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3733B1 - 다양한 사이즈의 도서 및 문서를 고정하기 위한 도서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다양한 사이즈의 도서 및 문서를 고정하기 위한 도서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3733B1
KR101823733B1 KR1020150111301A KR20150111301A KR101823733B1 KR 101823733 B1 KR101823733 B1 KR 101823733B1 KR 1020150111301 A KR1020150111301 A KR 1020150111301A KR 20150111301 A KR20150111301 A KR 20150111301A KR 101823733 B1 KR101823733 B1 KR 1018237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device
book
fixing
fixing member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1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7426A (ko
Inventor
서인식
Original Assignee
서인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인식 filed Critical 서인식
Priority to KR1020150111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3733B1/ko
Priority to US15/740,805 priority patent/US20180204484A1/en
Priority to PCT/KR2016/008633 priority patent/WO2017023139A1/ko
Publication of KR20170017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74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3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37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6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characterised by association with auxiliary devices, e.g. line indicators, leaf turners, lampholders, book or page holders

Landscapes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 Holders For Sensitive Materials And Orig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서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도서고정장치는 도서 및 문서를 고정하는 하단고정부재와 상기 하단고정부재의 하단에 형성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를 고정하는 실린더 고정부재와 상기 실린더 고정부재의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 고정부재를 감싸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하단에 형성되며 외부에 베어링이 장착되는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의 일단에 형성되는 리밋스위치 검출부로 이루어지는 하단고정장치;와 제1고정부재와 제2고정부재로 구성되는 상단고정부재와 상기 상단고정부재의 하단에 형성되는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의 외부에 형성되는 돌출부로 이루어지는 상단고정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였다.

Description

다양한 사이즈의 도서 및 문서를 고정하기 위한 도서고정장치.{This locking device for fixing the books and documents of various sizes}
본 발명은 도서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서 및 문서를 고정하는 도서고정장치의 위치가 반자동으로 조절되도록 하여 독서대 상에 올려진 도서 및 문서를 안정적으로 고정하도록 하고, 도서고정장치의 위치를 상하로 조절되도록 하여 다양한 사이즈의 도서 및 문서를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도서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각장애인들 또는 저시력자들을 위해 사용되는 도서판독장치는 시각장애인의 정보접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도서판독장치의 경우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문자인식을 하여 음성출력 또는 점자출력등으로 변환하여 시각장애인들의 정보습득에 도움을 주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도서판독장치 또는 독서대의 경우 도서 및 문서를 고정하는 고정장치가 좌우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다양한 사이즈의 도서 및 문서를 고정하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도서의 경우 단차와 굴곡이 다양하여 종래의 고정장치로는 이러한 단차와 굴곡이 심한 도서를 안정적으로 고정하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고, 이로 인하여 임의로 책장이 넘어가거나 손이나 다른 물체로 인해 판독이 불가한 상황이 발생하여 이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에게 불편함을 준다는 문제점이 있었고, 문자판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못하여 시간 및 비용의 손실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20-0460984 Y1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도서 및 문서를 고정하는 도서고정장치의 위치가 자동으로 조절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고, 독서대상에 올려진 도서 및 문서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도서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도서고정장치의 위치가 상하로 조절되도록 하여 단차와 굴곡이 심한 다양한 도서면을 안정적으로 고정하도록 하여 책장이 넘어가거나 손이나 다른 물체로 인한 판독불가 상황을 예방하여 문자판독에 최적화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하는 도서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도서고정장치는 상기 도서고정장치는 도서 및 문서를 고정하는 하단고정부재와 상기 하단고정부재의 하단에 형성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를 고정하는 실린더 고정부재와 상기 실린더 고정부재의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 고정부재를 감싸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하단에 형성되며 외부에 베어링이 장착되는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의 일단에 형성되는 리밋스위치 검출부로 이루어지는 하단고정장치;와,
제1고정부재와 제2고정부재로 구성되는 상단고정부재와 상기 상단고정부재의 하단에 형성되는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의 외부에 형성되는 돌출부로 이루어지는 상단고정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였다.
본 발명의 도서고정장치에 의하면, 도서 및 문서의 크기에 따라 도서고정장치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좌우 고정방식이 아닌 상하고정방식을 채택하여 다양한 사이즈의 도서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단차와 굴곡이 다양한 도서면을 안정적으로 고정하여 책장이 넘어가거나 손이나 다른 물체로 인한 판독 불가상황을 예방하여 문자판독에 최적화된 환경을 제공하여 기기의 문자인식 성능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도서판독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도 2는 본 발명의 본체부의 내부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도서고정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도서고정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도서고정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정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도서고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도서판독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서판독장치(1)는 도서 및 문서가 올려지는 본체부(2)의 전면 중앙에 하단고정장치(10)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2)의 후면 중앙에 상단고정장치(20)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도서고정장치는 상기 상단고정장치(20)와 상기 하단고정장치(10)로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상단고정장치(20)가 형성되는 위치에 지지부(3)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3)의 끝단에 카메라(미도시)가 구비된 헤드부(6)가 형성되어 상기 도서판독장치(1)가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부(3)는 제1지지부(4)와 제2지지부(5)가 서로 절첩가능하게 형성되어 지지부(3)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제2지지부(5)에 결합되는 상기 헤드부(6)는 상기 제2지지부(5)와 힌지결합되어 상기 헤드부(6)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도서고정장치는 상기 본체부(2)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형성되는 하단고정장치(10)와 상단고정장치(20)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부(2)에 올려지는 도서 및 문서의 위쪽과 아래쪽이 고정되도록 하여 도서 및 문서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도 2는 본 발명의 본체부의 내부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단고정장치(10)는 도서 및 문서를 고정하는 하단고정부재(11)와 상기 하단고정부재(11)의 하단에 형성되는 실린더(12)와 상기 실린더(12)를 고정하는 실린더 고정부재(13)와 상기 실린더 고정부재(13)의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 고정부재(13)를 감싸는 고정프레임(14)과 상기 고정프레임(14)의 하단에 형성되며 외부에 베어링(16)이 장착되는 이동부재(15)와 상기 이동부재(15)의 일단에 형성되는 리밋스위치 검출부(18) 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이동부재(15)에 형성되는 베어링(16)의 이동경로를 안내하는 레일부(19)가 형성되어 상기 하단고정장치(10)가 상기 레일부(19)를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하단고정장치(10)는 상기 본체부(2)에 올려진 도서 및 문서의 아래쪽을 고정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도서 및 문서의 두께에 따라 위치가 조절되도록 구성되는데 이러한 구성은 도 3 및 도 4를 통해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하단고정장치(10)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상기 상단고정장치(20)는 상기 본체부(2)의 후면에 형성되어 도서 및 문서의 위쪽을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상단고정장치(20)는 제1고정부재(22)와 제2고정부재(23)로 구성되는 상단고정부재(21)가 형성되어 도서의 양페이지를 고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상단고정부재(21)의 하단에 기어홈이 형성되는 원통부(23)가 형성되고, 상기 원통부(23)의 외부에 돌출부(24)가 형성된다.
상기 원통부(23)는 하단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기어홈이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2) 내부에 장착되는 모터(3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상단고정장치(20)가 상하로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모터(30)는 모터고정부재(32)에 의해 상기 본체부(2)내에 고정되고 끝단에 기어(31)가 형성되어 상기 기어(31)의 회전에 따라 상기 원통부(23)가 이동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본체부(2)에는 PCB기판이 형성되어 상기 하단고정장치(10)의 움직임에 따라 상단고정장치(20)가 움직일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PCB기판에는 상기 하단고정장치(10)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상기 하단고정장치(10)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상단고정장치(20)가 움직이도록 함으로써, 상기 하단고정장치(10)의 작동만으로도 상기 상단고정장치(20)가 함께 움직일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지며 상기 도서판독장치(1)의 전원이 상기 하단고정장치(10)의 동작에 의해 켜질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단고정장치(10)는 사용자가 손으로 상기 하단고정부재(11)에 압력을 가하면 작동되는데, 이를테면 상기 하단고정장치(10)를 상부방향으로 당기면 상기 하단고정장치(10)가 상부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하단고정장치(10)를 하부방향으로 누르면 상기 하단고정장치(10)가 하부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하단고정장치(10)는 처음에 사용자가 가해진 압력신호를 인지하는 압력센서(미도시)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상기 하단고정장치(10)를 사용할 때는 반자동방식으로 작동되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하단고정장치(10)에 형성되는 상기 하단고정부재(11)에 상부 또는 하부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면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본체부(2)상에 올려진 도서에 의해 상기 하단고정부재(11)가 걸렸을 경우, 걸리는 압력에 의해 상기 하단고정장치(10)의 움직임이 멈추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하단고정장치(10)에 형성되는 리밋스위치 검출부(18)는 상기 리밋스위치(17)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감지된 움직임을 상기 모터(30)에 전달함으로써, 상기 하단고정장치(10)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상단고정장치(20)가 움직이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되는 본 발명의 도서고정장치의 실시예를 도 3 내지 도5 를 통해 후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상기 도서고정장치가 본체부 내부에 위치된 모습, 즉 도서고정장치가 작동되기 전에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서고정장치가 작동된 후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5는 본 발명의 도서고정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정면도이다.
도 3 내지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단고정장치(10)와 상기 상단고정장치(20)가 작동되기 전에는 상기 본체부(2) 내부에 위치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하단고정장치(10)는 작동되기 전에는 상기 레일부(19)의 후면에 위치하게 되어 상기 하단고정부재(11)가 상기 본체부(2)상에 놓일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상단고정장치(20)도 마찬가지로 상기 본체부(2)상에 놓여 상기 상단고정부재(21)가 본체부(2)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이루어진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하단고정장치(10)는 상기 하단고정부재(11)에 압력을 가할시 작동이 되므로 상기 하단고정부재(11)를 상부쪽으로 당기면 상기 하단고정부재(11)가 상부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하단고정부재(11)가 상부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레일부(19)의 뒤쪽에 위치되는 상기 하단고정장치(10)가 상기 레일부(19)의 앞쪽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하단고정부재(11)의 하단에 형성되는 실린더(12)의 압력에 의해 상기 하단고정부재(11)가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하단고정장치(10)가 이동하게 되면, 상기 하단고정장치(10)에 형성되는 리밋스위치(17) 및 리밋스위치 검출부(18)에 의해 상기 하단고정장치(10)의 움직임이 PCB기판으로 전달되고, PCB기판에 장착되는 센서부에 의해 상기 모터(30)가 회전하게 되어 상기 하단고정장치(10)의 위치가 변경된 거리만큼 상기 상단고정장치(20)가 상부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하단고정장치(10)에 형성되는 상기 실린더(12)는 모터로 이루어져 상기 하단고정부가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하단고정장치(10)는 상기 레일부(19)가 형성되는 길이만큼 전진 또는 후진되는 이동거리가 정해지므로 상기 레일부(19)를 길게 형성할수록 상기 하단고정장치(10)의 이동 거리가 길어지게 되어 다양한 사이즈의 도서 및 문서의 고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서 및 문서의 크기가 작을 경우에는 상기 하단고정장치(10)가 상기 레일부(19)의 뒤쪽에 위치하게 되고, 도서 및 문서의 크기가 클 경우에는 상기 하단고정장치(10)가 상기 레일부(19)의 앞쪽에 위치되도록 하여 다양한 크기로 형성되는 도서 및 문서가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서고정장치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 : 도서판독장치 2 : 본체부
3: 지지부 4: 제1지지부
5: 제2지지부 6 :헤드부
10 : 하단고정장치 11 : 하단고정부재
12 : 실린더 13 : 실린더 고정부재
14 : 고정프레임 15 : 이동부재
16 : 베어링 17 : 리밋스위치
18 :리밋스위치 검출부 19 : 레일부
20 : 상단고정장치 21 : 상단고정부재
22 : 제1고정부재 23 : 제2고정부재
23 : 원통부 24 : 돌출부
30 : 모터 31 : 기어
32: 모터고정부재

Claims (4)

  1. 문자인식 성능을 높일 수 있도록 단차와 굴곡이 다양한 도서면을 안정적으로 고정하여 책장이 넘어가거나 손이나 다른 물체로 인한 판독 불가상황을 예방하여 문자판독에 최적화된 환경을 제공하는 도서판독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서판독장치(1)는 도서 및 문서가 올려지는 본체부(2)의 전면 중앙에 하단고정장치(10)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2)의 후면 중앙에 상단고정장치(20)로 구성되는 도서고정장치로 구성하되,
    상기 상단고정장치(20)가 형성되는 위치에 지지부(3)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3)의 끝단에 카메라(미도시)가 구비된 헤드부(6)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3)는 제1지지부(4)와 제2지지부(5)가 서로 절첩가능하게 형성되어 지지부(3)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제2지지부(5)에 결합되는 상기 헤드부(6)는 상기 제2지지부(5)와 힌지결합되어 상기 헤드부(6)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하단고정장치(10)는 도서 및 문서를 고정하는 하단고정부재(11)와 상기 하단고정부재(11)의 하단에 형성되는 실린더(12)와 상기 실린더(12)를 고정하는 실린더 고정부재(13)와 상기 실린더 고정부재(13)의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 고정부재(13)를 감싸는 고정프레임(14)과 상기 고정프레임(14)의 하단에 형성되며 외부에 베어링(16)이 장착되는 이동부재(15)와 상기 이동부재(15)의 일단에 형성되는 리밋스위치 검출부(18)로 구성되며,
    상기 이동부재(15)에 형성되는 베어링(16)의 이동경로를 안내하는 레일부(19)가 형성되어 상기 하단고정장치(10)가 상기 레일부(19)를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하단고정장치(10)는 상기 본체부(2)에 올려진 도서 및 문서의 아래쪽을 고정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도서 및 문서의 두께에 따라 위치가 조절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하단고정장치(10)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상기 상단고정장치(20)는 상기 본체부(2)의 후면에 형성되어 도서 및 문서의 위쪽을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단고정장치(20)는 제1고정부재(22)와 제2고정부재(23)로 구성되는 상단고정부재(21)가 형성되어 도서의 양페이지를 고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상단고정부재(21)의 하단에 기어홈이 형성되는 원통부(23)가 형성되고, 상기 원통부(23)의 외부에 돌출부(24)가 형성되며,
    상기 원통부(23)는 하단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기어홈이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2) 내부에 장착되는 모터(3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상단고정장치(20)가 상하로 이동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모터(30)는 모터고정부재(32)에 의해 상기 본체부(2)내에 고정되고 끝단에 기어(31)가 형성되어 상기 기어(31)의 회전에 따라 상기 원통부(23)가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판독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고정부재(11)가 상부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레일부(19)의 뒤쪽에 위치되는 상기 하단고정장치(10)가 상기 레일부(19)의 앞쪽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하단고정부재(11)의 하단에 형성되는 실린더(12)의 압력에 의해 상기 하단고정부재(11)가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하단고정장치(10)가 이동하게 되면, 상기 하단고정장치(10)에 형성되는 리밋스위치(17) 및 리밋스위치 검출부(18)에 의해 상기 하단고정장치(10)의 움직임이 PCB기판으로 전달되고, PCB기판에 장착되는 센서부에 의해 상기 모터(30)가 회전하게 되어 상기 하단고정장치(10)의 위치가 변경된 거리만큼 상기 상단고정장치(20)가 상부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판독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고정장치(10)는 상기 레일부(19)가 형성되는 길이만큼 전진 또는 후진되는 이동거리가 정해지므로 상기 레일부(19)를 길게 형성할수록 상기 하단고정장치(10)의 이동 거리가 길어지게 되어 다양한 사이즈의 도서 및 문서의 고정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판독장치

KR1020150111301A 2015-08-06 2015-08-06 다양한 사이즈의 도서 및 문서를 고정하기 위한 도서고정장치. KR1018237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1301A KR101823733B1 (ko) 2015-08-06 2015-08-06 다양한 사이즈의 도서 및 문서를 고정하기 위한 도서고정장치.
US15/740,805 US20180204484A1 (en) 2015-08-06 2016-08-05 Automatic alternative content search apparatus for visually impaired person
PCT/KR2016/008633 WO2017023139A1 (ko) 2015-08-06 2016-08-05 시각장애인을 위한 대체컨텐츠 자동검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1301A KR101823733B1 (ko) 2015-08-06 2015-08-06 다양한 사이즈의 도서 및 문서를 고정하기 위한 도서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7426A KR20170017426A (ko) 2017-02-15
KR101823733B1 true KR101823733B1 (ko) 2018-03-14

Family

ID=58111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1301A KR101823733B1 (ko) 2015-08-06 2015-08-06 다양한 사이즈의 도서 및 문서를 고정하기 위한 도서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37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85393B (zh) * 2020-05-13 2022-10-04 日本伍意株式会社 监控装置及监控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39727A1 (en) * 2005-12-20 2007-06-21 Sarasin Booppano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ed imaging of a book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984Y1 (ko) 2009-10-07 2012-06-15 주식회사 아이네크 시각 장애인을 위한 도서 및 페이퍼 음성 변환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39727A1 (en) * 2005-12-20 2007-06-21 Sarasin Booppano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ed imaging of a boo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7426A (ko) 2017-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204484A1 (en) Automatic alternative content search apparatus for visually impaired person
US8538087B2 (en) Aiding device for reading a printed text
HK1056959A1 (en) Imaging apparatus having image data storing function
WO2005101192A3 (en) Processing techniques for visual capture data from a rendered document
WO2005098602A3 (en) Search engines and systems with handheld document data capture devices
EP2262218A3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KR101615329B1 (ko) 보조 독서판이 구비된 독서대
KR101823733B1 (ko) 다양한 사이즈의 도서 및 문서를 고정하기 위한 도서고정장치.
EP1744264A3 (en) Biometric information registration apparatus
KR101823734B1 (ko) 시각장애인을 위한 대체컨텐츠 자동검색장치.
KR20170005720A (ko) 도서 내용 점자 출력 장치
US9635211B2 (en) Image reading apparatus
SE0303370D0 (sv) Method, apparatus, computer program and storage medium for recording a movement of a user unit
US20150242668A1 (en) Frame and App for Smartphone for Audio Reading Coded Text
WO2010049680A3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3-d photograph" data files
CN112947776A (zh) 一种拍摄字体大小可变的扫描笔装置及方法
DE50303579D1 (de) Vorrichtung zum hoehen- und neigungsausgleich
KR101888126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책 스캔장치
KR20170027222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JP2007013556A (ja) 接写用電子機器
CN105302227B (zh) 支撑结构及应用其的扩充底座
KR20170061846A (ko) 시각장애인용 독서장치
KR101718859B1 (ko) 단말기 거치대
CN106919274A (zh) 电子设备
US8936406B2 (en) Camera reading apparatus with document alignment gui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