위한 광 출사개구(153)를 갖는다. 광 출사개구(153)은 엣지부(155)에 의해 정의된다. 여기서, 하판(150)의 내면은 경사면을 가질 수 있는데, 이를 첨부된 도 5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조명 장치에서, 하판의 다른 실시 형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하판(15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경사면(157)을 갖는다. 경사면(157)은 하판(150)의 내면에서 고정홈(151)과 엣지부(155) 사이에 형성된다. 이러한 경사면(157)은 도 3에서 상판(110)이 설치된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경사면(157)은 광원부(120)의 배열 형태인 원형 배열에 따라 동심원을 그린다. 또한, 경사면(157)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가 하판(150)의 내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경사면(157)들도 동심원을 그리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경사면(157)은 광원부(120)의 LED(121)에서 직접 상판(110)의 내면의 원뿔형 반사체의 표면으로 입사하지 않고 하판(150)의 내면으로 입사되는 광을 상판(110)의 내면의 원뿔형 반사체의 표면으로 반사한다. 따라서, 경사면(157)에 의해 광 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5에는 복수의 경사면(157)들이 서로 동일한 기울기를 갖도록 도시하였으나, 이와 달리 복수의 경사면(157)들은 각각 서로 다른 경사각도를 가질 수 있다. 복수의 경사면(157)들이 서로 다른 경사각도를 가질 경우, 광원부(120)의 LED(121)에서 방출된 광이 하판(150)의 내면의 어떤 위치에 입사되더라도, 복수의 경사면(157)들은 입사되는 광을 원뿔형 반사체의 특정 위치로 반사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모두 동일한 기울기를 갖는 경우보다 더 좋은 광 효율을 얻을 수 있다.
다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커버(160)는 하판(150)의 광 출사개구(153)를 통과하는 광을 광 출사경로(도 4에서의 아래 방향)로 한 번 더 모아준다. 이러한 커버(160)는 상측부(161), 하측부(163) 및 집광부(165)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160)의 상측부(161)는 커버(160)의 상부 개구를 정의하고, 하판(150)의 엣지부(155)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커버(160)의 하측부(163)는 커버(160)의 하부 개구를 정의한다. 하측부(163)의 최외각 원주는 상기 상측부(161)의 최외각 원주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즉, 커버(160)의 하부 개구가 커버(160)의 상부 개구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160)의 집광부(165)는 하판(150)의 광 출사개구(153)를 통해 출사되는 광을 광 출사경로로 모아주기 위해 커버(160)의 외측방향으로 만곡된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실시 형태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 형태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 형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 형태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 형태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 형태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 형태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 형태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 형태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상판
120: 광원부
130: 광학체
140: 방열체
150: 하판
160: 커버

Claims (9)

  1. 기판과 상기 기판의 일 면에 배치된 LED를 포함하는 광원부;
    속이 빈 원통형이고, 상부 개구와 하부 개구를 가지며, 상기 광원부의 기판의 다른 일 면이 접하는 내부 곡면을 포함하는 방열체;
    상기 방열체의 상부 개구에 배치되고, 상기 방열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광원부의 LED에서 방출되는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체를 갖는 상판; 및
    상기 방열체의 하부 개구에 배치되고, 상기 반사체에서 반사된 광들이 통과하는 광 출사개구를 가지며, 상기 상판이 설치된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갖는 내면을 포함하는 하판;
    을 포함하며,
    상기 하판의 경사면은 복수이고,
    상기 복수의 경사면들은 입사되는 광을 상기 반사체의 소정 위치로 반사시키기 위해 서로 다른 경사각도를 갖는, 조명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판의 경사면은 상기 하판의 광 출사개구를 둘러싸는 조명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판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광 출사개구를 통과하는 광을 광 출사경로 상으로 모아주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조명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하판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상측부;
    상기 커버의 하부 개구를 규정하는 하측부; 및
    상기 커버의 외측방향으로 만곡된 형상을 갖는 집광부;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체는 원뿔형이고,
    상기 반사체의 원뿔면은 내부 방향으로 만곡된 조명 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00079698A 2010-08-18 2010-08-18 조명 장치 KR1018277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9698A KR101827708B1 (ko) 2010-08-18 2010-08-18 조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9698A KR101827708B1 (ko) 2010-08-18 2010-08-18 조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7169A KR20120017169A (ko) 2012-02-28
KR101827708B1 true KR101827708B1 (ko) 2018-02-09

Family

ID=45839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9698A KR101827708B1 (ko) 2010-08-18 2010-08-18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770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47042A (ja) * 2006-12-11 2008-06-26 Koito Mfg Co Ltd 車両用標識灯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47042A (ja) * 2006-12-11 2008-06-26 Koito Mfg Co Ltd 車両用標識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7169A (ko) 2012-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2644B1 (ko) 조명 장치
KR101053634B1 (ko) 엘이디 조명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057064B1 (ko) 엘이디 조명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5759781B2 (ja) Led電球
CA2839991A1 (en) Led based illumination module with a reflective mask
TWI595189B (zh) 內反射燈具
CA2831784A1 (en) Color conversion cavities for led-based illumination modules
JP6217972B2 (ja) 照明器具
JP2007035426A (ja) 照明器具
JP2012160666A (ja) 光源モジュール及び照明装置
JP4989791B2 (ja) ランプ
US20130242566A1 (en) Light emitting diode lamp
JP6750209B2 (ja) ランプ
JP5473966B2 (ja) 光源ユニット及び照明装置
JP5243883B2 (ja) 発光装置および照明器具
JP6917584B2 (ja) レンズ及び照明器具
KR101055519B1 (ko) 조명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등명기
JP6238199B2 (ja) 照明器具
KR101797480B1 (ko) 조명 장치
KR101742677B1 (ko) 조명 장치
KR100960735B1 (ko) Led 집광렌즈를 이용한 led조명장치
KR101827708B1 (ko) 조명 장치
KR101742676B1 (ko) 조명 장치
KR101772632B1 (ko) 조명 장치
KR101786062B1 (ko) 조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