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0461A - 기능성 의류 - Google Patents

기능성 의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0461A
KR20060030461A KR1020050075083A KR20050075083A KR20060030461A KR 20060030461 A KR20060030461 A KR 20060030461A KR 1020050075083 A KR1020050075083 A KR 1020050075083A KR 20050075083 A KR20050075083 A KR 20050075083A KR 20060030461 A KR20060030461 A KR 200600304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 frequency
controller
leg
functional
functional clot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5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홍기
Original Assignee
장홍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홍기 filed Critical 장홍기
Priority to KR10200500750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30461A/ko
Publication of KR20060030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04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02Garments adapted to accommodate electronic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2Therapeutic use
    • A41D2400/322Mass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04With mechanical drive, e.g. spring mechanism or vibrating unit being hit for starting vibration and then applied to the body of a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 의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의와 하의가 결합된 원피스 또는 상의와 하의가 분리된 의류에 신체에 밀착하는 부위 예를들어 소매부위, 허리부위, 복부부위, 다리부위 등의 일정간격으로 전동모터나 저주파자극기를 다수매설시켜 전동모터 또는 저주파자극기에서 발생되는 진동 또는 미세전류의 저주파에 의해 근육의 마사지, 성인병 예방과 함께 혈액순환, 몽매교정등 각종 질병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 기능성 의류에 관한것이다.
상기 기능성 의류에 진동모터를 사용하여 신체에 밀착되는 의류에 삽입하여 컨트롤러에 의해 구동패턴으로 진동시키면서 신체의 특정부위 (예: 허리부위)에 대한 지압 마사지 효과를 보다 극대화시키고, 상기와 같이 진동을 발생시켜 사용자의 신체부위를 타격하여 응집된 근육을 이완시키거나 신체내 지방을 분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기능성 의류에 진동모터를 사용하는 대신 저주파자극기를 부착하여 컨트롤러에 의해 전류의 흐름을 조절하여 저주파를 발생시켜 저주파 전류를 사용자의 신체 특정 부위로 전달하여 마사지 및 치료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으로 저주파 자극에 의해 근육이 반복적으로 수축, 이완 되므로 적절히 사용할 경우 몸매관리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Description

기능성 의류{Functional Clothe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의류의 진동모터를 설치한 원피스 정면과 후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의류의 진동모터를 설치한 상의와 하의로 분리된 정면과 후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의류의 진동모터를 설치한 제1상의와 복대로 분리된 정면과 후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의류의 진동모터를 설치한 복대의 사시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의류에 진동모터를 설치한 부분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의류의 저주파자극기를 설치한 원피스 정면과 후면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의류의 저주파자극기를 설치한 상의와 하의로 분리된 정면과 후면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의류의 저주파자극기를 설치한 제1상의와 복대로 분리된 정면과 후면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의류에 저주파자극기를 설치한 복대의 사시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의류에 저주파자극기를 설치한 부분확대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의류에 진동모터를 설치한 하의 하단부 발바닥저면대 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의류에 진동모터를 설치한 하의 하단부 발바닥저면대 도 11의 "A" 부위의확대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의류에 저주파자극기를 설치한 하의 하단부 발바닥저면대 구성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의류에 저주파자극기를 설치한 하의 하단부 발바닥저면대 도 13의 "B" 부위의 확대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의류의 진동모터를 설치한 상의와 하의로 분리되고 제어기가 각각 분리된 정면과 후면 구성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의류의 진동모터를 설치한 제1상의와 복대로 분리되고 제어기가 각각 분리된 정면과 후면 구성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의류의 저주파자극기를 설치한 상의와 하의로 분리되고 제어기가 각각 분리된 정면과 후면 구성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의류의 저주파자극기를 설치한 제1상의와 복대로 분리되고 제어기가 각각 분리된 정면과 후면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기능성 의류 : 100 상의 : 300
원피스 : 200 하의 : 350
내피 : 210 하단부 : 351
외피 : 220 제1상의 : 400
복부 : 230 복대 : 450
어깨부 : 240 진동모터 : 500
팔정면부 : 250 저주파자극기 : 600
팔후면부 : 260 유도선 : 700
허리부 : 270 제어기 : 800
다리정면부 : 280 벨클로우즈테입 : 850
다리후면부 : 290 발바닥저면대 : 900
본 발명은 기능성 의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의와 하의가 결합된 원피스 또는 상의와 하의가 분리된 의류에 신체에 밀착하는 부위 예를들어 소매부위, 허리부위, 복부부위, 다리부위 등의 일정간격으로 전동모터나 저주파자극기를 다수매설시켜 전동모터 또는 저주파자극기에서 발생되는 진동 또는 미세전류의 저주파에 의해 근육의 마사지, 성인병 예방과 함께 혈액순환, 몸매교정등 각종 질병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 기능성 의류에 관한것이다.
일반적으로 기능성 의류는 옷이나 자석을 부착하여 발생되는 음이온 등의 발생에 의해 성인병 및 건강을 위한 기능성 의류가 제작되어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옥이나 자석을 이용하여 신체에 접촉하여 그 자체에서 발생되는 음이온이나 자력 등에 의해 신체의 현상을 불러 일으키고 있으며, 이로 인해 발생되는 음이온이나 자력 등은 오랜 시간을 흘러야 신체 및 건강에 효능을 직접적으로 가져올 수 있다.
또한, 대다수의 현대인들은 자신의 몸매를 관리하기 위하여 운동을 하거나 식단을 조절하는 등 여러가지로 신경을 쓰고 있으며, 이러한 방법 외에 각종 건강기기를 이용하는 방법도 널리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이러한 진동모터나 저주파자극기를 이용하여 의류에 삽입하여 신체의 마시지와 몸매관리의 효과를 일으켜 인간의 건강증진 도모에 활용하기 위하여 인체와 가장 밀접한 의류에 적용시킨 기능성 의류를 발명하게 되었다.
상기 기능성 의류에 진동모터를 사용하여 신체에 밀착되는 의류에 삽입하여 컨트롤러에 의해 구동패턴으로 진동시키면서 신체의 특정부위 (예: 허리부위)에 대한 지압 마사지 효과를 보다 극대화시키고, 상기와 같이 진동을 발생시켜 사용자의 신체부위를 타격하여 응집된 근육을 이완시키거나 신체내 지방을 분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기능성 의류에 진동모터를 사용하는 대신 저주파자극기를 부착하여 컨트롤러에 의해 전류의 흐름을 조절하여 저주파를 발생시켜 저주파 전류를 사용자의 신체 특정 부위로 전달하여 마사지 및 치료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으로 저주파 자극에 의해 근육이 반복적으로 수축, 이완 되므로 적절히 사용할 경우 몸매관리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신체에 밀착시키는 의류를 사용하여 의류에 진동모터나 저주파자극기를 삽입하여 신체부위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기능성의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의와 하의가 결합된 원피스(200)는 복부(230), 어깨부(240), 팔정면부(250), 팔후면부(260), 허리부(270), 다리정면부(280), 다리후면부(290)로 크게 구성되는 기능성 의류(100)에 있어서,
상기 원피스(200)는 내피(210), 외피(220)로 분리 구성하고,
상기 내피(210)와 외피(220)사이의 복부(230), 어깨부(240), 팔정면부(250), 팔후면부(260), 허리부(270), 다리정면부(280), 다리후면부(290)의 부위에 복수의 진동모터(500)를 설치하고,
상기 복수의 진동모터(500)는 유도선(700)에 의해 연결되어 원피스(200) 외부 제어기(800)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유도선(700)에 의해 연결된 복수의 진동모터(500)는 내피(210)에 접착되게 한 상태에서 내피(210) 위에 외피(220)를 봉재처리함을 구성하는 기능성 의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하의 구체적인 기술내용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의류의 진동모터를 설치한 원피스 정면과 후 면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의류의 진동모터를 설치한 상의와 하의로 분리된 정면과 후면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의류의 진동모터를 설치한 제1상의와 복대로 분리된 정면과 후면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의류의 진동모터를 설치한 복대의 사시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의류에 진동모터를 설치한 부분확대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의류의 저주파자극기를 설치한 원피스 정면과 후면 구성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의류의 저주파자극기를 설치한 상의와 하의로 분리된 정면과 후면 구성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의류의 저주파자극기를 설치한 제1상의와 복대로 분리된 정면과 후면 구성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의류에 저주파자극기를 설치한 복대의 사시구성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의류에 저주파자극기를 설치한 부분확대도 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의류에 진동모터를 설치한 하의 하단부 발바닥저면대 구성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의류에 진동모터를 설치한 하의 하단부 발바닥저면대 도 11의 "A" 부위의 확대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의류에 저주파자극기를 설치한 하의 하단부 발바닥저면대 구성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의류에 저주파자극기를 설치한 하의 하단부 발바닥저면대 도 13의 "B" 부위의 확대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의류의 진동모터를 설치한 상의와 하의로 분리되고 제어기가 각각 분리된 정면과 후면 구성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의류의 진동모터를 설치한 제1상의와 복대로 분리되고 제어기가 각각 분리된 정면과 후면 구성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의류의 저주파자극기를 설치한 상의와 하의로 분리되고 제어기가 각각 분리된 정면과 후면 구성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의류의 저주파자극기를 설치한 제1상의와 복대로 분리되고 제어기가 각각 분리된 정면과 후면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기능성 의류는 도 1과 같이 상의와 하의가 결합된 원피스(200)는 복부(230), 어깨부(240), 팔정면부(250), 팔후면부(260), 허리부(270), 다리정면부(280), 다리후면부(290)로 크게 구성되는 기능성 의류(100)에 있어서,
상기 원피스(200)는 내피(210), 외피(220)로 분리 구성하고,
상기 내피(210)와 외피(220)사이의 복부(230), 어깨부(240), 팔정면부(250), 팔후면부(260), 허리부(270), 다리정면부(280), 다리후면부(290)의 부위에 복수의 진동모터(500)를 설치하고,
상기 복수의 진동모터(500)는 유도선(700)에 의해 연결되어 원피스(200) 외부 제어기(800)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유도선(700)에 의해 연결된 복수의 진동모터(500)는 내피(210)에 접착되게 한 상태에서 내피(210) 위에 외피(220)를 봉재처리함을 구성하는 기능성 의류를 제공한다.
또한,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진동모터(500)를 사용하는 상의와 하의가 결합된 원피스(200) 대신에 상의(300)와 하의(350)로 분리된 상태에서 선택적으로 상의(300)와 하의(350)를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분리된 상의(300)와 하의(350)의 제어기(800)도 하나의 제어기(800)로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도 3과 같이 상의(300)가 제1상의(400)와 복대(450)로 분리되어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분리된 제1상의(400)와 복대(450)의 제어기(800)도 각각의 제어기(800)로 구성되어 제공할 수가 있다.
상기 복대(450)에 있어서는 신축이 있고 일정 넓이를 가지고 고무밴드가 내장된 복대(450)로서 상기 복대(450)의 중앙부에 사용자의 복부와 접촉할 수 있도록 진동모터(500)를 부착하고, 상기 진동모터(500)는 복대(450)와 부착된 반대쪽의 진동모터(500)는 직접 피부와 닿지 않게 하기 위해 얇은 천으로 봉재되어 복대(450)와 부착되어 있고, 상기 복대(450)의 양측에 암수의 벨클로우즈테입(850)이 각각 부착되어 있어 복대(450)를 고정하는 것으로 도 4에서 상세히 나타내었다.
도 15에서와 같이 상기 제어기(800)는 상의(300)와 하의(350)에 하나의 제어 기(800)에 의해 컨트롤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대신에 착용하는 부위에 있어 개별적으로 착용할 수 있기 때문에 상의(300)와 하의(350) 각각의 제어기(800)를 설치하여 작동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도 16에서와 같이 제1상의(400), 복대(450), 하의(350)로 분리되어 있는 경우 제1상의(400)와 하의(350)가 하나의 제어기(800)에 의해 작동되는 것 대신에 착용하는 부위에 있어 선별하여 착용하여 작동할 수 있기 때문에 제1상의(400)와 하의(350) 각각의 제어기(800)를 설치하여 작동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의류에 진동모터를 설치한 부분확대도로서 다음과 같이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진동모터(500)에 있어서, 상기 진동모터(500)는 내피(210)와 외피(220) 사이에 설치되어 봉재처리되며, 상기 봉재처리는 신체의 각 부위에 있어 진동모터(500)의 움직임과 신체의 움직임에 있어 진동모터(500)의 이탈이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봉재처리하여 그 부위에 부착이 되어 설치되도록 하였고, 내피(210)와 외피(220)사이에는 진동모터(500)와 제어기(800)를 연결하는 유도선(700)에 의해 진동모터(500)의 접지에서부터 제어기(800)의 접지에까지 유도선(700)에 의해 설치되어 있다.
도 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진동모터(500) 대신 저주파자극기(600)를 사용하여 기능성 의류(100)를 제공하게 할 수 있으며, 상기 상의와 하의가 결합된 원피스(200)에 있어서, 상기 저주파자극기(600)를 내피의 복부(230), 어깨부(240), 팔정면부(250), 팔후면부(260), 허리부(270), 다리정면부(280), 다리후면부(290)의 부위에 복수로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저주파자극기(600)를 설치시 내피(210)의 안쪽면 즉 피부와 접촉하는 면에 저주파자극기(600)를 설치하여 접착한 상태에서 봉재처리하고, 상기 내피(210)와 외피(220)사이에는 저주파자극기(600)에 연결되어 상기 원피스(200) 외부의 제어기(800)와 연결되는 유도선(700)이 설치되어 내피(210)와 외피(220)를 봉재처리함을 구성할 수 도 있다.
도 7은 상기 저주파자극기(600)를 사용하는 상의와 하의가 결합된 원피스(200) 대신에 상의(300)와 하의(350)로 분리된 상태에서 선택적으로 상의(300)와 하의(350)를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분리된 상의(300)와 하의(350)의 제어기(800)도 하나의 제어기(800)로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도 8과 같이 상의(300)가 제1상의(400)와 복대(450)로 분리되어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분리된 제1상의(400)와 복대(450)의 제어기(800)도 각각의 제어기(800)로 구성되어 제공할 수 가 있다.
상기 복대(450)에 있어서는 신축이 있고 일정 넓이를 가지고 고무밴드가 내장된 복대(450)로서 상기 복대(450)의 중앙부에 사용자의 복부와 접촉할 수 있도록 저주파자극기(600)를 부착하고, 상기 복대(450)의 양측에 암수의 벨클로우즈테입(850)이 각각 부착되어 있어 복대(450)를 고정하는 것으로도 도 9에서 상세히 나타내었다.
도 17은 상기 제어기(800)를 상의(300)와 하의(350)에 하나의 제어기(800)에 의해 컨트롤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대신에 착용하는 부위에 있어 개별적으로 착용 할 수 있기 때문에 상의(300)와 하의(350) 각각의 제어기(800)를 설치하여 저주파자극기(600)를 작동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도 18과 같이 제1상의(400), 복대(450), 하의(350)로 분리되어 있는 경우 제1상의(400)와 하의(350)가 하나의 제어기(800)에 의해 작동되는 것 대신에 착용하는 부위에 있어 선별하여 착용하여 작동할 수 있기 때문에 제1상의(400)와 하의(350) 각각의 제어기(800)를 설치하여 저주파자극기(600)를 작동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의류에 저주파자극기를 설치한 부분확대도로서 다음과 같이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저주파자극기(600)에 있어서, 상기 피부와 접촉하는 면인 내피(210)에 저주파자극기(600)를 설치하고 내피(210)와 결속에 있어서는 접착제에 의해 부착하여 이탈이 되지 않도록 하였고, 내피(210)와 외피(220)에는 내피(210)에 설치되어 있는 저주파자극기(600)와 제어기(800)를 연결하는 유도선(700)에 의해 저주파자극기(600)의 접지에서부터 제어기(800)의 접지에까지 유도선(700)에 의해 설치되어 있다.
도 11과 12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의류에 진동모터를 설치한 하의 하단부 발바닥저면대 구성도와 확대도이고, 도 13과 14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의류에 저주파자극기를 설치한 하의 하단부 발바닥저면대 구성도와 확대도로서 다음과 같이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하의(350)에 있어서, 하의(350) 다리 양쪽 하단부(351)에 발바닥을 복 수의 진동모터(500)에 의해 마사지하는 신축성이 우수하고 일정 넓이를 가지고 고무밴드가 내장된 발바닥저면대(900)를 설치하고 발마사지를 병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발바닥저면대(900) 중앙부에 복수의 진동모터(500)가 설치하고, 발바닥저면대(900)는 하의(350) 다리 양쪽 하단부(351) 끝단과 발바닥저면대(900) 양쪽에는 암수의 벨크로우즈테입(850)이 각각 부착되어 발을 고정하고 하의(350)와 발바닥저면대(900)의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진동모터(500) 대신에 저주파자극기(600)를 설치하여 발마사지를 할 수 있으며, 원피스(200)의 하의에도 적용되어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능성 의류에 진동모터를 사용하여 신체에 밀착되는 의류에 삽입하여 제어기에 의해 구동패턴으로 진동시키면서 신체에 지압 마사지 효과를 보다 극대화시키고, 상기와 같이 진동을 발생시켜 사용자의 신체부위를 타격하여 응집된 근육을 이완시키거나 신체내 지방을 분해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기능성 의류에 진동모터를 사용하는 대신 저주파자극기를 부착하여 제어에 의해 전류의 흐름을 조절하여 저주파를 발생시켜 저주파 전류를 사용자의 신체 특정 부위로 전달하여 마사지 및 치료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으로 저주파 자극에 의해 근육이 반복적으로 수축, 이완 되므로 적절히 사용할 경우 몸매관리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능성 의류에서 원피스 그리고 상의와 하의가 분리되고, 상의가 다시 제1상의와 복대로 분리되어 선택적으로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간편하고 실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Claims (8)

  1. 상의와 하의가 결합된 원피스(200)는 복부(230), 어깨부(240), 팔정면부(250), 팔후면부(260), 허리부(270), 다리정면부(280), 다리후면부(290)로 크게 구성되는 기능성 의류(100)에 있어서,
    상기 원피스(200)는 내피(210), 외피(220)로 분리 구성하고,
    상기 내피(210)와 외피(220)사이의 복부(230), 어깨부(240), 팔정면부(250), 팔후면부(260), 허리부(270), 다리정면부(280), 다리후면부(290)의 부위에 복수의 진동모터(500)를 설치하고,
    상기 복수의 진동모터(500)는 유도선(700)에 의해 연결되어 원피스(200) 외부 제어기(800)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유도선(700)에 의해 연결된 복수의 진동모터(500)는 내피(210)에 접착되게 한 상태에서 내피(210) 위에 외피(220)를 봉재처리함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의류
  2. 제1항에 있어서, 상의와 하의가 결합된 원피스(200) 대신에 상의(300)와 하의(350)로 분리된 상태에서 선택적으로 상의(300)와 하의(350)를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분리된 상의(300)와 하의(350)의 제어기(800)도 각각의 제어기(8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의류
  3. 제2항에 있어서, 상의(300)가 제1상의(400)와 복대(450)로 분리되어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분리된 제1상의(400)와 복대(450)의 제어기(800)도 각각의 제어기(8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의류
  4. 제1항에 있어서, 진동모터(500) 대신 저주파자극기(600)를 사용하고, 상기 저주파자극기(600)를 내피(210)의 복부9230), 어깨부(240), 팔정면부(250), 팔후면부(260), 허리부(270), 다리정면부(280), 다리후면부(290) 부위에 복수로 설치시 내피(210)의 안쪽면 즉 피부와 접촉하는 면에 저주파자극기(600)를 설치하여 접착한 상태에서 봉재처리하고,
    상기 내피(210)와 외피(220)사이에는 저주파자극기(600)에 연결되어 상기 원피스(200) 외부의 제어기(800)와 연결되는 유도선(700)이 설치되어 내피(210)와 외피(220)를 봉재처리함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의류
  5. 제4항에 있어서, 상의와 하의가 결합된 원피스(200) 대신에 상의(300)와 하의(350)로 분리된 상태에서 선택적으로 상의(300)와 하의(350)를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분리된 상의(300)와 하의(350)의 제어기(800)도 각각의 제어기(8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의류
  6. 제4항에 있어서, 상의(300)가 제1상의(400)와 복대(450)로 분리되어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분리된 제1상의(400)와 복대(450)의 제어기 (800)도 각각의 제어기(8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의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하의(350) 다리 양쪽 하단부(351)에 신축성이 우수하고 일정 넓이를 가지고 고무밴드가 내장된 발바닥저면대(900)를 설치하고, 상기 발바닥저면대(900) 중앙부에 복수의 진동모터(500)가 설치하고, 상기 발바닥저면대(900)는 하의(350) 다리 양쪽 하단부(351) 끝단과 발바닥저면대(900) 양측에는 암수의 벨크로우즈테입(850)이 각각 부착되어 발을 고정하며 하의(350)와 발바닥저면대(900)의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형성하여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의류
  8.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하의(350) 다리 양쪽 하단부(351)에 신축성이 우수하고 일정 넓이를 가지고 고무밴드가 내장된 발바닥저면대(900)를 설치하고, 상기 발바닥저면대(900) 중앙부에 복수의 저주파자극기(500)가 설치하고, 상기 발바닥저면대(900)는 하의(350) 다리 양쪽 하단부(351) 끝단과 발바닥저면대(900) 양측에는 암수의 벨크로우즈테입(850)이 각각 부착되어 발을 고정하며 하의(350)와 발바닥저면대(900)의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형성하여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의류
KR1020050075083A 2005-08-12 2005-08-12 기능성 의류 KR200600304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5083A KR20060030461A (ko) 2005-08-12 2005-08-12 기능성 의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5083A KR20060030461A (ko) 2005-08-12 2005-08-12 기능성 의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8499U Division KR200373014Y1 (ko) 2004-10-05 2004-10-05 기능성 의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0461A true KR20060030461A (ko) 2006-04-10

Family

ID=37140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5083A KR20060030461A (ko) 2005-08-12 2005-08-12 기능성 의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30461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8605B1 (ko) * 2009-08-01 2010-01-22 (주)지원에프알에스 미세전류 자극장치가 내장된 의류
CN105815839A (zh) * 2016-05-29 2016-08-03 浙江诚仕服饰有限公司 一种防贴身的健身按摩服装
KR101703440B1 (ko) 2015-09-02 2017-02-06 김명철 가상체험용 웨어러블 장치
CN110897224A (zh) * 2019-11-30 2020-03-24 东莞快裕达自动化设备有限公司 防护服袖子及其生产方法
KR20200141367A (ko) * 2019-08-01 2020-12-18 주식회사 헤카텍 신축성 전선, 이를 이용한 ems 수트 및 시스템
KR20210080273A (ko) 2019-12-16 2021-06-30 주식회사 드림핏글로벌 스마트 의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8605B1 (ko) * 2009-08-01 2010-01-22 (주)지원에프알에스 미세전류 자극장치가 내장된 의류
WO2011016628A2 (ko) * 2009-08-01 2011-02-10 (주)지원에프알에스 미세전류 자극장치가 내장된 의류
WO2011016628A3 (ko) * 2009-08-01 2011-06-16 (주)지원에프알에스 미세전류 자극장치가 내장된 의류
KR101703440B1 (ko) 2015-09-02 2017-02-06 김명철 가상체험용 웨어러블 장치
CN105815839A (zh) * 2016-05-29 2016-08-03 浙江诚仕服饰有限公司 一种防贴身的健身按摩服装
KR20200141367A (ko) * 2019-08-01 2020-12-18 주식회사 헤카텍 신축성 전선, 이를 이용한 ems 수트 및 시스템
CN110897224A (zh) * 2019-11-30 2020-03-24 东莞快裕达自动化设备有限公司 防护服袖子及其生产方法
KR20210080273A (ko) 2019-12-16 2021-06-30 주식회사 드림핏글로벌 스마트 의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69044B2 (ja) 刺激装置
JP5541472B2 (ja) 微細電流刺激装置が内蔵された衣類
US6361397B1 (en) Garments which facilitate the drainage of lymphatic fluid from the breast area of the human female
KR20060030461A (ko) 기능성 의류
CN102133151B (zh) 组合气囊式人体柔性通血排瘀按摩器
US20180271209A1 (en) Vibrating massager garment
KR200373014Y1 (ko) 기능성 의류
CN103505361A (zh) 经络穴位保健按摩衣物
CN103099727B (zh) 长条状组合气囊式人体柔性通血排瘀按摩器
KR20070065253A (ko) 족부 자극 건강 기구
JP3131700U (ja) 微小電流で刺激するマッサージブラジャー
KR200390166Y1 (ko) 마사지용 브래지어
KR200402746Y1 (ko) 휴대용 저주파 수지침 장치
JP3213219U (ja) 足首サポーター
KR101300896B1 (ko) 성장판 자극 신발
KR20220058298A (ko) 스마트섬유 융합 선택적 전기자극 허리 보호대
CN206354536U (zh) 一种具有按摩功能的旋磁保健鞋
CN210130367U (zh) 一种透气好的紧身瑜伽裤
CN109276805A (zh) 一种中医运动低频康复紧身衣
KR20190021728A (ko) 에어 지압 조끼
KR200247959Y1 (ko) 안마용 의복
KR20150053518A (ko) 자석 진동 건강용 속옷
KR200468997Y1 (ko) 성장자극기용 발착용구
CN212817108U (zh) 一种无线遥控多功能按摩衣
KR20150067537A (ko) 자석진동기를 내장한 건강속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