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6305B1 - 열전도 방지판이 구비된 종이컵 - Google Patents

열전도 방지판이 구비된 종이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6305B1
KR101826305B1 KR1020170044098A KR20170044098A KR101826305B1 KR 101826305 B1 KR101826305 B1 KR 101826305B1 KR 1020170044098 A KR1020170044098 A KR 1020170044098A KR 20170044098 A KR20170044098 A KR 20170044098A KR 101826305 B1 KR101826305 B1 KR 1018263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heat conduction
paper cup
cup body
plat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4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경욱
Original Assignee
강경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경욱 filed Critical 강경욱
Priority to KR1020170044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63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63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6305B1/ko
Priority to PCT/KR2018/001941 priority patent/WO2018155863A1/ko
Priority to US16/485,658 priority patent/US10893764B2/en
Priority to CN201880010724.0A priority patent/CN110267887B/zh
Priority to JP2019543288A priority patent/JP7104990B2/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6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drinking cups or like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2Glass or bottle holders
    • A47G23/0208Glass or bottle holders for drinking-glasses, plastic cup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 B65D3/28Other details of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전도 방지판이 구비된 종이컵에 관한 것으로, 종이컵에 열전도 방지판이 부착되어 종이컵과 함께 일체로 구비됨으로써 사용자가 음료 섭취시 빈번하게 별도의 열전도 방지판을 종이컵에 끼울 필요가 없으며, 일체형 열전도 방지판과 종이컵 몸체사이에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어 효과적인 열전도 차단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손가락으로 파지할 수 있을 정도의 면적으로 열전도 방지판이 구비됨으로써 저렴한 제조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고, 상방으로 갈수록 넓은 폭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손가락에서 덜 미끄러지도록 한 열전도 방지판이 구비된 종이컵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열전도 방지판이 구비된 종이컵{PAPER CUP FOR PREVENTING HEAT CONDUCTION}
본 발명은 열전도 방지판이 구비된 종이컵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종이컵에 열전도 방지판이 부착되어 종이컵과 함께 일체로 구비됨으로써 사용자가 음료 섭취시 빈번하게 별도의 열전도 방지판을 종이컵에 끼울 필요가 없으며, 일체형 열전도 방지판과 종이컵 몸체사이에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어 효과적인 열전도 차단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손가락으로 파지할 수 있을 정도의 면적으로 열전도 방지판이 구비됨으로써 저렴한 제조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고, 상방으로 갈수록 넓은 폭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손가락에서 덜 미끄러지도록 한 열전도 방지판이 구비된 종이컵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커피나 쥬스 등의 음료수를 수용하기 위하여, 음료수 자동판매기나 커피전문점 등에서는 종이컵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 사용되던 종이컵은 음료수를 수용하기 위한 원통형의 컵본체와, 사용자의 입술을 보호하고 상기 컵본체의 형상 유지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컵본체의 상단에 형성된 컬링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종이컵은 보통 얇은 종이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보통이므로, 뜨거운 커피나 차가운 쥬스가 수용된 경우에는 그 열기나 냉기가 사용자의 손으로 전달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종이컵을 파지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의 종이컵에 뜨거운 커피를 담아서 판매하는 커피전문점에서는 골판지로 제조되며 환형의 띠 형상을 가지는 홀더(미도시)를 상기 종이컵에 끼워서 고객에게 판매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홀더는 일반적으로 종이컵의 아래쪽에서 끼우는 방식을 취하고 있는데, 사용자가 잠시 종이컵을 탁자나 자동차의 컵홀더 등에 올려놓을 경우에는, 상기 홀더가 종이컵으로부터 분리되어 탁자 위로 떨어지는 현상이 자주 발생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다시 종이컵을 파지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탁자나 자동차의 컵홀더 위에 떨어져 있는 상기 홀더를 두 손으로 잡아 올려서 종이컵에 끼운 후에 파지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더불어, 종래의 홀더는 골판지로 제작되는 바, 그 비용이 많이 들기도 하지만, 종이컵을 파지할 때 손바닥 전체로 파지하지 않기 때문에 열전도를 염려하지 않아도 되는 부분까지도 단열시키게 되고, 이는 결과적으로 제조비용을 높이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커피숍이나 음료 판매점에서는 종이컵과 별도로 상기 홀더를 제공받아서 따로 보관하게 음료를 고객에게 준비해줄 때에 따로 고객이 챙겨야 하므로 고객도 불편하지만, 유통이나 홀더를 챙기고 관리해야 하는 판매점에서도 매우 불편하고 번거로웠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기존의 홀더는 단순하게 종이컵 외주연에 밀착되는 구조로만 구성되어져 있으므로 손에서 미끌어져 종이컵과 함께 바닥으로 떨어지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종이컵에 열전도 방지판이 부착되어 종이컵과 함께 일체로 구비됨으로써 사용자가 음료 섭취시 빈번하게 별도의 열전도 방지판을 종이컵에 끼울 필요가 없으며, 일체형 열전도 방지판과 종이컵 몸체사이에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어 효과적인 열전도 차단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손가락으로 파지할 수 있을 정도의 면적으로 열전도 방지판이 구비됨으로써 저렴한 제조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고, 상방으로 갈수록 넓은 폭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손가락에서 덜 미끄러지도록 한 열전도 방지판이 구비된 종이컵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상단이 개방되며 하단은 밀폐되어 내부에 음료를 담을 수 있게 된 컵 몸체(4)와; 상기 컵 몸체(4)의 외주연 소정부에 각각 대칭되게 부착되며, 컵 몸체(4)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게 조작되어 컵 몸체(4)의 열전달을 방지하게 되고, 손가락으로 파지할 수 있을 정도의 면적으로 열전도 방지판이 구비됨으로써 저렴한 제조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고, 상방으로 갈수록 넓은 폭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손가락에서 덜 미끄러지도록 한 열전도 방지판(6)이 부착되고; 상기 열전도 방지판(6)을 구성하는 판 몸체(7)의 중앙 소정부에 다수개가 세로방향으로 이웃하게 형성되고, 상기 판 몸체(7)가 컵 몸체(4)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중앙렉(B)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중앙렉(B)은 판 몸체(7)와 연장되고, 컵 몸체(4)로부터 중앙렉(B)을 일정거리 이격시키는 이격지지부(21)의 가장자리 부분을 절개하여 절곡이 용이하도록 한 제 2 절개부(18)가 형성되고; 중앙렉(B)의 상단에는 제 2부착부(2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도 방지판이 구비된 종이컵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열전도 방지판(6)은 손바닥 또는 손가락이 접촉되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사각형의 판으로 이루어진 판 몸체(7)와; 상기 판 몸체(7)의 상부에 연장되게 구성되며, 컵 몸체(4)의 상단 테두리인 컬링부에 끼워지거나 부착되어 고정된 열전도 방지판(6)이 판몸체(7)의 표면으로 일정길이 이상으로 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 1끼임부(12)가 그 상단에 구비된 상부 지지대(8)와; 상기 판 몸체(7)의 하부에 컵 몸체(4)에 부착되는 제 3부착부(26a)가 구비되고, 그 상단은 이격지지부(21)와 판몸체(7)의 사이에 형성된 구속부에 끼워져 열전도 방지판(6)이 판몸체(7)의 표면으로 일정길이 이상으로 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 2끼임부(26b)가 구비되어 판 몸체(7)의 하부를 탄성을 가진 상태로 지지하는 하부 지지대(22)와; 상기 판 몸체(7) 중 상기 상부 지지대(8)의 좌우측부에 형성되고 판 몸체(7)가 컵 몸체(4)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상부렉(A)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도 방지판이 구비된 종이컵이 제공된다.
삭제
바람직하게, 상기 상부렉(A)과 상기 상부지지대(8)의 사이에는 제 1절개부(10)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렉(A)은 복수의 절곡이 이루어지는 절곡라인에 절곡용 펀칭부(14)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렉(A)의 상단에는 제 1 부착부(16)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도 방지판이 구비된 종이컵이 제공된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열전도 방지판이 구비된 종이컵은 종이컵에 열전도 방지판이 일체로 구비되어 사용자가 음료 섭취시 빈번하게 열전도 방지판을 종이컵에 끼워서 사용할 필요가 없으며, 열전도 방지판이 컵 몸체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져 있으므로 매우 뜨거운 음료라고 할지라도 효과적으로 열 전달을 방지할 수 있고, 열전도 방지판은 자체 탄성이 있으므로 사용자가 파지시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으며, 열전도 방지판의 상단과 하단에 끼임부가 있어 열전도 방지판이 상하로 필요 이상 꺽이는것을 방지하고 손가락으로 파지할 수 있을 정도의 면적으로 열전도 방지판이 구비됨으로써 저렴한 제조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고, 상방으로 갈수록 넓은 폭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손가락에서 덜 미끄러진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전도 방지판을 평면상태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전도 방지판이 구비된 종이컵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전도 방지판이 구비된 종이컵을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전도 방지판이 구비된 종이컵을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전도 방지판을 평면상태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전도 방지판이 구비된 종이컵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전도 방지판이 구비된 종이컵을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전도 방지판이 구비된 종이컵을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전도 방지판이 구비된 종이컵에 열전도 방지판이 부착되어 종이컵과 함께 일체로 구비됨으로써 사용자가 음료 섭취시 빈번하게 별도의 열전도 방지판을 종이컵에 끼울 필요가 없으며, 일체형 열전도 방지판과 종이컵 몸체사이에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어 효과적인 열전도 차단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손가락으로 파지할 수 있을 정도의 면적으로 열전도 방지판이 구비됨으로써 저렴한 제조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고, 상방으로 갈수록 넓은 폭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손가락에서 덜 미끄러지도록 한 종이컵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전도 방지판이 구비된 종이컵(2)은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상단이 개방되며 하단은 밀폐되어 내부에 음료를 담을 수 있게 된 컵 몸체(4)와; 상기 컵 몸체(4)의 외주연 소정부에 각각 대칭되게 부착되며, 컵 몸체(4)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게 조작되어 컵 몸체(4)의 열전달을 방지하게 된 열전도 방지판(6)이 부착된다.
이때, 상기 컵 몸체(4)는 냉음료는 물론이고, 온음료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그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원통형의 부재이다.
상기 열전도 방지판(6)은 음료수가 수용된 종이컵(2)을 파지할 때 사용자의 손으로 음료의 온기 또는 냉기가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부재로서, 예컨대 종이, 부직포, 골판지, 발포 합성수지, 프라스틱, 폴리프로필렌 재질 또는 폴리에틸렌 코팅재질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열전도 방지판(6)은 종이컵(2)을 파지할 때, 사용자의 손가락을 포함한 손바닥 전체로 감싸듯이 파지하지 않기 때문에 필수적으로 파지시 밀착되는 면적 정도만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열전도 방지판(6)은 상기 컵 몸체(4)의 소정부에 부착되는 사각판으로 이루어지고, 상호 대칭되게 복수개가 컵 몸체(4)의 외주연에 부착되어 구성된다.
한편, 상기 열전도 방지판(6)은 상기 컵 몸체(4)로부터 임의대로 이탈되거나 분리되지 않도록 부착되는 바, 일정한 내열성과 내냉성을 가지는 공지의 접착제(미도시)를 상기 열전도 방지판(6)의 소정부와 컵 몸체(4) 사이에 도포함으로써 상기 열전도 방지판(6)을 상기 컵 몸체(4)에 접착시킬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열전도 방지판(6)은 손가락으로 파지할 수 있을 정도의 면적으로 열전도 방지판이 구비됨으로써 저렴한 제조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고, 상방으로 갈수록 넓은 폭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손가락에서 덜 미끄러지도록 한 열전도 방지판(6)이 부착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열전도 방지판(6)은 손바닥 또는 손가락이 접촉되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사각형의 판으로 이루어진 판 몸체(7)와; 상기 판 몸체(7)의 상부에 연장되게 구성되며, 컵 몸체(4)의 상단 테두리인 컬링부에 끼워지거나 부착되어 고정된 열전도 방지판(6)이 판몸체(7)의 표면으로 일정길이 이상으로 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 1끼움부(12)가 그 상단에 구비된 상부 지지대(8)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열전도 방지판(6)은 상기 판 몸체(7)의 하부에 컵 몸체(4)에 부착되는 제 3부착부(26a)가 구비되고, 그 상단은 이격지지부(21)와 판몸체(7)의 사이에 형성된 구속부에 끼워져 열전도 방지판(6)이 판몸체(7)의 표면으로 일정길이 이상으로 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 2끼임부(26b)가 구비되어 판 몸체(7)의 하부를 탄성을 가진 상태로 지지하는 하부 지지대(22)와; 상기 판 몸체(7)중 상기 상부 지지대(8)의 좌우측부에 형성되고 판 몸체(7)가 컵 몸체(4)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상부렉(A)과; 상기 판 몸체(7)의 중앙 소정부에 다수개가 세로방향으로 이웃하게 형성되고, 상기 판 몸체(7)가 컵 몸체(4)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중앙렉(B)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열전도 방지판(6)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평면도로 이루어진 시트를 제작하고, 소정의 위치가 컵몸체(4)에 부착된 그 시트를 그 시트의 상부지지대(8)를 엄지와 검지를 사용해 잡고 상방향으로 당겨 조립하면 컵 몸체(4)에 일정공간만큼 이격된 열전도 방지판(6)을 구성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상부렉(A)과 상기 상부지지대(8)의 사이에는 제 1절개부(10)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렉(A)은 복수의 절곡이 이루어지는 절곡라인에 절곡용 펀칭부(14)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렉(A)의 상단에는 제 1 부착부(16)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중앙렉(B)은 판 몸체(7)와 연장되고, 컵 몸체(4)로부터 판몸체(7)를 일정거리 이격시키는 이격지지부(21)의 가장자리 부분을 절개하여 절곡이 용이하도록 한 제 2 절개부(18)가 형성되고; 중앙렉(B)의 상단에는 제 2부착부(2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 1절개부(10)는 상기 상부 지지대(8)와 상부렉(A)의 경계를 절단하는 것으로, 일자형의 절개부를 가지며, 상기 제 2절개부(18)는 “ㄷ”자 형상으로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되고, 그 제 2절개부(18)의 내부 면적은 판 몸체(7)에 연장된 상태로 컵몸체(4)와 수평하게 위치하며 절곡을 용이하게 하 상기 중앙렉(B)이 일정한 이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중앙렉(B)은 바람직하게 3개 정도인 것이 좋다.
제 3절개부(24)는 상기 하부지지대(22)를 시트로 제작된 열전도 방지판(6)의 평면도에서 이탈시키기 위한 절개부로서, 그 중앙소정부는 절개상태가 아닌 비절개부이다.
또한, 절곡라인이 형성된 다수의 위치에는 모두 절곡용 펀칭부(14)가 형성된 바, 별도의 펀칭기(미도시)를 통해 절곡라인을 일정간격으로 펀칭함으로써 차후 용이한 절곡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러한 절곡부는 일자 프레스를 이용하여 반복적으로 가압하여 절곡시킨다.
또한, 제 1, 2, 3부착부(16, 20, 26a)는 접착제를 이용한 접합도 가능하지만, PE 고온 고압 접합으로 부착될 수 있는 바, 접합방식은 접착제를 이용한 접합 또는 고온고압 접합 또는 초음파 접합 또는 고주파 접합 또는 열풍 접합방식을 임의대로 선택해서 적용할 수 있다.
제 1끼임부(12)는 상부 지지대(8)의 상단에 구성된 바, 제 1끼임부(12)는 상기 컵 몸체(4)의 상단 테두리인 컬링부에 끼워지거나 부착되어 고정된다.
제 2끼임부(26b)는 상기 하부 지지대(22)의 상단을 구성하되, 상기 이격지지부(21)와 판몸체(7)의 사이에 형성된 ㄱ자 형상의 구속부에 끼워져서, 판 몸체(7)의 하부를 탄성을 가진 상태로 지지하게 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전도 방지판이 구비된 종이컵의 기능과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전도 방지판이 구비된 종이컵(2)은 도 1에 도시된 평면도를 갖는 시트에서, 제 1, 2, 3 절개부(10, 18, 24)를 절개한 다음, 제 1, 2부착부(16, 20)를 상기 컵 몸체(4)에 대해 부착한다. 그 상태에서 상기 제 3절개부(24)를 통해 판 몸체(7)에 일부 부착된 하부 지지대(22)는 상부지지대(8)를 엄지와 검지를 잡고 상방향으로 당겨 판 몸체(7)로부터 이탈시킨다.
특히 상기 제 3부착부(26a)는 상기 컵 몸체(4)의 하단에 부착하고, 상기 제 2끼임부(26b)는 상기 하부지지대(22)의 상단을 상기 이격지지부(21)와 판몸체(7) 사이의 'ㄱ'자 형상의 구속부에 끼워지게 되는 바, 상기 제 2끼임부(26b)는 상기 이격지지부(21)와 판몸체(7)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 1끼임부(12)는 컵 몸체(4)의 상단에 형성된 보강 테두리인 컬링부의 틈에 최대한 끼워서 고정시킨다.
사용자가 상기 판몸체(7)를 가압하면 탄성력을 제공하게 되고, 상기 이격지지부(21)와 판몸체(7) 사이를 이탈하지 않게 된다.
조립이 완성된 상태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전도 방지판이 구비된 종이컵(2)을 사용하기 위해, 사용자가 종이컵(2)의 외주연에 대칭되도록 부착된 상기 상기 열전도 방지판(6)을 파지하게 되면, 궁극적으로 엄지손가락으로는 상기 컵 몸체(4)로부터 일정한 거리만큼 이격된 열전도 방지판(6)에 밀착하고, 나머지 4개의 손가락중 일부 손가락 또는 전부의 손가락은 반대편에 부착된 또 다른 열전도 방지판(6)에 밀착되어 파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열전도 방지판(6)은 상기 컵 몸체(4)에 대해 일정간격 이격되어져 있기도 하지만, 자체 탄성으로 인해 사용자가 손이나 손가락으로 열전도 방지판(6)을 파지하게 되면 열전도 방지판(6)이 손가락에 접지되고 중앙부가 탄성력에 의해 컵 몸체(4)방향으로 휘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열전도 방지판(6)은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손으로부터 쉽게 미끄러지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열전도 방지판(6)이 컵 몸체(4)에 부착되어져 있으므로, 기존의 홀더(환형의 열전도 방지링)과 같이 종이컵 사용시마다 별도로 홀더를 따로 챙겨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게 된다.
또, 본 발명은 손가락으로 파지할 수 있을 정도의 면적으로 열전도 방지판이 구비됨으로써 저렴한 제조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고, 상방으로 갈수록 넓은 폭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손가락에서 덜 미끄러진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전도 방지판이 구비된 종이컵은 단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4: 컵 몸체, 6:열전도 방지판,
7:판 몸체, 8:상부지지대,
22:하부지지대, A:상부렉,
B:하부렉.

Claims (4)

  1.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상단이 개방되며 하단은 밀폐되어 내부에 음료를 담을 수 있게 된 컵 몸체(4)와;
    상기 컵 몸체(4)의 외주연 소정부에 각각 대칭되게 부착되며, 컵 몸체(4)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게 조작되어 컵 몸체(4)의 열전달을 방지하게 되고, 손가락으로 파지할 수 있을 정도의 면적으로 열전도 방지판이 구비됨으로써 저렴한 제조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고, 상방으로 갈수록 넓은 폭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손가락에서 덜 미끄러지도록 한 열전도 방지판(6)이 부착되고;
    상기 열전도 방지판(6)을 구성하는 판 몸체(7)의 중앙 소정부에 다수개가 세로방향으로 이웃하게 형성되고, 상기 판 몸체(7)가 컵 몸체(4)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중앙렉(B)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중앙렉(B)은 판 몸체(7)와 연장되고, 컵 몸체(4)로부터 중앙렉(B)을 일정거리 이격시키는 이격지지부(21)의 가장자리 부분을 절개하여 절곡이 용이하도록 한 제 2 절개부(18)가 형성되고; 중앙렉(B)의 상단에는 제 2부착부(2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도 방지판이 구비된 종이컵.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 방지판(6)은 손바닥 또는 손가락이 접촉되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사각형의 판으로 이루어진 판 몸체(7)와;
    상기 판 몸체(7)의 상부에 연장되게 구성되며, 컵 몸체(4)의 상단 테두리인 컬링부에 끼워지거나 부착되어 고정된 열전도 방지판(6)이 판몸체(7)의 표면으로 일정길이 이상으로 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 1끼임부(12)가 그 상단에 구비된 상부 지지대(8)와;
    상기 판 몸체(7)의 하부에 컵 몸체(4)에 부착되는 제 3부착부(26a)가 구비되고, 그 상단은 이격지지부(21)와 판몸체(7)의 사이에 형성된 구속부에 끼워져 열전도 방지판(6)이 판몸체(7)의 표면으로 일정길이 이상으로 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 2끼임부(26b)가 구비되어 판 몸체(7)의 하부를 탄성을 가진 상태로 지지하는 하부 지지대(22)와;
    상기 판 몸체(7) 중 상기 상부 지지대(8)의 좌우측부에 형성되고 판 몸체(7)가 컵 몸체(4)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상부렉(A)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도 방지판이 구비된 종이컵.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렉(A)과 상기 상부지지대(8)의 사이에는 제 1절개부(10)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렉(A)은 복수의 절곡이 이루어지는 절곡라인에 절곡용 펀칭부(14)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렉(A)의 상단에는 제 1 부착부(16)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도 방지판이 구비된 종이컵.
  4. 삭제
KR1020170044098A 2017-02-21 2017-04-05 열전도 방지판이 구비된 종이컵 KR1018263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4098A KR101826305B1 (ko) 2017-04-05 2017-04-05 열전도 방지판이 구비된 종이컵
PCT/KR2018/001941 WO2018155863A1 (ko) 2017-02-21 2018-02-14 열전도 방지판이 구비된 종이컵
US16/485,658 US10893764B2 (en) 2017-02-21 2018-02-14 Paper cup provided with heat conduction prevention plate
CN201880010724.0A CN110267887B (zh) 2017-02-21 2018-02-14 设置有防热板的纸杯
JP2019543288A JP7104990B2 (ja) 2017-02-21 2018-02-14 熱伝導防止板が備えられた紙コップ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4098A KR101826305B1 (ko) 2017-04-05 2017-04-05 열전도 방지판이 구비된 종이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6305B1 true KR101826305B1 (ko) 2018-02-06

Family

ID=61228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4098A KR101826305B1 (ko) 2017-02-21 2017-04-05 열전도 방지판이 구비된 종이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6305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95738A1 (en) Double rimmed beverage cup and holder
US10893764B2 (en) Paper cup provided with heat conduction prevention plate
US5950856A (en) Plate and cup holder
KR200445973Y1 (ko) 단열재가 부착된 종이컵
US20110233223A1 (en) Cup sleeve
KR101826305B1 (ko) 열전도 방지판이 구비된 종이컵
KR101243076B1 (ko) 종이컵 홀더
EP3073872B1 (en) Plate
KR101775646B1 (ko) 열전도 방지판이 구비된 종이컵
JP5742514B2 (ja) 保温器
KR20110003713U (ko) 컵 홀더
KR102031540B1 (ko) 자원 절약형 무접착 친환경 비대칭 컵 홀더 및 이를 수용하는 다수의 중공부가 형성된 컵 캐리어
US20170240339A1 (en) Universal Insulating Binder
KR102175815B1 (ko)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컵 홀더
KR100905739B1 (ko) 컵 홀더
US9416803B1 (en) Clip with aperture opening means
KR101719068B1 (ko) 자원절약형 안전 컵홀더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20006515U (ko) 컵 홀더
KR101834386B1 (ko) 홀더로 사용 가능한 캡
JP6650544B1 (ja) Ptp包装シート
US3426911A (en) Utility holding device
US20160120348A1 (en) Multi-function composite cup holder
KR20230056994A (ko) 거치 수단이 마련된 컵 슬리브
KR200483481Y1 (ko) 수저 받침용 구조
JP3189302U (ja) カップホル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