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6470B1 - 디스크 수술용 툴 키트 - Google Patents

디스크 수술용 툴 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6470B1
KR101826470B1 KR1020170049288A KR20170049288A KR101826470B1 KR 101826470 B1 KR101826470 B1 KR 101826470B1 KR 1020170049288 A KR1020170049288 A KR 1020170049288A KR 20170049288 A KR20170049288 A KR 20170049288A KR 101826470 B1 KR101826470 B1 KR 1018264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gery
lesion
tool kit
scope means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9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남배
윤명수
Original Assignee
김남배
윤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남배, 윤명수 filed Critical 김남배
Priority to KR1020170049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64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6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64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016Endoscopic cutting instruments, e.g. arthroscopes, resect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5Trocars; Puncturing needles for introducing tubes or catheters, e.g. gastrostomy tubes, drain cathe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Path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크 수술에 사용되는 구성요소를 최적으로 구성하여 수술 부위를 최소화하면서도 디스크 수술을 보다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크 수술용 툴 키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크 병변 부위를 수술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툴 도구 키트(kit)로서,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병변 부위로 삽입되는 워킹튜브 부재; 상기 병변 부위의 영상 취득을 위한 영상취득부를 구비하고 복수의 가이드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워킹튜브 부재의 관통구멍을 따라 안내되는 관형튜브를 구비하는 스코프 수단; 및 상기 스코프 수단의 가이드통로 중 하나로 삽입되어 병변 부위를 수술하기 위한 복수의 병변 수술도구;를 포함하며, 상기 워킹튜브 부재의 관통구멍의 내경은 상기 스코프 수단의 관형튜브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병변 수술도구의 외경의 크기는 상기 스코프 수단의 관형튜브의 내경의 크기 이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수술용 툴 키트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디스크 수술용 툴 키트{DISK SURGERY TOOL KIT}
본 발명은 디스크 수술용 툴 키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디스크 수술에 사용되는 구성요소를 최적으로 하여 디스크 수술을 보다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크 수술용 툴 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크라 함은 척추뼈와 척추뼈 사이에서 완충역할을 하는 수분이 많이 포함된 조직으로서 추간판이라고도 한다.
도 1은 추간판과 그 주변 인체 조직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만일, 추간판(10)을 뒤에서 지탱하고 있는 척추 후방인대(20)가 파열되거나, 추간판(10)이 비정상적으로 척추뼈(30) 사이에서 삐져나오는 경우, 주변에 위치하는 신경다발(50)이나 신경(40)을 압박하여 심한 통증을 일으키게 되는데, 이를 병명으로서 디스크라 통칭하여 부르며, 의학적으로는 추간판탈출증(herniation of intervertebral discs)이라 지칭된다.
추간판탈출증이 발병하는 경우에는 주변 신경을 치료하여 통증을 완화하거나, 더욱 심한 경우에는 추간판의 탈출된 부위를 제거하는 수술을 행하게 된다. 그러나 추간판 제거 수술은 절개수술에 따른 부담감이 존재할 뿐 아니라, 수일간의 회복 시간이 소요되며 추간판 제거에 따른 후유증의 우려가 제기될 수 있다. 그러므로 위험 요인을 최소화하면서도 보다 효과적으로 추간판탈출증의 증상을 완화할 수 있는 수술용 도구가 필요로 된다.
(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00531호(2011.09.14. 공개) (문헌 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59776호(2012.06.11. 공개) (문헌 3)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31908호(2016.06.14. 공고)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디스크 수술에 사용되는 구성요소를 최적으로 구성하여 디스크 수술을 보다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크 수술용 툴 키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디스크 병변 부위를 수술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툴 도구 키트(kit)로서,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병변 부위로 삽입되는 워킹튜브 부재; 상기 병변 부위의 영상 취득을 위한 영상취득부를 구비하고 복수의 가이드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워킹튜브 부재의 관통구멍을 따라 안내되는 관형튜브를 구비하는 스코프 수단; 및 상기 스코프 수단의 가이드통로 중 하나로 삽입되어 병변 부위를 수술하기 위한 복수의 병변 수술도구;를 포함하며, 상기 워킹튜브 부재의 관통구멍의 내경은 상기 스코프 수단의 관형튜브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병변 수술도구의 외경의 크기는 상기 스코프 수단의 관형튜브의 내경의 크기 이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수술용 툴 키트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병변 수술도구는 봉 형태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수술처리부, 및 상기 몸체부의 타단부에 형성되어 조작 핸들과 결합되는 결합부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의 외경은 상기 스코프 수단의 관형튜브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수술처리부의 직경은 상기 스코프 수단의 관형튜브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술처리부는 절삭 블레이드 및 케이지 파지구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워킹튜브 부재의 일단부는 경사진 끝단을 갖고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워킹튜브 부재는 타단부에는 상기 워킹튜브 부재의 몸체에서 직교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조작 손잡이가 형성되고, 상기 조작 손잡이의 돌출 방향은 상기 경사진 끝단의 정점이 형성된 위치 또는 정점의 반대쪽 위치의 동일 선상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워킹튜브 부재의 관통구멍으로 상기 스코프 수단의 관형튜브의 삽입 시, 상기 워킹튜브 부재의 관통구멍과 상기 스코프 수단의 관형튜브 사이에 개재되는 가이드로드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로드 부재는 축방향으로 삽입통로가 형성되는 장방형의 관형 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이드로드 부재의 삽입통로의 외경의 크기는 상기 워킹튜브 부재의 내경의 크기 이하로 형성되고, 상기 스코프 수단의 관형튜브의 외경의 크기는 상기 가이드로브 부재의 삽입통로의 내경의 크기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로드 부재는 일단부가 확장 원추대 형태로 형성되고, 타단부는 수렴 원추대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스코프 수단은 상기 변병 수술도구가 가이드되도록 관통 형성되는 제1 가이드통로, 약물이 주입되고 배출되는 제2 및 제3 가이드통로 및 변병 부위의 영상을 취득하기 위하여 구성된 영상취득부의 내부 영상케이블이 안내되는 제4 가이드통로가 형성되는 관형튜브와, 상기 관형튜브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각 가이드통로와 연통되는 복수의 가이드통로가 형성되는 손잡이형 바디와, 상기 손잡이형 바디의 제2 및 제3 가이드통로와 각각 연통되는 약물 유입 포트 및 약물 배출 포트와, 상기 영상취득부의 영상 신호를 외부 장치로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내부 케이블이 인출되게 형성되는 영상케이블 인출포트를 포함하되, 상기 손잡이 바디에는 상기 제1 가이드통로와 동일 선상으로 연통되는 가이드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로드 부재는 일단부의 외측에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워킹튜브 부재의 일단부의 관통구멍에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한 디스크 수술용 툴 키트에 따르면, 디스크 수술에 사용되는 구성요소를 최적으로 구성하여 디스크 수술을 보다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대적으로 수술창을 작게 형성할 수 있어 환자의 침습을 최소화하고, 내시경을 통한 시야 확보로 정확하고 용이하게 디스크 수술을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추간판과 그 주변 인체 조직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수술용 툴 키트에 포함되는 워킹튜브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수술용 툴 키트를 구성하는 스코프 수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수술용 툴 키트에서 스코프 수단의 관형부가 워킹튜브 부재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수술용 툴 키트를 구성하는 병변 수술도구의 일 예인 디스크절삭 수술도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낸 디스크절삭 수술도구의 일단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수술용 툴 키트를 구성하는 병변 수술도구의 일 예인 디스크절삭 수술도구가 스코프 수단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수술용 툴 키트를 구성하는 병변 수술도구의 다른 예인 케이지삽입 수술도구가 스코프 수단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케이지삽입 수술도구의 조작처리부에 케이지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수술용 툴 키트를 구성하는 가이드로드 부재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수술용 툴 키트를 구성하는 가이드로드 부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수술용 툴 키트를 구성하는 워킹튜브 부재와 가이드로드 부재의 일측 단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일반적인 척추 유합술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일반적인 절개 유합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일반적인 내시경 수술에서 신경 사이의 안전 공간을 경유하는 것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7은 일반적으로 사용화된 케이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상용 케이지를 삽입하는 모식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수술용 툴 키트의 시작품을 이용하여 수술하는 과정에서 내시경 촬영한 사진으로, 병변 부위에 워킹튜브 부재가 위치된 상태에서의 내시경 사진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수술용 툴 키트의 시작품을 이용하여 수술하는 과정에서 내시경 촬영한 사진으로 병변 부위에 병변 수술도구 중 하나인 리머를 사용하고 있는 내시경 사진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수술용 툴 키트의 시작품을 이용하여 수술하는 과정에서 내시경 촬영한 사진으로, 병변 부위에 병변 수술도구 중 하나인 케이지 삽입수술 도구를 사용하고 있는 내시경 사진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수술용 툴 키트는 크게 워킹튜브 부재(working tube member); 스코프 수단(scope means); 복수의 병변 수술도구; 및 가이드로드 부재(guide road member)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디스크 수술용 툴 키트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수술용 툴 키트에 포함되는 워킹튜브 부재(1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워킹튜브 부재(100)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측에 관통구멍(110)이 형성된 관형의 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워킹튜브 부재(100)의 일단부는 경사진 끝단(120)을 갖고 구성된다. 이와 같이 워킹튜브 부재(100)가 경사진 끝단(120)을 갖고 구성됨으로써 후술하는 스코프 수단(200)을 통해 병변 부위를 관찰하면서 그 경사진 끝단(120)에 의해 좁은 디스크의 병변 부위로 용이하게 안내되게 된다.
또한, 상기 워킹튜브 부재(100)는 타단부, 즉 상기 일단부에 대향하는 단부에는 워킹튜브 부재(100)의 몸체에서 직교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조작 손잡이(130)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조작 손잡이(130)의 돌출 방향은 상기 경사진 끝단(120)의 정점이 형성된 위치 또는 정점의 반대쪽 위치의 동일 선상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조작 손잡이(130)는 워킹튜브 부재(100)를 병변 부위에 위치 결정할 때, 이러한 조작 손잡이(130)의 형성 위치로부터 경사진 끝단(120)의 정점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어 병변 부위에서 워킹튜브 부재(100)의 조작을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 손잡이(130)는 워킹튜브 부재(100)의 몸체에 대하여 복수 개, 즉 양측으로 대칭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용이하고 견고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하여 조작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수술용 툴 키트를 구성하는 스코프 수단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수술용 툴 키트에서 스코프 수단의 관형부가 워킹튜브 부재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스코프 수단(200)은 공지의 것을 채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스코프 수단의 일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스코프 수단(200)은, 후술할 병변 수술도구가 가이드되도록 관통 형성되는 제1 가이드통로, 약물이 주입되고 배출되는 제2 및 제3 가이드통로 및 변병 부위의 영상을 취득하기 위하여 구성된 영상취득부의 내부 영상케이블이 안내되는 제4 가이드통로가 형성되는 관형튜브(210)와, 상기 관형튜브(210)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각 가이드통로와 연통되는 복수의 가이드통로가 형성되는 손잡이형 바디(220)와, 상기 손잡이형 바디(220)의 제2 및 제3 가이드통로와 각각 연통되는 약물 유입 포트(221)와 약물 배출 포트(미도시)와, 상기 영상취득부의 영상 신호를 외부 장치로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내부 케이블이 인출되게 형성되는 영상케이블 인출포트(230)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형 바디(220)에는 제1 가이드통로와 연통되는 가이드통로가 동일 선상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미설명부호 250은 영상취득부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 핸들이다.
여기에서, 상기 스코프 수단(200)의 관형튜브(210)의 외경은 상기 워킹튜브 부재(100)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다음으로,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수술용 툴 키트를 구성하는 병변 수술도구의 일 예인 디스크절삭 수술도구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도 6에 나타낸 디스크절삭 수술도구의 일단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수술용 툴 키트를 구성하는 병변 수술도구의 일 예인 디스크절삭 수술도구가 스코프 수단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수술용 툴 키트를 구성하는 병변 수술도구의 다른 예인 케이지삽입 수술도구가 스코프 수단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의 케이지삽입 수술도구의 조작처리부에 케이지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병변 수술도구(310)는 봉 형태의 몸체부(311)와, 상기 몸체부(311)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수술처리부(312), 및 상기 몸체부(311)의 타단부에 형성되어 조작 핸들(400)(도 10 참조)와 결합되는 결합부(313)로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311)의 외경은 상기 스코프 수단(200)의 관형튜브(210)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수술처리부(312)의 직경은 스코프 수단(200)의 관형튜브(210)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수술처리부(312)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삭 블레이드가 형성되어 상기 병변 수술도구(310)는 디스크절삭 수술도구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수술처리부(312)와 접하는 몸체부(311)에는 그 수술처리부(312)로부터 일정 간격을 수치(314)가 형성된다.
이러한 수치는 수술 시 스코프 수단(200)의 영상취득부에서 취득된 영상을 보면서 수술 깊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병변 수술도구는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스크가 제거된 공간으로 케이지를 삽입할 수 있는 케이지삽입 수술도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면에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 병변 수술도구는 디스크 사이를 확장시키기 위한 다일레이터(dylator)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수술처리부(312)는 케이지삽입구나, 확장구, 또는 집게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병변 수술도구의 결합부(313)는 조작 핸들(400)과 결합가능한 방식이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어떠한 결합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결합부(313)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조작 핸들(400)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결합공으로 형성되어 나사 결합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외에도 상기 결합부와 조작 핸들(400)은 후크 결합 방식으로 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병변 수술 도구는 수술처리부가 다양한 크기 및 형태를 갖는 복수 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병변 수술도구는 수술처리부(312)가 스코프 수단(200)의 관형튜브(21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수술 시 시술 맞는 병변 수술도구를 선택하여 스코프 수단(200)의 관형튜브(210)의 전방 측으로 삽입하고, 그 후단부인 결합부(313)에 조작 핸들(400)을 결합하여 이용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수술용 툴 키트는 워킹튜브 부재(100)에 상기 스코프 수단의 관형튜브(210)를 안정적으로 밀착시켜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로드 부재(guide road member)(500)를 더 포함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수술용 툴 키트를 구성하는 가이드로드 부재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수술용 툴 키트를 구성하는 가이드로드 부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수술용 툴 키트를 구성하는 워킹튜브 부재와 가이드로드 부재의 일측 단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가이드로드 부재(500)는 축방향으로 삽입통로(510)가 형성되는 장방형의 관형 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워킹튜브 부재(100)의 관통구멍(110)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그 내측의 삽입통로(510)에 스코프 수단(200)의 관형튜브(210)가 삽입 가이드되는 도구이다.
상기 가이드로드 부재(500)의 삽입통로(510)의 외경의 크기는 상기 워킹튜브 부재(100)의 내경의 크기 이하로 형성되고, 상기 스코프 수단(200)의 관형튜브(210)의 외경의 크기는 상기 가이드로브 부재(500)의 삽입통로(510)의 내경의 크기 이하로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가이드로드 부재(500)는 스코프 수단(200)의 관형튜브(210)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단부가 확장 원추대(530) 형태로 형성되고, 타단부는 가장자리에서 중앙측으로 갈수록 테이퍼(taper)지게 형성, 즉 수렴 원추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가이드로드 부재(500)는 도 11 및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단부의 외측에 걸림턱(520)이 형성되고, 상기 워킹튜브 부재(100)의 일단부의 관통구멍(110)에 걸림턱(140)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가이드로드 부재(500)와 워킹튜브 부재(100)에 걸림턱이 형성됨으로써 가이드로드 부재(500)가 워킹튜브 부재(100) 내로 완전히 삽입되지 않으며, 워킹튜브 부재(100)로부터 가이드로드 부재(500)를 용이하게 인입출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디스크 수술용 툴 키트를 이용하는 예시 및 이에 따른 작용 효과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일반적인 척추 유합술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5는 일반적인 절개 유합술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6은 일반적인 내시경 수술에서 신경 사이의 안전 공간을 경유하는 것을 나타내는 모식도이고, 도 17은 일반적으로 사용화된 케이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8은 상용 케이지를 삽입하는 모식도이다.
척추 유합술은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척추 사이에 인공 케이지를 넣고 나사로 유합 부위를 고정하는 방법으로 시행된다. 이러한 척추 유합술은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시술 부위를 절개하여 이루어지며 요통 및 출혈 등의 부작용이 많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이러한 절개 유합술을 대체하기 위한 일환으로 내시경 유합술을 이용한다. 내시경 수술은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신경 사이의 안전 공간인 캄빈 삼각(Kambin triangle)을 경유하여 시행하게 되는데, 이때 신경 손상 등이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또한, 기존의 내시경 유합술의 경우 내시경의 단면상 작업구(working channel)는 유합술에 사용되는 병변 수술도구 중 하나인 리머(reamer)(도 6 참조) 및 인공 케이지(도 17 참조)를 삽입할 수 없었고, 이러한 도구를 사용하기 위하여 내시경을 더 크게 구성하는데 한계가 따르며,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시경을 제거한 상태에서 삽입해야 하였다.
도 19 내지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수술용 툴 키트의 시작품을 이용하여 수술하는 과정에서 내시경 촬영한 사진으로, 도 19는 병변 부위에 워킹튜브 부재가 위치된 상태에서의 내시경 사진이고, 도 20은 병변 부위에 병변 수술도구 중 하나인 리머를 사용하고 있는 내시경 사진이며, 도 21은 병변 부위에 병변 수술도구 중 하나인 케이지 삽입수술 도구를 사용하고 있는 내시경 사진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앞서 설명하고 도 8 내지 도 10 및 도 19 내지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병변 수술도구인 리머나 케이지를 워킹튜브 부재를 개재한 상태에서 스코프 수단에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수술 도구가 내시경 시야 하에서 관찰될 수 있는 상태에서 수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수술용 툴 키트에 이 디스크 수술용 툴 키트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의 구성적 특징부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하였으므로, 설명의 간략화를 위하여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디스크 수술용 툴 키트에 따르면, 디스크 수술에 사용되는 구성요소를 최적으로 구성하여 수술 부위를 최소화하면서도 디스크 수술을 보다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또한 상대적으로 수술창을 작게 형성할 수 있어 환자의 침습을 최소화하고, 내시경을 통한 시야 확보로 정확하고 용이하게 디스크 수술을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워킹튜브 부재
110: 관통구멍
120: 경사진 끝단
130: 조작 손잡이
140, 520: 걸림턱
200: 스코프 수단
210: 관형튜브
220: 손잡이형 바디
230: 영상케이블 인출포트
310: 병변 수술도구
311: 몸체부
312: 수술처리부
313: 결합부
314: 수치
400: 조작 핸들
500: 가이드로드 부재
510: 삽입통로

Claims (8)

  1. 디스크 병변 부위를 수술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툴 도구 키트(kit)로서,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병변 부위로 삽입되는 워킹튜브 부재;
    상기 병변 부위의 영상 취득을 위한 영상취득부를 구비하고 복수의 가이드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워킹튜브 부재의 관통구멍을 따라 안내되는 관형튜브를 구비하는 스코프 수단;
    상기 스코프 수단의 가이드통로 중 하나로 삽입되어 병변 부위를 수술하기 위한 복수의 병변 수술도구; 및
    상기 워킹튜브 부재의 관통구멍으로 상기 스코프 수단의 관형튜브의 삽입 시, 상기 워킹튜브 부재의 관통구멍과 상기 스코프 수단의 관형튜브 사이에 개재되는 가이드로드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워킹튜브 부재의 관통구멍의 내경은 상기 스코프 수단의 관형튜브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병변 수술도구의 외경의 크기는 상기 스코프 수단의 관형튜브의 내경의 크기 이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수술용 툴 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병변 수술도구는 봉 형태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수술처리부, 및 상기 몸체부의 타단부에 형성되어 조작 핸들과 결합되는 결합부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의 외경은 상기 스코프 수단의 관형튜브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수술처리부의 직경은 상기 스코프 수단의 관형튜브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디스크 수술용 툴 키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술처리부는 절삭 블레이드 및 케이지 파지구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워킹튜브 부재의 일단부는 경사진 끝단을 갖고 구성되는
    디스크 수술용 툴 키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워킹튜브 부재는 타단부에는 상기 워킹튜브 부재의 몸체에서 직교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조작 손잡이가 형성되고,
    상기 조작 손잡이의 돌출 방향은 상기 경사진 끝단의 정점이 형성된 위치 또는 정점의 반대쪽 위치의 동일 선상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수술용 툴 키트.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로드 부재는 축방향으로 삽입통로가 형성되는 장방형의 관형 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이드로드 부재의 삽입통로의 외경의 크기는 상기 워킹튜브 부재의 내경의 크기 이하로 형성되고, 상기 스코프 수단의 관형튜브의 외경의 크기는 상기 가이드로드 부재의 삽입통로의 내경의 크기 이하로 형성되는
    디스크 수술용 툴 키트.
  7.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로드 부재는 일단부가 확장 원추대 형태로 형성되고, 타단부는 수렴 원추대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스코프 수단은 상기 병변 수술도구가 가이드되도록 관통 형성되는 제1 가이드통로, 약물이 주입되고 배출되는 제2 및 제3 가이드통로 및 병변 부위의 영상을 취득하기 위하여 구성된 영상취득부의 내부 영상케이블이 안내되는 제4 가이드통로가 형성되는 관형튜브와, 상기 관형튜브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각 가이드통로와 연통되는 복수의 가이드통로가 형성되는 손잡이형 바디와, 상기 손잡이형 바디의 제2 및 제3 가이드통로와 각각 연통되는 약물 유입 포트 및 약물 배출 포트와, 상기 영상취득부의 영상 신호를 외부 장치로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내부 영상케이블이 인출되게 형성되는 영상케이블 인출포트를 포함하되, 상기 손잡이 바디에는 상기 제1 가이드통로와 동일 선상으로 연통되는 가이드통로가 형성되는
    디스크 수술용 툴 키트.
  8.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로드 부재는 일단부의 외측에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워킹튜브 부재의 일단부의 관통구멍에 걸림턱이 형성되는
    디스크 수술용 툴 키트.
KR1020170049288A 2017-04-17 2017-04-17 디스크 수술용 툴 키트 KR1018264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9288A KR101826470B1 (ko) 2017-04-17 2017-04-17 디스크 수술용 툴 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9288A KR101826470B1 (ko) 2017-04-17 2017-04-17 디스크 수술용 툴 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6470B1 true KR101826470B1 (ko) 2018-02-07

Family

ID=61203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9288A KR101826470B1 (ko) 2017-04-17 2017-04-17 디스크 수술용 툴 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64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2074B1 (ko) * 2019-12-24 2020-11-23 김남배 내시경 일체형 경막외 수술 기구의 제작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내시경 일체형 경막외 수술 기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38624A (ja) * 2010-09-20 2013-10-17 スパイン ビュ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カニューレ挿入型切開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38624A (ja) * 2010-09-20 2013-10-17 スパイン ビュ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カニューレ挿入型切開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2074B1 (ko) * 2019-12-24 2020-11-23 김남배 내시경 일체형 경막외 수술 기구의 제작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내시경 일체형 경막외 수술 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21378B2 (en) Device and method for minimally invasive spinal intervention
EP0807415B1 (en) A cavity retaining tool for bone surgery, a cavity retaining tool for general surgery, an endoscopic surgery system involving the use of a cavity retaining tool
US10022172B2 (en) Minimally invasive posterolateral fusion
US5195541A (en) Method of performing laparoscopic lumbar discectomy
JP5133586B2 (ja) 低侵襲脊椎手術のための経皮的な位置合せおよびアクセスツール
US20090043312A1 (en) Articulating Transforaminal Lumbar Interbody Fusion Inserter Device and Associated Method of Use
WO2013074396A1 (en) Spinal therapy lateral approach access instruments
AU2013342208A1 (en) Interbody interference implant and instrumentation
KR19980702563A (ko) 사람의 흉추 및 요추 질병을 척추 외측부로부터 수술 교정하기 위한 방법 및 기구
KR101827675B1 (ko) 경막외 카테터 수술도구 키트
US11938041B2 (en) Passage establishment device for posterior spinal fusion minimally invasive surgery
US8486077B1 (en) Percutaneous posterolateral spine fusion
US2003001834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stalling cannula
KR101826470B1 (ko) 디스크 수술용 툴 키트
AU2011209483B2 (en) Mounting system for medulloscopy
KR102045383B1 (ko) 오버튜브
KR20210008958A (ko) 단일통로 척추 수술 도구 세트 및 단일통로 척추 수술 도구 세트의 사용 방법
KR20180087709A (ko) 디스크 수술용 툴 키트
CN112754416A (zh) 一种显微内窥镜
US10390968B2 (en) Device for spinal surgery, corresponding guide sleeve and kit with guide sleeve
CN217853085U (zh) 一种单侧双通道内镜ube专用套管
JP7402099B2 (ja) 脊椎手術用の可変外筒兼レトラクター器具
CN215777987U (zh) 一种探测装置及显微内窥镜
CN214966253U (zh) 普通脊柱内窥镜后入路环锯套管
US20240173146A1 (en)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es for spinal fus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