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7371B1 - 객담 배출용 기능성 진동조끼 - Google Patents

객담 배출용 기능성 진동조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7371B1
KR101827371B1 KR1020160004947A KR20160004947A KR101827371B1 KR 101827371 B1 KR101827371 B1 KR 101827371B1 KR 1020160004947 A KR1020160004947 A KR 1020160004947A KR 20160004947 A KR20160004947 A KR 20160004947A KR 101827371 B1 KR101827371 B1 KR 1018273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point
pocket
vest
pocke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4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0548A (ko
Inventor
이충휘
금진슬
문세민
서진석
이정현
한해림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70060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05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7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73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02Garments adapted to accommodate electronic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4Vests, jerseys, sweat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12Surgeons' or patients' gowns or dresses
    • A41D13/1236Patients' garments
    • A41D13/1245Patients' garments for the upper part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3/0245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with ultrasonic transducers, e.g. piezoelectric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2Therapeutic us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2Therapeutic use
    • A41D2400/322Mass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73Means for preventing injuries
    • A61H2201/0184Means for preventing injuries by raising an ala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92Specific means for adjusting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19Thorax
    • A61H2201/1621Hold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와 같이 객담 배출이 필요한 환자들에게 물리치료사가 객담 배출법을 적용 시, 환자와의 신체접촉을 최소화하면서, 선택적으로 각 폐엽의 두드림의 강도와 횟수를 달리하여 각 환자에 따라 맞춤형으로 객담 배출법을 적용할 수 있으며, 또한 하나의 장치로 여러 환자에게도 사용가능한, 객담 배출용 기능성 진동조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조끼 전면의 흉부 및 조끼 후면의 등부에 진동부를 삽입하여, 객담배출법 시행 시 진동하게 하는 객담 배출용 진동조끼에 있어서, 조끼의 전면은 정중부를 중심으로 우측 흉부에서 쇄골과 횡격막과의 사이에 위치되는 전면 우흉부 포켓부를 구비하며, 전면 우흉부 포켓부는, 폐의 수평열에 대응되는 선인, 수평열 봉제선과, 폐의 우 사열에 대응되는 선인, 전면 우사열 봉제선을 구비하며, 전면 우흉부 포켓부에서 수평열 봉제선의 상부를 전면 우상엽 포켓부이며, 전면 우흉부 포켓부에서 수평열 봉제선과 전면 우사열 봉제선의 사이를 전면 우중엽 포켓부이며, 전면 우흉부 포켓부에서 전면 우사열 봉제선의 하부를 전면 우하엽 포켓부이며, 전면 우상엽 포켓부, 전면 우중엽 포켓부, 전면 우하엽 포켓부에는 각각 모터 또는 진동자로 이루어진 진동부가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조끼의 전면은 정중부를 중심으로 좌측 흉부에서 쇄골과 횡격막과의 사이에 위치되는 전면 좌흉부 포켓부를 구비하며, 전면 좌흉부 포켓부는, 폐의 좌 사열에 대응되는 선인, 전면 좌사열 봉제선을 구비하며, 전면 좌흉부 포켓부에서 전면 좌사열 봉제선의 상부를 전면 좌상엽 포켓부이며, 전면 좌흉부 포켓부에서 전면 좌사열 봉제선의 하부를 전면 좌하엽 포켓부이며, 전면 좌상엽 포켓부, 전면 좌하엽 포켓부에는 각각 모터 또는 진동자로 이루어진 진동부가 내장되어 있다.

Description

객담 배출용 기능성 진동조끼{Vibrating Vest for Mucus Clearing}
본 발명은, 만성폐쇄성폐질환(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환자와 같이 객담 배출이 필요한 환자들에게 물리치료사가 객담 배출법(sputum drainage)을 적용 시, 환자와의 신체접촉을 최소화하면서, 선택적으로 각 폐엽의 두드림의 강도와 횟수를 달리하여 각 환자에 따라 맞춤형으로 객담 배출법을 적용할 수 있으며, 또한 하나의 장치로 여러 환자에게도 사용가능한, 객담 배출용 기능성 진동조끼에 관한 것이다.
병원에서 만성폐쇄성질환 환자와 같이 객담 배출이 필요한 환자들에게 객담 배출법을 적용한다.
객담 배출법은 환자의 흉곽부위에 진동을 주거나 두드려서 객담이 기관지에 축적되는 것을 방지하여 쉽게 배출되도록 도우며, 숨쉬기 편하도록 근육을 이완시키도록 돕는 방법으로, 객담 배출법에는 진동법과 타진법이 있다.
진동법은 환자의 흉벽에 치료사의 손을 평평하게 놓고 대상자가 호기하는 동안 치료사의 팔과 어깨 근육을 이용하여 빠르게 흉벽을 진동시키는 것이다. 대상자가 흡기하는 동안에는 시행하지 않으며, 분당 200회 정도로 몇 분 동안 수행되며 하루에 여러 번 실시한다.
타진법은 폐 분비물을 묽게 하여 분비물을 더욱 쉽게 뱉어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치료사의 손을 오므려서 컵 모양으로 만든 후 폐 부위를 두드리는 것으로, 손목, 팔꿈치, 어깨의 이완상태를 유지하면서 폐엽의 전 부위를 리듬감 있게 치는 것이다. 이는 한 부위를 30~60초 정도 두드리며, 점도가 높은 분비물을 갖고 있는 환자의 경우에는 3~5분 정도를 행하는 타진법을 하루에 여러 번 행한다.
이러한 기존의 객담 배출법인 진동법이나 타진법은 두드리거나 진동을 주는 과정에서 많은 시간과 힘을 사용함에 따라 물리치료사의 많은 노동력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물리치료사가 쉽게 피로감을 느끼게 된다. 특히, 물리치료사와 환자가 서로 이성일 경우, 이러한 객담 배출법을 물리치료사가 적용 시 신체접촉 등에 의해, 불쾌감을 야기할 수 있다.
사람의 폐는 흉강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횡격막과 늑간근에 둘러싸인 흉곽 안에 있다. 즉, 폐는 좌우 가슴부의 쇄골 아래에서부터 횡격막 위까지의 사이에 위치된다고 할 수 있다. 폐엽은 허파를 형성하는 부분으로, 오른쪽 허파는, 수평열과 우 사열에 의해, 상엽, 중엽, 하엽의 세 개로 나뉘고, 왼쪽 허파는 좌 사열에 의해 상엽과 하엽의 두 개로 나누어지는 데, 오른쪽 허파의 중엽은 주로 인체의 전(前)면에 분포하여, 후면에서는 거의 보이지는 않는다. 따라서 인체의 전면에서, 도 19에서와 같이, 오른쪽 허파는 상엽, 중엽, 하엽이 있고, 왼쪽 허파는 상엽과 하엽이 있으며, 인체의 후면에서 오른쪽 허파와 왼쪽 허파 둘다는 상엽과 하엽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앞에서 보았을 때, 수평열은 제4늑골선을 따라 위치될 수 있으며, 우사열 및 좌사열은 제4늑골 일측에서 부터 제6늑골 중간부까지 걸쳐 위치될 수 있다.
환자의 질환 상태에 따라, 폐엽 부위를 두드리는 강도 및 두드리는 횟수를 달리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는 병원에서는 흉부방사선 소견에서 보이는 가래의 위치에 따라 환자를 특정 체위를 유지하게 하고 소정 폐엽부위를 두들김 또는 진동으로 체위 배담을 행한다.
따라서, 객담 배출법을 시행 시, 물리치료사의 노동력을 적게 하면서, 가능한 한 물리치료사와 환자의 신체접촉을 최소화하며, 환자의 질환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환자의 각 폐엽의 두드림의 강도와 횟수를 달리할 수 있는 객담 배출법용 장치가 요망된다.
그러나 현재로는 시판되는 이러한 객담 배출법용 장치를 찾아볼 수 없다.
선행기술로,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363135호는 안마기를 등에 밀착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장치와 피부나 근육에는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인체 내부의 기관에 충격을 전달할 수 있는 구조의 안마편을 구비한 안마기로 구성된 객담배출용 자동안마기이다.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363135호는 등만을 타격하는 것으로, 이로서는 환자의 질환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환자의 각 폐엽의 두드림의 강도와 횟수를 달리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물리치료사가 객담 배출법을 적용 시, 환자와의 신체접촉을 최소화하면서, 선택적으로 각 폐엽의 두드림의 강도와 횟수를 달리하여 각 환자에 따라 맞춤형으로 객담 배출법을 적용할 수 있으며, 또한 하나의 장치로 여러 환자에게도 사용가능한, 객담 배출용 기능성 진동조끼를 제안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물리치료사가 객담 배출법을 적용 시, 환자와의 신체접촉을 최소화하면서, 선택적으로 각 폐엽의 두드림(진동)의 강도와 횟수를 달리하여 각 환자에 따라 맞춤형으로 객담 배출법을 적용할 수 있으며, 또한 하나의 장치로 여러 환자에게도 사용가능한, 객담 배출용 기능성 진동조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객담 배출용 기능성 진동조끼의 전 후면에, 환자의 폐의 각 엽(lobe) 대응 부위를 나누고, 각 폐엽 대응 부위에 포켓을 형성하고, 각 포켓에 모터를 장착하여, 각 폐엽을 선택적으로 진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환자 맞춤형으로 객담 배출을 유도할 수 있는, 객담 배출용 기능성 진동조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객담 배출용 기능성 진동조끼가 환자의 피부에 직접 접착할 필요없이 환자복 위에 착용되며, 일회용 내피를 장착하여 사용하도록 이루어져, 위생적이면서, 각 환자에게 적용되어, 환자의 흉곽부위에 진동을 주거나 두드려서 객담이 기관지에 축적되는 것을 방지하여 쉽게 객담이 배출되도록 도우며, 숨쉬기 편하도록 근육을 이완시키는, 객담 배출용 기능성 진동조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객담 배출용 기능성 진동조끼가 신축성이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며 양측면에는 체형조절 버클을 구비하여 환자의 체형에 상관없이 사용가능하며, 무선용 컨트롤 박스를 통하여 폐의 각 엽 대응 부위를 선택적으로 강도조절을 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환자의 구속감을 줄이면서, 환자와 물리치료사가 이격되어 있는 상태에서 객담 배출법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한, 객담 배출용 기능성 진동조끼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조끼 전면의 흉부 및 조끼 후면의 등부에 진동부를 삽입하여, 객담배출법 시행 시 진동하게 하는 객담 배출용 진동조끼에 있어서, 조끼의 전면은 정중부를 중심으로 우측 흉부에서 쇄골과 횡격막과의 사이에 위치되는 전면 우흉부 포켓부를 구비하며, 전면 우흉부 포켓부는, 폐의 수평열에 대응되는 선인, 수평열 봉제선과, 폐의 우 사열에 대응되는 선인, 전면 우사열 봉제선을 구비하며, 전면 우흉부 포켓부에서 수평열 봉제선의 상부를 전면 우상엽 포켓부이며, 전면 우흉부 포켓부에서 수평열 봉제선과 전면 우사열 봉제선의 사이를 우중엽 포켓부이며, 전면 우흉부 포켓부에서 전면 우사열 봉제선의 하부를 전면 우하엽 포켓부이며, 전면 우상엽 포켓부, 전면 우중엽 포켓부, 전면 우하엽 포켓부에는 각각 모터 또는 진동자로 이루어진 진동부가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조끼 전면의 흉부 및 조끼 후면의 등부에 진동부를 삽입하여, 객담배출법 시행 시 진동하게 하는 객담 배출용 진동조끼에 있어서, 조끼의 전면은 정중부를 중심으로 좌측 흉부에서 쇄골과 횡격막과의 사이에 위치되는 전면 좌흉부 포켓부를 구비하며, 전면 좌흉부 포켓부는, 폐의 좌사열에 대응되는 선인, 전면 좌사열 봉제선을 구비하며, 전면 좌흉부 포켓부에서 전면 좌사열 봉제선의 상부를 전면 좌상엽 포켓부이며, 전면 좌흉부 포켓부에서 전면 좌사열 봉제선의 하부를 전면 좌하엽 포켓부이며, 전면 좌상엽 포켓부, 전면 좌하엽 포켓부에는 각각 모터 또는 진동자로 이루어진 진동부가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조끼 전면의 흉부 및 조끼 후면의 등부에 진동부를 삽입하여, 객담배출법 시행 시 진동하게 하는 객담 배출용 진동조끼에 있어서, 조끼의 후면은, 정중부를 중심으로, 우측 흉부에서 쇄골과 횡격막과의 사이에 위치되는 후면 우흉부 포켓부와, 좌측 흉부에서 쇄골과 횡격막과의 사이에 위치되는 후면 좌흉부 포켓부를 구비하며, 전면 우흉부 포켓부는, 폐의 우 사열에 대응되는 선인, 후면 우사열 봉제선을 구비하며, 후면 우사열 봉제선의 상부가 후면 우상엽 포켓부이고, 후면 우사열 봉제선의 하부가 후면 우하엽 포켓부이며, 후면 좌흉부 포켓부는, 폐의 좌 사열에 대응되는 선인, 후면 좌사열 봉제선을 구비하며, 후면 좌사열 봉제선의 상부가 후면 좌상엽 포켓부이고, 후면 좌사열 봉제선의 하부가 후면 좌하엽 포켓부이며, 후면 우상엽 포켓부, 후면 우하엽 포켓부, 후면 좌상엽 포켓부, 후면 좌하엽 포켓부에는 각각 모터 또는 진동자로 이루어진 진동부가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조끼의 양 측면에는 폭을 조절하는 폭 조절부가 장착되어 있으며, 조끼 전면 및 조끼 후면 중의 하나에 끈이 장착되며, 조끼 전면 및 조끼 후면 중의 다른 하나에는 버클이 장착되어, 버클과 끈을 결합하여 폭을 조절하도록 이루어진다.
조끼의 외측에 위치되며, 조끼내의 진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한다.
제어부는, 각 진동부의 진동의 강도와 속도를 설정하는 스위치들을 구비하는 입력부; 입력부로부터 수신된 각 진동부의 진동의 강도와 속도의 설정신호로부터, 각 진동부의 진동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연산처리부; 연산처리부로부터 수신된 각 진동부의 진동 제어신호에 따라 각 진동부를 구동시키는, 진동 구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연산처리부는 객담 배출법 시행이 종료되었을 경우, 알람을 울리거나, 디스플레이부로 종료되었음을 알리는 문구를 출력한다.
모터는 모터팩 하우징 내에 내장되고, 모터팩 하우징에 구비된 L형 연결부를, 전면 우흉부 포켓부, 전면 좌흉부 포켓부, 후면 우흉부 포켓부, 후면 좌흉부 포켓부를 포함하는 포켓부의 외측 천에 장착하고, 모터팩 하우징의 통공을 통해 외부로 돌출된 모터 연결축에 연결된 진동판을 상기 포켓부의 내측 천 위에 위치되도록 이루어진다.
전면 우흉부 포켓부와 전면 좌흉부 포켓부는, 폐의 앞면 형상이거나, 평행사변형의 일변에 반원이 장착되어 있는 형태이거나, 사각형의 일변에 반원이 장착되어 있는 형태이다.
후면 우흉부 포켓부와 후면 좌흉부 포켓부는, 폐의 후면 형상이거나, 평행사변형의 일변에 반원이 장착되어 있는 형태이거나, 사각형의 일변에 반원이 장착되어 있는 형태이거나, 나비의 날개 형태이다.
객담 배출용 진동조끼는, 모터 연결축에 진동판을 연결한 모터가 모터팩 하우징 내에 내장될 수 있다.
모터팩 하우징은 모터팩 상부 하우징과 모터팩 하부 하우징으로 이루어지며, 모터팩 상부 하우징과 모터팩 하부 하우징은 내측에 모터 수납홈을 구비하며, 모터 수납홈은 모터 상면을 고정하기 위한 모터상면 고정벽을 구비하며, 모터상면 고정벽은 모터 연결축이 통과하되, 모터상면 고정벽과 모터 연결축이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이루어진 모터연결축 통공을 구비할 수 있다.
모터수납홈 저면은 모터상면 고정벽을 기준으로, 진동판이 수납되는 모터수납홈 상부저면과, 모터 몸체가 수납되는 모터수납홈 하부저면으로 나뉘며, 모터수납홈 상부저면의 깊이 길이는, 모터수납홈 하부저면의 깊이 길이보다 짧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진동판의 좌우의 일측에 모터 연결축과 연결되며, 진동판은 원형 또는 타원형일 수 있다.
전면 우흉부 포켓부 및 전면 좌흉부 포켓부는 8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전면 우흉부 포켓부 및 전면 좌흉부 포켓부 각각은, 어깨선에서 제2늑골과 만나는 지점에서부터, 어깨진동선과 옆선이 만나는 지점을 이은 선인, 전면 제1선; 어깨선에서 제2늑골과 만나는 지점에서부터, 쇄골이 흉골과 만나는 지점을 지나서 정중부까지 연결된 선인, 전면 제2선; 전면 제2선에서 어깨선과 만나는 지점으로부터 1/3의 지점을 지나되, 어깨선과 평행인 선인, 전면 제3선; 전면 제2선에서 정중부로부터 1/3의 지점에서부터, 제6늑골과 흉골이 만나는 지점을 이은 선인, 전면 제4선; 제6늑골과 흉골이 만나는 지점에서부터, 제6늑골의 늑경골과 늑연골의 사이 지점을 지나서, 옆선까지 연결된 선인, 전면 제5선; 제6늑골의 늑경골과 늑연골의 사이 지점을 지나는 수평선인, 전면 제6선; 어깨진동선과 옆선이 만나는 지점에서부터, 전면 제6선이 제6늑골과 만나는 지점 중, 옆선으로부터 가까운 지점을 이은 선인, 전면 제7선; 옆선과 제4늑골이 만나는 지점을 지나는 수평선과 전면 제7선이 만나는 지점으로부터, 어깨선에서 어깨진동선과 만나는 지점으로부터 1/4 지점을 이은 선인, 전면 제8선;을 이용하여 형성된다.
후면 우흉부 포켓부와 후면 좌흉부 포켓부는 7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후면 우흉부 포켓부와 후면 좌흉부 포켓부 각각은, 어깨선에서 제2늑골과 만나는 지점으로부터 약 1/3지점에서부터, 어깨진동선과 옆선이 만나는 지점을 이은 선인, 후면 제1선; 어깨선에서 제2늑골과 만나는 지점에서부터, 제2늑골이 흉추와 만나는 지점을 지나서 정중부까지 연결된 선인, 후면 제2선; 후면 제2선에서 어깨선과 만나는 지점으로부터 1/3의 지점을 지나되, 어깨선과 평행인 선인, 후면 제3선; 전면 제2선에서 정중부로부터 1/3의 지점을 지나는 수직한 선인, 후면 제4선; 제5늑골과 흉추가 만나는 지점에서부터, 후면 제6선에서 정중부로부터 1/3 지점을 연결하는 선인, 후면 제5선; 옆선과 정중부사이에서 제6늑골을 따라 이어지는 선인, 후면 제6선;후면 제6선에서 옆선으로부터 1/10지점과, 어깨선에서 어깨진동선과 만나는 지점으로부터 1/4 지점을 이은 선인, 후면 제7선;을 이용하여 형성된다.
전면 우흉부 포켓부 및 전면 좌흉부 포켓부 각각은, 전면 제1선이 전면 제8선과 만나는 지점부터, 전면 제1선이 전면 제3선과 만나는 지점 까지를 이은 선을 봉제한 선인, 제1 전면봉제선; 전면 제2선이 전면 제3선과 만나는 지점부터, 전면 제2선이 전면 제4선과 만나는 지점 까지를 이은 선을 봉제한 선인, 제2 전면봉제선; 전면 제3선이 전면 제1선과 만나는 지점부터, 전면 제3선이 전면 제2선과 만나는 지점 까지를 이은 선을 봉제한 선인, 제3 전면봉제선; 전면 제4선이 전면 제2선과 만나는 지점부터, 전면 제4선이 전면 제5선과 만나는 지점 까지를 이은 선을 봉제한 선인, 제4 전면봉제선; 전면 제5선이 전면 제4선과 만나는 지점부터, 전면 제5선이 전면 제6선과 만나는 지점 까지를 이은 선을 봉제한 선인, 제5 전면봉제선;전면 제6선이 전면 제5선과 만나는 지점부터, 전면 제6선이 전면 제7선과 만나는 지점 까지를 이은 선을 봉제한 선인, 제6 전면봉제선;전면 제7선이 전면 제6선과 만나는 지점부터, 전면 제7선이 전면 제8선과 만나는 지점 까지를 이은 선을 봉제한 선인, 제7 전면봉제선; 전면 제8선이 전면 제7선과 만나는 지점부터, 전면 제8선이 전면 제1선과 만나는 지점 까지를 이은 선을 봉제한 선인, 제8 전면봉제선;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전면 우흉부 포켓부에서, 옆선과 제4늑골이 만나는 지점을 지나는 수평선과 전면 제7선이 만나는 지점으로부터, 제4늑골과 흉골이 만나는 지점까지 이은 선을 봉제한 선인, 수평열 봉제선; 전면 우흉부 포켓부에서, 옆선과 제4늑골이 만나는 지점을 지나는 수평선과 전면 제7선이 만나는 지점으로부터, 제5 전면봉제선에서, 제6봉제선과의 만나는 점으로부터 1/5지점까지 이은 선을 봉제한 선인, 우사열 봉제선; 전면 좌흉부 포켓부에서, 옆선과 제4늑골이 만나는 지점을 지나는 수평선과 전면 제7선이 만나는 지점으로부터, 제5 전면봉제선에서, 제6봉제선과의 만나는 점으로부터 1/2지점까지 이은 선을 봉제한 선인, 좌사열 봉제선;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후면 우흉부 포켓부와 후면 좌흉부 포켓부 각각은, 후면 제1선이 후면 제8선과 만나는 지점부터, 후면 제1선이 후면 제3선과 만나는 지점 까지를 이은 선을 봉제한 선인, 제1 후면봉제선; 후면 제2선이 후면 제3선과 만나는 지점부터, 후면 제2선이 후면 제4선과 만나는 지점 까지를 이은 선을 봉제한 선인, 제2 후면봉제선; 후면 제3선이 후면 제1선과 만나는 지점부터, 후면 제3선이 후면 제2선과 만나는 지점 까지를 이은 선을 봉제한 선인, 제3 후면봉제선; 후면 제4선이 후면 제2선과 만나는 지점부터, 후면 제4선이 후면 제5선과 만나는 지점 까지를 이은 선을 봉제한 선인, 제4 후면봉제선; 후면 제5선이 후면 제4선과 만나는 지점부터, 후면 제5선이 후면 제6선과 만나는 지점 까지를 이은 선을 봉제한 선인, 제5 후면봉제선; 후면 제6선이 후면 제5선과 만나는 지점부터, 후면 제6선이 후면 제7선과 만나는 지점 까지를 이은 선을 봉제한 선인, 제6 후면봉제선; 후면 제7선이 후면 제6선과 만나는 지점부터, 후면 제7선이 후면 제1선과 만나는 지점 까지를 이은 선을 봉제한 선인, 제7 후면봉제선;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후면 우흉부 포켓부에서, 옆선과 제4늑골이 만나는 지점으로부터 제4늑골을 따라 정중부와 연결된 선에서, 후면 제7선과 만나는 점으로부터, 후면 제4선과 만나는 점까지 연결된 선을 봉제한 선인, 후면 우사열 봉제선; 후면 좌흉부 포켓부에서, 옆선과 제4늑골이 만나는 지점으로부터 제4늑골을 따라 정중부와 연결된 선에서, 후면 제7선과 만나는 점으로부터, 후면 제4선과 만나는 점까지 연결된 선을 봉제한 선인, 후면 좌사열 봉제선;을 더 포함하여 이루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객담 배출용 기능성 진동조끼는, 물리치료사가 객담 배출법을 적용 시, 환자와의 신체접촉을 최소화하면서, 선택적으로 각 폐엽의 두드림(진동)의 강도와 횟수를 달리하여 각 환자에 따라 맞춤형으로 객담 배출법을 적용할 수 있으며, 또한 하나의 장치로 여러 환자에게도 사용가능하다. 즉, 본 발명은 물리치료사가 두드리거나 진동을 주는 과정에서, 많은 시간과 힘, 노동력이 필요하지 않으며, 치료 시 환자와 물리치료사의 신체접촉 등에 의한 불쾌감이 발생하기 않게 한다.
본 발명의 객담 배출용 기능성 진동조끼의 전 후면에, 환자의 폐의 각 엽(lobe) 대응 부위로 나뉘어진 포켓들을 형성하고, 각 폐엽 대응 부위의 포켓에 모터를 장착하여, 각 폐엽을 선택적으로 진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환자 맞춤형으로 객담 배출을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객담 배출용 기능성 진동조끼는 환자의 피부에 직접 접착할 필요없이 환자복 위에 착용되며, 일회용 내피를 장착하여 사용하도록 이루어져, 위생적이면서, 각 환자에게 적용되어, 환자의 흉곽부위에 진동을 주거나 두드려서 객담이 기관지에 축적되는 것을 방지하여 쉽게 객담이 배출되도록 도우며, 숨쉬기 편하도록 근육을 이완시킨다. 특히, 일회용 내피를 사용함에 의해, 전염성 피부질환이 있는 환자에게 객담 배출을 실시할 때도 본 발명의 객담 배출용 기능성 진동조끼를 사용함에 있어, 감염의 위험으로부터 물리치료사와 다른 환자를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객담 배출용 기능성 진동조끼가 신축성이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며 양측면에는 체형조절 버클을 구비하여, 환자의 체형에 상관없이 사용가능하며, 무선용 컨트롤 박스를 통하여 폐의 각 엽 대응 부위를 선택적으로 강도조절을 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환자의 구속감을 줄이면서, 환자와 물리치료사가 이격되어 있는 상태에서 객담 배출법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객담 배출용 기능성 진동조끼의 전(前)면이다.
도 2은 도 1의 객담 배출용 기능성 진동조끼의 후면이다
도 3은 도 1의 객담 배출용 기능성 진동조끼의 일측면이다.
도 4는 도 1의 객담 배출용 기능성 진동조끼의 다른 일측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객담 배출용 기능성 진동조끼의 진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설명하는 블럭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전후면 진동부에 적용되는 모터팩의 일예이다.
도 7은 도 5의 전후면 진동부에 적용되는 진동자의 일예이다.
도 8은 도 5의 전후면 진동부에 적용되는 모터팩의 다른 일예이다.
도 9는 도 8의 모터팩 하부 하우징의 일예이다.
도 10은 도 8의 도터팩에 사용되는 모터의 일예이다.
도 11은 도 10의 모터팩 하부 하우징에 모터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10의 모터팩을 흉부 포켓부의 저면에 장착한 상태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3은 도 5의 제어부의 일예를 나타낸다.
도 14는 도 5의 제어부의 다른 일예를 나타낸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의 객담 배출용 기능성 진동조끼의 전(前)면이다.
도 16은 도 15의 전면 좌흉부 포켓부(19)와 전면 우흉부 포켓부(17)를 상세히 설명한 설명도이다.
도 17은 도 15의 객담 배출용 기능성 진동조끼의 후면이다.
도 18은 도 17의 후면 좌흉부 포켓부(39)와 후면 우흉부 포켓부(37)를 상세히 설명한 설명도이다.
도 19는 인체 내의 폐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객담 배출용 기능성 진동조끼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객담 배출용 기능성 진동조끼의 전(前)면이다.
조끼 전(前)면(20)의 좌우 가슴에 흉부 포켓부, 즉 전면 좌흉부 포켓부(19)와, 전면 우흉부 포켓부(17)를 구비한다. 전면 우흉부 포켓부(17)와 전면 좌흉부 포켓부(19)는 정중부(5)를 중심으로 좌우 가슴에 이격되어 있으며, 좌우 가슴에서 쇄골과 횡격막과의 사이에 위치되며, 전면의 흉부 전체를 덮고 있는 포켓이다. 바람직하게는 전면 우흉부 포켓부(17)와 전면 좌흉부 포켓부(19)는 폐의 앞면 형상일 수 있다. 또는 전면 우흉부 포켓부(17)와 전면 좌흉부 포켓부(19)는 평행사변형의 일변에 반원이 장착되어 있는 형태일 수 있다. 또는 이는 사각형의 일변에 반원이 장착되어 있는 형태일 수 있다.
전면 우흉부 포켓부(17)은 앞면에서 본 오른쪽 폐와 같이, 수평열 봉제(縫製)선(31)과 전면 우 사열 봉제선(32)에 의해, 전면 우상엽 포켓부(21), 전면 우중엽 포켓부(22), 전면 우하엽 포켓부(23)로 나뉜다. 즉, 수평열 대응 선인 수평열 봉제선(31)에 의해 전면 우흉부 포켓부(17)이 나뉘는데, 그 중 상부가 전면 우상엽 포켓부(21)가 되며, 그 중 하부는, 우 사열 대응 선인, 전면 우 사열 봉제선(32)에 의해 전면 우중엽 포켓부(22)와 전면 우하엽 포켓부(23)로 나뉘는 데, 그 중 하부는 전면 우하엽 포켓부(23)이다.
전면 우상엽 포켓부(21)는 앞면(정면)에서 보았을 때 폐의 우상엽에 대응하는 부분의 포켓으로, 이 포켓 내에는 전면 우상엽 진동부(210)가 내장되어, 객담 배출법시행시, 우상엽 부분에 진동을 가하거나 두드리게 한다.
전면 우중엽 포켓부(22)는 앞면에서 보았을 때 폐의 우중엽에 대응하는 부분의 포켓으로, 이 포켓 내에는 전면 우중엽 진동부(220)가 내장되어, 객담 배출법시행시, 우중엽 부분에 진동을 가하거나 두드리게 한다.
전면 우하엽 포켓부(23)는 앞면에서 보았을 때 폐의 우하엽에 대응하는 부분의 포켓으로, 이 포켓 내에는 전면 우하엽 진동부(230)가 내장되어, 객담 배출법시행시, 우하엽 부분에 진동을 가하거나 두드리게 한다.
전면 좌흉부 포켓부(19)는 앞면에서 보았을 때 왼쪽 폐와 같이, 전면 좌 사열 봉제선(33)에 의해, 전면 좌상엽 포켓부(24)와 전면 좌하엽 포켓부(25)로 나뉘며, 그 중 상부는 전면 좌상엽 포켓부(24)이다.
전면 좌상엽 포켓부(24)는 앞면에서 보았을 때 폐의 좌상엽에 대응하는 부분의 포켓으로, 이 포켓 내에는 전면 좌상엽 진동부(240)가 내장되어, 객담 배출법시행시, 좌상엽 부분에 진동을 가하거나 두드리게 한다.
전면 좌하엽 포켓부(25)는 앞면에서 보았을 때 폐의 좌하엽에 대응하는 부분의 포켓으로, 이 포켓 내에는 전면 좌하엽 진동부(250)가 내장되어, 객담 배출법시행시, 좌하엽 부분에 진동을 가하거나 두드리게 한다.
도 2은 도 1의 객담 배출용 기능성 진동조끼의 후면이다.
조끼 후면(40)의 좌우 등부에 흉부 포켓부, 즉 후면 좌흉부 포켓부(39)와, 후면 우흉부 포켓부(37)를 구비한다. 후면 우흉부 포켓부(37)와 후면 좌흉부 포켓부(39)는 정중부(5)를 중심으로 좌우 등부에 이격되어 있으며, 좌우 등부에서 쇄골 대응부와 횡격막 대응부의 사이에 위치되며, 후면에 날개와 같이 위치되되, 등부 거의 대부분을 덮고 있는 포켓이다. 바람직하게는 후면 우흉부 포켓부(37)와 후면 좌흉부 포켓부(39)는 폐의 후면 형상일 수 있다. 또는 후면 우흉부 포켓부(37)와 후면 좌흉부 포켓부(39)는 평행사변형의 일변에 반원이 장착되어 있는 형태일 수 있다. 또는 이는 사각형의 일변에 반원이 장착되어 있는 형태일 수 있다. 또는 이는 나비의 날개와 같은 형태일 수 있다.
후면 우흉부 포켓부(37)은 후면에서 본 오른쪽 폐와 같이, 후면 우 사열 봉제선(51)에 의해, 후면 우상엽 포켓부(41), 후면 우하엽 포켓부(43)로 나뉘며, 그 중 하부는 후면 우하엽 포켓부(43)이다.
후면 우상엽 포켓부(41)는 후면(배면)에서 보았을 때 폐의 우상엽에 대응하는 부분의 포켓으로, 이 포켓 내에는 후면 우상엽 진동부(310)가 내장되어, 객담 배출법시행시, 우상엽 부분에 진동을 가하거나 두드리게 한다.
후면 우하엽 포켓부(43)는 후면에서 보았을 때 폐의 우하엽에 대응하는 부분의 포켓으로, 이 포켓 내에는 후면 우하엽 진동부(330)가 내장되어, 객담 배출법시행시, 우하엽 부분에 진동을 가하거나 두드리게 한다.
후면 좌흉부 포켓부(39)은 후면에서 본 왼쪽 폐와 같이, 후면 좌 사열 봉제선(52)에 의해, 후면 좌상엽 포켓부(44), 후면 좌하엽 포켓부(45)로 나뉘며, 그 중 하부는 후면 좌하엽 포켓부(45)이다.
후면 좌상엽 포켓부(44)는 후면에서 보았을 때 폐의 좌상엽에 대응하는 부분의 포켓으로, 이 포켓 내에는 후면 좌상엽 진동부(340)가 내장되어, 객담 배출법시행시, 좌상엽 부분에 진동을 가하거나 두드리게 한다.
후면 좌하엽 포켓부(45)는 후면에서 보았을 때 폐의 좌하엽에 대응하는 부분의 포켓으로, 이 포켓 내에는 후면 좌하엽 진동부(350)가 내장되어, 객담 배출법시행시, 좌하엽 부분에 진동을 가하거나 두드리게 한다.
전면 우상엽 진동부(210), 전면 우중엽 진동부(220), 전면 우하엽 진동부(230), 전면 좌상엽 진동부(240), 전면 좌하엽 진동부(250)를 전면 진동부(205)라 하며, 후면 우상엽 진동부(310), 후면 우하엽 진동부(330), 후면 좌상엽 진동부(340), 후면 좌하엽 진동부(350)를 후면 진동부(305)라 하며, 전면 진동부(205)와 후면 진동부(305)를 합쳐서 전후면 진동부(200) 라 한다.
도 3은 도 1의 객담 배출용 기능성 진동조끼의 일측면이고, 도 4는 도 1의 객담 배출용 기능성 진동조끼의 다른 일측면이다.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좌우측면에 폭을 조절하는 폭 조절부(55)를 구비한다,
폭 조절부(55)는 조끼 전면(20)과 조끼 후면(40) 중 일측에 끈이 장착되고, 다른 일측에 버클(buckle)이 장착된 끈이 장착되어, 폭을 조절하도록 이루어진다.
도 3 및 도 4의 폭 조절부(55)는 버클에 의해 폭을 조절하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은 이외에도 고무줄, 벨크로어 등 다양한 것으로 폭을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객담 배출용 기능성 진동조끼의 진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설명하는 블럭도로, 전후면 진동부(200), 진동 구동부(370), 연산처리부(400), 입력부(410), 메모리부(420), 알람부(430), 디스플레이부(4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입력부(410)는 다수의 스위치로 이루어져 있으며, 온/오프(on/off) 스위치 이외에, 전면 우상엽 진동부(210), 전면 우중엽 진동부(220) 등 진동부 별로 진동(타격) 강도와 진동(타격) 속도를 설정할 수 있는 스위치들을 구비한다. 경우에 따라서 입력부(410)로 사용자명 또는 사용자 ID를 입력할 수 있다.
연산처리부(400)는 입력부(4120)로부터 수신된 소정 진동부의 진동(타격) 강도와 속도 설정신호로 부터, 소정 진동부의 진동(타격)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진동 구동부(370)로 출력한다.
경우에 따라서, 연산처리부(400)는 사용자별로 객담 배출법 시행횟수를 카운트하여 메모리부(420)에 저장할 수 있으며, 객담 배출법 시행이 종료되었을 경우, 디스플레이부(440) 또는 알람부(430)를 통해 종료여부를 알릴 수 있다.
진동 구동부(370)는 연산처리부(400)로부터 수신된 소정 진동부의 진동(타격) 제어신호에 따라 소정 진동부를 구동시킨다.
전후면 진동부(200)는 진동 구동부(370)에 의해 구동되며, 전후면 진동부(200)는 전면 우상엽 진동부(210), 전면 우중엽 진동부(220), 전면 우하엽 진동부(230), 전면 좌상엽 진동부(240), 전면 좌하엽 진동부(250), 후면 우상엽 진동부(310), 후면 우하엽 진동부(330), 후면 좌상엽 진동부(340), 후면 좌하엽 진동부(350)로 이루어지며, 이들은 모터로 이루어지거나, 진동자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AC, DC, 스텝 모터, 또는, 리니어 모터로 이루어지거나, 압전 세락믹 진동자로 이루어지거나, 솔레노이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진동 구동부(370), 연산처리부(400), 입력부(410), 메모리부(420), 알람부(430), 디스플레이부(440)를 제어부(500)라 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하나의 제어 박스에 들어 있을 수 있다.
전면 우상엽 포켓부(21), 전면 우중엽 포켓부(22) 등의 각 포켓부에는 피부와 닿는 내측 천이 있고, 내측 천위에 놓이는 외측 천이 있으며, 내측 천과 외측 천의 사이에 모터 또는 진동자로 이루어진 진동부가 삽입되고, 내측 천과 외측 천은 둘레가 봉제된다. 경우에 따라서 하나의 포켓 또는 하나의 진동부에, 다수개의 모터 또는 다수개의 진동자를 가질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전후면 진동부에 적용되는 모터팩의 일예이고, 도 7은 도 5의 전후면 진동부에 적용되는 진동자의 일예이다.
도 6에서 모터팩(201)은 모터팩 하우징(260)의 내측에 소형 리니어 모터(미도시)가 내장되고, 상기 모터 연결축(270)은 모터팩 하우징(260)에서 외부로 돌출되도록 이루어지며, 모터 연결축(270)의 일단에는 진동판(280)이 장착되어 있다. 모터팩 하우징(260)의 하단에는 L형 연결부(290)이 장착되어 있다.
도 6에서 진동판(280)은 타원형으로 나타내고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원형, 사각형 등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모터팩(201)이 각 포켓 내에 삽입될 때, L형 연결부(290)는 외측 천에 장착되고, 진동판(280)은 내측 천 위에 놓이게 된다.
도 7과 같은 진동자(202)(예를 들어 압전세라믹 진동자)일 경우는 진동자(202)가 각 포켓 내에 삽입된다.
도 6 및 도 7의 연결선(295)는 제어부(500)의 진동구동부(370)과 연결된다.
도 8은 도 5의 전후면 진동부에 적용되는 모터팩의 다른 일예이고, 도 9는 도 8의 모터팩 하부 하우징의 일예이고, 도 10은 도 8의 도터팩에 사용되는 모터의 일예이고, 도 11은 도 10의 모터팩 하부 하우징에 모터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2는 도 10의 모터팩을 흉부 포켓부의 저면에 장착한 상태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흉부 포켓부는 흉부포켓 저면부(286), 즉 포켓부의 내측 천과 흉부포켓 상면부(미도시), 즉 포켓부의 외측 천의 둘레를 봉제하여 이루어진다. 흉부포켓 저면부(286)는 천으로 이루어지되, 흉부 포켓부의 저면을 이루는 부분이다. 흉부포켓 상면부(미도시)는 흉부포켓 저면부(286)의 위에 위치되며, 그 둘레가 흉부포켓 저면부(286)와 함께 봉제된다. 흉부포켓 상면부(미도시)는 개구부(미도시)를 구비하며, 경우에 따라서 개구부를 여닫을 수 있는 지퍼 등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8에서와 같은 모터팩(201)은 모터팩 상부 하우징(261)과 모터팩 하부 하우징(26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모터팩 하부 하우징(262)는, 도 12에서와 같이, 흉부포켓 저면(286)에 장착되며, 그 안에 모터가 장착된다.
모터팩 상부 하우징(261)는 모터팩 하부 하우징(262)의 상부에 장착되며, 모터팩 상부 하우징(261)의 상면에 위에 흉부포켓 상면부(미도시)가 위치된다.
도 9에서와 같이, 모터팩 상부 하우징(261)과 모터팩 하부 하우징(262)는 모터 수납홈(263)을 구비하며, 모터 수납홈(263)은 모터 상면을 고정하기 위한 모터상면 고정벽(269)를 구비한다. 모터수납홈 저면(264)은 모터상면 고정벽(269)를 기준으로 모터수납홈 상부저면(265)와 모터수납홈 하부저면(266)으로 나뉜다. 도 10에서와 같이, 모터수납홈 상부저면(265)에는 진동판(280)이 위치되며, 모터수납홈 하부저면(266)에는 모터(275)의 몸체가 위치된다.
경우에 따라서, 모터팩 하부 하우징(262)에서, 모터수납홈 상부저면(265)의 깊이, 즉, 수납홈 테두리(267)로부터 모터수납홈 상부저면(265) 까지의 길이는, 모터수납홈 하부저면(266)의 깊이 즉, 수납홈 테두리(267)로부터 모터수납홈 하부저면(266) 까지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이는 진동판(280)이 일측이 모터수납홈 상부저면(265)에 부딪침에 의해 진동을 생성하기 위함이다.
모터상면 고정벽(269)에는 모터연결축 통공(268)을 구비한다. 모터연결축 통공(268)은 모터 회전축인 모터 연결축(270)이 통과하되, 모터상면 고정벽(269)과 모터 연결축(270)이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모터연결축 통공(268)의 반경은 모터 연결축(270)의 반경보다 크다.
도 11에서와 같이, 모터(275)의 중심에는 회전축인 모터 연결축(270)이 구비되고, 모터 연결축(270)의 일단에는 진동판(280)이 장착되되, 모터 연결축(270)은 진동판(280)의 좌우 중 일측에 연결된다. 이는 진동판(280)이 일측이 모터수납홈 상부저면(265)에 부딪침에 의해 진동을 생성하기 위함이다. 진동판(280)은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3은 도 5의 제어부의 일예를 나타낸다.
도 13에서 제어부(500)는 전면 우상엽 진동부(210)의 설정부(A1), 전면 우중엽 진동부(220)의 설정부(A2), 전면 우하엽 진동부(230)의 설정부(A3), 전면 좌상엽 진동부(240)의 설정부(A4), 전면 좌하엽 진동부(250)의 설정부(A5), 후면 우상엽 진동부(310)의 설정부(P1), 후면 우하엽 진동부(330)의 설정부(P2), 후면 좌상엽 진동부(340)의 설정부(P3), 후면 좌하엽 진동부(350)의 설정부(P3)를 포함며, 디스플레이부와 온/오프 스위치 등을 구비한다.
도 14는 도 5의 제어부의 다른 일예를 나타낸다.
도 14에서 제어부(500)는 전면 진동 설정부(511), 후면 진동 설정부(512), 온/오프 스위치 등을 구비한다.
전면 진동 설정부(511)는 전면 좌흉부 포켓부(19)와, 전면 우흉부 포켓부(17)의 진동부, 즉, 전면 우상엽 진동부(210), 전면 우중엽 진동부(220), 전면 우하엽 진동부(230), 전면 좌상엽 진동부(240), 전면 좌하엽 진동부(250)를 동시에 제어할 수 있다.
후면 진동 설정부(512)는 후면 좌흉부 포켓부(39)와, 후면 우흉부 포켓부(37)의 진동부, 즉, 후면 우상엽 진동부(310), 후면 우하엽 진동부(330), 후면 좌상엽 진동부(340), 후면 좌하엽 진동부(350)를 동시에 제어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의 객담 배출용 기능성 진동조끼의 전(前)면이고, 도 16은 도 15의 전면 좌흉부 포켓부(19)와 전면 우흉부 포켓부(17)를 상세히 설명한 설명도이다.
도 15에서와 같이, 조끼 전(前)면(20)의 좌우 가슴에 전면 좌흉부 포켓부(19)와, 전면 우흉부 포켓부(17)를 구비한다. 전면 우흉부 포켓부(17)와 전면 좌흉부 포켓부(19)는 정중부(5)를 중심으로 좌우 가슴에 이격되어 있으며, 좌우 가슴에서 쇄골과 횡격막과의 사이에 위치되며, 전면의 흉부 전체를 덮고 있는 포켓으로, 8각형을 이룬다.
전면 우흉부 포켓부(17)은 앞면에서 본 오른쪽 폐와 같이, 수평열 봉제(縫製)선(31)과 전면 우 사열 봉제선(32)에 의해, 전면 우상엽 포켓부(21), 전면 우중엽 포켓부(22), 전면 우하엽 포켓부(23)로 나뉜다. 즉, 수평열 대응 선인 수평열 봉제선(31)에 의해 전면 우흉부 포켓부(17)이 나뉘는데, 그 중 상부가 전면 우상엽 포켓부(21)가 되며, 그 중 하부는, 우 사열 대응 선인, 전면 우 사열 봉제선(32)에 의해 전면 우중엽 포켓부(22)와 전면 우하엽 포켓부(23)로 나뉘는 데, 그 중 하부는 전면 우하엽 포켓부(23)이다.
전면 좌흉부 포켓부(19)는 앞면에서 보았을 때 왼쪽 폐와 같이, 전면 좌 사열 봉제선(33)에 의해, 전면 좌상엽 포켓부(24)와 전면 좌하엽 포켓부(25)로 나뉘며, 그 중 상부는 전면 좌상엽 포켓부(24)이다.
도 16에서와 같이, 전면 우흉부 포켓부(17)와 전면 좌흉부 포켓부(19) 각각은, 의복의 전면에서 전면 제1선(109), 전면 제2선(114), 전면 제3선(104), 전면 제4선(117), 전면 제5선(121), 전면 제6선(111), 전면 제7선(119), 전면 제8선(107)이 결합하여 8각형을 이룬다.
전면 제1선(109)은 어깨선에서 제2늑골 대응부(즉, 의복에서 제2늑골 대응부)와 만나는 지점에서부터, 어깨진동선과 옆선이 만나는 지점을 이은 선이다.
전면 제2선(114)은 어깨선에서 제2늑골 대응부(즉, 의복에서 제2늑골 대응부)와 만나는 지점에서부터, 쇄골이 흉골(즉, 의복에서 흉골 대응부)과 만나는 지점을 지나서 정중부(5)까지 연결된 선이다.
전면 제3선(104)은 전면 제2선에서 어깨선과 만나는 지점으로부터 약1/3의 지점을 지나되, 어깨선과 평행인 선이다.
전면 제4선(117)은 전면 제2선에서 정중부(5)로부터 약1/3의 지점에서부터, 제6늑골(즉, 의복에서 제6늑골 대응부)과 흉골이 만나는 지점을 이은 선이다.
전면 제5선(121)은 제6늑골과 흉골이 만나는 지점에서부터, 제6늑골의 늑경골과 늑연골의 사이 지점을 지나서, 옆선까지 연결된 선이다.
전면 제6선(111)은 제6늑골의 늑경골과 늑연골의 사이 지점을 지나는 수평선이다.
전면 제7선(119)은 어깨진동선과 옆선이 만나는 지점에서부터, 전면 제6선(111)이 제6늑골과 만나는 지점 중, 옆선으로부터 가까운 지점을 이은 선이다.
전면 제8선(107)은, 옆선과 제4늑골(즉, 의복에서 제4늑골 대응부)이 만나는 지점을 지나는 수평선과 전면 제7선(119)이 만나는 지점으로부터(또는 옆선과 제4늑골이 만나는 지점으로부터), 어깨선에서 어깨진동선과 만나는 지점으로부터 약 1/4 지점을 이은 선이다.
제1 전면봉제선(도 16의 109의 실선부분)은 전면 제1선(109)이 전면 제8선(107)과 만나는 지점부터, 전면 제1선(109)이 전면 제3선(104)과 만나는 지점 까지를 이은 선을 봉제한 선이다.
제2 전면봉제선(도 16의 114의 실선부분)은 전면 제2선(114)이 전면 제3선(104)과 만나는 지점부터, 전면 제2선(114)이 전면 제4선(117)과 만나는 지점 까지를 이은 선을 봉제한 선이다.
제3 전면봉제선(도 16의 104의 실선부분)은 전면 제3선(104)이 전면 제1선(109)과 만나는 지점부터, 전면 제3선(104)이 전면 제2선(114)과 만나는 지점 까지를 이은 선을 봉제한 선이다.
제4 전면봉제선(도 16의 117의 실선부분)은 전면 제4선(117)이 전면 제2선(114)과 만나는 지점부터, 전면 제4선(117)이 전면 제5선(121)과 만나는 지점 까지를 이은 선을 봉제한 선이다.
제5 전면봉제선(도 16의 121의 실선부분)은 전면 제5선(121)이 전면 제4선(117)과 만나는 지점부터, 전면 제5선(121)이 전면 제6선(111)과 만나는 지점 까지를 이은 선을 봉제한 선이다.
제6 전면봉제선(도 16의 111의 실선부분)은 전면 제6선(111)이 전면 제5선(121)과 만나는 지점부터, 전면 제6선(111)이 전면 제7선(119)과 만나는 지점 까지를 이은 선을 봉제한 선이다.
제7 전면봉제선(도 16의 119의 실선부분)은 전면 제7선(119)이 전면 제6선(111)과 만나는 지점부터, 전면 제7선(119)이 전면 제8선(107)과 만나는 지점 까지를 이은 선을 봉제한 선이다.
제8 전면봉제선(도 16의 107의 실선부분)은 전면 제8선(107)이 전면 제7선(119)과 만나는 지점부터, 전면 제8선(107)이 전면 제1선(109)과 만나는 지점 까지를 이은 선을 봉제한 선이다.
수평열 봉제선(31)은 옆선과 제4늑골이 만나는 지점을 지나는 수평선과 전면 제7선(119)이 만나는 지점으로부터(또는 옆선과 제4늑골이 만나는 지점으로부터), 제4늑골과 흉골이 만나는 지점까지 이은 선을 봉제한 선이다
전면 우사열 봉제선(32)은, 전면 우흉부 포켓부(17)에서, 옆선과 제4늑골이 만나는 지점을 지나는 수평선과 전면 제7선(119)이 만나는 지점으로부터(또는 옆선과 제4늑골이 만나는 지점으로부터), 제5 전면봉제선(121)에서, 제6봉제선(111)과의 만나는 점으로부터 1/5지점까지 이은 선을 봉제한 선이다. 또는, 우사열 봉제선(32)은 옆선과 제4늑골이 만나는 지점을 지나는 수평선과 전면 제7선(119)이 만나는 지점으로부터(또는 옆선과 제4늑골이 만나는 지점으로부터), 제5 전면봉제선(121)에서 제6늑골의 늑경골과 늑연골의 사이 지점으로부터 1/5지점까지 이은 선을 봉제한 선이다.
전면 좌사열 봉제선(33)은, 전면 좌흉부 포켓부(19)에서, 옆선과 제4늑골이 만나는 지점을 지나는 수평선과 전면 제7선(119)이 만나는 지점으로부터(또는 옆선과 제4늑골이 만나는 지점으로부터), 제5 전면봉제선(121)에서, 제6봉제선(111)과의 만나는 점으로부터 1/2지점까지 이은 선을 봉제한 선이다.
도 17은 도 15의 객담 배출용 기능성 진동조끼의 후면이고, 도 18은 도 17의 후면 좌흉부 포켓부(39)와 후면 우흉부 포켓부(37)를 상세히 설명한 설명도이다.
도 17에서와 같이, 조끼 후면(40)의 좌우 가슴에 후면 좌흉부 포켓부(39)와, 후면 우흉부 포켓부(37)를 구비한다. 후면 우흉부 포켓부(37)와 후면 좌흉부 포켓부(39)는 정중부(5)를 중심으로 좌우 가슴에 이격되어 있으며, 좌우 가슴에서 쇄골과 횡격막과의 사이에 위치되며, 전면의 흉부 전체를 덮고 있는 포켓으로, 7각형을 이룬다.
후면 우흉부 포켓부(37)은 후면에서 본 오른쪽 폐와 같이, 후면 우 사열 봉제선(51)에 의해, 후면 우상엽 포켓부(41), 후면 우하엽 포켓부(43)로 나뉘며, 그 중 하부는 후면 우하엽 포켓부(43)이다.
후면 좌하엽 포켓부(45)는 후면에서 보았을 때 폐의 좌하엽에 대응하는 부분의 포켓으로, 이 포켓 내에는 후면 좌하엽 진동부(350)가 내장되어, 객담 배출법시행시, 좌하엽 부분에 진동을 가하거나 두드리게 한다.
도 18에서와 같이, 후면 우흉부 포켓부(37)와 후면 좌흉부 포켓부(39) 각각은, 의복의 후면에서 후면 제1선(159), 후면 제2선(164), 후면 제3선(154), 후면 제4선(167), 후면 제5선(171), 후면 제6선(161), 후면 제7선(169)가 결합하여 7각형을 이룬다.
후면 제1선(159)은 어깨선에서 제2늑골 대응부(즉, 의복에서 제2늑골 대응부)와 만나는 지점으로부터 약 1/3지점에서부터, 어깨진동선과 옆선이 만나는 지점을 이은 선이다.
후면 제2선(164)은 어깨선에서 제2늑골(즉, 의복에서 제2늑골 대응부)과 만나는 지점에서부터, 제2늑골이 흉추(즉, 의복에서 흉추 대응부)와 만나는 지점을 지나서 정중부(5)까지 연결된 선이다.
후면 제3선(154)은 후면 제2선에서 어깨선과 만나는 지점으로부터 약1/3의 지점을 지나되, 어깨선과 평행인 선이다.
후면 제4선(167)은 전면 제2선에서 정중부(5)로부터 약1/3의 지점을 지나는 수직한 선이다.
후면 제5선(171)은 제5늑골과 흉추가 만나는 지점에서부터, 후면 제6선(171)에서 정중부로부터 약 1/3 지점을 연결하는 선이다.
후면 제6선(171)은 옆선과 정중부사이에서 제6늑골을 따라 이어지는 선으로
이다.
후면 제7선(169)은 후면 제6선(171)에서 옆선으로부터 약 1/10지점과, 어깨선에서 어깨진동선과 만나는 지점으로부터 약 1/4 지점을 이은 선이다.
제1 후면봉제선(도 18의 159의 실선부분)은 후면 제1선(159)이 후면 제8선(157)과 만나는 지점부터, 후면 제1선(159)이 후면 제3선(154)과 만나는 지점 까지를 이은 선을 봉제한 선이다.
제2 후면봉제선(도 18의 164의 실선부분)은 후면 제2선(164)이 후면 제3선(154)과 만나는 지점부터, 후면 제2선(164)이 후면 제4선(167)과 만나는 지점 까지를 이은 선을 봉제한 선이다.
제3 후면봉제선(도 18의 154의 실선부분)은 후면 제3선(154)이 후면 제1선(159)과 만나는 지점부터, 후면 제3선(154)이 후면 제2선(164)과 만나는 지점 까지를 이은 선을 봉제한 선이다.
제4 후면봉제선(도 18의 167의 실선부분)은 후면 제4선(167)이 후면 제2선(164)과 만나는 지점부터, 후면 제4선(167)이 후면 제5선(171)과 만나는 지점 까지를 이은 선을 봉제한 선이다.
제5 후면봉제선(도 18의 171의 실선부분)은 후면 제5선(171)이 후면 제4선(167)과 만나는 지점부터, 후면 제5선(171)이 후면 제6선(161)과 만나는 지점 까지를 이은 선을 봉제한 선이다.
제6 후면봉제선(도 18의 161의 실선부분)은 후면 제6선(161)이 후면 제5선(171)과 만나는 지점부터, 후면 제6선(161)이 후면 제7선(169)과 만나는 지점 까지를 이은 선을 봉제한 선이다.
제7 후면봉제선(도 18의 169의 실선부분)은 후면 제7선(169)이 후면 제6선(161)과 만나는 지점부터, 후면 제7선(169)이 후면 제1선(159)과 만나는 지점 까지를 이은 선을 봉제한 선이다.
후면 우사열 봉제선(51)은, 후면 우흉부 포켓부(37)에서, 옆선과 제4늑골이 만나는 지점으로부터 제4늑골을 따라 정중부와 연결된 선에서, 후면 제7선(169)과 만나는 점으로부터, 후면 제4선(167)과 만나는 점까지 연결된 선을 봉제한 선이다.
후면 좌사열 봉제선(52)은, 후면 좌흉부 포켓부(39)에서, 옆선과 제4늑골이 만나는 지점으로부터 제4늑골을 따라 정중부와 연결된 선에서, 후면 제7선(169)과 만나는 점으로부터, 후면 제4선(167)과 만나는 점까지 연결된 선을 봉제한 선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5 : 정중부 17 : 전면 우흉부 포켓부
19 : 전면 좌흉부 포켓부 20 : 조끼 전면
21 : 전면 우상엽 포켓부 22 : 전면 우중엽 포켓부
23 : 전면 우하엽 포켓부 24 : 전면 좌상엽 포켓부
25 : 전면 좌하엽 포켓부 31 : 수평열 봉제선
32 : 전면 우 사열 봉제선 33 : 전면 좌 사열 봉제선
37 : 후면 우흉부 포켓부 39 : 후면 좌흉부 포켓부
40 : 조끼 후면 41 : 후면 우상엽 포켓부
43 : 후면 우하엽 포켓부 44 : 후면 좌상엽 포켓부
45 : 후면 좌하엽 포켓부 51 : 후면 우 사열 봉제선
55 : 폭 조절부 104 : 전면 제3선
107 : 전면 제8선 109 : 전면 제1선
111 : 전면 제6선 114 : 전면 제2선
117 : 전면 제4선 119 : 전면 제7선
121 : 전면 제5선 154 : 후면 제3선
159 : 후면 제1선 161 : 후면 제6선
164 : 후면 제2선 167 : 후면 제4선
169 : 후면 제7선 171 : 후면 제5선
200 : 전후면 진동부 201 : 모터팩
202 : 진동자 205 : 전면 진동부
210 : 전면 우상엽 진동부 220 : 전면 우중엽 진동부
230 : 전면 우하엽 진동부 240 : 전면 좌상엽 진동부
250 : 전면 좌하엽 진동부 260 : 모터팩 하우징
261 : 모터팩 상부 하우징 262 : 모터팩 하부 하우징
263 : 모터 수납홈 264 : 모터수납홈 저면
265 : 모터수납홈 상부저면 266 : 모터수납홈 하부저면
267 : 수납홈 테두리 268 : 모터연결축 통공
269 : 모터상면 고정벽 270 : 모터 연결축
275 : 모터 280 : 진동판
286 : 흉부포켓 저면부 290 : L형 연결부
295 : 연결선 305 : 후면 진동부
310 : 후면 우상엽 진동부 330 : 후면 우하엽 진동부
340 : 후면 좌상엽 진동부 350 : 후면 좌하엽 진동부
370 : 진동 구동부 400 : 연산처리부
410 : 입력부 420 : 메모리부
430 : 알람부 440 : 디스플레이부
500 : 제어부 511 : 전면 진동 설정부

Claims (26)

  1. 조끼 전면의 흉부 및 조끼 후면의 등부에 진동부를 삽입하여, 객담배출법 시행 시 진동하게 하는 객담 배출용 진동조끼에 있어서,
    조끼의 전면은, 정중부를 중심으로 우측 흉부에서 쇄골과 횡격막과의 사이에 위치되는 전면 우흉부 포켓부와, 정중부를 중심으로 좌측 흉부에서 쇄골과 횡격막과의 사이에 위치되는 전면 좌흉부 포켓부를 구비하며,
    전면 우흉부 포켓부는, 폐의 수평열에 대응되는 선인, 수평열 봉제선과, 폐의 우 사열에 대응되는 선인, 전면 우사열 봉제선을 구비하며, 전면 우흉부 포켓부에서 수평열 봉제선의 상부는 전면 우상엽 포켓부이며, 전면 우흉부 포켓부에서 수평열 봉제선과 전면 우사열 봉제선의 사이는 전면 우중엽 포켓부이며, 전면 우흉부 포켓부에서 전면 우사열 봉제선의 하부는 전면 우하엽 포켓부이며,
    전면 좌흉부 포켓부는, 폐의 좌 사열에 대응되는 선인, 전면 좌사열 봉제선을 구비하며, 전면 좌흉부 포켓부에서 전면 좌사열 봉제선의 상부는 전면 좌상엽 포켓부이며, 전면 좌흉부 포켓부에서 전면 좌사열 봉제선의 하부는 전면 좌하엽 포켓부이며,
    전면 우상엽 포켓부, 전면 우중엽 포켓부, 전면 우하엽 포켓부, 전면 좌상엽 포켓부, 전면 좌하엽 포켓부에는 각각 모터 또는 진동자로 이루어진 진동부가 내장되어 있으며,
    전면 우흉부 포켓부와 전면 좌흉부 포켓부는, 폐의 앞면 형상이거나, 평행사변형의 일변에 반원이 장착되어 있는 형태이거나, 사각형의 일변에 반원이 장착되어 있는 형태이거나, 8각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담 배출용 진동조끼.
  2. 조끼 전면의 흉부 및 조끼 후면의 등부에 진동부를 삽입하여, 객담배출법 시행 시 진동하게 하는 객담 배출용 진동조끼에 있어서,
    조끼의 전면은 정중부를 중심으로 좌측 흉부에서 쇄골과 횡격막과의 사이에 위치되는 전면 좌흉부 포켓부를 구비하며,
    전면 좌흉부 포켓부는, 폐의 좌 사열에 대응되는 선인, 전면 좌사열 봉제선을 구비하며, 전면 좌흉부 포켓부에서 전면 좌사열 봉제선의 상부는 전면 좌상엽 포켓부이며, 전면 좌흉부 포켓부에서 전면 좌사열 봉제선의 하부는 전면 좌하엽 포켓부이며,
    조끼의 후면은, 정중부를 중심으로, 우측 흉부에서 쇄골과 횡격막과의 사이에 위치되는 후면 우흉부 포켓부와, 좌측 흉부에서 쇄골과 횡격막과의 사이에 위치되는 후면 좌흉부 포켓부를 구비하며,
    후면 우흉부 포켓부는, 폐의 우 사열에 대응되는 선인, 후면 우사열 봉제선을 구비하며, 후면 우사열 봉제선의 상부가 후면 우상엽 포켓부이고, 후면 우사열 봉제선의 하부가 후면 우하엽 포켓부이며,
    후면 좌흉부 포켓부는, 폐의 좌 사열에 대응되는 선인, 후면 좌사열 봉제선을 구비하며, 후면 좌사열 봉제선의 상부가 후면 좌상엽 포켓부이고, 후면 좌사열 봉제선의 하부가 후면 좌하엽 포켓부이며,
    전면 좌상엽 포켓부, 전면 좌하엽 포켓부, 후면 우상엽 포켓부, 후면 우하엽 포켓부, 후면 좌상엽 포켓부, 후면 좌하엽 포켓부에는 각각 모터 또는 진동자로 이루어진 진동부가 내장되어 있으며,
    후면 우흉부 포켓부와 후면 좌흉부 포켓부는, 폐의 후면 형상이거나, 평행사변형의 일변에 반원이 장착되어 있는 형태이거나, 사각형의 일변에 반원이 장착되어 있는 형태이거나, 나비의 날개 형태이거나, 7각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담 배출용 진동조끼.
  3. 조끼 전면의 흉부 및 조끼 후면의 등부에 진동부를 삽입하여, 객담배출법 시행 시 진동하게 하는 객담 배출용 진동조끼에 있어서,
    조끼의 후면은, 정중부를 중심으로, 우측 흉부에서 쇄골과 횡격막과의 사이에 위치되는 후면 우흉부 포켓부와, 좌측 흉부에서 쇄골과 횡격막과의 사이에 위치되는 후면 좌흉부 포켓부를 구비하며,
    후면 우흉부 포켓부는, 폐의 우 사열에 대응되는 선인, 후면 우사열 봉제선을 구비하며, 후면 우사열 봉제선의 상부가 후면 우상엽 포켓부이고, 후면 우사열 봉제선의 하부가 후면 우하엽 포켓부이며,
    후면 좌흉부 포켓부는, 폐의 좌 사열에 대응되는 선인, 후면 좌사열 봉제선을 구비하며, 후면 좌사열 봉제선의 상부가 후면 좌상엽 포켓부이고, 후면 좌사열 봉제선의 하부가 후면 좌하엽 포켓부이며,
    후면 우상엽 포켓부, 후면 우하엽 포켓부, 후면 좌상엽 포켓부, 후면 좌하엽 포켓부에는 각각 모터 또는 진동자로 이루어진 진동부가 내장되어 있으며,
    후면 우흉부 포켓부와 후면 좌흉부 포켓부는, 폐의 후면 형상이거나, 평행사변형의 일변에 반원이 장착되어 있는 형태이거나, 사각형의 일변에 반원이 장착되어 있는 형태이거나, 나비의 날개 형태이거나, 7각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담 배출용 진동조끼.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조끼의 후면은, 정중부를 중심으로, 우측 흉부에서 쇄골과 횡격막과의 사이에 위치되는 후면 우흉부 포켓부와, 좌측 흉부에서 쇄골과 횡격막과의 사이에 위치되는 후면 좌흉부 포켓부를 구비하며,
    후면 우흉부 포켓부는, 폐의 우 사열에 대응되는 선인, 후면 우사열 봉제선을 구비하며, 후면 우사열 봉제선의 상부가 후면 우상엽 포켓부이고, 후면 우사열 봉제선의 하부가 후면 우하엽 포켓부이며,
    후면 좌흉부 포켓부는, 폐의 좌 사열에 대응되는 선인, 후면 좌사열 봉제선을 구비하며, 후면 좌사열 봉제선의 상부가 후면 좌상엽 포켓부이고, 후면 좌사열 봉제선의 하부가 후면 좌하엽 포켓부이며,
    후면 우상엽 포켓부, 후면 우하엽 포켓부, 후면 좌상엽 포켓부, 후면 좌하엽 포켓부에는 각각 모터 또는 진동자로 이루어진 진동부가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담 배출용 진동조끼.
  6. 제1항 내지 제3항,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끼의 양 측면에는 폭을 조절하는 폭 조절부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담 배출용 진동조끼.
  7. 제6항에 있어서,
    조끼 전면 및 조끼 후면 중의 하나에 끈이 장착되며,
    조끼 전면 및 조끼 후면 중의 다른 하나에는 버클이 장착되어,
    버클과 끈을 결합하여 폭을 조절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담 배출용 진동조끼.
  8. 제1항 내지 제3항,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끼의 외측에 위치되며, 조끼내의 진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담 배출용 진동조끼.
  9. 제8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각 진동부의 진동의 강도와 속도를 설정하는 스위치들을 구비하는 입력부;
    입력부로부터 수신된 각 진동부의 진동의 강도와 속도의 설정신호로부터, 각 진동부의 진동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연산처리부;
    연산처리부로부터 수신된 각 진동부의 진동 제어신호에 따라 각 진동부를 구동시키는, 진동 구동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담 배출용 진동조끼.
  10. 제9항에 있어서,
    연산처리부는 객담 배출법 시행이 종료되었을 경우, 알람을 울리거나, 디스플레이부로 종료되었음을 알리는 문구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담 배출용 진동조끼.
  11. 제8항에 있어서,
    모터는 모터팩 하우징 내에 내장되고,
    모터팩 하우징에 구비된 L형 연결부를, 조끼의 전면에서 우측 흉부에서 쇄골과 횡격막과의 사이에 위치되는 전면 우흉부 포켓부와, 조끼의 전면에서 좌측 흉부에서 쇄골과 횡격막과의 사이에 위치되는 전면 좌흉부 포켓부와, 조끼의 후면에서 우측 흉부에서 쇄골과 횡격막과의 사이에 위치되는 후면 우흉부 포켓부와, 조끼의 후면에서 좌측 흉부에서 쇄골과 횡격막과의 사이에 위치되는 후면 좌흉부 포켓부를 포함하는 포켓부의 외측 천에 장착하고,
    모터팩 하우징의 통공을 통해 외부로 돌출된 모터 연결축에 연결된 진동판을 상기 포켓부의 내측 천 위에 위치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담 배출용 진동조끼.
  12. 제3항에 있어서,
    조끼의 전면은, 정중부를 중심으로 우측 흉부에서 쇄골과 횡격막과의 사이에 위치되는 전면 우흉부 포켓부와, 정중부를 중심으로 좌측 흉부에서 쇄골과 횡격막과의 사이에 위치되는 전면 좌흉부 포켓부를 구비하며,
    전면 우흉부 포켓부와 전면 좌흉부 포켓부는, 폐의 앞면 형상이거나, 평행사변형의 일변에 반원이 장착되어 있는 형태이거나, 사각형의 일변에 반원이 장착되어 있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담 배출용 진동조끼.
  13. 제5항에 있어서,
    후면 우흉부 포켓부와 후면 좌흉부 포켓부는, 폐의 후면 형상이거나, 평행사변형의 일변에 반원이 장착되어 있는 형태이거나, 사각형의 일변에 반원이 장착되어 있는 형태이거나, 나비의 날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담 배출용 진동조끼.
  14. 제8항에 있어서,
    모터 연결축에 진동판을 연결한 모터가 모터팩 하우징 내에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담 배출용 진동조끼.
  15. 제14항에 있어서,
    모터팩 하우징은 모터팩 상부 하우징과 모터팩 하부 하우징으로 이루어지며,
    모터팩 상부 하우징과 모터팩 하부 하우징은 내측에 모터 수납홈을 구비하며, 모터 수납홈은 모터 상면을 고정하기 위한 모터상면 고정벽을 구비하며,
    모터상면 고정벽은 모터 연결축이 통과하되, 모터상면 고정벽과 모터 연결축이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이루어진 모터연결축 통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담 배출용 진동조끼.
  16. 제15항에 있어서,
    모터수납홈 저면은 모터상면 고정벽을 기준으로, 진동판이 수납되는 모터수납홈 상부저면과, 모터 몸체가 수납되는 모터수납홈 하부저면으로 나뉘며,
    모터수납홈 상부저면의 깊이 길이는, 모터수납홈 하부저면의 깊이 길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담 배출용 진동조끼.
  17. 제16항에 있어서,
    진동판의 좌우의 일측에 모터 연결축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담 배출용 진동조끼.
  18. 제17항에 있어서, 진동판은 원형 또는 타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담 배출용 진동조끼.
  19. 제1항에 있어서,
    전면 우흉부 포켓부 및 전면 좌흉부 포켓부는 8각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담 배출용 진동조끼.
  20. 제19항에 있어서, 전면 우흉부 포켓부 및 전면 좌흉부 포켓부 각각은,
    어깨선에서 제2늑골과 만나는 지점에서부터, 어깨진동선과 옆선이 만나는 지점을 이은 선인, 전면 제1선;
    어깨선에서 제2늑골과 만나는 지점에서부터, 쇄골이 흉골과 만나는 지점을 지나서 정중부까지 연결된 선인, 전면 제2선;
    전면 제2선에서 어깨선과 만나는 지점으로부터 1/3의 지점을 지나되, 어깨선과 평행인 선인, 전면 제3선;
    전면 제2선에서 정중부로부터 1/3의 지점에서부터, 제6늑골과 흉골이 만나는 지점을 이은 선인, 전면 제4선;
    제6늑골과 흉골이 만나는 지점에서부터, 제6늑골의 늑경골과 늑연골의 사이 지점을 지나서, 옆선까지 연결된 선인, 전면 제5선;
    제6늑골의 늑경골과 늑연골의 사이 지점을 지나는 수평선인, 전면 제6선;
    어깨진동선과 옆선이 만나는 지점에서부터, 전면 제6선이 제6늑골과 만나는 지점 중, 옆선으로부터 가까운 지점을 이은 선인, 전면 제7선;
    옆선과 제4늑골이 만나는 지점을 지나는 수평선과 전면 제7선이 만나는 지점으로부터, 어깨선에서 어깨진동선과 만나는 지점으로부터 1/4 지점을 이은 선인, 전면 제8선;
    을 이용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담 배출용 진동조끼.
  21. 삭제
  22. 제2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후면 우흉부 포켓부와 후면 좌흉부 포켓부 각각은,
    어깨선에서 제2늑골과 만나는 지점으로부터 1/3지점에서부터, 어깨진동선과 옆선이 만나는 지점을 이은 선인, 후면 제1선;
    어깨선에서 제2늑골과 만나는 지점에서부터, 제2늑골이 흉추와 만나는 지점을 지나서 정중부까지 연결된 선인, 후면 제2선;
    후면 제2선에서 어깨선과 만나는 지점으로부터 1/3의 지점을 지나되, 어깨선과 평행인 선인, 후면 제3선;
    전면 제2선에서 정중부로부터 1/3의 지점을 지나는 수직한 선인, 후면 제4선;
    제5늑골과 흉추가 만나는 지점에서부터, 후면 제6선에서 정중부로부터 1/3 지점을 연결하는 선인, 후면 제5선;
    옆선과 정중부사이에서 제6늑골을 따라 이어지는 선인, 후면 제6선;
    후면 제6선에서 옆선으로부터 1/10지점과, 어깨선에서 어깨진동선과 만나는 지점으로부터 1/4 지점을 이은 선인, 후면 제7선;
    을 이용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담 배출용 진동조끼.
  23. 제20항에 있어서, 전면 우흉부 포켓부 및 전면 좌흉부 포켓부 각각은,
    전면 제1선이 전면 제8선과 만나는 지점부터, 전면 제1선이 전면 제3선과 만나는 지점 까지를 이은 선을 봉제한 선인, 제1 전면봉제선;
    전면 제2선이 전면 제3선과 만나는 지점부터, 전면 제2선이 전면 제4선과 만나는 지점 까지를 이은 선을 봉제한 선인, 제2 전면봉제선;
    전면 제3선이 전면 제1선과 만나는 지점부터, 전면 제3선이 전면 제2선과 만나는 지점 까지를 이은 선을 봉제한 선인, 제3 전면봉제선;
    전면 제4선이 전면 제2선과 만나는 지점부터, 전면 제4선이 전면 제5선과 만나는 지점 까지를 이은 선을 봉제한 선인, 제4 전면봉제선;
    전면 제5선이 전면 제4선과 만나는 지점부터, 전면 제5선이 전면 제6선과 만나는 지점 까지를 이은 선을 봉제한 선인, 제5 전면봉제선;
    전면 제6선이 전면 제5선과 만나는 지점부터, 전면 제6선이 전면 제7선과 만나는 지점 까지를 이은 선을 봉제한 선인, 제6 전면봉제선;
    전면 제7선이 전면 제6선과 만나는 지점부터, 전면 제7선이 전면 제8선과 만나는 지점 까지를 이은 선을 봉제한 선인, 제7 전면봉제선;
    전면 제8선이 전면 제7선과 만나는 지점부터, 전면 제8선이 전면 제1선과 만나는 지점 까지를 이은 선을 봉제한 선인, 제8 전면봉제선;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담 배출용 진동조끼.
  24. 제23항에 있어서,
    전면 우흉부 포켓부에서, 옆선과 제4늑골이 만나는 지점을 지나는 수평선과 전면 제7선이 만나는 지점으로부터, 제4늑골과 흉골이 만나는 지점까지 이은 선을 봉제한 선인, 수평열 봉제선;
    전면 우흉부 포켓부에서, 옆선과 제4늑골이 만나는 지점을 지나는 수평선과 전면 제7선이 만나는 지점으로부터, 제5 전면봉제선에서, 제6봉제선과의 만나는 점으로부터 1/5지점까지 이은 선을 봉제한 선인, 전면 우사열 봉제선;
    전면 좌흉부 포켓부에서, 옆선과 제4늑골이 만나는 지점을 지나는 수평선과 전면 제7선이 만나는 지점으로부터, 제5 전면봉제선에서, 제6봉제선과의 만나는 점으로부터 1/2지점까지 이은 선을 봉제한 선인, 전면 좌사열 봉제선;
    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담 배출용 진동조끼.
  25. 제22항에 있어서, 후면 우흉부 포켓부와 후면 좌흉부 포켓부 각각은,
    후면 제1선이 후면 제8선과 만나는 지점부터, 후면 제1선이 후면 제3선과 만나는 지점 까지를 이은 선을 봉제한 선인, 제1 후면봉제선;
    후면 제2선이 후면 제3선과 만나는 지점부터, 후면 제2선이 후면 제4선과 만나는 지점 까지를 이은 선을 봉제한 선인, 제2 후면봉제선;
    후면 제3선이 후면 제1선과 만나는 지점부터, 후면 제3선이 후면 제2선과 만나는 지점 까지를 이은 선을 봉제한 선인, 제3 후면봉제선;
    후면 제4선이 후면 제2선과 만나는 지점부터, 후면 제4선이 후면 제5선과 만나는 지점 까지를 이은 선을 봉제한 선인, 제4 후면봉제선;
    후면 제5선이 후면 제4선과 만나는 지점부터, 후면 제5선이 후면 제6선과 만나는 지점 까지를 이은 선을 봉제한 선인, 제5 후면봉제선;
    후면 제6선이 후면 제5선과 만나는 지점부터, 후면 제6선이 후면 제7선과 만나는 지점 까지를 이은 선을 봉제한 선인, 제6 후면봉제선;
    후면 제7선이 후면 제6선과 만나는 지점부터, 후면 제7선이 후면 제1선과 만나는 지점 까지를 이은 선을 봉제한 선인, 제7 후면봉제선;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담 배출용 진동조끼.
  26. 제25항에 있어서,
    후면 우흉부 포켓부에서, 옆선과 제4늑골이 만나는 지점으로부터 제4늑골을 따라 정중부와 연결된 선에서, 후면 제7선과 만나는 점으로부터, 후면 제4선과 만나는 점까지 연결된 선을 봉제한 선인, 후면 우사열 봉제선;
    후면 좌흉부 포켓부에서, 옆선과 제4늑골이 만나는 지점으로부터 제4늑골을 따라 정중부와 연결된 선에서, 후면 제7선과 만나는 점으로부터, 후면 제4선과 만나는 점까지 연결된 선을 봉제한 선인, 후면 좌사열 봉제선;
    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담 배출용 진동조끼.
KR1020160004947A 2015-11-24 2016-01-14 객담 배출용 기능성 진동조끼 KR1018273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4641 2015-11-24
KR20150164641 2015-11-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0548A KR20170060548A (ko) 2017-06-01
KR101827371B1 true KR101827371B1 (ko) 2018-02-09

Family

ID=59222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4947A KR101827371B1 (ko) 2015-11-24 2016-01-14 객담 배출용 기능성 진동조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73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55289A1 (en) * 2021-09-30 2023-04-06 Hill-Rom Services Pte. Ltd. Chest wall therapy garme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84981A (zh) * 2019-09-24 2019-12-20 浙江省肿瘤医院 一种振动排痰装置
CN111728844B (zh) * 2020-07-30 2022-02-11 武汉金鑫谷医疗设备有限公司 一种胸腔振动排痰装置
KR102403496B1 (ko) * 2020-08-20 2022-05-27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진동자극을 이용한 웨어러블 객담 배출기
KR102648101B1 (ko) * 2022-11-03 2024-03-14 김천대학교산학협력단 객담 배출을 위한 신체용 보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55289A1 (en) * 2021-09-30 2023-04-06 Hill-Rom Services Pte. Ltd. Chest wall therapy gar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0548A (ko) 2017-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7371B1 (ko) 객담 배출용 기능성 진동조끼
US11607364B2 (en) Stimulating device
US4530349A (en) Therapy aid for treating cystic fibrosis
US7517328B2 (en) Low frequency vibration assisted blood perfusion emergency system
US5395301A (en) Kinesthetic system for promoting rhythmic breathing by tactile stimulation
US8870796B2 (en) Vibration method for clearing acute arterial thrombotic occlusions in the emergency treatment of heart attack and stroke
US20090069728A1 (en) Randomic vibration for treatment of blood flow disorders
US20200222276A1 (en) Therapeutic vibration device
US8734368B2 (en) Percussion assisted angiogenesis
TWI756716B (zh) 醫療背心及其使用方法
CN207492943U (zh) 一种排痰用背心
CN205126769U (zh) 一种排痰背心
US20170014299A1 (en) Vibratory saliva stimulator
KR20060030461A (ko) 기능성 의류
EP4069177A1 (en) Vibration device
US20200337942A1 (en) Method for Treating Coronavirus Infection Using a Stimulating Device for Improvement of Respiratory Function
US11583470B2 (en) Pulmonary vest for electro-sonic stimulation treatment
CN216824098U (zh) 一种中西医结合内科按摩带
CN213526345U (zh) 一种拍背排痰套件
CN213964281U (zh) 一种可对后背进行震动拍背的电动小背心
CA2540439C (en) Low frequency vibration assisted blood perfusion emergency system
KR200373014Y1 (ko) 기능성 의류
KR101571807B1 (ko) 소아용 렁 케어 바이브레이터
WO2023172124A1 (en) A portable apparatus to deliver percussion and vibrations to a pulmonary region of a patient
CN118022121A (zh) 胸外术后辅助咳痰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