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6679B1 - 잭업 플랫폼의 취수 장치 - Google Patents

잭업 플랫폼의 취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6679B1
KR101826679B1 KR1020110063658A KR20110063658A KR101826679B1 KR 101826679 B1 KR101826679 B1 KR 101826679B1 KR 1020110063658 A KR1020110063658 A KR 1020110063658A KR 20110063658 A KR20110063658 A KR 20110063658A KR 101826679 B1 KR101826679 B1 KR 1018266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mp
platform
jack
seawater
anch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3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2609A (ko
Inventor
염천환
서형균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636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6679B1/ko
Publication of KR20130002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26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6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66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24Anch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12Heating;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33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 B63B2035/4453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for converting solar energy into electric ener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33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 B63B2035/446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for converting wind energy into electric ener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9/00Energy supply or activating means
    • B63B2209/18Energy supply or activating means solar ener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9/00Energy supply or activating means
    • B63B2209/20Energy supply or activating means wind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d Motors (AREA)
  • Electromagnetic Pump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잭업 플랫폼의 취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취수 장치를 해수면 하부에 안정적인 움직임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잭업 플랫폼의 취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잭업 플랫폼의 취수 장치는, 잭업 플랫폼에 설치된 각종 장비를 냉각하는 냉각시스템에 냉각수로서 사용되는 해수를 취수하는 취수장치에 있어서, 해수를 취수하는 해수 펌프(430); 상기 해수펌프(430)의 토출구에 연결되어 취수된 해수를 상기 냉각시스템으로 공급하는 호스(420); 상기 잭업 플랫폼(100) 상에 설치되어, 상기 호스(420)를 권취 및 권출하는 릴(410); 및 상기 해수펌프(430)에 연결하되, 하중이 있는 펌프 앵커(4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잭업 플랫폼의 취수 장치{Water Supplying Equipment For Jack-Up Platform}
본 발명은 잭업 플랫폼의 취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취수 장치를 해수면 하부에 안정적인 움직임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잭업 플랫폼의 취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지속적인 화석연료의 비용증가와 화석연료에서 발생되는 해로운 가스로 인한 환경파괴, 화석연료의 고갈 및 핵발전 에너지와 관련된 잠재적인 위험으로 인해, 태양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도록 된 태양광 발전과, 바람의 힘을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도록 된 풍력 발전이 그 대안으로 요구되고 있다.
특히, 풍력 발전은 자연상태의 무공해 에너지원으로 현재의 기술에 의한 대체에너지원 중 가장 경제성이 높은 에너지원이다. 이러한 풍력발전은 바람의 힘을 전기에너지로 전환시켜 발생되는 전력을 전력계통이나 수요자에 직접 공급하는 기술로서, 이러한 풍력발전을 이용한다면 산간이나 해안 오지 및 방조제 등 부지를 활용함으로써 국토이용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장점 때문에, 풍력발전 시스템은 가장 유력한 대체 에너지원으로 인정을 받고 있다.
우리나라도 세계기후 변화협약과 같은 국제 환경의 변화와 유가상승, 그리고 국내사용 에너지의 96%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현실적인 문제에 대응하기 위하여 풍력발전 시스템에 대한 관심이 높다.
특히, 풍력발전 시스템은 구조나 설치 등이 간단하여 운영 및 관리가 용이하고 무인화 및 자동화 운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최근에 도입이 비약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며, 최근 유가 상승, 원전 반대 등의 경제적, 환경적 상황은 에너지원으로서 풍력 발전의 수요를 촉발하고 있다.
한편, 과거에는 풍력발전 구조물들이 주로 육상에서 이루어졌으나, 풍력 자원량, 미관, 장소의 제약 등의 문제로 인해 최근에는 해상에 대규모의 풍력단지를 건설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해상에 안전하게 풍력발전 구조물을 건설하기 위해서는 높은 위치에 설치될 블레이드 및 구조물(타워)에 대한 안전한 설치 공법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풍력발전 구조물의 설치를 전담하는 전용 선박(이하, '잭업 플랫폼'이라 한다)을 운용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잭업 플랫폼(10)은 선체(20)에 설치된 긴 지지레그(30)를 지지대로 삼아 스스로 선체(20)를 공중에 부양하여 파도의 영향을 받지 않고 해상 풍력 발진 단지에 풍력발전기(미도시)를 설치하도록 목적된 선박이다.
이러한 종래의 잭업 플랫폼(10)은 잭업 상태(지지레그에 의해 잭업 플랫폼(10)이 지지된 형태로 공중에 부양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수면에 떠 있는 경우와 달리 발전기 엔진 및 각종 장비의 냉각을 위한 해수를 시체스트(sea chest)를 통해 끌어 올릴 수 없게 되므로, 별도의 해수펌프(40a)를 구비하여 선체(20) 밖 해수면 아래로 내려 직접 해수를 끌여 들여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해수펌프(40a)를 조류 또는 파도가 강한 해역에서 사용하면 해수펌프(40a)의 움직임이 과도해져 해수면 아래에 있는 지지레그(30)에 부딪혀 파손되거나, 해수펌프가 수면 위로 드러나 오작동의 원인이 되곤 하였다.
이와 같은 해수펌프의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한 방법으로 중구조의 강관을 별도로 제작하여 사용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는 중구조의 강관을 해수면 아래로 늘어뜨리고 강관 내부에 해수펌프를 위치시켜 해수를 취수하는 방법인데, 이 역시 대형 강관을 기계적으로 승강 및 하강하여야 하고, 중구조의 강관을 별도로 제작하여야 하는 등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해수면 아래에 있는 취수용 해수펌프의 움직임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하여 해수펌프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하는 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잭업 플랫폼에 설치된 각종 장비를 냉각하는 냉각시스템에 냉각수로서 사용되는 해수를 취수하는 취수장치에 있어서, 해수를 취수하는 해수 펌프(430); 상기 해수펌프(430)의 토출구에 연결되어 취수된 해수를 상기 냉각시스템으로 공급하는 호스(420); 상기 잭업 플랫폼(100) 상에 설치되어, 상기 호스(420)를 권취 및 권출하는 릴(410); 및 상기 해수펌프(430)에 연결되어, 하중을 가지는 펌프 앵커(450)를 포함하되;상기 하중은 상기 잭업 플랫폼의 작업 해역의 해저면을 파지하는 데 필요한 파지력보다 크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잭업 플랫폼의 취수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해수 펌프(430) 및 펌프 앵커(450) 사이에 위치하여 양자를 연결하는 체인(440);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잭업 플랫폼(100)의 선체(200)에 형성되어 상기 해수 펌프(430) 및 호스(420)를 해수면 아래로 내려갈 수 있도록 안내하는 펌프 통로(4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펌프 통로(460)의 일단은 상기 선체(200)의 상부면에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선체(200)의 측면 하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인(440)과 체결될 수 있는 고정장치(4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잭업 플랫폼에 설치된 각종 장비를 냉각하는 냉각시스템에 냉각수로서 사용되는 해수를 취수하는 취수장치에 있어서, 해수를 취수하는 해수 펌프(430)에 하중이 있는 펌프 앵커(450)를 연결하여 해수 펌프가 해수면 아래에서 안정적인 움직임을 유지하면서 해수를 취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잭업 플랫폼의 취수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펌프 앵커(450)는 체인(440)에 의해 상기 해수펌프(430)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잭업 플랫폼(100)은 풍력발전기 설치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펌프 앵커(450)의 하중은,
Figure 112011049681846-pat00001
으로 구해지며; W는 펌프 앵커(450)의 하중(ton), Dp:해수펌프(430) 시라우드 직경(m)(Pump Shroud Diameter(m)), Dh :호스(420) 직경(m), Vc :작업해역의 평균 조류 속도(m/sec), Wh :작업해역의 정상 파고(m)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해수면 아래에 있는 취수용 해수펌프의 움직임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해수펌프의 손상 및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해수펌프의 고장 발생을 현저히 줄임으로써 잭업 플랫폼으로의 안정적인 냉각수 공급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해수펌프의 고정용 강관을 별도로 제작할 필요가 없고, 강관의 이동을 위한 장치도 제거할 수 있어 잭업 플랫폼의 제작비용 및 운전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잭업 플랫폼 취수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잭업 플랫폼의 취수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취수 장치를 개략적으로 확대한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잭업 플랫폼 취수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잭업 플랫폼의 취수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취수 장치를 개략적으로 확대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잭업 플랫폼(100)은 취수 장치를 탑재하여 해수면 위로 부양하는 모든 선박 및 해양구조에 적용될 수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잭업 플랫폼은 취수 장치를 탑재하여 해수면 위로 부양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선종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잭업 플랫폼(100)의 취수 장치는, 잭업 플랫폼에 설치된 각종 장비를 냉각하는 냉각시스템에 냉각수로서 사용되는 해수를 취수하는 취수장치로서, 해수 펌프(430), 호스(420), 릴(410), 펌프 앵커(pump anchor;450)를 포함한다.
해수 펌프(430)는 해수면 아래에서 해수를 취수하며, 잭업 플랫폼(100)으로 취수된 해수를 보내준다.
잭업 플랫폼(100)은 잭업 상태(지지레그에 지지된 형태로 공중에 부양되어 있는 상태)가 되면 선체(200)에 형성된 시체스트(sea chest)로부터 해수를 취수할 수 없게 되므로, 수중에 잠겨 해수를 취수할 수 있도록 제작된 해수 펌프를 해수면 아래로 보내어 해수를 취수케 한다.
호스(420)는 해수펌프(430)의 토출구에 연결되어 취수된 해수를 냉각시스템으로 공급하며, 유연성이 있는 플렉시블(flexible) 호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후술할 릴(410)에 감겨서 호스(420)가 보관할 수 있도록 하여 잭업 플랫폼(100) 상부 공간의 활용도를 높이고, 또 해수면 아래에 위치하는 해수 펌프(430)가 조류 등으로 인해 움직여서 호스에 손상을 발생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해수 펌프(430)로부터 취수된 해수는 호스(420)를 통해 잭업 플랫폼(100)의 냉각시스템으로 공급된다.
호스(420)에는 해수 펌프(43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이 부착될 수 있는데, 일예로 호스(420)의 외주면 상에 전선(미도시)을 부착할 수 있을 것이다.
릴(410)은 잭업 플랫폼(100) 상에 설치되어, 호스(420)를 권취 및 권출하도록 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스(420)를 통해 전달되는 해수를 릴(410)의 중앙부를 통해 호스(420)를 인출되도록 하여 잭업 플랫폼(100)의 외부에서 내부(냉각시스템)로 해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술했듯이, 릴(410)은 호스(420)에 부착된 전선(미도시)을 이용하여 해수 펌프(430)로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가 있다.
펌프 앵커(450)은 해수 펌프(430)에 연결하되, 하중이 있어 해수 펌프(430)를 해수면 아래에 안정적으로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펌프 앵커(450)의 하중에 의해 해수 펌프(430)는 조류 또는 파도 등에 불구하고 해수면 아래에 안정적인 움직임을 가질 수 있게 되며, 잭업 플랫폼(100)의 지지레그(300)와 부딪히거나, 해수면 밖으로 드러나 펌프에 과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펌프 앵커(450)를 부착한 해수 펌프(430)는 해수면 아래의 어느 부위라도 위치시킬 수 있으나, 조류 또는 파도 등의 영향에 의한 움직임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도록 해저면(600)에 펌프 앵커(450)가 착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데, 해저면(600)에 착지된 펌프 앵커(450)에 의해 해수 펌프(430)는 더욱 안정적으로 해수면 아래에 고정될 수 있다.
펌프 앵커(450)는 하중을 갖는 물체라면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나, 비용 및 내구성을 고려하여 강철 주조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펌프 앵커(450)의 하중은 펌프 앵켜(450)가 착지되는 해저면을 어느 정도 파지하여 해수 펌프(430)를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서 펌프 앵커(450)의 하중을 펌프 앵커(450)가 해저면에 착지할 때 펌프 앵커(450)가 해저면을 어느 정도 파지하여 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펌프 앵커(450)의 하중은 잭업 플랫폼의 운영 해역의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펌프 앵커(450)의 하중은 잭업 플랫폼의 운영해역의 해저면이 펌프 앵커(450)에 의해 파지될 수 있을 정도의 파지력을 갖도록 하거나 그 이상의 파지력을 갖도록 할 수 있다.
펌프 앵커(450)의 하중은 다음의 약산식으로 계산하여 결정할 수도 있다.
Figure 112011049681846-pat00002
여기서, W는 펌프 앵커(450)의 하중(ton), Dp:해수펌프(430) 시라우드 직경(m)(Pump Shroud Diameter(m)), Dh :호스(420) 직경(m), Vc :작업해역의 평균 조류 속도(m/sec), Wh :작업해역의 정상 파고(m) 을 의미한다.
펌프 앵커(450)의 형상은 다양한 입체 구조물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해저면에 안정적으로 착지될 수 있도록 선박(예를 들면, 소형 어선)의 고박에 이용되는 일반 앵커와 동일한 형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해수 펌프(430)와 해저면(600)과의 거리는 가까울수록 해저면 및 해저면 가까이 있는 이물질들이 해수 펌프(430)로 인입될 수 있으므로, 아래와 같이 체인(440)을 추가 설치하여 이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취수 장치(4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체인(4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체인(440)은 해수 펌프(430) 및 펌프 앵커(450) 사이에 위치하여 양자를 연결하도록 하는데, 체인(440)에 의해 펌프 앵커(450)가 해저면(600)에 착지하더라도 해수 펌프(430)는 해저면(600)로부터 떨어질 수 있어 해저면(600)의 각종 이물질들이 해수 펌프(430) 내로 인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에 따른 취수 장치(400)는 펌프 통로(4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펌프 통로(460)는 잭업 플랫폼(100)의 선체(200)에 형성되어 해수 펌프(430) 및 호스(420)를 해수면 아래로 내려갈 수 있도록 안내하며, 릴(410)이 설치되는 잭업 플랫폼(100)의 선체(200) 부분 인근에서부터 해수면과 통할 수 있는 선체(200)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펌프 통로(46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은 릴(410)이 설치되는 잭업 플랫폼(100)의 선체 상부면에 형성되고, 타단은 잭업 플랫폼(100)의 선체(400) 측면 하부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해수면과 통하는 펌프 통로(460)의 하단부를 선체(200)의 측면에 형성함으로써 해수면 아래로 내려가는 해수 펌프(430)와 잭업 플랫폼(100)을 지지하는 지지레그(300)의 거리를 멀어지게 하기 위함이며, 그 결과 해수 펌프(430)가 지지레그(300)와 멀리 위치하게 되어 지지레그(300)와의 충돌 위험성이 낮아지게 된다.
펌프 통로(460)는 해수 펌프(430) 및 펌프 앵커(450) 모두가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공간을 갖도록 형성할 수 있으며, 해수 펌프(430)의 사용이 불필요한 경우 해수 펌프(430) 뿐만 아니라 펌프 앵커(450)도 잭업 플랫폼(100)의 상부면으로 끌어올려 보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펌프 통로(460)가 커지면 잭업 플랫폼(100)의 상부면의 활용성이 떨어지고, 또 펌프 앵커(450)를 잭업 플랫폼(100)의 상부면으로 올리면 일정한 공간을 차지하게 되어 상부면 공간을 협소하게 하므로, 해수 펌프((430)만을 잭업 플랫폼(100)의 상부면으로 끌어올릴 수 필요가 있다.
또한, 해수 펌프(430)는 유지 보수의 필요가 있으므로 반드시 잭업 플랫폼(100)의 상부면으로 올려질 수 있어야하나, 펌프 앵커(450)는 일종의 추이므로 유지 보수의 필요가 적어 잭업 플랫폼(100)의 상부면으로 올릴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펌프 통로(460)를 해수 펌프(430)만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공간을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펌프 통로(460)를 펌프 앵커(450)가 통과할 수 없게 되면, 펌프 앵커(450)는 선체(200) 측면 하부에 형성된 펌프 통로(460)의 입구에 걸린 상태로 일정기간 보관될 수 밖에 없게 된다.
이 경우, 펌프 앵커(450)의 하중에 의해 호스(420)가 늘어나게 되고, 호스(420)에 손상을 입힐 수도 있으므로, 펌프 앵커(450)에 연결된 체인(440)을 잭업 플랫폼(100)에 체결 고정할 수 있는 고정장치(470)를 잭업 플랫폼(100)에 형성하여 고정장치로 체인(440)을 걸어 펌프 앵커(450)가 고정된 상태로 잭업 플랫폼(100)에 보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장치(470)로는 일반적인 연결고리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취수 장치(400)가 설치되는 잭업 플랫폼(100)은 풍력발전기를 설치하도록 제작되는 풍력발전기 설치선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따른 잭업 플랫폼의 취수 장치는, 잭업 플랫폼에 설치된 각종 장비를 냉각하는 냉각시스템에 냉각수로서 사용되는 해수를 취수하는 취수장치로서, 해수를 취수하는 해수 펌프(430)에 하중이 있는 펌프 앵커(450)를 연결하여 해수 펌프가 해수면 아래에서 안정적인 움직임을 유지하면서 해수를 취수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펌프 앵커(450)는 체인(440)에 의해 해수펌프(430)에 연결될 수 있고, 잭업 플랫폼(100)은 풍력발전기 설치선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잭업 플랫폼의 취수 장치의 작용을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잭업 플랫폼(100)은 파도의 영향을 받지 않고 해상 풍력 발전 단지에 풍력발전기를 설치하기 위해 선체(200)에 설치된 긴 지지레그(300)를 지지대로 삼아 승강장치(350)에 의해 스스로 선체(200)를 공중으로 부양한다.
선체(200)가 공중으로 부양됨으로써 시체스트를 통한 해수의 취수가 불가능해지므로 잭업 플랫폼(100)의 상부면에 설치된 릴(410)에 감긴 호스(420)를 권출하여 호스의 끝단에 연결된 해수 펌프(430)를 해수면 아래로 내려보낸다.
이 때, 해수 펌프(430) 및 호스는 잭업 플랫폼(100)의 선체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펌프 통로(460)를 통하여 해수면 아래로 내려가게 된다.
해수 펌프(430)는 체인에 의해 펌프 앵커(450)와 연결되어 있고, 체인(440)으로 연결된 펌프 앵커(450)가 해저면(600)에 착지되는 위치까지 해수 펌프(430)는 해수면 아래로 내려가게 된다.
해수 펌프(430)는 일정한 하중을 갖는 펌프 앵커(450)의 해저면 착지로 인해 일정 위치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풍력발전기 설치작업을 완료한 후 부양된 선체(200)를 해수면으로 내리면 더이상 해수 펌프(430)에 의한 취수가 필요 없어지므로 릴(410)을 작동시켜 해수 펌프(430)를 회수하게 된다.
이로써, 잭업 플랫폼(100)이 부양된 경우 안정적인 해수의 취수가 가능하게 되어 상술한 여러 효과가 달성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100: 잭업 플랫폼 200: 선체
300: 지지 레그 350: 승강 장치
400: 취수 장치 410: 릴
420: 호스 430: 해수 펌프
440: 체인 450: 펌프 앵커
460: 펌프 통로 470: 고정장치
600: 해저면

Claims (9)

  1. 잭업 플랫폼에 설치된 각종 장비를 냉각하는 냉각시스템에 냉각수로서 사용되는 해수를 취수하는 취수장치에 있어서,
    해수를 취수하는 해수 펌프(430);
    상기 해수펌프(430)의 토출구에 연결되어 취수된 해수를 상기 냉각시스템으로 공급하는 호스(420);
    상기 잭업 플랫폼(100) 상에 설치되어, 상기 호스(420)를 권취 및 권출하는 릴(410); 및
    상기 해수펌프(430)에 연결되어, 하중을 가지는 펌프 앵커(450)를 포함하되;
    상기 하중은 상기 잭업 플랫폼의 작업 해역의 해저면을 파지하는 데 필요한 파지력보다 크거나 같고,
    상기 펌프 앵커(450)의 하중은,
    Figure 112017087375811-pat00007

    으로 구해지며;
    W는 펌프 앵커(450)의 하중(ton), Dp:해수펌프(430) 시라우드 직경(m)(Pump Shroud Diameter(m)), Dh :호스(420) 직경(m), Vc :작업해역의 평균 조류 속도(m/sec), Wh :작업해역의 정상 파고(m) 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잭업 플랫폼의 취수 장치.
  2. 잭업 플랫폼에 설치된 각종 장비를 냉각하는 냉각시스템에 냉각수로서 사용되는 해수를 취수하는 취수장치에 있어서,
    해수를 취수하는 해수 펌프(430);
    상기 해수펌프(430)의 토출구에 연결되어 취수된 해수를 상기 냉각시스템으로 공급하는 호스(420);
    상기 잭업 플랫폼(100) 상에 설치되어, 상기 호스(420)를 권취 및 권출하는 릴(410);
    상기 해수펌프(430)에 연결되어, 하중을 가지는 펌프 앵커(450); 및
    상기 해수 펌프(430) 및 펌프 앵커(450) 사이에 위치하여 양자를 연결하는 체인(440);을 포함하되,
    상기 펌프 앵커(450)의 하중은 상기 잭업 플랫폼의 작업 해역의 해저면을 파지하는 데 필요한 파지력보다 크거나 같고,
    상기 체인(440)은,
    상기 해수 펌프(430)를 상기 잭업 플랫폼(100)의 상부면으로 끌어올려 보관할 때에는, 상기 잭업 플랫폼(100)에 형성된 고정장치(470)에 체결 고정됨으로써, 상기 펌프 앵커(450)의 하중이 상기 호스(420)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잭업 플랫폼의 취수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잭업 플랫폼(100)의 선체(200)에 형성되어 상기 해수 펌프(430) 및 호스(420)를 해수면 아래로 내려갈 수 있도록 안내하는 펌프 통로(4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펌프 통로(460)의 일단은 상기 선체(200)의 상부면에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선체(200)의 측면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펌프 통로(460)는 상기 해수 펌프(430)가 반출되는 반출구가 상기 해수 펌프(430)가 투입되는 투입구로부터 상기 선체(200)의 바깥쪽을 향하여 멀어지도록 경사진 구조를 가짐으로써, 상기 펌프 통로(460)를 통해 해수면 아래로 내려가는 상기 해수 펌프(430)가 상기 잭업 플랫폼(100)을 지지하는 지지레그(300)와 이격될 수 있도록 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잭업 플랫폼 취수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펌프 통로(460)는 상기 해수 펌프(430)는 통과할 수 있되, 상기 펌프 앵커(450)는 통과할 수 없는 크기의 공간으로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잭업 플랫폼 취수 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잭업 플랫폼(100)은 풍력발전기 설치선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잭업 플랫폼의 취수 장치.
  9. 삭제
KR1020110063658A 2011-06-29 2011-06-29 잭업 플랫폼의 취수 장치 KR1018266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3658A KR101826679B1 (ko) 2011-06-29 2011-06-29 잭업 플랫폼의 취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3658A KR101826679B1 (ko) 2011-06-29 2011-06-29 잭업 플랫폼의 취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609A KR20130002609A (ko) 2013-01-08
KR101826679B1 true KR101826679B1 (ko) 2018-02-08

Family

ID=47835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3658A KR101826679B1 (ko) 2011-06-29 2011-06-29 잭업 플랫폼의 취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66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6465B1 (ko) * 2013-02-26 2014-12-0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발전장치 및 담수화장치 일체형 플로팅 설비
KR101444860B1 (ko) * 2013-08-01 2014-09-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취수용 펌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71955A (ja) * 2001-05-16 2003-06-20 Torio Marine Tec:Kk 水中モータポンプ使用小口径管大容量海洋表層水又は深層水取水システム、水中モータポンプ使用陸上設置型海洋表層水又は深層水取水施設及びメンテナンス方法並びにその工法
US20050047872A1 (en) * 2003-09-03 2005-03-03 Baugh Benton F. Deepwell ree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71955A (ja) * 2001-05-16 2003-06-20 Torio Marine Tec:Kk 水中モータポンプ使用小口径管大容量海洋表層水又は深層水取水システム、水中モータポンプ使用陸上設置型海洋表層水又は深層水取水施設及びメンテナンス方法並びにその工法
US20050047872A1 (en) * 2003-09-03 2005-03-03 Baugh Benton F. Deepwell re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609A (ko) 2013-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77878B (zh) 一种可浮运的浮式基础施工方法
US9347425B2 (en) Offshore floating barge to support sustainable power generation
CN100579860C (zh) 运输风轮机的船舶、移动风轮机的方法和近海风力农场的风轮机
CN101565091B (zh) 水上风力发电机的安装设备及其施工方法
US10716296B2 (en) Floating offshore wind turbine integrated with steel fish farming cage
JP2019069779A (ja) 船搭載海洋熱エネルギー変換システム
CN105557572A (zh) 一种半潜式单柱海洋工程渔场
CN112523969B (zh) 一种桁架拉索型漂浮式海上风电机组结构
CN102384030A (zh) 具有可变化高度的风力涡轮机及用于操作该涡轮机的方法
EP2251254A1 (en) Installation vessel for offshore wind turbines
RU2708754C2 (ru) Ветроэнергетическая установка
CN112931347B (zh) 一种利用海上风电导管架基础的升降式深海网箱养殖系统的控制方法
EP2528805A1 (en) Maintenance of an offshore wind farm making use of an assembly of a floating harbour ship and a plurality of shuttle vessels
CN103717890A (zh) 用于海上风电场的替代的机械和电气概念
GB2587113A (en) System and method
WO2012066790A1 (ja) 洋上風車設置用船舶およびこれを用いた洋上風車設置方法
KR101826679B1 (ko) 잭업 플랫폼의 취수 장치
JP5622013B1 (ja) 集合型潮流発電施設
JP2014069775A (ja) 海洋資源採取システム
KR101338358B1 (ko)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선
WO2010120186A1 (en) Floating windmill and method of installation, intervention or decommissioning
CN201530464U (zh) 浅水区风力发电机组安装专用潜水驳船
CN104554639A (zh) 大型近海风电设备安装装备
KR101297669B1 (ko) 해상풍력발전기 설치 전용선을 이용한 해상풍력발전기 설치방법
CN102587340A (zh) 坐底式风机安装平台及风机设备安装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