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3466B1 - 스테비올 또는 스테비올 배당체를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스테비올 또는 스테비올 배당체를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3466B1
KR101823466B1 KR1020160116441A KR20160116441A KR101823466B1 KR 101823466 B1 KR101823466 B1 KR 101823466B1 KR 1020160116441 A KR1020160116441 A KR 1020160116441A KR 20160116441 A KR20160116441 A KR 20160116441A KR 101823466 B1 KR101823466 B1 KR 1018234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viol
steviol glycoside
composition
ski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64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린
김무성
정희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크로케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크로케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크로케어
Priority to KR10201601164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34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34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34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2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 A61K31/703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attached to a carbocyclic compound, e.g. phloridzin
    • A61K31/70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attached to a carbocyclic compound, e.g. phloridzin attached to a condensed carbocyclic ring system, e.g. sennosides, thiocolchicosides, escin, daunorubic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2Glycosides, e.g. ru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rd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Saccharide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테비올 또는 스테비올 배당체를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특히 화장료, 약학 조성물 또는 건강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세포 수분조절인자인 AQP3 및 HAS2 발현 양을 증가시키고, 염증 매개인자인 산화질소와 종양괴사인자의 생성을 억제하므로 피부 보습 또는 염증 완화, 개선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스테비올 또는 스테비올 배당체를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Composition for skin moisturizing comprising Steviol or Steviol-glucosides}
본 발명은 피부 보습 증진 효과가 우수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스테비올 배당체(steviol glycoside)는 일반적으로 스테비오사이드(stevioside)라는 통칭으로도 불리우며, 스테비아 레바우디아나(Stevia rebaudiana) 식물에 함유된, 설탕의 약 200배 정도 단맛이 나는 화합물의 총칭이다.
스테비올 배당체는 기본 구조인 스테비올(steviol)에 결합된 당의 종류나 수 및 결합방식에 따라 스테비오사이드(stevioside), 레바우디오시드 A (rebaudioside A), 레바우디오사이드 C(rebaudioside C), 루부소사이드(rubusoside), 둘코사이드(dulcoside) 등 다양한 성분을 함유하며 스테비올은 이러한 화합물에서 당 부분을 제외한 비당체(aglycone)이다.
스테비올 배당체는 기본 특성인 강한 단맛에 의해 천연감미료 및 비만방지, 당뇨증상 완화 용도로 다양하게 사용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더욱 다양한 생리활성이 연구되어 화장품, 의약 등의 분야로 그 용도가 확대되고 있다. 스테비올은 인지적 작용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국제특허출원공개 제2009/071277호), 스테비올 또는 스테비올 배당체는 모발생성을 강화하는데 사용할 수 있고(국제특허출원공개 제2011/009863호), 미백 또는 노화방지 효과도 보고되었으며(국제특허출원공개 제2013/093880호, 제2013/093881호), 국내에서도 제한적이긴 하나 콜라겐활성에 대한 특허도(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16478호) 보고되었다.
천연 소재에 있어서, 특히 화장품 분야에서는 기능성뿐 아니라 산업의 특성상 안전성을 담보할 수 있는 친숙성을 갖춘 소재라야 시장 적용성이 크다. 스테비올 배당체는 천연 감미료로서의 세계적으로 사용되어 친숙성과 안전성에 대한 검증이 이미 이루어져 왔으며, 최근 식품 용도 이외에 화장품, 의약 등 분야에서의 기능에 대한 다양한 산업적 활용이 추진되고 있는 유망한 소재이다.
국제특허출원공개 제2009/071277호 국제특허출원공개 제2011/009863호 국제특허출원공개 제2013/093880호 국제특허출원공개 제2013/09388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16478호
본 발명자들은 천연 감미료로 널리 알려진 스테비올 배당체가 실질적으로 피부에 적용되는 경우 갖는 효과를 확인하던 중 스테비올과 스테비올 배당체가 세포 수분 조절인자의 발현양을 증가시키고, 염증매개인자의 생성을 억제하여 피부 보습 및 항염증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스테비올 또는 스테비올 배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테비올 또는 스테비올 배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테비올 또는 스테비올 배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건강식품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스테비올 또는 스테비올 배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테비올 또는 스테비올 배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테비올 또는 스테비올 배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건강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세포 수분조절인자인 AQP3 및 HAS2 발현 양을 증가시키고, 염증 매개인자인 산화질소와 종양괴사인자의 생성을 억제하므로 피부 보습 또는 염증 완화, 개선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당전이된 총 스테비올 배당체 90% 원료의 당전이 반응 및 정제 전후 HPLC/UV 분석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a) 당전이 전 원료, (b) 일차 당전이 후 반응액, (c) 이차 효소 반응 후 반응액, 1: 스테비오사이드, 2: 레바우디오사이드 A, 3: 스테비오사이드에 글루코스 1개가 부가된 것, 4: 레바우디오사이드에 글루코스 1개가 부가된 것, 5: 스테비오사이드에 글루코스 2개가 부가된 것, 6: 레바우디오사이드에 글루코스 2개가 부가된 것, 7: 스테비오사이드에 글루코스 3개가 부가된 것, 8: 레바우디오사이드에 글루코스 3개가 부가된 것
도 2는 HaCaT cell을 이용한 스테비올 배당체 처리에 따른 AQP3 발현량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1: Control, 2: UV 조사, 3: 스테비올 처리, 4: 스테비오사이드 처리, 5: 레바우디오사이드 A 처리, 6: 스테비올 배당체 2차 당전이물, 7: 스테비올배당체 1차 당전이물
도 3은 HaCaT cell을 이용한 스테비올 배당체 처리에 따른 HAS2 발현량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1: Control, 2: UV 조사, 3: 스테비올처리, 4: 스테비오사이드 처리, 5: 레바우디오사이드 A 처리, 6: 스테비올 배당체 2차 당전이물, 7: 스테비올배당체 1차 당전이물
도 4는 마우스 대식세포를 이용한 스테비올 처리에 따른 NO 생성량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마우스 대식세포를 이용한 스테비오사이드 처리에 따른 NO 생성량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마우스 대식세포를 이용한 레바우디오사이드 A 처리에 따른 NO 생성량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마우스 대식세포를 이용한 실시예 1의 스테비올 배당체 2차 당전이물 처리에 따른 NO 생성량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마우스 대식세포를 이용한 스테비올 처리에 따른 TNF-α 생성량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마우스 대식세포를 이용한 스테비오사이드 처리에 따른 TNF-α 생성량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은 마우스 대식세포를 이용한 레바우디오사이드 A 처리에 따른 TNF-α 생성량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은 마우스 대식세포를 이용한 실시예 1의 스테비올 배당체 2차 당전이물 처리에 따른 TNF-α 생성량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스테비올 또는 스테비올 배당체를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스테비올(steviol) 및 스테비올 배당체(steviol glycoside), 그리고 이들에 당전이 반응(glycosylation)을 통해 제조된 당전이 스테비올 배당체(glucosylated steviol glycoside)들을 함유하여, 피부 내 세포 보습인자를 유도하여 보습기능을 나타내며 세포의 항염증 기능을 유도하는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스테비올 배당체는 스테비아로부터 추출, 정제된 것으로 그 제법, 함량에는 크게 제한이 없이 사용할 수 있으나 순도가 높은 것이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스테비올 배당체에서 스테비올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산(acid)를 이용하여 당결합을 분해하는 방법, 효소를 이용하여 분해하는 방법, 발효를 통해 분해하는 방법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산을 사용할 경우 이소스테비올(isosteviol) 형성 등의 단점이 있어 효소 또는 발효를 통한 방법이 적절하다.
스테비올 배당체에서 당전이 스테비올 배당체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통상의 당전이 방법, 즉 당전이효소(cyclodextrin glucosyl transferase)를 이용한 당전이 방법이 적절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효소, 화학적 방법에 의한 위한 제조가 가능하다. 또한 당전이 후 다양한 방법에 의해 2차 가공 또는 정제를 통하여 성분조성을 조절한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상기 스테비올 또는 스테비올 배당체 외에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주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바람직하게는 주 효과에 상승 효과를 줄 수 있는 다른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한편 피부의 보습은 다양한 메커니즘과 이에 따른 소재의 기능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는데, 화장품에서 보습 기능을 나타내는 소재들을 작용 메커니즘에 따라 보면, 크게 수분을 함유하여 공급해주는 소재, 피부의 수분 증발이나 손실을 억제해 주는 소재, 피부 내 보습인자 형성을 촉진하는 소재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최근에는 세포간 간격 또는 밀착력을 강화하여 보습기능을 나타내는 소재도 개발되고 있다. 세포간 밀착 기능은 세포간 결합, 피부의 수분유출을 차단, 외래 물질의 유입을 차단, 진피층의 세포외액을 차단 등 매우 중요한 기능을 가진다.
본 발명에서는 스테비올 및 그 배당체가 가지는 세포간 연접(junction) 기능으로서 ZO, claudin, occludin 등의 발현과 세포 수분조절인자인 AQP3 및 HAS2 등을 확인코자 하였으며, 실험예 1을 통해 측정한 결과 스테비올 및 스테비올 배당체 처리에 따라 AQP3 및 HAS2 등의 발현 양이 증가되어 보습 기능을 나타낼 수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피부염은 외부의 자극 물질을 피부에 적용할 때 피부에서 나타나는 국소적 염증반응으로서, 임상적 증상으로는 가려움(itching), 따끔거림(stinging), 화끈거림(burning) 등의 자극감과 홍반(erythema), 부종(edema) 등의 염증성 자극 반응이 있으며, 조직학적으로는 진피에서 부종이 발견되며 표피와 진피에서 단핵세포의 유입이 관찰된다. 피부의 염증반응은 피부 손상에 따른 수분손실, 색소침착 등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피부와 관련된 많은 제품은 자극이나 염증을 유발할 수 있는 물질을 함유하고 있어서 이를 완화할 수 있는 안전한 소재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건강한 피부를 위한 소재로서 스테비올 및 그 배당체가 가지는 항염증 기능을 확인코자 하였으며, 항염증 기능은 염증매개인자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실험예 2 및 실험예 3을 통해 염증 매개인자로는 산화질소(Nitric oxide, NO)와 종양괴사인자(Tumor Necrosis Factor, TNF-α)의 변화를 세포수준에서 측정하였으며 스테비올 및 그 배당체들이 산화질소와 종양괴사인자의 생성억제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스테비올 또는 스테비올 배당체는 약학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또는 건강 식품으로, 이를 적용시 피부 보습 증진 효과, 피부 염증 완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스테비올 또는 스테비올 배당체는 전체 약학 조성물 중량 대비 0.0001 내지 30.0 중량%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30.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스테비올 또는 스테비올 배당체의 함량이 제한 범위 미만일 경우 뚜렷한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반대로 제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함량의 증가에 비해 효과의 증가가 미치지 못하며 약간의 세포 독성을 야기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바가 없으며, 본 발명의 조성물은 고형 제제, 반고형제제 또는 액상 제제일 수 있다. 이때 각 제형의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한 스테비올 또는 스테비올 배당체 이외의 다른 성분들은 기타 약학 조성물의 제형 또는 사용목적 등에 따라 당업자가 적의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스테비올 또는 스테비올 배당체는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로서 적용이 가능하다.
스테비올 또는 스테비올 배당체는 전체 화장료 조성물 중량 대비 0.0001 내지 30.0 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30.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상기 화합물의 함량이 제안 범위 미만일 경우 뚜렷한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이와 반대로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포함량의 증가에 비해 효과의 증가가 미치지 못하며 약간의 세포 독성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조성물은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바가 없으며, 예를 들어 화장수, 유액, 크림, 폼, 에센스, 세럼, 유연수, 유액, 파운데이션, 메이크업 베이스, 비누, 선 스크린크림 및 선 오일 등의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각 제형의 조성들은 그 제형의 제제화에 필요하고 적절한 각종의 기제와 첨가물을 함유할 수 있으며, 그 효과를 떨어트리지 않는 범위 내에서 비이온 계면활성제, 실리콘 폴리머, 체질안료, 향료, 방부제, 살균제, 산화 안정화제, 유기 용매, 이온성 또는 비이온성 증점제, 유연화제, 산화방지제, 자유 라디칼파괴제, 불투명화제, 안정화제, 에몰리언트(emollient), 실리콘, α-히드록시산, 소포제, 보습제, 비타민, 곤충 기피제, 향료, 보존제, 계면활성제, 소염제, 물질 P 길항제, 충전제, 중합체, 추진제, 염기성화 또는 산성화제, 또는 착색제 등 공지의 화합물을 포함하여 제조된다.
본 발명의 건강식품은 스테비올 또는 스테비올 배당체를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허니부쉬 추출물 또는 이의 발효액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카라멜,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건강 음료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코올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스테비올 또는 스테비올 배당체는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더욱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당전이 스테비올 배당체
스테비오사이드와 레바우디오사이드 A가 동량으로 함유되어 있는 스테비올 배당체(총 함량 90%)와 덱스트린을 1:1의 비율로 수용액을 만든 후 기질 양의 1 wt%로 당전이효소인 토루자임(Toruzyme, 사이클로말토덱스트린 글루카노트랜스퍼라제)을 넣고 pH 6.0, 70℃ 조건에서 24시간 반응하여 일차 당전이 산물을 제조하였다. 이차 당전이 산물로는 여기에 다시 전분분해효소인 글루코아밀라제를 0.01 wt% 사용하여 길게 당전이된 부분을 제거한 당전이 산물을 제조하여 사용하였다. 반응물은 동결건조하여 분말화한 후 사용하였다.
실험예 1: HPLC 분석
스테비올, 스테비올 배당체, 당전이 스테비올 배당체의 양을 시간에 따라 분석하기 위하여 HPLC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HPLC 조건은 다음과 같다.
HPLC module
Column
Mobile phases
Flow rate
Detector
Waters 2695
RS tech Optimapak OPNH2-21002546
A: ACN, B: HPLC water(gradient)
0.8mL/min
Waters 2487 UV (210nm)
[이동상의 gradient 조건]
구분 시간 용매 A 용매 B
1 0min 80% 20%
2 15min 65% 35%
3 30min 60% 40%
4 37min 80% 20%
5 50min 80% 20%
기본 원료로서 스테비올 및 스테비올 배당체는 스테비올(함량 97%), 스테비오사이드(함량 95%) 및 레바우디오사이드 A(함량 95%) 인 원료를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당전이 스테비올 배당체의 HPLC/UV 분석결과는 도 2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1: 스테비올, 스테비올 배당체의 보습효과 확인
세포 수분의 이동에 관여하는 보습인자인 AQP3(Aquaporin 3)과 HAS2(Hyaluronic acid synthase 2)의 발현 양을 HaCaT cell(한국세포주은행)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각 시료 10ug/mL과 자외선을 처리한 후 AQP3와 HAS2의 양을 측정하였다.
시험물질을 칭량한 후 10 mg/ml의 농도로 부형제인 DMEM을 가하여 조제하고 실험시 1/1,000으로 희석하여 세포에 처리하였다.
시험 군 구성은 아래 표 1과 같다:
시 험 시 험 물 질 처 리 기 간
보습 대조군
노화처리(UVA: 5 J/cm2)
처리군
DMEM
DMEM
DMEM+시료(10 ug/ml)
24 hrs
유전자 발현 검사(RNA 추출 및 실시간 유전자 중합효소 연쇄반응(Real-time RT-PCR)을 다음과 같은 순서로 수행하였다:
① Gibco사의 TRIzol Reagent (USA)를 사용하여 RNA를 추출하였다.
② 추출한 RNA로부터 cDNA의 합성은 ReverTra Ace 역전사효소 키트 (Toyobo, USA)를 사용하여 합성하였으며, HaCaT 세포 표지인자의 발현을 비교 측정하기 위하여 Real-time RT-PCR (Applied Biosystems, USA)을 진행하였다.
③ 실험에 사용된 특정 Taqman Gene expression assay는 아래 표 2와 같다:
구분 Gene name Assay ID
HAS2 Hyaluronan synthase 2 Hs00193435_m1
AQP3 Aquaporin 3 Hs01105469_g1
그 결과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2를 참조하면, 스테비올 및 배당체 당전이물은 성분간 약간의 차이는 있었으나 대부분 AQP3와 HAS2를 증가시킴으로써 피부세포 보습기능이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실험예 2 : 스테비올, 스테비올 배당체의 NO 생성 억제에 따른 항염증 효과 확인
RAW 264.7 마우스 대식세포(이하 RAW 세포)를 이용한 NO 측정방법을 이용하여 항염증 효능의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염증유발 물질로서 LPS (20ng/ml)를 처리한 세포에 각 시료를 처리하고 24시간 배양한 후 NO 생성량을 측정하였다.
RAW 세포을 5x105 세포/ml (24웰 플레이트)로 분주하고 37℃, 5% CO2 배양기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PBS washing 한 후 새 배양액 + 시료를 처리하였다. 30분후, LPS(lipopolysaccaride, 20ng/ml)를 처리한 후 24시간 배양하였다, LPS는 Negative Control을 제외한 Positive와 Sample에만 처리하였다. 배양액을 모은 후, 1/10으로 희석 후 NO2 -의 양을 Nitrite assay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즉, 96 웰 플레이트에 상층액 100 ㎕와 동량의 Griess reagent [1% sulfanilamide, 5% phophoric acid and 0.1% 1-(N-naphthyl)ethylendiamine]를 첨가한 뒤 15 분 동안 실온에서 반응시켰으며 흡광도는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를 이용하여 540 nm의 파장에서 읽었다. NO2 -의 농도는 아질산나트륨(sodium nitrite)를 표준용액으로 하여 계산하였다. 그 결과는 도 4 내지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스테비올, 스테비올 배당체 등은 성분별 차이는 있었으나 대부분 NO 생성을 억제함을 확인하여 이들 물질이 염증억제에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스테비올, 스테비올 배당체의 TNF -α 생성 억제에 따른 항염증 효과 확인
상기 실험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RAW 264.7 마우스 대식세포(이하 RAW 세포)를 이용하여 TNF-α 측정방법을 이용한 항염증 효능의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RAW 세포를 2x105 세포/ml (48 웰 플레이트)로 분주하고 37℃, 5% CO2 배양기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PBS washing 한 후 새 배양액 + 시료를 처리하였다. 30분후, LPS (lipopolysaccaride, 20ng/ml)를 처리한 후 24시간 배양하였다. LPS는 Negative Control을 제외한 Positive와 Sample에만 처리하였다. 배양액을 모은 후, 1/10으로 희석 후 TNF-α의 양을 ELI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도 8 내지 도 11에 나타내었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스테비올, 스테비올 배당체 등은 성분별 차이는 있었으나 대부분 농도에 따른 TNF-α 생성억제 향상을 확인하였으며, 이들 물질이 염증억제에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당전이 스테비올 배당체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조성물이 이들 제형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형예 1) 유연화장수(스킨로션)
하기의 표 3과 같이 스테비올 배당체를 함유하는 유연화장수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배합성분 중량%
당전이 스테비올 배당체 1.0
글리세린 3.0
부틸렌글리콜 2.0
프로필렌글리콜 2.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피이지-12 노닐페닐에테르 0.2
폴리솔베이트 80 0.4
에탄올 10.0
트리에탄올아민 0.1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to 100
(제형예 2) 영양화장수(밀크로션)
하기의 표 4와 같이 스테비올 배당체를 함유하는 영양화장수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배합성분 중량%
당전이 스테비올 배당체 1.0
스쿠알란 4.0
밀납 4.0
폴리솔베이트 60 1.5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1.5
유동파라핀 0.5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5.0
글리세린 3.0
부틸렌글리콜 3.0
프로필렌글리콜 3.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to 100
(제형예 3) 영양크림
하기의 표 5와 같이 스테비올 배당체를 함유하는 영양크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배합성분 중량%
당전이 스테비올 배당체 1.0
밀납 10.0
폴리솔베이트 60 1.5
피이지 60 경화피마자유 2.0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유동파라핀 10.0
스쿠알란 5.0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4.0
글리세린 5.0
부틸렌글리콜 3.0
프로필렌글리콜 3.0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to 100
(제형예 4) 팩
하기의 표 6과 같이 스테비올 배당체를 함유하는 팩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배합성분 중량%
당전이 스테비올 배당체 1.0
폴리비닐알콜 12.0
소듐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0.2
글리세린 5.0
알란토인 0.1
에탄올 6.0
핑지-12 노닐페닐에테르 0.3
폴리솔베이트 60 0.3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to 100
(제형예 5) 젤
하기의 표 7과 같이 스테비올 배당체를 함유하는 젤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배합성분 중량%
당전이 스테비올 배당체 1.0
에틸렌디아민초산나트륨 0.05
글리세린 5.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3
에탄올 5.0
피이지-60 경화피마자유 0.5
트리에탄올아민 0.3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to 100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스테비올 또는 스테비올 배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비올 배당체는
    스테비오사이드, 레바우디오사이드, 루부소사이드, 둘코사이드, 당전이 스테비올 배당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당전이 스테비올 배당체는,
    스테비올 배당체와 덱스트린의 혼합액에 사이클로말토덱스트린 글루카노트랜스퍼라제를 첨가 후, 반응시켜 수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당전이 스테비올 배당체는,
    스테비올 배당체와 덱스트린의 혼합액에 사이클로말토덱스트린 글루카노트랜스퍼라제를 첨가 후, 반응시킨 다음 글루코아밀라제를 첨가 후 반응시켜 수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9. 스테비올 또는 스테비올 배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건강식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비올 배당체는
    스테비오사이드, 레바우디오사이드, 루부소사이드, 둘코사이드, 당전이 스테비올 배당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건강식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당전이 스테비올 배당체는,
    스테비올 배당체와 덱스트린의 혼합액에 사이클로말토덱스트린 글루카노트랜스퍼라제를 첨가 후, 반응시켜 수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건강식품.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당전이 스테비올 배당체는,
    스테비올 배당체와 덱스트린의 혼합액에 사이클로말토덱스트린 글루카노트랜스퍼라제를 첨가 후, 반응시킨 다음 글루코아밀라제를 첨가 후 반응시켜 수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건강식품.
KR1020160116441A 2016-09-09 2016-09-09 스테비올 또는 스테비올 배당체를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1018234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6441A KR101823466B1 (ko) 2016-09-09 2016-09-09 스테비올 또는 스테비올 배당체를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6441A KR101823466B1 (ko) 2016-09-09 2016-09-09 스테비올 또는 스테비올 배당체를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9030A Division KR101854638B1 (ko) 2017-07-13 2017-07-13 스테비올 또는 스테비올 배당체를 함유하는 항염증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3466B1 true KR101823466B1 (ko) 2018-01-31

Family

ID=61083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6441A KR101823466B1 (ko) 2016-09-09 2016-09-09 스테비올 또는 스테비올 배당체를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34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5628A (ko) * 2016-10-26 2018-05-0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레바우디오사이드 a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12101A1 (en) 2008-05-06 2010-05-06 Laila Impex Bio-availability/bio-efficacy enhancing activity of stevia rebaudiana and extracts and fractions and compounds thereof
US20160081380A1 (en) 2014-09-23 2016-03-24 Rudolf Wild Gmbh & Co. Kg Enzyme modification of sweet blackberry leav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12101A1 (en) 2008-05-06 2010-05-06 Laila Impex Bio-availability/bio-efficacy enhancing activity of stevia rebaudiana and extracts and fractions and compounds thereof
US20160081380A1 (en) 2014-09-23 2016-03-24 Rudolf Wild Gmbh & Co. Kg Enzyme modification of sweet blackberry leaves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AgroFOOD Industry Hi Tech, Vol. 21(3), pp. 38~42)
논문(Biological and Pharmaceutical Bulletin, Vol. 25, No. 11, pp. 1488-1490, 2002)*
논문(J. Agric. Food Chem. 2006, 54, pp.785-789)*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5628A (ko) * 2016-10-26 2018-05-0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레바우디오사이드 a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665308B1 (ko) 2016-10-26 2024-05-1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레바우디오사이드 a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3617B1 (ko) 풀키네노시드 b4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 또는 항염증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KR101503123B1 (ko) 피부노화 방지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660447B1 (ko) 에틸 페룰레이트를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60056268A (ko) 구아바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 또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1402565B1 (ko) 피부노화 방지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1823466B1 (ko) 스테비올 또는 스테비올 배당체를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101854638B1 (ko) 스테비올 또는 스테비올 배당체를 함유하는 항염증 조성물
KR101844890B1 (ko) 고욤나무 잎 메탄올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039608B1 (ko) 미도드린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210085711A (ko) '산향' 산돌배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또는 피부보습 개선용 조성물
KR102605628B1 (ko) 하스타토사이드를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503110B1 (ko) 제니핀-1-베타-d-젠티오비오사이드를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584473B1 (ko) 폴리갈락산톤 쓰리를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761142B1 (ko) 애기수영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402491B1 (ko) 피부노화 방지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20180045346A (ko) 황백, 지모 및 택사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KR102662257B1 (ko) 레바우디오사이드 c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7043B1 (ko) 신갈나무 및 개서어나무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민감성 피부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
KR102664892B1 (ko) 테뉴폴리사이드 에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644107B1 (ko) 보미신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662255B1 (ko) 시니그린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665308B1 (ko) 레바우디오사이드 a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12774B1 (ko) 메틸로피오포고나논 에이를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503189B1 (ko) 슈도프로토디오신을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503106B1 (ko) 테누이폴린을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