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6281B1 - 수중 침식 및 퇴적에 의한 해양지형 변화 관측용 실시간 감지시스템 - Google Patents

수중 침식 및 퇴적에 의한 해양지형 변화 관측용 실시간 감지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6281B1
KR101826281B1 KR1020170118691A KR20170118691A KR101826281B1 KR 101826281 B1 KR101826281 B1 KR 101826281B1 KR 1020170118691 A KR1020170118691 A KR 1020170118691A KR 20170118691 A KR20170118691 A KR 20170118691A KR 101826281 B1 KR101826281 B1 KR 1018262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rine
unit
observation
data
ter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8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창범
Original Assignee
(주)더모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더모스트 filed Critical (주)더모스트
Priority to KR1020170118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62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62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62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3/00Surveying specially adapted to open water, e.g. sea, lake, river or canal
    • G01C13/008Surveying specially adapted to open water, e.g. sea, lake, river or canal measuring depth of open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2/18Buoys having means to control attitude or position, e.g. reaction surfaces or teth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05Geographic model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022/006Buoys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or watch purposes

Abstract

본 발명은 특정 해양구간의 수면에 부유하면서 해양지형의 상태 변화 등을 실시간으로 수집해 제공하는 수중 침식 및 퇴적에 의한 해양지형 변화 관측용 실시간 감지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스탠드(146)와, 방수케이스(147)와, GPS(144)와, 자세보정센서(142)와, 음향측심기(143)와, 컨트롤러(145)와, 무선통신모듈(141)로 이루어진 관측유닛(140); 부력체(130); 부양체(110); 하우징(121)과, 자성유닛(122)과, 토션스프링(123)과, 롤러(124)와, 도어(124)로 이루어진 링커(120);로 구성된 해양지형 관측장치(100), 무선통신모듈(210)과, 정보검출모듈(220)과, 저장모듈(230);로 구성된 해양 관측정보 관리기(200)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수중 침식 및 퇴적에 의한 해양지형 변화 관측용 실시간 감지시스템{SYSTEM FOR REALTIME OBSERVATION OF CHANGE IN THE SEA FLOOR}
본 발명은 특정 해양구간의 수면에 부유하면서 해양지형의 상태 변화 등을 실시간으로 수집해 제공하는 수중 침식 및 퇴적에 의한 해양지형 변화 관측용 실시간 감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저 지형변화 조사는, 수중탐지기를 탐사선박으로 끌고 가면서 수중탐지기로부터 생성된 해저영상을 매개로 지형변화를 확인함으로써 이루어지며, 이러한 종래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15471호의 "수중탐지기"가 알려져 있다.
종래 수중탐지기는, 탐사선박에 의해 끌려가면서 해양지형에 따른 해저영상을 생성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수중탐지기는, 탐사선박과 연결해주는 와이어가 끊어질 경우, 수중탐지기가 가라앉으면서 분실되기 쉬웠다. 따라서, 고가의 수중탐지기를 찾기 위해 많은 시간과 노동력이 소비되었다.
이에, 상기 수중탐지기의 분실을 방지하며, 안정적으로 해양지형을 확인할 수 있는 해수로의 지형변화 확인 및 해양지형 정보 갱신시스템이 요구되었고,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편으로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10-0936467호의 "음향 탐사를 통한 해수로의 지형변화 확인 및 해양지형 정보 갱신시스템"이 개시되었다.
특허 등록 제10-0936467호는, 수중탐지기의 탐지기바디에 부양장치 및 표식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수중탐지기와 탐사선박을 연결하는 와이어의 연결이 끊어지더라도, 수중탐지기를 용이하게 찾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수중탐지기의 장기간 사용 또는 기타 외력에 의해 인양장치의 인양와이어가 끊어지면서 수중탐지기가 가라앉게 되면, 제어유닛이 부양장치밸브를 개방하여 고압의 압축가스로 부력체를 팽창시킴으로써 부력체의 부력에 의해 수중탐지기가 수면으로 부양되도록 한 것이다.
하지만 전술한 수중탐지기를 이용한 해양지형 관측 기술은 관측 일자를 지정해서 그 날짜에만 수중탐지기를 배치해 관측하고, 그 외에는 해양지형을 관측할 수 없었다. 물론 이러한 한계는 해양지형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없고, 해양지형 변화에 대한 예측 역시 사실상 불가능하므로, 효율적이고 정확한 해양지형 관측을 수행하는데 한계일 수밖에 없었다.
선행기술문헌 1. 등록실용신안번호 제20-0415471호(2006.05.03 공고)
선행기술문헌 2. 특허등록번호 제10-0936467호(2010.01.20 공고)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해양지형에 대한 관측을 위해 해상에 상주하면서 지정된 구간에 해양지형 변화를 실시간으로 관측하고, 해양지형의 변화 흐름과 변화 방향은 물론 변화 예측까지도 정확히 파악해 수집할 수 있도록 하는 수중 침식 및 퇴적에 의한 해양지형 변화 관측용 실시간 감지시스템의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부상유닛(111)을 관통하여 상단부는 해상의 공기 중에 위치하고 하단부는 수중에 위치하는 막대 형상의 스탠드(146)와, 스탠드(146)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방수케이스(147)와, 위치를 확인해서 위치데이터로 생성하며 방수케이스(147)에 수용되는 GPS(144)와, 부양유닛(111)의 요동 방향을 감지해서 요동방향 데이터를 생성하며 스탠드(146)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자세보정센서(142)와, 해양지형으로 음파를 발진하고 반사파를 수신해서 음향데이터를 생성하며 스탠드(146)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음향측심기(143)와, GPS(144)와 자세보정센서(142)와 음향측심기(143)로부터 상기 위치데이터와 요동방향 데이터와 음향데이터를 각각 수신하면 상기 위치데이터 및 요동방향 데이터를 기준으로 음향데이터의 발진 방향을 연산해서 확인된 관측지점의 해저위치와 수심과 상기 위치데이터와 상기 음향데이터를 관측정보로 생성하고 방수케이스(147)에 수용되는 컨트롤러(145)와, 상기 관측정보를 컨트롤러(145)로부터 수신해서 무선 발신하며 방수케이스(147)에 수용되는 무선통신모듈(141)로 이루어진 관측유닛(140); 부상유닛(111)에 설치되고, 일측에 자화유닛(131)을 구성하며, 기체를 충전한 주머니 형상의 부력체(130); 해상에서 부유 가능한 재질의 부상유닛(111)을 구비한 부양체(110); 원형의 중공을 형성하고 상기 중공을 개구해서 와이어(W)가 입출하는 입구(E1)와 출구(E2)를 형성하고 상기 중공의 바닥부(h1)는 출구(E2)를 향해 하방으로 경사진 형태를 이루며 부상유닛(111)에 설치되는 하우징(121)과, 자화유닛(131)과 자력으로 결착하는 자성유닛(122)과, 일방향으로 탄력을 가해서 회전축(123a)을 회전시키는 토션스프링(123)과, 중심을 관통한 회전축(123a)과 연결되어서 입구(E1)로 인입한 와이어(W)를 감도록 하우징(121)의 중공에서 회전하는 롤러(124)와, 출구(E2)를 개폐하도록 탄성의 힌지(125a)를 중심으로 외향하게 여닫히는 도어(124)로 이루어진 링커(120);로 구성된 해양지형 관측장치(100),
해양지형 관측장치(100)로부터 발신된 관측정보를 수신하고 식별하는 무선통신모듈(210)과, 상기 관측정보에 구성된 관측지점의 해저위치와 수심과 상기 위치데이터와 상기 음향데이터를 확인해서 해양지형을 2차원 또는 3차원의 지형이미지로 그래픽화하는 정보검출모듈(220)과, 상기 지형이미지를 시간대별로 저장하는 저장모듈(230);로 구성된 해양 관측정보 관리기(200)
를 포함하는 수중 침식 및 퇴적에 의한 해양지형 변화 관측용 실시간 감지시스템이다.
상기의 본 발명은, 해양지형에 대한 관측을 위해 해상에 상주하면서 지정된 구간에 해양지형 변화를 실시간으로 관측하고, 해양지형의 변화 흐름과 변화 방향은 물론 변화 예측까지도 정확히 파악해 수집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감지시스템의 설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감지시스템의 구성 모습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감지시스템이 생성한 해양지형의 3차원 이미지를 보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해양지형 관측장치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한 해양지형 관측장치의 일부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한 해양지형 관측장치의 구성요소인 권취기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상기 권취기의 단면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해양지형 관측장치의 동작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내용이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감지시스템의 설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감지시스템의 구성 모습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감지시스템이 생성한 해양지형의 3차원 이미지를 보인 도면이다.
본 실시의 감지시스템은 해상에 상시 부유하면서 해양지형을 관측하는 해양지형 관측장치(100, 100', 100"; 이하 '100')와, 해양지형 관측장치(100)의 관측정보를 무선 수신하여 검출 및 저장하는 해양 관측정보 관리기(200)를 포함한다.
해양지형 관측장치(100)는 해상 부유를 위한 부양체(110)와, 해양지형을 관측하는 관측유닛(140)을 포함한다. 부양체(110)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한다.
관측유닛(140)은 무선통신모듈(141)과, 현재 위치를 확인해서 위치데이터로 생성하는 GPS(144)와, 부양체(110)의 요동 방향을 감지해서 요동방향 데이터를 생성하는 자세보정센서(142)와, 해양지형으로 음파를 발진하고 반사파를 수신해서 음향데이터를 생성하는 음향측심기(143)와, GPS(144)와 자세보정센서(142)와 음향측심기(143)로부터 상기 위치데이터와 요동방향 데이터와 음향데이터를 각각 수신하면 상기 위치데이터 및 요동방향 데이터를 기준으로 음향데이터의 발진 방향을 연산해서 확인된 관측지점의 해저위치와 수심과 상기 위치데이터와 상기 음향데이터를 관측정보로 생성하며 무선통신모듈(141)을 통해 상기 관측정보를 발신하는 컨트롤러(145)로 구성된다.
본 실시의 음향측심기(143)는 직하부의 해양지형 정보를 음향데이터로 획득하는 단빔 음향측심기(Single beam echosounder)를 사용할 수도 있고, 다중빔 음향측심기(Multi beam echosounder)를 사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다중빔 음향측심기는 음파의 송신 및 수신 범위 안에서 바다 밑 횡단면 전체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 것으로, 본 실시의 음향측심기(143)는 다중빔 음향측심기로 구성한다.
계속해서, 해상에 부유하는 해양지형 관측장치(100)가 파도 등에 의하여 요동하며, 음향측심기(143)의 음파 발진 방향 또는 상기 요동과 함께 변화가 발생한다. 따라서 자세보정센서(143)는 해양지형 관측장치(100)의 자세정보(pitch, roll)인 요동방향 데이터를 획득하고, 음향측심기(143)는 측심량인 음향데이터를 획득하며, 컨트롤러(145)는 상기 요동방향 데이터를 기준으로 해양지형에 대한 음향데이터를 연산해서 관측지점의 해저위치와 수심을 확인한다.
해양 관측정보 관리기(200)는 해양지형 관측장치(100, 100', 100")로부터 발신된 관측정보를 수신하고 식별하는 무선통신모듈(210)과, 상기 관측정보에 구성된 관측지점의 해저위치와 수심과 상기 위치데이터와 상기 음향데이터를 확인해서 도 3에서 보인 대로 해양지형을 2차원 또는 3차원의 지형이미지로 그래픽화하는 정보검출모듈(220)과, 상기 이미지를 시간대별로 저장하는 저장모듈(230)을 포함한다.
관측유닛(140)은 제 위치를 항시 유지하는 해양지형 관측장치(100)에 설치되어서 지정된 해양지형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다. 따라서 이러한 정보 수집을 통해 해양지형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관측하고 변화 내용을 동영상 형태로 연출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실시의 해양지형 관측장치(100)는 해양지형의 변화가 빈번한 위치에 상시 배치시켜서 해양지형을 관측하고 지형의 변화를 예측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해양지형 관측장치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의 해양지형 관측장치(100)는, 수면에서 부유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 부상유닛(111)을 구비한 부양체(110); 와이어(W)가 연결되도록 부상유닛(111)에 설치되는 링커(120);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의 부상유닛(111)은 평면이 평평한 4각 형상일 수 있으며, 반사도가 높은 재질의 식별유닛(112)이 부상유닛(111)의 평면에 설치될 수 있다. 식별유닛(112)은 해양지형 관측장치(100)를 공중에서 가시할 수 있도록 부가된 것이며, 별도의 무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부상유닛(111)은 평판 형상을 이루며, 해상에서 부유를 위해 밀도가 낮은 재질이고, 장시간 부유를 위해서 흡수성이 낮은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부상유닛(111)은 밀폐된 중공을 갖는 형상일 수도 있으며, 본 실시와 같이 평판 형상 이외에도 해상 부유가 가능한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본 실시의 링커(120)는 부상유닛(111)에 설치되며, 해저면에 위치한 앵커(A)와 와이어(W)를 매개로 연결되어서 부양체(110)가 해상에 정박하도록 한다. 본 실시에서 링커(120)는 부상유닛(111)으로부터 입설된 핀이나, 와이어(W)를 연결할 수 있는 고리 등의 다양한 형상일 수 있다.
본 실시의 관측유닛(140)은 무선통신모듈(141)과 자세보정센서(142)와 음향측심기(143)와 GPS(144)와 컨트롤러(145)와 더불어서, 부상유닛(111)을 관통하여 상단부는 해상의 공기 중에 위치하고 하단부는 수중에 위치하는 막대 형상의 스탠드(146)와, 무선통신모듈(141)과 GPS(144)와 컨트롤러(145)를 수용하며 스탠드(146)의 상기 상단부에 설치되는 방수케이스(147)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방수케이스(147)은 방수가 반드시 요구되는 무선통신모듈(141)과 GPS(144)와 컨트롤러(145)를 감싸 보호하며, 해수면으로부터 가급적 원격에 배치된다.
참고로, 관측유닛(140)의 구성요소에서 음향측심기(143)를 제외한 다른 구성유닛(141, 142, 144, 145)는 스탠드(146)의 상단부에 비치되고, 음향측심기(143)는 해양지형 관측을 위해 스탠드(146)의 하단부에 비치된다.
이외에도 무선통신모듈(141)은 안정된 무선통신을 위해서 충분한 길이의 안테나(141a)가 스탠드(146)의 상단에 설치될 수 있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해양지형 관측장치의 일부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한 해양지형 관측장치의 구성요소인 권취기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의 링커(120)는 부상유닛(111)에 설치되어서, 앵커(A)에 연결된 와이어(W)를 감거나 푸는 권취기능을 갖는 권취기이다. 상기 권취기 기능을 하는 본 실시의 링커(120)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의 링커(120)는 부상유닛(111)의 코너 부분에 설치되어서 브래킷(B) 등의 체결수단을 매개로 고정되며, 와이어(W)를 항시 인입하도록 권취 기능의 롤러(124)를 구성한다. 따라서 링커(120)는 바다의 수위에 변화에 따라 와이어(W)를 인입출해서, 와이어(W)의 풀림을 방지한다. 참고로 본 실시는 링커(120)의 위치가 부상유닛(111)의 코너부분이라고 했으나, 이외에도 부상유닛(111)은 완전한 사각형상을 유지하며 링커(120)가 별도로 배치되는 구성일 수도 있고, 부상유닛(111)의 중간부 또는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해양지형 관측장치(100)는 링커(120)를 부상유닛(111)의 코너에 배치함으로써 부양체(110)가 편중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링커(120)와 인접하게 설치되는 부력체(130, 130')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의 부력체(130, 130')는 공기보다 밀도가 낮은 수소 또는 헬륨 등의 가스가 채워진 밀폐된 주머니이며, 이를 통해서 링커(120)에 의한 부양체(110)의 편중을 최소화한다. 참고로, 부력체(130, 130')는 수상으로의 부유에 한하지 않고, 공기 중에서도 해양지형 관측장치(100)의 부상을 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므로, 주머니 내에는 전술한 종류의 가스로 충전되어야 한다.
본 실시의 링커(120)와 부력체(130, 130')의 구성과 설치 구조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의 링커(120)는, 원형의 중공(h)을 형성한 하우징(121)과, 부력체(130, 130')와 하우징(121)을 결착하는 자성유닛(122)과, 일방향으로 탄력을 가해서 회전축(123a)을 회전시키는 토션스프링(123)과, 중심을 관통한 회전축(123a)과 연결되어서 하우징(121)의 중공(h)에서 회전하는 롤러(124)를 포함한다.
한편, 본 실시의 부상유닛(111)은 부력체(130, 130')를 수용하는 공간(S)을 내부에 형성한 형태를 이룬다.
계속해서 부력체(130, 130')는 링커(120)와 연결되어서, 링커(120)의 하중으로 인한 부상유닛(111)의 편중을 보상한다. 결국, 해상에서 부양하는 해양지형 관측장치(100)가 편중으로 인해 기울어지는 문제를 부양체(110)가 보상해서 항공촬영 중에는 물론 지상측량에서도 정확한 식별이 가능해진다.
이를 위한 본 실시의 부력체(130, 1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공기보다 밀도가 낮은 가스를 채운 주머니이며, 일측에는 부양체(110)의 자성유닛(122)과 자력에 의해 부착하는 자화유닛(131)을 포함한다.
본 실시에서 하우징(121)은 사각기둥 형상을 이루고, 부력체(130, 130')는 하우징(121)과의 결착을 위한 사각기둥 형상을 이루며, 각각의 측면에 배치된 자성유닛(122)과 자화유닛(131)은 자력으로 인해 상호 간에 긴밀히 결착한다. 따라서, 도 5에서 보인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해양지형 관측장치(100)는 부력체(130, 130')를 각각 자화유닛(131)이 보이도록 부상유닛(111)의 공간(S)에 삽입하고, 자성유닛(122)이 부력체(130, 130')의 자화유닛(131)을 향하도록 링커(120)를 부상유닛(111)에 끼워 맞춘다. 따라서 부상유닛(111)의 공간(S)에 삽입된 부력체(130, 130')는 자성유닛(122)의 자력에 의해서 링커(120)와 그대로 연결된다. 본 실시는 서로 독립된 2개의 부력체(130, 130')가 구성되므로, 하우징(121)의 적어도 4개의 측면에 자성유닛(122)을 구성한다.
한편, 하우징(121)은 사각 기둥 형상을 이루며, 와이어(W)가 인입출하는 입구(E1)를 형성한다. 또한 롤러(124)를 내설하는 중공(h)은 원형 롤러(124)에 상응하는 원형의 홀 형상을 이루는데, 이는 중공(h)의 부피를 최소화해서 입구(E1)를 통해 유입하는 해수가 부상유닛(111)에 가하는 중량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계속해서, 하우징(121)은 중공(h)의 바닥부를 외부에 개방하는 출구(E2)를 더 형성하며, 링커(120)는 출구(E2)를 개폐하는 도어(125)를 더 포함한다. 이에 대한 설명은 아래에서 다시 한다.
결국, 롤러(124)는 중공(h)에서 토션스프링(123)의 회전축(123a)으로부터 회전력을 받아 회전하면서 와이어(W)를 감거나 푼다. 즉, 고수위가 되면 수위상승에 따라 와이어(W)에 토션스프링(123)의 탄력보다 강한 장력이 미쳐서 와이어(W)는 롤러(124)로부터 풀리게 되고, 저수위가 되면 수위하강에 따라 와이어(W)에 장력보다 강한 토션스프링(123)의 탄력 미쳐서 와이어(W)는 롤러(124)에 감기게 된다.
본 실시의 하우징(121)은 토션스프링(123)의 코일부(미 도시함)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단에 밀폐부(121c)를 구성해서 회전축(123a)만 상방으로 인출하도록 했다. 따라서 해수에 의해 금속성 코일부가 부식하는 것을 최소화한다.
도 7은 상기 권취기의 단면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의 하우징(121)은 일측에 출구(E2)를 형성하고, 중공(h)의 바닥부(h1)는 출구(E2)를 향해 하방으로 경사진 형태를 이룬다. 또한 본 실시의 링커(120)는 출구(E2)를 개폐하도록 탄성의 힌지(125a)를 중심으로 외향하게 여닫히는 도어(125)를 더 포함한다.
여닫이식 도어(125)는 외향으로만 여닫히므로, 도 7의 (b)도면에서 보인 바와 같이 중공(h)의 바닥부(h1)로부터 흘러내리는 중공(h)에 해수가 원활히 배수되게 하고, 평상시에는 도 7의 (a)도면에서 보인 바와 같이 탄성의 힌지(125a)로 인해서 도어(125)가 출구(E2)를 폐구하며, 도 7의 (c)도면에서 보인 바와 같이 해수의 수위가 출구(E2) 높이까지 높아져도 수압은 물론 탄성의 힌지(125a)에 의해 출구(E2)를 폐구한다.
결국, 중공(h)으로 유입된 해수는 출구(E2)를 통해 원활한 배수가 가능한 반면, 외부 해수는 출구(E2)를 통한 중공(h)으로의 유입이 곤란한 구조를 이룬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해양지형 관측장치의 동작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의 해양지형 관측장치(100)는 도 8의 (a)도면과 같이 해수의 수위가 높아지면 와이어(W)가 풀리면서 앵커(A)가 위치한 지점에 안정적으로 정지하며 정박하고, 해수의 수위가 낮아지면 와이어(W)를 감아서 조류에 의한 이동을 저지하므로 이 역시 앵커(A)가 위치한 지점에 안정적으로 정지하며 정박할 수 있다.
따라서 수위 변화에 상관없이 해양지형 관측장치(100)는 제 위치를 유지하면서, 지정된 범위의 해양지형을 정밀하게 관측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해 설명했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해양지형 관측장치 110; 부양체 111; 부상유닛
112; 식별유닛 113; 지상표식유닛 120; 링커
121; 하우징 122; 자성유닛 123; 토션스프링
123a; 회전축 124; 도어 125a; 힌지
130, 130'; 부력체 131; 자화유닛 A; 앵커
B; 브래킷 E1; 입구 E2; 출구
h; 중공 h1; 바닥부 W; 와이어
M; 측량기게

Claims (1)

  1. 부상유닛(111)을 관통하여 상단부는 해상의 공기 중에 위치하고 하단부는 수중에 위치하는 막대 형상의 스탠드(146)와, 스탠드(146)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방수케이스(147)와, 위치를 확인해서 위치데이터로 생성하며 방수케이스(147)에 수용되는 GPS(144)와, 부양유닛(111)의 요동 방향을 감지해서 요동방향 데이터를 생성하며 스탠드(146)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자세보정센서(142)와, 해양지형으로 음파를 발진하고 반사파를 수신해서 음향데이터를 생성하며 스탠드(146)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음향측심기(143)와, GPS(144)와 자세보정센서(142)와 음향측심기(143)로부터 상기 위치데이터와 요동방향 데이터와 음향데이터를 각각 수신하면 상기 위치데이터 및 요동방향 데이터를 기준으로 음향데이터의 발진 방향을 연산해서 확인된 관측지점의 해저위치와 수심과 상기 위치데이터와 상기 음향데이터를 관측정보로 생성하고 방수케이스(147)에 수용되는 컨트롤러(145)와, 상기 관측정보를 컨트롤러(145)로부터 수신해서 무선 발신하며 방수케이스(147)에 수용되는 무선통신모듈(141)로 이루어진 관측유닛(140); 해상에서 부유 가능한 재질의 부상유닛(111)을 구비한 부양체(110); 부상유닛(111)에 설치되고, 일측에 자화유닛(131)을 구성하며, 기체를 충전한 주머니 형상의 부력체(130); 원형의 중공을 형성하고 상기 중공을 개구해서 와이어(W)가 입출하는 입구(E1)와 출구(E2)를 형성하고 상기 중공의 바닥부(h1)는 출구(E2)를 향해 하방으로 경사진 형태를 이루며 부상유닛(111)에 설치되는 하우징(121)과, 자화유닛(131)과 자력으로 결착하는 자성유닛(122)과, 일방향으로 탄력을 가해서 회전축(123a)을 회전시키는 토션스프링(123)과, 중심을 관통한 회전축(123a)과 연결되어서 입구(E1)로 인입한 와이어(W)를 감도록 하우징(121)의 중공에서 회전하는 롤러(124)와, 출구(E2)를 개폐하도록 탄성의 힌지(125a)를 중심으로 외향하게 여닫히는 도어(124)로 이루어진 링커(120);로 구성된 해양지형 관측장치(100),
    해양지형 관측장치(100)로부터 발신된 관측정보를 수신하고 식별하는 무선통신모듈(210)과, 상기 관측정보에 구성된 관측지점의 해저위치와 수심과 상기 위치데이터와 상기 음향데이터를 확인해서 해양지형을 2차원 또는 3차원의 지형이미지로 그래픽화하는 정보검출모듈(220)과, 상기 지형이미지를 시간대별로 저장하는 저장모듈(230);로 구성된 해양 관측정보 관리기(2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침식 및 퇴적에 의한 해양지형 변화 관측용 실시간 감지시스템.
KR1020170118691A 2017-09-15 2017-09-15 수중 침식 및 퇴적에 의한 해양지형 변화 관측용 실시간 감지시스템 KR1018262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8691A KR101826281B1 (ko) 2017-09-15 2017-09-15 수중 침식 및 퇴적에 의한 해양지형 변화 관측용 실시간 감지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8691A KR101826281B1 (ko) 2017-09-15 2017-09-15 수중 침식 및 퇴적에 의한 해양지형 변화 관측용 실시간 감지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6281B1 true KR101826281B1 (ko) 2018-02-07

Family

ID=61204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8691A KR101826281B1 (ko) 2017-09-15 2017-09-15 수중 침식 및 퇴적에 의한 해양지형 변화 관측용 실시간 감지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628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14024A (zh) * 2018-04-29 2018-08-17 王爱金 一种水产养殖用水下监控装置
KR20210131764A (ko) 2020-04-24 2021-11-03 국방과학연구소 수중 운동체의 위치를 추정하는 방법 및 장치
CN115009480A (zh) * 2022-08-08 2022-09-06 国家深海基地管理中心 一种海洋垂直剖面自动观测装置及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6467B1 (ko) 2009-07-24 2010-01-20 (주)새한지오텍 음향탐사를 통한 해수로의 지형변화 확인 및 해저지형 정보 갱신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6467B1 (ko) 2009-07-24 2010-01-20 (주)새한지오텍 음향탐사를 통한 해수로의 지형변화 확인 및 해저지형 정보 갱신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14024A (zh) * 2018-04-29 2018-08-17 王爱金 一种水产养殖用水下监控装置
KR20210131764A (ko) 2020-04-24 2021-11-03 국방과학연구소 수중 운동체의 위치를 추정하는 방법 및 장치
CN115009480A (zh) * 2022-08-08 2022-09-06 国家深海基地管理中心 一种海洋垂直剖面自动观测装置及方法
CN115009480B (zh) * 2022-08-08 2022-10-25 国家深海基地管理中心 一种海洋垂直剖面自动观测装置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9293B1 (ko) 해저 관측지형의 입체이미지 자동 출력방식을 갖춘 해양 전용 지형탐사시스템
KR101814639B1 (ko) 해상의 기준위치 확보를 위한 해상 대공표지 기구
US9891333B2 (en) Touch down monitoring of an ocean bottom seismic node
KR101826281B1 (ko) 수중 침식 및 퇴적에 의한 해양지형 변화 관측용 실시간 감지시스템
CN103261920B (zh) 用于采集地球物理学数据的自控水下航行器
RU2375247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озврата подводного оборудования
EP1454166B1 (en) Sensor arrangement for seismic waves
US9651374B1 (en) Method and system for measuring physical phenomena in an open water environment
US20190049611A1 (en) Single vessel range navigation and positioning of an ocean bottom seismic node
JP4453842B2 (ja) 海中プラットホーム
EP3064968A2 (en) Drag body with inertial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position
BR112013009669B1 (pt) sistema e método de monitorar integridade de pelo menos uma parte de uma estrutura estacionária
KR101649726B1 (ko) 부유식 수환경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실시간 수환경 모니터링 방법
EA027580B1 (ru) Регистрирующая аппаратура морского донного сейсмического кабеля
US10120087B2 (en) Method and system with low-frequency seismic source
JPS60500383A (ja) 海洋地震探査用水中聴音器ケ−ブルにおける装置
US20190317235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Positioning of Marine Survey Nodes Including an Auxiliary Station
KR102320123B1 (ko) 해양탐사용 수중탐지기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수로조사시스템
KR100950973B1 (ko) 음향탐사 방식을 이용한 해저면의 정밀 관측 및 기존정보 갱신용 해저면 정보 관리시스템
CN104512527A (zh) 根据降级操作模式驱动导航控制装置的操作管理系统
KR102013357B1 (ko) 초음파 센서를 활용한 수심측량 장비의 흘수변화 관측시스템
KR101876563B1 (ko) Gis를 기반으로 하는 해양정보 시스템
RU2344962C1 (ru) Автономная буйковая придонная станция
US10823865B2 (en) Multi component sensor device for point measurements on the seabed during seismic surveys
KR102166842B1 (ko) 소형 수환경 측정 장치 및 이를 적용한 수환경 자료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