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5670B1 - 부유식 플랜트의 이동 추진 장치 - Google Patents

부유식 플랜트의 이동 추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5670B1
KR101825670B1 KR1020160124923A KR20160124923A KR101825670B1 KR 101825670 B1 KR101825670 B1 KR 101825670B1 KR 1020160124923 A KR1020160124923 A KR 1020160124923A KR 20160124923 A KR20160124923 A KR 20160124923A KR 101825670 B1 KR101825670 B1 KR 1018256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water
moving
hull
line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4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우
김남균
박어진
송명관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24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56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5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56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11/00Marine propulsion by water jets
    • B63H11/02Marine propulsion by water jets the propulsive medium being ambient water
    • B63H11/04Marine propulsion by water jets the propulsive medium being ambient water by means of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pipe-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11/00Marine propulsion by water jets
    • B63H11/02Marine propulsion by water jets the propulsive medium being ambient water
    • B63H11/10Marine propulsion by water jets the propulsive medium being ambient water having means for deflecting jet or influencing cross-section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25/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other groups
    • F01D25/08Cooling; Heating; Heat-insulation
    • F01D25/12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3/00Liquid cooling
    • F01P3/12Arrangements for cooling other engine or machine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33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 B63B2751/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Turbines (AREA)

Abstract

부유식 플랜트의 이동 추진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플랜트의 이동 추진 장치는 선체에 형성되는 냉각수 유입구와 연통되어 스팀 터빈으로 냉각수가 이동하는 유로인 냉각수 공급 라인, 상기 냉각수 공급 라인으로부터 분기되어 선체 외부까지 연장되며 선체가 이동 시에만 선택적으로 상기 냉각수 공급 라인을 통해 이동하는 냉각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이동 배출 라인 및 상기 냉각수 공급 라인과 상기 이동 배출 라인 사이에 배치되어 압력 작용을 통해 상기 유입구로 상기 냉각수를 유입시켜 상기 스팀 터빈 또는 상기 이동 배출 라인으로 상기 냉각수를 공급하는 공급 펌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부유식 플랜트의 이동 추진 장치{Propulsion Apparatus for Floating Plant}
본 발명은 부유식 플랜트의 이동 추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팀 터빈으로 공급되는 냉각수의 이동 경로를 변경하여 선체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추진력을 얻을 수 있는 부유식 플랜트의 이동 추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발전 방법으로는 수력발전 플랜트, 화력발전 플랜트, 원자력발전 플랜트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러한 발전방법 등은 대규모의 발전설비와 부지를 필요로 하고, 특히 발전 플랜트 주변의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등, 환경적인 측면에서 큰 문제점이 되고 있다.
한편, 전력 예비율이란 현재 사용되는 전기보다 추가전력을 얼마다 더 공급할 수 있느냐를 보여주는 수치로서, 수치가 높으면 공급량이 충분하여 전기를 여유있게 사용할 수 있으나, 낮을 경우에는 여름과 겨울 전력 성수기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전력은 저장을 할 수 없으므로 수치가 너무 높을 경우 에너지를 낭비하고, 전기요금의 부담도 커지는 등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기 때문에 적정수준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며 대체로 15% 내외의 전력 유지율을 유지하는 것이 적당한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그렇지만, 전력 수요가 급증하여 전력 예비율을 적정수준으로 유지할 수 없을 것이라 예측되거나, 전력 수급이 원활하지 못한 상황이 급작스럽게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전력위기 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방안이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다.
공개특허 10-2013-0058116에 따르면 FPSO에 발전설비가 탑재되고, 발전설비의 터빈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수를 해수와 열교환하여 냉각하는 방식이 소개되고 있다.
이와 같이, 는 선박과 발전 플랜트가 결합됨에 따라, 육상에서 평균 4년 이상의 건설기간이 소요되는 복합화력 발전소에 비해 순수 제작기간이 1년 3개월 정도(구매, 설계, 운송기간 제외)로 짧고, 또한 부지매입과 송전선로 건설이 따로 필요치 않아 비용 절감이 가능할 뿐 아니라, 쉽게 증설 가능한 장점을 가진다.
부유식 플랜트의 설비용량은 원자력 발전(1기당 용량 1,000MW)의 20%에 해당하는 200MW에 달하며, 전력 수요에 따른 탄력적 운영이 가능하여 전력 위기 시 해결방안으로 검토되는 것이다.
현재 개발된 부유식 플랜트는 베네수엘라에 설치된 340MW가 최대이지만, 건설기자재 및 고급 현장 건설인력 수급이 어려운 해외 육상발전소 건설에 비해 품질 및 납기를 개선할 수 있고, 생산 및 건설관리가 상대적으로 용이한 조선소에서 플랜트 제작을 끝낸 후, 이를 발전소 부지로 해상 운송해 설치 및 현장 시운전을 거치게 된다.
또한, 플랜트 제작이 완료된 상태에서 운송되기 때문에, 국가 전력망 연결이 어려운 미얀마 등 동남아 도서지역에서의 탄력적 운용이 가능하다.
아울러 육상 발전소의 건설에 비해 지역 주민의 반대와 테러 위험으로부터 자유롭고, 노후 발전소를 교체할 때 일반적으로 발생하는 전력 공급의 공백도 해소할 수 있으며, 부지 매입, 환경 승인 등의 발전소 건설 규정이 까다로운 일부 선진국에서의 활용도 기대된다.
그러나, 추진 시스템을 가지지 않는 부유식 발전 플랜트를 움직이기 위해서는 터그와 같은 이동을 위한 보조 선박이 필요하다. 그러나, 한 곳에 설치되어 매우 오랜 기간동안 운영되는 부유식 플랜트의 특성 상, 보조 선박이 운영되지 않는 기간이 더 많으며, 이에 따라 보조 선박의 보관을 위한 공간이 필요하다.
한편, 부유식 플랜트의 이동을 위하여 추진 시스템을 구비하는 것은 부유식 플랜트의 가격이 매우 상승할 수 있으며, 한 곳에 설치되어 매우 오랜 기간동안 운영되는 부유식 플랜트의 특성 상, 사용되는 기간보다 사용되지 않는 기간이 더 길기 때문에 가격 대비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은 터그와 같은 보조 선박을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으며, 이에 따라 보조 선박을 보관하기 위한 공간이 불필요하게 되어 공간 효율이 향상되는 부유식 플랜트의 이동 추진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둘째, 본 발명은 부유식 플랜트의 특성 상 사용 빈도가 떨어지는 엔진과 같은 추진 시스템은 구비할 필요가 없으며, 이에 따라 비용이 절감되는 부유식 플랜트의 이동 추진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플랜트의 이동 추진 장치는 냉각수 공급 라인, 이동 배출 라인 및 공급 펌프를 포함한다.
상기 냉각수 공급 라인은 선체에 형성되는 냉각수 유입구와 연통되어 스팀 터빈으로 냉각수가 이동하는 유로가 된다.
상기 이동 배출 라인은 상기 냉각수 공급 라인으로부터 분기되어 선체 외부까지 연장되며, 상기 선체가 이동 시에만 상기 냉각수 공급 라인을 통해 이동하는 냉각수를 선택적으로 상기 스팀터빈을 우회하여 배출시킨다.
상기 냉각수 공급 라인과 상기 이동 배출 라인 사이에 배치되어 압력 작용을 통해 상기 유입구로 상기 냉각수를 유입시켜 상기 스팀 터빈 또는 상기 이동 배출 라인으로 상기 냉각수를 공급한다.
상기 냉각수 공급 라인 상에는 상기 이동 배출 라인이 분기된 지점보다 하류에 공급 밸브가 구비되며, 상기 공급 밸브는 상기 스팀 터빈으로 상기 냉각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배출 라인 상에는 이동 시에만 상기 이동 배출 라인을 통해 냉각수를 배출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부유식 플랜트의 이동 추진 장치는 평상시에는 상기 공급 밸브를 열고 상기 이동 밸브를 닫는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냉각수가 상기 스팀터빈으로 공급되도록 하며, 이동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공급 밸브는 닫고 상기 이동 밸브를 여는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냉각수가 선체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에 이동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컨트롤러는 평상시보다 더 높은 출력으로 상기 공급 펌프를 가동시킬 수 있다.
상기 이동 배출 라인의 말단에는 상기 냉각수가 배출되는 이동 배출 노즐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동 배출 노즐은 상기 이동 배출 노즐을 통해 수직 방향으로 이동한 냉각수의 흐름을 수평 방향으로 전환하며, 상기 냉각수가 배출되는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선체 저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캡 노즐일 수 있다.
상기 이동 배출 노즐은 복수 개가 상기 선체의 저면에 골고루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급 펌프에는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상기 냉각수가 입력되는 입력부, 상기 공급 펌프를 통과한 상기 냉각수가 상기 냉각수 공급 라인으로 배출되는 제 1 출력부 및 상기 공급 펌프를 통과한 상기 냉각수가 상기 이동 배출 라인으로 배출되는 제 2 출력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플랜트의 이동 추진 장치에 의하면 부유식 플랜트의 이동이 필요한 경우에는, 냉각수 공급 배관을 통해 스팀 터빈으로 이동하는 냉각수의 경로를 변경하여 이동 배출 라인을 통해 선체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추진력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부유식 플랜트를 이동시키기 위한 터그와 같은 별도의 보조 선박이나, 엔진과 같은 추진 시스템을 구비할 필요가 없다. 이로써, 보조 선박의 보관을 위한 공간이 불필요해지므로 공간 효율이 향상되며, 부유식 플랜트의 가격이 낮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플랜트의 이동 추진 장치가 적용된 선체의 저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플랜트의 이동 추진 장치의 평상시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플랜트의 이동 추진 장치의 이동 시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부호를 사용할 뿐 실질적으론 종래기술의 구성요소와 완전히 동일하지 않음을 미리 밝힌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복합 발전을 이용하는 부유식 발전 플랜트 또는 선박에는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여러 대의 발전기가 설치되는데, 발전기를 구동하기 위하여 증발기에서 생성된 스팀을 이용하여 회전력을 생성하는 스팀 터빈(110)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스팀 터빈(110)에서 발생한 스팀을 냉각시키기 위하여 냉각수로서 엄청난 양의 해수가 이용되며, 냉각수로 이용된 해수는 해양으로 다시 배출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기존의 선박에 구비되어 있는 냉각수 이동 라인을 이용하여 이동 시 선체(100)의 추진력을 얻을 수 있는 부유식 플랜트의 이동 추진 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플랜트의 이동 추진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플랜트의 이동 추진 장치가 적용된 선체의 저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플랜트의 이동 추진 장치의 평상시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플랜트의 이동 추진 장치의 이동 시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플랜트의 이동 추진 장치는 냉각수 공급 라인(220), 이동 배출 라인(240) 및 공급 펌프(230)를 포함한다.
선체(100)에는 냉각수 유입을 위한 유입구(210)가 형성될 수 있으며, 냉각수 공급 라인(220)은 냉각수 유입구(210)와 스팀 터빈(110) 사이에 배치되어 냉각수 유입구(210)부터 유입된 해수를 냉각수로서 스팀 터빈(110)으로 공급한다. 본 실시예의 도면에는 냉각수 유입구(210)가 선체(100)의 저면에 형성되는 것을 예로 도시하였으나, 냉각수 유입구(210)는 해수를 흡입할 수 있는 위치라면 어디에든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선체(100)에는 스팀 터빈(110)에서 열교환에 이용된 냉각수가 다시 해양으로 배출되는 냉각수 배출 라인(31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냉각수 배출 라인(310)은 스팀 터빈(110)으로부터 선체(100)의 저면에 형성된 냉각수 배출구(320)까지 연장될 수 있다.
냉각수 유입구(210) 및 냉각수 배출구(320)는 선체 저면에 복수 개 형성될 수 있으며, 냉각수 유입구(210)와 냉각수 배출구(320)의 개수가 동일할 필요는 없다.
이동 배출 라인(240)은 냉각수 공급 라인(220)으로부터 분기되어 선체(100) 외부까지 연장된다. 그리고, 이동 시에만 선택적으로 냉각수 공급 라인(220)을 통해 유입되는 냉각수를 상기 스팀 터빈(110)을 우회하여 외부로 배출시킨다. 이동 배출 라인(240)을 통해 냉각수가 배출되면, 냉각수가 배출되는 힘에 의해 선체(100)가 추진력을 얻을 수 있다.
냉각수 공급 라인(220)과 이동 배출 라인(240) 사이에는 공급 펌프(230)가 배치될 수 있다. 공급 펌프(230)는 압력 작용을 통해 유입구(210)로 냉각수를 유입시켜 냉각수 공급 라인(220)을 통해 스팀 터빈(110)으로 공급하거나, 유입구(210)를 통해 유입된 냉각수를 공급 펌프(230)를 거쳐 이동 배출 라인(240)으로 공급한다.
이를 위하여, 공급 펌프(230)에는 입력부(232), 제 1 출력부(234), 제 2 출력부(236)가 형성될 수 있다.
유입구(210)를 통해 냉각수 공급 라인(220)의 상류로 유입된 냉각수는 입력부(232)를 통해 공급 펌프(230) 내부로 입력될 수 있다.
그리고, 공급 펌프(230)를 통과한 냉각수는 제 1 출력부(234)를 통해 냉각수 공급 라인(220)의 하류로 배출되어 스팀 터빈(110)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는, 공급 펌프(230)를 통과한 냉각수는 제 2 출력부(236)를 통하여 이동 배출 라인(240)으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냉각수 공급 라인(220) 상에는 이동 배출 라인(240)이 분기된 지점보다 하류, 즉 공급 펌프(230)보다 하류에 공급 밸브(222)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공급 밸브(222)는 개폐 작동에 따라 스팀 터빈(110)으로 냉각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배출 라인(240) 상에는 이동 시에만 이동 배출 라인(240)을 통해 냉각수를 배출시키는 이동 밸브(242)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이동 밸브(242)의 개폐 작동에 따라 이동 배출 라인(240)으로 냉각수가 선택적으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냉각수 배출 라인(310)에는 배출 밸브(312)가 구비될 수 있다. 즉, 배출 밸브(312)의 개폐 작동에 따라 스팀 터빈(110)의 냉각에 이용된 냉각수가 선택적으로 배출될 수 있다.
공급 밸브(222), 이동 밸브(242) 및 배출 밸브(312)의 작동을 위하여 선체(100)의 일측에는 컨트롤러(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컨트롤러(미도시)는 평상시와 이동 시로 나누어 공급 밸브(222), 이동 밸브(242) 및 배출 밸브(312)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미도시)는 평상시, 즉 기 설정된 비상 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는 공급 밸브(222)는 열고, 이동 밸브(242)는 닫는 신호를 출력하여 냉각수가 스팀 터빈(110)으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배출 밸브(312) 또한 열어 스팀 터빈(110)에서의 냉각수 순환이 원활하게 일어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이동 배출 라인(240)에서는 냉각수의 유동이 일어나지 않는다.
그리고, 컨트롤러(미도시)는 이동 시, 즉 이동 신호가 입력되면 공급 밸브(222)는 닫고 이동 밸브(242)를 여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로써, 냉각수 공급 라인(220)의 상류로 유입된 냉각수가 공급 펌프(230)에서 경로를 변경하여 냉각수 공급 라인(220)의 하류가 아닌 이동 배출 라인(240)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이동 시에는 배출 밸브(312) 또한 닫아 이동 배출 라인(240)을 통해 배출되는 냉각수에 의한 힘 외에 다른 방향의 힘이 선체(100)에 작용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동 시에는, 즉 컨트롤러(미도시)에 이동 신호가 입력되면, 컨트롤러(미도시)는 평상시보다 더 높은 출력으로 공급 펌프(230)를 가동시키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컨트롤러(미도시)는 이동 시에는 공급 펌프(230)를 최대 출력으로 가동시킬 수 있다.
이동 신호는 선체(100)를 이동시킬 필요가 있을 때 선원이 직접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이동 신호는 비상 신호를 포함할 수 있는데, 비상 신호는 해적등의 불순한 미인가자들의 선체(100)침입이 예상되거나, 선체(100)에 화재가 발생하거나, 엔진의 고장으로 인해 선체(100)가 추진 불가능한 상황에 입력되는 신호일 수 있다. 여기서, 비상 신호는 선원이 직접 입력할 수도 있고, 선체(100)에 구비된 각종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값을 통해 판단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선체(100)에 화재 발생 시 선원이 화재 경보 밸을 누르는 동작으로서 비상 신호를 입력할 수도 있고, 또는 선체(100)에 구비된 화재 감지기로부터 화재가 발생했다는 신호가 입력되면 컨트롤러(미도시)는 이를 비상 상황으로 판단하고 이동 시의 밸브 작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이동 배출 라인(240)의 말단에는 냉각수가 선체(100) 외부로 배출되는 이동 배출 노즐(25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동 배출 노즐(250)은 이동 배출 라인(240)을 통해 수직 방향으로 이동한 냉각수의 방향을 수평 방향으로 전환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배출 노즐(250)은 복수 개가 선체(100) 저면에 골고루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 배출 노즐(250)로는 냉각수가 배출되는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선체(100) 저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캡 노즐이 적용될 수 있다. 캡노즐은 선단에 노즐 구멍을 가지고 있는 캡 모양의 주머니 나사로 된 노즐로서, 회전에 따라 냉각수의 배출 방향이 결정될 수 있다. 캡 노즐을 상술한 바와 같이 주머니 나사로 된 노즐로서, 선체(100) 저면과 수직인 방향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기 때문에, 선체(100)의 이동에 따른 저항에 의한 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이동 배출 노즐(250)의 회전을 위하여 모터 또는 유압장치가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이동 배출 노즐(250)을 통해 배출되는 냉각수의 방향에 의해 선체(100)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 배출 노즐(250)을 통해 배출되는 냉각수의 방향이 선미 방향이라면, 선체(100)는 선수 방향으로 추진력을 얻을 수 있다. 이로써, 선체(100)는 전진할 수 있다.
또는, 이동 배출 노즐(250)을 통해 배출되는 냉각수의 방향이 선수 방향이라면, 선체(100)는 선미 방향으로 추진력을 얻고, 이에 따라 선체(100)는 후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도면 및 설명에서는 이동 배출 노즐(250)로 캡 노즐이 적용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동 배출 노즐(250)은 캡 노즐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냉각수의 배출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떤 것이든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플랜트의 이동 추진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컨트롤러(미도시)가 현재 상황을 평상시로 판단한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러(미도시)는 공급 밸브(222) 및 배출 밸브(312)는 열려있고, 이동 밸브(242)는 닫혀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펌프(230)의 작동에 의해 냉각수가 냉각수 유입구(210)를 통해 냉각수 공급 라인(220)의 상류로 유입되고, 냉각수는 공급 펌프(230)의 입력부(232)를 통하여 공급 펌프(230) 내부로 입력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출력부(234)를 통해 냉각수 공급 라인(220)의 하류로 출력되어 스팀 터빈(110)까지 공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공급된 냉각수의 순환에 의해 스팀 터빈(110)이 냉각되고, 냉각에 이용된 냉각수는 냉각수 배출 라인(310) 및 냉각수 배출구(320)를 통해 다시 해양으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컨트롤러(미도시)에 이동 신호가 입력된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러(미도시)는 공급 밸브(222) 및 배출 밸브(312)를 잠그고, 이동 밸브(242)를 열 수 있다. 그리고, 컨트롤러(미도시)는 공급 퍼프를 최대 출력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이로써, 펌프(230)의 작동에 의해 냉각수가 냉각수 유입구(210)를 통해 냉각수 공급 라인(220)의 상류로 유입되고, 냉각수는 공급 펌프(230)의 입력부(232)를 통하여 공급 펌프(230) 내부로 입력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출력부(236)를 통해 이동 배출 라인(240)으로 출력되어, 최종적으로 냉각수는 이동 배출 노즐(250)을 통해 해양으로 배출될 수 있다.
즉, 스팀 터빈(110)으로 공급되는 냉각수의 경로를 변경하여 다시 외부로 강하게 배출함으로써 선체(100)의 추진력을 얻을 수 있다. 이 때, 선체(100)의 추진 방향은 이동 배출 노즐(250)을 회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이로써, 추진 시스템을 가지지 않는 부유식 발전 플랜트를 움직이기 위한 터그와 같은 보조 선박을 따로 마련할 필요가 없으며, 부유식 발전 플랜트를 움직이기 위한 추진 시스템을 설치하지 않고도 부유식 발전 플랜트를 움직일 수 있다.
따라서, 부유식 발전 플랜트의 가격을 낮추고, 공간 효율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선체 110: 스팀 터빈
210: 냉각수 유입구 220: 냉각수 공급 라인
222: 공급 밸브 230: 공급 펌프
232: 입력부 234: 제 1 출력부
236: 제 2 출력부 240: 이동 배출 라인
242: 이동 밸브 250: 이동 배출 노즐
310: 냉각수 배출 라인 312: 배출 밸브
320: 냉각수 배출구

Claims (8)

  1. 선체에 형성되는 냉각수 유입구와 연통되어 스팀 터빈으로 냉각수가 이동하는 유로인 냉각수 공급 라인;
    상기 냉각수 공급 라인으로부터 분기되어 선체 외부까지 연장되며, 상기 선체가 이동 시에만 상기 냉각수 공급 라인을 통해 이동하는 냉각수를 선택적으로 상기 스팀터빈을 우회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이동 배출 라인;
    상기 냉각수 공급 라인과 상기 이동 배출 라인 사이에 배치되어 압력 작용을 통해 상기 유입구로 상기 냉각수를 유입시켜 상기 스팀 터빈 또는 상기 이동 배출 라인으로 상기 냉각수를 공급하는 공급 펌프;
    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수 공급 라인 상에는 상기 이동 배출 라인이 분기된 지점보다 하류에 공급 밸브가 구비되며, 상기 공급 밸브는 상기 스팀 터빈으로 상기 냉각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며,
    상기 이동 배출 라인 상에는 이동 시에만 상기 이동 배출 라인을 통해 냉각수를 배출시키는 이동 밸브가 구비되고,
    평상시에는 상기 공급 밸브를 열고 상기 이동 밸브를 닫는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냉각수가 상기 스팀터빈으로 공급되도록 하며, 이동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공급 밸브는 닫고 상기 이동 밸브를 여는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냉각수가 선체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부유식 플랜트의 이동 추진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에 이동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컨트롤러는 평상시보다 더 높은 출력으로 상기 공급 펌프를 가동시키는 신호를 출력하는 부유식 플랜트의 이동 추진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배출 라인의 말단에는,
    상기 냉각수가 배출되는 이동 배출 노즐이 구비되는 부유식 플랜트의 이동 추진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배출 노즐은,
    상기 이동 배출 노즐을 통해 수직 방향으로 이동한 냉각수의 흐름을 수평 방향으로 전환하며, 상기 냉각수가 배출되는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선체 저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캡 노즐인 부유식 플랜트의 이동 추진 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배출 노즐은,
    복수 개가 상기 선체의 저면에 골고루 배치되는 부유식 플랜트의 이동 추진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펌프에는,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상기 냉각수가 입력되는 입력부;
    상기 공급 펌프를 통과한 상기 냉각수가 상기 냉각수 공급 라인으로 배출되는 제 1 출력부; 및
    상기 공급 펌프를 통과한 상기 냉각수가 상기 이동 배출 라인으로 배출되는 제 2 출력부;
    가 형성되는 부유식 플랜트의 이동 추진 장치.
KR1020160124923A 2016-09-28 2016-09-28 부유식 플랜트의 이동 추진 장치 KR1018256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4923A KR101825670B1 (ko) 2016-09-28 2016-09-28 부유식 플랜트의 이동 추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4923A KR101825670B1 (ko) 2016-09-28 2016-09-28 부유식 플랜트의 이동 추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5670B1 true KR101825670B1 (ko) 2018-03-22

Family

ID=61901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4923A KR101825670B1 (ko) 2016-09-28 2016-09-28 부유식 플랜트의 이동 추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56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0455A (ko) * 2021-07-12 2023-01-19 주식회사 케이에스브이 선박용 배터리 냉각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0455A (ko) * 2021-07-12 2023-01-19 주식회사 케이에스브이 선박용 배터리 냉각장치
WO2023287142A1 (ko) * 2021-07-12 2023-01-19 주식회사 케이에스브이 선박용 배터리 냉각장치
KR102533355B1 (ko) * 2021-07-12 2023-05-17 세호마린솔루션즈 주식회사 선박용 배터리 냉각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0540816A (ja) 流体ベースのエネルギー生成のための再生可能エネルギー流体ポンプ
KR102221432B1 (ko) Lng 운반선을 이용한 발전 방법
EP2162618B1 (en) Underwater current turbine
US7948106B2 (en) Power generator and power generation method
US9303619B2 (en) Hydrokinetic energy conversion system with buoyancy and ballast controls to harness underwater current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al power
WO2010021655A2 (en) Deep offshore floating wind turbine and method of deep offshore floating wind turbine assembly, transportation, installation and operation
JP2010025100A (ja) 水流発電システム
US20100289267A1 (en) Integrated power system combining tidal power generation and ocean current power generation
EP3384156B1 (en) Renewable energy barge
CN101675243A (zh) 用于采集自然运动流体的动能的设备及方法
US20110109089A1 (en) Free-flow hydro-powered turbine system
Cazzaniga et al. DOGES: deep ocean gravitational energy storage
US20170120999A1 (en) Vessel Which Floats On Water And Which Generates Electricity
KR101825670B1 (ko) 부유식 플랜트의 이동 추진 장치
US10801466B1 (en) Integrated system for optimal continuous extraction of head-driven tidal energy with minimal or no adverse environmental effects
KR20110138464A (ko) 선박용 수력발전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선박
GB2456872A (en) Floating tidal turbine with profiled channel to accelerate flow
WO2001092720A1 (en) System for the exploitation of tidal- and river current energy
JP5619858B2 (ja) 水上発電システム
US20160356261A1 (en) Ocean current power generation system
KR101933053B1 (ko) 반 잠수 부력형 조류, 수류 발전 시스템
CN103562063A (zh) 船舶
WO202203600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harnessing marine hydrokinetic energy
KR20160048599A (ko) 수상발전선을 이용한 수상발전 시스템
EP4184002B1 (en) Hydropower bar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