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4925B1 - 오디오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오디오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4925B1
KR101824925B1 KR1020160125992A KR20160125992A KR101824925B1 KR 101824925 B1 KR101824925 B1 KR 101824925B1 KR 1020160125992 A KR1020160125992 A KR 1020160125992A KR 20160125992 A KR20160125992 A KR 20160125992A KR 101824925 B1 KR101824925 B1 KR 1018249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audio
unit
helmet
audio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5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1029A (ko
Inventor
김재원
박재흥
김선기
박운희
이동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6/090,492 priority Critical patent/US10749560B2/en
Priority to PCT/KR2017/003100 priority patent/WO2017183816A1/ko
Priority to CN201710256391.7A priority patent/CN107306313B/zh
Publication of KR20170121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10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49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49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06B1/04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sm
    • B06B1/045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sm using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vibrations
    • G01B17/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vibrations for measuring thickne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1/00Measuring characteristics of vibrations in solids by using direct conduction to the detector
    • G01H1/04Measuring characteristics of vibrations in solids by using direct conduction to the detector of vibrations which are transverse to direction of propag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6Supports for loudspeaker ca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8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ssociated with devices performing functions other than acoustics, e.g. electric cand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005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combining the signals of two or more microph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06B1/04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s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H04B2001/3866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carried on the he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4Structural association of microphone with electric circuitry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Details casings, cabinets or mounting therein for transducers covered by H04R1/02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3Transducers incorporated in garment, rucksack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30/00Signal processing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30/01Aspects of volume control, not necessarily automatic, in sound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01Hearing devices using active noise cancel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3Acoustic transducers and sound field adaptation in veh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오디오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오디오 장치는 진동을 이용하여 오디오를 제공하기 위한 진동부, 오디오 장치가 부착된 물체의 재질 및 두께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기 위한 센싱부, 진동부가 상기 물체에 가하는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압력 조절부 및 센싱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물체의 두께 및 재질 중 적어도 하나를 바탕으로 진동부가 상기 물체에 가하는 압력을 조절하도록 압력 조절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오디오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Audio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audio apparatus thereof}
본 개시는 오디오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착용하고 있는 물체에 부착되어 진동을 통해 오디오를 제공하는 오디오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다양한 현장에서 헬멧을 착용하고 있다. 예를 들어, 건축 현장, 벌목 현장, 공장, 비행기 운행, 설비 혹은 경우 차량 운행 등의 각종 환경에서 일하는 작업자는 필수적으로 헬멧을 착용하여야 한다. 뿐만 아니라, 스키, 인라인 스케이트, 보드, 자전거, 오토바이, 놀이 공원 등과 같이 취미 생활이 다양화됨에 따라 일반인들도 헬멧을 착용해야 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된다.
이와 같이, 다양한 환경에서 헬멧이 요구되고 있으나, 헬멧을 이용하는 경우 귀를 가리게 되며, 주변 소음이 매우 심한 상황인 경우, 일반적으로 출력되는 오디오를 제대로 들을 수 없는 경우가 많다. 또한, 헬멧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두 손을 자유자재로 이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헬멧에 부착되어 진동을 통해 오디오를 제공하는 오디오 장치가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헬멧의 종류나 두께와 같은 다양한 요인에 따라 진동을 통해 제공되는 오디오의 음질이나 음량이 상이하여 사용자에게 최적의 음질을 제공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개시의 목적은 오디오 장치가 부착된 물체의 특성을 감지하여, 물체의 특성에 따라 최적의 오디오를 제공하기 위한 오디오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장치는, 진동을 이용하여 오디오를 제공하기 위한 진동부; 상기 오디오 장치가 부착된 물체의 재질 및 두께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기 위한 센싱부;  상기 진동부가 상기 물체에 가하는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압력 조절부; 및 상기 센싱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물체의 두께 및 재질 중 적어도 하나를 바탕으로 상기 진동부가 상기 물체에 가하는 압력을 조절하도록 상기 압력 조절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또한,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을 이용하여 오디오를 제공하는 진동부를 포함하는 오디오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오디오 장치가 부착된 물체의 재질 및 두께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된 상기 물체의 두께 및 재질 중 적어도 하나를 바탕으로 상기 진동부가 상기 물체에 가하는 압력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는 헬멧을 착용하더라도 사용자가 착용하는 헬멧의 특성에 따라 최적의 오디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헬멧에 부착된 오디오 장치를 통해 다양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도 1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에 부착된 오디오 장치를 도시한도면,
도 1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장치의 구성을 간략히 나타내는 블럭도,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장치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내는 블럭도,
도 3a 및 도 3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a 내지 도 4f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부를 포함하는 오디오 장치를 이용하여 최적의 오디오 신호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5a 및 도 5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조절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 내지 도 9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들,
도 10a 내지 10e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버튼을 포함하는 오디오 장치 및 오디오 장치의 부착부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장치와 휴대 단말을 포함하는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오디오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발명된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모듈’ 혹은 복수의‘부’는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모듈’ 혹은 ‘부’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에 부착된 오디오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우선, 오디오 장치(100)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헬멧(50)의 특정 영역에 부착되어 진동을 통해 사용자에게 오디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오디오 장치(100)는 헬멧(50) 중 귀에 대응되는 영역에 부착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헬멧의 임의의 영역에 부착될 수 있다.
특히, 오디오 장치(100)는 오디오 장치(100)가 부착된 헬멧(50)을 진동시키고, 진동된 헬멧(50)이 스피커 역할을 하여 오디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오디오 장치(100)는 코일과 자석의 전자계 현상에 의한 진동부의 진동을 매질(헬멧(50))을 통해 공기를 진동시키고, 진동된 공기를 사용자가 들음으로써 오디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장치의 구성을 간략히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우선, 오디오 장치(100)는 진동부(110), 센싱부(120), 압력 조절부(130) 및 프로세서(140)를 포함한다.
진동부(110)는 진동을 이용하여 오디오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진동부(110)에 포함된 코일과 자석의 전자계 현상을 통해 진동 소자를 진동시키고, 진동 소자의 진동이 매질(헬멧)을 통해 오디오로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센싱부(120)는 오디오 장치(100)가 부착된 물체(즉, 헬멧)(50)의 재질 및 두께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한다. 이때, 센싱부(120)는 초음파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싱부(120)는 초음파 센서에서 발생한 초음파가 물체(50)에 접촉한 후 반사된 시간을 통해 물체(50)의 두께를 측정하며, 초음파가 물체(50)를 투과할 때 흡수되는 초음파의 음량 및 산란되는 초음파의 음량을 측정하여 물체(50)의 헬멧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압력 조절부(130)는 진동부(110)가 물체(50)에 가하는 압력을 조절한다. 구체적으로, 진동부(110)는 물체(50)에 가하는 압력에 따라 상이한 음질의 오디오를 제공한다. 이때, 압력 조절부(130)는 진동부(110)가 물체(50)에 가하는 압력을 조절함으로써, 최적의 음질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압력 조절부(130)는 센싱부(120)에 의해 감지된 물체(50)의 재질 및 두께에 대응되는 압력 데이터에 따라 진동부(110)를 지지하는 서스펜션부 및 서스펜션부와 물체(50)와의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모터부를 포함한다. 이때, 모터부가 서스펜션부와 물체(50)와의 거리를 조절함에 따라 오디오 장치(100)가 물체(50)에 가하는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오디오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프로세서(140)는 센싱부(120)에 의해 감지된 물체(50)의 두께 및 재질 중 적어도 하나를 바탕으로 진동부(110)가 물체(50)에 가하는 압력을 조절하도록 압력 조절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40)는 센싱부(120)를 통해 감지된 물체(50)의 두께 및 재질에 대한 정보에 대응되는 압력 데이터를 저장부에서 검색하고, 검색된 압력 데이터를 바탕으로 모터부를 제어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40)는 최적의 음질을 제공할 수 있도록 기저장된 정보(예를 들어, 압력 데이터)를 바탕으로 서스펜션부와 물체(50)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특히, 프로세서(140)는 물체(50)의 두께가 두껍거나 물체(50)의 재질이 단단할수록 압력이 강해지도록 압력 조절부(130)를 제어하며, 물체(50)의 두께가 얇거나 물체(50)의 재질이 무를수록 압력이 약해지도록 압력 조절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물체에 대한 정보와 대응되는 압력 데이터가 메모리에 저장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외부 서버에 물체에 대한 정보와 대응되는 압력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오디오 장치(100)는 외부의 서버로 센싱된 물체의 유형 및 두께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고, 외부 서버로부터 물체의 유형 및 두께에 대응되는 압력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오디오 장치(100)를 통해 사용자는 어떠한 헬멧을 착용하더라도 사용자가 착용하는 헬멧의 특성에 따라 최적의 오디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장치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디오 장치(100)는 진동부(110), 센싱부(120), 압력 조절부(130), 마이크(150), 저장부(160), 통신부(170), 복수의 버튼(180), 부착부(190) 및 프로세서(140)를 포함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오디오 장치(100)의 구성은 일 예에 불과하므로, 반드시 전술된 블록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전자 장치(100)의 종류 또는 전자 장치(100)의 목적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전자 장치(100)의 구성의 일부가 생략 또는 변형되거나, 추가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진동부(110)는 진동을 발생하여 오디오를 제공한다. 이때, 진동부(110)는 외부로부터 수신된 오디오에 대응되는 진동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각종 정보에 대한 알림 오디오에 대응되는 진동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진동부(110)는 진동 소자를 통해 매질(헬멧(50))을 진동시켜 오디오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우선, 진동부(110)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 소자(111), 코일(113), 제1 진동 차단판(115), 진동 전달판(117), 제2 진동 차단판(119)을 포함한다.
진동 소자(111)는 코일(113)과의 전자계 현상을 통해 진동을 발생한다.  이때, 진동 소자(111)는 진동을 발생시켜 매질을 통해 오디오를 제공한다. 진동 소자(111)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스펜션부(131)에 의해 하우징될 수 있다. 또한, 진동 소자(111)는 코일(113)에 흐르는 전류에 대응되는 진동 세기 및 진동 패턴을 가지는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코일(113)은 자석과의 전자계 현상을 통해 진동 소자(111)의 진동을 발생시킨다.
제1 진동 차단판(115)은 외부에서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을 차단할 뿐만 아니라 진동 소자(111)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외부로 퍼져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제1 진동 차단판(115)은 스테인리스 강(stainless steel)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진동 전달판(117)은 외부의 매질과 닿는 면적 부분에 위치하여 진동 소자(111)에서 발생한 진동을 외부의 매질(예를 들어, 헬멧)로 전송한다. 이때, 진동 전달판(117)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 소자(111)와 접촉하여 진동 소자(111)에서 발생한 진동을 물체(50)로 전달할 수 있다.
제2 진동 차단판(119)은 진동 전달판(117)의 측면에 위치하여 진동 전달판(117)에서 물체(50)에 진동을 전달할 때, 진동 전달판(117)의 진동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고, 진동 전달판(117)의 진동이 물체(50) 방향으로 향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를 통해, 사용자는 제1 진동 차단판(113) 및 제2 진동 차단판(119)을 통해 진동 전달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소음을 제거할 수 있으며, 사용자 만이 오디오를 들을 수 있게 된다.
다시, 도 2에 대해 설명하면, 센싱부(120)는 다양한 센서를 통해 센싱값을 획득한다. 특히, 센싱부(120)는 오디오 장치(100)가 부착된 물체(50)의 재질 및 두께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기 위한 센싱값을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싱부(120)는 초음파 센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초음파 탐상 검사 방법을 이용하여 오디오 장치(100)가 부착된 물체(50)의 재질 및 두께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기 위한 센싱값을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초음파 탐상 검사 방법은 초음파를 시험 체내로 보내어 시험 체내에 존재하는 불연속을 검출하는 방법으로서 시험 체내의 불연속부로부터 반사되는 에너지량, 송신되는 초음파가 시험체를 통과하여 불연속부로부터 반사되어 되돌아올 때까지의 시간, 초음파가 시험체를 투과할 때 감쇄되는 양의 차이를 적절한 표준자료(standard data)와 비교하여 물체의 형상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즉, 프로세서(140)는 초음파 센서에 의해 획득된 센싱값들을 바탕으로 물체(50)의 단면도를 파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싱부(120)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음파 센서에 의해 발생된 초음파(410)가 물체(50)에 접촉하여 반사된 경우(420), 초음파 센서에 의해 발생되어 매질에 접촉한 후 반사되는 시간(Δt)을 측정하여 물체(50)의 두께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물체(50)의 두께는 아래와 같은 수학식 1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Figure 112016094934538-pat00001
이때, D는 물체(50)의 두께이며, Δt는 초음파가 반사되어 돌아온 시간이며, α는 물체(50)의 소재별 전파 속도 계수이다. 예를 들어, 산업용 플라스틱으로 구성된 물체(50)의 전파 속도 계수는 1.4 ~2.4 mm/us이며, 플리스타이렌과 스포츠용 플라스틱이 혼합된 물체(50)의 전파 속도 계수는 2.388mm/us이다. 물체의 종류(즉, 소재)별 전파 속도 계수는 기 측정되어 저장부(16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40)는 초음파 센서에서 발생한 초음파가 물체(50)를 투과할 때, 흡수되는 초음파의 음량 및 산란되는 초음파의 음량을 측정하여 물체(50)를 레이어를 확인한 후, 기저장된 표본 데이터와 비교하여 헬멧의 종류를 파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장부(160)에는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물체(50)의 유형에 따른 전달률(즉, 흡수되는 초음파의 음량과 산란되는 초음파의 음량의 비율)을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전달률은 실험실에 의해서 측정된 값들을 저장부(160)가 기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센싱부(120)는 물체(50)에 의해 흡수되는 초음파의 음량 및 산란되는 초음파의 음량을 측정하고, 프로세서(140)는 측정된 흡수되는 초음파의 음량 및 산란되는 초음파의 음량의 비율과 기저장된 전달률을 비교하여 물체(50)의 유형을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 탐촉자, 사각 탐촉자, 공중 초음파 센서 중 하나를 이용하여 초음파 센서를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센서(430)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부(110)의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초음파 센서(430)가 진동부(110)와 최대한 가까운 곳에 위치함으로써, 프로세서(140)는 헬멧(50) 중 진동부(110)에 대응되는 영역의 물체에 대한 유형 및 두께를 판단할 수 있다.또한, 센싱부(120)는 초음파 센서 이외에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싱부(120)는 외부의 소음을 센싱하기 위한 소음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오디오 장치(100)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움직임 센서,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기 위한 모션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에, 센싱부(120)는 오디오 장치(100)의 주변 환경을 감지하기 위한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폐부(440)가 진동부(110)의 주위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차폐부(440)는 도 4d에 도시된 것과 같이, 진동부(110)와 매질(즉, 헬멧)(50)을 압착시켜 오디오가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차폐부(440)는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압력 조절부(130)는 진동부(110)가 물체(50)에 가하는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구성이다. 진동부(110)가 물체(50)에 가하는 압력 또는 진동부(110)가 물체(50)와 닿는 면적에 따라 상이한 음질의 오디오를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압력 조절부(130)는 최적의 음질을 제공하기 위하여 프로세서(140)의 제어에 따라 진동부(110)가 물체(50)에 가하는 압력을 기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압력 조절부(130)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스펜션부(131), 모터부(133), 웜기어(135)를 포함한다. 이때, 서스펜션부(131)는 진동부(110)를 지지하며, 진동부(110)에 가하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서스펜션부(131)는 모터부(133) 및 웜기어(135)에 의해 물체(50)와의 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 모터부(133)는 프로세서(140)의 제어에 따라 웜기어(135)를 조작하여 물체(50)와 서스펜션부(131) 사이의 거리를 조절한다. 즉, 웜 기어(135)가 제1 방향(예를 들어, 아래 방향)으로 조작되면, 모터부(133)는 물체(50)와 서스펜션부(131) 사이의 거리를 멀어지도록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웜 기어(135)가 제2 방향(예를 들어, 아래쪽 방향)으로 조작되면, 모터부(133)는 물체(50)와 서스펜션부(131) 사이의 거리를 좁아지도록 조절할 수 있다. 즉, 압력 조절부(130)는 물체(50)와 서스펜션부(131)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여 진동부(110)가 물체(50)에 가하는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압력 조절부(130)는 프로세서(140)에 의해 자동으로 서스펜션부(131)와 물체(5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기준 음파를 헬멧 내부로 방출시키는 동안 사용자가 최적의 소리를 획득하기 위해, 서스펜션부(131)와 물체(50) 사이의 거리를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압력 조절부(130)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체(50)와 서스펜션부(131)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기 위하여 조그 셔틀(137)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일 실시에에 불과할 뿐, 버튼 등과 같은 다양한 수동 방식으로 물체(50)와 서스펜션부(131) 사이의 거리를 수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압력 조절부(130)는 모터부(133)와 조그 셔틀(137)이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에 의해 자동 모드로 설정된 경우, 압력 조절부(130)는 모터부(133)를 이용하여 진동부(110)가 물체(50)에 가하는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수동 모드로 설정된 경우(또는 센싱부(120)에 의해 획득된 센싱값으로 기 저장된 물체의 종류나 두께를 파악하지 못하는 경우), 압력 조절부(130)는 조그 셔틀(137)을 이용하여 진동부(110)가 물체(50)에 가하는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압력 조절부(130)는 진동부(110)가 물체(50)에 가하는 압력을 조절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진동부(110)가 물체(50)와 닿는 면적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압력 조절부(!30)는 물체(50)와 서스펜션부(131)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여 진동부(110)가 물체(50)에 닿는 면적을 조절할 수 있다.
마이크(150)는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한다. 특히, 마이크(150)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 음성은 통신부(170)를 통해 외부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한편, 마이크(150)는 오디오 장치(100) 내에 구비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오디오 장치(100)와 유무선으로 연결된 형태의 마이크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마이크(150)는 바람 소리와 같은 소음을 차단하기 위하여 스펀지 또는 스타킹과 같은 얇은 망을 이용하는 윈드스크린(windscreen)을 구비할 수 있다.
 저장부(160)는 오디오 장치(100)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모듈을 저장한다. 예를 들어, 저장부(160)에는 베이스 모듈, 센싱 모듈, 통신 모듈, 서비스 모듈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이때, 베이스 모듈은 오디오 장치(100)에 포함된 각 하드웨어들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상위 레이어 모듈로 전달하는 기초 모듈이다. 센싱 모듈은 각종 센서들로부터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분석 및 관리하는 모듈이다. 서비스 모듈은 수집된 센싱 정보를 바탕으로 다양한 서비스를 수행하는 모듈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저장부(160)는 다양한 프로그램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으나, 각종 프로그램 모듈들은 오디오 장치(100)의 종류 및 특성에 따라 일부 생략되거나 변형 또는 추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오디오 장치(100)에 디스플레이가 포함된 경우, 저장부(160)는 UI 모듈, 프리젠테이션 모듈과 같은 다양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60)는 물체(50)의 종류를 판단하기 위한 표준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 즉, 저장부(160)는 물체(50)의 종류를 판단하기 위하여 초음파의 전달률에 대한 정보와 물체의 유형에 대한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60)는 물체(50)의 두께 및 종류에 따라 최적의 오디오를 제공하기 위한 압력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160)는 아래의 표 1에 도시된 것이, 물체의 유형 및 두께와 압력 데이터가 매칭된 테이블을 저장할 수 있다.
물체의 유형 및 두께 압력 데이터
스키헬멧(25mm)(PC + EPP + 천) 230g
산업용 헬멧(12mm)(ABS + EPP) 124g
스키헬멧(27mm)(ABS 시트 + 발포 PU) 282g
바이크 헬멧(30mm)(유리 섬유강화 플라스틱 + 압축강화스트로폼) 260g
바이크 헬멧(48mm)(ABS + EPP + 스펀지 + 천) 330g
자전거 헬멧(20mm)(PC + EPS) 189g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부(160)는 물체(50)의 두께 및 종류와 모터부(133)를 제어하기 위한 압력 데이터 이외의 다른 데이터(예를 들어, 물체(50)와 서스펜션부(131) 사이의 거리에 대한 데이터, 웜기어(135)의 이동 거리 데이터 등)를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물체(50)의 두께 및 종류와 모터부(133)를 제어하기 위한 압력 데이터 또는 다른 데이터 정보는 최적의 음질을 제공하기 위해 실험실에서 측정된 표본 데이터일 수 있다.
한편, 저장부(160)는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17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통신부(230)는 와이파이 칩, 블루투스 칩, NFC칩, 무선 통신 칩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칩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와이파이 칩, 블루투스 칩, NFC 칩은 각각 WiFi 방식, 블루투스 방식, NFC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이 중 NFC 칩은 135kHz, 13.56MHz, 433MHz, 860~960MHz, 2.45GHz 등과 같은 다양한 RF-ID 주파수 대역들 중에서 13.56MHz 대역을 사용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으로 동작하는 칩을 의미한다. 와이파이 칩이나 블루투스 칩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SSID 및 세션 키 등과 같은 각종 연결 정보를 먼저 송수신하여, 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한 후 각종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칩은 IEEE, 지그비,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o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칩을 의미한다.
특히, 오디오 장치(100)는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외부 단말과 직접 전화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장치(100)는 근처에 존재하는 헬멧 착용자의 휴대 단말과 블루투스 통신을 연결하여 외부 단말과 전화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오디오 장치(100)는 휴대 단말을 통해 외부 단말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휴대 단말로 오디오 장치(100)에 입력된 사용자 음성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70)는 착용자의 휴대 단말로부터 알람 정보(예를 들어, 메시지 알람 등)를 수신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140)는 수신된 알람 정보를 바탕으로 오디오 알람을 출력하도록 진동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복수의 버튼(180)은 오디오 장치(100) 상에 물리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버튼(180)은 각각 복수의 기능 및 복수의 연락처와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장치(100)는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버튼(1010), 제2 버튼(1020), 제3 버튼(10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버튼(1010)은 제1 기능(예를 들어, 통신 연결 기능)에 대응되며, 제1 연락처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제2 버튼(1020)은 제2 기능(예를 들어, 배터리 잔량 확인 기능)에 대응되며, 제2 연락처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제3 버튼(1030)은 제3 기능(예를 들어, 현재 시각 및 날씨 정보 알람 기능)에 대응되며, 제3 연락처에 대응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복수의 버튼(1010,1020,1030) 중 하나를 누르는 경우, 프로세서(140)는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는 시간을 기설정된 시간과 비교하여 눌러진 버튼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거나 상기 눌러진 버튼에 대응되는 연락처로 통화를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1 버튼(1010)을 기설정된 시간보다 짧게 누르는 입력이 감지되면, 프로세서(140)는 통신 연결 기능을 수행하고, 사용자가 제1 버튼(1010)을 기설정된 시간 이상 누르는 입력이 감지되면, 프로세서(140)는 제1 연락처에 대응되는 외부 휴대 단말로 전화 통화를 요청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가 제1 버튼(1010)을 기설정된 시간보다 짧게 누르는 입력이 감지되면, 프로세서(140)는 제1 연락처에 대응되는 외부 휴대 단말로 전화 통화를 요청하고, 사용자가 제1 버튼(1010)을 기설정된 시간 이상 누르는 입력이 감지되면, 프로세서(140)는 통신 연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장치(100)는 사용자에게 알림(notification)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알림은 능동형 알림(active notification)과 수동형 알림(passive notification)일 수 있다. 능동형 알림의 경우, 사용자가 복수의 버튼(180) 중 특정 버튼을 눌렀을 때, 즉시 알림이 활성화 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예를 들어, 날씨, 시간, 배터리 잔량 등)을 TTS(Text to Speech; 텍스트 음성 변환)으로 알려준다. 한편, 수동형 알림의 경우, 예를 들어, 오디오 장치(100) 전용 휴대 단말 애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사용자가 메시지, 이메일, 일정 등 알림을 받고 싶은 서비스를 선택하면, 선택된 서비스가 활성화될 때, 서비스 정보를 분석하여 오디오 장치(100)로 TTS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오디오 장치(100) 전용 애플리케이션으로 메신저 앱을 선택해두면, 메신저 앱에 메시지가 수신되었을 때, 메시지의 발신자 및 메시지의 내용을 TTS로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알림 기능은 복수의 버튼(180) 각각이 활성화되어 있는 서비스에 대응하여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버튼(180) 중 하나의 버튼이 여러 개의 서비스 기능을 담당할 수도 있다.
그 밖에, 오디오 장치(100)에는 볼륨 조절을 위한 버튼, 전원 버튼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버튼(1010,1020,1030)에는 대응되는 기능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화 기능에 대응되는 버튼은 전화기 모양의 인디케이터가 형성되며, 문자 메시지 확인 기능에 대응되는 버튼은 문자 메시지 모양의 인디케이터가 형성될 수 있다.
부착부(190)는 오디오 장치(100)를 물체(50)(예를 들어, 헬멧)에 부착할 수 있는 구성이다. 특히, 부착부(190)는 스피커의 전원을 이용하여 전자석을 생성한 후 전자석을 이용하여 오디오 장치(100)를 물체(50)에 부착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부착부(190)는 다른 방법을 이용하여 오디오 장치(100)를 물체(50)에 부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부착부(1040)가 헬멧(50)에 고정되며, 제2 부착부(1050)가 오디오 장치(100)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부착부(1040) 및 제2 부착부(1050)가 서로 부착되어 오디오 장치(100)가 헬멧(50)에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제1 부착부(1040)는 양면 테이프 또는 자석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부착부(190)는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산 구조(1060)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도 1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 구조(1070)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도 10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스프링 구조(1080)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부착형 보조 스피커로 물체(50)에 부착한 후, 보조 스티커의 홈에 진동자 스피커의 클립을 끼우는 클립 형태, 네비게이션을 자동차에 부착할 때 사용되는 형태로 고무 패킹으로 물체(50) 표면에 압착하여 부착하는 압착 형태, 물체(50) 사용시 고글을 이용하는 경우, 귀 이치 부분의 고글 밴드 안쪽에 진동 스피커를 내장하는 밴드 삽입 형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저장부(16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오디오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RAM(141), ROM(142), 메인 CPU(14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45-1 ~ 145-n), 버스(146)를 포함한다. 이때, RAM(141), ROM(142), 메인 CPU(14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45-1 ~ 145-n) 등은 버스(146)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ROM(142)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턴 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메인 CPU(144)는 ROM(142)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저장부(160)에 저장된 O/S를 RAM(141)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메인 CPU(144)는 저장부(160)에 저장된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RAM(141)에 복사하고, RAM(141)에 복사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메인 CPU(144)는 저장부(160)에 액세스하여, 저장부(16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그리고, 메인 CPU(144)는 저장부(16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45-1 내지 145-n)는 상술한 각종 구성요소들과 연결된다. 인터페이스들 중 하나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될 수도 있다.
그 밖에, 도 2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오디오 장치(100)의 구현 예에 따라 오디오 장치(100)는 다양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는 사용자 터치를 감지할 수 있는 터치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장치(100)의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장치(100)가 최적의 음질의 오디오를 제공하기 위한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우선, 오디오 장치(100)는 오디오 장치(100)가 부착된 물체(50)의 재질 및 두께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한다(S610). 이때, 오디오 장치(1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센싱부(120)의 초음파 센서를 이용하여 오디오 장치(100)가 부착된 물체(50)의 재질 및 두께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오디오 장치(100)는 감지된 물체(50)의 두께 및 재질 중 적어도 하나를 바탕으로 진동부(100)가 물체에 가하는 압력을 조절한다(S620).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40)는 감지된 물체(50)의 두께 및 재질에 대한 정보에 대응되는 압력 데이터를 저장부(160)에서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된 물체의 유형이 스키헬멧 25mm(PC + EPP + 천) 인 경우, 프로세서(140)는 스키헬멧 25mm에 대응되는 압력 데이터로서 230g을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오디오 장치(100)는 압력 데이터를 바탕으로 모터부(133)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40)는 물체(50)의 두께가 두껍거나 물체(50)의 재질이 단단할수록 압력이 강해지도록 압력 조절부(130)를 제어하며, 물체(50)의 두께가 얇거나 물체(50)의 재질이 무를수록 압력이 약해지도록 압력 조절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40)는 물체(50)의 두께가 두껍거나 물체(50)의 재질이 단단할수록 서스펜션부(131)와 물체(50)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도록 모터부(133)를 제어하며, 물체(50)의 두께가 얇거나 물체(50)의 재질이 무를수록 서스펜션부(131)와 물체(50)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도록 모터부(133)를 압력 조절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상술한 바와 같은 제어 방법에 의해, 오디오 장치(100)는 오디오 장치(100)가 어떠한 헬멧에 부착되더라도 최적의 오디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40)는 매질의 종류 및 두깨 이외에 제공되는 오디오의 주파수에 따라 진동부(110)가 물체에 가하는 압력을 변경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파수 별로 진동부(110)가 물체에 가하는 압력에 따라 상이한 SPL(Sound Pressure Level)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140)는 입력되는 오디오의 주파수에 따라 진동부(110)가 물체(50)에 가하는 압력을 변경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1500kHz의 오디오 신호가 제공될 경우, 프로세서(140)는 진동부(110)가 물체에 가하는 압력이 100g이 되도록 압력 조절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소음에 따라 오디오 음량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우선, 오디오 장치(100)는 소음 센서를 이용하여 외부 소음을 측정할 수 있다(S710).
그리고, 오디오 장치(100)는 소음 센서에 의해 측정된 외부 소음에 따라 오디오의 음량을 조절할 수 있다(S720).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40)는 외부 소음의 크기에 따라 오디오 음량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주위에서 발생되는 소음의 음량(dB)을 측정하고, 측정된 음량(dB)보다 큰 적정 음량으로 자동 조정하여 최적의 음량의 오디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40)는 기본적인 사용자 평균 통화 음량을 측정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사용자 평균 통화 음량을 바탕으로 최적의 음량을 가진 오디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사용자 평균 통화 음량을 크게 벗어나지 않으면서 현재 소음보다 큰 오디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별도의 사용자 조작 없이도 최적의 음량을 가진 오디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소음을 필터링하여 사용자 음성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우선, 오디오 장치(100)는 외부 단말과 통화를 수행하는 동안 마이크(150)를 통해 사용자 음성을 수신할 수 있다(S810).
그리고, 오디오 장치(100)는 사용자 음성이 입력되는 동안 외부 소음의 음파를 판단할 수 있다(S820).
그리고, 오디오 장치(100)는 외부 소음의 음파를 제거하기 위한 음파를 생성할 수 있다(S830).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40)는 마이크(150)를 통해 수신되는 오디오 중 외부 소음을 판단하고, 외부 소음의 음파와 반대되는 음파를 생성하여 외부 소음과 합성함으로써, 마이크(150) 통해 수신된 사용자 음성만을 외부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최적의 음질의 사용자 음성을 외부 단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장치(100)는 사용자 음성 이외에 특정 주파수대의 오디오(예를 들어, 경적 소리)만을 들리게 외부 소음을 필터링하여 특정 주파수대의 오디오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시간 도메인에서 기설정된 값 이상의 오디오가 감지되면, 오디오 장치(100)는 수신된 오디오에 대한 주파수 분석(예를 들어, STFT (Short Time Fourier Transform))을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오디오 장치(100)는 현재 시점의 오디오와 기설정된 구간 내의 오디오의 주파수를 비교하여 특정 주파수대의 오디오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오디오 장치(100)는 특정 주파수대의 오디오를 제외한 소음을 제거하여 특정 주파수대의 오디오만을 제공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장치(100)의 움직임에 따라 오디오 장치(100)의 부착력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우선, 오디오 장치(100)는 움직임 센서를 통해 오디오 장치(100)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S910). 예를 들어, 센싱부(120)는 움직임 센서를 이용하여 오디오 장치(100)의 이동 속도, 흔들림 등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오디오 장치(100)는 오디오 장치(100)의 움직임에 따라 전자석의 자성을 조절할 수 있다(S920). 구체적으로, 오디오 장치(100)는 오디오 장치(100)의 움직임이 빠르거나 흔들림이 많을수록 부착부(190)에 포함된 전자석의 자성을 강하게 제어하여 오디오 장치(100)가 항상 일정한 부착력을 가지면서 물체(50)에 부착될 수 있도록 부착부(19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오디오 장치(100)는 헬멧(50)을 착용하는 사용자의 속도 정보를 감지하고, 속도 정보에 따라 오디오 장치(100)가 헬멧(50)에 고정(혹은 부착)시키는 부착력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헬멧이 오토바이 헬멧으로 사용자가 오토바이를 타고 이동하는 경우, 임계 값 이상의 속도가 감지되면, 오디오 장치(100)는 부착부(190)의 전자석의 자성을 증가시켜 부착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이동속도가 빠르더라도 오디오 장치(100)를 헬멧(50)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오디오 장치(100)는 사용자의 헬멧(50) 착용 여부를 감지하여 오디오 장치(100)가 헬멧(50)에 부착되는 부착력을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헬멧(50)을 착용하지 않는 것으로 감지된 경우, 오디오 장치(100)의 부착력을 감소시켜 사용자가 쉽게 오디오 장치(100)를 헬멧(50)으로부터 탈착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장치(100)는 사용자 모션을 감지하여 오디오 장치(100)가 헬멧(50)에 부착되는 부착력을 조절함으로써, 오디오 장치(100)의 탈부착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모션(예를 들어, 헬멧을 한 번 두드리는 사용자 모션 등)이 감지되면, 오디오 장치(100)는 부착력을 증가시키며, 제2 사용자 모션(예를 들어, 헬멧을 두 번 두드리는 사용자 모션)이 감지되면, 오디오 장치(100)는 부착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오디오 장치(100)가 헬멧(50)에 부착된 경우, 오디오 장치(100)는 헬멧(50)으로부터 전력을 수신하여 자동으로 무선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헬멧(50)이 태양광 충전 장치(예를 들어, solar cell)을 구비하는 경우, 헬멧은 태양광 충전 장치로부터 수신된 전력을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오디오 장치(100)는 저장된 전력을 이용하여 배터리의 무선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또한, 오디오 장치(100)는 사용자의 긴급 상황(예를 들어, 사고, 비상 상황)을 감지하여 외부로 긴급 상황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장치(100)에 구비된 기설정된 버튼이 감지되거나 기설정된 사용자 음성이 감지되거나 비정상적인 생체 정보가 감지되거나 기설정된 값 이상의 충격이 감지된 경우, 오디오 장치(100)는 사용자가 긴급 상황임을 감지하여 외부의 장치(예를 들어, 기 등록된 장치, 관공서, 병원 등)에 긴급 상황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장치(100)와 휴대 단말(1100)을 포함하는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때, 휴대 단말(1100)은 오디오 장치(100)가 부착된 물체(50)를 착용하는 사용자가 소지한 휴대 단말일 수 있다.
우선, 오디오 장치(100)는 휴대 단말(1100)과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오디오 장치(100)는 블루투스, 지그비 등과 같은 근거리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110)과의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오디오 장치(100)는 휴대 단말(1100)로부터 외부 단말의 전화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전화 요청에 대한 알림은 진동부(110)를 통해 오디오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오디오 장치(100)는 전화 통화가 수행되는 동안 외부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상대방 음성을 휴대 단말(1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장치(100)는 마이크(15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음성을 휴대 단말(11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오디오 장치(100)는 휴대 단말(1100)을 통해 외부 단말과 통화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오디오 장치(100)는 다양한 알림 정보를 휴대 단말(1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오디오 장치(100)는 메시지 수신 정보, 시간 알람 정보, 스케줄 알람 정보 등과 같은 다양한 알람 정보를 휴대 단말(1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장치(100)는 휴대 단말(110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TTS 기능을 통해 오디오 신호로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110)이 외부로부터 문자를 수신한 경우, 오디오 장치(100)는 문자 수신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TTS 모듈을 통해 문자 수신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음성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110)은 오디오 장치(100)의 배터리 정보, 사용 시간 정보, 다른 오디오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들의 위치 정보를 오디오 장치(100)로부터 수신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장치(100)는 연결 가능한 휴대 단말(1100)이 감지된 경우 연결 가능한 휴대 단말(1100)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오디오 장치(100)는 진동부(110)를 통해 청각적인 형태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오디오 장치(100)가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경우 시각적인 형태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장치(100)는 복수의 버튼 중 하나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1100)과의 통신 연결 및 연결 차단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장치(10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의 다른 오디오 장치(1200)와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오디오 장치(100)와 다른 오디오 장치(1200)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난 발생시, 소방대원들 사이에 음성 통신을 위해, 각각의 소방대원들의 헬멧에 오디오 장치(100)를 부착하고, 오디오 장치(100)를 통해 소방대원들 사이의 의사소통을 수행할 수 있다. 그 밖에 군사 작전이나 갱도 작업과 같은 복수의 인원이 헬멧을 착용하는 경우, 복수의 오디오 장치를 이용하여 음성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장치(100)는 현재 재생되는 음악의 장르(혹은 주파수 영역대)에 따라 실시간으로 출력을 조절하여 이퀄라이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장치(100)는 헬멧(50)에 기설정된 이벤트(예를 들어, 사용자 모션, 순간적인 충격 등)을 감지하는 경우, 음악의 재생과 중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오디오 장치의 제어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사용자 단말 장치에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가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10: 진동부 120: 센싱부
130: 압력 조절부 140: 프로세서
150: 마이크 160: 저장부
170: 통신부 180: 복수의 버튼
190: 부착부

Claims (18)

  1. 오디오 장치에 있어서,
    본체;
    상기 본체는,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소자,
    상기 진동 소자를 지지하는 서스펜션부,
    상기 오디오 장치 중 헬멧을 향하는 제 1면에 배치되며, 상기 진동 소자에서 발생된 진동을 상기 헬멧에 전달하는 진동 전달판,
    상기 진동 소자 주위에 배치되며, 상기 진동 소자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상기 제 1면에 대향하는 상기 오디오 장치의 제 2면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 진동 차단판,를 포함하고,
    상기 오디오 장치의 본체와 부착되는 제1 부착부; 및
    상기 헬멧에 부착되며, 상기 제1 부착부와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부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헬멧과 상기 서스펜션부와의 거리가 조절되어 상기 진동 소자에 가해지는 압력이 조절되는 오디오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전달판의 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진동 전달판이 전달하는 진동이 상기 오디오 장치의 측면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제2 진동 차단판;를 더 포함하는 오디오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 및
    출력 오디오에 대응되는 진동을 생성하도록 상기 진동 소자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사용자 음성을 포함하는 오디오를 입력받기 위한 마이크;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마이크로 수신된 오디오 중 상기 사용자 음성을 제외한 외부 소음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버튼을 통해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외부 장치에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복수의 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버튼 중 제1 버튼을 통해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1 버튼에 대응되는 제1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복수의 버튼 중 제2 버튼을 통해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2 버튼에 대응되는 제2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이벤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이벤트에 대응하는 진동을 발생하도록 상기 진동 소자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외부의 충격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를 통해 기설정된 값 이상의 충격이 감지되면, 상기 감지된 충격에 대응하는 정보를 외부 기기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장치.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KR1020160125992A 2016-04-22 2016-09-30 오디오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8249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090,492 US10749560B2 (en) 2016-04-22 2017-03-23 Audio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PCT/KR2017/003100 WO2017183816A1 (ko) 2016-04-22 2017-03-23 오디오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N201710256391.7A CN107306313B (zh) 2016-04-22 2017-04-19 音频装置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9504 2016-04-22
KR20160049504 2016-04-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1029A KR20170121029A (ko) 2017-11-01
KR101824925B1 true KR101824925B1 (ko) 2018-02-02

Family

ID=60383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5992A KR101824925B1 (ko) 2016-04-22 2016-09-30 오디오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749560B2 (ko)
KR (1) KR1018249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2971B1 (ko) * 2018-12-17 2023-11-17 삼성전자주식회사 균일한 음질의 소리를 출력하기 위한 오디오 장치
CA3139680A1 (en) * 2019-05-27 2020-12-03 Phillip MEDEIROS Hard hat communication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42021A (ja) * 2004-07-28 2006-02-09 Kotobueeru:Kk ヘルメット用スピーカ
JP2006332715A (ja) * 2005-05-23 2006-12-07 Namiki Precision Jewel Co Ltd 骨伝導スピーカ
JP2008236637A (ja) * 2007-03-23 2008-10-02 Kenwood Corp 加振型音響発生器および加振型音響発生器付きヘルメット
KR101301602B1 (ko) * 2013-05-15 2013-08-29 주식회사 세일 진동 스피커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3478A (ja) * 2000-05-23 2001-11-30 Temuko Japan:Kk ヘルメットを構成要素とするスピーカ及びスピーカ機能を有するヘルメット
AU2002951326A0 (en) 2002-09-11 2002-09-26 Innotech Pty Ltd Communication apparatus and helmet
JP2006207108A (ja) 2004-12-28 2006-08-10 Jr Higashi Nippon Consultants Kk スピーカ付きヘルメット及び通信システム
KR200387717Y1 (ko) 2005-03-31 2005-06-21 이준환 골전도 진동자를 이용한 조종사용 헬멧
WO2006126282A1 (ja) * 2005-05-25 2006-11-30 Hirokazu Matsumoto ヘルメット
WO2007058281A1 (ja) * 2005-11-17 2007-05-24 Young Co., Ltd. 送受話装置
US20080304680A1 (en) * 2007-06-01 2008-12-11 Clinton Wilcox Sound Generating Device
JP4506859B2 (ja) * 2008-03-14 2010-07-21 ソニー株式会社 音声出力装置
KR200453627Y1 (ko) 2009-11-30 2011-05-19 김병학 진동매질 접착형 진동 스피커
FR2968881B1 (fr) * 2010-12-10 2013-01-04 Zedel Transducteur acoustique bi-mode
US9495952B2 (en) 2011-08-08 2016-11-15 Qualcomm Incorporated Electronic devices for controlling noise
WO2013045976A1 (en) 2011-09-28 2013-04-04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Controlling power for a headset
CN102638747B (zh) 2012-03-29 2015-03-25 苏州市思玛特电力科技有限公司 头盔式主动抗噪系统
US10469935B2 (en) * 2012-12-28 2019-11-05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Bone conduction speaker and bone conduction headphone device
CA2908194A1 (en) * 2013-03-27 2014-10-02 Hilary J. CHOLHAN Emergency notification apparatus and method
KR101670033B1 (ko) 2013-11-21 2016-10-27 백승환 스마트 블랙박스 헬멧을 이용한 스마트 블랙박스 서비스 시스템
KR20150116358A (ko) 2014-04-07 2015-10-15 고현 블루투스 골전도 통신기기
KR101550706B1 (ko) 2014-05-19 2015-09-08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초음파를 이용한 두께 측정 장치 및 이의 두께 측정 방법
CN104095334A (zh) 2014-07-31 2014-10-15 国家电网公司 智能安全帽
CN204483186U (zh) 2015-03-18 2015-07-22 深圳前海零距物联网科技有限公司 具有音频输入输出的安全头盔
KR101598927B1 (ko) 2016-01-22 2016-03-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압전 스피커
CA2962003A1 (en) * 2016-03-24 2017-09-24 Hearshot Inc. Helmet-worn device for electronic communications during high motion activit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42021A (ja) * 2004-07-28 2006-02-09 Kotobueeru:Kk ヘルメット用スピーカ
JP2006332715A (ja) * 2005-05-23 2006-12-07 Namiki Precision Jewel Co Ltd 骨伝導スピーカ
JP2008236637A (ja) * 2007-03-23 2008-10-02 Kenwood Corp 加振型音響発生器および加振型音響発生器付きヘルメット
KR101301602B1 (ko) * 2013-05-15 2013-08-29 주식회사 세일 진동 스피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115944A1 (en) 2019-04-18
US10749560B2 (en) 2020-08-18
KR20170121029A (ko) 2017-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09483B2 (en) Method for sound effect compensation,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and terminal device
US11051105B2 (en) Locating wireless devices
US10349176B1 (en) Method for processing signals, terminal device,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CN108763901B (zh) 耳纹信息获取方法和装置、终端、耳机及可读存储介质
CN107742523B (zh) 语音信号处理方法、装置以及移动终端
US10687142B2 (en) Method for input operation control and related products
CN105100492A (zh) 一种压力反馈系统和方法
EP227835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usage profiles of mobile devices
KR101824925B1 (ko) 오디오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70017381A (ko) 단말기 및 단말기의 동작 방법
CN108958697A (zh) 屏幕发声控制方法、装置以及电子装置
CN107749306B (zh) 一种振动优化的方法及移动终端
CN107306313B (zh) 音频装置及其控制方法
CN108958631A (zh) 屏幕发声控制方法、装置以及电子装置
CN108810787B (zh) 基于音频设备的异物检测方法和装置、终端
WO2018124531A1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11722813B2 (en) Situational awareness, communication, and safety for hearing protection devices
CN109116982A (zh) 信息播放方法、装置以及电子装置
CN109032008A (zh) 发声控制方法、装置以及电子装置
CN110139181B (zh) 音频处理方法、装置、耳机、终端设备及存储介质
CN107370883A (zh) 改善通话效果的方法、装置及移动终端
KR100770020B1 (ko) 특정음 인식ㆍ통보 장치 및 그 방법
CN109144462B (zh) 发声控制方法、装置、电子装置及计算机可读介质
CN106791113A (zh) 一种温度监控装置和方法
US20230381025A1 (en) Situational awareness, communication, and safety in hearing protection and communication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