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6228B1 - 기능성 승강부재가 구비된 신발창 - Google Patents
기능성 승강부재가 구비된 신발창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26228B1 KR101826228B1 KR1020170020815A KR20170020815A KR101826228B1 KR 101826228 B1 KR101826228 B1 KR 101826228B1 KR 1020170020815 A KR1020170020815 A KR 1020170020815A KR 20170020815 A KR20170020815 A KR 20170020815A KR 101826228 B1 KR101826228 B1 KR 10182622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vating
- lifting
- elevating member
- guide
- gea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8—Elevating, i.e. height increasing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1/00—Heels; Top-pieces or top-lifts
- A43B21/36—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ir attachment; Securing devices for the attaching means
- A43B21/42—Heels with replaceable or adjustable parts, e.g. top lift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26—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adjustable as to length or siz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 승강부재가 구비된 신발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능성 승강부재가 바닥면 외부로 돌출 가능하게 구비되어 착용자의 필요에 따라 승강부재를 바닥면 외부로 돌출시킴으로써 지면과의 우수한 마찰력을 제공하여 레저화, 스포츠화, 안전화 등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성 승강부재가 구비된 신발창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중창; 상기 중창의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홈; 상기 가이드홈의 내측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면에 일측으로 경사진 하강유도편이 돌출되며 일단에 기어가 형성된 이동대; 상기 이동대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대의 위치에 따라 상기 하강유도편에 의해 압착 변형되거나 자체 탄성에 의해 원형으로 복원되는 승강유도부재; 상기 승강유도부재의 내측에 연결되고 상단이 하강유도편에 접촉되어 상기 하강유도편에 의해 하강되고 상기 승강유도부재의 복원에 의해 상승되는 기능성 승강부재; 및 상기 중창의 일단에 설치되고 상기 기어와 연결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이동대를 이동시켜 상기 승강부재를 승강시키는 조작다이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승강부재가 구비된 신발창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중창; 상기 중창의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홈; 상기 가이드홈의 내측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면에 일측으로 경사진 하강유도편이 돌출되며 일단에 기어가 형성된 이동대; 상기 이동대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대의 위치에 따라 상기 하강유도편에 의해 압착 변형되거나 자체 탄성에 의해 원형으로 복원되는 승강유도부재; 상기 승강유도부재의 내측에 연결되고 상단이 하강유도편에 접촉되어 상기 하강유도편에 의해 하강되고 상기 승강유도부재의 복원에 의해 상승되는 기능성 승강부재; 및 상기 중창의 일단에 설치되고 상기 기어와 연결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이동대를 이동시켜 상기 승강부재를 승강시키는 조작다이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승강부재가 구비된 신발창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기능성 승강부재가 구비된 신발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능성 승강부재가 바닥면 외부로 돌출 가능하게 구비되어 착용자의 필요에 따라 승강부재를 바닥면 외부로 돌출시킴으로써 지면과의 우수한 마찰력을 제공하여 레저화, 스포츠화, 안전화 등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성 승강부재가 구비된 신발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은 신발창과 갑피로 이루어지고 신발창은 신발의 바닥을 이루는 것으로 신발의 착용감 향상과 원활한 보행성을 보장하기 위해 적당한 쿠션닝과 마찰력을 제공해야 한다.
이러한 신발창은 신발의 사용용도 및 목적에 따라 그 구조 및 형상에 차이가 있다. 즉, 골프화, 축구화, 등산화, 낚시화 등의 레저 및 스포츠화에 적용된 신발창은 사용환경에 대응되게 마찰력을 증대시킨 구조를 가지고, 안전화, 절연화, 방진화, 제전화 등의 기능화에 적용된 신발창은 사용환경에 대응되게 기능성을 부가시킨 구조를 가진다.
한편, 신발을 평상시에도 착용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레저 및 스포츠화, 기능화 등으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기능성 승강부재가 바닥면으로부터 외부로 돌출 가능한 구조를 가진 기능성 승강부재가 구비된 신발창들이 개발되었다.
상기한 종래의 기능성 승강부재가 구비된 신발창은 일측에 마련된 조작다이얼의 회전조작에 따라 승강부재가 바닥면 외부로 돌출 또는 내부로 인입되는 구조이다.
여기서 종래의 기능성 승강부재가 구비된 신발창은 조작다이얼을 일방향으로 회전 조작하면 이동체가 일측으로 이동하면서 가압부재에 의해 승강부재가 하강되고, 반대로 조작다이얼의 타방향 회전 조작하면 코일스프링에 의해 승강부재가 하강되는 구조이다.
즉, 승강부재의 상승을 위해서는 별도로 코일스프링이 더 필요하고 코일스프링을 지지하고 코일스프링과 승강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 등의 부품이 더 필요하므로 구조가 복잡하고 부품 개수가 늘어나면서 제조단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신발을 장기간 착용하면서 코일스프링의 탄성력이 크게 저하된 경우 승강부재를 원활하게 상승시키지 못하면서 상승부재가 전혀 필요없는 상황인데 외부로 돌출되어 보행에 불편함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코일스프링이 중창에 내장됨에 따라 코일스프링의 인장 및 압축 높이에 의해 중창의 두께도 두꺼워질 뿐만 아니라 체중에 의한 중창의 압축이 제대로 되지 않아 쿠션 성능도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승강부재의 승강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고 승강부재가 원활하게 상승하여 조작 신뢰성을 높일 수 있으며 중창의 두께를 줄이고 쿠션 성능도 향상시킬 수 있는 기능성 승강부재가 구비된 신발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승강부재가 구비된 신발창은 중창; 상기 중창의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홈; 상기 가이드홈의 내측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면에 일측으로 경사진 하강유도편이 돌출되며 일단에 기어가 형성된 이동대; 상기 이동대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대의 위치에 따라 상기 하강유도편에 의해 압착 변형되거나 자체 탄성에 의해 원형으로 복원되는 승강유도부재; 상기 승강유도부재의 내측에 연결되고 상단이 하강유도편에 접촉되어 상기 하강유도편에 의해 하강되고 상기 승강유도부재의 복원에 의해 상승되는 기능성 승강부재; 및 상기 중창의 일단에 설치되고 상기 기어와 연결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이동대를 이동시켜 상기 승강부재를 승강시키는 조작다이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창의 내측에는 경질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진 중창보드가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중창보드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창보드에는 상기 승강유도부재와 대응되게 연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연통홀의 하측에는 상부가 개방되고 상기 승강유도부재가 내부에 수용되며 하부에 상기 승강부재의 하단이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하우징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작다이얼의 하부에는 상기 조작다이얼의 직경보다 작은 전달기어가 설치되고, 상기 전달기어와 상기 기어와의 사이에 상기 전달기어보다는 직경이 크고 상기 조작다이얼보다는 직경이 작은 연결기어가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강유도부재는 상기 승강부재의 상단이 삽입 고정되는 고정홀이 수직으로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외측에 하향 경사지게 환설되어 상기 하강유도편에 의해 압축 변경되고 자체 탄성력에 의해 본래 형상으로 복원되는 변형날개와, 상기 변형날개의 외측에 환설된 지지림으로 이루어진 탄성변형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강유도부재는 상기 승강부재의 상단이 중심에 고정되고 원판 형태로 압축되는 스파이럴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강부재는 스파이크 형태로 구성되되, 하단에 중공이 형성된 파이프 형상의 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강부재는 스터드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효과들을 기대할 수 있다.
먼저, 승강부재의 승강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승강부재의 승강동작이 정확하게 이루어져 조작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코일스프링을 사용하지 않아 중창의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고 중창의 쿠션 성능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승강부재의 다양한 형상을 통해 평상화를 골프화, 등산화, 축구화, 안전화, 낚시화, 아이젠화 등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승강부재가 구비된 신발창에 대한 평면 사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승강부재가 구비된 신발창에 대한 저면 사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승강부재가 구비된 신발창을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도 3의 측단면도.
도 5는 도 3의 정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승강부재가 구비된 신발창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승강부재가 구비된 신발창의 이동대와 연결기이 및 조작다이얼 간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승강부재가 구비된 신발창의 승강유도부재와 승강부재의 측면 사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승강부재가 구비된 신발창의 승강부재가 돌출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승강부재가 구비된 신발창의 승강부재가 돌출된 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승강부재가 구비된 신발창의 승강유도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승강부재가 구비된 신발창에 대한 저면 사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승강부재가 구비된 신발창을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도 3의 측단면도.
도 5는 도 3의 정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승강부재가 구비된 신발창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승강부재가 구비된 신발창의 이동대와 연결기이 및 조작다이얼 간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승강부재가 구비된 신발창의 승강유도부재와 승강부재의 측면 사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승강부재가 구비된 신발창의 승강부재가 돌출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승강부재가 구비된 신발창의 승강부재가 돌출된 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승강부재가 구비된 신발창의 승강유도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예시도.
본 발명은 바닥면에 외부로 돌출 가능한 기능성 승강부재가 구비되어 신발을 평상화로 착용할 때는 승강부재를 바닥면 내부로 삽입시켜 사용하고, 골프화, 등산화, 축구화, 등산화, 낚시화, 안전화 등의 기능화로 착용할 때는 승강부재를 바닥면 외부로 돌출시켜 사용할 수 있는 기능성 승강부재가 구비된 신발창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승강부재가 구비된 신발창은 승강부재의 승강 구조가 매우 간단하고 승강부재의 승강 작동이 확실하게 이루어지며 쿠션 성능이 크게 향상된 것이 큰 특징이다.
이러한 특징은 코일스프링을 내장한 종래와 달리 압축 변형에 대항하여 자체복원력에 의해 승강부재를 승강시키는 승강유도부재가 적용된 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따라서 승강부재의 승강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고 승강부재의 승강 작동이 원활하여 조작 신뢰성을 보장할 뿐만 아니라 중창의 두께도 최소화할 수 있고 중창의 쿠션 성능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승강부재가 구비된 신발창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승강부재가 구비된 신발창은 도 1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창(10)과 가이드홈(30)과 이동대(40)와 승강유도부재와 승강부재(70) 및 조작다이얼(80)을 포함한다.
먼저, 상기 중창(10)은 신발창의 중간부를 이루는 것으로, 보행 혹은 주행시 발생하는 지면과의 충격으로부터 발바닥과 근골격계를 보호하기 위해 쿠션닝을 제공한다.
다음으로, 상기 가이드홈(30)은 중창(10)의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이동대(40)가 중창(10)의 내측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 이동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이때 가이드홈(30)은 중창(10)의 좌우 균형을 위해 복수 개로 구성된다. 즉, 가이드홈(30)은 도 1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로 구성되어 중창(1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형성된다.
한편, 가이드홈(30)은 도 1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창(10)의 형상과 대응되고 경질 합성수지재질로 구성되어 중창(10)의 내측에 설치된 중창보드(2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창보드(20)는 재질 특성에 따라 중창(10)의 내측에서 중창(10)을 구조적으로 보강하여 중창(10)의 뒤틀림이나 꺾임을 방지하고, 가이드홈(30)을 변형 없이 형태 유지시켜 이동대(40)의 이동경로를 확실하게 확보하며, 승강부재(70)의 높이를 일정하게 하여 발의 평형도 유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이동대(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홈(30)의 내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조작다이얼(80)의 회전조작에 따라 가이드홈(30)을 따라 중창(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이동대(40)의 하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서 타측으로 경사진 하강유도편(41)이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이동대(40)의 일단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을 위한 기어(42)가 형성된다.
단, 하강유도편(41)은 중창(10)의 앞축과 뒤축에 각각 승강부재(70)가 배치될 수 있도록 이동대(40)의 하면에 복수 개가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즉, 하강유도편(4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대(40)의 선단 측에 두 개, 후단 측에 한 개가 각각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승강유도부재는 중창(10)의 내측에서 이동대(40)의 하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동대(40)의 전후 이동에 따른 위치에 따라 압축 변형되거나 압축 변형된 상태에서 자체 탄성력에 의해 원형으로 복원된다.
즉, 승강유도부재는 이동대(40)의 하강유도편(41)과 기능성 승강부재(70)의 사이에서 하강유도편(41)과의 작용을 통하여 승강부재(70)를 승강시키는 것이다.
이때 승강유도부재는 하강유도편(41)의 하측에 배치되고 압축 변형 및 원형 복원 가능하도록 탄성 구조로 구성되거나 실리콘, 합성고무,우레탄 등의 탄성재질로 구성된다.
즉, 승강유도부재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부재(70)의 상단이 삽입 고정되는 고정홀(62)이 수직으로 관통 형성된 몸체(61)와, 몸체(61)의 외측에 하향 경사지게 환설되고 상면이 볼록하고 하면이 오목한 변형날개(63)와, 변형날개(63)의 외측에 환설된 일정높이의 지지림(64)으로 이루어진 탄성변형체(60)로 구성된다.
또한, 승강유도부재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부에 승강부재(70)의 상단이 고정되는 스파이럴 스프링(65)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스파이럴 스프링(65)은 코일스프링에 비하여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고 평판 형태로 압축됨에 따라 중창(10)의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고 중창(10)의 압축을 방해하지 않아 쿠션 성능을 떨어뜨리지 않는다.
따라서 도 9 및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대(40)가 일측으로 이동하면 하강유도편(41)이 승강부재(70)의 상단을 누르게 되면서 승강유도부재는 압축 변형되고 높이가 낮아지고 그 중심에 고정된 승강부재(70)가 하강하게 된다.
그리고 도 4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대(40)가 본래 위치로 이동하면 승강유도부재에 대한 승강부재(70)에 대한 누름이 해제되면서 승강유도부재는 자체 탄성에 의해 승강유도부재는 자체 탄성 복원력에 의해 높이가 본래대로 복원되면서 승강부재(70)를 본래 높이로 상승시키게 된다.
즉, 승강유도부재의 압축 변형과 탄성 복원력에 의해 승강부재(70)가 승강됨에 따라 조작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코일스프링의 배제로 중창(10)의 두께도 최소화할 수 있고 쿠션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중창(10)에 중창보드(20)가 설치되는 경우 중창보드(20)에는 도 3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유도부재의 설치 및 승강 공간을 확보해주는 경질 합성수지재질의 하우징(50)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이때 하우징(50)은 상부가 개방되고 승강유도부재가 내부에 수용되며 하부에 승강부재(70)의 하단이 관통하는 관통홀(51)이 형성된다. 그리고 중창보드(20)에는 승강유도부재가 노출되도록 하우징(50)의 상부와 대응되는 연통홀(21)이 형성된다.
따라서 승강유도부재는 설치 및 승강 공간이 변화없이 확보됨에 따라 승강부재(70)의 원활한 승강을 보장할 수 있다. 단, 중창(10)에도 하우징(50)이 삽입되는 삽입홀(11)이 형성된다.
한편, 하우징(50)의 관통홀(51)로 먼지, 물 등이 유입되더라도 도 4 및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유도부재의 변형날개(63)와 지지림(64)에 의해 막혀 있으므로 중창(10) 내부로의 진입이 완전 차단되어 먼지나 물 등에 의한 신발의 내부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승강부재(70)는 승강유도부재의 중심에 연결되고 상단이 하강유도편(41)과 접촉되는 것으로, 이동대(40)의 위치에 따라 하강유도편(41)에 의해 중창(10)의 바닥면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미끄럼방지기능을 목적화로 사용 가능하게 하고 승강유도부재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중창(10)의 바닥면 내부로 인입되어 평상화로 사용 가능하게 한다.
이때 승강부재(70)는 골프화, 축구화, 야구화 등으로 기능하도록 스터드 형태로 구성되거나, 등산화, 안전화, 낚시화 등으로 기능하도록 스파이크 형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단, 승강부재(70)가 도 9 및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파이크 형태로 구성된 경우 단부에 중공이 뚫린 파이프형상의 핀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단부가 파이프 형상인 경우 단부가 뾰족한 형상과 달리 장기간 사용으로 단부가 닳아지더라도 마찰력이 유지되면서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조작다이얼(80)은 중창(10)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회전조작 방향에 따라 이동대(40)를 전후진 이동시켜 승강부재를 승강시킨다.
이때 조작다이얼(80)은 이동대(40)의 기어와 치합되어 일방향 회전조작하면 이동대(40)가 일단으로 이동하고 타방향으로 회전조작하면 이동대(40)가 본래 위치로 이동한다.
한편, 조작다이얼(80)의 조작 편의성을 위해 도 1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다이얼(80)과 이동대(40)의 사이에는 연결기어(9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단, 조작다이얼(80)의 하부에는 조작다이얼(80)의 직경보다 작은 전달기어(81)가 설치되고, 전달기어(81)와 연결기어(90)가 치합되며, 연결기어(90)와 이동대(40)의 기어(42)가 치합되고, 연결기어(90)의 직경은 전달기어(81)보다는 크고 조작다이얼(80)보다는 작게 구성된다.
따라서 연결기어(90)의 추가로 인한 전달기어(81)와 연결기어(90)의 기어비에 의해 승강부재(70)의 승강 동작을 위한 조작다이얼(80)의 회전조작을 보다 작은 힘으로도 쉽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중창보드(20)가 포함된 경우 조작다이얼(80)과 연결기어(90)는 중창보드(20)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되어 회전조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고 상호 간의 치합도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상기의 실시예뿐만 아니라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포함되어야 한다.
10: 중창
11: 삽입홀
20: 중창보드
20: 연통홀
30: 가이드홈
40: 이동대
41: 하강유도편
42: 기어
50: 하우징
51: 관통홀
60: 탄성변형체
61: 몸체
62: 고정홀
63: 변형날개
64: 지지림
65: 스파이럴 스프링
70: 승강부재
80: 조작다이얼
81: 전달기어
90: 연결기어
11: 삽입홀
20: 중창보드
20: 연통홀
30: 가이드홈
40: 이동대
41: 하강유도편
42: 기어
50: 하우징
51: 관통홀
60: 탄성변형체
61: 몸체
62: 고정홀
63: 변형날개
64: 지지림
65: 스파이럴 스프링
70: 승강부재
80: 조작다이얼
81: 전달기어
90: 연결기어
Claims (8)
- 중창;
상기 중창의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홈;
상기 가이드홈의 내측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면에 일측으로 경사진 하강유도편이 돌출되며 일단에 기어가 형성된 이동대;
상기 이동대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대의 위치에 따라 상기 하강유도편에 의해 압착 변형되거나 자체 탄성에 의해 원형으로 복원되는 승강유도부재;
상기 승강유도부재의 내측에 연결되고 상단이 하강유도편에 접촉되어 상기 하강유도편에 의해 하강되고 상기 승강유도부재의 복원에 의해 상승되는 기능성 승강부재; 및
상기 중창의 일단에 설치되고 상기 기어와 연결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이동대를 이동시켜 상기 승강부재를 승강시키는 조작다이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승강부재가 구비된 신발창.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창의 내측에는
경질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진 중창보드가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중창보드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승강부재가 구비된 신발창.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창보드에는
상기 승강유도부재와 대응되게 연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연통홀의 하측에는
상부가 개방되고 상기 승강유도부재가 내부에 수용되며 하부에 상기 승강부재의 하단이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하우징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승강부재가 구비된 신발창.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다이얼의 하부에는
상기 조작다이얼의 직경보다 작은 전달기어가 설치되고
상기 전달기어와 상기 기어와의 사이에 상기 전달기어보다는 직경이 크고 상기 조작다이얼보다는 직경이 작은 연결기어가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승강부재가 구비된 신발창.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유도부재는
상기 승강부재의 상단이 삽입 고정되는 고정홀이 수직으로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외측에 하향 경사지게 환설되어 상기 하강유도편에 의해 압축 변경되고 자체 탄성력에 의해 본래 형상으로 복원되는 변형날개와, 상기 변형날개의 외측에 환설된 지지림으로 이루어진 탄성변형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승강부재가 구비된 신발창.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유도부재는
상기 승강부재의 상단이 중심에 고정되고 원판 형태로 압축되는 스파이럴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승강부재가 구비된 신발창.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는
스파이크 형태로 구성되되, 하단에 중공이 형성된 파이프 형상의 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승강부재가 구비된 신발창.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는
스터드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승강부재가 구비된 신발창.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20815A KR101826228B1 (ko) | 2017-02-16 | 2017-02-16 | 기능성 승강부재가 구비된 신발창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20815A KR101826228B1 (ko) | 2017-02-16 | 2017-02-16 | 기능성 승강부재가 구비된 신발창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26228B1 true KR101826228B1 (ko) | 2018-02-06 |
Family
ID=61228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20815A KR101826228B1 (ko) | 2017-02-16 | 2017-02-16 | 기능성 승강부재가 구비된 신발창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26228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389714B1 (en) | 2001-05-07 | 2002-05-21 | James Mack | Shoe having retractable spikes |
JP2007044058A (ja) | 2005-08-05 | 2007-02-22 | Yamamoto Kogyo Kk | スポーツシューズ |
KR101591040B1 (ko) | 2014-12-04 | 2016-02-02 | 호국용사촌(주)익산하이테크 | 미끄럼방지 기능을 갖는 신발 |
-
2017
- 2017-02-16 KR KR1020170020815A patent/KR10182622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389714B1 (en) | 2001-05-07 | 2002-05-21 | James Mack | Shoe having retractable spikes |
JP2007044058A (ja) | 2005-08-05 | 2007-02-22 | Yamamoto Kogyo Kk | スポーツシューズ |
KR101591040B1 (ko) | 2014-12-04 | 2016-02-02 | 호국용사촌(주)익산하이테크 | 미끄럼방지 기능을 갖는 신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933983A (en) | Shock-absorbing system for shoe | |
US6598320B2 (en) | Shoe incorporating improved shock absorption and stabilizing elements | |
US8141272B2 (en) | Shoe sole with pivotal ground engaging plate | |
US5488786A (en) | Highly resilient EVA shoe insole | |
US7654014B1 (en) | Golf shoe | |
US20110225852A1 (en) | Articles of Footwear | |
CN102421316A (zh) | 附着力元件 | |
KR100887625B1 (ko) | 충격흡수와 반발탄성이 이루어지는 탄성바닥재 및 이를구비한 신발 | |
US20130160332A1 (en) | High heel shoe having foldable heel | |
US20170340062A1 (en) | Insole and Shoe | |
JP2020044267A (ja) | ソール構造 | |
KR101713681B1 (ko) | 에어 펌핑 기능을 갖는 스프링 쿠션 신발 | |
KR20090012624A (ko) | 탄성부재가 구비된 신발 | |
KR101826228B1 (ko) | 기능성 승강부재가 구비된 신발창 | |
WO2009082164A1 (en) | High-heeled shoes for women | |
WO2012100680A1 (zh) | 步行轮滑两用鞋 | |
KR101240927B1 (ko) | 조립식 구두 | |
KR200208464Y1 (ko) | 쿠션 신발 | |
KR101380833B1 (ko) | 아이젠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신발 | |
EP3747300A1 (en) | Shoe with replaceable heel | |
CN212185406U (zh) | 一种减震运动鞋 | |
KR20190084802A (ko) | 접지력이 향상된 다목적 신발밑창 | |
CN210492857U (zh) | 一种轻质减震鞋底 | |
KR101868089B1 (ko) | 굽 높이 조절이 가능한 인출형 슈즈 | |
KR200489122Y1 (ko) | 등산화 밑창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