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7476B1 - 침수심 조견형 지진해일 재해정보도를 이용하여 무선망을 기반으로 수행되는 지진해일 재해정보도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침수심 조견형 지진해일 재해정보도를 이용하여 무선망을 기반으로 수행되는 지진해일 재해정보도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7476B1
KR101827476B1 KR1020150191232A KR20150191232A KR101827476B1 KR 101827476 B1 KR101827476 B1 KR 101827476B1 KR 1020150191232 A KR1020150191232 A KR 1020150191232A KR 20150191232 A KR20150191232 A KR 20150191232A KR 101827476 B1 KR101827476 B1 KR 1018274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aster information
mobile terminal
map
beac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91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0057A (ko
Inventor
조용식
조혜린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912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7476B1/ko
Publication of KR201700800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00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7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74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06Q50/265Personal security, identity or safe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40Controlling or monitoring, e.g. of flood or hurricane; Forecasting, e.g. risk assessment or mapp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Alarm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진해일 내습에 따른 예상 침수지역, 침수심, 가용 대피시설 및 대피경로 등이 도시되는 지진해일 재해정보도(10) 및 무선망(40) 접속이 가능한 모바일단말(30)로 지진해일 재해정보도(10)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가옥 또는 자동차 등 일상생활에서 친숙한 사물을 침수심과 연계하여 도시한 침수심조견부(14)를 지진해일 재해정보도(10)에 표시하여 침수심의 신속하고 정확한 파악이 가능하도록 하고, 지진해일 재해정보도(10)를 무선망(40) 연결 모바일단말(30)로 제공하되 재해정보도(10) 게시 대피안내판(19)에 부착된 비콘(20)을 통하여 사용자의 능동적인 접근 및 검색 없이도 적절한 지진해일 재해정보도(10)를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침수심 조견형 지진해일 재해정보도를 이용하여 무선망을 기반으로 수행되는 지진해일 재해정보도 제공방법{WIRELESS COMMUNICATION BASED TSUNAMI HAZARD MAP INFORMING SERVICE METHOD USING FLOODED DEPTH INDEXING TYPE TSUNAMI HAZARD MAP}
본 발명은 지진해일 내습에 따른 예상 침수지역, 침수심, 가용 대피시설 및 대피경로 등이 도시되는 지진해일 재해정보도(10) 및 무선망(40) 접속이 가능한 모바일단말(30)로 지진해일 재해정보도(10)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가옥 또는 자동차 등 일상생활에서 친숙한 사물을 침수심과 연계하여 도시한 침수심조견부(14)를 지진해일 재해정보도(10)에 표시하고, 지진해일 재해정보도(10)를 무선망(40)과 연결된 모바일단말(30)로 제공하되 재해정보도(10) 게시 대피안내판(19)에 부착된 비콘(20)을 통하여 적절한 지점의 지진해일 재해정보도(10)를 자동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재해정보도는 재해상황에서 예상되는 피해의 양상과 대피 방법 등의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한 지도로서, 관련 종래기술로는 특허 제715305호를 들 수 있다.
특허 제715305호를 비롯한 종래의 재해정보도는 홍수, 지진, 해일 등 특정한 자연재해 상황을 상정하고, 그에 따른 예상 피해지역 및 피해정도를 수치와 함께 지형도에 표시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진다.
우선, 종래의 재해정보도는 지도(地圖)라는 정형화된 틀을 탈피하지 못하고 지형도상에 수치화 또는 문자화된 정보를 단순 나열하는 정보제공 방식을 취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일반 사용자가 적절한 정보를 신속하게 제공받는데 있어서 장애가 있을 수 밖에 없다.
또한, 지역별 침수심 등 안전 또는 대피 판단과 관련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함에 있어서, 단순하게 수치로 표시된 정보를 나열하고 있는 바, 사용자의 신속하고 직관적인 위험 인지가 불가능할 뿐 아니라, 대피소 역시 지형도상에 그 위치를 단순히 표시하고 있는 바, 사용자가 대피소의 정확한 위치 파악에 어려움을 느낄 수 밖에 없으며, 특히 다수의 건물이 난립한 복잡한 시가지에서는 대피소로 활용될 수 있는 시설물을 특정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단말(30) 보급이 확대됨에 따라 지진해일 재해정보도를 모바일단말(30)을 통하여 배포하는 방안이 고려될 수 있는데, 종래기술에 있어서 모바일단말(30)을 통한 지도 등의 배포는 모바일단말(30)의 사용자가 당해 지도의 배포주체가 운용하는 서버에 능동적으로 접속하고 필요한 지도 관련 정보를 검색하여 전송받는 방식인 바, 지도 정보의 제공주체 및 필요한 도엽(圖葉)의 번호 등 분류정보를 사용자가 정확하게 인지한 상태를 전제로 성립될 수 있으며, 따라서 재해정보도에서는 현실적으로 적용이 불가능한 방식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지진해일 발생시의 예상 침수지역, 침수심, 대피시설 및 대피경로가 도시되는 지진해일 재해정보도에 있어서, 상이한 표시면이 적용된 침수심별 영역, 대피소 위치 및 대피로가 지형도상에 표시된 지형표시부(11)와, 대피소의 실물 사진이 표시되는 사진표시부(13)와, 일측에는 침수심별 영역 표시면이 도시된 영역도시부(17)가 배치되고 타측에는 침수심과 동일한 축척으로 사물이 도시된 사물도시부(18)가 배치되는 침수심조견부(14)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침수심 조견형 지진해일 재해정보도이다.
또한, 상기 침수심 조견형 지진해일 재해정보도를 이용한 무선망 기반 지진해일 재해정보도 제공방법에 있어서, 침수심 조견형 지진해일 재해정보도(10)가 게시된 대피안내판(19)에는 저전력 근거리 무선모듈(21), 무선모듈(21)을 제어하는 MCU(22) 및 전원(23)이 내장된 비콘(20)이 부착되고, 무선망(40) 접속이 가능한 모바일단말(30)과, 무선망(40)과 연결되고 상기 비콘(20)의 식별정보별 지진해일 재해정보도(10)가 수록된 관리데이터베이스(55)가 연결된 관리서버(50)와, 무선망(40)과 연결되고 푸시서비스(push service)를 제공하는 푸시서버(60)가 구성되어, 푸시서버(60)가 관리서버(50)의 접속정보를 무선망(40)을 경유한 푸시서비스를 통하여 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송출하는 단계와, 모바일단말(30)이 송출된 접속정보를 수신하고 무선망(40)을 통하여 관리서버(50)에 접속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설치를 요청하는 단계와, 관리서버(50)가 무선망(40)을 통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설치정보를 상기 모바일단말(30)로 전송하는 단계와, 모바일단말(30)의 운영체계가 설치정보를 수신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단계와, 비콘(20)이 자신의 식별정보를 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송출하는 단계와, 모바일단말(3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이 비콘(20)에서 송출된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모바일단말(30)의 어플리케이션이 비콘(20)에서 송출된 식별정보를 무선망(40)을 통하여 관리서버(50)로 전송하는 단계와, 관리서버(50)가 수신된 식별정보로 관리데이터베이스(55)를 조회하여 당해 지진해일 재해정보도(10)를 인출하는 단계와, 관리서버(50)가 인출된 재해정보도(10)를 상기 모바일단말(30)로 전송하고, 모바일단말(30)의 어플리케이션이 전송된 재해정보도(10)를 출력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침수심 조견형 지진해일 재해정보도를 이용한 무선망 기반 지진해일 재해정보도 제공방법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지진해일 재해정보도(10)의 가독성(readability)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고, 지진해일의 예상 피해를 수치가 아닌 일반 사용자가 일상생활에서 친숙하게 접하는 사물과 대비하여 파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피해상황을 체감하는 것과 유사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실제 상황 발생시 기민하고 적절한 대처를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지진해일 재해정보도(10)에는 지역별 침수심을 표시한 지형도, 지진해일 내습시의 행동요령은 물론, 대피소 또는 대피소로 활용되는 건물 등의 실물 사진을 지형도와 동반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대피소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지진해일 재해정보도(10)를 무선망(40) 접속이 가능한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단말(30)을 통하여 제공함으로써, 종래의 지면(紙面) 지도 형식의 재해정보도를 탈피하여, 행동요령의 음성 안내는 물론 시각별 침수상황을 모의한 동영상 및 대피경로를 안내하는 동영상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정보를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멀티미디어 재해정보도(10)의 제공에 있어서 모바일단말(30)의 사용자가 능동적으로 해당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에 접근하고 소요 정보를 검색하는 등의 조치 없이도, 재해정보도(10) 게시 대피안내판(19)에 부착된 비콘(20)에서 송출되는 신호를 모바일단말(30)이 인식함으로써, 재해정보도(10) 제공 주체에 대한 접근 및 재해정보도(10)의 수취가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재해정보도가 게시된 대피안내판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재해정보도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 재해정보도의 침수심조견부 예시도
도 4는 비콘이 적용된 본 발명 재해정보도 게시 대피안내판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비콘 구조도
도 6은 본 발명의 재해정보도 제공방법을 수행하는 구성요소간 연결 관계도
도 7은 본 발명의 재해정보도 제공방법 스퀀스다이어그램
도 8은 본 발명의 재해정보도 제공방법 수행상 모바일단말 화면 예시도
본 발명의 상세한 구성 및 수행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은 본 발명의 재해정보도(10)가 게시된 대피안내판(19)을 예시한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고정된 프레임 내부에 게시판이 설치된 대피안내판(19)이 구성되고, 대피안내판(19)에는 해당 지역의 지형도를 비롯하여, 각종 기호의 범례(15) 및 대피요령 등이 기재된 재해정보도(10)가 부착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재해정보도(10)는 도 2에서와 같은 다수의 표시요소로 구획되어 구성되며, 이는 지형도를 기반으로 침수지역 및 침수심, 대피소 위치 및 대피경로 등이 도시된 지형표시부(11)와, 당해 지진해일 모의의 기초자료로 상정된 지진 상황에 대한 개요를 기재한 상황표시부(12)와, 대피소의 실물 사진을 표시한 사진표시부(13)와, 침수심을 가옥 및 자동차 등의 사물과 대비한 침수심조견부(沈水深早見部)(14)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지형표시부(11)상에 표시된 각종 기호에 대한 설명이 기재된 범례(15)와 지진해일 발생시의 행동요령을 설명한 행동요령표시부(16)도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은 지진해일 발생시의 예상 침수지역, 침수심, 대피시설 및 대피경로가 도시되는 지진해일 재해정보도(10)로서, 상이한 표시면이 적용된 침수심별 영역, 대피소 위치 및 대피로가 지형도상에 표시된 지형표시부(11)와, 대피소의 실물 사진이 표시되는 사진표시부(13)와, 일측에는 침수심별 영역 표시면이 도시된 영역도시부(17)가 배치되고 타측에는 침수심과 동일한 축척으로 사물이 도시된 사물도시부(18)가 배치되는 침수심조견부(14)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도 2에서와 같이, 지형표시부(11)는 지형도를 기초로 제작되는 지도로서, 일반 지형도의 표시 요소인 지형, 하천, 해안선, 도로 및 건물 등이 기본적으로 표시되며, 이러한 기본 표시사항과 더불어 상황표시부(12)에서 상정된 지진에 따른 지진해일 발생시 예측되는 침수상황이 시각적으로 표시된다.
지형표시부(11)에 표시되는 지진해일에 따른 침수상황은 침수지역에 있어서 침수심(沈水深) 구간별 영역에 상이한 표시면을 적용하는 방식으로 지점별 침수심을 표시하게 되는데, 여기서 침수심의 구간별 표시면이란 해당 영역에 적용되는 색상 또는 패턴을 의미하는 것으로, 침수심 구간별로 상이한 색상 또는 패턴의 표시면이 적용됨에 따라 사용자가 특정 지점의 예상 침수심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침수심의 구간별 표시면은 도 2 및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은 침수심조견부(沈水深早見部)(11)를 통하여, 사용자가 일층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데,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침수심을 단순히 수치만으로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가옥 또는 자동차 등 일상생활에서 친숙한 사물과 침수심을 동일한 축척으로 대비하여 도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위험정도 또는 대피 여부를 신속하고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서와 같이, 지진해일 전용 대피소 또는 지진해일 발생시 대피소로 활용될 수 있는 고층 건물 등의 실물 사진을 표시한 사진표시부(13)를 통하여 대피소의 지도상 위치 뿐 아니라 실물 외형을 정확하게 파악함으로써, 실제 상황 발생시 일층 신속하고 정확한 대피가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지진해일 대피소로 활용될 수 있는 건물은 단순한 건물의 층고 뿐 아니라, 건물의 안정성, 외부와의 통신 용이성 및 접근 편의성은 물론 장기간 고립시의 생존 가능성 등이 종합적으로 고려되어 선정되는 바, 실제 상황 발생시 대피소 건물의 정확한 파악이 긴요한데, 종래의 재해정보도에서는 대피소의 도상 위치만을 파악할 수 있는 바, 복잡한 시가지 등 다수의 건물이 혼재되어 있는 상황에서는 대피소의 특정이 사실상 불가능하였으며, 대피시간이 허비되는 문제를 피할 수 없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대피소의 실물 외형을 사진을 통하여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으므로, 신속하고 안전한 대피가 가능하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지진해일 재해정보도(10)는 스마트폰 등 무선망(40) 접속이 가능한 모바일단말(30)을 통하여 제공됨으로써, 단순한 지면(紙面) 지도를 탈피하여 행동요령의 음성 안내는 물론 시각별 침수상황을 모의한 동영상 및 대피경로를 안내하는 동영상 등 멀티미디어 형식으로 제공될 수 있는데, 그 구체적인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있어서 모바일단말(30)을 통한 재해정보도(10)의 제공은 사용자가 재해정보도(10)를 제공하는 행정관서 등의 기관에서 운용하는 서버에 직접 접속하고, 관심 지역의 지진해일 재해정보도(10)를 특정할 수 있는 도엽번호 또는 도엽명칭 등의 정보를 입력하여 재해정보도(10)를 검색하는 복잡한 과정 없이도, 사용자가 모바일단말(30)을 소지한 상태에서 도 4에서와 같은 대피안내판(19)에 접근하기만 하면, 당해 지역에 대한 지진해일 재해정보도(10)가 모바일단말(30)에서 자동으로 출력된다.
이러한, 재해정보도(10)의 자동 제공은 도 4에서와 같이 침수심 조견형 지진해일 재해정보도(10)가 게시된 대피안내판(19)에 비콘(beacon)(20)이 설치되고, 비콘(20)에서 송출되는 신호를 모바일단말(30)이 수신함으로써 이루어지지만, 여기서 비콘(20)은 자신의 식별정보를 불특정 다수의 수신처에 브로드캐스트(broadcast) 방식으로 주기적으로 송출할 뿐 실제 재해정보도(10)와 관련된 유의(有意)한 컨텐트는 일체 송신하지 않으며, 대피안내판(19)에도 비콘(20)을 제외한 어떠한 정보기기도 설치되지 않음은 물론, 모바일단말(30)의 기억장치에도 후술할 지진해일 재해정보도(10)의 출력 직전까지 재해정보도(10)의 실제 내용과 관련된 유의한 컨텐트가 일체 수록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모바일단말(30)을 통한 재해정보도(10)의 출력은 비콘(20)에서 송출된 신호를 기초로 모바일단말(30)이 원격지의 관리서버(50)에 접속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인 바, 대피안내판(19)에 소형 비콘(20)을 단순 부착하는 조치외에는 일체의 시설 추가 내지 시스템 구축이 불필요하며, 따라서 최소한의 비용으로 멀티미디어 재해정보도(10)의 모바일 서비스가 가능하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대피안내판(19)의 프레임에 비콘(20)이 부착되어 있으나, 실제로 비콘(20)은 전력소모를 극소화한 소형 무선 송출장치로서 수센티미터 내외의 초소형으로 제작될 수 있는 바, 접착제 등을 통하여 재해정보도(10)의 도곽부위에 단순 부착될 수도 있다.
도 5는 이러한 비콘(20)의 내부 구조를 모식화하여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비콘(20)은 블루투스(Bluetooth) 및 지그비(Zigbee) 등 저전력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무선모듈(21)이 내장된 소형 장치로서, 도 5 발췌부의 블럭다이어그램(block diagram)에서와 같이, 식별정보가 포함된 무선신호를 주기적으로 발진하는 무선모듈(21)과, 무선모듈(21)을 제어하는 MCU(microcontroller unit)(22) 및 전원(23) 등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 비콘(20)에 적용되는 무선모듈(21)은 블루투스 또는 지그비 등 저전력 근거리 무선통신용 무선신호 발진기로서, 전력소모를 최소화한 조건에서 수십미터 내외의 송수신 범위를 가지는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게 되며, 특히 최근 개발된 BLE(Bluetooth Low Energy) 기반 무선모듈(21)은 전력소모가 극히 미미하여 소형 코인전지(coin cell)를 전원(23)으로 수년 이상의 신호 송출이 가능하다.
비콘(20)에 내장되는 MCU(22)는 무선모듈(21)을 제어하는 장치로서, 제어연산을 수행하는 코어(Core)와 기억장치인 메모리(Memory) 및 입출력 경로인 시리얼인터페이스(Serial Interfaces) 기능이 복합되어 구성된다.
본 발명의 비콘(20)은 내장된 전원(23)에 의하여 독립적으로 작동하는 것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전력소모가 극히 미미하여, 수년 이상 전원(23)의 교체 없이 운용이 가능하며, 따라서 대피안내판(19) 등에 부착된 비콘(20)은 별도의 유지관리 없이 장기간 사용이 가능할 뿐 아니라, 대피안내판(19)에 별도의 전력설비를 구축할 필요도 없으므로 최초 설치는 물론 유지관리상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재해정보도(10) 정보의 실제 유통은 비콘(20)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도 6에서와 같은 무선망(40) 및 관리서버(50)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것인데 여기서 무선망(40) 및 관리서버(50)는 본 발명의 수행을 위하여 새롭게 구축하여야 하는 설비가 아니라 무선랜 및 이동통신망 등 통상의 통신서비스를 위하여 기 구축된 설비를 활용하는 것인 바, 본 발명 수행을 위한 시설 구축 비용은 극히 미미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무선망(40)은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및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 등의 전통적인 이동통신망과 TCP/IP(Transport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기반 통신을 수행하는 Wi-Fi(Wireless-Fidelity) 및 WiBro(Wireless Broadband) 등의 무선랜 및 LTE(Long Term Evolution) 등을 망라하는 것이며,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무선망(40)을 구성하는 무선랜 및 이동통신망은 각각 게이트웨이서버(gateway server) 및 일종의 게이트웨이서버라 할 수 있는 통신사업자 서버 등을 통하여 인터넷 및 관리서버(50)에 연결된다.
무선망(40)과 연결되는 관리서버(50)는 모바일단말(30)에서 전송된 비콘(20)의 식별정보에 따라, 당해 모바일단말(30)의 위치를 특정하고, 관리서버(50)와 연결된 관리데이터베이스(55)에서 해당 지점의 재해정보도(10)를 인출하여 모바일단말(30)로 전송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지진해일과 관련된 경보업무를 수행하는 행정관서 또는 지진해일 피해가 우려되는 지역의 지방자치단체 등이 운용할 수 있다.
관리데이터베이스(55)에는 비콘(20)의 식별정보별 지진해일 재해정보도(10)가 수록되는데, 도 6에서는 관리서버(50)와 관리데이터베이스(55)가 물리적으로 분리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본 발명 구성요소의 기능을 구분하여 표현하기 위한 것으로, 관리서버(50)의 기억장치에 관리데이터베이스(55)가 구축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무선망(40)과 연결된 푸시서버(60)가 구축되어 불특정 다수 모바일단말(30)에 푸시메시지를 송출하여 비콘(20) 및 관리서버(50)와의 통신 및 재해정보도(10)의 출력 등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를 유도하게 되는데, 이러한 푸시서비스 역시 이동통신사 또는 스마트폰 등 모바일단말(30) 제조사에서 기반 서비스의 일환으로 제공하고 있는 바, 푸시서비스를 위한 시설투자 역시 불필요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침수심 조견형 지진해일 재해정보도(10)를 이용한 무선망(40) 기반 지진해일 재해정보도(10) 제공방법은 도 7에서와 같이, 푸시서버(60)가 관리서버(50)의 접속정보를 무선망(40)을 경유한 푸시서비스를 통하여 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송출하는 단계로 개시된다.
푸시서버(push server)(60)는 푸시서비스(push service)를 제공하는 서버로서 이동통신망 또는 무선랜 등의 무선망(40)과 연결되어 모바일단말(30)에 비교적 소용량의 정보를 송출한다.
무선망(40) 기반 푸시서비스는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컴퓨터 등 무선망(40) 연결 기기가 인터넷상의 특정 서버에 클라이언트로서 접속하여 특정 정보를 요청하는 종래의 풀(pull) 방식 통신과 대별되는 통신방식으로서, 무선망(40) 연결 기기 즉, 본 발명 모바일단말(30)의 요청 유무는 물론 정보 제공자인 인터넷상의 특정 서버에 대한 접속 여부에 관계 없이 무선망(40)과 연결된 푸시서버(60)가 단순한 문자열 형태 등 비교적 소용량의 정보를 일방적으로 전송하는 것을 의미한다.
무선망(40) 기반 푸시서비스는 일반적으로 무선망(40) 연결 기기 운영체계 제작자 또는 통신회사 등에 의하여 제공되는데, 그 대표적 예로서 iOS의 제작사인 애플에서 제공하는 APNS(Apple Push Notification Service) 및 Android의 제작사인 구글에서 제공하는 GCM(Google Cloud Messaging)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무선망(40) 기반 푸시서비스는 일종의 브로드캐스트(broadcast) 내지 멀티캐스트(multicast) 방식의 통신이라 할 수 있으므로, 무선망(40) 연결 기기 즉, 모바일단말(30)의 전산자원 잠식 및 전력소모를 극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지진해일이 발생될 수 있는 지역 즉, 대피안내판(19)이 설치된 지역의 특정 이동통신 기지국 또는 특정 무선랜의 커버리지(coverage)에 존재하는 모바일단말(30)에 대하여 푸시서버(60)가 푸시메시지를 일괄 송출하는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으며, 이때 송출되는 접속정보는 관리서버(50)에 대한 모바일단말(30)의 접속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로서 관리서버(50)의 IP주소 또는 URL이 될 수 있다.
관리서버(50) 접속정보의 푸시메시지 송출이 완료되면, 모바일단말(30)이 송출된 접속정보를 수신하고 무선망(40)을 통하여 관리서버(50)에 접속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설치를 요청하는 단계가 수행되며, 이때 도 8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의사를 확인할 수도 있으며, 관리서버(50) 접속정보의 획득과 관련된 일련의 처리 과정은 푸시서버(60) 및 무선망(40)의 커버리지를 기초로 수행되므로, 모바일단말(30)의 사용자가 무선망(40)에 능동적으로 접속한 후 브라우저 등을 통하여 관리서버(50)에 직접 접속하고 자료를 검색하는 등의 조작이 전혀 필요하지 않게 된다.
이후, 관리서버(50)가 무선망(40)을 통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설치정보를 상기 모바일단말(30)로 전송하는 단계와, 모바일단말(30)이 설치정보를 수신하고 모바일단말(30)에 탑재된 운영체계가 설치정보를 활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단계가 수행됨으로써, 비콘(20)에서 송출되는 신호를 처리하고 관리서버(50)에서 전송된 재해정보도(10)를 출력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이 모바일단말(30)의 기억장치에 비로소 설치된다.
한편, 전술한 푸시서버(60), 관리서버(50) 및 모바일단말(30)의 일련의 작동과 관계 없이 비콘(20)이 자신의 식별정보를 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송출하는 단계는 지속적으로 수행된다.
본 발명의 비콘(20)에 내장된 무선모듈(21)은 MCU(22)의 제어에 따라 일정한 무선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출하는데, 송출되는 무선신호에는 해당 비콘(20)을 특정하는 식별정보가 포함된다.
즉, 비콘(20)에서 주기적으로 송출되는 식별정보는 해당 비콘(20)에 유일무이하게 부여되는 일련번호 또는 ID(identification) 등의 정보로서, 개별 비콘(20)을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통상의 무선기기에서와 같이 UUID(Universal Unique Identifier)가 포함될 수도 있다.
따라서 비콘(20)에서 송출된 식별정보를 확인함으로써, 해당 비콘(20)이 장착된 대피안내판(19)을 특정할 수 있고, 해당 지점에서 필요한 재해정보도(10) 역시 특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듯 비콘(20)에서 송출되는 식별정보 포함 무선신호는 모바일단말(30)에 의하여 수신되어 전술한 바와 같이 모바일단말(30)에 탑재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처리되는데, 본 발명에 있어서 모바일단말(30)이란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컴퓨터 등 휴대 가능한 정보기기로서, 현재 출시되는 대부분의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컴퓨터에는 블루투스 등 비콘(20) 송출 신호 규격과 동일한 규격의 무선 송수신 모듈이 기본 장착되는 바, 별도의 장비 추가 없이도 비콘(20) 송출 신호의 수신이 가능하다.
즉, 비콘(20)의 무선모듈(21)로서 블루투스 기반 무선모듈(21)이 적용되고, 모바일단말(30)에도 블루투스 수신 기능이 탑재되는 것으로, 블루투스 통신상 신호를 송출하는 마스터(master)와 신호를 수신하는 슬레이브(slave)가 각각 비콘(20) 및 모바일단말(30)로 설정되는 것이다.
이렇듯, 비콘(20)에 의한 식별정보의 주기적 송출이 진행되는 가운데, 모바일단말(30) 즉, 모바일단말(3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이 비콘(20)에서 송출된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모바일단말(30)의 어플리케이션이 비콘(20)에서 송출된 식별정보를 무선망(40)을 통하여 관리서버(50)로 전송하는 단계 즉,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모바일단말(30)이 비콘(20)의 식별정보를 무선망(40)으로 전송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이후, 관리서버(50)가 수신된 식별정보로 관리데이터베이스(55)를 조회하여 당해 지진해일 재해정보도(10)를 인출하는 단계와, 관리서버(50)가 인출된 재해정보도(10)를 상기 모바일단말(30)로 전송하고, 모바일단말(30) 즉, 모바일단말(30)에 탑재된 어플리케이션이 전송된 재해정보도(10)를 도 8의 우단에서와 같이 출력하는 단계가 수행됨으로써, 사용자의 복잡한 조작 없이도 당해 사용자에게 필요한 최적의 지진해일 재해정보도(10)가 멀티미디어 정보 형식으로 제공될 수 있게 된다.
10 : 재해정보도
11 : 지형표시부
12 : 상황표시부
13 : 사진표시부
14 : 침수심조견부
15 : 범례
16 : 행동요령표시부
17 : 영역도시부
18 : 사물도시부
19 : 대피안내판
20 : 비콘
21 : 무선모듈
22 : MCU
23 : 전원
30 : 모바일단말
40 : 무선망
50 : 관리서버
55 : 관리데이터베이스
60 : 푸시서버

Claims (2)

  1. 지진해일 발생시의 예상 침수지역, 침수심, 대피시설 및 대피경로가 도시되며, 상이한 표시면이 적용된 침수심별 영역, 대피소 위치 및 대피로가 지형도상에 표시된 지형표시부(11)와, 대피소의 실물 사진이 표시되는 사진표시부(13)와, 일측에는 침수심별 영역 표시면이 도시된 영역도시부(17)가 배치되고 타측에는 침수심과 동일한 축척으로 사물이 도시된 사물도시부(18)가 배치되는 침수심조견부(14)가 구성되는 지진해일 재해정보도의 제공방법으로서, 침수심 조견형 지진해일 재해정보도(10)가 게시된 대피안내판(19)에는 저전력 근거리 무선모듈(21), 무선모듈(21)을 제어하는 MCU(22) 및 전원(23)이 내장된 비콘(20)이 부착되고, 무선망(40) 접속이 가능한 모바일단말(30)과, 무선망(40)과 연결되고 상기 비콘(20)의 식별정보별 지진해일 재해정보도(10)가 수록된 관리데이터베이스(55)가 연결된 관리서버(50)와, 무선망(40)과 연결되고 푸시서비스(push service)를 제공하는 푸시서버(60)가 구성되어, 푸시서버(60)가 관리서버(50)의 접속정보를 무선망(40)을 경유한 푸시서비스를 통하여 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송출하는 단계와, 모바일단말(30)이 송출된 접속정보를 수신하고 무선망(40)을 통하여 관리서버(50)에 접속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설치를 요청하는 단계와, 관리서버(50)가 무선망(40)을 통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설치정보를 상기 모바일단말(30)로 전송하는 단계와, 모바일단말(30)의 운영체계가 설치정보를 수신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단계가 포함되는 침수심 조견형 지진해일 재해정보도를 이용하여 무선망을 기반으로 수행되는 지진해일 재해정보도 제공방법에 있어서,
    자신의 식별정보를 불특정 다수의 수신처에 브로드캐스트(broadcast) 방식으로 주기적으로 송출할 뿐인 비콘(20)이 자신의 식별정보를 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송출하는 단계와;
    모바일단말(3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이 비콘(20)에서 송출된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모바일단말(30)의 어플리케이션이 비콘(20)에서 송출된 식별정보를 무선망(40)을 통하여 관리서버(50)로 전송하는 단계와;
    관리서버(50)가 수신된 식별정보로 관리데이터베이스(55)를 조회하여 당해 지진해일 재해정보도(10)를 인출하는 단계와;
    관리서버(50)가 인출된 재해정보도(10)를 상기 모바일단말(30)로 전송하고, 모바일단말(30)의 어플리케이션이 전송된 재해정보도(10)를 출력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침수심 조견형 지진해일 재해정보도를 이용하여 무선망을 기반으로 수행되는 지진해일 재해정보도 제공방법.
  2. 삭제
KR1020150191232A 2015-12-31 2015-12-31 침수심 조견형 지진해일 재해정보도를 이용하여 무선망을 기반으로 수행되는 지진해일 재해정보도 제공방법 KR1018274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1232A KR101827476B1 (ko) 2015-12-31 2015-12-31 침수심 조견형 지진해일 재해정보도를 이용하여 무선망을 기반으로 수행되는 지진해일 재해정보도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1232A KR101827476B1 (ko) 2015-12-31 2015-12-31 침수심 조견형 지진해일 재해정보도를 이용하여 무선망을 기반으로 수행되는 지진해일 재해정보도 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0057A KR20170080057A (ko) 2017-07-10
KR101827476B1 true KR101827476B1 (ko) 2018-02-08

Family

ID=59356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91232A KR101827476B1 (ko) 2015-12-31 2015-12-31 침수심 조견형 지진해일 재해정보도를 이용하여 무선망을 기반으로 수행되는 지진해일 재해정보도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74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73956A1 (zh) * 2018-10-10 2020-04-16 西安艾润物联网技术服务有限责任公司 一种逃生路线生成方法、系统、设备及可读存储介质
JP7487744B2 (ja) 2019-12-20 2024-05-21 日本電気株式会社 情報提供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68179A (ja) * 2001-12-03 2003-06-13 Foundation Of River & Basin Integrated Communications Japan リアルタイムハザードマップ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68179A (ja) * 2001-12-03 2003-06-13 Foundation Of River & Basin Integrated Communications Japan リアルタイムハザードマップシステム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제주환경일보*
티스토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0057A (ko) 2017-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260059B (zh) 控制机顶盒设备、位置信息确定和信息发布的方法和设备
CN103945007A (zh) 信息推送方法和装置
CN105338476A (zh) 一种基于云计算的便携旅游终端的实现方法
CN103064123A (zh) 一种地下管线定位方法及装置
CN103873573A (zh) 对应物联网标记的信息发布方法、系统及终端设备
CN106028441A (zh) 室内定位系统和方法
CN105357627A (zh) 一种基于云计算的便携旅游终端及其服务方法
CN101213864A (zh) 用于定位系统的用户驱动校准
CN103974197A (zh) 一种基于蓝牙技术的室内定位系统
CN103888900A (zh) 基于移动终端位置所属建筑物或地理区域的自动识别方法
KR20140032205A (ko) 모바일 기반 재난피해 조사시스템 및 방법
CN108259582A (zh) 定位系统及方法
CN107424235A (zh) 一种电子考勤系统
KR101827476B1 (ko) 침수심 조견형 지진해일 재해정보도를 이용하여 무선망을 기반으로 수행되는 지진해일 재해정보도 제공방법
CN106412078A (zh) 精准信息推送方法、装置和系统
TWI831768B (zh) 資訊提供系統及資訊提供方法
CN205124003U (zh) 一种基于云计算的便携旅游终端
US8909264B1 (en) Server system for receiving, processing and reporting sensor data
CN102413429A (zh) 基于无线网络标识信号的信息广播方法、系统和客户端
CN103702277A (zh) 一种数据发送方法和电子设备
CN105357654B (zh) 一种基于北斗的应急通信服务系统及其工作方法
CN105657825A (zh) 一种定位方法、移动终端、云服务器及定位系统
CN102156948B (zh) 一种电力线路杆塔电子识别与登杆人员自动定位系统
JP6790381B2 (ja) 情報処理装置、端末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4503377A (zh) 小水电实时信息远程监控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