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3472B1 - 슬러지 농축장치 - Google Patents

슬러지 농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3472B1
KR101823472B1 KR1020170086173A KR20170086173A KR101823472B1 KR 101823472 B1 KR101823472 B1 KR 101823472B1 KR 1020170086173 A KR1020170086173 A KR 1020170086173A KR 20170086173 A KR20170086173 A KR 20170086173A KR 101823472 B1 KR101823472 B1 KR 1018234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plate
flow
tank
concent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6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양원
Original Assignee
(주)오에치케이
남양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오에치케이, 남양원 filed Critical (주)오에치케이
Priority to KR1020170086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34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34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34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러지를 교반, 응집 및 농축하는 농축기와 농축 및 탈수하는 탈수기로 단일의 장치를 구성하여 보다 효율적이고 연속적인 작업을 통해 슬러지 처리를 최적화시킬 수 있도록 한 슬러지 농축장치에 관한 것으로, 수직 방향으로 세워지고 내부에서 분리된 슬러지와 여액을 분리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농축기 탱크와, 원형 링 구조로 이루어진 복수의 제 1 고정판 및 제 1 유동판, 그리고 이들 사이의 틈새를 발생시키는 제 1 스페이서들이 교대로 적층되어 슬러지를 걸러내는 분리조와, 상기 농축기 탱크 내에서 분리조 바깥쪽에 배치되어 유입된 폐수를 교반하는 교반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분리조를 구성하는 제 1 고정판 및 제 1 유동판은, 각각 고정축 및 편심축에 의해 상호 조립되되, 제 1 고정판과 고정축이 결합되는 축 결합부와, 제 1 유동판과 편심축이 결합되는 축 결합부가 분리조의 내주면에서 안쪽 방향으로 모두 돌출되어, 분리조의 안쪽에서 상기 고정축 및 편심축이 결합되게 구성되며, 상기 분리조는 상기 제 1 고정판과 제 1 유동판이 적층된 하부와 상부에 각각 배치되는 하부판 및 상부판이 구비되며, 상기 농축기 탱크의 내측에는 상기 하부판을 지지하는 지지 브래킷이 설치되되, 상기 지지 브래킷은 수직판과 수평판이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호 고정되고, 이 두 부재 사이에 삼각 구조의 지지판이 설치되며, 상기 수평판에는 상기 하부판이 끼워져 조립되도록 보스가 돌출되어 구성되는 농축기와; 제 2 고정판들 사이에 제 1 유동판 구동수단에 의해 강제 유동하는 제 2 유동판들이 설치되며 전체적으로 링형 구조로 이루어지는 제 1 슬러지 처리부, 상기 제 1 슬러지의 후단측에 직렬로 배치되고 제 2 고정판들 사이에 제 2 유동판 구동수단에 의해 강제 유동하는 제 2 유동판들이 설치되며 전체적으로 링형 구조로 이루어지는 제 2 슬러지 처리부, 상기 제 1 슬러지 처리부와 상기 제 2 슬러지 처리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제 1 슬러지 처리부와 제 2 슬러지 처리부의 상부 공간부에 설치되는 이송 스크류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 1 유동판 구동수단은 상기 제 1 슬러지 처리부의 제 2 유동판들 각각의 양측 외벽에 설치되는 지지편에 형성된 지지공에 관통 삽입되고 주구동수단과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연결되어 회전하는 제 1 캠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2 유동판 구동수단은 상기 제 2 슬러지 처리부의 제 2 유동판들 각각의 양측 외벽에 설치되는 지지편에 형성된 지지공에 관통 삽입되고 상기 연결부에서 상기 제 2 유동판 구동수단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커플링장치에 의해 결합되어 회전하는 제 2 캠축으로 이루어지는 탈수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슬러지 농축장치{Sludge treatment device}
본 발명은 슬러지 농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농축기와 탈수기를 연결하여 슬러지의 교반, 응집, 농축 및 탈수를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슬러지 농축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개발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446107호(2014.10.8.공고)는 농축기와 탈수기를 연결 설치하여 효과적으로 슬러지의 교반, 응집, 농축 및 탈수를 수행하는 이점이 있는 장치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유동판 등의 이상 유무를 조기에 알 수 없고 제어부는 충분한 슬러지의 유동 제어를 할 수 없어 충분한 탈수효과를 구현하기 어려운 등의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446107호(2014.10.8.공고)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은 슬러지를 교반, 응집 및 농축하는 농축기와 농축 및 탈수하는 탈수기로 단일의 장치를 구성하여 보다 효율적이고 연속적인 작업을 통해 슬러지 처리를 최적화시킬 수 있도록 한 슬러지 농축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농축기에서 탈수기로 공급되는 슬러지의 유량을 최적 제어함으로써 탈수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슬러지 농축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장치의 이상 유무와 이상 발생 부분을 정확히 예측가능함으로써 고장을 조기에 수리할 수 있도록 한 슬러지 농축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수직 방향으로 세워지고 내부에서 분리된 슬러지와 여액을 분리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농축기 탱크와, 원형 링 구조로 이루어진 복수의 제 1 고정판 및 제 1 유동판, 그리고 이들 사이의 틈새를 발생시키는 제 1 스페이서들이 교대로 적층되어 슬러지를 걸러내는 분리조와, 상기 농축기 탱크 내에서 분리조 바깥쪽에 배치되어 유입된 폐수를 교반하는 교반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분리조를 구성하는 제 1 고정판 및 제 1 유동판은, 각각 고정축 및 편심축에 의해 상호 조립되되,
제 1 고정판과 고정축이 결합되는 축 결합부와, 제 1 유동판과 편심축이 결합되는 축 결합부가 분리조의 내주면에서 안쪽 방향으로 모두 돌출되어, 분리조의 안쪽에서 상기 고정축 및 편심축이 결합되게 구성되며,
상기 분리조는 상기 제 1 고정판과 제 1 유동판이 적층된 하부와 상부에 각각 배치되는 하부판 및 상부판이 구비되며,
상기 농축기 탱크의 내측에는 상기 하부판을 지지하는 지지 브래킷이 설치되되, 상기 지지 브래킷은 수직판과 수평판이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호 고정되고, 이 두 부재 사이에 삼각 구조의 지지판이 설치되며, 상기 수평판에는 상기 하부판이 끼워져 조립되도록 보스가 돌출되어 구성되는 농축기와;
제 2 고정판들 사이에 제 1 유동판 구동수단에 의해 강제 유동하는 제 2 유동판들이 설치되며 전체적으로 링형 구조로 이루어지는 제 1 슬러지 처리부,
상기 제 1 슬러지의 후단측에 직렬로 배치되고 제 2 고정판들 사이에 제 2 유동판 구동수단에 의해 강제 유동하는 제 2 유동판들이 설치되며 전체적으로 링형 구조로 이루어지는 제 2 슬러지 처리부,
상기 제 1 슬러지 처리부와 상기 제 2 슬러지 처리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제 1 슬러지 처리부와 제 2 슬러지 처리부의 상부 공간부에 설치되는 이송 스크류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 1 유동판 구동수단은 상기 제 1 슬러지 처리부의 제 2 유동판들 각각의 양측 외벽에 설치되는 지지편에 형성된 지지공에 관통 삽입되고 주구동수단과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연결되어 회전하는 제 1 캠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2 유동판 구동수단은 상기 제 2 슬러지 처리부의 제 2 유동판들 각각의 양측 외벽에 설치되는 지지편에 형성된 지지공에 관통 삽입되고 상기 연결부에서 상기 제 2 유동판 구동수단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커플링장치에 의해 결합되어 회전하는 제 2 캠축으로 이루어지는 탈수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또한, 상기 농축기와 탈수기를 연결하여 상기 농축기에서 배출된 농축 슬러지를 상기 탈수기로 유입시키는 슬러지이송관,
상기 슬러지이송관에 설치되는 제어밸브 및
상기 제어밸브의 개폐 여부 및 개폐 정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토크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탈수기의 부하 및 상기 슬러지이송관에 설치되는 점도센서의 검출값에 따라 상기 제어밸브의 개폐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판에 연결되는 유입 파이프 상에 설치되는 제1플로우센서,
상기 농축기 탱크의 탱크 본체의 하측 중간부에 설치되는 여액 배출부 상에 설치되는 제2플로우센서 및
상기 농축기를 구동하며 전기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주구동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플로우센서 및 제2플로우센서와 연결되어 상기 제1플로우센서 및 제2플로우센서로부터 검출되는 유량 데이터로부터 상기 전기 모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내부에 복수의 LED 램프가 구비되고 투명 재질의 외부 케이싱이 구비되는 구(球) 형태의 발광 볼 및
상기 탈수기의 상부에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복수의 수광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광부에서 검출되는 신호와 저장된 데이터를 비교하여 고정판과 유동판의 이상 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송 스크류의 일단에 설치되는 제1엔코더 및
상기 이송 스크류의 타단에 설치되는 제2엔코더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엔코더로부터 검출되는 신호 파형과 상기 제2엔코더로부터 검출되는 신호 파형을 비교하여 일정 값 이상의 위상차가 발생되는 경우 이상이 있음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2 캠축의 타단에 설치되는 제3엔코더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엔코더 또는 제2엔코더로부터 검출되는 신호 파형과 상기 제3엔코더로부터 검출되는 신호 파형을 비교하여 일정 값 이상의 위상차가 발생되는 경우 이상이 있음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2 고정판은 각각에 다수의 고정공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공에 케이싱에 양단이 고정되는 고정봉을 관통 삽입하여 지지하는 형태로 고정하며,
상기 고정봉의 양단에는 상기 고정봉의 재료보다 이온화 경향이 높은 금속으로 이루어진 부식확인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을 통해, 본 발명인 슬러지 농축장치는, 슬러지를 교반, 응집 및 농축하는 농축기와 농축 및 탈수하는 탈수기로 단일의 장치를 구성하여 보다 효율적이고 연속적인 작업을 통해 슬러지 처리를 최적화시킬 수 있으며, 농축기에서 탈수기로 공급되는 슬러지의 유량을 최적 제어함으로써 탈수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으며, 장치의 이상 유무와 이상 발생 부분을 정확히 예측가능함으로써 고장을 조기에 수리 가능한 등의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 농축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 농축장치의 농축기가 도시된 정면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 농축장치의 농축기가 도시된 측면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 농축장치의 농축기가 도시된 평면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 농축장치의 농축기 탱크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 농축장치의 농축기 탱크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 농축장치의 제 1 고정판이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 농축장치의 제 1 유동판 및 제 1 스페이서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 농축장치의 편심축 설치 구조가 도시된 조립 상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 농축장치의 편심축 구조가 도시된 분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 농축장치의 상부 교반기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 농축장치의 상부 교반기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탈수기의 전체를 간략히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 고정판을 보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봉을 보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제 2 유동판을 보인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제 2 스페이서를 보인 정면도 및 측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제 2 가변형 스페이서를 이용한 간극 조절 상태를 보인 일실시예의 상세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탈수기의 엔코더 검출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 농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 농축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 농축장치는 농축기(I)와 탈수기(II)가 서로 연결되어 단일장치를 구성하는데 특징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농축기(I)와 탈수기(II)는 슬러지이송관(PP)으로 서로 연결되어 상기 농축기(I)에서 배출된 농축 슬러지는 상기 탈수기(II)로 유입되어 추가적인 탈수가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슬러지이송관(PP)에는 제어밸브(CV)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밸브(CV)는 제어부(700)에 의해 개폐 여부 및 개폐 정도가 제어되는데, 상기 제어부(700)는 토크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탈수기(II)의 부하 및 상기 슬러지이송관에 설치되는 점도센서의 검출값에 따라 상기 제어밸브(CV)의 개폐량을 제어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700)는 탈수기(II)에서 검출되는 부하가 일정 값 이상일 경우에는 탈수기(II)의 운전부하가 과다하다고 판단하고 상기 제어밸브(CV)의 개방 정도를 작게 하여 농축 슬러지의 탈수기(II) 내 유입량을 줄임으로써 탈수기(II)의 고장을 막게 된다.
한편, 상기 제어부(700)는 탈수기(II)에서 검출되는 부하가 일정 값 미만으로 탈수기(II)의 운전부하가 지나치게 낮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밸브(CV)의 개방 정도를 크게 하여 농축 슬러지의 탈수기(II) 내 유입량을 늘임과 동시에 후술하는 이송스크류의 회전속도를 상대적으로 낮춤으로써 농축 슬러지의 탈수기(II)에서 체류시간을 연장시켜 충분히 탈수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700)는 슬러지이송관(PP) 내의 슬러지 점도가 높은 경우 유체저항의 증가에 따라 부하의 증대가 이루어지므로 상기 제어밸브의 개방 정도를 작게 하여 농축 슬러지의 탈수기(II) 내 유입량을 줄이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농축기(I)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 농축장치의 농축기가 도시된 정면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 농축장치의 농축기가 도시된 측면 구성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 농축장치의 농축기가 도시된 평면 구성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농축기(I)는, 탱크 베이스(A)와, 이 탱크 베이스(A) 위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어 약제가 투입된 폐수를 응집시켜 슬러지(플럭)와 여액으로 분리하여 배출하는 농축기 탱크(10)와, 이 농축기 탱크(10) 내에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어 폐수 속에 존재하는 플럭을 분리하도록 이루어진 분리조(30)와, 상기 농축기 탱크(10)의 하부 공간에 설치되어 탱크 내로 유입되는 폐수와 응집 약제를 1차 교반하는 하부 교반기(60)와, 상기 농축기 탱크(10) 내에서 분리조(30)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 교반기(60)를 거친 폐수 및 약제를 2차 교반하면서 플럭을 형성시켜 상부로 유동시키는 상부 교반기(5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농축기 탱크(10)의 센터 부분과 그 주변에는 상기 분리조(30)에 구성된 제 1 유동판(37), 상기 상부 교반기(50) 및 하부 교반기(60)를 함께 구동시키는 구동기구(70)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농축기(I)의 주요 구성 부분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4과 기타 다른 도면들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 탱크 베이스(A)는 수직으로 세워진 지지대(1)들과, 이 지지대(1)들 위에 수평 방향으로 조립되어 상기 농축기 탱크(10)를 지지하는 지지판(2)으로 이루어진다.
이 탱크 베이스(A)는 본 발명의 농축기(I)를 구성하는데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는 아니며, 실시 조건에 따라서는 생략하거나, 형상과 구조를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 상기 농축기 탱크(10)에 대하여 도 5와 도 6을 추가로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 농축장치의 농축기 탱크가 도시된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 농축장치의 농축기 탱크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농축기 탱크(10)는 내부로 유입된 폐수 속의 포함된 고형분 즉, 슬러지를 분리하여, 이 슬러지와 여액을 분리 배출하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원통 구조로 형성된 탱크 본체(11)와, 이 탱크 본체(11)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결합되는 하부판(12) 및 상부판(1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판(12)에는 폐수가 유입되도록 유입 파이프(14)가 연결되고, 추가로 도면에서와 같이 청소용 배수 파이프(16) 및 예비용 보조 파이프(15)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탱크 본체(11)의 상측 중간부에는 상부로 떠오른 플럭 등의 슬러지가 배출되는 슬러지 배출부(17)가 복수개로 나누어져 구비되며, 이 슬러지 배출부(17)들은 탱크의 측면에 측면이 개방된 구조로 부착된 사각통 구조의 배출통(17a)에 각각 연결된다.
상기 탱크 본체(11)의 하측 중간부에는 상기 분리조(30)로부터 슬러지가 제거된 폐수의 여액을 탱크의 외부로 배출하는 여액 배출부(20)가 구비된다.
여액 배출부(20)는 상기 분리조(30)의 하부판(32)에 고정되는 배출박스(21)와, 이 배출박스(21)에서 탱크 본체(11) 외부로 연결되는 배출 파이프(23)와, 이 배출 파이프(23)의 끝단에 구비된 여액배출탱크(25)로 이루어진다. 이때 여액배출탱크(25)는 플럭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슬러지 배출부(17)와 거의 동일하거나 거의 유사한 위치에 배치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탱크 본체(11)의 하측부에는 상기 분리조(30)를 지지할 수 있도록 복수의 지지 브래킷(18)이 구성된다.
지지 브래킷(118)은 수직판(18a)과 수평판(18b)이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호 고정되고, 그 하부에 지지 강성을 보강하기 위해 삼각 구조의 지지판(18c)이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구조체가 상기 탱크 본체(11)의 내부에 일정 간격마다 복수개가 용접 등의 방법으로 설치된다.
특히 상기 지지 브래킷(18)에는 상기 수평판 위로 보스(18d)가 돌출되는데, 이는 후술할 분리조(30)의 하부판(32)이 간편하게 끼워지면서 조립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지지 브래킷(18) 및 하부판(32)을 중심으로 농축기 탱크(10)의 하부 공간은 상기 하부 교반기(60)가 설치되고, 상부 공간은 상부 교반기(50)가 설치된다.
다음, 상기 분리조(3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 농축장치의 제 1 고정판이 도시된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 농축장치의 제 1 유동판 및 제 1 스페이서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분리조(30)는 상부판(31)과 하부판(32) 사이에 원형 링 형상을 갖는 제 1 고정판(35)과 제 1 유동판(37)이 도 2의 확대도에서와 같이 교대로 적층되어, 전체적으로는 원통형상을 갖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분리조(30)는 제 1 스페이서(38)에 의해 제 1 고정판(135)과 제 1 유동판(37)이 일정한 틈새를 갖도록 배치되며, 상기 구동기구(70)에 의해 상기 제 1 유동판(37)이 요동 운동을 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기 제 1 고정판(35)과 제 1 유동판(37)은 내주면 쪽인 분리조(30)의 내부에 축 결합부(35a, 37a)가 각각 돌출되어 형성되는데, 제 1 고정판(35)의 축 결합부(35a)에는 고정축(36)이 끼워져 결합되고, 제 1 유동판(37)의 축 결합부(37a)에는 편심축(80)이 끼워져 결합된다.
즉, 도면을 참조하면, 제 1 고정판(35)에 3개의 축 결합부(35a)가 형성되고, 이 각각의 축 결합부(35a, 37a)에 3개의 고정축(36)이 결합되어 교번적으로 배치된 각각의 제 1 고정판(35)들을 고정하게 된다. 상기 고정축(36)은 그 양단부가 상기 상부 제 1 고정판(35)과 하부판(32)에 각각 조립되어 고정된다.
이때 상기 고정축(36)에는 제 1 유동판(37)과 제 1 유동판(37) 사이에 제 1 스페이서(38)가 함께 끼워져 설치되며, 이 제 1 스페이서(38)는 상기 제 1 유동판(37)의 두께보다 더 두껍게 형성되어 제 1 고정판(35)과 제 1 유동판(37)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제 1 유동판(37)에는 2개의 축 결합부(37a)가 형성되고, 각 축 결합부(35a, 37a)에 2개의 편심축(80)이 삽입되어 제 1 유동판(37)을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제 1 유동판(37)은 상기 편심축(80)의 구동력에 의해 편심 운동을 하면서 제 1 고정판(35)과의 사이에 슬러지 등의 고형분이 끼이지 않도록 하여 연속적인 슬러지 농축 작동이 가능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제 1 유동판(37)의 구동 구조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설명될 구동기구(70)를 설명할 때 자세히 설명한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고정판(35)과 제 1 유동판(37)은 분리조(30) 내부에서 고정축(36) 및 편심축(80)이 결합되도록 구성되므로, 분리조(30) 외부에 배치된 상부 교반기(50) 회전하는데 있어서 장애를 형성하지 않으면서, 분리조(30) 외주면에 이물질 등이 끼이는 현상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다음, 상기 구동기구(70)에 대하여 설명한다.
구동기구(70)는,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농축기 탱크(10)의 상부에 구동 모터(71) 및 감속기(72)가 설치되고, 감속기(72)에 결합된 주축(73)이 농축기 탱크(10)의 중앙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주축(73)은 그 상단부가 감속기(72)에 연결되고, 농축기 탱크(10) 내부에서 상부 쪽에 상부 교반기(50) 및 편심축(80)을 구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하단부 쪽에 하부 교반기(60)를 구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편심축(80)을 구동하는 구조에 대하여 도 9와 도 10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 농축장치의 편심축 설치 구조가 도시된 조립 상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 농축장치의 편심축 구조가 도시된 분해도이다.
편심축(80) 구동 어셈블리는, 주축(73)에 고정된 주축 기어(74)와, 이 주축 기어(74)에 치합되어 두 개의 편심축(80)을 회전시키는 두 개의 편심축 기어(75)와, 상기 분리조(30)를 구성하는 제 1 유동판(37)의 축 결합부(37a)에 각각 삽입되는 부싱(85)과, 상기 각 편심축 기어(75)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각 부싱(85)의 내부에 삽입되는 편심축(8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부싱(85)은 도 12에서와 같이 긴 파이프 구조로 형성되며, 양단부에는 베어링(83)을 설치할 수 있도록 내경이 확장된 베어링 설치부(85a)가 구성된다. 그리고 각 베어링 설치부(85a)의 끝단부에는 링 홈(85b)이 구비되어 베어링(83)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냅링(87)이 장착된다.
상기 편심축(80)은 양단부에 중심축부(80a)가 구비되고, 이 중심축부(80a)는 지지 베어링(82)을 통해 분리조(30)의 상부판113)과 하부판(12)에 지지된다. 상측 중심축부(80a)에는 편심축 기어(75)에 결합되도록 키홀(K)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편심축(80)은 양쪽 중심축부(80a) 사이에 캠축부(81)가 구성되는데, 이 캠축부(81)의 중심은 상기 중심축부(80a)와 회전 중심으로부터 편심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부싱(85)의 내부에 삽입되어 위치된다.
이때 상기 편심축(80)은 상기 부싱(85)과의 사이에 베어링(83)이 설치되므로, 편심축(80)이 회전하더라도 부싱(85)을 구속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 1 유동판(37)에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편심축(80)이 회전하게 되면, 캠축부(81)가 회전 중심으로부터 편심 운동을 하면서 부싱(85)을 움직이게 되고, 이 부싱(85)에 결합된 제 1 유동판(37)이 요동운동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편심축(80) 설치 구조는 캠축부(81)가 직접 제 1 유동판(37)에 접촉하지 않고, 부싱(85)을 통해서 제 1 유동판(37)에 요동 운동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편심축(80)의 마모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동시에 편심축(80)과 제 1 유동판(37) 사이의 마찰 저항을 크게 줄여 작은 구동력으로 제 1 유동판(37)을 효율적으로 구동하면서 농축 작동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편심축(80)은 중심축부(80a)와 캠축부(81)가 일체로 형성되어 캠축부(81)가 부싱(85)의 내부에 길게 삽입된 상태에서 부싱(85)에 편심 운동력을 전달하게 되므로, 조립 구조가 간단하고 보다 안정된 동력 전달이 가능해지게 된다.
다음, 상기 하부 교반기(60)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하다.
하부 교반기(60)는 상기 주축(73)의 끝단부에 고정되는 보스(61)와, 이 보스(61)에 수평 방향으로 연결되는 다수개의 날개(63)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날개(63)는 회전 방향에 대하여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폐수와 응집제를 교반하면서, 이때 생성되는 플럭 등이 상부로 유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하부 교반기(60)는 농축기 탱크(10) 내에서 1차적으로 폐수에 투입된 약품과 교반한 상태에서 폐수를 상측으로 유동시키게 되므로, 전체적으로 플럭 생성을 원활하게 하여 농축 효율을 높이는데 기여하게 된다.
다음, 상기 상부 교반기(50)에 대하여 주로 도 11과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 농축장치의 상부 교반기가 도시된 평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 농축장치의 상부 교반기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상부 교반기(50)는 상측 중앙부에 주축(73)에 결합되는 보스부(51)가 구비되고, 이 보스부(51)를 중심으로 4개의 수평축(52)이 십자 구조로 배치된다. 그리고 수평축(52)의 끝단에는 원형 링 구조로 이루어진 지지링(53)이 연결되어 설치되고, 수평축(52)의 끝단에서 하측 방향으로는 날개 축(55) 및 이 날개 축(55)에 고정되는 교반 날개(57)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날개 축(55) 및 교반 날개(57)는 플럭의 상부 유동을 유도하도록 일정 각도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날개 축(55)의 하단부에는 상기 지지링(53)과 같은 하부 지지링(54)이 연결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상부 교반기(50)는 상하에 날개 축(55)을 지지하는 지지링(53,54)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전체적으로 견고한 교반기 구조를 확보할 수 있으며, 특히 교반 날개(57)가 회전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이루어지므로, 플럭 등의 상부 유동을 원활하게 하여, 폐수의 플럭과 여액의 분리 배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농축기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폐수가 유입 파이프(14)를 통해 농축기 탱크(10) 내로 유입되면 하부 교반기(60)에 의해 약품과 혼합 교반된 후에, 상부 교반기(50)가 위치되는 상부로 유동하게 된다.
상부 교반기(50)가 위치된 공간으로 유동한 폐수는 상부 교반기(50)의 작동으로 응집 작용이 가속화되면서 다량의 플럭이 발생하게 되고, 이렇게 생성된 플럭은 분리조(30)를 통과하지 못하고, 상부 교반기(50)에 의해 농축기 탱크(10)의 상부 쪽에 유동한 후에 슬러지 배출부(17)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반면, 폐수 중의 여액은 분리조(30) 내를 통해 하부에 연결된 여액 배출부(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구동기구(70)의 작동으로 제 1 유동판(37)이 요동 운동을 하게 되므로, 분리조(30)의 틈새 즉, 제 1 고정판(35)과 제 1 유동판(37) 사이에 고형물이 끼이는 현상이 최소화된 상태에서 지속적인 농축 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탈수기(II)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탈수기의 전체를 간략히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 고정판을 보인 도면이며,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봉을 보인 도면이며,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제 2 유동판을 보인 도면이며,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제 2 스페이서를 보인 정면도 및 측단면도이며,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제 2 가변형 스페이서를 이용한 간극 조절 상태를 보인 일실시예의 상세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주구동수단, 제 1 슬러지 처리부(100), 제 2 슬러지 처리부(200), 연결부, 이송 스크류(30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주구동수단은 전기 모터(401) 및 감속기(402)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기 모터(401)는 제어부(700)에 의해 구동, 정지, 회전속도 등이 제어된다.
상기 제 1 슬러지 처리부(10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 구조의 다수의 제 2 고정판(F)과 제 2 유동판(R)을 교대로 길이방향을 따라 적층(積層)하여 구성하며, 제 2 고정판(F)과 제 2 고정판(F) 사이에는 제 2 유동판(R)이 움직일 수 있도록 제 2 스페이서(SP)가 배치되며, 상기 제 2 고정판(F)은 각각에 다수의 고정공(f2)을 형성하고 그 고정공(f2)에 케이싱(500)에 양단이 고정되는 고정봉(501)을 관통 삽입하여 지지하는 형태로 고정되며, 상기 제 2 유동판(R)은 상기 제 1 유동판 구동수단에 의해 강제 회전 유동하게 되는데, 상기 제 1 유동판 구동수단은 상기 제 2 유동판(R)들 각각의 양측 외벽에 설치되는 지지편(S)에 형성된 지지공(H)에 관통 삽입되어 회전하는 한 쌍의 제 1 캠축(101)으로 이루어진다.
도 14는 제 2 고정판(F)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고정판(F)은 내부에 이송 스크류(300)가 위치되는 동시에 슬러지가 통과할 수 있도록 링형 구조로 형성되고, 외측에는 3곳에 120도 간격으로 축 고정부(f1)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물론 축 고정부(f1)에는 고정봉(501)이 끼워지는 고정공(f2)이 형성되어 고정봉(501)이 관통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축 고정부(f1)의 개수 및 간격, 그리고 그 형상은 실시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고정봉(501)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긴 축형 구조로 형성되고 양단부에 고정 너트를 체결할 나사부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고정봉(501)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스크린 구조물(100)의 양쪽에 위치된 케이싱(500)에 고정 너트들이 체결함으로써 제 2 고정판(F)들을 연속하여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도 16은 제 2 유동판(R)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역시 링형 구조로 형성되고, 양쪽에는 제 1 캠축(101)이 끼워지도록 지지공(H)이 형성된다. 이때 지지공(H)은 상기 제 2 고정판(F)의 고정봉(501)과 제 1 캠축(101)이 상호 간섭되지 않은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바, 본 실시예의 도면에서는 제 2 유동판(R)의 상부 양쪽에 각각 하나씩 형성된 구조를 예시하였다.
도 17은 제 2 스페이서(SP)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제 2 고정판(F) 및 제 2 유동판(R)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원형 링 구조로 형성되어, 제 2 고정판(F)의 축 고정부(f1)들 사이에 위치된 상태에서 제 2 고정판(F)들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킴으로써 제 2 고정판(F)들 사이에서 제 2 유동판(R)이 유동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이러한 제 2 스페이서(SP)는 대략 와셔형 구조로 형성되어, 제 2 고정판(F) 사이사이에서 고정봉(501)에 끼워져 조립된다(도 18 상세도 참조).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제 1 캠축(101)이 회전하여 상기 제 2 유동판(R)을 유동시키게 되면, 상기 제 2 유동판(R)과 제 2 고정판(F) 사이에 틈이 생겼다가 사라지는 형태를 반복함으로써 슬러지에 유동을 주게 되고 이 과정에서 분리되는 물은 제 2 유동판(R)과 제 2 고정판(F) 사이의 틈으로 배출되게 된다.
상기 제 1 캠축(101)은 상기 주구동수단과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연결되는데,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주구동수단의 감속기(402)에 연결되는 이송 스크류(300)의 중심축(301)에 설치되는 구동기어(403)와, 상기 제 1 캠축(101)의 전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기어(403)와 기어 결합하는 피동기어(404)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동기어(403)와 피동기어(404)의 기어비(Gear ratio)는 3:1로 하여 이송 스크류(300)의 회전수보다 제 1 캠축(101)의 회전수가 크도록 설계함으로써 제 2 유동판(R)의 회전 유동속도를 상기 이송 스크류(300)의 회전속도보다 빠르게 하여 제 2 고정판(F)과 제 2 유동판(R) 사이의 막힘 현상이 빠르게 제거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 슬러지 처리부(200)는 상기 제 1 슬러지 처리부(100)와 마찬가지로 링 구조의 다수의 제 2 고정판(F)과 제 2 유동판(R)을 교대로 길이방향을 따라 적층하여 구성하며, 상기 제 2 고정판(F)은 각각에 다수의 고정공(f2)을 형성하고 그 고정공(f2)에 케이싱(500)에 양단이 고정되는 고정봉(501)을 관통 삽입하여 지지하는 형태로 고정되며, 상기 제 2 유동판(R)은 상기 제 2 유동판 구동수단에 의해 강제 유동하게 되는데, 상기 제 2 유동판 구동수단은 상기 제 2 유동판(R)들 각각의 양측 외벽에 설치되는 지지편(S)에 형성된 지지공(H)에 관통 삽입되어 회전하는 한 쌍의 제 2 캠축(201)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2 캠축(201)은 상기 제 2 유동판 구동수단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커플링장치에 의해 결합되는데, 상기 커플링장치는 일반적으로 축을 연결할 때 사용되는 커플링장치가 사용된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 1 슬러지 처리부(100)와 제 2 슬러지 처리부(200) 사이에 설치되는 부분으로 그 내부 공간부에 상기 커플링장치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농축기(I)의 하부판에 연결되는 유입 파이프(14) 상에는 제1플로우센서(1fs)가 설치되어 상기 유입 파이프(14)를 흐르는 유체의 유량을 측정하게 되며, 상기 농축기 탱크(10)의 탱크 본체의 하측 중간부에 설치되는 여액 배출부(20) 상에는 제2플로우센서(2fs)가 설치되어 상기 여액 배출부(20)를 흐르는 유체의 유량을 측정하게 된다.
상기 제1플로우센서(1fs) 및 제2플로우센서(2fs)는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플로우센서(1fs) 및 제2플로우센서(2fs)와 연결되어 상기 제1플로우센서(1fs) 및 제2플로우센서(2fs)로부터 검출되는 유량 데이터로부터 상기 전기 모터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플로우센서(1fs)와 제2플로우센서(2fs)에서 검출되는 유량의 차이로부터 상기 탈수기(II)로 유입되는 슬러지의 유량과 탈수의 정도를 파악하고 유량이 과다할 경우에는 상기 전기 모터의 회전속도를 저하시켜 상대적으로 슬러지의 유동속도를 줄여 탈수효과를 증대시키게 된다.
그리고 내부에 복수의 LED 램프가 구비되고 투명 재질의 외부 케이싱이 구비되는 구(球) 형태의 발광 볼(B)을 구비하여 발광수단으로 사용하고 상기 발광 볼을 상기 탈수기(II)에 넣어 유동시키고 상기 탈수기(II)의 상부에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복수의 수광부(al)를 통해 수집되는 광의 형태를 파악하여 상기 제어부는 장치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게 된다. 특히,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광부(al)에서 검출되는 신호와 저장된 데이터를 비교하여 제 2 고정판과 제 2 유동판의 이상 여부를 판정하게 되는데, 고정판이나 유동판의 변형과 파손에 의해 누설되는 광의 모양이나 세기가 변화하는 경우 제어부는 이를 파악하게 된다.
상기 이송 스크류(300)의 일단과 타단에는 각각 제1엔코더(1EN)와 제2엔코더(2EN)를 설치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엔코더(1EN)로부터 검출되는 신호 파형과 상기 제2엔코더(2EN)로부터 검출되는 신호 파형을 비교하여 일정 값 이상의 위상차가 발생되는 경우 이상이 있음으로 판단한다.
여기서, 엔코더는 축의 회전각을 검출하여 신호로 전송할 수 있는 형태의 장치가 사용된다.
통상, 이송 스크류(300) 등에 이상이 발생되는 경우 회전시 저항이 발생되어 일단에서 타단으로 가면서 비틀림이 발생하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이송 스크류의 일단에서 타단에 설치된 제1엔코더(1EN)와 제2엔코더(2EN)에서 검출되는 신호 파형은 위상차를 발생시키게 되며 이 위상차가 일정 값 이상일 경우 이상이 있는 경우가 된다.
이에 더해, 상기 제 2 캠축(201)의 타단에는 제3엔코더(3EN)를 설치하고,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엔코더(1EN) 또는 제2엔코더(2EN)로부터 검출되는 신호 파형과 상기 제3엔코더(3EN)로부터 검출되는 신호 파형을 비교하여 일정 값 이상의 위상차가 발생되는 경우 이상이 있음으로 판단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고정판(F)은 각각에 다수의 고정공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공에 케이싱에 양단이 고정되는 고정봉을 관통 삽입하여 지지하는 형태로 고정하며, 상기 고정봉(501)의 양단에는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상기 고정봉(501)의 재료보다 이온화 경향이 높은 금속으로 이루어진 부식확인부(cor)가 설치되어 우선적으로 부식이 되어 제거되고 제거된 정도를 육안으로 파악하여 추가적인 방식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A : 탱크 베이스 10 : 농축기 탱크
14 : 유입 파이프 17 : 슬러지 배출부
18 : 지지 브래킷 18d :보스
20 : 여액 배출부 25 : 여액배출탱크
30 : 분리조 31 : 상부판
32 : 하부판 35 : 제 1 고정판
35a : 축 결합부 37 : 제 1 유동판
37a : 축 결합부 38 : 제 1 스페이서
50 : 상부 교반기 51 : 보스부
52 : 수평축 53, 54 : 지지링
55 : 날개 축 57 : 교반 날개
60 : 하부 교반기 61 : 보스
63 : 날개 70 : 구동기구
71 : 구동 모터 72 : 감속기
73 : 주축 74 : 주축 기어
75 : 편심축 기어 80 : 편심축
80a : 중심축부 81 : 캠축부
83 : 베어링 85 : 부싱
87 : 스냅링
100: 제 1 슬러지 처리부 101: 제 1 캠축
200: 제 2 슬러지 처리부 201: 제 2 캠축
300: 이송 스크류 301: 중심축
302: 나선형 블레이드
401: 전기 모터 402: 감속기
403: 구동기어 404: 피동기어
500: 케이싱 501: 고정봉
601: 구동커플링 602: 인서트 그루브
603: 스프링 604: 피동커플링
605: 인서트
700: 제어부
F: 제 2 고정판 R: 제 2 유동판
S: 지지편 H: 지지공
CL: 캠 로브
1fs: 제1플로우센서 2fs: 제2플로우센서
1EN: 제1엔코더 2EN: 제2엔코더
3EN: 제3엔코더

Claims (1)

  1. 수직 방향으로 세워지고 내부에서 분리된 슬러지와 여액을 분리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농축기 탱크와, 원형 링 구조로 이루어진 복수의 제 1 고정판 및 제 1 유동판, 그리고 이들 사이의 틈새를 발생시키는 제 1 스페이서들이 교대로 적층되어 슬러지를 걸러내는 분리조와, 상기 농축기 탱크 내에서 분리조 바깥쪽에 배치되어 유입된 폐수를 교반하는 교반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분리조를 구성하는 제 1 고정판 및 제 1 유동판은, 각각 고정축 및 편심축에 의해 상호 조립되되,
    제 1 고정판과 고정축이 결합되는 축 결합부와, 제 1 유동판과 편심축이 결합되는 축 결합부가 분리조의 내주면에서 안쪽 방향으로 모두 돌출되어, 분리조의 안쪽에서 상기 고정축 및 편심축이 결합되게 구성되며,
    상기 분리조는 상기 제 1 고정판과 제 1 유동판이 적층된 하부와 상부에 각각 배치되는 하부판 및 상부판이 구비되며,
    상기 농축기 탱크의 내측에는 상기 하부판을 지지하는 지지 브래킷이 설치되되, 상기 지지 브래킷은 수직판과 수평판이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호 고정되고, 이 두 부재 사이에 삼각 구조의 지지판이 설치되며, 상기 수평판에는 상기 하부판이 끼워져 조립되도록 보스가 돌출되어 구성되는 농축기와;
    제 2 고정판들 사이에 제 1 유동판 구동수단에 의해 강제 유동하는 제 2 유동판들이 설치되며 전체적으로 링형 구조로 이루어지는 제 1 슬러지 처리부,
    상기 제 1 슬러지 처리부의 후단측에 직렬로 배치되고 제 2 고정판들 사이에 제 2 유동판 구동수단에 의해 강제 유동하는 제 2 유동판들이 설치되며 전체적으로 링형 구조로 이루어지는 제 2 슬러지 처리부,
    상기 제 1 슬러지 처리부와 상기 제 2 슬러지 처리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제 1 슬러지 처리부와 제 2 슬러지 처리부의 상부 공간부에 설치되는 이송 스크류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 1 유동판 구동수단은 상기 제 1 슬러지 처리부의 제 2 유동판들 각각의 양측 외벽에 설치되는 지지편에 형성된 지지공에 관통 삽입되고 주구동수단과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연결되어 회전하는 제 1 캠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2 유동판 구동수단은 상기 제 2 슬러지 처리부의 제 2 유동판들 각각의 양측 외벽에 설치되는 지지편에 형성된 지지공에 관통 삽입되고 상기 연결부에서 상기 제 2 유동판 구동수단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커플링장치에 의해 결합되어 회전하는 제 2 캠축으로 이루어지는 탈수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또한, 상기 농축기와 탈수기를 연결하여 상기 농축기에서 배출된 농축 슬러지를 상기 탈수기로 유입시키는 슬러지이송관,
    상기 슬러지이송관에 설치되는 제어밸브 및
    상기 제어밸브의 개폐 여부 및 개폐 정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토크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탈수기의 부하 및 상기 슬러지이송관에 설치되는 점도센서의 검출값에 따라 상기 제어밸브의 개폐량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며,
    또한, 상기 하부판에 연결되는 유입 파이프 상에 설치되는 제1플로우센서,
    상기 농축기 탱크의 탱크 본체의 하측 중간부에 설치되는 여액 배출부 상에 설치되는 제2플로우센서 및
    상기 농축기를 구동하며 전기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주구동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플로우센서 및 제2플로우센서와 연결되어 상기 제1플로우센서 및 제2플로우센서로부터 검출되는 유량 데이터로부터 상기 전기 모터를 제어하며,
    또한, 상기 이송 스크류의 일단에 설치되는 제1엔코더 및
    상기 이송 스크류의 타단에 설치되는 제2엔코더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엔코더로부터 검출되는 신호 파형과 상기 제2엔코더로부터 검출되는 신호 파형을 비교하여 일정 값 이상의 위상차가 발생되는 경우 이상이 있음으로 판단하며,
    또한, 상기 제 2 캠축의 타단에 설치되는 제3엔코더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엔코더 또는 제2엔코더로부터 검출되는 신호 파형과 상기 제3엔코더로부터 검출되는 신호 파형을 비교하여 일정 값 이상의 위상차가 발생되는 경우 이상이 있음으로 판단하며,
    또한, 상기 제 2 고정판은 각각에 다수의 고정공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공에 케이싱에 양단이 고정되는 고정봉을 관통 삽입하여 지지하는 형태로 고정하며,
    상기 고정봉의 양단에는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상기 고정봉의 재료보다 이온화 경향이 높은 금속으로 이루어진 부식확인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농축장치
KR1020170086173A 2017-07-06 2017-07-06 슬러지 농축장치 KR1018234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6173A KR101823472B1 (ko) 2017-07-06 2017-07-06 슬러지 농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6173A KR101823472B1 (ko) 2017-07-06 2017-07-06 슬러지 농축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8640A Division KR20190006158A (ko) 2018-01-24 2018-01-24 슬러지 농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3472B1 true KR101823472B1 (ko) 2018-01-31

Family

ID=61083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6173A KR101823472B1 (ko) 2017-07-06 2017-07-06 슬러지 농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347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46086A (zh) * 2019-09-11 2020-02-04 杭州国泰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浓缩污泥的二次浓缩器及其处理方法
CN110746087A (zh) * 2019-09-11 2020-02-04 杭州国泰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浓缩污泥的二次浓缩装置及其处理方法
CN115594379A (zh) * 2022-12-16 2023-01-13 山东高烽畜牧科技有限公司(Cn) 一种污泥、粪便处理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8664B1 (ko) * 2010-02-26 2010-05-20 (주)오에치케이 고효율 응집 농축 일체형 탈수장치
KR101446107B1 (ko) * 2014-08-12 2014-10-08 (주)오에치케이 슬러지 농축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8664B1 (ko) * 2010-02-26 2010-05-20 (주)오에치케이 고효율 응집 농축 일체형 탈수장치
KR101446107B1 (ko) * 2014-08-12 2014-10-08 (주)오에치케이 슬러지 농축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46086A (zh) * 2019-09-11 2020-02-04 杭州国泰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浓缩污泥的二次浓缩器及其处理方法
CN110746087A (zh) * 2019-09-11 2020-02-04 杭州国泰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浓缩污泥的二次浓缩装置及其处理方法
CN115594379A (zh) * 2022-12-16 2023-01-13 山东高烽畜牧科技有限公司(Cn) 一种污泥、粪便处理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3472B1 (ko) 슬러지 농축장치
CN201063014Y (zh) 浓度检测装置
KR101446107B1 (ko) 슬러지 농축장치
JP4444953B2 (ja) 多重円板型スラッジ処理装置
JP2006522677A5 (ko)
KR100672218B1 (ko) 스크류식 고체ㆍ액체분리장치
KR200439085Y1 (ko) 라인믹서 및 가변식 혼합주입수단을 갖는 원심형고액분리장치
KR100740608B1 (ko) 응집,농축 및 원심탈수장치
JP5660827B2 (ja) 濃縮装置
KR20190006158A (ko) 슬러지 농축장치
CN111495612A (zh) 一种卧式螺旋过滤离心机
KR101833183B1 (ko) 더블 드럼형 탈수농축기
KR20190121115A (ko) 응집 반응 장치
JP2011083668A (ja) 汚泥濃縮装置及び固液分離システム
KR100736694B1 (ko) 슬러지 농축 장치
KR100736695B1 (ko) 비스크류식 슬러지 농축 장치
JP5478843B2 (ja) 回転分離装置
JP2008043914A (ja) 汚泥濃縮装置
KR101889663B1 (ko) 슬러지 채널링 방지가 가능한 원형슬러지 농축조
JP2007054684A (ja) 汚泥フロック化装置及びそのフロック化装置を有する汚泥処理装置
JP4953096B2 (ja) 凝集装置を有するスクリュープレス
KR20190121114A (ko) 무동력 교반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응집 반응 장치
KR101552506B1 (ko) 미생물 슬러지 농축장치
KR100641750B1 (ko) 이동식 슬러지 처리장치
CN111495616A (zh) 一种用于卧式螺旋过滤离心机的转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