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3186B1 - 통신 시스템에서 phr에 전력 백오프 표시를 가능하게 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통신 시스템에서 phr에 전력 백오프 표시를 가능하게 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3186B1
KR101823186B1 KR1020137017015A KR20137017015A KR101823186B1 KR 101823186 B1 KR101823186 B1 KR 101823186B1 KR 1020137017015 A KR1020137017015 A KR 1020137017015A KR 20137017015 A KR20137017015 A KR 20137017015A KR 101823186 B1 KR101823186 B1 KR 1018231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phr
backoff
mpr
base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7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2689A (ko
Inventor
로버트 발데마일
리사 보스트로엠
헨닝 위만
Original Assignee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412083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823186(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filed Critical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Publication of KR201400026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26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3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31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6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with a discrete range or set of values, e.g. step size, ramping or offsets
    • H04W52/367Power values between minimum and maximum limits, e.g. dynamic r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6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with a discrete range or set of values, e.g. step size, ramping or offsets
    • H04W52/365Power headroom repor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4Separate analysis of uplink or downlink
    • H04W52/146Uplink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4TPC management, i.e. sharing limited amount of power among users or channels or data types, e.g. cell loa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54Signalisation aspects of the TPC commands, e.g. frame stru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54Signalisation aspects of the TPC commands, e.g. frame structure
    • H04W52/58Format of the TPC b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예시적인 실시예는 사용자 장치(700)에서 사용하는 방법, 무선 기지국(600)에서 사용하는 방법, 사용자 장치(700) 및 무선 기지국(600)을 설명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장치(700)는 전력 절감의 적용 여부를 결정하고 그 결정을 무선 기지국(600)으로 전송될 PHR(power headroom report)에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무선 기지국(600)은 그 PHR을 수신하고, 수신된 PHR에 표시된 정보에 기초하여 추가적인 또는 특수한 전력 백오프(예를 들어, SAR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함)가 적용되었는지를 인식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그렇게 함으로써 이를 일반적인 전력 백오프 또는 전력 절감과 구분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통신 시스템에서 PHR에 전력 백오프 표시를 가능하게 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S AND APPARATUSES FOR ENABLING POWER BACK-OFF INDICATION IN PHR IN A TELECOMMUNICATIONS SYSTEM}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무선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통신 시스템에서 적어도 PHR(Power headroom reporting)에 전력 백오프(power back-off) 표시를 가능하게 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LTE(Long Term Evolution)와 같은 통신 시스템에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방식(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은 다운링크에, 그리고 업링크에서의 DFT-spread OFDM(Discrete Fourier Transform-spread OFDM)(SC-FDMA(Single-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라고도 함)에 사용된다. 기본적인 LTE 다운링크 물리 자원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주파수 그리드로서 나타낼 수 있는데, 각각의 자원 요소는 일 OFDM 심볼 주기 동안의 일 OFDM 서브캐리어에 대응한다.
시간 영역에서, LTE 다운링크 전송은 10 ms의 무선 프레임들로 구성되고, 각각의 무선 프레임은 길이 Tsubframe=1 ms의 10 개의 동일한 크기로 된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된다(도 2 참고).
또한, LTE에서의 자원 할당은 일반적으로 자원 블럭(resource blocks)의 측면에서 설명되는데, 자원 블럭은 시간 영역에서의 한 개의 슬롯(0.5 ms)과 주파수 영역에서의 12 개의 서브캐리어에 대응한다. 자원 블럭들은 주파수 영역에서 번호가 매겨지는데, 이는 시스템 대역폭의 한쪽 끝에서 0으로부터 시작한다.
다운링크 전송은 동적으로 스케쥴링되는데, 예를 들어 각각의 서브프레임에서 기지국은 어떤 단말에 그리고 어떤 자원 블럭 상에서 현재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동안 데이터가 전송되는지를 표시한 제어 정보를 전송한다. 이 제어 신호는 일반적으로 각각의 서브프레임에서의 최초 1, 2, 3 또는 4 개의 OFDM 심볼에서 전송된다. 3 개의 OFDM 심볼을 제어 영역으로 갖는 다운링크 시스템이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LTE에서, 복수의 채널은 이하 설명되는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및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와 같이 규정된다.
PUCCH의 경우, LTE는 하이브리드-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를 사용하도록 구성되는데, 하이브리드-ARQ에서는, 서브프레임에서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한 이후, 이동 단말 또는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UE)가 다운링크 데이터의 디코딩을 시도하고 기지국으로 당해 디코딩이 성공적이었는지 아닌지를 수신성공(Acknowledgment, ACK) 또는 수신실패(Non-Acknowledgment, NACK)로 보고한다. 디코딩 시도가 실패한 경우, 기지국은 오류가 발생한 데이터(erroneous data)를 재전송할 수 있다.
단말(예를 들어, UE)로부터 기지국으로의 업링크 제어 신호는 아래를 포함할 수 있다.
- 수신된 다운링크 데이터에 대한 하이브리드-ARQ 확인응답;
- 다운링크 채널 상태에 관련되고, 적어도 다운링크 스케쥴링을 위해 보조로 사용되는 단말 보고서(채널 품질 표시자(Channel Quality Indicator, CQI)라고도 함);
- 단말이 업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해 업링크 자원을 필요로 함을 표시한 스케쥴링 요청
만약 이동 단말이 데이터 전송을 위한 업링크 자원을 할당받지 못한 경우, L1/L2(레이어 1 및/또는 레이어 2) 제어 정보(채널 상태 보고서, 하이브리드-ARQ 확인응답 및 스케쥴링 요청)는 업링크 L1/L2 제어 정보를 위해 할당된 PUCCH 상의 업링크 자원(자원 블럭) 내에서 전송된다. 서로 다른 PUCCH 형식들이 서로 다른 정보에 대하여 사용된다. 예를 들어, PUCCH 형식(Format) 1a/1b 및 3은 하이브리드-ARQ 피드백을 위하여 사용되고, PUCCH 형식 2/2a/2b는 채널 상태의 보고를 위해 사용되며, PUCCH 형식 1은 스케쥴링 요청을 위해 사용된다. 서로 다른 PUCCH 형식들은 기술 사양서(Technical Specifications) 3GPP(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TS 36.213에 관련된 3GPP LTE 표준에 설명되어 있다.
업링크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이동 단말은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에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업링크 자원을 할당받아야 한다(도 4 참고).
각각의 슬롯에서 중간의 싱글 캐리어 심볼은 기준 심볼(reference symbol)을 전송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동 단말이 데이터 전송을 위한 업링크 자원을 할당받았고 동시에 전송할 제어 정보를 가지고 있는 경우, 이동 단말은 제어 정보를 데이터와 함께 PUSCH 상에서 전송할 것이다.
LTE Rel-8(Release-8)은 최근 표준화되었고, 대역폭을 최대 20 MHz까지 지원한다. 하지만, IMT-Advanced(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s Advanced) 요구사항을 만족시키도록, 3GPP는 LTE Rel-10에 대한 작업에 착수하였다. LTE Rel-10의 핵심 요소 중 하나는 20 MHz가 넘는 대역폭을 지원하는 한편, LTE Rel-8과의 백워드 호환성(backward compatibility)을 보장하는 것이다. 이것은 스펙트럼 호환성(spectrum compatibility)을 또한 포함하여야 하며, 20 MHz보다 광대역일 수도 있는 LTE Rel-10 캐리어가 다수의 LTE 캐리어로서 LTE Rel-8 단말(예를 들어, UE)에 대하여 실현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각각의 그러한 캐리어는 컴포넌트 캐리어(Component Carrier, CC)로 불릴 수 있다. 초기의 LTE Rel-10 적용 시에는, 다수의 LTE 레거시(legacy) 단말에 비하여 소수의 LTE Rel-10 지원 단말이 존재할 것임을 예상할 수 있다. 그러므로, 레거시 단말들에 대하여도 광대역 캐리어의 효율적인 사용을 보장하는 것이 필수적일 수 있는데, 즉 광대역 LTE Rel-10 캐리어의 전역에서 레거시 단말이 스케쥴링될 수 있도록 캐리어들을 구현할 수 있다. 이를 달성하는 방법은 캐리어 집성(Carrier Aggregation, CA)에 의하여 LTE Rel-10 단말이 다수의 CC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인데, 여기서 CC는 Rel-8 캐리어와 동일한 구조를 구비하거나 또는 적어도 구비할 가능성을 갖는다. CA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개별 CC의 대역폭뿐만 아니라 집성된 CC의 개수는 업링크 및 다운링크에 대하여 서로 다를 수 있다. 대칭적인 구성은 다운링크 및 업링크에서의 CC의 개수가 동일한 경우를 말하는 반면, 비대칭적인 구성은 CC의 개수가 서로 다른 경우를 말한다. 셀 영역 내에 설정된 CC의 개수는 단말에 의해 보여지거나 사용되는 CC의 개수와 상이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즉, 단말은, 예를 들어 업링크 CC들에 비하여 더 많은 다운링크 CC들을 지원할 수 있으며, 이는 네트워크가 동일한 개수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 CC들로 구성되어있더라도 그러하다.
CC는 또한 셀들 또는/및 서비스 제공 중인 셀들(serving cells)로 불릴 수 있다. LTE 네트워크에서 단말에 의해 집성된 컴포넌트 캐리어들은 일반적으로 주 셀(primary cell, PCell) 및 보조 셀들(secondary cells, SCells)로 표시된다. 서비스 제공 중인 셀(Serving Cell)이란 용어는 PCell 및 SCell들을 포함한다. PCell은 단말에 특정(terminal specific)되고, "더 중요하게" 고려되는데, 이는 제어 신호 및 기타 다른 중요한 신호가 일반적으로 PCell을 통해 처리되기 때문이다. PCell로 설정된 CC는 주 CC인 반면, 모든 다른 컴포넌트 캐리어들은 보조 CC들이다.
LTE는 또한 업링크 전력 제어를 지원한다. 업링크 전력 제어는 PUSCH 및 PUCCH 상에 사용된다. 그 목적은 이동 단말이 충분히 높은 전력으로 그러나 너무 높지는 않은 전력으로 전송 가능하게 하는 것인데, 이는 너무 높은 전력이 네트워크 내의 다른 사용자들에 대한 간섭을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두 경우 모두, 폐루프 메커니즘과 결합된 파라미터화된 개루프가 사용될 수 있다. 간략하게, 개루프 부분은 동작점(point of operation)을 폐루프 구성요소가 동작하는 동작점 부근으로 설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사용자 및 제어 평면(control plane)에 대하여 서로 다른 파라미터(타깃 및 '국부 보상 요인(partial compensation factors)')이 사용될 수 있다. PUSCH 및 PUCCH 전력 제어에 관한 더 자세한 설명은 3GPP TS 36.213 물리 계층 절차의 섹션 5.1.1.1 및 5.1.2.1을 각각 참고하라.
이동 단말의 또는 UE의 업링크(UL) 전력을 제어하기 위해, 기지국 또는 진화된 노드 B(evolved Node B)라고 불리는 eNB는 전송전력제어(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커맨드를 사용하여 UE가 그 전송 전력을 누적 또는 절대적 방식(accumulated or absolute fashion)으로 변경하도록 명령한다. LTE Rel-10에서 UL 전력 제어는 각 CC 별로 관리된다. Rel-8/9에서와 같이 PUSCH 및 PUCCH 전력 제어는 분리되어 있다. LTE Rel-10에서 PUCCH 전력 제어는 주 CC에만 적용될 것인데, 이는 주 CC가 PUCCH를 전달하도록 구성된 유일한 UL CC이기 때문이다.
TPC 커맨드는 어떠한 ACK/NACK 비트도 갖지 않으므로, eNB는 그것이 UE에 의해 수신된다는 것을 보장할 수 없음에 유의하여야 하고, UE가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잘못 디코딩하여서 TPC 커맨드를 수신하였다고 생각/가정할 수 있으므로, 사용된 TPC 커맨드들을 집계한 것(counting)은 UE로부터의 신뢰할 만한 현재 출력 전력을 추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없다. UE는 또한 그 전력 레벨을 자체적으로 보상할 수 있고(경로손실 추정에 기초함), 이 조정은 eNB 기지국에는 알려지지 않는다. 이러한 두 가지 이유로 인하여, eNB 기지국은 PHR(Power Headroom Report)을 정기적으로 수신하여 적절한 스케쥴링 결정을 내리고 UE의 UL 전력을 제어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Rel-8/9에서 eNB 기지국은 UE의 최대 출력 전력을 설정한다. UE는 전력을 백오프하도록 허용되므로, UE가 실제로 전송할 수 있는 전력은 설정된 전력에서 벗어날 수 있다. UE는 여기에서 Pcmax로 표시되는 값을 선택하도록 설정되거나 적응되는데, 이 값은 전력 백오프 이후의 실제 최대 전송 전력이며 UE에 남겨진 잉여전력(power headroom)을 계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UE는 그 전송 전력을 백오프하도록 허용되어 대역외 방출(out-of-band emissions)이 명시된 최대값을 초과하지 않게 보장하도록 한다. 이 백오프 동작은 뿐만 아니라 기타 다른 릴리즈 또는 기타 다른 시스템/기술에 사용되어 대역외 방출(out-of-band emissions)이 명시된 최대값을 초과하지 않게 보장하도록 할 수 있다. 해당 허용된 전력 절감은 최대 전력 절감(Maximum Power Reduction, MPR) 및 추가적인 MPR(Additional-MPR, A-MPR)이라고 한다. UE는 그 전송 전력을 최대 MPR+A-MPR로 규정된 값만큼 백오프하도록 허용되지만, UE가 대역간 방출(inter-band emission) 조건을 충족할 때까지 백오프하도록 요구되지는 않는다. 특정한 변조 및 코딩 방식(Modulation and Coding Scheme, MCS) 및 다수의 자원 블럭을 사용하는 특정한 전개에서의 UE에 허용된 최대 전력 절감은, 예를 들어 3GPP TS 36.101에서의 표에 규정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표는 최대 허용값을 규정할 뿐이고, 그러므로 eNB 기지국은 적용된 MPR/A-MPR의 정확한 값을 알지 못한다.
Rel-10에서, eNB 기지국은 각각의 CC의 최대 출력 전력을 개별적으로 설정한다. Pcmax가 Rel-8/9에서의 UE에 의하여 선택되는 방법과 유사하게, UE는 각각의 CC에 대한 Pcmax,c를 선택하는데, UE는 이를 연관된 CC에 대한 잉여전력을 계산하기 위해 사용한다. Pcmax,c는 특정 전송 시간 간격(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에서 UE에 의해 설정된, 특정 CC에 대한 실제 최대 전송 전력이다. 이는 UE 전력 등급(power class)의 최대값 및 eNB 기지국에 의해 설정된 최대 CC 전력에 의해 규정된 상한(upper boundary)과 최대전력절감(MPR/A-MPR)을 고려함으로써 규정된 하한(lower boundary)을 갖는 구간 내에서 설정된다.
대역외 방출을 만족시키기 위한 전력 백오프 외에, UE는 SAR(Specific Absorption Rate) 요구사항을 충족시키도록 구성/적응되는데, 이 요구사항 또한 UE가 그 전송 전력을 백오프하도록 요구할 수 있다(대역외 방출을 만족시키도록 되어있는 백오프에 추가될 수 있음). 이것은 UE가 LTE 및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술들을 지원하여 두 개의 무선 접속 기술을 동시에 운용하는 경우일 수 있다. 그러므로, 3GPP에서는 LTE Rel-10 UE가 소위 "전력 관리" 목적을 위한 추가적인 전력 백오프를 수행할 수 있다고 동의하고 있다. 이것은 SAR 관련 전력 백오프를 포함하지만 그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UE가 그러한 전력 백오프를 수행할 때, Pcmax 및/또는 Pcmax,c의 계산에 이를 반영하도록 결정되어 있다.
그 결과, 이 추가적인 전력 절감은 PHR 보고서에 뿐만 아니라 Pcmax 및/또는 Pcmax,c 보고서에 반영될 것이다(이하의 섹션 참조).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LTE Rel-8에서 기지국은 UE가 PHR 보고서를 주기적으로 또는 경로손실에서의 변화가 임의의 설정가능한 및/또는 사전 정의된(predetermined) 문턱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송신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PHR 보고서는 UE가 서브프레임 I에 대하여 얼마만큼의 전송 전력을 남겨두고 있는지를 표시하는데, 예를 들어 이는 실제 UE 최대 전송 전력(Pcmax,c 또는 Pcmax) 및 추정된 요구 전력 간의 차이이다. 보고된 값은 40 에서 -23 dB의 범위에 있게 되고, 음의 값은 UE가 전송을 수행하기에 충분한 전력을 갖지 못했다는 것을 나타낸다.
eNB 기지국은 PHR 보고서를 스케쥴러로의 입력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일 예시로서, 이용가능한 잉여전력에 기초하여 eNB 기지국의 스케쥴러는 적절한 전송 전력 조정(TPC 커맨드)뿐만 아니라 PRB들(Physical Resource Blocks)의 적절한 개수 및 적합한/적절한/적정한 MCS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캐리어 집성에 있어서, eNB 기지국은 그러한 평가를 각 UL CC 별로 내릴 것인데, 이는 전력이 각 CC 별 RAN1 결정에 따라 제어되기 때문이다.
eNB 기지국은 각 CC 별로 그리고 PUSCH 및 PUCCH에 대하여 분리된 UL 전력 제어를 구비하므로, 이것이 PHR 보고에도 반영될 것이다. Rel-10에서, UE는 각 CC별로 한 개의 Pcmax,c 값을 계산할 것이고, 또한 각 CC 별로 분리된 잉여전력을 계산할 것이다. Rel-10에 대하여, 두 개 이상의 전력 PHR 보고서의 유형이 사용될 수 있다.
- 유형(Type) 1 PHR 보고서 - P_cmax,c 빼기 PUSCH 전력, 즉 (P_cmax,c-P_PUSCH)와 같이 계산됨
- 유형 2 PHR 보고서 - P_cmax,c 빼기 PUCCH 전력 빼기 PUSCH 전력, 즉 (P_cmax,c-P_PUCCH-P_PUSCH)와 같이 계산됨
보조 CC들은 항상 유형 1 PHR 보고서를 보고하는데, 이는 그것들이 PUCCH를 위해 구성되지는 않기 때문이다. 주 CC는 유형 1 및 유형 2 PHR 보고서 보고할 수 있다. 유형 1 및 유형 2 PHR 보고서는 동일한 서브프레임에서 또는 분리된 서브프레임들에서 보고될 수 있다.
Rel-10에서, 일 CC에 대한 PHR 보고서는 다른 CC 상에서 전송될 수 있다. 이는 한 개 이상의 CC 상에서의 급격한 경로손실 변화를 단말이 임의의 활성화된 UL CC 상에 부여된 PUSCH 자원을 갖는 즉시 보고할 수 있게 할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임의의 활성화된 CC 상의 dl - PathlossChange dB보다 많은 정도의 경로손실 변화는 모든 활성화된 CC들에 대한 PHR 보고를 촉발시킬 수 있고, 이는 유효한 PUSCH가 CC에 대하여 부여될 수 있는지 여부에 관계없다. 모든 PHR 보고서는 동일한 CC 상의 동일한 서브프레임 내의 동일한 MAC CE(control element)에서 함께 전송될 수 있다. 이 CC는 부여된 PUSCH 자원을 갖는 단말에 대한 임의의 CC일 수 있다. Rel-10에서, 특정한 서브프레임 내에서 보고될 모든 PHR은 동일한 MAC CE에 포함될 수 있고 활성화된 UL CC들 중 하나 상에서 전송될 수 있다. 각 TTI마다 많아도 한 개의 PHR 보고서 또는 확장된 PHR MAC CE가 있다.
PHR 보고서 외에, UE의 실제 최대 전송 전력(3GPP TS 36.213에서 Pcmax,c로 표시됨)을 보고하는 각 CC 별 Pcmax,c 보고서가 있을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Pcmax,c 값은 대역외 방출 요구사항(MPR/A-MPR) 또는 SAR(전력 관리) 요구사항으로 인한 UE 전력 절감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PHR 값에 덧붙여 전송된 Pcmax,c 값은 네트워크 또는 네트워크 노드(예를 들어, 기지국)가 잉여전력의 변화에 대한 원인을, 예를 들어 이용가능한 전송 전력(Pcmax,c)의 변화로 인한 것인지 아니면 경로손실에서의 변화와 TPC 커맨드 오류로 인한 것인지를 추정할 수 있도록 한다.
Rel-10에서, Pcmax,c는 연관된 PHR과 동일한 확장된 PHR MAC CE에 포함된다.
확장된 PHR MAC(Medium Access Control) CE는 3GPP TS 36.321의 Rel-10에 규정되어 있다. 그 구조의 예시는 3GPP TS 36.321에 언급된 포함되는 필드들의 규정에 대한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사용된 약어들, 예를 들어 R, V는 3GPP TS 36.321에 규정되어 있다. PHR은 Rel-10에서 모든 설정된 그리고 활성화된 CC들에 대하여 보고될 수 있다. 이는 PHR을 보고하는 CC들의 일부가 PHR이 보고되는 TTI에서 유효한 UL을 부여받지 못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들은 소위 가상/기준 형식 PHR을 보고하기 위해 기준 형식 PUSCH 및/또는 PUCCH를 사용할 것이다. 이러한 기준 형식들은 3GPP TS 36.213에 규정되어 있다.
유효한 UL이 부여되지 않은 CC에 대해 Pcmax,c 보고서를 생략함으로써 보고에 따른 오버헤드(reporting overhead)를 절감할 수 있다. 기준 형식용으로 계산된 Pcmax,c 보고서가 네트워크에 대한 임의의 새로운/유익한 정보를 반드시 포함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RAN2(Radio Access network LTE layer2 무선 프로토콜)에서, 현재 논의되고 있는 것은 SAR(그리고 일반적인 전력 관리) 요구사항에 관련된 전력 절감이 PHR에 어떤 영향을 줄 것 인지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Rel-10에 있어서 추가적인 전력 백오프는 특정한 CC에 대하여 연관된 PHR과 함께 보고되는 Pcmax,c 값에 포함될 것이다.
Pcmax,c 값은 두 개의 미지 요인, 즉 MPR+A-MPR 및 추가적인 전력 관리 전력 절감에 의존할 것이므로, eNB가 보고된 Pcmax,c 및 연관된 PHR을 살펴봄으로써 사용된 MPR/A-MPR을 유도하는 것은 불가능할 수 있다. 다시 말해, LTE Rel-10에서 Pcmax,c를 명시적으로 보고함으로써 획득된 추가 정보는 추가적인 전력 백오프를 도입함으로써 일부 사라진다.
이는 문제가 되는데, 네트워크 노드(들)(예를 들어, eNB 기지국)이 링크 적응(link adaptation) 및 스케쥴링을 최적화하기 위해 MPR/A-MPR 작용을 추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추가적인 전력 백오프는 일부 "노이즈"를 Pcmax,c 보고서에 추가하여, MPR/A-MPR의 추적을 수행하기 더 어렵게 만든다.
SAR(전력 관리) 절감이 항상 적용되지는 않을 수 있으므로, eNB 기지국이 어떤 PHR 보고서를 사용하여 MPR/A-MPR을 유도할 수 있는지를 아는 것은 유용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현재 eNB가 이를 알 방법은 없으며, Pcmax,c의 계산에 고려된 것이 전력 절감의 어떤 부분인지 추측하는 것은 단지 범위들/표들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3GPP TS36.101에 규정되어 있다는 점을 고려하였을 때 실현가능하지 않다.
최신 3GPP 초안("Re.10을 위한 PHR(Power Headroom Report for Re.10)"으로 명명된 R4-104779)은 SAR로 인한 전력 절감을 논한다. 이 배경 기술에서 UE가 Pcmax,c 외에 잉여전력 값에서의 SAR 백오프를 포함하는 것이 개시된다.
따라서,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목적은 적어도 상기 언급된 문제들을 처리하여 기지국이 (추가적인) 전력 절감이 UE에 의해 사용/적용되었다는 것을 공지받을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예를 들어, UE 및/또는 기지국)를 제공하는 것이며, 그렇게 함으로써 적어도 링크 적응 및 스케쥴링의 측면에서 네트워크 최적화가 달성되도록 한다.
그러므로, 예시적인 실시예의 측면에 따라서, 상기 서술된 문제들 중 적어도 일부는 사용자 장치에서 PHR을 통신 시스템 내의 무선 기지국에 보고하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에 의해 해결되는데, 상기 방법은 전력 백오프의 적용 여부를 결정하고, 전력 백오프의 적용을 PHR에 표시하고, 무선 기지국에 전력 백오프가 사용자 장치에 의해 적용되었음을 표시한 PHR을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따라서, 상기 서술된 문제들 중 적어도 일부는 통신 시스템 내의 무선 기지국에서 사용하는 방법에 의해 해결되는데, 상기 방법은 PHR을 사용자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PHR로부터 전력 백오프가 사용자 장치에 의해 적용되었는지를 판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따라서, 또한 PHR을 무선 기지국에 보고하는 사용자 장치가 개시되는데, 통신 시스템에서의 전력 관리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 장치는 전력 백오프의 적용 여부를 결정하고 또한 전력 백오프의 적용을 PHR에 표시하도록 구성된 처리 장치 및 무선 기지국으로 전력 백오프가 사용자 장치에 의해 적용되었음을 표시한 PHR을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수신기(transceiver)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의 또 다른 측면에 따라서, 또한 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 기지국이 개시되는데, 상기 무선 기지국은 PHR을 사용자 장치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된 송수신기 및 수신된 전력 PHR로부터 전력 백오프가 사용자 장치에 의해 적용되었는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 처리 장치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서, 사용자 장치(UE)는 PHR의 기존 비트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노드(예를 들어, 기지국 또는 eNB 기지국)에 추가적인 전력 절감(예를 들어, MPR/A-MPR 및 ΔTC를 제외한 것)이 주어진 TTI에서 보고된 Pcmax,c 또는 Pcmax 값에 적용되었다는 것을 공지한다(또는 표시한다). 이는 기지국이 (특정) PHR 보고서를 사용하여 UE의 예상된 MPR/A-MPR을 유도하여 습득할 수 있는지를 판정하게 할 수 있다/알게 할 수 있다.
전력 백오프가 각 컴포넌트 캐리어마다 아니면 각 UE마다 적용될 것인지는 현재 결정되지/공지되지 않았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어떤 해결책이 선택되는지에 따라, 일 예시적인 실시예는 PHR이 보고되는 각 TTI마다 표시가 한 번씩 발생하도록 하는 것이다. 다른 실시예는 주어진 TTI에서 보고되는 각각의 개별적인 잉여전력 또는 Pcmax,c 값에 대해 표시를 갖도록 하는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만약 SAR(전력 관리) 전력 절감이 별도 요소로서 보고될 것이라면, 확장된 PHR 내의 비트는 동일한 서브프레임에 그러한 요소가 있음을 예상하도록 기지국에 공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들의 이점은, PHR 보고서 내의 전력 백오프에 관한 이 표시를 사용하여, 무선 기지국이 보고된 PHR을 사용함으로써, 예를 들어 변조 및 코딩 방식과 다수의 자원 블럭 조합이 사용자 장치의 이용가능한 전송 전력에 미치는 영향을 언제 추정할 수 있는지를 무선 기지국이 알게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실시예들의 다른 이점은 링크 적응 및 스케쥴링을 최적화하기 위하여 무선 기지국이 UE(들)의 MPR/A-MPR(최대 전력 절감/추가적인 MPR) 작동을 추적 및/또는 습득하게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실시예들의 또 다른 이점은 무선기지국이 네트워크 내 전력 백오프의 두 가지 이상의 유형을 구분하고 그 표시에 기초하여 상기 보고된 값들을 어떻게 사용할지 결정하게 할 수 있다는 것이다.
계속하여, 상기 예시의 기타 다른 목적 및 기능 및 이점들이 도면과 함께 이하의 구체적인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LTE 다운링크의 물리 자원의 단순화된 도면이다.
도 2는 단순화된 LTE 시간 영역 구조이다.
도 3은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의 단순화된 구조이다.
도 4는 단순화된 PUSCH 자원 할당을 도시한다.
도 5는 LTE에서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의 집성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선행기술인 확장된 PHR MAC CE를 3GPP TS 36.3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시한다.
도 7은 제1 옥텟(octet)에서의 P 비트(P-bit)가 "1"로 설정되어 전력 백오프가 적용되었음을 표시하도록 한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8은 MAC 서브헤더(subheader)의 P 비트가 전력 백오프가 적용되었음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는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9는 각각의 Pcmax,c 옥텟에서 P 비트가 "1"로 설정되어 전력 백오프가 적어도 이 캐리어에 대하여 적용되었음을 표시하도록 한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0은 P 비트가 "1"로 설정되어 전력 백오프가 적용되었음을 표시하도록 하고 T 비트(T-bit)가 "1"로 설정되어 적용된 전력 백오프가 임의의 문턱값을 초과하였음을 표시하도록 한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0a(표 1)는 4 개의 서로 다른 백오프 값들을 인코딩하기 위해 사용되는 P 및 T 비트들의 예시이다. 코드포인트(codepoint) "00"은, 예를 들어 전력 백오프가 "백오프 값 0"을 초과하지 않았음을 표시할 수 있고, 코드 포인트 "01"은 전력 백오프가 "백오프 값 1"을 초과하지 않았다는 것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1은 MAC CE에서의 한 개의 비트가 추가적인 전력 백오프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 예시적인 실시예의 UE에서의 예시적인 구현례를 도시한다.
도 12는 각 Pcmax,c 또는 PH 옥텟 별로 한 개의 비트가 추가적인 전력 백오프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 예시적인 실시예의 UE에서의 다른 예시적인 구현례를 도시한다.
도 13은 예시적인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 단순화된 도면이다.
도 14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UE에서 수행되는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5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기지국에서 수행되는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6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UE의 블럭도를 도시한다.
도 17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기지국의 블럭도를 도시한다.
예시적인 실시예는 무선 기지국(예를 들어, eNB 기지국)에 대하여, 추가적인 전력 백오프가 UE에서 통상적 전력 백오프(예를 들어, MPR/A-MPR 및/또는 ΔTC) 외에, 예를 들어 SAR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해 이루어졌고 이것이 UE에 의해 이용되는 UL CC(들)의 실제 전송 전력에 영향을 주었음을 표시하는 다른 방법을 설명한다. 이 전송 전력(Pcmax,c)은 각 CC 별로 eNB에 PHR의 일부로서 보고될 수 있다.
일 또는 여러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서 표시되는 전력 백오프의 유형은 추가적인 전력 백오프의 임의의 유형일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실시예들은 "통상적"이든 "추가적"이든 고려되는 전력 관리에 대한 유형 또는 이유를 제한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는 무선 기지국이 네트워크 내 전력 백오프의 두 가지 이상의 유형을 구분하고 그 표시에 기초하여 보고된 값들(잉여전력 및/또는 Pcmax,c)을 사용하는 방법을 결정하도록 할 수 있다.
예시적인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예시들은 SAR 요구사항 또는 UE에 의해 적용된 추가적인 전력 백오프의 기타 다른 유형들로 인한 전력 백오프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표시된 백오프는 문턱값에 의해 제한될 수도 있는데, 즉 그 표시는 추가적인 전력 백오프가 임의의 값을 초과하거나 그 값 아래로 떨어지는 경우에 지정될 수 있다. 이 문턱값은 하드코딩(hardcoded)되어/사전 정의되어 있을 수 있고, 또는 UE에 의해 선택되거나 선정될 수 있고, 또는 일 또는 여러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설정되거나 여기에 열거되지 않은 다른 어떤 방법으로 지정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전력 백오프 표시를 위해 사용된 비트는 P로 표기되지만, 실시예는 이 표기로 또는 이하의 예시에서 사용되는 임의의 기타 다른 표기들로 제한되지 않을 것이다. 이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P 비트는 추가적인 전력 백오프가 적용되었음을 표시하는 사전 정의된 값으로, 예를 들어 "1"로 설정된다. 예시적인 실시예는 전력 백오프가 적용되었음을 표시하기 위해 사전 정의된 값으로 "0"이 사용되는 경우에도 유효할 것이라는 점에 유의한다.
서로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에서 특정 예시적 시나리오들에 대한 참조로서 설명되어 있다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특히, 실시예들은 비제한적인 일반적 맥락에서 LTE 개념(예를 들어, LTE-advanced)에 기초한 멀티캐리어 시스템에서 PHR을 통신하는 것에 관련하여 설명되어 있다. 실시예들은 LTE에 제한되지 않고 기타 다른 무선 시스템, 예를 들어 PHR을 통신할 수 있는 WIMAX, WCDMA(3G), WLAN 또는 접속 기술들의 조합에 적용될 수도 있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그 외에, 비록 이하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멀티캐리어 LTE 시스템에 관련하여 설명될 것이긴 하지만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멀티캐리어 시스템에 제한되지 않는다.
실시예에 따라, 전력 백오프는 확장된 PHR MAC CE 비트맵 옥텟에 표시된다. 예를 들어, Rel-10의 확장된 PHR MAC CE에서, 현재 어떤 컴포넌트 캐리어가 그 MAC CE에서 PHR을 보고하는지를 표시한 한 개의 예비된 비트(R)가 비트맵에 존재한다(도 6에서의 제1 옥텟 참고). 예시적인 실시예(도 7 참고)에 따라, 이 비트는 전력 백오프가 적용되었음을 표시하는 사전 정의된 값으로, 예를 들어 "1"로 설정될 수 있다. 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전력 백오프는 모든 Pcmax,c 값들 또는 그 일부에 영향을 줄 것으로 추정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그 비트는 동일한 목적에서 "1" 대신에 "0"으로 설정되어 전력 백오프가 UE에 의하여 적용되었음을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도 8 참고)에 따라, 전력 백오프는 MAC 서브헤더에 표시된다. 확장된 PHR MAC CE에 의해 사용되는 MAC 서브헤더에 두 개의 예비된 비트가 존재한다. 이 비트들 중 어느 하나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전력 백오프 표시자(indicator)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 비트는 전력 백오프가 적용되었음을 표시하는 사전 정의된 값으로, 예를 들어 "1"로 설정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전력 백오프는 모든 Pcmax,c 또는 그 일부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추정될 수 있다.
이 실시예는 3GPP TS36.321 사양서의 Rel-8/9 버전에 존재하는 PHR MAC CE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언급하여야 한다. 따라서, UE는 확장된 PHR MAC CE 내에서 또는 "통상적인" 또는 "일반적인" PHR MAC CE 내에서 PHR을 송신할 수 있고, 전력 백오프가 적용되는지에 관한 표시(예를 들어, 비트를 사전 정의된 값으로 설정함)는 확장된 PHR MAC CE 내에 또는 "통상적"이나 "일반적"인 PHR MAC CE 내에 또는 확장된 PHR MAC CE에 의해 사용되는 MAC 서브헤더 내에 제공된다.
다른 실시예(도 9 참고)에 따라, 전력 백오프는 각 Pcmax 또는 Pcmax,c 별로 표시된다. 예시로서, 3GPP TS36.321에 규정된 확장된 PHR MAC CE의 각각의 Pcmax,c 옥텟은 2 개의 예비된 비트를 포함한다. 이들 중 하나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전력 백오프 표시자로 사용될 수 있다. 이 비트는 전력 백오프가 적용되었음을 표시하는 사전 정의된 값으로, 예를 들어 "1"로 설정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전력 백오프는 사전 정의된 값으로 설정된 표시 비트를 갖는 Pcmax,c 값에만 영향을 줄 것으로 추정될 수 있다.
각각의 Pcmax,c는 PHR 옥텟에 연관되어 있으므로, 또 다른 실시예는 PHR 옥텟의 한 개의 예비된 비트를 사용하여 전력 백오프를 표시하도록 되어있을 수 있다. 이 실시예는 3GPP TS36.321 사양서의 Rel-8/9 버전에 존재하는 PHR MAC CE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는 표준으로 인정될 것인 임의의 예비된 비트를 사용하여 전력 백오프가 일어나고 있음을 표시하도록 되어있다. 두 개 이상의 비트(예를 들어, 비트 필드(bit field))를 사용하여 각 CC 별 백오프 표시를 가능하게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도 10 참고)는 아래와 같은 두 개의 별도 비트를 이용하여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1) 전력 백오프가 일어나고 있음
2) 백오프가 임의의 문턱값을 초과하였음
한 개의 비트는 전력 백오프가 적용되었음을 표시하는 사전 정의된 값으로, 예를 들어 "1"로 설정될 수 있다. 나머지 다른 비트는 규정된/설정된 문턱값을 초과하였음을 표시하는 추가적으로 사전 정의된 값으로, 예를 들어 "1로" 설정될 수 있다. 표시를 위해 사용된 이러한 두 개의 비트는 임의의 조합된 기존의 확장된 PHR MAC CE 또는 PHR MAC CE의 두 개의 예비된 비트일 수 있다. 또한, 이 두 개의 비트는 적용된 전력 백오프를 더욱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조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4 개의 코드점(code points) 중 한 개는 적용된 전력 백오프가 없음을 표시할 수 있고, 나머지 3 개의 코드점은 적용된 백오프의 증가 레벨을 표시할 수 있다. 그 레벨들 간의 경계는 설정되거나 하드코딩될 수 있다. 예시로서 도 10a의 표 1을 참고하라.
예시적인 실시예는 전력 백오프 표시가 확장된 PHR MAC CE 비트맵 옥텟 내에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을 설명한 실시예를 전력 백오프 표시가 각 Pcmax,c 별로 제공된다는 것을 설명한 실시예와 조합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그 비트맵의 비트(도 7에서의 P)는 추가적인 전력 백오프가 이 UE에 대하여 적용되었음을 표시할 것이고, 각각의 Pcmax,c 보고서에 대한 비트(도 9에서의 P)는 어떤 Pcmax,c 보고서에 그 비트가 적용되었는지 또는 어떤 Pcmax,c 보고서가 임의의 문턱값을 초과한 백오프를 갖고 있는지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될 것이다.
또한, 비트들의 이러한 조합은 백오프와 유사한 것의 특정 값 또는 값 범위에 대한 구간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UE, 예를 들어 이동 단말 또는 임의의 적합한 단말은 백오프 전력, 즉 (추가적인) 전력 절감을 적용할지를 선택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UE는 한 개 또는 여러 개의 PHR 보고서에 백오프 전력의 적용을 표시하도록 구성되거나 적응된다. 또한, UE는 PHR을 (eNB)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되거나 적응된다. 기지국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일 수 있다. (eNB) 기지국은 PHR 보고서를 UE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eNB는 수신된 PHR 보고서에 기초하여 UE가 전력 백오프를 적용하였는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다. 추가적인 또는 특수한 전력 백오프가 UE에 의해 이루어졌고/적용되었고 또한 언제 그것이 이루어졌는지/적용되었는지에 대한 표시와 그것을 적용한 이유가 기지국 또는 eNB 기지국에 공지된다. 즉, 기지국은 "추가적인" 또는 "특수한" 전력 백오프(예를 들어, SAR 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함)가 언제 적용되었는지를 알도록 되어있고, 그렇게 함으로써 기지국은 전력 백오프가 UE에 의해 이용되는 실제 전송 전력에 영향을 주는 경우 이를 "일반적인" 전력 백오프 또는 전력 절감(예를 들어, MPR, A-MPR)과 구분하거나 또는 전력 백오프가 전력 관리로 인하여 UE에 의해 적용되었는지를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것들은 바람직한데, 이 표시가 없다면 그것(기지국)은 전력 백오프가 있는지를 알지 못할 것이고 그 결과로서 잉여전력 값(들) 및 선택적으로 Pcmax(,c) 값(들)을 포함하는 PHR 보고서를 입수할 것뿐이기 때문이다.
그 외에, 만약 전력 백오프 표시가 전력 백오프의 특정 유형용으로만 사용된다면, 이 정보는 eNB에 대하여 더 가치 있게 될 것이다. 예를 들어, 만약 표준에 MPR/A-MPR 외에 다른 이유로 인한 전력 백오프에 대해 이 표시만을 사용하도록 명시되어 있다면, eNB 기지국은 언제 그 보고된 PHR을 사용하여 MCS 및 RB 조합들의 이용가능한 전송 전력에 관한 영향을 추정할 수 있는지를 알 수 있도록 이 표시를 유익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 정보는 네트워크(eNB)에 의해 MPR/A-MPR 작용을 추적하여 링크 적응 및 스케쥴링을 최적화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만약 전력 백오프 표시가 임의의 전력 백오프 문턱값에 의존한다면, eNB는 현저한 전력 백오프가 있는지 없는지를 습득할 수 있다. 이에 기초하여, 기지국은 PHR이 모든 또는 일부 CC들에 대하여 기사용된 MCS 및 RB 조합들의 MPR/A-MPR을 추정하기 위해 계속 사용될 수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고, 이는 추가적인 이점이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UE 또는 이동 단말은 기지국에 전력 백오프의 적용에 관하여 공지/표시하도록 적응된다. 도 11은 예시적인 실시예의 UE에서의 예시적인 구현례를 도시하는데, 여기에서 MAC CE에서의 한 개의 비트는 추가적인 전력 백오프를 UE에 대하여 또는 모든 개별 Scell들에 대하여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 예시에 도시된 바와 같이, UE는 PHR 값 및 Pcmax,c 값을 하위 계층으로부터 입수함으로써 시작하여, MAC CE를 구성한다. 추가적인 전력 백오프가 규정된 TTI에서 UE에 의해 적용되었는지에 대한 확인을 수행한다. 만약 그 판정이 "예"라면 P 비트는 "1"로 설정되고, 그렇지 않고 그 판정이 "아니오"라면 P 비트는 "0"으로 설정된다.
도 12는 UE에서의 다른 예시적인 구현례를 도시하는데, 여기에서 각 Pcmax,c 또는 PH 옥텟 별로 한 개의 비트가 추가적인 전력 백오프를 각각의 Scell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 예시에 도시된 바와 같이, UE는 PHR 값 및 Pcmax,c 값을 하위 계층으로부터 입수함으로써 시작하여, MAC CE를 구성한다. 추가적인 전력 백오프가 규정된 TTI에서 UE에 의해 적용되었는지에 대한 확인을 수행한다. 만약 그 판정이 "예"라면 P 비트는 "1"로 설정되고, 그렇지 않고 그 판정이 "아니오"라면 P 비트는 "0"으로 설정된다.
도 13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적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 단순화된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UE는 백오프 전력, 즉 (추가적인) 전력 절감을 적용할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거나 적응되고, 또한 UE는 한 개 또는 여러 개의 PHR 보고서에 백오프 전력의 적용을 표시하도록 구성되거나 적응된다. UE는 또한 그 PHR을 (eNB)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되거나 적응된다. 기지국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일 수 있다. (eNB) 기지국은 PHR 보고서를 UE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eNB는 수신된 PHR 보고서에 기초하여 UE가 전력 백오프를 적용하였는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다. 기지국은 언제 "추가적인" 또는 "특수한" 전력 백오프가 전력 관리(예를 들어, SAR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함)로 인하여 적용되었는지, 언제 전력 백오프가 MPR/A-MPR을 위해 UE에 의해 적용된 임의의 전력 백오프 외의 전력 관리로 인하여 UE에 의해 이용되는 실제 전송 전력에 영향을 주었는지를 알 수 있도록 되어 있고, 그럼으로써 무선 기지국은 이를 "일반적인" 전력 백오프 또는 전력 절감(예를 들어, MPR, A-MPR)과 구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라서 UE는 PHR의 기존 비트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노드(예를 들어, 기지국 또는 eNB 기지국)에 추가적인 전력 절감(즉, MPR/A-MPR 및 ΔTC를 제외한 것)이 주어진 TTI에서 보고된 Pcmax,c 또는 Pcmax 값들에 적용되었음을 공지하도록 또는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이는 기지국이 (특정) PHR 보고서를 사용하여 UE의 예상된 MPR/A-MPR을 유도하고 습득할 수 있는지를 판정할 수 있게 한다.
도 14는 상술한 실시예에 따라, UE에 의해 수행되는 주요 단계들을 도시한다. 명확성을 위해서, UE에 의해 수행되는 주요 단계들 및 다른 실시예들을 되풀이하여 설명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 관리를 위해 UE에서 PHR을 무선 기지국 또는 eNB에 보고하기 위해 사용하는 절차 또는 방법은 아래를 포함한다.
(141) 전력 백오프의 적용 여부를 결정;
(142) 상기 전력 백오프의 적용을 PHR에 표시; 및
(143) 상기 전력 백오프가 UE에 의하여 적용되었음을 표시한 상기 PHR을 상기 무선 기지국으로 송신
실시예에 따라, UE는 PHR 내에 전력 관리로 인한 전력 백오프의 적용을 표시하는데, 이는 그와 동일한 PHR 내에 UE에 의해 사용된 최대 전송 전력을 표시하는 것에 추가적인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UE는 확장된 PHR MAC CE(extended power headroom medium access control element) 내에서 또는 PHR MAC CE 내에서 PHR을 송신하고, 전력 백오프의 적용에 관한 표시는 확장된 PHA MAC CE 내에 또는 PHR MAC CE 내에 또는 확장된 PHR MAC CE에 의해 사용되는 MACH 서브헤더 내에 제공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UE는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에서 UE에 의해 적용된 추가적인 전력 백오프인 전력 백오프를 표시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UE는 PHR 내의 예비된 비트를 사전 정의된 값으로, 예를 들어 UE가 전력 백오프를 적용하도록 결정한 경우에 "1"로 설정함으로써 그 표시를 수행한다. 또한, UE는 PHR 내에 전력 백오프가 임의의 규정된 전력 백오프 문턱값을 초과하였음을 표시할 수 있는데, 이는 또 다른 비트를 PHR 내에 사전 정의된 값, 예를 들어 "1"로 설정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UE는 UE에 의해 사용된 최대 전송 전력이 PHR에 표시되는 시간마다 전력 백오프의 적용에 관하여 표시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UE는 전력 백오프가 UE에 의해 이용되는 실제 전송 전력에 영향을 주는 경우 전력 관리로 인한 전력 백오프의 적용에 관하여 표시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UE는 UE에 의해 적용된 임의의 전력 백오프(MPR/A-MPR) 외에 전력 관리로 인한 전력 백오프의 적용에 관하여 표시한다.
UE에 의해 수행되는 추가적인 단계나 보충적인 단계는 이미 앞서 개시되어 있으므로 되풀이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도 15는 상술한 실시예에 따라, 무선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주요 단계들을 도시한다. 명확성을 위해서, 기지국 또는 eNB에 의해 수행되는 주요 단계들 및 다른 실시예들을 되풀이하여 설명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주요 단계들은 아래와 같다.
(151) PHR을 UE로부터 수신; 및
(152) 상기 수신된 PHR로부터 전력 백오프가 상기 UE에 의해 적용되었는지를 판정
실시예에 따라, 무선 기지국은 수신된 PHR로부터 전력 백오프가 전력 관리로 인하여 UE에 의해 적용되었는지를 판정하고, 또한 상기 보고서로부터 UE에 의해 사용되는 최대 전송 전력을 판정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무선 기지국은 PHR 내의 예비된 비트가 사전 정의된 값, 예를 들어 "1"로 설정되었는지를 판정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무선 기지국은 PHR 내의 추가의 예비된 비트가 사전 정의된 값, 예를 들어 전력 백오프가 임의의 규정된 전력 백오프 문턱값을 초과하였음을 표시하는 "1"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정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무선 기지국은 전력 백오프가 TTI에서 UE에 의해 적용된 추가적인 전력 백오프인지를 판정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무선 기지국은 전력 백오프가 UE에 의해 이용되는 실제 전송 전력에 영향을 주는 경우 그 전력 백오프가 전력 관리로 인하여 UE에 의해 적용된 것인지를 판정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무선 기지국은 UE에 의해 최대 전력 절감을 위해 적용된 임의의 전력 백오프(MPR 및 추가적인 MPR(A-MPR)) 외의 전력 백오프가 전력 관리로 인하여 UE에 의해 적용되었는지를 판정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무선 기지국은 확장된 PHR MAC CE 내의 또는 PHR MAC CE 내의 PHR을 수신한다. 만약 전력 백오프가 UE에 의해 적용되었다면, 그러한 표시는 무선 기지국에 의해 확장된 PHR MAC CE 내에서 또는 PHR MAC CE 내에서 또는 PHR MAC CE에 의해 사용되는 MAC 서브헤더 내에서 수신된다.
이로써, 무선 기지국 또는 eNB는 (계획적인) MPR/A-MPR 관련 전력 백오프를, 예를 들어 전력 절감에 관련된 예상할 수 없는 전력 관리와 구분할 수 있을 것이고, 따라서 eNB는 링크를 더 효율적인 방법으로 적응할 것이다(예를 들어, 링크 적응의 성능이 eNB가 MPR/A-MPR을 구분할 수 없는 경우에 비하여 향상된다).
도 16을 참조하면, 이는 UE(700)의 예시적인 구성요소들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UE(700)는 한 개 또는 여러 개의 안테나(한 개의 안테나만이 도시됨)(730), 송수신기(705), 프로세싱 로직(710), 메모리(715), 입력 장치(들)(720), 출력 장치(들)(725) 및 버스(730)를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730)는 한 개 또는 여러 개의 안테나를 포함하여 무선 주파수(RF) 신호를 공기를 통해 전송하도록 그리고/또는 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안테나(730)는, 예를 들어 송수신기(705)로부터의 RF 신호를 수신하고 그 RF 신호를 무선으로 전송하며, RF 신호를 무선으로 상기 eNB로부터 수신하고 그 RF 신호를 송수신기(705)에 제공할 수 있다. UE의 프로세싱 로직 또는 회로(710)는,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예에 따라 전력 백오프를 적용할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최소한 PHR 보고서에 비트 또는 비트들의 조합 등을 설정함으로써 그 결정을 형성하여 표시하도록 구성되며, 안테나(730) 및/또는 송수신기는 적어도 그 PHR 보고서를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송수신기(705)는, 예를 들어 프로세싱 로직(710)으로부터의 기저대역 신호를 RF 신호로 변환할 수 있는 송신기 및/또는 RF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할 수 있는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송수신기(705)는 송신기 및 수신기의 기능을 수행하는 송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기(705)는 RF 신호의 송신 및/또는 수신을 위한 안테나(730)에 접속시킬 수 있다. 프로세싱 유닛(710)은 상술한 바와 같이 PHR에 전력 관리로 인한 전력 백오프의 적용을 표시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동일한 PHR 내에 UE에 의해 사용되는 최대 전송 전력을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송수신기(705)는 실시예에 따라 PHR을 확장된 PHR MAC CE 내에서 또는 PHR MAC CE 내에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프로세싱 유닛(710)은 TTI에서 UE에 의해 적용된 추가적인 전력 백오프와 같은 전력 백오프를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싱 유닛(710)은 PHR 내의 예비된 비트를 사전 정의된 값으로, 예를 들어 프로세싱 유닛(710)이 전력 백오프를 적용하기로 결정한 경우 "1"로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실시예에 따라, 또한 프로세싱 유닛(710)은 PHR 내에 표시를 하도록 구성되는데, 이는 전력 백오프가 임의의 규정된 전력 백오프 문턱값을 초과하였음을 PHR 내의 추가의 비트를 사전 정의된 값으로, 예를 들어 "1"로 설정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그 비트 표시(들)는 확장된 PHR MAC CE 내에 또는 PHR MAC CE 내에 또는 MAC 서브헤더 내에 제공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싱 유닛(710)은 UE에 의해 사용된 최대 전송 전력이 PHR에 표시되는 시간마다 전력 백오프를 적용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프로세싱 유닛(710)은 전력 백오프가 UE에 의해 이용되는 실제 전송 전력에 영향을 주는 경우 전력 백오프가 전력 관리로 인하여 적용된 것인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프로세싱 유닛(710)은 최대 전력 절감(MPR) 및 추가적인 MPR(A-MPR)을 위해 UE에 의해 적용된 임의의 전력 백오프 외에 전력 백오프가 전력 관리로 인하여 UE에 의해 적용되었는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싱 로직/유닛(710)은 프로세서, 마이크로프로세서,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그와 유사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싱 로직(710)은 UE(700) 및 그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UE는 메모리(715)를 더 포함하는데, 메모리(715)는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및/또는 프로세싱 로직(710)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데이터 및 명령어들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의 다른 유형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들)(720)는 UE(700)로의 데이터의 입력을 위한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들)(720)는 마이크로폰, 입력 요소들, 디스플레이 등과 같은 입력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 장치(들)(725)는 오디오, 비디오 및/또는 하드카피 형식으로 데이터를 출력하는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 장치(들)(725)는 스피커, 디스플레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버스(730)는 UE(700)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상호접속시켜 그 구성요소들이 서로 통신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도 16이 UE(700)의 예시적인 구성요소들을 도시하긴 하지만, 다른 구현례에서 UE(700)는 도 16에 도시된 것과 비교하여 더 적은, 상이한 또는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구현례에서, UE(700)의 한 개 이상의 구성요소는 UE(700)의 한 개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고 있는 것으로 설명된 작업들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예시적인 무선 기지국(600)(예를 들어, eNB 또는 eNodeB)의 블럭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eNB(600)는 안테나(610), 송수신기(620), 프로세싱 시스템(630) 및 인터페이스(640)를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610)는 한 개 이상의 지향성(directional) 및/또는 전방향성(omni-directional)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기(620)는 안테나(610)와 결합될 수 있고 안테나(610)를 통해 네트워크에서의 심볼 시퀀스(symbol sequences)를 송신하고 그리고/또는 수신하는 송수신기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싱 시스템(630)은 eNB(6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싱 시스템(630)은 또한 송수신기(620) 및 인터페이스(640)를 통해 수신된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싱 시스템(630)은 프로세싱 로직(632) 및 메모리(6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싱 시스템(630)은 도 6에 도시된 것과 비교하여 추가적인 그리고/또는 상이한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프로세싱 로직(632)은 프로세서, 마이크로프로세서, ASIC, FPGA 또는 그와 유사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싱 로직(632)은 송수신기(620) 및 인터페이스(640)를 통해 수신된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안테나 및/또는 송수신기는 적어도 PHR 보고서를 UE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프로세싱 로직은 적어도 PHR 보고서로부터 UE가 백오프 전력을 적용하고 있는지 또는 적용하였는지를 판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또한 프로세싱 유닛(632)은 수신된 PHR로부터 UE에 의해 사용된 최대 전송 전력을 판정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프로세싱 유닛(632)은 PHR 내의 예비된 비트가 사전 정의된 값으로, 예를 들어 "1"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다.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라, 또한 프로세싱 유닛(632)은 PHR 내의 추가의 예비된 비트가 사전 정의된 값으로, 예를 들어 전력 백오프가 임의의 규정된 전력 백오프 문턱값을 초과하였음을 표시하는 "1"로 설정되었는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프로세싱 유닛(632)은 전력 백오프가 TTI에서 UE에 의해 적용된 추가적인 전력 백오프인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eNB(600)의 송수신기(620)는 확장된 PHR MAC CE 내의 또는 PHR MAC CE 내의 PHR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UE가 전력 백오프를 적용하였다는 표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PHR MAC CE 내에 또는 MAC CE 내에 또는 MAC 서브 헤더 내에 제공된다.
도 17이 eNB(600)의 예시적인 구성요소들을 도시하고 있긴 하지만, 기타 다른 구현례에서 eNB(600)는 도 17에 도시된 것과 비교하여 더 적은, 상이한 또는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구현례에서, eNB의 한 개 이상의 구성요소는 eNB(600)의 한 개 이상의 기타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고 있는 것으로 설명된 작업들을 수행할 수 있다.
전력 백오프가 각 CC 별로 아니면 각 UE 별로 적용될 것인지는 현재 결정되지/공지되지 않았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어떤 해결책이 선택되는지에 따라, 일 예시적인 실시예는 표시가 PHR이 보고되는 각 TTI마다 한 번씩 발생하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는 주어진 TTI에서 보고된 각각의 개별적인 잉여전력 또는 Pcmax,c 값에 대한 표시를 갖도록 하는 것이다.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라, 만약 SAR(전력 관리) 전력 절감이 별도의 요소로서 보고될 것이라면 확장된 PHR 내의 비트는 동일한 서브프레임에 그러한 요소가 있다는 것을 예상하도록 기지국에 공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들은 표준화 그룹 3GPP에 의해 대만 타이페이에서 2011년 2월 21일 부터 25일까지 열린 3GPP TSG-RAN2 회의 #73에서 결정된 바와 같이, 특히 " PHR 내 전력 관리 표시 추가(Adding a Power management indication in PHR)"의 표제를 갖는 공개적으로 이용가능한 변경 요청들 (CR) R2-111601 및 R2-111680에서 채택/승인되었다는 것을 언급하여야 한다.
LTE 표준에 따른 통신이 예시로서 논의되었긴 하지만, 통신은 앞서 언급된 것과 같이 AMPS(Advanced Mobile Phone Service), ANSI-136, GSM(Global Standard for Mobile) 통신,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EDGE(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 DCS, PDC, PC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CDMA), CDMA2000, 및/또는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주파수 대역과 같은 기타 다른 무선 통신 표준에 따라 제공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또는 이동 단말/장치는, 예를 들어 임의의 무선("이동") 통신 단말("무선 단말" 또는 "단말)로서 다수의 컴포넌트 캐리어, 단일 컴포넌트 캐리어 및/또는 그것들의 조합을 사용하는 이동전화 통신(cellular communications)(예를 들어, 이동전화 음성 및/또는 데이터 통신)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것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전체적으로 설명되어 있고, 도면에는 다양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 실시예들은 많은 교체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명세서에 서술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따라서, 실시예들이 다양한 변형 및 대체 형태들을 허용하긴 하지만, 그 중 특정 실시예들은 예시로서 도면에 도시되어 있고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설명되어 있다. 하지만, 실시예를 개시된 특정 형태들에 한정하려는 의도는 없으며, 반면 실시예는 청구항들에 정의된 바와 같이 실시예의 범위에서 빠져있는 모든 변형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려는 것임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유사한 숫자들은 도면의 설명 전체에 걸쳐 유사한 요소를 참조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전문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만을 가지며, 그에 제한할 것으로 의도된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은 단수 형태는 달리 문맥에서 명확하게 표시되지 않은 한 복수 형태를 포함하도록 의도된 것이다. 또한, "포함한다"라는 용어들 또는 그것들의 변형이 본 명세서에 사용된 경우, 이는 서술된 기능들, 완전체(integers),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구성요소들의 존재를 명시하는 것이며, 한 개 이상의 다른 기능, 완전체, 단계, 동작, 요소, 구성요소 및/또는 그것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불가능하게 하는 것은 아니다. 더 나아가, 요소가 다른 요소에 "대응하는(responsive)" 또는 "접속되는(connected)" 것으로 또는 그 변형으로 언급된 경우, 이는 다른 요소에 직접 대응하거나 접속될 수 있고 또는 그 중간에 끼어있는(intervening) 요소들이 존재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요소가 다른 요소에 "직접 대응하는" 또는 "직접 접속된" 것으로 또는 그 변형으로 언급된 경우, 중간에 끼어있는 요소들은 존재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관련된 열거 아이템들의 한 개 이상의 임의의 그리고 모든 조합을 포함하고, "/"로 축약될 수 있다.
비록 제1, 제2 등의 용어들이 본 명세서에서 다양한 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긴 하지만, 이 요소들은 이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아야 함을 이해할 것이다. 이런 용어들은 한 요소를 다른 것과 구분하기 위해서 사용될 뿐이다. 예를 들어, 제1 요소는 제2 요소로 불릴 수도 있고, 유사하게 제2 요소는 개시물의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고 제1 요소로 불릴 수 있다. 더 나아가, 비록 도면들의 일부가 통신 경로 상의 화살표를 통신의 기본적인 방향을 도시하기 위해 포함하고 있지만, 통신은 도시된 화살표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일어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시적인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서 컴퓨터로 구현되는 방법, 장치(시스템 및/또는 장비) 및/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도시한 블럭도 및/또는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되어 있다. 블럭도 및/또는 흐름도 예시의 블럭 및 블럭도 및/또는 흐름도 예시에서의 블럭들의 조합은 한 개 이상의 컴퓨터 회로에 의해 수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들은 범용 컴퓨터 회로, 전용 컴퓨터 회로 및/또는 기타 다른 프로그램가능 데이터 프로세싱 회로에 제공되어 기계를 생산하도록 할 수 있고, 따라서 컴퓨터 및/또는 기타 다른 프로그램가능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를 통해 실행되는 명령어들은 트랜지스터, 메모리 위치에 저장된 값들 및 그러한 회로 내의 기타 다른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변환하고 제어하여 블럭도들 및/또는 흐름도 블럭 또는 블럭들 내에 명시된 기능/작용을 구현하도록 하고, 그렇게 함으로써 블럭도들 및/또는 흐름도 블럭 또는 블럭들 내에 명시된 기능/작용을 구현하는 수단(기능) 및/또는 구조를 생성한다.
이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들은 또한 컴퓨터 또는 기타 다른 프로그램가능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를 특정한 방법으로 기능하도록 할 수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될 수 있고, 따라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된 명령어들은 블럭도들 및/또는 흐름도 블럭 또는 블럭들 내에 명시된 기능/작용을 구현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한 제조품을 생산한다.
유형(tangible)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전자, 자기, 광, 전자기 또는 반도체 데이터 저장 시스템, 장치 또는 장비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의 더 구체적인 예시들은 이하의 휴대용 컴퓨터 디스켓, RAM(random access memory) 회로, ROM(read-only memory) 회로,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또는 플래시 메모리 회로, 휴대용 CD-ROM(compact disc read-only memory) 및 휴대용 DVD ROM(digital video disc read-only memory)(DVD/Blue Ray)를 포함할 것이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들은 컴퓨터 및/또는 기타 다른 프로그램가능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 상에 로딩되어 컴퓨터 및/또는 기타 다른 프로그램가능 장치 상에서 수행될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컴퓨터로 구현되는 프로세스를 만들어내도록 할 수 있고, 이는 컴퓨터 또는 기타 다른 프로그램가능 장치 상에서 실행되는 명령어들이 블럭도들 및/또는 흐름도 블럭 또는 블럭들 내에 명시된 기능/작용을 구현하는 단계들을 제공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는 하드웨어 및/또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와 같은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펌웨어, 상주 소프트웨어(resident software), 마이크로 코드(micro-code) 등을 포함함)에서 구현될 수 있고, 이는 통틀어 "회로", "모듈" 또는 그것들의 변형들로 불릴 수 있다.
일부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블럭들에 표시된 기능/작용은 흐름도 내에 표시된 순서에서 벗어나 발생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연속적으로 도시된 두 개의 블럭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실행될 수 있고 또는 수반된 기능/작용에 따라 블럭들이 때때로 역순으로 실행될 수 있다. 더 나아가, 흐름도 및/또는 블럭도의 주어진 블럭의 기능은 다수의 블럭들로 분리되어 있을 수 있고 및/또는 흐름도 및/또는 블럭도의 두 개 이상의 블럭의 기능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통합되어 있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기타 다른 블럭들이 도시된 블럭들 사이에 추가/삽입될 수 있다.
많은 다양한 실시예가 상기 설명 및 도면들과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들의 모든 조합 및 하위조합을 문자 그대로 설명하고 도시하는 것은 과도하게 중복되며 불명료하게 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도면을 포함한 본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의 모든 조합 및 하위조합의 그리고 그것들을 구성하고 사용하는 방법 및 절차의 완전히 기재된 설명을 구성하도록 이해될 것이고, 임의의 그러한 조합 또는 하위조합에 대한 청구항들을 뒷받침할 것이다.
달리 규정되지 않았다면, 본 명세서에 사용된 모든 용어(기술적, 과학적 용어를 포함함)는 이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또한, 예를 들어 흔히 사용되는 사전에 규정된 것과 같은 용어는 관련 기술의 문맥에서의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본 명세서에 명확히 규정되지 않은 한 이상적인 또는 지나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개시되어 있고 비록 구체적인 용어들이 사용되지만, 이것들은 포괄적인 그리고 설명적인 의미로만 사용된 것이고 제한의 목적을 위한 것이 아니다.
약어
CCI - 컴포넌트 캐리어 식별자(Component Carrier Identifier)
CC - 컴포넌트 캐리어(Component Carrier)
PCC - 주 컴포넌트 캐리어(Primary Component Carrier)
SCC - 보조 컴포넌트 캐리어(Secondary Component Carrier)
PHR - 잉여전력(Power Head Room)
PCell - 주 셀(Primary Cell)
SCell - 보조 셀(Secondary Cell)
UL - 업링크(Uplink)
DL - 다운링크(Downlink)
MPR - 최대 전력 절감(Maximum Power Reduction)
A-MPR - 추가적인 최대 전력 절감(Additional Maximum Power Reduction)
SAR - 전자파 흡수율(Specific Absorption Rate)

Claims (36)

  1. 통신 시스템에서 전력 관리를 위해 PHR(power headroom reports)을 무선 기지국(600)에 보고하는, 사용자 장치(700)에서 사용하는 방법으로서,
    - 전력 관리로 인한 전력 백오프(power backoff)의 적용에 대해 결정하는 단계(141);
    - 전력 관리로 인한 상기 전력 백오프의 적용에 관하여 PHR에 표시하는 단계(142); 및
    - 전력 관리로 인한 상기 전력 백오프가 상기 사용자 장치(700)에 의해 적용되었음을 표시한 상기 PHR을 상기 무선 기지국(600)으로 송신하는 단계(143)
    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하는 단계(142)는 상기 사용자 장치(700)가 전력 백오프를 적용하기로 결정한 경우, 상기 PHR 내의 비트를 사전 정의된(predefined) 값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하는 단계(143)는 확장된 PHR MAC CE(extended power headroom medium access control element) 내의 또는 PHR MAC CE(power headroom medium access control element) 내의 상기 PHR을 송신하는 단계 및 전력 관리로 인한 전력 백오프의 적용에 관한 상기 표시를 상기 확장된 PHR MAC CE 내에 또는 상기 PHR MAC CE 내에 또는 상기 확장된 PHR MAC CE에 의해 사용되는 MAC 서브헤더(medium access control subheader) 내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142)는 동일한 PHR에 상기 사용자 장치(700)에 의해 사용된 최대 전송 전력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142)는 전송 시간 간격(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에서 상기 사용자 장치(700)에 의해 적용된 추가적인 전력 백오프인 상기 전력 백오프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PHR 내의 추가의 비트를 사전 정의된 값으로 설정함으로써 상기 전력 백오프가 임의의 규정된 전력 백오프 문턱값을 초과하였음을 상기 PHR에 표시하는 단계(142)
    를 더 포함하는 방법.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142)는 상기 사용자 장치(700)에 의해 사용된 최대 전송 전력이 상기 PHR에 표시되는 때마다 상기 전력 백오프의 적용에 관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142)는 상기 전력 백오프가 상기 사용자 장치(700)에 의해 이용되는 실제 전송 전력에 영향을 주는 경우, 전력 관리로 인한 상기 전력 백오프의 적용에 관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142)는 최대 전력 절감(maximum power reduction, MPR) 및 추가적인 MPR(additional MPR, A-MPR)을 위해 적용된 임의의 전력 백오프에 추가적으로, 전력 관리로 인한 상기 전력 백오프의 적용에 관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9. 통신 시스템 내의 무선 기지국(600)에서 사용하는 방법으로서,
    - PHR을 사용자 장치(700)로부터 확장된 PHR MAC CE 내에서 또는 PHR MAC CE 내에서 수신하는 단계(151); 및
    - 상기 수신된 PHR로부터 전력 관리로 인한 전력 백오프가 상기 사용자 장치(700)에 의해 적용되었는지를 판정하고(152), 전력 관리로 인한 전력 백오프가 상기 사용자 장치에 의해 적용되었을 경우, 상기 확장된 PHR MAC CE 내의 또는 상기 PHR MAC CE 내의 또는 상기 확장된 PHR MAC CE에 의해 사용되는 MAC 서브헤더 내의 전력 관리로 인한 상기 전력 백오프의 적용에 관한 표시를 수신하는(151)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판정하는 단계(152)는, 상기 PHR 내의 예비된 비트가 사전 정의된 값으로 설정되었는지를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하는 단계(152)는, 상기 사용자 장치(700)에 의해 사용된 최대 전송 전력을 상기 PHR로부터 판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1. 삭제
  12. 제9항에 있어서,
    판정하는 단계(152)는, 상기 PHR 내의 추가의 예비된 비트가 상기 전력 백오프는 임의의 규정된 전력 백오프 문턱값을 초과하였음을 표시하는 사전 정의된 값으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3.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하는 단계(152)는 상기 전력 백오프가 전송 시간 간격에서 상기 사용자 장치(700)에 의해 적용된 추가적인 전력 백오프인지를 판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4.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하는 단계(152)는, 상기 전력 백오프가 상기 사용자 장치(700)에 의해 사용되는 실제 전송 전력에 영향을 주는 경우, 상기 전력 백오프가 전력 관리로 인하여 상기 사용자 장치(700)에 의해 적용된 것인지를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5.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하는 단계(152)는, 최대 전력 절감(MPR) 및 추가적인 MPR(A-MPR)을 위해 상기 사용자 장치에 의해 적용된 임의의 전력 백오프에 추가적으로, 상기 전력 백오프가 전력 관리로 인하여 상기 사용자 장치(700)에 의해 적용된 것인지를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6. 통신 시스템에서의 전력 관리를 위하여 PHR을 무선 기지국(600)에 보고하는 사용자 장치(700)로서,
    - 전력 관리로 인한 전력 백오프의 적용에 대해 결정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싱 유닛(710) - 상기 프로세싱 유닛(710)은 전력 관리로 인한 상기 전력 백오프의 적용에 관하여 PHR에 표시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프로세싱 유닛(710)은 상기 프로세싱 유닛(710)이 전력 백오프를 적용하기로 결정한 경우 상기 PHR 내의 비트를 사전 정의된 값으로 설정하도록 더 구성됨 - ; 및
    - 전력 관리로 인한 상기 전력 백오프가 상기 사용자 장치(700)에 의해 적용되었다는 것을 표시하는 상기 PHR을 상기 무선 기지국(600)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수신기(705)
    를 포함하고,
    상기 송수신기(705)는 확장된 PHR MAC CE 내의 또는 PHR MAC CE 내의 상기 PHR을 송신하고, 전력 관리로 인한 전력 백오프의 적용에 관한 상기 표시를 상기 확장된 PHR MAC CE 내에 또는 상기 PHR MAC CE 내에 또는 상기 확장된 PHR MAC CE에 의해 사용되는 MAC 서브헤더 내에 제공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장치(700).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유닛(710)은 동일한 PHR에 상기 사용자 장치(700)에 의해 사용되는 최대 전송 전력을 표시하도록 더 구성된, 사용자 장치(700).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유닛(710)은 상기 전력 백오프를 전송 시간 간격에서 상기 사용자 장치(700)에 의해 적용된 추가적인 전력 백오프로서 표시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장치(700).
  19. 삭제
  20.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유닛(710)은 상기 PHR 내의 추가의 비트를 사전 정의된 값으로 설정함으로써 상기 전력 백오프가 임의의 규정된 전력 백오프 문턱값을 초과하였음을 상기 PHR에 표시하도록 더 구성된, 사용자 장치(700).
  21.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유닛(710)은 상기 사용자 장치(700)에 의해 사용된 최대 전송 전력이 상기 PHR에 표시되는 때마다 상기 전력 백오프를 적용하도록 더 구성된, 사용자 장치(700).
  22.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유닛(710)은 상기 전력 백오프가 상기 사용자 장치(700)에 의해 이용되는 실제 전송 전력에 영향을 주는 경우, 전력 관리로 인한 상기 전력 백오프를 적용하도록 더 구성된, 사용자 장치(700).
  23.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유닛(710)은 최대 전력 절감(MPR) 및 추가적인 MPR(A-MPR)을 위해 상기 사용자 장치에 의해 적용된 임의의 전력 백오프에 추가적으로, 전력 관리로 인한 상기 전력 백오프를 적용하도록 더 구성된, 사용자 장치(700).
  24. 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 기지국(600)으로서,
    - PHR을 사용자 장치(700)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된 송수신기(620) - 상기 송수신기(620)는 확장된 PHR MAC CE 내의 또는 PHR MAC CE 내의 상기 PHR을 수신하도록 구성됨 - ; 및
    - 전력 관리로 인한 전력 백오프가 상기 사용자 장치(700)에 의해 적용되었는지를 상기 수신된 PHR로부터 판정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싱 유닛(632)
    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싱 유닛(632)은 상기 PHR 내의 예비된 비트가 사전 정의된 값으로 설정되었는지를 판정하도록 더 구성되고,
    전력 관리로 인한 전력 백오프가 상기 사용자 장치(700)에 의해 적용되었을 경우, 상기 송수신기(620)는 상기 확장된 PHR MAC CE 내의 또는 상기 PHR MAC CE 내의 또는 상기 확장된 PHR MAC CE에 의해 사용되는 MAC 서브헤더 내의 전력 관리로 인한 상기 전력 백오프의 적용에 관한 표시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무선 기지국(600).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유닛(632)은 상기 사용자 장치(700)에 의해 사용된 최대 전송 전력을 상기 PHR로부터 판정하도록 더 구성된, 무선 기지국(600).
  26. 삭제
  27.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정의된 값은 1이고,
    상기 프로세싱 유닛(632)은, 상기 PHR 내의 추가의 예비된 비트가 상기 전력 백오프는 임의의 규정된 전력 백오프 문턱값을 초과하였음을 표시하는 사전 정의된 값으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정하도록 더 구성된, 무선 기지국(600).
  28. 제24항 또는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유닛(632)은 상기 전력 백오프가 전송 시간 간격에서 상기 사용자 장치에 의해 적용된 추가적인 전력 백오프인지를 판정하도록 더 구성된, 무선 기지국(600).
  29. 제24항 또는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유닛(632)은, 상기 전력 백오프가 상기 사용자 장치(700)에 의해 이용되는 실제 전송 전력에 영향을 주는 경우, 상기 전력 백오프가 전력 관리로 인하여 상기 사용자 장치(700)에 의해 적용된 것인지를 판정하도록 더 구성된, 무선 기지국(600).
  30. 제24항 또는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유닛(632)은 최대 전력 절감(MPR) 및 추가적인 MPR(A-MPR)을 위하여 상기 사용자 장치(700)에 의해 적용된 임의의 전력 백오프에 추가적으로, 상기 전력 백오프가 전력 관리로 인하여 상기 사용자 장치(700)에 의해 적용된 것인지를 판정하도록 더 구성된, 무선 기지국(600).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KR1020137017015A 2010-12-30 2011-04-29 통신 시스템에서 phr에 전력 백오프 표시를 가능하게 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8231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061428684P 2010-12-30 2010-12-30
US61/428,684 2010-12-30
PCT/SE2011/050528 WO2012091651A1 (en) 2010-12-30 2011-04-29 Methods and apparatuses for enabling power back-off indication in phr in a telecommunications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2689A KR20140002689A (ko) 2014-01-08
KR101823186B1 true KR101823186B1 (ko) 2018-01-29

Family

ID=44120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7015A KR101823186B1 (ko) 2010-12-30 2011-04-29 통신 시스템에서 phr에 전력 백오프 표시를 가능하게 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2)

Country Link
US (3) US8755832B2 (ko)
EP (1) EP2659720B1 (ko)
JP (1) JP5711386B2 (ko)
KR (1) KR101823186B1 (ko)
CN (2) CN105939538B (ko)
AR (1) AR084273A1 (ko)
AU (1) AU2011353153B2 (ko)
BR (1) BR112013010103B1 (ko)
CA (1) CA2822688C (ko)
DK (1) DK2659720T3 (ko)
ES (1) ES2533683T3 (ko)
IL (1) IL226075A (ko)
MX (1) MX2013005583A (ko)
MY (1) MY165865A (ko)
NZ (1) NZ611171A (ko)
PL (1) PL2659720T3 (ko)
PT (1) PT2659720E (ko)
RU (1) RU2556244C2 (ko)
SG (1) SG190005A1 (ko)
TW (1) TWI516052B (ko)
WO (1) WO2012091651A1 (ko)
ZA (1) ZA20130333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79868B (zh) 2011-01-07 2021-04-23 交互数字专利控股公司 用于管理功率余量报告的方法及wtru
KR101909038B1 (ko) 2011-01-18 2018-10-17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성능을 보고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073027B1 (ko) 2011-04-05 2020-02-04 삼성전자 주식회사 반송파 집적 기술을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복수 개의 타임 정렬 타이머 운용 방법 및 장치
CN107613523B (zh) 2011-02-15 2021-12-28 三星电子株式会社 用户设备优先级的功率余量报告方法和装置
KR101946991B1 (ko) 2011-02-15 2019-02-1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가용 송신 전력 보고 방법 및 장치
WO2012115414A2 (en) 2011-02-21 2012-08-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aving power of user equip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S2687145T3 (es) 2011-02-21 2018-10-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Procedimiento para informar de manera eficiente de la potencia de transmisión de un equipo de usuario y aparato del mismo
KR101995293B1 (ko) 2011-02-21 2019-07-02 삼성전자 주식회사 반송파 집적 기술을 사용하는 시분할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부차반송파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방법 및 장치
CN107017970B (zh) 2011-04-05 2020-07-14 三星电子株式会社 载波聚合系统中的终端和基站及其方法
KR101948801B1 (ko) 2011-04-11 2019-02-18 삼성전자주식회사 Mbms 지원 사용자 장치의 데이터 수신 방법 및 장치
EP3079273B1 (en) 2011-05-03 2019-01-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user equipment receiving mbms service processing semi-permanent scheduling from mbsfn subfram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3965317A1 (en) 2011-05-10 2022-03-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a time alignment tim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carrier aggregation technique
US9467941B2 (en) * 2012-06-07 2016-10-11 Qualcomm Incorporated Power based fast dormancy
EP2693815A1 (en) * 2012-08-03 2014-02-05 Panasonic Corporation Power headroom reporting for in-device coexistence interference avoidance
CN104718790B (zh) * 2012-08-06 2018-06-22 诺基亚技术有限公司 用于用户设备支持的额外最大功率回退的设备和方法
KR101971079B1 (ko) 2012-09-20 2019-08-13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피드백 송수신 방법 및 장치
WO2014069845A1 (en) * 2012-11-02 2014-05-08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power headroom report to network at user equip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n apparatus therefor
US9871544B2 (en) 2013-05-29 2018-01-1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pecific absorption rate mitigation
US10893488B2 (en) * 2013-06-14 2021-01-1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Radio frequency (RF) power back-off optimization for specific absorption rate (SAR) compliance
JP2015080065A (ja) 2013-10-16 2015-04-23 株式会社Ntt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
EP3054718A4 (en) * 2013-10-31 2016-10-26 Huawei Tech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WIRELESS COMMUNICATION
CN106063326B (zh) 2013-10-31 2020-02-07 日本电气株式会社 无线电通信系统、基站装置、无线电终端和通信控制方法
US9813997B2 (en) 2014-01-10 2017-11-0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ntenna coupling for sensing and dynamic transmission
US10044095B2 (en) 2014-01-10 2018-08-0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Radiating structure with integrated proximity sensing
US9563316B2 (en) 2014-01-10 2017-02-0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Radiofrequency-wave-transparent capacitive sensor pad
TWI628968B (zh) 2014-03-14 2018-07-01 Lg電子股份有限公司 在雙連結系統中觸發功率餘裕回報的方法及其裝置
US9357510B2 (en) * 2014-03-31 2016-05-31 Qualcomm Incorporated Power sharing and power headroom reporting in dual connectivity scenarios
US9769769B2 (en) 2014-06-30 2017-09-1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etecting proximity using antenna feedback
US9894621B2 (en) * 2014-07-31 2018-02-1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Power headroom reporting accounting
US9785174B2 (en) 2014-10-03 2017-10-1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edictive transmission power control for back-off
US9871545B2 (en) 2014-12-05 2018-01-1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elective specific absorption rate adjustment
EP4284096A3 (en) 2015-01-29 2024-02-14 Apple Inc. Power headroom reporting with channel selection
US10470139B2 (en) 2015-04-18 2019-11-05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allocating cell index for WLAN network for LTE-WLAN aggregation system and a device therefor
US10013038B2 (en) 2016-01-05 2018-07-0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ynamic antenna power control for multi-context device
CN107734597B (zh) 2016-08-12 2019-07-0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无线资源配置方法和装置
JP6918004B2 (ja) * 2016-09-29 2021-08-11 株式会社Nttドコモ 端末、通信方法、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US10231194B2 (en) 2016-10-12 2019-03-12 Qualcomm Incorporated Reception of transmit power related information
US10098127B2 (en) * 2017-01-09 2018-10-09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and apparatuses for differential back-off for long term evolution advanced (LTE-A) uplink carrier aggregation (ULCA)
US10337886B2 (en) 2017-01-23 2019-07-0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ctive proximity sensor with adaptive electric field control
US10461406B2 (en) 2017-01-23 2019-10-2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Loop antenna with integrated proximity sensing
US10224974B2 (en) 2017-03-31 2019-03-0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oximity-independent SAR mitigation
US10470140B2 (en) * 2017-05-04 2019-11-05 Qualcomm Incorporated Power headroom report for uplink split bearer communications
US10681644B2 (en) * 2018-08-21 2020-06-09 Qualcomm Incorporated Reporting actual uplink transmission power
US10750456B2 (en) * 2018-09-07 2020-08-18 T-Mobile Us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cellular multi-connectivity
US10925007B2 (en) * 2018-11-02 2021-02-16 Apple Inc. Dynamic power reduction requests for wireless communications
EP3928564A1 (en) * 2019-02-22 2021-12-29 Lenovo (Singapore) Pte.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secondary cell group additional maximum power reduction and configured maximum power
US20220264481A1 (en) * 2019-06-28 2022-08-18 Nokia Technologies Oy Signaling Power Exposure Events
WO2021007870A1 (zh) * 2019-07-18 2021-01-2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通信参数配置方法及相关产品
KR20210019814A (ko) * 2019-08-13 2021-02-23 삼성전자주식회사 Sar에 기반하여 송신 전력을 백-오프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WO2021091353A1 (en) * 2019-11-08 2021-05-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power backoff report while performing power headroom repor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21088048A1 (zh) * 2019-11-08 2021-05-1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用于功率回退的方法、终端设备以及网络设备
US20230043225A1 (en) * 2020-01-19 2023-02-09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uplink data transmission, and computer storage medium
CN115669098A (zh) * 2020-03-18 2023-01-31 康卡斯特有线通信有限责任公司 用于无线通信的暴露检测和报告
JP2023527643A (ja) * 2020-04-03 2023-06-30 オッポ広東移動通信有限公司 送信電力の制御方法、端末機器及びネットワーク機器
CN113573415A (zh) * 2020-04-29 2021-10-29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研究院 发送参数的上报方法、更新方法、终端及网络侧设备
US11672019B2 (en) 2020-05-01 2023-06-06 Ofinno, Llc Random access procedure
CN115486146A (zh) * 2020-05-20 2022-12-1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上报功率回退信息的方法及装置、网络设备、终端设备
EP4020825A1 (en) * 2020-12-23 2022-06-29 INTEL Corporation Devices and methods employing predictive back-off estimation schemes for sar complian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91910A1 (en) 2008-01-25 2009-07-30 Qualcomm, Incorporated Power headroom manage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2875A (ko) * 2001-10-19 2003-04-26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캐스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 통신시스템에서 순방향 데이터 채널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장치 및 방법
CN101136675B (zh) * 2007-06-26 2011-03-0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基于功率回退的功率定标方法和装置
CN101741479B (zh) * 2008-11-04 2014-03-1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最大发射功率回退和邻道泄露比率的联合测试方法
EP2317815A1 (en) * 2009-11-02 2011-05-04 Panasonic Corporation Power-limit reporting in a communication system using carrier aggregation
US8558331B2 (en) * 2009-12-08 2013-10-15 Qualcomm Incorporated Magnetic tunnel junction device
TW201144442A (en) * 2010-05-17 2011-12-16 Dow Agrosciences Llc Production of DHA and other LC-PUFAs in plants
US8867440B2 (en) * 2010-05-28 2014-10-21 Qualcomm Incorporated Power headroom reporting for multicarrier LTE systems
WO2012044102A2 (en) 2010-09-30 2012-04-05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and method of reporting power headroom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91910A1 (en) 2008-01-25 2009-07-30 Qualcomm, Incorporated Power headroom manage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2-106446*
3GPP R2-106502*
3GPP R4-10477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822688C (en) 2018-10-02
CN105939538A (zh) 2016-09-14
US9307498B2 (en) 2016-04-05
US20140219223A1 (en) 2014-08-07
US20120172079A1 (en) 2012-07-05
BR112013010103B1 (pt) 2021-12-14
IL226075A0 (en) 2013-06-27
KR20140002689A (ko) 2014-01-08
JP5711386B2 (ja) 2015-04-30
EP2659720B1 (en) 2015-02-25
CN105939538B (zh) 2019-09-10
NZ611171A (en) 2014-06-27
PT2659720E (pt) 2015-04-09
US20160183202A1 (en) 2016-06-23
CN103270799B (zh) 2016-07-06
US9763205B2 (en) 2017-09-12
CN103270799A (zh) 2013-08-28
CA2822688A1 (en) 2012-07-05
ZA201303330B (en) 2014-07-30
AU2011353153B2 (en) 2014-09-11
BR112013010103A2 (pt) 2016-09-06
RU2556244C2 (ru) 2015-07-10
AR084273A1 (es) 2013-05-02
IL226075A (en) 2017-05-29
WO2012091651A1 (en) 2012-07-05
AU2011353153A1 (en) 2013-05-02
RU2013135464A (ru) 2015-02-10
EP2659720A1 (en) 2013-11-06
TW201230716A (en) 2012-07-16
US8755832B2 (en) 2014-06-17
JP2014506059A (ja) 2014-03-06
MX2013005583A (es) 2013-07-05
SG190005A1 (en) 2013-06-28
ES2533683T3 (es) 2015-04-14
PL2659720T3 (pl) 2015-06-30
TWI516052B (zh) 2016-01-01
MY165865A (en) 2018-05-18
DK2659720T3 (en) 2015-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3186B1 (ko) 통신 시스템에서 phr에 전력 백오프 표시를 가능하게 하는 방법 및 장치
US975658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sound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power
US9622198B2 (en) Methods of providing power headroom reports arranged in order of component carrier indices and related wireless terminals and base stations
JP6522623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パワーヘッドルーム報告を伝送する方法及び装置
US9282521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uplink transmit power in wireless access system
EP277442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control for wireless transmissions on multiple component carriers associated with multiple timing advances
JP6376564B2 (ja) 端末装置、基地局装置、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JP6671173B2 (ja) 端末装置、基地局装置、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CN109392072B (zh) 功率余量的计算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