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6710B1 - 안전관리정보제공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안전관리정보제공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6710B1
KR101826710B1 KR1020170054810A KR20170054810A KR101826710B1 KR 101826710 B1 KR101826710 B1 KR 101826710B1 KR 1020170054810 A KR1020170054810 A KR 1020170054810A KR 20170054810 A KR20170054810 A KR 20170054810A KR 101826710 B1 KR101826710 B1 KR 1018267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management information
display device
information
safety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4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철
Original Assignee
(주)유앤비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앤비테크 filed Critical (주)유앤비테크
Priority to KR10201700548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67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6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67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4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30Transportation; Commun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06Q50/265Personal security, identity or safe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5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the ends of optical fibres
    • G09F2009/3055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the ends of optical fibres for traffic sig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관리정보제공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관리정보제공장치는, 위험관리구역에 설치되는 제1 안전표시장치에 관계된 제1 정보 및 제1 안전표시장치의 주변에 설치되는 제2 안전표시장치에 관계된 제2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된 제1 안전관리정보 및 제2 안전관리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제1 안전표시장치에 접근한 단말장치로 제2 안전관리정보가 전송될 수 있도록, 제1 안전표시장치 또는 제1 안전표시장치의 주변에 위치하는 통신중계장치로 제2 안전관리정보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안전관리정보제공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Apparatus Providing Information for Managing Security and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안전관리정보제공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가령 도로공사현장 등에서 공사구간을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관리하는 안전관리정보제공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안전산업은 "다양한 안전(Safety & Security) 수요에 대해 유·무형의 재화 생산과 서비스 제공을 동반하는 산업"으로 정의할 수 있다. 최근 일본산 방사능 폐기물 유입, 에볼라 창궐, 세월호 사고 등 각종 자연재해와 인재의 피해가 확산되면서 세계적으로 안전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안전산업은 민간보다 공공을 중심으로 수요가 형성되고, 시장의 공급도 공공부문의 수요와 규제에 의존하는 측면이 크다. 따라서 현재 시장은 전반적으로 수요에 비해 과소 생산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안전시장은 매우 협소한 의미에서 안전장비와 안전서비스 시장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이를 종합한 세계시장 규모는 2011년에는 2,530억 달러이다. 2021년까지 4,940억 달러 규모까지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렇게 커지는 시장에 대응하여 선진국에서는 이미 장비와 서비스를 망라한 기업이 다양한 분야에서 통합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국가별 투자 측면에서 상대적으로 후발주자인 중국마저도 안전산업 성장을 위한 장단기 목표를 분명히 하고 실행 중에 있다.
그런데, 경찰청 교통사고 통계자료(2014)에 의하면 2000년 이후 전체 교통사고는 감소 추세인 반면, 도로 공사장 등 열악한 도로환경에서의 교통사고는 2003년부터 2012년까지 6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전체 교통사고와 비교했을 때 도로 보수나 공사시에 투입되는 도로작업자의 교통사고 발생률은 오히려 증가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도로작업자는 차량이 실제 주행중인 도로에 항시 노출되어 있으므로 교통안전의 고 위험군으로 분류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보호하기 위한 장비 또한 기술 개발이 시급하다.
최근 10년간 국내 일반국도 도로작업자 교통안전사고 발생건수는 총 114건, 사상자수는 152명(사망 10명, 부상 142명)이다. 이는 도로작업자의 평균 근속년수(20년 이상)를 고려해 볼 때, 10년간 사고노출률이 약 25%로 4명 중 1명이 사고를 경험한 것으로 추산된다. 2012년에 일반국도의 유지보수 업무를 담당하는 국토관리사무소 관내 도로작업자는 총 583명이고 사상자는 27명으로 조사되어 도로작업자의 약 5%가 사망하거나 부상을 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고 위험군으로 분류되는 소방공무원 직종의 사상자 비율(0.97%)보다 월등히 높은 수준이다.
미국의 경우는 NWZAW(National Work Zone Awareness Week) 프로그램을 통해 매년 도로공사장(Work Zone) 안전에 관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NWZAW에서는 2시간에 한 명꼴로 도로 공사장에서 사망자가 발생하는 것으로 조사되어, 공사장에서의 교통안전에 대한 인식이 세계적으로도 중요한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기존의 도로공사 중에 표시되는 안전표시판만으로는 보행자, 운전자, 작업자에게 충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없다. 이에 종래의 안전표시판과 더불어 새로운 IT 기술을 접목하여 안전정보를 충분히 제공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도로공사 현장에서 신규 IT 기술을 접목한 표시판 표시방법 및 안전정보의 전달에 의해 작업자 등의 오감을 자극하려는 방안이 강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16528호(2001.03.05)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93469호(2010.11.04)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가령 도로공사현장 등에서 공사구간을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관리하는 안전관리정보제공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관리정보제공장치는, 위험관리구역에 설치되는 제1 안전표시장치에 관계된 제1 정보 및 상기 제1 안전표시장치의 주변에 설치되는 제2 안전표시장치에 관계된 제2 정보를 각각 이용하여 생성된 제1 안전관리정보 및 제2 안전관리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제2 안전관리정보가 상기 제1 안전표시장치에 접근한 단말장치로 전송될 수 있도록 상기 저장한 제2 안전관리정보를 상기 제1 안전표시장치 또는 상기 제1 안전표시장치에 연동하는 통신중계장치로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안전관리정보는, 임의의 요청에 근거하여 상기 제1 안전표시장치 또는 상기 통신중계장치에 제공되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정보 및 상기 제2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포함되어 제공되는 상기 위험관리구역의 관리기간에 대한 기간정보를 근거로 상기 저장부에 저장한 제1 안전관리정보 및 상기 제2 안전관리정보를 삭제하며, 상기 제1 안전표시장치 및 상기 통신중계장치로 상기 제공한 제2 안전관리정보의 삭제를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험관리구역의 관리기간이 경과하면 상기 제2 안전관리정보가 자동으로 삭제될 수 있도록 상기 관리기간에 대한 기간정보를 상기 제1 안전표시장치 또는 상기 통신중계장치로 더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관리정보제공장치의 구동방법은 위험관리구역에 설치되는 제1 안전표시장치에 관계된 제1 정보 및 상기 제1 안전표시장치의 주변에 설치되는 제2 안전표시장치에 관계된 제2 정보를 각각 이용하여 생성된 제1 안전관리정보 및 제2 안전관리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안전관리정보가 상기 제1 안전표시장치에 접근한 단말장치로 전송될 수 있도록 상기 저장한 제2 안전관리정보를 상기 제1 안전표시장치 또는 상기 제1 안전표시장치에 연동하는 통신중계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안전관리정보는, 임의의 요청에 근거하여 상기 제1 안전표시장치 또는 상기 통신중계장치에 제공되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안전관리정보제공장치의 구동방법은, 상기 제1 정보 및 상기 제2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포함되어 제공되는 상기 위험관리구역의 관리기간에 대한 기간정보를 근거로 상기 저장한 제1 안전관리정보 및 상기 제2 안전관리정보를 삭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안전표시장치 및 상기 통신중계장치로 상기 제공한 제2 안전관리정보의 삭제를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위험관리구역의 관리기간이 경과하면 상기 제2 안전관리정보가 자동으로 삭제될 수 있도록 상기 관리기간에 대한 기간정보를 상기 제1 안전표시장치 또는 상기 통신중계장치로 더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가령 도로공사현장 등에서 안전표시판의 시인성 개선과 함께 보행자, 운전자, 작업자에게 충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 공사구간을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을 것이다. 그 결과, 안전사고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관리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시스템을 교통관리시스템에 적용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안전관리정보제공장치의 세부 구조를 예시하여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안전관리정보제공장치의 다른 세부 구조를 예시하여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4의 제어부의 구조를 예시하여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1의 안전관리시스템의 정보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그리고
도 7은 도 1의 안전관리정보제공장치의 구동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관리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시스템을 교통관리시스템에 적용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관리시스템(90)은 제1 안전표시장치(100), 제2 안전표시장치(110), 단말장치(120), 통신망(130) 및 안전관리정보제공장치(14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제2 안전표시장치(110) 및/또는 통신망(130)의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시스템(90)이 구성되거나 안전관리정보제공장치(140)가 통신망(130) 내의 네트워크장치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제1 안전표시장치(100) 및 제2 안전표시장치(110)는 도로공사구간이나 토목, 건설공사현장 등에 설치되는 안전표지판을 포함한다. 제1 안전표시장치(100) 및 제2 안전표시장치(110)는 표시부, 센싱부 및 통신부를 포함하며, 표시부는 안전표시에 대한 높은 시인성을 제공하기 위한 광섬유(FO)LED를 포함하고, 통신부는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센싱부는 단말장치(120)의 접근을 감지하기 위한 근접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모듈은 안전관리정보의 전송을 위해 비콘 또는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통신모듈 및/또는 통신망(130)과 통신하기 위한 근거리통신모듈(예: WiFi 등), LTE 통신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는 단말장치(120)의 위치 혹은 동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비콘 통신을 수행하고, 파악된 위치에 따라 단말장치(120)로 안전관리정보를 전송하고 또 이에 대한 응답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안전표시장치(100) 및 제2 안전표시장치(110)는 안전관리정보제공장치(140)로부터 제공된 안전관리정보를 저장한 후, 단말장치(120)와의 통신을 통해 저장된 안전관리정보를 다시 단말장치(120)로 전송한다. 다시 말해, 제1 안전표시장치(100)는 단말장치(120)의 접근을 판단한 후 단말장치(120)의 위치 및/또는 속도 등을 감안하여 단말장치(120)로 제2 안전표시장치(110)에 대한 제2 안전관리정보를 전송해 줄 수 있는데, 제1 안전표시장치(100)는 이러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안전관리정보제공장치(140)로부터 다양한 데이터를 제공받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는 예컨대 제1 안전표시장치(100)가 단말장치(120)의 진행속도가 빠를 때 단말장치(120)의 진입과 동시에 제2 안전관리정보를 단말장치(120)로 전송해 주어야 하지만, 속도가 느리면 진입한 후 일정 시간 경과 후에 제2 안전관리정보를 단말장치(120)로 전송해 주는 것에 관련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속도는 특정시간 동안에 이동한 거리를 단위 시간으로 계산함으로써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이는 물론 수학적 알고리즘이 포함된 프로그램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
위의 동작을 수행하기에 앞서, 제1 안전표시장치(100) 및 제2 안전표시장치(110)는 가령 도로공사현장이나 건축공사현장에 설치되는 경우 동기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동기화 동작"이란 제1 안전표시장치(100) 및 제2 안전표시장치(110)가 자신의 식별정보 등을 안전관리정보제공장치(140)로 제공하고 그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제1 안전표시장치(100) 및 제2 안전표시장치(110)에 관계된 제1 안전관리정보 및 제2 안전관리정보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동기화 동작은 제1 안전표시장치(100) 및 제2 안전표시장치(110)가 공사현장과 같이 위험관리구역에 설치되었을 때, 관리자 단말장치를 통해 서로 장치식별정보를 등록시킨 후, 관리자 단말장치가 GPS 모듈을 통해 획득한 좌표정보와, 제1 안전표시장치(100) 및 제2 안전표시장치(110)와의 통신에 의해 계산된 방향과 거리 등을 이용해 그 획득한 좌표정보를 수정하여 제1 안전표시장치(100) 및 제2 안전표시장치(110)의 위치정보 즉 새로운 좌표정보를 얻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가령 제1 안전표시장치(100) 및 제2 안전표시장치(110)가 임의의 현장, 예컨대 도로공사현장에 설치되면 각각의 장치는 안전관리정보제공장치(140)에 자신을 등록시키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공사 관리자에 의해 제1 안전표시장치(100) 및 제2 안전표시장치(110)에 전원이 인가되면, 제1 안전표시장치(100) 및 제2 안전표시장치(110)는 주변의 통신망(130)(예: 액세스포인트(AP), 기지국 등)과 통신을 수행하여 안전관리정보제공장치(140)에 자신을 등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의 과정에서 제1 안전표시장치(100) 및 제2 안전표시장치(110)는 자신의 식별정보 이외에도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안전표지의 내용에 관한 상세정보, 또 자신의 위치를 측정하여 얻은 위치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안전관리정보제공장치(140)에 등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1 안전표시장치(100)에 저장된 정보들은 제1 정보, 제2 안전표시장치(110)에 저장된 정보들은 제2 정보라 명명될 것이다.
다만, 이와 같이 제1 안전표시장치(100) 및 제2 안전표시장치(110)가 위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비용이 많이 소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공사현장에 제1 안전표시장치(100) 및 제2 안전표시장치(110)가 설치되면 별도의 관리자 단말장치를 이용하여 위의 등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을 위의 관리자 단말장치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함으로써 가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리자 단말장치는 제1 안전표시장치(100) 및 제2 안전표시장치(110)에 저장되어 있는 다양한 정보 즉 제1 정보 및 제2 정보를 취득하여 안전관리정보제공장치(140)로 전송하고, 또 자신의 GPS 모듈을 이용하여 위성항법장치(GPS)와 통신을 수행하여 자신의 위치정보(x, y)를 취득한 후 주변의 제1 안전표시장치(100) 및 제2 안전표시장치(110)와 통신을 수행하여 통신신호의 신호세기 등을 이용하여 거리를 측정하는 등의 방법을 통해 제1 안전표시장치(100)와 제2 안전표시장치(110)의 위치정보(x', y')를 각각 생성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신호세기(RSSI)가 강한 쪽(방향)을 기준으로 거리를 측정하여 좌표값(x, y)을 수정하면 새로운 좌표값(x', y')을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신호세기를 이용하여 거리를 측정하는 방식은 이미 잘 알려진 바 있다. 가령, 삼각측량법이나 Friis 공식, 도착시간(TOA) 정보를 이용하는 방식들이 대표적이다.
또한, 제1 안전표시장치(100) 및 제2 안전표시장치(110)는 공사현장에 설치되는 기간이 정해질 수 있다. 따라서, 위의 설치 과정에서 공사현장의 관리자 즉 감독관은 관리자 단말장치를 통해 그 기간을 지정하여 안전관리정보제공장치(140)로 제공할 수 있다. 이의 경우, 안전관리정보제공장치(140)는 기간정보를 기준으로 기저장되어 있는 관련 데이터를 삭제할 수도 있다. 또는 안전관리정보제공장치(140)는 서비스 기간을 종료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제1 안전표시장치(100) 및 제2 안전표시장치(110)는 그 기간정보를 내부에 저장해 두었다가 안전관리정보제공장치(140)로부터 제공된 안전관리정보가 있으면 기간정보를 근거로 저장된 안전관리정보를 자동으로 삭제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기간정보는 안전관리정보제공장치(140)로 제공했던 기간정보를 다시 수신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관리자 단말장치는 제1 안전표시장치(100) 및 제2 안전표시장치(110)를 안전관리정보제공장치(140)에 등록시킬 때, 방향 또는 순서 등의 정보를 추가로 제공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안전관리정보제공장치(140)는 제1 안전표시장치(100) 및 제2 안전표시장치(110)의 좌표값을 각각 취득한 상태에서 관리자가 방향 정보를 제공해 주었다면 이를 근거로 제1 안전표시장치(100) 및 제2 안전표시장치(110)의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가 아니라면, 관리자는 제1 안전표시장치(100) 및 제2 안전표시장치(110)의 제1 정보 및 제2 정보가 제공될 때, 각 장치의 순서를 지정하여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순서는 단말장치(120)가 어떤 안전표시장치의 주변에 있을 때 어떤 안전표시장치의 안전관리정보를 제공해야 하는지를 안전관리정보제공장치(140)가 판단해야만 제대로 된 안전관리정보를 생성할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하다.
위의 과정이 완료되면, 제1 안전표시장치(100)는 단말장치(120)가 제1 안전표시장치(100)에 접근한 후 지나갈 때, 다음 제2 안전표시장치(110)에 대한 안전관리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단말장치(120)가 제1 안전표시장치(100)에 접근하면 일정 시간이 경과된 후에 제1 안전표시장치(100)와의 통신반경을 벗어날 수 있기 때문에 제1 안전표시장치(100)는 전방에 위치하는 제2 안전표시장치(110)에 대한 제2 안전관리정보를 단말장치(120)에 전송해 주어야 한다. 그래야만 사용자 또는 작업자는 안전에 좀 더 유의할 수 있을 것이다.
가령, 도로공사현장이라면 차량은 빠른 속도로 제1 안전표시장치(100)와 통신을 수행한 후 통신반경을 벗어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장치(120)는 제1 안전표시장치(100)의 통신반경 내에 진입하는 순간 또는 일정 시간 경과 후에 제2 안전표시장치(110)에 대한 안전관리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장치(120)가 가령 차량 내의 네비게이션 단말인 경우, 제2 안전관리정보는 교통지도 위에 팝업 형태로 표시될 수 있을 것이다.
도 2의 (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도로공사구간은 주의구간, 변화구간, 완충구간, 작업활동구역, 종결구간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구간 구간마다 다양한 종류의 안전표시장치(100, 110)가 설치될 수 있다. "주의구간"은 전방의 교통상황 변화를 사전에 인지할 수 있도록 확보하는 구간이다. "변화구간"은 진행중인 차로를 변화시키는 구간이다. "완충구간"과 "작업활동구역"은 작업구간에 포함되는데, 여기서 "완충구간"은 운전자들이 차로 변경을 하지 못한 경우 운전자 및 작업자를 보호하기 위한 구간이며 "작업활동구역"은 작업자, 장비, 자재 적재 등을 위한 공간을 말하며 "실공사구간"과 "완충구간"은 가령 60m 이상 이격될 수 있다. "종결구간"은 작업구간을 통과하여 정상적인 교통흐름으로 복귀하는 구간이다.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위의 구간에는 공사상황을 단말장치(120)에 안내하기 위한 다양한 표지판들이 설치된다. 이러한 다양한 표지판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안전표시장치(100) 및 제2 안전표시장치(110)에 포함된다.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차량 내에 설치된 도 1의 단말장치(120)는 각각의 안전표시장치를 지날 때마다 전방에 위치하는 안전표시장치의 정보를 안내받을 수 있게 될 것이다.
단말장치(120)는 일반 사용자들이 구비하는 스마트폰, 차량에 설치되는 네비게이션 단말 등 다양한 단말장치를 포함한다. 물론, 스마트폰은 네비게이션 역할도 수행하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단말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예컨대, 단말장치(120)가 도 2의 (a)에서와 같이 공사중인 제1 안전표시장치(100)의 통신반경 내에 진입했다고 가정해 보자. 이의 경우, 단말장치(120)는 제1 안전표시장치(100)의 통신반경 내에 진입하는 순간, 진입하고 나서 일정시간 경과 후, 또는 통신 반경을 벗어날 때에 전방 즉 진행 방향에 위치하는 제2 안전표시장치(110)의 안내 내용인 "최대 시속 50Km/h 운행 구간입니다"라는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메시지의 내용 즉 제2 안전관리정보는 문자메시지, 팝업메시지 또는 음성 등 다양한 형태로 표현될 수 있을 것이다.
단말장치(12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 받기 위하여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을 안전관리정보제공장치(140)로부터 다운로드 받아 저장할 수 있다. 또는 단말장치(120)가 스마트폰이 아니라 본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별도로 제작된 단말장치인 경우에는 내부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통해 동작을 수행하겠지만, 스마트폰의 경우라 하더라도 제품 출고시에 이미 내부에 어플리케이션이 디폴트로 저장되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단말장치(120)가 어떠한 형태인지에 대하여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다시 말해, 단말장치(120)가 스마트폰이라면 신호와 영상을 처리하기 위하여 제어부를 당연히 포함할 것이고, 영상신호와 음성신호를 분리하기 위한 디먹스, 또 제1 및 제2 안전관리정보를 화면에 보여줄 때 팝업 형태로 보여주기 위한 영상 합성부 등을 포함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당업자라면 이러한 H/W 구성은 S/W 구성으로 대체될 수 있는 것 또한 잘 이해할 것이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단말장치(120)의 세부 구조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지는 않을 것이다.
통신망(130)은 유무선 통신망을 모두 포함한다. 가령 통신망(130)으로서 유무선 인터넷망이 이용되거나 연동될 수 있다. 여기서 유선망은 케이블망이나 공중 전화망(PSTN)과 같은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것이고, 무선 통신망은 CDMA, WCDMA, GSM, EPC(Evolved Packet Core), LTE(Long Term Evolution), 와이브로(Wibro) 망 등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130)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향후 구현될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접속망으로서 가령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하의 클라우드 컴퓨팅망 등에 사용될 수 있다. 가령, 통신망(130)이 유선 통신망인 경우 통신망(130) 내의 액세스포인트(AP)는 전화국의 교환국 등에 접속할 수 있지만, 무선 통신망인 경우에는 통신사에서 운용하는 SGSN 또는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BTS(Base Station Transmission), NodeB, e-NodeB 등의 다양한 중계기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통신망(130)은 액세스포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건물 내에 많이 설치되는 펨토(femto) 또는 피코(pico) 기지국과 같은 소형 기지국을 포함한다. 여기서, 펨토 또는 피코 기지국은 소형 기지국의 분류상 안전표시장치(100, 110)나 단말장치(120)를 최대 몇 대까지 접속할 수 있느냐에 따라 구분된다. 물론 액세스포인트는 안전표시장치(100, 110)나 단말장치(120)와 지그비 및 와이파이(Wi-Fi) 등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근거리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액세스포인트는 무선통신을 위하여 TCP/IP 혹은 RTSP(Real-Time Streaming Protocol)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은 와이파이 이외에 블루투스, 지그비, 적외선(IrDA), UHF(Ultra High Frequency) 및 VHF(Very High Frequency)와 같은 RF(Radio Frequency) 및 초광대역 통신(UWB) 등의 다양한 규격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액세스포인트는 데이터 패킷의 위치를 추출하고, 추출된 위치에 대한 최상의 통신 경로를 지정하며, 지정된 통신 경로를 따라 데이터 패킷을 다음 장치, 예컨대 안전관리정보제공장치(140)로 전달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일반적인 네트워크 환경에서 여러 회선을 공유할 수 있으며, 예컨대 라우터(router), 리피터(repeater) 및 중계기 등이 포함된다.
안전관리정보제공장치(140)는 다양한 위험관리구역에 설치되는 안전표시장치(100, 110)들을 근거로 그 안전표시장치(100, 110)에 접근하는 단말장치(120)로 위험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정보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안전관리정보제공장치(140)는 도로공사구간에서 해당 현장에 진입하는 차량 내의 단말장치(120)로 공사 중인 도로의 상태 등을 안내하기 위한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메시지는 문자 메시지 또는 팝업 메시지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안전관리정보제공장치(140)는 현장에 설치되는 제1 안전표시장치(100) 및 제2 안전표시장치(110)에 관계된 제1 정보 및 제2 정보를 이용하여 제1 안전관리정보 및 제2 안전관리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제1 정보 및 제2 정보는 안전표지에 대한 상세 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며, 제1 안전관리정보 및 제2 안전관리정보는 수신된 제1 정보 및 제2 정보를 근거로 생성되는데, 가령 팝업 메시지일 수 있다. 여기서, 팝업 메시지는 이미 디폴트로 설정된 포맷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포맷은 언제든지 관계자에 의해 수정될 수 있다. 가령, 포맷의 형태나 색상 정보, 또 안전표지의 상세 정보와 관련된 경고 문구 등은 편집될 수 있는 것이다.
안전관리정보의 생성과정은 비용적인 측면에서 볼 때, 안전관리정보제공장치(140)에서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전관리정보제공장치(140)는 고가를 이룰 것이므로 고성능의 자원을 구비할 가능성이 높다. 이에 따라 데이터 처리에 따른 내부 트래픽은 줄어들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앞서 언급한 바 있는 관리자 단말장치가 본 서비스를 위해 별도로 제작된 장치인 점을 감안하면 고성능의 장치일 수 있기 때문에 이의 경우 안전관리정보제공장치(140)가 관리자 단말장치로부터 수신된 안전관리정보를 저장하는 것만으로도 동작이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동작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한편, 안전관리정보제공장치(140)는 수신된 제1 정보 및 제2 정보를 이용하여 방향을 결정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방향과 관련한 정보를 관리자 단말장치에서 현장 감독관 등이 전송해 주는 것을 예로 들었지만, 제1 안전표시장치(100) 및 제2 안전표시장치(110)에 대한 방향 정보 없이 좌표 정보만 수집되거나, 안전표시의 내용을 나타내는 상세 내용만 수신한 경우, 안전관리정보제공장치(140)는 교통서비스를 제공하는 별도의 장치와 연동 등을 통해 방향을 결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장치의 경우, 공사현장의 특정 위치(예: 좌표값)을 근거로 가령 이미지의 형태로 차량의 운행 방향을 알려주면 이를 근거로 방향을 결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안전관리정보제공장치(140)는 제1 안전관리정보와 제2 안전관리정보가 생성되면, 해당 데이터를 통신망(130)을 경유하여 제1 안전표시장치(100) 및 제2 안전표시장치(110)로 전송한다. 이때, 안전관리정보제공장치(140)는 방향 또는 순서정보나 좌표정보를 함께 제공해 줄 수 있고, 혹은 제1 안전표시장치(100)나 제2 안전표시장치(110)의 식별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제1 안전표시장치(100) 및 제2 안전표시장치(110)는 안전관리정보제공장치(140)로부터 제공된 제1 안전관리정보 및 제2 안전관리정보를 매칭하여 저장해 둘 수 있다. 여기서, "매칭"은 위치/속도 등을 근거로 제1 안전관리정보 및/또는 제2 안전관리정보를 서로 링크해 두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지금까지는 안전관리정보제공장치(140)가 제1 안전관리정보 및 제2 안전관리정보를 제1 안전표시장치(100) 및 제2 안전표시장치(110)에 전송해 주는 것을 예시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정보는 시스템 설계자나 안전관리정보제공장치(140)의 관리자의 요청에 근거하여 공사 현장에 별도로 설치되는 통신중계장치(예: AP)로 전송되어 저장될 수 있고, 이 통신중계장치를 통해 제1 안전관리정보 및 제2 안전관리정보가 처리될 수도 있다. 이는 어디까지나 비용, 또는 통신처리속도 등을 종합적으로 감안하여 현장에 시스템이 설치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시스템을 어떻게 구성하느냐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나아가, 안전관리정보제공장치(140)는 내부의 안전관리정보를 주기적으로 갱신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여러 지역에서 가령 도로공사, 건축공사 등이 진행될 수 있는데 공사가 진행되는 동안 이러한 안전관리정보가 생성되고 이용되며, 공사 기간이 완료되면 초기 안전표시장치들의 설치시 관리자가 제공한 정보가 있다면 안전관리정보제공장치(140)는 공사기간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안전관리정보를 자동으로 삭제할 수 있다. 또는, 안전관리정보제공장치(140)에 연동하는 관리자 컴퓨터에 의해 안전관리정보가 삭제되는 등 데이터 갱신과 관련하여 다양한 동작이 가능하다.
또한, 안전관리정보제공장치(140)는 제1 안전표시장치(100) 및 제2 안전표시장치(110)의 제1 정보 및 제2 정보를 이용하여 가령 공사구간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공사구간을 설정"한다는 것은 여러 의미를 내포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하나의 그룹으로 설정함을 의미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순서정보나 좌표정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전관리정보제공장치(140)가 4~5Km의 아스팔트 공사에 대한 공사구간을 설정한다고 가정해 보자. 이의 경우, 안전관리정보제공장치(140)는 실제 안전구간을 위한 구역 및 실제 공사구간 구역을 구분하여 설정하고, 비콘 간의 거리별 구역을 구분하여 설정할 수 있다. 거리는 전파 세기를 통해 계산되어 설정될 수 있다. 또는 안전관리정보제공장치(140)는 기준 속도시 다음 비콘 도착 예상 시간을 설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과정들을 통해 제1 안전표시장치(100)에 진입한 단말장치(120)의 거리 및 속도가 판단되고 시스템 설계자가 지정한 방식 또는 디폴트로 설정된 방식에 의해 적절한 시점에서 단말장치(120)로 전방의 안전표시장치에 대한 안전관리정보가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안전관리정보제공장치의 세부 구조를 예시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안전관리정보제공장치(140)는 통신인터페이스부(300), 안전관리정보처리부(310) 및 저장부(32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통신인터페이스부(300) 및/또는 저장부(32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거나 이러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이러한 문제는 통신, 저장과 같은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별도의 H/W로 구성하느냐 아니면 제조비용 측면에서 S/W로 구성하느냐에 관련되는데 이는 성능이나 비용 등 여러 측면을 고려해야 하는 전략적인 부분이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부분도 염두에 두고 발명을 설명하고 있는 것이라 이해해도 좋다.
통신인터페이스부(300)는 통신망(130)을 경유하여 제1 안전표시장치(100), 제2 안전표시장치(110) 및 단말장치(120) 중 적어도 하나의 장치와 통신을 수행한다. 가령, 통신인터페이스부(300)는 안전관리정보처리부(310)의 제어 하에 통신을 수행하여 위의 장치들로부터 수신된 정보(예: 제어신호), 데이터들(예: R, G, B 데이터)을 다시 안전관리정보처리부(310)로 전달한다. 다시 말해, 통신인터페이스부(300)는 제1 안전표시장치(100), 제2 안전표시장치(110)가 도로공사현장에 설치될 초기에는 제1 안전표시장치(100)의 제1 정보 및 제2 안전표시장치(110)의 제2 정보를 안전관리정보처리부(310)로 전달하여 제1 안전관리정보 및 제2 안전관리정보를 생성하도록 한다. 여기서, "안전관리정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신호와 데이터를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또한, 통신인터페이스부(300)는 제1 안전표시장치(100), 제2 안전표시장치(110)와 통신을 수행하여 안전관리정보처리부(310)를 통해 생성된 제1 안전관리정보 및 제2 안전관리정보를 제공한다. 이때, 통신인터페이스부(300)는 안전관리정보처리부(310)에서 제공하는 제1 안전표시장치(100) 및 제2 안전표시장치(110)의 위치 및/또는 속도 등의 다양한 정보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가령, 속도가 빠르면 단말장치(120)가 제1 안전표시장치(100)의 통신 반경 내에 진입하자마자 제2 안전표시장치(110)의 제2 안전관리정보를 제공하고, 속도가 느리면 진입 후 일정 시간 경과 후에 제공할 때 참고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안전관리정보처리부(310)는 안전관리정보제공장치(140) 내의 통신인터페이스부(300) 및 저장부(320)를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물론 안전관리정보처리부(3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공사 현장의 다양한 장치들로부터 수집되는 정보와 데이터를 이용하여 안전관리정보를 생성한다. 물론 이러한 안전관리정보의 생성 과정은 안전관리정보처리부(310) 내에 저장되어 있는 S/W 프로그램에 의해 이루어진다. 도 3에서는 안전관리정보처리부(310) 내의 프로그램이 제어 기능과 안전관리정보의 생성 과정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을 예로 든 것이다.
안전관리정보처리부(310)는 제1 정보 및 제2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된 안전관리정보나 통신인터페이스부(300)를 통해 수신된 다양한 식별정보 등을 저장부(320)에 (임시) 저장한 후, 그 저장한 안전관리정보와 다양한 정보들을 통신인터페이스부(300)를 통해 제1 안전표시장치(100) 및 제2 안전표시장치(110)로 제공한다. 만약, 제2 안전표시장치(110)가 공사구간의 종료에 해당한다면 안전관리정보처리부(310)는 제2 안전표시장치(110)로 별도의 안전관리정보를 제공하지 않을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공사현장의 특정한 안전표시장치(100, 110)는 내부에 안전관리정보를 저장하지 않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안전관리정보처리부(310)는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통신망(130)을 통해 외부에 연결된 관리자 컴퓨터 등과 연동할 수 있다. 안전관리정보처리부(310)는 관리자 컴퓨터 등을 통해 제공된 디폴트 형태의 팝업 화면상에 통신인터페이스부(300)를 통해 수신된 제1 정보 및 제2 정보를 적절히 삽입하여 제1 안전관리정보 및 제2 안전관리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적절히 삽입"한다는 것은 프로그램적으로 특정 정보는 어느 위치에 삽입시키라는 명령어에 위해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어떠한 식으로 삽입한다는 것인지에 대하여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이때, 안전관리정보처리부(310)는 가령 관리자 컴퓨터로부터 팝업 화면에 대한 색상이나 포맷 등의 수정 요청이 있는 경우에는 해당 수정 내용을 반영하여 기저장된 팝업 화면과 관련한 데이터를 갱신하게 될 것이다.
나아가, 안전관리정보처리부(310)는 수신된 제1 정보 및 제2 정보를 이용하여 제1 안전표시장치(100)와 제2 안전표시장치(110)의 방향 및 순서 등을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방향은 여러 방법이 가능하겠지만 교통서비스를 제공하는 운영업체의 서버에서 이미지 정보를 획득하여 결정할 수 있다. 가령 차량 운행 방향을 알 수 있는 이미지를 이용하는 방법이다. 이미지에서 차량의 전방을 판단하면, 순서는 자동으로 결정될 수 있을 것이다. 만약, 교통도로구간에서 표지판을 설치하는 순서에 대한 매뉴얼이(혹은 샘플정보가) 있다면 이를 활용하여 방향이나 순서를 자동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그램을 통해 상세정보를 분석하여 순서를 결정하는 것이다. 즉 "공사중" 표시인 경우 함께 표시되는 숫자가 큰 쪽은 앞에 위치하고 작은 쪽은 뒤에 위치할 것이 분명하다. 또, 도로폭 감소와 도로폭이 넓어지는 이미지를 분석해 보면, 당연히 선후의 위치를 쉽게 판별해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관리자의 지정이 없다 해도 자동으로 방향이나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안전관리정보처리부(310)는 안전관리정보의 매칭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단말장치(120)가 제1 안전표시장치(100)에 진입하여 관리구역을 통과하는 경우에는 전방 즉 제2 안전표시장치(110)에 관계된 제2 안전관리정보가 전송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래야만 가령 차량 운전자는 앞에서 어떤 공사가 이루어지는지를 인식하고 안전 운전을 수행하게 될 것이다. 이를 위하여, 안전관리정보처리부(310)는 가령 제1 안전표시장치(100)의 식별정보와 제2 안전관리정보를 매칭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안전관리정보처리부(310)는 단말장치(120)의 속도나 위치에 따라 제2 안전관리정보가 제공되도록 매칭시킬 수 있을 것이다.
저장부(320)는 기본적으로 안전관리정보처리부(310)에서 생성된 안전관리정보를 저장한다. 이외에도 저장부(320)는 공사현장의 다양한 장치들로부터 수집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고, 저장된 정보들을 이용하여 안전관리정보를 생성하도록 안전관리정보처리부(310)의 요청에 의해 그 저장된 정보들을 출력할 수 있다. 저장부(320)는 램(RAM)이나 롬(ROM)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안전관리정보제공장치의 다른 세부 구조를 예시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제어부의 구조를 예시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4를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안전관리정보제공장치(140')는 통신인터페이스부(400), 제어부(410) 및 안전관리정보생성부(42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며,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앞서서의 의미와 동일하다.
도 4를 도 3과 비교해 볼 때, 도 4의 제어부(410)와 안전관리정보생성부(420)는 도 3의 안전관리정보처리부(310)의 다른 형태라 볼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3의 안전관리정보처리부(310)는 소프트웨어적인 면을 강조한 것이라면, 도 4의 안전관리정보처리부(310')는 하드웨어적인 면을 강조한 것이다.
도 4의 제어부(410)는 예컨대 도 5에서와 같이 CPU(500)와 메모리(부)(5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410)를 구성하는 CPU(500)는 안전관리정보생성부(420)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불러내어 메모리(510)에 저장해 둘 수 있다. 그리고, CPU(500)는 수신된 제1 정보 및 제2 정보를 이용하여 안전관리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메모리(51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메모리(510)는 램, 저장부(420)는 롬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410)는 제1 정보 및 제2 정보가 수신되면 그 수신된 제1 정보 및 제2 정보를 저장부(420)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안전관리정보를 생성하기 위하여, 저장되어 있는 제1 및 제2 정보를 불러내어 안전관리정보생성부(420)로 제공한다. 이후 제어부(410)는 생성된 안전관리정보를 다시 저장부(420)에 저장한 후 이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의 경우 제어부(410)는 단순히 제어 동작만 수행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동작에 제어부(410)를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안전관리정보생성부(420)는 안전관리정보 생성 프로그램을 저장한 후, 저장된 프로그램을 제어부(410)의 제어에 의해 실행시켜 안전관리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물론 앞서 언급한 대로, 제어부(41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프로그램을 제공하도록 시스템이 설계된 경우라면 해당 프로그램을 출력해 줄 것이다. 여기서, "출력"은 당연히 복사출력을 포함한다. 이는 어디까지나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것이지만, 연산처리나 처리속도 측면에서 보면, 시스템의 가동 초기, 기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전관리정보생성부(420)는 외부 컴퓨터를 통해 프로그램의 갱신이 가능한 이이피롬(EEPROM)의 형태가 바람직할 수 있을 것이다.
그 이외에, 도 4의 통신인터페이스부(400) 등은 앞서 도 3에서 설명한 통신인터페이스부(300) 등과 크게 다르지 않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도 6은 도 1의 안전관리시스템의 정보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상 관리자 단말장치(600)를 이용하여 제1 안전표시장치(100) 및 제2 안전표시장치(110)의 정보를 각각 취득하는 것을 예로 들어 보기로 한다.
도 6을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안전관리정보제공장치(140)는 관리자 단말장치(600)에서 취득한 제1 안전표시장치(100)에 관계된 제1 정보 및 제2 안전표시장치(110)에 관계된 제2 정보를 수신한다(S600~S650). 여기서, 제1 정보 및 제2 정보는 제1 안전표시장치(100) 및 제2 안전표시장치(110)의 식별 정보,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안전관리정보제공장치(140)는 수신한 제1 정보 및 제2 정보를 이용하여 제1 안전관리정보 및 제2 안전관리정보를 생성한다(S660). 예를 들어, 제2 안전표시장치(110)의 안전표지에 대한 상세정보가 "5km 전방 도로폭 좁아짐"이라면 이를 음성데이터로 생성하거나 팝업 메시지(예: 팝업 창)의 형태로 형성한 데이터가 위의 제2 안전관리정보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어, 안전관리정보제공장치(140)는 생성된 제2 안전관리정보를 제1 안전표시장치(100)로 제공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S670~S680).
이를 통해 제1 안전표시장치(100)는 내부에 저장된 다양한 데이터를 참조하여 자신의 통신 반경 내에 진입하는 단말장치(120)로 다이렉트로 제2 안전관리정보를 전송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별도의 도면에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제1 안전표시장치(100) 및 제2 안전표시장치(110)의 주변에 위치하는 통신중계장치(예: AP)가 있다면, 그 통신중계장치가 제1 안전표시장치(100) 및/또는 제2 안전표시장치(110)로 안전관리정보를 전송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안전표시장치(100)에서 단말장치(120)의 진입을 감지하여 감지 결과를 제1 안전표시장치(100)가 통신중계장치로 전송해 준다. 그러면, 통신중계장치는 안전관리정보제공장치(140)로부터 제공받아 기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를 참조하여 제2 안전관리정보를 단말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처럼 지금까지 설명한 내용들에 근거하여 다양한 변경이 얼마든지 가능하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위의 내용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도 7은 도 1의 안전관리정보제공장치의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7을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관리정보제공장치(140)는 위험관리구역에 설치되는 제1 안전표시장치(100)에 관계된 제1 정보 및 제1 안전표시장치(100)의 주변에 설치되는 제2 안전표시장치(110)에 관계된 제2 정보를 이용하여 제1 안전관리정보 및 제2 안전관리정보를 생성한다(S700). 또는 안전관리정보제공장치(140)는 외부에 위치하는 별도의 장치에서 생성되어 제공된 해당 관리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이어, 안전관리정보제공장치(140)는 제1 안전표시장치(100)에 접근한 단말장치(120)의 위치에 근거하여 제2 안전관리정보가 단말장치(120)로 전송되도록 하기 위하여, 저장된 제2 안전관리정보를 단말장치(120)로 제공한다(S710).
물론,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단말장치(120)가 제1 안전표시장치(100) 및 제2 안전표시장치(110)로부터 안전관리정보를 수신하도록 설계된 것이 아니라, 주변의 통신중계장치(예: AP)와 통신하도록 설정된 경우라면, 위의 제1 안전관리정보 및 제2 안전관리정보는 통신중계장치로 제공되어 저장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단말장치(120)는 제1 안전표시장치(100)에 진입했을 때 또는 일정시간 경과 후에 통신중계장치로부터 제2 안전관리정보를 수신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비일시적 저장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판독 가능 기록매체란, 레지스터, 캐시(cache),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 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 제1 안전표시장치 110: 제2 안전표시장치
120: 단말장치 130: 통신망
140: 안전관리정보제공장치 300, 400: 통신인터페이스부
310: 안전관리정보처리부 320, 420: 저장부
410: 제어부 420: 안전관리정보생성부
500: CPU 510: 메모리

Claims (8)

  1. 위험관리구역에 설치되는 제1 안전표시장치에 관계된 제1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된 제1 안전관리정보 및 상기 제1 안전표시장치의 주변에 설치되는 제2 안전표시장치에 관계된 제2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된 제2 안전관리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제1 안전표시장치와 상기 제2 안전표시장치의 지정된 순서를 근거로 상기 제1 안전표시장치에 관계된 식별정보와 상기 제2 안전관리정보를 매칭시켜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한 제2 안전관리정보가 상기 제1 안전표시장치 또는 상기 제1 안전표시장치의 주변에 위치하는 통신중계장치로부터 상기 제1 안전표시장치에 접근한 단말장치로 직접 전송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안전표시장치에 관계된 식별정보를 근거로 상기 제1 안전표시장치 또는 상기 통신중계장치로 상기 저장한 제2 안전관리정보를 제공하여 기저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안전관리정보제공장치의 구동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전표시장치에 관계된 식별정보는, 상기 제1 안전표시장치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안전관리정보는, 임의의 요청이 있을 때 상기 제1 안전표시장치의 식별정보를 근거로 상기 제1 안전표시장치 또는 상기 통신중계장치로 제공되어 기저장되는 안전관리정보제공장치의 구동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 및 상기 제2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포함되어 제공되는 상기 위험관리구역의 관리기간에 대한 기간정보를 근거로 상기 저장한 제1 안전관리정보 및 상기 제2 안전관리정보를 삭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안전표시장치 또는 상기 통신중계장치로 상기 제공한 제2 안전관리정보의 삭제를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안전관리정보제공장치의 구동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위험관리구역의 관리기간이 경과하면 상기 제2 안전관리정보가 자동으로 삭제될 수 있도록 상기 관리기간에 대한 기간정보를 상기 제1 안전표시장치 또는 상기 통신중계장치로 더 제공하는 안전관리정보제공장치의 구동방법.
  5. 위험관리구역에 설치되는 제1 안전표시장치에 관계된 제1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된 제1 안전관리정보 및 상기 제1 안전표시장치의 주변에 설치되는 제2 안전표시장치에 관계된 제2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된 제2 안전관리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제1 안전표시장치와 상기 제2 안전표시장치의 지정된 순서를 근거로 상기 제1 안전표시장치에 관계된 식별정보와 상기 제2 안전관리정보를 매칭시켜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한 제2 안전관리정보가 상기 제1 안전표시장치 또는 상기 제1 안전표시장치의 주변에 위치하는 통신중계장치로부터 상기 제1 안전표시장치에 접근한 단말장치로 직접 전송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안전표시장치에 관계된 식별정보를 근거로 상기 제1 안전표시장치 또는 상기 통신중계장치로 상기 저장한 제2 안전관리정보를 제공하여 기저장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안전관리정보제공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전표시장치에 관계된 식별정보는, 상기 제1 안전표시장치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안전관리정보는, 임의의 요청이 있을 때 상기 제1 안전표시장치의 식별정보를 근거로 상기 제1 안전표시장치 또는 상기 통신중계장치로 제공되어 기저장되는 안전관리정보제공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정보 및 상기 제2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포함되어 제공되는 상기 위험관리구역의 관리기간에 대한 기간정보를 근거로 상기 저장부에 저장한 제1 안전관리정보 및 상기 제2 안전관리정보를 삭제하며, 상기 제1 안전표시장치 또는 상기 통신중계장치로 상기 제공한 제2 안전관리정보의 삭제를 요청하는 안전관리정보제공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험관리구역의 관리기간이 경과하면 상기 제2 안전관리정보가 자동으로 삭제될 수 있도록 상기 관리기간에 대한 기간정보를 상기 제1 안전표시장치 또는 상기 통신중계장치로 더 제공하는 안전관리정보제공장치.
KR1020170054810A 2017-04-28 2017-04-28 안전관리정보제공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18267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4810A KR101826710B1 (ko) 2017-04-28 2017-04-28 안전관리정보제공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4810A KR101826710B1 (ko) 2017-04-28 2017-04-28 안전관리정보제공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6710B1 true KR101826710B1 (ko) 2018-02-07

Family

ID=61203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4810A KR101826710B1 (ko) 2017-04-28 2017-04-28 안전관리정보제공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67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6137B1 (ko) 2018-03-23 2018-12-06 주식회사 컴파스 유무선 통신을 통하여 사인보드를 제어하는 도로공사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35485A (ja) 2013-05-31 2014-12-15 阪神高速技術株式会社 道路作業領域の警告システム及び警告方法
KR101636507B1 (ko) 2015-10-07 2016-07-07 투툼 주식회사 비콘이 내장된 안전 삼각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35485A (ja) 2013-05-31 2014-12-15 阪神高速技術株式会社 道路作業領域の警告システム及び警告方法
KR101636507B1 (ko) 2015-10-07 2016-07-07 투툼 주식회사 비콘이 내장된 안전 삼각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6137B1 (ko) 2018-03-23 2018-12-06 주식회사 컴파스 유무선 통신을 통하여 사인보드를 제어하는 도로공사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761500B (zh) 交通事故处理方法及交通事故处理装置
US11514778B2 (en) Localized traffic data collection
CN108738021B (zh) 通信系统、车载设备以及记录程序的记录介质
CN108417087B (zh) 一种车辆安全通行系统及方法
US7801512B1 (en) Traffic speed enforcement based on wireless phone network
US893012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traffic intensity using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crowdsourcing
US750585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collision of vehicle at crossroads
US8655575B2 (en) Real time estimation of vehicle traffic
US9652982B2 (en) Method and system for learning traffic events, and use of the system
JP2006506715A (ja) インテリジェント交通システム
CN104884899A (zh) 确定穿过交通运输网络的一或多个交叉口的轨迹的方法
KR20190013237A (ko) 도로공사 현장의 안전관리정보제공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JP2015514264A (ja) 照明ネットワークを用いた交通管理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CN113409607A (zh) 路况信息推送系统、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4648471A (zh) 点云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和系统
KR101826710B1 (ko) 안전관리정보제공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20200024727A (ko) 이동 id 그룹 정보를 이용한 위험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CN110708664B (zh) 一种交通流感知方法、装置及计算机存储介质、电子设备
CN117058872A (zh) 一种用于高速公路信息发布方法、系统和存储介质
KR101887939B1 (ko) 안전관리맵데이터제공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JP2019036231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068981B1 (ko) 실내 환경에서의 차량 속도 관제 장치 및 방법
KR102466467B1 (ko) 경로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용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5170385A1 (ja) 移動手段判別システム、移動手段判別方法、及び計算機読み取り可能な非一時的な記憶媒体
Doulabi Contextual Adjustment of the ITE Trip Generation Rates Using Wi-Fi and Bluetooth Technolog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